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9949A - 반려동물의 치아 위생을 개선하기 위한 팽화 건조 제품 - Google Patents
반려동물의 치아 위생을 개선하기 위한 팽화 건조 제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39949A KR20220139949A KR1020227031046A KR20227031046A KR20220139949A KR 20220139949 A KR20220139949 A KR 20220139949A KR 1020227031046 A KR1020227031046 A KR 1020227031046A KR 20227031046 A KR20227031046 A KR 20227031046A KR 20220139949 A KR20220139949 A KR 2022013994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position
- weight
- present disclosure
- dry feed
- feed composi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12
- 230000001007 puff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6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5000013325 dietary fiber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65
- 235000019197 fat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4
- 235000018102 protein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8
- 108060003951 Immunoglobulin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102000018358 immunoglobulin Human gene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40000008042 Zea may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5000005824 Zea mays ssp. parviglum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5000002017 Zea mays subsp may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5000005822 corn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5000021120 animal protein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5000021307 Tritic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41000209140 Tritic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5000012054 meal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5000021118 plant-derived protein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08000006558 Dental Calculu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37123 dental health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08000007565 gingivit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108010064851 Plant Proteins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06010006326 Breath odour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5000007340 Hordeum vulgar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40000005979 Hordeum vulgare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5000013601 egg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44000144977 poultry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5000013594 poultry meat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5000013330 chicken meat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41000287828 Gallus gall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108010068370 Glutens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5000010469 Glycine max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5000013312 flou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5000015277 pork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5000007319 Avena oriental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9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44000068988 Glycine max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5000010582 Pisum sativ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40000004713 Pisum sativ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5000010980 cellulos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5000007542 Cichorium intybu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44000298479 Cichorium intyb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5000015278 beef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5000020985 whole grain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44000075850 Avena oriental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16068 Berberis vulgar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41000335053 Beta vulgar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19687 Lamb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20000881 Modified starch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6227 byproduc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07558 Avena sp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44000020551 Helianthus annu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03222 Helianthus annuu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40000003183 Manihot esculent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16735 Manihot esculenta subsp esculent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02595 Solanum tuberos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44000061456 Solanum tuberos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21312 gluten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0523 Cicer arietin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4000045195 Cicer arietin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9733 Fish meal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1000238631 Hexapod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4647 Lens culinaris subsp culinar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40036811 bone meal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2374 bone me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9688 fish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21323 fish oil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467 fishme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4000043158 Lens esculent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108010070551 Meat Proteins Proteins 0.000 claims 1
- 239000003925 fa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0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5
- 239000000523 s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9
- 241000282472 Canis lupus famili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27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7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3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0
- 241000282326 Felis catus Species 0.000 description 1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8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8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1976 improv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3570 ai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29920000856 Amy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29940072221 immunoglobulins Drug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603 redu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0945 Amylopectin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KXLUWEYBZBGJRZ-POEOZHCLSA-N Canin Chemical compound O([C@H]12)[C@]1([C@](CC[C@H]1C(=C)C(=O)O[C@@H]11)(C)O)[C@@H]1[C@@]1(C)[C@@H]2O1 KXLUWEYBZBGJRZ-POEOZHCLSA-N 0.000 description 5
- GPFVKTQSZOQXLY-UHFFFAOYSA-N Chrysartemin A Natural products CC1(O)C2OC2C34OC3(C)CC5C(CC14)OC(=O)C5=C GPFVKTQSZOQXL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101000985479 Saccharomyces cerevisiae (strain ATCC 204508 / S288c) Nuclear polyadenylated RNA-binding protein 4 Protein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4633 carbohydr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150000001720 carbohydr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7406 food intak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0903 hus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70 lim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9198 oi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8188 pell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800 voi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GVJHHUAWPYXKBD-UHFFFAOYSA-N (±)-α-Tocopherol Chemical compound OC1=C(C)C(C)=C2OC(CCCC(C)CCCC(C)CCCC(C)C)(C)CCC2=C1C GVJHHUAWPYXKB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20001685 Amylomaiz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7060 Arachis glabr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44000105624 Arachis hypogae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0777 Arachis hypoga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8262 Arachis montico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CIWBSHSKHKDKBQ-JLAZNSOCSA-N Ascorbic acid Chemical compound OC[C@H](O)[C@H]1OC(=O)C(O)=C1O CIWBSHSKHKDKBQ-JLAZNSOCSA-N 0.000 description 4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388 Polyphosph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41000605862 Porphyromonas gingivalis Species 0.000 description 4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2969 egg yolk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44000052769 pathogen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20232 peanut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1814 pec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0987 pect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29920001277 pectin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1205 polyphos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1176 polyphosph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832 sodium triphosph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29940088594 vitamin Drugs 0.000 description 4
- 229930003231 vitam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475 Argin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41000209761 Aven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101710194948 Protein phosphatase PhpP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27 anti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02000036639 antige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08091007433 antigens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6708 antioxida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ODKSFYDXXFIFQN-UHFFFAOYSA-N arginine Natural products OC(=O)C(N)CCCNC(N)=N ODKSFYDXXFIFQ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680 brush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39 cer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969 flowa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4676 glyca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98 kn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5610 lign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44000144972 livestock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0755 mineral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36961 part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HWGNBUXHKFFFIH-UHFFFAOYSA-I pentasodium;[oxido(phosphonatooxy)phosphoryl] phosphate Chemical compound [Na+].[Na+].[Na+].[Na+].[Na+].[O-]P([O-])(=O)OP([O-])(=O)OP([O-])([O-])=O HWGNBUXHKFFFIH-UHFFFAOYSA-I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282 polysaccha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5017 polysaccha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6041 probio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8291 probiotic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1888 snack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303 weig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YBJHBAHKTGYVGT-ZKWXMUAHSA-N (+)-Biotin Chemical compound N1C(=O)N[C@@H]2[C@H](CCCCC(=O)O)SC[C@@H]21 YBJHBAHKTGYVGT-ZKWXMUAHSA-N 0.000 description 2
- MJYQFWSXKFLTAY-OVEQLNGDSA-N (2r,3r)-2,3-bis[(4-hydroxy-3-methoxyphenyl)methyl]butane-1,4-diol;(2r,3r,4s,5s,6r)-6-(hydroxymethyl)oxane-2,3,4,5-tetrol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O)[C@@H](O)[C@@H]1O.C1=C(O)C(OC)=CC(C[C@@H](CO)[C@H](CO)CC=2C=C(OC)C(O)=CC=2)=C1 MJYQFWSXKFLTAY-OVEQLNGDSA-N 0.000 description 2
- GHOKWGTUZJEAQD-ZETCQYMHSA-N (D)-(+)-Pantothenic acid Chemical compound OCC(C)(C)[C@@H](O)C(=O)NCCC(O)=O GHOKWGTUZJEAQD-ZETCQYMHSA-N 0.000 description 2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ACTIUHUUMQJHFO-UHFFFAOYSA-N Coenzym Q10 Natural products COC1=C(OC)C(=O)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1=O ACTIUHUUMQJHF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261 Corn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3392 Curcuma domesti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4000008991 Curcuma long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965 ELISA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283086 Equ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61218 Inflamm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368 Modified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08010066207 Poultry 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AUNGANRZJHBGPY-SCRDCRAPSA-N Riboflavin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N1C=2C=C(C)C(C)=CC=2N=C2C1=NC(=O)NC2=O AUNGANRZJHBGPY-SCRDCRAPSA-N 0.000 description 2
- BUGBHKTXTAQXES-UHFFFAOYSA-N Selenium Chemical compound [Se] BUGBHKTXTAQXE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8000014151 Stomatognathi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29930003427 Vitamin 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508 accu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080 ambient ai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5000017471 coenzyme Q10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ACTIUHUUMQJHFO-UPTCCGCDSA-N coenzyme Q10 Chemical compound COC1=C(OC)C(=O)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1=O ACTIUHUUMQJHFO-UPTCCGCD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20 corn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3373 curcuma long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213 die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29087 diges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57 fib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4426 flaxsee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OVBPIULPVIDEAO-LBPRGKRZSA-N folic acid Chemical compound C=1N=C2NC(N)=NC(=O)C2=NC=1CNC1=CC=C(C(=O)N[C@@H](CCC(O)=O)C(O)=O)C=C1 OVBPIULPVIDEAO-LBPRGKRZSA-N 0.000 description 2
- WIGCFUFOHFEKBI-UHFFFAOYSA-N gamma-tocopherol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1CCC2C(C)C(O)C(C)C(C)C2O1 WIGCFUFOHFEKB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035 gastrointestinal tract Anatomy 0.000 description 2
- RWSXRVCMGQZWBV-WDSKDSINSA-N glutathione Chemical compound OC(=O)[C@@H](N)CCC(=O)N[C@@H](CS)C(=O)NCC(O)=O RWSXRVCMGQZWBV-WDSKDSIN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591 gum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54 inflamma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429 large intestin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426 modified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773 nucleot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3729 nucleotide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8169 periodont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LXNHXLLTXMVWPM-UHFFFAOYSA-N pyridoxine Chemical compound CC1=NC=C(CO)C(CO)=C1O LXNHXLLTXMVWP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669 sele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11 sele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649 seleni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813 small intestin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858 star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XOAAWQZATWQOTB-UHFFFAOYSA-N taurine Chemical compound NCCS(O)(=O)=O XOAAWQZATWQOT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MGSRCZKZVOBKFT-UHFFFAOYSA-N thymol Chemical compound CC(C)C1=CC=C(C)C=C1O MGSRCZKZVOBKF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40034610 toothpaste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606 toothp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73 trace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619 trace minera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976 turmeric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165 vitamin 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40046009 vitamin E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09 vitamin 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722 vitamin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NOOLISFMXDJSKH-UTLUCORTSA-N (+)-Neomenthol Chemical compound CC(C)[C@@H]1CC[C@@H](C)C[C@@H]1O NOOLISFMXDJSKH-UTLUCORTSA-N 0.000 description 1
- FYGDTMLNYKFZSV-URKRLVJHSA-N (2s,3r,4s,5s,6r)-2-[(2r,4r,5r,6s)-4,5-dihydroxy-2-(hydroxymethyl)-6-[(2r,4r,5r,6s)-4,5,6-trihydroxy-2-(hydroxymethyl)oxan-3-yl]oxyoxan-3-yl]oxy-6-(hydroxymethyl)oxane-3,4,5-triol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1[C@@H](CO)O[C@@H](OC2[C@H](O[C@H](O)[C@H](O)[C@H]2O)CO)[C@H](O)[C@H]1O FYGDTMLNYKFZSV-URKRLVJHSA-N 0.000 description 1
- PHIQHXFUZVPYII-ZCFIWIBFSA-N (R)-carnitine Chemical compound C[N+](C)(C)C[C@H](O)CC([O-])=O PHIQHXFUZVPYII-ZCFIWIBFSA-N 0.000 description 1
- WEEGYLXZBRQIMU-UHFFFAOYSA-N 1,8-cineole Natural products C1CC2CCC1(C)OC2(C)C WEEGYLXZBRQIM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PIPGXGPPPQFEQ-UHFFFAOYSA-N 13-cis retinol Natural products OCC=C(C)C=CC=C(C)C=CC1=C(C)CCCC1(C)C FPIPGXGPPPQFE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JJVAFUKOBZPCB-UHFFFAOYSA-N 2-methyl-2-(4,8,12-trimethyltrideca-3,7,11-trienyl)-3,4-dihydrochromen-6-ol Chemical compound OC1=CC=C2OC(CCC=C(C)CCC=C(C)CCC=C(C)C)(C)CCC2=C1 GJJVAFUKOBZPC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ZCYVEMRRCGMTRW-UHFFFAOYSA-N 7553-56-2 Chemical compound [I] ZCYVEMRRCGMTR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JBYXPOFIGCOSSB-GOJKSUSPSA-N 9-cis,11-trans-octadecadie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O JBYXPOFIGCOSSB-GOJKSUSPSA-N 0.000 description 1
- 241001466460 Alveol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72525 Anas platyrhyncho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37 Animal f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087 Apium graveolen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849 Apium graveolens Dulce Group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591 Appi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71566 Av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0832 Ayo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98 Beta-gluca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3690 Bos tau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2791 Brassica nap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299 Brassica oleracea var botryt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3259 Brassica oleracea var. botryt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977 Brassica sinapistr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01150116295 CAT2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100326920 Caenorhabditis elegans ctl-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100494773 Caenorhabditis elegans ctl-2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255 Carthamus tinctori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20518 Carthamus tinctori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GHOKWGTUZJEAQD-UHFFFAOYSA-N Chick antidermatitis factor Natural products OCC(C)(C)C(O)C(=O)NCCC(O)=O GHOKWGTUZJEA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EXZGXHMUGYJMC-UHFFFAOYSA-M Chloride anion Chemical compound [Cl-] VEXZGXHMUGYJMC-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41000207199 Cit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699800 Cricetin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244 Cucurbita mosch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854 Cucurbita mosch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804 Cucurbita pepo subsp pep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AUNGANRZJHBGPY-UHFFFAOYSA-N D-Lyxoflavin Natural products OCC(O)C(O)C(O)CN1C=2C=C(C)C(C)=CC=2N=C2C1=NC(=O)NC2=O AUNGANRZJHBGP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ZZZCUOFIHGPKAK-UHFFFAOYSA-N D-erythro-ascorbic acid Natural products OCC1OC(=O)C(O)=C1O ZZZCUOFIHGPKA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OOLISFMXDJSKH-UHFFFAOYSA-N DL-menthol Natural products CC(C)C1CCC(C)CC1O NOOLISFMXDJSK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2000002322 Egg Prote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00912 Egg 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WEEGYLXZBRQIMU-WAAGHKOSSA-N Eucalyptol Chemical compound C1C[C@H]2CC[C@]1(C)OC2(C)C WEEGYLXZBRQIMU-WAAGHKOSSA-N 0.000 description 1
- 101100112369 Fasciola hepatica Cat-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9109 Fc receptor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87819 Fc receptor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0699694 Gerbillin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8091020100 Gingipain Cysteine Endopeptid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8010024636 Glutathio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907 Guar gu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2139 Halit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88 Hemi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DGAQECJNVWCQMB-PUAWFVPOSA-M Ilexoside XXIX Chemical compound C[C@@H]1CC[C@@]2(CC[C@@]3(C(=CC[C@H]4[C@]3(CC[C@@H]5[C@@]4(CC[C@@H](C5(C)C)OS(=O)(=O)[O-])C)C)[C@@H]2[C@]1(C)O)C)C(=O)O[C@H]6[C@@H]([C@H]([C@@H]([C@H](O6)CO)O)O)O.[Na+] DGAQECJNVWCQMB-PUAWFVPOSA-M 0.000 description 1
- PWKSKIMOESPYIA-BYPYZUCNSA-N L-N-acetyl-Cysteine Chemical compound CC(=O)N[C@@H](CS)C(O)=O PWKSKIMOESPYIA-BYPYZUCNSA-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322 Lens culin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UPYKUZBSLRQECL-UKMVMLAPSA-N Lycopene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1C(=C)CCCC1(C)C)C=CC=C(/C)C=CC2C(=C)CCCC2(C)C UPYKUZBSLRQECL-UKMVMLAPSA-N 0.000 description 1
- JEVVKJMRZMXFBT-XWDZUXABSA-N Lycophyll Natural products O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O)\C)\C)/C)\C)/C)\C)/C)/C JEVVKJMRZMXFBT-XWDZUXABSA-N 0.000 description 1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20225 Ma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430 Malus pumi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03 Malus silvest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15 Mucilag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1000699670 Mus sp.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339 Mustel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OVBPIULPVIDEAO-UHFFFAOYSA-N N-Pteroyl-L-glutaminsaeure Natural products C=1N=C2NC(N)=NC(=O)C2=NC=1CNC1=CC=C(C(=O)NC(CCC(O)=O)C(O)=O)C=C1 OVBPIULPVIDEA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1100005271 Neurospora crassa (strain ATCC 24698 / 74-OR23-1A / CBS 708.71 / DSM 1257 / FGSC 987) cat-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100005280 Neurospora crassa (strain ATCC 24698 / 74-OR23-1A / CBS 708.71 / DSM 1257 / FGSC 987) cat-3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100126846 Neurospora crassa (strain ATCC 24698 / 74-OR23-1A / CBS 708.71 / DSM 1257 / FGSC 987) katG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PVNIIMVLHYAWGP-UHFFFAOYSA-N Niacin Chemical compound OC(=O)C1=CC=CN=C1 PVNIIMVLHYAWG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817 Olea europa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5157 Or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3973 Oryctolagus cunicu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134552 Plantago ov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421 Plantago ov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162745 Porphyromonas gul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ZLMJMSJWJFRBEC-UHFFFAOYSA-N Potassium Chemical compound [K] ZLMJMSJWJFRBE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9223 Psyll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00159 Ratt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294 Resistant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1890 Ribes hudsonian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954 Ribes hudsonian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466 Ribes nigr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MEFKEPWMEQBLKI-AIRLBKTGSA-N S-adenosyl-L-methioninate Chemical compound O[C@@H]1[C@H](O)[C@@H](C[S+](CC[C@H](N)C([O-])=O)C)O[C@H]1N1C2=NC=NC(N)=C2N=C1 MEFKEPWMEQBLKI-AIRLBKTGSA-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3829 Sorghum propinqu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684 Sorghum sacchara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887 Su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JZRWCGZRTZMZEH-UHFFFAOYSA-N Thiamine Natural products CC1=C(CCO)SC=[N+]1CC1=CN=C(C)N=C1N JZRWCGZRTZMZE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844 Thym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0851 Vaccinium corymbos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095 Vaccinium corymbos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1717 Vaccinium macrocarpo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545 Vaccinium macrocarp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537 Vaccinium myrtill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118 Vaccinium oxycocc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922 Vigna radi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721 Vigna radiata var radi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469 Vigna radiata var sublob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19094 Vit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FPIPGXGPPPQFEQ-BOOMUCAASA-N Vitamin A Natural products OC/C=C(/C)\C=C\C=C(\C)/C=C/C1=C(C)CCCC1(C)C FPIPGXGPPPQFEQ-BOOMUCAASA-N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779 Vitamin B12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68 Vitamin C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316 Vitamin D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QYSXJUFSXHHAJI-XFEUOLMDSA-N Vitamin D3 Natural products C1(/[C@@H]2CC[C@@H]([C@]2(CCC1)C)[C@H](C)CCCC(C)C)=C/C=C1\C[C@@H](O)CCC1=C QYSXJUFSXHHAJI-XFEUOLMDSA-N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448 Vitamin K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HCHKCACWOHOZIP-UHFFFAOYSA-N Zinc Chemical compound [Zn] HCHKCACWOHOZI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308 acetylcyste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513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570 ademetion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73 a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OENHQHLEOONYIE-UKMVMLAPSA-N all-trans beta-carotene Natural products CC=1CCCC(C)(C)C=1/C=C/C(/C)=C/C=C/C(/C)=C/C=C/C=C(C)C=CC=C(C)C=CC1=C(C)CCCC1(C)C OENHQHLEOONYIE-UKMVMLAPSA-N 0.000 description 1
- FPIPGXGPPPQFEQ-OVSJKPMPSA-N all-trans-retinol Chemical compound OC\C=C(/C)\C=C\C=C(/C)\C=C\C1=C(C)CCCC1(C)C FPIPGXGPPPQFEQ-OVSJKPMP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28 animal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91 aromat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5070 ascorb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23 ascorb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68 ascorb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556 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4000052616 bacterial pathoge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734 beta-carote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48 beta-carot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TUPZEYHYWIEDIH-WAIFQNFQSA-N beta-carotene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1=C(C)CCCC1(C)C)C=CC=C(/C)C=CC2=CCCCC2(C)C TUPZEYHYWIEDIH-WAIFQNFQ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747 betacarote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22 bi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685 biot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958 biot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16 bio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14 blueberri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185 bone marrow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72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577 caloric intak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466 caroteno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47 caroteno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421 cell wa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25 chem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55 chew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11 chew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231 chol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OEYIOHPDSNJKLS-UHFFFAOYSA-N choline Chemical compound C[N+](C)(C)CCO OEYIOHPDSNJKL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5233 cineol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971 citrus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FDJOLVPMNUYSCM-WZHZPDAFSA-L cobalt(3+);[(2r,3s,4r,5s)-5-(5,6-dimethylbenzimidazol-1-yl)-4-hydroxy-2-(hydroxymethyl)oxolan-3-yl] [(2r)-1-[3-[(1r,2r,3r,4z,7s,9z,12s,13s,14z,17s,18s,19r)-2,13,18-tris(2-amino-2-oxoethyl)-7,12,17-tris(3-amino-3-oxopropyl)-3,5,8,8,13,15,18,19-octamethyl-2 Chemical compound [Co+3].N#[C-].N([C@@H]([C@]1(C)[N-]\C([C@H]([C@@]1(CC(N)=O)C)CCC(N)=O)=C(\C)/C1=N/C([C@H]([C@@]1(CC(N)=O)C)CCC(N)=O)=C\C1=N\C([C@H](C1(C)C)CCC(N)=O)=C/1C)[C@@H]2CC(N)=O)=C\1[C@]2(C)CCC(=O)NC[C@@H](C)OP([O-])(=O)O[C@H]1[C@@H](O)[C@@H](N2C3=CC(C)=C(C)C=C3N=C2)O[C@@H]1CO FDJOLVPMNUYSCM-WZHZPDAFSA-L 0.000 description 1
- 229940110767 coenzyme Q10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6834 complement receptor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47295 complement receptor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40108924 conjugated linole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343 cottonseed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634 cranber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84 crude f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28 culture superna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65 dairy produc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7 de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23487 dental product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1 depo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872 dietary supplem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51 drink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188 drinking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75 dy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927 edible pla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45 egg yo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67 final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0304 fol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2 fol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24 fol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41 food compon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17 food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 for example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70 gener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180 glutathio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21 grap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19 gre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433 growing bod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2010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65 guar g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17 guar g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154 guar gum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005740 hexametaphosph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6 highly visc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003 hoof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28996 humoral immune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87 hyd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71 hyd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03 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062 hydroly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0 hydroly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01 hydroly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73 immune recogn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8993 immune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87 immune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348 incor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5181 infectiou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8709 inflammatory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0 iod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30 iod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374 legum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OYHQOLUKZRVURQ-IXWMQOLASA-N linole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 OYHQOLUKZRVURQ-IXWMQOLASA-N 0.000 description 1
- AGBQKNBQESQNJD-UHFFFAOYSA-M lipoate Chemical compound [O-]C(=O)CCCCC1CCSS1 AGBQKNBQESQNJD-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36 lipo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680 lute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5375 lute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656 lute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KBPHJBAIARWVSC-RGZFRNHPSA-N lutein Chemical compound C([C@H](O)CC=1C)C(C)(C)C=1\C=C\C(\C)=C\C=C\C(\C)=C\C=C\C=C(/C)\C=C\C=C(/C)\C=C\[C@H]1C(C)=C[C@H](O)CC1(C)C KBPHJBAIARWVSC-RGZFRNHPSA-N 0.000 description 1
- ORAKUVXRZWMARG-WZLJTJAWSA-N lutein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1=C(C)CCCC1(C)C)C=CC=C(/C)C=CC2C(=CC(O)CC2(C)C)C ORAKUVXRZWMARG-WZLJTJAW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661 lycope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999 lycope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751 lycop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OAIJSZIZWZSQBC-GYZMGTAESA-N lycope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 OAIJSZIZWZSQBC-GYZMGTAE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WPBNNNQJVZRUHP-UHFFFAOYSA-L manganese(2+);methyl n-[[2-(methoxycarbonylcarbamothioylamino)phenyl]carbamothioyl]carbamate;n-[2-(sulfidocarbothioylamino)ethyl]carbamodithioate Chemical compound [Mn+2].[S-]C(=S)NCCNC([S-])=S.COC(=O)NC(=S)NC1=CC=CC=C1NC(=S)NC(=O)OC WPBNNNQJVZRUHP-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984 mast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77 mast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40041616 menth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07 metabol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01 m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0194 mouth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05 nearly free electron approxi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642 negative contr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72 neutra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512 nicoti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968 nicoti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64 nicotin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895 oat fib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611 ovaria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43 oven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29 palatabilit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55726 pantothe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61 pantothe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3 pantothen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72 p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SHUZOJHMOBOZST-UHFFFAOYSA-N phylloquinone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CC1=C(C)C(=O)c2ccccc2C1=O)C SHUZOJHMOBOZ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20 pilot scale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19 plant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06 plaque accu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05 plaque 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92 pos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91 potas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0 potas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73 potato produc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15 potato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55 preserva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529 probio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0687 psyllium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36 pumpk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160 pyridox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77 pyridox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57 reac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NPCOQXAVBJJZBQ-UHFFFAOYSA-N reduced coenzyme Q9 Natural products COC1=C(O)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O)=C1OC NPCOQXAVBJJZB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254 resistant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477 riboflav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92 riboflav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51 riboflav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YGSDEFSMJLZEOE-UHFFFAOYSA-M salicylate Chemical compound OC1=CC=CC=C1C([O-])=O YGSDEFSMJLZEOE-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860 salicyl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102 sea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91258 selenium supplement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589 serological 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966 seru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8 so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4 so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687 soy isoflavon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870 specific bi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02 supplemen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747 swallow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85 targe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080 taur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25 therapeu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560 therapeutic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7 thiam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495 thiam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21 thiam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KYMBYSLLVAOCFI-UHFFFAOYSA-N thiamine Chemical compound CC1=C(CCO)SCN1CC1=CN=C(C)N=C1N KYMBYSLLVAOCF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663 thioct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0790 thym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802 tocotrienol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1 tocotrien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48 tocotrieno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331 toxic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88 tox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ZCIHMQAPACOQHT-ZGMPDRQDSA-N trans-isorenieratene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1c(C)ccc(C)c1C)C=CC=C(/C)C=Cc2c(C)ccc(C)c2C ZCIHMQAPACOQHT-ZGMPDRQDSA-N 0.000 description 1
- KBPHJBAIARWVSC-XQIHNALSSA-N trans-lutein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1=C(C)CC(O)CC1(C)C)C=CC=C(/C)C=CC2C(=CC(O)CC2(C)C)C KBPHJBAIARWVSC-XQIHNALS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35936 ubiquino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4 vap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6 vapor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5 vitamin 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9 vitamin 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63 vitamin B12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5 vitamin B12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4 vitamin C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8 vitamin 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66 vitamin 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0 vitamin 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710 vitamin D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68 vitamin K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2 vitamin 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721 vitamin K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40045997 vitamin a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011671 vitamin b6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046008 vitamin d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046010 vitamin k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41 volatil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36 wet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FJHBOVDFOQMZRV-XQIHNALSSA-N xanthophyll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1=C(C)CC(O)CC1(C)C)C=CC=C(/C)C=CC2C=C(C)C(O)CC2(C)C FJHBOVDFOQMZRV-XQIHNALS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1 zin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5 zin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OENHQHLEOONYIE-JLTXGRSLSA-N β-Carotene Chemical compound CC=1CCCC(C)(C)C=1\C=C\C(\C)=C\C=C\C(\C)=C\C=C\C=C(/C)\C=C\C=C(/C)\C=C\C1=C(C)CCCC1(C)C OENHQHLEOONYIE-JLTXGRSL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23K10/22—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from fish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23K10/26—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from waste material, e.g. feathers, bones or skin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42—Amino acids; Derivatives thereof
- A23K20/147—Polymeric derivatives, e.g. peptides or protei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58—Fatty acids; Fats; Products containing oils or fa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63—Sugars; Polysaccharid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23K40/2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by moulding, e.g. making cakes or briquett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23K40/25—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by extrusion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4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carnivorous animals, e.g. cats or dogs
- A23K50/42—Dry feed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7—Re-use of by-products of food processing for fodder produc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6/00—Food or edible material: processes, compositions, and products
- Y10S426/805—Pet food for dog, cat, bird, or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Dental Preparations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적어도 약 30%의 침투율을 가지며,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중량 기준으로, 적어도: a. 약 15% 내지 약 30% 범위의 양의 단백질 공급원, b. 약 5% 내지 약 15% 범위의 양의 지방, c. 약 35% 내지 약 65% 범위의 양의 전분, 및 d. 약 3% 내지 약 12% 범위의 양의 총 식이섬유 공급원을 포함하는 저밀도 건조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은 또한 구강 위생을 개선하기 위한 상기 개시내용물의 사용 방법,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치아 위생에 관한 것이다. 보다 특히, 본 개시내용은 동물, 예를 들어, 반려 동물의 치아 위생을 개선하기 위한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지난 수십년 동안 점점 더 많은 연구가 가축, 특히 개 및 고양이의 수명에 있어서 구강 건강, 특히 치아 건강의 중요성을 밝혀내었다.
많은 가축이 치아 건강 문제로 고통받고 있다.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는 주 요인은 치아 표면에 플라크가 형성되는 것이다. 플라크는 세균, 및 치아 표면에 부착되는 다른 성분들을 함유하고 있다. 이러한 요소들은 잇몸선 위와 아래 모두에 축적되어 염증, 또는 치은염, 및 충치의 악취를 유발한다. 치석 또는 결석의 형성도 이러한 문제에 기여한다. 치석은 잇몸선 주변의 치아 표면에 형성되며 플라크가 추가로 축적되는 출발점이 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구강 위생의 결여는, 세균이 서식하고 결국 잇몸 염증을 유발하는 플라크 침착 및 치석 형성을 야기한다.
따라서, 반려동물의 구강 건강 상태를 개선하고, 특히 치아 및/또는 잇몸 문제의 발병을 예방하는데 유용한 간식 및 사료 제품에 대한 반려동물 소유자들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반려동물의 구강 건강 관리는 결과적으로 수의사의 일상적인 업무에 점점 증가하는 부분 및 반려동물 사료 제조업체의 계속 커지는 우선순위가 되었다.
야생 동물은, 치아에서 플라크 및 치석을 기계적으로 제거하는, 그들이 섭취하는 먹이로 인해 반려동물보다 플라크 및 치석 형성에 덜 취약하다. 그러나, 반려동물에 의해 소비되는 상업용 사료는, 통상적으로 영양학적 관점에서 훨씬 더 좋지만, 치아를 깨끗하게 하기에 충분한 연마력을 반려동물의 치아에 가할 수 없다. 건조 키블(kibble)조차도 칫솔질 효율 측면 및 키블과 효과적으로 접촉하는 치아 표면 측면 모두에서 매우 제한된 정도로만 치아를 마모시키는데, 이는 대부분 건조 키블이 통상적으로 반려동물이 씹을 때 부서지기 때문이다.
반려동물의 치아 건강을 개선하기 위해 칫솔, 치아 스프레이, 또는 치약의 사용과 같은 다양한 방법을 반려동물 소유자들이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도구를 사용하는 것은 반려동물에게나 그의 소유자에게나 매우 불편할 수 있다. 반려동물에게 날 뼈, 발굽 또는 심지어 뿔을 제공하여 야생동물이 그들의 치아를 깨끗하게 하는 방식을 부분적으로 재현하는 것은 모두에게 접근가능한 것은 아니며, 심지어 이것들이 구강 천공 부상을 유발하거나 심지어 치아를 부러뜨릴 수 있기 때문에 수의사에게 충고를 들을 수 있다. 개에게 각얼음을 주는 것에도 같은 위험이 존재한다.
씹는 장난감 및 개껌도 반려동물에게 양호한 구강 건강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는 방법으로서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효과는 제한되고, 사료에 더해 추가로 드는 이들의 비용은 장기적으로 또는 단기적으로도 매우 높아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치아 건강 개선 성질을 갖는 키블 및 간식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제품은 실제로 반려동물 치아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그 효율성은 제한적이다. 특히 키블, 보다 특히 건조 키블은 너무 무르고 따라서 씹었을 때 부서진다. 게다가 이들은 치아의 작은 부분과만 접촉하므로 이 부분에만 작용하여, 치아의 나머지 부분은 처리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개선된 구강 건강/위생 효율, 특히 개선된 치아 건강 효율을 갖는 키블, 특히 건조 키블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개선된 치태 감소 효과를 갖는 키블, 특히 건조 키블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개선된 치은염 감소 효과를 갖는 키블, 특히 건조 키블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개선된 치석 감소 효과를 갖는 키블, 특히 건조 키블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개선된 입냄새 감소 효과를 갖는 키블, 특히 건조 키블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그것을 섭취하는 반려동물의 치아와 접촉이 증가된 키블, 특히 건조 키블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무르지 않으면서 개선된 치아 건강 효율을 갖는 키블, 특히 건조 키블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너무 무르지 않으면서 개선된 치아 건강 효율을 갖는 키블, 특히 건조 키블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개시내용은 상기 필요 전부 또는 일부를 충족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개시된 발명의 요지의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설명에서 제시될 것이며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할 뿐 아니라, 개시된 발명의 요지의 실행에 의해 학습될 것이다. 개시된 발명의 요지의 추가의 이점은 본원의 기재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 특별히 지적된 실시양태에 의해 실현되고 달성될 것이다.
첫 번째 양태에 따라서, 본 개시내용은 적어도:
a.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약 15 중량% 내지 약 30 중량% 범위의 양의 단백질 공급원,
b.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약 5 중량% 내지 약 15 중량% 범위의 양의 지방,
c.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약 35 중량% 내지 약 65 중량% 범위의 양의 전분, 및
d.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약 3 중량% 내지 약 12 중량% 범위의 양의 총 식이 섬유
를 포함하고, 적어도 약 30%의 침투율을 갖는 저밀도 건조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약 30% 내지 약 75%, 특히 약 35% 내지 약 65%, 보다 특히 약 35% 내지 약 60%의 침투율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약 18 중량% 내지 약 25 중량% 범위의 양의 단백질 공급원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의 단백질 공급원은 식물 및 동물 단백질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특히:
- 상기 식물 단백질 공급원은 콩, 병아리콩, 완두콩, 옥수수 글루텐, 렌틸콩 및 보리 식물 단백질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보다 특히는 옥수수 글루텐 식물 단백질이고;
- 상기 동물 단백질 공급원은 가금류, 소고기, 닭고기, 닭육분, 양고기, 양육분, 건조란, 어류, 어분, 육골분, 고기 부산물, 곤충, 및 육분 동물 단백질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보다 특히는 가금류 동물 단백질이다.
특히,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의 단백질 공급원은 옥수수 글루텐 식물 단백질 및 가금류 동물 단백질일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 중 동물 단백질 대 식물 단백질의 비는 1/2 내지 2/1일 수 있으며, 특히 2/1이다.
본 개시내용의 한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약 5 중량% 내지 약 15 중량%, 보다 특히 약 5 중량% 내지 약 12 중량% 범위의 양, 특히 약 8 중량% 내지 약 12 중량%의 양으로 지방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의 지방 공급원은 돼지고기 지방, 돼지고기 라드(lard), 가금류 지방, 닭고기 지방, 소고기 지방, 양고기 지방, 어유 및 해바라기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특히 돼지고기 지방이다.
본 개시내용의 한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약 35 중량% 내지 약 65 중량%, 특히 약 37 중량% 내지 약 55 중량% 범위의 양으로 전분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 내의 전분 공급원은 밀, 보리, 타피오카, 밀가루, 옥수수 가루, 쌀, 감자, 완두콩 및 귀리 전분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특히 밀, 밀가루 및 옥수수 가루 전분에서 선택된다.
본 개시내용의 한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약 4 중량% 내지 약 10 중량%, 특히 약 5 중량% 내지 약 8 중량% 범위의 양으로 총 식이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 중 섬유 공급원은 비트 펄프, 콩껍질, 밀기울, 셀룰로스, 치커리, 옥수수, 쌀겨, 통곡물 귀리 및 통곡물 보리 섬유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보다 특히는 치커리 섬유이다.
본 개시내용의 한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약 2 중량% 내지 약 10 중량%, 특히 약 3 중량% 내지 약 9 중량%, 보다 특히는 약 5 중량% 내지 약 6.5 중량% 범위의 양으로 회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특히 약 100 g/L 내지 약 250 g/L 범위의 부피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한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약 2 중량% 내지 약 11 중량%, 특히 약 5 중량% 내지 약 11 중량%, 특히 약 8 중량% 내지 약 11 중량% 범위의 양의 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한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또한 치석 감소, 치태 감소, 치은염 감소 및/또는 입냄새 감소를 증대시키기 위한 다른 기계적 또는 또한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활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활성 성분은, 제한하지 않고, 폴리포스페이트 또는 폴리포스페이트 유도체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전호화 전분을 포함하지 않는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글리세롤을 포함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특히, 약 5 mm 내지 약 14 mm의 너비 및 약 8 mm 내지 약 20 mm의 길이의 직사각형 기부(rectangular base)를 갖는 실질적으로 자갈(cobbled) 또는 포장된(paved) 형태, 특히, 약 5 mm 내지 약 14 mm의 너비 및 약 8 mm 내지 약 20 mm의 길이의 직사각형 기부를 갖는 실질적으로 자갈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특히 약 7 mm 내지 약 30 mm, 특히 약 8 mm 내지 약 25 mm, 보다 특히는 약 10 mm 내지 약 20 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특히 키블이다.
또 다른 양태에 따라서, 본 개시내용은 또한 구강 건강의 개선 및/또는 유지에 사용하기 위한 저밀도 건조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특히, 본 개시내용은 치아 건강의 개선 및/또는 유지에 사용하기 위한 저밀도 건조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치태, 치은염, 치석 및 입냄새로부터 선택된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저밀도 건조 사료 조성물 및 본 개시내용에 따른 그의 구현은 동물, 동물, 특히 비-인간 포유동물, 보다 특히 반려동물, 특히는 고양이 또는 개를 위한 것이다.
상세한 설명
정의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들은 일반적으로, 본 개시내용의 맥락 안에서 및 각각의 용어가 사용되는 특정 맥락에서, 당해 분야에서의 상기 용어의 통상적인 의미를 갖는다. 특정 용어는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 및 방법 및 이를 제조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는데 추가의 지침을 제공하기 위해 하기에 또는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논의된다. 하기의 정의는 청구범위를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 대해 제공된다.
용어 "약" 또는 "대략적으로"는 당해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결정되는 바와 같은 특정 값에 대해 허용되는 오차 범위 이내를 의미하며, 이는 부분적으로 그 값이 측정되거나 결정되는 방법, 즉, 측정 시스템의 한계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예를 들어, "약"은 당해 분야의 관행에 따라 3개 또는 3개보다 많은 표준 편차 이내를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약"은 주어진 값의 20%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 이하의 범위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특히 시스템 또는 공정과 관련하여, 상기 용어는 값의 한 자리 수 이내, 바람직하게는 5배 이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2배 이내를 의미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효과량"은 치태 감소, 치은염 감소, 치석 감소 및/또는 입냄새 감소에 유리한 영향을 미치기에 충분한 성분, 영양소 또는 작용제의 양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맥락에서, 한 예로, 상기 용어는 구강 건강을 위협하는("OHC") 미생물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기에 충분한 면역글로불린의 양을 의미한다.
본 개시내용에서 "예방하다" 또는 "예방"이란 용어는 해당 현상, 즉 말하자면, 본 개시내용에서는, 앞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질환, 예를 들어, 치태, 치은염, 치석 및 입냄새의 발생 위험 또는 발생 확률의 정도의 감소를 지칭한다.
본문에서, "치료하다" 또는 "치료" 또는 "요법"이란 용어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질환, 상기 병태의 증상을 치료, 치유, 완화, 경감, 변경, 교정, 향상, 개선 또는 영향을 미치거나, 또는 상기 증상, 합병증의 개시를 방지 또는 지연시키거나, 그렇지 않으면 상기 질환의 추후 진전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방식으로 중단 또는 억제할 목적으로 본 개시내용에 따른 조성물을 투여 또는 섭취하는 것을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동물" 또는 "반려동물"이란 용어는 집에서 기르는 개, 고양이, 말, 소, 페릿, 토끼, 돼지, 래트, 마우스, 저빌, 햄스터, 말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가축을 의미한다. 집에서 기르는 개 및 고양이가 반려동물의 특정한 예이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동물 사료", "동물 사료 조성물", "동물 사료 키블", "반려동물 사료", 또는 "반려동물 사료 조성물"이란 용어는 모두 반려동물이 섭취하도록 의도된 조성물을 의미한다. 반려동물 사료는, 제한하지 않고, 키블과 같은, 일일 사료에 적합한 영양적으로 균형잡힌 조성물뿐 아니라, 영양적으로 균형을 이룰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는 보충제 및/또는 간식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영양적으로 균형잡힌"이란 용어는 반려동물 사료와 같은 조성물이, 추가적인 물의 필요를 제외하고, 반려동물 영양 분야에서, 미국 식품의약국 수의학 센터(United State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s Center for Veterinarian Medicine), 미국 사료 관리 당국(American Feed Control Officials Incorporated)과 같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정부 기관을 포함하여, 공인된 당국의 권고에 기반하는 적절한 양 및 비율로 생명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알려진 영양소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내용의 의미에서 "팽화(expanded) 제품"이란, 공기로 채워진 기포가 제품 부피의 적어도 약 50%, 필요한 경우, 부피의 적어도 약 65%, 또는 부피의 적어도 약 80%, 심지어 부피의 약 85%까지 차지하는 벌집모양(alveolate) 제품을 의미한다. 상기 팽화된 구조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제품에 소비자가 좋아하는 바삭바삭한 특성을 부여하며, 이는 필요한 경우 특히 파단력(N으로 나타냄)을 측정하여 정량화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침투율", "침투비" 또는 "침투 비율"이란 용어는 사료 제품내 치아의 침투 거리(밀리미터, mm)와 상응하는 사료 제품의 두께(또한 밀리미터, mm) 사이의 비에 상응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침투율은 당해 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측정 치수이다. 상기 침투율은, 샘플의 전체 두께(mm)에 비해 탐침이 제품 파손 전에 제품 내부로 침투한 거리(mm)의 비를 측정하는 침투 시험에서 수득된다. 침투율은 백분율(%)로 나타낸다. 치과 용도의 경우, 상기 침투율은 제품이 파괴되기 전 제품의 전체 두께에 비해 치아가 제품에 침투할 깊이와 같을 것이다. 목적은 치아 표면을 따라 더 큰 "칫솔질 효과"를 얻기 위해 침투율을 최대화하는 것이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코팅"은, 전형적으로 코어 위에, 표면, 예를 들어, 코어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부분적 또는 완전한 피복을 의미한다. 한 예에서, 코어는, 코어의 일부만 피복되고 코어의 일부는 피복되지 않고 노출되도록 코팅으로 부분적으로 피복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코어는, 전체 코어가 피복되어서 노출되지 않도록 코팅으로 완전히 피복될 수 있다. 그러므로, 코팅은 무시할만한 정도로부터 전체 표면까지 덮을 수 있다. 코팅은 또한, 코팅들의 적층이 존재할 수 있도록 다른 코팅 위에 코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팅 A와 코팅 B가 각각 층을 형성하도록, 코어는 코팅 A로 완전히 코팅될 수 있고, 코팅 A는 코팅 B로 완전히 코팅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코어" 또는 "코어 매트릭스"란 용어는 키블의 미립자 펠릿을 의미하고, 전형적으로 성분들의 코어 매트릭스로부터 형성되며 약 12 중량% 미만의 수분 또는 물 함량을 갖는다. 상기 미립자 펠릿은 코어 위에 코팅을 형성하도록 코팅될 수 있으며, 이는 코팅된 키블일 수 있다. 코어는 코팅이 없을 수 있거나, 부분적인 코팅을 가질 수 있다. 코팅이 없는 한 실시양태에서, 미립자 펠릿은 전체 키블을 포함할 수 있다. 코어는 단백질성 물질, 섬유 물질, 전분, 및 이들의 혼합물 및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코어는 단백질, 섬유 및 전분의 코어 매트릭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키블"은, 전형적으로 키블의 총 중량에 대해 약 20 중량% 미만의 수분 또는 물 함량을 갖는, 동물 사료, 예를 들면, 개 및 고양이 사료의 성분과 같은 미립자 펠릿을 포함한다. 키블은 조직이 딱딱한 것부터 부드러운 것까지 다양할 수 있다. 키블은 내부 구조가 팽화된 것부터 밀집된 것까지 다양할 수 있다. 키블은 압출 공정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블은 코팅 키블로도 불리는 코팅된 키블을 생성하기 위해 코어 및 코팅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용어 "키블"이 사용되는 경우, 상기 용어는 비코팅 키블 또는 코팅 키블을 지칭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압출시키다"는 압출기에 의해, 예를 들면, 압출기를 통해 보내짐으로써 가공된 동물 사료를 의미한다. 압출의 한 실시양태에서, 키블은 압출 공정에 의해 생성되는데, 상기 공정에서는 전분을 포함하여 원료 물질을 열 및 압력하에 압출시켜 펠릿화된 키블 형태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는 코어가 될 수 있다. 어떤 유형의 압출기도 사용할 수 있으며, 그의 비-제한 예는 단축 압출기 및 이축 압출기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 안에서,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 예를 들면, 키블과 관련하여 "대용량 폭기된(aerated)"이란 표현은 다공성 매트릭스를 갖는 조성물을 지칭한다. 상기와 같은 조성물은 약 50% 내지 약 85%, 선택적으로 약 60% 내지 약 75% 범위의 다공성을 갖는다. 다공성은 X-선으로 측정할 수 있다. 다공성은, 키블의 전체 부피에 대한 공극 부피의 분수로(백분율로서) 나타내는, 키블의 공극(즉, "빈") 공간의 척도이다.
"폭기된"(또는 "휘핑된")은 식품 재료 내에 가스의 혼입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가스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공기, 질소, 이산화탄소, 및 그의 가스 혼합물일 수 있다. 가스는 첨가될 수 있거나, 제조 과정의 결과물일 수 있다. 우선적으로, 본 개시내용에 따라서, 가스는, 그에 의해 액체의 일부, 여기서는 반죽의 물의 일부가 가열되어 감압 챔버를 통해 보내진 후에 즉시 비등하는 -또는 순간증발되는- 과정을 의미하는 "순간 증발"로부터 발생하는 공기로 이루어진다. 액체의 일부가 기화되게 하는 것은 압출기 내부와 배출구의 대기압 사이의 압력 감소이다. 이러한 현상은 키블 내에 수많은 작은 기포를 발생시킨다. 폭기된이란 내부에 수많은 기포를 갖는 팽화된 키블을 의미하며, 본 발명자들은 다공성(전술된)을 측정함으로써 내부 "폭기"(조직 자체)를 측정한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건조 사료 조성물" 또는 "건조 사료"란 표현은 조성물/사료의 총 중량에 대해 약 20% 또는 약 20% 미만의 수분 함량,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약 14% 또는 약 14% 미만의 수분 함량을 갖는 사료 또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기와 같은 건조 사료 또는 건조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약 14%보다 훨씬 적은 수분 함량, 예를 들면, 약 1 내지 약 14%의 수분 함량을 가질 수도 있다. 본 개시내용의 건조 사료 조성물의 수분 함량은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임의의 방법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적합한 방법의 한 예는 다음과 같다: 수분 함량 분석은 3 단계로 일어난다: 1. 분석될 샘플의 계량, 2. 103 ℃ ± 2 ℃에서 4시간 ± 5분 동안 오븐 건조, 3. 건조 후 샘플의 계량. 상기 정의는 하나의 특정한 제공 형태로 제한되지는 않지만, 건조 사료 또는 건조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비스킷-유사) 키블, 및/또는 건조 코어 성분의 형태로 제공된다. 예를 들어, 건조 조성물은, 조리될 수 있는 일정한 반죽을 제조하기 위해 성분들을 혼합하고 반죽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건조 반려동물 사료를 생성하는 공정은 통상적으로 베이킹 및/또는 압출에 의해 수행된다. 반죽은 전형적으로, 가압 증기 또는 온수를 사용하여 성분들을 조리하는 팽화기 및/또는 압출기로 불리는 기계로 공급된다. 압출기 내부에서, 반죽은 극압 및 고온하에 존재한다. 이어서, 반죽을 다이(특정 크기와 모양의 구멍)를 통해 밀어 넣은 다음 칼을 사용하여 잘라낸다. 부푼 반죽 조각을 건조기에 통과시켜 수분을 정해진 목표치까지 떨어뜨려 소비까지 사료의 안정성을 확보함으로써, 상기 부푼 반죽 조각은 키블과 같은 건조 제품으로 제조된다. 이어서, 상기 제품/키블에 지방, 오일, 무기질, 비타민, 천연 추출물 혼합물, 향미료를 분무하고, 선택적으로 패키지로 밀봉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 따라서, "저밀도 사료 조성물"이란 표현은 약 250 g/L 이하, 보다 특히는 약 100 g/L 내지 약 250 g/L, 특히 약 100 g/L 내지 약 220 g/L의 부피 밀도를 갖는 조성물을 지칭하는 것이다.
본 개시내용에 따라서, 키블과 같은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과 관련하여 "다공성인" 또는 "다공성"이란 용어는 조성물 내 공극(즉, "빈") 공간의 척도를 지칭하는 것이다. 상기 다공성은 0 내지 1의, 전체 부피에 대한 공극 부피의 분수로서, 또는 0% 내지 100%의 백분율로서 나타낸다.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의 다공성은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임의의 방법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공성은 X-선으로 측정할 수 있다. 다공성은 키블의 전체 부피에 대한 공극 부피의 분수로(백분율로서) 나타내는, 키블내 공극(즉, "빈") 공간의 척도이다.
본 개시내용 안에서,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실질적으로"는 이러한 특징과 대체로 유사하지만 완전히 유사하지는 않은 상기 특징과 관련된 일련의 실시양태들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원통형"은 엄격한 원통뿐 아니라 정확히 직선 평행면 및/또는 정확히 원형 또는 타원형 단면을 갖지 않는 원통도 지칭하는 것이다.
본 개시내용 안에서, "부피 밀도" 또는 "체적 밀도"란 용어는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며, 물질의 압축성 정도를 지칭한다. 본 개시내용의 사료 조성물의 밀도는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임의의 방법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적합한 방법의 한 예로, 부피 밀도는 키블로 채워진 10 리터 포트를 사용하여 측정한 다음 계량할 수 있으며, 따라서 g/L로 나타낸다.
본 개시내용 안에서, 변화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유의미하게"라는 용어는 관찰된 변화가 현저하고/하거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하기에 기재되는 바와 같은 공급원, 성분들 및 구성요소의 목록은 이들의 조합 및 혼합물이 또한 고려되고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도록 나열된다.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양태의 설명에서, 다양한 실시양태 또는 개별 특징들이 개시된다. 통상의 숙련된 전문가에게 자명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실시양태 및 특징의 모든 조합이 가능하며, 이는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실행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양태 및 개별 특징들을 예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내용의 진의 및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다른 변화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자명하듯이, 상기 개시내용에서 교지된 실시양태 및 특징들의 모든 조합이 가능하고 이는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실행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건조 사료 조성물 중 물 함량/수분 함량의 측정 방법
사료 조성물, 특히 키블과 같은 건조 사료 조성물의 물 함량의 분석은 당해 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간단한 3-단계 방법에 기반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 방법은 분석될 샘플의 계량에 이어, 오븐에서 상기 샘플의 건조, 및 최종적으로 건조후 샘플의 계량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에 따른 샘플은 개별적인 키블이다.
동물 사료의 수분 측정에 사용할 수 있는 요건, 사양, 지침 또는 특성을 상술하고 있는 다양한 ISO 규격이 발표되었다(예를 들어,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 ISO 규격 6496:1999 참조)
본 개시내용의 건조 사료 조성물의 다양한 조직 파라미터의 측정 방법
침투 거리 및 침투율
해당 건조 사료 샘플에 침투하여 파열시키는 반려동물 치아(예를 들어, 고양이 또는 개)를 시뮬레이션하는 탐침을 사용하여 건조 사료 조성물(키블)을 파쇄시키는데 필요한 침투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여기에 나타낸다.
보다 특히, 시험 중 4 단계를 확인할 수 있다:
A) 탐침이 300 mm/분의 일정한 속도로 하강하고;
B) 일단 탐침이 사료 샘플(키블) 표면에 접촉하면;
C) 탐침은 키블내에 특정 거리를 침투하여 샘플을 파쇄시키고;
D) 탐침은 샘플 위의 시작 높이로 돌아간다.
따라서, 침투 거리를 측정할 수 있으며, 침투 거리는 샘플이 파열될 때까지의 샘플내 프로브의 침투 거리에 상응한다.
침투 거리는 밀리미터(mm)로 나타낼 수 있다.
게다가, 견고성도 또한 측정한다. 키블을 파쇄하는데 필요한 견고성은 ΔF/Δx로 정의되고, 여기서 ΔF는 힘의 변화이고 Δx는 침투 거리 변화이다. 견고성은 탐침이 사료 샘플에 침투하기 시작할 때 힘-거리 곡선의 기울기에 상응하기 때문에, 상기 단계 B) 후에 측정한다. 상기 견고성은 또한 계산된 침투 곡선의 힘-거리의 도함수에서 최대 피크에 해당한다(가로좌표: 침투 거리(mm) 및 세로좌표: 도함수(N/mm)).
건조 사료 조성물(키블)의 침투 비율(또는 침투율)은 상기 언급한 침투 거리(밀리미터(mm))와 침투 거리를 측정하는데 사용된 해당 사료 조성물의 두께(밀리미터(mm))의 비로 정의된다.
따라서, 침투율이 높을수록, 반려동물이 섭취시 상기 건조 사료 조성물과 효과적으로 접촉하는 반려동물 치아의 표면이 더 크다. 즉, 본 발명의 경우에서, 침투율이 높을수록, 반려동물의 치아를 깨끗하게 하기 위한 시험 건조 사료 조성물의 효과가 더 크다.
두께
건조 사료 조성물(키블) 두께는, 예를 들어, 디지털 캘리퍼를 사용하여 수동으로 측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은 당해 분야의 통상의 숙련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두께는 밀리미터(mm)로 나타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건조 사료 조성물의 부피 밀도의 측정 방법
하기의 방법을 이용하여 본 개시내용에 따른 건조 사료 조성물(키블)의 부피 밀도를 측정할 수 있다.
1 그램 이상의 분해능을 갖는 보정된 저울을 청소하고 수평을 맞춘다. 깨끗하고 건조한 보정된 10 리터 컵(10-L)을 사용하여 저울의 용기 무게를 측정한다. 시험할 키블이 자유롭게 흐르도록 하기에 충분한 최소 직경, 및 키블을 10-L 컵 또는 용기로 보내기 위한 동일한 지점에서의 최대 직경을 갖는 깔때기를, 깔때기의 바닥(배출구)이 막힌 상태에서 10-L 컵의 상단에서 대략 2 인치 위에 배치한다. 깔때기를 10-L보다 약간 더 많은 시험할 키블로 살며시 채운다. 10-L 컵을 깔때기 아래에 두고, 깔때기를 막은 것을 제거하고 키블을 10-L 컵으로 흘러가게 한다. 직선 자(예를 들면, 자 또는 스트라이크 스틱)를 사용하여, 10-L 컵의 상단을 가로질러 상기 직선 자를 부드럽게 미끄러뜨림으로써 과량의 키블을 제거한다. 키블은 10-L 컵의 가장자리와 수평이 되어서는 안된다. 용기 무게를 잰 저울 위에 10-L 컵을 놓고 결과를 기록한다. 부피 밀도는 저울 판독치(그램)를 10-L로 나눈 값이다. 평균을 산출하기 위해 측정을 반복해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
일부 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저밀도 건조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에 따른 조성물은 적어도 약 30%의 침투율을 갖는, 적어도 다음을 포함하는 저밀도 건조 사료 조성물이다:
a.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약 15 중량% 내지 약 30 중량% 범위의 양의 단백질 공급원,
b.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약 5 중량% 내지 약 15 중량% 범위의 양의 지방,
c.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약 35 중량% 내지 약 65 중량% 범위의 양의 전분, 및
d.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약 3 중량% 내지 약 12 중량% 범위의 양의 총 식이 섬유.
본 개시내용의 사료 조성물은 다공성 매트릭스를 포함한다. 조성물의 다공성 매트릭스는 높은 표면적을 제공한다. 이것은, 균일하거나 임의의 크기를 가지면서 다공성 매트릭스 및 그 표면 전체에 다수의 상호연결된 기공들로 분산되어 있는 기공을 규정하는 골격 구조를 포함하는 낮은 부피 밀도의 다공성 매트릭스에 의해 달성된다.
특히, 본 개시내용의 건조 사료 조성물은 약 50% 내지 약 85%의 다공성을 가질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건조 사료 조성물, 예를 들어, 키블은 높은 다공성 수준으로 인해 대용량 폭기된 팽화 조성물이다.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특히 적어도 약 30%의 침투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부 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조성물을 섭취하는 동물의 치아를 마모시키거나 칫솔질하는 우수한 능력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개시내용 조성물의 침투율은 약 30% 내지 약 75%, 특히 약 35% 내지 약 65%, 보다 특히는 약 35% 내지 약 60%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저밀도 조성물이다. 본 개시내용에 따라서 및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약 250 g/L 이하의 부피 밀도를 갖는다.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의 부피 밀도는 약 100 g/L 내지 약 250 g/L, 보다 특히는 약 100 g/L 내지 약 220 g/L, 특히 약 120 g/L 내지 약 220 g/L일 수 있다.
시중의 대부분의 반려동물 사료 제품이 250 g/L보다 높고, 보다 흔히는 300 g/L보다 높거나 심지어 350 g/L의 부피 밀도를 갖는 것을 고려하면, 상기와 같은 부피 밀도는 특히 낮은 것이다.
사용되는 성분뿐 아니라 그 양의 범위, 또한 다공성, 및 조성물의 형태와 같은 여러 요인들이 본 개시내용의 사료 조성물의 부피 밀도에 영향을 미친다.
본 개시내용의 팽화 사료 조성물은 임의의 3차원 형태, 예를 들어, 구 또는 구-유사 형태, 타원형(최대 3개 이상의 직경을 갖는), 원통-유사 형태, 원반-유사 형태, 또는 임의의 다른 3차원 기하학적 형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개시내용의 사료 조성물은 실질적으로 원통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특히 길쭉한 형태를 가지며, 특히 약 8 mm 내지 약 20 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특히,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의 길쭉한 형태는 사각형, 직사각형 또는 마름모꼴과 같이 평행육면체, 또는 실질적으로 평행육면체 종단면을 갖는 길쭉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사료 조성물은 임의의 횡단면 형태를 갖는 임의의 3차원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횡단면 형태는, 예를 들어, 원형 또는 타원형 횡단면 또는 실질적으로 원형 또는 타원형 횡단면을 갖는 형태, 사각형, 직각형 또는 마름모꼴과 같은 평행육면체 또는 실질적으로 평행육면체 횡단면을 갖는 형태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 조성물의 횡단면 형태는 또한 꽃, 하트, 그릇, 개 또는 고양이와 같은 물체, 식물 또는 동물의 형태, 또는 임의의 다른 가능한 형태를 보여주는 윤곽을 나타낼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에 따른 저밀도 건조 사료 조성물은 약 7 mm 내지 약 30 mm, 특히 약 8 mm 내지 약 25 mm, 보다 특히는 약 10 mm 내지 약 20 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팽화 사료 조성물의 크기, 특히 길이 및 두께는, 치아와의 접촉을 증가시키고 개체가 너무 빨리 삼키는 것(이어서 마찰의 기계적 효과를 감소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개시내용에 따른 개체, 특히 반려동물이 조성물을 씹어야하게 하는 정도이다.
더욱이,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저밀도 조성물은 건조한, 즉 건조된 조성물이다. 본 개시내용의 건조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약 15 중량% 미만의 물(또는 수분), 특히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약 2 중량% 내지 약 12 중량%, 보다 특히 약 2 중량% 내지 약 11 중량%, 특히 약 5 중량% 내지 약 11 중량%, 특히는 약 7 중량% 내지 약 11 중량%, 보다 특히는 약 8 중량% 내지 약 11 중량%의 물(또는 수분)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사료 조성물은 영양적으로 완전한 사료이거나 기능성 보충제일 수 있다. 완전 사료는, 단독 급여량으로 공급될 수 있고 추가의 음식 없이(물 외에) 수명을 유지할 수 있는 영양적으로 적절한 동물용 사료이다.
기능성 보충제는 동물 전용 특수 효과를 위한 기능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기능성 성분들이 포함될 수 있다. 기능성 성분으로는 비타민, 무기질, 공액 리놀레산, 항산화제, 미생물, 예시적으로 프로바이오틱 미생물, 상기 미생물의 대사물 또는 배양 상등액과 같은 부분, 이들 중 임의의 것을 함유할 수 있는 식물 추출물, 식이 보충제, 또는 이들의 조합 및 혼합물이 포함될 수 있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기능성 성분 또는 그의 혼합물은 치과 혜택 식단에서 그 특성을 위해 선택된다.
단백질
본 개시내용에 따른 사료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별개의 단백질 공급원(들)을 함유한다. 일반적으로,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사료 조성물, 및 특히 반려동물 사료 조성물은 다수의 단백질 공급원을 포함한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단백질 공급원을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약 15 중량% 내지 약 30 중량% 범위의 양으로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약 15 중량% 내지 약 30 중량% 범위의 단백질 공급원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약 15 중량%, 약 16 중량%, 약 17 중량%, 약 18 중량%, 약 19 중량%, 약 20 중량%, 약 21 중량%, 약 22 중량%, 약 23 중량%, 약 24 중량%, 약 25 중량%, 약 26 중량%, 약 27 중량%, 약 28 중량%, 약 29 중량% 및 약 30 중량%의 단백질 함량을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단백질 공급원을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약 18 중량% 내지 약 25 중량% 범위의 양으로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에 존재하는 단백질은 가수분해되거나 가수분해되지 않을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에 존재하는 단백질은 식물 및 동물 단백질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즉, 식물 및/또는 동물 공급원(들)의 단백질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식물 단백질 및 동물 단백질을 포함한다.
식물 단백질로서, 콩, 병아리콩, 완두콩, 옥수수 글루텐, 쌀, 곤충, 렌틸콩 또는 보리로부터의 식물 단백질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는 식물 단백질은 콩, 병아리콩, 완두콩, 옥수수 글루텐, 곤충, 렌틸콩 및 보리 식물 단백질 및 그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보다 특히, 일부 실시양태에서, 식물 단백질은 옥수수 글루텐 단백질이다.
동물 단백질로서는, 가금류, 소고기, 닭고기, 닭육분, 양고기, 양육분, 건조란, 어류, 어분, 육골분, 고기 부산물, 육분, 칠면조, 혈장 또는 골수로부터의 동물 단백질을 선택할 수 있다. 특히, 동물 단백질은 가금류, 소고기, 닭고기, 닭육분, 양고기, 양육분, 건조란, 어류, 어분, 육골분, 고기 부산물 및 육분 동물 단백질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보다 특히, 동물 단백질은 가금류 단백질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식물 단백질로서 옥수수 글루텐 단백질 및 동물 단백질로서 가금류 단백질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동물 및 식물 단백질을 약 1:4 내지 약 3:1, 특히 약 1:3 내지 약 2:1, 보다 특히 약 2:1 내지 약 1:2 범위의 동물 대 식물 비로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 조성물의 동물 단백질 대 식물 단백질 비는 한 실시양태에서 약 2:1일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에 존재하는 단백질 전부 또는 일부가 가수분해 단백질일 수 있다. 가수분해 단백질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가수분해될 수 있다. 부분 가수분해 단백질은 적어도 95%의 가수분해 단백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8%,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9%의 가수분해 단백질을 함유할 수 있다.
단백질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가수분해시키는 방법은 공지되어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수분해된 단백질은 약 1,000 Da 내지 약 11,000 Da 범위의 분자량을 갖는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약 1,000 Da 내지 약 11,000 Da의 범위는, 예를 들어, 약 1,250 Da, 약 1,500 Da, 약 1,750 Da, 약 2,000 Da, 약 2,250 Da, 약 2,500 Da, 약 2,750 Da, 약 3,000 Da, 약 3,250 Da, 약 3,500 Da, 약 3,750 Da, 약 4,000 Da, 약 4,250 Da, 약 4,500 Da, 약 4,750 Da, 약 5,000 Da, 약 5,250 Da, 약 5,500 Da, 약 5,750 Da, 약 6,000 Da, 약 6,250 Da, 약 6,500 Da, 약 6,750 Da, 약 7,000 Da, 약 7,250 Da, 약 7,500 Da, 약 7,750 Da, 약 8,000 Da, 약 8,250 Da, 약 8,500 Da, 약 8,750 Da, 약 9,000 Da, 약 9,250 Da, 약 9,500 Da, 약 9,750 Da, 약 10,000 Da, 약 10,250 Da, 약 10,500 Da, 및 약 10,750 Da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수분해된 단백질은 약 2,000 Da 내지 약 5,000 Da 범위의 분자량을 갖는다.
지방
일부 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에 따른 사료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별개의 지방 공급원(들)을 함유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지방을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약 5 중량% 내지 약 15 중량% 범위의 양으로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약 5 중량% 내지 약 15 중량%의 지방은, 조성물의 건조 물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5 중량%, 약 5.5 중량%, 약 6 중량%, 약 6.5 중량%, 약 7 중량%, 약 7.5 중량%, 약 8 중량%, 약 8.5 중량%, 약 9 중량%, 약 9.5 중량%, 약 10 중량%, 약 10.5 중량%, 약 11 중량%, 약 11.5 중량%, 약 12 중량%, 약 12.5 중량%, 약 13 중량%, 약 13.5 중량%, 약 14 중량%, 약 14.5 중량% 및 약 15 중량%의 지방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특히,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지방을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약 5 중량% 내지 약 12 중량%, 특히 약 8 중량% 내지 약 12 중량% 범위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지방", "조지방" 또는 "지방 공급원"이란 표현은 임의의 식품에 허용되는 지방 및/또는 오일을 지칭하는 것이다. 본 개시내용에 따른 지방은 유체 형태 및/또는 고체 형태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 따른 조성물은 동물 유래 및/또는 식물 유래 지방을 포함할 수 있다. 지방은 당해 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임의의 적합한 공급원에 의해 공급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목적에 적합한 식물성, 즉 식물 기반 지방 공급원은 제한하지 않고 밀, 해바라기, 홍화, 유채씨, 올리브, 보리지, 아마씨, 땅콩, 블랙커런트씨, 목화씨, 밀싹, 옥수수싹 뿐 아니라 이들 및 다른 식물 지방 공급원으로부터 수득된 오일,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목적에 적합한 동물 지방 공급원은, 예를 들어, 제한하지 않고, 고기, 고기 부산물, 예를 들면, 닭고기 지방, 칠면조 지방, 소고기 지방, 오리고기 지방, 돼지고기 지방, 양고기 지방, 어유, 해산물, 유제품, 계란,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지방은 전적으로 동물 공급원(들)로부터의 지방일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 중의 지방은 돼지고기 지방, 돼지고기 라드, 가금류 지방, 닭고기 지방, 소고기 지방, 양고기 지방, 어유 및 해바라기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특히 돼지고기 지방 및 그의 혼합물이다.
본 개시내용에 따른 사료 조성물의 지방 함량은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임의의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섬유
본 개시내용에 따른 사료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별개의 섬유 공급원(들) 및 섬유 유형을 함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반려동물 사료 조성물은 다수의 섬유 공급원을 포함한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총 식이 섬유를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약 3 중량% 내지 약 12 중량% 범위의 양으로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약 3 중량% 내지 약 12 중량%의 섬유는, 조성물의 건조 물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3 중량%, 약 3.5 중량%, 약 4 중량%, 약 4.5 중량%, 약 5 중량%, 약 5.5 중량%, 약 6 중량%, 약 6.5 중량%, 약 7 중량%, 약 7.5 중량%, 약 8 중량%, 약 8.5 중량%, 약 9 중량%, 약 9.5 중량%, 약 10 중량%, 약 10.5 중량%, 약 11 중량%, 약 11.5 중량% 및 약 12 중량%의 섬유를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특히,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총 식이 섬유를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약 4 중량% 내지 약 10 중량%, 특히 약 5 중량% 내지 약 8 중량% 범위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총 식이 섬유("TDF")는 식용 식물 세포벽 다당류, 리그닌, 및 인간의 소화관 효소에 의한 가수분해에 저항하는 관련 물질의 잔류물이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식이섬유는 식물성 식품의 소화되지 않는 부분을 나타낸다. TDF의 공식 정의는 문헌[Trowell H, Southgate DA, Wolever TM, Leeds AR, Gassull MA, Jenkins DJ. Letter: Dietary fibre redefined. Lancet. 1976;1(7966):967. doi:10.1016/s0140-6736(76)92750-1]에서 발표되었다
TDF는 본원에 그 전체로 참고로 인용된 문헌[Prosky L, Asp NG, Furda I, DeVries JW, Schweizer TF, Harland BF. Determination of total dietray fiber in foods and food products: collaborative study. J Assoc Off Anal Chem. 1985;68(4):677-679]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분석할 수 있다.
가장 일반적인 식이 섬유는 리그닌, 셀룰로스, 헤미셀룰로스, 펙틴, 검 및 저항성 전분(베타-글루칸으로도 지칭됨)이다.
예시적으로, 본 개시내용에 따른 조성물을 구현하는데 적합한 식이 섬유 공급원은 쌀겨, 옥수수 및 옥수수 부산물, 콩껍질, 비트 펄프, 건조 감자 제품, 셀룰로스, 밀기울, 땅콩껍질, 펙틴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총 식이 섬유는 가용성 섬유(발효성 섬유로도 지칭됨) 및 불용성 섬유(비-발효성 섬유로도 지칭됨)를 포함한다. 가용성 섬유는 소장에서의 소화 및 흡수에 저항성이고 대장에서 완전 또는 부분 발효를 겪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불용성 섬유는 소장에서의 소화 및 흡수에 저항성이고 대장에서의 발효에 저항성인 비-전분 다당류로 정의될 수 있다.
실제로, 본 개시내용의 목적에 적합한 가용성 섬유의 공급원은 비트 펄프, 구아검, 치커리 펄프, 치커리 뿌리, 차전자피, 펙틴, 블루베리, 크랜베리, 호박, 사과, 귀리, 콩, 감귤류, 보리, 완두콩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개시내용의 목적에 적합한 불용성 섬유의 공급원은 셀룰로스, 통밀 제품, 밀, 귀리, 옥수수겨, 아마씨, 포도, 셀러리, 녹두, 콜리플라워, 감자 껍질, 과일 껍질, 식물성 껍질, 땅콩껍질, 콩 섬유,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 조성물의 섬유는 비트 펄프, 콩껍질, 밀기울, 셀룰로스, 치커리, 옥수수, 쌀겨, 통곡물 귀리 및 통곡물 보리 섬유,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개시된 조성물의 섬유는 특히 치커리 섬유이다.
본 개시내용의 범위 안에서, "조섬유"("CFIB")란 표현은 식품에 묽은 산 및 알칼리로 표준화 실험실 처리를 한 후에 잔류물로 남는 일종의 식이 섬유를 지칭한다. 상기 처리는 식품 중의 모든 가용성 섬유 및 불용성 섬유의 일부를 용해시킨다. 잔류 또는 조 섬유는 주로 셀룰로스 및 리그닌으로 이루어진다. CFIB는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 문헌[Henneberg, Wilhelm and Friedrich Stohmann, Beitrage Zur Begrundung einer RationelIen Futterung Der Wiederkauer, Vol. I, II, Schwetschke U. Sohn, Brunswick, 1860, 1865]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분석할 수 있다.
탄수화물 또는 NFE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무질소 추출물(Nitrogen Free Extract)(NFE)이란 용어는 본원에 개시된 사료 조성물에 포함된 가용성 탄수화물 분획을 지칭한다. NFE는, 상기 사료 조성물에 존재하는 경우, 가용성 다당류, 전분, 검, 점액질 및 펙틴을 포함한다.
따라서, NFE는,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사료 조성물에 존재할 수도 있는 조섬유 물질내의 불용성 탄수화물 분획을 포함하지 않는다.
전형적으로, 무질소 추출물의 사료 조성물중 함량은 상기 사료 조성물의 전체 건조 물질로부터 다른 성분들(단백질, 지방, 조섬유, 회분) 각각의 함량을 뺌으로써 결정된다.
NFE 또는 탄수화물은 당해 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임의의 적합한 공급원(들)에서 공급될 수 있다. 적합한 NFE 공급원은 전분, 귀리 섬유, 셀룰로스, 땅콩껍질, 비트 펄프, 반숙 쌀, 옥수수 전분, 옥수수 글루텐 가루, 및 이들 공급원의 임의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탄수화물을 공급하는 곡물로는 밀, 옥수수, 보리 및 쌀이 포함되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에 따른 조성물 중 NFE 함량은, 조성물의 건조 물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28 중량% 내지 약 65 중량%, 특히 약 30 중량% 내지 약 60 중량%, 보다 특히 약 40 중량% 내지 약 58 중량%, 특히는 약 45 중량% 내지 약 56 중량%의 범위이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약 28 중량% 내지 약 65 중량%의 NFE는, 조성물의 건조 물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28 중량%, 약 29 중량%, 약 30 중량%, 약 31 중량%, 약 32 중량%, 약 33 중량%, 약 34 중량%, 약 35 중량%, 약 36 중량%, 약 37 중량%, 약 38 중량%, 약 39 중량%, 약 40 중량%, 약 41 중량%, 약 42 중량%, 약 43 중량%, 약 44 중량%, 약 45 중량%, 약 46 중량%, 약 47 중량%, 약 48 중량%, 약 49 중량%, 약 50 중량%, 약 51 중량%, 약 52 중량%, 약 53 중량%, 약 54 중량%, 약 55 중량%, 약 56 중량%, 약 57 중량%, 약 58 중량%, 약 59 중량%, 약 60 중량%, 약 61 중량%, 약 62 중량%, 약 63 중량%, 약 64 중량% 및 약 65 중량%의 NFE를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전분
일부 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추가로 전분을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약 35 중량% 내지 약 65 중량% 범위의 양으로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약 35 중량% 내지 약 65 중량%의 전분은, 조성물의 건조 물질의 총 중량을 약 35 중량%, 약 36 중량%, 약 37 중량%, 약 38 중량%, 약 39 중량%, 약 40 중량%, 약 41 중량%, 약 42 중량%, 약 43 중량%, 약 44 중량%, 약 45 중량%, 약 46 중량%, 약 47 중량%, 약 48 중량%, 약 49 중량%, 약 50 중량%, 약 51 중량%, 약 52 중량%, 약 53 중량%, 약 54 중량%, 약 55 중량%, 약 56 중량%, 약 57 중량%, 약 58 중량%, 약 59 중량%, 약 60 중량%, 약 61 중량%, 약 62 중량%, 약 63 중량%, 약 64 중량% 및 약 65 중량%의 전분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전분을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약 35 중량% 내지 약 65 중량%, 보다 특히 약 35 중량% 내지 약 60 중량%, 특히는 약 37 중량% 내지 약 55 중량% 범위의 양으로 포함한다.
팽화 사료 제품의 바람직한 성질이 사용된 배합물에 의해 나타나는 한, 다양한 전분 유형 및 공급원을 사용할 수 있다.
통곡물, 파쇄 곡물, 가루, 뿌리 및 괴경을 다공성 매트릭스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전분의 공급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적합한 전분 공급원의 예로는 쌀, 양조 쌀(brewer's rice), 옥수수, 보리, 귀리, 밀, 감자, 콩과식물 및/또는 기타 생체고분자가 포함된다. 필요한 경우, 순수하거나 실질적으로 순수한 전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및 기타 전분 공급원을 사용하여 다공성 매트릭스를 생성할 수 있다. 알려진 아밀로스 및 아밀로펙틴 함량을 갖는 전분의 선택은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이용하여 선택할 수 있다. 예로서, 찰옥수수, 쌀 및 수수 전분은 거의 약 100% 아밀로펙틴을 포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대로, 많은 고-아밀로스 전분, 예를 들어, 고-아밀로스 옥수수 전분은 약 75% 이상의 아밀로스 함량을 포함한다. 아밀로스 및 아밀로펙틴 비율은, 선택된 비율의 전분을 갖는 출발 물질을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출발 물질로부터 다양한 전분을 혼합함으로써, 또는 천연 공급원으로부터 수득된 전분에 산-박화 전분, 고-아밀로펙틴 전분 또는 고-아밀로스 전분과 같은 변성 전분을 보충함으로써 선택할 수 있다. 전분은 수분, 단백질 및 지방과 같은 다른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 중의 전분은 천연 전분일 수 있다. 천연 전분은 비-변성 전분이다. 바람직한 천연 전분은 비-변성 곡물 전분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 중의 전분은 밀, 보리, 타피오카, 밀가루, 옥수수 가루, 쌀, 감자, 완두콩 및 귀리 전분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특히 밀, 밀가루 및 옥수수 가루 전분으로부터 선택된다.
실시양태들에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고-아밀로스 전분 또는 전호화 전분을 포함하지 않는다. 아밀로스 고함량 전분은 적어도 40:60,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0:50의 아밀로스 대 아밀로펙틴 비를 갖는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타피오카의 전분을 함유하지 않는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고-아밀로스 전분, 전호화 전분 및 타피오카의 전분을 포함하지 않는다.
회분
본 개시내용에 따른 조성물은 회분(또는 회분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는 회분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약 2 중량% 내지 약 10 중량%, 특히 약 3 중량% 내지 약 9 중량%, 보다 특히 약 5 중량% 내지 약 6 중량%의 범위일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약 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전분은, 조성물의 건조 물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2 중량%, 약 2.5 중량%, 약 3 중량%, 약 3.5 중량%, 약 4 중량%, 약 4.5 중량%, 약 5 중량%, 약 5.5 중량%, 약 6 중량%, 약 6.5 중량%, 약 7 중량%, 약 7.5 중량%, 약 8 중량%, 약 8.5 중량%, 약 9 중량%, 약 9.5 중량% 및 약 10 중량%의 회분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범위 안에서, 회분은 칼슘, 인, 나트륨, 염화물, 칼륨 및 마그네슘과 같은 무기질을 지칭하는 것이다.
면역글로불린(IgY)
조성물은 화학 활성을 갖는 화합물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화합물은, 예를 들어, 실리카, 연마 실리카, 정제 셀룰로스, 해바라기 껍질, 완두콩 껍질,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 화합물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은, 예를 들어, 폴리포스페이트 또는 폴리포스페이트 유도체 및 바람직하게는 헥사-메타포스페이트 또는 나트륨 트라이폴리포스페이트, 또는 정유, 예를 들면, 티몰, 유칼립톨, 멘톨, 마이틸 살리실레이트 또는 임의의 PRN 화합물(플라크 감소 영양소)과 같은, 당해 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임의의 "화학적" 화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은, 예를 들어, 프로바이오틱스, 강황, 오메가 3ss, 뉴클레오티드, XOS 또는 면역글로불린, 바람직하게는 단일클론 또는 다중클론 면역글로불린과 같은 IgY 항체, 또는 치태 감소, 치은염 감소, 치석 감소 및/또는 입냄새 감소에 유리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당해 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임의의 다른 화합물과 같은, 당해 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임의의 "생물학적" 또는 "생화학적" 화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본원에 참고로 인용된 문헌[Rahman A.K.M. Shofiqur, Veterinary Science Development 2011; volume 1:e8 or Kyosuke Yokoyama, Journal of oral Science 2007; volume 49, N°3, p 201-206]).
IgY(난황의 면역글로불린)는 IgG 면역글로불린으로서, 건강한 산란 가금류를 치주 질환을 유발하는 다양한 병원균으로 면역화시켜 많은 상응하는 면역글로불린을 생성하고, 이것을 추출, 분리 및 정제하여 특이성을 수득하는데 사용된다.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한 예로, 상기와 같은 병원균은, 제한하지 않고,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피. 진지발리스) 및/또는 포르피로모나스 굴레(Porphyromonas Gulae)(피. 굴레)와 같은 세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복합 IgY는 치주 질환을 유발하는 다양한 병원균에 특이적 결합 억제 효과를 가지며, 매우 낮은 농도에서도 이들은 효과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고, 병원성 세균만을 억제하며 구강 공생 세균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상기 IgY는 결코 약물-내성 균주 및 이중 감염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화학물질의 독성 부작용을 갖지 않는다.
항원 특이적 IgY를 생성하기 위한 표준 프로토콜은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비-제한 예로서, 암탉을 통상적으로 주사를 통해 표적화 항원에 노출시킨다. 이것은 면역화된 암탉의 혈청내 특이적 IgY의 생성에 이어 산란된 계란의 난황중에 그의 확산에 의해 초기에 스스로를 나타내는 체액성 면역 반응을 촉발한다. 일단 면역 반응이 유도되었으면, IgY의 난소 통과는 약 6 내지 7일이 소요된다(문헌[Bollen et al., 1997]). 난황내 IgY의 풀의 구성은 암탉의 순환 혈액내 상기 구성과 명확하게 관련된다(문헌[Hamal et al., 2006]). 난황 항체의 역할은 그들 자체의 면역계가 완전히 성숙할 때까지 일반적인 조류 병원균에 대해 자손에게 수동적 항체 공급원을 제공하는 것이다. IgY는 짧은 반감기(-36 h)를 가지는데, 이것은 포유동물 IgG의 반감기보다 상당히 더 짧으며, 이러한 특징은 면역 인식을 피하도록 하기 위해 제안된다(문헌[Suartini, 2014}). 면역중재 전략으로서, IgY는 포유동물 IgG에 비해 여러 이점들을 제공한다: i) IgY는 경쟁 분석에서 시험할 때 IgG보다 특이적 항원에 대해 5배까지 더 높은 친화성 및 반응성을 나타내고(문헌[Rahman, 2014]), ii) IgY는 포유동물 보체 또는 Fc 수용체에 결합하거나 이들을 활성화시키지 않고, 단백질 A, G 또는 류마티스 인자에 결합하지 않으므로, 경구 투여시 특히 위장관에서 비-특이적 염증 반응을 유발할 수 없다(문헌[Rahman, 2014]). 더욱이, IgY는 혈청학적 검사에서 포유동물 IgG를 저해하지 않는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사료 조성물은 프로바이오틱스, 강황, 오메가 3ss, 뉴클레오티드, XOS 또는 면역글로불린, 바람직하게는 단일클론 또는 다중클론 면역글로불린과 같은 IgY 항체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에 따른 저밀도 건조 사료 조성물은 효과량의 면역글로불린, 바람직하게는 IgY 항체를 포함한다. 보다 선택적으로, 상기 IgY는 IgY 난분의 일부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추가로 면역글로불린을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약 1 중량%를 초과하지 않는 양, 선택적으로 약 0.9 중량%, 약 0.8 중량%, 약 0.7 중량%, 약 0.6 중량%, 보다 선택적으로 0.5 중량%를 초과하지 않는 양으로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약 0.5%를 초과하지 않는 양의 면역글로불린을 추가로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약 0.4%를 초과하지 않는 양의 면역글로불린을 추가로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약 0.3%를 초과하지 않는 양의 면역글로불린을 추가로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약 0.2%를 초과하지 않는 양의 면역글로불린을 추가로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약 0.1%를 초과하지 않는 양의 면역글로불린을 추가로 포함한다.
비-제한적 예로서,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추가로 면역글로불린을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약 0.001 중량% 내지 약 0.1 중량% 범위의 양으로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약 0.001 중량% 내지 약 0.1 중량%의 면역글로불린은, 조성물의 건조 물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01 중량%, 약 0.002 중량%, 약 0.003 중량%, 약 0.004 중량%, 약 0.005 중량%, 약 0.006 중량%, 약 0.007 중량%, 약 0.008 중량%, 약 0.009 중량%, 약 0.01 중량%, 약 0.011 중량%, 약 0.012 중량%, 약 0.013 중량%, 약 0.014 중량%, 약 0.015 중량%, 약 0.016 중량%, 약 0.017 중량%, 약 0.018 중량%, 약 0.019 중량%, 약 0.02 중량%, 약 0.021 중량%, 약 0.022 중량%, 약 0.023 중량%, 약 0.024 중량%, 약 0.025 중량%, 약 0.026 중량%, 약 0.027 중량%, 약 0.028 중량%, 약 0.029 중량%, 약 0.03 중량%, 약 0.031 중량%, 약 0.032 중량%, 약 0.033 중량%, 약 0.034 중량%, 약 0.035 중량%, 약 0.036 중량%, 약 0.037 중량%, 약 0.038 중량%, 약 0.039 중량%, 약 0.04 중량%, 약 0.041 중량%, 약 0.042 중량%, 약 0.043 중량%, 약 0.044 중량%, 약 0.045 중량%, 약 0.046 중량%, 약 0.047 중량%, 약 0.048 중량%, 약 0.049 중량%, 약 0.05 중량%, 약 0.051 중량%, 약 0.052 중량%, 약 0.053 중량%, 약 0.054 중량%, 약 0.055 중량%, 약 0.056 중량%, 약 0.057 중량%, 약 0.058 중량%, 약 0.059 중량%, 약 0.06 중량%, 약 0.061 중량%, 약 0.062 중량%, 약 0.063 중량%, 약 0.064 중량%, 약 0.065 중량%, 약 0.066 중량%, 약 0.067 중량%, 약 0.068 중량%, 약 0.069 중량%, 약 0.07 중량%, 약 0.071 중량%, 약 0.072 중량%, 약 0.073 중량%, 약 0.074 중량%, 약 0.075 중량%, 약 0.076 중량%, 약 0.077 중량%, 약 0.078 중량%, 약 0.079 중량%, 약 0.08 중량%, 약 0.081 중량%, 약 0.082 중량%, 약 0.083 중량%, 약 0.084 중량%, 약 0.085 중량%, 약 0.086 중량%, 약 0.087 중량%, 약 0.088 중량%, 약 0.089 중량%, 약 0.09 중량%, 약 0.091 중량%, 약 0.092 중량%, 약 0.093 중량%, 약 0.094 중량%, 약 0.095 중량%, 약 0.096 중량%, 약 0.097 중량%, 약 0.098 중량%, 약 0.099 중량% 및 약 0.1 중량%의 면역글로불린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면역글로불린은 IgY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상기 난분의 IgY 중에서의 농도에 따라,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1 중량% 내지 1 중량% 범위의 IgY 함유 난분을 포함한다.
기타 성분
본 개시내용에 따른 조성물은 추가로 하나 이상의 미량 원소(들), 특히 철, 구리, 망간, 아연, 요오드 및 셀레늄으로부터 선택된 미량 원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 따른 조성물은 추가로 하나 이상의 비타민(들), 특히 비타민 A, 비타민 D, 비타민 E, 아스콜브산, 비타민 K, 티아민, 리보플라빈, 판토텐산, 니아신, 피리독신, 엽산, 비오틴, 비타민 B12 및 콜린으로부터 선택된 비타민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에 따른 사료 조성물은 추가로 항산화제 공급원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항산화제"란 표현은 유리 라디칼과 반응하여 그들을 중화시킬 수 있는 물질을 지칭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물질의 예시적인 예로는, 제한하지 않고, 베타-카로틴, 리코펜 및 루테인을 포함한 카로티노이드, 셀레늄, 조효소 Q10(유비퀴논), 토코트리에놀, 콩 이소플라본, S-아데노실메티오닌, 글루타티온, 타우린, N-아세틸시스테인, 비타민 E, 비타민 C, 리포산 및 L-카르니틴이 포함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사료 조성물은 조성물의 건조 물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1 중량% 내지 약 4 중량%의 아르기닌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약 1 중량% 내지 약 4 중량%의 아르기닌은, 조성물의 건조 물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1.25 중량%, 약 1.50 중량%, 약 1.75 중량%, 약 2.00 중량%, 약 2.25 중량%, 약 2.50 중량%, 약 2.75 중량%, 약 3.00 중량%, 약 3.25 중량%, 약 3.50 중량%, 약 3.75 중량%의 아르기닌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추가로 적어도 하나의 향미료, 특히 천연 향미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향미료는 단백질 유래 향미료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글리세롤을 포함하지 않는다.
키블의 제조
본 개시내용의 사료 조성물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다양한 제조 방법의 세부사항은 상이할 수 있고 목적하는 최종 조성물의 범위에 이르도록 수정될 수 있지만,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방법의 한 예는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1) 반죽이 단백질, 섬유, 전분 및 물, 및 상기 반죽 중 단백질, 섬유, 전분 및 물과 혼합되는 임의의 선택적인 액체 첨가제 및/또는 건조 첨가제를 포함하기에 충분한 온도, 전단 및 조건하에 프리컨디셔너(또는 컨디셔너, 여기에서 두 용어는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된다)에서 반죽을 제조하고;
2) (i) 적어도 1개의 구멍을 포함하는 1개의 빈 공동을 갖는 압출물을 생성하기 위해 제1 세트의 조건(압력, 온도, 오리피스 폐쇄) 하에서 압출기 챔버의 다이(들)의 오리피스를 통해 반죽을 통과시켜 반죽을 압출시킨 다음, (ii) 반죽속에 들어있는 수분으로부터 수증기(증기)의 급속한 팽화를 허용하고 압출물 내에 기공을 형성하기 위해 제2 세트의 조건(압력 및 온도) 하에서 압출물을 팽화시키고;
3) 팽화된 압출물을 조각으로 절단하여 분할하고;
4) 상기 조각들을 목적하는 수분 함량으로, 바람직하게는 각 조각의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적어도 15% 이하의 수분으로 건조(주위 기온에서 또는 가열 공정하에) 및/또는 냉각(냉각 공정하에)시키고;
5) 상기 조각을 지방, 건조 향미제(들), 습윤 향미제(들) 및/또는 방향과 같은 추가의 유동성 성분으로 코팅한다.
반죽의 제조는, 적어도, 반죽 덩어리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된 성분들, 예를 들어, 적어도 단백질, 섬유, 전분 및 물을 배합한 다음, 가압하에 압출기에서 혼합하면서 성분들의 혼합물을 충분히 가열하여, 압출시에 전분의 일부가 충분히 호화(조리)되도록 용융된 반죽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프리컨디셔너는 원료 물질이 압출기에 들어가기 전에 원료 물질의 조리 과정을 시작한다. 반죽을 미리 조리하거나 예열하기 위해 통제된 조건하에 프리컨디셔너에서 반죽 또는 반죽의 성분들을 증기 및/또는 물과 혼합하여, 모든 성분들을 반죽으로 혼합하고/하거나, 압출 조리시 목적하는 조건에 맞게 반죽(수화에 의해서와 같은)을 제조할 수 있다. 여기에 오일/지방 및 색소를 포함하는 추가의 액체를 첨가할 수 있다. 프리컨디셔너는 재료를 수화 및 혼합시키는 동안 호화 과정을 시작하도록 높은 증기 및 물의 유량을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충분한 분량의 단백질 및 전분, 예를 들어, 약 15 중량% 내지 약 25 중량%의 단백질 및 약 35% 내지 약 65%의 전분을 배합하여 결속시켜, 압출물이 압출기 다이의 오리피스를 빠져나와 부분적으로 반죽속 기화 수분 및 압력 강하로 인해 팽화가 일어난 후 압출물의 건조 및/또는 냉각시 다공성 매트릭스의 중추 구조를 형성한다.
또한, 가공 조건은 표면 기공의 형성 및 압출물내 공동의 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상기 가공 조건으로는 압출기 속도, 하나 또는 여러 가열 영역에서의 압출기 온도, 일괄혼합된 성분들과 블렌딩된 처리수의 양, 압출기에 공급된 일괄혼합된 성분들의 양, 제품 단위 당 압출기에 의해 생성된 비기계 에너지(SME)의 양, 및 압출기에서 나가는 압출물의 온도(예를 들어, 제품 출구 온도)가 포함될 수 있다. 배합물을 구성하는 성분들은 또한 표면 기공의 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상기 성분들은 쌀, 옥수수, 밀 등과 같은 전분의 선택, 가수분해되거나 가수분해되지 않은 상기와 같은 식물 또는 동물 단백질의 선택, 가금류 지방, 수지, 백색 그리스 등과 같은 지방의 선택, 및 물의 첨가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성분의 수준은 또한 다공성 매트릭스의 표면 기공 형성을 달성하는데 중요할 수 있다.
공정을 시작하기 위해, 성분(들), 예를 들어, 단백질, 섬유, 전분 및 예를 들어, 방부제(BHA)와 같은 기타 선택적인 건조 첨가제 및/또는 습윤 첨가제를 물과 배합하고 프리컨디셔너에서 철저하게 혼합하여 반죽을 생성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성분들은 별도로, 또는 조성물로 배합되어, 물과 배합되기 전에 밀(예를 들어, 해머 밀 또는 기타 밀링 장비)로 적어도 1회 목적하는 크기로 분쇄된다. 상기 작업은 분쇄기에서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성분들은 크기가 1.5 mm 미만일 수 있는 입자로 축소된다.
분쇄된 성분들은 별도로, 또는 조성물로 배합되어, 건식 재료 호퍼 또는 라인에 의해 컨디셔너(또는 프리컨디셔너)에 미리 결정된 공급 속도로 공급된다. 물은 물 또는 증기 라인에 의해 컨디셔너에 미리 결정된 유량으로 공급될 수 있다. 공급 속도 및 유량은 압출 조건하에서의 반죽 및 압출 후 팽화된 다공성 매트릭스의 목적하는 수분함량에 도달하도록 보정될 수 있다.
성분들에 첨가되는 물의 양은 압출되고 팽화될 반죽의 목적하는 수분 함량에 의해 결정된다. 물은 수돗물, 정수 또는 다른 유형의 식수일 수 있다. 압출시 용융된 반죽의 목표 수분량은 반죽의 약 30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컨디셔너에 첨가되는 물의 양은, 예를 들어, 전체 반죽 유량의 약 1% 내지 약 6%,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약 5.5%,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약 5%로 달라질 수 있다.
압출기에 첨가되는 증기수의 양은, 예를 들어, 약 1% 내지 약 5%,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약 5%,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약 4%로 달라질 수 있다.
컨디셔너에서의 혼합 속도는, 예를 들어, 약 70% 내지 약 90%의 범위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 80%일 수 있다.
단백질, 섬유, 전분, 물 및 다른 선택적인 성분들을 혼합하고 이들의 혼합물을 가열하는데 사용되는 장치(들)은 중요하지 않으며, 실질적으로 상기 작업을 달성할 수 있는 어떤 장비도 사용할 수 있다. 매우 점성인 물질에 혼합 및 가열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설계된 장비를 사용할 수 있다. 예로서, 반죽은, 이용가능한 임의의 매우 다양한 컨디셔너(예를 들어, 웽거(Wenger))에서 그 성분들을 혼합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가압하에 가열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반죽을 제조한 후에, 압출기 챔버로 옮긴다. 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컨디셔너와 압출기는 동일한 장치일 수 있으며, 반죽의 제조는 압출기 챔버에서 이루어진다.
프리컨디셔닝 공정으로부터의 반죽은 프리컨디셔너에서 배출되어 압출기로 들어간다. 여기서, 반죽은 압출기를 통해 다이 쪽으로 밀어넣어져 압출물을 생성하고 추가로 다이에 의해 키블로 성형된다. 이 단계동안 염료, 오일, 물 및 증기가 압출기에 첨가될 수 있다. 단축 압출기 또는 이축 압출기와 같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 압출기는 높은 온도, 압력 및 전단을 적용하여 전분 분자의 호화를 유도한다.
압출기를 통과하는 물질의 제어를 허용하는 압출기가 압출물을 생성하는데 적합하다. 예를 들어, 적합한 압출기는, 압출시 충분한 양의 높거나 낮은 전단(예를 들어, 마찰)을 생성하기 위한 높거나 낮은 계단 형태를 갖는 이축일 수 있다. 단축 압출기, 또는 혼합, 가열 및 혼합물을 용융된 반죽으로 생성한 다음 반죽을 다이 또는 다른 오리피스를 통해 압출시키는데 유용한 임의의 장치 또는 장치의 조합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본 블렌더와 같은 다른 형태의 압출기 및 축 구조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반죽이 압출기 내에서 통과하는 동안, 추가의 물 및 증기를 첨가하여 반죽을 다이의 오리피스를 통해 밀어넣을 수 있는 적합한 점조도를 수득할 수 있다.
컨디셔너에 첨가되는 물의 양은, 예를 들어, 전체 반죽 유량의 약 1% 내지 약 6%,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약 5.5%,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약 5%로 달라질 수 있다.
압출기에 첨가되는 증기수의 양은, 예를 들어, 약 1% 내지 약 5%,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약 5%,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약 4%로 달라질 수 있다.
압출시, 혼합물은 전분을 바람직한 중량 퍼센트의 양으로 호화시키기 위한 전단, 압력 및 온도의 조건하에서 압출기에 의해 기계적으로 전단된다. 압출기는 약 50 ℃ 내지 약 140 ℃ 범위의 온도 또는 전분을 호화시키기에 적합한 다른 온도로 설정될 수 있다. 압출기 내에서 반죽의 가공 온도는 반죽에 가해지는 전단으로 인해 더 높을 수 있다. 압출기에 의해 용융 반죽에 적용되는 비기계적 일(SME)의 양은 목적하는 성질을 갖는 다공성 매트릭스를 형성할 수 있는 용융 반죽을 생성하기에 충분해야 한다.
압출기에서 가압하에 놓이는 용융 반죽의 온도는, 반죽이 압출기를 빠져나가면서 압출기에서 용융 반죽에 인가된 압력이 해제될 때 반죽속 물의 기화를 예상할 수 있도록 압출되고 있는 반죽에 존재하는 물의 비점을 초과할 수 있다. 반죽은 미리 결정된 압출 속도로 압출될 수 있다.
압출기 내에서, 반죽은 한 축 또는 다수의 축, 예를 들어, 적어도 1개의 축 또는 2개 이하의 축에 의해, 압출물이 팽화될 수 있도록 반죽 내의 압력을 증가시키기는 속도로 운반될 수 있다. 예로서, 압출기 내의 가공 속도는 약 300 내지 600 rpm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약 400 내지 500 rpm의 범위의 축 속도에 의해 적절하게 달성될 수 있다.
압출기로부터, 용융 반죽을 다이 플레이트, 노즐 또는 배관의 오리피스를 통해 밀어넣어 주변 기압에서 성형된 압출물을 생성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오리피스는 다이 플레이트의 오리피스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다이 플레이트는 적어도 1개의 오리피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6개의 오리피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오리피스의 수는 압출기 챔버 내에 및 반죽 내에 충분한 압력을 유지하도록 조정된다.
오리피스는 압출물의 목적하는 크기 및 형태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멍은 직사각형, 원형, 사각형, 삼각형, 타원형, 또는 다른 대칭 또는 비대칭 형태와 같은 임의의 형태일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실질적으로 원통 형태를 갖는 본 개시내용의 키블은 종방향 압출을 통해 수득된 키블을 의미하는 것이다. 종방향 압출은 압출기 오리피스의 연장부에서의 제품의 팽화를 특징으로 한다.
압출 후에, 팽화된 압출물은 압출기의 오리피스를 나온 직후에 절단 장치(예를 들어, 칼, 절단기, 회전 칼 등)에 의해 길이, 너비 및 높이를 갖는 3차원의 압출물 조각(예를 들어, 펠릿, 키블 등)으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 조성물의 조각 또는 요소의 길이는 압출 속도 및 절단 속도를 맞춤으로써 조정될 것이다.
압출물을 조각으로 분할한 후에, 각각의 조각은 그를 목적하는 수분 함량까지 탈수시키는 건조 과정을 겪을 수 있다. 건조 과정은 조각을 가열 장치(예를 들어, 오븐, 드럼 건조기, 식품 건조기)에서 열에 노출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열은 적외선 복사, 마이크로파 복사, 무선 주파수 복사, 직접적인 열풍, 직접적인 화염, 증기, 전기 열원, 또는 다른 유형의 열원을 포함할 수 있다. 비-제한적 실시양태에서, 열은 약 80 ℃ 내지 약 100 ℃로 약 1분 내지 약 5분동안 적용될 수 있다.
조각을 가열하면 조각이 건조 및 경화되고, 심지어 다공성 매트릭스의 골격 구조내에 포획된 수분의 양(존재하는 경우)에 따라 더 팽화된다.
건조된 압출물 조각은, 적절한 저장 조건에서 무기한으로 저장될 수 있거나, 또는 다공성 매트릭스 내에 유동성 성분을 진공 주입하고/하거나 유동성 성분으로 코팅하기 위한 공정으로 바로 이동될 수 있다. 대안으로, 상기 조각은 주위 공기에 노출시킴으로써 건조될 수 있다.
가열 건조의 부재하에, 압출물 조각은 목적하는 부피 밀도 및 수분 함량에 도달한 후에 냉각 공정에 노출될 수 있다. 냉각 공정은 압출물 조각을 냉각 챔버에 통과시킴으로써 압출물 조각의 압출후 온도를 목적하는 온도로 저하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냉각된 압출물 조각은 또한 적절한 저장 조건에서 무기한으로 저장될 수 있거나, 또는 이들을 주입하고/하거나 유동성 성분으로 코팅하기 위해 진공 주입 공정으로 이송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압출물 조각이 진공 주입 및/또는 코팅 공정 또는 저장을 위해 목적하는 부피 밀도 및 온도에 도달할 수 있도록, 압출물 조각은 건조 공정(가열 또는 주위 공기) 및 이어서 냉각 공정을 거칠 수 있다.
조성물의 사용 방법
일부 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건조 사료 조성물(또는 키블)은 상기 건조 사료 조성물을 섭취하는 개체, 예를 들어, 반려 동물의 구강 건강을 개선 및/또는 유지시킨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개체는 비-인간 포유동물일 수 있으며, 특히 고양이 또는 개와 같은 애완 동물 또는 반려동물이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은 특히 반려동물에서 구강 건강의 개선 및/또는 유지에 사용하기 위한 전술한 바와 같은 저밀도 건조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은 특히 반려동물에서 구강 건강의 개선 및/또는 유지에 비-치료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전술한 바와 같은 저밀도 건조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은 또한 특히 반려동물에서 구강 건강의 개선 및/또는 유지에 적합한 전술한 바와 같은 저밀도 건조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특히, 본 개시내용의 건조 사료 조성물(또는 키블)은 상기 건조 사료 조성물을 섭취하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개체의 치아 건강을 개선 및/또는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목적은 특히 반려동물에서 치아 건강의 개선 및/또는 유지에 사용하기 위한 저밀도 건조 사료 조성물이다.
본 개시내용에 따른 저밀도 건조 사료 조성물은 특히 구강 질환 및 특히 치아 질환 또는 상기 치아 질환으로부터 유발되는 질환을 예방 및/또는 치료하는 우수한 능력을 갖는다.
본 개시내용에 따른 건조 사료 조성물의 섭취를 통해 예방 및/또는 치료될 수 있는 질환은, 예를 들어, 치태, 치은염, 치석 및 입냄새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은 또한 치태, 치은염, 치석 및 입냄새로부터 선택된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저밀도 건조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건조 사료 조성물은 완전 사료 또는 보충제로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보충제이다.
본 개시내용은 또한 개체에 의한 본 개시내용 조성물의 섭취를 포함하는, 개체, 특히 비-인간 포유동물, 보다 특히는 고양이 또는 개와 같은 반려동물에서 구강 건강의 개선 및/또는 유지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특히, 본 개시내용은 또한 개체에 의한 본 개시내용 조성물의 섭취를 포함하는, 개체, 특히 비-인간 포유동물, 보다 특히는 고양이 또는 개와 같은 반려동물에서 치아 건강의 개선 및/또는 유지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은 또한 치태, 치은염, 치석 및 입냄새로부터 선택된 질환을 그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서 예방 및/또는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개체는 특히 비-인간 포유동물, 보다 특히는 반려동물, 예를 들면, 고양이 또는 개이다.
본 개시내용은 또한 개체, 특히 비-인간 포유동물, 보다 특히는 고양이 또는 개와 같은 반려동물에서 구강 건강의 개선 및/또는 유지를 위한 본 개시내용의 저밀도 건조 사료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은 또한 개체, 특히 비-인간 포유동물, 보다 특히는 고양이 또는 개와 같은 반려동물에서 치아 건강의 개선 및/또는 유지를 위한 본 개시내용의 저밀도 건조 사료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은 또한 그를 필요로 하는 개체, 특히 비-인간 포유동물, 보다 특히는 반려동물, 예를 들면, 고양이 또는 개에서 치태, 치은염, 치석 및 입냄새로부터 선택된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본 개시내용의 저밀도 건조 사료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개시내용은 구강 건강을 위협하는(OHC) 미생물을 감소 또는 제거하기에 적합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은 또한, 적어도 그를 필요로 하는 동물에게 본 개시내용에 따른 저밀도 건조 사료 조성물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그를 필요로 하는 동물에서 치태, 치은염, 치석 및 입냄새로부터 선택된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은 또한, 적어도 그를 필요로 하는 동물에게 본 개시내용에 따른 저밀도 건조 사료 조성물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물에서 치아 건강의 개선 및/또는 유지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은 어떤 식으로든 하기의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고, 하기의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더 예시된다:
도 1은 실시예 6에 기재된 바와 같은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사각형, 삼각형 및 원형 형태) 및 대조군을 공급한 15 마리의 개에 대한 식사 시간(초)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실시예 6에 기재된 바와 같은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의 각각의 형태(사각형, 삼각형 및 원형) 및 대조군에 대한 평균 식사 시간(n=15)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95% 신뢰 구간하의 유형 상자그림 표현)이다.
도 3은 실시예 6에 기재된 바와 같은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의 각각의 형태(사각형, 삼각형 및 원형) 및 대조군에 대한 평균 식사 시간(n=15)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오차 막대 유형 산점도 표현)이다.
도 1은 실시예 6에 기재된 바와 같은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사각형, 삼각형 및 원형 형태) 및 대조군을 공급한 15 마리의 개에 대한 식사 시간(초)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실시예 6에 기재된 바와 같은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의 각각의 형태(사각형, 삼각형 및 원형) 및 대조군에 대한 평균 식사 시간(n=15)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95% 신뢰 구간하의 유형 상자그림 표현)이다.
도 3은 실시예 6에 기재된 바와 같은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의 각각의 형태(사각형, 삼각형 및 원형) 및 대조군에 대한 평균 식사 시간(n=15)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오차 막대 유형 산점도 표현)이다.
실시예
실시예 1: 본 개시내용의 키블의 부피 밀도 및 침투율에 대한 사료 조성물의 지방 함량의 영향
본 개시내용에 따른 사료 조성물의 3개의 상이한 배합물을 키블로 제조하였다(조성물 1. 2 및 3).
이들 조성물은 상기에 정의된 바와 동일한 일반적인 공정으로 제조하였다.
따라서, 건조 성분들을 분쇄기에서 분쇄하여 1.5 mm 미만의 입자를 수득하였다. 분쇄된 성분들을 컨디셔너에 도입하고 첨가된 물 및 증기와 혼합하여 반죽을 생성하였다.
이어서, 상기 반죽을 압출기로 옮긴 다음 가압하에 가열하였다. 이어서, 가열된 반죽을 다이 기계를 통해 밀어넣어 팽화된 압출물을 수득한 후 키블로 절단하였다.
본 개시내용에 따른 공정은 당해 분야의 숙련자에게 이용가능한 임의의 압출기를 사용하여 실현할 수 있다. 비-제한 예로서, 상기 공정은 압출기 WENGERX115, X165 또는 X180 X185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특정 실시예의 경우, 컨디셔너에 첨가되는 물의 양은 약 3% 내지 약 5%로 달라질 수 있고, 컨디셔너에 첨가되는 증기수의 양은 약 1% 내지 3%로 달라질 수 있다.
본 특정 실시예의 경우, 압출기에 첨가되는 물의 양은 약 2.5% 내지 약 5%로 달라질 수 있다. 압출기에 첨가되는 증기수의 양은 약 1% 내지 3%로 달라질 수 있다.
본 특정 실시예의 파라미터는 파일럿 규모에서 사용되는 파라미터로 이루어진다. 당해 분야의 숙련자의 일반적인 지식을 고려하여, 상기 파라미터를 임의의 산업 규모에 적합하도록 계산하고 평가할 수 있다.
하기 표 1에 상세히 나와 있는 이들 3개 조성물은 그 지방 함량 면에서 상이하다: 8%, 10% 또는 12%(상응하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중량 기준으로).
원료 물질 |
조성물 1
(총 중량%) |
조성물 2
(총 중량%) |
조성물 3
(총 중량%) |
단백질 | 21 | 21 | 21 |
지방 | 8 | 10 | 12 |
CFIB | 1.6 | 2.1 | 2.1 |
회분 | 5.4 | 5.4 | 5.4 |
NFE | 54.5 | 52 | 50 |
수분 | 9.5 | 9.5 | 9.5 |
수득된 3개 키블 세트의 부피 밀도는 본문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득된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밀도
(g/L) |
|
조성물 1 | 100 |
조성물 2 | 100 |
조성물 3 | 105 |
수득된 결과는 상기 3개 조성물에 대한 것과 유사하였다.
이어서, 각 조성물의 키블들의 침투율을 본문에 상술된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침투율에 대해 수득된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침투율(%) | |
조성물 1 | 39 |
조성물 2 | 40 |
조성물 3 | 35 |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의 특정 범위의 키블중 지방 함량의 변화는 생성된 키블의 부피 밀도 및 침투율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실시예 2: 침투율에 대한 본 개시내용의 사료 조성물 형태의 영향
하기 조성물 4의 키블을 표 4에 따라서 통상적으로 둥근 모양의 키블로 또는 사각형(세로) 모양의 키블로 제조하였다.
원료 물질 |
조성물 4
(총 중량%) |
단백질 | 21 |
지방 | 8 |
CFIB | 2.1 |
회분 | 5.4 |
NFE | 54 |
수분 | 9.5 |
통상적으로, 대부분의 키블은 "방사상" 압출, 즉, 압출기의 배출구에 수직인 제품의 팽화를 이용하여 제조한다.
키블은 또한, 정확히 동일한 조성물을 사용하여, "종방향" 압출, 즉, 압출기의 배출구와 일치하는 제품의 팽화를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이러한 차이는 키블의 내부 조직의 방향의 변화로 이어진다: 압출 전체에 걸쳐 덩어리 중의 성분들의 배열은 수평으로 유도되어, 결과적으로 그 안에 함유된 기포의 상이한 배향으로 이어진다.
키블의 내부 조직의 상기와 같은 변화는 동물이 씹는 방식에 변화를 야기한다. 실제로, 종방향 압출을 통해 키블을 생성하면 섬유 방향에 수직인 저작을 유도하여, 반려동물 치아의 칫솔질을 개선시킨다.
사용된 압출 형태 및 유형이 유일한 차이점인 2개의 상기 언급한 유형의 키블의 침투율은 본문에 상술된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수득된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원형 키블 | 종방향 키블 | |
침투율 (%) | 44.8 | 55.5 |
따라서, 침투율의 24% 증가가 원형에 비해 종방향 키블의 사용에서 관찰되었다.
실시예 3: 침투율에 대한 사료 조성물 수분의 영향
8 중량%(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또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10.5 중량% 양의 물(수분)을 갖는 사각형 형태를 이용하여 표 6에 따라 하기 조성물들의 키블을 제조하였다.
원료 물질 |
조성물 A
(총 중량%) |
조성물 B
(총 중량%) |
단백질 | 21.3 | 20.8 |
지방 | 12.2 | 11.9 |
CFIB | 2.1 | 2.1 |
회분 | 5.4 | 5.4 |
NFE | 51 | 49.3 |
수분 | 8 | 10.5 |
상기 2가지 유형의 키블의 침투율을 본문에 상술된 방법에 따라 측정하고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조성물 A
(수분 8 중량%) |
조성물 B
(수분 10.5 중량%) |
|
침투율 (%) | 45.1 | 56 |
따라서, 침투율의 24%보다 우수한 증가가 8 중량%에서 10.5 중량%로 조성물의 수분 비율의 증가에 따라 관찰되었다.
실시예 4: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 내에서의 면역글로불린 활성 확인
본 연구의 목적은 본 개시내용 조성물의 팽화된 완제품 내에서의 진지페인 항체(면역글로불린 = IgY)의 활성을 조사하는 것이었다. 보다 특히, 표적화된 세균은 선택적으로 피. 진지발리스 및 피. 굴레였다. 실제로, 상기 성분은 다른 제품들(치약 등)에서는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되었지만, 반려동물 사료에서는 결코 그렇지 않았다. 반려동물 사료 공정으로 인한 몇가지 복잡한 특징들(코팅 공정의 온도, 코팅중 산 원료 물질의 첨가..)이 면역글로불린의 활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 따른 키블을 방향, 지방 및 면역화된 난분(IgY 함유)으로 코팅하였다. 완제품의 3개 샘플(샘플 1번, 3번 및 5번)을 ELISA로 분석하여 특이적 진지페인 항체의 유지 활성을 측정하였다. 어떤 코팅 성분도 갖지 않고 면역화된 난분도 갖지 않는 비-코팅 키블(샘플 2번 및 4번)을 ELISA로 분석하고 음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본 개시내용에 따른 조성물의 3개 샘플 1번, 3번 및 5번은 100%에 가까웠으며, 이것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최종 조성물에 함유된 면역글로불린이 활성이어서, 개의 구강 건강에 작용함(= 치태 감소 및 치은염 점수의 감소)을 의미한다.
샘플 이름
(본 개시내용에 따른 키블) |
유지된 특이적 진지페인 항체 활성
(%) |
샘플 1번 키블 | 97.8 |
샘플 2번 키블 | 3.8 |
샘플 3번 키블 | 82.3 |
샘플 4번 키블 | 1 |
샘플 5번 키블 | 90.9 |
실시예 5: 치아 임상 연구
본 연구의 가설은 IgY 난분/PRN(플라크 감소 영양소)/STPP의 화학적 효과와 본 개시내용 조성물의 폭기된 조직의 기계적 효과의 조합이 플라크 및 치석의 축적을 감소시키고 깨끗한-치아 모델에서 입냄새를 예방할 것이며 개에서 치은염과 관련된 세균의 성장을 감소시킬 것이라는 것이다.
1차 목적은, 대조군(로열 캐닌 중성화 성견용 건조사료(Royal Canin Neutered Adult dry))에 비해, 개에게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을 일일 급여량의 10%로 공급함으로써, 치아 건강 개선(다음 효과들 중 적어도 하나의 최소 15%의 감소: 구취와 연관된 방향 화합물 수준, 치은염 점수, 피. 진지발리스 및 피. 굴레 개체수, 플라크 점수, 치석 점수 및 가장 관련된 것: OLF에 의해 검출된 플라크 축적)을 입증하는 것이었다. 2차 목적은 "건강한 잇몸"에 대해 주장하기 위해 식단에 면역화된 난분을 추가하는 것의 가치를 입증하는 것이었다.
15마리 개들의 하나의 군. 각각의 단계는 치석 축적에서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3주간 지속하였다.
각각의 제품(조성물 A, 조성물 B 및 대조군)은 kcal로 일일 할당량의 10%로 제공될 것이다. 보충제는 로열 캐닌 중성화 성견용 건조사료의 90%일 것이다.
조성물 A = IgY 함유 코팅 중 PRN/STPP, 급여량의 10%
조성물 B = IgY 비함유 코팅 중 PRN/STPP, 급여량의 10%
대조군 = 급여량의 10%의 로열 캐닌 중성화 성견용 건조사료
실시예 6: 개에서의 섭취 속도
상이한 형태(사각형, 삼각형 및 원형)를 갖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조성물 3가지 버전 및 1개의 대조군 제품의 식사 시간을 로열 캐닌 사육장으로부터의 15마리 소형견들에서 평가하였다(내부 연구). 4개 제품을 동일한 칼로리 급여량으로 제공하였다: 본 개시내용에 따른 3가지 버전의 조성물(상이한 형태: 사각형, 삼각형, 원형) 및 로열 캐닌 치아용 제품인 1개의 대조군 제품[도면에서 "대조군"으로 지칭]. 각 개의 식사 시간(초)은 정해져 있다. 급여량을 완료한 개들만(N=15) 분석에서 고려하였다.
결과는 도 1, 2, 및 3에 나타내었다. 본 개시내용 조성물의 3가지 형태 사이에 식사 시간 면에서 유의미한 차이는 없지만, 본 개시내용의 3개 버전의 평균과 대조군 제품 사이의 차이는, 동일한 칼로리 함량에서 식사 시간의 180%의 증가와 함께 매우 크다. 이러한 결과는, 결과적으로 본 개시내용에 따른 조성물을 섭취하는 동물의 치아의 마모 시간의 증가와 함께 식사 시간을 증가시키는 상기 본 개시내용에 따른 조성물의 능력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본 실시예는 조성물을 섭취하는 동물의 치아를 마모시키거나 칫솔질하는 우수한 능력을 입증한다.
실시예 7: 기능성 보충제 형태로 고양이에서 제품의 수용
시험 계획은 다음과 같았다:
하기의 3개 제품(본 개시내용의 3개의 상이한 형태)에, 20마리 연구 고양이들 중 1마리의 노출에 대한 순위 검사(100 g의 급여량을 고양이에게 제공). 본 연구의 목적은 고양이가 본 개시내용 조성물의 급여량의 10%를 소비할 수 있는 지를 확인하는 것이었다. 2차 목적은 저작 및 기호성 면에서 3가지 형태 중 한가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제품 | 평균 | 표준 오차 | 95% 신뢰 구간 | |
하한 | 상한 | |||
조성물 CAT 1 | 42.62 | 4.14 | 32.55 | 52.7 |
조성물 CAT 2 | 41.02 | 4.14 | 30.95 | 51.1 |
조성물 CAT 3 | 40.7 | 4.14 | 30.63 | 50.77 |
본 개시내용에 따른 3개 조성물의 섭취량은 거의 동일하므로 형태가 분리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3개 제품은 평균적으로 일일 급여량의 약 40%로 섭취되어, 기능성 보충제의 목표가 10%라는 것을 알면, 상기 제품은 맛이 좋은 것으로 간주되어, 고양이에서 제품의 수용이 검증된다.
Claims (28)
- 적어도
a.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약 15 중량% 내지 약 30 중량% 범위의 양의 단백질 공급원,
b.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약 5 중량% 내지 약 15 중량% 범위의 양의 지방 공급원,
c.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약 35 중량% 내지 약 65 중량% 범위의 양의 전분 공급원; 및
d.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약 3 중량% 내지 약 12 중량% 범위의 양의 총 식이 섬유 공급원
을 포함하고, 적어도 약 30%의 침투율(penetration rate)을 갖는, 저밀도 건조 사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약 30% 내지 약 75%, 특히 약 35% 내지 약 65%, 보다 특히 약 35% 내지 약 60%의 침투율을 갖는, 저밀도 건조 사료 조성물.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약 18 중량% 내지 약 25 중량% 범위의 양으로 단백질 공급원을 포함하는, 저밀도 건조 사료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백질 공급원이 식물 단백질 공급원, 동물 단백질 공급원 및 그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저밀도 건조 사료 조성물. - 제4항에 있어서,
식물 단백질 공급원이 콩, 병아리콩, 완두콩, 옥수수 글루텐, 렌틸콩 및 보리 식물 단백질로부터 선택되고, 보다 특히는 옥수수 글루텐 식물 단백질, 또는 그의 혼합물인, 저밀도 건조 사료 조성물. - 제4항에 있어서,
동물 단백질 공급원이 가금류, 소고기, 닭고기, 닭육분, 양고기, 양육분, 건조란, 어류, 어분, 육골분, 고기 부산물, 곤충, 및 육분 동물 단백질로부터 선택되고, 보다 특히는 가금류 동물 단백질, 또는 그의 혼합물인, 저밀도 건조 사료 조성물. -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백질 공급원이 옥수수 글루텐 식물 단백질 및 가금류 동물 단백질로부터 선택되는, 저밀도 건조 사료 조성물. -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동물 단백질 대 식물 단백질의 비가 약 1:2 내지 약 2:1이고, 특히 2:1인, 저밀도 건조 사료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약 5 중량% 내지 약 15 중량% 범위의 양, 특히 약 8 중량% 내지 약 12 중량%의 양으로 지방을 포함하는, 저밀도 건조 사료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이 돼지고기 지방, 돼지고기 라드(lard), 가금류 지방, 닭고기 지방, 소고기 지방, 양고기 지방, 어유 및 해바라기로부터 선택되고, 특히 돼지고기 지방인, 저밀도 건조 사료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약 35 중량% 내지 약 65 중량%, 특히 약 37 중량% 내지 약 55 중량% 범위의 양으로 전분을 포함하는, 저밀도 건조 사료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분이 밀, 보리, 타피오카, 밀가루, 옥수수 가루, 쌀, 감자, 완두콩 및 귀리 전분으로부터 선택되고, 특히 밀, 밀가루 및 옥수수 가루 전분으로부터 선택되는, 저밀도 건조 사료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약 4 중량% 내지 약 10 중량%, 특히 약 5 중량% 내지 약 8 중량% 범위의 양으로 총 식이 섬유 공급원을 포함하는, 저밀도 건조 사료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가 비트 펄프, 콩껍질, 밀기울, 셀룰로스, 치커리, 옥수수, 쌀겨, 통곡물 귀리 및 통곡물 보리 섬유로부터 선택되고, 보다 특히는 치커리 섬유, 또는 그의 혼합물인, 저밀도 건조 사료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약 2 중량% 내지 약 10 중량%, 특히 약 3 중량% 내지 약 9 중량%, 보다 특히 약 5 중량% 내지 약 6.5 중량% 범위의 양으로 회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저밀도 건조 사료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약 100 g/L 내지 약 250 g/L 범위의 부피 밀도를 갖는 저밀도 건조 사료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약 2 중량% 내지 약 11 중량%, 특히 약 5 중량% 내지 약 11 중량%, 특히는 약 8 중량% 내지 약 11 중량% 범위의 양의 물을 포함하는 저밀도 건조 사료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효과량의 면역글로불린, 바람직하게는 IgY 항체를 포함하는 저밀도 건조 사료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약 50% 내지 약 85%로 구성되는 다공성을 갖는 저밀도 건조 사료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전호화(pregelatinized) 전분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밀도 건조 사료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글리세롤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밀도 건조 사료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약 5 mm 내지 약 14 mm의 너비 및 약 8 mm 내지 약 20 mm의 길이의 직사각형 기부(rectangular base)를 갖는 실질적으로 자갈(cobbled) 형태를 갖는 저밀도 건조 사료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약 7 mm 내지 약 30 mm, 특히 약 8 mm 내지 약 25 mm, 보다 특히 약 10 mm 내지 약 20 mm 범위의 두께를 갖는 저밀도 건조 사료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키블(kibble)인, 저밀도 건조 사료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려동물에서 구강 건강, 특히 치아 건강의 개선 및/또는 유지에 적합한 저밀도 건조 사료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태, 치은염, 치석 및 입냄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저밀도 건조 사료 조성물. - 적어도,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저밀도 건조 사료 조성물을 그를 필요로 하는 동물에게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그를 필요로 하는 동물에서 치태, 치은염, 치석 및 입냄새로부터 선택된 질환을 예방 및/또는 치료하는 방법.
- 적어도,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저밀도 건조 사료 조성물을 그를 필요로 하는 동물에게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물에서 치아 건강을 개선 및/또는 유지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20305127.1 | 2020-02-10 | ||
EP20305127 | 2020-02-10 | ||
PCT/US2021/070137 WO2021163721A1 (en) | 2020-02-10 | 2021-02-10 | Expanded dry product for improving the dental hygiene of a pe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39949A true KR20220139949A (ko) | 2022-10-17 |
Family
ID=69784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7031046A Pending KR20220139949A (ko) | 2020-02-10 | 2021-02-10 | 반려동물의 치아 위생을 개선하기 위한 팽화 건조 제품 |
Country Status (11)
Country | Link |
---|---|
US (1) | US20230071409A1 (ko) |
EP (1) | EP4102987A4 (ko) |
JP (1) | JP7518176B2 (ko) |
KR (1) | KR20220139949A (ko) |
CN (1) | CN115066182A (ko) |
AR (1) | AR121304A1 (ko) |
AU (1) | AU2021218768A1 (ko) |
BR (1) | BR112022015023A2 (ko) |
CA (1) | CA3165537A1 (ko) |
WO (1) | WO2021163721A1 (ko) |
ZA (1) | ZA202208595B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20783B1 (ko) * | 2023-08-22 | 2024-10-22 | 방윤관 | 반려동물용 사료 제조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A3210991A1 (en) * | 2021-03-05 | 2022-09-09 | Jinsha Li | Methods of binding ingredients of meat analog products |
CN114052124A (zh) * | 2021-11-26 | 2022-02-18 | 北京中科昊盈生物技术有限公司 | 一种组合物、制剂及其应用 |
CN116831236A (zh) * | 2023-08-03 | 2023-10-03 | 杭州高爷家有好多猫宠物食品有限责任公司 | 一种发挥洁牙作用的主食猫粮及其制备方法 |
WO2025090710A1 (en) * | 2023-10-24 | 2025-05-01 | Hill's Pet Nutrition, Inc. | Method for evaluating pet food compositions |
Family Cites Families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431927A (en) * | 1992-06-16 | 1995-07-11 | Colgate-Palmolive Company | Pet food product having oral care properties |
US5989604A (en) * | 1996-12-19 | 1999-11-23 | Adore-A-Pet, Ltd. | Xylitol-containing non-human foodstuff and method |
CA2244084C (en) * | 1997-10-14 | 2006-07-25 |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 Dental care pet food |
US5932258A (en) * | 1998-04-06 | 1999-08-03 | The Iams Company | Composition and process for improving glucose metabolism in companion animals |
US20020150650A1 (en) * | 1998-09-17 | 2002-10-17 | Cupp Carolyn Jean | Dental diet for reducing tartar |
US6238708B1 (en) * | 1999-02-23 | 2001-05-29 | The Iams Company | Composition and process for controlling glucose metabolism in companion animals by dietary starch |
JP2003521901A (ja) * | 2000-01-14 | 2003-07-22 | ソシエテ デ プロデユイ ネツスル ソシエテ アノニム | 歯石を減じるデンタル飼料 |
US7125574B2 (en) * | 2001-01-10 | 2006-10-24 | Nestec S.A. | Dental diet for reducing tartar |
EP1377159B1 (en) * | 2001-03-30 | 2005-05-11 |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 Products and methods for improving animal dental hygiene |
US20050181097A1 (en) * | 2002-09-16 | 2005-08-18 | Mars, Inc. | Nutritionally complete pet food and method of feeding and manufacturing same |
MXPA05009707A (es) * | 2003-03-12 | 2005-10-18 | Nestec Sa | Alimento inflado para mascotas, para control de la dieta. |
US20060228448A1 (en) * | 2005-04-11 | 2006-10-12 | The Iams Company | Pet food compositions comprising two components |
MX2009012101A (es) * | 2007-05-08 | 2009-11-23 | Can Technologies Inc | Producto alimenticio a base de maiz. |
US20100303978A1 (en) * | 2009-05-28 | 2010-12-02 | Gregory Dean Sunvold | Vitamin retention of pet food |
US20110027417A1 (en) * | 2009-07-31 | 2011-02-03 | Patrick Joseph Corrigan | Process for Dusting Animal Food |
CA2857348C (en) * | 2011-12-13 | 2016-07-12 | Hill's Pet Nutrition, Inc. |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dental conditions |
JP2014118398A (ja) * | 2012-12-19 | 2014-06-30 | Kao Corp | 動物用口腔衛生品 |
AU2014236626C1 (en) * | 2013-03-15 | 2018-04-12 | Mars, Incorporated | Aerated pet treat |
JP2015112049A (ja) * | 2013-12-10 | 2015-06-22 | 花王株式会社 | 発泡性ペットフード |
US10973243B2 (en) * | 2014-12-19 | 2021-04-13 | Hills Pet Nutrition, Inc. | Animal food product for dental efficacy,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
EP3303385A2 (en) * | 2015-05-27 | 2018-04-11 | Merial, Inc. | Compositions containing antimicrobial igy antibodies, for treatment and prevention of disorders and diseases caused by oral health compromising (ohc) microorganisms |
-
2021
- 2021-02-10 CA CA3165537A patent/CA3165537A1/en active Pending
- 2021-02-10 KR KR1020227031046A patent/KR20220139949A/ko active Pending
- 2021-02-10 AU AU2021218768A patent/AU2021218768A1/en active Pending
- 2021-02-10 CN CN202180013802.4A patent/CN115066182A/zh active Pending
- 2021-02-10 US US17/797,858 patent/US20230071409A1/en active Pending
- 2021-02-10 BR BR112022015023A patent/BR112022015023A2/pt unknown
- 2021-02-10 WO PCT/US2021/070137 patent/WO2021163721A1/en unknown
- 2021-02-10 JP JP2022545079A patent/JP7518176B2/ja active Active
- 2021-02-10 EP EP21754638.1A patent/EP4102987A4/en active Pending
- 2021-02-10 AR ARP210100341A patent/AR121304A1/es unknown
-
2022
- 2022-08-01 ZA ZA2022/08595A patent/ZA202208595B/en unknow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20783B1 (ko) * | 2023-08-22 | 2024-10-22 | 방윤관 | 반려동물용 사료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ZA202208595B (en) | 2024-01-31 |
CA3165537A1 (en) | 2021-08-19 |
WO2021163721A1 (en) | 2021-08-19 |
BR112022015023A2 (pt) | 2022-09-20 |
AR121304A1 (es) | 2022-05-11 |
JP7518176B2 (ja) | 2024-07-17 |
JP2023512982A (ja) | 2023-03-30 |
CN115066182A (zh) | 2022-09-16 |
AU2021218768A1 (en) | 2022-08-18 |
US20230071409A1 (en) | 2023-03-09 |
EP4102987A1 (en) | 2022-12-21 |
EP4102987A4 (en) | 2024-04-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20139949A (ko) | 반려동물의 치아 위생을 개선하기 위한 팽화 건조 제품 | |
AU2006332798B2 (en) | Hollow multi -component food or feed product | |
JP4596723B2 (ja) | 食用熱可塑性物質及びペット用セグメント化滋養性ガム | |
EP1692946A1 (en) | Edible pet chew | |
KR20170081657A (ko) | 기호성 건조 고양이 사료 및 그의 제조 방법 | |
US20220322706A1 (en) | Pet food grains, method of producing same, device for producing same, and pet food | |
JP7432741B2 (ja) | カロリー制限および飽食効果のための膨張乾燥製品、その使用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2022104620A (ja) | ペットフード | |
JP7288132B1 (ja) | ドライペットフード | |
WO2022145458A1 (ja) | ペットフード | |
Beynen | Baked dog food | |
WO2022225600A1 (en) | Methods of making pet chew produc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22090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9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1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