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6873A - 사격장 방호시설, 사격장 방호시설의 시공방법 및 유지보수방법 - Google Patents

사격장 방호시설, 사격장 방호시설의 시공방법 및 유지보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6873A
KR20220136873A KR1020210126241A KR20210126241A KR20220136873A KR 20220136873 A KR20220136873 A KR 20220136873A KR 1020210126241 A KR1020210126241 A KR 1020210126241A KR 20210126241 A KR20210126241 A KR 20210126241A KR 20220136873 A KR20220136873 A KR 20220136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mesh
wire
unit
protective wall
shooting 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6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지윤
Original Assignee
허지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지윤 filed Critical 허지윤
Priority to KR1020210126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6873A/ko
Publication of KR20220136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68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11/00Target ranges
    • F41J11/02Safety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18Making embankments, e.g. dikes, da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5/00Armour; Armour plates
    • F41H5/24Armour; Armour plates for stationary use, e.g. fortifications ; Shelters; Guard Booth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5Geotext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방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는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턱(S)이 전방에 형성되는 기초구조체(F); 및 상기 복수 개의 턱(S)의 상면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 개의 단위 방호벽(200)을 포함하는, 사격장 방호시설을 제공한다.
상기 복수 개의 턱(S)은, 상측 턱(S)의 전면이 상기 상측 턱(S)과 이웃하거나 접하는 하측 턱(S)의 전면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하측 턱(S)의 상면에 배치되는 상기 단위 방호벽(200)은 상기 상측 턱(S)의 전면을 가릴 수 있다.
이에, 사격장 방호시설이 계단 또는 첨탑 형태를 가져서 안정성이 확보되므로 사격장 방호시설을 충분한 높이(예컨대, 5m 내지 8m 또는 그 이상)까지 높일 수 있어서 사격장 인근 주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사격장 방호시설을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형성 및 유지보수할 수 있고 사용연한이 길 수 있다.

Description

사격장 방호시설, 사격장 방호시설의 시공방법 및 유지보수방법{SHOOTING RANGE PROTECTIVE STRUCTURE AND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METHOD OF SHOOTING RANGE PROTECTIVE STRUCTURE}
본 발명은 사격장 방호시설, 사격장 방호시설의 시공방법 및 유지보수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격장 인근 주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고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형성 및 유지보수할 수 있는 사격장 방호시설, 사격장 방호시설의 시공방법 및 유지보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격장은 군인, 경찰이 사격훈련을 하거나 일반인들이 레저활동을 하기 위해 널리 사용된다.
사격장에는 사격장에서 발생한 유탄 또는 도비탄이 사격장을 벗어나지 못하도록 방호시설이 설치된다.
그러나, 방호시설의 높이가 충분히 높지 않으면 유탄 또는 도비탄이 방호시설을 벗어나서 사격장 인근에 도달할 수 있다. 이에, 사격장 인근 주민의 생명 또는 재산을 해할 수 있으므로 방호시설은 높이가 충분하게 높아야 한다. 예를 들면, 야외 사격장의 경우에 방호시설의 높이가 대략 5m 내지 8m 또는 그 이상이어야 한다.
또한, 방호시설은 탄두에 의해서 점차 손상되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해야 한다. 또한, 탄두는 구리와 납으로 구성되므로 탄두를 그대로 방치할 경우에 토양이 오염될 수 있다. 이에, 방호시설에 포집된 탄두를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은 다음과 같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22827호는 실탄사격장의 도탄 방지용 피탄패널을 이용한 경사형 탄두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탄사격장에 설치가 용이하고, 실탄사격장에서 사수가 발사한 탄환의 탄두를 효율적으로 회수함으로써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에 기여 할 수 있을 뿐더러 환경오염물질로부터의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특히 탄환의 튕김 현상에 의해 발생되는 도탄의 위험으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확보할 수 있어 이용자들이 안심하고 실탄사격을 즐길 수 있도록 안출된 실탄사격장의 도탄 방지용 피탄패널을 이용한 경사형 탄두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피탄패널(100) 및 방탄강판(200)이 각각 상하로 길게 연결되므로 방호시설의 높이가 높아질 경우에 설치가 어렵고 구조적으로 불안정할 수 있다. 또한, 피탄패널(100) 및 방탄강판(200)의 유지보수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KR 10-2022827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격장 인근 주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고 안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되는 사격장 방호시설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형성 및 유지보수할 수 있고 사용연한이 긴 사격장 방호시설, 사격장 방호시설의 시공방법 및 사격장 방호시설의 유지보수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단위 방호벽(200)을 고정시키는 사격장 방호시설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단위 방호벽(200)을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보관 및 운송할 수 있는 사격장 방호시설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단위 방호벽(200)의 바닥을 용이하게 열어서 내용물(C)을 배출시키는 사격장 방호시설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단위 방호벽(200)들을 좌우방향으로 연결 및 연결해제할 수 있고 단위 방호벽(200)들의 연결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단위 방호벽(200)들 사이로 탄두가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는 사격장 방호시설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탄두(H)를 용이하게 분리 또는 회수할 수 있는 사격장 방호시설의 유지보수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방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는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턱(S)이 전방에 형성되는 기초구조체(F); 및 상기 복수 개의 턱(S)의 상면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 개의 단위 방호벽(200)을 포함하는, 사격장 방호시설을 제공한다.
상기 복수 개의 턱(S)은, 상측 턱(S)의 전면이 상기 상측 턱(S)과 이웃하거나 접하는 하측 턱(S)의 전면보다 후방에 위치한다.
상기 하측 턱(S)의 상면에 배치되는 상기 단위 방호벽(200)은 상기 상측 턱(S)의 전면을 가린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초구조체(F)는, 전방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방프레임(110); 및 상기 전방프레임(110)에 결합되고 전방프레임(110)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고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며 전방프레임(110)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받침대(140)를 포함한다.
상기 받침대(140)가 상기 턱(S)에 해당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초구조체(F)는, 상기 전방프레임(110)과 결합되며 후방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방프레임(120); 및 상기 전방프레임(110)과 후방프레임(120) 사이에서 전방프레임(110)과 후방프레임(120)을 연결하는 한 개 이상의 중간프레임(13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전방프레임(110), 후방프레임(120) 및 중간프레임(130)이 트러스구조로 연결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받침대(140)의 전면에는 체결구(142)가 구비되고, 하측 받침대(140)의 상면에 배치되는 상기 단위 방호벽(200)은 상기 하측 받침대(140)와 이웃하거나 접하는 상측 받침대(140)의 상기 체결구(142)에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초구조체(F)는, 복수 개가 상하로 적층되고, 각 층 별로 한 개 이상이 전후로 마주하거나 접하여 배치되는 개비온(310, gabion)을 포함한다.
상기 기초구조체(F)의 상층의 전방에 배치되는 개비온(310)의 전면은 상기 상층과 접하는 하층의 전방에 배치되는 개비온(310)의 전면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이에 따라 상기 기초구조체(F)의 각 층의 전방에 배치되는 개비온(310)의 적어도 일부분(312)은 상면이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상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개비온(310)의 적어도 일부분(312)이 상기 턱(S)에 해당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초구조체(F)의 상층의 후방에 배치되는 개비온(310)의 후면은 상기 상층과 접하는 하층의 후방에 배치되는 개비온(310)의 후면보다 전방에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위 방호벽(200)은, 서로 마주하며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제1철망(210); 상기 한 쌍의 제1철망(210)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의 이음면을 규정하기 위해, 상기 한 쌍의 제1철망(210)의 서로 마주하는 양측 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제2철망(220); 상기 한 쌍의 제1철망(210)과 한 쌍의 제2철망(220)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의 바닥면을 규정하기 위해, 상기 한 쌍의 제1철망(210)의 하단부와 각각 연결되거나 상기 한 쌍의 제2철망(220)의 하단부와 각각 연결되는 제3철망(230); 상기 철망들(210,220,230)의 연결 부위에서 연결되는 두 철망이 서로 피봇 가능하도록, 상기 철망들(210,220,230)의 연결 부위에서 연결하고자 하는 두 철망의 단부에 끼워지는 연결부재(250); 및 상기 한 쌍의 제1철망(210)과 상기 한 쌍의 제2철망(220)과 상기 제3철망(230)에 의해 규정되는 공간에 내용물(C)을 담기 위해, 상기 한 쌍의 제1철망(210)과 상기 한 쌍의 제2철망(220)과 상기 제3철망(230)의 내면을 덮는 제1토목섬유(270)를 포함한다.
상기 내용물(C)에 탄두(H)가 포집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위 방호벽(200)은, 상기 한 쌍의 제1철망(210)이 상기 내용물(C)에 의해 외측으로 부풀어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한 쌍의 제1철망(21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제1철망(210)의 중간 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지지부재(M, 240);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철망(230)의 일측 단부와 상기 제1철망(210) 또는 제2철망(220)의 하단부를 연결하기 위해 끼워지는 상기 연결부재(250)는, 상기 제3철망(230)의 일측 단부에 끼워지는 스프링 형상의 와이어(251), 상기 제1철망(210) 또는 제2철망(220)의 하단부에 끼워지는 스프링 형상의 와이어(251), 그리고 상기 두 스프링형상 와이어(251)를 중첩시킨 후 그 내부로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되는 직선형 와이어(25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철망(220)의 중간 부분에는 수직방향으로 상기 연결부재(250)가 더 끼워진다.
일 실시예에서, 좌우로 마주하여 놓여지는 상기 단위 방호벽(200)들의 제2철망(220)을 서로 연결하되, 마주하는 제2철망(220)에 끼워진 스프링형상 와이어(251)를 중첩시킨 후 그 내부로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형 와이어(252)를 삽입하여 2 이상의 단위 방호벽(200)을 좌우로 연결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철망(210)의 전방에는 제2토목섬유(280)가 고정된 제5철망(260)이 결합된다.
또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격장 방호시설의 단위 방호벽(200)에 설치되는 보수철망(R)으로서, 상기 단위 방호벽(200)은 내용물(C)이 채워지는 내부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철망(210. 220, 230)을 포함하고, 상기 보수철망(R)은, 제2토목섬유(280) 및 상기 제2토목섬유(280)가 고정되는 제5철망(260)을 포함하고, 상기 철망(210, 220, 230) 중에서 전방에 배치되는 제1철망(210a)의 전방에 결합되는, 보수철망을 제공한다.
또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단위 방호벽(200)을 제조하는 단위 방호벽 제조단계; 현장에서 상기 복수 개의 턱(S)이 전방에 형성되는 기초구조체(F)를 설치하는 기초구조체 설치단계; 상기 현장에서 상기 단위 방호벽(200)에 내용물(C)을 채운 후에 단위 방호벽(200)을 각각의 상기 턱(S)에 설치하거나 단위 방호벽(200)을 각각의 상기 턱(S)에 설치한 후에 단위 방호벽(200)에 내용물(C)을 채우는 단위 방호벽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사격장 방호시설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턱(S)에 설치된 상기 단위 방호벽(200)을 분리시키는 연결해제단계; 상기 분리된 단위 방호벽(200)을 탄두(H)를 거르는 거름망(N)의 상부로 이동시키는 이동단계; 상기 거름망(N)의 상부로 이동시킨 단위 방호벽(200)의 바닥을 열어서 단위 방호벽(200)에 채워진 내용물(C)을 하방으로 배출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거름망(N)에 의해 내용물(C)과 내용물(C)에 포획된 탄두(H)가 분리 또는 회수되는 배출단계; 및 상기 내용물(C)이 배출된 단위 방호벽(200)의 바닥을 닫고, 단위 방호벽(200)에 상기 내용물(C)을 채운 후에 단위 방호벽(200)을 상기 턱(S)에 설치하거나 단위 방호벽(200)을 상기 턱(S)에 설치한 후에 단위 방호벽(200)에 내용물(C)을 채우는 재설치단계를 포함하는, 사격장 방호시설의 유지보수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보수철망(R)의 양단부를 상기 단위 방호벽(200)의 전방에 배치되는 철망(210a)의 전방에 연결하는, 사격장 방호시설의 유지보수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격장 방호시설은 전방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는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턱(S)이 전방에 형성되는 기초구조체(F); 및 상기 복수 개의 턱(S)의 상면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 개의 단위 방호벽(20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턱(S)은, 상측 턱(S)의 전면이 상측 턱(S)과 이웃하거나 접하는 하측 턱(S)의 전면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격장 방호시설이 계단 또는 첨탑 형태를 가지므로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사격장 방호시설이 계단 또는 첨탑 형태를 가져서 안정성이 확보되므로 사격장 방호시설을 충분한 높이(예컨대, 5m 내지 8m 또는 그 이상)까지 높일 수 있다. 이에, 탄두가 높이가 높은 사격장 방호시설에 가로막혀서 사격장을 벗어나지 못하므로 사격장 인근 주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기초구조체(F)를 설치한 후에 기초구조체(F)에 복수 개의 단위 방호벽(200)을 설치하면 사격장 방호시설이 완성되므로 사격장 방호시설을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형성할 수 있다. 또한, 손상된 단위 방호벽(200)만 개별적으로 교체 또는 보수할 수 있으므로, 사격장 방호시설을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유지보수할 수 있다.
또한, 기초구조체(F)의 상측 턱(S)의 전면이 하측 턱(S)의 전면보다 후방에 위치하므로, 상측 턱(S) 및 상측 턱(S)의 상면에 설치된 단위 방호벽(200)에 의해 간섭되지 않고 단위 방호벽(200)을 하측 턱(S)의 상면에 설치하거나 하측 턱(S)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에, 단위 방호벽(200)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하거나 분리할 수 있으므로, 사격장 방호시설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조/형성 및 유지보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측 턱(S)의 상면에 배치되는 단위 방호벽(200)은 상측 턱(S)의 전면을 가릴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초구조체(F)의 하측 턱(S)의 상면에 설치된 단위 방호벽(200)이 상측 턱(S)을 탄두로부터 보호하므로 기초구조체(F)가 손상되지 않아서 유지보수비용이 절감되고 기초구조체(F)를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측 턱(S)이 하측 턱(S)의 상면에 설치된 단위 방호벽(200)을 후방에서 지지할 수 있으므로, 단위 방호벽(200)이 넘어지거나 바닥으로 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단위 방호벽(200)을 세우거나 턱(S)에 다시 설치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상측 턱(S)에 체결구(142)가 형성되면 상측 턱(S)이 하측 턱(S)의 상면에 설치된 단위 방호벽(200)과 결합될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단위 방호벽(2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초구조체(F)는, 전방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방프레임(110); 및 상기 전방프레임(110)에 결합되고 전방프레임(110)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고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며 전방프레임(110)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받침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대(140)가 턱(S)에 해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방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는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턱(S)이 전방에 형성되는 기초구조체(F)를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초구조체(F)는, 상기 전방프레임(110)과 결합되며 후방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방프레임(120); 및 상기 전방프레임(110)과 후방프레임(120) 사이에서 전방프레임(110)과 후방프레임(120)을 연결하는 한 개 이상의 중간프레임(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방프레임(110), 후방프레임(120) 및 중간프레임(130)이 트러스구조로 연결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계단 또는 첨탑 형태의 기초구조체(100, F)를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기초구조체(100, F)의 구조적 안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받침대(140)의 전면에는 체결구(142)가 구비되고, 하측 받침대(140)의 상면에 배치되는 단위 방호벽(200)은 하측 받침대(140)와 이웃하거나 접하는 상측 받침대(140)의 체결구(14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단위 방호벽(2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단위 방호벽(200)이 넘어지거나 바닥으로 떨어지지 않으므로, 단위 방호벽(200)을 세우거나 턱(S, 140)에 다시 설치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가 상하로 적층되고, 각 층 별로 한 개 이상이 전후로 마주하거나 접하여 배치되는 개비온(310, gabion)을 포함할 수 있다. 기초구조체(F)의 상층의 전방에 배치되는 개비온(310)의 전면은 상층과 접하는 하층의 전방에 배치되는 개비온(310)의 전면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이에 따라 기초구조체(F)의 각 층의 전방에 배치되는 개비온(310)의 적어도 일부분(312)은 상면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개비온(310)의 적어도 일부분(312)이 턱(S)에 해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방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는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턱(S)이 전방에 형성되는 기초구조체(F)를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개비온(310)을 적층하므로 지반이 고르지 못하더라도 기초구조체(300, F)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개비온(310)이 망태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망태기에 단위 방호벽(200)을 용이하게 결속시킬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단위 방호벽(2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초구조체(F)의 상층의 후방에 배치되는 개비온(310)의 후면은 상층과 접하는 하층의 후방에 배치되는 개비온(310)의 후면보다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계단 또는 첨탑 형태의 기초구조체(300, F)를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기초구조체(300, F)의 구조적 안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위 방호벽(200)은, 서로 마주하며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제1철망(210); 상기 한 쌍의 제1철망(210)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의 이음면을 규정하기 위해, 상기 한 쌍의 제1철망(210)의 서로 마주하는 양측 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제2철망(220); 상기 한 쌍의 제1철망(210)과 한 쌍의 제2철망(220)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의 바닥면을 규정하기 위해, 상기 한 쌍의 제1철망(210)의 하단부와 각각 연결되거나 상기 한 쌍의 제2철망(220)의 하단부와 각각 연결되는 제3철망(230); 상기 철망들(210,220,230)의 연결 부위에서 연결되는 두 철망이 서로 피봇 가능하도록, 상기 철망들(210,220,230)의 연결 부위에서 연결하고자 하는 두 철망의 단부에 끼워지는 연결부재(250); 및 상기 한 쌍의 제1철망(210)과 상기 한 쌍의 제2철망(220)과 상기 제3철망(230)에 의해 규정되는 공간에 내용물(C)을 담기 위해, 상기 한 쌍의 제1철망(210)과 상기 한 쌍의 제2철망(220)과 상기 제3철망(230)의 내면을 덮는 제1토목섬유(2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용물(C)에 탄두(H)가 포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위 방호벽(200)을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내용물(C)이 채워지지 않은 단위 방호벽(200)을 평평하게 접어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보관 및 운송할 수 있다. 또한, 철망(210,220,230,240)의 연결 및 연결해제가 용이하고 철망(210,220,230,240), 연결부재(250) 또는 제1토목섬유(270)를 개별적으로 교체 또는 수리할 수 있으므로 유지관리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위 방호벽(200)은, 상기 한 쌍의 제1철망(210)이 상기 내용물(C)에 의해 외측으로 부풀어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한 쌍의 제1철망(21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제1철망(210)의 중간 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지지부재(M, 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기체(700)는 상기 기초부(612) 양쪽의 상기 결합부(614a, 614b)에 결합되는 상기 튜브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부름 현상에 의해서 단위 방호벽(200)의 일측에 하중이 집중되어 단위 방호벽(20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부름 현상에 의해서 단위 방호벽(200)의 단면적이 점차 증가하여 단위 방호벽(200)에 채워진 내용물(C)의 높이가 점차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탄두가 단위 방호벽(200) 중에서 내용물(C)이 빈 상부를 통과하여 기초구조물(F)을 손상시키거나 사격장 방호시설을 통과하여 인근 주민의 생명과 재산을 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3철망(230)의 일측 단부와 제1철망(210) 또는 제2철망(220)의 하단부를 연결하기 위해 끼워지는 연결부재(250)는, 제3철망(230)의 일측 단부에 끼워지는 스프링 형상의 와이어(251), 제1철망(210) 또는 제2철망(220)의 하단부에 끼워지는 스프링 형상의 와이어(251), 그리고 두 스프링형상 와이어(251)를 중첩시킨 후 그 내부로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되는 직선형 와이어(2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철망(230)을 제1철망(210) 또는 제2철망(220)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제3철망(230)의 일측 단부에 끼워진 직선형 와이어(252)를 중첩된 스프링형상 와이어(251)에서 빼내는 작업만으로 제3철망(230)의 일측 단부의 연결을 간편하게 해제할 수 있다. 이에, 단위 방호벽(200)의 바닥을 용이하게 열어서 내용물(C)을 배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철망(220)의 중간 부분에는 수직방향으로 연결부재(250)가 더 끼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철망(220)의 중간 부분(b 지점)에 끼워진 연결부재(250)를 이용하여 단위 방호벽(200)들을 좌우방향으로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고 단위 방호벽(200)들의 연결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시공비용 및 시공시간이 절감될 수 있고 단위 방호벽(200)들 사이로 탄두가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좌우로 마주하여 놓여지는 단위 방호벽(200)들의 제2철망(220)을 서로 연결하되, 마주하는 제2철망(220)에 끼워진 스프링형상 와이어(251)를 중첩시킨 후 그 내부로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형 와이어(252)를 삽입하여 2 이상의 단위 방호벽(200)을 좌우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단위 방호벽(200)들을 좌우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제2철망(220)에 끼워진 직선형 와이어(252)를 중첩된 스프링형상 와이어(251)에서 빼내는 작업만으로 단위 방호벽(200)들의 연결을 간편하게 해제할 수 있다. 이에, 단위 방호벽(200)을 인접하는 단위 방호벽(20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각각의 단위 방호벽(200)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유지보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위 방호벽(200)이 내용물(C)이 채워지는 내부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철망(210. 220, 230)을 포함할 수 있다. 보수철망(R)은, 제2토목섬유(280) 및 제2토목섬유(280)가 고정되는 제5철망(260)을 포함하고, 단위 방호벽(200)의 철망(210, 220, 230) 중에서 전방에 배치되는 철망(210a)의 전방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수철망(R)이 단위 방호벽(200)의 전방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결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보수철망(R)의 제2토목섬유(280)가 단위 방호벽(200)의 전방에 배치됨으로써, 제2토목섬유(280)가 단위 방호벽(200)의 철망(210, 220, 230) 중에서 전방에 배치되는 철망(210a)과 접하는 제1토목섬유(270)의 제1철망 내측 접촉부(271)를 보강 또는 보완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전방에 배치되는 철망(210a)과 접하는 제1토목섬유(270)의 제1철망 내측 접촉부(271)가 손상된 경우에 제1토목섬유(270)를 교체 또는 보수하지 않아도 제1철망 내측 접촉부(271)를 보완할 수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단위 방호벽(200)을 유지보수할 수 있다.
또한, 보수철망(R)의 제5철망(260)이 단위 방호벽(200)의 전방에 배치됨으로써, 제5철망(260)이 단위 방호벽(200)의 철망(210, 220, 230) 중에서 전방에 배치되는 철망(210a)을 보강 또는 보완할 수 있다.
특히, 단위 방호벽(200)의 전방은 일사량이 크고 탄두가 관통하는 부분이므로 단위 방호벽(200) 의 철망(210, 220, 230) 중에서 전방에 배치되는 철망(210a) 및 상기 철망(210a)과 접하는 제1토목섬유(270)의 제1철망 내측 접촉부(271)는 쉽게 손상될 수 있다. 이에, 보수철망(R)을 단위 방호벽(200) 전방에 덧대서 상기 철망(210a) 및 제1철망 내측 접촉부(271)를 보완하면 유지보수 비용이 현저하게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격장 방호시설의 시공방법이 상기 단위 방호벽(200)을 제조하는 단위 방호벽 제조단계; 현장에서 상기 복수 개의 턱(S)이 전방에 형성되는 기초구조체(F)를 설치하는 기초구조체 설치단계; 상기 현장에서 상기 단위 방호벽(200)에 내용물(C)을 채운 후에 단위 방호벽(200)을 각각의 상기 턱(S)에 설치하거나 단위 방호벽(200)을 각각의 상기 턱(S)에 설치한 후에 단위 방호벽(200)에 내용물(C)을 채우는 단위 방호벽 설치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격장 방호시설을 간단한 구성으로 신속하고 용이하며 저비용으로 시공할 수 있다. 특히, 사격장 방호시설의 높이가 높더라도(예컨대, 5m 내지 8m 또는 그 이상) 신속하고 용이하고 저비용으로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격장 방호시설의 유지보수방법이 상기 턱(S)에 설치된 상기 단위 방호벽(200)을 분리시키는 연결해제단계; 상기 분리된 단위 방호벽(200)을 탄두(H)를 거르는 거름망(N)의 상부로 이동시키는 이동단계; 상기 거름망(N)의 상부로 이동시킨 단위 방호벽(200)의 바닥을 열어서 단위 방호벽(200)에 채워진 내용물(C)을 하방으로 배출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거름망(N)에 의해 내용물(C)과 내용물(C)에 포획된 탄두(H)가 분리 또는 회수되는 배출단계; 및 상기 내용물(C)이 배출된 단위 방호벽(200)의 바닥을 닫고, 단위 방호벽(200)에 상기 내용물(C)을 채운 후에 단위 방호벽(200)을 상기 턱(S)에 설치하거나 단위 방호벽(200)을 상기 턱(S)에 설치한 후에 단위 방호벽(200)에 내용물(C)을 채우는 재설치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격장 방호시설을 신속하고 용이하며 저비용으로 유지보수할 수 있다. 특히, 사격장 방호시설의 높이가 높더라도(예컨대, 5m 내지 8m 또는 그 이상) 신속하고 용이하고 저비용으로 유지보수할 수 있다. 또한, 탄두(H)를 용이하게 분리 또는 회수할 수 있으므로 토양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내용물(C)만을 용이하게 재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수철망(R)의 양단부를 단위 방호벽(200)의 전방에 배치되는 철망(210a)의 전방에 연결함으로써 사격장 방호시설의 단위 방호벽(200)을 유지보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격장 방호시설을 신속하고 용이하며 저비용으로 유지보수할 수 있다. 특히, 사격장 방호시설의 높이가 높고(예컨대, 5m 내지 8m 또는 그 이상) 단위 방호벽(200)의 개수가 많더라도 신속하고 용이하고 저비용으로 유지보수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격장 방호시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사격장 방호시설의 기초구조체에 형성된 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사격장 방호시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방호벽으로서 제1토목섬유가 내삽되지 않은 상태의 단위 방호벽을 나타낸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이웃하는 두 철망을 하나의 스프링형상 와이어로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이웃하는 두 철망에 각각 스프링형상 와이어가 끼워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두 스프링형상 와이어를 겹친 상태에서 직선형 와이어를 삽입하여 두 철망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6의 단위 방호벽에 제1토목섬유가 내삽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제1토목섬유의 전개도이다.
도 13은 2개의 단위 방호벽을 표시한 평면도로서 단위 방호벽의 제2철망을 서로 연결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인접하는 단위 방호벽을 연결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크레인 등의 중장비를 이용하여 내용물이 채워진 단위 방호벽을 들어 올린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단위 방호벽의 제3철망의 일측 단부의 연결을 해제하여 단위 방호벽의 바닥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7은 단위 방호벽의 바닥이 개방되어 배출된 내용물이 거름망에 의해 걸러지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단위 방호벽의 전방에 보수철망을 덧대어 유지보수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개시되는 사격장 방호시설에 대해 각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격장 방호시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및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사격장 방호시설의 기초구조체에 형성된 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사격장 방호시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1, 도 2,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사격장 방호시설은 기초구조체(F) 및 복수 개의 단위 방호벽(200)을 포함할 수 있다.
기초구조체(F)의 전방에는 전방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는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턱(S)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턱(S)은, 상측 턱(S)의 전면이 상측 턱(S)과 이웃하거나 접하는 하측 턱(S)의 전면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단위 방호벽(200)은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단위 방호벽(200)은 복수 개의 턱(S)의 상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단위 방호벽(200)에 탄두가 포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격장 방호시설이 계단 또는 첨탑 형태를 가지므로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사격장 방호시설이 계단 또는 첨탑 형태를 가져서 안정성이 확보되므로 사격장 방호시설을 충분한 높이(예컨대, 5m 내지 8m 또는 그 이상)까지 높일 수 있다. 이에, 탄두가 높이가 높은 사격장 방호시설에 가로막혀서 사격장을 벗어나지 못하므로 사격장 인근 주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기초구조체(F)를 설치한 후에 기초구조체(F)에 복수 개의 단위 방호벽(200)을 설치하면 사격장 방호시설이 완성되므로 사격장 방호시설을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형성할 수 있다. 또한, 손상된 단위 방호벽(200)만 개별적으로 교체 또는 보수할 수 있으므로, 사격장 방호시설을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유지보수할 수 있다.
또한, 기초구조체(F)의 상측 턱(S)의 전면이 하측 턱(S)의 전면보다 후방에 위치하므로, 상측 턱(S) 및 상측 턱(S)의 상면에 설치된 단위 방호벽(200)에 의해 간섭되지 않고 단위 방호벽(200)을 하측 턱(S)의 상면에 설치하거나 하측 턱(S)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에, 단위 방호벽(200)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하거나 분리할 수 있으므로, 사격장 방호시설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조/형성 및 유지보수할 수 있다.
하측 턱(S)의 상면에 배치되는 단위 방호벽(200)은 상측 턱(S)의 전면을 가릴 수 있다. 즉, 상측 턱(S)의 상단 또는 상면과 하측 턱(S)의 상단 또는 상면 사이의 상하방향 거리가 단위 방호벽(200)의 높이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초구조체(F)의 하측 턱(S)의 상면에 설치된 단위 방호벽(200)이 상측 턱(S)을 탄두로부터 보호하므로 기초구조체(F)가 손상되지 않아서 유지보수비용이 절감되고 기초구조체(F)를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측 턱(S)이 하측 턱(S)의 상면에 설치된 단위 방호벽(200)을 후방에서 지지할 수 있으므로, 단위 방호벽(200)이 넘어지거나 바닥으로 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단위 방호벽(200)을 세우거나 턱(S)에 다시 설치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상측 턱(S)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체결구(142)가 형성되면 상측 턱(S)이 하측 턱(S)의 상면에 설치된 단위 방호벽(200)과 결합될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단위 방호벽(2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하, 기초구조체(F) 및 단위 방호벽(2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기초구조체의 제1실시예]
기초구조체(100, F)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전방프레임(110), 후방프레임(120), 중간프레임(130), 받침대(140) 및 지지체(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프레임(110)은 전방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후방프레임(120)은 전방프레임(110)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후방프레임(120)은 후방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중간프레임(130)은 전방프레임(110)과 후방프레임(120) 사이에 한 개 이상 설치될 수 있다. 중간프레임(130)은 전방프레임(110)과 후방프레임(120)을 연결할 수 있다.
전방프레임(110), 후방프레임(120) 및 중간프레임(130)은 트러스구조로 연결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계단 또는 첨탑 형태의 기초구조체(100, F)를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기초구조체(100, F)의 구조적 안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전방프레임(110), 후방프레임(120) 또는 중간프레임(130)은 콘크리트블록(B)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받침대(140)는 전방프레임(110)에 결합되고 전방프레임(110)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고 좌우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받침대(140)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고 전방프레임(110)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받침대(140)는 전술한 턱(S)에 해당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초구조체(100, F)가 전방프레임(110) 및 복수 개의 받침대(14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전방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는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턱(S)이 전방에 형성되는 기초구조체(F)를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형성할 수 있다.
받침대(140)의 상면에는 단위 방호벽(200)이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받침대(140)의 전면에는 체결구(142)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체결구(142)는 고리 또는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구(142)에 단위 방호벽(200)이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측 받침대(140)의 상면에 배치되는 단위 방호벽(200)은 하측 받침대(140)와 이웃하거나 접하는 상측 받침대(140)의 체결구(142)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위 방호벽(200)의 후면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철망을 포함하여 구성된 경우에, 철사 등을 이용하여 하측 받침대(140)의 상면에 배치되는 단위 방호벽(200)의 후면의 철망을 상측 받침대(140)의 체결구(142)의 고리 또는 후크에 결속시키거나, 철사 등을 이용하지 않고 단위 방호벽(200)의 후면의 철망 일부 또는 체결구(142)의 고리 또는 후크를 꼬거나 구부려서 단위 방호벽(200)과 상측 받침대(140)의 체결구(142)를 직접 결속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단위 방호벽(2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단위 방호벽(200)이 넘어지거나 바닥으로 떨어지지 않으므로, 단위 방호벽(200)을 세우거나 턱(S, 140)에 다시 설치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지지체(150)는 받침대(140) 및 전방프레임(110)에 결합되어 받침대(140)를 지지할 수 있다(도 2 및 도 3). 지지체(150)는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고 복수 개의 받침대(140)를 지지할 수 있다.
[기초구조체의 제2실시예]
기초구조체(300, F)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복수 개가 상하로 적층되고, 각 층 별로 한 개 이상이 전후로 마주하거나 접하여 배치되는 개비온(310, gabion)을 포함할 수 있다.
개비온(310)은 철사 등으로 만든 망태기(net)에 돌을 담은 돌망태일 수 있다.
기초구조체(300, F)의 상층의 전방에 배치되는 개비온(310)의 전면은 상층과 접하는 하층의 전방에 배치되는 개비온(310)의 전면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기초구조체(300, F)의 각 층의 전방에 배치되는 개비온(310)의 적어도 일부분(312)은 상면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개비온(310)의 적어도 일부분(312)이 전술한 턱(S)에 해당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초구조체(300, F)가 상하로 복수 개가 적층되는 개비온(31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각 층의 전방에 배치되는 개비온(310)의 적어도 일부분(312, S)의 상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전방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는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턱(S)이 전방에 형성되는 기초구조체(F)를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개비온(310)을 적층하므로 지반이 고르지 못하더라도 기초구조체(300, F)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개비온(310)이 망태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망태기에 단위 방호벽(200)을 용이하게 결속시킬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단위 방호벽(2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기초구조체(F)의 상층의 후방에 배치되는 개비온(310)의 후면은 상층과 접하는 하층의 후방에 배치되는 개비온(310)의 후면보다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계단 또는 첨탑 형태의 기초구조체(300, F)를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기초구조체(300, F)의 구조적 안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개비온(310)의 일부분(312, S)의 상면에는 단위 방호벽(200)이 배치될 수 있다.
각 층의 전방에 배치되는 개비온(310)에는 단위 방호벽(200)이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층 전방의 개비온(310)의 일부분(312, S)의 상면에 배치되는 단위 방호벽(200)은 하층과 접하는 상층의 전방의 개비온(31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위 방호벽(200)의 후면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철망을 포함하여 구성된 경우에, 철사 등을 이용하여 하층 전방의 개비온(310)의 일부분(312, S)의 상면에 배치되는 단위 방호벽(200)의 후면의 철망을 상층 전방의 개비온(310)의 망태기에 결속시키거나, 철사 등을 이용하지 않고 단위 방호벽(200)의 후면의 철망 또는 개비온(310)의 망태기의 일부를 꼬거나 구부려서 단위 방호벽(200)과 개비온(310)을 직접 결속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단위 방호벽(2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단위 방호벽(200)이 넘어지거나 바닥으로 떨어지지 않으므로, 단위 방호벽(200)을 세우거나 턱(S, 312)에 다시 설치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단위 방호벽]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방호벽으로서 제1토목섬유가 내삽되지 않은 상태의 단위 방호벽을 나타낸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이웃하는 두 철망을 하나의 스프링형상 와이어로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이웃하는 두 철망에 각각 스프링형상 와이어가 끼워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두 스프링형상 와이어를 겹친 상태에서 직선형 와이어를 삽입하여 두 철망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6의 단위 방호벽에 제1토목섬유가 내삽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제1토목섬유의 전개도이다.
도 6, 도 7 및 도 1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방호벽은 한 쌍의 제1철망(210), 한 쌍의 제2철망(220), 제3철망(230), 제4철망(240), 연결부재(250) 및 제1토목섬유(27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철망(210)은 서로 마주하며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철망(210)은 직육면체 형상의 긴 전면 및 후면을 구성할 수 있다.
한 쌍의 제2철망(220)은 한 쌍의 제1철망(210)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의 이음면을 규정하기 위해, 한 쌍의 제1철망(210)의 서로 마주하는 양측 단부를 각각 연결할 수 있다. 이에, 한 쌍의 제2철망(220)은 직육면체 형상의 짧은 좌측면 및 우측면을 구성할 수 있다.
제3철망(230)은 한 쌍의 제1철망(210)과 한 쌍의 제2철망(220)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의 바닥면을 규정하기 위해, 한 쌍의 제1철망(210)의 하단부와 각각 연결되거나 한 쌍의 제2철망(220)의 하단부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제3철망(230)은 직육면체 형상의 바닥면을 구성할 수 있다.
지지부재(M)는 한 쌍의 제1철망(210) 사이에 배치되며 한 쌍의 제1철망(210)의 중간 부분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지지부재(M)는 예를 들면 도면과 같이 제4철망(240)일 수 있다. 제1철망(210)은 제2철망(220)에 비해 그 폭이 길기 때문에, 내용물(C)이 내부에 채워지는 경우 제1철망(210)의 중간 부분이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배부름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한 쌍의 제1철망(210)의 중간부분을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M) 또는 제4철망(240)으로 연결함으로써 배부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부름 현상에 의해서 단위 방호벽(200)의 일측에 하중이 집중되어 단위 방호벽(20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부름 현상에 의해서 단위 방호벽(200)의 단면적이 점차 증가하여 단위 방호벽(200)에 채워진 내용물(C)의 높이가 점차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탄두가 단위 방호벽(200) 중에서 내용물(C)이 빈 상부를 통과하여 기초구조물(F)을 손상시키거나 사격장 방호시설을 통과하여 인근 주민의 생명과 재산을 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부재(250)는 철망들(210,220,230,240)의 연결 부위에서 연결되는 두 철망이 서로 피봇 가능하도록, 철망들(210,220,230,240)의 연결 부위에서 연결하고자 하는 두 철망의 단부에 끼워질 수 있다.
일 예로, 연결부재(250)는 하나의 스프링형상 와이어(251)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연결부재(250)는 두 개의 스프링형상 와이어(251)와 직선형 와이어(252)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연결부재(250)는 하나의 나선형 와이어(미도시됨)일 수 있다. 나선형 와이어는 스프링형상 와이어(251) 보다 단위 길이 당 권선 횟수가 작은 와이어일 수 있다. 즉, 나선형 와이어는 나선의 내경 대비 나선의 피치 또는 리드가 스프링형상 와이어(251) 보다 클 수 있다.
연결부재(250)를 이용하여 철망들(210, 220, 230, 240)을 연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제1철망(210)과 제2철망(220)이 서로 연결되는 네 모서리 부위에는 하나의 스프링형상 와이어(251) 또는 나선형 와이어(미도시됨)를 삽입하여(끼워서) 연결할 수 있다.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스프링형상 와이어(251)로 두 철망의 모서리부를 공유하며 끼우면, 이웃하는 두 철망이 서로 피봇(pivot)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3철망(23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철망(210)과 인접하는 두 모서리 부위가 연결부재(25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3철망(230)이 제2철망(220)과 인접하는 두 모서리 부위가 연결부재(250)에 의해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3철망(230)이 제1철망(210)과 연결되는 구조가 예시된다.
제3철망(230)의 일측 단부는 두 개의 스프링형상 와이어(251)와 직선형 와이어(252)를 사용하여 해제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3철망(230)의 일측 단부 및 이와 마주하는 제1철망(210)의 하단부에는 각각 스프링형상 와이어(251)가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스프링형상 와이어(251)를 중첩시킨 후 그 내부로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형 와이어(252)가 삽입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3철망(230)의 타측 단부는 하나의 스프링형상 와이어(251) 또는 나선형 와이어(미도시됨)를 통해 제1철망(210)과 연결될 수 있다(도 7, 도 8).
이에 따라, 제3철망(230)을 제1철망(210) 또는 제2철망(220)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제3철망(230)의 일측 단부에 끼워진 직선형 와이어(252)를 중첩된 스프링형상 와이어(251)에서 빼내는 작업만으로 제3철망(230)의 일측 단부의 연결을 간편하게 해제할 수 있다. 이에, 단위 방호벽(200)의 바닥을 용이하게 열어서 내용물(C)을 배출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3철망(230)의 타측 단부를 도 10과 같이 피봇 가능하게 연결하면, 나중에 직선형 와이어(252)를 중첩된 스프링형상 와이어(251)에서 빼내는 작업만으로 두 철망의 연결을 간편하게 해제할 수 있다. 즉, 도 8과 같이 두 철망을 하나의 스프링형상 와이어(251)로 연결한 경우에는 스프링형상 와이어(251)를 일일이 돌려서 빼내지 않는 한 두 철망의 연결을 해제할 수 없다. 스프링형상 와이어(251)는 단위 길이당 권선횟수가 크기 때문이다. 그러나, 도 10과 같이 두 철망을 두 개의 스프링형상 와이어와 직선형 와이어(252)로 연결한 경우에는 직선형 와이어(252)를 빼내는 것만으로 두 철망의 연결을 간편하게 해제할 수 있다. 특히 철망 내부에 내용물(C)이 채워져 있는 상태에서는 두 철망이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두 철망이 도 8과 같이 연결된 경우, 스프링을 돌리는 작업 자체가 쉽지 않다. 반면 두 철망이 도 10과 같이 연결된 경우에는, 내용물(C)이 채워져 있는 경우에도 두 철망의 연결을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면과 달리 제3철망(230)의 일측 단부가 하나의 나선형 와이어(미도시됨)를 통해 제1철망(210)과 연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나선형 와이어의 일단부를 잡고 힘을 가하면 나선형 와이어를 용이하게 빼낼 수 있다. 나선형 와이어(미도시됨)는 단위 길이당 권선횟수가 작기 때문이다. 이에, 제3철망(230)을 제1철망(210) 또는 제2철망(220)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피봇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고 제3철망(230)의 일측 단부의 연결을 간편하게 해제할 수 있다. 다만, 힘을 가하여 나선형 와이어를 빼내면 나선형 와이어가 직선에 가까운 와이어로 소성 변형되므로 재사용이 불가능할 수 있다.
제4철망(240)의 양측 단부는 각각 한 쌍의 제1철망(210)의 중간 부분과 스프링형상 와이어(251) 또는 나선형 와이어(미도시됨)를 통해 결속될 수 있다. 즉 제1철망(210)의 중간 부분과 제4철망(240) 역시 피봇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두 개의 스프링형상 와이어(251)와 직선형 와이어(252) 또는 한 개의 나선형 와이어(미도시됨)를 사용하여 해제 가능하게 연결된 제3철망(230)의 일측 단부와 제1철망(210)의 하단부를 해제하면, 제1철망(210)과 제2철망(220)이 서로 연결되는 네 모서리 부위와, 제1철망(210)의 중간 부분과 제4철망(240)이 연결되는 두 부위는 모두, 평행한 축들을 기준으로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단위 방호벽(200)이 평평하게 접힐 수 있다. 또한, 후술할 제1토목섬유(270)가 단위 방호벽(200)의 철망 구조물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도 단위 방호벽(200)이 평평하게 접힐 수 있다.
이와 같이, 철망들(210,220,230,240)에 연결부재(250)를 끼워서 철망들(210,220,230,240)을 연결시키되 연결되는 두 철망이 서로 피봇 가능하도록 연결됨으로써, 단위 방호벽(200)을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내용물(C)이 채워지지 않은 단위 방호벽(200)을 평평하게 접어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보관 및 운송할 수 있다. 또한, 철망(210,220,230,240)의 연결 및 연결해제가 용이하고 철망(210,220,230,240) 또는 연결부재(250)를 개별적으로 교체 또는 수리할 수 있으므로 유지관리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제2철망(220)의 중간 부분에는 도 6 및 도 7과 같이 스프링형상 와이어(251)가 단독으로 끼워질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제2철망(220)의 중간에 끼워진 스프링형상 와이어(251)는 단위 방호벽(200)들을 좌우로 서로 연결시킬 때에 사용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서는 제3철망(230)이 하나의 철망으로 이루어진 형태가 제시되어 있다. 하지만 제4철망(240)을 기준으로 제3철망(230)이 2분할되는 구조 또한 적용 가능하다. 즉, 도시되지 않았지만, 2분할되어 있는 두 개의 제3철망(230)이 서로 이웃하는 부분과 제4철망(240)의 하단부를 하나의 스프링형상 와이어(251)로 연결하고, 2분할되어 있는 두 개의 제3철망(230)의 대향 단부와 제2철망(220)의 하측 단부를 각각 도 10과 같이 두 개의 스프링형상 와이어(251)와 하나의 직선형 와이어(252)로 해제 가능하게 연결하거나 한 개의 나선형 와이어(미도시됨)로 해제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6 및 도 7에서는 제3철망(230)의 일측 단부와 제1철망(210)의 하단부가 두 개의 스프링형상 와이어(251)와 하나의 직선형 와이어(252)로 해제 가능하게 연결된다. 하지만 필요에 따라서 철망들(210,220,230,240) 사이의 다른 연결 부위에도 두 개의 스프링형상 와이어(251)와 하나의 직선형 와이어(252)로 해제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토목섬유(270)는 철망들(210,220,230,240)에 의해 규정되는 공간에 내삽될 수 있다(도 11).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토목섬유(270)를 절개/절단하고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접으면, 도 11과 같이 제1토목섬유(270)가 단위 방호벽의 철망 구조물 내부에 끼워질 수 있다.
도 12에서, 제1토목섬유(270)는 제1철망 내측 접촉부(271), 제2철망 내측 접촉부(272), 제3철망 내측 접촉부(273), 제4철망 내측 접촉부(274) 및 외측 접촉부(279)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제2/제3/제4철망 내측 접촉부(271, 272, 273, 274)는 안쪽으로 접힐 수 있고 각각 제1/제2/제3/제4철망(210, 220, 230, 240)의 내측과 접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3철망 내측 접촉부(273)는 제1토목섬유(270)의 하단 부분으로서, 세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세 부분으로 이루어진 제3철망 내측 접촉부(273)는 서로 포개지면서 바닥면을 이룰 수 있다.
외측 접촉부(279)는 제1토목섬유(270)의 상단 부분으로서, 바깥쪽으로 접힐 수 있고 제1/제2/제4철망(210, 220, 240)의 외측과 접할 수 있다. 또한, 외측 접촉부(279)는 제1/제2/제4철망(210, 220, 240)의 내측과 접하는 제1/제2/제4철망 내측 접촉부(271, 272, 274)와 스테이플러 등으로 봉합될 수 있다.
제1토목섬유(270)는 부직포를 포함하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단위 방호벽(200) 내부에 제1토목섬유(270)가 내삽된 후에는, 내용물(C)이 채워질 수 있다. 내용물(C)은 고무판, 고무칩, 모래 및 흙 중에서 한 가지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내용물(C)이 고무판 또는 고무칩으로 구성된 경우에는 단위 방호벽(200)에서 제1토목섬유(270)가 생략될 수 있다.
[단위 방호벽들의 연결]
도 13은 2개의 단위 방호벽을 표시한 평면도로서 단위 방호벽의 제2철망을 서로 연결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의 인접하는 단위 방호벽을 연결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복수 개의 단위 방호벽(200)을 전술한 턱(S)의 상면에 배치한 후에는 좌우방향으로 인접하는 단위 방호벽(200)들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제2철망(220)에는 도 13과 같이 세 지점(a,b,c)에 스프링형상 와이어(251)가 끼워질 수 있으므로 좌우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두 단위 방호벽(200)은 세 지점(a,b,c)에서 각각 한 쌍의 스프링형상 와이어(251)들이 서로 마주할 수 있다.
단위 방호벽(200)의 내부에 내용물(C)이 채워지면 도 14와 같이 제2철망(220)도 배부름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제2철망(220)의 중간 지점(b)에 있는 두 스프링형상 와이어(251)가 용이하게 중첩될 수 있다. 이에, 제2철망(220)의 중간 지점(b)의 두 스프링형상 와이어(251)가 중첩된 상태에서 직선형 와이어(252)를 꽂으면(도 5 참조) 도 14와 같이 두 단위 방호벽(200)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고 단위 방호벽(200)의 연결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다른 지점(a, c)을 연결할 수도 있고 단위 방호벽(200)들을 연결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2철망(220)의 중간 부분(b 지점)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부재(250)가 더 끼워짐으로써, 제2철망(220)의 중간 부분(b 지점)에 끼워진 연결부재(250)를 이용하여 단위 방호벽(200)들을 좌우방향으로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고 단위 방호벽(200)들의 연결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시공비용 및 시공시간이 절감될 수 있고 단위 방호벽(200)들 사이로 탄두가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좌우로 마주하여 놓여지는 단위 방호벽(200)들의 제2철망(220)을 서로 연결하되, 마주하는 제2철망(220)에 끼워진 스프링형상 와이어(251)를 중첩시킨 후 그 내부로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형 와이어(252)를 삽입하여 2 이상의 단위 방호벽(200)을 좌우로 연결시킴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단위 방호벽(200)들을 좌우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제2철망(220)에 끼워진 직선형 와이어(252)를 중첩된 스프링형상 와이어(251)에서 빼내는 작업만으로 단위 방호벽(200)들의 연결을 간편하게 해제할 수 있다. 이에, 단위 방호벽(200)을 인접하는 단위 방호벽(20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단위 방호벽(200)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유지보수할 수 있다.
한편, 도면과 달리, 좌우방향으로 인접하는 단위 방호벽(200)들의 제2철망(220)에 한 개의 나선형 와이어(미도시됨)를 끼워서 단위 방호벽(200)들을 연결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나선형 와이어는 용이하게 빼낼 수 있기 때문에 단위 방호벽(200)들의 연결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
[단위 방호벽의 유지보수에 관한 제1실시예]
도 15는 크레인 등의 중장비를 이용하여 내용물이 채워진 단위 방호벽을 들어 올린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단위 방호벽의 제3철망의 일측 단부의 연결을 해제하여 단위 방호벽의 바닥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7은 단위 방호벽의 바닥이 개방되어 배출된 내용물이 거름망에 의해 걸러지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단위 방호벽(200)을 유지보수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단위 방호벽(200)을 유지보수하기 위해서는, 우선 턱(S)에 설치된 단위 방호벽(200)을 분리시켜야 한다.
구체적으로, 단위 방호벽(200)이 턱(S)에 고정된 경우에는 단위 방호벽(200)을 턱(S)으로부터 분리시켜야 한다. 예를 들면, 단위 방호벽(200)이 받침대(140)의 체결구(142) 또는 개비온(310)의 망태기에 결속된 경우에는 결속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단위 방호벽(200)이 이웃하는 단위 방호벽(200)과 연결된 경우에는 연결을 해제해야 한다. 예를 들면, 도 14와 같이 두 단위 방호벽(200)이 연결된 경우에, 두 단위 방호벽(200)의 제2철망(220)에 설치된 두 스프링형상 와이어(251)에 중첩되어 끼워진 직선형 와이어(252)를 뽑거나, 두 단위 방호벽(200)의 제2철망(220)에 설치된 한 개의 나선형 와이어(미도시됨)을 뽑아서 두 단위 방호벽(200)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분리된 단위 방호벽(200)을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소정의 위치는 탄두(H)를 거르는 거름망(N)의 상부일 수 있다. 이 때에, 단위 방호벽(200)을 이동시키기 위해서 크레인 등의 중장비를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위 방호벽(200)이 소정의 위치에 위치한 상태(도 15)에서, 단위 방호벽(200)의 바닥을 열어서 단위 방호벽(200)에 채워진 내용물(C)을 하방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철망(230)의 일측 단부와 제1철망(210)의 하단부 사이에 해제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연결부재를 해제하면{이는 직선형 와이어(252)를 뽑거나 나선형 와이어(미도시됨)를 뽑는 동작으로 달성될 수 있음}, 도 16과 같이 제3철망(230)이 아래로 열리면서 내용물(C)이 아래로 배출될 수 있다.
이 때에, 도 11 및 도 12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1토목섬유(270)는 제1토목섬유(270) 상단의 외측 접촉부(279)가 바깥쪽으로 접히고 제3철망 내측 접촉부(273)가 서로 단순히 겹쳐진 상태에서 제3철망(230)에 의해 지지되므로, 제3철망(230)이 열리면 제1토목섬유(270)는 철망에 걸린 상태에서 단위 방호벽(200) 내부의 내용물(C)만 아래로 배출될 수 있다.
단위 방호벽(200)이 탄두(H)를 거르는 거름망(N)의 상부에 위치한 경우에 단위 방호벽(200)의 바닥이 열리면 거름망(N)에 의해 내용물(C)과 내용물(C)에 포획된 탄두(H)가 분리 또는 회수될 수 있다(도 17). 이에 따라, 탄두(H)를 용이하게 분리 또는 회수할 수 있으므로 토양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내용물(C)만을 용이하게 재사용할 수 있다.
한편, 내용물(C)에 고무판 또는 고무칩이 포함된 경우에 고무판 또는 고무칩에 박힌 탄두는 거름망(N)에 의해 분리되지 않으므로 탄두를 별도로 빼내야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위 방호벽(200)을 턱(S)에 재설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용물(C)이 배출된 단위 방호벽(200)의 바닥을 닫고, 단위 방호벽(200)에 내용물(C)을 채운 후에 단위 방호벽(200)을 턱(S)에 설치하거나 단위 방호벽(200)을 턱(S)에 설치한 후에 단위 방호벽(200)에 내용물(C)을 채울 수 있다.
여기에서, 단위 방호벽(200)을 턱(S)에 설치한다는 것은 단위 방호벽(200)을 턱(S)에 고정시키거나 이웃하는 단위 방호벽(200)과 연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단위 방호벽(200)을 턱(S)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예를 들면, 단위 방호벽(200)을 받침대(140)의 체결구(142) 또는 개비온(310)의 망태기에 결속시킬 수 있다. 또한, 단위 방호벽(200)을 이웃하는 단위 방호벽(200)과 연결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도 14와 같이 두 단위 방호벽(200)의 제2철망(220)의 두 스프링형상 와이어(251)가 중첩된 상태에서 직선형 와이어(252)를 꽂거나 두 단위 방호벽(200)의 제2철망(220)에 한 개의 나선형 와이어(미도시됨)을 끼울 수 있다.
이 때에, 단위 방호벽(200)의 철망(210, 220, 230, 240), 연결부재(250) 또는 제1토목섬유(270)가 손상된 경우에는 손상된 부분을 수리 또는 교체할 수 있다.
단위 방호벽(200)을 턱(S)에 설치하기 위해서 크레인 등의 중장비를 이용할 수 있다.
[단위 방호벽의 유지보수에 관한 제2실시예]
도 18은 단위 방호벽의 전방에 보수철망을 덧대어 유지보수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단위 방호벽(200)은 내용물(C)이 채워지는 내부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철망(210. 220, 230)을 포함할 수 이다. 여기에서, 철망이 내부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싼다는 것은 철망이 내부 공간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싼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철망이 내부 공간의 정면의 일부만 둘러싸더라도 상기 철망에 해당할 수 있다.
보수철망(R)은 제2토목섬유(280) 및 제2토목섬유(280)가 고정되는 제5철망(260)을 포함할 수 있고 단위 방호벽(200)의 철망(210, 220, 230) 중에서 전방에 배치되는 철망(210a)의 전방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보수철망(R)의 양단부가 단위 방호벽(200)의 전방에 배치되는 철망(210a)의 전방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1토목섬유(270)도 내용물(C)이 채워지는 단위 방호벽(200)의 내부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토목섬유(270)는 도 11과 같이 철망들(210,220,230,240)에 의해 규정되는 공간에 내삽되어 내용물(C)이 채워지는 단위 방호벽(200)의 내부공간을 둘러쌀 수 있다.
제5철망(260)은 제1/제2/제3철망(210, 220, 230)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제5철망(260)은 연결부재(250)를 이용하는 방법(도 8 또는 도 10)과 유사한 방법으로 단위 방호벽(200)의 철망(210, 220, 230) 중에서 전방에 배치되는 철망(210a)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제5철망(260)의 좌우방향의 양쪽 단부에 스프링형상 와이어(251)가 끼워질 수 있고 제5철망(260)의 양쪽의 스프링형상 와이어(251)와 상기 전방에 배치되는 철망(210a)의 좌우방향의 양쪽 단부에 끼워진 스프링형상 와이어(251)가 중첩된 상태에서 직선형 와이어(252)가 삽입됨으로써 제5철망(260)이 상기 전방에 배치되는 철망(210a)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 제5철망(260)의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의 양쪽 단부가 각각 하나의 나선형 와이어(미도시됨)로 상기 전방에 배치되는 철망(210a)과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5철망(260)은 별도의 철사 등을 이용하여 상기 전방에 배치되는 철망(210a)과 결합되거나 철망(210a, 260)의 일부를 꼬거나 구부리는 방법으로 철망(210a)과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보수철망(R)이 제5철망(260)을 포함하므로 보수철망(R)이 단위 방호벽(200)의 철망(210, 220, 230) 중에서 전방에 배치되는 철망(210a)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토목섬유(280)는 제5철망(260)에 고정될 수 있다. 제2토목섬유(280)는 바람직하게는 제5철망(260)의 후방에 고정될 수 있다.
제2토목섬유(280)는 부직포를 포함하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5철망(260)이 단위 방호벽(200)의 철망(210, 220, 230) 중에서 전방에 배치되는 철망(210a)에 결합됨으로써 제5철망(260)에 고정된 제2토목섬유(280)가 상기 전방에 배치되는 철망(210a)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위 방호벽(200)이 내용물(C)이 채워지는 내부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철망(210. 220, 230)을 포함하고, 보수철망(R)이, 제2토목섬유(280) 및 제2토목섬유(280)가 고정되는 제5철망(260)을 포함하고, 단위 방호벽(200)의 철망(210, 220, 230) 중에서 전방에 배치되는 철망(210a)의 전방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수철망(R)이 단위 방호벽(200)의 전방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결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보수철망(R)의 제2토목섬유(280)가 단위 방호벽(200)의 전방에 배치됨으로써, 제2토목섬유(280)가 단위 방호벽(200)의 철망(210, 220, 230) 중에서 전방에 배치되는 철망(210a)과 접하는 제1토목섬유(270)의 제1철망 내측 접촉부(271)를 보강 또는 보완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전방에 배치되는 철망(210a)과 접하는 제1토목섬유(270)의 제1철망 내측 접촉부(271)가 손상된 경우에 제1토목섬유(270)를 교체 또는 보수하지 않아도 제1철망 내측 접촉부(271)를 보완할 수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단위 방호벽(200)을 유지보수할 수 있다. 한편, 제1토목섬유(270)를 교체 또는 보수하기 위해서는 단위 방호벽(200)에서 내용물(C)을 빼낸 후에 제1토목섬유(270)를 교체 또는 보수하고 단위 방호벽(200)에 내용물(C)을 다시 채워야 하므로 유지보수 비용이 크게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보수철망(R)의 제5철망(260)이 단위 방호벽(200)의 전방에 배치됨으로써, 제5철망(260)이 단위 방호벽(200)의 철망(210, 220, 230) 중에서 전방에 배치되는 철망(210a)을 보강 또는 보완할 수 있다.
특히, 단위 방호벽(200)의 전방은 일사량이 크고 탄두가 관통하는 부분이므로 단위 방호벽(200)의 철망(210, 220, 230) 중에서 전방에 배치되는 철망(210a) 및 상기 철망(210a)과 접하는 제1토목섬유(270)의 제1철망 내측 접촉부(271)는 쉽게 손상될 수 있다. 이에, 보수철망(R)을 단위 방호벽(200) 전방에 덧대서 상기 철망(210a) 및 제1철망 내측 접촉부(271)를 보완하면 유지보수 비용이 현저하게 감소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5,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단위 방호벽(200)의 좌우방향 폭과 전후방향 폭의 비 또는 전후방향 폭과 상하방향 폭의 비가 도 6 내지 도 16에 도시된 단위 방호벽(200)의 좌우방향 폭과 전후방향 폭의 비 또는 전후방향 폭과 상하방향 폭의 비와 다르지만 이는 단위 방호벽(200)의 다양한 크기 또는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모든 도면의 단위 방호벽(200)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하, 사격장 방호시설의 시공방법 및 유지보수방법을 살펴본다.
[사격장 방호시설의 시공방법]
사격장 방호시설의 시공방법은 단위 방호벽 제조단계, 기초구조체 설치단계 및 단위 방호벽 설치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위 방호벽 제조단계에서는, 단위 방호벽(200)을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철망들(210, 220, 230, 240)을 제조하고 연결부재(250)로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제1토목섬유(270)를 제조하고 철망들(210, 220, 230, 240) 내측에 삽입할 수 있다.
단위 방호벽(200)을 제조한 후에는 현장까지 이송할 수 있다. 이 때에, 단위 방호벽(200)을 평평하게 접고 단위 방호벽(200) 복수 개를 포개서 이송할 수 있다. 이에, 보관 및 운송이 용이하고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기초구조체 설치단계에서는, 현장에서 복수 개의 턱(S)이 전방에 형성되는 기초구조체(F)를 설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전방/후방/중간프레임(110, 120, 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초구조체(F)를 설치하거나 복수 개의 개비온(310)이 적층되는 기초구조체(F)를 설치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전방프레임(110)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받침대(140)가 턱(S)에 해당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각 층의 전방에 배치되는 개비온(310)의 적어도 일부분(312)으로서 상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일부분(312)이 턱(S)에 해당할 수 있다.
단위 방호벽 설치단계에서는, 현장에서 단위 방호벽(200)에 내용물(C)을 채운 후에 단위 방호벽(200)을 각각의 턱(S)에 설치하거나 단위 방호벽(200)을 각각의 턱(S)에 설치한 후에 단위 방호벽(200)에 내용물(C)을 채울 수 있다.
여기에서, 단위 방호벽(200)을 턱(S)에 설치한다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단위 방호벽(200)을 턱(S)에 고정시키거나 이웃하는 단위 방호벽(200)과 연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단위 방호벽(200)을 턱(S)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예를 들면, 단위 방호벽(200)을 받침대(140)의 체결구(142) 또는 개비온(310)의 망태기에 결속시킬 수 있다. 또한, 단위 방호벽(200)을 이웃하는 단위 방호벽(200)과 연결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도 14와 같이 두 단위 방호벽(200)의 제2철망(220)의 두 스프링형상 와이어(251)가 중첩된 상태에서 직선형 와이어(252)를 꽂거나 도 14와 달리 두 단위 방호벽(200)의 제2철망(220)에 한 개의 나선형 와이어(미도시됨)를 끼울 수 있다.
내용물(C)은 고무판, 고무칩, 모래 및 흙 중에서 한 가지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단위 방호벽(200)을 턱(S)에 설치하기 위해서 크레인 등의 중장비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격장 방호시설의 시공방법이 단위 방호벽 제조단계, 기초구조체 설치단계 및 단위 방호벽 설치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사격장 방호시설을 간단한 구성으로 신속하고 용이하며 저비용으로 시공할 수 있다. 특히, 사격장 방호시설의 높이가 높더라도(예컨대, 5m 내지 8m 또는 그 이상) 신속하고 용이하고 저비용으로 설치할 수 있다.
[사격장 방호시설의 유지보수방법에 관한 제1실시예]
사격장 방호시설의 유지보수방법은 연결해제단계, 이동단계, 배출단계 및 재설치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해제단계에서는, 턱(S)에 설치된 상기 단위 방호벽(200)을 분리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단위 방호벽(200)이 받침대(140)의 체결구(142) 또는 개비온(310)의 망태기에 결속된 경우에는 결속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도 14와 같이 두 단위 방호벽(200)이 연결된 경우에, 두 단위 방호벽(200)의 제2철망(220)에 설치된 두 스프링형상 와이어(251)에 중첩되어 끼워진 직선형 와이어(252)를 뽑아서 두 단위 방호벽(200)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도 14와 달리 두 단위 방호벽(200)이 한 개의 나선형 와이어(미도시됨)로 연결된 경우에, 한 개의 나선형 와이어를 뽑아서 두 단위 방호벽(200)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이동단계에서는, 분리된 단위 방호벽(200)을 탄두(H)를 거르는 거름망(N)의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에, 단위 방호벽(200)을 이동시키기 위해서 크레인 등의 중장비를 이용할 수 있다.
배출단계에서는, 거름망(N)의 상부로 이동시킨 단위 방호벽(200)의 바닥을 열어서 단위 방호벽(200)에 채워진 내용물(C)을 하방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제3철망(230)의 일측 단부와 제1철망(210)의 하단부 사이에 끼워진 직선형 와이어(252) 또는 나선형 와이어(미도시됨)를 뽑아서 방호벽(200)의 바닥을 열 수 있다.
이에 따라 거름망(N)에 의해 내용물(C)과 내용물(C)에 포획된 탄두(H)가 분리 또는 회수될 수 있다.
한편, 내용물(C)에 고무판 또는 고무칩이 포함된 경우에 고무판 또는 고무칩에 박힌 탄두는 거름망(N)에 의해 분리되지 않으므로 탄두를 별도로 빼내야만 할 수 있다.
재설치단계에서는, 내용물(C)이 배출된 단위 방호벽(200)의 바닥을 닫고, 단위 방호벽(200)에 내용물(C)을 채운 후에 단위 방호벽(200)을 턱(S)에 설치하거나 단위 방호벽(200)을 턱(S)에 설치한 후에 단위 방호벽(200)에 내용물(C)을 채울 수 있다.
여기에서, 단위 방호벽(200)을 턱(S)에 설치한다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단위 방호벽(200)을 턱(S)에 고정시키거나 이웃하는 단위 방호벽(200)과 연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위 방호벽(200)을 받침대(140)의 체결구(142) 또는 개비온(310)의 망태기에 결속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4와 같이 두 단위 방호벽(200)의 제2철망(220)의 두 스프링형상 와이어(251)가 중첩된 상태에서 직선형 와이어(252)를 꽂거나, 도 14와 달리 두 단위 방호벽(200)의 제2철망(220)에 한 개의 나선형 와이어(미도시됨)를 끼울 수 있다.
이 때에, 단위 방호벽(200)의 철망(210, 220, 230, 240), 연결부재(250) 또는 제1토목섬유(270)가 손상된 경우에는 손상된 부분을 수리 또는 교체할 수 있다.
단위 방호벽(200)을 턱(S)에 설치하기 위해서 크레인 등의 중장비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격장 방호시설의 유지보수방법이 연결해제단계, 이동단계, 배출단계 및 재설치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사격장 방호시설을 신속하고 용이하며 저비용으로 유지보수할 수 있다. 특히, 사격장 방호시설의 높이가 높더라도(예컨대, 5m 내지 8m 또는 그 이상) 신속하고 용이하고 저비용으로 유지보수할 수 있다. 또한, 탄두(H)를 용이하게 분리 또는 회수할 수 있으므로 토양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내용물(C)만을 용이하게 재사용할 수 있다.
[사격장 방호시설의 유지보수방법에 관한 제2실시예]
보수철망(R)의 양단부를 단위 방호벽(200)의 전방에 배치되는 철망(210a)의 전방에 연결함으로써 사격장 방호시설의 단위 방호벽(200)을 유지보수할 수 있다(도 18).
예를 들면, 보수철망(R)의 제5철망(260)의 좌우방향의 양쪽 단부에 스프링형상 와이어(251)가 끼워질 수 있고 제5철망(260)의 양쪽의 스프링형상 와이어(251)와 상기 전방에 배치되는 철망(210a)의 좌우방향의 양쪽 단부에 끼워진 스프링형상 와이어(251)가 중첩된 상태에서 직선형 와이어(252)가 삽입됨으로써 보수철망(R)이 상기 전방에 배치되는 철망(210a)의 전방에 연결/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 보수철망(R)의 제5철망(260)의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의 양쪽 단부가 각각 하나의 나선형 와이어(미도시됨)로 상기 전방에 배치되는 철망(210a)과 연결/결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보수철망(R)의 제5철망(260)은 별도의 철사 등을 이용하여 상기 전방에 배치되는 철망(210a)과 연결/결합되거나 철망(210a, 260)의 일부를 꼬거나 구부리는 방법으로 상기 전방에 배치되는 철망(210a)과 연결/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격장 방호시설을 신속하고 용이하며 저비용으로 유지보수할 수 있다. 특히, 사격장 방호시설의 높이가 높고(예컨대, 5m 내지 8m 또는 그 이상) 단위 방호벽(200)의 개수가 많더라도 신속하고 용이하고 저비용으로 유지보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기초구조체 110: 전방프레임
120: 후방프레임 130: 중간프레임
140: 받침대 142: 체결구
150: 지지체
200: 단위 방호벽
210: 제1철망 220: 제2철망
230: 제3철망 240: 제4철망
250: 연결부재 251: 스프링형상 와이어
252: 직선형 와이어 260: 제5철망
270: 제1토목섬유 280: 제2토목섬유
300: 기초구조체 310: 개비온

Claims (15)

  1. 전방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는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턱(S)이 전방에 형성되는 기초구조체(F); 및
    상기 복수 개의 턱(S)의 상면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 개의 단위 방호벽(200)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턱(S)은, 상측 턱(S)의 전면이 상기 상측 턱(S)과 이웃하거나 접하는 하측 턱(S)의 전면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하측 턱(S)의 상면에 배치되는 상기 단위 방호벽(200)은 상기 상측 턱(S)의 전면을 가리는,
    사격장 방호시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초구조체(F)는,
    전방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방프레임(110); 및
    상기 전방프레임(110)에 결합되고 전방프레임(110)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고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며 전방프레임(110)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받침대(140)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140)가 상기 턱(S)에 해당하는,
    사격장 방호시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기초구조체(F)는,
    상기 전방프레임(110)과 결합되며 후방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방프레임(120); 및
    상기 전방프레임(110)과 후방프레임(120) 사이에서 전방프레임(110)과 후방프레임(120)을 연결하는 한 개 이상의 중간프레임(13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방프레임(110), 후방프레임(120) 및 중간프레임(130)이 트러스구조로 연결 형성되는, 사격장 방호시설.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40)의 전면에는 체결구(142)가 구비되고,
    하측 받침대(140)의 상면에 배치되는 상기 단위 방호벽(200)은 상기 하측 받침대(140)와 이웃하거나 접하는 상측 받침대(140)의 상기 체결구(142)에 결합되는, 사격장 방호시설.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초구조체(F)는,
    복수 개가 상하로 적층되고, 각 층 별로 한 개 이상이 전후로 마주하거나 접하여 배치되는 개비온(310, gabion)을 포함하고,
    상기 기초구조체(F)의 상층의 전방에 배치되는 개비온(310)의 전면은 상기 상층과 접하는 하층의 전방에 배치되는 개비온(310)의 전면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이에 따라 상기 기초구조체(F)의 각 층의 전방에 배치되는 개비온(310)의 적어도 일부분(312)은 상면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상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개비온(310)의 적어도 일부분(312)이 상기 턱(S)에 해당하는,
    사격장 방호시설.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기초구조체(F)의 상층의 후방에 배치되는 개비온(310)의 후면은 상기 상층과 접하는 하층의 후방에 배치되는 개비온(310)의 후면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사격장 방호시설.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위 방호벽(200)은,
    서로 마주하며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제1철망(210);
    상기 한 쌍의 제1철망(210)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의 이음면을 규정하기 위해, 상기 한 쌍의 제1철망(210)의 서로 마주하는 양측 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제2철망(220);
    상기 한 쌍의 제1철망(210)과 한 쌍의 제2철망(220)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의 바닥면을 규정하기 위해, 상기 한 쌍의 제1철망(210)의 하단부와 각각 연결되거나 상기 한 쌍의 제2철망(220)의 하단부와 각각 연결되는 제3철망(230);
    상기 철망들(210,220,230)의 연결 부위에서 연결되는 두 철망이 서로 피봇 가능하도록, 상기 철망들(210,220,230)의 연결 부위에서 연결하고자 하는 두 철망의 단부에 끼워지는 연결부재(250); 및
    상기 한 쌍의 제1철망(210)과 상기 한 쌍의 제2철망(220)과 상기 제3철망(230)에 의해 규정되는 공간에 내용물(C)을 담기 위해, 상기 한 쌍의 제1철망(210)과 상기 한 쌍의 제2철망(220)과 상기 제3철망(230)의 내면을 덮는 제1토목섬유(270)를 포함하고,
    상기 내용물(C)에 탄두(H)가 포집되는,
    사격장 방호시설.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단위 방호벽(200)은,
    상기 한 쌍의 제1철망(210)이 상기 내용물(C)에 의해 외측으로 부풀어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한 쌍의 제1철망(21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제1철망(210)의 중간 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지지부재(M, 240);를 더 포함하는,
    사격장 방호시설.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3철망(230)의 일측 단부와 상기 제1철망(210) 또는 제2철망(220)의 하단부를 연결하기 위해 끼워지는 상기 연결부재(250)는,
    상기 제3철망(230)의 일측 단부에 끼워지는 스프링 형상의 와이어(251), 상기 제1철망(210) 또는 제2철망(220)의 하단부에 끼워지는 스프링 형상의 와이어(251), 그리고 상기 두 스프링형상 와이어(251)를 중첩시킨 후 그 내부로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되는 직선형 와이어(252)를 포함하는,
    사격장 방호시설.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철망(220)의 중간 부분에는 수직방향으로 상기 연결부재(250)가 더 끼워지는, 사격장 방호시설.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좌우로 마주하여 놓여지는 상기 단위 방호벽(200)들의 제2철망(220)을 서로 연결하되, 마주하는 제2철망(220)에 끼워진 스프링형상 와이어(251)를 중첩시킨 후 그 내부로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형 와이어(252)를 삽입하여 2 이상의 단위 방호벽(200)을 좌우로 연결시키는, 사격장 방호시설.
  12. 사격장 방호시설의 단위 방호벽(200)에 설치되는 보수철망(R)으로서,
    상기 단위 방호벽(200)은,
    내용물(C)이 채워지는 내부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철망(210. 220, 230)을 포함하고,
    상기 보수철망(R)은,
    제2토목섬유(280) 및 상기 제2토목섬유(280)가 고정되는 제5철망(260)을 포함하고, 상기 철망(210, 220, 230) 중에서 전방에 배치되는 철망(210a)의 전방에 결합되는, 보수철망.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의 사격장 방호시설의 시공방법으로서,
    상기 단위 방호벽(200)을 제조하는 단위 방호벽 제조단계;
    현장에서 상기 복수 개의 턱(S)이 전방에 형성되는 기초구조체(F)를 설치하는 기초구조체 설치단계;
    상기 현장에서 상기 단위 방호벽(200)에 내용물(C)을 채운 후에 단위 방호벽(200)을 각각의 상기 턱(S)에 설치하거나 단위 방호벽(200)을 각각의 상기 턱(S)에 설치한 후에 단위 방호벽(200)에 내용물(C)을 채우는 단위 방호벽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사격장 방호시설의 시공방법.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의 사격장 방호시설의 유지보수방법으로서,
    상기 턱(S)에 설치된 상기 단위 방호벽(200)을 분리시키는 연결해제단계;
    상기 분리된 단위 방호벽(200)을 탄두(H)를 거르는 거름망(N)의 상부로 이동시키는 이동단계;
    상기 거름망(N)의 상부로 이동시킨 단위 방호벽(200)의 바닥을 열어서 단위 방호벽(200)에 채워진 내용물(C)을 하방으로 배출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거름망(N)에 의해 내용물(C)과 내용물(C)에 포획된 탄두(H)가 분리 또는 회수되는 배출단계; 및
    상기 내용물(C)이 배출된 단위 방호벽(200)의 바닥을 닫고, 단위 방호벽(200)에 상기 내용물(C)을 채운 후에 단위 방호벽(200)을 상기 턱(S)에 설치하거나 단위 방호벽(200)을 상기 턱(S)에 설치한 후에 단위 방호벽(200)에 내용물(C)을 채우는 재설치단계를 포함하는,
    사격장 방호시설의 유지보수방법.
  15. 청구항 12의 보수철망을 이용한 사격장 방호시설의 유지보수방법으로서,
    상기 보수철망(R)의 양단부를 상기 단위 방호벽(200)의 전방에 배치되는 철망(210a)의 전방에 연결하는, 사격장 방호시설의 유지보수방법.
KR1020210126241A 2021-04-01 2021-09-24 사격장 방호시설, 사격장 방호시설의 시공방법 및 유지보수방법 KR202201368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6241A KR20220136873A (ko) 2021-04-01 2021-09-24 사격장 방호시설, 사격장 방호시설의 시공방법 및 유지보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659A KR102307192B1 (ko) 2021-04-01 2021-04-01 사격장 방호시설, 사격장 방호시설의 시공방법 및 유지보수방법
KR1020210126241A KR20220136873A (ko) 2021-04-01 2021-09-24 사격장 방호시설, 사격장 방호시설의 시공방법 및 유지보수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2659A Division KR102307192B1 (ko) 2021-04-01 2021-04-01 사격장 방호시설, 사격장 방호시설의 시공방법 및 유지보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6873A true KR20220136873A (ko) 2022-10-11

Family

ID=7792059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2659A KR102307192B1 (ko) 2021-04-01 2021-04-01 사격장 방호시설, 사격장 방호시설의 시공방법 및 유지보수방법
KR1020210126241A KR20220136873A (ko) 2021-04-01 2021-09-24 사격장 방호시설, 사격장 방호시설의 시공방법 및 유지보수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2659A KR102307192B1 (ko) 2021-04-01 2021-04-01 사격장 방호시설, 사격장 방호시설의 시공방법 및 유지보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071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173756A1 (en) * 2018-10-19 2020-06-04 Lizhong JIANG Implement and facility for capturing grounding missiles and penetrating missiles in a fixed point and collecting guiding rockets and aircrafts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2827B1 (ko) 2019-03-30 2019-09-18 서형석 도탄 방지용 피탄패널을 이용한 경사형 탄두수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5007B1 (ko) * 2004-12-23 2012-09-21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강재틀 구조
JP4572143B2 (ja) * 2005-06-10 2010-10-27 バブコック日立株式会社 停弾装置及び射撃訓練場
KR100885909B1 (ko) * 2008-03-17 2009-03-06 토우산업 주식회사 토목 섬유망을 이용한 자립식 가시설 옹벽 및 이 시공 방법
JP6125158B2 (ja) * 2012-06-14 2017-05-10 東京製綱株式会社 落下物防護装置及びその補強方法
KR101633194B1 (ko) * 2014-12-31 2016-06-23 김휘중 이동식 탄두 분리회수 장치
KR101647433B1 (ko) * 2015-12-01 2016-08-10 김동옥 식생 방호벽
KR101802351B1 (ko) * 2017-05-10 2017-12-28 정해상 조립형 게비온 구조물
KR101982494B1 (ko) * 2018-04-30 2019-06-17 (주)에프티에스 탄두 회수 구조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2827B1 (ko) 2019-03-30 2019-09-18 서형석 도탄 방지용 피탄패널을 이용한 경사형 탄두수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7192B1 (ko) 2021-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13112B (zh) 土石筐
US20090235813A1 (en) Ballistics Barrier
WO2016009427A1 (en) Containers shelter
KR102307192B1 (ko) 사격장 방호시설, 사격장 방호시설의 시공방법 및 유지보수방법
US11268293B2 (en) Bollard fence
US20090235507A1 (en) Method Of Repairing A Ballistics Barrier
US10260843B2 (en) Anti-ballistic barrier for high value facilities protection such as electrical grid equipment
KR101979022B1 (ko) 사격장 개인 화기용 방탄 방호벽
US20110226166A1 (en) Overhead protection system
EP2975198B1 (en) Explosion and bullet resistant wall construction
JP5288684B2 (ja) 停弾装置
CN206000552U (zh) 隧道落石柔性防护系统
US10450770B2 (en) Multi layered protection system
KR102052633B1 (ko) 도비탄 방호 및 방호진 구축용 조립식 방호 장치
JP6253920B2 (ja) 構造物構築用セット、構造物を構築する方法
KR102334976B1 (ko) 파형강판을 이용한 굴절 방호벽
NL2017898B1 (en) System comprising structural elements to be assembled into a protective structure
JP6420672B2 (ja) 擁壁構造物の施工方法
JP2018031257A (ja) 構造物構築用セット、構造物を構築する方法
JP3806878B2 (ja) 射撃訓練場および停弾装置
CN207174295U (zh) 一种节能环保材料砖运输装置
RU2812868C1 (ru) Габион
CN110735545A (zh) 一种具有良好抗爆性能的移动炸药库
CN211524231U (zh) 一种具有优异抗爆性能的移动炸药库
JP3123804U (ja) 捕獲用包囲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