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4249A - 온라인 쇼핑몰과 연동 가능한 쇼핑몰 통합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 쇼핑몰과 연동 가능한 쇼핑몰 통합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4249A
KR20220134249A KR1020210039661A KR20210039661A KR20220134249A KR 20220134249 A KR20220134249 A KR 20220134249A KR 1020210039661 A KR1020210039661 A KR 1020210039661A KR 20210039661 A KR20210039661 A KR 20210039661A KR 20220134249 A KR20220134249 A KR 20220134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information
order
management
deliv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9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국용
Original Assignee
(주)케이디제이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디제이시스템 filed Critical (주)케이디제이시스템
Priority to KR1020210039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4249A/ko
Publication of KR20220134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42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품 판매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재고관리 등의 실물의 관리를 위한 기본단위인 물품과, 도매/소매 등의 상거래를 위한, 물품의 구성 및 상거래 정보를 포함하는 상품을 구분하여 관리하고, 이에기반으로 하여 주문과 배송 처리를 하는 상품 판매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온라인 쇼핑몰과 연동 가능한 쇼핑몰 통합 관리 방법{Integrated shopping mall management method that can be linked to online shopping mall}
본 발명은 상품 판매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재고관리 등의 실물의 관리를 위한 기본단위인재고품목 정보(이하, 물품으로 통칭함)와, 도매/소매 등의 상거래를 위한, 물품의 구성 및 상거래 정보를 포함하는 상품 정보(이하, 상품으로 통칭함)를 구분하여 관리하고, 이에 기반으로 하여 주문과 배송 처리를 하는 상품 판매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온라인 상거래의 발달로 많은 온라인 쇼핑몰들이 출현하였고, 이로 인해 개별 판매자들이 다수의 쇼핑몰에 상품을 판매하는 것은 보편적인 현상이 되었다.
그런데, 상품은 상거래를 위해 물품의 구성, 거래처, 공급가 등과 관련된 공급 관련 정보, 판매가 등과 관련된판매관련 정보, 쇼핑몰 별로 요구되는 서비스 관련 정보 등에 의해서 결정되므로, 상품을 결정하는 요인들의 변화에 의해 상품은 쉽게 생성되고 소멸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반면에, 물품은 상품을 결정하는 요인의 변화와 관련이 없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상품보다 긴 수명주기(Lifecycle)를 갖는다.
따라서, 물품과 상품의 성격이 명확하게 구분되고 수명주기도 다르기 때문에, 물품과 상품은 정보의 구성과 관리의 수준이 상이해야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쇼핑몰 통합 판매 관리 시스템에서는, 다수의 쇼핑몰에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들을위해, 개별 쇼핑몰에서 이루어지던 상품관리와 주문처리 등의 업무처리를 통합하여 제공하고 있지만, 이러한 래기술의 통합 판매 관리 시스템은 상품관리에 치우친 시스템들이므로 물품관리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제공하지못하고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쇼핑몰 통합 판매 관리 시스템에서는, 주문처리 과정 중에 배송처리가 이루어지고, 배송처리 과정 중에 입출고처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구매 또는 판매한 상품에 대한 주문처리, 배송처리, 입출고처리가 유기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래서, 예를 들어, 주문 처리에 있어서, 종래의 쇼핑몰 통합 판매관리 시스템들은, 배송정보와 주문정보를 분리하여 처리하지 않고, 주문정보에서 배송처리 상태 등을 관리하고 있으며, 취소, 교환 등의 주문(이하, 클레임주문으로 통칭함)에 대한 처리를 주문처리에 대한 이력(History) 관리 수준으로 처리하고 있다.
따라서, 다수의 쇼핑몰에서 상품을 관리하고 주문을 처리해야 하는 판매자 입장에서는, 체계적인 정보관리와 효 율적인 업무처리를 위해, 상품관리와 주문처리를 일원화하여, 통합 처리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물품과 상품을 구분하여, 재고관리 모듈에서는 물품정보의 관리가 이루어지고, 상품관리 모듈에서는 상품정보의 관리가 이루어지며, 이에 기반하여 주문, 배송, 입출고처리를 유기적으로 연계 처리하는 판매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품 판매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물품식별번호를 포함하는 물품정보(110)를 관리하는 물품정보 관리부(201)와, 다수의 창고의 재고수량 관리와통제를 수행하는 재고수량 관리부(202)를 포함하는 재고관리 모듈(200); 상거래 관련 정보(101)와, 물품에 대한 참조(131)을 포함하는 물품선택 항목들(103)로 구성되는 물품 구성 정보(102)를 포함하는 상품정보(100)를 관리하는 상품관리 모듈(210); 상기 물품정보(110)과 상품 정보(100)를 이용하여 주문 정보(120)에 따른 주문처리를 하는 주문처리 모듈(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을 이용하면, 정보의 구성이나 관리수준이 상이한 물품과 상품을 각각 재고관리 모듈과 상품관리 모듈에서 관리하고, 상품을 정보의 수명주기나 관리수준에 따라 기본상품, 판매상품, 등록상품으로 구분함으로써, 재고관리의 핵심목표인 입/출고 등에 의한 재고수량 변경의 통제 및 관리와 상품관리의 핵심목표인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정보관리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고, 물품 기반의 오프라인 상거래와 상품 기반의 온라인상거래를 통합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주문, 배송, 입출고 처리를 유기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체계적인 정보관리와 효율적인 업무처리를 제공할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품정보, 상품정보 및 주문정보의 구성 및 참조를 도시함.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품 판매 관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함.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문정보 및 배송정보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문처리 모듈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품을 기본상품과 소매상품으로 구분하는 경우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품관리 모듈의 기본상품 관리부와 소매상품 관리부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소매상품을 판매상품과 등록상품으로 구분하는 경우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소매상품 관리부의 판매상품 관리부와 등록상품 관리부의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재고관리 모듈의 물품정보 관리부의 재고상품의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주문정보의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레임 주문을 구분하는 방법을 나타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들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물품정보, 상품정보 및 주문정보의 의미와, 각 정보의 구성과, 참조 관계를 도1을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물품정보(110)는 물품식별번호, 관리단위 등의 재고관리를 위한 관리 관련 정보(111)와, 물품의 규격 등을 정의한 물품의 속성(112)을 포함한다.
또한, 상품정보(100)는 공급가, 거래처, 판매가 등의 상거래 관련 정보(101)와, 물품에 대한 참조(131) 등을 포함하는 물품선택 항목(103)들로 구성되는 물품구성 정보(102)를 포함한다.
그리고, 주문정보(120)는 주문자 정보, 수취인 정보, 주문 금액, 배송 관련 정보 등으로 구성되는 주문 관련 정보(121)와, 다수의 주문품목(123)을 포함하는 주문품목 정보(122)로 구성되며, 주문품목(123)은 상품에 대한 참조(130)와 물품에 대한 참조(132)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도 2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품 판매 관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품 판매 관리 시스템은, 재고관리 모듈(200), 상품관리 모듈(210), 주문처리 모듈(220)을 포함한다.
재고관리 모듈(200)은 다수의 물품정보(110)를 관리하는 물품정보 관리부(201)와, 재고수량 관리부(202)를 포함한다. 여기서, 재고수량 관리부(202)는 다수의 창고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창고 별 물품수량 관리/통제 기능 및입출고 관리를 수행한다.
또한, 상품관리 모듈(210)은 다수의 상품정보(100)들을 관리하고, 주문처리 모듈(220)은 다수의 주문정보(120)들의 관리와 배송을 처리한다.
그래서, 재고관리 모듈(200)에서는, 물품식별번호, 관리단위, 물품규격 등의 물품정보들을 물품정보 관리부(201)에서 관리하고, 물품 또는 창고를 등록하는 경우, 창고식별번호, 물품식별번호, 물품수량 등을 포함하는물품수량관리 레코드를 재고수량관리부(202)에 추가한다. 창고에 물품이 입출고되는 경우, 창고식별번호와 물품식별번호로 물품수량관리 레코드를 식별하고, 해당 레코드의 물품수량을 입출고 수량만큼 가감 처리한다.
또한, 상품관리 모듈(210)에서는, 거래처, 공급가, 판매가 등의 상거래 관련 정보(101)와 물품구성 정보(102)를포함하는 상품정보(100)들을 관리한다. 그리고, 주문처리 모듈(220)에서는, 주문 관련 정보(121)와 주문품목 정보(122)를 포함하는 주문정보(120)를 기반으로 배송 등의 업무처리를 한다. 상품의 판매 또는 구매가 이루어지는 경우, 주문처리 모듈(220)에 주문자정보, 배송관련 정보 등을 포함하는 주문 관련 정보(121)와 주문품목 정보(122)를 등록하고, 주문품목에 해당하는 물품을 식별한 후, 해당 물품의 재고수량 확인 등의 순서로 주문처리를 수행한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도2의 상품 판매 관리 시스템에서 추가적으로 배송이 수행되는 것을 도3을 참고로 하여설명한다. 도2의 상품 판매 관리 시스템에서 추가적으로 배송이 수행되기 위해서는 도3과 같이 배송 처리 모듈(300)이 추가되어야 한다.
여기서, 주문정보(120)는 배송처리 정보를 제외한 주문자 정보, 수취인 정보, 주문 금액 등으로 구성되는 주문관련 정보(121)와, 다수의 주문품목(123)으로 구성되는 주문품목 정보(122)를 포함한다.
또한, 배송처리 모듈(300)의 배송정보(310)는 수취인 등 배송처리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배송 관련정보(311)와, 주문품목에 대한 참조(320) 등을 포함하는 다수의 배송품목(313)들로 구성되는 배송품목 정보(312)를 포함한다.
그래서, 주문처리 모듈(220)에서는, 온라인 쇼핑몰 등 구매 또는 판매가 이루어지는 시스템에서 주문자 정보,수취인 정보, 주문금액 등의 주문관련 정보(121)와 다수의 주문품목 정보(123)로 구성되는 주문정보(120)를 수신하여, 주문처리 모듈(220)에 등록하고, 주문관련 정보(121)에 포함된 수취인 정보와 주문품목 정보(122) 등을 이용하여, 배송 관련 정보(311)와 배송품목(313)으로 구성된 배송정보(310)를 형성한 후, 배송업무 처리를 수행한다.
한편, 전자메일이나 전자세금계산서 등을 송수신하는 경우와 같이, 보내는 쪽과 받는 쪽이 정보를 대칭적으로가지고 있는 상황에서는, 공급하는 상품과 공급받는 상품, 출주문과 입주문, 출배송과 입배송 등의 상호 대칭적인 상황을 고려한 상품 판매 관리 시스템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상품 판매 관리 시스템에서는, 도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주문처리 모듈(220)에, 출주문과입주문을 통합 관리하는 주문정보 관리부(400)와, 입배송과 출배송을 통합 관리하는 배송정보 관리부(410)를 추가해야 한다.
그래서, 주문정보 관리부(400)는 다수의 출주문 정보(401)와 다수의 입주문 정보(402)를 통합 관리하며, 배송정보 관리부(410)는 다수의 입배송 정보(411)와 다수의 출배송 정보(412)를 통합 관리한다. 그래서, 상품판매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주문정보 관리부(400)에 입주문 정보(402)를 등록하고, 이에 따른 배송업무 처리를 위해서, 배송정보 관리부(410)에 출배송 정보(412)를 등록하며, 반품 등의 상황이 발생하는경우, 입배송 정보(411)로 등록하여반품을 처리한다. 또한, 상품구매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주문정보 관리부에 출주문 정보(401)를 등록하고, 구매처에서 송장 등을 수신하는 경우, 배송정보 관리부(410)에 입배송 정보(411)를 등록하며, 반품 등의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출배송 정보(412)로 등록하여 처리한다. 그리고, 거래처와 구매-판매 협업이 이루이지는 경우, 구매자의 주문정보 관리부(400)에 출주문 정보(401)를 등록한 후, 등록된 주문을 거래처에 전송하는 경우, 판매자의 주문정보 관리부(400)에 입주문 정보(402)로 등록된다.
또한, 판매자가 배송업무를 위해, 판매자의 배송정보 관리부(410)에 출배송 정보(412)를 등록한 후, 송장을 전송하는 경우, 구매자의 배송정보 관리부(410)에 입배송 정보(411)로 등록된다. 그리고, 반품이 발생하는 경우,구매자의 배송정보 관리부(410)에 출배송 정보(412)를 등록한 후, 송장을 전송하면, 판매자의 배송정보 관리부(410)에 입배송 정보(411)로 등록된다.
이제, 도5를 참고로 하여, 상품을 기본상품(500)과 소매상품(510)으로 구분하여 처리하는 경우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품 판매 관리 시스템에 추가되는 구성과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도5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본상품(500)은 공급가, 거래처 등의 공급 관련 속성을 포함하는 공급관련 정보(501)와 물품구성정보(502)로 구성된다. 그리고, 소매상품(510)은 공급관련 정보(511)와, 물품구성정보(512)와, 판매가 등의 판매정책 등을 포함시킨 소매관련 정보(513를 결합하여 형성되며, 기본상품(500)에 대한 참조(520)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기본상품(500)에 다수의 소매관련 정보(513)들이 결합되어 다수의 소매상품(510)이 만들어질수 있다. 또한, 소매상품(510)에서 공급관련 정보(511)나 물품구성정보(512)의 변경은 제한적으로 이루어지는것이 바람직하며, 통상적으로 기본상품(500)에서 관련 정보를 변경한 후, 다수의 관련 소매상품(510)의 정보를변경하는 방식을 취한다.
다음으로, 도6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품 판매 관리 시스템의 상품관리 모듈(210)에서, 도5에 나타난기본상품(500)과 소매상품(510)을 구분하여 처리하기 위하여 추가되는 기본상품 관리부(600)와 소매상품 관리부(310)의 구성 및 기능을 설명한다. 기본상품 관리부(600)는 다수의 기본상품(601)들을 관리하며, 소매상품 관리부(610)는 다수의 소매상품(611)들을 관리한다. 여기서, 물품의 구성정보와 거래처, 공급가 등이 동일한 상품이, 판매처, 판매가 등에 의해 다수의 소매상품이만들어질 수 있다. 이 경우, 기본상품 관리부(600)에 하나의 기본상품(601)을 등록하고, 소매상품 관리부(610)에 동일한 기본상품 식별번호를 가진 다수의 소매상품(611)을 등록하여 관리한다. 이제, 도7을 참고로 하여, 소매상품(510)을 판매상품(700)과 등록상품(710)으로 구분하여 처리하기 위하여, 본발명에 따른 상품 판매 관리 시스템에 추가되는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판매상품(700)은 공급관련 정보(501)와, 물품구성정보(502)와, 판매가 등 판매정책을 포함하는 판매관련 정보(703)로 구성되며, 등록상품(710)은 공급관련 정보(511)와, 물품구성정보(512)와, 판매관련 정보(713)와, 쇼핑몰 별 서비스 운영관련 정보 등을 포함하는 등록관련 정보(714)를 결합하여 구성되며, 판매상품(700)에 대한 참조(720)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도8을 참고로 하여, 도7에 나타난 소매상품(510)을 판매상품(700)과 등록상품(710)으로 구분하여 처리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상품 판매 관리 시스템의 상품관리 모듈(210)에 추가되는 구성과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판매상품 관리부(800)는 다수의 판매상품(801)들을 관리하며, 등록상품 관리부(810)는 다수의 등록상품(811)들을 관리한다.
쇼핑몰 별로 요구되는 상품 등록정보가 다르기 때문에, 하나의 판매상품이 다수의 등록상품으로 구성되며, 등록상품 정보를 이용하여 쇼핑몰 상품등록 연계처리가 이루어진다. 이 경우, 판매상품 관리부(800)에 기본상품 정보와 판매 관련 정보를 결합한 판매상품(801)을 등록하고, 등록상품 관리부(810)에 동일한 판매상품 식별번호를가진 쇼핑몰 별 등록상품(811)을 등록하여 관리한다.
이제, 도9를 참고로 하여, 재고 상품을 관리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상품 판매 관리 시스템의 재고관리 모듈(200)의 물품정보 관리부(201) 추가되는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물품정보 관리부(201)는 관리의 편의 및 효율성을 위해, 다수의 물품(904)들의 집합을 정의하는 구성물품목록(903)과, 구성물품목록(903)에 속하는 물품(904)들의 공통적인 속성인 관리관련 속성(902)으로 구성되는 재고상품 정보(901)들을 관리한다.
사이즈, 색상 등 물품규격에 의해 구분되는 다수의 물품을 등록하는 경우, 해당 물품들의 공통적인 관리 관련속성(902)과 구성물품목록(903)으로 이루어진 재고상품을 정의하여, 물품들을 물품정보 관리부(201)에 일괄적으로 등록한다. 이 경우, 동일한 재고상품에 속하는 물품들은 관리 관련 속성을 공유하기 때문에, 관리 관련 속성의 변경을 쉽게 처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10을 참고로 하여, 주문정보를 관리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상품 판매 관리 시스템의 주문처리모듈(220)에 추가되는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주문정보(1000)는, 정상 주문정보(120)와, 다수의 주문품목(123)으로 구성된 주문품목 정보(122)를 포함하는 정상 주문(1010)과, 정상 주문(1010)의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클레임 주문 정보(1021)와, 다수의 클레임 주문품목(1023)으로 구성된 클레임품목 정보(1022)를 포함하는 다수의 클레임 주문(1020)들을 포함한다. 주문의 처리과정에서 클레임이 발생하는 경우, 클레임이 발생한 주문을 식별한 후, 해당 주문에 클레임 주문정보(1021)와 취소, 교환이 발생한 클레임 품목정보(1022)를 포함한 클레임 주문(1020)을 추가한다. 클레임 주문이 등록되는 경우, 일부 주문품목은 발송의 대상이 되고, 발송된 주문이 반품되는 경우는 수취의 대상이 되기때문에, 정상주문과(1010)과 관련된 클레임 주문(1020)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이제, 도11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클레임 주문을 구분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클레임 주문(1020)은 주문을 취소하는 취소주문(1110)과, 주문품목의 변경 및 교환을 하는 교환주문(1120)으로구분된다. 취소주문(1110)의 경우, 품절 등의 상황에 의해 판매자가 주문을 취소하는 판매취소(1111), 구매자의 변심 등에 의해 주문을 취소하는 구매취소(1112)으로 구분된다. 교환주문(1120)의 경우, 반품 이전에 배송처리를 하는 동시교환(1121), 반품 이후에 배송처리를 하는 순차교환(1122)으로 구분하여 주문을 처리한다.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재고관리 모듈(200)의 물품정보 관리부( 201)에서 물품정보(110)를 관리하고, 상품관리 모듈(210)에서 상품정보(100)를 관리함으로써, 물품관리와 상품관리를 명확히 구분할 수있으며, 상품관리 모듈(210)을 기본상품 관리부(600)와 판매상품 관리부(800), 등록상품 관리부(810)로 구분하여 관리함으로써, 수명주기나 관리수준이 다른 상품정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주문관리 모듈(220)을 주문정보 관리부(400)와 배송정보 관리부(410)로 구분하고, 주문정보 관리부(400)에서는 출주문 정보(401)와 입주문 정보(402)를 통합하고, 각 주문정보는 정상주문(1010)과 클레임 주문(1020)을 통합하여 처리한다. 그리고, 배송정보 관리부(410)는 출배송 정보(412)와 입배송 정보(411)를 통합함으로써,주문처리 중에 발생하는 취소, 교환 등의 클레임을 예외처리 등 특별한 프로세스가 아닌 기본 프로세스로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POS(판매시점관리) 시스템 등을 사용하는 오프라인 판매관리의 경우에는, 주문, 배송준비, 발송, 수취,구매확정 등의 프로세스가 판매시점에 축약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본 발명을 이용하는 경우 쉽게 적용이 가능하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Claims (1)

  1. 상품 판매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물품식별번호를 포함하는 물품정보(110)를 관리하는 물품정보 관리부(201)와, 다수의 창고의 재고수량 관리와통제를 수행하는 재고수량 관리부(202)를 포함하는 재고관리 모듈(200);
    상거래 관련 정보(101)와, 물품에 대한 참조(131)을 포함하는 물품선택 항목(103)들로 구성되는 물품 구성 정보(102)를 포함하는 상품정보(100)를 관리하는 상품관리 모듈(210);
    상기 물품정보(110)과 상품 정보(100)를 이용하여 주문 정보(120)에 따른 주문처리를 하는 주문처리 모듈(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판매관리 시스템.
KR1020210039661A 2021-03-26 2021-03-26 온라인 쇼핑몰과 연동 가능한 쇼핑몰 통합 관리 방법 KR202201342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661A KR20220134249A (ko) 2021-03-26 2021-03-26 온라인 쇼핑몰과 연동 가능한 쇼핑몰 통합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661A KR20220134249A (ko) 2021-03-26 2021-03-26 온라인 쇼핑몰과 연동 가능한 쇼핑몰 통합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4249A true KR20220134249A (ko) 2022-10-05

Family

ID=83596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9661A KR20220134249A (ko) 2021-03-26 2021-03-26 온라인 쇼핑몰과 연동 가능한 쇼핑몰 통합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424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33347B2 (en) Systems and/or methods for selling non-inventory items at point-of-sale (POS) locations
KR101568134B1 (ko) 상품 판매 관리 시스템
US20200242579A1 (en) Product catalog services
US8498888B1 (en) Cost-based fulfillment tie-breaking
US10891644B2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reinforcing desirable consumer behaviors with surprise rewards
Imeokparia Inventory management system and performance of food and beverages companies in Nigeria
JP6130566B1 (ja) 解約処理システム
CN116703292A (zh) 一种退货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KR102205214B1 (ko) 이원화 관리 유저 인터페이스 및 이를 이용한 상품 정보 관리 시스템
KR20220134249A (ko) 온라인 쇼핑몰과 연동 가능한 쇼핑몰 통합 관리 방법
Becker et al. Retail information systems based on SAP products
JP7438041B2 (ja) 在庫評価装置
CN112270582A (zh) 商品的采购管理方法、平台、设备和存储介质
US20200184446A1 (en) Method and system for centralized checkout process
US20220383337A1 (en) Cross-entity transaction and return data integration services
JP5884541B2 (ja) 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2002157315A (ja) 商品管理システム、その方法、プログラム及びサーバ
US11334844B1 (en) Electronic marketplace drop shipping
US20220383398A1 (en) Virtual, inferred, and derived planograms
CN106355463A (zh) 一种基于jsp技术的在线订单管理系统
Olunlade et al. Intelligent ways for enhancing the process of placing, retrieving, and receiving orders for products and services from a virtual shop
KR20100081468A (ko) 물건 관리 시스템
US20150066741A1 (en) Method and system for payment distribution for consigned items
WO2022220703A1 (ru) Информационная система для электронной торговли пищевыми продуктами и способ ее работы
US10262284B2 (en) Inventory management system for complex pac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