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5493A - 공기부양식 이송리프트 및 그 부재 - Google Patents

공기부양식 이송리프트 및 그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5493A
KR20220135493A KR1020210041231A KR20210041231A KR20220135493A KR 20220135493 A KR20220135493 A KR 20220135493A KR 1020210041231 A KR1020210041231 A KR 1020210041231A KR 20210041231 A KR20210041231 A KR 20210041231A KR 20220135493 A KR20220135493 A KR 20220135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etal plate
fabric
type transfer
floating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1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식용
Original Assignee
이식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식용 filed Critical 이식용
Priority to KR1020210041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5493A/ko
Publication of KR20220135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54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7/00Devices for assisting manual moving or tilting heavy loads
    • B65G7/02Devices adapted to be interposed between loads and the ground or floor, e.g. crowbars with means for assisting conveyance of loads
    • B65G7/06Devices adapted to be interposed between loads and the ground or floor, e.g. crowbars with means for assisting conveyance of loads using fluid at high pressure supplied from an independent source to provide a cushion between load and gr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3Heav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50/00Energy efficient technologies in elevators,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e.g. energy saving or recuperation technologies

Landscapes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판재를 공기 부양체에 본드로 접착하지 않고 장착할 수 있으며, 금속판재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처리하여 미관을 저해하는 일이 없으며, 재봉 처리된 끝단부 천조직 및 공기 분사공의 너덜너덜해짐을 방지할 수 있고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키며, 특히, 지면이 평평하지 않고 턱이 있는 경우 그 턱을 부드럽게 타고 넘어갈 수 있는 공기부양식 이송리프트 및 그 부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공기 부양체의 상부 천부재에 주머니 천부재를 재봉하여 별도의 주머니(금속판재 삽입공간)를 형성하고, 그 주머니 속에 경첩 구조로 연결되어 상향 경사지게 회동하는 것이 가능한 회동 가능 판재를 선단에 구비한 금속판재를 수용토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공기부양식 이송리프트 및 그 부재{Air-floating transfer lift}
본 발명은 실내에 설치된 냉장고나 세탁기 및 가구 등 중량물의 위치를 변경 시 마루 바닥의 긁힘에 의한 손상 없이 손쉽게 위치를 이동시키는데 사용하는 부양식 이송리프트 및 그를 위한 부재에 관한 것이다.
각 가정이나 기업의 사무소 등에는 냉장고나 드럼 세탁기, 건조기 등의 가전제품 및 가구 등을 포함한 각종 중량물 제품이 구비되어 있다.
그런데 이들 냉장고를 포함한 가전제품(이하에 실내에 설치된 세탁기나 가구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한다) 등을 실내에 설치하거나 또는 설치되어 사용 중 설치 위치를 변경코자 실내에서 다른 장소로 위치 이동하거나 또는 이사 등으로 이동하거나, 특히 도배 등을 위해 냉장고 등을 벽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냉장고 등을 사용 중 냉매 압축기나 냉매 순환 배관 등이 고장이 나서 수리가 필요한 경우, 벽면 가까이에 기대어 위치된 냉장고 압축기 및 냉매 순환 계통의 수리 시 수리기사의 접근이 용이치 않아 냉장고를 수리가 용이한 실내 공간으로 끄집어낸 후 수리 작업을 실시하고 다시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켜 설치하는 일이 종종 발생한다.
이와 같이 냉장고나 세탁기 등의 설치 및 수리 등을 포함한 위치 이동 시 종래에는 바닥에 모포(담요나 이불 또는 카펫) 등을 깐 후 그 위에 냉장고를 들어 올려 놓은 상태에서 모포를 잡아끌어 원하는 공간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마루바닥의 긁힘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종래의 수동 방식은 통상 냉장고 내에는 각종 음식물들을 담고 있는 용기들이 가득차 있는 상태라서 상당한 중량이 나가기 때문에 모포를 끌어당겨 이리저리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모포의 손상과 오염을 가져오는 문제가 있었다.
이 같은 점을 감안하여 근래에 냉장고나 세탁기 등 중량의 가전 제품이나 가구 등을 쉽게 이동할 수 있는 공기부양식 이송리프트가 제안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최근 시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공기부양식 이송리프트(10)로서,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히 위치되는 한쌍의 좌우 공기 부양체(12)와 이들 공기 부양체(12)에 호스(14, 16, 16)를 통해 압축공기를 공급해 주는 압축공기펌프(18)를 포함하고 있다.
도 2는 상기 도 1의 공기 부양식 이송리프트(10)의 단면도로서, 상기 공기 부양체(12)는 사방 테두리를 합쳐 재봉 처리한 하부 천부재(22)와 상부 천부재(24) 사이, 즉 내부에 공기 충전 공간(24)을 가지고 있으며, 이 공기 충전 공간(24)은 호스(14, 16, 16)를 통해 압축공기를 공급해 주는 압축공기펌프(18)에 연통되어 있다.
상기 호스(14)는 분기접속부(26)에서 2개의 호스(16,16)가 좌우 양측으로 분기되며, 압축공기펌프(18)를 가동 시 발생 공급되는 고압의 압축 공기가 호스(14) 및 좌우로 분기된 호스(16,16)와 공기 부양체(12)에의 접속구(28)를 거쳐 공기 부양체(12)의 내부인 공기 충전 공간(24)으로 유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공기 부양체(12)의 하부 천부재(24)에는 0.1 내지 5mm 크기, 바람직하기는 0.1 내지 0.4mm 크기의 많은 에어분출공(30)들을 형성하고 있어, 공기 충전 공간(24)으로 유입되는 고압의 압축공기는 상기 에어분출공(30)들을 통해 바닥면을 향해 분사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도배나 고장 수리를 위해 냉장고(32)의 위치를 옮기게 될 때 냉장고(32)의 하부 공간(냉장고의 저면에는 통상 바퀴 또는 지지다리가 달려 있어 바닥면(36)과의 사이에 지지다리 높이만큼의 공간이 형성된다)으로 한쌍의 좌우 공기 부양체(12,12)를 소정의 간격으로 벌려 삽입시킨다.
공기 부양체(12,12)는 이 단계에서 납짝한 형상이나, 압축공기펌프(18)를 가동시키면, 압축공기가 공기 부양체(12,12) 내부의 공기 충전 공간(24)으로 유입되어지며, 이로써 납짝했던 공기 부양체(12,12)는 상부 천부재(22)가 공기압에 의해 부풀어 오르게 되면서 공기 충전 공간(24)이 팽출하게 되며, 상부 천부재(22) 위에 얹혀져 있는 냉장고(32)는 위치가 상승하게 된다.
그런데 압축공기압이 냉장고의 중량보다 큰 힘을 가지고 있어 공기 충전 공간(24)에 공급된 압축공기는 하부 천부재(20)에 천공된 많은 에어분출공(30)들을 통해 외부로 분출되게 되며, 이 분출되는 압축공기압이 실내 바닥면(36)에 작용하게 될 때의 반작용력에 의해 공기 부양체(12,12)는 바닥면(36)에서 약간 들뜨는 상태가 된다.
이 같은 상태에서는 바닥면(36)과의 사이에 마찰력이 최소화되어 작업자가 냉장고(32)를 가볍게 손으로 밀면 바닥면으로부터 살짝 공중 부양된 공기 부양체(12,12)가 작은 힘에도 바닥면(36)과의 마찰이 없이 쉽게 이동되게 됨으로서, 비록 각종 음식물이 담겨져 있어 냉장고(32)가 고중량물이어도 바닥면(36)의 손상이 없이 원하는 위치로 자유자재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그런데 공기 부양체(12,12)의 상하 천부재(22,20)는 매우 플랙시블한 재료이므로, 고중량의 냉장고(32) 등을 지지 시 꿀렁거림에 의해 냉장고(32)의 밸런스가 맞지 않아 전복될 우려가 있어 안정성이 요구된다.
이 같은 점을 감안하여 공기 부양체(12,12)의 상부 천부재(22) 위에는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판재(38)를 부착하여 공기 부양체(12,12)의 꿀렁거림에 의한 냉장고 등의 고중량 지지물품의 언밸런스가 방지토록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금속판재(38)를 공기 부양체(12,12)의 상부 천부재(22) 위에 부착하는 방식은 몇가지 문제를 가지고 있어 개선이 요구된다.
첫째, 금속판재(38)와 직물재인 천부재(22)는 서로 재질이 상이하여 본드 접착제를 사용하더라도 접착성능이 낮은 문제가 있으며,
둘째, 접착제는 수분에 취약하고 시간이 지나면 경화되어 접착력의 저하를 가져와 금속판재(38)가 쉽게 떨어져 내구연한이 낮은 단점이 있으며,
셋째, 금속판재(38)와 천부재(22)의 색상을 서로 일치시키기가 곤란하여 색상의 차이로 인해 미관상 좋지 않으며, 또 금속판재(38) 표면에 페인팅 처리를 하여 색상을 일치시키는 경우 냉장고에 의한 마찰접촉으로 페인팅이 벗겨질 경우 더욱 더 미관을 해치게 되며,
넷째, 공기 부양체(12,12)의 상부 천부재(22)와 하부 천부재(20)의 테두리를 재봉함에 있어 그 테두리가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이 좋지 않으며, 천부재들의 노출된 끝단부 천조직이 사용 중 너덜너덜해져 보풀이 발생하며,
다섯째, 작은 크기의 공기 분사공들을 송곳이나 드릴 등으로 형성하고 있어 구멍부위가 보풀이 일어나 막히거나 너덜너덜해져 보기가 흉하며,
여섯째, 공기 분사공들 및 호스 접속공이 정확한 위치에 형성하기 어려으며,
일곱째, 실내의 바닥면에 문턱이 존재하거나, 또는 세탁기의 경우 배수구턱이 있어 바닥면보다 소정 높이(예를 들면 40~50mm)만큼 높은 위치에 설치하고 있어, 종래의 공기 부양체(12,12)의 구조로서는 그 턱에 공기 부양체가 걸려 그 턱을 타고 넘기가 어려워 이송에 불폄함이 따르는 등 여러 문제들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한 것으로 그의 목적으로 하는 것은, 금속판재를 공기 부양체에 접착하지 않고 장착할 수 있으며, 금속판재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처리하여 미관을 저해하는 일이 없으며, 재봉 처리된 끝단부 천조직 및 공기 분사공의 너덜너덜해짐을 방지할 수 있고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킨 공기부양식 이송리프트 및 그를 위한 부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닥면이 평평하지 않고 턱이 있어 턱을 타고 넘어 이송하게 될 때 그 턱을 부드럽게 타고 넘어가 중량물을 이송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공기부양식 이송리프트용의 금속판재 및 그 금속판재를 사용한 공기부양식 이송리프트 및 그를 위한 부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1에 따른 본 발명의 공기부양식 이송리프트용의 금속판재는 소정의 폭과 두께 가진 납작한 직사각형 단면 형상이 소정의 길이로 길게 연장한 금속판 본체와, 상기 금속판 본체의 선단에 경첩을 통하여 상부로 회동 가능하게 접속하여 상기 금속판 본체에 대해 선단이 경사지게 들어 올려질 수 있는 회동 가능 판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공기부양식 이송리프트에 의하면, 탑재되는 중량물을 지지하는 상부 천부재와, 다수의 공기 분출공들을 구비한 하부 천부재 사이에 공기 충전 공간을 가지며, 압축공기펌프로부터 호스 및 그 호스 접속구를 통해 압축공기가 상기 공기 충전 공간에 유입되어 팽출함과 함께 상기 공기 분출공들을 통해 바닥면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바닥면으로부터 부양되는 한쌍의 공기 부양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부 천부재의 상부에 금속판재 삽입공간(주머니)을 둔 주머니 천부재가 재봉되며, 상기 주머니 천부재에 의한 금속판재 삽입공간 내에 제1항에 따른 금속판재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동 가능 판재에는 적어도 1개의 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구멍에는 견인용 와이어의 일단이 고정 접속하고 상기 견인용 와이어의 타단은 상기 금속판 본체 후단을 넘어 연장하며, 상기 견인용 와이어의 후단은 상기 주머니 천부재를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되어져 있어 상기 견인용 와이어의 견인 동작에 의해 상기 회동 가능 판재가 경첩을 기점으로 상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회동 작동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견인용 와이어의 후단에는 견인을 위한 손잡이 기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견인용 와이어의 후단에는 링과, 그 링에 탈착이 가능한 탄성 연결구로서 구성된 접속구가 구비되며, 이 접속구로부터 연장하는 연장 와이어 후단에 상기 손잡이 기구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연장 와이어는 상기 호스 측에 배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중량물의 전복을 방지토록 지지하는 금속판재가 공기 부양체의 별도 주머니 속에 삽입되게 됨으로써 천의 외부 표면에 본드 접착하지 않아도 되어 접착에 따른 내구성 저하 문제가 없고 색상 차이가 없어 외관이 깔끔하며, 공기 부양체의 재봉부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아 보풀 발생 및 너덜거림이 없다.
또한 공기 부양체의 호스 접속공과 공기분출공들이 특수한 구조의 지그판을 사용하여 전기인두로 지져 형성됨으로, 구멍들 내주면의 보풀 발생과 너덜거림에 의한 구멍 막힘 및 미관 저해가 방지되며, 중량물을 이동 시 전복될 우려가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경우 천에 먼저 구멍들을 형성한 후 재봉처리하고 있어 구멍들의 위치가 정확치 않고 어긋나는 불량이 많이 발생되는 반면, 본 발명의 공기 부양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공기 분출공들과 호스 접속공을 정확한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공기 부양체의 선단에 손잡이끈을 장착할 수 있어 호스를 당기거나 탑재물을 미는 등의 힘을 가하지 않고 손잡이끈을 잡고 당겨서 공기 부양체를 쉽게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금속판재의 선단에는 경첩을 통하여 상부로 회동 가능하게 접속하여 금속판 본체에 대해 선단이 경사지게 들어 올려질 수 있는 회동 가능 판재를 포함하고 있어, 지면이 평평하지 않고 턱이 있는 경우 회동가능판재를 수동 또는 특히 바람직하기는 견인용 와이어의 견인에 의해 선단을 들어올려 경사지게 만드므로써 그 들어올려진 선단이 돌출된 턱을 자연스럽게 타고 넘도록 하여 편리하게 세탁기를 포함한 각종 중량물을 단턱 여부에 관계 없이 이송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공기부양식 이송리프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공기 부양체 부위를 단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부양식 이송리프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 부양체의 저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 부양체 내에 내장되는 금속판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 부양체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접속되는 호스를 연결하는 호스접속구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공기 부양체를 제작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상하부 천부재를 구비한 방수천의 재단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b)는 주머니 천부재의 재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c)는 방수천을 중심축선을 기준하여 반으로 접고 그 위에 주머니 천부재를 적층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의 (a)는 도 7(c) 상태의 3겹 적층체에 대해 일측의 개방부를 제외한 나머지 3면을 테두리를 따라 재봉하여 봉투 형상으로 제작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b)는 봉투 형상의 봉제물을 길이 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단면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c)는 봉투 형상의 봉제물을 금속판재 삽입공간(주머니)을 통해 까뒤집은 형상을 단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은 공기 분출공의 형성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지그판과 전기인두를 사용하여 하부 천부재에 공기 분출공들을 형성하는 공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b)는 공기 분출공의 형성에 사용하는 지그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호스 접속구를 설치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지그판과 전기인두를 사용하여 호스 접속구 설치공을 형성하는 공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b)는 호스 접속구 설치공의 형성에 사용하는 지그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반전된 봉투 형상의 봉제물의 금속판재 삽입공간 내에 금속판재를 삽입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금속판재의 삽입 후 개방된 입구를 재봉하여 봉함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금속판재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금속판재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금속판재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의 회동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공기부양식 이송리프트의 일요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금속판재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의 회동 작동에 따라 공기부양식 이송리프트가 바닥면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된 턱을 넘어가게 되는 작동 원리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부양식 이송리프트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공기 부양체 부위를 단면하여 나타내었으며, 도 4는 본 발명의 공기 부양체의 저면도 형상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공기 부양체의 금속판재 삽입공간 내에 수용되는 금속판재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공기 부양체의 호스 접속구의 단면 확대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기부양식 이송리프트는 전체를 부호 50으로 나타내었으며, 크게 대별하면 동일한 구조의 2개가 쌍을 이루고 있는 공기 부양체(52)와 호스부(54) 및 압축공기펌프(56)로 구성된다.
상기 호스부(54)는 압축공기펌프(56)의 출구단에 접속하는 메인 호스(58)와 그 메인 호스(58)로부터 분기접속부재(60)를 통해 2갈래로 분기된 좌우 한쌍의 분기 호스(62)로 구성되며, 각각의 분기 호스(62,62)는 서로 간격을 두고 한쌍을 이루는 공기 부양체(52,52)에 호스접속구(64)를 통해 접속이 이루어진다.
공기 부양체(52)는 일종의 공기 주머니로서 내부에 압축공기가 도입되는 공기 충전 공간(66)을 형성하도록 방수성 직물(천연 또는 합성수지재)로서 되는 상부 천부재(68)와 하부 천부재(70) 및 그 상부 천부재(68)의 상부에 금속판재 삽입공간(72)(주머니)을 형성하도록 적층되는 주머니 천부재(7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3겹의 적층부재, 즉 서로 합쳐진 상하부 천부재(68,70)와 주머니 천부재(74)는 그의 사방 테두리가 재봉(76)에 의해 봉함되므로, 상하부 천부재(68,70) 사이에 공기 충전 공간(66)이 형성되고, 상부 천부재(68)와 주머니 천부재(74) 사이에는 금속판재 삽입공간(72)이 형성되어, 그 금속판재 삽입공간(72) 내에 도 5에 도시하는 금속판재(78), 예를 들면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 판재가 내장되어 있다. 상기 금속판재는 저면에 바퀴가 있는 이송 대상물, 예를 들어 냉장고나 세탁기 등 저면에 이동용의 바퀴가 구비되어 있으나 그 설치 폭에 있어 전후 바퀴 사이에 간격이 서로 다른 경우 그 바퀴와 간섭하지 않게 판재의 일측 끝단부 바깥쪽 일부를 절단해낸 형태로 제작하고, 공기 부양체(52)의 형상 역시 절개된 형태에 맞추어 제작하여, 사용 시 이송 대상물의 바퀴가 절단된 빈 공간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상기 공기 부양체(52)의 저면도 형상으로서, 하부 천부재(70)에는 0.1 내지 5mm, 바람직하기는 0.1 내지 0.5mm, 더 바람직하기는 0.2mm 크기의 공기 분출공(80)들이 내외를 연통하도록 형성하되, 상기 공기 분출공(80)들은 하부 천부재(70)의 바닥면에 복수열을 이루어 천공되며, 복수 열을 이루어 배치되는 이들 구멍들(80)은 서로 나란히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나 인접한 열끼리의 구멍이 서로 어긋나게 지그재그로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 부양체(52)의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는 일측 선단부(82) 가까이의 재봉선(76a) 안쪽으로 호스 접속구(64)가 마련되며, 상기 호스 접속구(64)는 외부에 숫나사산(82)이 형성되고 양단이 개방된 나사니플(84)과, 상부 천부재(68)의 내측으로 하단에 위치하여 나사니플(84)과 나사체결되는 내측 너트(86)와 실링 기능을 하는 와셔(88) 및 주머니 천부재(74)의 외부에서 상부로 돌출한 나사니플(84)의 돌출단부에 나사 체결되는 외측 너트(9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나사니플(84)은 주머니 천부재(68)와 금속판재(78) 및 상부 천부재(68)에 형성한 삽입구멍(92a,92b,92c)들을 관통하여 하단은 공기 충전 공간(66)에 돌출하고 상단은 상기 주머니 천부재(74)의 상부로 돌출하는 형태로 끼워지며, 내측 공간(66)으로 돌출한 나사 부위에 구멍 있는 와셔(88)를 끼워 내측 너트(86)를 체결하고, 바깥 측에서 상부로 돌출한 나사 부위에도 와셔(88)를 추가하여 외측 너트(90)를 견고하게 조여 나사 체결하게 되면 고정 장착이 완료된다.
이 나사니플(84)의 상단에는 별도의 호스 체결구(94)가 나사 체결되고, 이 호스 체결구(94)에 분기 호스(62)가 접속된다.
여기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호스의 접속구로서는 나사 니플 체결 방식 대신에, 예를 들면 진공 청소기의 접속관체 연결 방식처럼 호스 선단의 관체를 대응되는 접속구 측에 삽입하면 서로 연결되면서 잠금 버튼(또는 잠금 기구)에 의해 고정 상태가 되고, 잠금 버튼을 누르거나 잠금 기구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면 접속관체의 분리가 가능한 방식 등 널리 알려진 다양한 연결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사다리꼴 형상으로 일측으로 돌출된 상기 일측 선단부(82)에는 중심에 구멍이 있는 리벳체(96)가 적층된 3겹의 천부재(74,68,70)를 관통하여 상하 양단에 직경이 확장된 플랜지에 의해 결속하고 그 리벳체(96)의 중심구멍에 (별도 고리를 경유하여) 손잡이끈(98)을 달아매어 손잡이끈(98)을 사용하여 공기 부양체(52)를 견인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도 7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공기 부양체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상부 천부재(68)와 하부 천부재(70)가 펼쳐진 형태로 단일 몸체를 이루도록 길죽한 직사각형 형태로 방수천(100)을 재단하며(도 7의 (a) 참조), 동시에 주머니 천부재(74)도 함께 같은 크기, 같은 형상으로 재단한다(도 7의 (b) 참조). 이때 일측 단부(82,82)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재단할 수 있다.
방수천(100)은 중심선(X-X)을 기준하여 반으로 접으며, 여기에 일측면 외부에 주머니 천부재(74)를 합치시킨다(도 7의 (c) 참조).
3겹으로 합치된 천부재(68,70,74)들은 일측 단부, 즉 사다리꼴 형상의 단부(82) 만을 남긴채 3면의 테두리를 따라 ㄷ자 형상으로 재봉(76)하여 사다리꼴 형상의 단부(82) 쪽은 개방부로 한 봉투 형상(102)을 만든다. 이 같은 봉투 형상(102)의 봉제물로 만들게 되면, 상하부 천부재(68,70) 사이 및 상부 천부재(68)와 주머니 천부재(74) 사이에 각기 공간(66a, 72a)이 형성된다(도 8의 (a) 및 (b) 참조).
다음에 주머니 천부재(74)를 중심하여 공간(72a)을 통해 뒤집기를 한다.
뒤집어지면 봉투(102)가 반전되면서 주머니 천부재(74)의 내면은 외면이 되고, 재봉부(76)는 반전에 의해 형성된 공간(66, 72)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며, 본래 이전 단계 봉투에서 상부 천부재(68)는 주머니 천부재(74)와 하부 천부재(70)를 사이에 두고 대칭되는 반대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데, 봉투가 뒤집어지면서 상부 천부재(68)와 주머니 천부재(74)는 서로 접하여 마주보게 되며, 하부 천부재(70)는 상부 천부재(68)를 사이에 두고 주머니 천부재(74)와는 반대편에 위치하게 된다(도 8의 (c) 참조).
이후 반전된 봉투(102a) 봉제물의 공기 충전 공간(66) 내로 개방부(82 측이 개방된 상태)를 통해 철판받침부재(104)를 삽입하여 하부 천부재(68)를 밀착하여 지지토록 하고(이 철판받침부재로 금속판재(78)를 사용할 수 있다), 하부 천부재(68)의 외부에서 복수 열의 다수의 구멍(106)(이 구멍들은 공기 분출공(80)과 대략 크기가 같다)을 구비한 지그판(108)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전기 인두(110)의 전열봉(112)(구멍(106)의 직경과 거의 같거나 또는 약간 헐렁한 정도로 작은 크기이다)을 구멍(106) 속에 삽입하여 전열봉(112)에 접촉하는 하부 천부재(68)를 동그랗게 녹여붙여 구멍, 즉 공기 충전 구멍(80)을 형성하며, 이 같은 작업을 모든 구멍(106) 마다 실시한다. 이때 구멍(106)들은 인접한 열끼리는 서로 어긋난 지그재그 형태로 되어 있고 또 구멍들은 대각선으로도 열을 이루고 있다(도 9 참조).
다음에 지그판(108)을 제거하고 철판받침부재(104)는 그대로 두는 대신에 상부 천부재(68)를 지지토록 하고, 주머니 천부재(74)의 바깥에서 일측에 구멍(114)(이 구멍은 호스 접속구의 나사니플(84)의 외경 치수와 같거나 또는 약간 크다)이 형성된 지그판(116)(이 지그판 116은 도 5의 금속판재를 대신 사용할 수도 있다)을 밀착하고 전기인두(110)의 전열봉(112a)(이때의 전열봉의 직경은 구멍(114)과 같거나 또는 약간 헐렁한 정도의 크기이다)을 상기 구멍(114) 속에 삽입시켜 주머니 천부재(74)와 상부 천부재(68)를 동시에 지져 녹여서 상하가 일치하는 같은 직경의 구멍, 즉 호스 접속공(92a, 92c)을 형성한다.
이 상태에서 철판받침부재(104)와 지그판(116)을 제거하고, 금속판재 삽입공간(72)에 도 5에 도시한 금속판재(78)를 삽입하여 구멍(92a,92b,92c)들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이 구멍들을 관통하여 나사니플(84)을 설치하고 나사니플(84) 양단에 각기 와셔(88)와 너트(86,90)를 조여붙여 호스 접속구(64)의 조립을 완료한 후(도 6 의 도시 상태 참조) 사다리꼴 선단부(82)의 개방부를 역시 사다리꼴 형상으로 재봉(76a)하여, 공기 충전 공간(66)과 금속판재 삽입공간(72)을 밀폐시킨다.
다음에 선택적으로 사다리꼴 선단부(82)에 구멍을 형성하고 리벳체(96)를 박고 눌러붙여 플랜지를 형성하여 양측의 확장된 플랜지로 하여금 구멍 주변을 덮어 눌러 보호하도록 하며, 그 리벳체(96)의 중심구멍에 링상의 고리를 게재하여 손잡이끈(98)을 달아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공기부양식 이송리프트(50)의 사용에 대해 설명한다,
공기부양식 이송리프트(50)는 비사용시엔 압축공기펌프(56)와 호스(54: 58, 62) 및 공기 부양체(52)의 3개의 파트가 통상 분리된 상태로 이동식 가방이나 박스에 보관되며, 냉장고 등의 중량물품을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 시에는 메인 호스(58)를 압축공기펌프(56)의 배출구에 연결하고, 분기 호스(62)는 호스 접속구(64)의 외부로 돌출된 나사니플(84)에 분기 호스(62) 선단에 구비된 별도 호스 체결구(94)를 체결하면 작업 준비가 완료된다.
이 상태에서 공기 부양체(52)는 납작한 상태이며, 2개의 공기 부양체(52,52)를 냉장고 밑의 공간을 통해 밀어 넣어 냉장고의 무게 중심적 측면에서 안정을 유지할 수 있게 서로 간의 간격을 벌려 나란히 유지하도록 조정한다.
다음 압축공기펌프(56)(이 펌프는 어깨끈을 이용하여 작업자의 어깨에 메고 작업자를 따라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의 스위치를 온하여 전기를 공급하면 압축공기펌프(56)가 구동하면서 고압의 압축 공기를 메인 호스(58)와 분기 호스(62)및 호스 접속구(64)를 통해 공기 충전 공간(66)으로 불어넣게 된다. 이때 압축공기펌프(56)의 스위치는 볼륨식으로 구성하여 단계적으로 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공기압을 조절할 수도 있으며, 이로써 작업 시작 시에는 서서히 압축공기펌프(56)의 회전수를 상승시켜 공기 부양체(52)를 서서히 팽창시켜 안정성을 제고하고, 또 탑재물의 중량에 대응하여 적절한 마찰력의 확보가 가능하며, 작업 종료 시에는 서서히 공기압을 낮추어 탑재시킨 중량물이 서서히 하강하여 바닥면에 안착하므로 충격을 발생시키지 않게 된다.
고압의 압축 공기가 공기 충전 공간(66)에 유입되면, 상하부 천부재(68,70) 사이가 벌어지면서 공기 충전 공간(66)이 팽창하게 된다.
그런데 하부 천부재(70)는 실내 바닥면(36)에 밀착하고 있는 상태라서 상부 천부재(68)가 먼저 팽출하면서 상부에 탑재한 냉장고(32)를 밀어 올리게 되며, 계속되는 압축공기의 유입에 따른 내부압 증가에 따라 공기 분출공(80)들을 통해 바닥으로 공기를 분사 배출하게 된다.
그런데 분사되는 공기는 실내 바닥면(36: 도 2 참조)에 충돌하면서 수직 상방으로 반발력을 가하게 되어 공기 부양체(52)가 바닥면(36)으로부터 약간 상부로 부상하게 되어 바닥면(36)과의 마찰 접촉을 크게 완화시키게 된다.
이 같은 공기 부양체(52)의 부상 상태에선 탑재된 냉장고(32)에 약간의 수평 방향의 미는 힘을 가하게 되면 부드럽게 이동되며, 이때 바닥면(36)과의 마찰 접촉 감소로 바닥면(36)에 손상을 입히지 않고 수평방향으로 밀거나 끌어당기거나 하여 힘을 거의 들이지 않고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있어 손잡이끈(98)을 공기 부양체(52)의 선단에 달아매고 있어 작업자가 손잡이끈(98)을 잡고 잡아당기게 되면 냉장고를 탑재한 상태로 공기 부양체(52)가 손쉽게 이동되어지게 되기 때문에, 작업자는 자신이 원하는 위치 어디든지 쉽게 냉장고를 옮겨 놓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공기 부양체(52)를 원하는 위치로의 이동 작업을 완료하였다면, 작업자는 압축공기펌프(56)의 스위치를 오프시키거나 또는 볼륨의 단계적 조작을 통해 공급되는 압축공기압을 점차 낮추어 나가게 되며, 이에 연동하여 공기 충전 공간(66) 내부의 압력이 저하하면서 냉장고 하중에 의해 그의 용적이 점차 줄어들어 팽창되었던 상부 천부재(68)가 하강하게 되며, 최종적으로 펌프가 오프되면 공기 충전 공간(66)의 공기가 모두 빠져나가 납작해지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때 공기 충전 공간(66)이 완전히 납작해지기 이전에 하강하던 냉장고는 먼저 그의 지지다리가 바닥면(36)에 닿아 안착하게 되며, 그 이후 공기 충전 공간(66)의 공기가 모두 배출되어 공기 부양체(52)가 납작하여지면 냉장고 저면에 대한 밀착 접촉이 해제되어 공기 부양체(52)를 작업자 측으로 잡아 당겨 냉장고 저면 위치에서 바깥으로 인출해 내며, 이로써 냉장고의 이동 작업이 종료되는 것이다.
만일 냉장고를 원래의 설치 위치로 이동시키고자 한다면, 좌우 2개의 공기 부양체(52)를 다시 냉장고 하부 공간(바퀴 또는 지지다리로 바닥면에 지지되고 있어 냉장고 저면과 바닥면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있다)으로 밀어 넣어 간격 조정을 적절히 하고 압축공기펌프를 가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공기 부양체(52)가 다시 팽창 및 부양되어지게 되며, 이 상태에서 냉장고 몸체를 손으로 밀어 이동시켜 원래 위치로 복귀시킨 후 압축공기펌프를 오프시켜 냉장고를 바닥면에 내려 놓게 되는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금속판재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금속판재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금속판재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의 회동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공기부양식 이송리프트의 일요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금속판재(114)는 금속판 본체(116)와 회동 가능 판재(118)로 구성되며, 회동 가능 판재(118)는 금속판 본체(116)에 대해 회동이 가능한 경첩(120)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경첩(120)은 판재의 상부면에 장착되어 있어, 회동 가능 판재(118)는 수평 상태를 기준하여 금속판 본체(116)에 대해 하강하는 방향으로의 꺽임 작동, 수평면 이하로의 꺽임은 허용되지 않고, 그것의 선단이 상승하는 회동 작동, 즉 수명면 이상으로 경사지는 꺽임만 허용된다.
이 같은 경첩(120)에 의한 연결에 의해 회동 가능 판재(118)는 수평의 바닥면(122)에 대해 그것의 선단이 소정의 각도 α만큼 경사지게 회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경첩(120)은 양 날개가 나사 또는 리벳팅 또는 용접에 의해 금속판 본체(116)와 회동 가능 판재(118)에 고정되며, 도시한 경첩(120)은 1개만 사용하여 연결하였으나, 2개 또는 3개 등 복수개소에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금속판 본체(116)는 중량물의 지지 이송을 고려하여 금속재로 사용하였으나, 회동 가능 판재(118)는 금속판재나 또는 우레탄 등을 포함하여 강성을 가진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중량물의 지지강성을 가지는 한 금속판 본체 역시 플라스틱재로 사용재료의 변경이 가능하다.
공기부양식 이송리프트(50a)(전체 구성에 대한 도시를 생략하고 부호 50에 영문첨자 a를 붙여 경첩식의 금속판재(114)가 사용된 공기 부양식 리프트(50a)임을 나타내기로 한다: 도 16 참조) 내부에 꺽어짐의 회동이 가능한 금속판재(114)를 삽입 후 금속판 본체(116) 선단에 연결된 회동 가능 판재(118)는 손을 사용하여 수동으로 경사지게 회동 작동할 수 있으나, 도 15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회동 가능 판재(118)의 선단에 작은 구멍(124)을 형성하고 견인용 와이어(126)의 일단을 상기 구멍(124)에 엮어 매고, 견인용 와이어(126)의 타단은 주머니 천부재(74; 도 3 참조)의 후단을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해 놓은 후 견인용 와이어(126) 후단에 달아맨 손잡이 기구(128), 예를 들면 손을 감싸 움켜쥘 수 있는 막대형 부재나 또는 도 1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손가락을 걸어 잡아 당길 수 있는 링상 기구 등을 사용하여 견인용 와이어(124)를 잡아 당기면 도 15에 도시한 것과 같이, 와이어 견인에 의해 회동 가능 판재(118)가 경첩(120,힌지)을 중심점으로 회동하여 선단이 소정 각 α를 이루도록 경사지게 되는 것이며, 견인용 와이어(126)에 대한 견인력을 해제하면 회동 가능 판재(118)는 자중에 의해 회동 하강하여 수평 상태로 복귀한다. 이 같은 구성에 따라 세탁기나 냉장고 등의 중량물을 지지 시 이송 대상의 중량물이 금속판 본체(116) 위에만 놓여질 뿐 회동 가능 판재(118) 위에는 위치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도 16의 공기부양식 이송리프트(50a)의 일요부 확대도에 도시한 것처럼, 견인용 와이어(126)가 관통하여 지나는 주머니 천부재(74)의 후단에, 중심에 구멍이 있는 아일렛(130)을 박아 고정하여 견인용 와이어(126)가 아일렛(130)을 통해 인출되도록 하여 주머니 천부재(74)의 손상을 방지하며, 또 와이어의 도중에 링(132)과 그 링(132)의 삽입을 허용하도록 절단된 양끝이 서로 중첩되어 있는 탄성 연결구(134)로 구성되어 분리가 가능한 접속구(136)를 마련하고, 탄성 연결구(134) 측에 일단이 고정되는 연장 와이어(126a) 부분은 호스(16, 16, 14)를 따라 나란히 배선되게 설치하여 접속구(136)의 링(132)과 탄성 연결구(134)를 분리 시에는 연장 와이어(126a)는 호스(16, 16, 14) 측에 배선된 상태로 남아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이때 상기 손잡이 기구(128)는 연장 와이어(126a)의 후단에 달아매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손잡이 기구(128)를 잡아당기면 연장 와이어(126a)를 통해 견인용 와이어(126)에 견인력이 전달되어 견인용 와이어(126)가 후진 이동되고, 이에 연동하여 회동 가능 판재(118)의 선단이 들어올려져 경사지게 회동하게 된다. 여기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금속판 본체(116) 선단 표면에 견인용 와이어(126)를 가이드 하기 위한 구멍(와이어 통과 구멍) 있는 가이드 돌기물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가이드 돌기물은 금속판 본체(116) 후단에도 추가 설치 가능하다.
이 같은 실시예에 의한 금속판재(114)는 도 3과 도 11에 도시한 주머니 천부재(74) 속에 형성된 금속판재 삽입공간(72) 내에 삽입되어진다. 즉, 도 5에 도시한 형상의 금속판재(78) 대신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한 금속판재(114)가 삽입된다.
이 같은 구조의 경첩식의 금속판재(114)가 삽입된 공기부양식 이송리프트(50a)는 평시에 고른 수평의 바닥면에서의 가전제품 등의 이송에 사용 시에는 경첩식의 금속판재(114)가 수평으로 유지되는 상태로 작업하고(도 3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작업한다), 세탁기 등의 가전제품의 이송 장소가 예를 들면 도 16에 도시한 것처럼 바닥면(122)으로부터 소정 높이의 단턱(138)이 있는 설치 장소(140)인 경우 손잡이 기구(128)를 손으로 잡고 힘(F)을 가해 화살표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견인용 와이어(126)에 의해 잡아당겨지게 된 회동 가능 판재(118)의 선단이 경첩(120)을 중심점으로 회동하여 들어올려지게 됨으로써 판재가 경사지게 되며, 이 상태에서 압축공기펌프(56)를 가동시키면, 고압의 압축 공기가 공기 충전 공간(66)에 공급되어 부풀어 오르면서 동시에 복수의 구멍(80)들을 통해 분출하여 그때의 반작용력에 의해 바닥면(122)으로부터 약간 부양되며, 이때 회동 가능 판재(118)의 들어올려진 선단이 턱(124)보다 상부로 올라 탄 상태이어서, 공기부양식 이송리프트(50a)를 이동 방향인 설치 장소(140) 측으로 밀게 되면 경사진 회동 가능 판재(118)가 턱(124)을 타고 미끄러지듯이 넘어가게 되고, 이에 뒤따르는 금속판 본체(116)가 설치 장소(140) 위로 부드럽게 올라가게 되는 것이다(도 17의 개념도 참조).
위에서 냉장고 및 세탁기 등의 이동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그뿐만 아니라 각종 중량물들, 예를 들면 건조기나 가구 등도 같은 방식으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50, 50a: 공기 부양식 이송리프트 52: (한쌍의)공기 부양체
54: 호스부(58: 메인 호스, 62: 분기 호스)
56: 압축공기펌프 60: 분기 접속부재
64: 호스 접속구 66: 공기 충전 공간
68: 상부 천부재 70: 하부 천부재
72: 금속판재 삽입공간 74: 주머니 천부재
76,76a: 재봉(선) 78: 금속판재
80: 공기 분출공 82: 일측 선단부
84: 나사니플 86: 내측 너트
88: 와셔 90: 외측 너트
92(a,b,c): (나사니플의)삽입구멍 94: 호스 체결구
96: 리벳체 98: 손잡이끈
100: 방수천 102: 봉투 형상 봉제물
102a: 반전 봉투 형상 봉제물 104: 철판받침부재
106: 구멍 108: 지그판
110: 전기 인두 112,112a: 전열봉
114: 금속판재 116: 금속판 본체
118: 회동 가능 판재 120: 경첩(힌지)
122: 바닥면 124: 구멍
126: 견인용 와이어 126a: 연장 와이어
128: 손잡이 기구 130: 아일렛
132: 링 134: 탄성 연결구
136: 접속구 138: 턱
140: 설치 장소(높은 바닥면)
32: 냉장고(또는 세탁기 등 가전제품)

Claims (5)

  1. 공기부양식 이송리프트용의 금속판재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재는 소정의 폭과 두께 가진 납작한 직사각형 단면 형상이 소정의 길이로 길게 연장한 금속판 본체와, 상기 금속판 본체의 선단에 경첩을 통하여 상부로 회동 가능하게 접속하여 상기 금속판 본체에 대해 선단이 경사지게 들어 올려질 수 있는 회동 가능 판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부양식 이송리프트용의 금속판재.
  2. 가전제품을 포함한 중량물을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공기부양식 이송리프트에 있어서, 탑재되는 중량물을 지지하는 상부 천부재와, 다수의 공기 분출공들을 구비한 하부 천부재 사이에 공기 충전 공간을 가지며, 압축공기펌프로부터 호스 및 그 호스 접속구를 통해 압축공기가 상기 공기 충전 공간에 유입되어 팽출함과 함께 상기 공기 분출공들을 통해 바닥면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바닥면으로부터 부양되는 한쌍의 공기 부양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부 천부재의 상부에 금속판재 삽입공간을 둔 주머니 천부재가 재봉되며, 상기 주머니 천부재에 의한 금속판재 삽입공간 내에 제1항에 따른 금속판재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부양식 이송리프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가능 판재에는 적어도 1개의 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구멍에는 견인용 와이어의 일단이 고정 접속하고 상기 견인용 와이어의 타단은 상기 금속판 본체 후단을 넘어 연장하며, 상기 견인용 와이어의 후단은 상기 주머니 천부재를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되어져 있어 상기 견인용 와이어의 견인 동작에 의해 상기 회동 가능 판재가 경첩을 기점으로 상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회동 작동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부양식 이송리프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용 와이어의 후단에는 손잡이 기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부양식 이송리프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용 와이어의 후단에는 2개의 부재가 서로 분리 연결이 가능한 접속구가 구비되며, 이 접속구로부터 연장하는 연장 와이어 후단에 상기 손잡이 기구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연장 와이어는 상기 호스 측에 배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부양식 이송리프트.
KR1020210041231A 2021-03-30 2021-03-30 공기부양식 이송리프트 및 그 부재 KR202201354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1231A KR20220135493A (ko) 2021-03-30 2021-03-30 공기부양식 이송리프트 및 그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1231A KR20220135493A (ko) 2021-03-30 2021-03-30 공기부양식 이송리프트 및 그 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5493A true KR20220135493A (ko) 2022-10-07

Family

ID=83595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1231A KR20220135493A (ko) 2021-03-30 2021-03-30 공기부양식 이송리프트 및 그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549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847632U (zh) 蒸汽织物袋及其与蒸汽器具的蒸汽框架的组合
JP4187297B2 (ja) 保管チャンバ
US5350000A (en) Inflatable multi-air-bag cover for cars
US20060186225A1 (en) Air guide systems and methods for restorative drying
CN102014724A (zh) 用于蒸汽器具的绒毛织物毛巾蒸汽袋
EP1468637B1 (en) Suction cleaner
KR20220135493A (ko) 공기부양식 이송리프트 및 그 부재
KR102303564B1 (ko) 공기부양식 이송리프트
CN110409157A (zh) 一种毛纺织物抗起毛起球装置
KR100791566B1 (ko) 에어컨 배관용 호스의 제조장치
CN106049980A (zh) 一种帐篷篷布及制作该篷布的专用设备
CN114670496A (zh) 一种编织袋自动内折m型装置
CN211772039U (zh) 一种针织布用清洁装置
EP0933458A2 (en) A needle bed cleaner for a flat knitting machine
CN113477478A (zh) 一种用于编织袋加工的涂胶装置
CN207917237U (zh) 智能袜子包装机
CN206729701U (zh) 排水地毯
CN106042048A (zh) 一种制造帐篷篷布的专用设备及其使用方法
CN208649571U (zh) 一种喷气织机防滑卷布辊
JP4063456B2 (ja) 液体輸送用の可撓性容器の洗浄方法
CN201013400Y (zh) 吊挂式风筒
CN209528811U (zh) 一种客厅用的多用地毯
CN112680936B (zh) 一种智能家居用衣物干燥装置
CN210922092U (zh) 一种水带烘干机
KR100484391B1 (ko) 다림질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