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4952A - 멀칭필름 고정핀용 삽입장치 - Google Patents

멀칭필름 고정핀용 삽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4952A
KR20220134952A KR1020210040270A KR20210040270A KR20220134952A KR 20220134952 A KR20220134952 A KR 20220134952A KR 1020210040270 A KR1020210040270 A KR 1020210040270A KR 20210040270 A KR20210040270 A KR 20210040270A KR 20220134952 A KR20220134952 A KR 202201349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in
plate
bolt
fix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0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우
Original Assignee
이명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우 filed Critical 이명우
Priority to KR1020210040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4952A/ko
Publication of KR20220134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49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87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ground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8Mats or sheets, e.g. nets or fabrics
    • A01G13/0275Fil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93Anchoring means for ground cover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칭필름 고정핀용 삽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봉체의 하단에 핀지지뭉치를 구비하여 고정핀을 임시로 고정시켜 경작지에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핀지지뭉치는 직각회전에 의해 봉체와 동일하게 고정핀을 수직배치되도록 하거나, 90˚로 꺾어 고정핀을 수평배치하여 작업자가 위치를 변경하지 않아도 두둑 상부 또는 두둑 측면에 대해 고정핀 삽입작업이 가능하게 하는 멀칭필름 고정핀용 삽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멀칭필름 고정핀용 삽입장치{Insertion device for Mulching film fixed staple}
본 발명은 멀칭필름 고정핀용 삽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봉체의 하단에 핀지지뭉치를 구비하여 고정핀을 임시로 고정시켜 경작지에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핀지지뭉치는 직각회전에 의해 봉체와 동일하게 고정핀을 수직배치되도록 하거나, 90˚ 로 꺾어 고정핀을 수평배치하여 작업자가 위치를 변경하지 않아도 두둑 상부 또는 두둑 측면에 대해 고정핀 삽입작업이 가능하게 하는 멀칭필름 고정핀용 삽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농가에서는 농작물 재배와 관련하여 다양한 목적으로 멀칭필름을 사용하는데, 일반적으로는 농작물 재배지의 잡초 발생 억제, 보온, 보습 및 우천시 빗물에 흙이 패이는 것을 방지하고 농작물의 생장에 알맞은 최적 환경을 조성해 주는 용도로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멀칭필름은 단순히 토양을 덮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토양에 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바람과 같은 외부 교란요인이 상기 멀칭필름에 가해지면 토양으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토양 위에 멀칭필름을 덮고, 멀칭필름에 흙이나 볏집 등을 올리므로써 하중을 이용해 멀칭필름을 토양에 고정시키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하면 나중에 멀칭필름을 제거할때 흙이나 볏집등을 먼저 제거해야 함으로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러한 번거로운 문제는 외부 교란요인을 이겨낼만큼 흙이나 볏집 등을 멀칭필름 위에 올려놓으면 올려놓을수록 더욱더 증가했다. 뿐만 아니라 경사진 면이나 통행이 잦은 곳에서는 상기 방법의 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당업계에서는 고정핀을 이용하여 멀칭필름을 고정시켜 흙이나 볏집을 대체하게 함으로써 신속한 멀칭 작업이 이루어지게 하면서 외관을 수려하게 하였다.
상기 고정핀은 별도의 고정핀 삽입기기를 구비하여 경작지를 덮은 멀칭필름을 가압하여 장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185751호(2000.04.04.등록; 이하 '선행문헌1'이라 함)은 하부에 받침판을 구비하고, 손잡이를 갖는 수직바인 작동간의 하단에 일체로 작동판을 구성하여 작동판이 받침판 내에서 승강되도록 하고, 승강과정에서 고정철침이 경작지에 침투되어 멀칭필름을 고정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한국등록실용신안 20-0486169호(2018.04.03.등록; 이하 '선행문헌2'이라 함)은 손잡이 일측에 철판을 설치하되, 상기 철판은 좌우에는 철판에 멀칭핀을 지지하는 멀칭핀가이드가 형성되고, 철판 상부에는 멀칭핀을 가압하여 경작지에 침투시키는 멀칭핀누름판이 형성되고, 철판 중간면에는 땅속의 돌에 의해 멀칭핀이 삽입되지 않아 손잡이를 들었을 때 멀칭핀이 이탈되지 않게 걸림이 이루어지는 멀칭핀걸림고리가 돌출되어 구성된다.
상기 선행문헌2는 손으로 경작지를 찍어서 핀 삽입이 이루어지게 한 것으로 작업자가 앉아서 작업을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선행문헌1에서는 삽형태의 고정기를 제공하여 작업자가 서서 핀을 경작지 삽입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하였다.
상기 경작지는 두둑과 고랑으로 이루어진 이랑으로 이루어지고, 두둑을 멀칭필름으로 덮어 고정시키는데 상기 두둑 측면은 고정핀을 수평으로 삽입시켜 멀칭필름을 고정시켜야하고, 두둑 상부면 또는 고랑 저면은 수직으로 고정핀을 삽입시켜 멀칭필름을 고정시켜야 한다. 상기 선행문헌1은 고정핀 설치작업이 작업자가 서서 이루어질 수 있어 편리함이 있으나, 측면설치시에는 고랑으로 내려와서 설치해야됨으로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선행문헌2는 손잡이가 하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설치작업시 작업자가 두둑에 근접되도록 앉아야 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작업자의 설치가 서서 편리하게 이루어지게 하면서 수직설치와 수평설치가 가능하게 하여 고랑이 깊은 장소에서도 두둑 상부에서 용이하게 멀칭필름을 고정시킬 수 있는 개선된 구조를 갖는 고정핀 삽입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185751호(2000.04.04.등록) : 비닐 고정기 한국등록실용신안 20-0486169호(2018.04.03.등록) : 멀칭핀 고정기
이에 본 발명의 멀칭필름 고정핀용 삽입장치는,
경작지의 두둑에 멀칭필름을 설치시 두둑측면에 고정핀을 설치할 때 작업자가 고랑으로 내려오지 않고 두둑 상부에서 설치가 가능하게 하는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멀칭필름 고정핀용 삽입장치는,
봉체와 상기 봉체의 하단에 고정핀을 내입시켜 고정하는 핀지지뭉치로 구성된 멀칭필름 고정핀용 삽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핀지지뭉치는, 상부에는 봉체의 하단을 내입시켜 결합하고, 하부에는 중심에 수직으로 내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내입홈을 관통하도록 수평으로 볼트체결공이 형성되어 힌지볼트가 체결되는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 하부에 힌지볼트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몸체;로 구성되고,
상기 회동몸체는, 고정핀의 폭길이를 내포하도록 좌우로 길게 형성된 기저판부와, 상기 기저판부의 상부에 돌출되어 고정몸체의 내입홈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삽입된 면에는 힌지볼트가 삽통되는 수평통공이 형성된 회동돌기부로 구성되는 회동판과; 상기 회동판의 저면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결합되되 고정핀을 내입시키는 이격틈이 형성되도록 결합되는 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판은 고정판에 탄성결합하여 이격틈으로 고정핀 삽입시 이격틈을 증가시켜 고정핀 삽입이 용이하게 하면서 탄성복원력에 의해 고정핀을 가압하여 고정핀 지지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판과 지지판은 볼트몸체에 스프링이 감긴 스프링볼트에 의해 결합되되, 상기 고정판은, 지지판 방향으로, 볼트머리를 내입시키는 대구경통공과, 볼트몸체와 스프링을 내입시키는 중구경통공 및 볼트몸체만 통과시키는 소구경통공을 동일축상에 형성하여 볼트머리걸림단턱과 스프링걸림단턱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대구경통공의 길이는 볼트머리가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볼트머리 두께보다 길게 형성되고록 구성하고,; 상기 지지판는 고정판의 소구경통공과 동일축상에 볼트체결공이 형성되어 스프링볼트의 단부측이 체결되도록 구성하여; 고정판과 지지판 사이에 고정핀이 내입되면 지지판과 스프링볼트는 일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이격틈을 확장시키고, 스프링볼트의 스프링은 볼트머리와 스프링단턱에 의해 압축되어 탄성복원력을 지지판에 작용시켜 고정핀을 가압해 지지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판과 고정판이 접하는 면에는 두 판 중 어느 일측을 경사면으로 절개하여 입구를 확장시켜 고정핀의 내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봉체의 상단에는 갈고리부를 더 형성하여 경작지에 설치된 고정핀을 뽑을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봉체의 중간에는 U자 형태의 고정핀을 다수 보관하는 핀고정대를 더 설치하되, 상기 핀고정대는, 봉체에 끼워서 고정되는 끼움부가 일측에 형성된 육면체의 핀고정몸체와; 상기 핀고정몸체의 측면에 부착되어 핀고정몸체를 내포하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끼워진 고정핀의 다리를 압박하여 이탈을 방지하는 밴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핀고정대에는, 핀고정몸체 측면에 다수 설치되어 밴드를 가압하여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되, 상부 또는 하부중 어느 일측이 핀고정몸체에 결합되는 지지편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의 멀칭필름 고정핀용 삽입장치는,
고정핀을 임시로 파지하는 회동몸체를 봉체와 동일하게 수직으로 배치한 삽 형태로 형성하여 봉체의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정핀을 지면에 결합시키게 하며, 회동몸체를 봉체와 직각으로 배치한 곡갱이 형태로 형성하여 봉체의 측면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정핀을 지면에 결합시키게 하는 등 설치장소 환경에 따라 회동몸체의 방향을 전환시켜 고정핀의 설치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설치되 U자형 고정핀은 경작지면에서 양측다리부만 삽입되고 두 다리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는 일정거리 이격되기 때문에 고정핀의 설치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고, 봉체의 상단에 형성된 갈고리부를 통해서 용이하게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는 등 설치 및 제거시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용한 장치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도 1 내지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칭필름 고정핀용 삽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및 핀지지뭉치의 정면도와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동몸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에 따른 핀고정대의 다양한 형태를 도시한 개략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연통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연통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칭필름 고정핀용 삽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및 핀지지뭉치의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참조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칭필름 고정핀용 삽입장치(10)는, 봉체(20)와, 상기 봉체의 하단에 결합되는 핀지지뭉치(30)로 구성된다.
상기 봉체(20)는, 핀지지뭉치(30)를 작업자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신축수단을 구비하여 봉체의 전체 길이를 증가시키거나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일측 외면에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파지하도록 하면서 작업시 미끌려 놓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재질로 봉체 외면을 감싸는 손잡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봉체의 길이는 700~1500mm 의 범위로 형성하여 사용자가 서서 경작지에 고정핀의 삽입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고정핀(90)은 경작지에 삽입되는 두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일체로 결합된 U자 형태의 금속핀이다. 고정핀의 다리부 길이는 사용환경에 따라 다양한 길이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봉체 하단에 결합되는 핀지지뭉치(30)는, 봉체에 결합되는 고정몸체(40)와, 상기 고정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봉체와 동일수직선상으로 배치 또는 봉체와 직각인 수평선상으로 배치되도록 90˚의 범위로 회동되는 회동몸체(5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몸체(40)는 상부에 삽입공이 형성되어 봉체를 내입하여 고정시키고, 고정수단으로는 삽입공 내면과 봉체 하단에 각각 나사산을 형성하여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되거나, 수평으로 통공을 형성하여 나사를 체결하여 결합시키는 등 다양한 수단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고정몸체의 상단에 봉체 하단으로 내입되는 돌기를 형성하고, 돌기와 봉체를 나사결합하거나 별도의 고정핀을 내입시켜 고정시키는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체결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고정몸체(40)는 하부중심에서 수직방향의 상부측으로 내입홈(41)이 형성되고, 상기 내입홈을 관통하는 방향인 수평방향으로 볼트체결공(42)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체결공에 힌지볼트(43)가 내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회동몸체(50)는, 상기 고정몸체(4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판(51)과, 상기 회동판의 저면 일측에 결합되는 고정판(52)과, 상기 고정판에 결합되는 지지판(53)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동판(51)은, 고정핀의 폭길이를 내포하도록 좌우로 길게 형성된 기저판부(511)를 구비한다.
상기 기저판부(511)는 고정몸체(40)와 결합시 고정몸체의 양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경작지에 고정핀 침투시 작업자가 발을 밟아 누를수 있게 할 수 있다.
상기 기저판부(511)는 상부에 회동돌기부(512)가 돌출된다. 상기 회동돌기부(512)는 고정몸체의 내입홈(41)에 내입되는 수직판 형태를 갖으며, 회동시 고정몸체의 내입홈 상부면에 걸림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를 곡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고정몸체의 내입홈 양측 하단도 반원곡면으로 형성하여 고정몸체로부터 회동판 회전시 걸림이 이루어지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고정몸체의 내입홈(41)에 삽입되는 회동돌기부(512)에는 수평통공(513)이 형성되어 힌지볼트(43)가 고정몸체(40)의 볼트체결공(42)과 회동판(51)의 수평통공(513)을 모두 삽통하여 체결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고정몸체(40)와 회동판(51)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힌지볼트(43)는 조임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하여 필요시 조임력을 느슨하게 하여 회동판을 수직 또는 수평으로 회전배치시키고 다시 조여서 강하게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후술되는 고정판과 지지판 사이에 개재되는 고정핀의 설치방향이 수직 또는 수평으로 변경하게 할 수 있다.
이외에도 고정몸체로부터 회동판을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방식은 다양한 공지기술을 접목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판(52)과 지지판(53)은, 회동판(51) 저면에 위치하는 판체이다.
상기 고정판(52)과 지지판(53)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는 판체 또는 블록으로 두 부재 사이에는 이격틈(531)이 형성되고, 이격틈으로 고정핀(90)이 내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고정판(52)과 지지판(53)은 모두 회동판(51)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고정판(52)만 회동판(51)에 견고하게 결합하고, 지지판(53)은 고정판(52)에 결합되되 간격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격틈의 폭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판(52)과 지지판(53)은 고무재질로 형성하여 마찰력을 높여 끼워진 고정핀이 쉽게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예로 도 3을 참조한 바와같이 상기 지지판(53)은 고정판(52)에 탄성결합하여 이격틈(531)으로 고정핀(90) 삽입시 이격틈을 증가시켜 고정핀 내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고, 탄성복원력에 의해 고정핀을 가압하여 고정핀 지지가 이루어지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탄성결합은 스프링볼트(54)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볼트(54)는 볼트몸체(542)에 스프링(543)이 감긴 복합구조로서, 고정판(52)을 삽통하여 지지판(53)에 결합시킴으로써 두 부재를 탄성이동 가능하게 한다.
상기 고정판(52)은, 일측면에서 타측면인 지지판(53)이 설치되는 방향으로 대구경통공(521)과, 중구경통공(522) 및 소구경통공(523)이 동일축상에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볼트머리걸림단턱(524)과 스프링걸림단턱(525)이 형성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대구경통공(521)은 스프링볼트(54)의 머리가 내입되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영역이며, 중구경통공(522)과의 연결지점에 볼트머리걸림단턱(524)이 형성된다. 상기 볼트머리걸림단턱(524)은 스프링볼트 머리가 축방향으로 내입되는 깊이를 한정하는 단턱이다.
상기 중구경통공(522)은, 스프링볼트(54)가 삽통되는 통공으로 스프링볼트의 볼트몸체(542)와 볼트몸체를 감싸는 스프링(543)이 내입되는 영역이다. 상기 중구경통공은 볼트머리보다는 직경을 작게 형성하여 볼트머리가 내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볼트몸체와 스프링은 걸림없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직경으로 형성된다. 상기 중구경통공(522)과 소구경통공(523)의 연결지점에는 스프링걸림단턱(525)이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걸림단턱(525)은 스프링볼트의 스프링이 걸리도록 한다. 즉, 상기 스프링(543)은 볼트머리(541)와 스프링걸림단턱(525)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소구경통공(523)은, 스프링볼트의 볼트몸체(542)만 삽통되는 영역이다. 소구경통공은 볼트몸체의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으로 형성하여 볼트몸체가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한다.
상기 지지판(53)에는 고정판의 소구경통공(523)과 동일축상에 볼트체결공(42)이 형성된다. 상기 볼트체결공(42)에는 스프링볼트의 볼트몸체(542)가 체결된다. 즉, 상기 스프링볼트(54)는 고정판(52)의 대구경통공(521)으로 삽입되어 중구경통공(522)과 소구경통공(523)을 삽통해 지지판의 볼트체결공(42)에 결합되는 것으로 실질적으로 스프링볼트(54)와 지지판(53)이 결합되어 일체로 움직이고, 스프링(543)은 볼트머리(541)와 스프링걸림탄턱(525) 사이에 개재되어 탄성변형이 이루어지면서 지지판(53)의 축이동을 제한하면서 원위치복귀가 이루어지게 한다.
따라서, 고정판(52)과 지지판(53) 사이의 이격틈으로 고정핀(90)을 삽입하면 스프링볼트(54)와 지지판(53)은 일측으로 이동되어 이격틈을 벌어지게 하면서 스프링(543)을 압축시킨다. 압축된 스프링은 탄성복원력이 작용하면서 지지판(53)을 고정판 방향으로 당기게되고, 이러한 탄성복원력은 이격틈에 끼워진 고정핀(90)이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한다.
도 3을 참조한 바와같이 상기 지지판(53)과 고정판(52)이 접하는 면에는 두 판 중 어느 일측을 경사면(533)으로 절개하여 입구를 확장시켜 고정핀의 내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 경사면(533)은 지지판(53)에만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대향되는 고정판에도 형성하여 이격틈의 입구를 확장시켜 고정핀 내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면(533)을 형성하면 다양한 직경을 갖는 고정핀에 대응하여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사용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경사면의 안쪽에는 고정핀의 연결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수평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홈은 지지판에 반원단면홈이 형성되고, 고정판에 반원단면홈이 형성된 형태로 제공하여 내입된 고정핀을 안치시킬 수 있다. 상기 수평홈에 고정핀을 안착시키면 강한 힘으로 당기지 않으면 이탈을 방지함으로 경작지에 충분히 내입되어 삽입되지 않으면 본 발명의 삽입장치에서 이탈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아울러 도 1을 참조한 바와같이 상기 봉체(20)의 상단에는 갈고리부(60)를 더 형성하여 경작지에 설치된 고정핀을 뽑을 수 있게 할 수 있다.
상기 갈고리부(60)는 도시된 바와같이 1개로 형성하거나 복수개로 형성할 수 있으며, 2개로 형성할 경우 갈고리부의 단부를 곡면형태로 연결하여 고정핀 제거시 멀칭필름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멀칭필름 고정핀용 삽입장치에는 핀고정대(7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핀고정대(70)는, 봉체(20)에 끼워서 고정되는 끼움부(711)가 일측에 형성된 육면체의 핀고정몸체(71)와; 상기 핀고정몸체의 측면에 부착되어 핀고정몸체를 내포하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끼워진 고정핀의 다리부를 압박해 이탈을 방지하는 밴드(72);로 구성된다.
상기 핀고정대(70)의 핀고정몸체(71) 측면은 평면으로 형성하여 밴드(72)를 면접시키고, 밴드의 양측을 핀고정몸체 측면에 결합시켜 밴드가 장력을 유지하도록 하여 밴드와 핀고정몸체 측면 사이로 고정핀의 다리부를 내입시켜 임시적으로 고정핀 보관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한 바와같이 상기 핀고정대의 핀고정몸체(71)는 상부면 양측 모서리를 경사지게 절개하여 고정핀(90)을 끼울 때 고정핀 다리부가 절개면을 따라 밴드 사이의 공간으로 용이하게 내입되게 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한 바와같이 상기 핀고정대의 핀고정몸체(71)는 상부에서 봤을 때 양측면에 홈(713)을 형성하여 홈(713)으로 고정핀 다리부의 내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홈(713)의 깊이는 고정핀(90)의 철심 직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고정핀을 핀고정몸체에 끼웠을 때 밴드에 의해 압박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d를 참조한 바와같이 상기 핀고정몸체(71)는 측면에 설치된 밴드(72)를 가압하도록 다수의 지지편(73)을 더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지지편(73)은 짧은 길이를 갖는 소형판부재로 상부와 하부 중 어느 한 측, 바람직하게는 하부측이 핀고정대 측면에 결합하고, 지지편과 핀고정대 사이에 밴드가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지지편이 일정간격으로 밴드를 가압하여 밴드가 늘어져 끼워진 안전핀의 압박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e를 참조한 바와같이 상기 봉체(20)에는 다수개의 고정대체결공(21)이 형성되고, 핀고정대의 끼움부 내면에도 고정대체결공에 대응되는 나사공(714)이 형성되어, 고정대체결볼트(74)가 봉체(20)의 고정대체결공(21)통해서 핀고정대(70)의 나사공(714)에 체결하여 핀고정대를 봉체에 견고하게 결합시킨다. 또한 사용자에 따라 사용이 편리한 위치로 이동시켜 고정시킬 수 있는 등 맞춤형 핀고정대의 제공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멀칭필름 고정핀용 삽입장치(10)는, 핀지지뭉치의 회동몸체(50)를 봉체(20)와 동일하게 수직으로 배치하고 수직방향으로 고정핀을 삽입하여 장착한 다음 경작지에 찔러서 고정핀 삽입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인 고정핀 삽입장치와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두둑의 측면을 통해서 멀칭필름의 고정이 필요한 경우 기존에는 고랑으로 내려와서 고정핀 설치가 이루어졌으나, 본 발명은 핀지지뭉치의 회동몸체(50)를 봉체(20)와 직각이 되도록 회전시키고 수평방향으로 고정핀을 끼워서 준비하고, 곡갱이를 사용하는 것과 같이 삽입장치를 위에서 아래로 회전시켜서 고정핀이 두둑 측면에 삽입되도록 하고, 삽입장치를 들어올리면 두둑 측면에 삽입된 고정핀은 그대로 두둑에 박혀 있고, 고정핀을 분리한 삽입장치만 들어올려지게 되면서 고정핀으로 멀칭필름을 고정시키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10 : 멀칭필름 고정핀용 삽입장치
20 : 봉체
21 : 고정대체결공
30 : 핀지지뭉치
40 : 고정몸체
41 : 내입홈 42 : 볼트체결공
43 : 힌지볼트
50 : 회동몸체
51 : 회동판 52 : 고정판
53 : 지지판 54 : 스프링볼트
511 : 기저판부 512 : 회동돌기부
513 : 수평통공
521 : 대구경통공 522 : 중구경통공
523 : 소구경통공 524 : 볼트머리걸림단턱
525 : 스프링걸림단턱
531 : 이격틈 532 : 볼트체결공
533 : 경사면
541 : 볼트머리 542 : 볼트몸체
543 : 스프링
60 : 갈고리부
70 : 핀고정대
71 : 핀고정몸체 72 : 밴드
73 : 지지편 74 : 고정대체결볼트
711 : 끼움부 712 : 절개면
713 : 홈 714 : 나사공
90 : 고정핀

Claims (7)

  1. 봉체(20)와 상기 봉체의 하단에 고정핀(90)을 내입시켜 고정하는 핀지지뭉치(30)로 구성된 멀칭필름 고정핀용 삽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핀지지뭉치(30)는, 상부에는 봉체(20)의 하단을 내입시켜 결합하고, 하부에는 중심에 수직으로 내입홈(41)이 형성되고, 상기 내입홈을 관통하도록 수평으로 볼트체결공(42)이 형성되어 힌지볼트(43)가 체결되는 고정몸체(40)와; 상기 고정몸체 하부에 힌지볼트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몸체(50);로 구성되고,
    상기 회동몸체(50)는,
    고정핀의 폭길이를 내포하도록 좌우로 길게 형성된 기저판부(511)와, 상기 기저판부의 상부에 돌출되어 고정몸체의 내입홈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삽입된 면에는 힌지볼트가 삽통되는 수평통공이 형성된 회동돌기부(512)로 구성되는 회동판(51)과;
    상기 회동판의 저면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판(52)과;
    상기 고정판에 결합되되 고정핀을 내입시키는 이격틈(531)이 형성되도록 결합되는 지지판(5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칭필름 고정핀용 삽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53)은, 고정판(52)에 탄성결합하여 이격틈(531)으로 고정핀(90) 삽입시 이격틈을 증가시켜 고정핀 삽입이 용이하게 하면서 탄성복원력에 의해 고정핀을 가압하여 고정핀 지지가 이루어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칭필름 고정핀용 삽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52)과 지지판(53)은 볼트몸체(542)에 스프링(543)이 감긴 스프링볼트(54)에 의해 결합되되,
    상기 고정판(52)은, 지지판(53) 방향으로, 볼트머리를 내입시키는 대구경통공(521)과, 볼트몸체와 스프링을 내입시키는 중구경통공(522) 및 볼트몸체만 통과시키는 소구경통공(523)을 동일축상에 형성하여 볼트머리걸림단턱(524)과 스프링걸림단턱(525)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대구경통공(521)의 길이는 볼트머리가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볼트머리 두께보다 길게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지지판(53)는 고정판의 소구경통공과 동일축상에 볼트체결공(42)이 형성되어 스프링볼트의 단부측이 체결되도록 구성하여;
    고정판(52)과 지지판(53) 사이에 고정핀(90)이 내입되면 지지판(53)과 스프링볼트(54)는 일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이격틈을 확장시키고, 스프링볼트의 스프링(543)은 볼트머리(541)와 스프링단턱(525)에 의해 압축되고, 탄성복원력은 지지판(53)에 작용되어 고정핀을 가압해 지지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칭필름 고정핀용 삽입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53)과 고정판(52)이 접하는 면에는 두 판 중 어느 일측을 경사면으로 절개하여 입구를 확장시켜 고정핀의 내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칭필름 고정핀용 삽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체(20)의 상단에는 갈고리부(60)를 더 형성하여 경작지에 설치된 고정핀을 뽑을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칭필름 고정핀용 삽입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체(20)의 중간에는 U자 형태의 고정핀을 다수 보관하는 핀고정대(70)를 더 설치하되,
    상기 핀고정대(70)는, 봉체에 끼워서 고정되는 끼움부(711)가 일측에 형성된 육면체의 핀고정몸체(71)와; 상기 핀고정몸체의 측면에 부착되어 핀고정몸체를 내포하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끼워진 고정핀의 다리부를 압박하여 이탈을 방지하는 밴드(7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칭필름 고정핀용 삽입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핀고정대(70)에는, 핀고정몸체(71) 측면에 다수 설치되어 밴드(72)를 가압하여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되, 상부 또는 하부중 어느 일측이 핀고정몸체에 결합되는 지지편(73)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칭필름 고정핀용 삽입장치.
KR1020210040270A 2021-03-29 2021-03-29 멀칭필름 고정핀용 삽입장치 KR202201349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270A KR20220134952A (ko) 2021-03-29 2021-03-29 멀칭필름 고정핀용 삽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270A KR20220134952A (ko) 2021-03-29 2021-03-29 멀칭필름 고정핀용 삽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4952A true KR20220134952A (ko) 2022-10-06

Family

ID=83597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0270A KR20220134952A (ko) 2021-03-29 2021-03-29 멀칭필름 고정핀용 삽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4952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5751Y1 (ko) 1999-11-16 2000-06-15 지상철 비닐 고정기
KR200486169Y1 (ko) 2016-11-01 2018-04-10 노은래 멀칭핀 고정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5751Y1 (ko) 1999-11-16 2000-06-15 지상철 비닐 고정기
KR200486169Y1 (ko) 2016-11-01 2018-04-10 노은래 멀칭핀 고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14113A (en) Christmas tree stand
CN206713515U (zh) 盆景罗汉松造型装置
CN101578037A (zh) 可调节植物栽培插桩
WO1994018491A1 (en) Christmas tree stand
US20110154578A1 (en) Hand-operated pliers
KR20220134952A (ko) 멀칭필름 고정핀용 삽입장치
CN207460998U (zh) 一种树木移植稳固支架
KR20210136778A (ko) 비닐고정핀 박음장치
CN209749324U (zh) 一种可重复利用的园林树木固定架
KR20160000335U (ko) 농작물 지지장치
CN214757686U (zh) 一种农业种植用可调节锄把伸展长度的锄头
CN208462568U (zh) 一种园林绿化用树木支撑装置
KR200419948Y1 (ko) 비닐피복장치
KR200488819Y1 (ko) 다용도 유인구
CN213153208U (zh) 一种林业种植支撑辅助装置
KR20170014325A (ko) 농지에 줄을 긋기 위한 농업용 라이너와 이를 이용한 고랑 형성방법
CN215602296U (zh) 一种园林绿化苗木支架
CN213756014U (zh) 一种园林树木支撑架
KR200268446Y1 (ko) 나무지지대
CN111480510B (zh) 一种可调式园林树木用固定架
KR20130037306A (ko) 원예용 식물 지지장치
CN110547140A (zh) 一种用于银杏树树干的矫直装置
CN212937086U (zh) 一种市政园林用植物支架
CN210130201U (zh) 一种市政工程树苗栽植辅助支托架
CN220359816U (zh) 一种园林绿化用树木保护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