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9751A - 신발 커버를 갖는 우비 - Google Patents

신발 커버를 갖는 우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9751A
KR20220129751A KR1020210034421A KR20210034421A KR20220129751A KR 20220129751 A KR20220129751 A KR 20220129751A KR 1020210034421 A KR1020210034421 A KR 1020210034421A KR 20210034421 A KR20210034421 A KR 20210034421A KR 20220129751 A KR20220129751 A KR 20220129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cover
raincoat
shoe
band
tigh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4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9373B1 (ko
Inventor
권용록
Original Assignee
(주)레오파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레오파드 filed Critical (주)레오파드
Priority to KR1020210034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9373B1/ko
Publication of KR20220129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9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00Overgarments
    • A41D3/02Overcoats
    • A41D3/04Raincoa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6Oversho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 커버를 갖는 우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우비의 바지 하단 내부로 마련된 포켓에 신발 커버를 수납되게 하고, 비가 많이 내리는 경우 신발을 보호하기 위해 간단히 인출하여 신발 외부를 감싸도록 하는 것에 의해 실 특히 신발이 비에 젖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방수원단으로 된 겉감(10)의 내측에 안감(20)이 2중겹의 바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우비 하의(100)에 있어서,
상기 겉감(10)의 하단에 원단이 중첩되는 중첩부(30)를 통해 연결되는 신발커버(40)와, 상기 중첩부(30)의 상단에 이격된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제봉부(51)에 의해 연결되고, 그 하단부는 안감(20)의 끝단을 감싸는 밴드부(52)를 통해 서로 고정되어 겉감(10) 사이로 포켓(53)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연결부재(50)와, 상기 중첩부(30)와 밴드부(52)에는 암수 한쌍으로 대응되는 위치로 복수개 마련되는 스냅단추(62)(61)와, 상기 신발커버(40)의 하단 둘레를 따라 신발에 착용된 상태에서 조여지도록 하는 조임부재(7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신발 커버를 갖는 우비{Raincoat with shoe cover }
본 발명은 신발 커버를 갖는 우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우비의 바지 하단 내부로 마련된 포켓에 신발 커버를 수납되게 하고, 비가 많이 내리는 경우 신발을 보호하기 위해 간단히 인출하여 신발 외부를 감싸도록 하는 것에 의해 실 특히 신발이 비에 젖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비는 주로 우천(雨天)시 사람의 신체와 의류를 보호하기 위해 착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활동성을 위해 바지 형태로 된 하의와, 코트 형상의 상의로 각각 분할된 상태로 제작, 구입하여 예로서 등산용으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우비의 재질은 비닐 또는 나이롱과 같이 두께가 얇고 방수성이 우수한 합성수지재 천을 이용하여 제작하고 있다.
종래, 우비에는 신발을 보호하기 위한 신발커버가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운동화나 고가의 구두 또는 등산화를 착용한 상태에서 많은 비가 내리면 신발이 젖거나 가죽이 훼손되어 건조를 위한 불필요한 작업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손상으로 인해 경제적 피해를 주는 경우도 발생된다.
또한 예로서 등산화의 경우 산행중 비에 젖게 되면 무게가 무거워서 장시간 산행으로 다리에 피로가 가중되거나, 습기에 의해 발 주위의 피부에 손상을 주는 경우도 흔하다.
이러한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신발을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보호덮개로 일명 스패츠(spats)를 착용하는 경우가 많다.
스패츠는 통상적으로 무릎 아래에서부터 발목까지 감싸도록 설치되어 눈 또는 빗물로부터 발목부분 까지 보호하게 된다.
그러나, 이 스패츠는 신발 또는 등산화를 전체적으로 덮는 기능이 없고 방수 성능도 떨어지기 때문에 빗물이 신발이나 등산화에 스며드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별도의 스패츠를 구매해야 하고 따로 휴대 및 보관해야 하므로 많은 비로 인해 사용이 필요할 때 준비를 못하는 경우도 자주 발생될 뿐만 아니라 휴대시 부피가 커지고 착용이 복잡하기 때문에 사용에 번거로움을 느끼게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등록 특허공보 제10-1981168호 (등록일자 2019년05월16일) 국내 공개 특허공보 제10-2011-0011031호 (공개일자 2011년02월08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특히 하의 끝단 내측으로 마련된 포켓에 신발 전체를 보호할 수 있는 커버를 수납하고, 많은 양의 비나 눈에 의해 신발을 보호하고자 할 때 수납되어 있던 신발커버를 인출하여 간단히 신발을 감싸서 보호하는 것에 의해 신발이 젖거나 손상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신발 커버를 갖는 우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등산용 우비의 경우 산행중에 빗물이나 눈에 의해 등산화가 젖어서 무겁게 되거나, 장시간 보행으로 발 주변 피부가 손상되는 경우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신발 커버를 갖는 우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발 보호용 커버를 별도로 구입하거나 보관 및 휴대할 필요가 없고 착용이 간편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경제적인 이익과 사용의 편의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한 신발 커버를 갖는 우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 후 간단하게 하의 내부에 마련된 포켓을 통해 수납시켜 외관을 간결하게 유지할 수 있고 상품성이 우수한 신발 커버를 갖는 우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방수원단으로 된 겉감(10)의 내측에 안감(20)이 2중겹의 바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우비 하의(100)에 있어서,
상기 겉감(10)의 하단에 원단이 중첩되는 중첩부(30)를 통해 연결되는 신발커버(40)와,
상기 중첩부(30)의 상단에 이격된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제봉부(51)에 의해 연결되고, 그 하단부는 안감(20)의 끝단을 감싸는 밴드부(52)를 통해 서로 고정되어 겉감(10) 사이로 포켓(53)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연결부재(50)와,
상기 중첩부(30)와 밴드부(52)에는 암수 한쌍으로 대응되는 위치로 복수개 마련되는 스냅단추(62)(61)와,
상기 신발커버(40)의 하단 둘레를 따라 신발에 착용된 상태에서 조여지도록 하는 조임부재(7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발커버(40)의 하부으로는 신발의 앞굽과 뒷굽 사이의 오목한 부위에 걸어져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밴드(80)가 설치된다.
상기 조임부재(70)는 신발커버(40)의 하단 둘레를 따라 제봉에 의해 부착되며 탄성재로 된 탄성밴드(71)로 구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조임부재(70)는 신발커버(40)의 하단 둘레를 따라 제봉에 의해 중첩되도록 부착되는 안내밴드(72)의 내부로 조임끈(73)을 설치하고, 이 조임끈(73)이 관통되어 조임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끈고정(74)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신발커버(40)의 뒷굽 부분에는 조임끈(73)의 단부를 끼워서 유동되거나 걸리적 거리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한 끼움밴드(75)가 더 부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바지 형상의 우비 끝단 내측으로 마련된 포켓에 신발커버를 수납한 상태로 많은 양의 비나 눈에 의해 신발을 보호하고자 할 때 수납되어 있던 신발커버를 인출하여 간단히 신발을 감싸서 보호할 수가 있다.
따라서, 신발이 젖거나 손상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예로서 등산용 우비의 경우 산행중에 빗물이나 눈에 의해 등산화가 젖어서 무겁게 되거나, 장시간 보행으로 발 주변 피부가 손상되는 경우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신발 보호용 커버를 별도로 구입하거나 보관 및 휴대할 필요가 없고 착용이 간편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경제적인 이익과 아울러,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가 있다.
또, 사용 후에는 간단하게 하의 내부에 마련된 포켓을 통해 수납시켜 평상시에는 우비 전체의 외관을 간결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상품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지 형상으로 된 하의용 우비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신발 커버가 하의 우비 하단부로 인출된 상태를 보인 정면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신발 커버를 이용해 신발 외부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상태 사진.
도 4는 도 3의 정면 사진.
도 5는 도 2의 일부절결 단면도.
도 6은 도 5의 A부분 확대도.
도 7은 도 5의 B부분 확대도.
도 8은 암수로 이루어지는 스냅단추들에 포켓으로 신발커버가 수납된 상태를 보인 확대 단면도.
도 9는 신발커버가 신발에 장착되어 조임끈과 끈고정구를 이용해 조여지는 상태의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 확대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우비는 도면에서와 같이, 바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우비 하의(100)의 하단 내측으로 신발커버(40)를 수납하고, 우천 등에 필요에 의해 인출하여 신발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에서와 같이 바지 형상으로 성형되는 우비 하의(100)는 방수원단으로 된 겉감(10)의 내측으로 안감(20)이 2중겹으로 이루어진다.
안감(20)은 피부 또는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의류와 겉감이 직접 접촉되어 축축함이나 불쾌감을 느끼게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망사 또는 통풍이 양호하면서 촉감이 좋은 재질로 선택된다.
우비 하의(100)의 외측으로 위치되는 겉감(10)의 하단으로 신발커버(40)를 연장하게 된다.
신발커버(40)는 등산화나 운동화 등을 포함한 각종 신발들의 외부를 충분히 감쌀 수 있는 크기와 형상으로 된 겉감(10)과 동일 재질의 방수원단으로 별도로 성형하여 연결하거나, 또는 바지 형상으로 된 겉감(10)을 재단할 때 하나로 연결되는 구조로 성형할 수도 있다.
그리고, 겉감(10)의 끝단부와 신발커버(40) 사이 경계에 원단을 중첩시킨 상태로 제봉에 의해 중첩부(30)를 성형하게 된다.
이 중첩부(30)는 통상의 바지 하단을 일부 접어서 두껍게 마무리하는 단부분과 같은 형상과 역할을 갖게 되며, 이 중첩부(30)의 위치로는 스냅단추(60)를 설치하게 된다.
또, 상기 중첩부(30)의 상단 내측에 이격된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직물지 또는 방수 원단으로 된 연결부재(50)를 제봉부(51)를 부착하게 된다.
그리고, 연결부재(50)의 하단부는 안감(20)의 끝단을 감싸는 밴드부(52)를 통해 서로 고정되어 겉감(10)과 연결부재(50) 사이로는 포켓(53)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포켓(53)은 얇은 두께의 방수 원단으로 이루어지는 신발커버(40)가 내측으로 접어서 보관할 수 있는 크기의 공간으로 마련된다.
여기서, 포켓(53)을 형성하기 위하 제봉되는 연결부재(50)의 상단에는 겉감(10)과 연결부재(50)에 동시에 접착되는 방수테이프(54)를 더 부착하여 제봉선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틈새를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밴드부(52)는 연결부재(50)의 하단부로부터 안감(20)의 끝단부를 감싸지게 한 상태에서 제봉에 의해 각각 원단들이 중첩된 상태로 연결부재(50)와 안감(20)의 하단부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밴드부(52)와 중첩부(30)는 그 설치 높이가 대략 동일하게 위치된다.
이 밴드부(52)에는 중첩부(30)에 부착되는 스냅단추(60)와 대응되는 구조의 스냅단추(61)가 부착된다.
상기 중첩부(30)와 밴드부(52)에 각각 설치되는 스냅단추(62)(61)는 암수 한쌍으로 대응되는 위치로 적정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대략 3-4개 사이로 설치된다.
암수로 이루어지는 스냅단추(62)(61)를 서로 결합시키게 되면 상기 포켓(53) 내부로 신발커버(40)가 접어서 수납된 상태에서 하단 출구를 밀폐시켜 평상시 휴대중이나 하의 우비(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중 신발커버(40)가 이탈되는 경우를 방지하게 된다.(도 8)
그리고, 신발커버(40)가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스냅단추(62)(61)들을 인위적으로 풀어서 포켓(53)에 위치되어 있던 신발커버(40)를 하부로 인출시키게 된다.(도 2)
포켓(53)으로부터 인출시킨 신발커버(40)는 착용하고 있는 신발 외부로 감싸지게 덮어서 설치하게 된다.(도 3 및 도 4)
한편, 상기 신발커버(40)의 하단부에는 둘레를 따라 신발에 착용된 상태에서 신발 둘레를 따라 조여지도록 하는 조임부재(70)가 마련된다.
조임부재(70)로는 신발커버(40)의 하단 둘레를 따라 제봉에 의해 부착되며 탄성재로 된 탄성밴드(71)로 구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조임부재(70)는 신발커버(40)의 하단 둘레를 따라 제봉에 의해 중첩되도록 부착되는 안내밴드(72)의 내부로 조임끈(73)을 설치하고, 이 조임끈(73)이 관통되어 조임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끈고정(74)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신발커버(40)의 뒷굽 부분에는 조임끈(73)의 단부를 끼워서 유동되거나 걸리적 거리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한 끼움밴드(75)가 더 부착될 수 있다.(도 9)
그리고, 상기 신발커버(40)의 하부으로는 신발의 앞굽과 뒷굽 사이의 오목한 부위에 걸어져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밴드(80)가 설치된다.
따라서, 보행중 신발커버(40)가 사용자의 신발로부터 벗겨지거나 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신발커버(40)가 불필요로 하는 경우는 다시 접어서 포켓(53) 내부로 수납한 후 스냅단추(62)(61)들을 통해 포켓(53)의 개방된 출구를 밀봉하면 된다.
도면에서는 바지 형상으로 된 하의 우비(100)에 대해 예시하고 있으나, 상의가 연결되어 있는 우비에도 본 발명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하의 우비(100)의 하단 내부에 신발커버(40)를 보관한 상태로 필요에 의해 신발이 덮어지도록 간단히 장착하여 등산화를 포함한 고가의 신발들이 젖거나 훼손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어 있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 겉감
20 - 안감
30 - 중첩부
40 - 신발커버
50 - 연결부재
51 - 제봉부
52 - 밴드부
53 - 포켓
60,61 - 스냅단추
70 - 조임부재
80 - 걸림밴드

Claims (4)

  1. 방수원단으로 된 겉감(10)의 내측에 안감(20)이 2중겹의 바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우비 하의(100)에 있어서,
    상기 겉감(10)의 하단에 원단이 중첩되는 중첩부(30)를 통해 연결되는 신발커버(40)와,
    상기 중첩부(30)의 상단에 이격된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제봉부(51)에 의해 연결되고, 그 하단부는 안감(20)의 끝단을 감싸는 밴드부(52)를 통해 서로 고정되어 겉감(10) 사이로 포켓(53)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연결부재(50)와,
    상기 중첩부(30)와 밴드부(52)에는 암수 한쌍으로 대응되는 위치로 복수개 마련되는 스냅단추(62)(61)와,
    상기 신발커버(40)의 하단 둘레를 따라 신발에 착용된 상태에서 조여지도록 하는 조임부재(7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커버를 갖는 우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발커버(40)의 하부으로는 신발의 앞굽과 뒷굽 사이의 오목한 부위에 걸어져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밴드(8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커버를 갖는 우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재(70)는 신발커버(40)의 하단 둘레를 따라 제봉에 의해 부착되며 탄성재로 된 탄성밴드(7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커버를 갖는 우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재(70)는 신발커버(40)의 하단 둘레를 따라 제봉에 의해 중첩되도록 부착되는 안내밴드(72)의 내부로 조임끈(73)을 설치하고, 이 조임끈(73)이 관통되어 조임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끈고정(74)와, 신발커버(40)의 뒷굽 부분에는 조임끈(73)의 단부를 끼워서 유동되거나 걸리적 거리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한 끼움밴드(75)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커버를 갖는 우비.





KR1020210034421A 2021-03-17 2021-03-17 신발 커버를 갖는 우비 KR102619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421A KR102619373B1 (ko) 2021-03-17 2021-03-17 신발 커버를 갖는 우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421A KR102619373B1 (ko) 2021-03-17 2021-03-17 신발 커버를 갖는 우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9751A true KR20220129751A (ko) 2022-09-26
KR102619373B1 KR102619373B1 (ko) 2023-12-29

Family

ID=83452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4421A KR102619373B1 (ko) 2021-03-17 2021-03-17 신발 커버를 갖는 우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937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121Y1 (ko) * 2006-09-25 2006-12-15 최연구 비옷
KR20110011031A (ko) 2009-07-27 2011-02-08 박태교 우비용 장화
KR101957969B1 (ko) * 2018-04-23 2019-03-14 (주) 새롬아트 소방장화용 방수덧신
KR101981168B1 (ko) 2018-10-31 2019-05-22 최유나 우비신발 기능을 갖는 스패츠
CN210539000U (zh) * 2019-07-27 2020-05-19 湖南正招雨衣有限公司 一种具有可收纳鞋套功能的防水雨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121Y1 (ko) * 2006-09-25 2006-12-15 최연구 비옷
KR20110011031A (ko) 2009-07-27 2011-02-08 박태교 우비용 장화
KR101957969B1 (ko) * 2018-04-23 2019-03-14 (주) 새롬아트 소방장화용 방수덧신
KR101981168B1 (ko) 2018-10-31 2019-05-22 최유나 우비신발 기능을 갖는 스패츠
CN210539000U (zh) * 2019-07-27 2020-05-19 湖南正招雨衣有限公司 一种具有可收纳鞋套功能的防水雨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9373B1 (ko) 2023-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16336A (en) Protective overshoe
US20070214681A1 (en) Open toe boot with removable toe cover
US9820526B2 (en) Footwear cover system
US2024000019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ing boot comfort and style
KR200411392Y1 (ko) 덧신
US20140345033A1 (en) Sock construction
US6785983B2 (en) Boot provided with a gaiter
US20150189946A1 (en) Footwear with a pocket
US1620743A (en) Protector
US3380178A (en) Heel garment and combination footwear and heel garment
KR20220129751A (ko) 신발 커버를 갖는 우비
KR102060454B1 (ko) 휴대가 용이한 신발용 투명 방수 커버
WO2007031790A2 (en) Debris exclusion garment for use with footwear
KR200440891Y1 (ko) 덧버선
KR102181111B1 (ko) 신발 보호용 레인 커버
KR20110065083A (ko) 각반 부착형 안전화
KR200361372Y1 (ko) 스패츠기능을 갖춘 양말
KR102382571B1 (ko) 신발용 방수 커버
US20240057711A1 (en) Shoe cover
JP3222665U (ja) 地下たび
KR200164808Y1 (ko) 각반 및 각반 주머니가 부착된 신발(shoes having gaiter and gaiter-pocket)
KR101519103B1 (ko) 통기성 우의 하의
KR20120113536A (ko) 지퍼달린 신발
CN215303393U (zh) 高统透湿防水鞋
KR20070001118U (ko) 신발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