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1413A - 운동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운동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1413A
KR20220131413A KR1020210035113A KR20210035113A KR20220131413A KR 20220131413 A KR20220131413 A KR 20220131413A KR 1020210035113 A KR1020210035113 A KR 1020210035113A KR 20210035113 A KR20210035113 A KR 20210035113A KR 20220131413 A KR20220131413 A KR 20220131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ground support
frame
rotation shaft
exerc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5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1203B1 (ko
Inventor
김은비
Original Assignee
김은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210035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1203B1/ko
Application filed by 김은비 filed Critical 김은비
Priority to CA3180820A priority patent/CA3180820A1/en
Priority to CN202180043491.6A priority patent/CN115697505A/zh
Priority to PCT/KR2021/006706 priority patent/WO2021246728A1/ko
Priority to US17/928,325 priority patent/US20230226405A1/en
Priority to AU2021282825A priority patent/AU2021282825B2/en
Priority to KR1020220013864A priority patent/KR20220162030A/ko
Publication of KR20220131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1413A/ko
Priority to US18/070,717 priority patent/US20230166152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1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1203B1/ko
Priority to US18/213,281 priority patent/US20230381581A1/en
Priority to US18/213,280 priority patent/US2023033048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29Benches specifically adapted f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47B83/02Tables combined with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5/00Furniture convertible into other kinds of furniture
    • A47B85/06Tables convertible otherwi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46Details of the support elements or their connection to the exercising apparatus, e.g. adjustment of size or orie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02Space saving incorporated in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Paper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특징은 운동기구를 구입하는 사람의 입장에서 비용 및 공간을 절약하도록 여러가지 운동기구를 일체로 마련하기 위하여, 다수의 회동축과 아암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아암부 탈부착장치 및 아암연결부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한 가지 기구로 레그익스텐션, 레그컬, 토탈힙, 힙쓰러스트, 이너타이, 스쿼트를 모두 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사용자가 운동을 하지 않을 시에는 책상과 의자로 사용하도록 프레임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운동 방법 및 장치 {Exercse device}
본 발명은 레그프레스(leg press) 또는 토탈 힙(total hip), 레그익스텐션(leg extension), 레그컬(leg curl)과 같은 운동을 한가지 운동기구로 시행하기 위한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인 운동기구인 렉그익스텐션, 레그컬, 토탈힙 등을 운동기구를 구입하는 사람의 입장에서 비용 및 공간을 절약하도록 상기 운동기구를 하나로 구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운동장치는 다수의 회동축과 아암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아암부 탈부착장치 및 아암연결부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한 가지 기구로 레그익스텐션, 레그컬, 토탈힙, 힙쓰러스트, 이너타이, 스쿼트를 모두 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사용자가 운동을 하지 않을 시에는 책상과 의자로 사용하도록 프레임1과 프레임2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퇴근 및 둔근은 우리 몸에 있는 근육의 1/3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서 이 부위의 근육을 늘리면 당뇨병 등의 위험을 줄고 비만을 막으며 중년 이후의 건강을 증진하는데 도움이 된다. 또한, 신체를 미적으로 가꾸고 운동선수의 스포츠 능력 향상에 이바지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대퇴근 및 둔근을 강화하는 운동은 렉그익스텐션, 레그컬, 토탈힙 등으로 분리되어 운동기구를 구입하는 사람의 입장에서 비용 및 공간이 많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를 절약하도록 상기 운동기구를 하나로 구성하도록 하였다. 이에 더하여 운동을 하지 않는 평상시에는 책상과 의자로 사용하도록 프레임을 구성하였다.
일반적으로 대퇴근 및 둔근을 단련하는 운동기구는 힙쓰러스트(hip hrust) ,토탈 힙(total hip), 레그익스텐션(leg extension), 레그컬(leg curl)와 같이 분류된다. 이 운동기구는 아암부와 착석부, 회동축으로 구성된다는 공통점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운동을 모두 할 수 있는 일체의 운동기구를 개발하여 사용자의 비용 및 공간을 줄여주고자 한다.
이에 더하여 사용자가 운동하지 않는 평소에는 책상과 의자로 사용하도록 하고자 하여 Indoor 운동기구의 단점인 공간 차지 부분을 해소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운동기구를 구입하는 사람의 입장에서 비용 및 공간을 절약하도록 상기 운동기구를 일체로 마련하기 위하여, 다수의 회동축과 아암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아암부 탈부착장치 및 아암연결부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한 가지 기구로 레그익스텐션, 레그컬, 토탈힙, 힙쓰러스트, 이너타이, 스쿼트를 모두 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사용자가 운동을 하지 않을 시에는 책상과 의자로 사용하도록 프레임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퇴근 및 둔근을 강화하고자 하는 운동자가 이 사건 출원발명의 운동장치로 대퇴근 및 둔근 강화 운동을 할 경우, 비용 및 공간을 절약하여 상기 근육을 강화하고 장기적으로는 당뇨병 등의 위험을 줄이며 비만을 막고 중년 이후의 건강을 증진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운동을 하지 않는 평소에는 책상과 의자로 사용되어질 수 있어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의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의 설명도로서 아우터타이 또는 쇼울더 래터럴레이즈를 하도록 아암부가 부착된 모습을 도시한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의 설명도로서 우측 하지 킥백을 하도록 아암부가 부착된 모습을 도시한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의 설명도로서 스쿼트를 하도록 아암부가 부착된 모습을 도시한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의 설명도로서 레그익스텐션을 하도록 아암부가 부착된 모습을 도시한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의 아암부, 아암연결체를 도시한 설명도;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의 아암부, 아암연결체가 회동축에 부착된 모습을 도시한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의 아암부, 아암연결체가 회동축에 부착된 모습을 도시한 상태도.
도 1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에 아암탈부착장치가 부착된 모습을 도시한 상태도.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의 구성 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또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레그익스텐션, 레그컬, 토탈힙, 힙쓰러스트, 스쿼트 중에 원하는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아암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아암부 탈부착장치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한 가지 기구로 레그익스텐션, 레그컬, 토탈힙, 힙쓰러스트, 이너타이, 스쿼트를 모두 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사용자가 운동을 하지 않을 시에는 책상과 의자로 사용하도록 프레임을 구성한다. 자세한 구성은 도면에 도시되고 있으며,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설명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는 도 1,2,3,4에 제시된 바와 지면과 평행하게 마련되는 지면지지대1(2)와 상기 지면지지대1과 평행하게 마련되는 수평체1(3), 그리고 상기 지면지지대와 상기 수평체를 연결하는 수직지지대1(4)로 구성되는 프레임1(1)이 제공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프레임1에 연결되는 프레임2(5)가 제공된다. 상기 프레임2(5)는 상기 프레임1의 지면지지대와 연결되는 지면지지대2(6)와, 상기 지면지지대와 수평으로 제공되는 수평체2(7), 그리고 상기 지면지지대2와 상기 수평체2를 연결하는 수직지지대2(8)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평체1과 수평체2는 판 형태로 마련되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는 아암부(9)가 마련되며, 상기 아암부를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회동축(10)이 다수로 마련되며 상기 다수의 회동축에 아암부를 부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암의 일단에는 사각형태(ㅁ)의 홀(hole)이 마련되며, 상기 회동축의 일단이 사각형태(ㅁ)로 마련되고, 상기 회동축의 다른 일단은 탄성체 또는 와이어 등의 저항체가 연결되어, 상기 회동축과 아암이 맞물리면, 상기 아암이 회동하면 이에 연결된 회동축이 회동하고, 저항체도 이에 따라 회동하도록 구성되어진다. 이러한 회동축이 상기 프레임1과 프레임2에 다수로 마련되어 운동자가 선택적으로 이너타이, 레그컬, 레그익스텐션, 힙쓰러스트, 백익스텐션, 암컬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1은 손잡이로 사용되어지고 상기 프레임2는 운동 종목에 따라 착석부로 사용되어질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아암부는 바람직하게는 "ㄱ" 자형태로 제공되며, "T"자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상지 지면지지대1(2)과 지면지지대2(6)은 수평체1과 평행하게 마련될 수도 있고 수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지지대2는 상기 수평체2(7)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마련되어져 사용자가 운동종목에 맞게 수평체2(7)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는, 프레임1과 프레임2가 서로 연결되며 도5,6,7,8,9에 제시된 바와 같이 회동축이 다수로 마련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또한 상기 아암부(9) 일단에 아암 탈부착장치(12)가 마련며 상기 아암탈부착장치는 바람직하게는 "ㅁ" 형태로 제공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운동 종목에 따라 아암의 시작구간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그림9, 10,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암연결체는 "ㅁ" 형태의 홀(hole)이 마련되고 회동축(10) 역시 "ㅁ" 형태로 마련된다. 예를들어 설명하면, 사용자가 레그컬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그림 10과 같이 아암연결체를 회동축의 윗부분으로 오도록 조절하여 부착할 수 있으며 반대로 레그익스텐션을 하고자 할 경우, 그림11에 도시된 바와같이 회동축 아래로 오도록 아암탈부착장치를 부착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운동 종목에 맞게 시작 구간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아암탈부착장치는 "ㅁ" 모양 외에도 "세모" 또는 "스프라켓" 모양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는 아암부를 회동축에 부착하거나 분리시키기에 편리하게 아암연결체(11)를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상기 아암연결체는 볼트와 너트 체결장지 형태로 구성되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가 탈부착하기 편리하도록 그립감이 있는 크기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 프레임1
2 : 지면지지대1
3 : 수평체1
4 : 수직지지대1
5 : 프레임2
6 : 지면지지대2
7 : 수평체2
8 : 수직지지대2
9 : 아암부
10 : 회동축
11 : 아암 탈부착장치
12 : 아암 연결체

Claims (4)

  1. 체력단련용 운동기구에서,
    지면과 평행하게 마련되는 지면지지대1(2)와 상기 지면지지대1과 평행하게 마련되는 수평체1(3), 그리고 상기 지면지지대와 상기 수평체를 연결하는 수직지지대1(4)로 구성되는 프레임1(1) 및;
    상기 프레임1의 지면지지대와 연결되는 지면지지대2(6)와, 상기 지면지지대와 수평으로 제공되는 수평체2(7), 그리고 상기 지면지지대2와 상기 수평체2를 연결하는 수직지지대2(8)로 구성되는 프레임2(5)가 마련되며;
    상기 수평체1과 수평체2는 판 형태로 제공되어;
    평소에는, 상기 프레임1(1)은 테이블로 사용되고 상기 프레임2는 의자로 사용되며,
    상기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복수 또는 다수로 마련되며 일단이 사각형태(ㅁ)의 홀(hole) 또는 돌출 형태로 제공되는 회동축(10);
    상기 회동축에 탁부착가능하도록 마련된 아암부(9):
    상기 아암부의 일단에 사각형태(ㅁ)의 홀(hole) 또는 사각형태의 (ㅁ) 돌출 상태로 마련된 아암탈부착장치(12);
    상기 아암탈부착장치를 상기 회동축에 사용자가 손으로 연결하기에 알맞은 크기로 마련된 아암연결체(11);
    상기 회동축에 연결된 저항체가 마련되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원하는 운동 종목에 맞는 위치에 마련된 회동축(10)의 사각형태(ㅁ)에 상기 아암탈부착장치(12)의 사각형태(ㅁ)의 맞물리는 부위를 조절하여 아암부의 시작구간을 조절한 시작자세에서 신체의 일부를 접촉시키고 회전시켜, 상기 아암부 및 회동축과 연결된 저항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근저항 운동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2. 체력단련용 운동기구에서,
    지면과 평행하게 마련되는 지면지지대1(2)와 상기 지면지지대1과 평행하게 마련되는 수평체1(3), 그리고 상기 지면지지대와 상기 수평체를 연결하는 수직지지대1(4)로 구성되는 프레임1(1) 및;
    상기 프레임1의 지면지지대와 연결되는 지면지지대2(6)와, 상기 지면지지대와 수평으로 제공되는 수평체2(7), 그리고 상기 지면지지대2와 상기 수평체2를 연결하는 수직지지대2(8)로 구성되는 프레임2이 마련되며;
    상기 수평체1과 수평체2는 판 형태로 제공되어;
    평소에는, 상기 프레임1(1)은 테이블로 사용되고 상기 프레임2는 의자로 사용되며,
    상기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된 다수의 회동축(10);
    상기 회동축에 탁부착가능하도록 마련된 아암부(9):
    상기 아암부의 일단에 마련된 아암탈부착장치(12);
    상기 아암부를 상기 회동축에 사용자가 손으로 연결하기에 알맞은 크기로 마련된 아암연결체(11);
    상기 회동축에 연결된 저항체가 마련되어,
    운동시에는,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원하는 운동 종목에 맞는 위치에 부착되어있는 회동축(10)에 상기 아암부(9) 및 아암탈부착장치(11), 아암연결체(12)를 연결하여 신체의 일부를 접촉시키고 회전시켜, 상기 아암부 및 회동축과 연결된 저항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근저항 운동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3. 체력단련용 운동기구에서,
    지면과 평행하게 마련되는 지면지지대1(2)와 상기 지면지지대1과 평행하게 마련되는 수평체1(3), 그리고 상기 지면지지대와 상기 수평체를 연결하는 수직지지대1(4)로 구성되는 프레임1(1) 및;
    상기 프레임1의 지면지지대와 연결되는 지면지지대2(6)와, 상기 지면지지대와 수평으로 제공되는 수평체2(7), 그리고 상기 지면지지대2와 상기 수평체2를 연결하는 수직지지대2(8)로 구성되는 프레임2(5);
    상기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복수 또는 다수로 마련되며 일단이 사각형태(ㅁ)의 홀(hole) 또는 돌출 형태로 제공되는 회동축(10);
    상기 회동축에 탁부착가능하도록 마련된 아암부(9):
    상기 아암부의 일단에 사각형태(ㅁ)의 홀(hole) 또는 돌출 형태로 상태로 마련되는 아암탈부착장치(12);
    상기 아암부를 상기 회동축에 사용자가 손으로 연결하기에 알맞은 크기로 마련된 아암연결체(11);
    상기 회동축에 연결된 저항체가 마련되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원하는 운동 종목에 맞는 위치에 있는 회동축(10)에 상기 아암부를 연결하며, 상기 아암탈부착장치(12)의 사각형태(ㅁ)의 홀과 사각형태(ㅁ)의 회동축의 맞물리는 부위를 조절하여 아암부의 시작구간을 조절한 시작자세에서 신체의 일부를 접촉시키고 회전시켜, 상기 아암부 및 회동축과 연결된 저항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근저항 운동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4. 체력단련용 운동기구에서,
    지면과 평행하게 마련되는 지면지지대1(2)와 상기 지면지지대1과 평행하게 마련되는 수평체1(3), 그리고 상기 지면지지대와 상기 수평체를 연결하는 수직지지대1(4)로 구성되는 프레임1(1) 및;
    상기 프레임1의 지면지지대와 연결되는 지면지지대2(6)와, 상기 지면지지대와 수평으로 제공되는 수평체2(7), 그리고 상기 지면지지대2와 상기 수평체2를 연결하는 수직지지대2(8)로 구성되는 프레임2이 마련되며;
    상기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된 다수의 회동축(10);
    상기 회동축에 탁부착가능하도록 마련된 아암부(9):
    상기 아암부의 일단에 마련된 아암탈부착장치(12);
    상기 아암부를 상기 회동축에 사용자가 손으로 연결하기에 알맞은 크기로 마련된 아암연결체(11);
    상기 회동축에 연결된 저항체가 마련되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원하는 운동 종목에 맞는 위치에 부착되어있는 회동축(10)에 상기 아암부(9) 및 아암탈부착장치(11), 아암연결체(12)를 연결하여 신체의 일부를 접촉시키고 회전시켜, 상기 아암부 및 회동축과 연결된 저항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근저항 운동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체력단련용 운동기구에서,
    지면과 평행하게 마련되는 지면지지대1(2)와 상기 지면지지대1과 평행하게 마련되는 수평체1(3), 그리고 상기 지면지지대와 상기 수평체를 연결하는 수직지지대1(4)로 구성되는 프레임1(1) 및;
    상기 프레임1의 지면지지대와 연결되는 지면지지대2(6)와, 상기 지면지지대와 수평으로 제공되는 수평체2(7), 그리고 상기 지면지지대2와 상기 수평체2를 연결하는 수직지지대2(8)로 구성되는 프레임2이 마련되며;
    상기 수평체1과 수평체2는 판 형태로 제공되어;
    평소에는, 상기 프레임1(1)은 테이블로 사용되고 상기 프레임2는 의자로 사용되며,
    상기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된 다수의 회동축(10);
    상기 회동축에 탁부착가능하도록 마련된 아암부(9):
    상기 아암부의 일단에 마련된 아암탈부착장치(12);
    상기 아암부를 상기 회동축에 사용자가 손으로 연결하기에 알맞은 크기로 마련된 아암연결체(11);
    상기 회동축에 연결된 저항체가 마련되어,
    운동시에는,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원하는 운동 종목에 맞는 위치에 부착되어있는 회동축(10)에 상기 아암부(9) 및 아암탈부착장치(11), 아암연결체(12)를 연결하여 신체의 일부를 접촉시키고 회전시켜, 상기 아암부 및 회동축과 연결된 저항체를 이용하여 근저항 운동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KR1020210035113A 2019-02-14 2021-03-18 운동 방법 및 장치 KR102531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113A KR102531203B1 (ko) 2021-03-18 2021-03-18 운동 방법 및 장치
CN202180043491.6A CN115697505A (zh) 2020-06-01 2021-05-29 运动方法及装置
PCT/KR2021/006706 WO2021246728A1 (ko) 2020-06-01 2021-05-29 운동 방법 및 장치
US17/928,325 US20230226405A1 (en) 2020-06-01 2021-05-29 Leg and hip exercise device
CA3180820A CA3180820A1 (en) 2020-06-01 2021-05-29 Exercise method and device
AU2021282825A AU2021282825B2 (en) 2020-06-01 2021-05-29 Exercise method and apparatus
KR1020220013864A KR20220162030A (ko) 2020-01-07 2022-02-02 하체 운동장치용 기어박스 및 이를 구비한 하체 운동장치
US18/070,717 US20230166152A1 (en) 2019-02-14 2022-11-29 Leg and hip exercise device
US18/213,281 US20230381581A1 (en) 2020-06-01 2023-06-23 Exercise method and device
US18/213,280 US20230330482A1 (en) 2020-06-01 2023-06-23 Exercise method and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113A KR102531203B1 (ko) 2021-03-18 2021-03-18 운동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1413A true KR20220131413A (ko) 2022-09-28
KR102531203B1 KR102531203B1 (ko) 2023-05-10

Family

ID=83461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5113A KR102531203B1 (ko) 2019-02-14 2021-03-18 운동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120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0585A (ko) * 2017-08-21 2019-03-04 이준구 헬스기구겸용 데스크체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0585A (ko) * 2017-08-21 2019-03-04 이준구 헬스기구겸용 데스크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1203B1 (ko) 2023-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87532B2 (en) Body coach
JP4630877B2 (ja) エクササイズ抵抗ケーブルを使用するエクササイズ・システム
US7585263B2 (en) Abdominal exercise machine
US8210998B2 (en) Abdominal exercise device
US6217483B1 (en) Exercise apparatus adjustment mechanism
US20030078142A1 (en) Aerobic exercise apparatus
US5279533A (en) Swivel platform with detachable backrest and resilient exercise cords
US20070298945A1 (en) Rotating exerciser system and methods
US4679788A (en) Exercise device
US20100279833A1 (en) Push-up exercise apparatus
WO2006110727A3 (en) Exercise ball mounted for rotation
US9750970B2 (en) Hand held exercise device
US6827676B2 (en) Multifunctional physical training machine
US2017023229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ercising abdominal muscles
US20180318633A1 (en) Weight lifting bar, method of manufacture, and method of use
US9782619B2 (en) Muscles and bones stretching health device
CN202844485U (zh) 多功能拉筋健身器
US20060183604A1 (en) Twist machine for whole body exercise
US20100056347A1 (en) Abdominal Exercise Apparatus
US8727956B2 (en) Waist and hip developer
KR20190141099A (ko) 다리와 힙을 운동시키는 방법 및 장치
CN206949933U (zh) 一种健身椅
KR20220131413A (ko) 운동 방법 및 장치
US20190374806A1 (en) Facilitated stretching machine
US20140087931A1 (en) Waist and hip develop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