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9323A - 공기 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 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9323A
KR20220139323A KR1020227027172A KR20227027172A KR20220139323A KR 20220139323 A KR20220139323 A KR 20220139323A KR 1020227027172 A KR1020227027172 A KR 1020227027172A KR 20227027172 A KR20227027172 A KR 20227027172A KR 20220139323 A KR20220139323 A KR 202201393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flow
filter
purifier
flow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7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르스 헨리크 둔베르거
알라기리사미 네타지
요한 대니얼 벤너스트룀
Original Assignee
블루에어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블루에어 에이비 filed Critical 블루에어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220139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93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venti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3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i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제거 가능한 필터, 공기 유동 발생기,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로부터의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 및 상기 온도 및 습도 센서 모두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대기 구성으로부터 상기 공기 유동 발생기를 활성화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휴대용 공기 청정기 및 온도 센서로부터 주변 온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습도 센서로부터 주변 습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며, 청정기의 제거 가능한 필터에서 미생물 성장의 가능성을 결정하고, 미생물 성장이 정의된 양에 있는 것이 조건인 경우, 공기 유동 발생기를 활성화함으로써, 대기 모드에서 휴대용 공기 청정기의 공기 유동 발생기를 활성화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공기 청정기
본 발명은 개선된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US 2005 055 990호는 공기 청정기 및 그 작동을 제어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공기 청정기는 입구 및 출구를 갖는 캐비닛; 실내 공기로부터 먼지 및 냄새 입자를 제거하는 필터 조립체; 팬; 실내 공기의 조성물을 감지하는 센서 조립체; 실내 공기의 불충분한 성분 중 적어도 하나를 청정 공기에 제공하는 공급자 조립체; 및 실내 공기의 조성물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공급자 조립체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공기 청정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방법은 실내 공기를 감지하는 단계; 실내 공기의 불충분한 성분 및 그 양을 측정하는 단계; 및 실내 공기의 불충분한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청정 공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CN 105 587 139호는 지능형 보초 박스 및 지능형 보초 박스를 사용하여 근무 환경 상태를 조절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지능형 보초 박스는 보초 플랫폼(2) 및 보초 플랫폼(2) 위에 배열된 천장(4)을 포함하고, 제1 공기 출구 개구(17)가 제공되고 제1 공기 출구 개구(17)로부터 보초 플랫폼(2)에 서 있는 사람에게 유동하도록 온도 조절 공기 유동을 안내하는 데 사용되는 공기 안내 디바이스(41)가 천장(4)의 하단 표면 상에 배열된다. 지능형 보초 박스는 또한 공조기, 공기 필터(20) 및 음이온 발생기(21)를 포함하며, 공조기는 온도 조절 공기 유동을 생성하는 데 사용되며; 공기 필터(20)는 온도 조절 공기 유동을 정제하는 데 사용되고; 음이온 발생기(21)는 온도 조절 공기 유동에서 음의 산소 이온을 생성하는 데 사용된다. 지능형 보초 박스는 군대, 경찰 및 민간 보초 박스의 보초 요원에게 양호한 작업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실용성이 높다.
CN 104 913 379호는 원격 제어 및 모니터링을 갖는 사물 인터넷 벽-내장형 신선 공기 정제 시스템을 개시한다. 이 시스템은 원형 쉘, 원형 내부 쉘, 공기 유동 채널, 팬, 공기 흡입 디바이스, 공기 배출 디바이스, 정제 멸균 디바이스, 가열 디바이스, 공기 품질 샘플링 모듈, 모니터링 모듈, 데이터 전송 모듈, 제어 모듈 및 제어 패널을 포함한다. 원형 쉘은 벽에 내장되어 있고; 공기 흡입 디바이스는 원형 쉘의 테일 단부에 내장되어 있으며; 원형 내부 쉘은 연결 디바이스를 통해 원형 쉘에 배치되고; 일 단부는 공기 흡입 디바이스로 코팅되어 있으며; 다른 단부는 공기 배출 디바이스로 코팅된다. 팬, 정제 멸균 디바이스 및 가열 디바이스는 원형 내부 쉘에 배열되고; 제어기는 공기 배출 디바이스의 하부 단부에 위치 설정된다. 공기 흡입 디바이스에는 필터 스크린 및 클로저가 제공된다. 공기 흡입 디바이스, 원형 내부 쉘 및 공기 배출 디바이스의 내부면은 원통형 제1 공기 유동 채널을 향해 형성되고; 공기 흡입 디바이스, 원형 내부 쉘 및 공기 배출 디바이스의 외부면과 원형 쉘의 내부면 사이의 간극은 원통형 제2 공기 유동 채널을 향해 형성된다. 실외 공기는 제1 공기 유동 채널로부터 실내로 유입되도록 정제, 멸균 및 가열되고; 실내 공기는 제2 공기 유동 채널로부터 실외로 유동한다.
CN 110 030 647호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청정기를 개시한다. 팬, 팬을 회전시키도록 구동하는 구동 디바이스, 및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가 케이스에 배열되고; 케이스에는 공기 입구 및 공기 출구가 제공되며; 음이온 발생기 및 공기 유동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가 공기 출구에 배열되고; 구동 디바이스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고 히터를 시동 및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메인 제어기가 케이스 내에 추가로 배열되고, 그에 따라 팬은 적어도 2단의 공기 속도를 가지며, 청정기는 독립 정제 모드, 저온 공기 및 정제 모드 및 작업을 위한 중온 공기 및 정제 모드 중에서 전환된다. 청정기는 정제, 냉각 및 가열을 구멍에 통합하여, 단순한 정제 기능을 가질 뿐만 아니라 저온 공기와 중온 공기를 배출하는 기능을 가지며, 일년 내내 사용될 수 있으며, 공조기의 기능을 어느 정도는 대체하고, 실내 공기 품질을 개선하는 데 유리한 동시에 인체의 건강에도 도움이 된다. 청정기는 필터와 음이온 발생기의 이중 정제 구조를 가지며 정제 효과가 양호하다.
CN 110 906 486호는 공기 순환형 모세관 네트워크 공조기 및 그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공기 순환형 모세관 네트워크 공조기는 주로 실내 온도 조절 시스템과 신선 공기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사용하는 동안, 신선 공기 시스템은 실내 공기를 청정 공기로 교체하는 데 사용되고; 그 후, 실내 온도 조절 시스템은 교체된 공기에 대해 실내 순환을 수행하며; 온도는 순환 프로세스에서 조절되고; 공기는 개방된 모세관 네트워크를 통해 방으로 방출되며; 온도 조절을 받은 공기는 모세관 네트워크를 통해 직접 방으로 방출된다는 점으로 인해, 실온이 빠르게 조절될 수 있으며, 전통적인 공조기와 같이 소음 및 바람 느낌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고, 신선 공기 시스템 및 실내 온도 조절 시스템 둘 모두가 방으로 배출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며, 실내 공기를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도 불구하고, 개선된 공기 청정기, 특히 사용 수명 전체에 걸쳐 보다 위생적인 공기 청정기에 대한 요구가 남아 있다.
공기 청정기는 필터를 통해 주변 공기를 필터링하여 작동한다. 따라서, 공기 중에 있는 무엇이든 이론적으로 필터에 의해 포집될 수 있다. 미립자 필터로부터 가스 필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형의 여과 수단이 있지만, 공기 유동에 포함된 미생물도 포집하는 것은 공기 청정기 기능의 필수적인 결과이다.
또한, 주변 공기로부터 오염물을 제거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으며 미립자가 제거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다양한 센서가 존재하는 것이 공기 청정기의 일상적인 특징이다. 결과적으로, 미립자의 존재가 디바이스를 통한 공기 유동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자동 모드에서 공기 청정기가 작동하는 것은 매우 일상적이다. 따라서, 공기 품질이 양호할 때, 청정기가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해 아이들 또는 대기 모드로 유지되는 것이 가능하고 흔히 바람직하다.
그러나, 공기가 청정기를 통과하지 않을 때, 필터에 의해 포집된 미생물은 빠르게 성장하여 생물막을 형성할 수 있어, 필터의 유효 수명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또한 가정 설정을 습관화하는 사용자에게 건강 위험을 유발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미생물은 유해한 바이러스를 숨겨 주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그리고 제1 양태에서, 제거 가능한 필터, 공기 유동 발생기,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로부터의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온도 및 습도 센서 모두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대기 구성으로부터 상기 공기 유동 발생기를 활성화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공기 청정기는 소비자에 의해 이동 가능하다는 점에서 휴대용이다. 이는 고정식 공조 시스템과 대조된다.
우리는 놀랍게도 표준 여과 공기 유량이라고 명명될 수 있는 것보다 훨씬 낮은 적당한 공기 유량도 미생물의 성장을 방지할 수 있고 살아 있는 미생물이 주변 공기로 송풍되고 또한 필터 교체 중에 환경으로 방출되는 빈도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미생물은 그람 양성 박테리아, 그람 음성 박테리아, 포자, 곰팡이 및 진균 뿐만 아니라 공기 스트림 및 상기 미생물 내의 임의의 바이러스를 포함한다.
우리는 놀랍게도 저속 공기 드래프트(air draft)를 제공함으로써 공기 청정기의 내부 표면, 특히 필터 매체 상의 미생물의 생존력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청정기가 작동하는 동안, 필터에서 미생물이 성장하고 증식할 위험이 증가되지 않는다. 그러나, 아이들 또는 대기 모드에 있고 조건이 유리한 경우, 미생물이 성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청정기는 미생물 성장에 도움이 되는 조건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이러한 조건이 존재하는 것으로 고려될 때 대기 모드 또는 아이들로부터 공기 유동 발생기를 구동시켜 필터 또는 심지어 청정기의 내부 표면 상의 미생물을 파괴한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가 조건이 미생물 성장에 도움이 된다고 결정하는 경우, 예를 들어 시각적 또는 청각적 신호를 통해 또는 전자식으로 모바일 전화와 같은 원격 디바이스에 표시를 제공하고, 그에 따라 공기 유동 발생기가 사용되어야 한다는 것이 사용자에게 통지되거나,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그리고 미생물 성장을 방지하거나 미생물을 직접 파괴하기에 충분한 저속으로 팬 또는 임펠러를 자동으로 구동시킨다.
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서들은 액세스할 수 있는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여 온도 및 습도를 기초로 미생물 성장 확률을 결정한다. 룩업 테이블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상이한 지역에 대해 상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청정기는 선택이 다음 중 하나인 제1 모드를 갖는다: 습도 센서 및 온도 센서에 의해 결정된 조건이 미생물 성장이 전혀 없거나 낮은 것으로 예상되는 비조치; 조건이 미생물에게 유리함을 사용자에게 경보하고 사용자가 팬을 구동할 수 있는 옵션을 허용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전자 신호를 통한 경보; 및 사용자에게 미생물 성장 가능성이 있음을 경고하고 사용자에게 팬 또는 임펠러를 구동하도록 강력하게 권장하는 경고 레벨.
제2 모드는 온도 및 습도 센서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표시가 결정된다는 점에서 유사하게 작동할 수 있지만, 경고 또는 경보 대신에, 미생물이 성장할 가능성이 있는 조건이 될 때 기계가 자동으로 턴온된다.
물론, 사용자는 적절한 경우 이들 2개의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온도 센서는 본 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고 Sensirion으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다. 온도 센서의 적절한 예는 STS3x 시리즈를 포함한다.
습도 센서는 본 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고 Sensirion으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다. 습도 센서의 적절한 예는 SHT3x 시리즈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공기 유동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은 팬 또는 임펠러이다. 팬은 블레이드리스 팬, 축류 팬일 수 있지만, 팬은 레이디얼 팬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공기 유동 발생기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은, 예를 들어 프로세서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센서는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온도 및/또는 습도를 감지하고 정보를 프로세서에 다시 전송한다. 프로세서는 적어도 온도 또는 습도에 기초하여 조건이 미생물 성장에 도움이 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바람직하게는, 프로세서는 온도 및 습도에 기초하여 조건이 미생물 성장에 도움이 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프로세서는 지리적 위치, 시간, 주, 월 또는 계절 또는 심지어는 오염 레벨과 같은 파라미터 뿐만 아니라 발생하는 임의의 특정 조건, 예를 들어 바이러스 대유행 또는 산불,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추가로 기초하여 미생물 성장의 가능성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아시아에서, 우기는 통상적으로 계절풍에 의해 정의되며 여름에 발생한다. 이와 달리, 유럽과 북미의 여름은 더 건조한 날씨가 특징이다. 유사하게, 반구는 상이한 계절적 특성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지리적 위치는 GPS에 의해 또는 청정기 WIFI 기능을 통해 결정된다. 설정 프로세스 동안 사용자 입력을 통해 제공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공기 청정기는 이온화 장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이온화 장치는 코로나 방전 팁 및 수신 전극을 포함한다. 코로나 방전 팁이 적절한 전압을 받는 경우, 팁과 수용 또는 접지 전극 사이에 이온 구름이 생성된다.
이온화 장치는 상기 청정기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온화 장치가 상기 디바이스의 외부에 배치되는 경우, 디바이스의 상단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 이온화 장치를 디바이스 상단에 배치한다는 것은 가정의 먼지 입자가 공기를 통해 바닥을 향해 떨어질 때 이온화되고 따라서 충전될 때 응집될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먼지 입자가 더 응집될수록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공기 순환 패턴에 더 쉽게 포집되어 더 쉽게 필터링된다.
이온화 장치가 디바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경우, 공기 유동 방향에서 제거 가능한 미립자 필터 전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디바이스는 내부 이온화 장치 및 외부 이온화 장치를 포함한다. 외부 이온화 장치는 가정의 먼지 입자의 응집을 용이하게 하고 내부 이온화 장치는 제거 가능한 미립자 필터에 의해 응집된 먼지 입자의 포집을 용이하게 한다. 두 경우 모두, 이온화는 밀도가 낮은 여과 매체와 낮은 공기 속도(팬) 속도를 허용한다.
바람직하게는, 필터 매체는 탄소, 활성탄, 부직포,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재료, 다공성 발포체, 섬유 유리, 종이, 높은 로프트 스펀바운드 웹, 낮은 로프트 스펀바운드 웹, 멜트블로운 웹 및/또는 바이모달 섬유 직경 멜트블로운 매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거 가능한 필터는 미립자 필터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거 가능한 필터는 고효율 미립자 공기(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HEPA) 필터이다. 공기 청정기의 필터 부분이 그 기능의 중요한 부분이지만, 공기 청정기는 일반적으로 필터가 제자리에 있는 상태로 제조되지 않는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필터는 실질적으로 항상 별도로 제조되며 가장 중요하게는 공기 청정기 자체의 제조업자가 아닌 상이한 상업적 기업에 의해 제조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필터 제조업자가 상이한 제조업자에 의해 제조된 상이한 공기 청정기 모델용 필터를 제조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미립자 필터는 프리필터 또는 존재하는 임의의 먼지 필터와 대조되어야 한다. 프리필터와 먼지 필터는 HEPA 필터에 의해 나타나는 미립자 포집 능력이 없기 때문에 HEPA 필터로 고려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필터는 공기 청정기에 적용되기 전에 미리 충전된다.
프리필터는 공기 저항이 낮고 포켓 가드 기능도 하는 필터로, 사용자가 볼류트 또는 임펠러 조립체를 터치하는 것을 방지한다. 프리필터는 공기 정제와 관련하여 임의의 주요한 효과를 나타내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프리필터는 전용 미립자 필터의 공기 저항 또는 입자 동반 능력이 없다. 바람직하게는 프리필터는 HEPA 필터가 아니다.
우리는 놀랍게도 미생물을 사멸하는 데 필요한 공기 드래프트가 공기 여과에 필요한 것보다 훨씬 낮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공기 청정기는 상기 공기 유동 발생기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 공기 여과 공기 유동 속도를 갖는 제1 공기 유동 설정 및 공기 청정기 및/또는 제거 가능한 미립자 또는 가스 필터의 내부 표면의 멸균과 상관되는 제2 공기 유동 설정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최초 공기 여과 설정에서 제거 가능한 필터에서 측정된 공기 유동 속도는 적어도 1.5 cms-1이다. 필터 매체에서 측정은 필터 매체 표면의 팬 쪽에 있는 공간 중심 지점으로부터 취한다. 2개 이상의 필터 매체가 있는 경우, 공기 드래프트 측정을 위해 취한 것은 공기 유동 발생기에 가장 가까운 필터 매체이므로, 공기 드래프트를 먼저 받는다.
제거 가능한 필터에서 측정된 공기 유동 속도는 본 기술 분야에서 매체 속도(media velocity)로서 알려져 있다. 매체 속도는 공기가 필터를 통과하는 속도이다. 최대 양의 입자가 포획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매체 속도를 완벽하게 제어해야 한다. 너무 빠르면 많은 오염물이 필터링되지 않은 상태로 바로 날아간다. 너무 느리면 청정기가 방의 가장 먼 코너까지 유효할 정도로 충분히 빠르게 도달하지 못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 설정에서 제거 가능한 필터에서 측정된 공기 유동 속도(매체 속도)는 제1 설정에서 생성된 공기 유동 속도의 1 내지 40%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2 설정에서 제거 가능한 필터에서 측정된 공기 유동 속도는 0.1 내지 1.2 cms-1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제2 설정에서 제거 가능한 필터에서 측정된 공기 유동 속도는 0.7 내지 1.0 cms-1이다.
바람직하게는, 프로세서는 1초 내지 10시간의 기간 동안 공기 청정기의 내부 표면 및/또는 필터 매체의 멸균에 대응하는 공기 유동을 생성하도록 공기 유동 발생기를 구동시킨다.
청정기는 내부 소스, 예를 들어, 배터리 및 외부 전원을 포함한 임의의 적절한 전원에 의해 통전된다. 전력은 모터를 구동하는 데 사용되며, 이 모터는 차례로 적어도 공기 유동 발생기와 이온화 장치(존재하는 경우)를 통전시킨다.
제2 양태에서, 온도 센서로부터 주변 온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습도 센서로부터 주변 습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며, 청정기의 제거 가능한 필터에서 미생물 성장의 가능성을 결정하고, 미생물 성장이 정의된 임계값에 있는 것이 조건인 경우, 공기 유동 발생기를 활성화함으로써, 대기 모드에서 공기 청정기의 공기 유동 발생기를 활성화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다음의 비제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프로세서와 센서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프로세서는 온도 및 습도 센서로부터 입력을 수신한다. 조건이 상당한 미생물 성장에 대응하는 구역에 있는 것으로 계산되면, 프로세서는 이온화 장치 또는 팬을 활성화하여 미생물 성장을 감소시킬 이온 구름 또는 공기 드래프트를 생성한다.
도 2는 미생물 성장이 소비자에게 유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계산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세서에 센서(온도 및 습도)로부터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프로세서가 조건이 미생물 성장에 도움이 된다고 결정하면, 팬, 이온화 장치 또는 양자 모두를 제어된 방식으로 활성화한다. 예를 들어, 이온화 장치 및 팬은 내부 표면이 이온화 패턴 및 공기 드래프트를 받거나, 또는 공기 여과에 필요한 것보다 더 낮은 수준의 공기 드래프트를 받도록 간헐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표 1은 습도와 온도와 미생물 성장 사이의 관계에 대한 예를 제공한다. 결과적 조치는, 예를 들어 사용자 요구 및 요건에 따라 성능을 맞춤 설정하는 동안 사용자에 의해 수정될 수 있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모드 1에서, 청정기는 전자 신호를 원격 디바이스, 예를 들어 모바일 전화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경보하거나 경고할 뿐이다. 사용자가 그렇게 고려한다면, 청정기를 원격으로 구동시킴으로써 청정기의 필터 또는 내부 표면 상에서 미생물 성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사용자에게 경보한다는 것은 미생물의 성장이 가능하고 청정기 팬의 구동이 권고됨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사용자에게 경고한다는 것은 미생물의 성장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팬의 구동이 강력하게 권고됨을 의미한다.
모드 2에서, 청정기는 자동으로 점쉴드(Germshield) 모드에 진입하고, 즉, 미생물 성장을 방지하는 속도로 팬을 자동으로 작동시킨다. 이는 사용자에 의한 어떠한 개입 없이 수행된다.

Claims (7)

  1. 공기 청정기이며, 제거 가능한 필터, 공기 유동 발생기,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로부터의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온도 및 습도 센서 모두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대기 구성으로부터 상기 공기 유동 발생기를 활성화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공기 유동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은 팬인, 공기 청정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공기 유동 발생기를 제어하는 상기 수단은 공기 유동 발생기를 자동으로 활성화하는, 공기 청정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온화 장치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거 가능한 필터는 미립자 필터 또는 가스 필터인, 공기 청정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히터를 포함하지 않는, 공기 청정기.
  7. 온도 센서로부터 주변 온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습도 센서로부터 주변 습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며, 청정기의 제거 가능한 필터에서 미생물 성장의 가능성을 결정하고, 미생물 성장이 정의된 임계값에 있는 것이 조건인 경우, 공기 유동 발생기를 활성화함으로써, 대기 모드에서 공기 청정기의 공기 유동 발생기를 활성화하는 방법.
KR1020227027172A 2020-02-14 2021-02-11 공기 청정기 KR202201393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N202021006450 2020-02-14
IN202021006451 2020-02-14
IN202021006452 2020-02-14
IN202021006453 2020-02-14
IN202021006452 2020-02-14
IN202021006450 2020-02-14
IN202021006453 2020-02-14
IN202021006451 2020-02-14
IN202021006449 2020-02-14
IN202021006449 2020-02-14
EP20166863.9 2020-03-30
EP20166863 2020-03-30
EP20176470.1 2020-05-26
EP20176470 2020-05-26
PCT/EP2021/053334 WO2021160737A1 (en) 2020-02-14 2021-02-11 Air purifi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9323A true KR20220139323A (ko) 2022-10-14

Family

ID=74553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7172A KR20220139323A (ko) 2020-02-14 2021-02-11 공기 청정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081490A1 (ko)
EP (1) EP4103893A1 (ko)
JP (1) JP2023515362A (ko)
KR (1) KR20220139323A (ko)
CN (1) CN115087836A (ko)
WO (1) WO20211607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773570A (zh) * 2022-11-02 2023-03-10 北京金茂人居环境科技有限公司 基于智能网关的毛细管空调的控制方法、装置及设备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6670B1 (ko) 2003-09-15 2006-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JP4540424B2 (ja) * 2004-08-20 2010-09-08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節装置
DE102013109069B4 (de) * 2013-08-22 2016-10-13 Institut Für Luft- Und Kältetechnik Gemeinnützige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rfassen des Risikos von biologischem Wachstum auf einem Filter
CN104913379A (zh) 2014-03-14 2015-09-16 唐耀明 物联网嵌墙新风净化系统
CN105587139B (zh) 2016-01-12 2018-06-05 广东努谢尔环境科技有限公司 智能岗亭及采用该智能岗亭调整执勤环境状态的方法
CN110030647A (zh) 2019-05-14 2019-07-19 中天科技精密材料有限公司 一种净化器
CN110906486A (zh) 2019-12-31 2020-03-24 邢台职业技术学院 一种空气循环型毛细管网空调及其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60737A1 (en) 2021-08-19
CN115087836A (zh) 2022-09-20
EP4103893A1 (en) 2022-12-21
JP2023515362A (ja) 2023-04-13
US20230081490A1 (en) 2023-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67328A (zh) 一种智能空气品质保障系统及其控制方法
CN105444350A (zh) 一种空气净化器、空气质量控制方法及系统
CN206281059U (zh) 一种智能全热交换新风机系统
CN204214048U (zh) 一种全智能新风空气净化器
KR20220139323A (ko) 공기 청정기
CN204313444U (zh) 室内空气补给净化系统
CN207214248U (zh) 一种空调
CN112902381A (zh) 一种空调器的控制方法及使用其的空调器
CN204555100U (zh) 一种空气净化装置
CN207214249U (zh) 一种空调
CN207279823U (zh) 一种空调
EP4103890B1 (en) Air purifier
KR20220139321A (ko) 공기 청정기
GB2609000A (en) An air purifier
CN215929981U (zh) 空气净化器
KR20220139322A (ko) 공기 청정기
CN214949609U (zh) 空气净化器
CN220624293U (zh) 一种气相净化风机
CN205119307U (zh) 基于app平台的室内空气质量在线监测和净化治理系统
CN203964191U (zh) 智能空气净化器
CN206695238U (zh) 一体式文档库房环境智能专用机组
WO2023274802A1 (en) Air purifier
JP2015040688A (ja) 加湿装置
CN106801951A (zh) 一种舰船用集防区回风净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