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1451A - Mask - Google Patents

Mas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1451A
KR20220141451A KR1020210047596A KR20210047596A KR20220141451A KR 20220141451 A KR20220141451 A KR 20220141451A KR 1020210047596 A KR1020210047596 A KR 1020210047596A KR 20210047596 A KR20210047596 A KR 20210047596A KR 20220141451 A KR20220141451 A KR 20220141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nose
separation filter
mouth
human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75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이성
Original Assignee
정이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이성 filed Critical 정이성
Priority to KR1020210047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1451A/en
Publication of KR20220141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145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A mask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the mask that adheres to the human face, is characterized in comprising: an upper side part that forms an outer appearance; a lower side part that forms the outer appearance while being disposed below the upper side part; a concave part having a shape depr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between the upper side part and the lower side part; and a separation filter for partitioning between the nose and mouth of the human face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upper side part. And, the separation filter is characterized in having a round shape so as to be adhered with the human fac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having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effectively block the entry of germs.

Description

마스크{Mask}mask {Mask}

본 발명은 황사, 미세먼지 및 각종 병균 등을 막기 위하여 입과 코를 가힐 수 있는 마스크에 대한 것으로서, 사람의 코 부분과 입 부분 사이를 분리 또는 구분시킬 수 있는 분리 필터가 형성되고, 분리 필터에 의해 코에 의한 호흡과 입에 의한 호흡이 각각 원활히 이루어져 착용시에 불편함도 크게 줄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sk that can cover the mouth and nose in order to prevent yellow dust, fine dust and various germs, and a separation filter capable of separating or separating a person's nose and mouth parts is formed, and the separation filt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breathing through the nose and breathing through the mouth are made smoothly respectively, so that discomfort during wearing can be greatly reduced.

과거와 달리 현대인들은 각종 유해가스, 황사, 미세먼지 등에 의해 호흡기 건강을 위협받고 있다. 이는 산업화 시대에 들어서면서 인류가 겪고 있는 현상이며, 산업의 발전과 도시의 편익이 발달함에 따라 그에 비례하여 대기 오염은 더욱 심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Unlike in the past, modern people are threatened with respiratory health by various harmful gases, yellow dust, and fine dust. This is a phenomenon that mankind is experiencing in the era of industrialization, and air pollution is intensifying in proportion with the development of industry and the benefits of cities.

이러한 대기오염의 원인은 사막의 모래 폭풍, 화산 분화 등 자연적인 것과 공장의 폐가스, 연료의 연소 등 인위적인 것으로 나뉜다.The causes of air pollution are divided into natural, such as desert sandstorms and volcanic eruptions, and artificial, such as waste gas from factories and combustion of fuel.

통상 자연적인 오염물질은 자연의 생리에 의해 발생되는 것이고 일시적으로 발생되므로 인간의 호흡기 건강에 지속적인 큰 위협이 되지는 않는다. 다만, 인위적인 오염물질은 연료의 연소, 원자력을 이용한 핵에너지의 발생, 화학반응, 물리적 공정 및 자동차·항공기 등에서 배출되는데, 가장 주된 원인은 연료의 연소 시 발생하는 여러 오염물질이고, 인간의 호흡기 건강에 지속적인 악영향을 주고 있다.In general, natural pollutants are generated by the physiology of nature and are temporary, so they do not pose a constant threat to human respiratory health. However, artificial pollutants are emitted from fuel combustion, nuclear energy generation using nuclear energy, chemical reactions, physical processes, and automobiles and aircraft, etc. The main cause is various pollutants generated during fuel combustion, and human respiratory health has a lasting adverse effect on

이 중 일산화탄소(CO)와 이산화질소(NO2), 아황산가스(SO2) 등이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 특히 이산화황(SO2)의 경우 다른 대기오염물질과 반응하여 추가적인 2차 오염물질을 만들어낸다. 대기오염물질은 입자 크기에 따라 아황산가스나 일산화탄소 등 가스상 물질과 분진 등의 입자상 물질로 구분할 수 있다.Among them, carbon monoxide (CO), nitrogen dioxide (NO 2 ), sulfur dioxide (SO 2 ), and the like occupy a high proportion. In particular, sulfur dioxide (SO 2 ) reacts with other air pollutants to create additional secondary pollutants. Air pollutants can be classified into gaseous substances such as sulfur dioxide and carbon monoxide and particulate substances such as dust according to particle size.

또한, 황사, 먼지바람, 꽃가루, 공기 중 세균, 산불, 화산폭발 등도 대기오염의 주원인이며 인간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In addition, yellow dust, dust wind, pollen, airborne bacteria, wildfires, volcanic eruptions, etc. are major causes of air pollution and threaten human health.

또한, 건설현장, 청소현장, 특정물 제조 공장, 도색공장, 병원등의 공기오염은 더욱 심각한 상황이다. In addition, air pollution in construction sites, cleaning sites, specific manufacturing plants, painting plants, hospitals, etc. is a more serious situation.

특히, 현대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미세먼지는 여러 가지 복합성분을 가진 대기 중 부유 물질로서, 직경 10㎛이하의 입자상 물질을 말하는 것으로, 주로 석탄, 석유 등의 화석연료가 연소될 때 발생되며, 특히 제조공장이나 자동차 등의 배출가스에서 다량이 발생되는 대기오염물질이다. In particular, fine dust, which has a great influence on modern society, is a suspended matter in the atmosphere with various complex components, and refers to particulate matter with a diameter of 10 μm or less. It is mainly generated when fossil fuels such as coal and petroleum are burned. In particular, it is an air pollutant that is generated in large amounts from exhaust gases such as manufacturing plants and automobiles.

이러한 미세먼지는 주로 연소입자인 탄소, 유기탄화수소, 질산염, 황산염, 유해금속 성분으로 구성되며, 호흡기및 심혈관계질환의 발생과 관련이 있고 사망률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Such fine dust is mainly composed of combustion particles such as carbon, organic hydrocarbons, nitrates, sulfates, and toxic metals, and is known to be related to the occurrence of respiratory and cardiovascular diseases and to increase mortality.

그리고, 코로나19, 독감 등과 같은 감염병으로 인해 보건위생을 위하여 마스크를 항상 착용하여야 하는 요즘, 호흡에 불편함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And, due to infectious diseases such as Corona 19 and the flu, there is a lot of discomfort in breathing these days, where a mask must always be worn for health and hygiene.

최근, 코로나19가 세계적으로 유행하여 생활에서의 마스크의 착용이 일상화되고 있다. 로나19는 독감과 유사하게 발열(약 37.5도) 및 기침이나 호흡곤란 등 호흡기 증상, 폐렴이 주된 증상으로 나타난다. 일부 환자에게서는 근육통과 피로감, 설사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코로나19는 감염에 의한 호흡기 증후군으로 잠복기를 가지며, 마스크는 코와 입을 막음으로써 감염병을 예방하는 데 큰 도움이 되고 있다. 이러한 마스크는 국내공개특허 제2020-0118776호 등과 같이 다양한 구조 및 방식으로 제안되고 있다.Recently, as Corona 19 is prevalent around the world, wearing a mask in everyday life has become commonplace. Similar to the flu, the main symptoms of COVID-19 are fever (about 37.5 degrees), respiratory symptoms such as cough or shortness of breath, and pneumonia. Some patients may experience muscle pain, fatigue, and diarrhea. Corona 19 is a respiratory syndrome caused by infection and has an incubation period, and masks are of great help in preventing infectious diseases by covering the nose and mouth. Such a mask has been proposed in various structures and methods, such as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20-0118776.

그런데, 학교, 교회, 회사 등과 같이 많은 사람이 모이는 장소에서는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로 생활을 하고 있다. 상기 장소에 들어가기 위하여, 입구에서 발열체크를 하고 있지만 상기 발열체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그 장소에서 예측하지 못한 코로나19의 전파가 되는 경우, 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기 어렵다. 사람들이 집합하여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로 생활하는 장소에서 코로나19의 증상을 실시간으로 알 수 있어야, 진단을 통하여 코로나19의 감염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코와 입을 막음으로써 감염병을 예방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감염 증상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마스크가 필요한 실정이다.However, in places where a large number of people gather, such as schools, churches, and companies, people are living while wearing masks. In order to enter the place, a temperature check is performed at the entrance, but if the temperature check is not performed properly, or if there is an unexpected spread of Corona 19 in the place, it is difficult to confirm it in real time. It is necessary to know the symptoms of COVID-19 in real time in a place where people gather and live while wearing masks, so that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y are infected with COVID-19 through diagnosis.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mask capable of not only preventing infectious diseases by blocking the nose and mouth, but also checking the symptoms of infection in real time.

본 발명은 입과 코 사이의 분리 필터 구성에 의해, 세균 유입을 효과적으로 막으면서도 호흡이 편안한 마스크를 제안하고자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mask that is comfortable to breathe while effectively preventing the inflow of bacteria by a separation filter between the mouth and the nose.

본 실시예의 마스크는, 인체 얼굴에 밀착되는 마스크로서, 외형을 형성하는 상측부와, 상기 상측부 아래에 배치되면서, 상기 외형을 형성하는 하측부와, 상기 상측부와 하측부 사이에서 소정 깊이 함몰된 형상의 오목부와, 상기 상측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인체 얼굴의 코와 입 사이를 구획하기 위한 분리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mask of this embodiment, as a mask in close contact with the human face, has an upper portion forming an outer shape, a lower portion forming the outer shape while being disposed under the upper portion, and a predetermined depth recessed between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cave portion in the shape of a hood, and a separation filter for partitioning between the nose and the mouth of the human fac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그리고, 상기 분리 필터는 상기 인체 얼굴에 밀착되도록 라운드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separation filt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rounded shape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human face.

또한, 본 실시예의 마스크는, 인체의 코에 밀착되는 마스크로서, 상기 인체의 코를 덮도록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인체 얼굴면을 따라 밀착될 수 있도록 라운드 형성된 분리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mask of this embodiment is a mask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nose of the human body, and has a body portion forming an outer shape to cover the nose of the human body, and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e of the human bod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paration filter formed.

그리고, 상기 분리 필터는 상기 본체부 하단에서 인체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separation filt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human body from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에 의해서, 입과 코 각각의 호흡이 편안해지면서 세균의 유입 역시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mas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effectively blocking the inflow of bacteria while comfortable breathing through the mouth and nose.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 to 2 ar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as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6 ar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ask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by themselve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herei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t is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도 1 내지 도 3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 to 3 ar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as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 1 실시예의 마스크는, 외형을 형성하는 상측부(110)와, 하측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부(110)와 하측부(120) 사이에는 소정 깊이 함몰된 형상의 오목부(130)가 형성된다. 1 to 3 , the mask of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n upper part 110 and a lower part 120 forming an outer shape, and between the upper part 110 and the lower part 120 , A concave portion 130 having a shape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그리고, 마스크의 내측면에는 상기 상측부(110)와 하측부(120) 사이의 위치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코와 입 사이를 공간적으로 분리시켜 호흡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분리 필터(140)가 구비된다. In addi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sk, a separation filter 140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part 110 and the lower part 120 to spatially separate the user's nose and mouth to facilitate breathing. do.

마스크를 구성하는 상측부, 하측부 및 분리 필터는 모두 세균 유입이나, 미세먼지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소재와 재질로 이루어지고, 사용자의 귀에 걸리는 귀걸이 부분은 상기 하측부(120)에 연결된다. The upper part, the lower part, and the separation filter constituting the mask are all made of materials and materials that can prevent the inflow of bacteria or fine dust, and the earring part hanging on the user's ear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120 .

특히, 상기 분리 필터(140)는 사용자의 입과 코를 통한 호흡이 원활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측부(110)와 하측부(120) 사이의 위치에서 중앙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인체 얼굴에 밀접하도록 라운드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In particular, the separation filter 140 is to facilitate breathing through the user's mouth and nose, and as shown in FIGS. 2 and 3 , between the upper part 110 and the lower part 120 , It has a rounded shape so as to be close to the human face as it goes from the center to the outside in the position.

일반적인 마스크의 경우, 입과 코 사이의 공간이 구획되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입과 코의 호흡이 서로 혼합되는데 오히려 이러한 호흡이 불편함을 초래한다. 만약, 코로 들숨을 취하고, 입으로 날숨을 취하는 사람이거나 반대로 입으로 들숨을 취하고, 코로 날숨을 취하는 사람이라면, 본 실시예의 마스크를 이용할 경우, 편한 호흡을 유지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a general mask, since the space between the mouth and the nose is not partitioned, the breathing of the mouth and the nose is mixed with each other, and rather such breathing causes discomfort. If a person takes inhalation through the nose and exhales through the mouth or, conversely, a person who takes inhalation through the mouth and exhales through the nose, when using the mask of the present embodiment, comfortable breathing can be maintained.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4 to 6 ar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ask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마스크의 경우, 적어도 코로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면서 식사를 하거나 음료를 섭취할 수 있도록 한다. In the case of the mask shown in Figs. 4 to 6, at least, it is possible to eat or drink while preventing bacteria or viruses from entering the nose.

이를 위해, 제 2 실시예의 마스크는, 인체 코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면서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부(210)와, 상기 본체부(210)에 결합된 귀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210)의 내측면에는 인체 얼굴면을 따라 밀착될 수 있도록 라운드 형성된 분리 필터(240)가 구성된다. To this end, the mask of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body part 210 that forms an external shape while being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human nose, and an earring part coupled to the body part 210 , and includes an inner part of the body part 210 . On the side surface, a round-formed separation filter 240 is configure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e of the human body.

상기 분리 필터(240)는 상기 본체부(210) 하단에서 인체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그 단부가 얼굴 곡면을 따라 밀착될 수 있도록 굴곡된 형상을 갖게 된다. The separation filter 240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210 toward the human body, and has a curved shape so that the end thereof can be closely attached along the curved surface of the face.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specific matter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ese are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devi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se description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not only the claims described below, but also all modifications equivalently or equivalently to the claims described below belong to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do it

Claims (4)

인체 얼굴에 밀착되는 마스크로서, 외형을 형성하는 상측부와, 상기 상측부 아래에 배치되면서, 상기 외형을 형성하는 하측부와, 상기 상측부와 하측부 사이에서 소정 깊이 함몰된 형상의 오목부와, 상기 상측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인체 얼굴의 코와 입 사이를 구획하기 위한 분리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A mask in close contact with the human face, comprising an upper portion forming an outer shape, a lower portion forming the outer shape while disposed under the upper portion, and a concave portion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between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 The mask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paration filter for partitioning between the nose and mouth of the human fac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pa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필터는 상기 인체 얼굴에 밀착되도록 라운드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The mask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paration filter has a rounded shape to closely adhere to the human face. 인체의 코에 밀착되는 마스크로서, 상기 인체의 코를 덮도록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인체 얼굴면을 따라 밀착될 수 있도록 라운드 형성된 분리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A mask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nose of the human body,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body portion forming an outer shape to cover the nose of the human body; mask made with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필터는 상기 본체부 하단에서 인체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The mask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separation filter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toward the human body.
KR1020210047596A 2021-04-13 2021-04-13 Mask KR2022014145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596A KR20220141451A (en) 2021-04-13 2021-04-13 Mas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596A KR20220141451A (en) 2021-04-13 2021-04-13 Mas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1451A true KR20220141451A (en) 2022-10-20

Family

ID=83805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7596A KR20220141451A (en) 2021-04-13 2021-04-13 Mas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145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81669B2 (en) Smart mask capable of monitoring air quality inhaled by users
Khayan et al. Active carbon respiratory masks as the adsorbent of toxic gases in ambient air
KR20190021971A (en) Smart mask
Phalen The particulate air pollution controversy: A case study and lessons learned
KR20220114502A (en) A full face mask to block fine dust
McNeill Airborne transmission of SARS-CoV-2: evidence and implications for engineering controls
KR20220141451A (en) Mask
Kleinman The health effects of air pollution on children
Shaikh et al. Impact of novel COVID-19 lockdown on global environment
KR20210065511A (en) Respiratory mask
Jones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PPE): practical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s
Harmata et al. Rules for fitting filtering gas masks
KR20130093055A (en) Mask for purification air pollution
KR20230118300A (en) Mask having a detachable integral module
Raysoni et al. Health impacts of traffic related air pollution
Herndon True science for government leaders and educators: Obama’s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corruption
Moelyaningrum et al. Ventilation in school and students’ health after outbreak of COVID-19: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KR20130095234A (en) Mask for purification air pollution
KR102474285B1 (en) A face close-fitting mask through suction
Lebowitz Noncarcinogenic respiratory disease
Sri et al. Air Pollution: A mini review
Arora et al. Positive Impact On Environmental And Climatic Changes During Covid
CN207575575U (en) A kind of more filter box chemistry gas masks being conveniently replaceable
Fokazi Time series analysis and forecasting of air pollution particulate matter (PM2. 5) in the Govan Mbeki district, Mpumalanga Province
CN208726575U (en) A kind of breathing mas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