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1174A - Rotation unit of quick coupler and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with this - Google Patents
Rotation unit of quick coupler and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with thi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41174A KR20220141174A KR1020210047401A KR20210047401A KR20220141174A KR 20220141174 A KR20220141174 A KR 20220141174A KR 1020210047401 A KR1020210047401 A KR 1020210047401A KR 20210047401 A KR20210047401 A KR 20210047401A KR 20220141174 A KR20220141174 A KR 2022014117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movable
- safety
- fixed
- hook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5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9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687 lubricating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61 lubr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18—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with two separating hook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63—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hydraulically-operated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77—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allowing movement, e.g. rotation or translation, of the tool around or along another axis as the movement implied by the boom or arms, e.g. for tilting buckets
- E02F3/3681—Rot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hove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중장비용 퀵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결유닛을 기준으로 탈착유닛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때, 연결유닛과 탈착유닛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하고,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퀵커플러의 회전유닛과 이것이 구비된 중장비용 퀵커플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and more specifically, when the detachable unit is rotatably coupled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unit, the gap between the connecting unit and the detachable unit is minimized and the strength of the quick coupler is improved. It relates to a rotation unit and a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equipped with the same.
일반적으로, 굴삭기 등의 건설, 토목용 중장비에서는 브레이커, 버킷, 크러셔 등의 작업기구를 이용하여 땅을 파거나 땅에서 파낸 흙을 처리하거나 암석 등을 파쇄하는 등의 작업을 행하게 되며, 이들 작업기구들은 작업의 내용에 따라 교체하여 사용하게 된다.In general, in heavy equipment for construction and civil engineering such as excavators, work such as digging the ground, processing soil excavated from the ground, crushing rocks, etc. using work tools such as breaker, bucket, crusher, etc. are performed, and these work tools They are used interchangeably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work.
종래에 작업기구를 결합하기 위한 장치는, 굴삭기의 암대 선단에 한 쌍의 결합핀으로 커플러가 결합되고, 커플러 일측에는 고정훅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가동훅이 회동 가능케 결합되며, 가동훅은 커플러 내에 장착된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고정훅 및 가동훅에는 작업기구의 상측에 형성된 고정핀이 삽입되어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In the conventional device for coupling a work tool, a coupler is coupled with a pair of coupling pins to the tip of the arm of an excavator, a fixed hook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upler and a movable hook is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upler, and the movable hook is in the coupler. It is configured to be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mounted cylinder. And a fixed pin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work mechanism is inserted into the fixed hook and the movable hook so as to be coupled.
따라서, 암대의 선단에 결합된 커플러를 작업기구의 상측에 근접시킨 다음, 고정훅에는 고정핀을 삽입시키고, 타측의 가동훅에는 다른 고정핀을 결합시키게 되는데, 가동훅은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개폐 작동되어 내부에 고정핀이 결합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coupler coupled to the tip of the arm is brought close to the upper side of the work tool, and then a fixed pin is inserted into the fixed hook, and another fixed pin is coupled to the other movable hook, which is opened and closed by the operation of the cylinder. It is operated and the fixing pin is coupled to the inside.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회전식 퀵커플러의 경우, 웜기어를 이용한 회전 방식에서 원활한 회전을 위해 볼베어링이 삽입되는데, 회전식 퀵커플러에 하중이 작용하면, 볼베어링이 쉽게 파손됨에 따라 잦은 고장이 발생하였고, 이에 따라 유지보수에 대한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다.However, in the case of a rotary quick coupl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 ball bearing is inserted for smooth rotation in a rotation method using a worm gear. It took a lot of money and time for maintenance.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회전식 퀵커플러는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사용 가능한 어태치먼트의 종류에 한계가 있었다.In addition, the rotary quick coupl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limit in the type of attachment that can be used because the strength is weak.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회전식 퀵커플러의 높이는 고정식 퀵커플러의 높이보다 크고, 종래 기술에 따른 회전식 퀵커플러의 무게는 고정식 퀵커플러의 무게보다 무겁다.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rotary quick coupl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fixed quick coupler, and the weight of the rotary quick coupl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heavier than the weight of the fixed quick coupler.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연결유닛을 기준으로 탈착유닛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때, 연결유닛과 탈착유닛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하고,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퀵커플러의 회전유닛과 이것이 구비된 중장비용 퀵커플러를 제공함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when the detachable unit is rotatably coupled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unit, the distance between the connecting unit and the detachable unit is minimized, and the rotation of the quick coupler to improve the strength To provide a unit and a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equipped with the same.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퀵커플러의 회전유닛은 중장비의 암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유닛을 기준으로 어태치먼트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탈착유닛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퀵커플러의 회전유닛이고, 상기 회전유닛은, 상기 연결유닛에 결합되는 링 형상의 링가이드; 상기 탈착유닛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링가이드에 회전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링기어; 상기 링기어의 내부에 구비되고, 내접공간부가 형성되는 지지캐리어; 및 상기 내접공간부에서 상기 링기어에 내접하여 치합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내접기어;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unit of the quick coup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tachable unit in which an attachment is detachably coupled based on a connection unit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arm of heavy equipment. A rotation unit of a quick coupler for rotatably coupling, the rotation unit comprising: a ring-shaped ring guide coupled to the connection unit; a ring gear rotatably fitted to the ring guide in a state coupled to the detachable unit; a support carrier provided inside the ring gear and having an inscribed space formed therein; and an internal gear rotatably coupled to the connection unit in a state in which the ring gear is inscribed and meshed with the ring gear in the internal space portion.
여기서, 상기 내접기어는, 상기 내접공간부에서 정방향으로 유압이 작용함에 따라 정회전 가능하고, 상기 내접공간부에서 역방향으로 유압이 작용함에 따라 역회전 가능하다.Here, the internal gear can rotate forward as hydraulic pressure acts in the forward direction in the internal space, and reverse rotation as hydraulic pressure acts in the reverse direction in the internal space.
여기서, 상기 링가이드에는, 상기 탈착유닛 쪽에서 내부로 가이드지지턱;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링기어에는, 상기 가이드지지턱과 중첩되도록 상기 연결유닛 쪽에서 외측 가장자리에 기어지지턱;이 돌출 형성된다.Here, the ring guide has a guide support jaw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detachable unit to the inside, and the ring gear has a gear support jaw protruding from the outer edge of the connection unit side so as to overlap the guide support jaw.
여기서, 상기 회전유닛은, 링 형상을 나타내어 상기 링가이드와 상기 탈착유닛 사이를 회전 가능하게 밀폐시키는 제1밀폐링; 링 형상을 나타내어 상기 링가이드와 상기 링기어 사이를 회전 가능하게 밀폐시키는 제2밀폐링; 및 링 형상을 나타내어 상기 링기어와 상기 연결유닛 사이를 회전 가능하게 밀폐시키는 제3밀폐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Here, the rotating unit may include a first sealing ring having a ring shape to rotatably seal between the ring guide and the detachable unit; a second sealing ring having a ring shape to rotatably seal between the ring guide and the ring gear; and a third sealing ring having a ring shape to rotatably seal between the ring gear and the connection unit. It further comprises at least any one of.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용 퀵커플러는 중장비의 암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유닛; 상기 중장비에 연결되는 어태치먼트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연결유닛과 마주보도록 이격 배치되는 탈착블럭과, 상기 탈착블럭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어태치먼트에 구비된 제1핀의 걸림 결합 여부를 선택하는 가동후크와, 상기 탈착블럭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어태치먼트에서 상기 제1핀과 이격 배치된 제2핀이 걸림 결합되는 고정후크를 포함하는 탈착유닛; 유압의 작용에 따라 상기 탈착블럭에서 상기 가동후크를 정역 회전시키는 후크구동유닛; 및 상기 연결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탈착유닛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전유닛;을 포함한다.A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ion unit detachably coupled to the arm of the heavy equipment; Doedoe detachably coupled with the attachment connected to the heavy equipment, and a detachable block disposed to face the connection unit and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detachable block to determine whether the first pin provided in the attachment is engaged or not a detachable unit including a movable hook to be selected and a fixed hook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detachable block to engage the second pi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in in the attachment; a hook driving unit which rotates the movable hook forward and reverse in the detachable block according to the action of hydraulic pressure; and a rotation unit rotatably coupled to the detachable unit based on the connection unit.
여기서, 상기 회전유닛은, 본 발명에 따른 퀵커플러의 회전유닛을 포함한다.Here, the rotation unit includes a rotation unit of the quick coup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퀵커플러의 회전유닛과 이것이 구비된 중장비용 퀵커플러에 따르면, 연결유닛을 기준으로 탈착유닛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때, 연결유닛과 탈착유닛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하고,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rotation unit of the quick coup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provided therewith, when the detachable unit is rotatably coupled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unit, the gap between the connecting unit and the detachable unit is minimized, and the strength is improved can do it
이때, 암대와 퀵커플러와 어태치먼트 사이의 결합을 명확하게 하고, 상호 탈부착을 가능하게 하여 암대를 기준으로 어태치먼트의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다.At this time, by clarifying the coupling between the arm and the quick coupler and the attachment, and enabling mutual attachment and detachment,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diversity of the attachment based on the arm.
여기서, 본 발명은 내접기어 방식으로 회전유닛을 구성하므로, 연결유닛과 탈착유닛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시키면서 탈착유닛을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Here,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s the rotation unit in an internal gear method, it is possible to smoothly rotate the detachment unit while minimizing the gap between the connection unit and the detachment unit.
여기서, 본 발명은 회전유닛의 구동 방식을 통해 내접기어가 유체에 의해 직접 회전되므로, 회전유닛의 동작을 위한 공간을 최소화하고, 연결유닛을 기준으로 탈착유닛의 회전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Her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ternal gear is directly rotated by the fluid through the driving method of the rotation unit,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space for the operation of the rotation unit and to stabilize the rotation of the detachment unit based on the connection unit.
여기서, 본 발명은 링가이드와 링기어의 결합 구조를 통해 링기어의 회전을 자유롭게 하는 한편, 탈착유닛에 작용하는 하중을 안정되게 지탱하여 연결유닛과 탈착유닛의 결합 관계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Here,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rotation of the ring gear freely through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ring guide and the ring gear, while stably supporting the load acting on the detachment unit, thereby clarify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connecting unit and the detaching unit.
여기서, 본 발명은 안전유닛을 통해 가동후크에 작용하는 유압이 해제되더라도 탄성력 또는 유압이 작용하는 안전유닛이 가동후크를 지지하므로, 가동후크가 제1핀을 안정되게 걸림 지지하도록 하고, 아이들 상태에서 고정후크에 제2핀이 삽입되는 경우, 탄성력 또는 유압이 작용하는 안전유닛에 의해 고정후크에서 제2핀의 걸림 결합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본 발명은 안전유닛을 통한 자동락킹 기능과 이중락킹 기능을 동시에 구현하여 퀵커플러와 어태치먼트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어태치먼트의 분리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Here,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hydraulic pressure acting on the movable hook is released through the safety unit, the safety unit to which the elastic force or hydraulic pressure acts supports the movable hook, so that the movable hook stably catches and supports the first pin, and in the idle state When the second pin is inserted into the fixing hook, it is possible to stably maintain the engaging state of the second pin in the fixing hook by the safety unit to which elastic force or hydraulic pressure is applied. 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quick coupler and the attachment by simultaneously implementing the automatic locking function and the double locking function through the safety unit, and prevent a safety accident due to the separation of the attachment.
여기서, 본 발명은 안전유닛을 통해 작업자의 실수를 원천 차단하여 작업자의 조작 미숙에도 불구하고 퀵커플러와 어태치먼트의 결합을 안정되게 유지시키고,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Her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a worker's mistake at the source through the safety unit, thereby stably maintaining the coupling of the quick coupler and the attachment despite the operator's inexperienced operation, and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좀더 자세하게, 작업자의 조작 미숙에도 불구하고, 제1핀은 가동후크에 안정되게 걸림 결합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고, 제2핀은 고정후크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more detail, in spite of the inexperienced operation of the operator, the first pin can be stably maintained to be engaged with the movable hook, and the second pin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xed hook.
여기서, 본 발명은 가동안전유닛의 제1세부 구성으로 탄성력과 유압을 구분하므로, 유압이 해제되더라도 탄성력에 의해 가동안전블럭이 가동후크를 안정되게 가압하도록 하고, 유압이 작용할 때만, 가동후크와 제1핀의 걸림 결합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Here, since the present invention distinguishes elastic force and hydraulic pressure by the first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movable safety unit, the movable safety block stably presses the movable hook by the elastic force even when the hydraulic pressure is released, and only when the hydraulic pressure acts, the movable hook and the second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by releasing the jammed coupling of pin 1.
이때, 탄성력과 유압의 동작이 구분되므로, 제1핀이 가동후크에 걸림 결합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operation of the elastic force and the hydraulic pressure are separated,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pin is engaged with the movable hook can be stably maintained.
여기서, 본 발명은 가동안전유닛의 제2세부 구성으로 유압만이 작용하므로, 유압의 작용 상태를 명확하게 하고, 유압에 의해 가동안전블럭이 가동후크를 가압하는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고, 유압에 의해 가동후크와 제1핀의 걸림 결합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Her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only hydraulic pressure acts as the second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movable safety unit, the operating state of the hydraulic pressure can be made clear, and it is possible to select whether the movable safety block presses the movable hook by the hydraulic pressure, and by hydraulic pressure A safety accident can be prevented by releasing the engagement between the movable hook and the first pin.
이때, 유압의 동작만으로도 제1핀이 가동후크에 걸림 결합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stably maintain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pin is engaged with the movable hook only by the operation of the hydraulic pressure.
이때, 가동안전블럭의 결합 관계를 통해 가동안전블럭의 왕복 이동 또는 회전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clarify the reciprocal movement or rotation of the movable safety block through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movable safety block.
여기서, 본 발명은 가동안전유닛에 가동로드가 포함되므로, 가동안전블럭의 움직임을 명확하게 하고, 가동안전블럭이 가동후크를 안정되게 가압할 수 있다.Here,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vable rod in the movable safety unit, the movement of the movable safety block can be made clear, and the movable safety block can stably press the movable hook.
여기서, 본 발명은 가동안전구동부와 가동로드의 결합 관계를 통해 가동안전구동부와 가동로드가 연계된 움직임을 명확하게 하고, 가동안전구동부에서 유체의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Here, the present invention can clarify the movement in which the movable safety drive unit and the movable rod are linked through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movable safety drive unit and the movable rod, and facilitate the discharge of the fluid from the movable safety drive unit.
여기서, 본 발명은 가동안전유닛에 안전홈부가 포함되므로, 가동안전블럭이 가동후크를 가압할 때, 가동후크의 회전을 더욱 안정되게 저지할 수 있다.Here,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afety groove in the movable safety unit, when the movable safety block presses the movable hook, the rotation of the movable hook can be prevented more stably.
여기서, 본 발명은 고정안전유닛의 제1세부 구성으로 탄성력과 유압을 구분하므로, 유압이 해제되더라도 탄성력에 의해 고정안전블럭이 고정후크의 입구에 돌출되도록 하여 고정후크의 입구를 안정되게 폐쇄할 수 있고, 유압이 작용할 때만, 고정후크와 제2핀의 걸림 결합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Here, since the present invention distinguishes elastic force and hydraulic pressure with the first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fixed safety unit, even if the hydraulic pressure is released, the fixed safety block protrudes from the inlet of the fixed hook by the elastic force, thereby stably closing the inlet of the fixed hook And, only when hydraulic pressure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release the engagement between the fixing hook and the second pin, thereby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이때, 탄성력과 유압의 동작이 구분되므로, 제2핀이 고정후크에 걸림 결합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operation of the elastic force and the hydraulic pressure are separated, the state in which the second pin is engaged with the fixing hook can be stably maintained.
여기서, 본 발명은 고정안전유닛의 제2세부 구성으로 유압만이 작용하므로, 유압의 작용 상태를 명확하게 하고, 유압에 의해 고정안전블럭이 고정후크의 입구에 돌출되도록 하여 고정후크의 입구를 안정되게 폐쇄할 수 있고, 유압에 의해 고정후크와 제2핀의 걸림 결합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Her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only hydraulic pressure acts as the second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fixed safety unit, the operating state of the hydraulic pressure is clarified, and the fixed safety block protrudes from the inlet of the fixed hook by hydraulic pressure to stabilize the inlet of the fixed hook. It can be closed so as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by releasing the engagement between the fixing hook and the second pin by hydraulic pressure.
이때, 유압의 동작만으로도 제2핀이 고정후크에 걸림 결합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stably mainta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pin is engaged with the fixing hook only by the operation of the hydraulic pressure.
이때, 고정안전블럭의 결합 관계를 통해 고정안전블럭의 회전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otation of the fixed safety block can be made clear through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fixed safety block.
여기서, 본 발명은 고정안전유닛에 고정로드가 포함되므로, 고정안전블럭의 움직임을 명확하게 하고, 고정안전블럭이 고정후크의 입구를 안정되게 폐쇄할 수 있다.Here,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ed rod in the fixed safety unit, the movement of the fixed safety block can be made clear, and the fixed safety block can stably close the entrance of the fixed hook.
여기서, 본 발명은 고정안전구동부와 고정로드의 결합 관계를 통해 고정안전구동부와 고정로드가 연계된 움직임을 명확하게 하고, 고정안전구동부에서 유체의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Here, the present invention can clarify the movement in which the fixed safety drive unit and the fixed rod are linked through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fixed safety driving unit and the fixed rod, and facilitate the discharge of the fluid from the fixed safety driving unit.
여기서, 본 발명은 후크구동유닛의 세부 구성을 통해 가동후크를 회전시킬 때, 가동후크는 물론 후크구동유닛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하고, 후크구동유닛에 작용하는 유압이 가동후크에 안정되게 전달되도록 한다.Here,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free movement of the movable hook as well as the hook driving unit when rotating the movable hook through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hook driving unit, and the hydraulic pressure acting on the hook driving unit is stably transmitted to the movable hook.
여기서, 본 발명은 브레이크유닛의 부가 구성을 통해 회전유닛의 정지 동작을 명확하게 하고, 링기어가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Here, the present invention can clarify the stop operation of the rotation unit through the additional configuration of the brake unit, and prevent the ring gear from being rotated arbitrarily.
여기서, 본 발명은 브레이크유닛의 세부 구성을 통해 중장비에서 제공하는 유압을 이용하여 링기어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He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otation of the ring gear can be prevented by using hydraulic pressure provided by heavy equipment through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brake unit.
여기서, 본 발명은 유압분배헤더를 통해 중장비에 구비되는 유압공급모듈에서 공급되는 유체를 각각의 유닛들에 안정되게 분배하여 각 유닛들의 동작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He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luid supplied from the hydraulic supply module provided in the heavy equipment through the hydraulic distribution header can be stably distributed to each unit to clarify the operation of each unit.
이때, 유압분배헤더의 세부 구성을 통해 후크구동유닛과, 회전유닛과, 가동안전유닛과, 고정안전유닛에 각각 전달되는 유체를 명확하게 하고, 각 유닛들을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하게 할 있다. 또한, 후크구동유닛과 연계하여 가동안전유닛과 고정안전유닛의 동작을 제어하고, 제1핀과 제2핀의 걸림 결합 여부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rough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hydraulic distribution header, it is possible to clarify the fluid delivered to the hook driving unit, the rotation unit, the movable safety unit, and the fixed safety unit, and to individually control each uni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ovable safety unit and the fixed safety unit in connection with the hook driving unit, and make it clear whether the first pin and the second pin are engaged.
여기서, 본 발명은 유압전달블럭을 통해 중장비에 구비되는 유압공급모듈과, 탈착유닛에 구비되는 후크구동유닛 및 가동안전유닛과 고정안전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안전유닛 사이에서 유체를 안정되게 이동시킬 수 있고, 회전유닛의 동작이 유체의 이동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He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able fluid between a hydraulic supply module provided in heavy equipment through a hydraulic pressure transmission block, a hook driving unit provided in a detachable unit, and a safety unit including at least one of a movable safety unit and a fixed safety unit. It can move,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peration of the rotation unit from interfering with the movement of the fluid.
이때, 유압전달블럭에 형성되는 유압버퍼부를 통해 유체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과도한 유압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유압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prevent excessive hydraulic pressure from being transmitted while the fluid is moved through the hydraulic buffer unit formed in the hydraulic pressure transmission block, and to stabilize the hydraulic pressure.
이때, 유압전달블럭에 형성되는 블럭끼움부를 통해 연결유닛과 탈착유닛의 결합에 대응하여 제1전달블럭과 제2전달블럭의 탈부착 결합을 원활하게 하고, 제1전달블럭과 제2전달블럭 사이에서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rough the block fitting formed in the hydraulic transmission block, in response to the coupling of the connection unit and the detachable unit,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first transmission block and the second transmission block are facilitated, and between the first transmission block and the second transmission block. Fluid leakage can be prevented.
이때, 유압전달블럭에 형성되는 전달유로의 구조를 통해 유체의 이동을 명확하게 하고, 회전유닛의 동작에 대응하여 유체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clarify the movement of the fluid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transmission flow path formed in the hydraulic transmission block, and prevent the fluid from leaking to the outside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of the rotation uni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퀵커플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퀵커플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퀵커플러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퀵커플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퀵커플러에서 회전유닛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퀵커플러에서 회전유닛을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퀵커플러에서 회전유닛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퀵커플러에서 브레이크유닛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퀵커플러에서 가동안전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퀵커플러에서 고정안전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퀵커플러에서 탈착유닛과 어태치먼트가 결합되었을 때, 가동안전유닛과 고정안전유닛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퀵커플러에서 탈착유닛과 어태치먼트가 결합되었을 때, 가동안전유닛과 고정안전유닛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퀵커플러에서 탈착유닛과 어태치먼트가 결합되었을 때, 가동안전유닛과 고정안전유닛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퀵커플러에서 탈착유닛으로부터 어태치먼트를 분리할 때, 가동안전유닛과 고정안전유닛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퀵커플러에서 탈착유닛으로부터 어태치먼트를 분리할 때, 가동안전유닛과 고정안전유닛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퀵커플러에서 탈착유닛으로부터 어태치먼트를 분리할 때, 가동안전유닛과 고정안전유닛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퀵커플러에서 후크구동유닛과, 회전유닛과, 브레이크유닛과, 가동안전유닛과, 고정안전유닛에 공급되는 유체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계통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퀵커플러에서 후크구동유닛과, 회전유닛과, 브레이크유닛과, 가동안전유닛과, 고정안전유닛에 공급되는 유체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계통도의 변형예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showing a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ottom view showing a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tation unit in a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rotation unit in the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upling state of the rotation unit in the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upling state of the brake unit in the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vable safety unit in a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ed safety unit in a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bottom view illustrat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movable safety unit and the fixed safety unit when the detachable unit and the attachment are combined in the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movable safety unit and the fixed safety unit when the detachable unit and the attachment are combined in the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movable safety unit and the fixed safety unit when the detachable unit and the attachment are combined in the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movable safety unit and the fixed safety unit when separating the attachment from the detachable unit in the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movable safety unit and the fixed safety unit when the attachment is separated from the detachable unit in the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movable safety unit and the fixed safety unit when separating the attachment from the detachable unit in the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flow of fluid supplied to a hook driving unit, a rotation unit, a brake unit, a movable safety unit, and a fixed safety unit in a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flow of fluid supplied to a hook driving unit, a rotation unit, a brake unit, a movable safety unit, and a fixed safety unit in a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Yes.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용 퀵커플러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t this tim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xample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be omitted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퀵커플러는 중장비의 암대에 어태치먼트를 결합하기 위한 부품이다.A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rt for coupling the attachment to the arm of the heavy equipment.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퀵커플러는 연결유닛(10)과, 탈착유닛(20)과, 후크구동유닛(30)과, 회전유닛(40)을 포함하고, 안전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1 to 18 , a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중장비의 암대에서 단부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퀵커플러의 연결유닛(10)과의 탈부착 결합을 위한 제1결합홀부와 제2결합홀부가 상호 이격된 상태로 이격 배치된다.At the end of the arm of the heavy equipment, the first coupling hole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hole portion for detachable coupling with the
어태치먼트는 암대의 단부에 결합되어 관련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부품이다. 어태치먼트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퀵커플러의 탈착유닛(20)과의 탈부착 결합을 위한 제1핀(P1)과 제2핀(P2)이 상호 이격된 상태로 이격 배치된다.The attachment is a part for performing related work by being coupled to the end of the arm. In the attachment, a first pin (P1) and a second pin (P2) for detachable coupling with the
연결유닛(10)은 중장비의 암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연결유닛(10)은 암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블럭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블럭은 탈착유닛(20)과 마주보도록 이격 배치되는 연결플레이트(11)와, 연결플레이트(11)에 돌출 형성되는 연결브라켓(12)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브라켓(12)은 한 쌍이 상호 마주보도록 이격되어 연결플레이트(11)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브라켓(12)에는 암대와의 결합을 위한 제1연결홀부와 제2연결홀부가 상호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다.The
연결플레이트(11)에는 후술하는 내접공간부(431)에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입력포트와, 후술하는 내접공간부(431)의 유체가 배출되기 위한 출력포트가 구비될 수 있다.The
연결플레이트(11)에는 후술하는 유압전달블럭(90)이 결합되기 위한 연결결합홀부가 구비될 수 있다.The
연결유닛(10)은 암대에 구비된 제1결합홀부와 제1연결홀부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연결핀(13)과, 암대에 구비된 제2결합홀부와 연결블럭에 구비된 제2연결홀부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2연결핀(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핀(13)과 제2연결핀(14)의 결합 관계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The connecting
탈착유닛(20)은 중장비에 연결되는 어태치먼트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탈착유닛(20)은 연결유닛(10)과 마주보도록 이격 배치되는 탈착블럭과, 탈착블럭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어태치먼트에 구비된 제1핀(P1)의 걸림 결합 여부를 선택하는 가동후크(24)와, 탈착블럭의 타측에 구비되어 어태치먼트에서 제1핀(P1)과 이격 배치된 제2핀(P2)이 걸림 결합되는 고정후크(25)를 포함할 수 있다. 탈착블럭은 연결유닛(10)의 연결플레이트(11)와 마주보도록 이격 배치되는 탈착플레이트(21)와, 탈착플레이트(21)에 돌출 형성되는 탈착브라켓(22)을 포함할 수 있다. 탈착브라켓(22)은 한 쌍이 상호 마주보도록 이격되어 탈착플레이트(21)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탈착블럭의 일측에서 탈착플레이트(21)에는 가동후크(24)가 가동축부(241)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탈착블럭의 타측에서 탈착브라켓(22)에는 고정후크(25)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탈착플레이트(21)에는 후술하는 유압전달블럭(90)이 결합되기 위한 탈착결합홀부가 구비될 수 있다.The
탈착유닛(20)은 탈착블럭의 일측에서 탈착브라켓(22)에 구비되어 제1핀(P1)이 안착되는 가동지지부(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가동후크(24)가 가동지지부(23)를 향해 회전하는 경우, 제1핀(P1)은 가동지지부(23)에 안착된 상태에서 가동후크(24)에 걸림 결합하게 된다. 또한, 가동후크(24)가 가동지지부(23)로부터 이격되도록 회전하는 경우, 제1핀(P1)은 가동지지부(23)와 가동후크(24) 사이에서 이탈이 가능하다.The
후크구동유닛(30)은 유압의 작용에 따라 탈착블럭에서 가동후크(24)를 정역 회전시킨다.The
후크구동유닛(30)은 실린더축부(311)를 매개로 탈착유닛(20)에서 고정후크(2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크실린더(31)와, 가동축부(241)에서 이격되어 가동후크(2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피스톤축부(321)를 매개로 후크실린더(31)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크피스톤(3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후크실린더(31)에 정방향으로 유압이 작용하는 경우, 가동후크(24)의 정방향 회전에 따라 제1핀(P1)이 가동후크(24)에 걸림 결합되고, 후크실린더(31)에 역방향으로 유압이 작용하는 경우, 가동후크(24)의 역방향 회전에 따라 제1핀(P1)이 가동후크(24)에서 걸림 결합이 해제되도록 한다.The
후크실린더(31)의 일측에는 후크구동주입부가 구비되고, 후크실린더(31)의 타측에는 후크구동배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크구동주입부에 유체가 공급되고 후크구동배출부에서 유체가 배출되면, 후크실린더(31)에 정방향으로 유압이 작용하게 된다. 또한, 후크구동배출부에 유체가 공급되고 후크구동주입부에서 유체가 배출되면, 후크실린더(31)에 역방향으로 유압이 작용하게 된다.A hook driving injection unit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회전유닛(40)은 연결유닛(10)을 기준으로 탈착유닛(20)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킨다.The
회전유닛(40)은 연결유닛(10)의 연결플레이트(11)에 결합되는 링 형상의 링가이드(41)와, 탈착유닛(20)의 탈착플레이트(21)에 결합된 상태에서 링가이드(41)에 회전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링기어(42)와, 링기어(42)의 내부에 구비되고 내접공간부(431)가 형성되는 지지캐리어(43)와, 내접공간부(431)에서 링기어(42)에 내접하여 치합된 상태에서 연결유닛(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내접기어(44)를 포함할 수 있다.The
링가이드(41)에는 탈착유닛(20) 쪽에서 내부로 가이드지지턱(411)이 돌출 형성되고, 링기어(42)에는 가이드지지턱(411)과 중첩되도록 연결유닛(10) 쪽에서 외측 가장자리에 기어지지턱(421)이 돌출 형성되므로, 어태치먼트의 하중을 안정되게 지탱하면서, 링가이드(41)를 기준으로 링기어(42)의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가이드지지턱(411)과 기어지지턱(4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링 형상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링가이드(41)의 외주면에는 링가이드(41)와 링기어(42) 사이에 윤활유를 주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윤활주입부(412)가 구비되므로, 링가이드(41)와 링기어(42) 사이에 윤활유를 주입하여 링가이드(41)를 기준으로 링기어(42)의 회전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At least one
지지캐리어(43)에서 내접공간부(431)는 내접기어(44)의 개수에 대응하여 둘 이상이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링기어(42)를 향해 개구된다. 링기어(42)의 회전 중심에 대응하여 지지캐리어(43)의 중심 부분에는 유압전달블럭(90)이 결합되는 캐리어결합홀부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In the
지지캐리어(43)는 후술하는 유압전달블럭(90)을 매개로 연결유닛(10)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캐리어(43)는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통해 링기어(42)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The
내접기어(44)는 각각의 내접공간부(431)에 배치되고, 기어결합부(441)를 매개로 연결유닛(10)의 연결플레이트(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내접기어(44)는 내접공간부(431)에서 정방향으로 유압이 작용함에 따라 정회전이 가능하고, 내접공간부(431)에서 역방향으로 유압이 작용함에 따라 역회전이 가능하다. 다른 표현으로, 도 17과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접공간부(431)의 일측과 연통되는 입력포트를 통해 공급된 유체가 내접기어(44)를 거쳐 내접공간부(431)의 타측과 연통되는 출력포트를 통해 배출됨에 따라 내접기어(44)와 링기어(42)는 정회전이 가능하다. 또한, 반대로 내접공간부(431)의 타측과 연통되는 출력포트를 통해 공급된 유체가 내접기어(44)를 거쳐 내접공간부(431)의 일측과 연통되는 입력포트를 통해 배출됨에 따라 내접기어(44)와 링기어(42)는 역회전이 가능하다.The
여기서, 입력포트와 출력포트는 쌍을 이루어 각각의 내접공간부(431)와 연통된다. 입력포트와 출력포트는 각각 링기어(42)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내접기어(44)의 축을 연결하는 가상의 원과 링기어(42)의 내주면을 연결하는 가상의 원 사이에 배치되므로, 내접기어(44)에 유압이 안정되게 전달되도록 한다.Here, the input port and the output port form a pair and communicate with each of the inscribed
또한, 입력포트는 링기어(42)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내접기어(44)를 바라볼 때, 내접기어(44)의 일측으로 이격 배치되고, 출력포트는 링기어(42)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내접기어(44)를 바라볼 때, 내접기어(44)의 타측으로 이격 배치되므로, 내접기어(44)에 유압이 안정되게 전달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input port is spaced apart from one side of the
회전유닛(40)은 제1밀폐링(45)과 제2밀폐링(46)과 제3밀폐링(47)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제1밀폐링(45)은 링 형상을 나타내어 링가이드(41)와 탈착유닛(20) 사이를 회전 가능하게 밀폐시키므로, 링가이드(41)와 탈착유닛(20) 사이로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밀폐링(45)은 미끄럼베어링 기능을 구현하므로, 회전유닛(40)의 높이를 최소화시키고, 링가이드(41)를 기준으로 탈착유닛(20)의 탈착플레이트(21)의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Since the
제2밀폐링(46)은 링 형상을 나타내어 링가이드(41)와 링기어(42) 사이를 회전 가능하게 밀폐시키므로, 링가이드(41)와 링기어(42) 사이로 주입되는 윤활유가 가이드지지턱(411)과 링기어(42) 사이 또는 기어지지턱(421)과 링가이드(41) 사이에 안정되게 정체되도록 한다. 또한, 제2밀폐링(46)은 미끄럼베어링 기능을 구현하므로, 회전유닛(40)의 높이를 최소화시키고, 링가이드(41)를 기준으로 링기어(42)의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Since the
제3밀폐링(47)은 링 형상을 나타내어 링기어(42)와 연결유닛(10) 사이를 회전 가능하게 밀폐시키므로, 링기어(42)와 연결유닛(10) 사이로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3밀폐링(47)은 미끄럼베어링 기능을 구현하므로, 회전유닛(40)의 높이를 최소화시키고, 연결유닛(10)의 연결플레이트(11)를 기준으로 링기어(42)의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Since the
또한, 상술한 제1밀폐링(45)과 제2밀폐링(46)과 제3밀폐링(47)은 각각 쿼드링 구조를 나타내므로, 일반 오링보다 밀폐력을 향상시키고, 완충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안전유닛은 어태치먼트가 탈착유닛(20)에 결합될 때, 제1핀(P1)과 제2핀(P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걸림 결합 상태를 유지시킨다. 안전유닛은 가동안전유닛(60)과 고정안전유닛(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safety unit maintains the engaging stat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pin (P1) and the second pin (P2) when the attachment is coupled to the detachable unit (20). The safety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가동안전유닛(60)은 제1핀(P1)이 가동후크(24)에 걸림 결합될 때, 가동후크(24)를 지지하여 가동후크(24)에서 제1핀(P1)의 걸림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킨다.The
가동안전유닛(60)은 복합 가동 방식과, 유압 가동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The
복합 가동 방식에 있어서, 가동안전유닛(60)은 가동후크(24)에서 이격되어 탈착유닛(20)에 결합되는 가동지지브라켓(62)과, 탈착유닛(20)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탈착유닛(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안전블럭(64)과, 가동안전블럭(64)이 가동후크(24)를 가압하도록 탈착유닛(20) 또는 가동지지브라켓(62)을 기준으로 가동안전블럭(64)을 탄성 가압하는 가동탄성부재(65)와, 가동안전블럭(64)이 가동후크(24)에서 이격되도록 후크구동유닛(30)과 연계하여 가동지지브라켓(62)을 기준으로 가동안전블럭(64)을 이동시키는 가동안전구동부(66)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complex operation method, the
그러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안전구동부(66)에 유압이 작용하면, 가동탄성부재(65)의 탄성력에도 불구하고 가동안전블럭(64)이 가동후크(24)에서 이격되어 제1핀(P1)과 가동후크(24) 사이의 걸림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가동안전구동부(66)에 작용하는 유압이 해제되면, 가동탄성부재(65)의 탄성력에 의해 가동안전블럭(64)이 초기 위치로 이동하므로, 가동안전블럭(64)이 가동후크(24)를 지지할 수 있고, 가동안전블럭(64)이 가동후크(24)를 가압하여 제1핀(P1)이 가동후크(24)에 걸림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n, when hydraulic pressure is applied to the movable
가동안전블럭(64)의 왕복 이동에 대응하여 탈착유닛(20)과 가동안전블럭(64) 중 어느 하나에는 가동슬라이더(641)가 돌출 형성되고, 탈착유닛(20)과 가동안전블럭(64) 중 다른 하나에는 가동슬라이더(641)가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안내홈부(642)가 함몰 형성되므로, 탈착유닛(20)을 기준으로 가동안전블럭(64)의 왕복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In response to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도시되지 않았지만, 가동안전블럭(64)의 회전에 대응하여 가동안전블럭(64)은 가동안전축부(미도시)를 매개로 탈착유닛(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탈착유닛(20)을 기준으로 가동안전블럭(64)의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가동안전구동부(66)는 가동지지브라켓(62)에 결합되는 가동실린더와, 가동실린더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유압의 작용에 따라 가동실린더에서 왕복 이동되는 가동피스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동실린더는 가동지지브라켓(62)에 구비되고, 가동안전블럭(64)과 가동안전구동부(66)의 가동피스톤의 결합 상태를 한정하지 않는다.The movable
가동안전유닛(60)은 가동안전구동부(66)에 의해 가동지지브라켓(62)에서 왕복 이동되는 가동로드(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이에 따라, 가동안전구동부(66)에 유압이 작용하면, 가동탄성부재(65)의 탄성력에도 불구하고 가동로드(63)가 가동안전블럭(64)을 가동후크(24)로부터 이격시키고, 가동안전구동부(66)에 작용하는 유압이 해제되면, 가동탄성부재(65)의 탄성력에 의해 가동안전블럭(64)이 초기 위치로 이동하므로, 가동안전블럭(64)이 가동후크(24)를 지지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hydraulic pressure acts on the movable
가동로드(63)는 한 쌍이 상호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가동안전구동부(66)는 한 쌍이 상호 이격 배치되어 한 쌍의 가동로드(63)를 각각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가동안전구동부(66)는 한 쌍의 가동로드(63) 사이에 배치되어 한 쌍의 가동로드(63)를 동시에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A pair of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동안전블럭(64)은 가동로드(63)의 단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가동안전블럭(64)은 가동로드(63)의 단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가동로드(63)의 단부와 결합되지 않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가동안전유닛(60)은 가동피스톤과 가동로드(63)를 연결시키는 가동연결부재(6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동로드(63)와 가동피스톤은 평행하게 배치되고, 가동연결부재(67)를 통해 상호 결합되므로, 가동피스톤과 가동로드(63)는 상호 동일하게 왕복 이동된다.The
유압 가동 방식에 있어서, 가동안전유닛(60)은 가동후크(24)에서 이격되어 탈착유닛(20)에 결합되는 가동지지브라켓(62)과, 탈착유닛(20)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탈착유닛(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안전블럭(64)과, 가동안전블럭(64)이 가동후크(24)를 가압하거나 가동안전블럭(64)이 가동후크(24)에서 이격되도록 후크구동유닛(30)과 연계하여 가동지지브라켓(62)을 기준으로 가동안전블럭(64)을 이동시키는 가동안전구동부(66)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hydraulic operation method, the
그러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안전구동부(66)에 정방향으로 유압이 작용하면, 가동안전블럭(64)이 가동후크(24)에서 이격되어 제1핀(P1)과 가동후크(24) 사이의 걸림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가동안전구동부(66)에 역방향으로 유압이 작용하면, 가동안전블럭(64)이 초기 위치로 이동하므로, 가동안전블럭(64)이 가동후크(24)를 지지할 수 있고, 가동안전블럭(64)이 가동후크(24)를 가압하여 제1핀(P1)이 가동후크(24)에 걸림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n, as shown in FIG. 18, when hydraulic pressure is applied to the movable
가동안전블럭(64)의 왕복 이동에 대응하여 탈착유닛(20)과 가동안전블럭(64) 중 어느 하나에는 가동슬라이더(641)가 돌출 형성되고, 탈착유닛(20)과 가동안전블럭(64) 중 다른 하나에는 가동슬라이더(641)가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안내홈부(642)가 함몰 형성되므로, 탈착유닛(20)을 기준으로 가동안전블럭(64)의 왕복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In response to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도시되지 않았지만, 가동안전블럭(64)의 회전에 대응하여 가동안전블럭(64)은 가동안전축부(미도시)를 매개로 탈착유닛(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탈착유닛(20)을 기준으로 가동안전블럭(64)의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가동안전구동부(66)는 가동지지브라켓(62)에 결합되는 가동실린더와, 가동실린더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유압의 작용에 따라 가동실린더에서 왕복 이동되는 가동피스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동실린더는 가동지지브라켓(62)에 구비되고, 가동안전블럭(64)과 가동안전구동부(66)의 가동피스톤의 결합 상태를 한정하지 않는다.The movable
가동안전유닛(60)은 가동안전구동부(66)에 의해 가동지지브라켓(62)에서 왕복 이동되는 가동로드(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이에 따라, 가동안전구동부(66)에 정방향으로 유압이 작용하면, 가동로드(63)가 가동안전블럭(64)을 가동후크(24)로부터 이격시키므로, 제1핀(P1)과 가동후크(24) 사이의 걸림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가동안전구동부(66)에 역방향으로 유압이 작용하면, 가동로드(63)가 가동안전블럭(64)을 초기 위치로 이동시키므로, 가동안전블럭(64)이 가동후크(24)를 지지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hydraulic pressure is applied to the movable
가동로드(63)는 한 쌍이 상호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가동안전구동부(66)는 한 쌍이 상호 이격 배치되어 한 쌍의 가동로드(63)를 각각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가동안전구동부(66)는 한 쌍의 가동로드(63) 사이에 배치되어 한 쌍의 가동로드(63)를 동시에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A pair of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동안전블럭(64)은 가동로드(63)의 단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가동안전블럭(64)은 가동로드(63)의 단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가동로드(63)의 단부와 결합되지 않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가동안전유닛(60)은 가동피스톤과 가동로드(63)를 연결시키는 가동연결부재(6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동로드(63)와 가동피스톤은 평행하게 배치되고, 가동연결부재(67)를 통해 상호 결합되므로, 가동피스톤과 가동로드(63)는 상호 동일하게 왕복 이동된다.The
상술한 가동안전유닛(60)은 가동후크(24)에 함몰 형성되는 안전홈부(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동안전블럭(64)은 가동안전구동부(66)의 동작과 연계하여 안전홈부(61)에 삽탈 가능하다.The above-described
안전홈부(61)는 가동축부(241)와 피스톤축부 사이에서 가동후크(24)에 함몰 형성되므로, 가동안전블럭(64)이 안전홈부(61)에 삽입되면, 가동후크(24)에 임의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가동후크(24)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고, 제1핀(P1)과 가동후크(24)의 걸림 결합이 헤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동안전블럭(64)이 안전홈부(61)에서 이탈되면, 가동후크(24)의 회전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Since the
고정안전유닛(70)은 제2핀(P2)이 고정후크(25)에 걸림 결합될 때, 제2핀(P2)을 지지하여 고정후크(25)에서 제2핀(P2)의 걸림 결합 상태를 유지시킨다.The fixed
고정안전유닛(70)은 복합 고정 방식과, 유압 고정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The fixed
복합 고정 방식에 있어서, 고정안전유닛(70)은 고정후크(25)에서 이격되어 탈착유닛(20)에 결합되는 고정지지브라켓(71)과, 탈착유닛(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안전블럭(74)과, 고정안전블럭(74)이 고정후크(25)의 입구를 폐쇄하도록 탈착유닛(20) 또는 고정지지브라켓(71)을 기준으로 고정안전블럭(74)을 탄성 가압하는 고정탄성부재(73)와, 고정안전블럭(74)이 고정후크(25)의 입구를 개방하도록 후크구동유닛(30)과 연계하여 고정지지브라켓(71)을 기준으로 고정안전블럭(74)을 이동시키는 고정안전구동부(7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후크(25)에는 고정안전블럭(74)이 삽입 가능한 안전블럭홈부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In the composite fixing method, the fixed
그러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안전구동부(75)에 유압이 작용하면, 고정탄성부재(73)의 탄성력에도 불구하고 고정안전블럭(74)이 정회전되어 고정후크(25)의 입구가 개방되므로, 고정후크(25)에서 제2핀(P2)을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안전구동부(75)에 작용하는 유압이 해제되면, 고정탄성부재(73)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안전블럭(74)이 역회전되어 고정후크(25)의 입구가 폐쇄되므로, 제2핀(P2)은 고정후크(25)에 걸림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고정후크(25)에서 분리된 제2핀(P2)은 고정안전블럭(74)을 회전시키면서 고정후크(25)에 걸림 결합될 수 있다. 하지만, 고정후크(25)에 걸림 결합된 제2핀(P2)은 임의로 고정후크(25)에서 분리되지 않는다.Then, as shown in FIG. 17 , when hydraulic pressure is applied to the fixed
고정안전블럭(74)은 고정안전구동부(75)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탈착유닛(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고정안전블럭(74)의 회전에 대응하여 고정안전블럭(74)은 고정안전축부(741)를 매개로 탈착유닛(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fixed
이때, 고정탄성부재(73)는 고정안전구동부(75)와 마주보는 부분에서 고정안전블럭(74)을 탄성 가압할 수 있다. 또한, 고정탄성부재(73)는 고정지지브라켓(71)을 기준으로 고정안전블럭(74)을 잡아당기도록 고정지지브라켓(71)을 기준으로 고정안전블럭(74)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xed
고정안전구동부(75)는 고정지지브라켓(71)에 결합되는 고정실린더와, 고정실린더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유압의 작용에 따라 고정실린더에서 왕복 이동되는 고정피스톤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피스톤에는 고정안전블럭(74)에 걸림 지지되는 피스톤지지부(753)가 구비되므로, 고정피스톤이 고정안전블럭(74)을 잡아당길 수 있다.The fixed
고정안전유닛(70)은 고정안전구동부(75)에 의해 고정지지브라켓(71)에서 왕복 이동되는 고정로드(72)를 더 포함할수 있다.The fixed
이에 따라, 고정안전구동부(75)에 유압이 작용하면, 고정탄성부재(73)의 탄성력에도 불구하고 고정로드(72)에 의해 고정안전블럭(74)이 정회전되어 고정안전블럭(74)이 고정후크(25)의 입구를 개방하고, 고정안전구동부(75)에 작용하는 유압이 해제되면, 고정탄성부재(73)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안전블럭(74)이 역회전되어 고정안전블럭(74)이 고정후크(25)의 입구를 폐쇄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hydraulic pressure is applied to the fixed
고정로드(72)는 한 쌍이 상호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고정안전구동부(75)는 한 쌍의 고정로드(72) 사이에 배치되어 한 쌍의 고정안전블럭(74)을 동시에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고정안전구동부(75)는 한 쌍이 상호 이격 배치되어 한 쌍의 고정로드(72)를 각각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A pair of fix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고정안전블럭(74)은 고정로드(72)의 단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고정안전블럭(74)은 고정로드(72)의 단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고정로드(72)의 단부와 결합되지 않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고정로드(72)의 일단부에는 고정지지브라켓(71)을 기준으로 고정탄성부재(73)가 탄성 가압하는 탄성지지부(721)가 구비되고, 고정로드(72)의 타단부에는 고정안전블럭(74)에 걸림 지지되는 로드지지부(722)가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이와 더불어 고정안전블럭(74)은 고정안전축부(741)를 매개로 탈착유닛(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안전부재(742)와, 고정안전부재(742)에서 연장 형성되는 고정연장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안전부재(742)는 회전에 따라 고정후크(25)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다. 고정연장부재에는 고정로드(72)와 고정안전구동부(75)의 피스톤이 결합되는 로드결합부(743)를 포함할 수 있다. 로드결합부(743)에는 로드지지부(722)와 피스톤지지부(753)가 걸림 지지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fixed
고정로드(72)의 단부와 고정피스톤의 단부는 각각 고정안전블럭(74)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고정안전구동부(75)의 동작에 따라 고정안전블럭(74)의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Since the end of the fixed
유압 고정 방식에 있어서, 고정안전유닛(70)은 고정후크(25)에서 이격되어 탈착유닛(20)에 결합되는 고정지지브라켓(71)과, 탈착유닛(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안전블럭(74)과, 고정안전블럭(74)이 고정후크(25)의 입구를 개폐하도록 후크구동유닛(30)과 연계하여 고정지지브라켓(71)을 기준으로 고정안전블럭(74)을 이동시키는 고정안전구동부(75)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hydraulic fixing method, the fixed
그러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안전구동부(75)에 정방향으로 유압이 작용하면, 고정안전블럭(74)이 정회전되어 고정후크(25)의 입구가 개방되므로, 고정후크(25)에서 제2핀(P2)을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반대로 고정안전구동부(75)에 역방향으로 유압이 작용하면, 고정탄성블럭이 역회전되어 고정후크(25)의 입구가 폐쇄되므로, 제2핀(P2)은 고정후크(25)에 걸림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고정후크(25)에서 분리된 제2핀(P2)은 고정안전블럭(74)을 회전시키면서 고정후크(25)에 걸림 결합될 수 있다. 하지만, 고정후크(25)에 걸림 결합된 제2핀(P2)은 임의로 고정후크(25)에서 분리되지 않는다.Then, as shown in FIG. 18 , when hydraulic pressure is applied to the fixed
고정안전블럭(74)은 고정안전구동부(75)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탈착유닛(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고정안전블럭(74)의 회전에 대응하여 고정안전블럭(74)은 고정안전축부(741)를 매개로 탈착유닛(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고정안전구동부(75)는 고정안전블럭(74)을 가압하거나 고정안전블럭(74)을 잡아당길 수 있다.The fixed
고정안전구동부(75)는 고정지지브라켓(71)에 결합되는 고정실린더와, 고정실린더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유압의 작용에 따라 고정실린더에서 왕복 이동되는 고정피스톤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피스톤에는 고정안전블럭(74)에 걸림 지지되는 피스톤지지부(753)가 구비되므로, 고정피스톤이 고정안전블럭(74)을 가압하거나 잡아당길 수 있다.The fixed
고정안전유닛(70)은 고정안전구동부(75)에 의해 고정지지브라켓(71)에서 왕복 이동되는 고정로드(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xed
이에 따라, 고정안전구동부(75)에 정방향으로 유압이 작용하면, 고정로드(72)에 의해 고정안전블럭(74)이 정회전되어 고정안전블럭(74)이 고정후크(25)의 입구를 개방하고, 고정안전구동부(75)에 역방향으로 유압이 작용하면, 고정로드(72)에 의해 고정안전블럭(74)이 역회전되어 고정안전블럭(74)이 고정후크(25)의 입구를 폐쇄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hydraulic pressure is applied to the fixed
고정로드(72)는 한 쌍이 상호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고정안전구동부(75)는 한 쌍의 고정로드(72) 사이에 배치되어 한 쌍의 고정안전블럭(74)을 동시에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고정안전구동부(75)는 한 쌍이 상호 이격 배치되어 한 쌍의 고정로드(72)를 각각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A pair of fix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고정안전블럭(74)은 고정로드(72)의 단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고정안전블럭(74)은 고정로드(72)의 단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고정로드(72)의 단부와 결합되지 않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고정로드(72)의 일단부에는 고정지지브라켓(71)을 기준으로 고정탄성부재(73)가 탄성 가압하는 탄성지지부(721)가 구비되고, 고정로드(72)의 타단부에는 고정안전블럭(74)에 걸림 지지되는 로드지지부(722)가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이와 더불어 고정안전블럭(74)은 고정안전축부(741)를 매개로 탈착유닛(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안전부재(742)와, 고정안전부재(742)에서 연장 형성되는 고정연장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안전부재(742)는 회전에 따라 고정후크(25)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다. 고정연장부재에는 고정로드(72)와 고정안전구동부(75)의 피스톤이 결합되는 로드결합부(743)를 포함할 수 있다. 로드결합부(743)에는 로드지지부(722)와 피스톤지지부(753)가 걸림 지지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fixed
고정로드(72)의 단부와 고정피스톤의 단부는 각각 고정안전블럭(74)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고정안전구동부(75)의 동작에 따라 고정안전블럭(74)의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Since the end of the fix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퀵커플러는 브레이크유닛(50)과, 유압분배헤더(80)와, 유압전달블럭(9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
브레이크유닛(50)은 연결유닛(10)을 기준으로 회전유닛(40)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브레이크유닛(50)은 연결유닛(10)을 기준으로 회전유닛(40)의 링기어(42)를 정지시킬 수 있다.The
브레이크유닛(50)은 회전유닛(40)의 링기어(42)가 노출되도록 연결유닛(10)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부(51)와, 연결유닛(10)에 결합되어 관통홀부(51)를 폐쇄시키는 밀폐캡부(52)와, 관통홀부(51)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레이크부재(53)를 포함할 수 있다.The
밀폐캡부(52)에는 관통홀부(51)로 유체를 공급하거나 관통홀부(51)의 유체를 배출하는 유압커넥터(521)가 구비된다. 밀폐캡부(52)에는 관통홀부(51)와 연통되어 브레이크부재(53)의 왕복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밀폐이동경로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The sealing
이에 따라, 유압커넥터(521)를 통해 유체가 관통홀부(51)에 공급되면, 연결유닛(10)을 기준으로 회전유닛(40)의 동작이 정지되도록 브레이크부재(53)가 회전유닛(40)의 링기어(42)를 가압하게 된다. 또한, 관통홀부(51)로의 유체 공급이 해제되면, 유체가 브레이크부재(53)를 가압하는 힘이 해제되어 링기어(42)의 회전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이때, 관통홀부(51)의 유체가 유압커넥터(521)를 통해 배출되면서 브레이크부재(53)는 링기어(42)에서 이격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fluid is supplied to the through-hole portion 51 through the
유압분배헤더(80)는 연결유닛(10)에 구비된다. 유압분배헤더(80)는 중장비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후크구동유닛(30)과, 회전유닛(40)과, 안전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달한다.The
유압분배헤더(80)는 연결유닛(10)의 연결플레이트(11)에 돌출 형성되는 분배블럭(81)과, 분배블럭(81)의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다수의 유압연결부(82)와, 분배블럭(81)의 측면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다수의 구동연결부(83)를 포함할 수 있다.The
분배블럭(81)에는 유압연결부(82)와 구동연결부(83)를 1:1 대응으로 연결하는 분배유로가 관통 형성된다. 분배유로는 6개가 상호 이격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유압전달블럭(90)은 회전유닛(40)의 회전 중심에 대응하여 연결유닛(10)과 탈착유닛(20)과 회전유닛(40)을 관통하여 구비된다. 유압전달블럭(90)은 중장비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후크구동유닛(30)과, 안전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달한다. 유압전달블럭(90)에는 유체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4개의 전달유로가 관통 형성된다.The
유압전달블럭(90)은 중장비의 운전석에 구비된 조작모듈(H) 또는 유압분배헤더(80)와 연결되는 4개의 제1연결부(911)가 구비된 제1전달블럭(91)과, 후크구동유닛(30)과, 가동안전유닛(60)과, 고정안전유닛(70)에 각각 연결되는 4개의 제2연결부(921)가 구비된 제2전달블럭(92)을 포함할 수 있다.The
제1전달블럭(91)은 연결유닛(10)의 연결플레이트(11)에 결합된 상태에서 연결결합홀부와 캐리어결합홀부에 삽입된다. 제1전달블럭(91)에는 제1연결부(911)와 연결되는 4개의 제1전달유로가 관통 형성된다. 제1전달유로의 단부는 제1전달블럭(91)의 측면으로 상호 다른 단차를 형성하여 개구된다.The
제2전달블럭(92)은 탈착유닛(20)의 탈착플레이트(21)에 결합된 상태에서 탈착결합홀부와 캐리어결합홀부에 삽입된다. 제2전달블럭(92)에는 제2연결부(921)와 연결되는 4개의 제2전달유로가 관통 형성된다. 제2전달유로의 단부는 제2전달블럭(92)의 측면으로 상호 다른 단차를 형성하여 개구된다.The
이때, 제1전달유로의 단부와 상기 제2전달유로의 단부는 1:1: 매칭되도록 단차를 형성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end of the first transmission passage and the end of the second transmission passage are formed with a step to match 1:1.
여기서, 제1전달블럭(91)과 제2전달블럭(92) 중 어느 하나에는 제1전달블럭(91)과 제2전달블럭(92) 중 다른 하나가 삽입되는 블럭끼움부(93)가 함몰 형성된다. 그러면, 제1전달블럭(91)과 제2전달블럭(92) 중 어느 하나의 블럭끼움부(93)에 노출된 전달유로와 제1전달블럭(91)과 제2전달블럭(92) 중 다른 하나의 외주면에 노출된 전달유로가 1:1로 매칭되어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n any one of the
또한, 제1전달블럭(91)과 제2전달블럭(92) 중 어느 하나에 함몰 형성된 블럭끼움부(93)의 내주면과, 제1전달블럭(91)과 제2전달블럭(92) 중 다른 하나의 외주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해당 전달유로가 연통되는 유압버퍼부(94)가 링 형상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유압버퍼부(94)는 4단으로 상호 이격 배치된다. 이때, 유압버퍼부(94)는 버퍼구획부(941)를 매개로 구획되어 상호 연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버퍼구획부(941)에는 전달밀폐링이 구비되어 상호 인접한 두 버퍼구획부(941)가 연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또한, 회전유닛(40)의 동작에 따라 연결유닛(10)을 기준으로 탈착유닛(20)이 회전되므로, 제1전달블럭(91)과 제2전달블럭(92) 사이의 상대 회전에도 불구하고, 유압버퍼부(94)는 제1전달유로와 제2전달유로를 1:1로 매칭하여 연결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지금부터는 도 17과 도 18을 참조하여 유체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7과 도 18을 참조하면, 중장비의 운전석에 구비된 조작모듈(H)은 중장비의 유압공급모듈(S)에 연결된다.From now on, the flow of the fluid will be schematical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7 and 18 . 17 and 18, the operation module (H) provided in the driver's seat of the heavy equipment is connected to the hydraulic pressure supply module (S) of the heavy equipment.
도 17과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연결부(82) 중 제1후크유압포트와 제2후크유압포트는 중장비의 운전석에 구비된 조작모듈(H)에 연결된다. 또한, 구동연결부(83) 중 제1후크구동포트와 제2후크구동포트는 각각 제1연결부(911)의 제1-1연결부와 제1-2연결부에 연결되고, 제1-1연결부와 제1-2연결부에 연통되는 제2연결부(921)의 제2-1연결부와 제2-2연결부는 각각 후크구동유닛(30)의 후크실린더(31)에 구비된 후크구동주입부와 후크구동배출부에 각각 연결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유압전달블럭(90)이 생략되는 경우, 구동연결부(83) 중 제1후크구동포트와 제2후크구동포트는 각각 후크구동유닛(30)의 후크실린더(31)에 구비된 후크구동주입부와 후크구동배출부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17 and 18, the first hook hydraulic port and the second hook hydraulic port of the
이에 따라, 운전자가 조작모듈(H)을 조작함에 따라 유체는 후크구동주입부 또는 후크구동배출부로 공급되어 상술한 동작에 따라 후크구동유닛(30)을 동작시킬 수 있다.Accordingly, as the driver operates the manipulation module H, the fluid is supplied to the hook driving injection unit or the hook driving discharge unit to operate the
또한, 도 17과 도 18을 참조하면, 유압연결부(82) 중 제1내접유압포트와 제2내접유압포트는 중장비의 운전석에 구비된 조작모듈(H)에 연결되고, 구동연결부(83) 중 제1내접구동포트와 제2내접구동포트는 분기되어 내접공간부(431)와 연통되는 입력포트와 출력포트에 각각 연결된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17 and 18 , the first internal hydraulic port and the second internal hydraulic port of the
이에 따라, 운전자가 조작모듈(H)을 조작함에 따라 유체는 제1내접유압포트 또는 제2내접유압포트로 공급되어 상술한 동작에 따라 회전유닛(40)을 동작시킬 수 있다.Accordingly, as the driver operates the manipulation module H, the fluid is supplied to the first internal hydraulic port or the second internal hydraulic port to operate the
또한, 도 17을 참조하면, 유압연결부(82) 중 가동유압포트는 중장비의 운전석에 구비된 조작모듈(H)에 연결된다. 또한, 구동연결부(83) 중 가동구동포트는 제1연결부(911) 중 제1-3연결부에 연결되고, 제1-3연결부에 연통되는 제2연결부(921)의 제2-3연결부는 탈착유닛(20) 쪽에서 분기되어 한 쌍의 가동안전구동부(66)에 각각 구비된 가동안전포트에 연결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유압전달블럭(90)이 생략되는 경우, 구동연결부(83) 중 가동구동포트는 탈착유닛(20) 쪽에서 분기되어 한 쌍의 가동안전구동부(66)에 각각 구비된 가동안전포트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Also, referring to FIG. 17 , the movable hydraulic port of the
이에 따라, 운전자가 조작모듈(H)을 조작함에 따라 유체는 가동안전포트에 공급되거나 탄성력에 의해 가동안전포트를 통해 배출되어 상술한 동작에 따라 가동안전유닛(60)의 가동안전구동부(66)를 동작시킬 수 있다.Accordingly, as the driver operates the operation module (H), the fluid is supplied to the movable safety port or discharged through the movable safety port by elastic force. can operate.
또한, 도 17을 참조하면, 유압연결부(82) 중 고정유압포트는 중장비의 운전석에 구비된 조작모듈(H)에 연결된다. 또한, 구동연결부(83) 중 고정구동포트는 제1연결부(911) 중 제1-4연결부에 연결되고, 제1-4연결부에 연통되는 제2연결부(921)의 제2-4연결부는 탈착유닛(20) 쪽에서 고정안전구동부(75)에 구비된 고정안전포트에 연결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유압전달블럭(90)이 생략되는 경우, 구동연결부(83) 중 고정구동포트는 탈착유닛(20) 쪽에서 분기되어 고정안전구동부(75)에 구비된 고정안전포트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Also, referring to FIG. 17 , the fixed hydraulic port of the
이에 따라, 운전자가 조작모듈(H)을 조작함에 따라 유체는 고정안전포트에 공급되거나 탄성력에 의해 고정안전포트를 통해 배출되어 상술한 동작에 따라 고정안전유닛(70)의 고정안전구동부(75)를 동작시킬 수 있다.Accordingly, as the driver operates the operation module (H), the fluid is supplied to the fixed safety port or discharged through the fixed safety port by elastic force. can operate.
또한, 도 18을 참조하면, 유압연결부(82) 중 제1유압포트와 제2유압포트는 중장비의 운전석에 구비된 조작모듈(H)에 연결된다. 또한, 구동연결부(83) 중 제1구동포트는 제1연결부(911) 중 제1-3연결부에 연결되고, 제1-3연결부에 연통되는 제2연결부(921)의 제2-3연결부는 탈착유닛(20) 쪽에서 분기되어 한 쌍의 가동안전구동부(66)에 구비된 입력가동포트와 고정안전구동부(75)에 구비된 입력고정포트에 각각 연결된다. 또한, 구동연결부(83) 중 제2구동포트는 제1연결부(911) 중 제1-4연결부에 연결되고, 제1-4연결부에 연통되는 제2연결부(921)의 제2-4연결부는 탈착유닛(20) 쪽에서 분기되어 한 쌍의 가동안전구동부(66)에 구비된 출력가동포트와 고정안전구동부(75)에 구비된 출력고정포트에 각각 연결된다.Also, referring to FIG. 18 , the first hydraulic port and the second hydraulic port of the
이에 따라, 운전자가 조작모듈(H)을 조작함에 따라 유체는 입력가동포트와 입력고정포트에 공급되거나 출력가동포트와 출력고정포트에 공급되어 상술한 동작에 따라 가동안전유닛(60)의 가동안전구동부(66)와 고정안전유닛(70)의 고정안전구동부(75)를 함께 동작시킬 수 있다.Accordingly, as the driver operates the operation module (H), the fluid is supplied to the input movable port and the input fixed port or the output movable port and the output fixed port are supplied to the operation safety of the
또한, 도 17과 도 18을 참조하면, 브레이크유닛(50)의 유압커넥터(521)에는 조작모듈(H)이 연결되므로, 운전자가 조작모듈(H)을 조작함에 따라 유체는 유압커넥터(521)에 공급되거나 유압커넥터(521)를 통해 배출되어 상술한 동작에 따라 브레이크유닛(50)을 동작시킬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17 and 18 , since the operation module H is connected to the
상술한 퀵커플러의 회전유닛과 이것이 구비된 중장비용 퀵커플러에 따르면, 연결유닛(10)을 기준으로 탈착유닛(2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때, 연결유닛(10)과 탈착유닛(20)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하고,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rotation unit of the quick coupler and the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provided therewith, when the
이때, 암대와 퀵커플러와 어태치먼트 사이의 결합을 명확하게 하고, 상호 탈부착을 가능하게 하여 암대를 기준으로 어태치먼트의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다.At this time, by clarifying the coupling between the arm and the quick coupler and the attachment, and enabling mutual attachment and detachment,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diversity of the attachment based on the arm.
여기서, 내접기어(44) 방식으로 회전유닛(40)을 구성하므로, 연결유닛(10)과 탈착유닛(20)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시키면서 탈착유닛(20)을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Here, since the
여기서, 회전유닛(40)의 구동 방식을 통해 내접기어(44)가 유체에 의해 직접 회전되므로, 회전유닛(40)의 동작을 위한 공간을 최소화하고, 연결유닛(10)을 기준으로 탈착유닛(20)의 회전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Here, since the
여기서, 링가이드(41)와 링기어(42)의 결합 구조를 통해 링기어(42)의 회전을 자유롭게 하는 한편, 탈착유닛(20)에 작용하는 하중을 안정되게 지탱하여 연결유닛(10)과 탈착유닛(20)의 결합 관계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Here, the
여기서, 안전유닛을 통해 작업자의 실수를 원천 차단하여 작업자의 조작 미숙에도 불구하고 퀵커플러와 어태치먼트의 결합을 안정되게 유지시키고,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Her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worker's mistake at the source through the safety unit, thereby stably maintaining the coupling between the quick coupler and the attachment despite the operator's inexperienced operation, and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좀더 자세하게, 작업자의 조작 미숙에도 불구하고, 제1핀(P1)은 가동후크(24)에 안정되게 걸림 결합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고, 제2핀(P2)은 고정후크(25)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more detail, despite the inexperienced operation of the operator, the first pin (P1) can be stably maintained to be engaged with the movable hook (24), and the second pin (P2) is separated from the fixed hook (25). it can be prevented
여기서, 가동안전유닛(60)의 제1세부 구성으로 탄성력과 유압을 구분하므로, 유압이 해제되더라도 탄성력에 의해 가동안전블럭(64)이 가동후크(24)를 안정되게 가압하도록 하고, 유압이 작용할 때만, 가동후크(24)와 제1핀(P1)의 걸림 결합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Here, since the first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이때, 탄성력과 유압의 동작이 구분되므로, 제1핀(P1)이 가동후크(24)에 걸림 결합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operation of the elastic force and the hydraulic pressure are separated,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pin P1 is engaged with the
여기서, 가동안전유닛(60)의 제2세부 구성으로 유압만이 작용하므로, 유압의 작용 상태를 명확하게 하고, 유압에 의해 가동안전블럭(64)이 가동후크(24)를 가압하는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고, 유압에 의해 가동후크(24)와 제1핀(P1)의 걸림 결합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Here, since only hydraulic pressure acts as the second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이때, 유압의 동작만으로도 제1핀(P1)이 가동후크(24)에 걸림 결합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stably mainta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pin P1 is engaged with the
이때, 가동안전블럭(64)의 결합 관계를 통해 가동안전블럭(64)의 왕복 이동 또는 회전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ciprocating movement or rotation of the
여기서, 가동안전유닛(60)에 가동로드(63)가 포함되므로, 가동안전블럭(64)의 움직임을 명확하게 하고, 가동안전블럭(64)이 가동후크(24)를 안정되게 가압할 수 있다.Here, since the
여기서, 가동안전구동부(66)와 가동로드(63)의 결합 관계를 통해 가동안전구동부(66)와 가동로드(63)가 연계된 움직임을 명확하게 하고, 가동안전구동부(66)에서 유체의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Here, through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movable
여기서, 가동안전유닛(60)에 안전홈부(61)가 포함되므로, 가동안전블럭(64)이 가동후크(24)를 가압할 때, 가동후크(24)의 회전을 더욱 안정되게 저지할 수 있다.Here, since the
여기서, 고정안전유닛(70)의 제1세부 구성으로 탄성력과 유압을 구분하므로, 유압이 해제되더라도 탄성력에 의해 고정안전블럭(74)이 고정후크(25)의 입구에 돌출되도록 하여 고정후크(25)의 입구를 안정되게 폐쇄할 수 있고, 유압이 작용할 때만, 고정후크(25)와 제2핀(P2)의 걸림 결합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Here, since the first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fixed
이때, 탄성력과 유압의 동작이 구분되므로, 제2핀(P2)이 고정후크(25)에 걸림 결합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operation of the elastic force and the hydraulic pressure are separated, the state in which the second pin P2 is engaged with the fixing
여기서, 고정안전유닛(70)의 제2세부 구성으로 유압만이 작용하므로, 유압의 작용 상태를 명확하게 하고, 유압에 의해 고정안전블럭(74)이 고정후크(25)의 입구에 돌출되도록 하여 고정후크(25)의 입구를 안정되게 폐쇄할 수 있고, 유압에 의해 고정후크(25)와 제2핀(P2)의 걸림 결합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Here, since only hydraulic pressure acts as the second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fixed
이때, 유압의 동작만으로도 제2핀(P2)이 고정후크(25)에 걸림 결합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stably mainta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pin P2 is engaged with the fixing
이때, 고정안전블럭(74)의 결합 관계를 통해 고정안전블럭(74)의 회전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otation of the fixed
여기서, 고정안전유닛(70)에 고정로드(72)가 포함되므로, 고정안전블럭(74)의 움직임을 명확하게 하고, 고정안전블럭(74)이 고정후크(25)의 입구를 안정되게 폐쇄할 수 있다.Here, since the fixed
여기서, 고정안전구동부(75)와 고정로드(72)의 결합 관계를 통해 고정안전구동부(75)와 고정로드(72)가 연계된 움직임을 명확하게 하고, 고정안전구동부(75)에서 유체의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Here, through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fixed
여기서, 후크구동유닛(30)의 세부 구성을 통해 가동후크(24)를 회전시킬 때, 가동후크(24)는 물론 후크구동유닛(30)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하고, 후크구동유닛(30)에 작용하는 유압이 가동후크(24)에 안정되게 전달되도록 한다.Here, when rotating the
여기서, 브레이크유닛(50)의 부가 구성을 통해 회전유닛(40)의 정지 동작을 명확하게 하고, 링기어(42)가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Here, it is possible to clarify the stop operation of the
여기서, 브레이크유닛(50)의 세부 구성을 통해 중장비에서 제공하는 유압을 이용하여 링기어(42)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Here, rotation of the
여기서, 유압분배헤더(80)를 통해 중장비에 구비되는 유압공급모듈(S)에서 공급되는 유체를 각각의 유닛들에 안정되게 분배하여 각 유닛들의 동작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Here, the fluid supplied from the hydraulic supply module (S) provided in the heavy equipment through the
이때, 유압분배헤더(80)의 세부 구성을 통해 후크구동유닛(30)과, 회전유닛(40)과, 가동안전유닛(60)과, 고정안전유닛(70)에 각각 전달되는 유체를 명확하게 하고, 각 유닛들을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하게 할 있다. 또한, 후크구동유닛(30)과 연계하여 가동안전유닛(60)과 고정안전유닛(70)의 동작을 제어하고, 제1핀(P1)과 제2핀(P2)의 걸림 결합 여부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luid delivered to the
여기서, 유압전달블럭(90)을 통해 중장비에 구비되는 유압공급모듈(S)과, 탈착유닛(20)에 구비되는 후크구동유닛(30) 및 가동안전유닛(60)과 고정안전유닛(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안전유닛 사이에서 유체를 안정되게 이동시킬 수 있고, 회전유닛(40)의 동작이 유체의 이동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Here, the hydraulic supply module (S) provided in the heavy equipment through the hydraulic pressure transmission block (90), the hook driving unit (30) and the movable safety unit (60) and the fixed safety unit (70) provided in the detaching
이때, 유압전달블럭(90)에 형성되는 유압버퍼부(94)를 통해 유체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과도한 유압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유압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prevent excessive hydraulic pressure from being transmitted while the fluid is moved through the
이때, 유압전달블럭(90)에 형성되는 블럭끼움부(93)를 통해 연결유닛(10)과 탈착유닛(20)의 결합에 대응하여 제1전달블럭(91)과 제2전달블럭(92)의 탈부착 결합을 원활하게 하고, 제1전달블럭(91)과 제2전달블럭(92) 사이에서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response to the coupling of the
이때, 유압전달블럭(90)에 형성되는 전달유로의 구조를 통해 유체의 이동을 명확하게 하고, 회전유닛(40)의 동작에 대응하여 유체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clarify the movement of the fluid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transmission flow path formed in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s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may be modified or changed.
10: 연결유닛
11: 연결플레이트
12: 연결브라켓
13: 제1연결핀
14: 제2연결핀
20: 탈착유닛
21: 탈착플레이트
22: 탈착브라켓
23: 가동지지부
24: 가동후크
241: 가동축부
25: 고정후크
30: 후크구동유닛
31: 후크실린더
311: 실린더축부
32: 후크피스톤
321: 피스톤축부
40: 회전유닛
41: 링가이드
411: 가이드지지턱
412: 윤활주입부
42: 링기어
421: 기어지지턱
43: 지지캐리어
431: 내접공간부
44: 내접기어
441: 기어결합부
45: 제1밀폐링
46: 제2밀폐링
47: 제3밀폐링
50: 브레이크유닛
51: 관통홀부
52: 밀폐캡부
521: 유압커넥터
53: 브레이크부재
60: 가동안전유닛
61: 안전홈부
62: 가동지지브라켓
63: 가동로드
64: 가동안전블럭
641: 가동슬라이더
642: 가동안내홈부
65: 가동탄성부재
66: 가동안전구동부
67: 가동연결부재
70: 고정안전유닛
71: 고정지지브라켓
72: 고정로드
721: 탄성지지부
722: 로드지지부
73: 고정탄성부재
74: 고정안전블럭
741: 고정안전축부
742: 고정안전부재
743: 로드결합부
75: 고정안전구동부
753: 피스톤지지부
80: 유압분배헤더
81: 분배블럭
82: 유압연결부
83: 구동연결부
90: 유압전달블럭
91: 제1전달블럭
911: 제1연결부
92: 제2전달블럭
921: 제2연결부
93: 블럭끼움부
94: 유압버퍼부
941: 버퍼구획부
S: 유압공급모듈
H: 조작모듈
P1: 제1핀
P2: 제2핀10: connection unit 11: connection plate 12: connection bracket
13: first connection pin 14: second connection pin 20: detachable unit
21: detachable plate 22: detachable bracket 23: movable support part
24: movable hook 241: movable shaft portion 25: fixed hook
30: hook driving unit 31: hook cylinder 311: cylinder shaft part
32: hook piston 321: piston shaft part
40: rotation unit 41: ring guide 411: guide support jaw
412: lubrication injection part 42: ring gear 421: gear support jaw
43: support carrier 431: internal space portion 44: internal gear
441: gear coupling portion 45: first sealing ring 46: second sealing ring
47: third sealing ring
50: brake unit 51: through hole 52: sealing cap part
521: hydraulic connector 53: brake member
60: movable safety unit 61: safety groove 62: movable support bracket
63: movable rod 64: movable safety block 641: movable slider
642: movable guide groove 65: movable elastic member 66: movable safety driving part
67: movable connection member
70: fixed safety unit 71: fixed support bracket 72: fixed rod
721: elastic support 722: rod support 73: fixed elastic member
74: fixed safety block 741: fixed safety shaft 742: fixed safety member
743: rod coupling part 75: fixed safety driving part 753: piston support part
80: hydraulic distribution header 81: distribution block 82: hydraulic connection
83: drive connection 90: hydraulic transmission block 91: first transmission block
911: first connection part 92: second transmission block 921: second connection part
93: block fitting portion 94: hydraulic buffer portion 941: buffer compartment
S: Hydraulic supply module H: Operation module P1: Pin 1
P2: 2nd pin
Claims (6)
상기 회전유닛은,
상기 연결유닛에 결합되는 링 형상의 링가이드;
상기 탈착유닛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링가이드에 회전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링기어;
상기 링기어의 내부에 구비되고, 내접공간부가 형성되는 지지캐리어; 및
상기 내접공간부에서 상기 링기어에 내접하여 치합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내접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커플러의 회전유닛.
It is a rotation unit of a quick coupler that rotatably couples the detachable unit to which the attachment is detachably coupled based on the connecting unit detachably coupled to the arm of the heavy equipment,
The rotating unit is
a ring-shaped ring guide coupled to the connection unit;
a ring gear rotatably fitted to the ring guide in a state coupled to the detachable unit;
a support carrier provided inside the ring gear and having an inscribed space formed therein; and
The rotation unit of a quick coupler comprising a; an internal gear rotatably coupled to the connection unit in a state in which the ring gear is inscribed in the internal space portion and meshed with the ring gear.
상기 내접기어는,
상기 내접공간부에서 정방향으로 유압이 작용함에 따라 정회전 가능하고,
상기 내접공간부에서 역방향으로 유압이 작용함에 따라 역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커플러의 회전유닛.
According to claim 1,
The internal gear is
Forward rotation is possible as hydraulic pressure acts in the forward direction in the internal space,
A rotation unit of a quick coupler,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as the hydraulic pressure acts in the reverse direction in the inner space.
상기 링가이드에는,
상기 탈착유닛 쪽에서 내부로 가이드지지턱;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링기어에는,
상기 가이드지지턱과 중첩되도록 상기 연결유닛 쪽에서 외측 가장자리에 기어지지턱;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커플러의 회전유닛.
According to claim 1,
In the ring guide,
A guide support jaw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ide of the detachable unit to the inside,
In the ring gear,
The rotation unit of the quick coupler, characterized in that the gear support jaw is protruded from the outer edge of the connecting unit side so as to overlap the guide support jaw.
상기 회전유닛은,
링 형상을 나타내어 상기 링가이드와 상기 탈착유닛 사이를 회전 가능하게 밀폐시키는 제1밀폐링;
링 형상을 나타내어 상기 링가이드와 상기 링기어 사이를 회전 가능하게 밀폐시키는 제2밀폐링; 및
링 형상을 나타내어 상기 링기어와 상기 연결유닛 사이를 회전 가능하게 밀폐시키는 제3밀폐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커플러의 회전유닛.
According to claim 1,
The rotating unit is
a first sealing ring having a ring shape to rotatably seal between the ring guide and the detachable unit;
a second sealing ring having a ring shape to rotatably seal between the ring guide and the ring gear; and
a third sealing ring having a ring shape to rotatably seal between the ring gear and the connection unit;
The rotation unit of the quick coupl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of.
상기 중장비에 연결되는 어태치먼트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연결유닛과 마주보도록 이격 배치되는 탈착블럭과, 상기 탈착블럭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어태치먼트에 구비된 제1핀의 걸림 결합 여부를 선택하는 가동후크와, 상기 탈착블럭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어태치먼트에서 상기 제1핀과 이격 배치된 제2핀이 걸림 결합되는 고정후크를 포함하는 탈착유닛;
유압의 작용에 따라 상기 탈착블럭에서 상기 가동후크를 정역 회전시키는 후크구동유닛; 및
상기 연결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탈착유닛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전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퀵커플러.
a connection unit detachably coupled to the arm of a heavy equipment;
Doedoe detachably coupled with the attachment connected to the heavy equipment, and a detachable block disposed to face the connection unit and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detachable block to determine whether the first pin provided in the attachment is engaged or not a detachable unit including a movable hook to be selected and a fixed hook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detachable block to engage the second pi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in in the attachment;
a hook driving unit which rotates the movable hook forward and reverse in the detachable block according to the action of hydraulic pressure; and
A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comprising a; a rotation unit for rotatably coupling the detachment unit based on the connection unit.
상기 회전유닛은,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퀵커플러.
6. The method of claim 5,
The rotating unit is
A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47401A KR20220141174A (en) | 2021-04-12 | 2021-04-12 | Rotation unit of quick coupler and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with thi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47401A KR20220141174A (en) | 2021-04-12 | 2021-04-12 | Rotation unit of quick coupler and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with thi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41174A true KR20220141174A (en) | 2022-10-19 |
Family
ID=83804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47401A KR20220141174A (en) | 2021-04-12 | 2021-04-12 | Rotation unit of quick coupler and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with thi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141174A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83958B1 (en) | 2016-10-21 | 2017-10-10 | 주식회사 제이케이 | Rotational quick couple |
KR101960430B1 (en) | 2018-05-14 | 2019-03-20 | 주식회사 제이케이 | Quick couple |
-
2021
- 2021-04-12 KR KR1020210047401A patent/KR20220141174A/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83958B1 (en) | 2016-10-21 | 2017-10-10 | 주식회사 제이케이 | Rotational quick couple |
KR101960430B1 (en) | 2018-05-14 | 2019-03-20 | 주식회사 제이케이 | Quick coup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955779A (en) | Connector | |
KR0132687B1 (en) | Device for hydraulic pressure circuit of civil & construction machine | |
EP1757834A1 (en) | Hydraulic valve device for working vehicle | |
EP0976962A2 (en) | Multi-line fluid connector | |
EP2700863A1 (en) | Hydraulic joint structure, hydraulic operation device with hydraulic joint structure, joint portion constituting hydraulic joint structure, hydraulic pressure generation unit with joint portion, front end tool unit with joint portion, and hydraulic hose unit with joint portion | |
CA2658456A1 (en) | A hydraulic connection assembly with a pressure discharge control | |
US20160244939A1 (en) | Implement interface | |
KR102273877B1 (en) | Travel motor switching valve, travel motor and civil machinery | |
JP6105469B2 (en) | Coupling device | |
EP2444557A1 (en) | Hydraulically-Powered Working Vehicle | |
KR20220141172A (en) |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 |
EP2426266B1 (en) | A coupling arrangement | |
US20150053450A1 (en) | Stator for a hydraulic work tool assembly | |
WO2005033554A1 (en) | Travel working machine | |
KR20220141174A (en) | Rotation unit of quick coupler and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with this | |
KR20220141173A (en) | Safety unit of quick coupler and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with this | |
JP2012092670A (en) | Pump unit | |
KR102338301B1 (en) | Cover opening/closing apparatus of oil-hydraulic coupling block for quick change device | |
JP6113040B2 (en) | Combine | |
CN100451397C (en) | Tractor | |
JP5614972B2 (en) | Work machine | |
EP3184699B1 (en) | A coupling apparatus | |
JP2015068404A (en) | Combine-harvester | |
US12129875B2 (en) | Flow path switching valve, and construction machine equipped with same | |
US10480712B2 (en) |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air in lubricant supply lin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