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7232A - Sns 기반의 쇼핑 플랫폼을 운용하는 서버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Sns 기반의 쇼핑 플랫폼을 운용하는 서버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7232A
KR20220137232A KR1020210043040A KR20210043040A KR20220137232A KR 20220137232 A KR20220137232 A KR 20220137232A KR 1020210043040 A KR1020210043040 A KR 1020210043040A KR 20210043040 A KR20210043040 A KR 20210043040A KR 20220137232 A KR20220137232 A KR 20220137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resent
terminal
server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3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유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필굿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필굿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필굿
Priority to KR1020210043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7232A/ko
Publication of KR20220137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72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NS 기반의 쇼핑 플랫폼을 운용하는 서버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SNS 정보 기반의 상품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스마트폰을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에서 쇼핑몰 서비스와 관련되는 이미지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이미지 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스마트폰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상응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선택에 기반하여 상기 SNS 정보 기반의 상품 추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스마트폰을 통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Description

SNS 기반의 쇼핑 플랫폼을 운용하는 서버 및 그 시스템 {server and a system for operating an SNS-based shopping platform}
본 발명은 쇼핑 플랫폼 및 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SNS 기반의 쇼핑 플랫폼을 운용하는 서버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상품에 대한 사용자의 의견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리뷰가 여러 구매자들에 의해 상품 리뷰가 작성되고, SNS, 블로그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서 공유되어 활성화되고 있다. 이러한 상품 리뷰에는 해당 상품에 관해 사용자가 갖고 있는 선호에 대한 보다 상세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담고 있어 추천 시스템에 유용한 활용이 가능하여 실제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개방적인 웹의 특성에 의해 소비자들이 온라인상에서 작성한 상품 리뷰 데이터의 양이 급격하게 증가하였고, 자연스럽게 상품 리뷰에 담긴 방대한 양의 의견 정보를 분석하는 여러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상품 추천 시스템은 객관적이지 못한 정보를 바탕으로 하거나, 사용자의 선호도를 고려하지 않아 만족도가 낮은 편이다. 사용자가 상품을 구매할 때 중요하게 여기는 기준을 고려하여 반영한다면 추천 상품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전자상거래는 다양한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 현재는, 다수의 상품 판매자와 다수의 상품 구매자를 하나의 플랫폼상에서 연결하는 온라인 마켓 플레이스가 전자상거래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이베이나 아마존과 같은 온라인 마켓 플레이스는, 신상품 이외에도 중고품도 거래가 가능해졌다. 우리 나라의 중고나라와 같은 온라인 마켓 플레이스는, 대형 온라인 마켓 플레이스과 같은 형태지만, 개인간 거래를 위주로 운영되고 있다.
대형 온라인 마켓 플레이스의 장점은 편리하고 안전한 전자상거래를 제공한다는 점이다. 그러나 온라인 마켓 플레이스를 통한 상품 거래는, 상품 판매자와 상품 구매자를 단순히 연결하는데 그칠 뿐, 상품 구매자와 상품 판매자간 정보나 관심의 공유가 가능한 통로나 채널은 제공할 수 없다.
전자상거래와는 별도로, 온라인상에서 사회적 네트워킹을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솔루션이 개발되었으나, 물건이나 사물을 중심으로 게시물을 개재하여 자신의 물건 보유 이력을 뽐내서 서로 의사소통하며 전자상거래까지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솔루션은 제공되고 있지 못하다.
국내특허공보 제10-2014-0033298호 (2014.03.18) 국내특허공보 제10-2012-0087273호 (2012.08.07)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SNS 기반의 쇼핑 플랫폼을 운용하는 서버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SNS 기반의 쇼핑 플랫폼을 운용하는 서버 및 그 시스템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SNS 정보 기반의 상품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스마트폰을 통하여 입력되는 제1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정보에서 쇼핑몰 서비스와 관련되는 분석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분석 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스마트폰을 통하여 상기 스마트폰의 사용자의 선택에 상응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선택에 기반하여 상기 SNS 정보 기반의 상품 추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스마트폰을 통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SNS 정보 기반의 상품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입력 모듈을 포함하는 (a) 단말; 및 상기 단말과 이미지 정보 및 텍스트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 모듈, 출력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 및 상기 출력 모듈을 제어하고, IoT(Internet of Things) 기술 및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에 기반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b)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정보 및 상기 텍스트 정보는, 상기 단말로부터 획득되는 제1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어 모듈에 의해 결정되며, SNS 정보 기반의 상품 추천 정보에 관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은 쇼핑 플랫폼(판매자용)을 이용하며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이미지를 제공하는 판매자 단말; 쇼핑 플랫폼(고객용)을 이용하여 고객 맞춤형 상품정보를 제공받고, 구매한 상품에 대한 후기를 제공하는 고객단말; 및 상기 쇼핑 플랫폼(판매자용) 및 상기 쇼핑 플랫폼(고객용)과 연동하고, 상기 판매자 단말에서 촬영된 상품 이미지를 상기 판매자 단말에서 요청한 가공형태로 자동편집하여 제공하고, 상기 고객단말로부터 제공된 키워드 및 성향정보에 부합하는 맞춤형 상품정보 및 상기 맞춤형 상품정보를 선호하는 타 고객 및 비선호하는 타 고객의 댓글반응정보를 상기 고객단말로 제공하는 플랫폼 관리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개선된(enhanced) 쇼핑 플랫폼 및 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이용하면, 첫째, 판매상세페이지의 사진들을 간단히 폰으로 찍어 빠르게 편집없이 올릴 수 있는 기술을 통해 간단히 올릴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둘째, 구매자가 후기방을 따로 만들어 구매 상품들의 다양한 후기를 쓸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셋째, 후기를 본 또 다른 구매자가 후기를 통해 구매확정을 할 경우 후기를 쓴 사람에게 현금으로 리워드를 제공한다.
넷째, 후기의 진실성을 판별하기 위해 후기를 본 후 구매한 구매자가 상품을 받은 후 후기 글에 대한 의견을 달게 하고, 상품의 소개 사진에 상품사진과 '좋아요'를 가장 많이 받은 후기를 동시에 올려 구매자들의 구매를 도와줄 뿐 아니라 판매자도 상품사진 촬영이나 편집에 시간적, 금전적 투자를 줄여줄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또한 다른 측면들과, 특징들 및 이득들은 첨부 도면들과 함께 처리되는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말이 정보를 출력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단말이 정보를 출력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면들을 통해, 유사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혹은 유사한 엘리먼트들과, 특징들 및 구조들을 도시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에 유의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특정 시스템의 예를 주된 대상으로 할 것이지만, 본 명세서에서 청구하고자 하는 주요한 요지는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 및 서비스에도 본 명세서에 개시된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말이 정보를 출력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은 참조하면,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20)은 SNS 정보 기반의 상품 추천 정보에 관한 이미지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20)은 IoT 기술 및/또는 ICT 기술에 기반하여 획득되거나 생성될 수 있는 SNS 정보 기반의 상품 추천 정보에 관한 이미지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IoT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을 나타낼 수 있다.
IoT(사물인터넷)는 세상의 모든 사물들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서로 소통하는 차세대 기술을 의미할 수 있다. 4차 산업혁명은 사물인터넷으로 빅데이터를 얻고, 그것을 클라우드에 저장해, 인공지능으로 분석하고 활용하는 것이다. 사물인터넷은 지능화되어 스마트 자동차, 스마트 홈, 스마트 시티 등 스마트 세계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완전 자율 자동차나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헬스 케어 서비스 등 모든 분야에 인터넷이 연결되는 세상이 되어, 마치 인터넷이 공기와 같이 되는데 굳이 인터넷이 따로 있을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사물인터넷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인터넷만 있어서는 안 된다. 센서와 네트워크 기술,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인공지능, 3D 프린팅 등의 다양한 기반 기술이 함께 어우러져야 한다. 특히 4차 산업혁명은 사물인터넷으로 빅데이터를 얻고, 그것을 클라우드(cloud)에 저장해, 인공지능으로 분석하고 활용하는 흐름을 보여준다.
또한 ICT는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을 나타낼 수 있다.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는 정보 기술(Information Technology, IT)과 통신 기술(Communication Technology, CT)의 합성어로 정보기기의 하드웨어 및 이들 기기의 운영 및 정보 관리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기술과 이들 기술을 이용하여 정보를 수집, 생산, 가공, 보존, 전달, 활용하는 모든 방법을 의미한다. ICT 패러다임의 변화는 콘텐츠(C)-플랫폼(P)-네트워크(N)-디바이스(D) 가치사슬 상의 각 부문간 상호의존 심화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C-PN-T(터미널) 가치사슬이 방송플랫폼을 설명하는데 많이 활용되었으나, 스마트폰, 태블릿 등 사실상 컴퓨터에 해당되는 기기를 감안하면 C-P-N-D라는 표현이 ICT를 설명하는데 좀 더 유용할 수 있다. 콘텐츠(C) 부문을 살펴보면, 인터넷상에서는 더 이상 사진, 서적, 음악, 동영상 등의 구분이 무의미하다는 점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이들 모든 종류의 콘텐츠는 디지털화되면서 플랫폼 제공자에 의해서 이용자에 제공되며 콘텐츠 보유자는 구글, 애플, 아마존과 같은 플랫폼 제공자와 제휴하거나 직접 플랫폼을 구성하여 콘텐츠를 제공한다. 플랫폼 부문은 C-P-N-D 가치사슬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인터넷 상에서 콘텐츠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축적, 처리, 저장,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소프트웨어 기술력을 보유한 ICT 기업이 주도권을 잡게 됨을 의미하는데, 특히 소프트웨어 기술력과 클라우드 인프라를 보유한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가 대표적인 플랫폼 제공자로 부상하고 있다. 그 과정에서 전통적인 네트워크 전송 서비스 제공자의 위상은 상대적으로 약화될 가능성이 있다. 반면 원천 콘텐츠를 보유한 기업은 플랫폼 제공자와 대등한 관계의 설정도 가능할 것이다. 디지털 융합시대의 네트워크는 IP망, 즉 인터넷이다. 서킷방식 전화망과 같은 전통적인 네트워크는 네트워크 보유자가 자체적으로 이용자 식별 등의 지능적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인터넷의 경우에는 아카마이와 같은 다양한 서비스 제공기업들이 서버 클러스터를 통하여 효율적 트래픽 전송, 보안 등 네트워크의 다양한 기능을 경쟁 시장에서 제공한다.
이러한 지능형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기업도 일종의 플랫폼 제공기업이라는 의미에서 사실상 플랫폼과 네트워크의 구분은 어렵다. 또한 통신망을 보유한 사업자들이 직접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도 중요하다. 디바이스 부문은 언제나 인터넷과 연결되고, iOS와 같은 범용 운영체제를 갖춘 디바이스 내부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플랫폼과 연결되어 서비스를 완결한다. 애플은 플랫폼 제공자가 동시에 디바이스 제공자인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으며, 구글과 안드로이드폰의 제조사간의 제휴관계를 감안하면 과거보다 플랫폼 부문과 디바이스 부문의 관계가 보다 밀접한, 상호의존적인 관계임을 알 수 있다. 콘텐츠 부문과 플랫폼 부문의 제휴, 디바이스 부문의 플랫폼과의 연계, 플랫폼 부문과 네트워크 부문의 경계 모호 등은 모두 C-P-N-D 각 부문의 상호의존성 심화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20)은 쇼핑 플랫폼을 이용하여 판매자가 판매하고자 하는 판매상품 별로 구매자들이 상품구매 후기 및/또는 상품품평 후기를 등록하도록 하기 위한 상품 품평 온라인 커뮤니티를 개설할 수 있는 단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20)은 쇼핑 플랫폼을 통해 온라인 커뮤니티에 등록된 댓글, 후기영상을 통해 매출액이 발생될 경우, 해당 댓글, 후기영상을 올린 구매자를 추출(선정)하기 위한 추출 임계값을 제공하고, 후술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10)에서 제공된 추출 임계값을 기초로 선별된 구매자에게 일정의 현금성 리워드를 지급하는 단말일 수 있다.
참고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10)에서 추출된 구매자 정보를 제공받은 후, 지급할 수도 있고, 임의의 현금성 리워드를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10)로 선지급한 후, 선지급된 현금성 리워드를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10)에서 자체적으로 분배하도록 요청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20)은 쇼핑 플랫폼을 통해 기 설정된 기간동안 달린 댓글 수, 댓글의 칭찬 또는 불만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단말일 수 있다. 가령, η 고객이 가장 많이 본 상품,
Figure pat00001
고객이 추천하는 상품,
Figure pat00002
가장 많이 찾는 상품 등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20)은 쇼핑 플랫폼을 통해 고객에게 맞춤형 쇼핑상품을 추천받는 단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20)은 쇼핑 플랫폼을 통해 감성 키워드에 부합하는 맞춤형 상품을 추천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20)은 쇼핑 플랫폼을 통해 감성 키워드와 관련된 구매 고객들의 SNS 후기 및 해당 고객들의 일상(쇼핑, 여행, 찾아간 음식점 등)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20)은 쇼핑 플랫폼을 통해 고객의 신체 사이즈 정보(상체, 하체, 비만 유무)를 기초로 적합한 디자인 및 해당 다자인 반영된 유사 상품을 제공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20)은 쇼핑 플랫폼을 통해 쇼핑 지리정보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일 수 있다. 가령, 고객 위치로부터 기 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하는 식당, 호텔, 핫플레이스 등을 자동으로 표시한다.
다음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10)은 쇼핑 플랫폼(판매자용) 및 상기 쇼핑 플랫폼(고객용)과 연동하고, 상기 판매자 단말에서 촬영된 상품 이미지를 상기 판매자 단말에서 요청한 가공형태로 자동편집하여 제공하고, 상기 고객단말로부터 제공된 키워드 및 성향정보에 부합하는 맞춤형 상품정보 및 상기 맞춤형 상품정보를 선호하는 타 고객 및 비선호하는 타 고객의 댓글반응정보를 상기 고객단말로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참고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10)는 메신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고, 메신저 서비스에 쇼핑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10)는 판매자 단말에서 입력한 상품이미지 내에 포함된 상품의 종류, 고객에게 노출하고 싶은 노출스타일, 상품의 배경이미지, 노출 특징 부위에 기초하여 상기 상품이미지를 가공편집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10)는 상기 판매자 단말로부터 현금성 리워드를 선지급받은 후, 상기 고객단말이 상기 판매자 단말에서 판매하는 상품에 대한 구체처리를 실행할 경우, 상기 고객단말이 지정한 상품후기를 작성한 후기고객의 단말로 선지급받은 현금성 리워드의 일정 금액 또는 상기 고객단말이 구매한 상품 구매금액의 기 설정된 비율을 리워드로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도 2의 식자재 가공 시스템(100)을 제어하거나 모니터링하는 식자재 관리 시스템(100)을 제안하며, 상기 식자재 관리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서버(110), 본 발명의 단말(120), 및/또는 식자재 가공 시스템(13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서버(110)는 제1 제어 모듈(111), 제1 통신 모듈(112), 제1 입력 모듈(113), 및/또는 제1 출력 모듈(114)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단말(120)은 제2 제어 모듈(121), 제2 통신 모듈(122), 제2 입력 모듈(123, 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모듈(111, 1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단계/과정을 구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서버(110) 및/또는 본 발명의 단말(120)을 직/간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111, 121)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중앙 처리 유닛(CPU)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처리 디바이스(GPU)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12, 122)은 본 발명의 서버(110) 및/또는 본 발명의 단말(120) 등과 각종 데이터, 신호,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112, 122)은 무선 통신 모듈(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112, 122)은 제1 네트워크(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 모듈(113, 123)은 본 발명의 서버(110) 및/또는 본 발명의 단말(120)의 구성요소(예: 제어 모듈(111, 121) 등)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본 발명의 서버(110) 및/또는 본 발명의 단말(120)의 외부(예: 사용자(예; 제1 사용자, 제2 사용자 등), 본 발명의 서버(110)의 관리자 등)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입력 모듈(113, 123)은 충전장치(110), 관리서버(120), 및/또는 본 발명의 단말(120)에 설치된 터치인식가능 디스플레이, 터치패드, 버튼형 인식 모듈, 음성인식센서,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인식가능 디스플레이, 터치패드, 버튼형 인식 모듈은 감압식 및/또는 정전식 방식을 통하여 사용자의 신체(예; 손가락)를 통한 터치를 인식할 수 있다.
출력 모듈(114, 124)은 본 발명의 서버(110) 및/또는 본 발명의 단말(120)의 제어 모듈(111, 121)에 의해 생성되거나 통신 모듈(112, 122)을 통하여 획득된 신호(예; 음성 신호), 정보, 데이터, 이미지, 및/또는 각종 객체(object) 등을 표시하는 모듈이다. 예를 들면, 출력 모듈(114, 124)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표시부(displaying unit), 스피커 및/또는 발광장치(예; LED 램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서버(110) 및/또는 본 발명의 단말(120)은 저장 모듈(storage module)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서버(110) 및/또는 본 발명의 단말(120)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 모듈은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 모듈은 본 발명의 서버(110) 및/또는 본 발명의 단말(120)을 사용하는 제1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개인정보는 이름, 아이디(ID; identifier), 패스워드, 주민등록번호, 도로명 주소, 전화 번호, 휴대폰 번호, 및/또는 이메일 주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 모듈(111, 121)은 저장 모듈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제1 단계를 수행하고(S210), 제2 단계를 수행하고(S220), 제3 단계를 수행하고(S230), 및/또는 제4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240).
일 예로, 상기 제1 단계(S210)는 서버(110)가 단말(120)로부터 제1 정보를 획득하거나 수신하거나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 단계(S220)는 단말(120)이 서버(110)로부터 제2 정보를 획득하거나 수신하거나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3 단계(S230)는 서버(110) 및/또는 단말(120)이 상기 제1 정보 및/또는 상기 제2 정보에 기반하여 SNS 정보 기반의 상품 추천 정보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4 단계(S240)는 서버(110) 및/또는 단말(120)이 SNS 정보 기반의 상품 추천 정보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일 예에 따라 상기 S210 내지 S240 중 일부만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다른 예에 따라 상기 S210 내지 S240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단말이 정보를 출력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120)은 SNS 정보 기반의 상품 추천 정보에 관한 텍스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120)은 IoT 기술 및/또는 ICT 기술에 기반하여 획득되거나 생성될 수 있는 SNS 정보 기반의 상품 추천 정보에 관한 텍스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발명의 서버(110)는 인공지능망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 및 도 3의 방법 등에서 사용되는 정보를 선택하거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서버(110)는 머신러닝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으며, 머신러닝 모듈(미도시)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빅데이터(big data)에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을 이용하여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 및 도 3의 방법 등에서 사용되는 정보 등을 선택하거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머신러닝 모듈은 본 발명의 서버(11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빅데이터를 입력변수로 하여 상기 인공지능망을 학습시키는데, 구체적으로는 머신러닝의 한 분야인 딥러닝(Deep Learning) 기법을 이용하여 정확한 상관 관계가 도출될 수 있도록 학습을 수행한다.
또한 머신러닝 모듈은 딥러닝을 통하여 상기 함수에서의 복수 개의 입력들의 가중치(weight)를 학습을 통하여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학습을 위하여 활용되는 인공지능망 모델로는 RNN(Recurrent Neural Network), DNN(Deep Neural Network) 및 DRNN(Dynamic Recurrent Neural Network) 등 다양한 모델들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상기 머신러닝 모듈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 및 도 3의 방법 등에서 사용되는 정보를 결정하거나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SNS 정보 기반의 상품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입력 모듈을 포함하는 (a) 단말; 및 상기 단말과 이미지 정보 및 텍스트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 모듈, 출력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 및 상기 출력 모듈을 제어하고, IoT(Internet of Things) 기술 및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에 기반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b)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정보 및 상기 텍스트 정보는, 상기 단말로부터 획득되는 제1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어 모듈에 의해 결정되며, SNS 정보 기반의 상품 추천 정보에 관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각각의 실시예는 필요에 따라 서로 조합되어 운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는 일부분들이 서로 조합되어 본 발명의 시스템(100), 서버(110), 및/또는 단말(12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100), 서버(110), 및/또는 단말(120)을 제어하는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특정 관점에서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에서 컴퓨터 리드 가능 코드(computer readable code)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리드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이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의 예들은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와, 랜덤-접속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와, 컴팩트 디스크- 리드 온니 메모리(compact disk-read only memory: CD-ROM)들과, 마그네틱 테이프(magnetic tape)들과,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들과, 광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들, 및 캐리어 웨이브(carrier wave)들(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송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는 또한 네트워크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을 통해 분산될 수 있고, 따라서 컴퓨터 리드 가능 코드는 분산 방식으로 저장 및 실행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성취하기 위한 기능적 프로그램들,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서 숙련된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쉽게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compact disk: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제어부(제어 모듈(111, 221))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이러한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앞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

  1. SNS 정보 기반의 상품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스마트폰을 통하여 입력되는 제1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정보에서 쇼핑몰 서비스와 관련되는 분석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분석 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스마트폰을 통하여 상기 스마트폰의 사용자의 선택에 상응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선택에 기반하여 상기 SNS 정보 기반의 상품 추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스마트폰을 통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방법.
KR1020210043040A 2021-04-02 2021-04-02 Sns 기반의 쇼핑 플랫폼을 운용하는 서버 및 그 시스템 KR202201372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040A KR20220137232A (ko) 2021-04-02 2021-04-02 Sns 기반의 쇼핑 플랫폼을 운용하는 서버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040A KR20220137232A (ko) 2021-04-02 2021-04-02 Sns 기반의 쇼핑 플랫폼을 운용하는 서버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7232A true KR20220137232A (ko) 2022-10-12

Family

ID=83598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3040A KR20220137232A (ko) 2021-04-02 2021-04-02 Sns 기반의 쇼핑 플랫폼을 운용하는 서버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7232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7273A (ko) 2010-12-23 2012-08-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고객 맞춤형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KR20140033298A (ko) 2012-09-12 2014-03-18 주식회사 호유컴즈 버티컬 sns 기반의 서브 스크립션 커머스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7273A (ko) 2010-12-23 2012-08-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고객 맞춤형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KR20140033298A (ko) 2012-09-12 2014-03-18 주식회사 호유컴즈 버티컬 sns 기반의 서브 스크립션 커머스 서비스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42883B2 (en) Integrated online and offline inventory management
US11790401B2 (en) Platform for location and time based advertising
TW202135010A (zh) 為實體項目產生擴增實境場景之系統及方法
US20180232749A1 (en) Increasing sales efficiency by identifying customers who are most likely to make a purchase
US1134155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commending a product based on an image of a scene
US11887173B2 (en) Computer-implemented systems and methods for in-store product recommendations
US2022004387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 interface for saving information for recognized objects
WO2015147914A1 (en) Location-based book identification
WO2009024990A1 (en) System of processing portions of video stream data
KR101880848B1 (ko) 이탈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20137232A (ko) Sns 기반의 쇼핑 플랫폼을 운용하는 서버 및 그 시스템
KR102262661B1 (ko) 공유형 광고를 통하여 쇼핑몰 상품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210383317A1 (en) Acquaintances finder mechanism for arriving at a dynamic delivery location for a bulk purchase
US20190378196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image-based information related to user
KR102233182B1 (ko) 판매자 편의를 제공하는 온라인 판매 플랫폼을 운용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585298B1 (ko) 가상현실(vr) 기술 기반의 갤러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시스템
WO2018094445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 online marketplace and analytics
US2023039453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multimedia data
US2023007027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items having complementary material properties
KR20220055163A (ko) 해외 직구 쇼핑몰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시스템
KR20220021657A (ko) 빅데이터를 수집하여 음식점 평가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
Aghazadeh et al. Applications of Marketing Technologies (Martechs) in Digital Marketing
KR20220022271A (ko) 주차 공간 공유 플랫폼을 관리하는 서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