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2423A - Component receiving device - Google Patents

Component receiv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2423A
KR20220132423A KR1020220025748A KR20220025748A KR20220132423A KR 20220132423 A KR20220132423 A KR 20220132423A KR 1020220025748 A KR1020220025748 A KR 1020220025748A KR 20220025748 A KR20220025748 A KR 20220025748A KR 20220132423 A KR20220132423 A KR 202201324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ase
electronic component
installation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57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타이치 오쿠누키
신이치 타마무라
코이치 이와모토
아츠시 쿠도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20132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242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05K13/021Loading or unloading of contain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03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selecting, conveying and possibly reading and/or writ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05K13/028Simultaneously loading a plurality of loose objects, e.g. by means of vibrations, pressure differences, magnetic fiel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05K13/029Feeding axial lead components, e.g. using vibrating bowls, magnetic fie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Provided is a component accommodating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components in a cas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component accommodating device (200) for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components (50) in the case (1) having an outlet (an opening) (6) from the outlet (6). The component accommodating device (200) comprises: a returning unit (210) which continuously returns the plurality of electronic components (50); a discharging unit (230) which drops the plurality of electronic components (50) returned by the returning unit (210) one by one with an own weight; an installing unit (240) which is installed in a state of determining a position of the case (1) to drop the electronic components (50) discharged from the discharging unit (230) to the outlet (6); a supply waiting unit (510) which maintains a plurality of cases (1) supplied to the installing unit (240); and a supply transferring unit (550) which transfers the case (1) from the supply waiting unit (510) to the installing unit (240) one by one.

Description

부품 수용장치{COMPONENT RECEIVING DEVICE}COMPONENT RECEIVING DEVICE

본 발명은 칩 부품 등의 전자부품을 케이스 안에 수용하는 부품 수용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nent accommodating device for accommodating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chip components in a case.

종래, 칩 부품 등의 소형 전자부품을 다수개 합쳐서 운반함에 있어서는 전자부품을 분리시킨 상태로 합쳐서 수용하는 상자 형상의 케이스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when a large number of small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chip components are bundled and transported, a box-shaped case for accommodating the electronic components in a state in which the electronic components are separated is known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9-295618호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9-295618

다수개의 부품을 분리시킨 상태로 수용하는 케이스는 일정 용적 내에 다수개의 부품을 수용하는 수용 효율의 점에서 캐리어 테이프 등보다도 효율적이다. 효율화를 촉진함에 있어서 그와 같은 케이스 안에 다수개의 부품을 자동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바와 같은 장치가 요구된다. A case for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parts in a separated state is more efficient than a carrier tape or the like in terms of accommodating efficiency for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parts within a predetermined volume. In promoting efficiency, there is a need for a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parts in such a case.

본 발명은 케이스 안에 다수개의 부품을 자동으로 수용할 수 있는 바와 같은 부품 수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nent accommodating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components in a case.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수용장치는 개구를 가지는 케이스 내에 복수개의 부품을 상기 개구로부터 수용하는 부품 수용장치로서, 복수개의 부품을 연속적으로 반송하는 반송부와, 상기 반송부에 의해 반송된 부품을 1개씩 자중(自重)으로 낙하시키는 배출부와, 상기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부품이 상기 개구에 낙하하도록, 상기 케이스가 위치 결정된 상태로 설치되는 설치부와, 상기 설치부에 공급되는 복수개의 상기 케이스를 유지하는 공급대기부와, 상기 케이스를 상기 공급대기부로부터 상기 설치부에 1개씩 이송하는 공급이송부를 포함한다. A component accommod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onent accommodating apparatus for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components from the opening in a case having an opening, and includes a conveying unit that continuously conveys a plurality of components, and one by one the components conveyed by the conveying unit A discharging unit for dropping under its own weight, a mounting unit installed in a state where the case is positioned so that the part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ing unit fall into the opening, and a plurality of the cases supplied to the mounting unit are held It includes a supply standby unit and a supply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he case one by one from the supply standby unit to the installation unit.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스 안에 다수개의 부품을 자동으로 수용할 수 있는 바와 같은 부품 수용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ponent accommodating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components in a case.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스를 대각선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며, 배출구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스의 내부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배출구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스의 내부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배출구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스를 대각선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이며, 배출구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실시형태에 따른 부품 수용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VI-VI선에 대응하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에 따른 배출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의 측면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스, 및 케이스가 설치되는 설치부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측면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스가 설치부에 설치되고, 케이스의 배출구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측면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스가 설치부에 설치되고, 케이스의 배출구가 개구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측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viewed from above diagonally, and shows a state in which an outlet is opened.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nal state of the cas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shows an open state of the outlet.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nal state of the cas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shows a state in which the outlet is close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as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viewed from below diagonally, and shows a state in which the outlet is closed.
It is a top view which shows typically the components accommodation apparatus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FIG. 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VI of FIG. 5 .
7 is a side view of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ischarg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8 is a partial cross-sectional side view showing a cas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an installation part to which the case is installed.
9 is a partial cross-sectional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as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part and the outlet of the case is closed.
10 is a partial cross-sectional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s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installed in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outlet of the case is open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도 1~도 4는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스(1)에 관한 도면이다. 도 5~도 10은 실시형태에 따른 부품 수용장치(200)에 관한 도면이다. 부품 수용장치(200)는 케이스(1) 안에 복수개의 부품을 자동으로 수용하는 장치이다. 우선, 케이스(1)에 대해 설명한다. 1 to 4 are views relating to a cas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to 10 are views related to the component accommodating devic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component accommodating device 200 is a device for automatically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components in the case 1 . First, the case 1 will be described.

도 1은 케이스(1)를 대각선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케이스(1)는 그 내부에 부품으로서의 전자부품(50)(도 2에 도시함)을 분리시킨 상태로 수용한다. 케이스(1)는 피더(100)에 탈착될 수 있게 세팅된다. 한편, 피더(100)는 진동함으로써 케이스(1) 안에서 전자부품(50)을 배출하고, 그 전자부품(50)을, 도시하지 않은 실장 장치에 공급하는 장치이다. 본 실시형태의 전자부품(50)은 예를 들면 긴 쪽 방향의 길이가 1.2㎜ 이하인 미소(微小)의 직방체상의 전자부품이다. 그와 같은 전자부품으로는 콘덴서나 인덕터 등을 들 수 있는데, 본 실시형태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ase 1 viewed from above diagonally. The case 1 accommodates therein the electronic component 50 (shown in FIG. 2) as a component in a separated state. The case 1 is set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feeder 100 . On the other hand, the feeder 100 is a device which discharges the electronic component 50 from the inside of the case 1 by vibrating, and supplies the electronic component 50 to a mounting apparatus (not shown). The electronic component 50 of this embodiment is a micro-cuboid-shaped electronic component whose length in a longitudinal direction is 1.2 mm or less, for example. Although a capacitor, an inductor, etc. are mentioned as such an electronic component, this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se.

도 2 및 도 3은 각각 후술할 제2 부재(22)를 떼어낸 케이스(1)의 내부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전자부품(50)을 배출하는 배출구(6)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고, 도 3은 배출구(6)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다. 배출구(6)는 개구의 일례이다. 도 4는 케이스(1)를 대각선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2 and 3 are perspective views each showing an internal state of the case 1 from which the second member 2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removed. FIG. 2 shows a state in which the outlet 6 for discharging the electronic component 50 is open, and FIG. 3 shows a state in which the outlet 6 is closed. The outlet 6 is an example of an openin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ase 1 viewed from below diagonally.

케이스(1)는 케이스 본체(2)와 셔터 부재(3)와 셔터 부재(3)와 일체인 슬라이더(4)와 RFID 태그(5)를 포함한다. The case 1 includes a case body 2 , a shutter member 3 , a slider 4 integral with the shutter member 3 , and an RFID tag 5 .

케이스 본체(2)는 제1 부재(21) 및 제2 부재(22)를 가진다. 케이스(1)는 제1 부재(21)와 제2 부재(22)가 합체되어서 접합됨으로써 내부에 수용 공간(S)이 형성되는 용기이다. 케이스 본체(2)는 천판부(天板部)(2U)와 저판부(底板部)(2D)와 앞쪽 벽부(2F)와 뒤쪽 벽부(2B)와 제1 부재(21) 측의 오른쪽 벽부(2R)와 제2 부재(22) 측의 왼쪽 벽부(2L)를 포함한다. 케이스(1)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전자부품(50)이 분리된 상태로 수용된다. The case body 2 has a first member 21 and a second member 22 . The case 1 is a container in which the accommodation space S is formed by the 1st member 21 and the 2nd member 22 being united and joined. The case body 2 has a top plate portion 2U, a bottom plate portion 2D, a front wall portion 2F, a rear wall portion 2B, and a right wall portion on the first member 21 side ( 2R) and the left side wall part 2L of the 2nd member 22 side. A plurality of electronic components 50 are accommodated in a separated state inside the case 1 .

한편, 본 명세서에서 케이스(1)를 피더(100)에 세팅한 상태로 연직방향의 상하가 되는 방향을 케이스(1)의 상하방향으로 한다. 또한, 케이스(1)에서의, 배출구(6)가 마련된 쪽을 전방, 그 반대쪽을 후방으로 한다. 왼쪽 및 오른쪽과 같은 좌우방향은 케이스(1)를 전방에서 보았을 때의 좌우방향으로 한다. 제1 부재(21)는 오른쪽에 있고, 제2 부재(22)는 왼쪽에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case 1 is set in the feeder 100 is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ase 1 . In addition, in the case 1, the side provided with the discharge port 6 is made into front, and let the opposite side be rearward. Left and right directions such as left and right are left and right directions when the case 1 is viewed from the front. The first member 21 is on the right and the second member 22 is on the left.

앞쪽 벽부(2F), 뒤쪽 벽부(2B), 오른쪽 벽부(2R) 및 왼쪽 벽부(2L) 각각은 연직방향, 즉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벽부이다. 천판부(2U) 및 저판부(2D) 각각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판부(板部)이다. Each of the front wall portion 2F, the rear wall portion 2B, the right wall portion 2R, and the left wall portion 2L is a wall portion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in the vertical direction. Each of the top plate portion 2U and the bottom plate portion 2D is a plate portion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도 1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1)는 좌우 대칭으로 구성된 제1 부재(21) 및 제2 부재(22)가 합체되고, 서로 접합되어 구성된다. 즉, 제1 부재(21) 및 제2 부재(22) 각각은 좌우로 분할되는 반할체(半割體; half-split body)이다. 1 and 4, in the case 1, the first member 21 and the second member 22 configured symmetrically are united and joined to each other, and are configured. That is, each of the first member 21 and the second member 22 is a half-split body divided left and right.

케이스 본체(2)는 앞쪽 벽부(2F)의 아래쪽에 배출구(6)를 가진다. 배출구(6)는 실시형태에서는 사각형의 개구부이다. 한편, 배출구(6)는 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원형, 타원형상 등의 윤곽을 가진 개구부이어도 된다. The case body 2 has a discharge port 6 under the front wall portion 2F. The outlet 6 is a rectangular opening in the embodiment. In addition, the discharge port 6 is not limited to a quadrangle, For example, the opening which has a circular shape, an ellipse shape, etc. outline may be sufficient.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 공간(S) 안에서 제1 부재(21)와 제2 부재(22) 사이에 판 부재(7)가 연장된다. 판 부재(7)의 윗면은 후방으로부터 전방의 배출구(6)의 아래 가장자리부(6a)를 향해 연장되고, 아래 가장자리부(6a) 측이 가장 아래쪽이 되도록 경사진 경사면(7a)으로 되어 있다. 경사면(7a)의 경사각도(θ)는 케이스(1)가 피더(100)에 세팅된 상태로, 수평방향에 대하여 3°~10°가 바람직하고, 5°~7°이면 더 좋다. As shown in FIG. 2, the plate member 7 extends between the 1st member 21 and the 2nd member 22 in the accommodation space S.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member 7 is an inclined surface 7a that extends from the rear toward the lower edge portion 6a of the front discharge port 6, and is inclined so that the lower edge portion 6a side is the lowest. The inclination angle θ of the inclined surface 7a is preferably 3° to 10°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case 1 is set in the feeder 100, and more preferably 5° to 7°.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출구(6)를 개폐하는 셔터 부재(3)가 저판부(2D)로부터 앞쪽 벽부(2F)에 걸쳐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셔터 부재(3)는 자신의 연장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됨으로써 배출구(6)를 개폐한다. 셔터 부재(3)는 저판부(2D)로부터 앞쪽 벽부(2F)에 걸쳐 연속적으로 연장되고, 그 연장방향을 따라 슬라이딩이 가능해진다. 셔터 부재(3)는 가늘고 긴 띠 형상의 필름 부재이다. 셔터 부재(3)는 예를 들면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등의, 어느 정도 강성을 가지면서 만곡이 가능한 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셔터 부재(3)의 폭은 배출구(6)의 폭보다 약간 크고, 배출구(6)를 빈틈 없이 덮을 수 있는 폭을 가진다. As shown in FIG. 2, the shutter member 3 which opens and closes the discharge port 6 extends continuously from the bottom plate part 2D to the front wall part 2F. The shutter member 3 opens and closes the outlet 6 by sliding along its extension direction. The shutter member 3 extends continuously from the bottom plate portion 2D to the front wall portion 2F, and is slidable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The shutter member 3 is an elongated strip-shaped film member. The shutter member 3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which can be bent while having a certain degree of rigidity. The width of the shutter member 3 is slightly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outlet 6 , and has a width that can completely cover the outlet 6 .

셔터 부재(3)는 그 전단부(前端部)에 배출구(6)와 대략 동일 형상의 개구부(3a)를 가진다. 개구부(3a)와 배출구(6)가 합치되면 배출구(6)가 개구된다. 셔터 부재(3)가 배출구(6)를 덮으면, 배출구(6)는 셔터 부재(3)에 의해 폐색된다. 한편, 개구부(3a)는 배출구(6)와 동일 형상일 필요는 없고, 배출구(6)를 개구시키는 형상 및 크기를 가지면 된다. The shutter member 3 has, at its front end, an opening 3a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shape as the discharge port 6 . When the opening 3a and the outlet 6 are matched, the outlet 6 is opened. When the shutter member 3 covers the outlet port 6 , the outlet port 6 is blocked by the shutter member 3 . On the other hand, the opening 3a need not have the same shape as the outlet 6 , and may have a shape and size for opening the outlet 6 .

케이스 본체(2)의 앞쪽 벽부(2F)에서의 배출구(6)의 위쪽에는 케이스 본체(2)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움푹 패인 오목부(61)가 마련된다. 배출구(6) 및 오목부(61)가 마련된 부분의, 앞쪽 벽부(2F)의 두께방향, 즉 좌우방향의 측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 홈(62)이 좌우 한 쌍의 상태로 마련된다. 셔터 부재(3)의 긴 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의 부분 각각이 좌우의 안내 홈(62)에 삽입된다. 셔터 부재(3)는 안내 홈(62)으로 안내되어서 앞쪽 벽부(2F)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Above the discharge port 6 in the front wall portion 2F of the case body 2 , a concave portion 61 dente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of the case body 2 is provided. Guide grooves 62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provided as a pair of left and right on the si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at is, left and right, of the front wall portion 2F in the portion where the outlet 6 and the concave portion 61 are provided. Each of the portions on both side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utter member 3 is inserted into the left and right guide grooves 62 . The shutter member 3 is guided by the guide groove 62 to slide the front wall portion 2F in the vertical direction.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셔터 부재(3)의 후단부에는 원형의 구멍(3b)이 마련된다. 구멍(3b)을 이용하여 슬라이더(4)가 셔터 부재(3)와 일체가 되도록 장착된다. 슬라이더(4)는 직방체상의 부재이며,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방으로 개구하는 아래쪽 개구부(4c)를 가짐과 함께, 전단 판부(4d) 및 후단 판부(4e)를 각각 가진다. 2 and 3 , a circular hole 3b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shutter member 3 . The slider 4 is mounted so as to be integral with the shutter member 3 using the hole 3b. The slider 4 i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member, and, as shown in FIG. 4, while having the lower opening part 4c which opens downward, it has the front-end board part 4d and the rear-end board part 4e, respectively.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4)는 그 상단부에 좌우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플랜지부(4a)를 가진다. 슬라이더(4)가 그 윗면에 볼록부(4b)를 가진다. 볼록부(4b)는 셔터 부재(3)의 구멍(3b)에 끼워 맞춰져서 상방으로 돌출되고, 이로써 슬라이더(4)는 셔터 부재(3)와 일체가 된다.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slider 4 has at its upper end flange portions 4a respectively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slider 4 has a convex portion 4b on its upper surface. The convex portion 4b fits into the hole 3b of the shutter member 3 and projects upward, whereby the slider 4 is integrated with the shutter member 3 .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1)의 저판부(2D)에는 상방을 향해 움푹 패이며 전후방향으로 긴 오목부(23)가 마련된다. 오목부(23)의 앞면에는 슬릿(24)이 마련된다. 셔터 부재(3)의 후단부는 슬릿(24)을 삽입통과한다. 셔터 부재(3)의 후단부는 슬릿(24)을 지나 오목부(23)의 아랫면을 따라 연장된다. 오목부(23)의 아랫면에는 구덩이(26a) 및 구덩이(26b)가 전후 한 쌍의 상태로 마련된다. 슬라이더(4)의 볼록부(4b)는 구덩이(26a) 및 구덩이(26b) 각각에 끼워 맞출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bottom plate portion 2D of the case 1 is provided with a concave portion 23 that is dented upward and is lo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 slit 24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oncave portion 23 . The rear end of the shutter member 3 passes through the slit 24 . The rear end of the shutter member 3 extends through the slit 24 along the underside of the recess 23 . A pit 26a and a pit 26b ar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ncave portion 23 in a state of a pair of front and rear. The convex portion 4b of the slider 4 can fit into the pit 26a and the pit 26b, respectively.

오목부(23)가 마련된 부분의, 저판부(2D)의 좌우방향 양측의 면에는 전후로 연장되는 홈부(25)가 각각 마련된다. 좌우의 홈부(25) 각각에 슬라이더(4) 좌우의 플랜지부(4a)가 각각 삽입통과된다. 플랜지부(4a)가 홈부(25)를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슬라이더(4)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이때, 슬라이더(4)의 슬라이딩 범위는 볼록부(4b)가 앞쪽 구덩이(26a)에 걸어 맞춰지는 위치와 뒤쪽 구덩이(26b)에 걸어 맞춰지는 위치 사이이다. Groove portions 25 extending back and forth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plate portion 2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portion in which the concave portion 23 is provided, respectively. The flange portions 4a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slider 4 are respectively inserted through the left and right groove portions 25, respectively. As the flange portion 4a slides back and forth along the groove portion 25, the slider 4 slid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At this time, the sliding range of the slider 4 is between the position at which the convex part 4b engages with the front pit 26a and the position at which it engages with the rear pit 26b.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4)의 볼록부(4b)가 앞쪽 구덩이(26a)에 끼워 맞춰질 때, 셔터 부재(3)의 개구부(3a)는 오목부(61) 안에 위치하여 배출구(6)과 합치되지 않는다. 이때, 배출구(6) 전체가 셔터 부재(3)에 의해 폐색되고, 전자부품(50)은 배출구(6)로부터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한편, 셔터 부재(3)가 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부(4b)가 뒤쪽 구덩이(26b)에 끼워 맞춰지면, 셔터 부재(3)의 개구부(3a)는 배출구(6)와 합치된다. 이때, 배출구(6)는 개구되고, 전자부품(50)이 배출구(6)로부터 배출이 가능해진다. As shown in Fig. 3, when the convex portion 4b of the slider 4 is fitted into the front pit 26a, the opening 3a of the shutter member 3 is located in the concave portion 61 and the discharge port 6 ) does not match. At this time, the entire outlet 6 is blocked by the shutter member 3 , and the electronic component 50 is not discharged from the outlet 6 to the outside. On the other hand, when the shutter member 3 is slid backward and the convex portion 4b is fitted into the rear pit 26b as shown in FIG. 2 , the opening 3a of the shutter member 3 becomes the outlet 6 is matched with At this time, the outlet 6 is opened, and the electronic component 50 can be discharged from the outlet 6 .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2)는 위쪽 파지부(10A) 및 뒤쪽 파지부(10B)를 가진다. 위쪽 파지부(10A)는 케이스 본체(2) 위쪽의 전후 양단에 마련된 전후 한 쌍의 구덩이이다. 뒤쪽 파지부(10B)는 케이스 본체(2) 뒤쪽의 상하 양단에 마련된 상하 한 쌍의 구덩이이다. 위쪽 파지부(10A) 및 뒤쪽 파지부(10B) 각각은 예를 들면 로봇 핸드에 의해 케이스(1)를 운반 등을 할 때, 그 로봇 핸드에 파지된다. 1 and 2 , the case body 2 has an upper gripping portion 10A and a rear gripping portion 10B. The upper gripping portion 10A is a pair of front and rear pits provided at both front and rear ends above the case body 2 . The rear gripping portion 10B is a pair of upper and lower pits provided at both upper and lower ends behind the case body 2 . Each of the upper grip portion 10A and the rear grip portion 10B is gripped by the robot hand when, for example, the case 1 is transported by the robot hand.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2)에서의 하부이자 상기 오목부(23)에 대강 대응하는 위치에 좌우로 관통하는 관통구멍(9)이 마련된다. 관통구멍(9)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 형상의 구멍이다. 관통구멍(9) 내부의 표면에 전후방향으로 긴 띠 형상의 RFID 태그(5)가 점착되어 장착된다. RFID 태그(5)는 송수신부, 메모리 및 안테나 등을 가지는 공지의 구성을 포함하는 것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더(100)에는 RFID 태그(5)에 대하여 비접촉으로 정보를 읽고 쓰는 리더 라이터(105)가 배치된다. As shown in FIGS. 1 and 2 , a through hole 9 penetrating left and right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ase body 2 and at a position roughly corresponding to the concave portion 23 . The through hole 9 is a slit-shaped hole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 long band-shaped RFID tag 5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9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RFID tag 5 includes a known configuration having a transceiver, a memory, an antenna, and the like. As shown in FIG. 1 , a reader/writer 105 that reads and writes information in a non-contact manner with respect to the RFID tag 5 is disposed in the feeder 100 .

도 1~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추가로 케이스 본체(2)는 저판부(2D)의 바깥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갈고랑이부(8) 및 T자 슬롯부(13)를 가진다. 1 to 4 , the case body 2 further has a crotch portion 8 and a T-slot portion 13 extending downwar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portion 2D.

갈고랑이부(8)는 앞쪽 갈고랑이부(8A)와 뒤쪽 갈고랑이부(8B)를 포함한다. 앞쪽 갈고랑이부(8A) 및 뒤쪽 갈고랑이부(8B)는 동일 형상이며,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되고, 하단이 대략 90° 후방으로 굴곡되며 측면에서 봤을 때 L자 형상을 가지는 판편(板片)이다. 한편, 앞쪽 갈고랑이부(8A)와 뒤쪽 갈고랑이부(8B)는 동일 형상이 아니어도 된다. The crotch part 8 includes a front crotch part 8A and a rear crotch part 8B. The front crotch part 8A and the rear crotch part 8B have the same shape, extend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e lower end is bent about 90° backward, and is a plate piece having an L-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 In addition, the front crotch part 8A and the rear crotch part 8B do not need to have the same shape.

T자 슬롯부(13)는 앞쪽 T자 슬롯부(13A)와 뒤쪽 T자 슬롯부(13B)를 포함한다. 앞쪽 T자 슬롯부(13A) 및 뒤쪽 T자 슬롯부(13B)는 모두 정면에서 봤을 때 역T자 형상의 돌기이다. 앞쪽 T자 슬롯부(13A)는 전단부에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의 테이퍼부(13c)가 형성된다. The T-shaped slot part 13 includes a front T-shaped slot part 13A and a rear T-shaped slot part 13B. Both the front T-slot portion 13A and the rear T-slot portion 13B are projections of an inverted T-shape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front T-shaped slot portion 13A has a tapered portion 13c having a tapered shape at the front end thereof.

피더(100)는 갈고랑이부(8) 및 T자 슬롯부(13) 각각이 탈착될 수 있게 걸어 맞춰져서 케이스(1)를 피더(100)에 세팅할 수 있게 하는 도시하지 않은 걸어맞춤부를 가진다. 상기 걸어맞춤부에 갈고랑이부(8) 및 T자 슬롯부(13) 각각이 걸어 맞춰져서 피더(100)에 케이스(1)가 탈착될 수 있게 세팅된다. 이와 같이 피더(100)에 세팅된 케이스(1)에서는 배출구(6)가 개구된 상태로 피더(100)가 진동함으로써, 전자부품(50)이 경사면(7a)을 내려가서 배출구(6)로부터 배출된다. 배출된 전자부품(5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실장 장치에 공급된다. The feeder 100 has an engaging portion (not shown) that allows each of the crotch portion 8 and the T-slot portion 13 to be detachably engaged to set the case 1 to the feeder 100 . Each of the crotch part 8 and the T-slot part 13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part, and the case 1 is set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feeder 100 . In the case 1 set in the feeder 100 as described above, as the feeder 100 vibrates with the outlet 6 open, the electronic component 50 descends the inclined surface 7a and is discharged from the outlet 6 . do. The discharged electronic component 50 is supplied to the mounting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다음으로, 도 5~도 10을 참조하여 실시형태에 따른 부품 수용장치(200)에 대해 설명한다. Next, with reference to FIGS. 5-10, the component accommodation apparatus 200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is demonstrated.

도 5는 부품 수용장치(200)의 개요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도 5의 VI-VI선에 대응하는 일부 단면도이다.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outline of the component accommodating device 200, and FIG. 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the line VI-VI of FIG.

부품 수용장치(200)는 상술한 케이스(1) 안에 복수개의 전자부품(50)을 배출구(6)를 지나 수용 공간(S)에 자동으로 수용하는 장치이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에 따른 부품 수용장치(200)는 전자부품(50)을 반송하는 반송부(210)와, 반송부(210)로부터 전자부품(50)을 낙하시켜서 배출하는 배출부(230)와, 상술한 케이스(1)가 설치되는 설치부(240)를 포함한다. The component accommodating device 200 is a device for automatically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components 50 in the above-described case 1 through the outlet 6 in the accommodating space (S). As shown in FIG. 5 and FIG. 6, the components accommodation apparatus 200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drops the electronic component 50 from the conveyance part 210 which conveys the electronic component 50, and the conveyance part 210, It includes a discharge unit 230 for discharging, and an installation unit 240 in which the above-described case 1 is installed.

반송부(210)는 복수개의 전자부품(50)을 배출부(230)까지 연속적으로 반송한다. 실시형태의 반송부(210)는 복수개의 전자부품(50)을 직선적으로 연속하여 반송하는 리니어피더(211)와, 리니어피더(211)에 의해 반송되는 복수개의 부품을 1개씩 받고, 회전 동작에 의해 전자부품(50)을 회전시켜서 간헐 반송하는 턴테이블(212)을 가진다. The transport unit 210 continuously transports the plurality of electronic components 50 to the discharge unit 230 . The conveying unit 210 of the embodiment receives a linear feeder 211 that linearly and continuously conveys a plurality of electronic components 50 and a plurality of components conveyed by the linear feeder 211 one by one, and performs rotational operation. It has the turntable 212 which rotates the electronic component 50 by this and carries out intermittent conveyance.

복수개의 전자부품(50)은 대략 수평으로 설치된 리니어피더(211)에 의해, 일렬로 늘어선 상태로 턴테이블(212)을 향해 반송된다. 리니어피더(211)는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진동기에 의해 진동하고, 그 진동에 의해 전자부품(50)을 턴테이블(212)을 향해 화살표(F) 방향으로 순차 반송한다. 전자부품(50)은 후속의 전자부품(50)에 밀리면서 리니어피더(211) 위를 반송되어 간다. 리니어피더(211)는 턴테이블(212)의 회전 중심을 향해 연장되고, 그 종단부는 턴테이블(212)의 바깥둘레 가장자리 근방에 도달한다. The plurality of electronic components 50 are conveyed toward the turntable 212 in a state of being arranged in a line by a linear feeder 211 install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The linear feeder 211 vibrates by, for example, a vibrator (not shown), and by the vibration, the electronic component 50 is sequentially convey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F toward the turntable 212 . The electronic component 50 is conveyed over the linear feeder 211 while being pushed by the subsequent electronic component 50 . The linear feeder 211 extends toward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turntable 212 , and its terminating end reaches near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turntable 212 .

턴테이블(212)은 수평으로 설치되는 원반 형상의 회전 부재이다. 턴테이블(212)의 재질은 세라믹, 유리 에폭시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다. 턴테이블(212)은 연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213)을 통해 기대(基臺)(214) 위에 회전이 가능하게 배치된다. 턴테이블(212)은 회전축(213)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원(217)에 의해, 회전축(213)을 중심으로 하여 도 5 중의 화살표(R)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회전한다. 턴테이블(212)의 바깥둘레 가장자리에는 바깥둘레 측으로 개구하는 복수개의 컷아웃(cutout)(215)이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배열된다. 1개의 컷아웃(215)의 내부에 1개의 전자부품(50)이 수용된다. 한편, 턴테이블(212)의 회전방향은 도 5 중의 R방향에 한정되지 않고, 이 R방향의 역방향이어도 된다. The turntable 212 is a disk-shaped rotating member installed horizontally. The material of the turntable 212 is made of ceramic, glass epoxy resin, or the like. The turntable 212 is rotatably disposed on a base 214 via a rotation shaft 213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turntable 212 intermittently rotate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R in FIG. 5 centering on the rotation shaft 213 by the drive source 217 which rotates and drives the rotation shaft 213 . A plurality of cutouts 215 opening toward the outer periphery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the outer periphery of the turntable 212 . One electronic component 50 is accommodated in one cutout 215 . In additio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turntable 212 is not limited to the R direction in FIG. 5, The reverse direction of this R direction may be sufficient.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턴테이블(212)은 기대(214)의 윗면(216)에 배치된다. 컷아웃(215)은 턴테이블(212)의 외주면(外周面) 측 및 상하의 면에 개구된다. 턴테이블(212)은 그 내부에 각 컷아웃(215)으로 통하는 도시하지 않은 공기 흡인 통로를 포함한다. 이 공기 흡인 통로는 각 컷아웃(215) 안쪽의 면에 개구한다. 공기 흡인 통로는 버큠펌프 등의 흡인원에 연통되고, 이 흡인원이 작동함으로써 컷아웃(215) 안의 공기가 안쪽의 면에 흡인되어서 부압(負壓) 상태가 된다. 이로써, 컷아웃(215)에 수용되는 전자부품(50)은 안쪽의 면에 부압작용으로 흡착되고, 컷아웃(215) 안에 유지된다. As shown in FIG. 6 , the turntable 212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216 of the base 214 . The cutout 215 is open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side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turntable 212 . The turntable 212 includes therein an air intake passage, not shown, leading to each cutout 215 . This air suction passage opens on the inner side of each cutout 215 . The air suction passage communicates with a suction source such as a vacuum pump, and when the suction source operates, the air in the cutout 215 is sucked into the inner surface to be in a negative pressure state. Accordingly, the electronic component 50 accommodated in the cutout 215 is adsorbed to the inner surface by a negative pressure action, and is held in the cutout 215 .

리니어피더(211)에 의해 턴테이블(212)의 근방으로 반송된 전자부품(50)은 간헐 회전하는 턴테이블(212)의 복수개의 컷아웃(215) 각각에 측방으로부터 1개씩 수용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안쪽의 면에 흡착되어 유지된다. 컷아웃(215)에 수용 및 유지된 전자부품(50)은 턴테이블(212)의 회전에 의해 화살표(R) 방향으로 배출부(230)까지 간헐적으로 반송된다. 컷아웃(215)에 수용된 전자부품(50)은 기대(214)의 윗면(216) 위를 이동한다. The electronic components 50 conveyed to the vicinity of the turntable 212 by the linear feeder 211 are accommodat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cutouts 215 of the intermittently rotating turntable 212 from the side, one by one, as described above. It is adsorbed and retained on the inner surface. The electronic component 50 accommodated and held in the cutout 215 is intermittently conveyed to the discharge unit 230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R by the rotation of the turntable 212 . The electronic component 50 accommodated in the cutout 215 moves over the upper surface 216 of the base 214 .

배출부(230)는 턴테이블(212)에 대응되어 배치된다. 상세하게는 배출부(230)는 턴테이블(212)의 컷아웃(215)의 회전 궤적에 대응하는 원형상의 반송 경로에 배치된다. 배출부(230)는 리니어피더(211)로부터 턴테이블(212)로 옮겨 가는 부분에 대하여 대강 270°의 회전 각도 위치에 배치된다. 배출부(230)는 턴테이블(212)에 의해 반송된 전자부품(50)을, 설치부(240)에 설치된 케이스(1)의 배출구(6)에 1개씩 자중으로 낙하시키는 부분이다. The discharge unit 230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turntable 212 . In detail, the discharge unit 230 is disposed on a circular conveying path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al trajectory of the cutout 215 of the turntable 212 . The discharge unit 230 is disposed at a rotation angle of approximately 270° with respect to a portion moving from the linear feeder 211 to the turntable 212 . The discharge part 230 is a part which drops the electronic components 50 conveyed by the turntable 212 to the discharge port 6 of the case 1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part 240 one by one by its own weight.

한편, 배출부(230)는 턴테이블(212)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되어도 되고, 예를 들면, 리니어피더(211)로부터 보아 가장 안쪽의 위치, 즉 리니어피더(211)로부터 턴테이블(212)로 옮겨 가는 부분에 대하여 180°의 회전 각도 위치에 배치되어도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discharge unit 230 may be disposed at any position of the turntable 212 , for example, it is moved from the linear feeder 211 to the turntable 212 from the innermost position as viewed from the linear feeder 211 . You may arrange|position at the rotation angle position of 180 degrees with respect to a thin part.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출부(230)는 원통 부재(231)와 압하 핀(236)을 포함한다. 배출부(230)에서 턴테이블(212)의 바로 아래 부분에는 턴테이블(212)의 컷아웃(215)에 대응하는 통과구멍(218)이 마련된다. 통과구멍(218)은 전자부품(50)이 통과하는 크기를 가진다. 또한, 배출부(230)에는 컷아웃(215) 안으로의 공기흡인에 의한 전자부품(50)의 흡착 유지를 해제하는 도시하지 않은 흡인 해제 기구가 마련된다. 흡인 해제 기구로는 예를 들면 공기를 분출시켜서, 흡인된 공기의 흐름을 멈추거나 약화시키하는 기구로 충분하다. 턴테이블(212)이 회전하여 컷아웃(215)이 통과구멍(218)에 합치되면, 상기 흡인 해제 기구에 의해 컷아웃(215) 안에서의 전자부품(50)의 유지가 해제되고, 그때까지 기대(214)의 윗면(216) 위를 이동해 온 전자부품(50)이 컷아웃(215)으로부터 통과구멍(218)으로 낙하되고, 나아가 통과구멍(218)을 지나 원통부재(231)의 내부로 낙하된다. As shown in FIG. 7 , the discharge part 230 includes a cylindrical member 231 and a push-down pin 236 . A through hole 218 corresponding to the cutout 215 of the turntable 212 is provided in the discharge part 230 directly below the turntable 212 . The through hole 218 has a size through which the electronic component 50 passes. In addition, a suction release mechanism (not shown) for releasing suction and holding of the electronic component 50 by air suction into the cutout 215 is provided in the discharge unit 230 . As the suction release mechanism, for example, a mechanism for stopping or weakening the flow of the sucked air by blowing out air is sufficient. When the turntable 212 rotates so that the cutout 215 matches the through hole 218, the holding of the electronic component 50 in the cutout 215 is released by the suction release mechanism, and until then, The electronic component 50, which has moved on the upper surface 216 of the 214, falls from the cutout 215 to the through hole 218, and further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218 and falls into the cylindrical member 231. .

통과구멍(218)을 통과하여 낙하하는 전자부품(50)은 깔때기 형상을 가지는 원통부재(231)의 내부를 통과함으로써 케이스(1)의 배출구(6)로 인도된다. 원통부재(231)는 윗쪽을 향함에 따라 내경이 지름 확장되는 역원추 형상의 위쪽 통부(233)와, 위쪽 통부(233) 하단의 중심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아래쪽 통부(234)를 가진다. 위쪽 통부(233)와 아래쪽 통부(234)는 일체이다. 통과구멍(218)을 통과하는 전자부품(50)은 위쪽 통부(233)의 내측으로 낙하하여 아래쪽 통부(234)의 내부에 이르고, 아래쪽 통부(234)의 내부를 지나 낙하한다. 전자부품(50)은 원통부재(231)의 내면(232)에 접촉하면서 미끄러져 떨어져 가는 경우가 있다. The electronic component 50 falling through the through hole 218 is guided to the outlet 6 of the case 1 by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cylindrical member 231 having a funnel shape. The cylindrical member 231 has an upper cylindrical portion 233 of an inverted cone shape whose inner diameter expands in diameter as it goes upward, and a lower cylindrical portion 234 extending downward from the center of the lower end of the upper cylindrical portion 233 . The upper cylindrical part 233 and the lower cylindrical part 234 are integral. The electronic component 50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218 falls inside the upper cylinder 233 , reaches the inside of the lower cylinder 234 ,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lower cylinder 234 , and falls. The electronic component 50 may slide off while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232 of the cylindrical member 231 .

한편, 위쪽 통부(233)의 내경은 전자부품(50)의 긴 쪽 방향 치수보다 크고, 또한 아래쪽 통부(234)의 내경은 전자부품(50)의 긴 쪽 방향치수보다 크면서 위쪽 통부(233)의 내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upper cylindrical part 233 is larger than the longitudinal dimension of the electronic component 50,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lower cylindrical part 234 is larger than the longitudinal dimension of the electronic component 50, and the upper cylindrical part 233 It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정전기에 의해 전자부품(50)이 전기적인 파손을 받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원통부재(231)의 적어도 내면(232)은 도전성을 가지는 금속 등의 도전성 재료를 포함하는 재료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자부품(50)이 원활하게 미끄러져 떨어지도록, 원통부재(231)의 내면(232)은 평활한 저(低)마찰면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불소 수지 등의 수지로 표면 가공된 것이 바람직하다. In order to suppress electrical damage to the electronic component 50 due to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by friction, at least the inner surface 232 of the cylindrical member 231 is made of a material containing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a conductive metal. it is preferable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nner surface 232 of the cylindrical member 231 is a smooth, low friction surface so that the electronic component 50 slides off smoothly, for example, the surface is processed with a resin such as fluororesin. it is preferable to have

배출부(230)에는 컷아웃(215)으로부터 전자부품(50)을 강제적으로 낙하시키는 압하 핀(236)이 마련된다. 압하 핀(236)은 통과구멍(218)과 합치되는 컷아웃(215)의 상방 위치에 배치된다. 압하 핀(236)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봉 형상 부재이며, 도시하지 않은 액츄에이터 등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구동된다. 압하 핀(236)이 하방으로 구동되면, 컷아웃(215) 안의 전자부품(50)이 하방으로 밀리고, 통과구멍(218)을 지나 원통부재(231)의 내부로 낙하시켜진다. 압하 핀(236)으로 밀림으로써 전자부품(50)은 컷아웃(215) 안에 걸리지 않고 확실하게 컷아웃(215)으로부터 벗어나서 낙하한다. A push-down pin 236 for forcibly dropping the electronic component 50 from the cutout 215 is provided in the discharge unit 230 . The push-down pin 236 is disposed above the cutout 215 that mates with the through hole 218 . The push-down pin 236 is a rod-shaped member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driven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an actuator (not shown) or the like. When the push-down pin 236 is driven downward, the electronic component 50 in the cutout 215 is pushed downward,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218 and falls into the cylindrical member 231 . By being pushed with the push-down pin 236 , the electronic component 50 falls out of the cut-out 215 reliably without being caught in the cut-out 215 .

한편, 압하 핀(236)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공기의 흐름으로 전자부품(50)을 컷아웃(215)으로부터 낙하시키는 공기류 발생부(237)를 배출부(230)에 마련해도 된다. 그와 같은 공기류 발생부(237)로는 예를 들면, 전자부품(50)에 상방으로부터 공기를 내뿜어서 낙하시키거나, 혹은 측방으로부터 공기를 흡인하여 전자부품(50)을 낙하시키는 기능을 포함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Meanwhile, instead of or in addition to the push-down pin 236 , an air flow generating unit 237 for dropping the electronic component 50 from the cutout 215 by a flow of air may be provided in the discharge unit 230 . Such an air flow generating unit 237 includes, for example, a function of blowing air onto the electronic component 50 from above to drop it, or sucking air from the side to drop the electronic component 50 . and the like.

추가로 배출부(230)에는 상기 배출부(230)를 지나는 전자부품(50)의 경로를 청정화하는 청정부(238)가 마련된다. 상세하게는 청정부(238)는 압하 핀(236)의 상방에 배치되고,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 기구로 구성된다. 청정부(238)에 의해 공기가 흡입됨으로써 컷아웃(215), 통과구멍(218) 및 원통부재(231)의 내부인 전자부품(50) 경로의 공기가 흡입된다. 이로써, 상기 경로에 존재하는 파편이나 먼지 등이 청정부(238)에 흡입되어서 청정화된다. In addition, the discharge unit 230 is provided with a cleaning unit 238 for cleaning the path of the electronic component 50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unit 230 . In detail, the cleaning unit 238 is disposed above the push-down pin 236 and is composed of an air suction mechanism for sucking air. As air is sucked in by the cleaning unit 238 , air in the path of the electronic component 50 inside the cutout 215 , the through hole 218 and the cylindrical member 231 is sucked. As a result, debris or dust present in the path is sucked into the cleaning unit 238 to be cleaned.

한편, 청정부(238)는 공기를 분출시켜 파편이나 먼지 등을 날려버림으로써 전자부품(50)의 경로를 청정화하는 것이어도 된다. 그 경우, 케이스(1) 안에 파편이나 먼지 등이 파고 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 셔터 부재(3)에 의해 배출구(6)를 닫은 상태로 작동시키면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cleaning unit 238 may purify the path of the electronic component 50 by blowing air out to blow away debris or dust. In that case, in order to prevent debris, dust, etc. from burrowing into the case 1, the shutter member 3 may operate the outlet 6 in a closed state.

도 8은 설치부(240)에 케이스(1)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케이스(1)는 배출부(230)로부터 배출되는 전자부품(50)이 배출구(6)에 낙하하도록 위치 결정된 상태로 설치부(240)에 설치된다. 케이스(1)는 케이스(1)의 전후방향을 연직방향을 따른 상태, 즉 수직 상태로 설치부(240)에 설치된다. 8 shows a state in which the case 1 is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unit 240 . The case 1 is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unit 240 in a state where the electronic component 50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unit 230 is positioned so that it falls on the discharge port 6 . The case 1 is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part 240 in a stat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case 1 , that is, in a vertical state.

설치부(240)는 벽부(241)와, 벽부(241)에 케이스(1)를 수직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부(250)와, 케이스(1)의 셔터 부재(3)를 개폐하는 개폐 기구(260)를 가진다. The installation part 240 includes a wall part 241, a holding part 250 for holding the case 1 in a vertical state on the wall part 241, and an opening/closing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hutter member 3 of the case 1 ( 260).

벽부(241)는 대략 연직방향을 따른 면인 벽면(241a)을 가진다. The wall part 241 has a wall surface 241a which is a surface substantially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유지부(250)는 벽면(241a)으로부터 돌출되는 상하 한 쌍의 후크부, 즉 위쪽 후크부(251)와 아래쪽 후크부(252)를 포함한다. 위쪽 후크부(251) 및 아래쪽 후크부(252)는 동일 형상이고, 선단이 대략 90° 상방으로 굴곡지며 측면에서 봤을 때 L자 형상을 가지는 판편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쪽 후크부(251)에 케이스(1) 앞쪽 갈고랑이부(8A)가 상방으로부터 탈착될 수 있게 걸어 맞춰지고, 아래쪽 후크부(252)에 케이스(1)의 뒤쪽 갈고랑이부(8B)가 상방으로부터 탈착될 수 있게 걸어 맞춰진다. 이로써, 케이스(1)는 배출구(6)가 상방을 향하면서 전후방향, 즉 길이방향이 벽면(241a)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상태로 유지부(250)에 탈착될 수 있게 유지된다. 케이스(1)의 저판부(2D)가 극간을 두고 벽면(241a)과 평행하게 대향한다. 한편, 위쪽 후크부(251)와 아래쪽 후크부(252)는 동일 형상이 아니어도 된다. The holding part 250 includes a pair of upper and lower hook parts protruding from the wall surface 241a, that is, an upper hook part 251 and a lower hook part 252 . The upper hook part 251 and the lower hook part 252 are the same shape, the tip is bent upward by approximately 90°, and is a plate piece having an L-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As shown in FIG. 9 , the front hook part 8A of the case 1 is engaged with the upper hook part 251 so that it can be detached from above, and the rear hook part of the case 1 is engaged with the lower hook part 252 . (8B) is engaged so that it can be detached from above. Accordingly, the case 1 is maintain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holding unit 250 in a vertical state in which the outlet 6 is directed upward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wall surface 241a. The bottom plate portion 2D of the case 1 faces in parallel with the wall surface 241a with a gap therebetween. On the other hand, the upper hook part 251 and the lower hook part 252 may not have the same shape.

벽부(241)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벽면(241a) 측에 개구하는 오목한 부분(242)이 형성된다. 이 오목한 부분(242) 안에 셔터 부재(3)를 슬라이딩시키는 개폐 기구(260)가 배치된다. 개폐 기구(260)는 오목한 부분(242)의 바닥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마련된 구동 핀(261)을 가진다. 구동 핀(261)의 선단부는 벽면(241a)으로부터 돌출된다. 구동 핀(261)은 예를 들면 오목한 부분(242)의 바닥면에 마련된 가이드 홈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고, 액츄에이터 등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왕복 구동된다. 벽부(241)의 오목한 부분(242)에는 RFID 태그(5)에 대하여 정보를 읽고 쓰는 리더 라이터(243)가 배치된다. A concave portion 242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opening to the side of the wall surface 241a is formed in the wall portion 241 . An opening/closing mechanism 260 for sliding the shutter member 3 is disposed in the concave portion 242 . The opening/closing mechanism 260 has a driving pin 261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cave portion 242 . The distal end of the driving pin 261 protrudes from the wall surface 241a. The driving pin 261 is supporte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a guide groov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cave portion 242, for example, and is reciprocally driven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an actuator or the like. A reader/writer 243 for reading and writing information to and from the RFID tag 5 is disposed in the concave portion 242 of the wall portion 241 .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부(250)에 유지된 케이스(1)의 슬라이더(4)에 구동 핀(261)이 걸어 맞춰진다. 도 9에 나타내는 케이스(1)의 셔터 부재(3)는 전방(도 9에서는 상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슬라이더(4)의 볼록부(4b)가 앞쪽 구덩이(26a)에 끼워 맞춰지고, 배출구(6)가 셔터 부재(3)에 의해 폐색된다. 한편, 구동 핀(261)은 상방으로 이동한다. 구동 핀(261)이 상방에 위치할 때에 배출구(6)가 셔터 부재(3)로 폐색된 케이스(1)를 유지부(250)에 유지하면, 구동 핀(261)은 도 4에 나타낸 슬라이더(4)의 아래쪽 개구부(4c)에 삽입되고, 전단 판부(4d)와 후단 판부(4e) 사이에 위치 지어진다. As shown in FIG. 9 , the drive pin 261 is engaged with the slider 4 of the case 1 held by the holding part 250 . The shutter member 3 of the case 1 shown in FIG. 9 is slid forward (upward in FIG. 9), the convex part 4b of the slider 4 is fitted into the front hole 26a, and the discharge port 6 is closed by the shutter member 3 . Meanwhile, the driving pin 261 moves upward. When the drive pin 261 is positioned upward and the case 1 closed by the shutter member 3 is held in the holding part 250, the drive pin 261 is moved to the slider ( 4) is inserted into the lower opening 4c, and is positioned between the front end plate portion 4d and the rear end plate portion 4e.

이 상태로부터 도 9에서 구동 핀(261)이 하방으로 이동하면, 구동 핀(261)은 슬라이더(4)의 후단 판부(4e)에 접촉하고, 슬라이더(4)를 하방으로 밀어서 슬라이딩시킨다. 슬라이더(4)가 하방으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셔터 부재(3)는 케이스(1)에서의 후방으로 슬라이딩된다. 그러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4)의 볼록부(4b)가 뒤쪽 구덩이(26b)에 끼워 맞춰지고, 셔터 부재(3)의 개구부(3a)가 케이스(1)의 배출구(6)에 합치되어 배출구(6)가 개구된다. 이 상태로부터 구동 핀(261)이 상방으로 되돌아오면, 구동 핀(261)은 슬라이더(4)의 전단 판부(4d)에 접촉하고, 슬라이더(4)를 상방으로 밀어서 슬라이딩시킨다. 슬라이더(4)가 상방으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셔터 부재(3)는 케이스(1)에서의 전방으로 슬라이딩되고,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부(4b)가 앞쪽 구덩이(26a)에 끼워 맞춰지며, 개구부(3a)가 셔터 부재(3)로 닫힌다. When the drive pin 261 moves downward in FIG. 9 from this state, the drive pin 26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ear end plate 4e of the slider 4, and slides the slider 4 downward. As the slider 4 slides downward, the shutter member 3 slides backward in the case 1 . Then, as shown in Fig. 10, the convex portion 4b of the slider 4 is fitted into the rear pit 26b, and the opening 3a of the shutter member 3 is connected to the outlet 6 of the case 1. It coincides with the outlet (6) is opened. When the drive pin 261 returns upward from this state, the drive pin 261 contacts the front end plate part 4d of the slider 4, and slides the slider 4 upwards. As the slider 4 slides upward, the shutter member 3 slides forward in the case 1, and as shown in FIG. 9, the convex portion 4b fits into the front hole 26a, 3a) is closed with the shutter member 3 .

실시형태의 부품 수용장치(200)는 부품검지부(270)를 더 포함한다. The parts accommodating device 200 of the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parts detection unit 270 .

부품검지부(270)는 반송부(210)로부터 설치부(240)에 설치된 케이스(1)의 배출구(6)까지의 사이의 전자부품(50)의 경로 중 임의의 위치에서 전자부품(50)을 검지한다. 실시형태의 부품검지부(270)는 도 5에 나타내는 리니어피더(211) 측방의 소정 위치에 배치된 제1 부품검지부(271)와, 턴테이블(212)에 배치된 제2 부품검지부(272) 및 제3 부품검지부(273)와, 도 7에 나타내는 배출부(230)에 마련된 제4 부품검지부(274)를 포함한다. The component detection unit 270 detects the electronic component 50 at any position in the path of the electronic component 50 between the conveying unit 210 and the outlet 6 of the case 1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unit 240 . detect The parts detection part 270 of the embodiment includes a first parts detection part 271 dispo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side of the linear feeder 211 shown in FIG. 5 , a second parts detection part 272 and a second part detection part disposed on the turntable 212 . 3 The parts detection part 273 and the 4th parts detection part 274 provided in the discharge part 230 shown in FIG. 7 are included.

제1 부품검지부(271)는 리니어피더(211)로 반송되는 전자부품(50)을 정위치에서 검지한다. 제2 부품검지부(272)는 턴테이블(212)의 반송 경로에서의 상류 측에 배치된다. 제3 부품검지부(273)는 턴테이블(212)의 반송 경로에서의 제2 부품검지부(272)의 하류 측에 배치된다. The first component detection unit 271 detects the electronic component 50 transferred to the linear feeder 211 at the correct position. The second parts detection unit 272 is disposed on the upstream side in the conveyance path of the turntable 212 . The 3rd parts detection part 273 is arrange|positioned downstream of the 2nd parts detection part 272 in the conveyance path|route of the turntable 212 .

제1 부품검지부(271), 제2 부품검지부(272) 및 제3 부품검지부(273) 각각은 전자부품(50)에 관한 임의의 사항에 대해 검지한다. 제1 부품검지부(271)는 예를 들면 전자부품(50)이 통과한 것을 검지하고, 전자부품(50)이 통과된 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의 기능을 가진다. 제2 부품검지부(272)는 예를 들면 전자부품(50)의 형상을 검지하고, 검지된 형상으로부터 전자부품(50)에 형상적인 결함이 있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이미지 센서이다. 제3 부품검지부(273)는 예를 들면 전자부품(50)의 성능을 검지하는 성능검지부로서 기능한다. 상기 성능검지부는 예를 들면 전자부품(50)이 콘덴서인 경우, 기능으로서의 정전 용량이 규정 값을 가지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정전 용량 센서 등이 적용된다. Each of the first component detection unit 271 , the second component detection unit 272 , and the third component detection unit 273 detects any matter related to the electronic component 50 . The 1st component detection part 271 has the function of a counter which detects that the electronic component 50 passed, for example, and counts the number which the electronic component 50 passed. The second component detection unit 272 is, for example, an image sensor that detects the shape of the electronic component 50 and detects whether or not there is a shape defect in the electronic component 50 from the detected shape. The 3rd component detection part 273 functions as a performance detection part which detects the performance of the electronic component 50, for example. For the performance detection unit, for example, when the electronic component 50 is a capacitor, a capacitance sensor or the like for detecting whether the capacitance as a function has a specified value is applied.

제4 부품검지부(274)는 원통부재(231)의 상류 측과 하류 측 각각의 위치에 배치된 상류 측 통과검지부(275)와 하류 측 통과검지부(276)를 포함한다. 상류 측 통과검지부(275)는 원통부재(231)의 상류 측이며, 통과구멍(218)을 통과하여 원통부재(231)에 들어가는 전자부품(50)의 통과 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의 기능을 가진다. 상류 측 통과검지부(275)는 발광소자(275a) 및 수광소자(275b)로 구성되는 공지의 광 센서가 사용된다. 하류 측 통과검지부(276)는 원통부재(231)의 하류 측이며, 원통부재(231)를 통과하여 케이스(1)의 배출구(6)에 들어가는 전자부품(50)의 통과 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의 기능을 가진다. 하류 측 통과검지부(276)도 상류 측 통과검지부(275)와 마찬가지이며, 발광소자(276a) 및 수광소자(276b)로 구성되는 공지의 광 센서가 사용된다. 한편, 광 센서로는 발광한 광의 반사를 대상물로부터 수광하는 형식이며,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가 분리되지 않고 일체로 된 것이어도 된다. The fourth part detection unit 274 includes an upstream passage detection unit 275 and a downstream passage detection unit 276 disposed at respective positions on the upstream side and the downstream side of the cylindrical member 231 . The upstream passage detecting unit 275 is on the upstream side of the cylindrical member 231 , and has a counter function for counting the number of passages of the electronic component 50 entering the cylindrical member 231 through the through hole 218 . A well-known optical sensor composed of a light emitting element 275a and a light receiving element 275b is used for the upstream pass detection unit 275 . The downstream-side passage detecting unit 276 is a downstream side of the cylindrical member 231, passing through the cylindrical member 231 and entering the outlet 6 of the case 1 of the counter for counting the number of passes. have a function The downstream pass detection unit 276 is also the same as the upstream pass detection unit 275, and a known optical sensor composed of a light emitting element 276a and a light receiving element 276b is used. On the other hand, the optical sensor is a type that receives the reflection of the emitted light from the object, and the light emitting element and the light receiving element are not separated but may be integrated.

실시형태의 부품 수용장치(200)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급대기부(510)와 공급이송부(550)와 회수보관부(520)와 회수이송부(560)를 포함한다. The component accommodation apparatus 200 of the embodiment includes a supply standby unit 510 , a supply transfer unit 550 , a recovery storage unit 520 , and a recovery transfer unit 560 as shown in FIG. 5 .

설치부(240)에 설치되는 케이스(1)의 한쪽 측방(도 5에서 오른쪽)에 공급대기부(510) 및 공급이송부(550)가 배치된다. 설치부(240)에 설치되는 케이스(1)의 다른 쪽 측방(도 5에서 왼쪽)에 회수보관부(520) 및 회수이송부(560)가 배치된다. 한편, 공급이송부(550) 및 회수이송부(560)의 배치 양태는 도 5의 양태에 한정되지 않고, 부품 수용장치(200)의 연직방향으로 배치되어도 되고, 도 5 중의 아래쪽 및 위쪽에 배치되어도 된다. A supply standby unit 510 and a supply transfer unit 550 are disposed on one side (the right side in FIG. 5 ) of the case 1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unit 240 . A recovery storage unit 520 and a recovery transfer unit 560 are disposed on the other side (left side in FIG. 5 ) of the case 1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unit 240 . On the other hand, the arrangement aspect of the supply transfer unit 550 and the recovery transfer unit 560 is not limited to the aspect of FIG. 5 , and may b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omponent accommodating device 200 , and may be arranged below and above in FIG. 5 . do.

공급대기부(510)는 앞으로 전자부품(50)이 내부에 수용될 케이스(1)(예를 들면 빈 케이스)를 복수개 수용하여 유지하는 부분이다. 공급대기부(510)는 복수개의 케이스(1)를 병렬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상자, 선반, 랙, 캐비넷 등의 적당한 수용 기기로 구성된다. 공급대기부(510)에는 복수개의 케이스(1)가 설치부(240)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일렬로 늘어선 상태로 유지된다. 공급대기부(510)에서 케이스(1)는 배출구(6)가 상방을 향하면서 저판부(2D)가 벽부(241) 측을 향한 수직 상태로 공급대기부(510)에 유지되면 바람직하다. 이로써, 자세를 거의 바꾸지 않고 공급이송부(550)로 평행 이동시켜서 이송함으로써 설치부(240)에 원활하게 설치할 수 있다. The supply standby unit 510 is a part for receiving and maintaining a plurality of cases 1 (eg, empty cases) in which the electronic components 50 will be accommodated in the future. The supply standby unit 510 is constituted by an appropriate accommodating device such as a box, a shelf, a rack, or a cabinet capable of holding the plurality of cases 1 in a parallel state. In the supply standby unit 510 , a plurality of cases 1 are maintained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arranged in a line along the direction toward the installation unit 240 . In the supply standby unit 510 , the case 1 is preferably maintained in the supply standby unit 510 in a vertical state with the bottom plate portion 2D facing the wall 241 side while the outlet 6 faces upward. Accordingly, it can be smoothly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unit 240 by moving the feed conveying unit 550 in parallel without changing the posture.

공급이송부(550)는 공급대기부(510)에서 유지되는 케이스(1)를 1개씩 설치부(240)에 이송한다. 공급이송부(550)는 공급대기부(510)에 늘어선 복수개의 케이스(1) 중, 가장 설치부(240)에 가까운 가장 앞줄의 1개의 케이스(1)를 설치부(240)에 이송한다. 공급이송부(550)는 롤러나 벨트 등의, 회전기구에 의해 공급대기부(510)로부터 설치부(240) 근방까지 케이스(1)를 이송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 등으로 구성된다. 그 경우, 공급대기부(510)로부터 1개의 케이스(1)를 픽업하여 공급이송부(550)에 두거나, 공급이송부(550)로부터 설치부(240)에 케이스(1)를 설치하는 세세한 작업은 사람 손이나 로봇으로 수행한다. 설치부(240)에 케이스(1)를 설치하는 작업이란, 케이스(1)의 앞쪽 갈고랑이부(8A) 및 뒤쪽 갈고랑이부(8B) 각각을 설치부(240)의 위쪽 후크부(251) 및 아래쪽 후크부(252)에 걸어 맞추는 작업이다. 또한, 공급대기부(510)로부터 1개의 케이스(1)를 픽업하여 설치부(240)에 케이스(1)를 설치할 때까지의 일련의 작업을 공급이송부(550)가 수행해도 된다. 그와 같은 기능을 가지는 공급이송부(550)로는 로봇이 적용된다. 공급이송부(550)는 예를 들면 경사면에 케이스(1)가 설치되고, 중력에 의해 순차 그 경사면을 내려감으로써 설치부(240) 근방으로 이송되는 바와 같은 것이어도 된다. The supply transfer unit 550 transfers the cases 1 maintained in the supply standby unit 510 one by one to the installation unit 240 . The supply transfer unit 550 transfers one case 1 in the frontmost row closest to the installation unit 240 among the plurality of cases 1 arranged in the supply standby unit 510 to the installation unit 240 . The supply transfer unit 550 is configured with a function of transferring the case 1 from the supply standby unit 510 to the vicinity of the installation unit 240 by a rotating mechanism such as a roller or a belt. In that case, a detailed operation of picking up one case 1 from the supply standby unit 510 and placing it in the supply transfer unit 550 or install the case 1 in the installation unit 240 from the supply transfer unit 550 . is performed by human hands or robots. The operation of installing the case 1 on the installation part 240 is the upper hook part 251 and the lower part of the installation part 240, respectively, of the front groin part 8A and the rear crotch part 8B of the case (1). It is an operation to engage with the hook part 252. In addition, the supply transfer unit 550 may perform a series of operations from picking up one case 1 from the supply standby unit 510 to installing the case 1 in the installation unit 240 . A robot is applied as the supply transfer unit 550 having such a function. The supply transfer unit 550 may be, for example, such that the case 1 is installed on an inclined surface, and is transferred to the vicinity of the installation part 240 by sequentially descending the inclined surface by gravity.

공급대기부(510)와, 설치부(240)에 설치되는 케이스(1) 사이에는 공급 측 정보 읽기쓰기부로서의 공급 측 리더 라이터(530)가 배치된다. 공급 측 리더 라이터(530)는 공급대기부(510)로부터 설치부(240)로 이송되는 케이스(1)가 포함하는 RFID 태그(5)에 대하여 정보의 읽기쓰기를 수행한다. 예를 들면 공급 측 리더 라이터(530)에 의해, 케이스(1)의 케이스 번호나, 케이스(1)가 비어서 전자부품(50)의 수용이 가능하다는 취지의 정보 읽어내기 등이 수행된다. 또한, 예를 들면 케이스(1)에 수용되는 전자부품(50)의 종류 등이 RFID 태그(5)에 입력된다. 한편, 리더 라이터(530)는 공급대기부(510)에 배치되어도 된다. A supply-side reader/writer 530 as a supply-side information read/write unit is disposed between the supply standby unit 510 and the case 1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unit 240 . The supply-side reader/writer 530 reads and writes information on the RFID tag 5 included in the case 1 transferred from the supply standby unit 510 to the installation unit 240 . For example, the supply-side reader/writer 530 reads out the case number of the case 1 and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case 1 is empty and the electronic component 50 can be accommodated. Also, for example, the type of the electronic component 50 accommodated in the case 1 is input to the RFID tag 5 . On the other hand, the reader/writer 530 may be disposed in the supply standby unit 510 .

회수보관부(520)는 전자부품(50)의 수용이 완료되어 회수해야 할 케이스(1)를 설치부(240)로부터 받고, 그와 같은 케이스(1)를 복수개 수용하여 유지하는 부분이다. 회수보관부(520)는 공급대기부(510)와 마찬가지로, 복수개의 케이스(1)를 병렬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상자, 선반, 랙, 캐비넷 등의 적당한 수용 기기로 구성된다. 회수보관부(520)에는 복수개의 케이스(1)가 공급대기부(510)와 마찬가지로 일렬로 늘어선 상태로 유지된다. The collection and storage unit 520 receives the case 1 to be recovered after the acceptance of the electronic component 50 is completed, from the installation unit 240 , and receives and maintains a plurality of such cases 1 . The collection and storage unit 520, similar to the supply standby unit 510, is configured with suitable accommodation devices such as boxes, shelves, racks, cabinets, etc. capable of maintaining a plurality of cases 1 in parallel. In the collection and storage unit 520 , a plurality of cases 1 are maintained in a line in the same manner as the supply standby unit 510 .

회수이송부(560)는 설치부(240)에 설치된 케이스(1)를 1개씩 회수보관부(520)에 이송한다. 회수이송부(560)는 상술한 공급이송부(550)와 동일한 구성이어도 된다. 즉, 회수이송부(560)는 롤러나 벨트 등의, 회전기구에 의해 설치부(240)로부터 회수보관부(520) 근방까지 케이스(1)를 이송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 등으로 구성된다. 그 경우, 설치부(240)에 설치된 1개의 케이스(1)를 픽업하여 회수이송부(560)에 두거나, 회수이송부(560)로부터 회수보관부(520)에 케이스(1)를 두는 세세한 작업은 사람 손이나 로봇으로 수행한다. 또한, 설치부(240)로부터 케이스(1)를 픽업하여 회수보관부(520)에 보관할 때까지의 일련의 작업을 회수이송부(560)가 수행해도 된다. 그와 같은 기능을 가지는 회수이송부(560)로는 로봇이 적용된다. The collection transfer unit 560 transfers the cases 1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unit 240 to the collection storage unit 520 one by one. The recovery transfer unit 560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supply transfer unit 550 described above. That is, the collection and transfer unit 560 is configured to have a function of transferring the case 1 from the installation unit 240 to the vicinity of the collection storage unit 520 by a rotating mechanism, such as a roller or a belt. In that case, the detailed operation of picking up one case 1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unit 240 and placing it in the collection transfer unit 560 or placing the case 1 in the collection storage unit 520 from the collection transfer unit 560 is human. It is performed by hand or robot. In addition, the collection transfer unit 560 may perform a series of operations until the case 1 is picked up from the installation unit 240 and stored in the collection storage unit 520 . A robot is applied as the recovery transfer unit 560 having such a function.

회수보관부(520)와, 설치부(240)에 설치되는 케이스(1) 사이에는 회수 측 정보 읽기쓰기부로서의 회수 측 리더 라이터(540)가 배치된다. 회수 측 리더 라이터(540)는 설치부(240)로부터 회수보관부(520)로 이송되는 케이스(1)가 포함하는 RFID 태그(5)에 대하여 정보의 읽기쓰기를 수행한다. 예를 들면 회수 측 리더 라이터(540)에 의해, 예를 들면 케이스(1)에 수용된 전자부품(50)의 종류나, 전자부품(50)이 수용된 수 등이 RFID 태그(5)에 입력된다. 한편, 리더 라이터(540)는 회수보관부(520)에 배치되어도 된다. Between the collection storage unit 520 and the case 1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unit 240 , a recovery-side reader/writer 540 as a recovery-side information reading/writing unit is disposed. The recovery-side reader/writer 540 reads and writes information on the RFID tag 5 included in the case 1 transferred from the installation unit 240 to the collection storage unit 520 . For example, the type of electronic components 50 accommodated in the case 1, the number of electronic components 50 accommodated, etc. are input to the RFID tag 5 by the collection-side reader/writer 540, for example. Meanwhile, the reader/writer 540 may be disposed in the collection storage unit 520 .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부품 수용장치(200)에 따르면, 다음과 같이 하여 전자부품(50)이 케이스(1)에 수용된다. According to the component accommodation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the electronic component 50 is accommodated in the case 1 as follows.

공급대기부(510)에 유지된 1개의 케이스(1)가 공급이송부(550)에 의해 설치부(240)로 이송되고, 이어서 설치부(240)에 설치된다. 설치부(240)에 설치된 케이스(1)에서는 개폐 기구(260)에 의해 셔터 부재(3)가 슬라이딩되어 배출구(6)가 개구되고, 전자부품(50)의 수용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One case 1 held in the supply standby unit 510 is transferred to the installation unit 240 by the supply transfer unit 550 , and then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unit 240 . In the case 1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part 240 , the shutter member 3 is slid by the opening/closing mechanism 260 to open the outlet 6 , and the electronic component 50 can be accommodated.

전자부품(50)은 리니어피더(211)에 의해 1개씩 턴테이블(212)에 반송된다. 제1 부품검지부(271)에 의해 전자부품(50)은 검지된다. 제1 부품검지부(271)에서는 예를 들면 반송되는 전자부품(50)의 수가 카운트된다. 리니어피더(211)로부터 1개의 전자부품(50)이 간헐 회전 중인 턴테이블(212)의 컷아웃(215)에 수용된다. 턴테이블(212)이 간헐 회전하는 중에, 컷아웃(215) 안의 전자부품(50)은 제2 부품검지부(272) 및 제3 부품검지부(273)에 의해 검지된다. The electronic components 50 are conveyed to the turntable 212 one by one by the linear feeder 211 . The electronic component 50 is detected by the first component detection unit 271 . In the 1st component detection part 271, the number of the electronic components 50 conveyed, for example is counted. One electronic component 50 from the linear feeder 211 is accommodated in the cutout 215 of the turntable 212 in intermittent rotation. While the turntable 212 rotates intermittently, the electronic component 50 in the cutout 215 is detected by the second component detection unit 272 and the third component detection unit 273 .

제2 부품검지부(272)에서는 예를 들면 전자부품(50)의 형상을 검지하고, 검지된 형상으로부터 전자부품(50)에 형상적인 결함이 있는지 여부가 검지된다. 제3 부품검지부(273)에서는 예를 들면 전자부품(50)의 성능이 검지된다. 제2 부품검지부(272) 및 제3 부품검지부(273)에서 검지에 의해 불량품이라고 판단되면, 그 전자부품(50)은 턴테이블(212)로부터 배제된다. The second component detection unit 272 detects, for example, the shape of the electronic component 50 , and from the detected shape, it is detected whether or not there is a shape defect in the electronic component 50 . The performance of the electronic component 50 is detected by the 3rd component detection part 273, for exampl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ond component detecting unit 272 and the third component detecting unit 273 are defective products, the electronic component 50 is removed from the turntable 212 .

전자부품(50)은 턴테이블(212)에 의해 1개씩 배출부(230)에 반송된다. 배출부(230)에서는 컷아웃(215)이 통과구멍(218)에 합치됨과 동시에 압하 핀(236)이 하강하여 전자부품(50)을 하방으로 민다. 전자부품(50)은 컷아웃(215)으로부터 통과구멍(218)으로 낙하하고, 나아가 통과구멍(218)을 지나 원통부재(231)의 내부로 들어가며, 원통부재(231) 안을 낙하하여 케이스(1)의 배출구(6)로부터 케이스(1) 안으로 낙하하여 수용된다. 이때, 제4 부품검지부(274)의 상류 측 통과검지부(275)에 의해, 컷아웃(215)으로부터 낙하한 전자부품(50)이 원통부재(231)로 들어가는 것이 검지되고, 하류 측 통과검지부(276)에 의해, 원통부재(231)로부터 낙하한 전자부품(50)이 케이스(1) 안으로 들어가는 것이 검지된다. The electronic components 50 are conveyed to the discharge unit 230 one by one by the turntable 212 . In the discharge part 230 , the cut-out 215 matches the through hole 218 , and the push-down pin 236 descends to push the electronic component 50 downward. The electronic component 50 falls from the cutout 215 to the through hole 218 and further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218 and enters the inside of the cylindrical member 231, and falls into the cylindrical member 231 to form the case 1 ) falls into the case (1) from the outlet (6) and is accommodated. At this time, it is detected that the electronic component 50 dropped from the cutout 215 enters the cylindrical member 231 by the upstream passage detection unit 275 of the fourth component detection unit 274, and the downstream passage detection unit ( 276 , it is detected that the electronic component 50 dropped from the cylindrical member 231 enters the case 1 .

이상의 동작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져서 복수개의 전자부품(50)이 케이스(1) 안에 수용된다. 리니어피더(211)로 반송하는 중에 제1 부품검지부(271)에 의해 전자부품(50)이 반송된 수가 카운트된다. 또한, 상류 측 통과검지부(275) 및 하류 측 통과검지부(276)를 포함하는 제4 부품검지부(274)에 의해, 컷아웃(215)으로부터 낙하된 전자부품(50)이 최종적으로 케이스(1) 안에 수용된 전자부품(50)의 수가 카운트된다. 케이스(1) 안에 수용된 전자부품(50)의 수가 소정 수에 도달하면 반송부(210)에 의한 전자부품(50)의 반송이 중단된다. The above operation is continuously performed so that the plurality of electronic components 50 are accommodated in the case 1 . While being conveyed by the linear feeder 211, the number of the electronic components 50 conveyed by the 1st component detection part 271 is counted. In addition, by the fourth component detection unit 274 including the upstream side passage detection unit 275 and the downstream side passage detection unit 276 , the electronic component 50 dropped from the cutout 215 is finally transferred to the case 1 . The number of electronic components 50 accommodated therein is counted. When the number of electronic components 50 accommodated in the case 1 reaches a predetermined number, the conveyance of the electronic components 50 by the conveying unit 210 is stopped.

소정 수의 전자부품(50)이 수용된 케이스(1)는 회수이송부(560)에 의해 설치부(240)로부터 회수보관부(520)로 이송된다. 그리고 공급대기부(510)로부터 1개의 케이스(1)가 공급이송부(550)에 의해 설치부(240)로 이송되고, 전자부품(50)을 수용해야 할 새로운 케이스(1)(예를 들면, 빈 케이스)가 설치부(240)에 갈아 끼워진다. 그 후, 설치부(240)에 설치된 케이스(1)로 전자부품(50)을 수용하는 것이 재개된다. The case 1 in which the predetermined number of electronic components 50 are accommodated is transferred from the installation unit 240 to the collection storage unit 520 by the collection transfer unit 560 . And one case 1 is transferred from the supply standby unit 510 to the installation unit 240 by the supply transfer unit 550, and a new case 1 to accommodate the electronic component 50 (for example, , empty case) is replaced with the installation unit 240 . After that, accommodating the electronic component 50 in the case 1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unit 240 is resumed.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 따른 부품 수용장치(200)에 따르면, 이하의 효과가 발휘된다. According to the components accommodating apparatus 200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demonstrated above, the following effects are exhibited.

(1) 실시형태에 따른 부품 수용장치(200)는 개구로서의 배출구(6)를 가지는 케이스(1) 안에 복수개의 전자부품(50)을 배출구(6)로부터 수용하는 부품 수용장치로서, 복수개의 전자부품(50)을 연속적으로 반송하는 반송부(210)와, 반송부(210)에 의해 반송된 전자부품(50)을 1개씩 자중으로 낙하시키는 배출부(230)와, 배출부(230)로부터 배출되는 전자부품(50)이 배출구(6)에 낙하되도록, 케이스(1)가 위치 결정된 상태로 설치되는 설치부(240)와, 설치부(240)에 공급되는 복수개의 케이스(1)를 유지하는 공급대기부(510)와, 케이스(1)를 공급대기부(510)로부터 설치부(240)로 1개씩 이송하는 공급이송부(550)를 포함한다. (1) The component accommodat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a component accommodating apparatus for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components 50 from the discharge port 6 in the case 1 having the discharge port 6 as an opening, and includes a plurality of electronic components. From the conveying unit 210 for continuously conveying the components 50 , the discharging unit 230 for dropping the electronic components 50 conveyed by the conveying unit 210 one by one under their own weight, and the discharging unit 230 . The installation unit 240 is installed in a state where the case 1 is positioned so that the discharged electronic component 50 falls to the discharge port 6 , and the plurality of cases 1 supplied to the installation unit 240 are maintained. It includes a supply standby unit 510 and a supply transfer unit 550 for transferring the case 1 from the supply standby unit 510 to the installation unit 240 one by one.

이로써, 설치부(240)로 케이스(1)의 설치 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전자부품(50)을 수용하기 전의 복수개의 케이스(1)를 공급대기부(510)에 모아서 대기시켜 둘 수 있다. 이들의 결과, 케이스(1) 안으로 전자부품(50)을 수용하는 공정의 효율화가 도모된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easily install the case 1 by the installation unit 240 .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cases 1 before accommodating the electronic component 50 may be collected and placed in the supply standby unit 510 to stand by. As a result of these, the efficiency of the process of accommodating the electronic component 50 in the case 1 is attained.

(2) 실시형태에 따른 부품 수용장치(200)에서는 설치부(240)로부터 회수되는 케이스(1)를 설치부(240)로부터 받아서 복수개의 케이스(1)를 유지하는 회수보관부(520)와, 케이스(1)를 설치부(240)로부터 회수보관부(520)로 1개씩 이송하는 회수이송부(56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In the component accommodating devic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 collection storage unit 520 for receiving the case 1 recovered from the installation unit 240 from the installation unit 240 and holding the plurality of cases 1; ,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collection transfer unit 560 for transferring the case 1 from the installation unit 240 to the collection storage unit 520 one by one.

이로써, 설치부(240)에 대한 케이스(1)의 갈아 끼우기 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고, 케이스(1) 안으로 전자부품(50)을 수용하는 공정의 효율화가 한층 더 도모된다. 또한, 전자부품(50) 수용이 완료된 복수개의 케이스(1)를 회수보관부(520)에 모아서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전자부품(50) 수용이 완료된 복수개의 케이스(1)를 모아서 관리하거나 운반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Thereby, it becomes possible to quickly and easily replace the case 1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part 240 , and the process of accommodating the electronic component 50 into the case 1 is further improved. 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collect and store the plurality of cases 1 in which the electronic component 50 has been accommodated in the collection and storage unit 520, collect and manage or transport the plurality of cases 1 in which the electronic component 50 has been accommodated. it becomes easier

(3) 실시형태에 따른 부품 수용장치(200)에서는 케이스(1)는 RFID 태그(5)를 포함하고, 공급대기부(510)로부터 설치부(240)로 이송되는 케이스(1)의 RFID 태그(5)에 대하여 정보의 읽기쓰기를 수행하는 공급 측 정보 읽기쓰기부로서의 공급 측 리더 라이터(53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In the component accommodating devic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case 1 includes an RFID tag 5 , and the RFID tag of the case 1 is transferred from the supply standby unit 510 to the installation unit 240 . For (5),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supply-side reader/writer 530 as a supply-side information read/write unit that reads/writes information.

이로써, 설치부(240)에 설치되기 직전의 케이스(1)가 포함하는 RFID 태그(5)에 대하여, 원하는 각종 정보를 읽고 쓸 수 있고, 그 정보에 기초하여 케이스(1) 안에 수용되는 전자부품(50)이나 케이스(1) 등의 관리를 할 수 있다. Accordingly, desired various information can be read and written to the RFID tag 5 included in the case 1 immediately before being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unit 240 , and electronic components accommodated in the case 1 based on the information. (50) and case (1) can be managed.

(4) 실시형태에 따른 부품 수용장치(200)에서는 케이스(1)는 RFID 태그(5)를 포함하고, 설치부(240)로부터 회수보관부(520)로 이송되는 케이스(1)의 RFID 태그(5)에 대하여 정보의 읽기쓰기를 수행하는 회수 측 정보 읽기쓰기부로서의 회수 측 리더 라이터(54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In the component accommodating devic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case 1 includes an RFID tag 5 , and the RFID tag of the case 1 is transferred from the installation unit 240 to the collection storage unit 520 . With respect to (5),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recovery-side reader/writer 540 as a recovery-side information read/write unit that reads/writes information.

이로써, 설치부(240)에서 전자부품(50)이 수용된 직후의 케이스(1)가 포함하는 RFID 태그(5)에 대하여, 원하는 각종 정보를 읽고 쓸 수 있고, 그 정보에 기초하여 케이스(1) 안에 수용되는 전자부품(50)이나 케이스(1) 등의 관리를 할 수 있다. Accordingly, desired various information can be read and written to the RFID tag 5 included in the case 1 immediately after the electronic component 50 is accommodated in the installation unit 240, and the case 1 based on the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manage the electronic components 50 and the case 1 accommodated therein.

이상,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의 변형, 개량 등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embodiment was demonstrated,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id embodiment, The deformation|transformation, improvement, etc. within the range which can achieve the objective of this invention are included in this invention.

예를 들면, 설치부(240)를 복수개 마련함과 함께, 그들 설치부(240)에 대응하여 배출부(230)를 복수개 마련하고, 한편, 각 설치부(240)에 복수개의 케이스(1)를 공급대기부(510)로부터 이송하며, 전자부품(50)을 수용한 그들 복수개의 케이스(1)를 회수보관부(520)로 이송하는 것과 같이, 복수개의 케이스(1)를 벽부(241)에 대하여 갈아 끼울 수 있게 해도 된다.For example, while providing a plurality of installation parts 240 , a plurality of discharge parts 230 are provided corresponding to those installation parts 240 , and, 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cases 1 are provided in each installation part 240 . Transfer from the supply standby unit 510 and transfer the plurality of cases 1 accommodating the electronic components 50 to the collection and storage unit 520 , the plurality of cases 1 are placed on the wall 241 . You may be able to replace it with respect to it.

1: 케이스
5: RFID 태그
6: 배출구(개구)
50: 전자부품(부품)
200: 부품 수용장치
210: 반송부
230: 배출부
240: 설치부
510: 공급대기부
520: 회수보관부
530: 공급 측 리더 라이터(공급 측 정보 읽기쓰기부)
540: 회수 측 리더 라이터(회수 측 정보 읽기쓰기부)
550: 공급이송부
560: 회수이송부
1: case
5: RFID tag
6: Outlet (opening)
50: electronic component (part)
200: part receiving device
210: transfer unit
230: discharge unit
240: installation unit
510: supply standby unit
520: recovery storage unit
530: supply-side reader/writer (supply-side information read/write unit)
540: recovery-side reader/writer (recovery-side information read/write unit)
550: supply transfer unit
560: recovery transfer unit

Claims (4)

개구를 가지는 케이스 안에 복수개의 부품을 상기 개구로부터 수용하는 부품 수용장치로서,
복수개의 부품을 연속적으로 반송하는 반송부와,
상기 반송부에 의해 반송된 부품을 1개씩 자중(自重)으로 낙하시키는 배출부와,
상기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부품이 상기 개구로 낙하되도록, 상기 케이스가 위치 결정된 상태로 설치되는 설치부와,
상기 설치부에 공급되는 복수개의 상기 케이스를 유지하는 공급대기부와,
상기 케이스를 상기 공급대기부로부터 상기 설치부로 1개씩 이송하는 공급이송부를 포함하는 부품 수용장치.
A component accommodating device for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components from the opening in a case having an opening,
a conveying unit for continuously conveying a plurality of components;
a discharge unit for dropping the components conveyed by the conveying unit one by one under their own weight;
an installation part installed in a state where the case is positioned so that the part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art fall into the opening;
a supply standby unit for holding a plurality of the cases supplied to the installation unit;
A component accommodating device including a supply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he case from the supply standby unit to the installation unit one by o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로부터 회수되는 상기 케이스를 상기 설치부로부터 받아서 복수개의 상기 케이스를 유지하는 회수보관부와,
상기 케이스를 상기 설치부로부터 상기 회수보관부로 1개씩 이송하는 회수 이송부를 포함하는 부품 수용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collection storage unit for receiving the case recovered from the installation unit from the installation unit and retaining a plurality of the cases;
and a recovery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he case from the installation unit to the collection and storage unit one by on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RFID 태그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대기부로부터 상기 설치부로 이송되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RFID 태그에 대하여 정보의 읽기쓰기를 수행하는 공급 측 정보 읽기쓰기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부품 수용장치.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The case includes an RFID tag,
Further comprising a supply-side information read/write unit for reading/writing information on the RFID tag of the case transferred from the supply standby unit to the installation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RFID 태그를 포함하고,
상기 설치부로부터 상기 회수보관부로 이송되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RFID 태그에 대하여 정보의 읽기쓰기를 수행하는 회수 측 정보 읽기쓰기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부품 수용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ase includes an RFID tag,
and a recovery-side information reading/writing unit configured to read/write information on the RFID tag of the case transferred from the installation unit to the collection and storage unit.
KR1020220025748A 2021-03-23 2022-02-28 Component receiving device KR20220132423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48935A JP7415996B2 (en) 2021-03-23 2021-03-23 Parts storage device
JPJP-P-2021-048935 2021-03-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2423A true KR20220132423A (en) 2022-09-30

Family

ID=83325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5748A KR20220132423A (en) 2021-03-23 2022-02-28 Component receiving devic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415996B2 (en)
KR (1) KR20220132423A (en)
CN (1) CN115119494A (en)
TW (1) TWI800317B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95618A (en) 2008-06-02 2009-12-17 Taiyo Yuden Co Ltd Part replenishment system for bulk feed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7931A (en) 1995-06-09 2002-12-04 Yuyama Manufacturing Co Ltd Feeding method and device for drug supply
CN207001710U (en) * 2017-07-31 2018-02-13 苏州迈为科技股份有限公司 A kind of full-automatic separator of cell piece
CN111372874B (en) * 2018-10-25 2021-08-10 黄国城 Dynamic storage device and dynamic access management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95618A (en) 2008-06-02 2009-12-17 Taiyo Yuden Co Ltd Part replenishment system for bulk fee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147615A (en) 2022-10-06
TW202335577A (en) 2023-09-01
JP7415996B2 (en) 2024-01-17
TW202239318A (en) 2022-10-01
TWI800317B (en) 2023-04-21
CN115119494A (en) 2022-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32417A (en) Component receiving device and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KR20220130586A (en) Component receiving device
KR20220132423A (en) Component receiving device
JP2022090125A (en) feeder
KR20220130005A (en) Component receiving device
KR20220132419A (en) Component receiving device
JP2006165432A (e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device
JP7113187B2 (en) Component supply device, component mounting system, and component mounting method
TWI843065B (en) Parts storage device
TWI843577B (en) Parts storage device and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JP6799973B2 (en) feeder
WO2023281927A1 (en) Component accommodation device
JP7108817B2 (en) Parts feeder
JP7113188B2 (en) Component supply device, component mounting system, and component mounting method
JP2021044579A (en) Component suppl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