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2954A - 이동통신사의 고객 정보를 이용하는 간편 결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및 이동통신사 서버, 및 이들을 포함하는 간편 결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통신사의 고객 정보를 이용하는 간편 결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및 이동통신사 서버, 및 이들을 포함하는 간편 결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2954A
KR20220132954A KR1020210038147A KR20210038147A KR20220132954A KR 20220132954 A KR20220132954 A KR 20220132954A KR 1020210038147 A KR1020210038147 A KR 1020210038147A KR 20210038147 A KR20210038147 A KR 20210038147A KR 20220132954 A KR20220132954 A KR 20220132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user
payment
simple pay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8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7325B1 (ko
Inventor
이원태
김수년
민동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8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7325B1/ko
Priority to KR1020210061153A priority patent/KR20220133063A/ko
Publication of KR20220132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2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7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7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4Identity check for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9Device specific authentication in transaction 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사용자에게 간편 결제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품 판매 서버에서 제공하는 소정의 페이지에 접속할 때, 이동통신사 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간편 결제를 이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인증하기 위한 회선 인증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간편 결제를 이용할 수 있는 경우, 상기 회선 인증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회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회선 인증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간편 결제를 이용하여 소정의 결제를 진행하는 경우, 상기 회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간편 결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사의 고객 정보를 이용하는 간편 결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및 이동통신사 서버, 및 이들을 포함하는 간편 결제 시스템 {METHOD OF SIMPLE PAYMENT USING CUSTOMER INFORM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USER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PERFORMING METHOD, AND SIMPLE PAYMENT SYSTEM INCLUDING SAME}
본 발명은 이동통신사의 고객 정보를 이용하는 간편 결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및 이동통신사 서버, 및 이들을 포함하는 간편 결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온라인 쇼핑몰의 경우, 간편결제 방식과 언택트 트렌드의 확산으로 인해 최근에는 매년 거래액이 늘고 있다. 최근의 온라인 쇼핑몰은 소셜미디어 플랫폼 또는 개인방송 플랫폼 등과 연계함으로써, 고객이 소셜미디어 또는 개인방송에서 본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을 바로 구입으로까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하지만, 중소형 온라인 쇼핑몰은 이와 같은 다른 플랫폼과의 연계를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인데, 이는 중소형 온라인 쇼핑몰의 경우, 소비자가 대형 포털사이트에서 상품을 검색하고, 대형 포털사이트에서 생성된 링크 또는 대형 포털사이트에서 검색된 온라인 쇼핑몰의 주소를 통해 상품 구매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즉, 포털사이트에서 외부 링크(온라인 쇼핑몰)로 진입하면, 소비자는 해당 온라인 쇼핑몰에 회원 가입을 해야만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데, 회원 가입을 신뢰하지 못하거나 불편하다고 생각하는 고객은 해당 온라인 쇼핑몰에서 상품을 구매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고객이 회원 가입을 하더라도 온라인 쇼핑몰의 결제 인터페이스가 사용자에게 편의적이지 않은 경우, 고객은 결제 인터페이스로 인해 상품을 구매하지 않을 가능성 또한 있다.
한편, 위와 같은 구매 중단 가능성을 줄이기 위하여, 중소형 온라인 쇼핑몰은 대형 포털사이트에서 제공하는 간편 결제 기능을 사용할 수 있지만, 대형 포털사이트에서 제공하는 간편 결제 기능은 사용 수수료가 높아, 중소형의 온라인 쇼핑몰에게는 부담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온라인 쇼핑몰에게는 수수료 걱정 없으면서도, 고객의 회원 가입이 필요없고, 편리한 결제 인터페이스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동통신사에서 관리하는 구매자의 고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구매자에게 간편 결제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사용자에게 간편 결제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품 판매 서버에서 제공하는 소정의 페이지에 접속할 때, 이동통신사 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간편 결제를 이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인증하기 위한 회선 인증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간편 결제를 이용할 수 있는 경우, 상기 회선 인증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회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회선 인증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간편 결제를 이용하여 소정의 결제를 진행하는 경우, 상기 회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간편 결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선 식별 정보는,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가 상기 회선 인증 요청에 대한 헤더 강화(Header Enrichment) 인증 절차를 수행한 결과로 상기 회선 인증 응답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회선 식별 정보는,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가 상기 회선 인증 요청의 헤더에 상기 사용자 단말의 IP 주소를 추가함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에서 획득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간편 결제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간편 결제를 이용하여 소정의 결제를 진행하는 경우, 상기 회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정당 사용자임을 확인하는 본인 확인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본인 확인 인증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정당 사용자라고 확인된 경우, 상기 간편 결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인 확인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본인 확인 인증에 이용되는 비밀번호를 기 설정한 경우, 상기 기 설정된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비밀번호가 기 설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정당 사용자임을 인증하는 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사 서버가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게 간편 결제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상품 판매 서버에서 제공하는 소정의 페이지에 접근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간편 결제를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인증하기 위한 회선 인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회선 인증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가 제공하는 상기 간편 결제를 이용 가능한 단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의 결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간편 결제를 이용 가능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간편 결제를 제공하는데 이용되는 회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회선 인증 응답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간편 결제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회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간편 결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회선 인증 요청에 헤더 강화(header enrichment)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헤더 강화 인증 절차의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에서 제공하는 상기 간편 결제를 이용 가능한 단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회선 인증 요청의 헤더에 추가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IP 주소에 할당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에서 제공하는 상기 간편 결제가 이용 가능한 단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의 간편 결제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회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간편 결제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간편 결제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정당 사용자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본인 확인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본인 확인 인증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정당 사용자임이 확인된 경우, 상기 간편 결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인 확인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본인 확인 인증에 이용되는 비밀번호가 기 설정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기 설정된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비밀번호가 기 설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정당 사용자 임을 확인하는 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게 간편 결제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은, 상품 판매 서버 및 이동통신사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기; 및 상기 송수신기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수신기를 제어하여, 상기 상품 판매 서버에서 제공하는 소정의 페이지에 접근할 때,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간편 결제를 이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인증하기 위한 회선 인증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송수신기를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간편 결제를 이용할 수 있는 경우, 상기 회선 인증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회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회선 인증 응답을 수신하고, 상기 간편 결제를 이용하여 소정의 결제를 진행하는 경우, 상기 회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간편 결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게 간편 결제를 제공하는 이동통신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품 판매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기; 및 상기 송수신기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수신기를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상품 판매 서버에서 제공하는 소정의 페이지에 접근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간편 결제를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인증하기 위한 회선 인증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회선 인증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가 제공하는 상기 간편 결제를 이용 가능한 단말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송수신기를 제어하여, 상기 판단의 결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간편 결제를 이용 가능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간편 결제를 제공하는데 이용되는 회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회선 인증 응답을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간편 결제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회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간편 결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는, 상품 판매 서버에서 제공하는 소정의 페이지에 접속할 때, 이동통신사 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간편 결제를 이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인증하기 위한 회선 인증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간편 결제를 이용할 수 있는 경우, 상기 회선 인증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회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회선 인증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간편 결제를 이용하여 소정의 결제를 진행하는 경우, 상기 회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간편 결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사용자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사용자에게 간편 결제를 제공하는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상품 판매 서버에서 제공하는 소정의 페이지에 접근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간편 결제를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인증하기 위한 회선 인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회선 인증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가 제공하는 상기 간편 결제를 이용 가능한 단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의 결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간편 결제를 이용 가능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간편 결제를 제공하는데 이용되는 회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회선 인증 응답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간편 결제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회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간편 결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동통신사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게 간편 결제를 제공하는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쇼핑몰 서버는 이동통신사 서버에서 관리하는 구매자의 고객 정보를 이용하여, 구매자에게 간편 결제를 제공함으로써, 구매자에게 회원 가입이 필요 없으면서 간편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쇼핑몰 서버는, 이동통신사 서버에서 제공하는 본인 확인 기능을 이용하여 간편 결제를 진행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고, 편의적인 결제 기능을 구매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쇼핑몰 서버는 대형 포털사이트에서 제공하는 간편 결제에 비해 수수료가 적거나 없는 간편 결제를 구매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편 결제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소정의 페이지에 접속할 때 회선 인증을 수행하는 간편 결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결제 진행 과정에서 회선 인증을 수행하는 간편 결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결제 대행 서버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간편 결제 시스템의 간편 결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이 셀룰러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쇼핑몰 서버에 접속한 경우, 사용자 인증 서버에서 사용자 단말에 대한 회선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사용자 단말의 회선 인증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간편 결제 버튼의 일 예시를 나타낸다.
도 7은 사용자가 본인 확인을 위한 비밀번호를 설정한 경우에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일 예시를 나타낸다.
도 8은 사용자가 본인 확인을 위한 비밀번호를 설정하지 않은 경우에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일 예시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회선이 인증된 경우,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간편 결제의 일 예시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회선이 인증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간편 결제의 일 예시를 나타낸다.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들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편 결제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간편 결제 시스템(10)은 사용자 단말(100), 쇼핑몰 서버(200), 사용자 인증 서버(300) 및 결제 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온라인 쇼핑몰에서 상품 또는 서비스를 구경하고, 이동통신사에서 제공하는 간편 결제를 이용하여 상품 구매 대금 또는 서비스 이용 대금을 지불함으로써, 온라인 쇼핑몰에서 상품을 구매하거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간편 결제'라 함은,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가 이용하거나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가 인증 가능한 이동통신사를 통해 본인 인증 및 결제를 진행함으로써, 쇼핑몰에 대한 별도의 회원 가입이 필요 없이 사용자 단말(100)이 쇼핑몰에서의 상품의 구매, 서비스 이용 등에 대한 결제를 진행할 수 있는 결제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셀룰러 네트워크나 와이파이 등 모바일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거나,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컴퓨터, PC 등의 장치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소정의 페이지(예컨대, 상품의 구매 상세 페이지 등 상품의 구매 의사를 결정하기 위한 페이지)에 접근하거나, 그 이후에(예컨대, 상품의 대금 결제 방식으로 간편 결제를 선택했을 때), 헤더 강화(Header Enrichment) 또는 사용자 직접 인증 방식(예컨대, 사용자가 개인 정보 및 인증 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 자신이 사용자 인증 서버(300)를 관리하는 이동통신사의 회선임을 인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상품의 구매 대금을 결제하고자 할 때, 사용자 인증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본인 확인 인증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의 정당 사용자임을 인증할 수 있다.
쇼핑몰 서버(200)는 고객(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에게 온라인으로 상품을 판매하고, 이동통신사에서 관리하는 고객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0)에게 간편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쇼핑몰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이 소정의 페이지에 접근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0)에게 간편 결제 서비스 이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간편 결제 버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100)이 간편 결제를 이용하기로 결정하는 경우, 쇼핑몰 서버(200)는 사용자 인증 서버(300)를 이용하여 회선 인증 및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사용자 단말(100)에게 결제 서버(400)를 통한 간편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쇼핑몰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이 사용자 인증 서버(300)에 의해 회선이 식별된 사용자 단말인지 여부에 따라(예컨대, 헤더 강화(Header Enrichment) 인증을 통해 회선이 인증된 단말인지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간편 결제 버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 인증 서버(300)에 의해 회선이 헤더 강화 인증을 통해 식별된 사용자 단말(100)의 경우, 쇼핑몰 서버(200)는 해당 이동통신사에서 관리하는 고객 정보를 이용하여 상품의 대금 결제를 진행할 수 있으며, 해당 간편 결제 버튼을 입력하는 경우, 해당 회선을 통해 결제될 것임을 사용자 단말(100)에게 알려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쇼핑몰 서버(200)의 선택에 따라, 쇼핑몰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이 사용자 인증 서버(300)에 의해 회선이 식별되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사용자 단말(100)에게 동일한 간편 결제 버튼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의 (a)는 사용자 단말(100)이 셀룰러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쇼핑몰의 소정의 페이지에 접속함으로써, 사용자 인증 서버(300)에 의해 회선이 식별된 경우(즉, 헤더 강화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의 회선 정보가 획득된 경우), 쇼핑몰 서버(200)가 사용자 단말(100)의 전화번호 중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여 간편 결제 버튼을 제공하는 방법의 일 예시이고, 도 5의 (b)는 쇼핑몰 서버(200)가 사용자 단말(100)의 전화번호를 표시하지 않고 간편 결제 버튼을 제공하는 방법의 일 예시를 나타낸다.
도 6의 (a)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이 셀룰러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의 페이지에 접속함으로써 사용자 단말(100)의 회선이 식별된 경우, 사용자 단말(100)이 자신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결제가 진행됨을 인지할 수 있도록, 쇼핑몰 서버(200)는 제1 간편 결제 버튼(BTN_1)에 사용자 단말(100)의 전화번호 중에서 적어도 일부인 "010-1***-*234"를 포함시켜 사용자 단말(1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반면, 도 6의 (b)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이 소정의 페이지에 접근할 때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회선 인증이 수행되지 않거나, 사용자 단말(100)이 소정의 페이지에 접근할 때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회선 인증을 수행하더라도 쇼핑몰 서버(200)에서 사용자 단말(100)의 전화번호를 제공하지 않기로 결정한 경우, 쇼핑몰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의 전화번호를 포함하지 않는 제2 간편 결제 버튼(BTN_2)을 사용자 단말(1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100)이 WiFi나 유선 네트워크 등을 이용하여 쇼핑몰 서버(200)에 접속하거나, 사용자 단말(100)이 사용자 인증 서버(300)를 관리하는 이동통신사가 아닌 다른 이동통신사를 이용하는 단말인 경우,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회선 인증이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이 WiFi나 유선 네트워크 등을 이용하여 쇼핑몰 서버(200)에 접속한 경우라면, 도 10을 이용하여 후술할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직접 인증 방식을 통해 간편 결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이 다른 이동통신사를 이용하는 단말인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인증 서버(300)가 사용자 단말(100)의 IP 주소를 상기 다른 이동통신사에게 전달함으로써, 상기 다른 이동통신사를 통해 간편 결제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결제 대행 서버를 통해 휴대폰 결제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간편 결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쇼핑몰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간편 결제 방식은 사용자 단말(100)이 사용자 인증 서버(300)에 의해 회선이 식별된 단말인지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는, 사용자 단말(200)의 회선이 식별되지 않은 경우, 추가 과정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이 이용하는 이동통신사 및 사용자 단말(100)이 휴대폰 결제가 가능한 단말인지 여부를 파악해야 하기 때문이다. 회선 식별 여부에 따라 상이한 간편 결제 절차는 도 9 및 도 10을 통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간편 결제 버튼(button)은 상기 소정의 페이지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위치에 구현된 간편 결제 선택 인터페이스 뿐만 아니라, 팝업 윈도우 등 상기 소정의 페이지로부터 파생된 별개의 페이지에 구현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른 결제 방식과 구분되는 '간편 결제 서비스' 그 자체를 선택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 뿐만 아니라, 간편 결제 서비스의 이용을 '예' 또는 '아니오'로 선택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사용자 단말(100)이 접속하여 상품을 구매하는 대상을 쇼핑몰 서버(200)라고 지칭하고 있지만,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간편 결제 방법은 쇼핑몰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즉, 실시예에 따라, 쇼핑몰 서버(200)는 유형의 상품뿐만 아니라 무형의 상품(예컨대, 음악, 동영상, 온라인 북 등)을 판매하는 쇼핑몰에도 적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에게 상품이 아닌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서비스 제공료를 받는 서버도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이 넓은 의미에서 무형의 상품에 포함된다고 보는 경우, 쇼핑몰 서버(200)는 상품 판매 서버 또는 상품 제공 서버를 의미할 수도 있다.
사용자 인증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의 회선 인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 단말(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사용자 인증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소정의 페이지에 접속하거나, 결제 방식으로 간편 결제를 선택한 사용자 단말(100)이 간편 결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회선인지 여부를 문의하는 회선 인증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IP 주소에 대해 헤더 강화 인증 절차를 수행하고, 회선 인증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써, 사용자 단말(100)이 간편 결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회선인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회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회선 인증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또한, 사용자 인증 서버(300)는, 간편 결제를 이용하여 상품(서비스)의 구입 대금을 결제하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100)에 대해, 이동통신사 측에서의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사용자 단말(100)이 간편 결제를 이용하여 상품을 구매하거나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 인증 서버(300)는 쇼핑몰 서버(200)로부터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이동통신사 측의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는 사용자 인증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인증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게 본인 확인 요청을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본인 확인 응답을 수신하면, 이에 기초하여, 쇼핑몰 서버(200)에게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가 간편 결제가 가능한 회선의 정당 사용자임을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이 쇼핑몰 서버(200)에서 상품을 구매하거나 서비스를 이용함에 따라, 쇼핑몰 서버(200)에서 사용자 단말(100)의 상품 구매 또는 서비스 이용에 따른 간편 결제가 진행되는 경우, 결제 서버(400)는 간편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결제 대행 서버가 간편 결제를 대행해주는 경우, 결제 서버(400)는 결제 대행 서버의 결제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결제를 진행할 것을 지시하는 결제 응답을 전송할 수 있고, 상기 결제 대행 서버가 간편 결제를 대행해주지 않는 경우, 결제 서버(400)는 쇼핑몰 서버(200)로부터 결제 요청을 수신하여, 결제 서버(400) 자체의 리스크 관리(Risk Management)에 기초하여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 인증 서버(300)와 결제 서버(400)는 별개의 서버로 서로 구분되는 것으로 기술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증 서버(300)와 결제 서버(400)는 이동통신사에서 관리하는 하나의 서버 내에서 사용자 인증 기능 및 결제 기능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소정의 페이지에 접속할 때 회선 인증을 수행하는 간편 결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이 쇼핑몰 서버(200)에서 상품을 구매(또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상품 페이지(또는 구매 내역 확인 페이지 등)에 접속하는 경우(S200), 쇼핑몰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에게 상품 페이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202). 상기 상품 페이지 정보는 사용자 단말(100)에게 회선 인증 요청을 수행할 것을 요청하는 스크립트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품 페이지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사용자 단말은(100)은 사용자 단말(100)의 회선(전화번호)이 간편 결제를 이용할 수 있는 회선임을 인증하기 위한 회선 인증 요청을 사용자 인증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S204).
회선 인증 요청을 수신한 사용자 인증 서버(300)는 회선 인증 요청을 전송한 사용자 단말(100)이 사용자 인증 서버(300)를 관리하는 이동통신사를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S206).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증 서버(300)는 헤더 강화(Header Enrichment)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으며, 헤더 강화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은 도 5를 통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 인증 과정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의 식별번호(예컨대, 전화번호)가 상기 이동통신사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식별번호에 해당하며, 사용자 단말(100)이 간편 결제를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의 단말임이 확인된 경우, 사용자 인증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의 회선 인증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사용자 단말(100)이 간편 결제를 이용할 수 있는 회선임을 인증하는 회선 인증 응답을 사용자 단말(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S208).
실시예에 따라, 상기 회선 인증 응답은 사용자 단말(100)의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회선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선 식별 정보는 상품 페이지 상에 표시되는 간편 결제 버튼에서 사용자 단말(100)의 전화번호 중에서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는데 이용될 수 있으며, 이후, 사용자 단말(100)의 상품 구매(또는 서비스 이용)에 따른 사용자 인증 및/또는 대금 간편 결제에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100)의 회선 인증이 완료된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간편 결제 버튼에 표시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회선 인증 응답으로 획득한 사용자 단말(100)의 전화번호 중에서 적어도 일부를 상품 페이지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100)이 상품을 구매(또는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상품 구매(또는 서비스 이용)에 대한 결제 방식으로 간편 결제를 선택한 경우(즉, 사용자 단말(100)이 간편 결제 버튼을 입력한 경우)(S210), 쇼핑몰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가 간편 결제를 이용할 수 있는 정당 사용자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본인 확인을 진행할 것을 요청하는 사용자 인증 요청을 사용자 인증 서버(300)에게 전송할 수 있다(S212).
상기 사용자 인증 요청은 사용자 단말(100)을 식별하기 위한 회선 식별 정보, 결제 정보(예컨대, 결제금액) 및 상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 요청을 수신한 사용자 인증 서버(300)는 사용자 인증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자 단말(100)의 개인 정보와 함께, 사용자 단말(100)의 정당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을 점유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본인 확인 질문을 포함하는 본인 확인 요청을 사용자 단말(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S214).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본인 확인 요청은 상품(또는 서비스)에 대한 결제 정보(예컨대, 사용자 단말(100)이 구매한 상품(또는 이용한 서비스)에 대한 거래 식별 정보), 배송 정보(예컨대, 사용자 단말(100)의 배송 정보에 해당하는 구매자 정보 및/또는 배송지 정보),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의 점유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본인 확인 정보 및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의 연락처 및 주소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본인 확인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써, 본인 확인 질문에 대한 답변에 해당하는 본인 확인 응답을 사용자 인증 서버(300)에게 전송할 수 있다(S216).
예컨대, 도 7 및 도 8을 더 참조하면, 도 7은 사용자 단말(100)에게 전송되는 본인 확인 요청의 일 예시로서, 사용자 단말(100)의 정당 사용자가 본인 확인을 위한 비밀번호를 설정한 경우에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일 예시를 나타내고, 도 8은 사용자 단말(100)에게 전송되는 본인 확인 요청의 다른 예시로서, 사용자 단말(100)의 정당 사용자가 본인 확인을 위한 비밀번호를 설정하지 않은 경우에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일 예시를 나타낸다.
즉, 사용자 단말(100)의 정당 사용자가 본인 확인 질문에 대한 비밀번호를 기 설정한 경우, 도 7과 같이,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인증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본인 확인 질문에 따라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 단말(100)의 정당 사용자가 본인 확인 질문에 대한 비밀번호를 설정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본인 확인 요청을 수신하기에 앞서 사용자 인증 서버(300)로부터 비밀번호를 설정하기 위한 본인 확인 질문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도 8과 같이, 비밀번호를 설정하기 위한 본인 확인 질문에 대한 답변을 입력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가 본인 확인 질문에 정답을 입력한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본인 확인 질문에 대한 비밀번호를 (재)설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비밀번호를 설정하기 위한 본인 확인 질문은 도 8과 달리, 자동납부 은행 뿐만 아니라, 자동납부 카드(카드사), 생년월일, SMS 인증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재)설정한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도 7에 도시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본인 확인 질문에 따른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본인 확인 응답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가 정당 사용자 임이 확인된 경우, 사용자 인증 서버(300)는, 쇼핑몰 서버(200)의 사용자 인증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써,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본인 확인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사용자 인증 응답을 쇼핑몰 서버(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S218).
상기 사용자 인증 응답은, 상품 구매(또는 서비스 이용)의 결제 서비스에 대한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복제 정보(Duplication Information, DI), 사용자 단말(100)의 전화번호, 거래 식별 정보 및 회선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 서버(300)로부터 사용자 인증 응답을 수신한 경우, 쇼핑몰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의 상품 구매(또는 서비스 이용)에 대한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S220).
이때, 실시예에 따라, 결제를 대행해주는 결제 대행 서버(500)가 존재하는 경우, 쇼핑몰 서버(200)는 결제 대행 서버(500)로 결제 요청을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결제 요청은 복제 정보, 사용자 단말(100)의 전화번호, 결제 금액, 상품 정보, 거래 식별 정보 및 회선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결제 대행 서버(500)는 자신의 리스크 관리를 적용하여(S222), 결제를 진행할 수 있으며, 결제의 진행에 따라, 결제 대행 서버(500)는 결제 서버(400)로 결제 요청을 전송할 수 있으며(S224), 결제 요청을 수신한 결제 서버(400)는 이에 대한 응답으로 결제 응답을 결제 대행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S226).
여기서, 결제 대행 서버(500)가 결제 서버(400)로 전송한 결제 요청은 회선 식별 정보, 거래 식별 정보, 결제 금액 및 상품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결제 서버(400)가 결제 대행 서버(500)로 전송한 결제 응답은 쇼핑몰 서버(200)와 결제 대행 서버(500) 사이에 진행하는 결제와 결제 대행 서버(500)와 결제 서버(400) 사이에 진행하는 결제 사이의 동일성을 나타내는 연결 정보(Connecting Information, CI)를 포함할 수 있다.
결제 서버(400)로부터 결제 응답을 수신한 결제 대행 서버(500)는 쇼핑몰 서버(200)로 결제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결제 요청이 정상적으로 진행되었음을 나타내는 결제 응답을 전송하고(S228), 쇼핑몰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에게 상품 구매 완료(서비스 이용 가능)를 전송할 수 있다(S230).
이때, 결제 서버(400)가 결제 대행 서버(500)로 전송한 결제 응답과, 결제 대행 서버(500)가 쇼핑몰 서버(200)로 전송한 결제 응답은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즉, 구매자)의 성명, 배송지, 연락처 및 주문번호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결제 응답에 포함된 정보들은 쇼핑몰 서버(200)에서 결제 이력을 관리하고 상품 배송을 진행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결제 진행 과정에서 회선 인증을 수행하는 간편 결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이 쇼핑몰 서버(200)에서 상품을 구매(또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상품 페이지(또는 구매 내역 확인 페이지 등)에 접속하는 경우(S300), 쇼핑몰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에게 상품 페이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302).
해당 상품 페이지 또는 그 이후에 접속한 상품 페이지에서 사용자 단말(100)이 상품을 구매(또는 서비스를 이용)하면서(S304), 상품 구매(또는 서비스 이용)에 대한 결제 방식으로 간편 결제를 선택한 경우, 쇼핑몰 서버(200)는 결제 진행 요청을 사용자 인증 서버(3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결제 진행 요청은 단순히 결제를 진행할 것을 요청(즉, 결제창의 전송을 요청)하는 메시지일 수 있고, 결제의 진행과 함께 회선 인증 및 본인 확인을 진행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일 수도 있다.
사용자 인증 서버(300)는, 결제 진행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에게 결제 창을 전송할 수 있다(S308).
상기 결제 창을 수신함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단말(100)의 회선(전화번호)이 간편 결제를 이용할 수 있는 회선임을 인증하기 위한 회선 인증 요청을 사용자 인증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S310).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회선 인증 요청을 수신한 경우, 사용자 인증 서버(300)는 회선 인증 요청을 전송한 사용자 단말(100)이 사용자 인증 서버(300)를 관리하는 이동통신사를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회선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S312).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증 서버(300)는 헤더 강화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 과정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의 식별번호(예컨대, 전화번호)가 상기 이동통신사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식별번호에 해당하며, 사용자 단말(100)이 간편 결제를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의 단말임이 확인된 경우, 사용자 인증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의 회선 인증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써, 사용자 단말(100)이 간편 결제를 이용할 수 있는 회선임을 인증하는 회선 인증 응답을 사용자 단말(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S314).
회선 인증이 완료된 경우, 사용자 인증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의 정당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을 점유하고 있는지 여부(즉,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가 정당 사용자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본인 확인 질문을 포함하는 본인 확인 요청을 사용자 단말(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S316).
본 명세서에서는, 본인 확인 요청은 회선 인증 응답과 구분되는 것으로서, 사용자 인증 서버(300)는 회선 인증 응답을 전송한 이후에, 본인 확인 요청을 전송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증 서버는 회선 인증 응답과 함께 본인 확인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본인 확인 요청은 상품(또는 서비스)에 대한 결제 정보(예컨대, 사용자 단말(100)이 구매한 상품(또는 이용한 서비스)에 대한 거래 식별 정보), 배송 정보(예컨대, 사용자 단말(100)의 배송 정보에 해당하는 구매자 정보 및/또는 배송지 정보),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의 점유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본인 확인 정보 및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의 연락처 및 주소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본인 확인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써, 본인 확인 질문에 대한 답변에 해당하는 본인 확인 응답을 사용자 인증 서버(300)에게 전송할 수 있다(S318).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본인 확인 응답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가 정당 사용자 임이 확인된 경우, 사용자 인증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본인 확인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본인 확인 결과를 사용자 단말(100)에 전송하고(S320), 회선 인증 및 본인 확인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결제 진행 응답을 쇼핑몰 서버(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S322).
사용자 인증 서버(300)로부터 결제 진행 응답을 수신한 경우, 쇼핑몰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의 상품 구매(또는 서비스 이용)에 대한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라, 결제를 대행해주는 결제 대행 서버(500)가 존재하는 경우, 쇼핑몰 서버(200)는 결제 대행 서버(500)로 결제 요청을 전송할 수 있으며(S324), 상기 결제 요청은 복제 정보, 사용자 단말(100)의 전화번호, 결제 금액, 상품 정보, 거래 식별 정보 및 회선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결제 대행 서버(500)는 자신의 리스크 관리를 적용하여(S326), 결제를 진행할 수 있으며, 결제의 진행에 따라, 결제 대행 서버(500)는 결제 서버(400)로 결제 요청을 전송하고(S328), 결제 요청을 수신한 결제 서버(400)는 이에 대한 응답으로 쇼핑몰 서버(200)가 요청한 결제를 진행할 것을 나타내는 결제 응답을 결제 대행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S330).
여기서, 결제 대행 서버(500)가 결제 서버(400)로 전송한 결제 요청은 회선 식별 정보, 거래 식별 정보, 결제 금액 및 상품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결제 서버(400)가 결제 대행 서버(500)로 전송한 결제 응답은 쇼핑몰 서버(200)와 결제 대행 서버(500) 사이에 진행하는 결제와 결제 대행 서버(500)와 결제 서버(400) 사이에 진행하는 결제 사이의 동일성을 나타내는 연결 정보(Connecting Information, CI)를 포함할 수 있다.
결제 서버(400)로부터 결제 응답을 수신한 결제 대행 서버(500)는 쇼핑몰 서버(200)로 결제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결제 요청이 정상적으로 진행되었음을 나타내는 결제 응답을 전송하고(S332), 쇼핑몰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에게 결제 완료에 따라 상품 구매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상품 구매 완료(서비스 이용 가능)를 전송할 수 있다(S334).
이때, 결제 서버(400)가 결제 대행 서버(500)로 전송한 결제 응답과, 결제 대행 서버(500)가 쇼핑몰 서버(200)로 전송한 결제 응답은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즉, 구매자)의 성명, 배송지, 연락처 및 주문번호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결제 응답에 포함된 정보들은 쇼핑몰 서버(200)에서 결제 이력을 관리하고 상품 배송을 진행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100)이 상품 페이지에 접속할 때 회선 인증이 이루어지는 도 2의 실시예와는 달리, 도 3의 실시예에서는 상품 페이지의 접속 이후에 사용자 단말(100)이 간편 결제를 이용하여 상품 대금(또는 서비스 이용료)을 지불하기로 결정한 때에 회선 인증이 수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간편 결제를 이용하지 않는 사용자 단말에게는 회선 인증이 수행되지 않는다는 점(즉, 결제 방법으로 간편 결제를 선택한 사용자 단말에게만 회선 인증이 수행된다는 점)에서 도 2의 실시예와 차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결제 대행 서버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간편 결제 시스템의 간편 결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도 4의 사용자 인증 응답 단계(S400)는 도 2의 사용자 인증 응답 단계(S218)와 도 3의 결제 진행 응답 단계(S322)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대한 설명 중에서 사용자 인증 응답 단계(S400) 이전에 수행되는 단계들에 대한 설명은 도 2 또는 도 3를 준용하기로 한다.
사용자 인증 서버(300)로부터 사용자 인증 응답을 수신한 경우, 쇼핑몰 서버(200)는 결제 서버(400)에게 결제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402).
결제를 대행해주는 결제 대행 서버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결제 요청은 결제 금액, 상품 정보, 거래 식별 정보 및 회선 식별 정보만을 포함할 수 있다.
결제 서버(400)는 자신의 리스크 관리를 적용하여(S404), 결제를 진행할 수 있으며, 결제의 진행에 따라, 결제 서버(400)는 결제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연결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응답을 쇼핑몰 서버(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S406).
결제 서버(400)로부터 결제 응답을 수신한 쇼핑몰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에게 상품 구매 완료(서비스 이용 가능)를 전송할 수 있다(S408).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이 셀룰러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쇼핑몰 서버에 접속한 경우, 사용자 인증 서버에서 사용자 단말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도 2,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도 5의 회선 인증 요청 단계(S500)와 회선 인증 요청 응답 단계(S512)는 도 2의 회선 인증 요청 단계(S204)와 회선 인증 요청 응답(S208) 및 도 3의 회선 인증 요청 단계(S310)와 회선 인증 요청 응답(S314)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의 나머지 단계들(S502 내지 S510)은 도 2의 회선 인증 단계(S206) 또는 도 3의 회선 인증 단계(S312)를 구체화한 내용에 해당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회선 인증 요청(예컨대, Http call)을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 인증 서버(300) 또는 별도의 이동통신사 서버(예컨대, X-forward 서버)는 회선 인증 요청의 헤더에 사용자 단말(100)의 IP 주소를 추가하고(S502), 헤더에 IP 주소가 추가된 회선 인증 요청을 결제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S504).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의 IP 주소는 사용자 단말(100)이 생성한 회선 인증 요청에 포함되어 사용자 인증 서버(300) 또는 별도의 이동통신사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결제 서버(400)는 회선 인증 요청의 헤더로부터 사용자 단말(100)의 IP 주소를 추출하는데, 사용자 단말(100)이 셀룰러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쇼핑몰 서버(200)에 접속한 경우, 상기 IP 주소는 결제 서버(400)를 관리하는 이동통신사의 IP 주소에 해당하므로, 결제 서버(400)는 상기 IP 주소에 할당된 가입자 식별번호(예컨대, MSISDN)를 획득할 수 있다(S506).
이를 위해, 결제 서버(400)는 네트워크 장비(예컨대, NAG)에 추출한 IP 주소가 할당된 가입자 식별 정보를 질의하고, 질의의 결과로 추출한 IP 주소가 할당된 가입자 식별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가입자 식별번호를 획득할 수 있다.
결제 서버(400)는 획득한 가입자 식별번호를 사용자 인증 서버(300)에게 전송하고(S508), 사용자 인증 서버(300)는 가입자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0)이 사용자 인증 서버(300)를 관리하는 이동통신사로부터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S510), 사용자 단말(100)이 휴대폰 결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단말임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인증 서버(300)는 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00)이 해당 이동통신사로부터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음을 인증하는 회선 인증 응답을 쇼핑몰 서버(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S512).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회선이 인증된 경우, 간편 결제가 수행되는 예시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이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쇼핑몰 서버(200)의 상품 페이지에 접속함으로써 회선 인증에 성공한 경우, 사용자 인증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의 회선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인증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회신 인증 응답에 포함된 상기 회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간편 결제 버튼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100)은 쇼핑몰 서버(200)로부터 제공받아 자신의 전화번호 중 일부인 "010-1***-*234"가 표시된 간편 결제 버튼을 포함하는 제1 화면(101)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가 간편 결제를 이용하여 상품 구매 대금을 결제하기 위해 간편 결제 버튼을 입력하였고,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가 본인 확인 질문에 대한 비밀번호를 기 설정한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단말(100)의 정당 사용자에 의한 점유를 입증하기 위한 본인 확인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서, 기 설정된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제2 화면(103)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은 인증된 회선에 기 저장된 구매자 이름 중 일부인 "홍*동"과 기 저장된 배송지 중 일부인 "서울특별시 **구 **길 **"를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반면, 도 9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가 본인 확인 질문에 대한 비밀번호를 설정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에게 비밀번호를 본인 확인 질문에 대한 답변을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가 본인 확인 질문에 정답을 입력함으로써, 본인 확인 질문에 대한 비밀번호가 (재)설정된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재)설정된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제2 화면(103)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제2 화면(103)에서,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 자신의 인증된 전화번호가 아닌 다른 전화번호로 결제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가 '다른 전화번호 사용'을 입력한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회선 식별 정보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의 간편 결제 이용 가능 여부가 식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 단말(100)은 다른 전화번호로 간편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가 상기 다른 전화번호에 대한 정당한 사용자인지 여부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가 상기 다른 전화번호의 정당 사용자에 대한 정보(예컨대, 이름, 생년월일, 전화번호 등) 및 상기 다른 전화번호의 정당 사용자가 상기 다른 전화번호의 단말을 점유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인증 정보(예컨대, 입력된 전화번호로 전송된 인증번호)를 입력하도록 하기 위한 제3 화면(105)을 사용자 인증 서버(300)로부터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가 상기 다른 전화번호의 정당 사용자임이 입증된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다른 전화번호 상에 기 입력된 정보(구매자 이름, 전화번호, 배송지 등)를 디스플레이하면서, 상기 다른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간편 결제를 진행하도록 하기 위한 제4 화면(107)을 사용자 인증 서버(300)로부터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4 화면(107)에서 사용자 단말(100)이 최종 결제 버튼을 입력하는 경우(예컨대, 제2 화면(103)에서의 '휴대전화(*234)로 결제하기'와 제4 화면(107)에서의 '휴대전화(*678)로 결제하기'), 결제 서버(400)를 통해 간편 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회선이 인증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 단말이 간편 결제를 수행하는 예시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이 WiFi나 유선 인터넷 등 셀룰러 네트워크가 아닌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쇼핑몰 서버(200)에 접속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회선 인증을 수행할 수 없으므로, 사용자 단말(100)은 회선 인증에 따른 회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간편 결제를 진행할 수 없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100)은 회선이 인증되지 않은 간편 결제 버튼을 포함하는 제5 화면(111)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간편 결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단말인지 여부를 인증받지 못한 상태이기 때문에,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가 제5 화면(111)에서 간편 결제 버튼을 입력한다면,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가 간편 결제를 진행하고자 하는 전화번호의 정당 사용자에 대한 정보(예컨대, 이름, 생년월일, 전화번호 등) 및 상기 전화번호의 정당 사용자가 상기 전화번호의 단말을 점유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인증 정보(예컨대, 입력된 전화번호로 전송된 인증번호)를 입력하도록 하기 위한 제6 화면(113)을 사용자 인증 서버(300)로부터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가 간편 결제가 가능한 전화번호의 정당 사용자임이 입증된 경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가 입력한 전화번호 상에 기 입력된 정보(구매자 이름, 전화번호, 배송지 등)를 디스플레이하면서, 상기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간편 결제를 진행하도록 하기 위한 제7 화면(115)을 사용자 인증 서버(300)로부터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7 화면(115)에서 사용자 단말(100)이 최종 결제 버튼을 입력하는 경우(예컨대, 제7 화면(115)에서의 '휴대전화(*234)로 결제하기'), 결제 서버(400)를 통해 휴대폰 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들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11을 참조하면, 장치(1000)는 프로세서(1100), 송수신기(1200) 및 메모리(1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장치(1000)는 사용자 단말(100), 쇼핑몰 서버(200), 사용자 인증 서버(300) 또는 결제 서버(400)일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장치(1000)의 기능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송수신기(1200)를 이용하여, 다른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1300)는 프로그램(1400) 및 프로그램(1400)의 실행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140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1000)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프로그램(1400)을 실행하기 위하여 메모리(1300)에서 프로그램(1400) 및 프로그램(1400)의 실행에 필요한 정보를 로드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프로그램(1400)을 실행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10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쇼핑몰 서버는 이동통신사 서버에서 관리하는 구매자의 고객 정보를 이용하여, 구매자에게 간편 결제를 제공함으로써, 구매자에게 회원 가입이 필요 없으면서 간편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쇼핑몰 서버는, 이동통신사 서버에서 제공하는 본인 확인 기능을 이용하여 간편 결제를 진행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고, 사용자 편의적인 결제 기능을 구매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쇼핑몰 서버는 대형 포털사이트에서 제공하는 간편 결제에 비해 수수료가 적거나 없는 간편 결제를 구매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인코딩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인코딩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법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품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간편 결제 시스템
100: 사용자 단말
200: 쇼핑몰 서버
300: 사용자 인증 서버
400: 결제 서버
500: 결제 대행 서버
1000: 장치
1100: 프로세서
1200: 송수신기
1300: 메모리
1400: 프로그램

Claims (13)

  1. 사용자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사용자에게 간편 결제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품 판매 서버에서 제공하는 소정의 페이지에 접속할 때, 이동통신사 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회선 인증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회선 인증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회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회선 인증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회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간편 결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에게 간편 결제를 제공하는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선 식별 정보는,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가 상기 회선 인증 요청에 대한 헤더 강화(Header Enrichment) 인증 절차를 수행한 결과로 상기 회선 인증 응답에 포함되는
    사용자에게 간편 결제를 제공하는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선 식별 정보는,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가 상기 회선 인증 요청의 헤더에 상기 사용자 단말의 IP 주소를 추가함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에서 획득된 것인
    사용자에게 간편 결제를 제공하는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간편 결제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회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정당 사용자임을 확인하는 본인 확인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본인 확인 인증에 따라, 상기 간편 결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에게 간편 결제를 제공하는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인 확인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본인 확인 인증에 이용되는 비밀번호를 기 설정한 경우, 상기 기 설정된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비밀번호가 기 설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정당 사용자임을 인증하는 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에게 간편 결제를 제공하는 방법.
  6. 이동통신사 서버에 의해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게 간편 결제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상품 판매 서버에서 제공하는 소정의 페이지에 접근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회선 인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회선 인증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가 제공하는 상기 간편 결제를 이용 가능한 단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의 결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간편 결제를 제공하는데 이용되는 회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회선 인증 응답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간편 결제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회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간편 결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게 간편 결제를 제공하는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회선 인증 요청에 헤더 강화(header enrichment)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헤더 강화 인증 절차의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에서 제공하는 상기 간편 결제를 이용 가능한 단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게 간편 결제를 제공하는 방법.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회선 인증 요청의 헤더에 추가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IP 주소에 할당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에서 제공하는 상기 간편 결제가 이용 가능한 단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게 간편 결제를 제공하는 방법.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간편 결제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간편 결제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정당 사용자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본인 확인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본인 확인 인증에 따라, 상기 간편 결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게 간편 결제를 제공하는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본인 확인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본인 확인 인증에 이용되는 비밀번호가 기 설정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기 설정된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비밀번호가 기 설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정당 사용자 임을 확인하는 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매자에게 간편 결제를 제공하는 방법.
  11. 사용자에게 간편 결제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상품 판매 서버 및 이동통신사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기; 및
    상기 송수신기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수신기를 제어하여, 상기 상품 판매 서버에서 제공하는 소정의 페이지에 접근할 때,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회선 인증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송수신기를 제어하여, 상기 회선 인증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회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회선 인증 응답을 수신하고,
    상기 회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간편 결제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12.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게 간편 결제를 제공하는 이동통신사 서버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품 판매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기; 및
    상기 송수신기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수신기를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상품 판매 서버에서 제공하는 소정의 페이지에 접근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회선 인증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회선 인증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가 제공하는 상기 간편 결제를 이용 가능한 단말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송수신기를 제어하여, 상기 판단의 결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간편 결제를 제공하는데 이용되는 회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회선 인증 응답을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간편 결제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회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간편 결제를 제공하는
    이동통신사 서버.
  13.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제1 항 내지 제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0038147A 2021-03-24 2021-03-24 이동통신사의 고객 정보를 이용하는 간편 결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및 이동통신사 서버, 및 이들을 포함하는 간편 결제 시스템 KR102607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147A KR102607325B1 (ko) 2021-03-24 2021-03-24 이동통신사의 고객 정보를 이용하는 간편 결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및 이동통신사 서버, 및 이들을 포함하는 간편 결제 시스템
KR1020210061153A KR20220133063A (ko) 2021-03-24 2021-05-12 이동통신사의 고객 정보를 이용하는 간편 결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및 이동통신사 서버, 및 이들을 포함하는 간편 결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147A KR102607325B1 (ko) 2021-03-24 2021-03-24 이동통신사의 고객 정보를 이용하는 간편 결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및 이동통신사 서버, 및 이들을 포함하는 간편 결제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1153A Division KR20220133063A (ko) 2021-03-24 2021-05-12 이동통신사의 고객 정보를 이용하는 간편 결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및 이동통신사 서버, 및 이들을 포함하는 간편 결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2954A true KR20220132954A (ko) 2022-10-04
KR102607325B1 KR102607325B1 (ko) 2023-11-29

Family

ID=8360024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8147A KR102607325B1 (ko) 2021-03-24 2021-03-24 이동통신사의 고객 정보를 이용하는 간편 결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및 이동통신사 서버, 및 이들을 포함하는 간편 결제 시스템
KR1020210061153A KR20220133063A (ko) 2021-03-24 2021-05-12 이동통신사의 고객 정보를 이용하는 간편 결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및 이동통신사 서버, 및 이들을 포함하는 간편 결제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1153A KR20220133063A (ko) 2021-03-24 2021-05-12 이동통신사의 고객 정보를 이용하는 간편 결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및 이동통신사 서버, 및 이들을 포함하는 간편 결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0732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878B1 (ko) * 2014-11-28 2015-06-26 주식회사 다날 모바일 단말을 위한 간편 결제 보조 장치 및 방법
KR20170051916A (ko) * 2015-11-03 2017-05-12 주식회사 다날 접속 정보 확인에 기초한 모바일 간편 결제 보조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822488B1 (ko) * 2017-05-15 2018-01-26 주식회사 다날 휴대폰 번호와 비밀번호를 이용한 간편결제 처리 서비스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870130B1 (ko) * 2017-03-02 2018-06-25 주식회사 엔비레즈 단말 정보 기반 결제 인증을 통한 콘텐츠 결제 방법
KR20180092144A (ko) * 2017-02-08 2018-08-17 주식회사 다날 통화기반의 점유인증을 위한 사용자 인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029333B1 (ko) * 2018-11-21 2019-10-07 페이레터(주) 결제 처리 방법, 결제 대행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878B1 (ko) * 2014-11-28 2015-06-26 주식회사 다날 모바일 단말을 위한 간편 결제 보조 장치 및 방법
KR20170051916A (ko) * 2015-11-03 2017-05-12 주식회사 다날 접속 정보 확인에 기초한 모바일 간편 결제 보조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80092144A (ko) * 2017-02-08 2018-08-17 주식회사 다날 통화기반의 점유인증을 위한 사용자 인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870130B1 (ko) * 2017-03-02 2018-06-25 주식회사 엔비레즈 단말 정보 기반 결제 인증을 통한 콘텐츠 결제 방법
KR101822488B1 (ko) * 2017-05-15 2018-01-26 주식회사 다날 휴대폰 번호와 비밀번호를 이용한 간편결제 처리 서비스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029333B1 (ko) * 2018-11-21 2019-10-07 페이레터(주) 결제 처리 방법, 결제 대행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3063A (ko) 2022-10-04
KR102607325B1 (ko) 2023-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716960B (zh) 用户认证方法和系统
CN106716918B (zh) 用户认证方法和系统
US20140222618A1 (en) System and method for bidding
US20160335675A1 (en) Binding social account interactions to a master agnostic identity
KR102017254B1 (ko) 대신 결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대신 결제 시스템
US20160203463A1 (en) Mobile card sharing service method and system with enhanced security
US8060409B2 (en) Certification and activation of used phones purchased through an online auction
US20130054423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lling goods online in affiliation with e-tailer
KR101218807B1 (ko) Nfc 태그를 이용한 인증/거래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EP3145159A1 (en) Consumer companion application framework system
JP2014002741A (ja) 多様な決済手段を用いるars認証ベースの決済システム及び決済方法
US882500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horizing transfer of mobile devices
US9070157B2 (en) Payment apparatus and EC server
KR20140081041A (ko) 전화번호를 이용한 인터넷 사이트 서비스 접속 인증 방법 및 시스템
KR20020045082A (ko) 이동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전자 상거래 서비스 인증 및제공 방법
KR101398021B1 (ko) 결제채널 관리방법
JP2015036935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
KR20070065852A (ko) 인증번호를 이용한 제품의 정품 인증 방법
KR102607325B1 (ko) 이동통신사의 고객 정보를 이용하는 간편 결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및 이동통신사 서버, 및 이들을 포함하는 간편 결제 시스템
US11526883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utomated payment
KR20160120642A (ko) 카드사 서버의 간편결제서비스 제공 방법
KR101636281B1 (ko)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개인정보 처리 방법
KR101437878B1 (ko) 에이알에스를 이용한 결제 인증 및 결제 요청 방법
KR101150771B1 (ko) 소셜 보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538356B1 (ko) 에이알에스 결제 인증 및 결제 요청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