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9489A - Ami기반 전기 자동차 충전 운영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Ami기반 전기 자동차 충전 운영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9489A
KR20220139489A KR1020210045145A KR20210045145A KR20220139489A KR 20220139489 A KR20220139489 A KR 20220139489A KR 1020210045145 A KR1020210045145 A KR 1020210045145A KR 20210045145 A KR20210045145 A KR 20210045145A KR 20220139489 A KR20220139489 A KR 202201394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ion device
data collection
security server
certificate
b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5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0208B1 (ko
Inventor
신재문
권한철
배대호
권혁록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5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0208B1/ko
Publication of KR20220139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9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0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0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63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certificates, e.g. public key certificate [PKC] or attribute certificate [AC];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71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challenge-response
    • H04L9/3273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challenge-response for mutual authent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4Details associated with the interoperability, e.g. vehicle recognition, authentication, identification or b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ransportation (AREA)
  • Fina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가에 설치된 과금형 콘센트가 등록된 카드의 기 설정거리 이내 접근시 보안 서버에 상호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보안 서버가 인증서를 기반으로 데이터 수집 장치 및 과금형 콘센트의 상호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과금형 콘센트가 카드 정보를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가 상기 카드 정보를 상기 보안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보안 서버가 상기 카드 정보에 대한 충전 동작을 승인하는 단계; 상기 과금형 콘센트가 상기 전류를 인가하여 전기 자동차 충전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과금형 콘센트가 데이터 수집 장치로 충전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과금형 콘센트로부터 수집한 충전 정보를 AMI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AMI기반 전기 자동차 충전 운영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AMI기반 전기 자동차 충전 운영 시스템 및 방법{AMI-based electric vehicle charging operation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AMI기반 전기 자동차 충전 운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차는 엔진이 전기 모터로 대체되어 기존의 내연기관 차량과 달리 전기차 충전소나 충전 스테이션 등의 전기차를 충전하기 위한 시설 이외에도 가정이나 주차장 등에 설치된 전기 콘센트를 통해 자동차의 구동 에너지원을 손쉽게 공급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특징으로 전기차는 전기 공급이 가능한 콘센트를 통해 장소와 시간의 제한 없이 전기차의 배터리 충전이 가능하다는 큰 장점이 있다. 그러나 가정이나 주차장 등에 설치된 콘센트를 통한 전기 충전은 RFID 태그 등의 인증을 통해서 충전하거나 인증 태그가 설치되지 않는 곳에서는 무단 충전이 되는 경우가 많다.
무단 충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RFID 태그를 건물 주차장 등의 전원 콘센트에 설치하고 있으나, 건물 주차장의 모든 콘센트에 태그 설비를 일일이 설치하는 것은 충전 사업자와 건물 소유자에게 번거로운 일이 된다.
따라서, 충전 사업자와 건물 소유자에게 충전 전기차를 일괄적으로 관리하고, 건물 주차장 등에서 손쉽게 차량 인증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충전데이터 위변조 방지를 위한 AMI기반 전기 자동차 충전 운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가에 설치된 과금형 콘센트가 등록된 카드의 기 설정거리 이내 접근시 보안 서버에 상호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보안 서버가 인증서를 기반으로 데이터 수집 장치 및 과금형 콘센트의 상호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과금형 콘센트가 카드 정보를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가 상기 카드 정보를 상기 보안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보안 서버가 상기 카드 정보에 대한 충전 동작을 승인하는 단계; 상기 과금형 콘센트가 상기 전류를 인가하여 전기 자동차 충전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과금형 콘센트가 데이터 수집 장치로 충전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과금형 콘센트로부터 수집한 충전 정보를 AMI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AMI기반 전기 자동차 충전 운영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과금형 콘센트는 전력선 통신(PLC)통신 방식으로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상호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과금형 콘센트가 등록된 카드의 기 설정거리 이내 접근시 저장하고 있는 모뎀 인증서를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로 전송하여 모뎀 인증서 검증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가 상기 모뎀 인증서를 상기 보안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보안 서버가 인증 센터에 상기 모뎀 인증서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인증 센터가 상기 모뎀 인증서의 검증 결과를 상기 보안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호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가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수집 장치 인증서를 상기 보안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보안 서버가 인증 센터에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 인증서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인증 센터가 상기 인증서의 상태를 확인한 후, 키 관리 서버를 통하여 키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인증 센터가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 인증서의 검증 결과를 상기 보안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보안 서버가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 인증서의 검증 결과를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증 센터는 OCSP(Online Certificate Status Protocol)방식으로 상기 모뎀 인증서 또는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인증서를 검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가에 설치되어 등록된 카드의 기 설정거리 이내 접근시 보안 서버에 상호 인증 요청 및 카드 정보 전송을 수행하며, 검증 결과에 전기 자동차 충전을 수행한 후, 충전 정보를 전송하는 과금형 콘센트; 상기 카드 정보를 상기 보안 서버로 전달하고, 적어도 하나의 과금형 콘센트로부터 수집한 충전 정보를 AMI서버로 전송하는 데이터 수집 장치; 및 인증서를 기반으로 데이터 수집 장치 및 과금형 콘센트의 상호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카드 정보에 대한 충전 동작을 승인하는 보안 서버를 포함하는AMI기반 전기 자동차 충전 운영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과금형 콘센트는 전력선 통신(PLC)통신 방식으로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와 상기 보안 서버는 HFC 통신 방식및 LTE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과금형 콘센트는 DTLS/TLS기반 통신 방식으로 상기 카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인증 센터는 OCSP(Online Certificate Status Protocol)방식으로 상기 인증서를 검증할 수 있다.
본 발명인 AMI기반 전기 자동차 충전 운영 시스템 및 방법은 AMI인프라에 적용하여 충전 데이터의 위변조를 방지하고, 기기의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1은 실시예에 따른 AMI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2 및 도3은 실시예에 따른AMI기반 전기 자동차 충전 운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4 내지 도5는 실시예에 따른 AMI기반 전기 자동차 충전 운영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은 실시예에 따른 AMI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2및 도3은 실시예에 따른AMI기반 전기 자동차 충전 운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AMI기반 전기 자동차 충전 운영 시스템(10)은 과금형 콘센트(11), 데이터 수집 장치(12), 보안 서버(13), 키 관리 서버(14) 및 인증 센터(15)를 포함할 수 있다.
과금형 콘센트(11)는 수용가(1)에 설치되며, 수용가(1)에 설치된 전력선을 통하여 데이터 수집 장치(12)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과금형 콘센트(11)는 일반 가정용 콘센트와 동일한 규격을 사용하면서 사용자에게 전기 사용량에 대한 요금 부과를 수행할 수 있는 전기차(EV) 전용 충전기 콘센트를 의미할 수 있다. 과금형 콘센트(11)는 전기차 충전기(2)에 연동되어 있으며, 전력 계량 모듈(111), 전력선 통신 모듈(112), 근거리 통신 모듈(113), 스위치 모듈(114), 데이터 베이스(1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력 계량 모듈(111)은 충전기(2)의 충전 정보를 실시간으로 계측할 수 있다. 전력 계량 모듈(111)은 충전기(2)의 전력량과 방전량을 계측하여 해당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15)에 저장할 수 있다.
과금형 콘센트(11)는 수용가(1) 내 전원에 연결되어 등록된 카드의 기 설정거리 이내 접근시 보안 서버(13)에 상호 인증 요청 및 카드 정보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 모듈(113)은 카드 접근시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여 카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과금형 콘센트(11)는 수신한 카드 정보를 기 저장되어 있는 카드 정보와 비교하여 등록 카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카드정보는 회원정보로, 예를 들면, 16자리의 숫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과금형 콘센트(11)는 등록된 카드인 경우, 데이터베이스(115)에 저장되어 있는 모뎀 인증서를 데이터 수집 장치(12)로 전송하여 상호 인증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과금형 콘센트(11)는 전력선 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상호 인증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과금형 콘센트(11)는 DTLS/TLS기반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 수집 장치(12)에 카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과금형 콘센트(11)는 검증 결과에 따라 전기 자동차 충전을 수행한 후, 충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충전 정보는 전력 계량 모듈(111)에서 계측한 충전기(2)의 전력량과 방전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과금형 콘센트(11)는 전력선 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데이터 수집 장치(12)로부터 보안 서버(13)의 검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과금형 콘센트(11)은 전력선 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데이터 수집 장치(12)로 충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과금형 콘센트(11)의 스위치 모듈(114)은 평상시 충전기(2)에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한 상태에서, 보안 서버(13)의 충전 동작 승인 결정을 받으면 전류를 인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 장치(Data Concentrator Unit; DCU)(12)는 댁내의 가스 계량기, 수도 계량기의 검침 데이터와 함께 전력량계의 검침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 장치(12) 전주(3)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댁내 수집 장치(Home Concentrator Unit; HCU)에 집속된 전기, 수도, 가스의 검침 데이터를 전력선 통신을 통해 수집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 장치(12)는 수집하고자 하는 검침 데이터에 해당하는 객체 식별 시스템 코드를 댁내 수집 장치로 전송하여 대응되는 검침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 장치(12)가 전송하는 객체 식별 시스템 코드는 계량기 또는 전력량계가 검침하는 매체의 종류, 계량기 또는 전력량계의 채널 번호, 검침 데이터의 물리량, 검침 데이터의 처리 방법, 검침 데이터의 물리적 분류 및 검침 데이터의 시간적 분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에 대응하는 일련의 코드로 구성될 수 있다.
검침 데이터를 수집한 데이터 수집 장치(12)는 AMI서버(3)의 검침 스케쥴러의 주기적인 요청에 응답하여 인터넷망과 같은 광역 전달망을 경유하여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검침 데이터가 AMI서버(3)로 전송되면 AMI서버(3)에서는 검침 데이터의 수신 시간을 기록하고, 검침 기준 시간에 따라 누락된 검침 데이터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 장치(12)는 카드 정보 및 모뎀 인증서를 보안 서버(13)로 전달하고, 적어도 하나의 과금형 콘센트(11)로부터 수집한 충전 정보를 전기차 운영 시스템(4)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집 장치(12)는 기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수집 장치 인증서를 보안 서버로 전송하여 상호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 장치(12)에서 수집한 검침 데이터는 AMI서버(4)를 통하여 MDMS(6)로 전송 되고, 데이터 수집 장치(12)에서 수집한 충전 정보는 전기차 운영 시스템(5)과 DBMS(7)로 전달될 수 있다. 데이터 수집 장치(12)와 보안 서버(13)는 HFC 통신 방식 및 LTE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데이터 수집 장치(12)에서 다수의 전기차 충전기(2)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위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회선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보안 서버(13)는 카드 정보, 모뎀 인증서 및 데이터 수집 장치 인증서를 기반으로 데이터 수집 장치 및 과금형 콘센트의 상호인증을 수행하고, 카드 정보에 대한 충전 동작을 승인할 수 있다. 보안 서버(13)는 인증 센터(14)에 인증서에 대한 검증을 요청하고, 검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보안 서버(13)는 모뎀 인증서 및 카드 정보가 모두 유효한 것으로 검증된 경우 데이터 수집 장치(12)를 통하여 충전 승인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보안 서버(13)는 충전 승인 명령에 카드 정보를 함께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보안 서버(13)는 KCMVP(국정원 인증) 모듈을 이용하여 인증서 기반의 상호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장치(12)와 보안서버(13)간 TLS인증시 데이터 수집장치(12)와 보안 서버(13)는 서로 인증서를 교환하여 상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장치(12)와 보안 서버(13)는 인증서 기반으로 TLS터널링 과정을 거쳐 대칭키를 생성하고, 이때 상호간의 인증서를 검증할 수 있다. 이 때, 보안 서버(13)는 인증센터(14)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인증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대칭키가 생성된 이후 데이터 수집장치(12)와 보안 서버(13)간의 모든 통신은 대칭키 기반의 암복호화 통신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과금형 콘센트(11)와 데이터 수집장치(12)는 각자의 인증서를 기반으로, TLS프로토콜을 통한 상호 인증을 수행하여 터널링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장치(12)는 과금형 콘센트(11)와의 상호 인증이 성공하면, 이후에 과금형 콘센트의 모뎀 인증서를 보안 서버(13)에 전송하여 CRL(인증서폐기목록)을 통한 인증서 유효성 검증을 수행하여 최종 인증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인증 센터(14)는 OCSP(Online Certificate Status Protocol)방식으로 인증서를 검증할 수 있다.
OCSP는 인증서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체크하기 위한 프로토콜로, 보안 서버(13)는 모뎀 인증서 및 데이터 수집 장치 인증서의 시리얼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각 인증서의 만료여부를 CA 인증서 DB인 인증 센터(14)에 요청할 수 있다. 인증 센터(14)는 각 인증서의 만료여부를 확인하고, 검증 결과를 보안 서버(13)로 전송할 수 있다.
인증 센터(14)는 good, revoked, unknwon 3가지 값으로 보안 서버(13)에 검증 결과를 전송할 수 있으며, 유효하지 않은 인증서의 경우 error code를 전송할 수 있다.
인증 센터(14)는 데이터 수집 장치 인증서의 상태를 확인한 후, 키 관리 서버(15)를 통하여 키를 저장할 수 있다.
도4는 실시예에 따른 AMI기반 전기 자동차 충전 운영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수용가에 설치된 과금형 콘센트는 등록된 카드가 기 설정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해당 카드의 카드 정보를 수신한다(S401).
다음으로, 과금형 콘센트는 수신한 카드 정보를 기 저장하고 있는 카드 정보와 비교하여 등록된 카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402).
등록된 카드로 판단된 경우, 과금형 콘센트는 저장하고 있는 모뎀 인증서를 데이터 수집 장치로 전송하여 모뎀 인증서 검증을 요청한다(S403).
다음으로, 데이터 수집 장치는 모뎀 인증서를 보안 서버로 전송한다(S404).
다음으로, 보안 서버는 인증 센터에 모뎀 인증서를 전송한다(S405).
다음으로, 인증 센터는 모뎀 인증서의 검증 결과를 보안 서버로 전송한다(S406).
다음으로, 보안 서버는 데이터 수집 장치로 모뎀 인증서의 검증 결과를 전송한다(S407).
다음으로, 데이터 수집 장치는 모뎀 인증서의 검증 결과를 과금형 콘센트로 전송한다(S408).
다음으로, 과금형 콘센트는 DTLS/TLS기반 보안 통신으로 카드 정보를 데이터수집 장치로 전송한다(S409).
다음으로, 데이터 수집 장치는 카드 정보를 보안 서버로 전송한다(S410).
다음으로, 보안 서버는 카드 정보를 검증한 후, 유효한 카드 정보인 경우 충전 승인 명령을 데이터 수집 장치로 전송한다(S411).
다음으로, 데이터 수집 장치는 충전 승인 명령을 과금형 콘센트로 전송한다(S412).
다음으로, 과금형 콘센트는 충전 승인 명령에 따라 충전기로 전류가 인가되도록 하여 전기차 충전을 수행한다. 과금형 콘센트는 충전 완료시 자동 전류 차단 또는 사용자 임의 차단을 통하여 충전을 완료한다(S413).
다음으로, 과금형 콘센트는 충전기의 충전 정보를 계측하여 데이터 수집 장치로 전송한다(S414).
이 때, 과금형 콘센트는 카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충전 정보를제공한다.
도5는 실시예에 따른 AMI기반 전기 자동차 충전 운영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데이터 수집 장치는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수집 장치 인증서를 보안 서버로 전송한다(S501). 원칙적으로, 원격 검침 망에 접속하는 모든 장비는 인증서가 탑재되어 있어야 하고, 인증이 된 상태에서만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모뎀의 인증전에 먼저 데이터 수집 장치의 상호인증을 통해서 원격 검침망 접속이 가능하도록 승인을 받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다음으로, 보안 서버는 인증 센터에 데이터 수집 장치 인증서를 전송한다(S502).
다음으로, 인증 센터는 데이터 수집 장치 인증서의 상태를 확인한 후, 키 관리 서버를 통하여 키를 저장한다(S503).
다음으로, 인증 센터는 데이터 수집 장치 인증서의 검증 결과를 보안 서버로 전송한다(S504).
다음으로, 보안 서버는 데이터 수집 장치 인증서의 검증 결과를 데이터 수집 장치로 전송한다(S505).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 개의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어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AMI기반 전기 자동차 충전 운영 시스템
11: 과금형 콘센트
12: 데이터 수집 장치
13: 보안 서버
14: 키 관리 서버
15: 인증 센터

Claims (10)

  1. 수용가에 설치된 과금형 콘센트가 등록된 카드의 기 설정거리 이내 접근시 보안 서버에 상호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보안 서버가 인증서를 기반으로 데이터 수집 장치 및 과금형 콘센트의상호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과금형 콘센트가 카드 정보를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가 상기 카드 정보를 상기 보안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보안 서버가 상기 카드 정보에 대한 충전 동작을 승인하는 단계;
    상기 과금형 콘센트가 상기 전류를 인가하여 전기 자동차 충전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과금형 콘센트가 데이터 수집 장치로 충전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과금형 콘센트로부터 수집한 충전 정보를 AMI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AMI기반 전기 자동차 충전 운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형 콘센트는 전력선 통신(PLC)통신 방식으로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AMI기반 전기 자동차 충전 운영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과금형 콘센트가 등록된 카드의 기 설정거리 이내 접근시 저장하고 있는 모뎀 인증서를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로 전송하여 모뎀 인증서 검증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가 상기 모뎀 인증서를 상기 보안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보안 서버가 인증 센터에 상기 모뎀 인증서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인증 센터가 상기 모뎀 인증서의 검증 결과를 상기 보안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AMI기반 전기 자동차 충전 운영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가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수집 장치 인증서를 상기 보안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보안 서버가 인증 센터에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 인증서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인증 센터가 상기 인증서의 상태를 확인한 후, 키 관리 서버를 통하여 키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인증 센터가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 인증서의 검증 결과를 상기 보안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보안 서버가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 인증서의 검증 결과를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로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AMI기반 전기 자동차 충전 운영 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센터는 OCSP(Online Certificate Status Protocol)방식으로 상기 모뎀 인증서 또는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인증서를 검증하는 AMI기반 전기 자동차 충전 운영 방법.
  6. 수용가에 설치되어 등록된 카드의 기 설정거리 이내 접근시 보안 서버에 상호 인증 요청 및 카드 정보 전송을 수행하며, 검증 결과에 전기 자동차 충전을 수행한 후, 충전 정보를 전송하는 과금형 콘센트;
    상기 카드 정보를 상기 보안 서버로 전달하고, 적어도 하나의 과금형 콘센트로부터 수집한 충전 정보를 AMI서버로 전송하는 데이터 수집 장치; 및
    인증서를 기반으로 데이터 수집 장치 및 과금형 콘센트의 상호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카드 정보에 대한 충전 동작을 승인하는 보안 서버를 포함하는AMI기반 전기 자동차 충전 운영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형 콘센트는 전력선 통신(PLC) 방식으로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AMI기반 전기 자동차 충전 운영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와 상기 보안 서버는 HFC 통신 방식및 LTE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AMI기반 전기 자동차 충전 운영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형 콘센트는 DTLS/TLS기반 통신 방식으로 상기 카드 정보를 전송하는 AMI기반 전기 자동차 충전 운영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210045145A 2021-04-07 2021-04-07 Ami기반 전기 자동차 충전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102490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145A KR102490208B1 (ko) 2021-04-07 2021-04-07 Ami기반 전기 자동차 충전 운영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145A KR102490208B1 (ko) 2021-04-07 2021-04-07 Ami기반 전기 자동차 충전 운영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9489A true KR20220139489A (ko) 2022-10-17
KR102490208B1 KR102490208B1 (ko) 2023-01-20

Family

ID=83809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5145A KR102490208B1 (ko) 2021-04-07 2021-04-07 Ami기반 전기 자동차 충전 운영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020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7570B1 (ko) * 2012-09-25 2014-03-25 한국전력공사 전기자동차의 충전 통신 보안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41259A (ko) * 2013-10-07 2015-04-1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의 충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82178B1 (ko) * 2019-09-06 2020-02-27 주식회사 지비 Plc 기반 ami 통신망을 구성하는 데이터 수집 장치와, 그의 보안 관리 방법 및 보안 시스템
KR20200088041A (ko) * 2019-01-14 2020-07-22 신대섭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KR20210037201A (ko) * 2019-09-27 2021-04-06 한국전력공사 전기차 충전시스템 보안인증 통신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7570B1 (ko) * 2012-09-25 2014-03-25 한국전력공사 전기자동차의 충전 통신 보안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41259A (ko) * 2013-10-07 2015-04-1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의 충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00088041A (ko) * 2019-01-14 2020-07-22 신대섭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KR102082178B1 (ko) * 2019-09-06 2020-02-27 주식회사 지비 Plc 기반 ami 통신망을 구성하는 데이터 수집 장치와, 그의 보안 관리 방법 및 보안 시스템
KR20210037201A (ko) * 2019-09-27 2021-04-06 한국전력공사 전기차 충전시스템 보안인증 통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0208B1 (ko) 2023-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62607B2 (ja) 車載装置
US8364961B2 (en) Appliance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power supply
EP4011684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lly authenticating electric vehicle charging user based on blockchain
US20240010095A1 (en) Device and method for mutual authentication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KR101357074B1 (ko) 공개키 기반의 키 공유 메커니즘을 이용한 보안 키 설정 방법
KR20220027781A (ko) 블록체인 기반 전기차 충전사용자 자동인증 방법 및 장치
JP2024059807A (ja) 電気自動車に対する契約証明書の設置支援方法及び装置
US20220250501A1 (en) Management unit and method for managing a plurality of measuring units involved in a charging process
KR102490208B1 (ko) Ami기반 전기 자동차 충전 운영 시스템 및 방법
EP4250221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pnc-related service provider
US20230052150A1 (en) Bootstrap method of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CN113874246B (zh) 使用区块链为电动车辆(ev)充电的方法和系统
KR102503054B1 (ko) 전기 자동차의 무선충전 시스템 및 그 방법
EP4243338A1 (en) Cross-certification method and device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US2023036500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arly renegotiation in message sequencing between electric vehicle and grid
EP4219225A1 (en) Device and method for mutual authentication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KR20240015044A (ko) 동적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무선랜 기반의 충전 통신장치 및 방법
KR101146873B1 (ko) 다채널 전력 충전 미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10062A (ko) 교차 인증서를 이용한 전기차 인증 방법 및 장치
KR20220074784A (ko) 전기차 충전을 위한 교차인증 방법 및 장치
CN116529754A (zh) 用于电动车辆充电的交叉认证方法及装置
Engdahl et al. Evaluation of infrastructure data collection system for electrical vehicle billing and load control
KR20120033193A (ko) 지능형 검침 인프라의 기기간 상호 인증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