KR20220141955A - 위험인물의 출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위험인물의 출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1955A
KR20220141955A KR1020210047949A KR20210047949A KR20220141955A KR 20220141955 A KR20220141955 A KR 20220141955A KR 1020210047949 A KR1020210047949 A KR 1020210047949A KR 20210047949 A KR20210047949 A KR 20210047949A KR 20220141955 A KR20220141955 A KR 20220141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on
information
dangerous
face
dangerous pers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7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79665B1 (ko
Inventor
이현우
Original Assignee
이후시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후시스(주) filed Critical 이후시스(주)
Priority to KR1020210047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9665B1/ko
Publication of KR20220141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1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9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9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 G07C9/3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위험인물의 출입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위험인물의 출입 제어 시스템은, 공공기관 또는 경찰서의 서버로부터 위험인물의 신상정보 및 얼굴 이미지를 포함하는 위험인물 정보를 수집하여 위험인물 DB에 등록하는 관리 서버, 교육시설의 출입문에 설치되고,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위험인물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출입문을 통과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사용자의 얼굴을 상기 저장된 위험인물 정보의 얼굴 이미지와 비교하여 위험인물인지를 판단하며, 그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출입문을 통제하는 출입 통제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위험인물의 출입 제어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ENTRANCE OF CRIMINALS}
본 발명은 위험인물의 출입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성범죄자 및 수배자 등 위험인물의 교육시설 출입을 통제하고, 위험인물의 교육시설 접근을 관리자에게 알림으로써, 교육시설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위험인물의 출입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 또는 학원 등의 교육시설을 방문했을 때 수위실 또는 경비실에서 방문목적과 방문자의 이름을 기재하고 신분증을 맡긴 후, 방문용 출입증카드를 받아서 특정건물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하지만, 방문자가 성폭력범인지 또는 순수 방문목적으로 온 일반인인지 현장에서 실시간 인증시켜주는 장치가 없어, 바로 건물 내부로 방문을 허용시켜줌으로써 제2 안전사고를 불러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방문용 출입증카드가 마그네틱 또는 플라스틱 카드로 형성되어 있어, 방문자로 인한 분실 또는 도난으로 인해 새로운 방문용 출입증카드를 수시로 만들어서 비치해 둬야 하므로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방문자별로 식별시켜주는 별도의 고유식별마크 없이, 단지, RFID 또는 바코드가 형성된 하나의 방문용 출입증카드를 통해 모든 건물내의 도어락을 오픈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어, 보안이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교육시설 방문자 인원의 관리 및 통제가 체계적이며 안전하게 이루어지도록 무인화하고, 성범죄자 및 수배자 등의 위험인물의 교육시설 출입을 방지함으로써, 교육시설의 보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출입문 제어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30756호(2021.03.19. 공고, 발명의 명칭: 출입통제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성범죄자 및 수배자 등 위험인물의 교육시설 출입을 통제하고, 위험인물의 교육시설 접근을 관리자에게 알림으로써, 교육시설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위험인물의 출입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위험인물의 출입 제어 시스템은, 공공기관 또는 경찰서의 서버로부터 위험인물의 신상정보 및 얼굴 이미지를 포함하는 위험인물 정보를 수집하여 위험인물 DB에 등록하는 관리 서버, 교육시설의 출입문에 설치되고,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위험인물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출입문을 통과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사용자의 얼굴을 상기 저장된 위험인물 정보의 얼굴 이미지와 비교하여 위험인물인지를 판단하며, 그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출입문을 통제하는 출입 통제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출입 통제 장치는, 상기 관리 서버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위험인물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제1 저장부, 촬영부, 음성 출력부, 및 상기 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얼굴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얼굴을 상기 제1 저장부에 저장된 얼굴 이미지와 비교하여 위험인물인지를 판단하며, 위험인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출입문을 통제하고, 상기 음성 출력부를 통해 경고 멘트를 출력하며, 위험인물 알림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관리자에게 알리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학부모, 학생 및 교직원 중 적어도 하나의 개인정보 및 얼굴 이미지를 포함하는 출입 가능자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제2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된 얼굴이 위험인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인식된 얼굴을 상기 제2 저장부에 저장된 얼굴 이미지와 비교하여 출입 가능자인지를 판단하고, 출입 가능자로 판단된 경우 상기 출입문을 개방하도록 제어하고, 출입 가능자로 판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출입문을 통제하며, 상기 음성 출력부를 통해 경고 멘트를 출력하고, 위험인물 알림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된 얼굴이 위험인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인식된 얼굴을 상기 제2 저장부에 저장된 얼굴 이미지와 비교하여 출입 가능자인지를 판단하고, 출입 가능자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상기 교육시설의 방문 예약 여부를 확인하고, 방문 예약된 경우 상기 출입문을 개방하도록 제어하고, 방문 예약되지 않은 경우 상기 출입문의 통제하며, 상기 음성 출력부를 통해 경고 멘트를 출력하고, 위험인물 알림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위험인물 알림정보는, 상기 위험인물의 인식 시간, 해당 교육시설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육시설의 식별정보, 상기 출입 제어 장치의 식별정보, 방문 시간, 상기 인식된 얼굴, 및 상기 인식된 얼굴에 대응되는 개인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출입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출입 제어 장치로부터 출입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출입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된 얼굴이 위험인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위험인물에 대한 출입 정보를 암호화하고, 상기 암호화된 출입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암호화된 출입 정보를 복호화하고, 상기 복호화된 위험인물의 출입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위험인물의 출입 제어 방법은, 관리 서버가 공공기관 또는 경찰서의 서버로부터 위험인물의 신상정보 및 얼굴 이미지를 포함하는 위험인물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위험인물 정보를 출입 통제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출입 통제 장치가 상기 위험인물 정보를 저장하고, 해당 교육시설의 출입문을 통과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출입 통제 장치가 상기 촬영된 사용자의 얼굴을 상기 저장된 위험인물 정보의 얼굴 이미지와 비교하여 위험인물인지를 판단하며, 그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출입문을 통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출입문을 통제하는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의 얼굴이 위험인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출입 통제 장치는 상기 출입문을 통제하고, 경고 멘트를 출력하며, 위험인물 알림정보를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출입 통제 장치가,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학부모, 학생 및 교직원 중 적어도 하나의 개인정보 및 얼굴 이미지를 포함하는 출입 가능자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입문을 통제하는 단계에서, 상기 출입 통제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이 위험인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상기 출입 가능자 정보의 얼굴 이미지와 비교하여 출입 가능자인지를 판단하고, 출입 가능자로 판단된 경우 상기 출입문을 개방하도록 제어하고, 출입 가능자로 판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출입문을 통제하며, 경고 멘트를 출력하고, 위험인물 알림정보를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출입문을 통제하는 단계에서, 상기 출입 통제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이 위험인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상기 출입 가능자 정보의 얼굴 이미지와 비교하여 출입 가능자인지를 판단하고, 출입 가능자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상기 교육시설의 방문 예약 여부를 확인하고, 방문 예약된 경우 상기 출입문을 개방하도록 제어하고, 방문 예약되지 않은 경우 상기 출입문의 통제하며, 경고 멘트를 출력하고, 위험인물 알림정보를 상기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출입문을 통제하는 단계 이후, 상기 출입 통제 장치가 상기 교육시설의 식별정보, 상기 출입 제어 장치의 식별정보, 방문 시간, 상기 인식된 얼굴, 및 상기 인식된 얼굴에 대응되는 개인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출입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출입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출입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의 얼굴이 위험인물인 경우, 상기 출입 통제 장치는 상기 위험인물에 대한 출입 정보를 암호화하고, 상기 암호화된 출입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출입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에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암호화된 출입 정보를 복호화하고, 상기 복호화된 위험인물의 출입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인물의 출입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은, 교육시설에 출입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얼굴 인식을 통해 위험인물(성범죄자, 수배자, 범죄자 등)을 판별하고, 위험인물의 교육시설 출입을 통제하며, 위험인물의 교육시설 접근을 관리자에게 알림으로써, 범죄를 예방할 수 있고, 교육시설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인물의 출입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은, 위험인물이 교육시설에 출입하고자 하는 경우, 비상경보, 음성, 문자, 및 알림톡 등을 통해 빠른 상황 대처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인근 인원이 출동하여 초동 대처를 함에 따라 위험인물 관리 통제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인물의 출입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출입 관리 DB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제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인물 알림정보를 관리자에게 알리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인물 출입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험인물 출입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인물의 출입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인물의 출입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인물의 출입 제어 시스템은 관리 서버(100) 및 교육시설의 출입문에 설치되는 출입 제어 장치(200)를 포함하고, 이들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망은 유선 통신망, 근거리 통신망, 및 무선 통신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어느 하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관리 서버(100)는 공공기관 또는 경찰서의 서버로부터 위험인물의 신상정보 및 얼굴 이미지를 포함하는 위험인물 정보를 크롤링(crawling)하여 수집하고, 수집된 위험인물 정보를 위험인물 DB에 등록할 수 있다. 이때, 관리 서버(100)는 암호화된 위험인물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암호화된 위험인물 정보를 복호화하여 위험인물 DB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위험인물은 범죄자, 수배자, 성범죄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100)는 각 교유시설의 서버로부터 학부모, 학생 및 교직원 중 적어도 하나의 개인정보 및 얼굴 이미지를 포함하는 출입 가능자 정보를 수신하여 출입 가능자 DB(134)에 등록할 수 있다.
관리 서버(100)는 위험인물 DB에 저장된 위험인물 정보 및 출입 가능자 DB(134)에 저장된 출입 가능자 정보를 출입 제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 서버(100)는 출입 제어 장치(200)로부터 사용자의 출입 정보를 수신하고, 그 출입 정보를 출입 관리 DB(136)에 기록할 수 있다.
이러한 관리 서버(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입 제어 장치(200)를 관리할 수 있다.
출입 제어 장치(200)는 교육시설의 출입문에 설치되고, 관리 서버(100)로부터 위험인물 정보 및 출입 가능자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부(220)에 저장하며, 출입문을 통과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고, 촬영된 사용자의 얼굴을 저장부(220)에 저장된 얼굴 이미지와 비교하여 위험인물인지를 판단하며, 그 판단결과에 따라 출입문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교육시설은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 및 학원 등 어린이, 청소년이 이용하는 교육시설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위험인물로 판단된 경우, 출입 제어 장치(200)는 출입문을 통제하고, 경고 멘트를 출력하며, 위험인물 알림정보를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위험인물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출입 제어 장치(200)는 출입문을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출입 제어 장치(200)는, 예를 들어 건물이나 시설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출입자(사용자)에 대한 출입 인증을 수행하는 무인화된 감시 프로세스를 통해 실행하는 컴퓨팅 수단으로, 출입문에 연동하여 출입을 통제할 수 있다.
출입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의 출입을 녹화하고, 녹화된 영상을 관리 서버(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처럼 출입 제어 장치(200)는 CCTV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위험인물 출입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의 얼굴인식을 통해 위험인물인지를 판단하고, 위험인물인 경우 교육시설의 출입을 통제할 수 있다. 출입통제로 위험인물의 출입을 방지할 수 있고, 위험인물이 교육시설 이용자(예컨대, 아이들)와 접촉할 수 있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위험인물 출입 시, 위험인물 출입 제어 시스템은 비상경보, 음성, 문자(MMS포함) 및 카카오 알림톡 등을 이용하여 위험인물 출입을 관리자에게 알림으로써, 관리자는 위험인물 출입 상황을 신속하게 인식할 수 있고,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출입 관리 DB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100)는 통신부(110), 제어부(120), 및 데이터베이스(1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통신망을 통해 공공기관 또는 경찰서의 서버, 출입 제어 장치(200)와 통신을 위한 구성으로, 위험인물 정보, 출입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110)는 근거리 통신모듈, 무선 통신모듈, 이동통신 모듈, 유선 통신모듈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30)는 위험인물의 신상정보 및 얼굴 이미지를 포함하는 위험인물 정보를 저장하는 위험인물 DB(132), 학부모, 학생 및 교직원 중 적어도 하나의 개인정보 및 얼굴 이미지를 포함하는 출입 가능자 정보를 저장하는 출입 가능자 DB(13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신상정보 및 개인정보는 성명, 성별, 핸드폰 번호, 및 주민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30)는 각 교육시설에 출입한 사용자들의 출입 정보를 저장하는 출입 관리 DB(1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출입 정보는 출입 제어 장치(200)에서 인식된 얼굴, 인식된 얼굴에 대응하는 개인정보, 내부인/외부인/위험인물, 방문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출입 관리 DB(136)는 도 3과 같이 출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출입 관리 DB(136)는 사진, 등록종류, 등록번호, 이름, 성별, 핸드폰 번호, 식별번호, 방문시간, 출입 구역, 장치이름, 검증모드, 문자 발송 여부, 음성 송출 여부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사진은 내부인으로 등록된 사용자의 증명사진(또는 일반 사진), 출입 제어 장치(200)의 촬영부(230)에 의한 촬영된 캡쳐 사진일 수 있다. 등록종류는 내부인, 외부인, 및 위험인물 등을 의미할 수 있고, 내부인은 출입 가능자 DB(134)에 등록된 사용자, 위험인물은 위험인물 DB(132)에 등록된 사용자, 외부인은 출입 가능자 DB(134) 및 위험인물 DB(132)에 등록되지 않은 사용자를 의미할 수 있다. 등록번호는 사용자의 고유번호일 수 있고, 식별번호는 생년월일(또는 주민번호)일 수 있다. 방문시간은 출입 제어 장치(200)에 의해 사진이 캡쳐되는 동시에 기록되는 시간일 수 있다. 출입 구역 및 장치 이름은 출입 제어 장치(200)가 설치된 구역 및 출입 제어 장치(200)의 이름일 수 있다. 검증 모드는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얼굴일 수 있다.
제어부(120)는 통신부(110)를 통해 공공기관 또는 경찰서의 서버로부터 위험인물의 신상정보 및 얼굴 이미지를 포함하는 위험인물 정보를 수집하여 위험인물 DB(132)에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20)는 성범죄자 및 수배자 사이트로부터 위험인물(성 범죄자, 용의자, 수배자 등) 정보를 공공 데이터 API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수집된 위험인물 정보를 위험인물 DB(132)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각 교육시설로부터 학부모, 학생 및 교직원 중 적어도 하나의 개인정보 및 얼굴 이미지를 포함하는 출입 가능자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출입 가능자 정보를 출입 가능자 DB(134)에 등록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위험인물 DB(132) 및 출입 가능자 DB(134)에 등록된 위험인물 정보 및 출입 가능자 정보를 통신부(110)를 통해 출입 제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통신부(110)를 통해 출입 제어 장치(200)로부터 출입 정보를 수신하고, 출입 정보를 출입 관리 DB(136)에 기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제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인물 알림정보를 관리자에게에 알리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제어 장치(200)는 통신부(210), 저장부(220), 촬영부(230), 표시부(240), 음성 출력부(250), 전원부(260) 및 제어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통신망을 통해 관리 서버(100)와 통신을 하기 위한 구성으로, 위험인물 정보 및 출입 가능자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210)는 근거리 통신모듈, 무선 통신모듈, 이동통신 모듈, 유선 통신모듈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220)는 통신부(210)를 통해 관리 서버(100)로부터 위험인물 정보를 저장하는 제1 저장부(222), 관리 서버(100)로부터 출입 가능자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제2 저장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위험인물 정보는 위험인물의 얼굴 이미지, 성명, 성별, 핸드폰 번호, 및 주민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출입 가능자 정보는 출입 가능자의 얼굴 이미지, 성명, 성별, 핸드폰 번호, 및 주민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20)는 출입 제어 장치(200)의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저장부(220)는 공지된 저장매체를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ROM, PROM, EPROM, EEPROM, RAM 등과 같이 공지된 저장매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촬영부(230)는 교육시설의 출입문을 통과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할 수 있다. 즉, 촬영부(230)는 출입 대상자(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기 위한 것으로, 설치 위치에 따라 결정되는 소정의 감시 영역에 출입 대상자가 존재하는지를 감지하고, 출입 대상자가 감지되면 그 출입 대상자의 얼굴을 촬영한 다음, 촬영된 얼굴 이미지를 제어부(27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촬영부(230)는 카메라 모듈로 구비될 수 있고, 출입 대상자(사용자)의 감지를 위한 감지 센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촬영부(230)는 별도의 감지 센서를 구비하지 않고, 전술한 감시 영역을 상시 촬영하다가 그 촬영되는 영상에서 얼굴 영역이 검출되면 출입 대상자(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할 수도 있다.
표시부(240)는 출입 제어 장치(20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는 구성이다. 특히, 표시부(240)는 사용자(출입 대상자) 감지 시, 사용자의 촬영을 위한 촬영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240)는 사용자 인식 결과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240)는 공지의 전자식 디스플레이(예, LCD 또는 LED, OLED 등)일 수 있다.
음성 출력부(250)는 사용자 인식 결과 및 경고 멘트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음성 출력부(250)는 예컨대, 스피커일 수 있다.
전원부(260)는 출입 제어 장치(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일 수 있다.
제어부(270)는 촬영부(230)를 통해 촬영된 얼굴을 인식하고, 인식된 얼굴을 제1 저장부(222)에 저장된 얼굴 이미지와 비교하여 위험인물인지를 판단하며, 위험인물로 판단된 경우 출입문을 통제하고, 음성 출력부(250)를 통해 경고 멘트를 출력하며, 위험인물 알림정보를 통신부(210)를 통해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다.
즉, 제어부(270)는 촬영부(230)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 얼굴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70)는 아다부스트(Adaboost: Adaptive Boosting) Classifier, 딥 러닝(Deep Learning), 칼만 필터(Kalman Filter) 및 파티클 필터(Particle Filter) 등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인식된 얼굴을 위험인물 정보에 등록된 얼굴 이미지와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 인식된 얼굴이 위험인물 정보에 포함되는 경우, 사용자를 위험인물이라고 판단하고, 인식된 얼굴이 위험인물 정보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를 위험인물이 아니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인식된 얼굴이 위험인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270)는 위험인물에 대한 출입 정보를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출입 정보를 통신부(210)를 통해 관리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 서버(100)는 암호화된 출입 정보를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위험인물의 출입 정보를 출입 관리 DB(136)에 기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위험인물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제어부(270)는 출입문을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70)는 교육시설의 출입문에 설치된 도어록을 제어하여 출입문을 개방하고, 그 개방된 출입문이 닫히거나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출입문을 다시 잠금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사용자가 위험인물이라고 판단된 경우, 제어부(270)는 출입문을 통제하고, 음성 출력부(250)를 통해 경고 멘트를 출력하며, 위험인물 알림정보를 통신부(210)를 통해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다. 여기서, 경고멘트는 '아동보호 구역입니다', '관리자에게 문의 바랍니다', '청소년 클린지역 입니다', '위험인물입니다. 입장 하실 수 없습니다', '접근 금지구역 입니다' 등 다양할 수 있다. 위험인물 알림정보는 위험인물의 인식 시간, 해당 교육시설의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비상경보, 음성, 문자(MMS포함) 및 카카오 알림톡 등 다양한 형태로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다. 관리자는 경비실, 및 경찰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자 메시지를 이용하여 위험인물 알림정보를 알리는 경우, 제어부(270)는 도 5의 (a)와 같은 "2020.05.14 오전 08:47에 위험인물이 **어린이집 정문에 나타났습니다. 즉시 확인바랍니다"의 문자 메시지를 관리자(예컨대, 경찰서의 담당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미리 녹음된 음성으로 위험인물 알림정보를 알리는 경우, 제어부(270)는 도 5의 (b)와 같은 "경기도 군포시 ** 어린이집에 위험인물이 나타났습니다. 즉시 경찰관 출동을 요청드립니다"의 음성을 관리자(예컨대, 경찰서의 담당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위험인물로 판단된 경우, 그 위험인물이 교육시설의 학부모일 수 있다. 이 경우, 경고 멘트를 발생하게 되면, 위험인물이 학부모인 학생에게 상처가 될 수 있다.
이에, 인식된 얼굴이 제1 저장부(222)에 저장된 위험인물 정보에 포함되는 경우, 제어부(270)는 인식된 얼굴을 제2 저장부(224)에 저장된 출입 가능자 정보의 얼굴 이미지와 비교하여 출입 가능자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인식된 얼굴이 제2 저장부(224)에 저장된 출입 가능자 정보에 포함되는 경우, 제어부(270)는 위험인물을 출입 가능자로 판단하여 출입문을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만약, 인식된 얼굴이 제2 저장부(224)에 저장된 출입 가능자 정보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270)는 위험인물을 출입 가능자가 아니라고 판단하여 출입문을 통제하며, 음성 출력부(250)를 통해 경고 멘트를 출력하고, 위험인물 알림정보를 통신부(210)를 통해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인식된 얼굴이 제1 저장부(222)에 저장된 위험인물 정보에 포함되는 경우, 제어부(270)는 인식된 얼굴을 제2 저장부(224)에 저장된 출입 가능자 정보의 얼굴 이미지와 비교하여 출입 가능자인지를 판단하고, 출입 가능자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의 교육시설의 방문 예약 여부에 기초하여 출입문을 통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교육시설 방문이 예약된 경우, 제어부(270)는 출입문을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의 교육시설 방문이 예약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270)는 출입문을 통제하며, 음성 출력부(250)를 통해 경고 멘트를 출력하고, 위험인물 알림정보를 통신부(210)를 통해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인물 출입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관리 서버(100)는 공공기관 또는 경찰서의 서버로부터 위험인물의 신상정보 및 얼굴 이미지를 포함하는 위험인물 정보를 수집하고(S510), 수집한 위험인물 정보를 출입 제어 장치(200)로 전송한다(S520).
그러면, 출입 제어 장치(200)는 위험인물 정보를 제1 저장부(222)에 저장한다(S530).
추후, 출입 제어 장치(200)는 교육시설의 출입문을 통과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부(230)를 통해 촬영하고(S540), 촬영된 얼굴을 인식하며(S550), 인식된 얼굴이 제1 저장부(222)에 저장된 위험인물 정보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한다(S560).
S560 단계의 판단결과, 인식된 얼굴이 위험인물 정보에 포함되면, 출입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를 위험인물이라고 판단하여 출입문을 통제하고 경고 멘트를 출력하며(S570), 위험인물 알림정보를 관리자에게 전송한다(S580). 이때, 인식된 얼굴이 위험인물로 판단된 경우, 출입 제어 장치(200)는 위험인물에 대한 출입 정보를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출입 정보를 관리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 서버(100)는 암호화된 출입 정보를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위험인물의 출입 정보를 출입 관리 DB(136)에 기록할 수 있다. 여기서, 위험인물 알림정보는 위험인물의 인식 시간(또는 방문 시간), 해당 교육시설의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S560 단계의 판단결과, 인식된 얼굴이 위험인물 정보에 포함되지 않으면, 출입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를 위험인물이 아니라고 판단하여 출입문을 개방하도록 제어한다(S590).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험인물 출입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관리 서버(100)는 공공기관 또는 경찰서의 서버로부터 위험인물의 신상정보 및 얼굴 이미지를 포함하는 위험인물 정보 및 학부모, 학생 및 교직원 중 적어도 하나의 개인정보 및 얼굴 이미지를 포함하는 출입 가능자 정보를 수집하고(S610), 수집한 위험인물 정보 및 출입 가능자 정보를 출입 제어 장치(200)로 전송한다(S620).
그러면, 출입 제어 장치(200)는 위험인물 정보를 제1 저장부(222)에 저장하고, 출입 가능자 정보를 제2 저장부(224)에 저장한다(S630).
추후, 출입 제어 장치(200)는 교육시설의 출입문을 통과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부(230)를 통해 촬영하고(S640), 촬영된 얼굴을 인식하며(S650), 인식된 얼굴이 제1 저장부(222)에 저장된 위험인물 정보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한다(S660).
S660 단계의 판단결과, 인식된 얼굴이 위험인물 정보에 포함되면, 출입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를 위험인물이라고 판단하고, 위험인물이 제2 저장부(224)에 저장된 출입 가능자 정보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한다(S670). 이때, 인식된 얼굴이 위험인물로 판단된 경우, 출입 제어 장치(200)는 위험인물에 대한 출입 정보를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출입 정보를 관리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S670 단계의 판단결과, 위험인물이 출입 가능자 정보에 포함되면, 출입 제어 장치(200)는 위험인물을 출입 가능자로 판단하여 출입문을 개방하도록 제어한다(S680).
만약, S670 단계의 판단결과, 위험인물이 출입 가능자 정보에 포함되지 않으면, 출입 제어 장치(200)는 위험인물을 출입 가능자가 아니라고 판단하여 출입문을 통제하고 경고 멘트를 출력하며(S690), 위험인물 알림정보를 관리자에게 전송한다(S700). 여기서, 위험인물 알림정보는 위험인물의 인식 시간, 해당 교육시설의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S560 단계의 판단결과, 인식된 얼굴이 위험인물 정보에 포함되지 않으면, 출입 제어 장치(200)는 S580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출입 제어 장치(200)가 관리 서버(100)로부터 위험인물 정보를 수신하고, 촬영부(230)를 통해 촬영된 사용자의 얼굴을 위험인물 정보와 비교하며, 그 비교결과에 따라 출입문을 통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출입 제어 장치(200)가 관리 서버(100)로부터 위험인물 정보를 수신하지 않고, 촬영부(230)를 통해 촬영된 사용자의 얼굴을 관리 서버(100)로 전송하고, 관리 서버(100)가 출입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얼굴을 위험인물 정보와 비교하여 위험인물인지를 판단하며, 그 판단결과를 출입 제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출입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가 위험인물이라는 판단결과를 수신하면, 출입문을 통제하고, 경고 멘트를 출력하며, 위험인물 알림정보를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인물의 출입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은, 교육시설에 출입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얼굴 인식을 통해 위험인물(성범죄자, 수배자, 범죄자 등)을 판별하고, 위험인물의 교육시설 출입을 통제하며, 위험인물의 교육시설 접근을 관리자에게 알림으로써, 범죄를 예방할 수 있고, 교육시설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인물의 출입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은, 위험인물이 교육시설에 출입하고자 하는 경우, 비상경보, 음성, 문자, 및 알림톡 등을 통해 빠른 상황 대처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인근 인원이 출동하여 초동 대처를 함에 따라 위험인물 관리 통제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관리 서버
110, 210 : 통신부
120, 270 : 제어부
130 : 데이터베이스
200 : 출입 제어 장치
220 : 저장부
230 : 촬영부
240 : 표시부
250 : 음성 출력부
260 : 전원부

Claims (14)

  1. 공공기관 또는 경찰서의 서버로부터 위험인물의 신상정보 및 얼굴 이미지를 포함하는 위험인물 정보를 수집하여 위험인물 DB에 등록하는 관리 서버; 및
    교육시설의 출입문에 설치되고,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위험인물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출입문을 통과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사용자의 얼굴을 상기 저장된 위험인물 정보의 얼굴 이미지와 비교하여 위험인물인지를 판단하며, 그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출입문을 통제하는 출입 통제 장치
    를 포함하는 위험인물의 출입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통제 장치는,
    상기 관리 서버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위험인물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제1 저장부;
    촬영부;
    음성 출력부; 및
    상기 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얼굴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얼굴을 상기 제1 저장부에 저장된 얼굴 이미지와 비교하여 위험인물인지를 판단하며, 위험인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출입문을 통제하고, 상기 음성 출력부를 통해 경고 멘트를 출력하며, 위험인물 알림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관리자에게 알리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인물 출입 제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학부모, 학생 및 교직원 중 적어도 하나의 개인정보 및 얼굴 이미지를 포함하는 출입 가능자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제2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된 얼굴이 위험인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인식된 얼굴을 상기 제2 저장부에 저장된 얼굴 이미지와 비교하여 출입 가능자인지를 판단하고, 출입 가능자로 판단된 경우 상기 출입문을 개방하도록 제어하고, 출입 가능자로 판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출입문을 통제하며, 상기 음성 출력부를 통해 경고 멘트를 출력하고, 위험인물 알림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리자에게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인물 출입 제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된 얼굴이 위험인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인식된 얼굴을 상기 제2 저장부에 저장된 얼굴 이미지와 비교하여 출입 가능자인지를 판단하고, 출입 가능자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상기 교육시설의 방문 예약 여부를 확인하고, 방문 예약된 경우 상기 출입문을 개방하도록 제어하고, 방문 예약되지 않은 경우 상기 출입문의 통제하며, 상기 음성 출력부를 통해 경고 멘트를 출력하고, 위험인물 알림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리자에게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인물 출입 제어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인물 알림정보는,
    상기 위험인물의 인식 시간, 및 해당 교육시설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인물 출입 제어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육시설의 식별정보, 상기 출입 제어 장치의 식별정보, 방문 시간, 상기 인식된 얼굴, 및 상기 인식된 얼굴에 대응되는 개인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출입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인물의 출입 제어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출입 제어 장치로부터 출입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출입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인물의 출입 제어 시스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된 얼굴이 위험인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위험인물에 대한 출입 정보를 암호화하고, 상기 암호화된 출입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암호화된 출입 정보를 복호화하고, 상기 복호화된 위험인물의 출입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인물의 출입 제어 시스템.
  9. 관리 서버가 공공기관 또는 경찰서의 서버로부터 위험인물의 신상정보 및 얼굴 이미지를 포함하는 위험인물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위험인물 정보를 출입 통제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출입 통제 장치가 상기 위험인물 정보를 저장하고, 해당 교육시설의 출입문을 통과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출입 통제 장치가 상기 촬영된 사용자의 얼굴을 상기 저장된 위험인물 정보의 얼굴 이미지와 비교하여 위험인물인지를 판단하며, 그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출입문을 통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위험인물의 출입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을 통제하는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의 얼굴이 위험인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출입 통제 장치는 상기 출입문을 통제하고, 경고 멘트를 출력하며, 위험인물 알림정보를 관리자에게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인물의 출입 제어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통제 장치가,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학부모, 학생 및 교직원 중 적어도 하나의 개인정보 및 얼굴 이미지를 포함하는 출입 가능자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입문을 통제하는 단계에서,
    상기 출입 통제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이 위험인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상기 출입 가능자 정보의 얼굴 이미지와 비교하여 출입 가능자인지를 판단하고, 출입 가능자로 판단된 경우 상기 출입문을 개방하도록 제어하고, 출입 가능자로 판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출입문을 통제하며, 경고 멘트를 출력하고, 위험인물 알림정보를 관리자에게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인물의 출입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을 통제하는 단계에서,
    상기 출입 통제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이 위험인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상기 출입 가능자 정보의 얼굴 이미지와 비교하여 출입 가능자인지를 판단하고, 출입 가능자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상기 교육시설의 방문 예약 여부를 확인하고, 방문 예약된 경우 상기 출입문을 개방하도록 제어하고, 방문 예약되지 않은 경우 상기 출입문의 통제하며, 경고 멘트를 출력하고, 위험인물 알림정보를 상기 관리자에게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인물의 출입 제어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을 통제하는 단계 이후,
    상기 출입 통제 장치가 상기 교육시설의 식별정보, 상기 출입 제어 장치의 식별정보, 방문 시간, 상기 인식된 얼굴, 및 상기 인식된 얼굴에 대응되는 개인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출입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출입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인물의 출입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의 얼굴이 위험인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출입 통제 장치는 상기 위험인물에 대한 출입 정보를 암호화하고, 상기 암호화된 출입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출입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에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암호화된 출입 정보를 복호화하고, 상기 복호화된 위험인물의 출입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인물의 출입 제어 방법.
KR1020210047949A 2021-04-13 2021-04-13 위험인물의 출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679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949A KR102679665B1 (ko) 2021-04-13 2021-04-13 위험인물의 출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949A KR102679665B1 (ko) 2021-04-13 2021-04-13 위험인물의 출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1955A true KR20220141955A (ko) 2022-10-21
KR102679665B1 KR102679665B1 (ko) 2024-07-02

Family

ID=83805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7949A KR102679665B1 (ko) 2021-04-13 2021-04-13 위험인물의 출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7966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9794B1 (ko) * 2014-01-06 2014-07-15 주식회사 코어셀 학교 방문자의 얼굴인식을 통한 학교 출입자 관리 방법
KR20180054325A (ko) * 2016-11-15 2018-05-24 주식회사 에스원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출입자 정보 조회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29618A (ko) * 2018-05-11 2019-11-20 주식회사 로텍스 비가청 음파신호에 기반한 모바일 id출입통제 시스템 및 운용방법.
KR20200092608A (ko) * 2019-01-25 2020-08-04 정성현 공동현관 및 지하 주차장 출입문의 출입 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인증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9794B1 (ko) * 2014-01-06 2014-07-15 주식회사 코어셀 학교 방문자의 얼굴인식을 통한 학교 출입자 관리 방법
KR20180054325A (ko) * 2016-11-15 2018-05-24 주식회사 에스원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출입자 정보 조회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29618A (ko) * 2018-05-11 2019-11-20 주식회사 로텍스 비가청 음파신호에 기반한 모바일 id출입통제 시스템 및 운용방법.
KR20200092608A (ko) * 2019-01-25 2020-08-04 정성현 공동현관 및 지하 주차장 출입문의 출입 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인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79665B1 (ko) 2024-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08666B2 (en) Automated, remotely-verified alarm system with intrusion and video surveillance and digital video recording
US8559914B2 (en) Interactive personal surveillance and security (IPSS) system
US7397371B2 (en) Security system access control and method
JP5900941B1 (ja) デジタルフューチャーナウ・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236525B2 (en) Door locking device and a smart door apparatus
KR102107203B1 (ko) 키오스크 단말기 또는 태블릿 pc를 이용한 주차차단기 자동 출입 및 휴대폰을 이용한 주차차단기 개폐 시스템
KR101841882B1 (ko) 무인방범 시스템 및 방법
KR101981900B1 (ko) 얼굴 인식 기술을 이용한 안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92608A (ko) 공동현관 및 지하 주차장 출입문의 출입 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인증 방법
KR100922831B1 (ko) 디지털 도어락, 그를 이용한 방범 시스템 및 방법
JP2005092622A (ja) 防犯監視システム、防犯監視方法、および、防犯監視プログラム
KR20200060094A (ko) 출입문 보안 관리시스템
US20220084343A1 (en) Multifunction smart door lock
WO2020213058A1 (ja) デジタルスマート・ディフェンス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679665B1 (ko) 위험인물의 출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240136898A (ko) 비식별 데이터를 이용한 딥러닝 기반 이상행동 탐지 방법
KR20220132854A (ko) 출입문 관리 시스템 및 출입문 관리 방법
KR102472696B1 (ko) 출입 제어 장치, 서버 및 출입 제어 방법
KR102643663B1 (ko) 출입 관리 시스템
Suresh et al. Comprehensive home security for elderly people using IoT and artificial intelligence
WO2019045678A1 (en) AUTHENTICATION OF A FIRST AND A SECOND USER
KR101053474B1 (ko) 출입통제시스템 및 방법
KR100803951B1 (ko) 직원사칭 가정 출입 범죄 예방을 위한 rfid 보안장치
KR100666008B1 (ko) 인텔리전트 도어록 시스템
KR102699280B1 (ko) 범죄 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