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5405A - Apparatus and method of selecting means of transportation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of selecting means of transport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5405A
KR20220135405A KR1020210041016A KR20210041016A KR20220135405A KR 20220135405 A KR20220135405 A KR 20220135405A KR 1020210041016 A KR1020210041016 A KR 1020210041016A KR 20210041016 A KR20210041016 A KR 20210041016A KR 20220135405 A KR20220135405 A KR 20220135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transportation
user
moving means
traf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10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40494B1 (en
Inventor
이승재
장윤정
구동균
나성용
Original Assignee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41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0494B1/en
Publication of KR20220135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54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0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04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4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Abstract

A transportation means selecting device and a method thereof are disclosed. The transportation means selecting device comprises: a passage environment construction unit that collects traffic data and environmental data related to passage; an individual passage construction unit for determining passage characteristics for each user based on mobile data corresponding to a user; and a control unit for selecting a transportation means of each individual passage for each user in consideration of the traffic data, the environment data, and the passage characteristics, wherein the passage characteristics may include a current location, a movement state, and a movement degree of the user.

Description

이동수단 선택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SELECTING MEANS OF TRANSPORTATION}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means of transportation

본 발명은 이동수단 선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 데이터를 활용하여 개별통행자의 이동수단을 선택하는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안하는 이동수단 선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a means of transport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a means of transportation that proposes a new algorithm for selecting a means of movement of an individual passer by using mobile data.

현재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나 이동 수단을 안내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존재한다. 기존의 방법들은 교통 존 단위의 거시적인 교통수요를 분석하고 이에 기초하여 이동 경로나 이동 수단을 안내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즉, 이동 경로나 이동 수단의 선택에 있어서, 실시간 교통 트래픽이나 대중교통 혼잡도를 주로 고려하고 있다.There are various methods for guiding a moving route or means of moving to a current destination. Existing methods use a method of analyzing the macro-traffic demand for each traffic zone and guiding a movement route or means of transportation based on this. That is, in selecting a moving route or a moving means, real-time traffic traffic or public transport congestion is mainly considered.

일반적으로, 실시간 교통 트래픽이나 대중교통 혼잡도는 날씨나 시간 등의 환경적 인자에 따라 달라지는데, 이와 같은 환경적 인자에 따라 선호하는 이동수단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상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에는 이동 수단으로서 자동차보다는 대중교통이 선호되고, 출퇴근 시간대에는 같은 대중교통 중에서도 지하철과 같이 시간적 변동성이 없는 이동 수단이 보다 선호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이동 경로나 이동 수단을 선택하는 경우에 있어서, 환경적 인자를 고려하고 있지 않다.In general, real-time traffic traffic or public transport congestion varies depending on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weather and time, and a preferred means of transportation may vary according to such environmental factors. For example, when the weather conditions are bad, public transportation may be preferred rather than a car as a transportation means, and during commuting time, a transportation means having no temporal variability, such as a subway, may be more preferred among the same public transportation. However, in the case of selecting the current moving route or moving means, environmental factors are not considered.

나아가, 사용자의 고유 특성에 따라 선호하는 이동 경로나 이동 수단은 달라진다. 예를 들어, 몸이 불편한 사용자라면 가까운 거리라도 보행 이외의 이동 수단을 선호하게 되고, 주로 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라면 버스를 최우선적인 이동 수단으로 안내하여야 한다. Furthermore, a preferred moving path or moving means varies according to the user's unique characteristics. For example, a user with a physical disability prefers a means of transportation other than walking even if it is a short distance away, and a user who mainly uses a bus should guide the bus as the most important means of transportation.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사용자의 고유 특성과 환경적 인자를 고려하여 이도 경로나 이동 수단을 안내하는 방법은 존재하지 않는다.Nevertheless, there is currently no method of guiding the ear canal path or means of transport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unique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factors.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40468호(2014.12.09)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140468 (2014.12.09)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모바일 데이터를 활용하여 개별통행자의 이동수단을 선택하는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안하는 이동수단 선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a transportation means for proposing a new algorithm for selecting a transportation means of an individual passer by using mobile data.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방대하게 증가하는 빅데이터 중 교통데이터와 수단 선택에 있어 환경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다양한 빅데이터를 융합 및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이동수단 선택의 정확도를 향상할 수 있는 이동수단 선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accuracy of selecting transportation means optimized for users by convergence and utilization of traffic data among the vastly increasing big data and various big data that can act as environmental factors in selecting means It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a means of transportation that can be perform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수단 선택 장치는, 교통 데이터와, 통행과 관련되는 환경 데이터를 수집하는 통행 환경 구축부; 와, 사용자에 대응하는 모바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별로 통행 특성을 판단하는 개별 통행 구축부; 및 상기 교통 데이터와 상기 환경 데이터 및 상기 통행 특성을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 별로 각 개별 통행의 이동수단을 선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통행 특성은, 상기 사용자의 현재위치와 이동상태 및 이동정도를 포함할 수 있다.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pparatus for selecting a means of transportation includes: a traffic environment construction unit that collects traffic data and environment data related to traffic; And, based on the mobile data corresponding to the user, an individual passage construction unit for determining the travel characteristics for each user; and a control unit for selecting a movement means for each individual passage for each user in consideration of the traffic data, the environment data, and the passage characteristics, wherein the passage characteristics include the user's current location, movement state, and movement degree can do.

상기 이동수단 선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승용차, 지하철, 버스 및 보행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재위치에서의 대중교통 인프라를 고려하여 상기 이동수단 각각에 대한 가중치를 설정하고, 계층적 군집 기법을 이용하고 상기 이동상태와 상기 이동정도 및 상기 가중치를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상기 개별 통행의 상기 이동수단을 선택할 수 있다.In the device for selecting the means of transportation, the means of transportation include a car, a subway, a bus, and a walk, and the controller sets a weight for each of the means of transport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public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at the current location, The moving means of the individual passage corresponding to the user may be selected by using the enemy swarming technique and taking the moving state, the moving degree, and the weight into consideration.

상기 이동수단 선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첨두 시간대 및 비첨두 시간대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수단 각각에 대한 상기가중치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In the moving means selection device, the control unit may set the weight for each of the moving means differently in response to a peak time period and a non-peak time period.

상기 이동수단 선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상태는, 소정 장소에의 체류, 보행, 차량으로 이동 및 대중교통으로 이동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재위치 및 상기 이동상태를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가 현재 이용중인 제1이동수단을 파악하고, 상기 제1이동수단의 종류와 동일하도록 상기 이동수단을 선택할 수 있다.In the moving means selection device, the moving state includes any one of staying in a predetermined place, walking, moving by vehicle, and moving by public transportation, and the control unit, in consideration of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moving state, The user may identify the first moving means currently being used, and select the moving means to be the same as the type of the first moving means.

상기 이동수단 선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행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수를 선택하고, 상기 매개변수에 대응하는 상기 환경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상기 통행 환경 구축부를 제어할 수 있다.In the transportation means selection device, the control unit selects a parameter affecting the selection of the transportation means in the passage, and controls the passage environment construction unit to collect the environment data corresponding to the parameter. ca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동수단 선택 방법은, 교통 데이터와, 통행과 관련되는 환경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와, 사용자에 대응하는 모바일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와, 상기 모바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별로 통행 특성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교통 데이터와 상기 환경 데이터 및 상기 통행 특성을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 별로 각 개별 통행의 이동수단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통행 특성은, 상기 사용자의 현재위치와 이동상태 및 이동정도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of selecting a means of transport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collecting traffic data and environment data related to traffic; and collecting mobile data corresponding to the user; and, based on the mobile data, determining a travel characteristic for each user; and selecting a movement means for each individual passage for each user in consideration of the traffic data, the environment data, and the passage characteristics, wherein the passage characteristics include the current location, movement state, and degree of movement of the user. can do.

상기 이동수단 선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승용차, 지하철, 버스 및 보행을 포함하고, 상기 현재위치에서의 대중교통 인프라를 고려하여 상기 이동수단 각각에 대한 가중치를 설정하고, 계층적 군집 기법을 이용하고 상기 이동상태와 상기 이동정도 및 상기 가중치를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상기 개별 통행의 상기 이동수단을 선택할 수 있다.In the method of selecting the means of transportation, the means of transportation include a car, a subway, a bus, and a walk, set a weight for each of the means of transport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public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at the current location, and apply a hierarchical clustering technique and may select the moving means of the individual passage corresponding to the user in consideration of the moving state, the moving degree, and the weight.

상기 이동수단 선택 방법에 있어서, 첨두 시간대 및 비첨두 시간대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수단 각각에 대한 상기가중치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In the method of selecting the moving means, the weights for each of the moving means may be set differently in response to a peak time period and a non-peak time period.

상기 이동수단 선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상태는, 소정 장소에의 체류, 보행, 차량으로 이동 및 대중교통으로 이동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현재위치 및 상기 이동상태를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가 현재 이용중인 제1이동수단을 파악하고, 상기 제1이동수단의 종류와 동일하도록 상기 이동수단을 선택할 수 있다.In the method for selecting the means of transportation, the movement state includes any one of staying in a predetermined place, walking, moving by vehicle, and moving by public transportation, and the user is currently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first moving means being used, and select the moving means to be the same as the type of the first moving means.

상기 이동수단 선택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행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수를 선택하고, 상기 매개변수에 대응하는 상기 환경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In the method for selecting the transportation means, it is possible to select a parameter affecting the selection of the transportation means in the passage, and collect the environmental data corresponding to the paramet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환경적 요인 및 모바일 데이터를 활용하여 개별통행자의 이동수단을 선택하는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안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pose a new algorithm for selecting an individual passer's transportation means by utilizing environmental factors and mobile data.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방대하게 증가하는 빅데이터 중 교통데이터와 수단 선택에 있어 환경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다양한 빅데이터를 융합 및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이동수단 선택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portation data among the vastly increasing big data and various big data that can act as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selection of means are fused and utilized to improve the accuracy of selection of transportation means optimized for users. can do it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나 이동 수단 또는 날짜별로 작성된 경로 체인에 기초하여, 개별 역학조사 없이도 확진자 및 접촉자의 이동경로 및 이동수단을 손쉽게 제공할 수 있다.Furtherm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provide the movement route and movement means of the confirmed person and the contact person without an individual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based on the route chain created for each user, movement means, or dat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수단 선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수단 선택 장치가 모바일 데이터를 분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수단 선택 장치가 사용자의 전체 통행을 구축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수단 선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수단 선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ving means sel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analyzing mobile data by the device for selecting a means of transpor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A to 3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the device for selecting a means of transpor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s a user's entire passage.
4 is a view showing a moving means selec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ving means selec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In this specification, duplicate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will be omitted.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in the middl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In addition, the terms used herei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expression may include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only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and one or m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act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in advance.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listed items. In this specification, 'A or B' may include 'A', 'B', or 'both A and B'.

또한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수단 선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ving means sel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이동수단 선택 장치(100)는 데이터베이스(110), 통행 환경 구축부(120), 개별 통행 구축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apparatus 100 for selecting a means of transpor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atabase 110 , a passage environment construction unit 120 , an individual passage construction unit 130 , and a control unit 140 .

데이터베이스(110)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The database 110 may store data necessary fo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일 실시예에 의하면, 데이터베이스(110)는 모바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분석된 각 개별통행자의 위치와 이동특성 및 연령 정보가 구축된 개별통행자 특성 DB, 각 개별통행마다 이동 위치 및 이동 시간 정보를 반영하여 생성되는 통행별 이동속도 DB, 통행 시간대 및 통행 지역의 날씨 DB, 통행 시간대 및 통행 지역의 교통 인프라 DB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atabase 110 reflects the location and movement characteristics and age information of each individual passer analyzed based on the mobile data, the individual passer characteristics DB, and the moving location and moving time information for each individual pass. It may be composed of a movement speed DB for each passage, a weather DB for a passage time zone and a passage area, and a traffic infrastructure DB for a passage time zone and passage area.

개별통행자 특성 DB는 모바일 데이터로부터 도출되는 각 개별통행자의 이동 위치(ex: 기지국 위도, 경도)와 연령대(ex: 20대, 50대 등)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이동특성(ex: 주로 도보나 대중교통으로 이동, 이동 거리가 짧음, 일정 주기마다 목적지로 이동 등)이나 이동상태(ex: 보행 중, 소정 장소에 체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The individual passer characteristic DB may store the moving location (ex: base station latitude, longitude) and age group (ex: 20's, 50's, etc.) information of each individual passenger derived from mobile data. Also, it is possible to store information on movement characteristics (eg: mainly by walking or public transportation, moving distance is short, moving to a destination at regular intervals, etc.) or moving state (eg: while walking, staying in a predetermined place).

통행별 이동속도 DB는 이동위치간 거리와 이동에 소요된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통행별 이동속도를 저장할 수 있다.The movement speed DB for each passage may store the movement speed for each passage generated based on information on the distance between moving locations and the time required for movement.

이를 위해, 데이터베이스(110)는 휘발성 메모리(예: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또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예: NAND flash 또는 NOR flash 등),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SSD))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database 110 includes a volatile memory (eg, dynamic RAM (DRAM), static RAM (SRAM), or synchronous dynamic RAM (SDRAM), etc.), non-volatile memory (eg, OTPROM (one)). time programmable ROM), programmable ROM (PROM),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PROM), 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 mask ROM, flash ROM, flash memory (such as NAND flash or NOR flash), hard drive, or a solid state drive (SSD)).

일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10)는 이동수단 선택 장치(100)를 구동 및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나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atabase 110 may store various data, programs, or applications for driving and controlling the moving means selection device 100 .

통행 환경 구축부(120)는 교통 데이터와, 통행과 관련되는 환경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이 경우, 교통 데이터는 지역별 도로의 교통 흐름, 트래픽 정보, 혼잡 여부, 병목 구간, 공사 구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교통 데이터는 외부 서버에 의해 수집되어 이동수단 선택 장치(100)로 수신되거나, 이동수단 선택 장치(100)에서 직접 수집될 수 있다. 환경 데이터는 날짜, 시간대, 날씨, 기상 상태, 천재 지변 발생 여부 등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passage environment construction unit 120 may collect traffic data and environment data related to passage. In this case, the traffic data may include a traffic flow of a road by region, traffic information, congestion, bottleneck section, construction section, and the like. The traffic data may be collected by an external server and received by the transportation means selection device 100 , or may be directly collected by the transportation means selection device 100 . The environmental data may include data on the date, time zone, weather, weather conditions, natural disasters, and the like.

개별 통행 구축부(130)는 사용자에 대응하는 모바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별로 통행 특성을 판단할 수 있다. The individual passage construction unit 130 may determine the travel characteristics for each user based on mobile data corresponding to the user.

여기서, 통행 특성은, 사용자의 현재위치, 이동상태, 이동정도, 이동시간 및 연령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데이터는 사용자의 이동 관련 데이터로서, 사용자가 소지한 전자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수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소지한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GPS 데이터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와 위도 및 경도를 측정할 수 있고, 이동 단말의 움직임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이동상태인지 아니면 체류상태인지 여부를 측정하여 수집할 수 있다.Here, the travel characteristics may include the user's current location, movement state, movement degree, movement time, ag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mobile data is user's movement-related data, and may be collected using an electronic device possessed by the user. For example, the current location, latitude, and longitude may be measured based on GPS data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possessed by the user, and whether the user is in a moving state or staying state is measured based on the movement data of the mobile terminal. can be collected.

제어부(140)는 교통 데이터와 환경 데이터 및 통행 특성을 고려하여 사용자 별로 각 개별 통행의 이동수단을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수단은 승용차, 지하철, 버스 및 보행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40 may select a moving means for each individual passage for each user in consideration of traffic data, environment data, and traffic characteristics. In this case, the means of transportation may include a car, a subway, a bus, and walking.

제어부(140)는 수단구분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각 개별 통행의 이동수단을 선택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40 may select a moving means for each individual passage by using a means classification algorithm.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현재위치에서의 대중교통 인프라를 고려하여 이동수단 각각에 대한 가중치를 설정하고, 계층적 군집 기법을 이용하고 이동상태와 이동정도 및 가중치를 고려하여 사용자에 대응하는 개별 통행의 이동수단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상태는, 소정 장소에의 체류, 보행, 차량으로 이동 및 대중교통으로 이동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정도는 목적지까지의 이동 진척도로서, 출발점으로부터의 이동 거리나 목적지까지의 잔여 거리 등으로 표시되거나, 이동속도에 기초하여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이동수단 별 가중치를 고려하여 가중치가 높은 이동 수단을 우선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목적지까지의 거리가 소정값 미만이면, 도보를 최우선적인 이동수단으로 선택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40 sets a weight for each of the transportation means in consideration of the public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at the current location, uses a hierarchical clustering technique, and considers the movement state, the degree of movement, and the weight of each individual corresponding to the user. You can choose the means of transportation. Here, the moving state may include any one of staying in a predetermined place, walking, moving by vehicle, and moving by public transportation. The movement degree is a movement progress to a destination, and may be displayed as a movement distance from a starting point or a remaining distance to a destination, or may be displayed based on a movement speed. For example, the controller 140 may preferentially select a moving means having a high weight in consideration of the weight for each moving means. In addition, if the distance to the destination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walking may be selected as the highest priority moving means.

제어부(140)는 첨두 시간대 및 비첨두 시간대에 대응하여, 이동수단 각각에 대한 가중치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40 may set different weights for each of the moving means in response to the peak time period and the non-peak time period.

첨두 시간대(Peak time)는 하루 중에서 차량의 도로 점유율이 가장 높은 시간이고, 비첨두 시간대는 첨두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이다. 예를 들어, 첨두 시간대에는 버스나 전철과 같은 대중교통, 자동차 등의 혼잡도가 높다. 따라서, 첨두 시간대에는 보행에 가중치를 더 높게 설정하여, 보행을 우선적인 이동수단으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첨두 시간대는 출퇴근 시간대와 거의 일치하므로, 사용자는 정시에 도착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같은 대중교통 중에서도 지하철과 같이 시간적 변동성이 없는 이동 수단을 우선적으로 제안할 수 있다.The peak time is the time of the day when the vehicle's road occupancy is the highest, and the non-peak time is the remaining time excluding the peak time. For example, during peak hours, public transportation such as buses and trains, and cars, etc. have a high degree of congestion. Therefore, by setting a higher weight for walking in the peak time period, it is possible to guide the walking as a preferential moving means. In addition, peak hours closely coincide with commute times, so it is important for users to arrive on tim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ferentially propose a means of transportation without temporal variability, such as the subway, among the same public transportation.

제어부(140)는 현재위치 및 이동상태를 고려하여 사용자가 현재 이용중인 제1이동수단을 파악하고, 제1이동수단의 종류와 동일하도록 이동수단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위치 및 이동상태를 고려할 때 사용자가 현재 버스로 이동중이라면, 동종의 이동수단으로서 노선이 연계되는 버스를 이동수단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현재 이용중인 이동수단의 인프라를 연속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된다.The controller 140 may determine the first moving means currently being used by the user in consideration of the current location and the moving state, and select the moving means to be the same as the type of the first moving means. For example, if the user is currently moving by bus in consideration of the current location and movement state, a bus to which a route is linked as the same type of transportation means may be selected as the transportation means. Accordingly, the user can continuously use the infrastructure of the currently used mobile means.

제어부(140)는 통행에 있어서 이동수단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수를 선택하고, 매개변수에 대응하는 환경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통행 환경 구축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가철 기간이나 명절에는 평소와 비교하여 도심 내부의 자동차 통행량은 줄어들고 외곽 고속도로의 자동차 통행량은 늘어난다. 또한, 출퇴근 시간대에는 교통 트래픽이 증가하고, 심야 시간대에는 교통 트래픽이 최소가 된다. 폭설이나 폭우로 인해 날씨가 안 좋은 경우에는, 자동차 보다 대중교통 트래픽이 더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 경로 및 이동 수단을 보다 정확하게 선택하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은 환경적 인자를 고려하여야 한다.The controller 140 may select a parameter affecting the selection of a means of transportation in the passage and control the passage environment construction unit 120 to collect environmental data corresponding to the parameter. For example, during the holiday season or holidays, the car traffic inside the city center decreases and the car traffic on the outer highway increases compared to usual. In addition, traffic traffic increases during commuting hours, and traffic traffic is minimized during late-night hours. When the weather is bad due to heavy snow or heavy rain, public transportation traffic increases more than cars. Therefore, in order to more accurately select a moving path and a moving means, the above environmental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이를 위해, 제어부(140)는 현재 측정한 교통 데이터 및 환경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동수단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수를 선택하고, 매개변수에 대응하는 환경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controller 140 may select a parameter affecting the selection of a transportation means based on the currently measured traffic data and environment data, and collect environmental data corresponding to the parameter.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40)는 인공지능 학습에 의해 교통 데이터와 환경 데이터 및 통행특성 간의 상관관계를 도출하고, 상관관계를 반영하여 이동수단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인공지능 학습에 의해 교통 데이터와 환경 데이터 및 통행특성 각각과 이동수단과의 상관관계를 도출하고, 상관관계에 기초하여 이동수단을 선택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140 may derive a correlation between traffic data, environment data, and traffic characteristics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and may select a means of transportation by reflecting the correlation.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40 may derive a correlation between each of the traffic data, the environment data, and the traffic characteristics and the moving means by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and may select the moving means based on the correla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수단 선택 장치가 모바일 데이터를 분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analyzing mobile data by the device for selecting a means of transpor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수단 선택 장치(100)는 사용자의 모바일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사용자 별로 통행 특성을 판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the transportation means selection device 100 may collect and analyze the user's mobile data to determine the travel characteristics for each user.

사용자가 소지한 전자 디바이스(ex: 이동 단말, 태블릿 PC 등)로부터 모바일 데이터의 raw 데이터가 수집된다. 모바일 데이터의 raw 데이터는 개별 통행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자료로써, 개별 통행 구축부(130)에 의해 수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별 통행 구축부(130)는 모바일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자 디바이스의 ID 별로, 1분 단위의 체류 시간, 기지국의 위도 및 경도, 사용자의 연령대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개별 통행 구축부(130)는 수집된 raw 데이터에 대한 전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Raw data of mobile data is collected from electronic devices (eg, mobile terminals, tablet PCs, etc.) possessed by the user. Raw data of mobile data is data for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passages, and may be collected by the individual passage construction unit 130 . For example, the individual passage construction unit 130 may collect information on the residence time in units of one minute, latitude and longitude of the base station, and the age of the user for each ID of the electronic device corresponding to the mobile data. The individual passage construction unit 130 may perform pre-processing on the collected raw data.

이 경우, 개별 통행 구축부(130)는 모바일 데이터의 ID 별로, 모바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개별 통행에 대한 내용을 분석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기준일(20160526)에서의 모바일 ID(14133888)의 기지국 경도 및 위도 데이터(211, 212, 213)로부터 각각 이동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체류시작시간과 체류종료시간 간의 간격(221, 222, 223) 각각으로부터 이동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소정 위치에서의 체류시간(231, 232, 233) 각각으로부터 사용자가 보행 중인지 아니면 소정 장소에 체류중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 설명한 방법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모바일 데이터로부터 개별 통행 특성을 도출하는 방법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dividual passage construction unit 130 may analyze the contents of the individual passage based on the mobile data for each ID of the mobile data. Referring to FIG. 2 , a movement distance may be calculated from the base station longitude and latitude data 211 , 212 , and 213 of the mobile ID 14133888 on a reference date 20160526 , respectively. The movement time can be calculated from each of the intervals 221 , 222 , and 223 between the sojourn start time and the sojourn end tim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walking or staying in a predetermined place from each of the residence times 231 , 232 , and 233 at a predetermined location. Meanwhile, the method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are on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 method of deriving individual travel characteristics from mobile data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embodiments.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수단 선택 장치가 사용자의 전체 통행을 구축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A to 3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the device for selecting a means of transpor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s a user's entire passage.

구체적으로, 도 3a는 사용자의 개별통행을 계획한 경우이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별 개별통행은 에이전트(plan) 구축 알고리즘에 의해 계획될 수 있다. 에이전트 구축 알고리즘은 데이터에 기반하여 개별 에이전트를 생성하는 알고리즘 기법으로, 예를 들어, MATSim(Multi-Agent Transport Simulation Toolkit)과 같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최적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 이 경우, 에이전트 구축 알고리즘은 위도 및 경도 좌표와 네트워크 노드 간의 연결 링크를 생성하고, 출발지와 목적지 간의 최적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 도 3a을 참조하면, 제1경로(310)와 제2경로(320)가 탐색되는데, 이중에서 교통 트래픽이나 통행특성 및 환경 데이터를 고려하여 최적경로를 선택한다. 기존에는 일반적으로 최단 경로인 제1경로(310)가 선택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별 통행특성이나 환경 데이터에 따라 제1경로(310) 또는 제2경로(320)가 선택될 수 있다.Specifically, FIG. 3A is a case in which a user's individual passage is plan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dividual travel for each user may be planned by an agent (plan) construction algorithm. The agent building algorithm is an algorithm technique that generates individual agents based on data, and the optimal path can be searched for through simulation such as, for example, MATSim (Multi-Agent Transport Simulation Toolkit). In this case, the agent building algorithm can create a connection link between the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s and the network node, and search for an optimal path between the source and destination. Referring to FIG. 3A , a first route 310 and a second route 320 are searched, and an optimal route is selected from among them in consideration of traffic traffic, traffic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data. Conventionally, the first route 310, which is the shortest route, is generally selected,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oute 310 or the second route 320 may be selected according to user-specific travel characteristics or environmental data.

도 3b에는 경로 체인이 도시된다. 이동수단 선택 장치(100)는 사용자의 개별통행들을 통합하여 경로 체인(Trip Chain)으로 구축할 수 있다. 이 경우, 경로 체인 구축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경로 체인을 생성할 수 있다.3b shows the path chain. The transportation means selection device 100 may be constructed as a route chain (Trip Chain) by integrating the user's individual passages. In this case, a path chain construction algorithm can be used to generate the path chain.

경로 체인은 다양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구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경로 체인은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별로 구축되거나, 날짜별로 구축되거나, 특정 장소별로 구축되거나, 또는 이동수단 별로 구축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수단 선택 장치(100)는 개별통행 들의 중복좌표를 제거하고, 소정 사용자나 날짜, 장소 또는 이동 수단에 대한 데이터만 분리함으로써 경로 체인을 구성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경로 체인(330)은 소정 날짜에 있어서 전국에서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사용자들의 개별통행들을 모두 도시한 것이다.A path chain can be built based on various parameters. Specifical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route chain may be constructed for each user, for each date, for each specific place, or for each means of transportation. In this case, the transportation means selection device 100 can configure a route chain by removing duplicate coordinates of individual passages and separating only data about a predetermined user, date, place, or means of transportation. The route chain 330 shown in FIG. 3B shows all individual routes of users who satisfy a predetermined condition in the country on a predetermined date.

도 3c는 3차원 형태로 생성된 경로 체인(340)을 도시한다. 경로 체인(340)은 다수의 사용자들 모두의 개별통행들을 통합하거나, 특정 사용자의 다수의 개별통행들을 통합한 것이므로, 복잡하게 얽힌 상태로 표시되어 한눈에 파악하기가 어렵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경로 체인(340)을 3차원 형태로 생성할 수 있다. 3C shows a path chain 340 created in three-dimensional form. Since the path chain 340 integrates the individual passages of all of a plurality of users or integrates a plurality of individual passages of a specific user, it is displayed in a complex tangled state and is difficult to grasp at a glance. 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the path chain 340 may be generated in a three-dimensional form.

도 3c를 참조하면, 경로 체인(340)은 X 축(경도)과 Y 축(위도) 및 Z 축(시간)으로 구성된 3차원 평면 상에 각각의 개별통행들이 도시된다. X 축과 Y 축에 의해 개별통행의 위치 좌표가 설정되고, Z 축에 의해 개별통행의 이동 시간이나 체류 시간이 정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3차원 형태의 경로 체인(340)에 의하면, 시간대별 사용자의 개별통행 위치 및 경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경로 체인(340)은 스마트카드데이터, 신용카드데이터 등의 다양한 데이터와 융합하여 상기와 같은 다양한 데이터들을 표시할 수 있고, 심야시간대의 대중교통 및 택시의 수요 및 공급 조절 등에 이용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3C , in the path chain 340 , each individual passage is shown on a three-dimensional plane composed of an X-axis (longitude), a Y-axis (latitude), and a Z-axis (time). The location coordinates of the individual passages are set by the X and Y axes, and the movement time or residence time of the individual passages is determined by the Z axis. According to the three-dimensional route chain 34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easily grasp the user's individual passage location and route for each time zone. In addition, the route chain 340 may display various data as described above by fusion with various data such as smart card data and credit card data, and may be used for controlling the demand and supply of public transportation and taxis during late night time. .

실시예에 따라, 각 개별통행을 구성하는 구간들은 이동수단에 따라 다른 형태로 도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집으로부터 회사까지의 개별통행에 대해, 보행 구간은 점선으로 표시하고, 자동차나 대중교통을 이용한 구간은 실선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거주지 위치(역세권/비역세권) 및 거주 형태에 따른 보행 비율 등을 쉽게 분석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sections constituting each individual passage may be shown in different forms according to the means of transportation. For example, for individual travel from home to work, a walking section may be indicated by a dotted line, and a section using a car or public transportation may be indicated by a solid line.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easily analyze the walking ratio according to the residential location (station area/non-station area) and the type of residenc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수단 선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 moving means selec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교통 데이터와, 통행과 관련되는 환경 데이터를 수집한다(S401).Traffic data and traffic-related environmental data are collected (S401).

이동수단 선택 장치(100)의 통행 환경 구축부(120)는 교통 데이터 및 환경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교통 데이터는 지역별 도로의 교통 흐름, 트래픽 정보, 혼잡 여부, 병목 구간, 공사 구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환경 데이터는 날짜, 시간대, 날씨, 기상 상태, 천재 지변 발생 여부 등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passage environment construction unit 120 of the transportation means selection device 100 may collect traffic data and environment data. Here, the traffic data may include traffic flow of a road by region, traffic information, congestion, bottleneck section, construction section, and the like. The environmental data may include data on the date, time zone, weather, weather conditions, natural disasters, and the like.

사용자에 대응하는 모바일 데이터를 수집한다(S402).Mobile data corresponding to the user is collected (S402).

이동수단 선택 장치(100)의 개별 통행 구축부(130)는 사용자에 대응하는 모바일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별 통행 구축부(130)는 모바일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자 디바이스의 ID 별로, 1분 단위의 체류 시간, 기지국의 위도 및 경도, 사용자의 연령대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The individual passage construction unit 130 of the transportation means selection device 100 may collect mobile data corresponding to the user. For example, the individual passage construction unit 130 may collect information on the residence time in units of one minute, latitude and longitude of the base station, and the age of the user for each ID of the electronic device corresponding to the mobile data.

모바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 별로 통행 특성을 판단한다(S403).Based on the mobile data, the travel characteristics are determined for each user (S403).

이동수단 선택 장치(100)의 개별 통행 구축부(130)는 사용자에 대응하는 모바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 별로 통행 특성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통행 특성은, 사용자의 현재위치, 이동상태, 이동정도, 이동시간 및 연령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dividual passage construction unit 130 of the means of transportation selection device 100 may determine a passage characteristic for each user based on mobile data corresponding to the user. Here, the travel characteristics may include the user's current location, movement state, movement degree, movement time, age, and the like.

교통 데이터와 환경 데이터 및 통행 특성을 고려하여 사용자 별로 각 개별 통행의 이동수단을 선택한다(S404).In consideration of traffic data, environment data, and traffic characteristics, a means of transportation for each individual passage is selected for each user (S404).

이동수단 선택 장치(100)의 제어부(140)는 교통 데이터와 환경 데이터 및 통행 특성을 고려하여 사용자 별로 각 개별통행의 이동수단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주로 버스를 이용하는 통행 특성을 가지는 경우 목적지까지의 이동수단을 버스로 설정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40 of the transportation means selection device 100 may select a transportation means for each individual passage for each user in consideration of traffic data, environment data, and passage characteristics. For example, when the user has a characteristic of mainly using a bus, a means of moving to a destination may be set as a bus.

구체적으로, 현재위치에서의 대중교통 인프라를 고려하여 상기 이동수단 각각에 대한 가중치를 설정하고, 계층적 군집 기법을 이용하고 이동상태와 이동정도 및 가중치를 고려하여 사용자에 대응하는 개별 통행의 이동수단을 선택할 수 있다.Specifically, in consideration of the public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at the current location, a weight for each of the transportation means is set, a hierarchical clustering technique is used, and a movement means of an individual passage corresponding to the user is taken in consideration of the movement state, the degree of movement and the weight. can be selected.

일 실시예에 의하면, 첨두 시간대 및 비첨두 시간대에 대응하여 이동수단 각각에 대한 가중치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set different weights for each of the moving means in response to the peak time and the non-peak time.

또한, 현재위치 및 상기 이동상태를 고려하여 사용자가 현재 이용중인 제1이동수단을 파악하고, 상기 제1이동수단의 종류와 동일하도록 이동수단을 선택할 수 있다.In addition, in consideration of the current location and the moving state, the user may determine the first moving means currently being used, and select the moving means to be the same as the type of the first moving means.

기존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길찾기 방법에 의하면, 이동 경로나 이동 수단을 제안함에 있어서 환경 데이터나 통행 특성을 고려하지 않는다. 즉, 기상현상(ex: 폭설, 폭우, 폭염), 날짜(ex: 휴가철, 명절)나 시간(ex: 출퇴근 시간, 심야)에 따라 트래픽 특성이 달라지고, 이에 따라 적합한 경로나 이동수단이 달라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고려 없이 이동 경로나 이동 수단을 제안한다. 또한, 사용자의 연령(ex: 노인, 청소년, 장년층), 보행 특성(ex: 이동속도)과 같은 사용자에 따라 달라지는 통행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교통 트래픽 만을 고려하여 이동 경로나 이동 수단을 제안하고 있다.According to the route finding method provided by the existing application, environmental data or traffic characteristics are not taken into account when proposing a movement route or a movement means. In other words, traffic characteristics change depending on weather phenomena (ex: heavy snow, heavy rain, heatwave), date (ex: vacation season, holidays) or time (ex: commuting time, late night) Nevertheless, a movement route or means of movement is proposed without consideration for this. In addition, we propose a movement route or means of movement in consideration of only traffic traffic, without considering the travel characteristics that vary depending on the user, such as the user's age (ex: elderly, adolescents, seniors) and walking characteristics (ex: movement speed). .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별로 모바일 데이터를 수집하여 사용자에 따라 달라지는 통행특성을 분석하고, 이동 수단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데이터를 함께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최적화된 이동수단 및 이동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mobile data for each user is collected, travel characteristics that vary depending on the user are analyzed, and environmental data affecting the selection of a means of transportation is taken into consideration to select a means of movement and a route more optimized for the user.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수단 선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ving means selec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동 수단 마다 특성이 다르고, 시간이나 날짜와 같은 환경적 요인에 따라 선호되는 이동 수단이나 이동 경로는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첨두 시간대 및 비첨두 시간대를 고려하여 이동수단별로 가중치를 설정하고, 이에 기초하여 이동 수단을 선택할 수 있다.Each means of transportation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a preferred means of transportation or route may vary depending on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ime or d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eight may be set for each moving means in consideration of a peak time and a non-peak time, and a moving means may be selected based on this.

이동수단별 가중치 설정 및 이동수단별 평균 통행속도를 반영한다(S501).The weight setting for each transportation means and the average travel speed for each transportation means are reflected (S501).

이동수단 선택 장치(100)는 이동수단별로 가중치를 설정한다. 이 경우, 통행특성이나 환경 데이터를 고려하여 이동수단별로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행속도가 느리거나 사용자의 연령이 높다면 보행에 대한 가중치를 낮게 설정하고 대중교통에 대해 가중치를 높게 설정할 수 있다.The moving means selection device 100 sets weights for each moving means. In this case, weights may be set for each transportation means in consideration of traffic characteristics or environmental data. For example, if the walking speed is slow or the age of the user is high, the weight for walking may be set low and the weight for public transportation may be set high.

이동수단별 평균 통행속도를 산출하고, 이동수단 선택을 위한 계산 시 이를 반영한다.The average travel speed for each means of transportation is calculated, and this is reflected in the calculation for selecting the means of transportation.

오전 및 오후의 첨두 시간대 및 비첨두 시간대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502).It is determined whether it is a peak time zone and a non-peak time zone in the morning and afternoon (S502).

오전 및 오후 시간대에 따라, 또한 첨두 시간대 및 비첨두 시간대에 따라 이동수단의 이용률이나 교통 트래픽의 특성은 달라진다. 예를 들어, 첨두 시간대에는 대중교통의 이용률은 높고, 교통 트래픽이 높아져 자동차에 의한 이동 속도는 느려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여 이동수단을 선택하게 된다. According to the morning and afternoon time zones, and also according to the peak and non-peak hours, the use rate of means of transport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raffic traffic vary. For example, during peak hours, the use rate of public transport is high, and traffic traffic is high, so the speed of movement by cars is slow.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ing means is selected by reflecting these characteristics.

첨두 시간대이면(S503), 제1계층적 군집 기법을 사용하여(S504), 이동속도 및 가중치를 반영하여 이동수단을 선택한다(S505).If it is a peak time period (S503), the first hierarchical clustering technique is used (S504), and a moving means is selected by reflecting the moving speed and weight (S505).

비첨두 시간대이면(S513), 제2계층적 군집 기법을 사용하여(S514), 이동속도 및 가중치를 반영하여 이동수단을 선택한다(S505).If it is a non-peak time period (S513), the second hierarchical clustering technique is used (S514), and a moving means is selected by reflecting the moving speed and weight (S505).

예를 들어, 이동수단을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 이동날짜와 이동 출발 및 도착 시간 정보를 통해 통행지역의 날씨 정보를 불러온다. 또한, 대중교통 역(ex: 지하철역 및 버스정류장)의 위치정보를 불러와 각 통행 별로 출발위치 반경 50m 이내의 지하철역 개수, 지하철 호선 개수, 버스정류장 개수에 대한 정보를 검색한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selecting a means of transportation, weather information of a travel area is called through information on a movement date and movement departure and arrival times. Also, it retriev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public transportation stations (ex: subway stations and bus stops) and searches for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subway stations within a 50m radius of the starting location for each passage, the number of subway lines, and the number of bus stops.

이 경우, 개별통행에 있어서 이동수단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를 환경적인 요인으로 설정하고, 통행지역의 날씨 및 통행시간대, 대중교통 인프라 등을 고려하여 환경 데이터를 구축한다. In this case, the independent variable that affects the choice of means of transportation is set as an environmental factor in individual traffic, and environmental data is constructed in consideration of the weather and travel time of the travel area, public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etc.

이후, 개별 통행특성과 환경 데이터를 모두 고려하여 사용자별 개별통행의 이동수단을 선택한다.Thereafter, a means of transport for each user is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both individual traffic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data.

구체적으로, 이동위치에서의 대중교통 인프라를 고려하여 승용차, 지하철, 버스, 보행에 대한 가중치를 설정한 후, 계층적 군집(Hierarchical Clustering) 기법을 이용하여 이동속도-가중치간 이동수단을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 통행속도의 경우 오전/오후 첨두시간대 및 비첨두 시간대의 편차가 크기 때문에 데이터마이닝-의사결정나무 분석기법을 통해 시간대별 및 서울시 승용차 통행속도, 서울 지하철 평균 표정속도, 서울 시내버스 평균속도, 보행 평균속도를 반영하여 분류하게 된다. Specifically, after setting the weights for passenger cars, subways, buses, and walking in consideration of the public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at the moving location, using the hierarchical clustering technique, it is possible to classify the moving means between the moving speed and the weights. have. For example, in the case of automobile travel speed, since there is a large deviation between the morning/afternoon peak and non-peak hours, the data mining-decision tree analysis technique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mining-decision tree analysis technique for each time period and Seoul passenger car travel speed, Seoul subway average expression speed, and Seoul city bus. It is classified by reflecting the average speed and the average walking speed.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컴퓨팅 장치(TN100)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이동수단 선택 장치(100)일 수 있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uting device TN100 of FIG. 6 may be the transportation means selection device 100 described herein.

도 6의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TN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TN110), 송수신 장치(TN120), 및 메모리(TN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TN100)는 저장 장치(TN14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TN15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TN1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TN10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TN1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FIG. 6 , the computing device TN100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TN110 , a transceiver device TN120 , and a memory TN130 . Also, the computing device TN100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device TN140 , an input interface device TN150 , an output interface device TN160 , and the like. Components included in the computing device TN100 may be connected by a bus TN170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프로세서(TN110)는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그래픽 처리 장치(GPU: graphics processing unit),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된 절차, 기능, 및 방법 등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컴퓨팅 장치(TN100)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TN110 may execute a program command stored in at least one of the memory TN130 and the storage device TN140. The processor TN110 may mean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or a dedicated processor on which metho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erformed. The processor TN110 may be configured to implement procedures, functions, and methods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or TN110 may control each component of the computing device TN100 .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각각은 프로세서(TN11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TN130)는 읽기 전용 메모리(ROM: read only memory)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Each of the memory TN130 and the storage device TN140 may store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processor TN110 . Each of the memory TN130 and the storage device TN140 may be configured as at least one of a volatile storage medium and a nonvolatile storage medium. For example, the memory TN13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read only memory (ROM) and a random access memory (RAM).

송수신 장치(TN120)는 유선 신호 또는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 장치(TN120)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transceiver TN120 may transmit or receive a wired signal or a wireless signal. The transceiver TN120 may be connected to a network to perform communication.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금까지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상술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mplemented only through the apparatus and/or method described so far, and a program for realiz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recording medium i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may be implemented. And, such an implementation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통상의 기술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esent. It belongs to the scope of the invention.

100: 이동수단 선택 장치 110: 데이터베이스
120: 통행 환경 구축부 130: 개별 통행 구축부
140: 제어부
100: transportation means selection device 110: database
120: passage environment construction unit 130: individual passage construction unit
140: control unit

Claims (10)

이동수단 선택 장치에 있어서,
교통 데이터와, 통행과 관련되는 환경 데이터를 수집하는 통행 환경 구축부;
사용자에 대응하는 모바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별로 통행 특성을 판단하는 개별 통행 구축부; 및
상기 교통 데이터와 상기 환경 데이터 및 상기 통행 특성을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 별로 각 개별 통행의 이동수단을 선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통행 특성은,
상기 사용자의 현재위치와 이동상태 및 이동정도를 포함하는, 이동수단 선택 장치.
In the transportation means selection device,
a traffic environment construction unit that collects traffic data and traffic-related environmental data;
an individual passage construction unit that determines travel characteristics for each user based on mobile data corresponding to the user; and
A control unit that selects a moving means of each individual passage for each user in consideration of the traffic data, the environment data, and the passage characteristics;
The traffic characteristics are
The moving means selection device, including the current location and the moving state and the degree of movement of the u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승용차, 지하철, 버스 및 보행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재위치에서의 대중교통 인프라를 고려하여 상기 이동수단 각각에 대한 가중치를 설정하고, 계층적 군집 기법을 이용하고 상기 이동상태와 상기 이동정도 및 상기 가중치를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상기 개별 통행의 상기 이동수단을 선택하는, 이동수단 선택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means of transportation includes a passenger car, a subway, a bus, and walking,
The control unit is
In consideration of the public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at the current location, a weight for each of the transportation means is set, and a hierarchical clustering technique is used and the individual passage corresponding to the user is taken in consideration of the movement state, the degree of movement, and the weight. Selecting the moving means of, a moving means selection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첨두 시간대 및 비첨두 시간대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수단 각각에 대한 상기가중치를 다르게 설정하는, 이동수단 선택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unit is
A moving means selection device for differently setting the weight for each of the moving means in response to a peak time period and a non-peak time peri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상태는,
소정 장소에의 체류, 보행, 차량으로 이동 및 대중교통으로 이동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재위치 및 상기 이동상태를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가 현재 이용중인 제1이동수단을 파악하고, 상기 제1이동수단의 종류와 동일하도록 상기 이동수단을 선택하는, 이동수단 선택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moving state is
Including any one of staying in a predetermined place, walking, moving by vehicle, and moving by public transportation,
The control unit is
In consideration of the current location and the moving state, the user recognizes the first moving means currently being used, and selects the moving means to be the same as the type of the first moving mea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행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수를 선택하고, 상기 매개변수에 대응하는 상기 환경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상기 통행 환경 구축부를 제어하는, 이동수단 선택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s
Selecting a parameter affecting the selection of the transportation means in the passage, and controlling the passage environment construction unit to collect the environment data corresponding to the parameter, the transportation means selection device.
이동수단 선택 방법에 있어서,
교통 데이터와, 통행과 관련되는 환경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사용자에 대응하는 모바일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별로 통행 특성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교통 데이터와 상기 환경 데이터 및 상기 통행 특성을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 별로 각 개별 통행의 이동수단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통행 특성은,
상기 사용자의 현재위치와 이동상태 및 이동정도를 포함하는, 이동수단 선택 방법.
In the method of selecting a means of transportation,
collecting traffic data and environmental data related to traffic;
collecting mobile data corresponding to the user;
determining a travel characteristic for each user based on the mobile data; and
Including the step of selecting a moving means of each individual passage for each user in consideration of the traffic data, the environment data, and the traffic characteristics,
The traffic characteristics are
A method of selecting a moving means, including the user's current location, moving state, and moving degre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승용차, 지하철, 버스 및 보행을 포함하고,
상기 현재위치에서의 대중교통 인프라를 고려하여 상기 이동수단 각각에 대한 가중치를 설정하고, 계층적 군집 기법을 이용하고 상기 이동상태와 상기 이동정도 및 상기 가중치를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상기 개별 통행의 상기 이동수단을 선택하는, 이동수단 선택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The means of transportation includes a passenger car, a subway, a bus, and walking,
In consideration of the public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at the current location, a weight for each of the transportation means is set, and a hierarchical clustering technique is used and the individual passage corresponding to the user is taken in consideration of the movement state, the degree of movement, and the weight. of selecting the moving means of, a moving means selection method.
제7항에 있어서,
첨두 시간대 및 비첨두 시간대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수단 각각에 대한 상기가중치를 다르게 설정하는, 이동수단 선택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A method of selecting a moving means for differently setting the weight for each of the moving means in response to a peak time period and a non-peak time perio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상태는,
소정 장소에의 체류, 보행, 차량으로 이동 및 대중교통으로 이동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현재위치 및 상기 이동상태를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가 현재 이용중인 제1이동수단을 파악하고, 상기 제1이동수단의 종류와 동일하도록 상기 이동수단을 선택하는, 이동수단 선택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The moving state is
Including any one of staying in a predetermined place, walking, moving by vehicle, and moving by public transportation,
A method of selecting a moving means for determining the first moving means currently being used by the user in consideration of the current location and the moving state, and selecting the moving means to be the same as the type of the first moving mean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행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수를 선택하고, 상기 매개변수에 대응하는 상기 환경 데이터를 수집하는, 이동수단 선택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selecting a parameter affecting selection of the transportation means in the passage, and collecting the environmental data corresponding to the parameter.
KR1020210041016A 2021-03-30 2021-03-30 Apparatus and method of selecting means of transportation KR1025404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1016A KR102540494B1 (en) 2021-03-30 2021-03-30 Apparatus and method of selecting means of transport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1016A KR102540494B1 (en) 2021-03-30 2021-03-30 Apparatus and method of selecting means of transport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5405A true KR20220135405A (en) 2022-10-07
KR102540494B1 KR102540494B1 (en) 2023-06-05

Family

ID=83595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1016A KR102540494B1 (en) 2021-03-30 2021-03-30 Apparatus and method of selecting means of transport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0494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79348A (en) * 2005-12-28 2007-07-12 Xanavi Informatics Corp Traffic situation prediction method, device therefor and program
KR20080064556A (en) * 2007-01-05 2008-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chedule and path
JP2011163788A (en) * 2010-02-05 2011-08-25 Nec Corp Navigation system, method and program
JP2013083486A (en) * 2011-10-06 2013-05-09 Denso Corp Route proposal device
KR20140140468A (en) 2013-05-29 2014-12-09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traffic demand forecast system based on agents
KR20170136451A (en) * 2016-06-01 2017-12-11 한국교통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modal Transportation Information Based on Individual Preference
KR20170140677A (en) * 2016-06-13 2017-12-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for generation moving path
KR20180111376A (en) * 2017-03-31 2018-10-11 주식회사 엘비씨소프트 Route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the type of public transportation visitor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79348A (en) * 2005-12-28 2007-07-12 Xanavi Informatics Corp Traffic situation prediction method, device therefor and program
KR20080064556A (en) * 2007-01-05 2008-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chedule and path
JP2011163788A (en) * 2010-02-05 2011-08-25 Nec Corp Navigation system, method and program
JP2013083486A (en) * 2011-10-06 2013-05-09 Denso Corp Route proposal device
KR20140140468A (en) 2013-05-29 2014-12-09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traffic demand forecast system based on agents
KR20170136451A (en) * 2016-06-01 2017-12-11 한국교통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modal Transportation Information Based on Individual Preference
KR20170140677A (en) * 2016-06-13 2017-12-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for generation moving path
KR20180111376A (en) * 2017-03-31 2018-10-11 주식회사 엘비씨소프트 Route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the type of public transportation visi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0494B1 (en) 2023-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94720B2 (en) Lane-level vehicle navigation for vehicle routing and traffic management
US10984652B2 (en) Method and system for modeling and processing vehicular traffic data and information and applying thereof
CN103459983B (en) The method producing the average gait of march of expection
US7706964B2 (en) Inferring road speeds for context-sensitive routing
CN109000676B (en) Path planning method combining prediction information under VANET environment
JP5895926B2 (en) Movement guidance device and movement guidance method
US20210409894A1 (en) Automatic building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using elevator/escalator stairs modeling - smart cities
Milkovits et al. DynaMIT 2.0: The next generation real-time dynamic traffic assignment system
JP3551241B2 (en) Method for determining route search conditions in road maps
JP6633372B2 (en) Route search device and route search method
US20210406709A1 (en) Automatic building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using elevator/escalator/stairs modeling-mobility prediction
KR20220135405A (en) Apparatus and method of selecting means of transportation
US11521023B2 (en) Automatic building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using elevator/escalator stairs modeling—building classification
US11494673B2 (en) Automatic building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using elevator/escalator/stairs modeling-user profiling
Zhang et al. A design of intelligent route guidance system based on shortest path algorithm
Ocalir-Akunal A Web Based Decision Support System (DSS) for Individuals' Urban Travel Alternatives
JP2004294371A (en) Method for forming duration database, and method for searching route
JP6994016B2 (en) Route search device and route search method
Kim et al. A simulation-based investigation of a dynamic advanced traveler information system
Shalit et al. Short Run Transit Route Planning Decision Support System Using a Deep Learning-Based Weighted Grap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