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1771A - 필터를 포함하는 배수 유로 및 이를 갖는 세탁기 - Google Patents

필터를 포함하는 배수 유로 및 이를 갖는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1771A
KR20220131771A KR1020210036901A KR20210036901A KR20220131771A KR 20220131771 A KR20220131771 A KR 20220131771A KR 1020210036901 A KR1020210036901 A KR 1020210036901A KR 20210036901 A KR20210036901 A KR 20210036901A KR 20220131771 A KR20220131771 A KR 20220131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water
washing machine
bypass
h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6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현
양병렬
조영진
정상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6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1771A/ko
Priority to EP22775919.8A priority patent/EP4219821A1/en
Priority to CN202280007478.XA priority patent/CN116670351A/zh
Priority to PCT/KR2022/002675 priority patent/WO2022203217A1/ko
Priority to US17/701,115 priority patent/US11976401B2/en
Publication of KR20220131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17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4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ain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2Condition of the washing liquid, e.g. turbidity
    • D06F34/24Liquid 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7Water 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devices

Abstract

세탁기를 개시한다. 세탁기는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의 물을 배수 유로를 통하여 세탁기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펌프; 상기 배수펌프에 의하여 상기 물이 유입되며, 상기 물로부터 이물을 걸러내도록 상기 배수 유로 상에 마련되는 제1 필터; 및 상기 배수펌프에 의하여 상기 제1 필터를 통과한 상기 물이 유입되며, 상기 물로부터 이물을 걸러내도록 상기 배수 유로 상에 마련되는 제2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 유로는, 상기 터브로부터 상기 제1 필터로 상기 물이 유동하도록 마련되는 제1 연결호스와, 상기 제1 필터로부터 상기 제2 필터로 상기 물이 유동하도록 마련되는 제2 연결 호스 및 상기 제2 필터로부터 상기 세탁기의 외부로 상기 물이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배수호스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필터를 포함하는 배수 유로 및 이를 갖는 세탁기{DRAINAGE PASSAGE INCLUDING FILTER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필터를 포함하는 배수 유로 및 이를 갖는 세탁기 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개선된 필터 및 이를 갖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의류, 수건, 침구류 등을 세탁하는 가전제품이다. 세탁기는 드럼을 회전시켜 세탁물의 상승과 낙하를 반복함으로써 세탁물을 세탁하는 드럼식 세탁기와, 드럼이 회전할 때 펄세이터에 의해 발생하는 수류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는 전동식 세탁기로 분류될 수 있다.
세탁기가 수행하는 행정은 세탁기의 종류에 무관하게, 세탁물이 수용된 터브에 세제수를 공급하고 드럼을 회전시키면서 세탁물을 세탁하는 세탁 행정, 터브에 헹굼수를 공급하고 드럼을 회전시켜 세탁물을 헹구어 내는 헹굼 행정, 및 터브로부터 물을 배출하고 드럼을 회전시켜 세탁물의 물기를 제거하는 탈수 행정을 포함할 수 있다.
터브로부터 배출되는 물은 세탁물에서 발생되는 이물질과 함께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세탁기는 터브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미세플라스틱을 여과하는 개선된 구조의 필터 및 배수 유로를 갖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미세플라스틱을 여과하는 과정에서 필터가 막히더라도 세탁기의 동작을 정지시키지 않고 세탁-헹굼-탈수 행정을 완료할 수 개선된 배수 유로를 갖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의 물을 배수 유로를 통하여 세탁기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펌프; 상기 배수펌프에 의하여 상기 물이 유입되며, 상기 물로부터 이물을 걸러내도록 상기 배수 유로 상에 마련되는 제1 필터; 및 상기 배수펌프에 의하여 상기 제1 필터를 통과한 상기 물이 유입되며, 상기 물로부터 이물을 걸러내도록 상기 배수 유로 상에 마련되는 제2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 유로는, 상기 터브로부터 상기 제1 필터로 상기 물이 유동하도록 마련되는 제1 연결호스와, 상기 제1 필터로부터 상기 제2 필터로 상기 물이 유동하도록 마련되는 제2 연결 호스 및 상기 제2 필터로부터 상기 세탁기의 외부로 상기 물이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배수호스를 포함한다.
상기 물이 상기 제2 필터를 통과하지 않고도 상기 세탁기의 외부로 상기 물이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바이패스 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이패스 유로는, 상기 제2 연결호스로부터 분기되어 나오며 상기 배수호스에 연결되거나, 상기 배수호스에서 분기되어 나와 상기 제2 연결 호스에 연결되는 바이패스 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분기되어 나온 상기 바이패스 호스가 상기 제2 연결 호스 또는 상기 배수호스와 연결되는 지점에 마련되는 바이패스 장치로서, 상기 바이패스 호스 내부에서의 상기 물의 유동 여부를 조절하는 밸브를 포함하는 바이패스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브 내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센서 및 측정된 상기 수위를 기초로 상기 바이패스 장치의 상기 밸브의 개폐여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측정된 상기 수위가 일정시간 변하지 않을 때, 상기 물이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통하여 세탁기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바이패스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터브 내의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센서 및 측정된 상기 온도를 기초로 상기 바이패스 장치의 상기 밸브의 개폐여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측정된 상기 물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이하일 때, 상기 물이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통하여 세탁기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바이패스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 필터는, 상기 미세 이물이 내주면에 흡착되는 미세 필터; 상기 미세 필터의 상기 내주면에 밀착되어 회전하며 상기 미세 이물을 긁어내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미세 이물을 미세 필터에 인접하여 배치된 수집 필터로 이송하도록 마련되는 필터 클리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필터는, 상기 미세 필터의 내주면을 이루는 미세 필터부, 제2 필터 유입구 및 제2 필터 유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미세 필터와 상기 수집 필터는,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2 필터 유입구로 유입된 상기 물은 상기 미세 필터 내부로 유동된 후 상기 미세 필터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2 필터 유출구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는 블레이드 축 및 블레이드 축의 연장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미세 필터부와 밀착되는 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미세 필터와 상기 수집 필터는, 상기 미세 필터가 상기 수집 필터보다 상기 제2 필터 유입구에 가깝도록 상기 블레이드 축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배치되며, 상기 블레이드 축과 연결되어 상기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는 블레이드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 모터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회전수 감지센서 및 측정된 상기 회전수에 기초하여 상기 바이패스 장치의 상기 밸브의 개폐여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측정된 상기 회전수가 기 설정된 범위 밖일 때, 상기 물이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통하여 세탁기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바이패스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블레이드 모터에 흐르는 전류 값을 측정하는 전류측정센서 및 측정된 상기 전류 값에 기초하여 상기 바이패스 장치의 상기 밸브의 개폐여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측정된 상기 전류 값이 기 설정된 범위 밖일 때, 상기 물이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통하여 세탁기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바이패스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세탁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며,
컨트롤러가 상기 물이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통하여 세탁기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바이패스 장치를 제어한 후, 상기 측정된 상기 수위가 일정시간 변하지 않을 경우 표시부에 에러 표시를 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와 연결된 보조 배수펌프 및 상기 제1 필터로부터 상기 세탁기의 외부로 상기 물이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보조 배수호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브 내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센서 및 상기 바이패스 장치의 밸브의 개폐여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수위측정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상기 수위가 일정시간 변하지 않을 때, 상기 물이 상기 보조 배수호스를 통하여 세탁기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보조 배수펌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 호스 또는 상기 배수호스는 상기 세탁기의 하부를 향하여 U형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배수펌프가 동작을 멈추었을 때, 상기 물이 고이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에 마련되며 상기 물이 상기 제1 필터로부터 유출되는 제1필터 유출구 및 상기 제2 필터에 마련되며 상기 물이 상기 제2 필터로 유입되는 제2 필터 유입구가 각각 상기 제2 연결호스의 양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필터 유입구는 상기 제1 필터 유출구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세탁기의 전면 패널 중 상기 제2 필터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필터 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집 필터는 개방된 필터 도어를 통하여 외부로 분리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 및 상기 터브 내부의 물을 세탁기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펌프; 상기 배수펌프에 의하여 상기 물이 유입되며, 상기 물로부터 큰 이물을 걸러내도록 마련되는 제1 필터; 상기 배수펌프에 의하여 상기 제1 필터를 통과한 상기 물이 유입되며, 상기 물로부터 미세 이물을 걸러내도록 마련되는 미세필터를 포함하는 제2 필터로서, 상기 미세 필터의 상기 내주면에 밀착되어 회전하며 상기 내주면에 흡착된 미세 이물을 긁어내는 스크류 및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제2 필터; 상기 터브로부터 상기 제1 필터로 상기 물이 유동하도록 마련되는 제1 연결호스; 상기 제1 필터로부터 상기 제2 필터로 상기 물이 유동하도록 마련되는 제2 연결 호스; 상기 제2 필터로부터 상기 세탁기의 외부로 상기 물이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배수호스; 상기 물이 상기 제2 필터를 통과하지 않고도 상기 세탁기의 외부로 상기 물이 배출되도록 상기 제2 연결 호스와 상기 배수호스를 연결하는 바이패스 유로; 및
상기 바이패스 유로의 내부로 유동하는 상기 물의 유동 여부를 상기 바이패스 유로상에 마련된 바이패스 장치를 통하여 조절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 유로는, 상기 제2 연결호스로부터 분기되어 나오며 상기 배수호스에 연결되거나, 상기 배수호스에서 분기되어 나와 상기 제2 연결 호스에 연결되는 바이패스 호스를 포함하며, 상기 바이패스 장치는 분기되어 나온 상기 바이패스 호스가 상기 제2 연결 호스 또는 상기 배수호스와 연결되는 지점에 마련되며, 상기 바이패스 호스 내부에서의 상기 물의 유동 여부를 조절하는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터브 내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컨트롤러는 측정된 상기 수위를 기초로 상기 바이패스 장치의 상기 밸브의 개폐여부를 제어하도록 마련되며, 측정된 상기 수위가 일정시간 변하지 않을 때, 상기 물이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통하여 세탁기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바이패스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필터를 포함하는 배수 유로 및 이를 갖는 세탁기는 배수펌프와 배수호스 사이에 복수의 필터를 적용하여 미세플라스틱과 같은 이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필터를 포함하는 배수 유로 및 이를 갖는 세탁기는 미세플라스틱을 여과하는 필터로 연결되는 호스와 배수호스 사이에 마련된 바이패스 유로가 마련되어 미세플라스틱을 여과하는 과정에서 필터가 막히더라도 세탁기의 동작을 정지시키지 않고 세탁-헹굼-탈수 행정을 완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필터가 적용된 세탁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세탁기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 및 필터 도어가 개방되어 제2 필터의 수집 필터가 세탁기 외부로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에서 캐비닛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제2 필터가 배치된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필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필터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필터 내부에서 물이 여과되며 이동하는 경로와, 이물이 이동하는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필터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4의 제1 필터, 제2 필터 및 배수 유로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 유로 내의 물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에서 바이패스 유로를 통과하는 물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 유로 내의 물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에서 바이패스 유로를 통과하는 물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 유로 내의 물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에서 바이패스 유로를 통과하는 물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도 12 내지 도 17의 바이패스 동작 시기를 판단하여 바이패스 장치를 제어하고 에러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19은 도 13, 도 15, 도 17에 도시된 바이패스 유로를 통하여 물이 흐르는 바이패스 동작이 실행되기 위한 일 실시예의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0는 도 19의 바이패스 동작에도 불구하고 터브 내 배수 수위가 정상적으로 감소하지 않은 경우, 세탁기의 표시부에 행정 멈춤 또는 에러를 표시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1은 도 19의 바이패스 동작에도 불구하고 터브 내 배수 수위가 정상적으로 감소하지 않은 경우, 세탁기의 표시부에 행정 멈춤 또는 에러를 표시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의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미세 필터가 설치될 수 있는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상면” 및 “하면”등은 도 1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필터가 적용된 세탁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세탁기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 및 필터 도어가 개방되어 제2 필터의 수집 필터가 세탁기 외부로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캐비닛(10)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20)와, 터브(2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럼(30)와, 드럼(30)를 구동하는 구동모터(40)를 구비한다.
캐비닛(10)의 전면부에는 드럼(30)의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투입구(11)가 형성된다. 투입구(11)는 캐비닛(10)의 전면부에 설치된 도어(12)에 의해 개폐된다.
터브(20)의 상부에는 터브(2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50)이 설치된다. 급수관(50)의 일측은 급수밸브(56)와 연결되고, 급수관(50)의 타측은 세제함(52)과 연결된다.
세제함(52)은 연결관(54)을 통해 터브(20)와 연결된다. 급수관(50)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세제함(52)을 경유하여 세제와 함께 터브(20)의 내부로 공급된다.
터브(20)는 댐퍼(70)에 의해 지지된다. 댐퍼(70)는 캐비닛(10)의 내측 저면과 터브(20)의 외면을 연결한다.
드럼(30)는 원통부(31)와, 원통부(31)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면판(32)과, 원통부(31)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면판(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면판(32)에는 세탁물의 출입을 위한 개구가 형성되고, 후면판(33)에는 구동모터(40)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샤프트(90)가 연결된다.
드럼(30)의 둘레에는 물의 유통을 위한 다수의 통공(34)이 형성되고, 드럼(30)의 내주면에는 드럼(30)이 회전할 때 세탁물의 상승 및 낙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복수의 리프터(35)가 설치된다.
드럼(30)과 구동모터(40)는 샤트프(90)를 통해 연결되는데 샤프트(90)와 구동모터(40)의 연결 형태에 따라, 샤프트(90)가 구동모터(40)에 직접 연결되어 드럼(30)을 회전시키는 직접 구동 타입과 구동모터(40)와 샤프트(90) 사이에 풀리(91)를 연결하여 드럼(30)을 구동시키는 간접 구동 타입으로 나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세탁기(1)는 간접 구동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직접 구동 타입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적용 가능하다.
샤프트(90)의 일단은 드럼(30)의 후면판(33)에 연결되고, 샤프트(90)의 타단은 터브(20)의 후측부(21)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샤프트(90)의 타단은 구동모터(40)로부터 구동력을 얻기 위해 풀리(91)에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구동모터(40)의 회전축에는 모터풀리(41)가 형성되어 있다. 모터풀리(41)와 풀리(91) 사이에는 구동벨트(92)가 마련되어 구동벨트(92)에 의해 샤프트(90)가 구동할 수 있다.
구동모터(40)는 터브(20)의 하측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구동벨트(92)가 터브(20)의 상하 방향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샤프트(90)를 구동시킬 수 있다.
터브(20)의 후측부(21)에는 샤프트(9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베어링 하우징(22)이 설치된다. 베어링 하우징(70)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터브(20)를 사출 성형할 때 터브(20)의 후측부(21)에 인서트될 수 있다.
터브(20)의 하부에는 터브(20) 내부의 물을 캐비닛(1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펌프(80a)와, 터브(20) 내부의 물이 배수펌프(80a)로 유입될 수 있도록 터브(20)와 배수펌프(80a)를 연결하는 연결호스(82)와, 배수펌프(80a)에 의해 펌핑된 물을 캐비닛(10)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호스(84)가 마련된다.
배수호스(84)와 배수펌프(80a) 사이에는 제1 필터(100, 도 4 참조)와 제2 필터(200, 도 4참조)가 마련될 수 있다. 안내호스(83)는 배수펌프(80a)와 필터장치(100)를 연결할 수 있다. 물이 배수펌프(80a)에 의하여 세탁기(1)의 외부로 배출되기 전에, 제1 필터(100)와 제2 필터(200)는 배수펌프(80a)에 의하여 배출되는 물을 여과할 수 있다.
제1 필터(100)와 제2 필터(200)는 캐비닛(10)의 내부에서 전방 하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사이에는 제1 필터(100, 도 4 참조)와 제2 필터(200, 도 4 참조)에 대하여는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세탁기(1)의 캐비닛(10) 전면에 형성된 필터 도어(16)를 개방하여 제2 필터(200)의 수집 필터(270)를 세탁기(1)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도 2에는 수집 필터(270)만 인출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나, 후술하는 것과 같이 미세 필터(250, 도 6 참조)도 제2 필터(200)의 하우징(210)으로부터 분리되어 세탁기(1)의 외부로 인출 될 수 있다.
또한 제1 필터(100, 도 4 참조) 역시 제2 필터(200)와 유사한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세탁기(1)의 캐비닛(10) 전면에 형성된 필터 도어(15)를 개방하여 제1 필터(100, 도 4 참조)의 이물 필터(미도시)를 세탁기(1)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세탁기(1)는 수집 필터(270)에 이물이 일정량 이상 모이게 되면, 표시부(14)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수집 필터(270)가 청소가 필요한 상태임을 표시 할 수 있다.
캐비닛(10)의 전면 상부에는 사용자에게 세탁기(1)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4)가 마련될 수 있다. 표시부(14)는 입력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캐비닛(10)의 전면 상부에는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에서 캐비닛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터브(20) 내에서 세탁 행정을 거친 물은 폴리에스터, 아크릴, 나일론 등의 합성섬유 재질의 옷에서 나오는 오염물질인 미세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미세플라스틱은 그 크기가 매우 작아 하수 처리 시설에 걸러지지 않고 해양에 투기될 수 있다. 해양생물은 흡착성 오염물질이 함유된 미세플라스틱을 먹이로 오인하면서 섭취하여 해양 생태계 교란을 일으킬 수 있다.
미세플라스틱의 섭취는 해양생물의 물리적 상해, 섭식 행동 변화, 성장 및 생식 능력 저하 등의 문제 등을 야기할 수 있으며, 먹이사슬로 인해 모든 생물이 미세플라스틱의 위험에 노출되어 최종적으로는 인간에게도 영향을 미치는 단계에 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세탁기로부터 배출된 미세플라스틱이 하천과 바다로 유입되기 전에 여과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수거할 필요성이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미세플라스틱을 여과하는 배수 유로 및 필터 구조를 포함하는 세탁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세탁기(1)는 터브(20)의 물을 외부로 강제 배출하기 위한 배수펌프(80a)와 터브(20)의 물을 순환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순환펌프(80)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1)는 배수펌프(80a) 또는 순환펌프(80)와 연통되는 제1 필터(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1)는 터브(20) 내부의 물이 배수펌프(80a)에 의하여 제1 필터(100)로 유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1 연결호스(8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1)는 제1 필터(100) 내부의 물이 터브(20)로 다시 순환하도록 마련되는 순환호스(8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필터(100는 제1 필터 유입구(101) 및 제1 필터 유출구(1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필터 유입구(101)는 제1 연결호스(81)를 통하여 터브(20)와 연통될 수 있다. 배수펌프(80a)는 제1 필터 유입구(101)를 통하여 제1 필터(100) 내부로 터브(20)의 물을 강제로 유동시킬 수 있다.
제1 연결호스(81)의 일단부는 터브(20)의 저면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제1 필터 유입구(101)에 연결될 수 있다.
세탁기(1)는 제1 연결호스(81)로부터 분기되는 분기관(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분기관(미도시)은 터브(20)에 연결되어 터브(20) 내부의 세탁수 양을 측정할 수 있도록 수위센서(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수위센서(미도시)는 압력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필터(100)는 터브(20)로부터 유동된 물의 내부에 포함된 이물을 거르도록 마련되는 이물 필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물 필터(미도시)에 의하여 걸러지는 이물은 배수펌프(80a)로 들어가면 배수펌프(80a)의 고장이나 오작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부피가 큰 이물일 수 있다.
터브(20)로부터 제1 필터(100)로 유입된 물은, 배수펌프(80a)에 의하여 이물 필터(미도시)에 의하여 1차적으로 여과된 후, 제1 필터 유출구(102)로 배출될 수 있다. 또는 터브(20)로부터 제1 필터(100)로 유입된 물은, 배수펌프(80a)에 의하여 이물 필터(미도시)에 의하여 1차적으로 여과된 후, 순환펌프(80)에 의하여 다시 터브(20)로 순환 될 수 있다.
세탁기(1)는 제1 필터(100)에서 배출된 물이 2차 여과 되는 제2 필터(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1)는 제1 필터(100)에서 여과된 물이 배수펌프(80a)에 의하여 제2 필터(200)로 유동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2 연결호스(8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1)는 제2 필터(200)에서 여과된 물이 배수펌프(80a)에 의하여 세탁기(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배수호스(8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필터(200)는 제2 필터 유입구(201) 및 제2 필터 유출구(2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필터 유입구(201)는 제2 연결호스(82)를 통하여 제1 필터 유출구(102)와 연통될 수 있다. 배수펌프(80a)는 제1 필터(100)에 의하여 1차적으로 여과된 물을 제2 필터 유입구(201)를 통하여 제2 필터(200) 내부로 강제로 유동시킬 수 있다.
제2 필터(200)는 제1 필터(100)로부터 유동된 물의 내부에 포함된 이물을 거르도록 마련되는 미세 필터(250)를 포함할 수 있다. 미세 필터(250)에 의하여 걸러지는 이물은 미세플라스틱과 같은 부피가 작은 이물일 수 있다.
제1 필터(100)로부터 제2 필터(200)로 유입된 물은, 배수펌프(80a)에 의하여 미세 필터(250)에 의하여 2차적으로 여과된 후, 제2 필터 유출구(202)로 배출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서 제2 필터가 배치된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필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필터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미세플라스틱을 여과하는 제2 필터(200)의 구조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2 필터(200)는 제2 필터 유입구(201) 및 제2 필터 유출구(202)를 포함하는 하우징(210), 미세플라스틱을 여과하는 미세 필터(250) 및 미세 필터(250)로부터 이송된 이물이 모이는 수집 필터(2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필터(200)는 미세 필터(250)의 내주면에 흡착된 이물을 긁어내는 필터 클리너(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필터(200)의 하우징(21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하우징(210)은 배수펌프(80a)에 의하여 제1 필터(100)에서 배출된 물이 유입되는 제1 하우징(211) 및 미세 필터(250)와 수집 필터(270)가 안착되는 제2 하우징(212)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 클리너(230)는 제1 하우징(211)과 제2 하우징(212)에 걸쳐 하우징(210)의 내부에 안착될 수 있다.
제1 하우징(211) 또는 제2 하우징(212)은 대략 실린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하우징(211)과 제2 하우징(212)은 캐비닛 하부(10a, 도 5 참조)에 대하여 눕혀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하우징(211) 또는 제2 하우징(212)은 연장방향이 일치하도록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하우징(211)에는 제2 필터 유출구(202)가 형성되고, 제2 하우징(212)에는 제2 필터 유입구(20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제2 필터 유출구(202) 또는 제2 필터 유입구(201)는 하우징(21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필터 유출구(202) 또는 제2 필터 유입구(201)는 대략 실린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필터 유출구(202) 또는 제2 필터 유입구(201)는 하우징(21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제2 필터 유출구(202) 또는 제2 필터 유입구(201)는 하우징(210)의 측면으로부터 같은 방향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제2 필터 유입구(201)는 제2 연결호스(82)와 연결되며, 제2 필터 유출구(202)는 배수호스(83)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하우징(212)의 전방을 향하는 일측에는 미세 필터(250)와 수집 필터(27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구(216)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하우징(212)의 타측에는 제1 하우징(211)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하우징(212)의 타측은 제1 하우징(211)의 전방을 향하는 일측과 마주할 수 있다. 제1 하우징(211)의 타측에는 축 실링부재(242)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축 실링부재(242)는 제1 하우징(211)의 타측에 형성된 홀에 고정될 수 있다. 축 실링부재(242)는 대략 실린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축 실링 부재(242)의 중심에는 커플러(241)의 일단에 대응되는 홀이 마련될 수 있다. 축 실링부재(242)의 중심에 형성된 홀에 커플러(241)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다. 축 실링부재(242)는 하우징(210) 구체적으로는 제1 하우징(211) 내부의 물이 제1 하우징(211)의 타측에 형성된 홀을 통하여 하우징(210)의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하우징(211)의 직경은 제2 하우징(212)의 직경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하우징(211)와 제2 하우징(212)은 서로 단차를 이루며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하우징(211)과 제2 하우징(212)은 동일한 실린더 축을 기준으로 병렬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하우징(211)와 제2 하우징(212)사이에 형성된 단차를 하우징 단차(213)라고 지칭할 수 있다. 미세 필터(250)는 제2 하우징(212)에 삽입된 후, 미세 필터(250)의 일단, 구체적으로는 미세 필터 바디 일단(251a)이 하우징 단차(213)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제2 필터(200)는 제1 하우징(211)의 타측과 연결되며 블레이드 모터(240)가 고정되는 모터 장착부(24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터 장착부(249)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하우징(211)의 타측과 모터 장착부(249)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모터 장착부(249)의 일면에는 블레이드 모터(240)가 고정될 수 있다. 모터 장착부(249)는 모터 장착부(249)의 일면과 타면을 연통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모터 장착부(249)와 제1 하우징(211)의 타측의 이격된 공간에는 커플러(241)가 배치될 수 있다.
블레이드 모터(240)는 모터 장착부(249)의 일면과 타면을 연통하는 홀을 통하여 커플러(241)와 연결될 수 있다. 커플러(241)는 축 실링부재(242)를 관통하여 블레이드 축(233)의 일단(231a)와 연결될 수 있다. 블레이드 모터(240)의 회전축, 커플러(241)의 회전축 및 블레이드 축(233)은 일직선 상에 배치되어 같은 방향(도 9 참조)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 필터(200)는 하우징(210)의 하부에서 하우징(210)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 리브(2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지지 리브(215)는 일정 간격을 이루며 하우징(210)의 하단으로부터 캐비닛 하부(10a, 도 5 참조)를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 리브(215)는 캐비닛 하부(10a, 도 5 참조)에 맞닿으며 하우징(210)을 지지할 수 있다.
상술한 하우징(210)의 내부로, 필터 클리너(230), 미세 필터(250) 및 수집 필터(270)가 하우징(210)의 삽입구(216)를 통하여 순서대로 삽입될 수 있다. 즉, 필터 클리너(230)가 제일 먼저 삽입 된 후, 다음으로 미세 필터(250), 수집 필터(270) 순으로 하우징(21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삽입되는 순서대로 필터 클리너(230), 미세 필터(250) 및 수집 필터(270)를 설명하도록 한다.
필터 클리너(230)는 미세 필터(250)의 내주면에 흡착된 이물을 긁어내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필터 클리너(230)는 미세 필터(250) 내주면을 긁는 블레이드(232)와 블레이드(232)가 연장되어 나오는 블레이드 축(233)을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 축(233)은 대략 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블레이드 축(233)은 하우징(210)의 연장방과 나란하게 하우징(2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하우징(211)의 연장 방향, 제2 하우징(212)의 연장방향 및 블레이드 축(233)의 연장방향은 서로 나란하거나 일치될 수 있다.
필터 클리너(230)의 블레이드 축(233)은 제1 하우징(211)의 내부 및 제2 하우징(212)의 내부 일 영역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필터 클리너(230)는 블레이드 축(233)으로부터 연장되어 나오는 블레이드(232)를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232)는 스크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블레이드(232)는 탄성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블레이드(232)는 미세 필터(25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회전할 수 있다. 블레이드(232)의 스크류 형상은 미세 필터(250)의 내주면에서 떨어져 나온 이물을 수집 필터(270)를 향하여 이송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필터 클리너(230)는 축 실링부재(242)의 인접한 영역에 배치되는 필터 플레이트(2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 플레이트(231)는 대략 원형 플레이트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필터 플레이트(231)는 블레이드 축(233)으로부터 반경방향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필터 플레이트(231)는 블레이드(232)의 스크류 형상이 형성되기 시작하는 지점과 축 실링부재(242)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 플레이트(231)의 반경은 대략 제1 하우징(211)의 내경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필터 클리너(230)에 필터 플레이트(231)가 구비되어,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이 블레이드 축(233) 또는 축 실링부재(242)에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블레이드 모터(240)에 걸리는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미세 필터(250)와 수집 필터(270)는 하우징(210)의 내주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대략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미세 필터(250)는 양측이 개방된 실린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미세 필터(250)는 미세플라스틱와 같은 미세 이물을 여과하는 미세 필터부(252)와 미세 필터부(252)를 지지하는 미세 필터 바디(251)를 포함할 수 있다.
미세 필터 바디(251)에 의하여 미세 필터(250)의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미세 필터 바디(251)는 복수의 링과 링을 지지하는 복수의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미세 필터 바디(251)의 일단(251a)은 제1 실링부재(220)를 사이에 두고 하우징 단차(213)에 밀착될 수 있다.
미세 필터부(252)는 미세 필터 바디(251)에 의하여 지지되며 제2 필터(200)로 유입된 물에서 미세플라스틱을 여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미세 필터부(252)는 정밀 여과막으로 마련될 수 있다. 미세 필터부(252)는 미세 필터(250)의 내주면을 형성할 수 있다. 스크류 형상의 블레이드(232)는 미세 필터의 내주면 즉, 미세 필터부(252)에 밀착되어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미세 필터(250)는 수집 필터(270)를 향하여 테이퍼드 형상으로 마련되는 경사부(2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경사부(253)는 대략 깔때기 형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경사부(253)는 미세 필터 바디(251)의 타단(251b)에 마련될 수 있다. 경사부(253)는 미세 필터(250)의 내주면에서 떨어져 나온 이물이 수집 필터(270)에 안정적으로 수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블레이드 축(233)의 타단(233b)는 경사부(253)를 통과하여, 미세 필터(250)의 개방된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필터 클리너(230)는 일차적으로 블레이드(232)를 통하여 미세 필터(250)의 내주면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필터 클리너(230)는 이차적으로 블레이드 축(233)의 일단이 커플러(241)에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필터 클리너(230)는 하우징(210)의 내부에서 일정한 회전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수집 필터(270)는 미세 필터(250)와 마주한 일측이 개방된 실린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미세 필터(250)와 수집 필터(270)는, 미세 필터(250)가 수집 필터(270)보다 제2 필터 유입구(201)에 가깝도록 상기 블레이드 축(233)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수집 필터(270)는 미세 필터(250)와 제2 실링부재(260)를 사이에 두고 미세 필터(250)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집 필터 바디(271)의 일단(271a)에는 제2 실링부재(260)가 밀착되고, 제2 실링부재(260)의 내측은 미세 필터(250)의 경사부(253)와 밀착될 수 있다. 제2 실링부재(260)에 의하여 수집 필터(270)와 미세 필터(250) 사이로 물이 새어나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2 실링부재(260)는 탄성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수집 필터(270)는 미세 필터(250)로부터 이송된 미세플라스틱과 같은 미세 이물이 쌓이는 수집 필터부(272)와 수집 필터부(272)를 지지하는 수집 필터 바디(271)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집 필터 바디(271)는 복수의 링과 링을 지지하는 복수의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집 필터부(272)는 정밀 여과막으로 마련될 수 있다. 수집 필터부(272)는 주로 이송된 이물을 모아두는 기능을 수행하지만, 미세 필터부(252)와 같이 제2 필터(200)로 유입된 물에서 미세플라스틱을 여과하는 기능을 일부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수집 필터(270)의 타측, 다시 말하자면 수집 필터 바디(271)의 타단(271b)는 필터 리드(28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수집 필터(270)는 필터 리드(280)에 결합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필터 리드(280)는 손잡이(281)와 체결 나사(282)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10)의 삽입구(216)에는 체결 나사(282)에 대응되는 체결 홈(216a)이 형성될 수 있다. 필터 리드(280)에 연결된 수집 필터(270)가 삽입구(216)를 통하여 하우징(210) 내부에 삽입된 후, 사용자는 필터 리드(280)의 손잡이(281)를 파지하여 필터 리드(280)를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하여, 체결 나사(282)와 체결 홈(216a)을 서로 결합시키거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사용자가 필터 도어(16)를 개방하면, 필터 리드(280)가 세탁기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세탁기(1)의 캐비닛(10) 전면에 형성된 필터 도어(16)를 개방하여 제2 필터(200)의 수집 필터(270)를 세탁기(1)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도 2 참조) 사용자는, 체결 나사(282)와 체결 홈(216a)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에서, 필터 리드(280)의 손잡이(281)를 당겨 제2 필터(200)의 수집 필터(270)를 세탁기(1)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제2 필터(200)는 제2 필터 유출구(202)에 결합되는 체크벨브(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크 벨브(500)는 밸브 마개(510)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 마개(510)는 제2 필터(200)에서 제2 필터 유출구(202)를 통하여 배수호스(83)를 향하여 물이 유동할 때만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배수펌프(80a)가 정지하여 배수호스(83)로부터 제2 필터 유출구(202)를 통하여 제2 필터(200)로 물이 유동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필터 내부에서 물이 여과되며 이동하는 경로와, 이물이 이동하는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2 필터 유입구(201)를 통하여 제1 하우징(211)으로 유입된 물은 미세 필터(250)의 내부로 흘러 들어갈 수 있다. 미세 필터(250)의 내부로 유입된 물은 미세 필터부(252)를 통과하여 미세 필터(250)와 하우징(210)의 내주면 사이의 공간으로 유동될 수 있다. 미세 필터(250)의 내부로 유입된 물은 미세 필터부(252)를 통과할 때, 이물(미세플라스틱)이 미세 필터(250)의 내주면인 미세 필터부(252)에 흡착될 수 있다. 미세 필터(250)와 하우징(210)의 내주면 사이의 공간으로 유동된 물은 하우징(210)의 내주면을 따라 흐르다 제2 필터 유출구(202)를 통하여 배수호스(83)로 유동될 수 있다. 여과된 물은 배수호스(83)를 통하여 세탁기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블레이드(232)는 미세 필터(25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회전하며 미세 필터(250)의 내주면에 흡착된 이물을 긁어낼 수 있다. 미세 필터(250)의 내주면에서 떨어져 나온 이물은 수집 필터(270)로 이송될 수 있다. 이송된 이물은 수집 필터(270)의 내부에 모일 수 있다. 사용자는 수집 필터(270)의 내부에 이물이 일정량 모인 경우, 세탁기(1)의 외부로 수집 필터(270)를 인출하여 이물을 청소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필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필터(2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필터(200)의 구성과 대부분 유사하나, 필터 클리너(230)를 구동하는 구조에 있어서 차이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필터(200)는, 블레이드 모터(240)가 커플러(241)를 통하여 블레이드 축(233)에 연결됨으로서 필터 클리너(230)를 회전시킬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필터(200)는 블레이드 축(233)에 프로펠러(241)가 연결될 수 있다. 프로펠러(241)는 제1 하우징(21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필터 유입구(201)를 통하여 유동되는 물이 프로펠러(241)와 부딪치며 프로펠러(241)를 회전시킬 수 있다. 프로펠러(241)가 회전되며 프로펠러(241)에 연결된 필터 클리너(230)가 같이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필터(200)는 블레이드 모터(240)와 같은 별도의 구동원 없이, 배수펌프(80a)에 의하여 유동되는 물의 유동 에너지만으로 미세 필터(250)의 내주면에 흡착된 이물을 긁어낼 수 있다.
도 11은 도 4의 제1 필터, 제2 필터 및 배수 유로의 정면도이다.
제2 연결호스(82) 또는 배수호스(83)는 세탁기(1)의 하부를 향하여 U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결호스(82) 또는 상기 배수호스(83)가 U 형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호스 내부의 최저점은 캐비닛 바닥(10a) 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위하여, 캐비닛 바닥(10a)은 지지부재(10b)에 의하여 지면(G)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배수펌프(80a)가 동작을 멈추었을 때, 제2 연결호스(82) 또는 배수호스(83)의 일부 영역(R)에 물이 고일 수 있다.
제2 연결호스(82) 또는 상기 배수호스(83)가 U 형상으로 마련됨으로써, 제2 필터(200)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악취가 세탁기(1)의 외부나 터브(2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2 연결호스(82)의 양단에는 제1 필터 유출구(102)와 제2 필터 유입구(201)가 연결될 수 있다. 제2 필터 유입구(201)는 제1 필터 유출구(102)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배수펌프(80a)가 동작하지 않을 때, 제2 필터(200) 내부의 잔수가 제1 필터(100)를 향하여 용이하게 유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필터(200) 내부의 잔수를 최소화 할 수 있어 사용자가 제2 필터(200) 의 수집 필터(270)를 쉽게 청소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 유로 내의 물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는 도 12에서 바이패스 유로를 통과하는 물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1)는 물이 제2 필터(200)를 통과하지 않고도 세탁기(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바이패스 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이패스 유로는 배수호스(83)로부터 분기되어 나오며 제2 연결호스(82)에 연결되는 바이패스 호스(3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1)는 분기되어 나온 바이패스 호스(310)가 제2 연결호스(82)와 연결되는 지점에 마련되는 바이패스 장치(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이패스 장치(300)는 바이패스 호스(310) 내부에서의 물의 유동 여부를 조절하는 밸브(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필터(200) 내부에서 물이 정상적으로 유동하는 경우, 바이패스 장치(300)의 밸브(320)는 제2 연결호스(82)와 바이패스 호스(310)의 연결구를 폐쇄하여, 물이 바이패스 호스(310)를 통과하지 않고 제2 필터(200)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필터(200)의 수집 필터(270)에 이물이 가득 채워지게 되어 미세 필터(250)로 이물이 넘어오는 경우, 미세 필터(250)의 내주면의 이물이 제거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블레이드 축(233)에 이물이 엉키거나, 블레이드 모터(240)의 오작동으로 필터 클리너(230)가 회전하지 않는 경우, 미세 필터(250)의 내주면의 이물이 제거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필터(200) 내부에서 물이 정상적으로 유동하지 못하는 경우, 바이패스 장치(300)의 밸브(320)는 제2 연결호스(82)와 바이패스 호스(310)의 연결구를 개방하여 제2 필터(200)를 통과하지 않고 바이패스 호스(310)를 통하여 배수호스(83)로 곧바로 유동될 수 있다. 이를 바이패스 동작(S160, 도 18 참조)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바이패스 동작으로, 미세플라스틱을 여과하는 과정에서 제2 필터(200)가 막히더라도 세탁기(1)의 동작을 정지시키지 않고 세탁-헹굼-탈수 행정을 완료할 수 있다.
도 14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 유로 내의 물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에서 바이패스 유로를 통과하는 물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1)는 물이 제2 필터(200)를 통과하지 않고도 세탁기(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바이패스 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이패스 유로는 제2 연결호스(82)로부터 분기되어 나오며 배수호스(83)에 연결되는 바이패스 호스(3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1)는 분기되어 나온 바이패스 호스(310)가 배수호스(83)와 연결되는 지점에 마련되는 바이패스 장치(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이패스 장치(300)는 바이패스 호스(310) 내부에서의 물의 유동 여부를 조절하는 밸브(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필터(200) 내부에서 물이 정상적으로 유동하는 경우, 바이패스 장치(300)의 밸브(320)는 배수호스(83)와 바이패스 호스(310)의 연결구를 폐쇄하여, 물이 바이패스 호스(310)를 통과하지 않고 제2 필터(200)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필터(200)의 수집 필터(270)에 이물이 가득 채워지게 되어 미세 필터(250)로 이물이 넘어오는 경우, 미세 필터(250)의 내주면의 이물이 제거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블레이드 축(233)에 이물이 엉키거나, 블레이드 모터(240)의 오작동으로 필터 클리너(230)가 회전하지 않는 경우, 미세 필터(250)의 내주면의 이물이 제거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필터(200) 내부에서 물이 정상적으로 유동하지 못하는 경우, 바이패스 장치(300)의 밸브(320)는 배수호스(83)와 바이패스 호스(310)의 연결구를 개방하여 제2 필터(200)를 통과하지 않고 바이패스 호스(310)를 통하여 배수호스(83)로 곧바로 유동될 수 있다. 이를 바이패스 동작(S160, 도 18 참조)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바이패스 동작으로, 미세플라스틱을 여과하는 과정에서 제2 필터(200)가 막히더라도 세탁기(1)의 동작을 정지시키지 않고 세탁-헹굼-탈수 행정을 완료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 유로 내의 물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는 도 16에서 바이패스 유로를 통과하는 물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에 개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는 제2 연결호스(82)와 배수호스(83)를 연결하는 바이패스 호스(310)는 마련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6에 개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는 배수펌프(80a)와 별도로, 보조 배수펌프(8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필터(200) 내부에서 물이 정상적으로 유동하지 못하는 경우, 배수펌프(80a)의 동작이 정지될 수 있다. 이후 보조 배수펌프(80b)가 동작할 수 있다. 터브(20) 내의 물은 보조 배수펌프(80b)의 동작으로 인하여 보조 배수호스(83)를 통해 세탁기(1)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를 바이패스 동작(S160, 도 18 참조)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바이패스 동작으로, 미세플라스틱을 여과하는 과정에서 제2 필터(200)가 막히더라도 세탁기(1)의 동작을 정지시키지 않고 세탁-헹굼-탈수 행정을 완료할 수 있다.
도 18은 도 12 내지 도 17의 바이패스 동작 시기를 판단하여 바이패스 장치를 제어하고 에러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19은 도 13, 도 15, 도 17에 도시된 바이패스 유로를 통하여 물이 흐르는 바이패스 동작이 실행되기 위한 일 실시예의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0는 도 19의 바이패스 동작에도 불구하고 터브 내 배수 수위가 정상적으로 감소하지 않은 경우, 세탁기의 표시부에 행정 멈춤 또는 에러를 표시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1은 도 19의 바이패스 동작에도 불구하고 터브 내 배수 수위가 정상적으로 감소하지 않은 경우, 세탁기의 표시부에 행정 멈춤 또는 에러를 표시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의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00), 저장부(700), 컨트롤러(90), 음향출력부(800), 센서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로서 사용자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세탁기(1)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입력 또는 행정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세탁기(1)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는 컨트롤 패널(14)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가 컨트롤 패널(14)에 설치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사용자 인터페이스(1)의 설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조작하고, 볼 수 있는 위치라면 어디든지 설치될 수 있다.
컨트롤러(90)는 컨트롤 패널(14)로부터 입력된 세탁 운전 정보에 따라 세탁 행정과 헹굼 행정 및 탈수 행정 등 세탁기(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마이크로 프로세서(91)와, 메모리(92)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700)는 세탁기(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제어 데이터와, 사용자 입력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컨트롤러(90)는 배수펌프(80a), 보조 배수펌프(80b), 순환펌프(80), 바이패스 장치(300)를 구동 또는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90)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1)는 컨트롤러(90)가 바이패스 장치(300)의 밸브(320)의 개폐여부를 판단을 위한 센서(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600)는 터브(20) 내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601)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600)는 터브 내의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6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600)는 는 블레이드 모터(240)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회전수 감지센서(603)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600)는 블레이드 모터(240)에 흐르는 전류 값을 측정하는 전류측정센서(6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600)은 측정한 정보를 컨트롤러(90)로 전달할 수 있다.
컨트롤러(90)는 센서(600)로부터 측정된 정보를 기초로, 도 13, 도 14, 도 17에 도시된 바이패스 동작이 실행되도록 바이패스 장치(300)의 밸브(320)의 개폐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는 전기적 신호를 음향으로 변환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음향 출력부()는 제어부()로부터 전기적 음향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전기적 음향 신호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1)는 컨트롤러(90)가 바이패스 장치(300)의 밸브(320)의 개폐여부를 판단을 위한 센서(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600)는 터브(20) 내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601)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600)는 터브 내의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6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600)는 는 블레이드 모터(240)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회전수 감지센서(603)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600)는 블레이드 모터(240)에 흐르는 전류 값을 측정하는 전류측정센서(6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600)은 측정한 정보를 컨트롤러(90)로 전달할 수 있다.
컨트롤러(90)는 센서(600)로부터 측정된 정보를 기초로, 도 13, 도 14, 도 17에 도시된 바이패스 동작이 실행되도록 바이패스 장치(300)의 밸브(320)의 개폐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90)가 바이패스 동작(S160)을 실행을 판단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컨트롤러(90)는 수위센서(601)에서 측정된 터브(20) 내의 수위가 일정시간 변하지 않을 때, 물이 제2 필터(200) 거치지 않고, 곧바로 바이패스 유로를 통하여 세탁기(1) 외부로 배출되도록 바이패스 장치(300)를 제어 즉, 바이패스 동작을 실행(S160)할 수 있다. (S100)
컨트롤러(90)는 온도센서(603)에서 측정된 물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이하일 때, 물이 제2 필터(200) 거치지 않고, 곧바로 바이패스 유로를 통하여 세탁기(1) 외부로 배출되도록 바이패스 장치(300)를 제어 즉, 바이패스 동작을 실행(S160)할 수 있다. (S120)
컨트롤러(90)는 회전수 감지센서(603)에서 측정된 블레이드 모터(240)의 회전수가 기 설정된 범위 밖일 때, 물이 제2 필터(200) 거치지 않고, 곧바로 바이패스 유로를 통하여 세탁기(1) 외부로 배출되도록 바이패스 장치(300)를 제어 즉, 바이패스 동작을 실행(S160)할 수 있다. (S130)
컨트롤러(90)는 전류 측정센서(미도시)에서 측정된 블레이드 모터(240)에 흐르는 전류 값이 기 설정된 범위 밖일 때, 물이 제2 필터(200) 거치지 않고, 곧바로 바이패스 유로를 통하여 세탁기(1) 외부로 배출되도록 바이패스 장치(300)를 제어 즉, 바이패스 동작을 실행(S160)할 수 있다. (S140)
컨트롤러(90)는 터브(20) 내의 수위가 정상적으로 감소하고, 터브(20) 내의 물의 온도가 기 설정된 범위 내이며, 블레이드 모터(240)의 회전수가 기 설정된 범위 내이고, 블레이드 모터(240)에 흐르는 전류 값이 기 설정된 범위 내이면 최종적으로 사용자의 제2 필터(200) 사용 여부를 확인(S150)하여 제2 필터(200)를 통한 배수(S170)를 실행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제2 필터(200) 사용 설정을 하지 않은 경우, 컨트롤러(90)는 물이 제2 필터(200) 거치지 않고, 곧바로 바이패스 유로를 통하여 세탁기(1) 외부로 배출되도록 바이패스 장치(300)를 제어 즉, 바이패스 동작을 실행(S160)할 수 있다.
도 19 참조하면, 배수펌프(80a)의 동작(S210)과 블레이드 모터(240)의 동작(S220)은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또는 도 20을 참조하면 배수펌프(80a)의 동작(S210')이 선행된 후 블레이드 모터(240)의 동작(S220')이 진행될 수 있다. 또는 이와 달리 블레이드 모터(240)의 동작(S220')이 선행된 후 배수펌프(80a)의 동작(S210')이 진행될 수도 있다.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배수 수위 감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30)는 도 18에 도시된 컨트롤러(90)가 바이패스 동작(S160)을 실행을 판단하는 과정을 압축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컨트롤러(90)는 물이 바이패스 유로를 통하여 세탁기(1) 외부로 배출되도록 바이패스 장치(300)를 제어한 후에도, 수위센서(601)를 통해 측정된 터브(20) 내 수위가 일정시간 변하지 않을 경우 컨트롤 패널(14)를 통해 행정 멈춤 또는 에러 표시를 나타낼 수 있다. 컨트롤 패널(14)는 사용자에게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제2 필터(200)의 청소가 필요하다는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제2 필터가 설치될 수 있는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2 필터(200)는 캐비닛(10)의 내부에서 전방 하단 우측(A1, 도 22 참조)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제2 필터(200)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전방 하단 좌측(A2), 전방 상단 우측(A3), 전방 상단 좌측(A4)에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세탁기(1)의 외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즉, 제2 필터(200)는, 세탁기(1) 우측영역(AR), 세탁기(1) 좌측영역(AL), 세탁기(1) 상측영역(AT) 설치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세탁기
10; 캐비닛
14; 컨트롤 패널
15, 16; 필터 도어
20; 터브
80; 배수펌프
81; 제1 연결호스
82; 제2 연결호스
83; 배수호스
90; 컨트롤러
100; 제1 필터
101; 제1 필터 유입구
102; 제1 필터 유출구
200; 제2 필터
201; 제2 필터 유입구
202; 제2 필터 유출구
210; 하우징
216; 삽입구
230; 필터 클리너
250; 미세 필터
270; 수집 필터
280; 필터 리드
300; 바이패스 장치
310; 바이패스 호스
320; 밸브

Claims (20)

  1.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의 물을 배수 유로를 통하여 세탁기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펌프;
    상기 배수펌프에 의하여 상기 물이 유입되며, 상기 물로부터 이물을 걸러내도록 상기 배수 유로 상에 마련되는 제1 필터; 및
    상기 배수펌프에 의하여 상기 제1 필터를 통과한 상기 물이 유입되며, 상기 물로부터 이물을 걸러내도록 상기 배수 유로 상에 마련되는 제2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 유로는,
    상기 터브로부터 상기 제1 필터로 상기 물이 유동하도록 마련되는 제1 연결호스와, 상기 제1 필터로부터 상기 제2 필터로 상기 물이 유동하도록 마련되는 제2 연결 호스 및 상기 제2 필터로부터 상기 세탁기의 외부로 상기 물이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배수호스를 포함하는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이 상기 제2 필터를 통과하지 않고도 상기 세탁기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바이패스 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이패스 유로는, 상기 제2 연결호스로부터 분기되어 나오며 상기 배수호스에 연결되거나, 상기 배수호스에서 분기되어 나와 상기 제2 연결 호스에 연결되는 바이패스 호스를 포함하는 세탁기.
  3. 제2항에 있어서,
    분기되어 나온 상기 바이패스 호스가 상기 제2 연결 호스 또는 상기 배수호스와 연결되는 지점에 마련되는 바이패스 장치로서, 상기 바이패스 호스 내부에서의 상기 물의 유동 여부를 조절하는 밸브를 포함하는 바이패스 장치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4. 제3항에 있어서,
    터브 내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 및 측정된 상기 수위를 기초로 상기 바이패스 장치의 상기 밸브의 개폐여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측정된 상기 수위가 일정시간 변하지 않을 때, 상기 물이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통하여 세탁기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바이패스 장치를 제어하는 세탁기.
  5. 제3항에 있어서,
    터브 내의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및 측정된 상기 온도를 기초로 상기 바이패스 장치의 상기 밸브의 개폐여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측정된 상기 물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이하일 때, 상기 물이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통하여 세탁기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바이패스 장치를 제어하는 세탁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필터는,
    상기 미세 이물이 내주면에 흡착되는 미세 필터;
    상기 미세 필터의 상기 내주면에 밀착되어 회전하며 상기 미세 이물을 긁어내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미세 이물을 미세 필터에 인접하여 배치된 수집 필터로 이송하도록 마련되는 필터 클리너;를 포함하는 세탁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필터는, 상기 미세 필터의 내주면을 이루는 미세 필터부와 제2 필터 유입구 및 제2 필터 유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미세 필터와 상기 수집 필터는,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2 필터 유입구로 유입된 상기 물은 상기 미세 필터 내부로 유동된 후 상기 미세 필터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2 필터 유출구로 배출되는 세탁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블레이드 축 및 블레이드 축의 연장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미세 필터부와 밀착되는 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미세 필터와 상기 수집 필터는, 상기 미세 필터가 상기 수집 필터보다 상기 제2 필터 유입구에 가깝도록 상기 블레이드 축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세탁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배치되며, 상기 블레이드 축과 연결되어 상기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는 블레이드 모터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10. 제9항에 있어서,
    블레이드 모터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회전수 감지센서 및 측정된 상기 회전수에 기초하여 상기 바이패스 장치의 상기 밸브의 개폐여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측정된 상기 회전수가 기 설정된 범위 밖일 때, 상기 물이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통하여 세탁기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바이패스 장치를 제어하는 세탁기.
  11. 제9항에 있어서,
    블레이드 모터에 흐르는 전류 값을 측정하는 전류측정센서 및 측정된 상기 전류 값에 기초하여 상기 바이패스 장치의 상기 밸브의 개폐여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측정된 상기 전류 값이 기 설정된 범위 밖일 때, 상기 물이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통하여 세탁기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바이패스 장치를 제어하는 세탁기.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컨트롤 패널을 더 포함하며,
    컨트롤러가 상기 물이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통하여 세탁기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바이패스 장치를 제어한 후, 상기 측정된 상기 수위가 일정시간 변하지 않을 경우 컨트롤 패널에 에러 표시를 하도록 마련되는 세탁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와 연결된 보조 배수펌프 및 상기 제1 필터로부터 상기 세탁기의 외부로 상기 물이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보조 배수호스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14. 제13항에 있어서,
    터브 내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 및 상기 바이패스 장치의 밸브의 개폐여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수위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상기 수위가 일정시간 변하지 않을 때, 상기 물이 상기 보조 배수호스를 통하여 세탁기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보조 배수펌프를 제어하는 세탁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호스 또는 상기 배수호스는 상기 세탁기의 하부를 향하여 U형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배수펌프가 동작을 멈추었을 때, 상기 물이 고이도록 마련되는 세탁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에 마련되며 상기 물이 상기 제1 필터로부터 유출되는 제1 필터 유출구 및 상기 제2 필터에 마련되며 상기 물이 상기 제2 필터로 유입되는 제2 필터 유입구가 각각 상기 제2 연결호스의 양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필터 유입구는 상기 제1 필터 유출구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세탁기.
  1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기의 전면 패널 중 상기 제2 필터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필터 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집 필터는 개방된 필터 도어를 통하여 외부로 분리되는 세탁기.
  18.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 및
    상기 터브 내부의 물을 세탁기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펌프;
    상기 배수펌프에 의하여 상기 물이 유입되며, 상기 물로부터 큰 이물을 걸러내도록 마련되는 제1 필터;
    상기 배수펌프에 의하여 상기 제1 필터를 통과한 상기 물이 유입되며, 상기 물로부터 미세 이물을 걸러내도록 마련되는 미세필터를 포함하는 제2 필터로서, 상기 미세 필터의 상기 내주면에 밀착되어 회전하며 상기 내주면에 흡착된 미세 이물을 긁어내는 스크류 및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제2 필터;
    상기 터브로부터 상기 제1 필터로 상기 물이 유동하도록 마련되는 제1 연결호스;
    상기 제1 필터로부터 상기 제2 필터로 상기 물이 유동하도록 마련되는 제2 연결 호스;
    상기 제2 필터로부터 상기 세탁기의 외부로 상기 물이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배수호스;
    상기 물이 상기 제2 필터를 통과하지 않고도 상기 세탁기의 외부로 상기 물이 배출되도록 상기 제2 연결 호스와 상기 배수호스를 연결하는 바이패스 유로; 및
    상기 바이패스 유로의 내부로 유동하는 상기 물의 유동 여부를 상기 바이패스 유로상에 마련된 바이패스 장치를 통하여 조절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세탁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는,
    상기 제2 연결호스로부터 분기되어 나오며 상기 배수호스에 연결되거나, 상기 배수호스에서 분기되어 나와 상기 제2 연결 호스에 연결되는 바이패스 호스를 포함하며,
    상기 바이패스 장치는 분기되어 나온 상기 바이패스 호스가 상기 제2 연결 호스 또는 상기 배수호스와 연결되는 지점에 마련되며, 상기 바이패스 호스 내부에서의 상기 물의 유동 여부를 조절하는 밸브를 포함하는 세탁기.
  20. 제18항에 있어서,
    터브 내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컨트롤러는 측정된 상기 수위를 기초로 상기 바이패스 장치의 상기 밸브의 개폐여부를 제어하도록 마련되며,
    측정된 상기 수위가 일정시간 변하지 않을 때, 상기 물이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통하여 세탁기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바이패스 장치를 제어하는 세탁기.
KR1020210036901A 2021-03-22 2021-03-22 필터를 포함하는 배수 유로 및 이를 갖는 세탁기 KR20220131771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901A KR20220131771A (ko) 2021-03-22 2021-03-22 필터를 포함하는 배수 유로 및 이를 갖는 세탁기
EP22775919.8A EP4219821A1 (en) 2021-03-22 2022-02-23 Drainage fluid channel including filter and washing machine having same
CN202280007478.XA CN116670351A (zh) 2021-03-22 2022-02-23 包括过滤器的排水流动通道和具有排水流动通道的洗衣机
PCT/KR2022/002675 WO2022203217A1 (ko) 2021-03-22 2022-02-23 필터를 포함하는 배수 유로 및 이를 갖는 세탁기
US17/701,115 US11976401B2 (en) 2021-03-22 2022-03-22 Drainage passage including filter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901A KR20220131771A (ko) 2021-03-22 2021-03-22 필터를 포함하는 배수 유로 및 이를 갖는 세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1771A true KR20220131771A (ko) 2022-09-29

Family

ID=83397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6901A KR20220131771A (ko) 2021-03-22 2021-03-22 필터를 포함하는 배수 유로 및 이를 갖는 세탁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131771A (ko)
WO (1) WO2022203217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45396B2 (ja) * 2007-10-10 2012-06-06 シャープ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JP5836550B2 (ja) * 2011-10-12 2015-12-24 シャープ株式会社 洗濯機
US10329707B2 (en) * 2013-04-09 2019-06-25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pre-filter backwashing
CN103343439A (zh) * 2013-07-10 2013-10-09 合肥荣事达三洋电器股份有限公司 含有循环水过滤系统的洗衣机
CN106149280B (zh) * 2015-03-30 2020-05-05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控制方法及洗衣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03217A1 (ko) 2022-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5334B1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20070007731A (ko) 드럼식 세탁기
KR20220131771A (ko) 필터를 포함하는 배수 유로 및 이를 갖는 세탁기
CN114174582A (zh) 滚筒式洗衣机
EP4219821A1 (en) Drainage fluid channel including filter and washing machine having same
JP2018157958A (ja) 洗濯機
KR20220103280A (ko) 필터장치 및 이를 갖는 세탁기
KR100441095B1 (ko) 드럼세탁기
EP4190964A1 (en) Filter device and washing machine having same
KR100215820B1 (ko) 전자동 세턱기의 실밥 채집장치
EP4357516A1 (en) Washing machine and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JP7032480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2461472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0218970B1 (ko) 세탁기
KR20010073573A (ko) 세탁기용 린터 필터
EP4353896A1 (en) Washing machine and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KR100793764B1 (ko) 세탁기용 이물질 채집장치
JP7470895B2 (ja) 洗濯機
KR20090082957A (ko) 세탁기 및 그 헹굼 제어방법
KR20010019678A (ko) 전자동세탁기의 실밥채집장치
AU3578399A (en) Washing machine
KR100308015B1 (ko) 세탁기의세탁수펌핑방법및그장치
KR100565537B1 (ko) 순환분사식 세탁기
KR100598000B1 (ko) 드럼 세탁기의 드럼 백
KR20240002118A (ko)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