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8764A - 밀폐형 생체보존 이송용기 - Google Patents
밀폐형 생체보존 이송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28764A KR20220128764A KR1020210033295A KR20210033295A KR20220128764A KR 20220128764 A KR20220128764 A KR 20220128764A KR 1020210033295 A KR1020210033295 A KR 1020210033295A KR 20210033295 A KR20210033295 A KR 20210033295A KR 20220128764 A KR20220128764 A KR 2022012876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tissue
- sample
- vinyl
- seal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96—Casings for storing test sampl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1/00—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arts thereof
- A01N1/02—Preservation of living parts
- A01N1/0236—Mechanical aspects
- A01N1/0242—Apparatuses, i.e. devices used in the process of preservation of living parts, such as pumps, refrigeration devices or any other devices featuring moving parts and/or temperature controlling compon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8—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2—Adapting objects or devices to another
- B01L2200/025—Align devices or objects to ensure defined positions relative to each oth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8—Ergonomic or safety aspects of handling devices
- B01L2200/082—Handling hazardous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8—Ergonomic or safety aspects of handling devices
- B01L2200/085—Protection against injuring the us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18—Transport of container or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1—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 B01L2300/044—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pierceable, e.g. films, membra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72—Integrated piercing too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nt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에 유해한 생체 조직 보존액이 조직 채취자에게 노출되지 않으면서, 조직 채취자가 채취한 조직을 검체 용기에 담은 후, 생체 조직 보존액을 제1 용기에서 제2 용기로 주입하여 조직 검사 장소로 이송할 때 조직의 손상없이 이송할 수 있는 생체 조직 보존을 위한 밀폐형 생체보존 이송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피검자로부터 채취한 생체 조직 등을 보존액에 담아 검체 조직세포의 변형없이 검사 장소까지 이송할 수 있도록 생체 조직 보존을 위한 밀폐형 생체보존 이송용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인체에 유해한 생체 조직 보존액이 조직 채취자에게 노출되지 않으면서, 조직 채취자가 채취한 조직을 검체 용기에 담은 후, 제1 용기에 수용된 생체 조직 보존액을 제2 용기로 이동시켜 조직 검사 장소로 이송할 때 검체 조직의 검체 조직세포의 변형없이 이송할 수 있는 밀폐형 생체보존 이송용기에 관한 것이다.
검체 보존액으로는 포름알데히드(HCHO)를 대략 37% 함유한 수용액인 포르말린이 많이 사용된다. 포르말린은 단백질의 응고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검체의 조직 내에 침투하여 검체 조직이 손상되지 않고 검체를 채취된 상태로 보전한다. 포르말린은 휘발성이 강하고, 심한 자극적인 냄새가 있다.
다량의 포르말린을 흡입할 경우 중추신경계의 장애, 쇼크 또는 혼수상태에 빠질 수 있으며, 다량의 포르말린을 복용할 경우, 심장쇠약과 사망에 이를 수 있으며, 포르말린은 1급 발암성이 있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이송 용기는 생체 조직를 채취하여 넣거나, 생체 조직을 용기로부터 꺼낼 때, 이송 용기에 저장된 포르말린이 용기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기술로 등록특허공보 제10-1736745호에 개시된 검체용기는 보존액을 별도의 공간에 밀봉시키고 있다가 사용 시에만 검체 조직을 보존하기 위한 보존액을 용기로 주입할 수 있다.
캡부에 절취유닛을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밀봉시트의 절개가 용이하도록 한 구성이나, 검체가 용기의 상부에서 공기와 맞닿는 경우에 조직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검체 조직이 용기의 하부 바닥과 닿는 면적이 넓을 경우에 검체가 손상될 확률이 높은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종래기술로 등록특허공보 제10-1798330호에 개시된 검체용기는 포르말린이 누설되는 것을 억제하여, 작업자가 유해한 포르말린에 노출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고,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검체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나, 검체가 용기의 상부에서 공기와 맞닿는 경우에 조직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검체 조직을 최대한 손상없이 검사 장소로 이동하기 위한 검체 용기를 제작하되, 검체 조직을 보존하기 위한 조직 보존액이 휘발성이 강하고 인체 유해한 용액이므로, 조직 채취자가 보존액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제1 용기와 제2 용기로 나누어 제작된 밀폐형 생체보존 이송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로, 검체 보존액이 저장된 제1 용기의 하부에는 비닐코팅된 은박지로 보존액이 누출되지 않도록 밀폐되어 있고, 보존액 내부에 비닐코팅된 은박지를 파과(破瓜) 또는 파열하는 절단용 부재가 내장되어 조직을 채취한 후, 제1 용기와 제2 용기를 밀폐되게 결합한 후, 누름 버튼을 눌러서 비닐코팅된 은박지를 절단하여 보존액을 제2 용기로 이동시키므로 인체 유해한 보존액이 작업자에게 노출되지 않는 밀폐형 생체보존 이송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로, 제1 용기의 하부에 검체부유방지용 부재가 삽입 체결되어 검체 조직이 보존액 상부의 공기에 노출되어 생체 조직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밀폐형 생체보존 이송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로, 절단용 부재에는 제1 용기 최상단에 설치된 누름 버튼을 누를 경우에 절단용 부재의 최하단에 설치된 웨이브 형상의 원형 톱날에 상부에서 누르는 힘 전달을 효율적으로 작용시켜 비닐코팅된 은박지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는 밀폐형 생체보존 이송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로, 절단용 부재의 상부에는 누름 버튼을 누를 경우에 누르는 힘이 원형 톱날 전체에 골고루 분산 전달될 수 있도록 십자형 걸림부와 십자형 걸림부를 견고하게 지지하면서 원형으로 돌출된 상부 돌출부가 형성된 밀폐형 생체보존 이송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로, 제1 용기 최상단에 설치되는 누름 버튼은 인체 무해한 실리콘 또는 고무재질로 상부로 둥글게 돌출되게 형성하여 누를 때 미끄러지지 않고 힘이 쉽게 절단용 부재로 전달되고 보존액 저장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밀폐형 생체보존 이송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로, 제2 용기의 상부 내측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제1 용기의 하부 외측에 형성된 수나사와 체결되며, 제2 용기 내부 하부 바닥에는 검체가 최대한 보존액과 맞닿도록 하여 검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검체 손상 방지용 돌출부를 형성하고, 검체를 제2 용기에 주입할 때 핀셋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제2 용기 상부 내측에 검체 분리용 돌출부가 설치된 밀폐형 생체보존 이송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 과제의 해결 수단은 검체 조직을 채취하기 전까지 검체 보존액을 밀폐 수용하기 위한 제1 용기와, 검체 조직을 채취한 후, 채취된 검체 조직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검체를 보존액 속에 보관하기 위한 제2 용기를 포함하며, 제1 용기에 수용된 보존액은 제1 용기와 제2 용기를 서로 밀폐되게 체결된 상태에서 절단용 부재로 제1 용기의 밀폐부를 절단하여 보존액을 제2 용기로 이동시켜 조직 채취자가 보존액에 노출되지 않으면서 생체 조직을 온전히 보존하도록 구성된 밀폐형 생체보존 이송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제1 용기 하부에는 검체 조직을 보존할 때 사용될 보존액을 수용하기 위하여 비닐코팅된 은박지(밀폐부)로 접착 밀폐시킨 밀폐형 생체보존 이송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제1 용기에 수용되는 보존액 내부에는 제1 용기의 하부에 보존액을 밀봉하기 위한 비닐코팅된 은박지가 접착 설치되고, 접착된 비닐코팅된 은박지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용 부재가 설치된 밀폐형 생체보존 이송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제1 용기 상부에는 절단용 부재를 아래로 눌러서 힘을 가하여 제1 용기에 수용된 보존액을 밀봉하고 있는 비닐코팅된 은박지가 절단되도록 누르는 힘을 가할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로 만든 누름 버튼이 설치된 밀폐형 생체보존 이송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절단용 부재에는 검체 조직을 채취하기 전까지 제1 용기에 수용된 보존액이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제1 용기 내부 상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려서 아래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십자형 걸림부가 형성된 밀폐형 생체보존 이송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절단용 부재의 하부에는 원형 톱날의 끝단을 웨이브 형상으로 형성하여 누름 버튼에서 누르는 힘을 초기에 적은 면적에 전달되게 하여 쉽게 비닐코팅된 은박지를 뚫을 수 있도록 구성된 밀폐형 생체보존 이송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절단용 부재의 하부에 형성된 원형 톱날은 가장자리의 높낮이가 서로 다르게 웨이브 형상으로 원주를 따라 형성하되, 비닐코팅된 은박지가 완전히 절단 분리되어 이동하지 않도록 원주의 일부에 톱날을 형성하지 않은 톱날 미형성부를 구비한 밀폐형 생체보존 이송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비닐코팅된 은박지로 밀봉된 제1 용기의 하부에는 검체 조직이 공기에 노출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검체 보존액이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도록 복수의 원형 방사형 공간이 형성된 검체부유방지용 부재가 삽입 체결된 밀폐형 생체보존 이송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제2 용기 바닥에는 검체 조직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검체 조직이 제2 용기와 직접 맞닿는 면적을 줄이기 위하여 복수의 원형 돌출부가 형성된 밀폐형 생체보존 이송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제2 용기의 상부에는 검체 조직을 핀셋으로 집어서 제2 용기로 옮길 때, 검체 조직을 제2 용기의 내부에서 핀셋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제2 용기의 상부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검체 분리용 돌출부가 형성된 밀폐형 생체보존 이송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제1 용기 하부 외측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제2 용기 상부 내측에는 암나사를 형성하여 서로 체결할 경우에 보존액이 누출되지 않게 씰링되도록 구성된 밀폐형 생체보존 이송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검체 조직을 보존하기 위한 조직 보존액이 인체 유해한 용액이므로, 조직 채취자에게 용액이 노출되지 않도록 제1 용기와 제2 용기로 나누며, 보관은 제1 용기에 수용하고, 이를 서로 밀봉시킨 후 보존액을 생체 조직이 주입되는 제2 용기로 이동시키므로 보존액에 조직 채취자에게 노출되지 않는 상승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용기의 하부에 검체부유방지용 부재를 삽입 체결시켜 검체 조직이 보존액 상부에 부유되지 않게 함으로써 검체가 공기에 노출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 절단용 부재에는 제1 용기 최상단에 설치된 누름 버튼을 누를 경우에 절단용 부재의 최하단에 설치된 웨이브 형상의 원형 톱날에 힘을 절달하되, 누르는 힘을 효율적으로 톱날에 전달하므로 비닐코팅된 은박지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는 상승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 절단용 부재의 상부에는 십자형 걸림부와 십자형 걸림부를 견고하게 지지하면서 상부로 돌출된 원형 돌출부가 형성되어 누름 버튼을 누를 경우에 누르는 힘이 원형 톱날 전체에 골고루 분산 전달될 수 있는 상승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제1 용기 최상단에 설치된 누름 버튼을 인체 무해한 실리콘 또는 고무재질로 상부로 둥글게 돌출되게 형성하여 누를 때 미끄러지지 않고 쉽게 절단용 부재로 전달하고, 보존액의 수용공간을 늘일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 제2 용기의 내부 하부 바닥에는 검체가 보존액과 최대한 서로 맞닿게 하여 검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원형 돌출부를 형성하고, 제2 용기의 상부 내측 원주 방향으로 검체 분리용 돌출부를 형성하여 검체를 제2 용기에 주입할 때 핀셋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상승된 효과가 있다.
도 1은 제1 용기와 제2 용기를 암수나사로 체결 결합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제1 용기를 도시한 것이며, 제2 용기와 결합시 상부에 위치한다.
도 3은 제2 용기를 도시한 것이며, 제1 용기와 결합시 하부에 위치한다.
도 4는 도 2의 제1 용기를 분해하여 제1 용기 본체, 내부에 위치하는 절단용 부재 및 검체부유방지용 부재를 분해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절단용 부재를 단독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검체부유방지용 부재를 단독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검체 조직 채취전 제1 용기에 삽입 체결된 절단용 부재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검체 조직 채취후 제1 용기의 하부에 부착된 비닐코팅된 은박지를 절단한 후의 절단용 부재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제1 용기에 보존액을 수용(보관)하기 위하여 밀봉하기 위한 방식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도 2는 제1 용기를 도시한 것이며, 제2 용기와 결합시 상부에 위치한다.
도 3은 제2 용기를 도시한 것이며, 제1 용기와 결합시 하부에 위치한다.
도 4는 도 2의 제1 용기를 분해하여 제1 용기 본체, 내부에 위치하는 절단용 부재 및 검체부유방지용 부재를 분해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절단용 부재를 단독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검체부유방지용 부재를 단독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검체 조직 채취전 제1 용기에 삽입 체결된 절단용 부재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검체 조직 채취후 제1 용기의 하부에 부착된 비닐코팅된 은박지를 절단한 후의 절단용 부재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제1 용기에 보존액을 수용(보관)하기 위하여 밀봉하기 위한 방식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본다.
본 발명은 검체 조직을 최대한 손상(변형)없이 검사 장소로 이동하기 위한 밀폐형 생체보존 이송용기를 제작하되, 검체 조직을 보존하기 위한 조직 보존액이 인체 유해한 용액이므로 조직 채취자에게 용액이 노출되지 않도록 제1 용기와 제2 용기로 나누어 생체조직을 안전하게 보존할 수 있는 밀폐형 생체보존 이송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검체 보존액이 저장된 제1 용기에는 생체조직 채취전에 검체 보존액을 수용하기 위하여 비닐코팅된 은박지로 누출되지 않도록 밀봉하고, 피검자로부터 채취한 생체 조직을 제2 용기에 넣고, 제1 용기와 제2 용기를 암수나사로 체결한 후, 용기 상부에 설치된 누름 버튼을 눌러서 제1 용기 하부의 밀폐부를 절단하여 검체 보존액을 제2 용기로 이동시켜 검체가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살펴본다.
<실시 예>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을 바탕으로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명세서 상의 '용기', '밀폐형 생체보존 이송용기'는 피검자로부터 채취한 생체 조직을 보존액에 담아서 조직을 손상(변형)이 없이 보관 이송하기 위한 용기로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본 발명의 명세서 상의 '검체 보존액', 생체 조직 보존액', '보존액' 은 검체를 보존하기 위하여 용기에 보관되는 액체로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본 발명의 명세서 상의 '검체 조직', '생체 조직', '조직', '검체' 는 피검자로부터 채취한 조직을 어감상 각각 달리 표현한 것일 뿐 동일한 의미이며, 본 발명의 이송용기에 보관되는 대상을 말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상의 '제1 용기'와 '제2 용기'의 표현은 서로 다른 용기라는 의미 외에 특별한 의미가 없다.
본 발명의 명세서 상의 도면 부호는 동일한 부품이라도 용이한 이해를 위하여 서로 다른 도면에서 서로 다른 도면 부호를 부여한다.
도 1은 제1 용기와 제2 용기를 암수나사로 체결 결합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제1 용기를 도시한 것이며, 제2 용기와 결합시 상부에 위치한다.
도 3은 제2 용기를 도시한 것이며, 제1 용기와 결합시 하부에 위치한다.
도 4는 도 2의 제1 용기를 분해하여 제1 용기 본체, 내부에 위치하는 절단용 부재 및 검체부유방지용 부재를 분해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절단용 부재를 단독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검체부유방지용 부재를 단독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검체 조직 채취전 제1 용기의 절단용 부재가 제1 용기 내부에 위치한 상태이며, 이는 절단용 부재의 걸림부가 걸림턱 상부에 위치한 상태이다.
도 8은 검체 조직 채취후 제1 용기의 하부에 부착된 비닐코팅된 은박지를 절단한 후, 절단용 부재의 원형 톱날이 제1 용기의 하단(밀폐부)을 뚫고 나온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제1 용기에 보존액을 수용(보관)하기 위하여 밀봉하기 위한 접착 위치 및 방식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도 1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제2 용기(도1의 13)의 상부 내측에는 암나사가 형성되며, 제1 용기(도1의 12)의 하부 외측에 형성된 수나사가 형성되어 서로 체결되어 씰링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 용기와 제2 용기는 암수나사 체결 또는 다양한 체결 방법으로 서로 결합 가능하며, 결합 후 보존액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씰링되도록 구성되고, 검체를 넣기 위하여 용이하게 열고 닫을 수 있으면 된다.
본 발명의 제1 용기와 제2 용기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본다.
제1 용기는 본 발명에 따른 검체 용기의 상부에 위치하며, 검체 보존액을 생체 조직 채취 전까지 수용 보관한다.
제1 용기에 수용되는 검체 보존액의 양은 제2 용기에 검체 조직을 넣고 제1 용기 하부에 밀봉된 비닐코팅된 은박지 등을 절단하여 하부의 제2 용기로 이동시킬 경우에 검체가 항상 보존액에 잠겨 있을 수 있는 정도이다.
제1 용기(도2의 21)의 상부에는 누름 버튼(도2의 22)이 설치되어 있다.
누룸 버튼(도2의 22)은 인체 무해한 실리콘 또는 고무 등의 탄성을 가지면서 미끄러지지 않는 재질로 상부가 볼록하게 형성되어, 손으로 누를 경우에 미끄러지지 않으면서 절단용 부재를 하부로 밀어서 제1 용기 하부에 밀봉된 비닐코팅된 은박지가 쉽게 절단되도록 힘을 가할 수 있다.
누름 버튼(도2의 22)은 제1 용기(도2의 21)의 상부를 보존액이 누출되지 않게 밀봉하는 역할도 하며, 상부를 볼록하게 형성하여 엄지 손가락과 용이하게 맞닿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형성할 경우에 제1 용기(도2의 21)의 내부 공간이 다소 넓어져 보존액의 수용량을 다소 높일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누름 버튼(도2의 22)의 색상을 서로 다르게 제작할 경우에 생체조직의 종류 또는 처리 보존액을 구별할 필요가 있는 검체 조직을 구별하여 보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2에서, 상기 제1 용기(도2의 21)의 누룸 버튼(도2의 22)과 하부에 밀봉된 비닐코팅된 은박지사이에는 보존액이 보관되며, 보존액 내부에는 절단용 부재(도2의 22)가 설치되어 있다.
보존액 내부에 설치된 절단용 부재(도5의 51)는 누룸 버튼(도2의 22)를 누를 경우에 하부로 이동하여 하부에 밀봉된 비닐코팅된 은박지를 절단용 부재의 하부에 설치된 웨이브 형상의 원형 톱날(도5의 52)로 절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원형 톱날(도5의 52)의 끝부분을 웨이브 형상으로 형성한 것은 상부에서 누르는 힘이 작은 면적에 전달되므로 쉽게 비닐코팅된 은박지를 뚫을 수 있고, 뚫은 후, 원주 전체가 절단되도록 작용하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원형 톱날(도5의 52) 끝부분의 웨이브 형상은 도 7과 도 8의 상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 상의 '원형 톱날'은 원형으로 형성된 톱날 형상의 절단부를 의미한다.
상기 절단 원리는 누르는 힘(압력)이 동일할 때, 접촉 면적이 작을 때가 클 때보다 더 큰 힘이 전달되므로 웨이브 형상의 원형 톱날(도5의 52)은 상부에서 누르는 힘으로 비닐코팅된 은박지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
원형 톱날(도5의 52)은 원주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것보다 일부분에 톱날을 형성하지 않은 톱날 미형성부(도5의 57)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비닐코팅된 은박지가 절단되어 제1 용기(도2의 21)로부터 분리되어 용기 내부에서 돌아다니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부착된 비닐코팅된 은박지를 효율적으로 절단을 위하여 원형 톱날의 위치를 제1 용기 내측 벽에서 내측 방향으로 1㎜ 내지 4㎜ 정도 간격을 유지하도록 원형 톱날(도5의 52) 외측에 원주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돌출된 간격유지부(도5의 56)가 형성되어 있다.
절단용 부재(도5의 51)는 인체 무해한 플라스틱 재질로 성형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검체를 보존하기 전까지는 보존액 속에 위치하므로 부피를 최소하면서 상부에서 누르는 힘에 견딜 수 있도록 성형 제작되어 있다.
절단용 부재(도5의 51)의 부피가 클 경우에는 설정된 량의 보존액을 수용하여야 하는 제1 용기의 부피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절단용 부재(도5의 51)는 원형 톱날(도5의 52), 힘 전달부(도5의 53), 걸림부(도5의 54) 및 힘을 하부로 용이하게 전달하기 위한 상부 돌출부(도5의 55)를 구비하고 있다.
원형 톱날의 구성 및 효과는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반복 기재를 피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힘 전달부(도5의 53)는 제1 용기의 상부에 위치한 누름 버튼(도2의 22)에서 엄지 손가락으로 누를 경우에 누르는 힘을 하부의 원형 톱날(도5의 52)로 전달할 수 있도록 설정된 길이로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힘 전달부(도5의 53)는 상부에서 누르는 힘을 원형 톱날(도5의 52)에 골고루 전달하고 견고하게 지지하면서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소정간격으로 복수개(4개)의 지지대로 구성되어 있다.
걸림부(도5의 54)는 검체를 용기에 보존하기 전(누름 버튼을 엄지 손가락으로 누르기 전)까지 절단용 부재(도5의 51)가 제1 용기 상부 내측에 원주를 따라 돌출되어 둥글게 형성된 걸림턱에 걸려서 하부로 내려오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걸림턱은 제1 용기 상부 내측에 원주를 따라 0.5㎜ 내지 3㎜ 정도 돌출되게 둥글게 형성되며, 걸림부(도5의 54)가 걸림턱에 걸려 있을 경우에 하부의 원형 톱날(도5의 52)이 비닐코팅된 은박지에 닿지 않으면서 누름 버튼을 누를 경우에 누르는 힘이 원형 톱날(도5의 52)에 전달되어 비닐코팅된 은박지가 용이하게 절단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 명세서에서는 제1 용기의 하부에 보존액을 보존하기 위하여 비닐코팅된 은박지 등으로 밀폐시키는 구성을 넓은 의미로 '밀폐부'라고도 한다.
걸림부(도5의 5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형으로 형성되어 걸림턱에 걸릴 수 있도록 걸림턱에 의하여 형성되는 직경보다 길게 형성되고 제1 용기 내부 직경보다 짧게 형성되어 걸림턱에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걸림부(도5의 54)는 부피를 줄이면서 누르는 힘을 전체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십자형으로 형성하였으나, 그 수를 늘이거나 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십자형으로 형성된 걸림부(도5의 54)의 가장자리는 누름 버튼을 누를 경우에 걸림턱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탈하여 아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둥근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십자형으로 형성된 걸림부(도5의 54)의 중앙에는 4개의 십자형으로 형성된 걸림부를 견고하게 잡아주면서 누름 버튼에서 누르는 힘을 효율적으로 하부로 전달하기 위하여 걸림부의 중앙에 원형으로 소정 높이로 상부로 돌출되게 상부 돌출부(도5의 55)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부의 중앙에 형성되는 소정 직경을 가진 원형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는 이유는 엄지 손가락으로 누르는 점을 고려하여 엄지 손가락으로 누를 때 손가락 표면의 탄성을 흡수하면서 누르는 힘을 하부로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
검체 보존액으로는 주로 포름알데히드(HCHO)를 대략 37% 함유한 수용액인 포르말린이 많이 사용된다. 포르말린은 발암성이 있는 물질로 인체 유해한 물질이므로 검체 채취시 작업자에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제1 용기는 검체 보존액을 생체조직 채취전까지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소정의 보존액을 주입한 후 통상의 비닐코팅된 은박지로 밀봉하는 방식으로 안전한 상태에서 밀폐된다.
밀봉하는 하나의 예는 플라스틱 용기에 요구르트 및/또는 우유 등을 주입하고, 비닐코팅된 은박지로 밀봉할 때와 동일 내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이다.
비닐코팅된 은박지로 밀봉된 제1 용기의 하부에는 검체 조직이 공기에 노출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검체 보존액이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는 검체부유방지용 부재(도6의 61)가 삽입 체결되어 있다.
검체부유방지용 부재(도6의 61)는 인체 무해한 플라스틱 사출물로 성형 제작되며, 비닐코팅된 은박지로 밀봉된 제1 용기의 하부에 탄성을 이용한 강제 끼움으로 삽입 체결된다.
검체부유방지용 부재(도6의 61)의 상부 내측에는 걸림턱이 0.2㎜ 내지 2㎜ 정도로 형성되고, 제1 용기 하부 가장자리가 외측으로 다소(0.2㎜ 내지 2㎜ 정도) 튀어나오록 성형 제작되어 플라스틱의 탄성을 이용하여 강제 끼움으로 삽입 체결된다.
검체부유방지용 부재(도6의 61)의 높이는 검체 조직을 제2 용기에 넣은 후 제1 용기의 보존액을 제2 용기로 이동시켰을 경우에 검체부유방지용 부재의 하부보다 다소 높게 형성되어 검체 조직이 공기에 노출되지 않고 보존액에 잠길 수 있으면 된다.
검체부유방지용 부재(도6의 61)의 하부에는 보존액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중심점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복수의 보존액 이동공간(도6의 64, 틈)이 형성되어 있다.
보존액이 자유롭게 이동하는 보존액 이동공간(도6의 64)은 원형 또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보존액이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검체 조직과 직접 맞닿는 면적이 작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 용기에 보관된(수용된) 검체 조직이 공기에 노출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 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상의 수치의 상한과 하한은 용기의 크기 또는 다양한 조건에 따라 그 범위를 벗어날 수 있다.
제2 용기는 피검자의 생체 조직을 채취하여 담기 위한 검체 수용공간이며, 검체를 넣기 전까지는 비어있는 상태이다.
제2 용기는 생체 조직이 주입되고, 제1 용기와 제2 용기에 형성된 암수나사에 의하여 견고하게 체결시킨 후, 제1 용기의 상부에 설치된 누름버튼을 누름에 의하여 제1 용기에 저장된 보존액을 제2 용기로 이동시켜 생체 조직이 손상되지 않도록 보존한다.
제2 용기는 생체 조직 또는 보존액이 보일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성형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용기의 하부에는 채집된 조직이 보존액과 직접 접촉하는 면적이 많아서 최대한 손상되지 않도록 소정 간격으로 원형으로 상부로 돌출된 원형 돌출부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제2 용기의 하부에 형성된 원형 돌출부의 폭은 0.1㎜ 내지 2㎜사이로 형성하고, 높이는 0.5㎜ 내지 4㎜ 정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용기의 상부 내측에는 검체를 핀셋으로 집어서 제2 용기로 옮길 때 검체 조직을 제2 용기의 내부에서 핀셋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키기 위하여 내측 원주 방향으로 돌출되게 검체 분리용 돌출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검체 분리용 돌출부는 누름 버튼을 강하게 눌렀을 경우에 제1 용기 하부에 위치한 검체부유방지용 부재가 제2 용기 하부로 깊숙히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검체 분리용 돌출부는 제2 용기의 상부 내측에 원주 방향으로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돌출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생체보존 이송용기의 보호 범위를 요약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는 검체 조직을 채취하기 전까지 검체 보존액을 밀폐 수용하기 위한 제1 용기와, 검체 조직을 채취한 후, 채취된 검체 조직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존액 속에 보관하기 위한 제2 용기를 포함하며, 제1 용기에 밀폐 수용된 보존액은 제1 용기와 제2 용기를 체결된 상태에서 절단용 부재로 밀폐부를 절단하여 제2 용기로 이동시켜 검체 채취자가 보존액에 노출되지 않으면서 검체 조직을 안전하게 보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로, 제1 용기 하부에는 검체 조직을 보존할 때 사용될 보존액을 수용하기 위하여 비닐코팅된 은박지로 접착 밀폐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로, 제1 용기에 수용되는 보존액 내부에는 제1 용기의 하부에 보존액을 밀봉하기 위한 비닐코팅된 은박지가 접착 설치되고, 접착된 비닐코팅된 은박지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용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로, 제1 용기 상부에는 절단용 부재를 아래로 눌러서 힘을 가하여 제1 용기에 수용된 보존액을 밀봉하고 있는 비닐코팅된 은박지가 절단되도록 힘을 가할 때 미끄러지지 않고 온전히 전달되도록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로 만든 누름 버튼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로, 절단용 부재에는 검체 조직을 채취하기 전까지 제1 용기에 수용된 보존액이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제1 용기 내부 상부에 원주를 따라 형성된 걸림턱에 걸려서 아래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십자형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로, 절단용 부재의 하부에는 원형 톱날의 끝부분을 웨이브 형상으로 형성하여 누름 버튼에서 누르는 힘이 작은 면적에 작용되게 하여 쉽게 비닐코팅된 은박지를 뚫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로, 절단용 부재의 하부에 형성된 원형 톱날은 가장자리를 높낮이가 서로 다르게 웨이브 형상으로 원주를 따라 형성하되, 비닐코팅된 은박지가 완전히 절단 분리되어 이동하지 않도록 원주의 일부에 톱날을 형성하지 않은 톱날 미형성부를 두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로, 절단용 부재의 하부에 형성된 원형 톱날의 외측에는 비닐코팅된 은박지를 효율적으로 절단을 위하여 원형 톱날의 위치를 내측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원형 톱날 외측에 원주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간격 유지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로, 비닐코팅된 은박지로 밀봉된 제1 용기의 하부에는 검체 조직이 공기에 노출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검체 보존액이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도록 복수의 이동공간들이 형성된 검체부유방지용 부재가 삽입 체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로, 제2 용기 바닥에는 검체 조직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검체 조직이 제2 용기와 직접 맞닿는 면적을 줄이기 위하여 복수의 원형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로, 제2 용기의 상부에는 검체 조직을 핀셋으로 집어서 제2 용기로 옮길 때 검체 조직을 제2 용기의 내부에서 핀셋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키기 위하여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검체 분리용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로, 제1 용기 하부 외측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제2 용기 상부 내측에는 암나사를 형성하여 서로 체결할 경우에 보존액이 누출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로, 제1 용기 상부에 설치되는 누름 버튼은 구분이 필요한 검체 조직을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색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생체보존 이송용기의 보호 범위는 앞서 기술한 구성을 바탕으로 보다 다양하게 기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인체에 유해한 생체 조직 보존액이 조직 채취자에게 노출되지 않으면서, 조직 채취자가 채취한 조직을 검체 용기에 담은 후, 생체 조직 보존액을 제1 용기에서 제2 용기로 이동시켜 조직 검사 장소로 이송할 때 생체 조직의 손상없이 이송할 수 있는 생체 조직 보존을 위한 밀폐형 생체보존 이송용기를 제공하여 생체조직 채취자를 보호하고 검체를 손상없이 이송할 수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높다.
11; 생체 조직 이송용기 12; 제1 용기
13; 제2 용기
21; 제1 용기 22; 누름 버튼
23; 수나사 24; 검체부유방지용 부재
31; 제2 용기 32; 암나사
33; 볼록부
41; 제1 용기 42; 절단용 부재
43; 검체부유방지용 부재 44; 누름 버튼
45; 원형 톱날
51; 절단용 부재 52; 원형 톱날
53; 힘 전달부 54; 걸림부
55; 상부 볼록부 56; 간격 유지부
57; 톱날 미형성부
61; 검체부유방지용 부재 62; 걸림턱
63; 걸림홈 64; 보존액 이동공간
13; 제2 용기
21; 제1 용기 22; 누름 버튼
23; 수나사 24; 검체부유방지용 부재
31; 제2 용기 32; 암나사
33; 볼록부
41; 제1 용기 42; 절단용 부재
43; 검체부유방지용 부재 44; 누름 버튼
45; 원형 톱날
51; 절단용 부재 52; 원형 톱날
53; 힘 전달부 54; 걸림부
55; 상부 볼록부 56; 간격 유지부
57; 톱날 미형성부
61; 검체부유방지용 부재 62; 걸림턱
63; 걸림홈 64; 보존액 이동공간
Claims (13)
- 밀폐형 생체보존 이송용기에 있어서,
검체 조직을 채취하기 전까지 검체 보존액을 밀폐 수용하기 위한 제1 용기와,
검체 조직을 채취한 후, 채취된 검체 조직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존액 속에 보관하기 위한 제2 용기를 포함하며,
제1 용기에 밀폐 수용된 보존액은 제1 용기와 제2 용기를 서로 밀폐되게 체결된 상태에서 절단용 부재로 제1 용기 하부의 밀폐부를 절단하여 제2 용기로 이동시켜 검체 채취자가 보존액에 노출되지 않으면서 검체 조직을 보존하도록 구성된 밀폐형 생체보존 이송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제1 용기 하부의 밀폐부는 검체 조직을 보존할 때 사용될 보존액을 수용하기 위하여 비닐코팅된 은박지로 접착 밀폐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생체보존 이송용기. - 제2항에 있어서,
제1 용기에 수용되는 보존액 내부에는 제1 용기의 하부에 보존액을 밀봉하기 위한 비닐코팅된 은박지가 접착 설치되고,
접착된 비닐코팅된 은박지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용 부재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생체보존 이송용기. - 제3항에 있어서,
제1 용기 상부에는 절단용 부재를 아래로 눌러서 힘을 가하여 제1 용기에 수용된 보존액을 밀봉하고 있는 비닐코팅된 은박지가 절단되도록 힘을 가할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로 만든 누름 버튼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생체보존 이송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절단용 부재에는 검체 조직을 채취하기 전까지 제1 용기에 수용된 보존액이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제1 용기 내부 상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려서 아래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십자형 걸림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생체보존 이송용기. - 제4항에 있어서,
절단용 부재의 하부에는 원형 톱날의 끝부분을 웨이브 형상으로 형성하여 누름 버튼에서 누르는 힘이 적은 면적에 작용되게 하여 쉽게 비닐코팅된 은박지를 뚫을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생체보존 이송용기. - 제6항에 있어서,
절단용 부재의 하부에 형성된 원형 톱날은 가장자리를 높낮이가 서로 다르게 웨이브 형상으로 원주를 따라 형성하되, 비닐코팅된 은박지가 완전히 절단되어 분리되어 이동하지 않도록 원주의 일부에 톱날을 형성하지 않은 톱날 미형성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생체보존 이송용기. - 제2항에 있어서,
절단용 부재의 하부에 형성된 원형 톱날의 외측에는 비닐코팅된 은박지를 효율적으로 절단을 위하여 원형 톱날의 위치를 내측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원형 톱날 외측에 원주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간격 유지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생체보존 이송용기. - 제2항에 있어서,
비닐코팅된 은박지로 밀봉된 제1 용기의 하부에는 검체 조직이 공기에 노출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검체 보존액이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도록 복수의 원형 틈이 형성된 검체부유방지용 부재가 삽입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생체보존 이송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제2 용기 바닥에는 검체 조직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검체 조직이 제2 용기와 직접 맞닿는 면적을 줄이기 위하여 복수의 원형 돌출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생체보존 이송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제2 용기의 상부에는 검체 조직을 핀셋으로 집어서 제2 용기로 옮길 때 검체 조직을 제2 용기의 내부에서 핀셋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키기 위하여 내측으로 원주를 따라 돌출되게 검체 분리용 돌출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생체보존 이송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제1 용기 하부 외측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제2 용기 상부 내측에는 암나사를 형성하여 서로 체결할 경우에 보존액이 누출되지 않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생체보존 이송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제1 용기 상부에 설치되는 누름 버튼은 구분이 필요한 경우를 위하여 검체 조직을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색상으로 제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생체보존 이송용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3295A KR20220128764A (ko) | 2021-03-15 | 2021-03-15 | 밀폐형 생체보존 이송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3295A KR20220128764A (ko) | 2021-03-15 | 2021-03-15 | 밀폐형 생체보존 이송용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28764A true KR20220128764A (ko) | 2022-09-22 |
Family
ID=83445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33295A KR20220128764A (ko) | 2021-03-15 | 2021-03-15 | 밀폐형 생체보존 이송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128764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3146794A1 (fr) * | 2023-03-22 | 2024-09-27 | Algoscope | Conditionnement de transport d’un prélèvement biologique dans un liquide de conservation pour examen histopathologiqu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36745B1 (ko) | 2016-11-16 | 2017-05-29 | 김종민 | 조직 보존을 위한 검체용기 |
KR101798330B1 (ko) | 2016-06-22 | 2017-12-12 | 이현구 | 검체용 용기 |
-
2021
- 2021-03-15 KR KR1020210033295A patent/KR20220128764A/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98330B1 (ko) | 2016-06-22 | 2017-12-12 | 이현구 | 검체용 용기 |
KR101736745B1 (ko) | 2016-11-16 | 2017-05-29 | 김종민 | 조직 보존을 위한 검체용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3146794A1 (fr) * | 2023-03-22 | 2024-09-27 | Algoscope | Conditionnement de transport d’un prélèvement biologique dans un liquide de conservation pour examen histopathologiqu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387725A (en) | Device for use in the collection and transportation of medical specimens | |
ES2866982T3 (es) | Conjunto de recipiente de recogida de muestras | |
US4808381A (en) | Fluid transfer device | |
US5186900A (en) | Blood collection and transportation assembly for evidentiary purposes | |
ES2633313T3 (es) | Dispositivo de recepción de muestras | |
US5202093A (en) | Sealing cap with a one way valve having semi-cylindrical valve closure springs | |
US4465200A (en) | Low contamination closure for blood collection tubes | |
US6921395B2 (en) | Liquid specimen collection system | |
US4111326A (en) | Closure for air evacuated container | |
US4492305A (en) | Package for collecting cultures | |
US5514339A (en) | Stopper of analysis test tubes | |
EP0158612A2 (en) | A volume variable vessel | |
US10653397B2 (en) | Vial useable in tissue extraction procedures | |
EP3328286B1 (en) | Disposable container of 30 or 90 ml for the storage and transportation of human tissue samples or organs to be subjected to histological examination | |
KR20070057817A (ko) | 생물학적 시료의 채취, 운반 및 투약 시스템 | |
AU665457B2 (en) | Needle stopper and needle removal device | |
US20220080404A1 (en) | Sample collection apparatus and uses thereof | |
KR102100840B1 (ko) | 검체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검체 수송배지 용기 | |
KR20220128764A (ko) | 밀폐형 생체보존 이송용기 | |
CN212640437U (zh) | 一种dna样本的保存装置 | |
EP0022765A1 (en) | TUBE AND PLUG FOR BLOOD DETECTION SYSTEMS. | |
US9839913B2 (en) | Medical specimen container | |
US4124044A (en) | Vented protective shield for capillary pipette | |
KR200384892Y1 (ko) | 감염성 폐기물 전용 용기 | |
US20230003712A1 (en) | Device for storing and dispensing strip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