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9972A - 파종기용 종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파종기용 종자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9972A
KR20220129972A KR1020210035202A KR20210035202A KR20220129972A KR 20220129972 A KR20220129972 A KR 20220129972A KR 1020210035202 A KR1020210035202 A KR 1020210035202A KR 20210035202 A KR20210035202 A KR 20210035202A KR 20220129972 A KR20220129972 A KR 20220129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
groove
supply device
seeds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5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경
김성림
Original Assignee
김유경
김성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경, 김성림 filed Critical 김유경
Priority to KR1020210035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9972A/ko
Publication of KR20220129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99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2Hand tools for making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02Dibble see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w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종기용 종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성에 있어서, 일단에 피니언(4)이 결합되는 사각축(31)이 구비되고, 양 측면에는 폭이 좁고 깊이가 얕은 종자홈부(32)와 폭이 넓고 깊이가 깊은 종자홈부(32')가 대향 형성되고, 상기 종자홈부(32)(32') 끝은 후술하는 이송체(3c)가 슬라이딩 이송되도록 관통된 슬라이드홈(33)을 가진 본체(3a)와, 상기 본체(3a) 중심에 삽입 설치되어 핀(p)에 의해 빠지지 않으면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선단에 환형홈(h)을 가진 길이가 긴 스크루(s)가 구비된 회전노브(3b)와, 상기 스크루(s)에 설치되고 슬라이드홈(33)에 삽입되어 회전노브(3b)에 의해 스크루(s)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전진 또는 후진하여 종자홈부(32)(32')의 크기를 길이방향으로 길거나 짧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조절편(34)(34)이 구비된 이송체(3c)로 이루어진 종자공급장치(3)를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나의 종자공급장치로 다양한 크기와 종류의 작물 종자를 파종할 수 있어 다목적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조원가 및 구비에 따른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고, 작업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신뢰성이 극대화되는 등의 많은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파종기용 종자공급장치{A seed feeding device for seeding machine}
본 발명은 파종기에 구비된 종자공급장치의 구성을 더욱 개량하여, 깨를 비롯한 작은 종자는 물론, 콩이나 옥수수와 같은 제법 큰 종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종류, 다양한 크기의 작물 종자를 하나의 종자공급장치로 공급 파종할 수 있게 한 파종기용 종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파종기는 경운 작업된 밭에 소정크기의 홈을 형성하여, 상기 홈에 깨, 무씨, 배추씨, 콩, 옥수수, 감자, 고구마 등 각종 작물의 종자를 파종할 때 사용하는 기구이다.
일반적으로 파종은 단위 면적당의 수확량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고, 흙의 준비 작업에 뒤따르는 모든 농업의 가장 초보적인 작업이라 할 수 있으며, 종자에 적합한 환경을 만들어 주는 일, 이들의 생육에 알맞은 밀도를 형성하는 일은 수량과 직결되는 문제이므로 파종 작업에서는 파종량이 적당하고 결주가 나타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한편, 파종법은 대개 산파, 조파, 그리고 점파로 분류된다.
산파법은 지표면에서 사방으로 넓게 파종하는 방법으로, 목초, 곡물 등을 파종할 때 이용하는 방법이다. 조파법은 일정한 간격의 줄에 연속으로 파종하는 방법으로, 곡류, 채소 등을 파종할 때 이용하는 방법이다. 점파법은 일정한 간격의 줄에 일정한 간격으로 한 알 또는 여러 알씩 파종하는 방법으로, 옥수수, 콩류, 감자, 야채 등을 파종할 때 이용하는 방법이다.
또 파종 작업은 거의 대부분이 인력에 의존하고 있으나, 점진적으로 기계화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파종기는 작물의 종류 및 재배 목적에 따라 파종 양식이 다르며, 크게 산파기, 조파기 및 점파기의 세 종류로 나뉜다.
점파기는 일정한 간격으로 한 알 또는 여러 알씩 파종하는 기구로 보통 점파기는 작물의 종류, 종자의 크기에 따라 다른 점파기가 사용된다. 근래에는 크기가 다른 종류의 작물에 따라 다른 점파기를 사용해야 하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하나의 파종기로 다양한 크기의 종자를 파종할 수 있는 다품종 파종기가 제안되고 있다.
예컨대, 이러한 다품종 파종기의 예로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399582호의 다품종 파종기가 제안되었다. 이 다품종 파종기는 다양한 크기의 종자들을 별도의 외부장치 없이 하나의 장치로 파종할 수 있고, 종자의 종류에 따라 토양에 묻히는 파종 깊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고서도 균일한 파종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다품종 파종기는 종자공급장치가 승강하면서 소정량, 또는 소정크기의 종자를 강제로 끌어내려 파종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파종시에 씨앗이 깨어지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였으며, 동시에 파종하는 구멍에 흙 막힘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된 건으로 선 등록특허 10-0895093호 '다용도 씨앗 파종기' 와 본원 출원인에 의해 개발된 특허출원 제10-2020-0029687호가 있다.
상기한 선 등록특허 및 선 출원발명은 파종기를 지면에 대고 누를 때마다 종자공급장치가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면서 소정량의 종자를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공급장치는 원통형으로 되어 외주면 일 측에는 종자가 투입되는 홈 및 상기 홈에 삽입되어 홈의 크기를 조절하는 조절편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조절편을 전 후진시킴으로서 홈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자의 다양성을 감안할 때 깨와 같이 작은 종자를 공급할 경우에는 종자가 투입되는 홈의 길이가 짧아져야 함은 물론 홈의 깊이도 얕아야 하고, 콩과 같이 입자가 큰 종자를 공급할 경우에는 홈의 길이도 다소 길어져야 하지만 홈의 깊이도 종자를 완전히 수용할 수 있는 깊이로 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하나의 종자공급장치로 대다수 종자를 수용할 수는 없었다.
따라서 선 등록특허 및 선 출원특허에서는 종자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종자홈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하더라도 깨와 같은 작은 종자에 적합한 것과, 콩과 같은 큰 종자에 적합한 것 등 종자공급장치를 적어도 2개 또는 2개 이상 구비하여야만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파종기의 종자공급장치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특히, 원통형으로 형성된 하나의 종자공급장치 외주면에 폭이 좁고 얕은 종자홈부와 폭이 넓고 깊은 종자홈부를 대향 구성하고, 각각의 종자홈 폭에 맞는 조절편을 삽입 설치하여 이들 조절편을 전 후진시켜 종자크기에 따른 종자홈을 선택할 수 있게 함으로서 하나의 종자공급장치로 크고 작은 각종 작물의 종자를 수용 배출시킬 수 있게 한 종자공급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파종기(100)의 종자통(1)과 파종홈 성형부(2) 사이에 설치되어 종자통(1) 내부에 충진된 작물의 종자를 일정량씩 파종홈 성형부(2)로 공급시키도록 된 종자공급장치(3)에 있어서,
상기 종자공급장치(3)는 일단에 피니언(4)이 결합되는 사각축(31)이 구비되고, 양 측면에는 폭이 좁고 깊이가 얕은 종자홈부(32)와 폭이 넓고 깊이가 깊은 종자홈부(32')가 대향 형성되고, 상기 종자홈부(32)(32') 끝은 후술하는 이송체(3c)가 슬라이딩 이송되도록 관통된 슬라이드홈(33)을 가진 본체(3a)와,
상기 본체(3a) 중심에 삽입 설치되어 핀(p)에 의해 빠지지 않으면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선단에 환형홈(h)을 가진 길이가 긴 스크루(s)가 구비된 회전노브(3b)와,
상기 스크루(s)에 설치되고 슬라이드홈(33)에 삽입되어 회전노브(3b)에 의해 스크루(s)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전진 또는 후진하여 종자홈부(32)(32')의 크기를 길이방향으로 길거나 짧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조절편(34)(34)이 구비된 이송체(3c)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종자공급장치(3)는 폭이 작고 깊이가 얕은 종자홈부(32)와, 상기 종자홈부(32)에 비해 폭이 넓고 깊이가 깊은 종자홈부(32'), 그리고 상기 종자홈부(32)(32')에 끼워져 회전노브(3b)에 의해 종자홈(32a)(32a')의 크기를 조절하는 조절편(34)(34')의 유기적인 작용에 의해 종자홈(32a)(32a')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또 폭과 깊이가 다른 두 개의 종자홈부(32)(32')를 한 동체에 구비하도록 구성 하였기에 깨와 같은 아주 작은 종자에서부터 옥수수나 대두 콩 같은 크기가 큰 종자에 이르기 까지 다양하게 파종할 수 있는 것으로 하나의 종자공급장치로 다양한 크기와 종류의 작물 종자를 파종할 수 있어 종자공급장치를 교체할 필요가 없어 다목적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종래처럼 두 가지 또는 두 가지 이상의 종자공급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제조원가 및 구비에 따른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고, 작업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신뢰성이 극대화되는 등의 많은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파종기의 정면예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종자공급장치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종자공급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자공급장치의 단면예시도.
도5는 도4의 A-A'선 단면예시도.
도6은 도4의 B-B'선 단면예시도.
본 발명은 파종기(100)의 종자통(1)과 파종홈 성형부(2) 사이에 설치되어 종자통(1) 내부에 충진된 작물의 종자를 일정량씩 파종홈 성형부(2)로 공급시키도록 된 종자공급장치(3)에 있어서, 원통형의 본체 양 측면에 깨와 같이 작은 종자를 비롯해 깨보다는 크고 콩이나 옥수수보다는 작은 종자를 이송 공급시킬 수 있는 종자홈부(32)와 콩이나 옥수수를 비롯해 이보다 큰 종자를 이송 공급시킬 수 있는 종자홈부(32')를 구비하여 작은 종자에서 큰 종자에 이르기까지 하나의 종자공급장치로 모두 소화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 도1~도6에 의거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1~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1은 파종기의 정면예시도이고, 도2는 종자공급장치의 사시도이며, 도3은 종자공급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4는 종자공급장치의 단면예시도, 도5는 도4의 A-A'선 단면예시도, 도6은 요부 정면예시도이다.
첨부도면 도1~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종자공급장치(3)로 크고 작은 다양한 종류의 작물 종자를 파종할 수 있게 하려는데 목적이 있으며, 위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하나의 종자공급장치(3)에 폭이 좁고 깊이가 얕은 종자홈(32a)과 폭이 넓고 깊이가 깊은 종자홈(32a')을 대향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종자홈(32a)과 종자홈(32a')의 길이를 이송체(3c)의 전후 이송에 따른 조절편(34)(34')에 의해 조절 가능하게 하였다.
상기 종자홈(32a) 또는 종자홈(32a')은 파종기(100)에 설치 사용시, 도4와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파종하고자 하는 종자에 따라 선택된 하나의 종자홈(32a) 또는 종자홈(32a')이 종자통(1) 직하부에 위치하도록 세팅시키면 되며, 이때 파종할 종자 크기에 따라 종자홈(32)의 길이조절은 회전노브(3b)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돌려가며 조절하면 된다.
즉, 회전노브(3b)는 길이가 긴 스크루(s)의 머리가 인서트 되어 있고, 상기 스크루(s) 선단에는 환형홈(h)이 형성되어 있어 스크루(s)를 본체(3a) 중심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환형홈(h)에 핀(p)이 끼움에 따라 스크루(s)는 회전은 가능하면서 빠지지 않게 되며, 따라서 회전노브(3b)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스크루(s)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송체(3c)를 전후 이송시키게 된다는 것이다.
또, 상기 이송체(3c)에는 폭이 좁고 깊이가 얕은 종자홈부(32)와, 폭이 넓고 깊이도 깊은 종자홈부(32')에 삽입되어 종자홈(32a)(32a')의 크기 조절이 가능하게 한 조절편(34)(34')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노브(3b)에 의해 이송체(3c)가 전후진될 때 조절편(34)(34')도 자연스럽게 전후진 되면서 종자홈(32a)(32a')의 크기를 동시에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종자공급장치(3)는 파종기(100)의 종자통(1)과 파종홈 성형부(2) 사이에 설치된다.
따라서 파종기(100)로 각종 작물의 종자를 파종할 때는 손잡이(12)를 잡은 상태에서 베이스(41)를 지면에 대고 누르면 종자통(1)과 종자공급장치(3), 파종홈성형부(2)가 하강하면서 가동삽(51)이 고정삽(52)에 닫치게 되고, 동시에 랙기어로드(6)가 피니언(4)을 회전시켜 종자홈(32a) 또는 종자홈(32a')에 들어 있던 종자를 고정삽(52)과 가동삽(51)으로 이루어진 닫쳐 있는 파종삽(5) 안에 낙하시키게 된다.
이어서 손잡이(12)를 가압하던 힘을 제거하게 되면 스프링(7)의 복원력이 파종기(100)를 상승시키면서 자연스럽게 가동삽(51)을 벌려 종자를 파종홈에 투입시킴과 동시에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사용 중인 종자홈의 반대편에 위치한 종자홈은, 랙기어로드(6)에 의해 피니언(4)이 회전하면서 종자공급장치(3)를 회전시킬 때 회전은 하더라도 종자공급은 하지 않아 공회전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그 권리범위가 전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발명의 목적과 사상 안에서도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고, 이러한 변형은 단순한 설계변경 정도의 변형이라 볼 수 있기에 당연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종자통 2 : 파종홈 성형부 3 : 종자공급장치
3a : 본체 3b : 회전노브 3c : 이송체
4 : 피니언 5 : 파종삽 6 : 랙기어로드
7 : 스프링 12 : 손잡이 32, 32' : 종자홈부
32a, 32a': 종자홈 34, 34' : 조절편 41 : 베이스
s : 스크루 h : 환형홈 p : 핀
100 : 파종기

Claims (1)

  1. 파종기(100)의 종자통(1)과 파종홈 성형부(2) 사이에 설치되어 종자통(1) 내부에 충진된 작물의 종자를 일정량씩 파종홈 성형부(2)로 공급시키도록 된 종자공급장치(3)에 있어서,
    상기 종자공급장치(3)는 일단에 피니언(4)이 결합되는 사각축(31)이 구비되고, 양 측면에는 폭이 좁고 깊이가 얕은 종자홈부(32)와 폭이 넓고 깊이가 깊은 종자홈부(32')가 대향 형성되고, 상기 종자홈부(32)(32') 끝은 후술하는 이송체(3c)가 슬라이딩 이송되도록 관통된 슬라이드홈(33)을 가진 본체(3a)와,
    상기 본체(3a) 중심에 삽입 설치되어 핀(p)에 의해 빠지지 않으면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선단에 환형홈(h)을 가진 길이가 긴 스크루(s)가 구비된 회전노브(3b)와,
    상기 스크루(s)에 설치되고 슬라이드홈(33)에 삽입되어 회전노브(3b)에 의해 스크루(s)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전진 또는 후진하여 종자홈부(32)(32')의 크기를 길이방향으로 길거나 짧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조절편(34)(34)이 구비된 이송체(3c)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용 종자공급장치.
KR1020210035202A 2021-03-17 2021-03-17 파종기용 종자공급장치 KR202201299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202A KR20220129972A (ko) 2021-03-17 2021-03-17 파종기용 종자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202A KR20220129972A (ko) 2021-03-17 2021-03-17 파종기용 종자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9972A true KR20220129972A (ko) 2022-09-26

Family

ID=83452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5202A KR20220129972A (ko) 2021-03-17 2021-03-17 파종기용 종자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2997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23797B (zh) 一种玉米定向插种装置
KR100632430B1 (ko) 마늘파종기
KR102228840B1 (ko) 파종기
CN111819930B (zh) 甘蔗种植一体化旋耕机
KR20030013109A (ko) 비닐피복 파종기
JP4855543B1 (ja) ハンドタイプの播種器
CN112243640A (zh) 一种农地种植用种子播种机
KR20080082044A (ko) 다용도 씨앗 파종기
KR20220129972A (ko) 파종기용 종자공급장치
CN211184925U (zh) 一种辣椒播种覆膜机
KR20090022214A (ko) 고구마 순 파종장치
CN105850302A (zh) 旱地播种机
KR200221942Y1 (ko) 미맥 다기능 파종기
CN112930779A (zh) 一种高效的单手握持式农业播种机
CN205726934U (zh) 一种手自两用玉米播种机
GB2573503A (en) A device for direct seeding
KR20190094504A (ko) 비료 투입기
KR200480773Y1 (ko) 파종기
KR200242357Y1 (ko) 견인식 씨앗 파종기
CN203788681U (zh) 微型播种工具
KR20210103357A (ko) 파종용 종자공급 건
CN220674366U (zh) 一种玉米播种装置
CN220712038U (zh) 一种可控量的大豆播种机
CN217608245U (zh) 悬挂式苜蓿精量播种机
CN213523035U (zh) 一种新型多种作物兼用播种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