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4821A - 4d 이미징 레이더센서를 이용한 안심 화장실 시스템 - Google Patents

4d 이미징 레이더센서를 이용한 안심 화장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4821A
KR20220134821A KR1020210039287A KR20210039287A KR20220134821A KR 20220134821 A KR20220134821 A KR 20220134821A KR 1020210039287 A KR1020210039287 A KR 1020210039287A KR 20210039287 A KR20210039287 A KR 20210039287A KR 20220134821 A KR20220134821 A KR 202201348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radar sensor
emergency
imaging radar
bath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9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화수
Original Assignee
(주)에이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엘씨 filed Critical (주)에이엘씨
Priority to KR1020210039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4821A/ko
Publication of KR20220134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4821A/ko
Priority to KR1020220146280A priority patent/KR202201535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886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larm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89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mapping or imag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03Details of HF sub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common to transmitter and receiv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32Satellite or aerial image; Remote sensing
    • G06T2207/10044Radar im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내 및 옥외 화장실의 천장에 설치되어 대변기 부스들과 세면대 등 화장실 내부 전체를 커버하고, 사용자를 다수개의 점으로 감지하여서 화장실내 사용자들의 도트 이미지 영상을 무선으로 전송하는, 4D 이미징 레이더센서(110), 대변기 부스들 내부 및 세면대 등 화장실 주요 장소에 각각 배치되어 위급상황에 해당하는 비상호출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고 외부와 음성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무선 비상벨(120), 화장실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4D 이미징 레이더센서(110)로부터 제공되는 도트 이미지 영상 및 무선 비상벨(120)의 비상호출신호와 음성정보를 중계하여 전송하고, 화장실 출입구를 촬영하여 출입구 동영상을 전송하는, 통합방범 단말기(130), 및 무선 비상벨(120)의 비상호출신호를 수신하여 4D 이미징 레이더센서(110)로부터 수신되는 도트 이미지 영상과 통합방범 단말기(130)로부터 수신되는 동영상을 확인하면서 무선 비상벨(120)과 음성 통화를 하여 위급상황을 파악하고 대응 조치하도록 하는, AI관제서버(140)를 포함하여, 화장실내에 CCTV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화장실 내부 상황을 4D 이미징 레이더센서로 실시간 파악하여 화장실 범죄에 대처하는, 안심화장실 솔루션을 제공하는, 4D 이미징 레이더센서를 이용한 안심 화장실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4D 이미징 레이더센서를 이용한 안심 화장실 시스템{SAFE TOILTE SYSTEM BY USING 4D IMAGING RADAR SENSOR}
본 발명은 화장실 내부에 설치가 불가능한 CCTV를 대체하여 4D 이미징 레이더센서를 이용하여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면서 사각지대인 화장실 내부에서의 위급상황을 실시간 파악하여 신속하게 대처하도록 하여 안심화장실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4D 이미징 레이더센서를 이용한 안심 화장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치안유지를 위해 비상벨이 활용되고 있는데, 비상벨은 우범지역과 같은 특정지역에 설치되어 현장에서 위험상황 발생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도움을 요청하도록 호출신호를 전송하여 관련 운영자가 위험상황을 인지하도록 한다.
한편, 비상벨과 방범용 IP카메라를 연동하여 설치하고, 비상벨의 호출신호에 따라 IP카메라에 의한 영상정보를 모니터링하도록 하여 적절한 대응조치를 취하도록 한다.
이와 관련된 선행 기술로서 한국특허등록 제10-1513218호에 개시되어 있는데, 종래의 방범용 CCTV 다기능 비상벨 시스템 및 제어방법은, 위험 상황시 통합방범센터에 위치하는 관리자가 신고자의 얼굴 영상을 보면서 통화하도록 이루어져서, 현장에서 발생하는 상황을 정확하게 관리자에게 전달하여 신속한 대응이 가능할 수 있다.
하지만, 방범용 CCTV자체가 대형 시스템이고 통제소와 유선 통신케이블을 통해 연결되기 때문에 설치장소가 한정되어 설치에 상당한 제약이 따르는 측면이 있다.
한편, 여성화장실이나 공용화장실 내에는 화장실용 비상벨을 설치하고 범죄 발생 시 이를 누르면 화장실 내부나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사이렌이나 경광등과 같은 시청각알람 장치가 동작하고 방범 담당자에게 이를 알려 현장에 출동하도록 하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범인이 바로 따라와서 협박하는 위급한 상황에는 비상벨을 누를 수 없는 경우가 예상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음성인식을 이용하여 비명이나 "살려주세요." 등 몇 개의 음성을 인식하면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장치도 개발되었으나 오동작이 많이 발생하여 실효성이 없었고 또 다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움직임 센서를 추가하여 사람의 움직임이 있는 경우에만 음성인식을 하도록 보완도 하였으나 이 역시 오동작이 많아 현장에서 철거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자동인식의 경우나 사람의 실수나 장난으로 비상벨이 동작하는 경우에도 담당자는 무조건 현장에 출동해야 해서 인력 손실이 많이 발생하고 이의 보완책으로 음성통화 기능을 추가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 역시 아무런 응답이 없을 경우에는 무조건 현장에 출동해야 해서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
주지하다시피, 앞서 언급한 경우들은 기본적으로 화장실 내에는 CCTV를 설치할 수 없어 화장실 내부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로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화장실 입구에 CCTV를 설치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 역시 근본적인 해결책은 될 수 없어서, 이에 보다 완벽한 안심화장실 솔루션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13218호(2015.04.20.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73654호(2013.06.27.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72034호(2012.08.07. 공고)
본 발명의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화장실 내부에 설치가 불가능한 CCTV를 대체하여 4D 이미징 레이더센서를 이용하여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면서 사각지대인 화장실 내부에서의 위급상황을 실시간 파악하여 신속하게 대처하도록 하여 안심화장실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4D 이미징 레이더센서를 이용한 안심 화장실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옥내 및 옥외 화장실의 천장에 설치되어 대변기 부스들과 세면대를 포함하는 화장실 내부 전체를 커버하고, 사용자를 다수개의 점으로 감지하여서 화장실내 사용자들의 도트 이미지 영상을 무선으로 전송하는, 4D 이미징 레이더센서; 상기 대변기 부스들의 내부 및 상기 세면대를 포함하는 화장실 주요 장소에 각각 배치되어 위급상황에 해당하는 비상호출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고 외부와 음성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무선 비상벨; 화장실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4D 이미징 레이더센서로부터 제공되는 도트 이미지 영상 및 상기 무선 비상벨의 비상호출신호와 음성정보를 중계하여 전송하고, 화장실 출입구를 촬영하여 출입구 동영상을 전송하는, 통합방범 단말기; 및 상기 무선 비상벨의 비상호출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4D 이미징 레이더센서로부터 수신되는 도트 이미지 영상과 상기 통합방범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동영상을 확인하면서 상기 무선 비상벨과 음성 통화를 하여 위급상황을 파악하고 대응 조치 하도록 하는, AI관제서버;를 포함하는, 4D 이미징 레이더센서를 이용한 안심 화장실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4D 이미징 레이더센서는, 다수의 레이더 신호를 송출하고 반사되는 레이더 신호를 수신하는 다중레이더모듈과, 수신되는 레이더 신호들을 분석하여 도트 이미지 영상으로 형상화하는 AI엔진과, 이 도트 이미지 영상을 전송하는 와이파이 모듈과 전원 공급 장치로 구성되고, 화장실 사용자들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면서 화장실 내부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비상벨은, 위급상황에 따라 비상호출신호를 전송하는 비상스위치와, 음성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스피커 및 마이크와, 블루투스 모듈과, 설치위치를 식별하도록 하는 LED와,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또는 1차전지로 구성되고, 상기 스피커 또는 상기 LED를 통해 비상호출신호와 동기화되어 시청각 경고신호를 제공하고 완전 무배선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방범 단말기는, 위급상황에 따라 비상호출신호를 전송하는 비상스위치와, IP카메라와, 상기 AI관제서버와 음성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스피커 및 마이크와, 설치위치를 식별하도록 하는 LED와, 상기 4D 이미징 레이더센서와 무선 통신하는 와이파이 모듈과, 상기 무선 비상벨과 무선 통신하는 블루투스 모듈과, 상기 AI관제서버와 통신하는 LTE 모뎀 및 로라 모뎀 또는 IP망으로 유선 통신하는 이더넷 인터페이스와, 상용전원공급 장치 또는 태양광전원공급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AI관제서버는 지리정보 상에 상기 통합방범 단말기의 설치위치현황과, 상기 무선 비상벨의 상태 및 비상벨 호출 상태를 디스플레이하고, 비상벨호출신호가 전송된 화장실의 위치와 상기 무선 비상벨의 상세 배치위치를 디스플레이하고, 해당 화장실 내부의 도트 이미지 영상과 출입구 동영상을 오버랩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4D 이미징 레이더 센서가 대형화장실의 화장실 출입구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통합방범 단말기와 와이파이 통신 가능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인접하여 설치된 와이파이 중계기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비상벨이 대형화장실의 화장실 출입구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통합방범 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 가능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인접하여 설치된 블루투스 중계기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방범 단말기는 상기 무선 비상벨과 상기 AI관제서버 사이의 음성통화를 연결하면서 3자 통화를 수행하여 범죄 대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AI관제서버는, 상기 4D 이미징 레이더센서로부터 수신되는 도트 이미지 영상을 분석하여 범죄 진행 가능성을 예측하고, 예측되는 경우에 상기 도트 이미지 영상과 상기 통합방범 단말기에 저장된 화장실 출입구 동영상을 분석하여 범죄 상황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I관제서버는, 화장실 사용자의 행동 패턴 관련 사용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행동 패턴을 분석하여 범죄사전모의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장실 내부에 설치가 불가능한 CCTV를 대체하여 4D 이미징 레이더센서를 이용하여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면서 사각지대인 화장실 내부의 위급상황을 실시간 파악하여 신속하게 대처하도록 하여 안심화장실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4D 이미징 레이더센서를 이용한 안심 화장실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4D 이미징 레이더센서를 이용한 안심 화장실 시스템의 4D 이미징 레이더센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의 4D 이미징 레이더센서를 이용한 안심 화장실 시스템의 무선 비상벨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1의 4D 이미징 레이더센서를 이용한 안심 화장실 시스템의 통합방범 단말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1의 4D 이미징 레이더센서를 이용한 안심 화장실 시스템의 AI관제서버를 예시한 것이다.
도 6는 도 5의 AI관제서버에 의한 모니터링을 예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전술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4D 이미징 레이더센서를 이용한 안심 화장실 시스템은, 옥내 및 옥외 화장실의 천장에 설치되어 대변기 부스들과 세면대 등 화장실 내부 전체를 커버하고, 사용자를 다수개의 점으로 감지하여서 화장실내 사용자들의 도트 이미지 영상을 무선으로 전송하는, 4D 이미징 레이더센서(110), 대변기 부스들 내부 및 세면대 등 화장실 주요 장소에 각각 배치되어 위급상황에 해당하는 비상호출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고 외부와 음성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무선 비상벨(120), 화장실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4D 이미징 레이더센서(110)로부터 제공되는 도트 이미지 영상 및 무선 비상벨(120)의 비상호출신호와 음성정보를 중계하여 전송하고, 화장실 출입구를 촬영하여 출입구 동영상을 전송하는, 통합방범 단말기(130), 및 무선 비상벨(120)의 비상호출신호를 수신하여 4D 이미징 레이더센서(110)로부터 수신되는 도트 이미지 영상과 통합방범 단말기(130)로부터 수신되는 동영상을 확인하면서 무선 비상벨(120)과 음성 통화를 하여 위급상황을 파악하고 대응 조치하도록 하는, AI관제서버(140)를 포함하여, 화장실내에 CCTV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화장실 내부 상황을 4D 이미징 레이더센서로 실시간 파악하여 화장실 범죄에 대처하는, 안심화장실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앞서 전술한 4D 이미징 레이더센서를 이용한 안심 화장실 시스템의 구성을 상세히 후술하고자 한다.
우선, 4D 이미징 레이더센서(110)는 옥내 및 옥외 화장실의 천장에 설치되어 낮은 조도조건에서도 다중레이더모듈을 이용하여 대변기 부스들과 세면대 등 화장실 내부 전체를 커버하고, 사용자를 다수개의 점으로 감지하여서 화장실내 사용자들의 도트 이미지 영상을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a)는 실제 영상을 예시한 것이고, (b)는 4D 이미징 레이더센서(110)에 의해 표시되는 도트 이미지 영상을 예시한 것으로서, 화장실내에서,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면서도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점의 행동 패턴으로 실시간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4D 이미징 레이더센서는 다수의 레이더 신호를 송출하고 이의 반사파를 수신하는 다중레이더모듈(111)과 이 수신되는 레이더 신호들을 분석하여 포인트 이미지 영상으로 형상화하는 AI엔진(112)과 이 포인트 이미지 영상을 전송하는 와이파이 모듈(113)과 전원 공급 장치(114)로 구성되고, 화장실 사용자들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면서 화장실 내부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4D 이미징 레이더 센서(110)가 대형화장실과 같이 화장실 출입구에 설치되어 있는 통합방범 단말기와 와이파이 통신 가능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적당한 위치에 설치된 와이파이 중계기(미도시)를 통해 통신 할 수도 있다.
다음, 무선 비상벨(120)은 대변기 부스들 내부 및 세면대 등 화장실 주요 장소에 각각 배치되어 위급상황에 해당하는 비상호출신호를 블루투스로 통합방범 단말기(130)로 전송하고 외부, 예컨대 통합방범 단말기(130)를 통해 AI관제서버(140)의 관제요원과 음성통화가 가능하도록 하여서, 비상호출신호에 해당하는 위급상황에 대처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비상벨(120)은 위급상황에 따라 비상호출신호를 전송하는 비상스위치(121)와, 음성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스피커(122) 및 마이크(123)와, 블루투스 모듈(125)과, 설치위치를 식별하도록 하는 LED(124)와, 전원을 공급하여 장기간 사용가능하도록 하는 배터리 또는 1차전지(126)로 구성되고, 스피커(122) 또는 LED(124)를 통해 비상호출신호와 동기화되어 시청각 경고신호를 제공하여 주변에 이를 알리도록 하여 외부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무선 비상벨(120)이 대형화장실과 같이 화장실 출입구에 설치되어 있는 통합방범 단말기(130)와 블루투스 통신 가능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통합방범 단말기(130)와 인접하여 적당한 위치에 설치된 블루투스 중계기(미도시)를 통해 통신 할 수도 있다.
다음, 통합방범 단말기(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실의 출입구에 등주에 결합된 형태 또는 가로등이나 담벽 등 설치가능한 화정실 인근장소에 독립된 형태로 설치되어, 4D 이미징 레이더센서(110)로부터 무선 수신되어 제공되는 도트 이미지 영상 및 무선 비상벨(120)로부터 무선 수신되는 비상호출신호와 음성정보를 중계하여 AI관제서버(140)로 전송하고, 또한 화장실 출입구를 촬영하여 출입구 동영상도 AI관제서버(140)로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통합방범 단말기(130)는 화장실의 출입구 주변에서의 위급상황에 따라 비상호출신호를 전송하는 비상스위치(131)와, IP카메라(132)와, AI관제서버(140)와 음성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스피커(133) 및 마이크(134)와, 설치위치를 식별하도록 하는 LED(135)와, 4D 이미징 레이더센서(110)와 무선 통신하는 와이파이 모듈(136a)과 무선 비상벨(120)과 무선 통신하는 블루투스 모듈(136b)과, AI관제서버(140)와 무선통신하는 LTE 모뎀(137a) 및 로라(LoRa) 모뎀(137b) 또는 IP망으로 유선 통신하는 이더넷 인터페이스(137c)와, 상용전원공급 장치(138a) 또는 태양광전원공급 장치(138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스피커(133) 또는 LED(135)를 통해 비상호출신호와 동기화되어 시청각 경고신호를 제공하여 화장실 입구 주변에 이를 알리도록 하여 외부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통합방범 단말기는 무선 비상벨(120)과 AI관제서버(140)사이의 음성통화를 연결하면서 자체 스피커(133)와 마이크(134)를 이용하여 보안요원 단말기(150)와 연결한 3자 통화에 참여하여 범죄 대처 효과를 높일 수도 있다.
다음, AI관제서버(140)는 지리정보 상에 통합방범 단말기(130)의 설치위치 현황과, 무선 비상벨(120)의 상태 및 비상벨 호출 상태를 디스플레이하고, 비상벨 호출신호가 전송된 화장실의 위치와 무선 비상벨(120)의 상세 배치위치를 디스플레이하고, 해당 화장실 내부의 도트 이미지 영상과 출입구 동영상을 오버랩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AI관제서버(140)는, 4D 이미징 레이더센서(110)로부터 수신되는 도트 이미지 영상을 분석하여 범죄 진행 가능성을 예측하고 예측이 되는 경우에 이를 담당자에게 알려 담당자가 이 도트 이미지 영상과 통합방범 단말기(130)에 저장된 화장실 출입구 동영상을 분석하여 범죄 상황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로 한 대변기 부스에 2인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성범죄 현장으로 예측할 수 있다.
또한, AI관제서버(140)는, 화장실 사용자의 행동 패턴 관련 사용 데이터를 저장하고 행동 패턴을 분석하여 범죄사전모의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데, 예로, 평상시에 사용자가 없는 시간대에 사용자가 장시간 머무르는 경우에는 몰카 설치를 의심하여 통합방범 단말기(130)에 저장된 화장실 출입구 동영상을 통한 출입자를 확인하므로 범죄사전모의 여부를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4D 이미징 레이더센서를 이용한 안심 화장실 시스템에 의해서, 화장실 내부에 설치가 불가능한 CCTV를 대체하여 4D 이미징 레이더센서를 이용하여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면서 사각지대인 화장실 내부에서의 위급상황을 실시간 파악하여 신속하게 대처하도록 하여 안심화장실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10 : 4D 이미징 레이더센서 111 : 다중레이더 모듈
112 : AI 엔진 113 : 와이파이 모듈
114 : 전원공급 모듈 120 : 무선 비상벨
121 : 비상스위치 122 : 스피커
123 : 마이크 124 : LED
125 : 블루투스 모듈 126 : 전지
130 : 통합방범 단말기 131 : 비상스위치
132 : IP카메라 133 : 스피커
134 : 마이크 135 : LED
136a : 와이파이 모듈 136b : 불루투스 모듈
137a : LTE 모뎀 137b : LoRa 모뎀
137c : 이더넷 인터페이스 138a : 상용전원공급 장치
138b : 태양광전원공급 장치 140 : AI관제서버

Claims (10)

  1. 옥내 및 옥외 화장실의 천장에 설치되어 대변기 부스들과 세면대를 포함하는 화장실 내부 전체를 커버하고, 사용자를 다수개의 점으로 감지하여서 화장실내 사용자들의 도트 이미지 영상을 무선으로 전송하는, 4D 이미징 레이더센서;
    상기 대변기 부스들의 내부 및 상기 세면대를 포함하는 화장실 주요 장소에 각각 배치되어 위급상황에 해당하는 비상호출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고 외부와 음성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무선 비상벨;
    화장실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4D 이미징 레이더센서로부터 제공되는 도트 이미지 영상 및 상기 무선 비상벨의 비상호출신호와 음성정보를 중계하여 전송하고, 화장실 출입구를 촬영하여 출입구 동영상을 전송하는, 통합방범 단말기; 및
    상기 무선 비상벨의 비상호출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4D 이미징 레이더센서로부터 수신되는 도트 이미지 영상과 상기 통합방범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동영상을 확인하면서 상기 무선 비상벨과 음성 통화를 하여 위급상황을 파악하고 대응 조치 하도록 하는, AI관제서버;를 포함하는, 4D 이미징 레이더센서를 이용한 안심 화장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4D 이미징 레이더센서는, 다수의 레이더 신호를 송출하고 반사되는 레이더 신호를 수신하는 다중레이더모듈과, 수신되는 레이더 신호들을 분석하여 도트 이미지 영상으로 형상화하는 AI엔진과, 이 도트 이미지 영상을 전송하는 와이파이 모듈과 전원 공급 장치로 구성되고, 화장실 사용자들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면서 화장실 내부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D 이미징 레이더센서를 이용한 안심 화장실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비상벨은, 위급상황에 따라 비상호출신호를 전송하는 비상스위치와, 음성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스피커 및 마이크와, 블루투스 모듈과, 설치위치를 식별하도록 하는 LED와,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또는 1차전지로 구성되고, 상기 스피커 또는 상기 LED를 통해 비상호출신호와 동기화되어 시청각 경고신호를 제공하고 완전 무배선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D 이미징 레이더센서를 이용한 안심 화장실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방범 단말기는, 위급상황에 따라 비상호출신호를 전송하는 비상스위치와, IP카메라와, 상기 AI관제서버와 음성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스피커 및 마이크와, 설치위치를 식별하도록 하는 LED와, 상기 4D 이미징 레이더센서와 무선 통신하는 와이파이 모듈과, 상기 무선 비상벨과 무선 통신하는 블루투스 모듈과, 상기 AI관제서버와 통신하는 LTE 모뎀 및 로라 모뎀 또는 IP망으로 유선 통신하는 이더넷 인터페이스와, 상용전원공급 장치 또는 태양광전원공급 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D 이미징 레이더센서를 이용한 안심 화장실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I관제서버는 지리정보 상에 상기 통합방범 단말기의 설치위치현황과, 상기 무선 비상벨의 상태 및 비상벨 호출 상태를 디스플레이하고, 비상벨호출신호가 전송된 화장실의 위치와 상기 무선 비상벨의 상세 배치위치를 디스플레이하고, 해당 화장실 내부의 도트 이미지 영상과 출입구 동영상을 오버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D 이미징 레이더센서를 이용한 안심 화장실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4D 이미징 레이더 센서가 대형화장실의 화장실 출입구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통합방범 단말기와 와이파이 통신 가능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인접하여 설치된 와이파이 중계기를 통해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D 이미징 레이더센서를 이용한 안심 화장실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비상벨이 대형화장실의 화장실 출입구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통합방범 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 가능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인접하여 설치된 블루투스 중계기를 통해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D 이미징 레이더센서를 이용한 안심 화장실 시스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방범 단말기는 상기 무선 비상벨과 상기 AI관제서버 사이의 음성통화를 연결하면서 3자 통화를 수행하여 범죄 대처 효과를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D 이미징 레이더센서를 이용한 안심 화장실 시스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I관제서버는, 상기 4D 이미징 레이더센서로부터 수신되는 도트 이미지 영상을 분석하여 범죄 진행 가능성을 예측하고, 예측되는 경우에 상기 도트 이미지 영상과 상기 통합방범 단말기에 저장된 화장실 출입구 동영상을 분석하여 범죄 상황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D 이미징 레이더센서를 이용한 안심 화장실 시스템.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I관제서버는, 화장실 사용자의 행동 패턴 관련 사용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행동 패턴을 분석하여 범죄사전모의 가능성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D 이미징 레이더센서를 이용한 안심 화장실 시스템.
KR1020210039287A 2021-03-26 2021-03-26 4d 이미징 레이더센서를 이용한 안심 화장실 시스템 KR2022013482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287A KR20220134821A (ko) 2021-03-26 2021-03-26 4d 이미징 레이더센서를 이용한 안심 화장실 시스템
KR1020220146280A KR20220153555A (ko) 2021-03-26 2022-11-04 4d 이미징 레이더센서를 이용한 안심 화장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287A KR20220134821A (ko) 2021-03-26 2021-03-26 4d 이미징 레이더센서를 이용한 안심 화장실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6280A Division KR20220153555A (ko) 2021-03-26 2022-11-04 4d 이미징 레이더센서를 이용한 안심 화장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4821A true KR20220134821A (ko) 2022-10-06

Family

ID=8359741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9287A KR20220134821A (ko) 2021-03-26 2021-03-26 4d 이미징 레이더센서를 이용한 안심 화장실 시스템
KR1020220146280A KR20220153555A (ko) 2021-03-26 2022-11-04 4d 이미징 레이더센서를 이용한 안심 화장실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6280A KR20220153555A (ko) 2021-03-26 2022-11-04 4d 이미징 레이더센서를 이용한 안심 화장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20134821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2034B1 (ko) 2010-12-20 2012-08-07 주식회사 동일이앤시 비상도움용 벨 및 이를 이용한 비상상황 경보시스템
KR101273654B1 (ko) 2012-12-05 2013-06-27 주식회사 시큐인포 아이피 카메라가 부착된 브이오아이피 기반의 방범용 비상벨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방범 시스템
KR101513218B1 (ko) 2014-03-28 2015-04-20 차보영 방범용 cctv 다기능 비상벨 시스템 및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2034B1 (ko) 2010-12-20 2012-08-07 주식회사 동일이앤시 비상도움용 벨 및 이를 이용한 비상상황 경보시스템
KR101273654B1 (ko) 2012-12-05 2013-06-27 주식회사 시큐인포 아이피 카메라가 부착된 브이오아이피 기반의 방범용 비상벨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방범 시스템
KR101513218B1 (ko) 2014-03-28 2015-04-20 차보영 방범용 cctv 다기능 비상벨 시스템 및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3555A (ko) 2022-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7733B1 (ko) 지능형 비상 대피 유도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803806B1 (ko) 무선 재난 화재 감지 및 방범 예방을 겸용하기 위한 휴대 조명등을 구비하는 사회 안전망 시스템
KR101772806B1 (ko) 화재 발생 위치에 따라 대피 방향이 자동으로 변환되는 비상 대피 유도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23007417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building evacuation
KR20190072703A (ko) 재난사고 비상 신호의 전송 안전시스템 및 전송안전 관리방법
JP5245054B2 (ja) 警報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警報システム
KR102248180B1 (ko) 무선 비상벨과 이를 포함한 지하 주차장 사고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고 관리 방법
KR101252570B1 (ko) 카메라를 이용한 자동 화재 속보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위한 통합 속보기
US10861308B1 (en) System and method to improve emergency response time
KR20100000245A (ko) 무선장치를 이용한 공동주택 통합보안시스템 및 서비스방법
KR20190059062A (ko) 자가진단 기능을 갖는 비상벨 장치
KR20200065936A (ko) 통신이 가능한 카메라모듈이 구비된 실시간 감시시스템
KR20220134821A (ko) 4d 이미징 레이더센서를 이용한 안심 화장실 시스템
CN112201002A (zh) 一种安防监控方法
KR102283434B1 (ko) Ip카메라를 구비한 sos비상벨 운용시스템
KR101169316B1 (ko) 엘이디 전등 제어와 연동된 보안 시스템
KR101686857B1 (ko) 인터폰을 이용한 홈 보안 시스템
KR102053541B1 (ko) 양방향 보안등의 긴급호출 시스템
KR102056549B1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양방향 보안등의 긴급호출 시스템
KR102614695B1 (ko) 스마트 비상벨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경보 시스템
KR102662452B1 (ko) 음성인식 비상벨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경보 시스템
KR0173182B1 (ko) 음성모니터링 경보시스템
KR102283440B1 (ko) 이중화된 무선망을 이용한 sos비상벨 운용시스템
KR102605754B1 (ko) 점검 장치 기능을 포함하는 비상벨 시스템
EP2845377B1 (en) Intercom 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