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1577A - 마스크 - Google Patents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1577A
KR20220141577A KR1020210047865A KR20210047865A KR20220141577A KR 20220141577 A KR20220141577 A KR 20220141577A KR 1020210047865 A KR1020210047865 A KR 1020210047865A KR 20210047865 A KR20210047865 A KR 20210047865A KR 20220141577 A KR20220141577 A KR 202201415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duct
mask
discharge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7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형
구형모
김효진
라선욱
조성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7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1577A/ko
Priority to PCT/KR2022/004160 priority patent/WO2022220434A1/ko
Publication of KR20220141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15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06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with pumps for forced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62B23/025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the filter having substantially the shape of a mas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슬림 구조의 전동형 마스크를 개시한다.
마스크는 제1필터와, 제1필터의 후방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고정부와, 공기 흡입을 위해 형성되는 흡입구와, 배출을 위해 형성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제2필터와, 제1필터와 제2필터 사이에 배치되고, 흡입유로와 배출유로가 마련되는 필터 모듈을 포함하고, 필터 모듈은 흡입유로 내에 위치되며, 외부의 공기가 제1필터를 통과하여 흡입구를 통해 제2필터의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제1팬부와, 배출유로 내에 위치되며, 배출구를 통해 제2필터 내측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제2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마스크{WEARABLE MASK}
본 발명은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동형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Mask)는 병균, 먼지 등의 흡입 및 비산을 막기 위해 사용자의 코와 입을 가리는 장치이다. 마스크는 분진이 많이 발생하는 산업현장에서 주로 사용되었으나 사회가 복잡해짐에 따라 사용 범위가 대폭 확대 되었다.
마스크는 사용자의 코와 입을 가리기 위해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된다. 마스크의 일반적인 구조는 부직포 및 필터를 구비하며, 사용자의 코와 입 주변부를 감쌀 수 있도록 곡면체 구조로 이루어진 마스크 본체와, 마스크 본체를 사용자의 얼굴에 고정시키는 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마스크는 사용자의 코와 입으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병균, 먼지 등을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공기가 사용자의 입과 코로 유입되도록 한다. 공기와 공기에 포함된 병균, 먼지 등은 필터로 형성되는 마스크의 몸체를 통과하고, 병균, 먼지 등은 마스크의 몸체에 의해 필터링된다. 그러나, 공기가 마스크의 몸체를 통과 후 사용자의 코와 입으로 유입되거나, 마스크의 몸체를 통과 후 외부로 유출되기에 사용자의 호흡이 원활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된다.
최근에는 상기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모터, 팬, 필터가 구비되는 마스크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모터, 팬, 필터가 구비되는 전동 마스크는 필수 구성부(팬, 필터, 제어부 등)로 인한 제품 부피가 커서 평상시 착용으로 부적합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슬림 구조의 전동형 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컴팩트한 팬 모듈을 포함하여 편안한 호흡이 가능한 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교체 가능한 전후면 필터를 포함하여 유지관리가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사용 가능한 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마스크의 면을 활용한 슬림 구조로 얼굴에 밀착될 수 있는 유연성을 갖는 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마스크는, 제1필터; 상기 제1필터의 후방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고정부와, 공기 흡입을 위해 형성되는 흡입구와, 배출을 위해 형성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제2필터; 상기 제1필터와 상기 제2필터 사이에 배치되고, 흡입유로와 배출유로가 마련되는 필터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 모듈은 상기 흡입유로 내에 위치되며, 외부의 공기가 상기 제1필터를 통과하여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제2필터의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제1팬부와, 상기 배출유로 내에 위치되며,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제2필터 내측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제2팬부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 모듈은, 상기 흡입구에 대응하는 흡기홀과, 상기 배출구에 대응하는 배기홀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필터 모듈은, 상기 플렉시블 필름의 상기 흡기홀에 연결되고, 상기 흡입유로를 형성하도록 외기가 유입되는 제1흡입개구와, 상기 제1흡입개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제2흡입개구가 마련되는 제1덕트와, 상기 플렉시블 필름의 상기 배기홀에 연결되고, 상기 배출유로를 형성하도록 내기가 배출되는 제1배출개구와, 상기 제1배출개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제2배출개구가 마련되는 제2덕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1팬부는, 상기 제1덕트 내부에 배치되는 제1팬과, 상기 제1팬을 구동시키는 제1모터와, 상기 제1팬과 상기 제1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제1배터리를 포함한다.
상기 제1덕트는, 상기 제2흡입개구와 상기 흡기홀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덕트 가이드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팬부는, 상기 제2덕트 내부에 배치되는 제2팬과, 상기 제2팬을 구동시키는 제2모터와, 상기 제2팬과 상기 제2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제2배터리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 모듈은, 상기 제1덕트와 상기 제1필터와의 사이가 이격되도록 상기 제1덕트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흡입유로 가이드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필터 모듈은, 상기 제2덕트와 상기 제2필터와의 사이가 이격되도록 상기 제2덕트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배출유로 가이드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필터 또는 상기 제2필터는 상기 필터 모듈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상기 제1필터 또는 상기 제2필터를 상기 필터 모듈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하도록 마련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플렉시블 필름의 전면과 후면의 테두리를 따라 마련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플렉시블 필름의 일측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1필터의 후면에 대응되게 마련되는 제2결합부와, 상기 플렉시블 필름의 다른 일측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2필터의 전면에 대응되게 마련되는 제3결합부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3결합부 사이를 실링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플렉시블 필름의 테두리에 마련되는 제1결합층과, 상기 제1결합층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마련되는 제2결합층을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제1결합층과 상기 제2결합층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필터 모듈은, 상기 제1팬부와 상기 제2팬부를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필터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호흡 상태 인지를 위한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마스크는, 제1필터와, 상기 제1필터의 후방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고정부와, 공기 흡입을 위해 형성되는 흡입구와, 배출을 위해 형성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제2필터와, 상기 제1필터와 상기 제2필터 사이에 배치되며, 흡입 유로와 배출 유로가 마련되는 필터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 모듈은, 상기 흡입구에 대응하도록 흡기홀과, 상기 배출구에 대응하는 배기홀이 형성되는 플렉시블 필름과, 상기 흡입유로 내에 위치되며, 외부의 공기가 상기 제1필터를 통과하여 상기 흡입홀을 통해 상기 제2필터의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제1팬부와, 상기 배출유로 내에 위치되며, 상기 배기홀을 통해 상기 제2필터 내측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제2팬부와, 상기 제1필터 및 상기 제2필터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 모듈은, 상기 흡기홀에 연결되고, 상기 흡입유로를 형성하도록 외기가 유입되는 제1흡입개구와, 상기 제1흡입개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제2흡입개구가 마련되는 제1덕트와, 상기 배기홀에 연결되고, 상기 배출유로를 형성하도록 내기가 배출되는 제1배출개구와, 상기 제1배출개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제2배출개구가 마련되는 제2덕트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덕트는, 상기 제2흡입개구와 상기 흡기홀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덕트 가이드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필터 모듈은, 상기 제1덕트와 상기 제1필터와의 사이가 이격되도록 상기 제1덕트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흡입유로 가이드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필터 모듈은, 상기 제2덕트와 상기 제2필터와의 사이가 이격되도록 상기 제2덕트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배출유로 가이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마스크는 슬림 구조로 컴팩트한 팬 모듈을 포함하여 편안한 호흡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교체 가능한 전후면 필터를 포함하여 유지관리가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사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마스크의 면을 활용한 슬림 구조로 얼굴에 밀착될 수 있는 유연성을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필터 모듈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 는 도 1의 A-A' 의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흡입 유로와 배출 유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 는 도 4 의 B 부분의 확대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 및 실린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착용한 사용자를 나타내는 도면,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착용 상태의 사용자의 호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1)는 사용자(H, 도 6 참고)의 코와 입을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마스크(1)는 전방에 배치되는 제1필터(10)와, 제1필터(10) 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제2필터(20)와, 제1필터(10)와 제2필터(20) 사이에 배치되는 필터 모듈(100)을 포함할 수 있다.
마스크(1)는 제1필터(10)와 필터 모듈(100), 그리고 제2필터(20)가 전후 방향으로 서로 겹쳐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마스크(1)는 제1필터(10)와 필터 모듈(100), 그리고 제2필터(20)는 전후 방향으로 서로 적층되어 사용자(H)의 얼굴에 착용될 수 있다. 마스크(1)의 제1필터(10)와 필터 모듈(100) 그리고 제2필터(20)는 분리 가능하게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마스크(1)의 제1필터(10)와 필터 모듈(100) 그리고 제2필터(20)는 후술하는 결합부(800)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마스크(1)는 사용자(H)의 얼굴 전면에 착용되어 공기 속의 이물 및 미세먼지 등을 여과하고, 여과된 공기를 마스크(1) 내측의 사용자(H)에게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마스크(1)의 제1필터(10)와 제2필터(20)는 신축성을 갖는 원단으로 마련될 수 있다. 마스크(1)는 사용자(H)의 얼굴에 착용될 수 있도록 고정부(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23)는 제2필터(20)에 마련될 수 있다. 고정부(23)는 제2필터(20)의 양측에 연결되어 사용자(H)의 귀(미도시)에 걸림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고정부(23)는 끈 또는 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고정부(23)는 제2필터에 마련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고정부(23)는 제1필터 또는 필터 모듈에 마련될 수도 있다.
마스크(1)의 제1필터(10)와 필터 모듈(100)과 제2필터(20)는 사용자(H)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사용자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필터(10)는 사용자(H)의 코와 입 및 그 주변을 감싸 커버하도록 다양한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필터(10)는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필터(10)는 대략 직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있다. 제1필터(10)는 대략 직 사각형상의 제1필터면(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필터면(11)은 사용자의 코와 입 및 그 주변을 커버할 수 있도록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마련된다. 제1필터면(11)은 일측이 오목하고 타측은 볼록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2필터(20)는 사용자(H)의 코와 입 및 그 주변을 감싸 커버하도록 마련된다. 제2필터(20)는 신축성 있는 재질로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필터(20)는 제1필터(10)에 대응되는 크기의 제2필터면(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필터(20)는 제1필터(10)의 제1필터면(11)에 대응되는 크기의 제2필터면(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필터면(21)은 대략 직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필터면(21)은 사용자(H)의 코와 입 및 그 주변을 감싸 커버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2필터(20)의 고정부(23)는 제2필터면(21)의 좌우 양측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2필터(20)는 제2필터면(21)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밀착면(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필터(20)의 밀착면(22)은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사용자(H)의 코를 커버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2필터(20)의 밀착면(22)은 사용자(H)의 코에 밀착되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필터(20)는 공기 흡입을 위해 형성되는 흡입구(25)와 공기 배출을 위해 형성되는 배출구(2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필터면(21)에는 공기 흡입을 위해 형성되는 흡입구(25)와 공기 배출을 위해 형성되는 배출구(26)가 마련될 수 있다.
제2필터(20)는 사용자(H)의 얼굴에 밀착되어 외기를 흡입하도록 형성되는 흡입구(25)와 내기를 배출하도록 형성되는 배출구(26)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구(25)는 제2필터(20)의 일측에 배치되고 배출구(26)는 제2필터(20)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흡입구(25)와 배출구(26)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필터(20)의 흡입구(25)는 후술하는 필터 모듈(100)의 흡입 유로(201)에 연결될 수 있다. 제2필터(20)의 배출구(26)는 필터 모듈(100)의 배출 유로(301)에 연결될 수 있다.
마스크(1)의 필터 모듈(100)은 제1필터(10)와 제2필터(2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필터 모듈(100)은 제1필터(10)와 제2필터(20)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필터 모듈(100)은 제1필터면(11)과 제2필터면(21)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필터 모듈(100)은 대략 직 사각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필터 모듈(100)은 사용자(H)의 입과 코 및 그 주변을 커버하도록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필터 모듈(100)은 제1필터(10)의 후방에 위치되고 제2필터(20)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필터 모듈(100)은 전방에 위치한 제1필터(10)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가 흡입되도록 마련되는 흡입 유로(201)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 모듈(100)의 흡입 유로(201)는 제2필터(20)의 흡입구(25)에 대응되게 위치될 수 있다. 필터 모듈(100)은 후방에 위치한 제2필터(20)를 통해 배출되는 내기가 배출되도록 마련된 배출 유로(301)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 모듈(100)의 배출 유로(301)는 제2필터(20)의 배출구(26)에 대응되게 위치될 수 있다.
필터 모듈(100)은 필렉시블 필름(110)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 모듈(100)은 제1필터(10)와 제2필터(20)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의 필렉시블 필름(110)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 모듈(100)은 제1필터면(11)과 제2필터면(21)에 대응하도록 대략 직사각형상을 갖는 필렉시블 필름(110)을 포함할 수 있다.
필렉시블 필름(110)은 신축성 있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필렉시블 필름(110)은 사용자(H)의 코와 입 및 그 주변을 감싸 커버하도록 마련된다. 필렉시블 필름(110)은 사용자(H)의 얼굴에 밀착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필렉시블 필름(110)은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렉시블 필름(110)은 플렉시블 PBA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플렉시블 필름은 필름 상에 탑재되는 별도의 부품이 고정되거나 설치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플렉시블 필름(110)은 플렉시블 제어 PBA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렉시블 제어 PBA 에 다른 저항 등의 다른 회로 부품처럼 팬과 모터, 그리고 배터리 등이 탑재될 수 있다. 또는 플렉시블 모듈 자체가 유로 또는 팬소자 등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PBA 로 구현할 수도 있다.
필터 모듈(100)은 필렉시블 필름(110)에 마련되는 흡입 유로(201)와 배출 유로(301)를 포함 할 수 있다. 필렉시블 필름(110)에는 흡입 유로(201)를 형성하도록 제2필터(20)의 흡입구(25)에 대응되게 마련되는 흡기홀(120)과, 배출 유로(301)를 형성하도록 제2필터(20)의 배출구(26)에 대응되게 마련되는 배기홀(130)이 형성될 수 있다.
필터 모듈(100)을 형성하는 필렉시블 필름(110)은 제1필터(10)와 제2필터(20) 사이에 배치되고, 제1필터(10)와 제2필터(20) 사이로 공기가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필터(10)와 제2필터(20) 사이의 공기 이동은 흡입 유로(201)와 배출 유로(301)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필터(10)와 제2필터(20) 사이의 공기 이동은 필렉시블 필름(110)에 형성된 흡기홀(120)과 배기홀(130)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필터 모듈(100)은 필렉시블 필름(110)의 흡기홀(120)에 연결되는 흡입 유로(201)를 형성하기 위한 제1덕트(210)가 마련될 수 있다. 필터 모듈(100)은 필렉시블 필름(110)의 배기홀(130)에 연결되는 배출 유로(301)를 형성하기 위한 제2덕트(3100)가 마련될 수 있다. 제1덕트(210)에는 흡입 유로(201) 내에 위치되며, 외부의 공기가 제1필터(10)를 통과하여 흡입구(25)를 통해 제2필터(20)의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제1팬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덕트(3100)에는 배출 유로(301) 내에 위치되며, 배출구(26)를 통해 제2필터(20)의 내측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제2팬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 모듈(100)의 제1팬부(200)와 제2팬부(300)는 각각 흡입 유로(201)와 배출 유로(301) 상에 마련되어 흡기 및 배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자(H)의 호흡을 도울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필터 모듈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 는 도 1의 A-A' 의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흡입 유로와 배출 유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 는 도 4 의 B 부분의 확대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 및 실린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1)의 필터 모듈(100)은 제1필터(10)와 제2필터(2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필터 모듈(100)은 사용자(H)의 얼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신축성 있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필터 모듈(100)은 필렉시블 필름(110)에 마련되는 흡입 유로(201)와 배출 유로(301)를 포함 할 수 있다. 필렉시블 필름(110)에는 흡입 유로(201)를 형성하도록 제2필터(20)의 흡입구(25)에 대응되게 마련되는 흡기홀(120)과, 배출 유로(301)를 형성하도록 제2필터(20)의 배출구(26)에 대응되게 마련되는 배기홀(130)이 형성될 수 있다.
필터 모듈(100)은 흡입 유로(201)를 형성하기 위한 제1덕트(210)와 배출 유로(301)를 형성하기 위한 제2덕트(31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덕트(210)에는 흡입 유로(201) 내에 위치되며, 외부의 공기가 제1필터(10)를 통과하여 흡입구(25)를 통해 제2필터(20)의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제1팬부(200)가 마련될 수 있다.
제1덕트(210)는 대략 사각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덕트(210)는 내부에 흡입 유로(201)가 형성될 수 있도록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팬부(200)는 제1덕트(210) 내부에 배치되는 제1팬(220)과, 제1팬(220)을 구동시키는 제1모터(221), 그리고 제1팬(220)과 제1모터(221)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제1배터리(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팬(220)과 제1모터(221)는 제1덕트(210) 내부에 배치되고, 제1배터리(240)는 제1덕트(210)의 외측에서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팬(220)과 제1배터리(240)는 필렉시블 필름(110)의 전면에 나란하게 수평 배치되어 제1팬부(200)를 갖는 필터 모듈(100)의 부피 및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덕트는 제1팬과 제1모터가 내부에 배치되도록 사각 육면체 형상인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덕트는 원형 또는 다각형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덕트(210)에는 제1필터(10)을 통과한 공기가 필터 모듈(100)의 흡입 유로(201)로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흡입개구(21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흡입개구(211)는 제1덕트(210)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흡입개구(211)를 통해 흡입 유로(201)로 유입된 공기는 제1덕트(210)에 형성된 제2흡입개구(212)를 통해 흡기홀(120)로 이동된다. 제1덕트(210)의 제2흡입개구(212)는 제1덕트(210)의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흡입개구(212)는 필렉시블 필름(110)에 형성된 흡기홀(120) 측으로 공기가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덕트(210)의 제2흡입개구(212)와 흡기홀(120) 사이를 연결하는 덕트 가이드(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덕트 가이드(230)는 제1덕트(210)와 필렉시블 필름(110)에 형성된 흡기홀(120) 사이를 연결하여 흡입 유로(201)가 연결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필터 모듈(100)은 제1덕트(210)와 제1필터(10) 사이가 이격되어 플렉시블 필름(110)의 면과 제1필터(10)의 제1필터면(11) 사이에 유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흡입유로 가이드(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흡입유로 가이드(250)는 제1덕트(210)와 제1필터(10) 사이가 이격될 수 있도록 플렉시블 필름(110)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흡입유로 가이드(250)는 제1덕트(21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흡입유로 가이드(250)는 제1필터(10)를 통과한 공기가 흡입 유로(201)로 안내될 수 있도록 제1덕트(210)의 제1흡입개구(211) 주위에 형성될 수 있다.
제2덕트(3100)에는 배출 유로(301) 내에 위치되며, 배출구(26)를 통해 제2필터(20) 내측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제2팬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팬부(300)는 제2덕트(3100) 내부에 배치되는 제2팬(230)과, 제2팬(230)을 구동시키는 제2모터(321), 그리고 제2팬(230)과 제2모터(321)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제2배터리(3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팬(230)과 제2모터(321)는 제2덕트(3100) 내부에 배치되고, 제2배터리(340)는 제2덕트(3100)의 외측에서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팬(230)과 제2배터리(340)는 필렉시블 필름(110)의 전면에 나란하게 수평 배치되어 제2팬부(300)를 갖는 필터 모듈(100)의 부피 및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덕트는 제2팬과 제2모터가 내부에 배치되도록 사각 육면체 형상인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덕트는 원형 또는 다각형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덕트(3100)에는 제2필터(20)의 배출구(26)를 통해 공기가 필터 모듈(100)의 배출 유로(301)로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배출개구(31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배출개구(311)는 제2덕트(3100)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배출개구(311)는 플렉시블 필름(110)의 배기홀(130)에 대응되게 위치될 수 있다.
제1배출개구(311)를 통해 배출 유로(301)로 유입된 공기는 제2덕트(3100)에 형성된 제2배출개구(3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제2배출개구(312)는 제2덕트(3100)의 하방에 위치된다.
제2덕트(3100)의 제2배출개구(312)는 제2덕트(310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덕트의 제2배출개구는 제2덕트의 하방에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덕트의 제2배출개구, 즉 배출 유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는 흡입 유로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 모듈(100)은 제2덕트(3100)와 제2필터(20) 사이가 이격되어 플렉시블 필름(110)의 면과 제2필터(20)의 제2필터면(21) 사이에 유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배출유로 가이드(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출유로 가이드(350)는 필렉시블 필름(110)과 제2필터(20) 사이가 이격될 수 있도록 플렉시블 필름(110)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배출유로 가이드(350)는 배출 유로(301)를 형성하는 배기홀(13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배출유로 가이드(350)는 제2필터(20)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 유로(301)로 안내될 수 있도록 제2덕트(3100)의 제1배출개구(311) 주위에 형성될 수 있다.
제2필터(20) 내부의 공기는 제2필터(20)의 배출구(26)와 필렉시블 필름(110)에 형성된 배기홀(130)을 통해 배출 유로(301)로 유입되어 제2배출개구(312)로 배출될 수 있다.
필터 모듈(100)은 제1팬부(200)와 제2팬부(300)를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제어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 모듈(100)은 사용자(H)의 호흡 상태 인지를 위한 센서(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50)는 제어부(40)와 연결될 수 있다. 센서(50)는 제어부(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센서(50)와 제어부(40)는 필터 모듈(100)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50)와 제어부(40)는 연결부(6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센서(50)와 제어부(40)를 연결 가능하도록 필터 모듈(100)의 필렉시블 필름(110)에는 연통홀(111)이 형성될 수 있다.
필터 모듈(100)의 센서(50)는 기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50)는 사용자(H)의 들숨 또는 날숨 시의 마스크(1) 내의 압력의 고저 변화량(호흡차압)과 분당변화수(호흡수)를 통해 사용자의 호흡 상태를 인지할 수 있습니다.
필터 모듈(100)의 센서(50) 및 제어부(40)는, 사용자(H)의 흡입 호흡 시, 제1팬부(200)의 제1팬(220)을 구동시켜 편안한 호흡을 지원할 수 있다.
필터 모듈(100)의 센서(50) 및 제어부(40)는 사용자(H)의 날숨 호흡 시, 제2팬부(300)의 제2팬(230)을 구동시켜 마스크(1) 내의 호흡 산출물(CO2와 습기 등)을 배출시킬 수 있다.
필터 모듈(100)의 센서(50)는 필렉시블 필름(11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센서(50)는 필터 모듈(100)과 제2필터(2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센서는 플렉시블 필름의 후면과 제2필터의 전면에 위치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센서는 사용자의 호흡 상태를 체크하도록 마련되며, 플렉시블 필름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최적의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 모듈(100)의 제어부(40)는 필렉시블 필름(110)의 전면에 위치될 수 있다. 제어부(40)는 필터 모듈(100)과 제1필터(1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플렉시블 필름의 전면과 제1필터의 후면에 위치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마스크(1)는 필터 모듈(100)과 제1필터(10) 그리고 제2필터(20)를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결합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800)는 필터 모듈(100)과 제1필터(10) 사이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고, 필터 모듈(100)과 제2필터(20) 사이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결합부(800)는 플렉시블 필름(110)의 전면과 후면의 테두리를 따라 각각 마련되는 제1결합부(810)와, 제1결합부(810) 중 일측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제1필터(10)에 마련되는 제2결합부(820)와, 제1결합부(810) 중 타측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제2필터(20)에 마련되는 제3결합부(8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부(810)는 필렉시블 필름(110)의 테두리 최 외측에 배치되는 제1결합층(811)과, 제1결합층(811)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결합층(8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층(811)은 필렉시블 필름(110)의 최 외측 단부 둘레에 마련될 수 있다. 제2결합층(812)은 제1결합층(811)으로부터 내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결합층(811)과 제2결합층(812)은 필렉시블 필름(110)의 전면과 후면에 서로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결합층(811)과 제2결합층(812)은 벨크로 또는 접착제 또는 점착제 또는 후크 구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결합층과 제2결합층은 벨크로 인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결합층과 제2결합층은 분리 가능한 접착 또는 점착 테이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층(811)과 제2결합층(812)의 이단 구조는 결합부(800) 사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결합부(820)는 제1필터(10)의 후면 테두리에 마련될 수 있다. 제2결합부(820)는 제1결합부(810)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제2결합부(820)는 필터 모듈(100)의 제1결합부(810)에 대응되게 마련되어 제1필터(10)가 필터 모듈(10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제2결합부(820)는 제1결합층(811)과 제2결합층(812)에 각각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3결합부(830)는 제2필터(20)의 전면 테두리에 마련될 수 있다. 제3결합부(830)는 제1결합부(810)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제3결합부(830)는 필터 모듈(100)의 제1결합부(810)에 대응되게 마련되어 필터 모듈(100)이 제2필터(2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제3결합부(830)는 필터 모듈(100)의 제1결합층(811)과 제2결합층(812)에 각각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결합부(800)에 의해 필터 모듈(100)의 전후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필터(10)와 제2필터(20)는 일정 시간 사용으로 인해 오염이 발생했을 경우 필터 모듈(100)로부터 분리하여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다.
제1필터(10)와 제2필터(20)의 교체를 통해 보다 청결한 마스크(1)를 사용할 수 있다.
결합부(800)는 필터 모듈(100)과 제1필터(10) 사이, 그리고 필터 모듈(100)과 제2필터(20) 사이를 실링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실링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800)는 제1결합부(810)와 제2결합부(820) 그리고 제1결합부(810)와 제3결합부(830) 사이를 실링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실링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링부(900)는 필터 모듈(100)의 필렉시블 필름(110)과 제1필터(10) 사이를 실링하도록 마련된다. 실링부(900)는 필터 모듈(100)의 필렉시블 필름(110)과 제2필터(20) 사이를 실링하도록 마련된다.
실링부(900)는 제1결합부(810)의 제1결합층(811)과 제2결합층(812)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실링부(900)는 필렉시블 필름(110)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1실링(901)과 타측에 마련되는 제2실링(902)과, 제1실링(901)과 제2실링(902) 사이를 연결하는 실링 연결부(903)를 포함할 수 있다. 필렉시블 필름(110)에는 실링 연결부(903)가 설치되도록 필렉시블 필름(110)을 관통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필렉시블 필름(110)의 전후면에 각각 마련되는 제1실링(901)과 제2실링(902)은 각각 대응되는 제1필터(10)과 제2필터(20)에 접촉된다. 실링부(900)를 중심으로 상측과 하측으로 이중으로 락킹될 수 있어 결합부(800) 사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착용한 사용자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착용 상태의 사용자의 호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미 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5 를 참조한다.
도 6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1)는 사용자(H)의 얼굴에 밀착되어 코와 입 및 그 주변을 감싸 커버하도록 마련된다.
사용자(H)는 마스크(1)의 고정부(23)를 귀에 걸고 밀착면(22)을 코와 그 주변으로 밀착시켜 얼굴에 착용할 수 있다.
사용자(H)가 호흡 하여 공기를 흡입하면, 외부의 공기는 제1필터(10)를 통해 청정 되고, 이때 흡입 유로(201) 내의 제1팬(220)이 구동되어 들숨 시, 제1필터(10)의 필터 저항을 최소화하여 사용자에게 편안한 호흡을 지원할 수 있다.
필터 모듈(100)의 흡입 유로(201)로 유입된 공기는 덕트 가이드(230)에 의해 흡기홀(120)과 흡입구(25)를 통해 제2필터(20)의 내측으로 유입된다.
제1팬부(200)의 제1팬(220)은 제1필터(10)를 통과한 청정 공기가 제2필터(20) 내부로 들어오도록 하여 사용자가 청정 공기로 호흡할 수 있게 한다.
센서(50)는 사용자(H)의 호흡 상태를 체크 하여 들숨 및 날숨 시의 마스크(1) 내의 압력의 고저 변화량(호흡차압)과 분당변화수(호흡수)를 통해 사용자의 호흡 상태를 인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반적인 착석 근무 시 호흡차압은 약△40Pa전후, 호흡수는 약14회/분이며, 평지도보 시, 호흡차압은 약△80Pa전후, 호흡수는 약20회/분이고, 계단오름 시, 호흡차압은 약△120Pa이상, 호흡수는 약25회/분 이상이다.
센서(50)는 이러한 호흡 차압과 호흡수를 체크하여 사용자(H)의 호흡상태를 체크하여 제어부(40)를 통해 제1팬부(200)와 제2팬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1팬부(200)는 사용자(H)의 들숨 시 구동되어 사용자(H)의 호흡을 지원하고 제2팬부(300)는 사용자(H)의 날숨 시 구동되어 사용자(H)의 호흡을 지원할 수 있다.
필터 모듈(100)의 제1팬부(200)와 제2팬부(300)는 사용자(H)의 호흡 시 들숨(inlet)과 날숨(Outlet) 동시에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팬(230)을 통해 배출 유로(301)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지속적으로 배출될 수 있고, 제2배출개구(312)를 통해 마스크(1)의 하측으로 배출되므로, 제1필터(10)를 통해 비말 등이 직접적으로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마스크(1)의 제1필터(10)와 제2필터(20)는 필터 모듈(100)에 결합부(800)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일정 기간 또는 일정 횟수 사용으로 인한 오염 시 새로운 필터로 교체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해 그 실시예를 기술하였으나, 당업자라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 실시예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 변경 및 대체될 수 있다.
1 : 마스크 10 : 제1필터
20 : 제2필터 40 : 제어부
50 : 센서 100 : 필터 모듈
110 : 플렉시블 필름 120 : 흡기홀
130 : 배기홀 200 : 제1팬부
201 : 흡입 유로 210 : 제1덕트

Claims (20)

  1. 제1필터;
    상기 제1필터의 후방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고정부와, 공기 흡입을 위해 형성되는 흡입구와, 배출을 위해 형성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제2필터;
    상기 제1필터와 상기 제2필터 사이에 배치되고, 흡입유로와 배출유로가 마련되는 필터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 모듈은 상기 흡입유로 내에 위치되며, 외부의 공기가 상기 제1필터를 통과하여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제2필터의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제1팬부와, 상기 배출유로 내에 위치되며,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제2필터 내측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제2팬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모듈은,
    상기 흡입구에 대응하는 흡기홀과, 상기 배출구에 대응하는 배기홀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필름을 포함하는 마스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모듈은,
    상기 플렉시블 필름의 상기 흡기홀에 연결되고, 상기 흡입유로를 형성하도록 외기가 유입되는 제1흡입개구와, 상기 제1흡입개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제2흡입개구가 마련되는 제1덕트와,
    상기 플렉시블 필름의 상기 배기홀에 연결되고, 상기 배출유로를 형성하도록 내기가 배출되는 제1배출개구와, 상기 제1배출개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제2배출개구가 마련되는 제2덕트를 포함하는 마스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팬부는,
    상기 제1덕트 내부에 배치되는 제1팬과,
    상기 제1팬을 구동시키는 제1모터와,
    상기 제1팬과 상기 제1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제1배터리를 포함하는 마스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덕트는,
    상기 제2흡입개구와 상기 흡기홀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덕트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팬부는,
    상기 제2덕트 내부에 배치되는 제2팬과,
    상기 제2팬을 구동시키는 제2모터와,
    상기 제2팬과 상기 제2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제2배터리를 포함하는 마스크.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모듈은,
    상기 제1덕트와 상기 제1필터와의 사이가 이격되도록 상기 제1덕트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흡입유로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모듈은,
    상기 제2덕트와 상기 제2필터와의 사이가 이격되도록 상기 제2덕트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배출유로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터 또는 상기 제2필터는 상기 필터 모듈로부터 분리 가능한 마스크.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터 또는 상기 제2필터를 상기 필터 모듈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하도록 마련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플렉시블 필름의 전면과 후면의 테두리를 따라 마련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플렉시블 필름의 일측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1필터의 후면에 대응되게 마련되는 제2결합부와,
    상기 플렉시블 필름의 다른 일측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2필터의 전면에 대응되게 마련되는 제3결합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3결합부 사이를 실링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플렉시블 필름의 테두리에 마련되는 제1결합층과,
    상기 제1결합층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마련되는 제2결합층을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제1결합층과 상기 제2결합층 사이에 위치되는 마스크.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모듈은,
    상기 제1팬부와 상기 제2팬부를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호흡 상태 인지를 위한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마스크.
  16. 제1필터와,
    상기 제1필터의 후방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고정부와, 공기 흡입을 위해 형성되는 흡입구와, 배출을 위해 형성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제2필터와,
    상기 제1필터와 상기 제2필터 사이에 배치되며, 흡입 유로와 배출 유로가 마련되는 필터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 모듈은,
    상기 흡입구에 대응하도록 흡기홀과, 상기 배출구에 대응하는 배기홀이 형성되는 플렉시블 필름과,
    상기 흡입유로 내에 위치되며, 외부의 공기가 상기 제1필터를 통과하여 상기 흡입홀을 통해 상기 제2필터의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제1팬부와,
    상기 배출유로 내에 위치되며, 상기 배기홀을 통해 상기 제2필터 내측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제2팬부와,
    상기 제1필터 및 상기 제2필터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모듈은,
    상기 흡기홀에 연결되고, 상기 흡입유로를 형성하도록 외기가 유입되는 제1흡입개구와, 상기 제1흡입개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제2흡입개구가 마련되는 제1덕트와,
    상기 배기홀에 연결되고, 상기 배출유로를 형성하도록 내기가 배출되는 제1배출개구와, 상기 제1배출개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제2배출개구가 마련되는 제2덕트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덕트는,
    상기 제2흡입개구와 상기 흡기홀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덕트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모듈은,
    상기 제1덕트와 상기 제1필터와의 사이가 이격되도록 상기 제1덕트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흡입유로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모듈은,
    상기 제2덕트와 상기 제2필터와의 사이가 이격되도록 상기 제2덕트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배출유로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
KR1020210047865A 2021-04-13 2021-04-13 마스크 KR2022014157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865A KR20220141577A (ko) 2021-04-13 2021-04-13 마스크
PCT/KR2022/004160 WO2022220434A1 (ko) 2021-04-13 2022-03-24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865A KR20220141577A (ko) 2021-04-13 2021-04-13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1577A true KR20220141577A (ko) 2022-10-20

Family

ID=83639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7865A KR20220141577A (ko) 2021-04-13 2021-04-13 마스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141577A (ko)
WO (1) WO2022220434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7285291U (zh) * 2017-09-20 2018-05-01 深圳吾迪科技有限公司 电动送风式口罩
KR102029105B1 (ko) * 2017-12-05 2019-10-07 주식회사 오투코리아 인큐베이팅 마스크
KR20200032887A (ko) * 2018-09-19 2020-03-27 (주)레피오 미세먼지 방지용 이중마스크
KR102080754B1 (ko) * 2019-01-10 2020-04-24 주식회사 리움 송풍 및 필터링 방식의 재사용 가능 마스크
EP3846913B1 (en) * 2019-07-22 2022-05-18 Koninklijke Philips N.V. A face mas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20434A1 (ko) 2022-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33883B2 (ja) Papr用フルフェイスマスク
KR101568648B1 (ko) 오염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
US20210308496A1 (en) Respiratory mask
KR20150052143A (ko) 개인용 호흡기 보호 장치를 위한 전동식 배기 장치
TW201347804A (zh) 改良呼吸裝置
KR101797071B1 (ko) 웨어러블 공기청정 마스크
TWI552784B (zh) 具過濾匣的鼻罩式呼吸防護具
JP2015012896A (ja) マスク用パッドおよびマスク
CN108741302A (zh) 防护口罩
CN110613878B (zh) 一种呼吸急危重症用隔离装置
KR100519464B1 (ko) 흡배수단 다용도 마스크
KR20220141577A (ko) 마스크
KR102663281B1 (ko) 마스크 장치
EP0018805A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exhaled breath
KR200280765Y1 (ko) 방진 및 방독용 마스크
CN213247068U (zh) 一种防护口罩结构
CN116940401A (zh) 口罩装置
US20210370105A1 (en) Air inhalation and exhalation filtering mask
US20210220679A1 (en) Filter-type respiratory protective device
KR200490349Y1 (ko) 풀 페이스 마스크
TWI632935B (zh) 面罩
KR20210136299A (ko) 실용성을 향상시킨 마스크
KR20040062697A (ko) 마스크
CN211835870U (zh) 一种制药用防护口罩
CN214854497U (zh) 一种人体呼吸用气体高洁净低阻力过滤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