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5563A - 다양한 형태로 적층이 용이한 바구니 - Google Patents

다양한 형태로 적층이 용이한 바구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5563A
KR20220135563A KR1020210041406A KR20210041406A KR20220135563A KR 20220135563 A KR20220135563 A KR 20220135563A KR 1020210041406 A KR1020210041406 A KR 1020210041406A KR 20210041406 A KR20210041406 A KR 20210041406A KR 20220135563 A KR20220135563 A KR 202201355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kets
stacked
stacking
basket
storage bask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1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옥봉
Original Assignee
김옥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옥봉 filed Critical 김옥봉
Priority to KR1020210041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5563A/ko
Publication of KR20220135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556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of polygonal cross-section and all parts being permanently connected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4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of skeleton or apertured construction, e.g. baskets or carriers made up of interconnected spaced bands, rods, or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1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B65D21/0204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and joined together by interconnecting formations forming part of the container, e.g. dove-tail, snap connections, hook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다단으로 적층 가능한 수납바구니에 관한 것으로, 물품을 보관하기 위하여 내공간이 형성되는 수납바구니의 양측으로 복수의 슬라이드홈과 슬라이드바로 이루어지는 끼움수단을 형성하고, 그 슬라이드홈과 슬라이드바의 간격을 양측을 서로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수납바구니의 적층방향에 따라서 수납바구니를 보개어 상단으로 적층하여 보관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작동수단이나 적층을 위한 구조가 필요없이도 수납바구니의 구조 자체만으로 다단으로 적층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수납바구니를 서로 포개어 보관할 수 있으며, 또한 이러한 적층구조를 형성함에 있어서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하면서도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양한 형태로 적층이 용이한 바구니{Baskets that can be easily stacked in various shapes}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적층이 용이한 바구니에 관한 것으로, 바구니의 적층방향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적층하여 물품을 수납하거나, 또는 바구니를 포개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사용되는 바구니는 여러 가지 물품을 담아 정리하고, 깔끔한 상태로 보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대부분의 형태는 내공간이 형성되는 함체로 이루어지면서 그 양단에 손잡이가 형성되어 바구니의 운반이 용이하도록 하고 있다. 특히, 물품을 정리하여 수납할 때 좁은 공간에 많은 양의 물품을 보관하기 위하여 대부분 바구니는 바닥면이 상단부 테두리에 얹혀지도록 하여 바구니를 다양한 형태로 적층하여 물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지만, 이러한 것의 문제가 물품을 수납하지 않고 바구니만을 보관할 경우에 지나치게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므로 보관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것의 문제가 바구니를 다양한 형태로 적층하도록 형성하면 바구니를 제작하고 유통, 보관하는 과정에서 부피를 많이 차지하기 때문에 관리의 어려움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반면에 바구니가 바닥면이 테두리에 얹혀지도록 적층되지 않고 바구니를 포개어 보관할 수 있도록 삽입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하면 바구니를 제작하고 유통, 보관하는 과정에서는 관리가 용이하지만,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바구니를 쌓아 적층 보관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상 많은 불편함이 초래되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바구니가 서로 포개어지도록 삽입되는 구조를 취하면서 손잡이를 절첩식으로 형성하여 물품을 보관하기 위하여 바구니를 적층 보관하여야 하는 경우 손잡이를 젖혀서 바구니의 바닥면이 손잡이에 얹혀지도록 함으로써 다단을로 바구니를 적층 보관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별도의 거치수단을 구비하여 그 거치수단을 이용하여 바구니를 적층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것의 문제가 제작비용이 많이 들어가게 되므로 제품의 단가가 상승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는 것이고, 또한 무거운 중량체의 물품을 보관할 경우 손잡이나 거치수단이 쉽게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손잡이 또는 거치수단의 구조를 내구성을 높이도록 할 필요가 있는데, 결국에는 이러한 것이 제조비용의 상승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별도의 작동수단이 필요없이도 바구니의 구조 자체만으로 다양한 형태로 적층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바구니를 서로 포개어 보관할 수 있으며, 또한 이러한 적층구조를 형성함에 있어서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하면서도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물품을 보관하기 위하여 내공간이 형성되는 바구니의 양측으로 복수의 슬라이드홈과 슬라이드바로 이루어지는 끼움수단을 형성하고, 그 슬라이드홈과 슬라이드바의 간격을 양측을 서로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바구니의 적층방향에 따라서 바구니를 보개어 상단으로 적층하여 보관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양측벽에 손잡이를 형성하면서 그 손잡이의 테두리부에는 돌기살을 형성하여 바구니를 포개어 보관할 경우에도 돌기살이 테두리부의 상단에 걸려 더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하여 손잡이가 가려지는 것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바구니의 형태를 직사각형의 형태로 형성하면서 그 바닥면에는 돌출받침부를 형성하고, 돌출받침부의 사이 간격이 넓게 형성되는 부분을 테두리부의 상단과 대응되게 형성함으로써 바구니를 십자 형태로 교차하면서 적층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서 바구니를 다양한 형태로 적층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매우 실용적일 뿐만 아니라, 이러한 적층 구조가 적층 방향만을 선택하여 적층구조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한 것이다. 또한, 과도한 깊이로 삽입되지 않으므로 바구니를 포개어 보관할 경우에도 손잡이를 잡고 개별적으로 쉽게 인출해 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적층구조가 수직하중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켜 바구니를 다양한 형태로 적층하여 보관할 경우에도 또는 무거운 중량체를 담아 보관할 경우에도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되므로 제품의 품질을 높일 수 있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으므로 매우 경제적인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내용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측벽과 바닥면으로 이루어져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내공간이 형성되도록 바구니를 형성하고, 그 바구니의 양측벽에 끼움수단을 형성하여 끼움수단으로 끼워 조립함으로써 바구니를 다양한 형태로 포개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때 양측벽에 형성되는 끼움수단의 위치를 서로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바구니의 적층 방향에 따라서 바구니를 다양한 형태로 포개어 보관하거나, 또는 바구니를 다양한 형태로 쌓아서 적층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측벽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되게 테두리부를 형성하고, 상기 끼움수단은 바구니의 양측벽의 내측으로는 슬라이드홈을, 양측벽의 외측으로는 슬라이드바를 수직으로 형성되어 바구니를 상,하로 끼워 조립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때 양측면에 복수로 형성되는 끼움수단의 간격을 어느 일측면이 타측면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하면 바구니의 적층 방향에 따라서 바구니를 포개어 끼우거나, 또는 바구니를 다양한 형태로 쌓아 올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바구니에 물품을 수납하지 않고 바구니 만을 포개어 보관하고자 할 경우에는 슬라이드홈과 슬라이드바의 간격이 동일하게 형성된 방향으로 바구니를 끼워 보관하는 것이고, 수납바구니에 물품을 수납한 상태로 적층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바구니의 적층 방향을 전환하면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측벽의 슬라이드바가 상대적으로 폭이 넓게 슬라이드홈이 형성된 테두리부 상단에 얹혀지면서 타측의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측벽의 슬라이드바는 상대적으로 폭이 좁게 슬라이드홈이 형성된 테두리부의 상단에 얹혀져 바구니를 다양한 형태로 쌓아 적층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서 바구니를 포개어 보관하거나, 쌓아 보관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적층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매우 실용적일 뿐만 아니라, 이러한 적층 구조가 적층 방향만을 선택하여 적층구조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매우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홈과 슬라이드바가 상,하 수직으로 측벽을 보강하게 되므로 수납바구니에 중량이 무거운 물품을 보관할 경우에도 수직하중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어 쉽게 파손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바구니는 슬라이드바의 하단부에 단턱을 형성하면 슬라이드바가 테두리부의 상면에 안착될 때 테두리부의 내측에 단턱이 걸림되면서 바구니가 적층된 상태에서 측방향으로 빠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바구니를 적층할 경우 빠짐이 방지되게 하는 구조로는 바구니의 테두리부의 상면에 내입안착부를 형성하면 슬라이드바의 하단이 내입안착부에 놓여진 상태로 걸림되어 바구니가 적층된 상태에서 측방향으로 빠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바구니는 양측벽에 타공되어 이루어지는 손잡이가 형성하면 손잡이를 잡고 운반이 용이하게 되는 것으로, 이때 상기 손잡이의 타공된 테두리에는 돌기살을 형성하면 바구니를 포개어 보관하기 위하여 삽입할 경우에 돌기살이 테두리부의 상면에 안착되면서 바구니가 더이상 삽입되지 않고 스토퍼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즉, 바구니를 포개어 보관할 경우에 과도한 깊이로 삽입되지 않으므로 바구니를 포개어 보관할 경우에도 바구니가 포개어진 상태에서 손잡이가 가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따라서 바구니를 분리할 때 손잡이를 잡고 개별적으로 쉽게 인출해 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바구니는 측벽이 두 변의 양측벽과 그 양측벽과 직교하는 두 변의 직교벽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면 바구니를 평면에서 볼 때 네 변으로 이루어지는 사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고, 이때 양측벽의 좌,우 폭이 직교벽의 좌,우 폭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되도록 하면 바구니가 직사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되는데, 이때 상기 바닥면의 하측으로 네 모서리지점에 돌출받침부가 형성하면서 그 돌출받침부를 측벽 중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는 변 하단에 형성된 두 개의 돌출받침부 사이의 폭이 측벽 중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되는 직교벽의 내면 또는 외면과 밀착되게 형성되도록 하면 바구니는 십자형으로 적층할 경우에도 돌출받침부가 직교벽의 상단 걸쳐 유동되지 않게 바구니를 적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바구니를 십자형으로 번갈아가면서 적층하여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이때 상기 측벽은 직교벽의 중앙부에 측벽의 높이보다 하측으로 낮게 형성되도록 내입부를 형성하면 바구니를 십자형으로 적층한 상태에서 좌,우로 이탈되지 않고 더욱 안정되게 적층되어질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내입부의 폭은 양측벽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도록 하여야 하는 것이고, 이러한 내입부의 양측에 경사면을 형성하면 바구니를 적층시 바구니의 적층 위치가 중앙측으로 유도되면서 더욱 쉽고도 안정적으로 정위치에 적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측벽과 바닥면으로 이루어져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내공간이 형성되는 바구니의 양측벽에 끼움수단이 형성되고, 그 끼움수단은 각각의 측벽에 형성되는 끼움수단이 복수로 이루어지면서 양측벽에 형성되는 끼움수단의 폭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바구니의 적층 방향에 따라서 바구니를 포개어 보관하거나 상단으로 적층하여 보관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도록 되는 다양한 형태로 적층이 용이한 바구니.
KR1020210041406A 2021-03-30 2021-03-30 다양한 형태로 적층이 용이한 바구니 KR202201355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1406A KR20220135563A (ko) 2021-03-30 2021-03-30 다양한 형태로 적층이 용이한 바구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1406A KR20220135563A (ko) 2021-03-30 2021-03-30 다양한 형태로 적층이 용이한 바구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5563A true KR20220135563A (ko) 2022-10-07

Family

ID=83595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1406A KR20220135563A (ko) 2021-03-30 2021-03-30 다양한 형태로 적층이 용이한 바구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556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19838B2 (en) Three tiered tray
US3145870A (en) Reversible nesting and stacking container
US3420402A (en) Stackable and nestable container
US3628684A (en) Plastic bottle racks
BE1020219A3 (nl) Opbergvolume.
CA2389010C (en) Multi-purpose tray
US7621421B2 (en) Variably configurable stackable bins
US4372444A (en) Stackable/nestable/dividable storage bin
US20070102386A1 (en) Nestable and stackable document storage trays
US4256224A (en) Nestable and stackable six-bottle carrier
US3219232A (en) Receptacle
US9380915B2 (en) Tray with adjustable dividers
US7510089B2 (en) Stackable and nestable article holder
US4023680A (en) Bakery tray
US11111064B2 (en) Caseless tier sheet
US20180362212A1 (en) Container with Dividers
US3392874A (en) Container stack with common carrying handle
US20190239639A1 (en) Compact shelf assembly
US3355054A (en) Stackable-nestable container
US3100582A (en) Tierable and nestable receptacle
USRE26350E (en) Receptacle
KR20220135563A (ko) 다양한 형태로 적층이 용이한 바구니
JP5909072B2 (ja) トレー及びその収納棚
KR101396068B1 (ko) 다단으로 적층 가능한 수납바구니
WO2018139940A1 (en) Transport container and container attachment mea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