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0691A - 디지털 계획에 따라 임플란트의 깊이 및 회전을 동시에 제어하는 임플란트 드라이버 - Google Patents

디지털 계획에 따라 임플란트의 깊이 및 회전을 동시에 제어하는 임플란트 드라이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0691A
KR20220130691A KR1020227024575A KR20227024575A KR20220130691A KR 20220130691 A KR20220130691 A KR 20220130691A KR 1020227024575 A KR1020227024575 A KR 1020227024575A KR 20227024575 A KR20227024575 A KR 20227024575A KR 20220130691 A KR20220130691 A KR 20220130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driver
indicia
thread
implant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4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보우터 폴스포엘
바르트 클라에스
Original Assignee
덴츠플리 임플란츠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덴츠플리 임플란츠 엔.브이. filed Critical 덴츠플리 임플란츠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220130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06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2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 A61C1/084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of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5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simulation or modelling of medical disor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rgery (AREA)
  • Robo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디지털 가상 계획된 임플란트 및 환자의 턱의 임플란트 위치에 따라 임플란트를 배치하기 위한 임플란트 드라이버 조립체로서, 상기 임플란트 드라이버 조립체는, 적어도 임플란트 드라이버 및 적어도 수술용 템플릿(surgical template)을 포함하고, 여기서 임플란트 드라이버는, 하나 이상의 제1 표식을 가지며, 그리고 수술용 템플릿과 정렬되도록 구성되고, 수술용 템플릿은, 안내 요소를 구비하며 그리고 하나 이상의 제2 표식을 가짐으로써, 임플란트에 연결될 때 임플란트 드라이버 상의 하나 이상의 제1 표식과 수술용 템플릿 상의 하나 이상의 제2 표식의 정렬이, 임플란트가 턱뼈에 삽입되고 있을 때 임플란트의 나선형 운동을 한정하도록 하고, 임플란트 드라이버 및 수술용 템플릿은 또한, 디지털 가상 계획된 임플란트 위치에 의해 한정되는 임플란트 드라이버의 회전 또는 회전 대칭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1 표식 중 적어도 하나 및 하나 이상의 제2 표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그로 인해 안내 요소는 매끄러운 보어를 갖는 부싱(bushing)이고; 여기서 하나 이상의 제1 표식은, 임플란트 드라이버의 외부 표면 내의 또는 외부 표면 상의 나사산을 포함하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제2 표식은, 임플란트 드라이버의 외부 표면 내에 또는 외부 표면 상에 있는 상기 나사산을 추종하기 위한 나사산 추종자(thread follower)를 포함하고; 여기서 나사산 추종자는, 수술용 템플릿의 안내 요소로부터 제거 가능하거나 또는 후퇴 가능한, 하나 이상의 핀을 포함하는 것인, 임플란트 드라이버 조립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디지털 계획에 따라 임플란트의 깊이 및 회전을 동시에 제어하는 임플란트 드라이버
본 발명은, 환자의 구강에 임플란트를 배치하기 위한 그리고 환자의 구강에 임플란트를 배치하기에 적합한 도구를 준비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치과용 임플란트를 미리 결정된 위치에 배치하기 위해, 환자 고유의(patient-specific) 수술용 템플릿(surgical template)과 조합하여 임플란트 드라이버(implant drivers)를 사용하는 것은, 치과용 임플란트 치료에서 일반적인 방법이다. 그러나, 현재, 시장에는 수직 위치 및 종축에 대한 회전을 동시에 제어하면서 미리 결정된 가상 계획된 위치에 임플란트를 배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가이드 수술 도구 키트는, 없다. 대부분의 상용화된 가이드 수술 시스템에서, 임플란트는, 미리 결정된 가상 계획된 수직 위치에 배치되거나, 또는 미리 결정된 가상 계획된 회전 위치에 배치되지만, 양자 모두는 불가능하다. 그 이유는, 현재 상용화된 가이드 수술 도구는, 임플란트가 미리 정해진 가상 계획된 나선형 경로를 따르도록 강제하지 않기 때문이다. 현재 상용화된 시스템으로 임플란트를 배치하는 동안 임플란트가 추종하는 나선형 경로는, 그 나사산이 뼈에 '잡혀 있는(grabs)' 순간의 임플란트의 위치 및 임플란트의 나사산 설계에 의해 결정된다. 현재 상용화되지 않은 참조된 선행 기술은, 임플란트의 최종 위치의 반복 가능한 깊이 및 회전으로 이어지는 임플란트의 나선형 제어 배치를 허용하지만, 그러나 나선형이 가상 계획된 방식으로 미리 한정되지는 않은 임플란트 드라이버를 설명한다.
WO 2010/125593은 임플란트 삽입 지점에 대응하고 임플란트의 삽입 배향을 제어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구멍 또는 슬리브가 제공된 수술 가이드를 사용하는 유형의 가이드 치과용 임플란트 위치 결정 시스템을 개시하고, 절골 시트로 삽입이 시작될 때 각 임플란트의 자체 축 주위로의 회전 각도의 설정을 통해, 각각의 임플란트의 위치, 최종 삽입 깊이, 삽입 축 방향 및 상기 축 주위의 회전 각도를 동시에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절골 시트의 구현의 깊이 및 축 방향을 동시에 제어하는 수단이 또한 개시된다.
EP 2153797은 위치 결정 지그(positioning jig)로 제작된 부속품 - 여기서 상기 부속품에는 상기 임플란트(7)에 나사 고정될 수 있는 스크류(22)를 위한 통로(25)가 제공되며, 이러한 통로(25) 및 상기 수반되는 스크류(22)는 스크류(22)가 조여질 때 이들이 특정 위치로 강제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짐 - , 및 컴퓨터 계획의 기능으로 드릴 지그(6)에 제공되는, 드릴을 위한 하나 또는 여러 개의 덕트(9)가 형성되는 드릴 지그(6) 형태의 부속품을 개시한다.
WO 2007/129955는 환자의 뼈 조직에 치과용 임플란트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장치는 관형 장착 가이드 상의 인터로크(interlock) 부분과 맞물릴 수 있는 인터로크 부분을 갖는 내부 나사형 가이드 슬리브를 포함한다. 홀더는 가이드 슬리브의 나사산에 상보적인 스크류를 포함한다. 홀더는 홀더의 한쪽 단부에 임플란트를 고정하도록 배열된다. 관형 장착 가이드는 수술용 템플릿의 구멍에 배치되고, 원하는 각도 위치에서 구멍에 접합된다. 템플릿은 환자의 구강에 위치된다. 템플릿의 구멍을 통해, 뼈 내로 구멍이 드릴링된다. 치과용 임플란트는 홀더에 고정되고, 각각의 인터로크 부분들이 인터로킹되도록 가이드 슬리브가 템플릿의 구멍에 배치된다. 홀더는 임플란트가 뼈에 나사 고정될 때까지 가이드 슬리브를 통해 나사 고정된다. 본 출원은 또한 수술용 템플릿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수술용 템플릿 및/또는 도구 세트의 설계뿐만 아니라 이러한 템플릿 또는 이들 도구를 생성하고 사용하여 미리 결정된 가상 계획된 위치에 해당하는 위치에 치과용 임플란트를 배치하는 방법을 또한 제공한다. 이 위치는 환자 턱의 디지털 임상 데이터를 기준으로 가상 임플란트 위치를 디지털 방식으로 계획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턱의 임플란트 위치를 실제로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목적은, 환자의 턱에 설치될 때 각 임플란트의 위치, 최종 삽입 깊이, 및 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각도를 동시에 제어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목적은, 임플란트 드라이버로 임플란트를 배치할 수 있도록 하고, 올바른 수직 위치(즉, 턱의 올바른 삽입 깊이)에 도달한 후, 임플란트 드라이버를 더 이상 나사로 조이면 턱뼈가 손상되지 않아야 한다는 표식이 존재하는 것이다. 대신에, 임플란트 및 드라이버는, 올바른 수직 위치에 도달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올바른 회전 위치에도 도달하여, 이에 의해 더 이상의 수직 이동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이것은 턱뼈의 손상 가능성을 방지한다. 시스템의 부품들은, 외과적으로 임플란트의 올바른 위치를 달성하기 위해 협력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논리적 종속성의 선택적 특징과 함께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임플란트 드라이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1. 디지털 가상 계획된 임플란트 및 환자의 턱의 임플란트 위치에 따라 임플란트를 배치하기 위한 임플란트 드라이버 조립체로서,
상기 임플란트 드라이버 조립체는, 적어도 임플란트 드라이버 및 적어도 수술용 템플릿을 포함하고, 여기서 임플란트 드라이버는, 하나 이상의 제1 표식(markers)을 가지며, 그리고 수술용 템플릿과 정렬되도록 구성되고, 수술용 템플릿은, 안내 요소를 구비하며 그리고 하나 이상의 제2 표식을 가짐으로써, 임플란트에 연결될 때 임플란트 드라이버 상의 하나 이상의 제1 표식과 수술용 템플릿 상의 하나 이상의 제2 표식의 정렬이, 임플란트가 턱뼈에 삽입되고 있을 때 임플란트의 나선형 운동을 한정하도록 하고, 임플란트 드라이버 및 수술용 템플릿은 또한, 디지털 가상 계획된 임플란트 위치에 의해 한정되는 임플란트 드라이버의 회전 또는 회전 대칭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1 표식 중 적어도 하나 및 하나 이상의 제2 표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그로 인해 안내 요소는 매끄러운 보어를 갖는 부싱(bushing)이고; 여기서 하나 이상의 제1 표식은, 임플란트 드라이버의 외부 표면 내의 또는 외부 표면 상의 나사산을 포함하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제2 표식은, 임플란트 드라이버의 외부 표면 내에 또는 외부 표면 상에 있는 상기 나사산을 추종하기 위한 나사산 추종자(thread follower)를 포함하고; 여기서 나사산 추종자는, 수술용 템플릿의 안내 요소로부터 제거 가능하거나 또는 후퇴 가능한, 하나 이상의 핀을 포함하는 것인, 임플란트 드라이버 조립체.
2. 항목 1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제1 표식 중 적어도 하나 및 하나 이상의 제2 표식 중 적어도 하나는, 임플란트 드라이버의 최종 수직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것인, 임플란트 드라이버 조립체.
3. 항목 1 또는 2에 있어서, 디지털 가상 계획된 임플란트 및/또는 환자의 턱의 임플란트 위치는, 신호 저장 장치에 저장되는 것인, 임플란트 드라이버 조립체.
4. 임의의 이전 항목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제1 표식 중 하나는, 분산형 표식(distributed marker)인 것인, 임플란트 드라이버 조립체.
5. 임의의 이전 항목에 있어서, 상기 나사산은, 나사산 시작부 및 나사산 입구를 갖는 것인, 임플란트 드라이버 조립체.
6. 임의의 이전 항목에 있어서, 임플란트 드라이버는, 상기 나사산 추종자가 상기 나사산으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도록, 일 단부에서 좁아지는 것인, 임플란트 드라이버 조립체.
7. 이전 항목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임플란트 드라이버는, 매끄러운 보어를 갖는 부싱을 통과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임플란트 드라이버.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논리적 의존성의 선택적 특징과 함께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임플란트 드라이버 상의 제1 표식 및 수술용 템플릿의 안내 요소 상의 제2 표식의 허용된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8. 임플란트 드라이버 상의 제1 표식 및 수술용 템플릿의 안내 요소 상의 제2 표식의 허용된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수술용 템플릿을 제조하기 전에 환자의 디지털 임상 데이터를 기준으로 가상으로 임플란트의 회전 위치를 계획하는 단계,
임플란트 드라이버가 회전 위치로 이동되도록, 안내 요소 상의 제2 표식과 임플란트 드라이버 상의 제1 표식의 협력이 임플란트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환자의 턱에 임플란트를 배치할 수 있게 하는 방식으로 수술용 템플릿의 안내 요소 상에 제2 표식을 위치시키는 단계로서, 안내 요소는 임플란트 드라이버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매끄러운 보어를 갖는 것인,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9. 항목 10에 있어서, 안내 요소 상의 제2 표식과 임플란트 드라이버 상의 제1 표식의 협력은, 수술용 템플릿을 제작하기 전에, 임플란트 드라이버가 환자의 디지털 임상 데이터를 기준으로 가상 계획된 환자의 턱의 임플란트의 수직 위치로 이동되도록, 임플란트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환자의 턱에 임플란트를 배치할 수 있게 하는 것인, 방법.
10. 항목 10 또는 11에 있어서, 디지털 가상 계획된 임플란트 및/또는 환자의 턱의 임플란트 위치는, 신호 저장 장치에 저장되는 것인, 방법.
11. 항목 10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및/또는 제2 표식은, 분산형 표식인 것인, 방법.
12. 항목 11에 있어서, 제2 표식은, 임플란트 드라이버의 외부 표면 내의 또는 외부 표면 상의 나사산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3. 항목 12에 있어서, 상기 나사산은, 나사산 시작부 및 나사산 입구를 갖는 것인, 방법.
14. 항목 12 또는 13에 있어서, 제1 표식은, 추종하도록 하기 위한 나사산 추종자를 포함하며, 그리고 제1 표식은, 임플란트 드라이버의 외부 표면 내의 또는 외부 표면 상의 나사산인 것인, 방법.
15. 항목 14에 있어서, 나사산 추종자는, 수술용 템플릿의 안내 요소로부터 제거 가능하거나 또는 후퇴 가능한, 하나 이상의 핀인 것인, 방법.
16. 항목 13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임플란트 드라이버는, 나사산 추종자가 상기 나사산으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도록, 일 단부에서 좁아지는 것인, 방법.
17. 항목 8 내지 1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안내 요소는, 부싱인 것인, 방법.
18. 항목 17에 있어서, 부싱은 매끄러운 보어를 갖는 것인, 방법.
19. 항목 18에 있어서, 임플란트 드라이버는, 매끄러운 보어를 갖는 부싱을 통과하는 것인, 방법.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논리적 의존성의 선택적 특징과 함께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치과용 핸드피스의 설정에서 프로그래밍을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20. 치과용 핸드피스의 설정에서, 환자의 턱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미리 결정된 위치에 임플란트를 배치하기 위해 요구되는 회전을 프로그래밍하는 방법으로서:
나선을 한정하는 하나 이상의 제1 표식을 포함하는 임플란트 드라이버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나선의 종축은 임플란트 드라이버의 종축과 일치하며,
나선의 피치는 임플란트 드라이버가 양립할 수 있는 임플란트의 나사산의 피치와 일치하고,
임플란트 드라이버 상의 하나 이상의 제1 표식은, 임플란트 드라이버의 미리 한정된 초기 위치를 확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수술용 템플릿 상의 하나 이상의 제2 표식과의 정렬을 용이하게 하고, 수술용 템플릿은, 임플란트 드라이버가 통과하는 매끄러운 보어를 갖는 부싱인, 방법.
21. 항목 20에 있어서, 나사산 입구 및 나사산 시작부가, 임플란트 드라이버의 미리 한정된 초기 위치를 확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인, 방법.
22. 항목 21에 있어서, 환자의 턱에 대한 임플란트 위치는, 환자로부터 획득된 디지털 임상 데이터로부터 결정되는 것인, 방법.
23. 항목 22에 있어서, 가상 임플란트 위치 및 임플란트 드라이버를 기초로 하여, 가상 나선형 경로는, 가상 계획된 임플란트에 연결될 때, 가상 최종 위치에서 임플란트 드라이버의 하나 이상의 제1 표식의 위치에 의해 한정되는 것인, 방법.
24. 항목 23에 있어서, 가상 계획된 임플란트 위치에 가상으로 연결된 임플란트 드라이버 상의 나사산 시작부의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25. 항목 23 또는 24에 있어서, 나선형 경로는, 홈이며, 그리고 수술용 템플릿에 위치되며 그리고 나선을 추종하는 나사산 추종자/안내 핀의 위치가, 선택되는 것인, 방법.
26. 항목 21 내지 2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나사산 시작부의 초기 위치를 나선형 경로를 추종하는 나사산 시작부의 최종 위치로 이동시키는 데 필요한 극 회전을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27. 항목 26에 있어서,
Figure pct00001
를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α는 극 회전이고, h는 나사산 시작부의 초기 위치와 나사산 시작부의 최종 위치 사이의 가상 계획된 임플란트의 종축을 따라 측정되는 수직 높이인 것인, 방법.
28. 항목 27에 있어서, 나사산 시작부가 초기 위치로 이동된 후에 이 회전이 임플란트 드라이버에 적용될 수 있도록 극 회전(α)을 치과용 핸드피스 시스템에 프로그래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논리적 의존성의 선택적 특징과 함께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환자의 턱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미리 결정된 위치에 임플란트를 배치하기 위해 수술용 템플릿을 설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29. 환자의 턱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미리 결정된 위치에 임플란트를 배치하기 위해 수술용 템플릿을 설정하는 방법으로서,
수술 도구의 미리 결정된 세트가 수술용 템플릿의 부분인 안내 요소에 의해 안내될 수 있도록 수술용 템플릿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수술용 템플릿은, 수술 전에 계획된 임플란트의 가상 위치에 따라 위치 결정되는 절골부를 생성하는 데 사용하도록 구성되고, 이로써 환자로부터 획득된 디지털 임상 데이터를 기준으로 가상 임플란트 위치가 계획되며, 여기서 수술용 템플릿의 안내 요소는 부싱이며, 부싱은 매끄러운 보어를 갖고, 부싱은, 후퇴 가능한 또는 매립된 나사산 추종자를 포함하여, 나사산 추종자가 임플란트 드라이버 상의 나선형 홈을 따르도록 하는 것인, 수술용 템플릿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30. 항목 29에 있어서, 나사산 추종자는, 후퇴 가능한 핀/스크류 또는 매립된 핀의 정점을 갖는 것인, 방법.
31. 항목 29 또는 30에 있어서, 임플란트 드라이버(2)는, 수술용 템플릿의 안내 요소 내로 이동되기에 적합한 임플란트에 연결되거나 또는 연결될 수 있는 것인, 방법.
32. 항목 30 또는 31에 있어서, 임플란트 드라이버 상의 나사산 입구가 핀/스크류의 정점과 정렬되고, 임플란트 드라이버는, 나사산 시작부가 핀/스크류의 정점과 일치할 때까지 매끄러운 보어를 갖는 부싱 내로 이동되는 것인, 방법.
33. 항목 32에 있어서, 조립체의 임플란트 드라이버 및 임플란트는, 핀/스크류의 정점이 임플란트 드라이버의 나사산을 추종하기 때문에 임플란트 드라이버의 나사산 및 부싱의 나사산 추종자에 의해 강제되는 나선형 운동에서, 아래로 이동되는 것인, 방법.
34. 항목 33에 있어서, 이동은, 나사산 시작부 및 임플란트 드라이버/임플란트 조립체가 최종 위치로 이동될 때까지 계속되는 것인, 방법.
36. 항목 34에 있어서, 최종 위치는, 임플란트 드라이버 상의 제1 최종 위치 표식들을 수술용 템플릿 상의 제2 최종 위치 표식들과 정렬함으로써 표시되는 것인, 방법.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부품들의 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신호 저장 장치에 저장된 디지털 가상 계획된 임플란트, 하나 이상의 제1 표식을 갖는 임플란트 드라이버, 배치될 임플란트, 및 하나 이상의 제2 표식을 포함하는 수술용 템플릿의 안내 요소를 포함하여, 임플란트에 연결될 때 임플란트 드라이버 상의 하나 이상의 제1 표식과 수술용 템플릿 상의 하나 이상의 제2 표식의 정렬이, 임플란트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턱뼈에 삽입될 때 임플란트의 나선형 운동을 한정하도록 하고, 임플란트 드라이버 및 수술용 템플릿은 또한, 임플란트 드라이버의 최종 수직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1 표식 중 적어도 하나 및 하나 이상의 제2 표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임플란트 드라이버의 최종 수직 위치는, 임플란트가, 배치될 때, 디지털 가상 계획된 임플란트에 한정된 것과 동일한 수직 및 회전 또는 회전 대칭 위치에 있도록 하는 것인, 부품들의 키트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 드라이버 상의 그리고 수술용 템플릿 상의, 특히 부싱 또는 부싱 내의 슬리브와 같은 안내 요소 상의 표식들의 조합된 그리고 미리 결정된 위치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러한 표식들이 정렬될 때, 임플란트를 회전 또는 회전 대칭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로 가져올 수 있는 임플란트 드라이버의 나선형 삽입 경로를 한정할 수 있다. 이것은 미리 결정된 가상 계획된 임플란트 위치와 관련될 수 있다. 회전 대칭 위치에 추가하여, 선택적으로 임플란트의 수직 위치 또는 깊이도 또한 얻어질 수 있다. 안내 요소는 매끄러운 보어를 갖는 부싱과 같은 매끄러운 보어 또는 예를 들어 나사산 없이 매끄러운 내부 표면을 갖는 부싱 내부의 매끄러운 보어 슬리브를 가질 수 있다. 슬리브는 부싱 내부에 장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슬리브는 매끄러운 보어를 갖지만, 이 경우 부싱은 매끄러운 내부 표면을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부싱과 같은 수술용 템플릿 상의 안내 요소의 보어는, 보어에 들어가고 안내 요소 상의 제2 표식으로서 사용되는, 하나, 2개, 3개, 4개 또는 최대 5개의 핀 또는 스크류를 가질 수 있다. 핀 또는 스크류는, 다루기 쉬울 수 있거나 또는 부싱과 같은 안내 요소에 매립될 수 있다. 핀 또는 스크류는, 나사산 추종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이점들을 갖는다:
(i) 수술 가이드에서 부싱 또는 부싱 내의 슬리브의 매끄러운 보어와 같은 수술 가이드의 안내 요소의 내부 표면 상에 내부 나사산이 필요하지 않다.
(ii) 임플란트가 배치된 후 임플란트 드라이버를 더 쉽게 회수할 수 있고,
(iii) 해당 도구를 손상시킬 위험 없이 부싱을 통해 다른 도구를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하며, 그리고
(iv) 치과용 핸드피스의 수술 계획 및 잠재적 프로그래밍에 직접 통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임플란트 드라이버에는 환자의 턱에 배치될 임플란트 또는 임플란트의 세트가 제공되며, 임플란트 드라이버의 외부 표면은, 회전 표식을 갖는다. 선택적으로, 환자의 턱에서의 임플란트의 삽입 깊이에 대한 깊이 표식이 있을 수 있다. 회전 표식은, 예를 들어 나선의 형태로 임플란트 드라이버의 표면에 걸쳐 분산될 수 있다. 분산된 회전 표식을 사용하면 치과 의사나 치과 외과의사가 언제든지 그 중 적어도 일부를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분산형 표식은, 유색 밴드들(colored bands), 선, 점들의 선 또는 점들 및 대시들(dashes)과 같은, 구분적인 선형 표식과 같은, 다양한 표식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표식은, 인쇄, 페인팅, 밀링(milling), 레이저 절제(laser ablation), 조각, 에칭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프로세스에 의해, 임플란트 드라이버 내에 또는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표식은, 임플란트 드라이버의 표면 내로 들어가고, 스크래칭되고, 밀링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이것은 나사산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슬리브를 갖는 부싱과 같은, 안내 요소 상의 표식에 대한 임플란트 드라이버 상의 표식의 위치는, 임플란트 드라이버의 설계 사양, 수술용 템플릿의 설계 사양, 및 가상 계획된 임플란트의 위치에 의해 결정된다. 후자는 환자에 고유한 것이므로, 따라서, 표식의 위치의 환자 고유의 특징을 결정한다.
임플란트 깊이 표식은, 국부화된 표식 요소,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선, 점들의 선과 같은 구분적인 선형 표식, 하나 이상의 국부화된 조각, 하나 이상의 국부화된 에칭, 하나 이상의 국부화된 인쇄 또는 페인팅, 하나 이상의 국부화된 밀링, 또는 비슷한 것들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설계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임플란트 드라이버 상의 표식은, 바람직하게는, 임플란트가 최종의 정확한 회전 및 깊이 위치에 있을 때 수술용 템플릿 상의, 예를 들어, 부싱과 같은 안내 요소 상의 적어도 하나의 표식과 정렬된다. 임플란트 드라이버 상의 제1 표식 및 템플릿의 안내 요소 상의 제2 표식은, 나선형 운동을 한정한다. 제1 및 제2 표식은, 회전 시작 및 종료 지점, 그리고 예를 들어 그 사이의 모든 지점들을 한정하도록 서로 상호 작용하거나, 서로 협력하거나, 또는 서로 협력할 수 있다.
수직 정지 위치가, 임플란트 드라이버 상의 제1 표식과 부싱과 같은 안내 요소 상의 제2 표식 사이에 협력이 있는 것을 반드시 필요로 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그 길이를 따라 특정 위치에서 정지하는 나사산을 갖는 임플란트 드라이버를 제공한다. 이것은 수술용 템플릿 상의 제2 표식에 대한 필요 없이 임플란트의 최종 수직 위치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수술용 템플릿의 부싱 상의 표식은, 환자 고유의 위치에 하나 이상의 후퇴 가능한 또는 매립된 나사산 추종자를 포함할 수 있다. 나사산 추종자는, 예를 들어 또한 나사산 또는 나선형 홈인, 임플란트 드라이버 상의 회전 표식과 협력한다. 나사산은, 임플란트 드라이버의 표면 내에 또는 표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부싱과 같은 안내 요소에 대한 나사산 추종자의 위치는, 임플란트 드라이버의 설계 사양, 부싱과 같은 안내 요소의 설계 사양, 및 가상 계획된 임플란트의 위치에 의해 결정된다. 후자는 환자에 고유한 것이므로, 따라서, 나사산 추종자의 위치의 환자 고유의 특성을 결정한다. 나사산 추종자는, 임플란트 드라이버 상의 회전 표식, 예를 들어 임플란트 드라이버 나사산과의 정렬을 용이하게 하거나 또는 심지어 강요할 수 있는 표식이다. 나사산 추종자가 임플란트 드라이버 상의 나사산에 삽입되거나 또는 임플란트 드라이버 상의 나사산이 임플란트 드라이버 상의 나사산 추종자에 삽입됨에 따라, 수술용 템플릿에 대한 임플란트 드라이버의 이동은, 임플란트 드라이버의 나사산 내에 또는 나사산 상에 삽입되는 나사산 추종자의 슬라이딩 이동 및 나사산 추종자의 위치에 의해 제어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임플란트 드라이버의 나사산은, 임플란트의 나사산에 대응할 수 있는데, 즉, 나사산의 동일한 피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임플란트 드라이버는, 예를 들어 회전적으로 및/또는 수직적으로 임플란트 드라이버의 정확한 최종 위치를 나타내는 표식을 포함할 수도 있다. 임플란트가 이러한 특정 최종 위치에 임플란트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배치되면, 임플란트는, 가상 계획된 임플란트에 대해 한정된 것과 동일한 수직 및 회전 또는 회전 대칭 위치에 도달한다. 이러한 이유로, 이러한 위치를 최종 위치라고 한다. 임플란트 연결부는 x-중 회전 대칭을 갖는데, 예를 들어, 임플란트 연결부가 육각형 형상을 가질 때 6-중 대칭을 갖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수직축을 중심으로 한 최종 임플란트 회전 위치가 가상 계획된 회전 위치의 배수인 것이 허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육각형 연결의 경우, 최종 임플란트는, 종축을 중심으로 한 가상 계획된 회전 배향에 대해 60°, 120°, ... 와 같은 각도만큼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임플란트 드라이버 및 부싱 설계는, 유사한 또는 동일한 결과를 얻도록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플란트 드라이버 상에 나사산 추종자가 있고, 부싱 상에 나사산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임플란트가 미리 결정된 가상 계획된 위치에 따라 배치될 수 있도록, 환자 고유의 표식을 갖는 수술용 템플릿 및/또는 표식을 갖는 임플란트 드라이버를 설계, 및/또는 제조, 및/또는 사용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특정 수학적 계산은, 표식 위치를 결정하는 한 가지 방법으로 제시된다. 수학적 계산을 사용하지 않는 표식 위치를 결정하는 다른 방법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가상 계획된 임플란트 위치와 매칭되는 임플란트의 최종 위치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임플란트 드라이버 턴(turns) 또는 회전의 수를 결정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이 수는 그 후 임플란트 드라이버에서 구동을 위해 사용되는 전동 핸드피스에 프로그래밍될 수 있으므로, 최종 위치에 도달하기 위해 최종 임플란트 드라이버 위치를 나타내는 표식을 더 이상 사용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참조된 선행 기술에 존재하는 하나 또는 2개의 주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드라이버 및 수술용 템플릿은, 2개의 나사산 상호 작용 구성 요소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 제1 문제는, 공지의 방법이 수술용 템플릿의 부싱(또는 수술용 템플릿에, 예를 들어 부싱 내에 장착된 추가의 나사산이 있는 슬리브)과 임플란트 드라이버 양자의 나사산 결합을 필요로 한다는 사실과 관련이 있다. 2개의 나사산 상호 작용 구성 요소의 이러한 조합에는 몇 가지 단점이 있다. 첫째, 임플란트의 최종 위치에 도달했을 때 임플란트로부터 임플란트 드라이버를 쉽게 분리할 수 없게 한다. 실제로, 임플란트 드라이버는 일반적으로 임플란트로부터 멀리 종축을 따라 병진 이동함에 의해서만 임플란트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나사산이 있는 임플란트 드라이버가 또한 수술용 템플릿의 부싱의 나사산에도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의 양태는, 후퇴 가능한/가능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나사산 추종자를 포함한다. 나사산 추종자는, 간단한 핀일 수 있다. 이러한 핀은 임플란트 드라이버의 나사산이 있는 홈에 국부적으로 침투하거나 또는 점 접촉한다. 후퇴는 임플란트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요구되는 임플란트 드라이버의 병진 운동을 허용한다. 둘째, 수술용 템플릿의 나사산이 있는 부싱 또는 나사산이 있는 추가 슬리브는 드릴과 같은 일반적으로 더 빠르게 회전하는 다른 수술용 도구의 안내에 최적이 아니다. 이러한 도구의 안내를 위해, 부싱(즉, 매끄러운 보어를 갖는 부싱) 또는 부싱 내에 슬리브가 있는 경우 슬리브의 매끄러운 보어의 매끄러운 내부 표면이 양호하다. 요컨대, 완전히 나사산이 있는 부싱 대신에, 수술용 템플릿의 부싱에 하나 이상의 개별 표식(예를 들어, 나사산 추종자로 작용하는 안내 핀)을 도입하는 것은 참조된 선행 기술과 비교하여 우수한 개념으로 간주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부싱과 같은 수술용 템플릿 상의 안내 요소의 보어는, 보어 내에 들어가며 그리고 안내 요소 상의 제2 표식으로서 사용되는, 하나, 2개, 3개, 4개, 또는 최대 5개의 핀 또는 스크류를 가질 수 있다. 핀 또는 스크류는, 다루기 쉬울 수 있거나 또는 부싱과 같은 안내 요소에 매립될 수 있다. 핀 또는 스크류는, 나사산 추종자일 수 있다.
참조된 선행 기술에 존재하는 제2 문제는, 가상 임플란트 계획을 기초로 하여 표식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다. 그 결과, 종래 기술의 개시는, 수직 깊이 및 회전 또는 회전 대칭 위치 모두에서 가상 계획된 임플란트 위치와 매칭되는 임플란트를 배치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가상 계획된 위치 회전 또는 회전 대칭과 매칭되는 위치 및 배향으로 임플란트를 배치하는 것을 허용한다. 가상 계획된 위치의 매칭은 깊이 및 회전 위치 모두에서 가능하다. 이는 참조된 선행 기술과 대조되고,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임플란트(들)를 배치하는 데 사용되는 동일한 치료 세션에서 지대치 및 크라운과 같은 가상 계획되고 가상 설계된 환자 고유의 보철 부품의 보다 정확한 배치를 허용한다. 배치될 임플란트의 수직(또는 깊이) 및 회전 위치가 모두 제어되기 때문에, 배치된 환자 고유의 보철 부품의 위치가 가상 계획된 위치와 더 정확하게 매칭될 것이다. 참조된 선행 기술에서, 임플란트 위치는 수술용 템플릿이 제조된 후에만 미리 결정되고 반복 가능하다. 따라서, 참조된 선행 기술은 디지털 방식이 아닌 수동 방식으로만 (예를 들어, 동일한 수술용 템플릿을 사용하여 물리적 모델에 임플란트 (아날로그) 배치에 의해) 보철 부품을 준비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러한 이유로, 가상 임플란트 위치를 기초로 하고 임플란트 드라이버의 미리 결정된 표식을 기초로 하는 매끄러운 보어를 갖는 부싱과 같은 수술용 템플릿 안내 요소에서 개별 표식(들)의 환자 고유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은 우수한 개념으로 간주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는, 신호 저장 장치에 저장된 디지털 가상 계획된 임플란트, 하나 이상의 제1 표식을 갖는 임플란트 드라이버, 배치될 임플란트, 및 하나 이상의 제2 표식을 포함하는 수술용 템플릿의 안내 요소를 포함하는 부품들의 키트를 제공하여, (구동될 때 임플란트에 연결되는) 임플란트 드라이버 상의 하나 이상의 제1 표식과, 수술용 템플릿 상의 하나 이상의 제2 표식의 정렬이, 임플란트가 턱뼈에 삽입될 때 임플란트의 나선형 운동을 한정하도록 하고, 임플란트 드라이버 및 수술용 템플릿은 또한, 임플란트 드라이버의 최종 수직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1 표식 중 적어도 하나 및 하나 이상의 제2 표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임플란트 드라이버의 최종 수직 위치는, 임플란트가, 배치될 때, 디지털 가상 계획된 임플란트와 동일한 수직 및 회전 또는 회전 대칭 위치에 있도록 하는, 부품들의 키트를 제공한다. 이러한 한정은, 정상적인 방법으로 임플란트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임플란트를 배치할 수 있고 그 후 먼저 올바른 수직 위치에 도달한 후, 추가 수직 이동을 차단한 상태에서 임플란트 드라이버를 올바른 회전 위치로 더 나사로 조일 수 있는 상황을 포함하기 때문에 이것은 충분하지 않으므로, 위의 내용은 최종 위치의 표식에만 바람직하다. 이것은 뼈를 손상시킬 가능성이 크다.
안내 요소는 보어를 가질 수 있으며, 보어는 매끄럽다. 이것은 환자의 턱에 배치된 후 임플란트로부터 임플란트 드라이버를 제거하는 것이 더 쉽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부싱과 같은 수술용 템플릿 상의 안내 요소의 보어는, 보어 내에 들어가며 그리고 안내 요소 상의 제2 표식으로서 사용되는, 하나, 2개, 3개, 4개, 또는 최대 5개의 핀 또는 스크류를 가질 수 있다. 핀 또는 스크류는 다루기 쉬울 수 있거나, 또는 부싱과 같은 안내 요소에 매립될 수 있다. 핀 또는 스크류는 나사산 추종자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제1 표식은, 하나 이상의 분산형 표식일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치과 외과의사 또는 치과 의사가 더 쉽게 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제1 표식은, 임플란트 드라이버의 외부 표면 내의 또는 외부 표면 상의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나사산은, 나사산 시작부 및 나사산 입구를 가질 수 있다. 나사산은 제조하기 쉽다.
하나 이상의 제2 표식은, 임플란트 드라이버의 외부 표면 내에 또는 외부 표면 상에 있는 상기 나사산을 추종하기 위한 나사산 추종자를 포함할 수 있다. 나사산 추종자는 위치 안정성을 제공한다.
나사산 추종자는, 하나 이상의 핀일 수 있으며, 그 중 일부 또는 각각은 수술용 템플릿의 안내 요소로부터 제거 가능하거나 또는 제거될 수 있다.
안내 요소는, 매끄러운 보어를 갖는 부싱일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임플란트가 턱뼈에 삽입된 후 임플란트로부터 임플란트 드라이버를 더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임플란트 드라이버는, 나사산 추종자가 나사산으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도록, 일 단부에서 좁아질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임플란트가 턱뼈에 삽입된 후 임플란트로부터 임플란트 드라이버를 더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드라이버, 가상 계획된 임플란트, 매끄러운 보어를 갖는 부싱 형태의 안내 요소 및 나사산 추종자를 갖는 수술용 템플릿의 조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b는 도 1a의 세부 사항을 보여준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템플릿의 매끄러운 보어를 갖는 부싱 형태의 안내 요소와 최종 위치에 있는 임플란트 드라이버 및 배치된 임플란트의 조합을 도시한다.
도 2b는 도 2a의 세부 사항을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사산, 나사산 입구 및 나사산 시작부를 갖는 임플란트 드라이버의 일부, 임플란트의 일부, 및 안내 핀 형태의 나사산 추종자를 갖는 매끄러운 보어를 갖는 부싱 형태의 안내 요소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사산, 나사산 입구 및 나사산 시작부를 갖는 임플란트 드라이버, 임플란트, 및 안내 핀 형태의 나사산 추종자를 갖는 안내 요소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사산, 나사산 입구 및 나사산 시작부를 갖는 임플란트 드라이버, 임플란트의 일부, 및 안내 핀 형태의 상이한 나사산 추종자들을 갖는 안내 요소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사산, 나사산 입구 및 나사산 시작부를 갖는 상단 부근에서 좁아진 임플란트 드라이버, 임플란트의 일부, 및 매립된 나사산 추종자를 갖는 안내 요소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최종 위치에 있는, 즉, 가상 계획된 임플란트에 연결된 임플란트 드라이버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선과 같은 나선형 한정 표식 및 나선의 피치만큼 이격된 점 세트 및 최종 위치 표식을 갖는 임플란트 드라이버의 일부, 임플란트 드라이버의 나선형 표식과 정렬되는 표식을 갖는 안내 요소, 및 임플란트 드라이버의 최종 위치 표식과 정렬되는 최종 위치 표식을 도시한다.
정의
"나선형 삽입 경로(spiral insertion path)": 치아 임플란트가 턱뼈에 삽입될 때, 임플란트 드라이버가 회전되어 임플란트를 턱뼈에 나사 고정한다. 따라서 임플란트 드라이버 상의 일 지점은, 회전축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회전하고 선형으로 이동하여, 이에 의해 결합된 이동들이 지점에 대한 나선형 경로를 생성한다.
"매끄러운 보어를 갖는(smooth bored)"이라 함은, 부싱과 같은 수술용 템플릿 상의 안내 요소 내부에 나사산 또는 다른 표면 요철을 갖지 않는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부싱과 같은 수술용 템플릿 상의 안내 요소의 보어는, 보어 내로 들어가며 그리고 안내 요소 상의 제2 표식으로서 사용되는, 하나, 2개, 3개, 4개, 또는 최대 5개의 핀 또는 스크류를 가질 수 있다. 핀 또는 스크류는 다루기 쉬울 수 있거나 또는 부싱과 같은 안내 요소에 매립될 수 있다. 핀 또는 스크류는 나사산 추종자일 수 있다.
"분산형 표식(distributed marker)"은, 표식의 일부가 임플란트 드라이버의 회전 위치에 관계없이 치과 의사 또는 치과 외과의사가 볼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임플란트 드라이버의 표면에 걸쳐 퍼져 있는 표식을 의미한다. 이러한 표식은 예를 들어 임플란트 드라이버의 표면 주변의 임의의 위치에 존재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나사산이 예를 들어 임플란트 드라이버의 표면의 360°를 횡단한다.
"국부화된 표식(localized marker)"은, 표식이 표면에 걸쳐 퍼져 있지 않고 특정 개소에 있도록 하는, 작은 표식을 의미한다. 일반적인 국부화된 표식은, 점 또는 선이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임플란트의 인실리코(in silico) 위치를 계획하기 위해, 즉, 수술 전 계획을 세우기 위해 가상 계획된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 있다. 수술 전 계획에 대한 입력은, 바람직하게는 환자 해부학적 구조, 예를 들어 턱뼈 및 치열의 MRI 스캔, 종래의 또는 원추형 빔(CB) 컴퓨터 단층 촬영(CT) 스캔과 같은 하나 이상의 체적 스캔에서 얻어진 하나 이상의 이미지이다. 선택적으로, 체외(in vitro) 모델의 광학 스캔 또는 환자의 입의 구강 내 광학 스캔과 같은 다른 유형의 스캔이 단독으로 또는 다른 스캔과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스캔으로부터, 예를 들어 당업자에게 알려진 소프트웨어 및 종래의 기술을 사용하여,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 예를 들어 치열의 디지털화가 얻어진다. 수술 전 계획에서,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 예를 들어 뼈 및 치열의 디지털화가 결합되고, 치과 외과의사 또는 개업의는 최적의 또는 최상의 가능한 임상적 및 심미적 위치의 임플란트 위치 및 배향을 가상 계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지털 수술 전 계획의 생성 및 사용, 수술용 템플릿 또는 도구 세트의 설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수술용 템플릿 또는 이러한 도구를 생성하고 사용하여 치과용 임플란트를 미리 결정된 가상 계획된 디지털 한정된 위치에 배치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임플란트의 미리 결정된 가상 계획된 디지털 한정된 위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또는 신호 저장 매체, 예를 들어 광 디스크, 자기 테이프, 하드 드라이브, 플래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반도체 솔리드 스테이트 메모리에 디지털 방식으로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플란트 드라이버 및 수술용 템플릿 양자 모두 상에, 또는 이들 중 하나 상에 표식의 미리 결정된 위치를 가짐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회전 또는 회전 대칭 위치가 미리 결정된 가상 계획된 임플란트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로 임플란트를 가져올 수 있는 임플란트 드라이버의 나선형 삽입 경로를 한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이 위치는 수직 및 회전 또는 회전 대칭 위치 모두가 미리 결정된 가상 계획된 임플란트 위치에 대응할 수 있다. 후자의 위치는 최종 위치로 언급되며, 최종 위치에 도달할 때 정렬되는 임플란트 드라이버 및 안내 요소 중 어느 하나, 각각 또는 양자 모두 상에 추가 표식(들)(세트)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임플란트 위치(16)에 대해 개략적으로 도시된 임플란트 드라이버의 연결 및 섕크(18)를 갖는 임플란트 드라이버(2)를 도시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실제 임플란트(24)에 대한 임플란트 드라이버의 연결 및 섕크(18)를 갖는 임플란트 드라이버(2)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라 임플란트(24)를 설치하기 위해 임플란트 드라이버(2)를 사용하는 경우, 이것은 예를 들어 나사산(4)을 사용하여 최종 위치를 결정할 때 턱으로의 임플란트(24)의 위치 결정을 허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산된 회전 표식으로서 나사산(4)과 같은 제1 표식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따라서, 드라이버(2)가 회전됨에 따라, 임플란트(24)는 턱 안으로 더 들어간다. 임플란트 드라이버(2) 상의 임의의 지점은, 드라이버(2)가 회전되어 턱을 향해 또는 턱으로 아래쪽으로 이동할 때 나선형 경로를 따를 것이다. 미리 결정된 가상 임플란트 위치에 대해 회전에서 및 선택적으로 깊이 및 회전 모두에서 일치하는 임플란트 위치를 달성하기 위한 임플란트 드라이버 연결의 올바르게 종료된 나선형 경로는, 임플란트 드라이버 상의 표식(예를 들어, 나사산(4)(도 1a 참조), 그려진 선[26 (도 1b 참조) 또는 55 (도 8 참조)] 또는 선에서의 점 세트(56A 내지 N)(도 8 참조), 나사산 시작부(6) 또는 나사산 입구(8)(도 1b 참조), ...와 같은 제1 표식)과 수술용 템플릿(12)의 국부화된 표식(예를 들어, 안내 요소 상에(예를 들어, 매끄러운 보어를 갖는 부싱(14)(도 1a 참조) 상에)에 환자 고유의 위치를 갖는 나사산 추종자(10), 또는 그려진 선[27 또는 28 (도 1b 참조) 또는 57, 58, 59 (도 8 참조)], ...와 같은 제2 표식)의 조합을 정렬함으로써 표시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표식은 서로 정렬될 수 있거나, 또는 서로 협력하고, 서로 상호작용하고, 서로 조정되고, 서로 상호작용하여 임플란트(24)를 정확한 최종 위치로 가져올 수 있다. 이에 의해, 임플란트 드라이버(2) 상의 나사산(4)(도 1a 참조), 또는 그려진 선(26)(도 1b 참조), 나선형 선(55)(도 8 참조) 또는 선(56)의 점 세트(도 8 참조) 또는 나사산 시작부(6) 또는 나사산 입구(8) 등과 같은 표식은 임플란트 드라이버(2)의 나선형 경로의 피치(29)를 한정한다(도 3 참조). 나선형 경로의 피치(29)(도 3 참조)는 임플란트(24)를 배치할 때 임플란트(2) 또는 턱뼈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임플란트의 리드 스크류 나사산의 피치(30)(도 3 참조)와 선택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임플란트 드라이버(2) 상의 이러한 분산된 나선형 한정 표식 및 선택적으로 삽입된 슬리브를 갖는 매끄러운 보어를 갖는 부싱과 같은 수술용 템플릿(12) 상의 국부화된 표식의 정렬은 임플란트 드라이버(2)의 나선형 운동 및 그 최종 위치, 및 이에 따라, 이에 연결된 임플란트(24)를 한정한다. 이것은 종축 주위의 미리 결정된 가상 계획된 최종 회전 위치 및/또는 턱 내 깊이를 포함하여, 사전 결정되고 가상 계획된 디지털 방식으로 한정된 임플란트 위치에 따라 임플란트(24)를 배치한다.
수술용 템플릿(12)은, 치아(13)와 같은 환자의 구강 해부학적 구조에 맞춰진다. 이를 달성하는 방법은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다. 수술용 템플릿(12)은 안내 요소(예를 들어, 매끄러운 보어를 갖는 부싱(14))를 갖는다. 매끄러운 보어를 갖는 부싱(14)과 같은 안내 요소는, 환자의 결손 치아의 위치 위에 위치할 것이며, 따라서, 임플란트(24)가 배치될 가상 임플란트 위치(16)에 위치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임플란트 드라이버(2) 상의 나선형 한정 제1 표식은 나사산(4)이며, 나사산 시작부(6) 및 나사산 입구(8)를 갖는다(도 1b에서 가장 잘 표시됨). 나사산 입구(8) 및 나사산 시작부(6)의 기능은, 안내 요소 상의(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매끄러운 보어를 갖는 부싱(14) 상의) 국부화된 제2 표식과 임플란트 드라이버(2) 상의 이러한 표식, 예를 들어 나사산(4)의 정렬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이것은 매끄러운 보어를 갖는 부싱(14)의 (예를 들어, 스크류의 경우 나사산이 있는) 구멍을 통해 매끄러운 보어를 갖는 부싱(14)에 조립되는 안내 핀/스크류(10 또는 15)의 정점(11)에 의해 한정된 나사산 추종자일 수 있다(도 4 또는 도 6 참조). 핀/스크류의 정점(11)의 위치는 환자에 고유한 것이고, 가상 계획된 임플란트(16)의 위치, 그의 표식들(4, 6, 8, 26, 27, 28, 55, 56, 57, 58, 59)을 포함하는 임플란트 드라이버(2)의 설계 사양, 및 수술용 템플릿(12)의 안내 요소(예를 들어, 매끄러운 보어를 갖는 부싱(14))의 설계 사양(예를 들어, 수직 위치)에 따라, 다르다. 나사산 추종자(10)가 매끄러운 보어를 갖는 부싱(14)과 같은 안내 요소 내로 침투하는 깊이는 바람직하게는, 나사산 추종자(10)의 정점(11)이 여전히 임플란트 드라이버(2)가 회전되어 잇몸(20)(도 2a 참조)을 통해 환자의 턱뼈(22)로 임플란트(24)를 구동하도록 허용하면서 나사산(4)에 들어가서 활주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임플란트 드라이버(2) 및 매끄러운 보어를 갖는 부싱(14) 상의 제1 표식 및 제2 표식이 정렬될 때, 예를 들어 나사산 추종자의 정점(11)이 나사산(4)을 따를 때, 임플란트 드라이버의 나선형 경로는, 임플란트(24)가 종축 주위의 회전 위치에서 또는 선택적으로 깊이 및 회전 위치 모두에서 가상 계획된 위치에 따라 배치될 수 있는 방식으로 임플란트(24)를 뼈 내로 구동하도록 이루어진다. 이것을 최종 위치라고 한다.
도 5 내지 도 10a, 도 10b,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초과의 정점(11) 또는 안내 핀/스크류(10)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안내 핀/스크류(10A 및 B)가 시작 시 회전을 차단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것들은 후퇴 가능하게 될 수 있어, 이것들은 일반적으로 뒤로 물러난 위치에 있고 안내 핀/스크류(10)가 나선형 홈(4)으로 들어간 후에만 홈(4)과 맞물리는 위치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부싱과 같은 수술용 템플릿 상의 안내 요소의 보어는, 보어 내에 들어가며 그리고 안내 요소 상의 제2 표식으로서 사용되는, 하나, 2개, 3개, 4개, 또는 최대 5개의 핀 또는 스크류를 가질 수 있다. 핀 또는 스크류는, 다루기 쉬울 수 있거나 또는 부싱과 같은 안내 요소에 매립될 수 있다. 핀 또는 스크류는, 나사산 추종자일 수 있다.
최종 임플란트 위치는, 임플란트 드라이버(2) 상의 최종 위치 표식(4, 6, 8, 26) 및/또는 회전 표식(27)을 수술용 템플릿(12) 상의 최종 위치 표식(28, (상단 표면) 60)과 정렬함으로써 예를 들어 표시되는 바와 같이 달성된다. 예를 들어, 임플란트 드라이버(2)(도 1b 참조) 상의 국부화된 수직 위치 표시 선(26)은 매끄러운 보어를 갖는 부싱(14)의 상단(60)과 정렬될 수 있거나, 또는 임플란트 드라이버(2) 상의 국부화된 회전 최종 위치 표시 선(27, 58)(도 8 참조)은 수술용 템플릿(12)의 매끄러운 보어를 갖는 부싱(14) 상의 국부화된 회전 최종 위치 표시 선(28, 59)(도 8 참조)과 정렬될 수 있다. 임플란트 드라이버(2) 및 수술용 템플릿(12) 상의 최종 위치 표식들은, 상이한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는 선, 점, 융기선, 골, 컬러 밴드, 물리적 정지부, 물리적 형상 변화 등과 같은 많은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이것들은 임의의 다른 방식 등으로 표식 요소들 상에 그려지거나, 조각되거나, 밀링되거나, 페인팅되거나, 인쇄 에칭되거나, 레이저 절제되거나 또는 추가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는, 나사산 추종자(10)가 최종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임플란트 드라이버(2)와의 접촉을 잃도록, 상단 근처에서 좁아지는 임플란트 드라이버(2)를 포함한다. 이러한 최종 위치는, 최종 위치 표식(26)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이것이 일어날 때, 나선형 운동은, 더 이상 나사산 추종자(10)와 임플란트 드라이버(2) 및 나사산(4)의 협력에 의해 지시되지 않고, 뼈와 임플란트(24)(의 나사산)에 의해 지시된다. 이러한 후자의 실시예는, 예를 들어 매립된(즉, 후퇴 불가능한) 나사산 추종자(10)가 사용되는 경우, 최종 위치에 도달한 후 임플란트(24)로부터 임플란트 드라이버(2)를 쉽게 분리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는, 나사산(4)이 나선을 한정하는 다른 종류의 분산형 표식으로 대체될 수 있는 임플란트 드라이버(2)를 포함할 수 있고, 나선형 경로의 피치(29)는, 임플란트(24)를 배치할 때 임플란트(24) 또는 턱뼈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임플란트의 리드 스크류 나사산 피치(30)(도 3 참조)와 선택적으로 동일하다. 이러한 임플란트 드라이버 표식들(4, 6, 8, 26, 27, 55, 56)은, 임의의 다른 방식 등으로 또는 요소들 상에 그려지거나, 조각되거나, 에칭되거나, 페인팅되거나, 인쇄되거나, 레이저 절제되거나, 밀링되거나, 또는 추가될 수 있는 나선, 점, 선 ...과 같은 많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직으로 이격되어 모두 피치(29)를 한정하는 물리적 스크류 나사산(4)(예를 들어, 조각된 나선), 레이저 마킹된 나선, 점들의 선(56A… 56N)(도 8 참조) 등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나사산 표식(4)은, 수술용 템플릿(20) 상에 위치되고 매끄러운 보어를 갖는 부싱(14)과 같은 가이드를 통과하는 나사산 추종자(10)와 협력한다. 매끄러운 보어를 갖는 부싱(14)과 같은 수술용 템플릿의 안내 요소 상의 환자 고유의 표식들(28, 57, 59, 60)은, 수술용 템플릿(12)의 매끄러운 보어를 갖는 부싱(14)과 같은 안내 요소 상에 그려지거나, 조각되거나, 페인팅되거나, 인쇄되거나, 레이저 절제되거나, 밀링되거나, 임의의 다른 수단 등에 의해 추가되는 선(들), 점(들), 홈(들), 구멍(들) 등 중 임의의 것과 같은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유형의 표식들(28, 57, 59, 60)은, 임플란트 드라이버(2) 상의 표식들(4, 6, 8, 26, 27, 55, 56)과 정렬될 때, 미리 결정된 가상 계획된 임플란트 위치에 따라 정확하게 임플란트(24)를 배치하는 삽입 경로를 따라, 임플란트 드라이버(2) 및, 이에 따라, 이에 연결된 임플란트(24)의 위치에 대한 시각적 시행 및 피드백을 허용한다. 최종 위치는 선(27, 58)과 같은 임플란트 드라이버(2) 상의 그리고 선(28, 60)과 같은 안내 요소 상의 최종 위치 표식들(4, 6, 8, 26, 27)의 정렬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방법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환자 고유의 국부화된 표식들(28, 57, 59, 또는 60)을 갖는 수술용 템플릿(12) 및 매끄러운 보어가 갖는 가이드(14) 및/또는 일부가 분산형 표식일 수 있는 표식들(4, 6, 8, 26, 27)을 갖는 임플란트 드라이버(2)를 설계 및/또는 제조 및/또는 활용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분산형 표식들은, 임플란트 드라이버의 둘레 전체에 존재할 수 있다. 표식들은, 임플란트(24)가 미리 결정된 가상 계획된 위치에 따라 배치될 수 있도록 사용된다. 이러한 미리 결정된 가상 계획된 위치는, CAT-스캔, X-선, MRI, CBCT, 광학 또는 구강 내 스캔,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스캐닝 기술에 의해 얻어질 수 있는 디지털 임상 데이터를 기준으로 임플란트 위치를 디지털 방식으로 계획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핀 형상의 나사산 추종자(10)의 정점(11)과 같은, 수술용 템플릿 안내 요소의 표식의 허용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은, 뒤따르는 단계들로 제공된다.
- 단계 1: 임플란트 드라이버(2)의 설계 사양에 표식들(4, 6, 8, 26, 27, 55, 56, 58) 중 하나, 일부 또는 전체를 갖는 임플란트 드라이버(2)를 제조하는 단계. 이러한 표식들 중 하나 이상은 다음 사양들을 포함하여 나선을 한정하는 분산형 표식들일 수 있다:
o 나선의 종축은 임플란트 드라이버(2)의 종축과 일치한다.
o 나선의 피치(27)는, 선택적으로 임플란트 드라이버(2)가 양립할 수 있는 임플란트(들)의 나사산의 피치(30)와 일치한다.
o 선택적으로, 임플란트 드라이버(2) 상의 표식들(4, 6, 8, 26, 27, 55, 56, 58)은, 수술용 템플릿(12) 상의, 예를 들어 매끄러운 보어를 갖는 부싱(14) 상의 표식(들)(28, 57, 59, 60)과의 정렬을 용이하게 한다. 예를 들어, 나사산 입구(8) 및 나사산 시작부(6)는 수술용 템플릿(12) 상의, 예를 들어 부싱(14) 상의 나사산 추종자(10)와의 정렬을 용이하게 하여, 나사산 시작부(6) 및 이에 따라 임플란트 드라이버/임플란트 조립체의 미리 한정된 초기 위치를 확립한다.
- 단계 2(단계 1 전 또는 후): 환자로부터 얻어진 디지털 임상 데이터를 기준으로 환자의 턱에 대한 임플란트 위치를 가상 계획하는 단계.
- 단계 3: 가상 임플란트 위치 및 임플란트 드라이버(2)의 설계 사양을 기초로 하여, 즉, 가상 계획된 임플란트에 연결된 가상 최종 위치에 임플란트 드라이버(2) 상의 임플란트 드라이버의 표식들(4, 6, 8, 26, 27, 55, 56)의 위치에 의해 한정되는 가상 나선을 한정하는 단계.
- 단계 4: 단계 3에서 한정된 나선형 경로와 정렬될 수 있도록 수술용 템플릿의 안내 요소(예를 들어, 매끄러운 보어를 갖는 부싱(14))의 설계에서 표식(들)(28, 57, 59, 60)의 위치를 한정하는 단계.
- 단계 5: 표식(들)을 포함하는 수술용 템플릿(12)을 제조하는 단계.
- 단계 6: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 상에 수술용 템플릿(12)을 설치하고, 절골부를 생성하며, 임플란트 드라이버(2)를 임플란트에 연결하고, 임플란트 드라이버/임플란트 조합을 수술용 템플릿(12)의 안내 요소(14)에 삽입하며, 수술용 템플릿(12)의 안내 요소(14) 상의 표식들(28, 57, 59, 60)을 임플란트 드라이버(2)의 표식들(4, 6, 8, 26, 27, 55, 56)과 정렬하고, 임플란트 드라이버 및 안내 요소 양자 모두 상의 표식들(4, 6, 8, 26, 27, 28)을 정렬된 상태로 유지하면서 임플란트(24)를 뼈 내로 구동하는 단계. 임플란트 드라이버 및 안내 요소 양자 모두 상의 최종 위치 표식들(4, 6, 8, 26, 27, 28)에 의해 표시되는 최종 위치에 도달하면 임플란트(24)의 배치가 중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치과용 핸드피스 설정에서, 임플란트를 디지털 방식으로 미리 결정된 위치에 배치하기 위해 요구되는 회전을 프로그래밍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 단계 1: 다음 사양들을 포함하는 나선을 한정하는 임플란트 드라이버(2)의 설계 사양에서 표식들(4, 6, 8, 26, 27, 55, 56) 중 하나, 일부 또는 모두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드라이버(2)를 제조하는 단계:
o 나선의 종축은 임플란트 드라이버(2)의 종축과 일치한다.
o 나선의 피치(29)는 선택적으로 임플란트 드라이버가 양립할 수 있는 임플란트(들)의 나사산의 피치(30)와 일치한다.
o 임플란트 드라이버(2) 상의 표식들(4, 6, 8, 26, 27, 57, 56, 58)은 나사산 입구(8) 및 나사산 시작부(6)와 같은 수술용 템플릿(12) 상의 표식(들)(28, 57, 59, 60)과의 정렬을 용이하게 하여, 나사산 시작부(6) 및, 이에 따라, 임플란트 드라이버/임플란트 조립체의 미리 한정된 초기 위치의 확립을 가능하게 한다.
- 단계 2: (단계 1 전 또는 후) 환자로부터 얻어진 디지털 임상 데이터를 기준으로 환자의 턱에 대한 임플란트 위치를 가상 계획하는 단계.
- 단계 3: 가상 임플란트 위치 및 임플란트 드라이버의 설계 사양을 기초로 하여, 즉, 가상 계획된 임플란트(24)에 연결된 가상 최종 위치에 임플란트 드라이버(2)의 임플란트 드라이버의 표식들(4, 6, 8, 26, 27, 55, 56)의 위치에 의해 한정되는 가상 나선을 한정하는 단계. 또한, 가상 계획된 임플란트 위치에 가상으로 연결된 임플란트 드라이버(2)의 나사산 시작부(6)의 위치를 식별한다. 이것은 나사산 시작부의 최종 위치이다(도 7 참조).
- 단계 4: 수술용 템플릿(12)의 설계에서 나사산 추종자/안내 핀(10)의 위치, 예를 들어 안내 핀의 정점(11)의 위치를, 단계 3에서 한정되는 바와 같은 나선형 경로에 위치된 점으로서 선택하는 단계. 한정에 의해, 임플란트 배치 시, 나사산 시작부의 초기 위치는 나사산 추종자(10)의 위치와 일치할 것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작동 원리" 섹션을 참조하도록 한다.
- 단계 5: 임플란트 드라이버(2)의 표식들(4, 6, 8, 26, 27, 55, 56)에 의해 한정되는 나선을 따라 나사산 시작부의 초기 위치를 나사산 시작부의 최종 위치(3 단계에서 결정됨)로 이동하기 위해 요구되는 극 회전을 계산하는 단계. 이것은 다음 공식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고, 여기서 α는 극 회전이고, h는 나사산 시작부의 초기 위치와 나사산 시작부의 최종 위치 사이의 수직 높이(가상 계획된 임플란트의 종축을 따라 측정됨)이다:
Figure pct00002
- 단계 6: 나사산 시작부(6)가 그 초기 위치로 이동된 후, 즉, 나사산 시작부(6)가 나사산 추종자(10)의 위치, 예를 들어, 안내 핀의 정점 위치(11)와 일치하게 된 후, 이 회전이 임플란트 드라이버(2)에 적용될 수 있도록 이 극 회전을 치과용 핸드피스 시스템에 프로그래밍하는 단계.
작동 원리
명료함을 위해, 핀(10)과 같은 단일 안내 나사산 추종자를 갖는 (바람직하게는 매끄러운 보어가 갖는) 부싱(14) 형태의 안내 요소를 갖는 수술용 템플릿(12)의 일 실시예가 개시된다.
- 먼저, 수술용 템플릿(12)은 수술용 도구의 미리 결정된 세트가 템플릿(12)의 일부인 (바람직하게는 매끄러운 보어가 갖는) 부싱(14)과 같은 안내 요소에 의해 안내될 수 있도록 설계되고 제조된다. 이 수술용 템플릿(12)은, 임플란트(24)의 수술 전에 계획된 가상 위치에 따라 위치되는 절골부를 생성하는 데 사용된다. 해당 가상 임플란트 위치는 환자로부터 얻어진 디지털 임상 데이터를 기준으로 계획된다.
- 수술용 템플릿(12)의 안내 요소 또는 (바람직하게는 매끄러운 보어가 갖는) 부싱(14)은, 후퇴 가능한 핀/스크류(10) 또는 매립된 핀(15)(도 6 참조)의 정점(11)과 같은 후퇴 가능한 또는 매립된 나사산 추종자(10)를 포함하도록 설계되고 제조되어, 핀/스크류의 정점(11)이 본 방법에 의해 한정되는 나선 상에 위치될 것이다.
- 절골부가 생성된 후, 임플란트 드라이버(2)는, 임플란트(24)에 연결되거나 또는 임플란트(24)에 연결될 수 있고, 이 조립체는 수술용 템플릿(12)의 (바람직하게는 매끄러운 보어가 갖는) 부싱(14)과 같은 안내 요소 내로 이동되기에 적합하거나, 또는 그 후 안내 요소 내로 이동된다. 드라이버 나사산 입구(8)는, 핀/스크류(10, 15)의 정점(11)과 정렬되고, 그 후 드라이버(2)는, 나사산 시작부(6)가 핀/스크류의 정점(11)과 일치할 때까지, (바람직하게는 매끄러운 보어가 갖는) 부싱(14) 내로 아래로 이동된다. 이것이 나사산 시작부의 초기 위치이다.
- 그런 다음, 임플란트 드라이버/임플란트 조립체는, 핀/스크류의 정점(11)이 임플란트 드라이버(2)의 나사산(4)을 따르기 때문에, 임플란트 드라이버의 나사산(4) 및 부싱의 나사산 추종자(10)에 의해 강제되는 나선형 운동으로 아래로 이동된다. 이러한 이동은, 나사산 시작부(6) 및 이에 따라 임플란트 드라이버/임플란트 조립체가 최종 위치로 이동될 때까지 계속된다. 이러한 최종 위치는 임플란트 드라이버(2) 상의 최종 위치 표식들(4, 6, 8, 26, 27, 58)을 선(28), 수술용 템플릿(12)의 상단(60) 및 (바람직하게는 매끄러운 보어가 갖는) 부싱(14) 상의 선(59)과 같은 수술용 템플릿 상의 최종 위치 표식들과 각각 정렬함으로써, 추가로 표시될 수 있다.

Claims (6)

  1. 디지털 가상 계획된 임플란트 및 환자의 턱의 임플란트 위치에 따라 임플란트를 배치하기 위한 임플란트 드라이버 조립체로서,
    상기 임플란트 드라이버 조립체는, 적어도 임플란트 드라이버 및 적어도 수술용 템플릿(surgical template)을 포함하고, 상기 임플란트 드라이버는, 하나 이상의 제1 표식(marker)을 가지며, 그리고 상기 수술용 템플릿과 정렬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술용 템플릿은, 안내 요소를 구비하며 그리고 하나 이상의 제2 표식을 가짐으로써, 상기 임플란트에 연결될 때 상기 임플란트 드라이버 상의 하나 이상의 제1 표식과 상기 수술용 템플릿 상의 하나 이상의 제2 표식의 정렬이, 상기 임플란트가 턱뼈에 삽입되고 있을 때 상기 임플란트의 나선형 운동을 한정하도록 하고, 상기 임플란트 드라이버 및 상기 수술용 템플릿은 또한, 디지털 가상 계획된 임플란트 위치에 의해 한정되는 상기 임플란트 드라이버의 회전 또는 회전 대칭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표식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표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그로 인해 상기 안내 요소는 매끄러운 보어를 갖는 부싱(bushing)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표식은, 상기 임플란트 드라이버의 외부 표면 내의 또는 외부 표면 상의 나사산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표식은, 상기 임플란트 드라이버의 상기 외부 표면 내에 또는 상기 외부 표면 상에 있는 상기 나사산을 추종하기 위한 나사산 추종자(thread follower)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산 추종자는, 상기 수술용 템플릿의 상기 안내 요소로부터 제거 가능하거나 또는 후퇴 가능한, 하나 이상의 핀을 포함하는 것인, 임플란트 드라이버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표식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표식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임플란트 드라이버의 최종 수직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것인, 임플란트 드라이버 조립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디지털 가상 계획된 임플란트 및/또는 환자의 턱의 임플란트 위치는, 신호 저장 장치에 저장되는 것인, 임플란트 드라이버 조립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표식 중 하나는, 분산형 표식(distributed marker)인 것인, 임플란트 드라이버 조립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산은, 나사산 시작부 및 나사산 입구를 구비하는 것인, 임플란트 드라이버 조립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드라이버는, 상기 매끄러운 보어를 갖는 부싱을 통과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임플란트 드라이버 조립체.
KR1020227024575A 2019-12-30 2020-12-30 디지털 계획에 따라 임플란트의 깊이 및 회전을 동시에 제어하는 임플란트 드라이버 KR202201306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220151 2019-12-30
EP19220151.5 2019-12-30
EP20168824.9A EP3845198A1 (en) 2019-12-30 2020-04-08 Implant driver with simultaneous control of depth and rotation of the implant according to a digital planning
EP20168824.9 2020-04-08
PCT/EP2020/025603 WO2021136590A1 (en) 2019-12-30 2020-12-30 Implant driver with simultaneous control of depth and rotation of the implant according to a digital plann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0691A true KR20220130691A (ko) 2022-09-27

Family

ID=69061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4575A KR20220130691A (ko) 2019-12-30 2020-12-30 디지털 계획에 따라 임플란트의 깊이 및 회전을 동시에 제어하는 임플란트 드라이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074485A1 (ko)
EP (2) EP3845198A1 (ko)
JP (1) JP2023508775A (ko)
KR (1) KR20220130691A (ko)
CN (1) CN114845657A (ko)
CA (1) CA3165621A1 (ko)
WO (1) WO2021136590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67777A (en) * 1997-11-24 1999-10-19 Klein; Michael Surgical template assembly and method for drilling and installing dental implants
ATE462369T1 (de) 2003-02-28 2010-04-15 Materialise Dental Nv Bohrschablone
US7210881B2 (en) * 2003-12-30 2007-05-01 Greenberg Alex M Sleeved stop for a drill bit
US8540510B2 (en) * 2006-05-04 2013-09-24 Nobel Biocare Services Ag Device for securing a dental implant in bone tissue, a method for making a surgical template and a method of securing a dental implant in bone tissue
US8105081B2 (en) * 2007-05-25 2012-01-31 Bavar Trevor Surgical drill guide and index system
EP2429442A1 (en) 2009-04-29 2012-03-21 Gian Luigi Telara Guided dental implant positioning system
US8899984B2 (en) * 2009-05-20 2014-12-02 Daniel R. Llop CT-based, side-loading surgical and laboratory dental implant guide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165621A1 (en) 2021-07-08
US20230074485A1 (en) 2023-03-09
CN114845657A (zh) 2022-08-02
EP4084731A1 (en) 2022-11-09
JP2023508775A (ja) 2023-03-03
EP3845198A1 (en) 2021-07-07
WO2021136590A1 (en) 2021-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49000U (ja) 歯科用穿孔アセンブリ
JP6063516B2 (ja) 正確な骨及び軟質組織デジタル歯科用モデルを生成する方法
US10973607B2 (en) Surgical guide system for dental implantology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9039413B2 (en) Dental tools for guided surgery
EP3115016B1 (en) Dental handpiece
US20100185201A1 (en) Implant erecting drill toll, hand-piece, adaptor for the hand-piece, and surgical guide
US20060291968A1 (en) Modular template for drilling holes and method of making same
CA2666374A1 (en) Surgical guide for dental implant and methods therefor
US20120251978A1 (en) Method and kit for producing dental implant drilling guides
KR20160130242A (ko) 단차 가이드를 포함하는 치과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링 도구
US9504534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implanting dental implants
EP4241723A2 (en) Surgical drill
EP2191785B1 (en) Fixation pin
KR20220130691A (ko) 디지털 계획에 따라 임플란트의 깊이 및 회전을 동시에 제어하는 임플란트 드라이버
EP1890834B1 (en) Modular template for drilling ho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