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1810A - 블록 체인 및 IoT 기술을 이용하여 수산물의 이력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QR 태그, 방법, 프로그램 및 서버 - Google Patents

블록 체인 및 IoT 기술을 이용하여 수산물의 이력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QR 태그, 방법, 프로그램 및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1810A
KR20220131810A KR1020210155520A KR20210155520A KR20220131810A KR 20220131810 A KR20220131810 A KR 20220131810A KR 1020210155520 A KR1020210155520 A KR 1020210155520A KR 20210155520 A KR20210155520 A KR 20210155520A KR 20220131810 A KR20220131810 A KR 20220131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g
code
present
history information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5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연지
유태연
Original Assignee
코리아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리아소프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리아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55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1810A/ko
Publication of KR20220131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18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marking the record carrier in digital fashion
    • G06K1/12Methods or arrangements for marking the record carrier in digital fashion otherwise than by punching
    • G06K1/1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marking the record carrier in digital fashion otherwise than by punching by printing code ma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체인 및 IoT 기술을 이용하여 수산물의 이력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QR 코드를 인쇄하도록 구성된 QR 코드 인쇄 장치; 상기 QR 코드 인쇄 장치에 의해 상기 QR 코드가 인쇄된 QR 태그; 상기 QR 태그를 수산물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고정시키는 태그 핀(Tag Pin); 태그 바늘을 포함하고, 상기 태그 핀을 체결한 상태에서, 상기 태그 핀을 돌출시키도록 구성된 태그 건(Tag Gun); 상기 수산물의 이력 정보를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측정하도록 구성된 IoT 센서; 상기 QR 코드를 인식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이 접속 가능한 복수의 노드; 상기 복수의 노드가 등록된 블록 체인;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 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연산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이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서버로부터 수신된 QR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QR 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QR 코드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QR 코드 인쇄 장치로 하여금 상기 QR 코드를 상기 QR 태그에 인쇄하게 하고, 상기 IoT 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이력 정보를 상기 QR 코드와 매칭시켜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상기 QR 코드가 인식될 때,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통해 상기 이력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이력 정보로 구성된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블록을 상기 블록 체인에 등록하여, 상기 블록을 해쉬 체인(Hash Chain)의 형태로 연결하고, 상기 블록 체인에 등록된 상기 복수의 노드 중 하나의 노드에서 발생한 상기 트랜잭션을 상기 블록 체인에 등록된 상기 복수의 노드에 전송하여, 상기 트랜잭션이 상기 복수의 노드에 의해 공유되도록 하고 - 상기 트랜잭션은 상기 이력 정보의 생성, 변화 및 폐기를 포함함 -, 상기 태그 핀이 상기 태그 건에 체결되고, 상기 태그 바늘이 상기 QR 태그 및 상기 수산물의 비가식 부위의 순으로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태그 건에 의해, 상기 태그 핀이 돌출하여, 상기 QR 태그 및 상기 수산물의 비가식 부위의 순으로 관통한 후, 상기 태그 바늘만이 상기 수산물의 비가식 부위 및 상기 QR 태그의 순으로 빠져나오는 방식으로, 상기 QR 태그가 상기 수산물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블록 체인 및 IoT 기술을 이용하여 수산물의 이력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QR 태그, 방법, 프로그램 및 서버{SYSTEM, QR TAG, METHOD, PROGRAM AND SERVER FOR MANAGING HISTORICAL INFORMATION OF SEAFOOD USING BLOCKCHAIN AND IOT TECHNOLOGY}
본 발명은 블록 체인 및 IoT 기술을 이용하여 수산물의 이력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QR 태그, 방법, 프로그램 및 서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태그 건을 이용하여, QR 코드가 인쇄된 QR 태그를 수산물 자체에 부착하여, 생산자, 유통업자 및 소비자에 이르기까지의 생산 및 유통 과정에서의 수산물 이력 정보를 블록 체인에 의해 관리되게 하는 시스템, QR 태그, 방법, 프로그램 및 서버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방사능 오염 등으로 인한 수산물의 안전성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생산자 또는 유통업자 수산물의 원산지 등을 허위로 표시하면, 소비자는 이를 확인할 방법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는 수산물에 대한 신뢰 감소로 이어져, 국내 양식업자들의 소득이 감소되는 악순환이 반복될 수 있다.
특히, 수산물은 구조적으로 이력제가 곤란한 문제점을 갖고 있는 반면, 생산자들에게는 투명한 생산 정보, 유통업자들에게는 투명하고 정직한 유통 정보, 소비자들에게는 투명하고 상세한 이력 정보가 갈수록 요구되는 상반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수산물에 대한 투명한 이력 정보를 제공하여, 소비자들에게 건강한 먹거리를 제공하고, 수산물의 소비를 증진시키고, 생산자들에게 생산 의욕을 고취시키고, 수익을 증진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05484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한다.)가 있다. 도 11에 의하면, 이 종래기술은 바코드가 인쇄된 종이 태그를 수산물(예를 들어, 광어)의 꼬리에 감는 방식으로 부착하여, 수산물의 이력을 표시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태그가 종이로 구성되어 있어, 수산물에 상처를 주거나, 종이가 잘 떨어져 주변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었고, 또한 이 태그를 수산물의 꼬리에 감는 방식으로 부착하기 때문에 부착 시간이 오래 걸렸으며, 바코드를 이용하기 때문에 이력제의 확장성에 제한이 있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태그 건을 이용하여, QR 코드가 인쇄된 QR 태그를 수산물(예를 들어, 광어) 자체에 부착하여, 생산자, 유통업자 및 소비자에 이르기까지의 생산 및 유통 과정에서의 수산물 이력 정보를 블록 체인에 의해 관리되게 하는 시스템, QR 태그, 방법, 프로그램 및 서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태그 건을 이용하여, QR 코드가 인쇄된 QR 태그를 수산물(예를 들어, 광어) 자체에 부착하여, 일반 스마트폰으로도 QR 인식을 가능하게 하고, 이를 통해 생산자, 유통업자 및 소비자 간에 블록 체인을 통해 수산물의 생산 정보, 이력 정보 등을 공유하게 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기술적 과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체인 및 IoT 기술을 이용하여 수산물의 이력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QR 코드를 인쇄하도록 구성된 QR 코드 인쇄 장치; 상기 QR 코드 인쇄 장치에 의해 상기 QR 코드가 인쇄된 QR 태그; 상기 QR 태그를 수산물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고정시키는 태그 핀(Tag Pin); 태그 바늘을 포함하고, 상기 태그 핀을 체결한 상태에서, 상기 태그 핀을 돌출시키도록 구성된 태그 건(Tag Gun); 상기 수산물의 이력 정보를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측정하도록 구성된 IoT 센서; 상기 QR 코드를 인식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이 접속 가능한 복수의 노드; 상기 복수의 노드가 등록된 블록 체인;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 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연산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이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서버로부터 수신된 QR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QR 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QR 코드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QR 코드 인쇄 장치로 하여금 상기 QR 코드를 상기 QR 태그에 인쇄하게 하고, 상기 IoT 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이력 정보를 상기 QR 코드와 매칭시켜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상기 QR 코드가 인식될 때,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통해 상기 이력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이력 정보로 구성된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블록을 상기 블록 체인에 등록하여, 상기 블록을 해쉬 체인(Hash Chain)의 형태로 연결하고, 상기 블록 체인에 등록된 상기 복수의 노드 중 하나의 노드에서 발생한 상기 트랜잭션을 상기 블록 체인에 등록된 상기 복수의 노드에 전송하여, 상기 트랜잭션이 상기 복수의 노드에 의해 공유되도록 하고 - 상기 트랜잭션은 상기 이력 정보의 생성, 변화 및 폐기를 포함함 -, 상기 태그 핀이 상기 태그 건에 체결되고, 상기 태그 바늘이 상기 QR 태그 및 상기 수산물의 비가식 부위의 순으로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태그 건에 의해, 상기 태그 핀이 돌출하여, 상기 QR 태그 및 상기 수산물의 비가식 부위의 순으로 관통한 후, 상기 태그 바늘만이 상기 수산물의 비가식 부위 및 상기 QR 태그의 순으로 빠져나오는 방식으로, 상기 QR 태그가 상기 수산물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의 이력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산물이 보관되는 수조 및 상기 수산물을 이동시키는 차량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IoT 센서가 부착되고, 상기 IoT 센서에 의해 상기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측정되는 상기 이력 정보는, 상기 수산물의 원산지, 급이 정보, 투약 정보, 출하일자, 출하장소, 및 출하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생산 정보; 상기 수산물 주변의 온도, 습도, 용존 산소량, 염도, 수위, 조도, 위생 정보, 세균 감염 정보, 오염도, 및 방사능 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환경 정보; 및 상기 수산물의 위치 및 유통 경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며, Lora (Long Range) 통신에 의해 송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의 이력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QR 코드 인쇄 장치는, 상기 QR 코드를 열전사 방식으로 상기 QR 태그에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의 이력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QR 태그는 합성 섬유로 구성되고, 상기 합성 섬유는 나일론 태피터(Nylon Taffet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의 이력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QR 태그에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칩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의 이력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QR 태그는 모서리가 둥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의 이력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태그 핀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으로 구성되고, 8 내지 12 mm의 길이의 T자형 핀으로 형성되며, 상기 태그 핀이 체결되는 상기 태그 바늘은 20 내지 30 mm의 길이 및 1 내지 2 mm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의 이력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CCP(Critical Control Point) 단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CCP 단말은 카메라, 마이크 및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CCP 단말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사용자의 얼굴 영상 및 상기 마이크에 의해 인식되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미리 저장해 두고,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얼굴 영상 및 상기 마이크에 의해 인식되는 음성 중 적어도 하나가 미리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얼굴 영상 및 상기 사용자의 음성 중 적어도 하나와 각각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이력 정보에 액세스하게 하고, 상기 스피커에 의해 상기 이력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제공하고, 상기 마이크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 및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의 음성에 따라 상기 이력 정보를 입력, 수정 및 저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체인 및 IoT 기술을 이용하여 수산물의 이력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QR 태그는, QR 코드 인쇄 장치에 의해 인쇄된 QR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QR 태그는, 태그 핀이 태그 건에 체결되고, 태그 바늘이 상기 QR 태그 및 수산물의 비가식 부위의 순으로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태그 건에 의해, 상기 태그 핀이 돌출되어, 상기 QR 태그 및 상기 수산물의 비가식 부위의 순으로 관통된 후, 상기 태그 바늘만이 상기 수산물의 비가식 부위 및 상기 QR 태그의 순으로 빠져나오는 방식으로, 상기 QR 태그가 상기 수산물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부착되고, 상기 QR 코드와 매칭되며 IoT 센서에 의해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측정되는 상기 수산물의 이력 정보가, 사용자 단말에 의해 상기 QR 코드가 인식될 때, URL을 통해 상기 이력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며, 상기 이력 정보로 구성된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블록이 상기 블록 체인에 등록되어, 상기 블록이 해쉬 체인의 형태로 연결되고, 상기 블록 체인에 등록된 복수의 노드 중 하나의 노드에서 발생한 상기 트랜잭션이 상기 블록 체인에 등록된 상기 복수의 노드에 전송되어, 상기 트랜잭션이 상기 복수의 노드에 의해 공유되는 - 상기 트랜잭션은 상기 이력 정보의 생성, 변화 및 폐기를 포함함 -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체인 및 IoT 기술을 이용하여 수산물의 이력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은, 서버로부터 수신된 QR 데이터에 기초하여 QR 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QR 코드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QR 코드 인쇄 장치에 의해 상기 QR 코드를 QR 태그에 인쇄하는 단계; 태그 건에 의해, 상기 QR 태그가 상기 수산물에 부착되는 단계 - 태그 핀이 태그 건에 체결되고, 태그 바늘이 상기 QR 태그 및 수산물의 비가식 부위의 순으로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태그 건에 의해, 상기 태그 핀이 돌출되어, 상기 QR 태그 및 상기 수산물의 비가식 부위의 순으로 관통된 후, 상기 태그 바늘만이 상기 수산물의 비가식 부위 및 상기 QR 태그의 순으로 빠져나오는 방식으로, 상기 QR 태그가 상기 수산물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부착됨 -; IoT 센서에 의해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측정된 수산물의 이력 정보를 상기 QR 코드와 매칭시켜서, 사용자 단말에 의해 상기 QR 코드가 인식될 때, URL을 통해 상기 이력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이력 정보로 구성된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블록을 상기 블록 체인에 등록하여, 상기 블록을 해쉬 체인의 형태로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블록 체인에 등록된 복수의 노드 중 하나의 노드에서 발생한 상기 트랜잭션을 상기 블록 체인에 등록된 상기 복수의 노드에 전송하여, 상기 트랜잭션이 상기 복수의 노드에 의해 공유되도록 하는 단계 - 상기 트랜잭션은 상기 이력 정보의 생성, 변화 및 폐기를 포함함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수산물의 이력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전자 장치 상에서 실행시키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체인 및 IoT 기술을 이용하여 수산물의 이력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서버는, QR 데이터를 송신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산물에 부착된 QR 태그의 QR 코드로부터 인식된 상기 수산물의 이력 정보를 수신하며, 블록 체인에 등록된 복수의 노드에게 상기 이력 정보로 구성된 트랜잭션을 송신하는 통신부 - 태그 핀이 태그 건에 체결되고, 태그 바늘이 상기 QR 태그 및 수산물의 비가식 부위의 순으로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태그 건에 의해, 상기 태그 핀이 돌출되어, 상기 QR 태그 및 상기 수산물의 비가식 부위의 순으로 관통된 후, 상기 태그 바늘만이 상기 수산물의 비가식 부위 및 상기 QR 태그의 순으로 빠져나오는 방식으로, 상기 QR 태그가 상기 수산물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부착됨-;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로 하여금, IoT 센서에 의해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측정된 수산물의 이력 정보를 QR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QR 코드와 매칭시켜서, 사용자 단말에 의해 상기 QR 코드가 인식될 때, URL을 통해 상기 이력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이력 정보로 구성된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블록을 상기 블록 체인에 등록하여, 상기 블록을 해쉬 체인의 형태로 연결하고, 그리고 상기 블록 체인에 등록된 복수의 노드 중 하나의 노드에서 발생한 상기 트랜잭션을 상기 블록 체인에 등록된 상기 복수의 노드에 전송하여, 상기 트랜잭션이 상기 복수의 노드에 의해 공유되도록 하는 - 상기 트랜잭션은 상기 이력 정보의 생성, 변화 및 폐기를 포함함 -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에 기재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QR 코드가 인쇄된 QR 태그를, 태그 핀 및 태그 건에 의해 수산물의 비가식 부위(예를 들어, 지느러미)에 부착시킴으로써, 기존에 비해 더 빠르고, 쉽고, 위생적으로, 그리고 안전하게 태깅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나일론 태피터(Nylon Taffeta)과 같은 합성 섬유로 구성된 태그를 사용함으로써, 기존에 비해 수산물에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도, 주변을 오염시키지 않으며, 열전사 방식으로 인쇄된 QR 코드가 수중에서도 번지지 않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QR 태그에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칩을 부착함으로써 복수의 수산물을 한 번에 빠르게 인식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개체 단위로 생산, 유통, 거래되는 수산물의 특성을 고려할 때, 효율적인 이력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QR 태그의 모서리를 둥글게 형성함으로써, QR 태그가 부착된 수산물 그 자체나, 그 주위의 수산물에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QR 태그가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CCP(Critical Control Point) 단말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자동 얼굴 인식, 자동 음성 인식 등을 통해 Smart CCP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상기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의 이력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태그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그 핀, 태그 바늘 및 태그 건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그 건을 이용하여 QR 태그를 수산물에 부착한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태그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태그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체인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의 이력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mart CCP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의 이력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a 내지 8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의 이력 정보를 제공하는 예시적인 프로그램 화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의 이력 정보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프로그램 화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가 복수로 인식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프로그램 화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종래기술에 따른 태그가 수산물에 부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블록 체인 및 IoT 기술을 이용하여 수산물의 이력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QR 태그, 방법, 프로그램 및 서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한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표현되는 각 구성부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예일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구성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교시들이 다양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기술되지만, 본 교시들이 그러한 실시예들로 한정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오히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교시들은 다양한 대안들, 수정들, 및 동등물들을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 및 '전자 장치'는, 스마트폰, 웨어러블 디바이스(예컨대, 스마트 안경, 시계 등), IoT 단말기, 개인 휴대 단말기(PDA), 태블릿 PC, 랩탑 컴퓨터 또는 서버와 통신할 수 있고, 카메라가 내장되어 있어 QR 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MPU(Micro Processing Unit) 또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캐쉬 메모리(Cache Memory), 데이터 버스(Data Bus) 등의 하드웨어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영체제, 특정 목적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서버'는 일반적인 컴퓨팅 장치(예컨대,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 스토리지, 입력 장치 및 출력 장치, 기타 기존의 컴퓨팅 장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는 장치, 라우터, 스위치 등과 같은 전자 통신 장치, 네트워크 부착 스토리지(NAS) 및 스토리지 영역 네트워크(SAN)와 같은 전자 정보 스토리지 시스템)와 컴퓨터 소프트웨어(즉,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특정의 방식으로 기능하게 하는 명령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원하는 시스템 성능 및 기능을 달성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그와 같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장치, 자기 디스크 저장장치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프로그램'은 상술한 매체에 저장되는 것으로서,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의 이력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QR 코드 인쇄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에 의한 실행 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가 연산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이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120)를 포함하고, 서버(200)로부터 QR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사용자 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 장치(130) 및 QR 코드를 인쇄하는 출력 장치(140)를 더 포함한다.
프로세서(110)는 서버(200)로부터 QR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 때 QR 데이터는 QR 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로서, 예를 들어 base64-string 기술이 적용된 데이터일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스트링에 대해 하나의 QR 코드가 매칭되므로, 해당 QR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에 대응하는 QR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QR 코드는 메모리(120)에 저장되고, 출력 장치(140)에 의해, 예를 들어 열전사 방식으로 QR 코드가 객체인 QR 태그에 인쇄될 수 있다.
이하, 도 2a 내지 2c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태그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태그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QR 태그(300)는 QR 코드가 인쇄되는 영역(310)과 태그 건에 의해 태그 핀 및 태그 바늘이 관통하는 영역(320)을 포함할 수 있다. QR 태그(300)는 그 소재가 나일론 태피터(Nylon Taffeta)와 같은 합성 섬유로 구성될 수 있다. 나일론 태피터와 같은 합성 섬유로 구성된 QR 태그(300)에 대해, QR 코드 인쇄 장치(100)에 의해 열전사 방식으로 QR 코드가 인쇄되면, 해당 QR 코드는 수중에서도 번지지 않고, 인쇄된 상태 그대로 존재할 수 있다. 이 효과는 본 발명자가 수많은 실험을 통하여 검증한 것으로서, 수중에서 생산되고 유통, 판매되는 수산물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있어서, QR 태그(300)의 소재는 상술한 나일론 태피터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나일론이거나, 폴리에스터, 아크릴, 폴리우레탄과 같은 다른 합성 섬유일 수도 있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그 핀, 태그 바늘 및 태그 건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태그 건(400)은 태그 바늘 장착부(410), 태그 핀 체결부(420), 방아쇠(430), 태그 바늘 장착부(410)에 장착되는 태그 바늘(440)을 포함할 수 있다. 태그 핀 체결부(420)에는 태그 핀(450)이 체결될 수 있다. 태그 건(400)은, 태그 핀(450)이 태그 핀 체결부(420)에 체결된 상태에서, 방아쇠(430)를 동작시킴으로써(예를 들어, 당김으로써) 태그 핀(450)을 돌출시키는 방식으로 동작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 방식을 수산물에 QR 태그를 부착하는 것에 적용하면, 태그 바늘(440)이 태그 바늘 장착부(410)에 장착되고, 태그 핀(450)이 태그 핀 체결부(420)에 체결된 상태에서, 태그 바늘(440)을 QR 태그(300) 및 수산물의 비가식 부위의 순으로 관통시킨(끼운) 후, 태그 건(400)에 의해(즉, 태그 건(400)의 방아쇠(430)를 당김으로써), 태그 핀(450)을 돌출시켜, QR 태그(300) 및 수산물의 비가식 부위의 순으로 관통시킨다. 그 후, 태그 바늘(440)만을 수산물의 비가식 부위 및 QR 태그(300)의 순으로 빠져나오게 하면, QR 태그(300)가 태그 핀(450)에 의해 수산물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간격은 태그 핀(450)의 후술하는 길이보다 짧게 된다. 이와 같은 태깅 방식은, 종이 태그를 수산물의 꼬리에 감아서 부착하는 방식(도 11의 방식)에 비해, 더 빠르고, 쉽고, 위생적이고, 그리고 안전하게 수산물에의 태깅을 가능하게 한다.
태그 핀(450)은 그 소재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과 같은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 태그 핀(450)의 소재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 등과 같은 다른 플라스틱 소재일 수도 있다. 또한, 태그 핀(450)은 8 내지 12 mm의 길이의 T자형 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8 내지 12 mm의 길이는 수산물의 비가식 부위(예를 들어, 광어의 지느러미 부위)에 최적화된 길이이고, 바람직하게는 10 mm의 길이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있어서, 태그 핀(450)의 길이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5~150 mm일 수도 있고, 수산물에 태깅하고자 하는 부위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태그 핀(450)의 굵기는 수산물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인 0.2 내지 1 mm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수산물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태그 핀(450)의 형상은 T자형에 한정되지 않고, 후크형, 스파게티형 등 수산물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또한, 태그 바늘(440)은 20 내지 30 mm의 길이, 즉 2~3 cm의 길이의 알루미늄 바늘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2~3 cm의 길이는 수산물의 비가식 부위(예를 들어, 광어의 지느러미 부위)를 관통하기에 최적화된 길이이고, 바람직하게는 2.6 cm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있어서, 태그 바늘(440)의 길이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1~5 cm일 수도 있고, 수산물에 태깅하고자 하는 부위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태그 바늘(440)은 1 내지 2 m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1 내지 2 mm의 두께는 수산물의 비가식 부위(예를 들어, 광어의 지느러미 부위)를 관통할 수 있으면서도, 수산물에 상처 등의 해를 입히지 않는 두께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있어서, 태그 바늘(440)의 두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0.1 mm 내지 3 mm일 수도 있고, 수산물의 종류, 수산물에 태깅하고자 하는 부위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그 건을 이용하여 QR 태그를 수산물에 부착한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태깅 방식 및 조건에 의해 더미 태그(dummy tag)(즉, 아무런 인쇄도 되지 않고, 본 발명의 QR 태그와 동일한 소재를 가진 태그)를 광어의 지느러미에 부착하였고, 이로부터 약 12일간 광어의 지느러미를 관찰하였다. 더미 태그의 부착 후 약 12일이 경과했음에도 광어의 지느러미에 아무런 염증 반응 등이 없는 것으로부터 본 발명의 태깅 방식 및 조건의 안전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태그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QR 태그(300)의 뒷면에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칩이 부착될 수 있다. 또는, QR 태그(300)를 두 장으로 해서, RFID 칩을 두 장의 QR 태그(300) 사이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부착할 수도 있고, 한 장의 QR 태그(300)의 뒷면에 RFID 칩을 부착시키고, 테이프를 붙이거나 코팅하는 방식으로 부착할 수도 있다. QR 태그(300)에 RFID칩을 부착하는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산물의 종류, 수산물이 보관되는 환경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QR 태그(300)에 RFID칩을 부착함으로써, 복수의 수산물을 한 번에 빠르게, 그리고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개체 단위로 생산, 유통, 거래될 때, 이를 한 번에 인식하고, 이력 정보를 취득함으로써, 효율적인 이력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도 3b를 참조하면, QR 태그(300)의 모서리가 둥글게 형성되어 있다. QR 태그(300)의 모서리를 둥글게 형성함으로써, QR 태그(300)가 부착된 수산물 그 자체나, 그 주위의 수산물에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QR 태그(300)가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체인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의 이력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은, QR 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500-1, 500-2, 500-3, 500-4)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500-1, 500-2, 500-3, 500-4)은 각각, 예를 들어 관리자의 사용자 단말(500-1), 생산자의 사용자 단말(500-2), 유통업자의 사용자 단말(500-3), 소비자의 사용자 단말(500-4)일 수 있다. 도 4는 단지 설명을 위해, 관리자의 사용자 단말(500-1), 생산자의 사용자 단말(500-2), 유통업자의 사용자 단말(500-3), 소비자의 사용자 단말(500-4)을 나타낸 것일 뿐, 각각의 사용자 단말은 복수일 수 있다.
서버(200)는 수산물의 이력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에서의 각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서버로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일 서버로 구성될 수도 있다. 서버(200)는 블록 체인(600)의 복수의 노드(N1, N2, N3, N4)에 대응되는 서버이거나, 블록 체인(600)의 각 노드를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와의 통신을 통해 수산물의 이력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을 관리할 수 있고, 블록 체인(600)의 트랜잭션 정보를 백업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500-1, 500-2, 500-3, 500-4)은 QR 태그(300)에 인쇄된 QR 코드를 인식하면,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통해 수산물에 대응하는 이력 정보에 액세스 가능하고, 이력 정보로 구성된 트랜잭션을 블록 체인(600)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트랜잭션은 이력 정보의 생성, 변화 및 폐기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500-1, 500-2, 500-3, 500-4)은 이러한 트랜잭션을 블록 체인(600) 및/또는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복수의 노드(N1, N2, N3, N4)는, 새로 발생한 트랜잭션을 수신하는 동작, 이를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하는 동작, 그 생성한 블록을 블록 체인(600)에 추가하려는 요청을 다른 노드에 전송하는 동작,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한 블록 추가 요청을 미리 규정된 합의 알고리즘에 따라 검증하여 본인이 보유 또는 접속하고 있는 블록 체인(600)에 해당 노드를 추가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블록 체인(600)은 복수의 노드(N1, N2, N3, N4)를 통해 복수의 사용자 단말(500-1, 500-2, 500-3, 500-4)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연동될 수 있다. 각각의 사용자 단말(500-1, 500-2, 500-3, 500-4)은 상술한 노드의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직접 수행하여 노드로써 기능할 수도 있고, 또는 상술한 노드의 동작을 직접 수행하지는 않고 그와 같은 기능을 하도록 블록 체인(600)에 포함된 노드에 접속되어, 상기한 노드의 기능을 트리거하기 위한 요청을 노드에 전송하고, 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함으로써 블록 체인(600)에 연동될 수도 있다. 즉, 복수의 사용자 단말(500-1, 500-2, 500-3, 500-4)은 각각 복수의 노드(N1, N2, N3, N4)가 될 수도 있고, 복수의 노드(N1, N2, N3, N4)와 접속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체인(600)을 구성하는 각 블록들은 해쉬 체인(Hash Chain)의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즉, n 번째 블록은, n-1 번째 블록의 해쉬 값을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한 블록의 정보의 변경은, 해당 블록으로부터 산출한 해당 블록의 해쉬 값의 변경을 초래하고, 이는 그 다음 블록의 내용의 변경을 초래하기 때문에, 필수적으로 해당 블록 이후의 모든 블록들의 정보의 변경을 초래할 수 있다. 여기서 해쉬 값은 임의의 크기의 데이터를 미리 결정된 크기를 갖는 데이터로 변환하는 해쉬 함수에 의해 산출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MD5, SHA1, SHA2 등 필요에 따라 선택한 해쉬 함수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트랜잭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블록은 블록 및/또는 트랜잭션과 관련된 시간 정보(예를 들면, 블록 생성 시간, 블록 변화 시간, 및 블록 폐기 시간)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잭션은 블록 체인(600)과 연동되는 각 주체, 즉 복수의 사용자 단말(500-1, 500-2, 500-3, 500-4)이 참여하는 복수의 노드(N1, N2, N3, N4)로부터의 정보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사용자 단말(500-1, 500-2, 500-3, 500-4)이 요청하는 특정 정보의 등록/변경/폐기가 하나의 트랜잭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트랜잭션의 생성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500-1, 500-2, 500-3, 500-4)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500-1, 500-2, 500-3, 500-4)로부터 특정 정보를 수신한 블록 체인(600)의 복수의 노드(N1, N2, N3, N4)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트랜잭션은 비공개 키 방식으로 디지털 서명 및/또는 검증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트랜잭션에 따른 정보가 비공개 키 방식으로 트랜잭션에 포함되거나 다른 경로로 복수의 노드(N1, N2, N3, N4)에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노드(N1, N2, N3, N4)는 비공개 키를 이용하여 해당 트랜잭션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또한, 트랜잭션의 소유자 또는 트랜잭션의 생성에 연관된 자가 보유하는 비공개 키를 통하여 트랜잭션의 소유나 트랜잭션과의 연관이 증명될 수 있다. 이러한 비공개 키는 관리자에 의해 생성 및/또는 관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체인(600)과 연동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500-1, 500-2, 500-3, 500-4) 및/또는 블록 체인(600)에 참여하는 복수의 노드(N1, N2, N3, N4)는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블록 체인(600)에 참여하는 노드들에 전송 및/또는 브로드캐스트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체인(600)에 참여하는 노드들 전부 또는 이들 중 일부 노드는, 블록 체인(600)에서 새로 발생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새로운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노드는 해당 트랜잭션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고, 새로 생성한 블록을 기존의 블록 체인(600)에 추가하는 요청을 다른 노드들에 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블록 체인(600)의 노드들은 미리 규정된 합의 알고리즘에 따라 트랜잭션 및/또는 블록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검증이 성공할 경우 해당 블록을 본인이 보유 또는 접속하고 있는 블록 체인(600)에 추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체인(600)은, 수산물 유통의 보안을 위하여, 퍼미션드 블록 체인(Permissioned Block Chain)의 형태로 운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퍼미션드 블록 체인에서는 허가된 참여자만 블록 체인(600)에 접근할 수 있고, 그 접근에 권한이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퍼미션드 블록 체인의 형태로서, 하이퍼레저(Hyperledger) 블록 체인이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블록 체인(600)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수산물 유통에 있어서, 이력 정보가 블록 체인(600)에 등록되고, 해당 이력 정보가 생산자, 유통업자 및 소비자에게 공유 및 관리되므로, 정보의 무결성 및 명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중간 상인의 매점매석을 방지하고, 콜드체인 물류를 획기적으로 개선하며, 정보의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의 이력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양식장에서 생산되는 수산물(예를 들어, 광어)의 원산지, 급이 정보, 투약 정보, 출하일자, 출하장소, 출하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생산 정보가 메모리에 의해 저장된 후, 수산물의 출하 시점에서, 수산물에 부착되는 QR 태그(300)의 QR 코드와 생산 정보가 매칭될 수 있다. QR 태그(300)가 수산물에 부착된 이후에는, 수산물의 생산 정보를 포함하는 이력 정보가 QR 코드와 계속해서 매칭되어, 출하 단계, 유통 단계, 판매 단계에 이르면서 해당 수산물에 대한 이력 정보가 축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양식장에서 수산물이 보관되는 수조와, 수산물을 이동시키는 차량과 같이 수산물을 보관하는 환경에 IoT 센서를 부착하고, IoT 센서가 수산물의 이력 정보를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측정함으로써 이력 정보가 축적될 수 있다. 이러한 이력 정보는, 수산물의 원산지, 급이 정보, 투약 정보, 출하일자, 출하장소, 출하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생산 정보와, 수산물 주변의 온도, 습도, 용존 산소량, 염도, 수위, 조도, 위생 정보, 세균 감염 정보, 오염도, 방사능 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환경 정보와, 수산물의 위치 및 유통 경로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측정된 이력 정보는, 예를 들어 Lora (Long Range) 통신에 의해 송수신될 수 있다. Lora 통신에 의하면, 인터넷이 연결되지 않는 환경에서도 데이터 수집이 가능하므로, 양식장이나, 수산물을 이동시키는 차량에서 인터넷이 연결되지 않는 환경에서도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으므로, 신뢰성 있는 이력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력 정보가 송수신되는 통신 방식으로서, Lora 통신 외에도, 저전력 블루투스 기술(Bluetooth Low Energy), 비콘(Beacon)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수산물의 이력 정보는 유관 기관에도 제공되어, 품질 관리의 검사를 받게 함으로써, 소비자들이 안심할 수 있는 안전 먹거리를 제공하게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mart CCP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Smart CCP 시스템은 CCP(Critical Control Point) 단말을 포함하고, CCP 단말은 카메라, 마이크 및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도시하지 않음). CCP 단말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사용자의 얼굴 영상 및 마이크에 의해 인식되는 사용자의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미리 저장해 두고, 영상 인식 기술 및 음성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터치없이 용이하게 Smart CCP 시스템에 액세스하게 하고, 이력 정보, CCP 일지 등을 작성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얼굴 영상 및 마이크에 의해 인식되는 음성 중 적어도 하나가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얼굴 영상 및 사용자의 음성 중 적어도 하나와 각각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가 이력 정보, CCP 일지에 액세스하게 하고, 스피커에 의해 이력 정보, CCP 일지를 사용자에게 음성(예를 들어, "배수구는 청결히 관리되고 있는가?")으로 제공하며, 마이크에 의해 사용자의 음성(예를 들어, "예" 또는 "아니오")을 수신 및 인식하여, 사용자의 음성에 따라 이력 정보, CCP 일지를 입력, 수정 및 저장하게 할 수 있다. 즉, 양식장의 환경상 사용자는 손이 물에 젖어 있는 경우가 많은데, 상술한 기술을 통해, 터치없이 간단하게 Smart CCP 시스템에 액세스하고, 이력 정보, CCP 일지 등을 작성할 수 있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의 이력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우선,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QR 데이터에 기초하여 QR 코드를 생성하여, QR 코드를 메모리(120)에 저장할 수 있다(S1). 그 후, QR 코드 인쇄 장치(100)에 의해 QR 코드를 QR 태그(300)에 인쇄할 수 있다(S2). 그 후, 태그 건(400)에 의해, QR 태그(300)가 수산물에 부착될 수 있다(S3). 여기서, 태그 핀(450)이 태그 건(400)에 체결되고, 태그 바늘(440)이 QR 태그(300) 및 수산물의 비가식 부위의 순으로 관통된 상태에서, 태그 건(400)에 의해, 태그 핀(450)이 돌출되어, QR 태그(300) 및 수산물의 비가식 부위의 순으로 관통된 후, 태그 바늘(440)만이 수산물의 비가식 부위 및 QR 태그(300)의 순으로 빠져나오는 방식으로, QR 태그(300)가 수산물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부착될 수 있다.
QR 태그(300)가 수산물에 부착된 후, IoT 센서에 의해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측정된 수산물의 이력 정보를 QR 코드와 매칭시켜서, 사용자 단말에 의해 QR 코드가 인식될 때, URL을 통해 이력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S4).
또한, 이력 정보로 구성된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블록을 블록 체인(600)에 등록하여, 블록을 해쉬 체인의 형태로 연결할 수 있다(S5). 블록 체인(600)에 등록된 복수의 노드(N1, N2, N3, N4) 중 하나의 노드에서 발생한 트랜잭션을 블록 체인(600)에 등록된 복수의 노드(N1, N2, N3, N4)에 전송하여, 트랜잭션이 복수의 노드(N1, N2, N3, N4)에 의해 공유되도록 할 수 있다(S6). 여기서, 트랜잭션은 이력 정보의 생성, 변화 및 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수산물의 이력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의 순서는 본 발명의 취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수정, 추가, 생략될 수 있다.
도 8a 내지 8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의 이력 정보를 제공하는 예시적인 프로그램 화면이다.
도 8a는 본 프로그램의 시작 화면으로서, 생산 양식장 정보, 제주 광어 정보, 후기 정보, 요리법 정보, 안전성 검사 정보, 이력 정보를 터치 또는 클릭할 수 있게 한다. 도 8b는 도 8a의 시작 화면에서 생산 양식장 정보를 터치했을 때 도시하는 화면으로서, 양식장의 업체명, 대표명, 상품코드, 작업일자, 전화번호, 주소, 홈페이지 등을 도시한다. 도 8c는 도 8a의 시작 화면에서 이력 정보를 터치했을 때 도시하는 화면으로서, 출하 일자, 배송 일자, 일자별 위치 등을 도시한다. 도 8d는 해당 프로그램에서 쇼핑몰과 연동하거나, 또는 직접 수산물의 판매 및 구매를 가능하게 하는 화면이다. 도 8e는 도 8a의 시작 화면에서 요리법 정보를 터치했을 때 도시하는 화면으로서, 빅데이터 기반의 추천 레시피를 제공한다.
빅데이터 기반의 추천 레시피의 제공은,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복수의 사용자 단말(500-1, 500-2, 500-3, 500-4)로부터 캐시를 수집하여, 사용자의 연령 및 인터넷 검색 기록을 포함하는 빅데이터를 형성하고, 빅데이터로부터, 사용자의 연령, 인터넷 검색 기록 및 환경 변수를 고려하여, 사용자 맞춤형 레시피를 복수의 사용자 단말(500-1, 500-2, 500-3, 500-4)에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캐시를 수집하는 사용자 단말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500-1, 500-2, 500-3, 500-4)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사용자 단말도 포함할 수 있다. 환경 변수는, 날씨, 계절, 최근 미디어를 통한 방송 여부 및 빈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의 이력 정보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프로그램 화면이다. 사용자 단말(500-1, 500-2, 500-3, 500-4)에 의해, QR 태그(300)에 인쇄된 QR 코드가 인식되면, 사용자 단말(500-1, 500-2, 500-3, 500-4)의 화면에서 수산물 캐릭터가 AR (Augmented Reality) 기법으로 도시되어, 수산물의 이력 정보를 브리핑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QR 코드를 인식하는 사용자 단말(500-1, 500-2, 500-3, 500-4)의 사용자의 연령 및 인터넷 검색 기록을 포함하는 빅데이터를 형성하고, 해당 빅데이터로부터, 사용자의 연령, 인터넷 검색 기록 및 환경 변수를 고려하여,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복수의 사용자 단말(500-1, 500-2, 500-3, 500-4)에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캐시를 수집하는 사용자 단말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500-1, 500-2, 500-3, 500-4)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사용자 단말도 포함할 수 있다. 환경 변수는, 날씨, 계절, 최근 미디어를 통한 방송 여부 및 빈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가 복수로 인식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프로그램 화면이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500-1, 500-2, 500-3, 500-4)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QR 태그(300)에 인쇄된 적어도 하나의 QR 코드가 동적으로 촬영될 때, 복수의 사용자 단말(500-1, 500-2, 500-3, 500-4)에 의해 포착되는 QR 코드가 복수로 인식되게 하는 멀티 QR 센싱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QR 코드를 인식할 때, 보통의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영상에서 하나의 QR 코드가 인식되면, URL이 나타나는 화면을 생성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해당 URL을 통해 연결된 웹 사이트 등으로 접속하게 할 뿐, 하나의 QR 코드가 인식되면 추가의 QR 코드를 검색하지 않는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이 카메라를 통해 동적으로, 즉 카메라를 움직이면서 촬영한 영상에서 하나의 QR 코드를 인식하더라도, 이에 그치지 않고, 해당 영상에 포착되는 하나 이상의 QR 코드를 추가로 인식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 영상에서 하나의 QR 코드가 인식될 때, 이에 대한 URL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해당 영상에서 추가의 QR 코드가 있는지 검색하여 추가의 QR 코드가 있다면, 이에 대한 URL도 메모리에 저장하고, 해당 영상에서 QR 코드를 모두 인식한 후에, 메모리에 저장된 URL의 목록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즉, 카메라를 움직이면서 촬영한 영상에 포착되었던 모든 QR 코드를 한 번에 인식할 수 있다. 복수로 인식된 QR 코드에 대응하는 URL의 목록을 복수의 사용자 단말(500-1, 500-2, 500-3, 500-4)에 제공함으로써, 해당 목록 별로 수산물의 이력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예를 들어 복수의 수산물이 보관되어 있는 수조 등에서 사용자 단말을 움직이면서 카메라를 통해 수산물에 부착된 QR 태그(300)의 QR 코드를 촬영할 때, 복수의 QR 코드를 한 번에 복수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수산물의 이력 정보를 일일이 QR 코드로 확인할 필요없이 한 번에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르면, 복수의 사용자 단말(500-1, 500-2, 500-3, 500-4)에 의해 QR 코드가 인식될 때, URL을 통해 사용자 단말(500-1, 500-2, 500-3, 500-4)이 접속되는 서버(200)에서 복호화가 수행되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500-1, 500-2, 500-3, 500-4)의 위치 및 복수의 사용자 단말(500-1, 500-2, 500-3, 500-4)이 QR 코드를 인식한 횟수, 복수의 사용자 단말(500-1, 500-2, 500-3, 500-4)의 ID가 수집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의 ID는 사용자 단말의 고유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500-1, 500-2, 500-3, 500-4)에 의해 QR 코드가 인식될 때, 복수의 사용자 단말(500-1, 500-2, 500-3, 500-4)이 추가로 IP 주소를 수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호화는 암호화 시에 사용된 64비트 키와 서버(예를 들어, 저장 프로시저)에 저장된 64비트 키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키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면, 해당 QR 코드를 가품으로 판정할 수 있다.
여기서 수산물의 유통 과정에 있어서, 정상적으로 유통될 경우의 양식장, 유통경로 및 판매처 등이 미리 설정 및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유통업자의 사용자 단말(500-3)이 제1 사용자 단말 및 제2 사용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사용자 단말은 정상적으로 유통되는 QR 코드(즉, 진품 QR 코드)를 인식하는 단말이고, 제2 사용자 단말은 가품 QR 코드를 사용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제1 사용자 단말과 비교되는 사용자 단말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2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장소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를 초과하고, 제2 사용자 단말의 ID가 미리 설정된 장소에서의 제1 사용자 단말의 ID와 상이한 경우, 제2 사용자 단말에 의해 인식된 QR 코드를 가품으로 판정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장소는 상술한 미리 설정 및 저장된 양식장, 유통경로 및 판매처 등일 수 있다. 그리고, 미리 설정된 거리는 1 km 내지 20 km 중에서 선택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 km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상적인 양식장에서 수산물이 출하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양식장으로부터 10 km 떨어진 지역에서 해당 양식장에서 사용(인식)된 QR 코드와 동일한 QR 코드가 생산 또는 사용(인식)되고, 해당 양식장에서 해당 QR 코드를 인식했던 사용자 단말과 다른 ID가 수집된다면, 다른 ID를 갖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가품 QR 코드가 생산 또는 사용(인식)된다고 판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사용자 단말(500-1, 500-2, 500-3, 500-4), 예를 들어 관리자의 사용자 단말(500-1) 및 정상적인 유통업자의 사용자 단말(500-3)에 가품 QR 코드가 생산 또는 사용(인식)된다는 푸쉬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2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장소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제2 사용자 단말이 QR 코드를 인식한 횟수가 미리 설정된 횟수를 초과하고, 제2 사용자 단말의 ID가 미리 설정된 장소에서의 제1 사용자 단말의 ID와 상이하다면, 제2 사용자 단말에 의해 인식된 QR 코드를 가품으로 판정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횟수는 10회 내지 1,000회 중에서 선택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0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상적인 양식장에 수산물이 출하되고 있지만, 해당 양식장 근처(예를 들어, 1 km 미만)에서 해당 양식장에서 사용(인식)된 QR 코드와 동일한 QR 코드가 100회 생산 또는 사용(인식)되고, 해당 양식장에서 해당 QR 코드를 인식했던 사용자 단말과 다른 ID의 사용자 단말로 100회 생산 또는 사용(인식)된다면, 다른 ID를 갖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가품 QR 코드가 생산 또는 사용(인식)된다고 판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사용자 단말(500-1, 500-2, 500-3, 500-4), 예를 들어 관리자의 사용자 단말(500-1) 및 정상적인 유통업자의 사용자 단말(500-3)에 가품 QR 코드가 생산 또는 사용(인식)된다는 푸쉬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2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장소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를 초과하지 않고, 제2 사용자 단말이 QR 코드를 인식한 횟수가 상기 미리 설정된 횟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제2 사용자 단말에 의해 인식된 QR 코드를 진품으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2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장소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를 초과하거나, 제2 사용자 단말이 QR 코드를 인식한 횟수가 미리 설정된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에도, 제2 사용자 단말의 ID가 미리 설정된 장소에서의 제1 사용자 단말의 ID와 동일하다면, 제2 사용자 단말에 의해 인식된 QR 코드를 진품으로 판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추가하여, 수산물의 유통 기한을 고려하여, 출하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기간이 도과하여 QR 코드가 인식된 경우, 가품으로 판정하거나, 유통 기한이 지났다는 푸쉬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소정의 기간은, 예를 들어 2주일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의 이력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은 QR 코드에 대해 암호화 및 복호화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QR 코드를 위조 및 변조함으로써 가품인 식품이 유통되는 것을 방지하고, 확실한 정품인 식품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수산물이 보관되는 환경이 변화하는 경우, 예를 들어 온도 또는 습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예를 들어, 기준치에서 10% 상한값 및 하한값)을 초과하여 변화한다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QR 태그(300)에 인쇄된 QR 코드를 인식하였던 모든 사용자 단말에 푸쉬 알람(Push Alarm)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수산물이 보관되는 환경의 이상(abnormality)이 발생하면, 이에 관련한 생산자, 유통업자 또는 소비자에게 푸쉬 알람을 제공하여, 신속한 대응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IoT 센서는 해당 IoT 센서가 위치하는 위치 좌표를 실시간으로 인식 및/또는 기록하는 GPS 기능을 포함하고, 수산물이 보관되는 환경의 데이터를 수집할 때, IoT 센서가 위치하는 위치 좌표를 인식 및/또는 기록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 정보는 위치 좌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위치 좌표가 지도 상에서 연속된 점 및/또는 선으로 표시된 위치 정보를 복수의 사용자 단말(500-1, 500-2, 500-3, 500-4)에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수산물의 이력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은 전자 장치 상에서 실행시키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 단말(예를 들어, 스마트폰)에 설치됨으로써 그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이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수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QR 코드 인쇄 장치
110: 프로세서
120: 메모리
130: 입력 장치
140: 출력 장치
200: 서버
300: QR 코드
310: QR 코드가 인쇄되는 영역
320: 태그 핀 및 태그 바늘이 관통하는 영역
400: 태그 건
410: 태그 바늘 장착부
420: 태그 핀 체결부
430: 방아쇠
440: 태그 바늘
450: 태그 핀
500-1: 관리자의 사용자 단말
500-2: 생산자의 사용자 단말
500-3: 유통자의 사용자 단말
500-4: 소비자의 사용자 단말
600: 블록 체인

Claims (1)

  1. 본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된 발명.
KR1020210155520A 2021-03-22 2021-11-12 블록 체인 및 IoT 기술을 이용하여 수산물의 이력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QR 태그, 방법, 프로그램 및 서버 KR202201318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5520A KR20220131810A (ko) 2021-03-22 2021-11-12 블록 체인 및 IoT 기술을 이용하여 수산물의 이력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QR 태그, 방법, 프로그램 및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511A KR102327945B1 (ko) 2021-03-22 2021-03-22 블록 체인 및 IoT 기술을 이용하여 수산물의 이력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QR 태그, 방법, 프로그램 및 서버
KR1020210155520A KR20220131810A (ko) 2021-03-22 2021-11-12 블록 체인 및 IoT 기술을 이용하여 수산물의 이력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QR 태그, 방법, 프로그램 및 서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6511A Division KR102327945B1 (ko) 2021-03-22 2021-03-22 블록 체인 및 IoT 기술을 이용하여 수산물의 이력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QR 태그, 방법, 프로그램 및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1810A true KR20220131810A (ko) 2022-09-29

Family

ID=7870328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6511A KR102327945B1 (ko) 2021-03-22 2021-03-22 블록 체인 및 IoT 기술을 이용하여 수산물의 이력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QR 태그, 방법, 프로그램 및 서버
KR1020210155520A KR20220131810A (ko) 2021-03-22 2021-11-12 블록 체인 및 IoT 기술을 이용하여 수산물의 이력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QR 태그, 방법, 프로그램 및 서버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6511A KR102327945B1 (ko) 2021-03-22 2021-03-22 블록 체인 및 IoT 기술을 이용하여 수산물의 이력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QR 태그, 방법, 프로그램 및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279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78278B (zh) * 2023-08-15 2024-05-03 中国人民解放军陆军勤务学院 高原食品制备标签处理方法及设备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7685A (ko) * 2008-06-09 2009-12-14 (주)인투비 어류용 개체 식별표, 이를 이용한 양식어 이력 관리 시스템및 방법
KR20130115182A (ko) * 2013-09-05 2013-10-21 주식회사 위즈디엔에스코리아 생체 정보를 이용한 정보제공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53390A (ko) * 2018-11-08 2020-05-18 손길민 Ict 융합 품질관리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수산물 수송 시스템
KR102085483B1 (ko) * 2019-07-05 2020-04-14 이광열 블록 체인을 이용한 식품 유통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7945B1 (ko) 2021-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14333B2 (ja) ブロックチェーンベースの商品追跡方法および装置
US20200364817A1 (en) Machine type communication system or device for recording supply chain information on a distributed ledger in a peer to peer network
AU2019295815B2 (en) Blockchain-based data ver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US11048894B2 (en) Authent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10713619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management of sale transaction data
CN109087090B (zh) 使用可信任的账本追踪目标的方法和装置
CN107943949B (zh) 一种确定网络爬虫的方法及服务器
CN110502922B (zh) 基于区块链的物品流通环节追溯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2085483B1 (ko) 블록 체인을 이용한 식품 유통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CN115829559A (zh) 向nft添加附加价值
EP2800403A1 (en) Communication tag, system and method
US20150012457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cking shipped units during movement of goods within supply chain channels
CN110659441A (zh) 一种基于区块链的信息发布管理方法及装置
CN110765451A (zh) 风险识别方法和装置、电子设备
CN110990486A (zh) 基于网络数据交互的区块链通证发放和存证方法及装置
CN111008335A (zh) 一种信息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20200286060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management of sale transaction data
KR102327945B1 (ko) 블록 체인 및 IoT 기술을 이용하여 수산물의 이력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QR 태그, 방법, 프로그램 및 서버
CN114207613A (zh) 用于激励式入侵检测系统的技术
D’souza et al. Blockchain and AI in pharmaceutical supply chain
JP2019095829A (ja) 情報システム及びサーバシステム
Singhal et al. Anti-counterfeit product system using blockchain technology
US20210027306A1 (en) System to automatically find, classify, and take actions against counterfeit products and/or fake assets online
CN116578984A (zh) 一种业务数据的风险管控方法、系统、设备和介质
US11126570B1 (en) System for providing an alternative control interface to specialty dev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