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6581A - Ceiling light - Google Patents

Ceiling ligh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6581A
KR20220136581A KR1020210042077A KR20210042077A KR20220136581A KR 20220136581 A KR20220136581 A KR 20220136581A KR 1020210042077 A KR1020210042077 A KR 1020210042077A KR 20210042077 A KR20210042077 A KR 20210042077A KR 20220136581 A KR20220136581 A KR 202201365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rame
ceiling
wall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20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기용
Original Assignee
이기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용 filed Critical 이기용
Priority to KR1020210042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6581A/en
Publication of KR20220136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658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iling light. The ceiling light comprises: a main body made of a metal plate and installed and fixed to a ceiling; a frame made of a ring-shaped wall with an open center and accommodating the main body inwardly, having a plurality of hook portions for coupling the main body to be elastically fitted from an upper side formed and protruding at an upper end, having a seating portion formed on an inner side of the middle of the wall to support a lower end of the main body, having a step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ce of the wall to a lower side of the seating portion, and having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formed at a lower side of the step; and a light transmitting cover having an open upper surface coupled to a lower side of the frame, having a coupling protrusion elastically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formed on an outer side of an upper end of an edge, and having an upper end portion facing the step of the wall when the coupling protrusion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of the wall. Accordingly, works such as installation and replacement of ceiling lights can be performed very simply and quickly.

Description

천장등{Ceiling light}Ceiling light

본 발명은 천장등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거실이나 룸의 천장 등에 설치되는 천장등의 설치 및 분리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안전하면서 안정적인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천장등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iling lamp, and more particularly, to a ceiling lamp that improves work efficiency and enables safe and stable work by making it very easy to install and remove a ceiling lamp installed on the ceiling of a living room or room.

주지하다시피 건축물의 내ㆍ외부에는 야간 조명을 위해 다양한 형태의 등기구를 설치하는데, 이러한 등기구는 용이한 조명을 위해서 대부분 천장에 부착되는 방식을 취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와 같이 천장에 부착되는 등기구를 특히 천장등이라 칭하고 있다.As is well known, various types of luminaires are installed inside and outside the building for night lighting. Most of these luminaires are usually attached to the ceiling for easy lighting. It's called a ceiling lamp.

이러한 천장등은 광원을 직접 노출시켜 조명하기도 하지만, 지나친 눈부심 방지와 실내 미관 등을 고려하여 대부분은 광원을 소정형태의 투광커버로 감싸서 간접적으로 조명하는 구조를 갖는다.Although such ceiling lamps may be illuminated by directly exposing the light source, most of them have a structure for indirectly illuminating the light source by wrapping the light source with a transparent cover of a predetermined shape in consideration of excessive glare prevention and interior aesthetics.

천장등에 사용되는 광원은 형광등, 백열등 및 삼파장등 등 여러 가지 형태의 것들이 사용되고 있는데, 근래에는 소비전력은 낮으면서도 휘도가 높을 뿐 아니라 긴 수명과 비교적 적은 발열 특성의 엘이디(LED)가 천장등을 비롯한 각종 등기구들의 광원으로서 널리 각광받고 있다.Various types of light sources such as fluorescent lamps, incandescent lamps, and three-wavelength lamps are used as light sources for ceiling lamps. Recently, LEDs with low power consumption and high luminance as well as long lifespan and relatively low heat generation are used in ceiling lamps and other types of light sources. It has been widely spotlighted as a light source for various luminaires.

한편, 이와 같은 천장등은 반사갓 기능을 겸하는 소정형태의 금속판 본체와, 이 본체에 장착되는 안정기, 이 안정기의 주변에 배치되도록 본체에 부착되는 엘이디조명판 및 안정기와 엘이디조명판을 감싸도록 본체 하부에 결합되는 투광커버로 구성되어서, 본체를 별도 구성의 설치브래킷을 통해 천장에 고정시킨 뒤 투광커버를 복수의 나사 또는 클램프수단으로 본체에 고정시킴으로써 천장에 설치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such a ceiling lamp includes a metal plate body of a predetermined shape that also functions as a reflector, a ballast mounted on the body, an LED lighting plate attached to the body to be disposed around the ballast, and a lower body to surround the ballast and the LED lighting plate It is composed of a light-transmitting cover coupled to the , and is installed on the ceiling by fixing the main body to the ceiling through an installation bracket of a separate configuration, and then fixing the light-transmitting cover to the main body with a plurality of screws or clamp means.

따라서 설치작업이 상당히 번잡하고 불편한 문제가 있을 뿐 아니라, 사용 중 안정기 등의 부품을 교환하거나 천장등 자체를 교체해야 하는 경우 투광커버를 본체로부터 분리시킨 뒤 본체를 천장에서 탈거해야 하기 때문에 이 역시 번잡할 수밖에 없다.Therefore, not only is the installation work quite complicated and inconvenient, but also when it is necessary to replace parts such as ballasts or to replace the ceiling lamp itself during use, the floodlight cover must b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and then the main body must be removed from the ceiling, which is also complicated. Have no choice but to.

도 1은 종래 천장등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천장등에서는 천장등 본체(10)의 가장자리에 직각으로 젖혀지는 고정편(11)을 설치하여 두고, 투광커버를 본체(10)에 맞춰서 밀착시킨 다음, 상기 고정편(11)을 직각으로 젖혀서 투광커버의 가장자리를 걸어서 마치 액자의 뒷면을 고정하는 것과 같이 투광커버의 이탈을 방지토록 하였다.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ceiling lamp. As shown in this figure, in a conventional ceiling lamp, a fixing piece 11 that is bent at right angles to the edge of the ceiling lamp body 10 is installed, and the transparent cover is attached to the body 10 ), then the fixing piece 11 was bent at a right angle to hang the edge of the transparent cover to prevent the transparent cover from coming off as if fixing the back of the frame.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천장등은 사방에서 상기 고정편(11)을 조작하기 위해 한 손으로 투광커버를 받쳐주고 있으면서 다른 손으로 일일이 고정편(11)을 조작하여 투광커버를 고정하는 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그 작업이 매우 불편하였고, 자칫 손을 놓치는 경우에는 투광커버를 떨어뜨려서 파손시키는 경우가 빈번하였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ceiling lamp supports the light-transmitting cover with one hand in order to operate the fixing piece 11 from all sides, and it is necessary to operate the fixing piece 11 with the other hand to fix the light-transmitting cover. It was very inconvenient to work, and if you accidentally lose your hand, it was frequently damaged by dropping the transparent cover.

이러한 문제로 인해 종래 천장등의 설치 작업은 상당한 숙련을 요구하였으며, 이러한 문제는 투광커버를 분리할 시에도 마찬가지였다.Due to this problem,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conventional ceiling lamp required considerable skill, and this problem was the same when removing the transparent cover.

따라서 당 업계에서는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설치 및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 안전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천장등의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다.Therefore, the need for a ceiling lamp that can be installed and separated more easily and quickly and can be safely operated in the industry has been continuously raised.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를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특히 천장등의 본체를 천장에 설치한 상태에서 투광커버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어서 시공이 매우 간편하고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투광커버의 분리 또한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천장등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the prior art, and in particular, the light-transmitting cover can be easily and quickly assembled in a state where the main body of the ceiling lamp is installed on the ceiling, so that the construction can be performed very simply and safely, and the light-transmitting cover The purpose of the separation is also to provide a ceiling lamp that can be made very easily.

본 발명은 간편하고 신속한 설치 및 분리가 가능하면서 다양하고 미려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는 천장등의 제공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eiling lamp capable of forming various and beautiful appearances while allowing simple and rapid installation and separation.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천장등은, 금속의 판형으로 이루어져서 천장에 고정 설치되는 본체; 중앙이 개구된 고리 형태의 벽체로 이루어져서 상기 본체를 내측으로 수용하며, 상단에는 상기 본체가 상측으로부터 탄성적으로 끼워져서 결합되기 위한 훅크부가 다수 돌출 형성되고, 벽체의 내측 중간에는 상기 본체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의 하측으로 벽체의 내주연에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의 하측에서 다수의 결합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 및 윗면이 개구되어 상기 프레임의 하측으로 결합되며, 가장자리 상단 외측에는 상기 결합구멍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결합돌기가 벽체의 결합구멍에 결합되었을 때 상단부는 상기 벽체의 단턱에 마주 접하도록 된 투광커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A ceiling 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is made of a metal plate-shaped body fixed to the ceiling; It consists of a ring-shaped wall with an open center and accommodates the main body inward, and at the upper end, a plurality of hook portions for elastically fitting and coupling the main body from the upper side are formed protruding, and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is formed in the inner middle of the wall. a frame in which a seating portion for supporting is formed, a step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wall as a lower side of the seating portion, and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are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step; And the upper surface is opened to be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frame, and a coupling protrusion elastically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is formed outside the upper edge of the frame, and when the coupling protrusion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of the wall, the upper end is on the step of the wall. a light-transmitting cover to be in contact with; It has features that include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훅크부는 내측으로 하향 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본체가 이 경사면을 탄성적으로 밀면서 상측으로부터 결합되도록 되고, 본체가 결합되었을 때 본체의 상단보다 훅크부의 상단이 더 상측으로 돌출됨으로써 천장에 설치되었을 때, 상기 훅크부가 천장면에 접촉되어 천장면과 본체의 상단이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된 것이다.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hook portion forms a downward inclined surface inwardly so that the main body is coupled from the upper side while elastically pushing the inclined surface, and when the main body is coupled, the upper end of the hook portion protrudes more upward than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When installed on the ceiling, the hook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ceiling surface to maintain a state that the ceiling surface and the upper end of the body are spaced apart.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단턱의 내측에는 지지돌부가 돌출 형성되어 프레임에 투광커버가 조립되었을 때 투광커버의 상단 내측을 지지하도록 된 것이다.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a support protrusion is formed protruding from the inside of the step to support the inside of the upper end of the light transmitting cover when the light transmitting cover is assembled to the fram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투광커버의 외주면에는 상기 결합돌기의 하측으로 받침돌부가 돌출 형성되어 프레임과 조립되었을 때 프레임의 하단부가 상기 받침돌부의 윗면에 접촉 지지되도록 된 것이다.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a support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ight-transmitting cover to protrude below the coupling protrusion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frame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ing protrusion when assembled with the fram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투광커버의 받침돌부와 접촉되는 상기 벽체의 하단에는 하측으로 개구된 분리홈이 형성되어 이 분리홈에 공구를 삽입하여 투광커버를 분리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a separation groove opened downward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wall in contact with the supporting protrusion of the light-transmitting cover, so that the light-transmitting cover can be separated by inserting a tool into the separation groov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프레임의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장식부가 더 돌출 형성되는 것이다.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ame is formed to further protrude the decorative portion to the outside.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천장등에 의하면, 천장등 본체에 프레임을 끼워서 조립하고, 이 프레임에 투광커버를 단순히 끼우는 작업만으로 조립이 완료될 수 있으며, 분리시에는 드라이버를 끼워서 젖히는 조작만으로 투광커버를 분리할 수 있어서 천장등의 시공 및 교환 등의 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ceiling 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ssembly can be completed only by inserting the frame into the ceiling lamp body and simply inserting the transparent cover to the frame. It provides the effect that the work such as the construction and replacement of the ceiling light can be done very simply and quickly.

본 발명은 프레임의 외주연에 원하는 형태의 장식부를 임의적으로 형성함으로써 본체와 투광커버를 변경하지 않고도 다양한 디자인을 적용 실시할 수 있는 효과를 아울러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effect that various designs can be applied and implemented without changing the main body and the light-transmitting cover by arbitrarily forming a decorative part of a desired shape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rame.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천장등의 일례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등의 일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상기 도 1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저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저면 분리사시도.
도 6은 상기 도 1의 'A'부분 확대도.
도 7은 상기 도 5의 B-B선에서의 프레임의 단면도.
도 8은 상기 도 5의 C-C선에서의 프레임의 단면도.
도 9(a)(b)는 상기 도 5의 B-B선 단면도로서 본체와 프레임의 조립상태도.
도 10(a)(b)는 상기 도 5의 C-C선 단면도로서 프레임과 투광커버의 조립상태도.
1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conventional ceiling lamp.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eiling 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ottom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1 .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rame taken along line BB of Fig. 5;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rame taken along line CC of Fig. 5;
Figure 9 (a) (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ure 5, the assembly state of the body and the frame.
10 (a) (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5, and is an assembly state diagram of the frame and the transparent cover.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일실시예로서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표현될 수 있다.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an embodiment is as follow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shown in the drawings, the size of components, etc.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등의 일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도 2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4는 상기 도 2의 저면사시도이고, 도 5는 저면 분리사시도이며, 도 6은 상기 도 2의 'A'부분 확대도이고, 도 7은 상기 도 6의 B-B선 방향에서 보는 프레임의 단면도이며, 도 8은 상기 도 6의 C-C선 방향에서 보는 프레임의 단면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eiling 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2 , FIG. 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FIG. 2 , FIG. 5 is a bottom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FIG. 6 is the It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2 ,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rame viewed along the line B-B of FIG. 6 , and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rame viewed along the line C-C of FIG. 6 .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천장등은, 천장에 고정되는 본체(100)와, 투광커버(200)와, 상기 본체(100)와 투광커버(200)를 연결하는 프레임(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2 to 8 , the ceiling 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0 fixed to the ceiling, a light-transmitting cover 200, and a frame connecting the main body 100 and the light-transmitting cover 200 ( 300) is included.

본체(100)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구성되는 판형이나 박스형으로 이루어져서 천장에 고정 설치됨으로써 천장등 전체를 지지하게 되며, 별도의 브래킷과 공구에 의해 설치될 수 있고 엘이디패널, 안정기 등의 제반 부속물들이 설치될 수 있다.The main body 100 is made of a plate or box shape made of metal or synthetic resin and is fixedly installed on the ceiling to support the entire ceiling light, and can be installed by a separate bracket and tool, and various accessories such as an LED panel and a ballast are installed. can be

투광커버(200)는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천장등의 하측으로 조립되는데, 투광커버(200)의 주연부에는 상방으로 스커트(210)를 구비하여 내측으로 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전체적으로 천장등의 하측을 커버하면서 엘이디로부터 발생되는 빛을 투과시키게 된다.The transparent cover 200 is made of, for example, synthetic resin such as polypropylene, and is assembled to the lower side of the ceiling. While covering the lower side of the ceiling lamp,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ED is transmitted.

이러한 투광커버(200)를 본체(100)에 조립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300)이 본체(100)와 투광커버(200)의 외주연에 설치된다.In order to assemble the light-transmitting cover 200 to the main body 100 , the frame 300 is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light-transmitting cover 200 .

프레임(300)은 고리형의 벽체(301)로 이루어져서 그 내부의 상측에는 본체(100)가 수용되고, 하측으로 투광커버(200)의 상단이 조립된다.The frame 300 is made of an annular wall 301 so that the body 100 is accommodated in the upper side thereof, and the upper end of the transparent cover 200 is assembled to the lower side.

상기 벽체(301)의 상단에는 다수의 훅크부(310)가 마주하여 형성되는데, 이 훅크부(310)는 벽체(301)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그 상단으로부터 내측으로 하향 경사면(312)을 형성하면서 그 하단에 걸림턱(313)이 형성되고, 벽체(301)의 내측 중간에는 상기 본체(100)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안착부(320)가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At the upper end of the wall 301, a plurality of hook portions 310 are formed to face each other, and the hook portions 310 protrude upward of the wall 301 and form a downward inclined surface 312 inwardly from the upper end thereof. A locking protrusion 313 is formed at the lower end thereof, and a seating portion 320 for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100 protrudes inwardly in the inner middle of the wall 301 .

즉 윗면은 경사면(312)으로 되고 밑면은 직각면의 걸림턱(313)으로 되는 소위 훅크(hook)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측으로부터 끼움 방식에 의해 본체(100)의 조립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안착부(320)에 의해 본체(100)가 지지되도록 된 것이다.That is, the upper surface is made of an inclined surface 312 and the lower surface is made in the form of a so-called hook, which is a right-angled surface engaging projection 313, so that the assembly of the main body 100 is made by a fitting method from the upper side, The main body 100 is supported by the 320).

상기 훅크부(310)가 형성된 벽체(301)의 각 외면에는 강성 유지를 위한 리브(314)가 구비될 수 있다.Ribs 314 for maintaining rigidity may be provided on each outer surface of the wall 301 on which the hook portion 310 is formed.

상기 안착부(320)의 하측에서 상기 벽체(301)의 내주연에는 단턱(330)이 형성되는데, 이 단턱(330)은 투광커버(200)의 조립 시 투광커버(200)의 상단부가 접촉 지지되는 부위가 되며, 단턱(330)에 근접하여 그 외측에는 다수의 결합구멍(340)이 형성되어 있다.A step 330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wall 301 at the lower side of the seating portion 320 , and the step 330 is supported by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light transmitting cover 200 when assembling the light transmitting cover 200 .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340 are formed on the outside thereof in proximity to the stepped 330 .

여기서 상기 결합구멍(340)은 투광커버(200)와의 조립을 위한 것으로서 단턱(330)보다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Here, the coupling hole 340 is for assembly with the transparent cover 200 and is located below the step 330 .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훅크부(310)와 결합구멍(340)은 서로 어긋난 위치에 구성되며, 각각 마주하여 한 쌍씩 형성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그 수를 달리 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hook portion 310 and the coupling hole 340 are configured at positions shifted from each other, and are formed in pairs to face each other, but the number may be different if necessary.

상기 단턱(330)의 내측에는 벽체(301) 내면과 간격을 두고 지지돌부(350)가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프레임(300)에 투광커버(200)가 조립되었을 때 투광커버(200)의 상단 내측을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On the inside of the step 330 , a support protrusion 350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 at a distanc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wall 301 . can be made to support

투광커버(200)는 상단 즉, 스커트(210)의 상단이 벽체(301)의 단턱(330)에 접한 상태로 조립되는데, 상기 지지돌부(350)에 의해 투광커버(200)의 상단 내측이 지지되어 투광커버(200)의 외측에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조립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The light-transmitting cover 200 is assembled in a state where the upper end, that is, the upper end of the skirt 210, is in contact with the step 330 of the wall 301, and the inner top of the upper end of the light-transmitting cover 20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rotrusion 350. Thus, even wh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outside of the transparent cover 200, the assembled state can be stably maintained.

상기 지지돌부(350)는 벽체(301)의 내면 전체에 형성될 수 있으며, 간헐적인 돌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support protrusion 350 may be formed on the entire inner surface of the wall 301, and may be formed in an intermittent protruding form.

상기 벽체(301)의 하단에는 하측으로 개구된 분리홈(360)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데, 이 분리홈(360)은 투광커버(200)가 조립된 상태에서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의 선단부를 삽입하여 회전시킴으로써 투광커버를 쉽게 분리하기 위한 것이다.A plurality of separation grooves 360 ar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wall 301, and the separation grooves 360 are rotated by inserting the tip of a tool such as a screwdriver while the transparent cover 200 is assembled. This is for easy separation of the transparent cover.

프레임(300)은 상기 단턱(330)의 하측 부분을 투광커버(20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하향 확개되는 형태로 경사지게 구성할 수 있다.The frame 300 may be configured to be inclined in a downwardly extending form in order to facilitate the coupling of the light-transmitting cover 200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tep 330 .

프레임(300)을 형성하는 벽체(301)의 외주면에는 장식부(370)가 돌출 형성되는데, 이 장식부(370)는 벽체(301)의 외면에 형성되는 기능적인 구성부분을 시각적으로 커버하면서 장식적인 디자인을 부여하여 미려한 외관을 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임의적인 형상으로 다양하게 디자인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장식부(370)는 상기 결합구멍(340)의 하측으로 구성함으로써 훅크부(310)와 결합구멍(340) 등의 외관이 하측의 일반적인 시각으로부터 커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decorative portion 370 is protruded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all 301 forming the frame 300 , and the decorative portion 370 is decorated while visually covering the functional component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wall 301 . It is for configuring a beautiful appearance by giving a unique design, and can be variously designed in an arbitrary shape. It is desirable to cover the external appearance of 340 and the like from a general view from below.

투광커버(200)는 상기 프레임(300)의 하측으로 결합되는데, 윗면이 개구되고, 주연부에는 상방으로 스커트(210)를 구비하여 내측으로 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스커트(210)의 상단 외측에는 상기 결합구멍(340)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결합돌기(220)가 돌출 형성되고, 결합돌기(220)가 벽체(301)의 결합구멍(340)에 결합되었을 때, 투광커버(200)의 스커트(210)부는 프레임(300)의 내측으로 일부 인입된 상태로 되면서 그 상단부는 상기 벽체의 단턱(330)에 마주 접하도록 구성된다.The transparent cover 200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frame 300, the upper surface is opened, the periphery is provided with the skirt 210 upwardly to form a space inside, and the upper end of the skirt 210 is outside the The coupling protrusion 220 elastically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340 is formed to protrude, and when the coupling protrusion 220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340 of the wall 301, the skirt of the transparent cover 200 ( 210) is configured to face the step 330 of the wall while the upper end portion is partially drawn into the inside of the frame 300.

투광커버(200)의 스커트(210) 외주면에는 상기 결합돌기(220)의 하측으로 이격되어 받침돌부(230)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데, 이 받침돌부(230)는 프레임(300)과 조립되었을 때 프레임의 하단부가 상기 받침돌부(230)의 윗면에 접촉 지지될 수 있다.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kirt 210 of the light-transmitting cover 200, a support protrusion 230 is formed to protrude below the coupling protrusion 220, and the support protrusion 230 is the frame 300 when assembled with the frame.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rotrusion 230 may be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따라서 투광커버(200)의 결합돌기(220)와 받침돌부(230)는 프레임(300)의 결합구멍(340)과 하단부의 간격과 일치하는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프레임(300)과 결합되었을 때 단턱(330)과 투광커버(200)의 상단부가 접촉 지지되고, 받침돌부(230)와 프레임(300)의 하단부가 접촉 지지되는 상태에서 결합돌기(220)와 결합구멍(340)이 결합되어 고정되며, 지지돌부(350)에 의해 투광커버(200)의 상단 내측이 지지되어 견고한 조립 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coupling protrusion 220 and the supporting protrusion 230 of the light-transmitting cover 200 are formed with an interval consistent with the interval between the coupling hole 340 of the frame 300 and the lower end, and when combined with the frame 300 . The step 330 and the upper end of the light-transmitting cover 200 are support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coupling protrusion 220 and the coupling hole 340 are coupled and fixed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end of the supporting protrusion 230 and the frame 300 are support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upper inner side of the light-transmitting cover 20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rotrusion 350 so that a solid assembly state can be achieved.

또한 상기 받침돌부(230)는 투광커버(200)가 프레임(300)과 조립되었을 때 프레임(300)의 분리홈(360)이 상기 받침돌부(230)와 마주 접하도록 되어 별도의 공구를 분리홈(360)에 넣어서 상기 받침돌부(230)와 프레임(300)의 하단을 상대적으로 밀어서 분리시킬 수 있도록 된다.In addition, the support protrusion 230 has a separation groove 360 of the frame 300 when the transparent cover 200 is assembled with the frame 300 so as to face the support protrusion 230 to separate a separate tool. It is put in 360 and can be separated by relatively pushing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rotrusion 230 and the frame 300 .

이를 위해 상기 분리홈(360)은 수평 폭에 비하여 상하 폭이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this purpose,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and lower widths of the separation grooves 360 are narrower than the horizontal width.

상기 단턱(330)과 받침돌부(230)는 투광커버(200)와 프레임(300)의 조립 시 서로의 단부를 접촉 지지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지만, 받침돌부(230)와 투광커버(200)가 조립되었을 때 단턱(330)과 받침돌부(230)가 투광커버(200)의 상단 및 프레임(300)의 하단이 반드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해야 할 필요는 없으며, 근접한 상태로 조립되도록 구성되어도 무방하다.The step 330 and the supporting protrusion 230 include a function of contacting and supporting the ends of each other when assembling the translucent cover 200 and the frame 300, but the supporting protrusion 230 and the translucent cover 200 are When assembled, the step 330 and the supporting protrusion 230 do not necessarily have to keep the upper end of the transparent cover 200 and the lower end of the frame 300 in close contact, and may be configured to be assembled in a close state. .

도면 중 미설명부호 '321'은 본체(100)와의 나사조립을 하기 위한 나사구멍이다.Unexplained reference numeral '321' in the drawing is a screw hole for screw assembly with the main body 100 .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원 천장등의 조립 상태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데, 도 9는 본체(100)와 프레임(300)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10은 투광커버(200)와 프레임(300)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The assembly state of the ceiling lamp of the present applica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shown in FIGS. 9 and 10 , and FIG. 9 shows the assembly state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frame 300 , and FIG. 10 is the transparent cover 200 and the frame. It shows the assembly state of (300).

기본적으로 본체(100)는 천장에 우선적으로 설치하게 되며, 이 본체(100)에 프레임(300)을 조립하게 되는데, 프레임(300) 상단의 훅크부(310)와 본체(100)의 하단부를 끼움에 의해 조립하게 된다.Basically, the main body 100 is preferentially installed on the ceiling, and the frame 300 is assembled to the main body 100 . The hook part 310 at the upper end of the frame 300 and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100 are fitted. will be assembled by

즉 프레임(300)을 본체(100)의 하측으로 밀어서 결합시키게 되면, 본체(100)의 하측 가장자리가 훅크부(310)의 경사면(312)에 접촉되어 훅크부(310)가 외측으로 밀려나면서 진입하여 본체(100)의 상단부까지 진입이 완료되면 훅크부(310)는 탄성적으로 원상복귀되면서 훅크부(310)의 걸림턱(313)에 의해 본체(100)가 이탈됨이 없이 결합이 완료된다.That is, when the frame 300 is pushed to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00 to be coupled, the lower edge of the main body 10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312 of the hook part 310 and the hook part 310 enters while being pushed outward. Thus, when the entry to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100 is completed, the hook portion 310 is elastically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and the main body 100 is coupled without being separated by the engaging protrusion 313 of the hook portion 310. .

본체(100)의 하단부는 프레임(300)의 안착부(320)에 지지되고, 상단부는 훅크부(310)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며, 더욱 견고한 조립을 위해 상기 안착부(320)와 본체는 나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The lower end of the body 100 is supported by the seating part 320 of the frame 300, and the upper part is supported by the hook part 310, and for a more robust assembly, the seating part 320 and the body are attached to screws. can be fixed by

이와 같이 나사에 의한 조립작업 시에도 종래와 같이 한 손으로 대상물을 떨어지지 않게 받쳐주면서 불편하게 나사조작을 할 필요 없이, 이미 본체(100)가 훅크부(310)와의 조립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편리하게 나사 고정작업을 추가적으로 할 수 있다.In this way, even during the assembly operation with screws, there is no need to operate the screw inconveniently while supporting the object with one hand so that it does not fall off as in the prior art. Additional fixing work can be done.

한편 일반적으로 천장등을 천장에 설치할 때, 본체는 천장면으로부터 약간의 이격된 공간을 둠으로써 본체를 천장에 설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별도의 브래킷이 배치되는 공간, 또는 전선을 통과시키는 등의 공간을 확보하도록 하고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본체(100)와 프레임(300)이 결합되었을 때, 본체(100)의 상단보다 훅크부(310)의 상단이 더 상측으로 돌출됨으로써 천장에 설치되었을 때, 상기 훅크부(310)의 상단부가 천장면에 접촉되어 천장면과 본체(100)의 상단이 이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되므로, 별도의 부품이나 도구를 사용하여 이격시키기 위한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된다.On the other hand, in general, when installing a ceiling light on the ceiling, the main body has a space slightly spaced from the ceiling surface, so that a space where a separate bracket used to install the main body on the ceiling is disposed, or a space such as a space for passing an electric wir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ain body 100 and the frame 300 are combined, the upper end of the hook part 310 protrudes more upward than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100. When installed on the ceiling, the hook Since the upper end of the large portion 310 is in contact with the ceiling surface to stably maintain a spaced state between the ceiling surface and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100, there is no need to use a separate part or tool to separate the upper portion.

이렇게 본체(100)와 프레임(300)이 조립된 상태에서 도 10에서와 같이 프레임(300)의 하측으로 투광커버(200)를 조립하게 되는데, 투광커버(200)의 스커트(210) 상단을 프레임(300)의 내측으로 밀어넣으면 투광커버(200)는 탄성적으로 수축되면서 진입하여 상단부가 단턱(330)에 접촉됨과 동시에 결합돌기(220)가 결합구멍(340)에 탄성적으로 결합된다.In this way, in the state in which the body 100 and the frame 300 are assembled, the light-transmitting cover 200 is assembled to the lower side of the frame 300 as shown in FIG. When pushed into the 300, the light-transmitting cover 200 enters while being elastically contracted, and the upper end is in contact with the step 330 and the coupling protrusion 220 is elastically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340 at the same time.

이렇게 투광커버(200)가 프레임(300)과 결합되었을 때 단턱(330)과 투광커버(200)의 상단부가 접촉 지지되고, 받침돌부(230)와 프레임(300)의 하단부가 접촉 지지되는 상태에서 결합돌기(220)와 결합구멍(340)이 결합되어 고정되며, 지지돌부(350)에 의해 투광커버(200)의 상단 내측이 지지되어 견고한 조립 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when the light-transmitting cover 200 is coupled to the frame 300, the step 330 and the upper end of the light-transmitting cover 200 are supported in contact, and the lower end of the supporting protrusion 230 and the frame 300 are support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coupling protrusion 220 and the coupling hole 340 are coupled and fixed, and the upper inner side of the light-transmitting cover 20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rotrusion 350 so that a solid assembly state can be achieved.

천장등은 교환 또는 수리 등을 위해 투광커버(200)를 분리할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데, 투광커버(200)를 분리할 경우에는 드라이버와 같은 선단부가 납작한 공구(D)의 선단부를 분리홈(360)에 삽입하여 회전시킴으로써 간단하게 분리가 이루어진다.Ceiling lamps are generated when the transparent cover 200 is removed for replacement or repair. ) by inserting and rotating, separation is made simply.

투광커버(200)가 프레임(300)과 조립되었을 때, 프레임(300)의 분리홈(360)은 상기 받침돌부(230)와 마주 접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분리홈(360)에 공구(D)의 선단부를 폭 방향으로 넣어서 회전시키게 되면, 공구(D)의 단부가 상하 폭이 좁은 분리홈(360) 내에서 세로방향으로 세워지면서 받침돌부(230)와 프레임(300)의 하단부를 서로 밀어서 투광커버(200)와 프레임(300)을 분리시키게 되는 것이다.When the transparent cover 200 is assembled with the frame 300, the separation groove 360 of the frame 30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upport protrusion 230, and in this state, the separation groove 360 has a tool (D) When the front end of the tool (D) is rotated by putting it in the width direction, the end of the tool (D) is er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in the narrow separation groove (36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pushes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rotrusion (230) and the frame (300) to each other to transmit light The cover 200 and the frame 300 are separated.

이상에서 도시하고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and described above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본체 200 ; 투광커버
210 ; 스커트 220 ; 결합돌기
230 ; 받침돌부 300 ; 프레임
301 ; 벽체 310 ; 훅크부
312 ; 경사면 313 ; 걸림턱
314 ; 리브 320 ; 안착부
330 ; 단턱 340 ; 결합구멍
350 ; 지지돌부 360 ; 분리홈
370 ; 장식부 D ; 공구
100 ; body 200; transparent cover
210; skirt 220 ; bonding protrusion
230 ; support protrusion 300 ; frame
301; wall 310 ; hook part
312; slope 313 ; stumbling block
314; rib 320 ; seat
330; Step 340 ; coupling hole
350 ; support protrusion 360 ; separation groove
370 ; decoration D ; tool

Claims (6)

금속의 판형으로 이루어져서 천장에 고정 설치되는 본체;
중앙이 개구된 고리 형태의 벽체로 이루어져서 상기 본체를 내측으로 수용하며, 상단에는 상기 본체가 상측으로부터 탄성적으로 끼워져서 결합되기 위한 훅크부가 다수 돌출 형성되고, 벽체의 내측 중간에는 상기 본체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의 하측으로 벽체의 내주연에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의 하측에서 다수의 결합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 및
윗면이 개구되어 상기 프레임의 하측으로 결합되며, 가장자리 상단 외측에는 상기 결합구멍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결합돌기가 벽체의 결합구멍에 결합되었을 때 상단부는 상기 벽체의 단턱에 마주 접하도록 된 투광커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등.
a body made of a metal plate and fixedly installed on the ceiling;
It consists of a ring-shaped wall with an open center and accommodates the main body inward, and at the upper end, a plurality of hook portions for elastically fitting and coupling the main body from the upper side are protruded, and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is formed in the inner middle of the wall. a frame in which a seating portion for supporting is formed, a step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wall as a lower side of the seating portion, and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are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step; and
The upper surface is opened and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frame, and a coupling protrusion elastically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is formed outside the upper edge of the edge, and when the coupling protrusion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of the wall, the upper end faces the step of the wall a light-transmitting cover to be in contact with; Ceiling lamp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훅크부는 내측으로 하향 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본체가 이 경사면을 탄성적으로 밀면서 상측으로부터 결합되도록 되고, 본체가 결합되었을 때 본체의 상단보다 훅크부의 상단이 더 상측으로 돌출됨으로써 천장에 설치되었을 때, 상기 훅크부가 천장면에 접촉되어 천장면과 본체의 상단이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등.
The method of claim 1,
The hook part forms a downward inclined surface inward so that the main body is coupled from the upper side while elastically pushing the inclined surface, and when the main body is coupled, the upper end of the hook part protrudes more upward than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When installed on the ceiling, Ceiling lamp, characterized in that the hook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ceiling surface to maintain a state in which the ceiling surface and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are spaced apa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턱의 내측에는 지지돌부가 돌출 형성되어 프레임에 투광커버가 조립되었을 때 투광커버의 상단 내측을 지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등.
The method of claim 1,
A ceiling lamp,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protrusion is formed protruding from the inside of the step so as to support the inside of the upper end of the light transmitting cover when the light transmitting cover is assembled to the fra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커버의 외주면에는 상기 결합돌기의 하측으로 받침돌부가 돌출 형성되어 프레임과 조립되었을 때 프레임의 하단부가 상기 받침돌부의 윗면에 접촉 지지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등.
The method of claim 1,
A ceiling lamp,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end of the frame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ing protrusion when the frame is assembled with a support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ight-transmitting cover to the lower side of the coupling protrus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커버의 받침돌부와 접촉되는 상기 벽체의 하단에는 하측으로 개구된 분리홈이 형성되어 이 분리홈에 공구를 삽입하여 투광커버를 분리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등.
5. The method of claim 4,
A ceiling lamp,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end of the wall in contact with the supporting protrusion of the light-transmitting cover is formed with a separation groove that is opened downward so that the light-transmitting cover can be separated by inserting a tool into the separation groov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장식부가 더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등.

The method of claim 1,
Ceiling lamp,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ame further protrudes the decorative portion to the outside.

KR1020210042077A 2021-03-31 2021-03-31 Ceiling light KR2022013658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077A KR20220136581A (en) 2021-03-31 2021-03-31 Ceiling ligh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077A KR20220136581A (en) 2021-03-31 2021-03-31 Ceiling ligh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6581A true KR20220136581A (en) 2022-10-11

Family

ID=83598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2077A KR20220136581A (en) 2021-03-31 2021-03-31 Ceiling ligh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658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0083B1 (en) LED ceiling lights
CN105972524B (en) A kind of ceiling lamp
KR101904104B1 (en) LED Ceiling light
US10451230B2 (en) Wall mount light fixture
KR200437241Y1 (en) Lighting structure
KR20150133669A (en) assembly efficiency lighting device
KR20220136581A (en) Ceiling light
KR20170000511U (en) System lighting device
KR20140103535A (en) Length variable LED lamp
KR101260449B1 (en) Recessed ceiling lamp having ornamental part of protruding led
KR20090072037A (en) Decoration of cover for lamp
KR20100044953A (en) Electric light apparatus for a ceiling type
KR102413626B1 (en) Ceiling light
KR20120002883U (en) Luminaire
CN215982385U (en) Lighting device
KR101468326B1 (en) Led lamp
KR101011995B1 (en) Ceiling downlight with fastening structure for easy replacement of cover frame
KR200298341Y1 (en) A clarity cover assembly construction of a fluorescence light lamp case
KR101294376B1 (en) Flatbed type led lamp
KR20220144461A (en) Ceiling light
KR101796981B1 (en) structure of the buried lamp ballast assembly
KR200308100Y1 (en) Cover for light joint structure
KR200334562Y1 (en) Structure for combing cylindrical reflecting hat of illuminator
KR102314123B1 (en) The lamp having assembly type lampshade
KR200463226Y1 (en) Reclamation style ceiling ligh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