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9533A - 양중지원장치용 장갑 - Google Patents

양중지원장치용 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9533A
KR20220139533A KR1020210045599A KR20210045599A KR20220139533A KR 20220139533 A KR20220139533 A KR 20220139533A KR 1020210045599 A KR1020210045599 A KR 1020210045599A KR 20210045599 A KR20210045599 A KR 20210045599A KR 20220139533 A KR20220139533 A KR 202201395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support device
lifting support
gloves
gl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5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6310B1 (ko
Inventor
정동현
하태준
이지석
Original Assignee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로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5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6310B1/ko
Publication of KR20220139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9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6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6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47Protective gloves with grip improv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34Retaining means
    • A41D19/0037Retaining means for fastening an article to the glov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 G01L1/205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using distributed sensing el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Closures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80Friction or grip reinforce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50Synthetic resins or rubb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중지원장치용 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착용부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손에 쉽게 탈착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미끄럼방지부를 구비하여 중량물 운반시 미끄러짐과 압착이나 충격으로부터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양중지원장치용 장갑에 관한 것이다. 구성은 양중지원장치용 장갑에 있어서, 손모양으로 이루어지고, 각 손가락 부분에는 탈부착을 위한 손가락 밴드가 형성되고, 손목 부분에는 탈부착을 위한 손목 밴드가 형성된 착용부와; 상기 착용부의 일측면에 위치하도록 결합되며 손가락 부분과 손바닥 부분의 일측면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요철이 형성된 미끄럼방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양중지원장치용 장갑{Gloves for hoisting support apparatus}
본 발명은 양중지원장치용 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착용부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손에 쉽게 탈착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미끄럼방지부를 구비하여 중량물 운반시 미끄러짐과 압착이나 충격으로부터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양중지원장치용 장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손의 보호 ·보온 등을 목적으로 손에 끼는 주머니 모양으로 된 손싸개의 총칭인 장갑(glove)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장갑은 그 목적에 따라 가죽 또는 면, 나일론 등의 다양한 종류의 섬유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그리고, 각종 산업현장에서도 다양한 작업 형태에 따라 작업자의 손을 보호하거나 작업물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구조와 재질의 장갑(glove)이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날카로운 물건을 취급하거나, 화학약품을 취급하거나 중량물을 취급하는 작업 현장에서는 작업자의 손 또는 손가락을 보호하기 위해 같은 무게의 강철보다 5배가 강도가 높고 뛰어난 내열성과 화학 약품에 대한 강한 내약품성을 지닌 고기능성 물질인 아라미드 섬유를 이용하여 제작한 장갑을 사용하고 있다.
또, 물건이나 제품의 취급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가 코팅된 장갑도 사용되고 있다.
또한, 종래에는 산업 현장에서는 중량물을 처리하거나, 군수 분야에서는 중량물을 운반시 작업자의 상지 또는 하지 근력을 보조하여 일반적인 인간의 근력 한계를 벗어나는 높은 하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양중지원장치용 장갑도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장갑 중, 위험한 작업시 주로 사용하는 아라미드 섬유로 제조된 장갑은 물건의 취급시 매우 미끄럽고, 재질이 뻣뻣하여 작업자의 손놀림이 둔화되어 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에 고무가 코팅된 장갑은 다양한 산업현장에서 사용되고 있지만 분진이 많은 중량물의 운반, 취급시 미끄러짐 사고가 자주 발생할 뿐만 아니라, 외부 압착이나 충격으로부터 손가락 부상 및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중량물을 취급하기 위해 양중지원장치를 착용한 작업자가 사용하는 종래의 장갑은 손가락의 움직임이 자유롭지 못하여 미끄러짐을 유발시킬 뿐만 아니라 그립감이 좋지 못하여 작업성이 저하되고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제10-2010-0073204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손에 쉽게 탈착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중량물 취급시 미끄러짐을 효율적으로 예방하고 물체 감지력을 무선통신으로 전달가능하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양중지원장치용 장갑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중지원장치용 장갑에 있어서, 손모양으로 이루어지고, 각 손가락 부분에는 탈부착을 위한 손가락 밴드가 형성되고, 손목 부분에는 탈부착을 위한 손목 밴드가 형성된 착용부와; 상기 착용부의 일측면에 위치하도록 결합되며 손가락 부분과 손바닥 부분의 일측면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요철이 형성된 미끄럼방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양중지원장치용 장갑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밴드는 각 손가락 부분에 가로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어 사용자의 다양한 손가락 굵기에 맞게 조절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양중지원장치용 장갑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의 손가락 부분은 사용자가 손가락에 착용시 손가락 등부분까지 덮혀질 수 있도록 사용자의 손가락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양중지원장치용 장갑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부는 고무(Rubber) 또는 합성고무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양중지원장치용 장갑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부의 요철은 톱니모양의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양중지원장치용 장갑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부는 손가락 부분의 끝이 손톱 부분을 덮도록 하고 완충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양중지원장치용 장갑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밴드와 손목 밴드는 일측에 형성되고 벨벳(velvet)에 해당하는 블루아르(velours)와, 대향하는 타측에 형성되며 걸이(hook)에 해당하는 크로셰(crochet)로 이루어지는 벨크로(Velcro)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양중지원장치용 장갑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와 미끄럼방지부 사이에는 압력센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양중지원장치용 장갑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와 미끄럼방지부는 손가락 부분이 삼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양중지원장치용 장갑에 있어서, 상기 압력센서는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장갑을 구비하는 양중지원장치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중량물 취급시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상지에 걸리는 부하를 최소화하고, 작업자의 손가락 부상을 예방할 수 있어 근골격계 질환을 방지하며, 산업재해비용 절감과 근로복지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중량물 취급시 손가락의 움직임을 원활하고 쉽게 하여 작업 효율성 향상을 이루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중량물 취급시 물체의 감지력을 무선통신으로 전달함으로써, 과도한 중량물의 취급을 방지토록 하여 안전하고를 예방하고 작업자의 피로감을 덜어 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중지원장치용 장갑의 착용부와 미끄럼방지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방지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일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방지부의 손가락 부분을 펼친 상태와 구부린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착용부와 미끄럼방지부의 손가락 부분이 펼쳐진 상태를 좀 더 명확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착용부의 손목 밴드는 펼치고 착용부와 미끄럼방지부의 손가락 밴드를 손가락 굵기에 맞게 감싼 상태의 손바닥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착용부의 손목 밴드는 펼치고 착용부와 미끄럼방지부의 손가락 밴드를 손가락 굵기에 맞게 감싼 상태의 손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착용부의 손목 밴드를 손목 굵기에 맞게 감싼 상태와 손가락 밴드 및 미끄럼방지부의 손가락 부분을 손가락 굵기에 맞게 감싼 상태의 손바닥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착용부의 손목 밴드를 손목 굵기에 맞게 감싼 상태와 손가락 밴드 및 미끄럼방지부의 손가락 부분을 손가락 굵기에 맞게 감싼 상태의 손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장갑을 양중지원장치에 연결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하기의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아울러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것은 고유의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중지원장치용 장갑(100)은, 착용부(110)와 미끄럼방지부(120)로 대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착용부(110)는 개략적으로 손모양으로 이루어지고, 각 손가락 부분(111)에는 탈부착을 위한 손가락 밴드(112)가 형성되고, 손목 부분(113)에는 탈부착을 위한 손목 밴드(114)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착용부(110)의 소재는 직물, 편물, 부직포와 같은 섬유제품인 패브릭(fabric)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가락 밴드(112)는 손가락의 움직임이 원활하고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손가락 부분 마다 착용되는 것이 개별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손가락 밴드(112)는 손가락 형태로 길게 형성되는 각 손가락 부분(111)의 개략 중간부에 가로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어 각 사용자의 다양한 손가락굵기에 맞게 조절가능하도록 밴드 형태로 형성된다.
또, 상기 손가락 밴드(112)는 일측에 형성되고 프랑스 고어로 벨벳(velvet)에 해당하는 블루아르(velours)와, 대향하는 타측에 형성되며 걸이(hook)에 해당하는 크로셰(crochet)로 이루어지는 벨크로(Velcro)(112a)가 형성된다.
즉, 상기 벨크로(112a)는 단추 대신에 쓰는 탈부착 하는 테이프로서 착용과 분리를 신속하고 쉽게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양중지원장치용 장갑(100)은 다양한 사용자의 손에 쉽게 탈착가능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도 원활하고 쉽게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손가락 부분(111)은 사용자가 손가락에 착용시 손가락 등부분까지 덮혀질 수 있도록 사용자의 손가락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목 밴드(114)는 착용부(110)의 일측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손목 부분(113)에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어 각 사용자의 다양한 손목 굵기에 맞게 조절가능하도록 밴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손목 밴드(114) 또한 일측에 형성되고 벨벳(velvet)에 해당하는 블루아르(velours)와, 대향하는 타측에 형성되며 걸이(hook)에 해당하는 크로셰(crochet)로 이루어지는 벨크로(Velcro)(114a)가 형성된다.
또, 상기 손목 부분(113)의 끝에는 양중지원장치(미도시)와 결합을 위한 고리(113a)가 형성된다.
상기 미끄럼방지부(120)는 손모양으로 이루어고 상기 착용부(110)의 일측면에 위치하도록 결합되며 각 손가락 부분(121)과 손바닥 부분(122)의 일측면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요철(12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미끄럼방지부(120)는 고무(Rubber) 또는 합성고무인 SBR(Styrene Butadiene Rubber), NER(Nitrile Butadiene Rubber), BR(Butadiene Rubber), 부틸고무(butyl rubber)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미끄럼방지부(120)는 착용부(110)의 손바닥면을 형성하는 일측면에 재봉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접착제 또는 벨크로 테이프 등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요철(123)은 톱니모양의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중량물을 들어 올리거나 취급시 미끄럼 방지가 더 효율적이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양중지원장치용 장갑(100)은 착용부(110) 뿐만 아니라, 미끄럼방지부(120)도 손모양 형태로 형성되며, 손가락 부분(111),(121)의 개수도 삼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미끄럼방지부(121)의 손가락 부분(121)은 사용자가 손가락에 착용시 손가락 등부분까지 덮혀질 수 있도록 사용자의 손가락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미끄럼방지부(121)는 손가락 부분(121)의 끝이 손톱 부분을 덮도록 함과 동시에 완충면(121a)을 형성하여 외부 압착이나 충격으로부터 손가락 부상 및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중지원장치용 장갑(100)은 상기 착용부(110)와 미끄럼방지부(120) 사이에 압력센서(130)가 형성된다.
상기 압력센서(130)는 장갑(100) 사용자가 물건을 잡고 들거나 들어 올리는 경우 발생하는 압력을 감지시 무선 또는 유선으로 양중지원장치(200)의 제어기(미도시)로 신호를 전송하여 양중지원장치(200)의 구동부를 동작시켜 중량물을 쉽게 들어 올릴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장갑(10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중지원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력센서(130)는 양중지원장치(200)의 제어기(미도시)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압력센서(130)가 무선으로 연결되는 경우, 자체 배터리를 가지고 있는 무선통신모듈(미도시)이 장갑(100)의 등부분이나 손목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통신은, 전선을 사용하지 않고 전자기파를 이용한 통신을 총칭하는 것으로, 전자기파의 형태로 통신신호를 직접 전달하거나 또는 대기권에 있는 전리층이나 통신위성에 반사시켜 전송하고 교신하는 것들을 포함하며, 보통 Radio Frequency(RF)라 한다.
이러한 무선통신을 위한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품인 모듈기판과, 상기 모듈기판의 상부공간을 절연성 수지로 일정높이 몰드하여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수지부와, 수지부의 상부면에 실장된 안테나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통신모듈(131)은 일반적인 것으로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압력센서(130)가 유선으로 연결되는 경우, 통신케이블(미도시)이 장갑(100)의 손등 부분 등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양중지원장치용 장갑 사용자는, 손가락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이루도록 하여 작업성 향상을 이룸과 동시에 중량물 취급시 자주 발생하는 외부 압착이나 충격으로부터 손가락 및 손의 보호를 효율적으로 이룰 수 있다.
또, 중량물 취급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작업자)의 상지에 걸리는 부하를 최소화하여 근골격계 질환 유발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로의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양중지원장치용 장갑 110 : 착용부
111 : 손가락 부분 112 : 손가락 밴드
112a : 벨크로 113 : 손목 부분
113a : 고리 114 : 손목 밴드
114a : 벨크로 120 : 미끄럼방지부
121 : 손가락 부분 122 : 손바닥 부분
123 : 요철 130 : 압력센서
200 : 양중지원장치

Claims (11)

  1. 양중지원장치용 장갑에 있어서,
    손모양으로 이루어지고, 각 손가락 부분에는 탈부착을 위한 손가락 밴드가 형성되고, 손목 부분에는 탈부착을 위한 손목 밴드가 형성된 착용부와;
    상기 착용부의 일측면에 위치하도록 결합되며 손가락 부분과 손바닥 부분의 일측면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요철이 형성된 미끄럼방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중지원장치용 장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밴드는 각 손가락 부분에 가로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어 사용자의 다양한 손가락 굵기에 맞게 조절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중지원장치용 장갑.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의 손가락 부분은 사용자가 손가락에 착용시 손가락 등부분까지 덮혀질 수 있도록 사용자의 손가락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중지원장치용 장갑.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부는 고무(Rubber) 또는 합성고무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중지원장치용 장갑.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부의 요철은 톱니모양의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중지원장치용 장갑.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부는 손가락 부분의 끝이 손톱 부분을 덮도록 하고 완충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중지원장치용 장갑.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밴드와 손목 밴드는 일측에 형성되고 벨벳(velvet)에 해당하는 블루아르(velours)와, 대향하는 타측에 형성되며 걸이(hook)에 해당하는 크로셰(crochet)로 이루어지는 벨크로(Velcro)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중지원장치용 장갑.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와 미끄럼방지부 사이에는 압력센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중지원장치용 장갑.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와 미끄럼방지부는 손가락 부분이 삼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중지원장치용 장갑.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센서는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중지원장치용 장갑.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장갑을 구비하는 양중지원장치.
KR1020210045599A 2021-04-08 2021-04-08 양중지원장치용 장갑 KR102616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599A KR102616310B1 (ko) 2021-04-08 2021-04-08 양중지원장치용 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599A KR102616310B1 (ko) 2021-04-08 2021-04-08 양중지원장치용 장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9533A true KR20220139533A (ko) 2022-10-17
KR102616310B1 KR102616310B1 (ko) 2023-12-20

Family

ID=83809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5599A KR102616310B1 (ko) 2021-04-08 2021-04-08 양중지원장치용 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631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32290A (en) * 1998-12-03 2000-03-07 Lucas; Jacqueline A. Finger nail polish protective glove
KR20110075579A (ko) * 2009-12-28 2011-07-06 조재희 헬스용장갑
US20130303950A1 (en) * 2010-04-09 2013-11-14 Ekso Bionics Exoskeleton Load Handling System and Method of Use
KR20180057418A (ko) 2016-11-22 2018-05-30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착용형 손 로봇
KR20180062873A (ko) * 2016-12-01 2018-06-11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헬스용 장갑
KR102151229B1 (ko) * 2019-09-05 2020-09-02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중량 보조 시스템 및 그를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32290A (en) * 1998-12-03 2000-03-07 Lucas; Jacqueline A. Finger nail polish protective glove
KR20110075579A (ko) * 2009-12-28 2011-07-06 조재희 헬스용장갑
US20130303950A1 (en) * 2010-04-09 2013-11-14 Ekso Bionics Exoskeleton Load Handling System and Method of Use
KR20180057418A (ko) 2016-11-22 2018-05-30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착용형 손 로봇
KR20180062873A (ko) * 2016-12-01 2018-06-11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헬스용 장갑
KR102151229B1 (ko) * 2019-09-05 2020-09-02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중량 보조 시스템 및 그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6310B1 (ko) 2023-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1229B1 (ko) 중량 보조 시스템 및 그를 위한 장치
US9527190B2 (en) High articulation glove with removable work surface attachments
KR102034988B1 (ko) 팔 관절 과부하 감소를 위한 운반 보조기
CA2833227A1 (en) Pad and article resistant to impact forces
KR101891123B1 (ko) 손가락 및 손등 보호 기능과 충격흡수 및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작업용 안전장갑
KR102616310B1 (ko) 양중지원장치용 장갑
US20160066634A1 (en) Shear Management Gloves
KR20080102819A (ko) 보호 막대가 수용된 손목 보호대
KR101713763B1 (ko) 손가락 보호용 안전장갑
US20110061155A1 (en) Shoulder protector pads
US11957193B2 (en) Load-assisting glove
CN212852612U (zh) 一种新型户外施工手套
KR20190046056A (ko) 작업용 손목 보호 장갑
KR200356420Y1 (ko) 금속 안전 장갑
CN213154218U (zh) 一种防割手套
KR102571008B1 (ko) 무릎 관절 동작 측정 시스템
KR20220001654A (ko) 작업용 장갑
CN213756819U (zh) 避振抗冲击劳保手套
CN212027189U (zh) 一种绑扎钢丝用的防护装置
CN216674784U (zh) 一种热压工艺的护脚踝
JP3236811U (ja) 使い捨て手袋
CN218515244U (zh) 一种防切割手套
CN213992575U (zh) 防护手套
CN213881901U (zh) 一种紧附性一次性手套
KR200269456Y1 (ko) 나사휴대용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