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5668A - Container for retort - Google Patents

Container for retor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5668A
KR20220135668A KR1020210041669A KR20210041669A KR20220135668A KR 20220135668 A KR20220135668 A KR 20220135668A KR 1020210041669 A KR1020210041669 A KR 1020210041669A KR 20210041669 A KR20210041669 A KR 20210041669A KR 20220135668 A KR20220135668 A KR 20220135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container
retort food
cover member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16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순희
장호정
권성진
김남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원에프앤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원에프앤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원에프앤비
Priority to KR1020210041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5668A/en
Publication of KR20220135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566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62Secondary protective cap-like outer covers for closur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5/00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 B65D45/02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for applying axial pressure to engage closure with sealing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4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by microwaves

Abstract

Disclosed is a container for retort food, which allows a cap to be easily opened without applying a large force. The container for retort food comprises: a main container including a main body having a bowl shape of which an upper portion is opened and accommodating food, and a first protruding part radially extended from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to the outside; a cover member formed to b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main container, having a cap shape of which the lower end is opened, and including an upper surface, a curved part curved downwards from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and a plurality of stopping protrusions protruding arou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rved part; and a cover part affixed to the first protruding part to seal the main container. The stopping protrusions are inserted in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protruding part to be stopped and coupled when the cover member is coupled to the main container, and include a guide protrusion in which at least one among the plurality of stopping protrusions is formed to be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remaining stopping protrusions to be easily stopped on and released from the first protruding part.

Description

레토르트 식품용 용기{CONTAINER FOR RETORT}Container for retort food

아래의 실시예들은 레토르트 식품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following examples relate to containers for retort food.

최근 1인가구의 증가 및 코로나19의 여파 등 사회환경 변화에 따라 레토르트 식품은 새로운 틈새시장으로 주목받고 있다. 레토르트 식품은 저장을 목적으로 한 가공식품으로서, 조리가공한 여러 가지 식품을 용기에 담아 밀봉한 후 고온에서 가열 살균하여 제조한다. 레토르트 식품은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고, 섭취 시에는 용기 채로 끓는 물에 넣거나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먹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최근에는 밥과 죽과 같은 식사 대용의 레토르트 식품을 포장하는 데 있어서, 내용물을 밀봉하는 포장지 위에 플라스틱 캡을 씌워 이중 포장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레토르트 식품에 플라스틱 캡 포장을 부가함으로써, 캡 내부 공간에 일회용 스푼과 소스를 구비 가능하고, 전자레인지에 데울 때에도 캡을 씌우고 데워서 내용물이 바깥으로 튀지 않고 깔끔하게 데울 수 있다.With the recent increase in single-person households and changes in the social environment such as the aftermath of COVID-19, retort food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new niche market. Retort food is a processed food for the purpose of storage, and is prepared by putting various cooked and processed foods in a container, sealing it, and then heating and sterilizing it at a high temperature. Retort food can be stored for a long time, and when ingested, it can be easily eaten by putting it in boiling water or using a microwave oven. 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in packaging retort food substitutes for meals such as rice and porridge, a method of double packaging by covering a plastic cap on a wrapping paper for sealing the contents is mainly used. By adding a plastic cap packaging to the retort foo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isposable spoon and sauce in the space inside the cap, and even when reheating in a microwave, it can be heated with the cap on, so that the contents do not splash outside.

하지만, 종래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캡은 내부에 형성된 걸림턱과 용기가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어서 개봉 시 많은 불편을 주고 있다. 특히 어린이나 노약자 그리고 여성들이 개봉할 때에는 더욱 더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plastic cap used in the prior art is tightly coupled to the container and the locking jaw formed therein, which causes a lot of inconvenience during opening. In particular,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as more inconvenient when opened by children, the elderly, and women.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원의 개시 내용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The above-mentioned background art is possessed or acquired by the inventor in the process of deriving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it cannot necessarily be said to be a known technology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prior to the present application.

실시예의 목적은,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캡의 개봉이 용이한 레토르트 식품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embodiment is to provide a container for retort food in which the cap can be easily opened without applying a large force.

실시예들에서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in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실시예에 따른 레토르트 식품용 용기를 개시한다. 레토르트 식품용 용기는, 상부가 개방된 보울 형상을 갖고, 식품을 수용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바깥쪽으로 연장 형성된 제1돌출부를 포함하는 메인 용기, 상기 메인 용기의 상단에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고, 하단이 개방된 캡 형상을 갖고, 상면과, 상기 상면의 테두리에서 하방으로 만곡된 만곡부와, 상기 만곡부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된 복수의 걸림턱을 포함하는 커버 부재, 및 상기 제1돌출부에 접착되어서 상기 메인 용기를 밀폐시키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커버 부재가 상기 메인 용기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제1돌출부의 하단에 삽입되어서 걸림 결합되고, 상기 제1돌출부와의 걸림 및 해제가 용이하도록 상기 복수의 걸림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나머지 걸림턱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가이드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Disclosed is a container for retort fo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retort food container has a bowl shape with an open top, and includes a main body for accommodating food, and a first protrusion formed radially outwardly from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the main container can b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main container A cover member having a cap shape with an open lower end, an upper surface, a curved portion curved downwardly from the rim of the upper surface, and a plurality of engaging projections formed to protrude alo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urved portion, and and a cover part attached to the first protrusion to close the main container, The locking jaw is inserted in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protrusion when the cover member is coupled to the main container and engageable,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locking jaws is configured to include a guide jaw formed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other locking jaws so as to facilitate locking and release with the first protrusion.

일 측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턱은 나머지 걸림턱의 높이의 70% 이하의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the guide jaws may be formed to have a height of 70% or less of the height of the remaining locking jaws.

일 측에 따르면, 상기 걸림턱은 길이 방향을 따라 양단부의 높이가 낮고 중앙부의 높이가 높아지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the locking jaw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in which the height of both ends is low and the height of the central part is hig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제1돌출부는 단부가 하방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제1돌출부의 절곡된 테두리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an end of the first protrusion may be bent downward, and a second protrusion may be formed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bent edge of the first protrusion.

일 측에 따르면, 상기 걸림턱은 상기 제2돌출부의 하단에 삽입되어 걸림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the locking jaw may be inserted in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protrusion and engaged.

일 측에 따르면, 상기 걸림턱의 높이는 상기 제2돌출부의 높이와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the height of the locking protrusion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height of the second protrusion.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제2돌출부는 상기 제1돌출부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the second protrusion may be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protrusion.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제2돌출부는 상기 제1돌출부의 둘레를 따라 불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둘레 중 일부에 노치가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the second protrusion may be dis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protrusion, or a notch may be formed in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만곡부의 내주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스톱퍼를 포함하고, 상기 스톱퍼는 상기 커버 부재가 상기 메인 용기와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제1돌출부의 상단에 접촉 및 지지하여서 상기 커버 부재의 결합 깊이를 제한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the cover member includes a plurality of stoppers protruding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rved part, and the stoppers contact and support the upper end of the first protrusion when the cover member is coupled to the main container. A bonding depth of the cover member may be limited.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스톱퍼는 하단 부분의 길이가 적어도 제1돌출부의 너비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the stopper may be formed such that the length of the lower end corresponds to at least the width of the first protrusion.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스톱퍼는 상기 상면과 상기 만곡부의 경계 부분부터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the stopper may be formed from a boundary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curved portion.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커버 부재는 적어도 상기 만곡부가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at least the curved portion of the cover member may have an elastic force.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실시예들에 따르면, 레토르트 식품용 용기는 사용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용기의 캡을 개봉할 수 있다. As seen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the retort food container can open the cap of the container without the user applying a great force.

일 실시예에 따른 레토르트 식품용 용기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retort food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레토르트 식품용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레토르트 식품용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커버 부재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인 용기의 평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ainer for retort fo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tainer for retort fo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plan view of a cover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4 is a view of the cover member of FIG. 3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5 is a plan view of a main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s a plan view of a main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to the matters described in those drawings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since various change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the scope of the pat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for the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rights.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e examples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escription onl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elements from other elem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between each component another compon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may also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Components included in one embodiment and components having a common function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names in other embodi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descriptions described in one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as well, and detailed descriptions within the overlapping range will be omitted.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레토르트 식품용 용기(1)는 메인 용기(10), 커버 부재(20), 및 덮개부(30)를 포함한다. 메인 용기(10)에 커버 부재(20)가 접착되고, 메인 용기(10)와 커버 부재(20)가 결합됨으로써 레토르트 식품용 용기의 외관을 형성한다. 레토르트 식품용 용기는 메인 용기(10)와 커버 부재(20)의 결합이 손쉽게 해제가 가능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킨다.1 to 2 , the container 1 for retort fo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main container 10 , a cover member 20 , and a cover part 30 . The cover member 20 is adhered to the main container 10 , and the main container 10 and the cover member 20 are combined to form an external appearance of the container for retort food. In the container for retort food, the combination of the main container 10 and the cover member 20 can be easily released, thereby increasing consumer convenience.

메인 용기(10)는 본체(11)와 제1돌출부(12)를 포함한다. The main container 10 includes a body 11 and a first protrusion 12 .

본체(11)는 상부가 개방된 보울 형상을 갖고, 식품을 내부 공간에 수용한다. 예를 들어, 본체(11)는 사용자가 내부의 식품을 간편하게 떠 먹을 수 있도록, 상부의 직경이 하부의 직경보다 넓은 형상일 수 있다. 본체(11)는 식품이 올려지는 바닥면(111)과, 식품의 온도를 보존하기 위해 바닥면(111)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받침대(112)를 포함할 수 있다.The body 11 has a bowl shape with an open top, and accommodates food in the interior space. For example, the main body 11 may have an upper diameter wider than a lower diameter so that a user can easily eat the food inside. The main body 11 may include a bottom surface 111 on which food is placed, and a pedestal 112 for separating the bottom surface 111 from the ground in order to preserve the temperature of the food.

바닥면(111)에는 식품이 올려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식품은 진공 포장된 상태로 본체(11) 내부에 있을 수 있다. 사용자가 식품을 조리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커버 부재(20)와 덮개부(30)를 해체하고, 전자레인지 등 조리 수단을 이용하여 식품을 알맞은 온도로 가열시킬 수 있다.Food may be placed on the bottom surface 111 . For example, the food may be inside the body 11 in a vacuum-packed state. When the user wants to cook food, the user may disassemble the cover member 20 and the cover part 30 and heat the food to a suitable temperature using a cooking means such as a microwave oven.

받침대(112)는 바닥면(111)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받침대(112)는 바닥면(111)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바닥면(111)과 지면 사이의 열전달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바닥면(111)에 올려진 식품은 상대적으로 오랜시간 온도를 보존하여, 식감을 유지할 수 있다.The pedestal 112 may separate the bottom surface 111 from the ground. The pedestal 112 separates the bottom surface 111 from the ground,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heat transfer between the bottom surface 111 and the ground. As a result, the food placed on the bottom surface 111 can retain the temperature for a relatively long time, thereby maintaining the texture.

제1돌출부(12)는 본체(11)의 상단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바깥쪽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1돌출부(12) 상부에 후술하는 덮개부(30)가 접착되는 면이 형성된다. 또한, 제1돌출부(12)의 하단에는 후술하는 커버 부재(20)의 걸림턱(23)이 삽입되어서 걸림 결합된다. 예를 들어, 제1돌출부(12)는 바닥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first protrusion 12 is formed to extend radially out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body 11 . A surface to which the cover part 30 to be described later is adhered is formed on the first protrusion part 12 . In addition, the engaging projection 23 of the cover member 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in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protrusion 12 and engaged. For example, the first protrusion 12 may ext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to have a ring shape.

제1돌출부(12)의 단부에는 제2돌출부(13)가 형성된다. 제2돌출부(13)는 제1돌출부(12)의 단부가 하방으로 절곡 형성되고, 절곡된 테두리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다.A second protrusion 13 is formed at an end of the first protrusion 12 . The second protrusion 13 has an end of the first protrusion 12 bent downward, and extends outwardly from the bent edge.

또한, 제1돌출부(12) 및 제2돌출부(13)는 본체(11) 내부에 고온의 식품이 있더라도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돌출부(12)를 파지하여 메인 용기(10)를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역할도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protrusion 12 and the second protrusion 13 may be relatively low even if there is high-temperature food inside the body 11 . Accordingly, the user may also serve to safely move the main container 10 by gripping the first protrusion 12 .

덮개부(30)는 제1돌출부(12)의 상부에 구비된다. 덮개부(30)는 제1돌출부(12)의 표면에 접착되어서 메인 용기(10)를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덮개부(30)는 비닐 소재로 형성되어, 메인 용기(10) 내부를 밀봉을 가능하게 하여 메인 용기(10) 내부 식품의 보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cover part 30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protrusion part 12 . The cover part 30 serves to seal the main container 10 by being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12 . For example, the cover part 30 is formed of a vinyl material, and it is possible to seal the inside of the main container 10 , thereby improving the preservation of the food inside the main container 10 .

커버 부재(20)는 상면(21)과 만곡부(22)와 복수의 걸림턱(23)을 포함한다. 또한, 커버 부재(20)는 복수의 스톱퍼(24)를 더 포함한다.The cover member 20 includes an upper surface 21 , a curved portion 22 , and a plurality of locking projections 23 . Also, the cover member 20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stoppers 24 .

커버 부재(20)는 하단이 개방된 캡 형상을 갖고, 메인 용기(10)의 상단에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커버 부재(20)는 상부의 직경이 하부의 직경보다 좁은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커버 부재(20)는 탄성력을 가짐으로써, 메인 용기(10)에 결합 및 해제가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메인 용기(10)에 담긴 식품을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가열할 때, 메인 용기(10)에 커버 부재(20)를 결합시킨 후 가열함으로써, 메인 용기(10) 내부의 식품이 바깥으로 튀지 않도록 하여 깔끔하게 데울 수 있고, 가열 효율도 높일 수 있다. The cover member 20 has a cap shape with an open lower end, and is formed to b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main container 10 . For example, the cover member 20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diameter of the upper part is narrower than the diameter of the lower part. In addition, since the cover member 20 has an elastic force, it can be easily coupled to and released from the main container 10 . When the user heats the food contained in the main container 10 using a microwave oven, by heating the food after coupling the cover member 20 to the main container 10, the food inside the main container 10 is not splashed out. It can be heated neatly and the heating efficiency can be increased.

상면(21)은 커버 부재(20)의 상단부를 형성한다. 상면(21)에는 메인 용기(10)를 가열 시 내부에서 발생하는 증기를 배출할 수 있는 복수의 배출공(211)이 형성될 수 있다. The upper surface 21 forms the upper end of the cover member 20 .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211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21 to discharge steam generated inside the main container 10 when heating.

만곡부(22)는 상면(21)의 테두리에서 하방으로 만곡되어 형성된다. 만곡부(22)는 메인 용기(10)의 제1돌출부(12)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메인 용기(10)를 덮을 수 있다. The curved portion 22 is formed by being curved downward from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21 . The curved portion 22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protrusion 12 of the main container 10 to cover the main container 10 .

스톱퍼(24)는 만곡부(22)의 내주면에서 돌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스톱퍼(24)는 상면(21)과 만곡부(22)의 경계 부분부터 형성되어 하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스톱퍼(24)는 커버 부재(20)가 메인 용기(10)와 결합되었을 때 걸림턱(23)에 대해서 제1돌출부(12)의 상단에 접촉 및 지지하여서 커버 부재(20)의 결합 깊이를 제한할 수 있다. 여기서, 스톱퍼(24)는 하단 부분의 길이가 적어도 제1돌출부(12)의 너비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stopper 24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rved portion 22 . For example, the stopper 24 may be formed from a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upper surface 21 and the curved portion 22 to have a shape protruding downward. The stopper 24 limits the coupling depth of the cover member 20 by contacting and supporting the upper end of the first protrusion 12 with respect to the clasp 23 when the cover member 20 is coupled to the main container 10 . can do. Here, the stopper 24 may be formed such that the length of the lower end corresponds to at least the width of the first protrusion 12 .

복수의 걸림턱(23)은 만곡부(22)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돌출 형성된다. 걸림턱(23)은 메인 용기(10)와 커버 부재(20)가 결합될 때 제1돌출부(12)의 하단에 삽입되어 걸림 결합된다. 여기서, 걸림턱(23)의 중앙부의 높이(H23)는 제2돌출부(13)의 높이(H13)와 대응되게 형성되거나 약간 작게 형성된다.The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23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urved portion 22 to protrude. The locking protrusion 23 is inserted in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protrusion 12 when the main container 10 and the cover member 20 are coupled and engaged. Here, the height (H 23 )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locking protrusion (23)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height (H 13 ) of the second protrusion (13) or is formed to be slightly smaller.

여기서, 복수의 걸림턱(23)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턱은 제1돌출부(12) 및 제2돌출부(13)와의 걸림 및 해제가 용이하도록 나머지 걸림턱(23)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다. Here, the plurality of locking jaws 23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guide jaws. The guide jaw is formed to be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rest of the locking jaws 23 so as to easily engage and release the first protrusion 12 and the second protrusion 13 .

커버 부재(2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턱을 포함하는 걸림턱(23)은 이하 도 3 내지 도 4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locking jaw 23 including at least one guide jaw of the cover member 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3 to 4 .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부재(20)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커버 부재(20)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3 is a plan view of the cover member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4 is a view of the cover member 20 of FIG. 3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부재(20)는 상면(21)과 만곡부(22)와 복수의 걸림턱(23)을 포함한다. 여기서, 복수의 걸림턱(231, 234, 235, 236)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턱(232, 23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걸림턱(23)은 제1걸림턱(231)내지 제4 걸림턱(236) 및 제1가이드턱 (232)내지 제2가이드턱(233)을 포함할 수 있다.3 to 4 , the cover member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n upper surface 21 , a curved portion 22 , and a plurality of locking projections 23 . Here, the plurality of locking jaws 231 , 234 , 235 and 236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guide jaws 232 and 233 . For example, the stopping jaw 23 may include a first stopping jaw 231 to a fourth stopping jaw 236 and a first guide jaw 232 to a second guide jaw 233 .

걸림턱(231, 234, 235, 236)과 가이드턱(232, 233)은 커버 부재(20)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걸림턱(231, 234, 235, 236) 및 가이드턱(232, 233)은 커버 부재(20)의 만곡부(22)의 단부에서 중심부를 향하여 돌출 형성된다. 예를 들어, 걸림턱(231, 234, 235, 236) 및 가이드턱(232, 233)은 만곡부(22)의 내주면 둘레 방향을 따라 양단부의 높이가 낮고 중앙부의 높이가 높아지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걸림턱(231, 234, 235, 236)의 중앙부의 높이(H231, H234, H235, H236)는 제2돌출부(13)의 높이(H13)와 대응되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걸림턱(231, 234, 235, 236)의 중앙부의 높이(H231, H234, H235, H236)는 만곡부(22)의 내주면으로부터 1mm 내지 2mm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The locking jaws 231 , 234 , 235 , 236 and the guide jaws 232 and 233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ver member 20 . The locking jaws 231 , 234 , 235 , 236 and the guide jaws 232 and 233 ar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end of the curved portion 22 of the cover member 20 toward the center. For example, the locking jaws 231, 234, 235, 236 and the guide jaws 232, 233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in which the height of both ends is low and the height of the central part is high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rved part 22. have. Here, the heights (H 231 , H 234 , H 235 , H 236 ) of the central portions of the locking protrusions ( 231 , 234 , 235 , 236 ) ar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height ( H 13 ) of the second protrusion ( 13 ). For example, the height (H 231 , H 234 , H 235 , H 236 )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locking jaws 231 , 234 , 235 , 236 may be formed to a length of 1 mm to 2 mm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rved portion 22 . .

또한, 가이드턱(232, 233)의 중앙부의 높이(H232, H233)는 나머지 걸림턱(231, 234, 235, 236)의 중앙부의 높이(H231, H234, H235, H236)보다 70%이하의 높이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가이드턱(232, 233)의 중앙부의 높이(H232, H233)는 0.7mm 이하의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guide jaws (232, 233) (H 232 , H 233 ) is the height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remaining locking jaws (231, 234, 235, 236) (H 231 , H 234 , H 235 , H 236 ) It is formed with a height of less than 70%. For example, the heights of the central portions of the guide jaws 232 and 233 (H 232 , H 233 ) may be formed to a height of 0.7 mm or less.

제1가이드턱(232) 및 제2가이드턱(233)은 제1걸림턱(231)을 기준으로 양단에 구비될 수 있다. 제1가이드턱(232) 및 제2가이드턱(233)은 만곡부(22)의 단부로부터 중심부를 향하여 돌출된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메인 용기(10)의 제2돌출부(13)와의 걸림이 쉽게 해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걸림턱(231) 방향에서 커버 부재(20)를 메인 용기(10)로부터 걸림을 해제함으로써, 제1걸림턱(231) 양단의 제1가이드턱(232) 및 제2가이드턱(233)이 제2돌출부(13)로부터 쉽게 해제되고, 순차적으로 나머지 제2걸림턱(234) 내지 제4 걸림턱(236)이 쉽게 해제될 수 있다. The first guide jaw 232 and the second guide jaw 233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with respect to the first locking jaw 231 . The first guide jaw 232 and the second guide jaw 233 are formed to have a low protruding height from the end of the curved portion 22 toward the center, so that their engagement with the second protruding portion 13 of the main container 10 is easily released. can be The user releases the cover member 20 from the main container 10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locking jaw 231, so that the first guide jaws 232 and the second guide jaws at both ends of the first locking jaw 231 ( 233 is easily released from the second protrusion 13 , and the remaining second engaging projections 234 to 236 may be easily released sequentially.

여기서, 사용자가 제1걸림턱(231)의 위치를 파악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제1걸림턱(231)의 위치와 대응되는 상면(21)의 외주면에 안내부(25)가 음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내부(25)는 화살표 기호 및 문자가 음각되어, 사용자가 제1걸림턱(231)방향으로 커버 부재(20)를 밀어올려 메인 용기(10)로부터 해제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Here, in order to make it easier for the user to grasp the position of the first stopping jaw 231 , the guide 25 may be engrav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21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stopping jaw 231 . For example, the guide unit 25 may be engraved with arrow symbols and characters to guide the user to push up the cover member 20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locking jaw 231 to release it from the main container 10 . have.

또한, 상술한 걸림턱(23)이 위치한 면과 동일한 위치의 만곡부(22)의 일 면에 제1스톱퍼(241) 내지 제6스톱퍼(246)가 만곡부(22)의 내주면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스톱퍼(241) 내지 제6스톱퍼(246)는 커버 부재(20)가 메인 용기(10)와 결합되었을 때, 제1돌출부(12)의 상단에 접촉 및 지지하여서 커버 부재(20)의 결합 깊이를 제한할 수 있다. 스톱퍼(24)의 위치는 도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first stopper 241 to the sixth stopper 246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rved portion 22 on one surface of the curved portion 22 at the same position as the surface on which the above-described locking jaw 23 is located. . The first stopper 241 to the sixth stopper 246 contact and support the upper end of the first protrusion 12 when the cover member 20 is coupled to the main container 10 so that the cover member 20 is coupled. Depth can be limited. The position of the stopper 24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메인 용기(10)에 대해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용기(10)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인 용기(10)의 평면도이다.With reference to FIGS. 5 to 6 , the main container 10 will be described. For reference, FIG. 5 is a plan view of the main contain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6 is a plan view of the main container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메인 용기(10)는 본체(11)의 상단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바깥쪽으로 연장 형성된 제1돌출부(12a)와, 제1돌출부(12a)의 절곡된 테두리에서 외측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링 형상을 가지는 제2돌출부(13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돌출부(13a)는 커버 부재(20)의 걸림턱(23)과 결합되어 메인 용기(10)와 커버 부재(20)를 결합시키고, 걸림턱(23)보다 높이가 낮은 제1가이드턱(232) 및 제2가이드턱(233)에 의해 해제가 용이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속 형성된 제2돌출부(13a)의 돌출 높이는 제1돌출부(12a)의 절곡된 테두리로부터 1mm 내지 2mm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First, referring to FIG. 5 , the main container 10 has a first protrusion 12a formed to extend radially outward from the top of the main body 11, and the bent edge of the first protrusion 12a continuously to the outside. It may include a second protrusion 13a formed to have a ring shape. The second protrusion 13a is coupled to the locking jaw 23 of the cover member 20 to couple the main container 10 and the cover member 20, and a first guide jaw lower in height than the locking jaw 23 ( 232) and the second guide jaw 233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that is easy to release. For example, the protrusion height of the continuously formed second protrusion 13a may be 1 mm to 2 mm from the bent edge of the first protrusion 12a.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메인 용기(10)는 본체(11)의 상단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바깥쪽으로 연장 형성된 제1돌출부(12b)와, 제1돌출부(12b)의 둘레를 따라 불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둘레 중 일부에 노치가 형성된 제2돌출부(1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돌출부(13b)는 커버 부재(20)의 걸림턱(23)과 결합되어 메인 용기(10)와 커버 부재(2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커버 부재(20)의 걸림턱(23)은 높이가 낮은 가이드턱을 포함하지 않고도 결합 가능하다. 사용자는 커버 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제2돌출부(13b)가 형성되지 않은 곳으로 걸림턱(23)을 위치시켜서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불연속적으로 형성된 제2돌출부(13)의 돌출 높이는 제1돌출부(12)의 절곡된 테두리로부터 1mm 내지 2mm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6 , the main container 10 is formed discontinuously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protrusion 12b and the first protrusion 12b extending radially out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11 or , may include a second protrusion (13b) in which a notch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The second protrusion 13b may be coupled to the locking protrusion 23 of the cover member 20 to couple the main container 10 and the cover member 20 . In this case, the locking jaw 23 of the cover member 20 can be coupled without including the guide jaw having a low height. By rotating the cover member, the user can release the coupling by positioning the locking protrusion 23 in a place where the second protrusion 13b is not formed. For example, the protrusion height of the discontinuously formed second protrusion 13 may be 1 mm to 2 mm from the bent edge of the first protrusion 12 .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레토르트 식품용 용기(1)는 제1걸림턱 내지 제4걸림턱(231, 234, 235, 236)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된 제1가이드턱(232) 및 제2가이드턱(233)을 포함하여 적은 힘으로도 개봉이 용이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the retort food container 1 has a first guide jaw 232 and a second guide jaw formed to have a height lower than the first to fourth stopping jaws 231, 234, 235, 236. Including (233), it is easy to open with little force.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limite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apply various technical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based on the above.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 and/or the described components of the system, structure, apparatus, circuit, etc.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Or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equivalents may achieve an appropriate result.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 레토르트 식품용 용기
10 메인 용기
11 본체
111 바닥면
112 받침대
12 제1돌출부
13 제2돌출부
20 커버 부재
21 상면
211 배출공
22 만곡부
23 걸림턱
231 제1걸림턱
232 제1가이드턱
233 제2가이드턱
234 제2걸림턱
235 제3걸림턱
236 제4걸림턱
24 스톱퍼
241 제1스톱퍼
242 제2스톱퍼
243 제3스톱퍼
244 제4스톱퍼
245 제5스톱퍼
246 제6스톱퍼
25 안내부
30 덮개부
1 Container for retort food
10 main container
11 body
111 bottom
112 pedestal
12 first protrusion
13 Second protrusion
20 cover member
21 top
211 exhaust hole
22 bend
23 stumbling block
231 The first stumbling block
232 first guide tuck
233 2nd guide tuck
234 2nd jamming jaw
235 3rd stumbling block
236
24 stopper
241 first stopper
242 2nd stopper
243 3rd stopper
244 4th stopper
245 5th stopper
246 6th stopper
25 Information Department
30 cover

Claims (12)

상부가 개방된 보울 형상을 갖고, 식품을 수용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바깥쪽으로 연장 형성된 제1돌출부를 포함하는 메인 용기;
상기 메인 용기의 상단에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고, 하단이 개방된 캡 형상을 갖고, 상면과, 상기 상면의 테두리에서 하방으로 만곡된 만곡부와, 상기 만곡부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된 복수의 걸림턱을 포함하는 커버 부재; 및
상기 제1돌출부에 접착되어서 상기 메인 용기를 밀폐시키는 덮개부;
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커버 부재가 상기 메인 용기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제1돌출부의 하단에 삽입되어서 걸림 결합되고,
상기 제1돌출부와의 걸림 및 해제가 용이하도록 상기 복수의 걸림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나머지 걸림턱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가이드턱을 포함하는 레토르트 식품용 용기.
a main container having a bowl shape with an open top, and including a body for accommodating food, and a first protrusion formed radially outwardly from the top of the body;
A plurality of locking jaws formed to b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main container, having a cap shape with an open lower end, an upper surface, a curved portion curved downward from the rim of the upper surface, and protruding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rved portion a cover member comprising; and
a cover portion attached to the first protrusion to seal the main container;
including,
The engaging projection is engag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protrusion when the cover member is coupled to the main container,
Retort food container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locking jaws to facilitate the locking and release with the first protrusion, the guide jaw is formed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other locking jaw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턱은 나머지 걸림턱의 높이의 70% 이하의 높이로 형성된 레토르트 식품용 용기.
According to claim 1,
The guide jaw is a retort food container formed to a height of 70% or less of the height of the remaining stopping jaw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길이 방향을 따라 양단부의 높이가 낮고 중앙부의 높이가 높아지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레토르트 식품용 용기.
According to claim 1,
The locking jaw is a container for retort food formed in a curved shape in which the height of both ends is low and the height of the central part is hig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는 단부가 하방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제1돌출부의 절곡된 테두리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돌출부가 형성되는 레토르트 식품용 용기.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protrusion is formed with an end bent downward,
A retort food container in which a second protrusion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bent edge of the first protrusion is form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제2돌출부의 하단에 삽입되어 걸림 결합되는 레토르트 식품용 용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locking jaw is inserted in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protrusion, the container for retort food to be engag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의 높이는 상기 제2돌출부의 높이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레토르트 식품용 용기.
6. The method of claim 5,
A retort food container formed to correspond to a height of the second protrusion with a height of the stopping protrus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돌출부는 상기 제1돌출부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레토르트 식품용 용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econd protrusion is a container for retort food that is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protrus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돌출부는 상기 제1돌출부의 둘레를 따라 불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둘레 중 일부에 노치가 형성된 레토르트 식품용 용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econd protrusion is dis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perimeter of the first protrusion, or a notch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perimeter of the retort food contai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만곡부의 내주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스톱퍼를 포함하고, 상기 스톱퍼는 상기 커버 부재가 상기 메인 용기와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제1돌출부의 상단에 접촉 및 지지하여서 상기 커버 부재의 결합 깊이를 제한하는 레토르트 식품용 용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over memb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stoppers protruding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rved portion, and the stoppers contact and support the upper end of the first protrusion when the cover member is coupled to the main container, thereby combining the cover member. Depth limiting container for retort foo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는 하단 부분의 길이가 적어도 제1돌출부의 너비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레토르트 식품용 용기.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topper is a retort food container in which the length of the lower portion corresponds to at least the width of the first protrus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는 상기 상면과 상기 만곡부의 경계 부분부터 형성되는 레토르트 식품용 용기.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stopper is a container for retort food formed from the boundary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curved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적어도 상기 만곡부가 탄성력을 갖는 레토르트 식품용 용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over member is a container for retort food in which at least the curved portion has an elastic force.
KR1020210041669A 2021-03-31 2021-03-31 Container for retort KR2022013566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1669A KR20220135668A (en) 2021-03-31 2021-03-31 Container for reto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1669A KR20220135668A (en) 2021-03-31 2021-03-31 Container for retor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5668A true KR20220135668A (en) 2022-10-07

Family

ID=83595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1669A KR20220135668A (en) 2021-03-31 2021-03-31 Container for retor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566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73511A (en) Cooking vessel
US20110056957A1 (en) Combination Multiple Vessel Cookware
US5214257A (en) Tub-shaped packaging container for microwave popcorn
JP2004305716A (en) System vessel for microwave oven cooking
US20050079250A1 (en) Food packaging allowing the food to be steam cooked
JP2005205203A (en) Pressure/moisture release cooking container
US20210002036A1 (en) Packaged food product for heating in oven
KR20220135668A (en) Container for retort
JP2014196138A (en) Food container
CN110422485B (en) Invertible microwave heating device and method
KR101528561B1 (en) The packaging box of container
JP2000316716A (en) Food container for heating in microwave oven
WO2016187539A2 (en) Microwavable food package apparatus and method
JP3204124U (en) Food container
TWI544886B (en) Insulated food jar with campfire or stove heatable inner container
US20060091138A1 (en) Method for safe and uniform microwave cooking of food article
JP2011168311A (en) Container used for microwave oven
JP4830586B2 (en) Food container
JP3040707B2 (en) Molded container
KR200283338Y1 (en) An earthen bowl
KR102035640B1 (en) Cooking utensil for microwave range
CN204489540U (en) A kind of block Foldable vessel seal cover cap
KR200478961Y1 (en) Pot Having Multiple Structure
US20110271848A1 (en) Steamer with hi-dome lid
KR101460757B1 (en) disposable airtight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