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3040A - 기립과 착석을 보조하고 착석감을 개선하기 위한 의자 - Google Patents

기립과 착석을 보조하고 착석감을 개선하기 위한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3040A
KR20220133040A KR1020210038353A KR20210038353A KR20220133040A KR 20220133040 A KR20220133040 A KR 20220133040A KR 1020210038353 A KR1020210038353 A KR 1020210038353A KR 20210038353 A KR20210038353 A KR 20210038353A KR 20220133040 A KR20220133040 A KR 20220133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plate
sitting
bottom plate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8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미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에이치라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에이치라이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에이치라이프
Priority to KR1020210038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3040A/ko
Publication of KR20220133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30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2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 A47C1/121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having tipping-up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6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of legless type, e.g. with seat directly resting on the floor; Hassocks; Pouff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6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means, or adapted, for inclining the legs of the chair or stool for varying height of sea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A47C9/005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with forwardly inclined seat, e.g. with a knee-supp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립과 착석을 보조하고 착석감을 개선하기 위한 의자에 관한 것으로, 탄성을 갖는 소재를 절곡하여 전방은 절곡부(100)에 의하여 연결되고 후방은 서로 벌어져 탄성을 갖도록 형성된 좌판(200)과 바닥판(300); 상기 좌판(200)과 바닥판(300) 사이에 구비되는 스프링(410)(420)(43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성형성이 향상되고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한 기립과 착석을 보조하고 착석감을 개선하기 위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립과 착석을 보조하고 착석감을 개선하기 위한 의자{A chair to assist standing and seating and to improve seating comfort}
본 발명은 기립과 착석을 보조하고 착석감을 개선하기 위한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탄성을 갖는 소재를 절곡하여 전방은 절곡부에 의하여 연결되고 후방은 서로 벌어진 좌판과 바닥판을 형성하되 절곡부 열화를 최소화하면서 기립과 착석시 텐션을 더하기 위하여 좌판과 바닥판 사이에 스프링을 설치하여 성형성이 향상되고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한 기립과 착석을 보조하고 착석감을 개선하기 위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
앉아서 생활이 편리하도록 개발된 의자는 사용자가 편안하고 안락함을 느끼도록 하면서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일반적인 의자는 지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시켜주는 다리와 상기 다리 상부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앉은 자세를 별도이 노력없이 유지할 수 있도록 엉덩이부분을 받쳐주는 좌판 및 상기 좌판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좌판은 통상 합성수지, 목재, 철재 등 판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기본으로 하여 그 용도에 따라 변형하여 사용하는데, 그 예로는 등받이가 없는 형태의 스툴, 여러명이 앉을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된 벤치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바닥에 앉아서 생활이 편리하도록 다리가 없는 형태의 좌식의자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의자들의 좌판은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오랫동안 앉은 자세로 작업하더라도 편안함을 유지하도록 쿠션재가 설치되고, 야외에 사용되는 의자의 경우 빗물 등에 의하여 쿠션재를 사용할 수 없어서 쿠션재없이 제조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쿠션재가 없거나 있더라도 쿠션재의 양이 충분하지 못한 경우 오랫동안 앉아서 작업하면 하중이 충분히 분산되지 못하여 엉덩이에 무리가 오고 이로 인하여 허리 등 신체에 이상이 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쿠션재를 사용할 수 없거나 사용하더라도 충분한 양을 사용하지 못하는 조건의 의자에서도 하중을 충분히 분산시킬 수 있는 의자가 요구되고 있다.
더욱이, 좌식 의자는 다리가 없어 좌판이 발의 위치와 대응되는 바닥에 위치되므로, 앉는 과정에서 엉덩방아 찧듯이 풀석 주저앉게 되므로 엉덩이 등에 큰 충격이 발생되는데, 특히 노인 등 관절이나 근육이 약한 사용자의 경우 앉을때 더욱 큰 충격이 발생되므로 순간적으로 당황하거나 놀라는 경우가 있을 뿐 아니라 인체에 무리가 발생되고, 또한 이러한 좌식의자의 좌판은 좌판의 쿠션재 외에는 착석자의 하중을 분산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가 없어 착석감 개선을 위한 구조의 개선이 요구되었다.
아울러 상기한 좌식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일어나는 경우 근력으로만 일어나야하므로 노약자의 경우 일어나기가 쉽지 않으므로 이를 도와줄 수 있는 수단의 개발이 요구된다.
등록특허 10-2189340 공개특허 10-2017-0024691
본 발명은 상기한 요구에 의하여 발명된 것으로, 탄성을 갖는 소재를 절곡하여 전방은 절곡부에 의하여 연결되고 후방은 서로 벌어져 탄성을 갖도록 좌판과 바닥판을 형성하되, 절곡부 열화를 최소화하면서 기립과 착석시 텐션을 더하기 위하여 좌판과 바닥판 사이에 스프링을 설치하여 성형성이 향상되고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한 기립과 착석을 보조하고 착석감을 개선하기 위한 의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등받이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탄성을 갖는 소재를 절곡하여 전방은 절곡부에 의하여 연결되고 후방은 서로 벌어져 탄성을 갖도록 형성된 좌판과 바닥판; 상기 좌판과 바닥판 사이에 구비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립과 착석을 보조하고 착석감을 개선하기 위한 의자에 있다.
상기에서 탄성을 갖는 소재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판을 사용한다.
아울러, 상기 스프링은 코일스프링, 판스프링, 토션스프링 중 택일하여 사용한다.
또한 상기 좌판에는 등판이 더 구비되며, 상기 등판은 각도조절수단에 의하여 그 각도가 조절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스프링의 텐션으로 앉을때는 갑자가 풀석 주저앉는 일이 발생하지 않고 설때는 스프링의 복원력이 엉덩이를 밀어주어 쉽게 일어설 수 있도록 함으로 노약자의 기립과 착석을 도와주어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착석할 때 스프링의 텐션으로 체중을 분산하여 엉덩이, 허리에 충격 부담을 줄이고, 기립할 때 역시 스프링의 텐션을 이용하여 무릎과 허리에 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좌식생활을 하는 실내 공간에 적용시 기립과 착석을 도울 뿐 아니라 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사용자의 하중을 골고루 분산해주어 편안함과 체형이 삐뚫어지는 것을 방지해주고, 돌봄이 필요한 노약자의 경우 등받이 등에 의하여 앉은자세를 유지할 수 있어 노약자의 식사시 신체가 앞으로 숙여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노약자 돌봄에 효과적이다.
또한, 하나의 탄성 소재로 바닥판과 좌판을 일체로 형성하고, 이에 스프링만 부착하면 되므로 제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를 나타내는 도면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를 나타내는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절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 등받이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립과 착석을 보조하고 착석감을 개선하기 위한 의자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 3, 5는 사용자가 앉기 전의 의자를 나타내고, 도 2, 4, 6은 사용자가 앉은 상태의 의자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기립과 착석을 보조하고 착석감을 개선하기 위한 의자는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을 갖는 소재를 절곡하여 전방은 절곡부(100)에 의하여 연결되고 후방은 서로 벌어져 탄성을 갖도록 형성된 좌판(200)과 바닥판(300); 상기 좌판(200)과 바닥판(300) 사이에 구비되는 스프링(410)(420)(4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탄성을 갖는 소재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판을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좌판(200)과 바닥판(300)은 소정각도(30°)이하의 각도를 갖도록 절곡 형성되어 사용자가 앉거나 설때 꺾인 각도에 의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좌판(200)에 하중이 가해지면서 절곡부(100)가 반복적으로 접혔다 펴져야 하므로 상기 절곡부는 사용 중 찢어지는 등의 손상이 발생되므로, 이를 방지하면서 좌판(200)에 탄성을 더하기 위하여 좌판(200)과 바닥판(300) 사이에 스프링(410)(420)(430)을 설치한다.
상기 스프링(410)(420)(430)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코일스프링,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판스프링,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토션스프링 중 택일하여 사용한다.
상기에서 코일스프링(410)을 사용하는 경우 다수개의 코일스프링(410)을 서로 이격시켜 설치하여 사용자의 자세가 틀어져 하중이 골고루 분산되지 않더라도 그에 따른 하중들을 각각의 코일스프링(410)이 수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세교정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그 예로 코일스프링(410) 4개를 사용하여 좌판(200)과 바닥판(300) 사이의 전방에 서로 이격시켜 2개, 후방에 이격시켜 2개를 설치한다.
그리고 판스프링(420)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판스프링(420)은 하부로 호모양으로 돌출된 돌출부(422)와, 상기 돌출부(422)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형성되어 좌판(200) 저면과 마찰되는 전/후방 연장부(424)(425), 상기 전방 연장부(424)선단이 절곡형성되어 바닥판(300)에 결합되는 바닥판 결합부(427), 상기 후방 연장부(425)를 지지하는 가이드(42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429)는 좌판에 별도로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등판이 홈을 형성함으로써 가이드 역할을 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420)은 중심에 1개만 설치할 수도 있고,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심과 양측 가장자리에 다수개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중심과 양측 가장자리에 총 3개를 설치하는 경우 중심에 비하여 하중이 비교적 적게 걸리는 가장자리는 폭이 얇은 판스프링을 사용할 수도 있다.
토션스프링(430)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토션스프링(430)은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아 같이 바닥판(300)의 후방에 설치하여 토션스프링(430)의 연장부(432)를 각각 좌판(200)과 바닥판(300)에 대응되도록 구비하여 충분한 탄성을 갖도록 하면서 앉은 상태에서 좌판(200)과 바닥판(300) 사이의 두께가 스프링에 의하여 두꺼워지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토션스프링(430)의 연장부(432) 외주면이 좌판(200) 하부와 접하면서 슬라이딩되도록 하여 토션스프링(430)의 압착을 원활하게 하는데, 이를 위하여 토션스프링(430)의 연장부 선단부는 바닥판(300)을 향하여 소정 각도 휘어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토션스프링(430)은 양측부에 각각 설치하는 등 2개 이상 설치하여 사용한다.
상기 좌판(200)에는 등판(500)이 더 구비되며, 상기 등판(500)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도조절수단(600)에 의하여 그 각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각도조절수단(600)은 일반적인 의자에 적용되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든 적용이 가능하며, 그 예로는 외주에 다수개의 치형이 형성된 기어(610),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되어 기어의 치형과 맞물리거나 해제되는 래치(6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등판(500)은 좌판과 별도 구성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판(100)과 좌판(200)에 연결된 1장의 판을 절곡하여 형성할 수도 있는데, 등판(500)의 지지력 확보를 위하여 상기 등판(500)은 절곡하여 2겹으로 형성하고, 접힌상태가 벌어지지 않도록 걸림구(700)를 더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의자는 벤치를 구성하는 프레임에 바닥판을 설치하여 사용하거나, 그 자체로 바닥 혹은 침대 위 등에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최근 요양원이 낙상문제로 인하여 침대사용을 기피하는 상황에서 혼자 앉은 자세를 유지하기가 어려운 노약자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의자를 사용할 경우 앉은자세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고, 식사시에 등받이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뒤로 다소 젖히면 몸이 앞으로 숙여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노약자 돌봄에 효과적이며, 노약자를 의자에 앉히거나 의자로부터 서도록 하는 과정에서 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갑자기 엉덩방아를 찧듯이 앉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일어서는 동작을 도와준다.
200 : 좌판 300 : 바닥판
410, 420, 430 : 스프링 500 : 각도조절수단

Claims (5)

  1. 탄성을 갖는 소재를 절곡하여 전방은 절곡부(100)에 의하여 연결되고 후방은 서로 벌어져 탄성을 갖도록 형성된 좌판(200)과 바닥판(300);
    상기 좌판(200)과 바닥판(300) 사이에 구비되는 스프링(410)(420)(4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과 착석을 보조하고 착석감을 개선하기 위한 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코일스프링(410)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과 착석을 보조하고 착석감을 개선하기 위한 의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판스프링(420)을 사용하고, 상기 판스프링(420)은 하부로 호모양으로 돌출된 돌출부(422)와, 상기 돌출부(422)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형성되어 좌판(200) 저면과 마찰되는 전/후방 수평부(424)(425), 상기 전방 수평부(424)선단이 절곡형성되어 바닥판(300)에 결합되는 바닥판 결합부(427), 상기 후방 수평부(425)를 지지하는 가이드(429)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과 착석을 보조하고 착석감을 개선하기 위한 의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토션스프링(430)을 사용하고, 상기 토션스프링(430)은 바닥판(300)의 후방에 설치하여 토션스프링(430)의 연장부(432)를 각각 좌판(200)과 바닥판(300)에 마찰되도록 설치하되, 좌판(200)과 마찰되는 상기 토션스프링(430)의 연장부(432)는 그 외주면이 좌판(200) 하부와 마찰되도록 바닥판(300)을 향하여 소정 각도 휘어지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과 착석을 보조하고 착석감을 개선하기 위한 의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200)에는 등판(500)이 더 구비되며, 상기 등판(500)은 각도조절수단(600)에 의하여 그 각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과 착석을 보조하고 착석감을 개선하기 위한 의자.
KR1020210038353A 2021-03-24 2021-03-24 기립과 착석을 보조하고 착석감을 개선하기 위한 의자 KR202201330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353A KR20220133040A (ko) 2021-03-24 2021-03-24 기립과 착석을 보조하고 착석감을 개선하기 위한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353A KR20220133040A (ko) 2021-03-24 2021-03-24 기립과 착석을 보조하고 착석감을 개선하기 위한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3040A true KR20220133040A (ko) 2022-10-04

Family

ID=83600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8353A KR20220133040A (ko) 2021-03-24 2021-03-24 기립과 착석을 보조하고 착석감을 개선하기 위한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304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4691A (ko) 2015-08-26 2017-03-08 허동구 등받이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매트형 좌식 의자
KR102189340B1 (ko) 2020-08-18 2020-12-11 (주)씨텍코리아 좌식의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4691A (ko) 2015-08-26 2017-03-08 허동구 등받이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매트형 좌식 의자
KR102189340B1 (ko) 2020-08-18 2020-12-11 (주)씨텍코리아 좌식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10736B2 (en) Seats with twistable seat elements
JP6700487B2 (ja) 姿勢の変化に伴って変形可能な腰下敷用椅子
US20170105530A1 (en) Adjustable seat and leaning apparatus
KR101928964B1 (ko) 좌판이 슬라이드되는 접이식 의자
JP6091423B2 (ja) 座具及び椅子
AU2010308638B2 (en) A sitting arrangement
JP2013248148A (ja) ネスティング可能な椅子
JPWO2006027822A1 (ja) 着座機構及び椅子
US20060152061A1 (en) Structure of a seat of a chair
KR101198520B1 (ko) 등받이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 교정용 의자
KR200421443Y1 (ko) 보조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KR102138836B1 (ko) 좌판 틸팅구조를 갖는 의자
US20150021971A1 (en) Internal support for a backrest for a chair
JP3137036U (ja) 椅子
KR20220133040A (ko) 기립과 착석을 보조하고 착석감을 개선하기 위한 의자
KR20100002894U (ko) 척추라인 보정의자
JP3079374B2 (ja) 椅 子
KR100942429B1 (ko) 롤러식 좌판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의자
JP2013123453A (ja) 椅子の身体支持構造物の曲率変更機構
KR101320049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좌식의자
KR20190050548A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좌식용 등받이
KR102290271B1 (ko) 실버 스포츠 안락 의자
JP3245958U (ja) 椅子
JP2000270964A (ja) スイング式枕付腰掛
KR100607537B1 (ko) 운동 보조기구 겸용 사무용 무릎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