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7073A - Flameless venting device for a battery of a electric car - Google Patents

Flameless venting device for a battery of a electric c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7073A
KR20220127073A KR1020210031633A KR20210031633A KR20220127073A KR 20220127073 A KR20220127073 A KR 20220127073A KR 1020210031633 A KR1020210031633 A KR 1020210031633A KR 20210031633 A KR20210031633 A KR 20210031633A KR 20220127073 A KR20220127073 A KR 20220127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lammatory
valve body
valve
module cas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16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종원
박정수
은재원
Original Assignee
에프디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디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프디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1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7073A/en
Publication of KR20220127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707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83Flame arresting or ignition-prevent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17Re-sealable arrangements
    • H01M50/325Re-sealable arrangements comprising deformable valve members, e.g. elastic or flexible valve members
    • H01M50/333Spring-loaded vent val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5Gas exhaust passages comprising elongated, tortuous or labyrinth-shaped exhaust passages
    • H01M50/358External gas exhaust passages located on the battery cover or ca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20Pressure-sensi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Filling, Topping-Up Batteries (AREA)

Abstract

Provided is an anti-inflammatory exhaust device which is installed in an electric vehicle battery pack and relieves flame and high-pressure gas generated in a battery. According to the anti-inflammatory exhaust device for a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dule casing (30) has a communication hole (32) through which the flame and the gas generated inside are discharged in one side. And, a partial cone-shaped anti-inflammatory exhaust body (22) mounted in one side of the module casing (30) includes a plurality of anti-inflammatory channels (14) in which the flame and the gas discharged through a communication hole (32) of the module casing (30) pass through the inside, are deflated, and are cooled. And, a connec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guides the flame and the gas discharged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to the anti-inflammatory channels without external outflow. And, a relief valve (Va) installed on a front cover (20) momentarily discharges high pressure generated inside to the outside.

Description

전기차의 배터리 소염배기장치{Flameless venting device for a battery of a electric car}Electric vehicle battery anti-inflammatory exhaust device {Flameless venting device for a battery of a electric car}

본 발명은 전기차의 배터리에 대한 소염배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차용 배터리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배터리 모듈 또는 배터리 팩에서 외부로 화염이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전기차의 배터리 소염배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i-inflammation and exhaust system for a battery of an electric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when a fire occurs in a battery for an electric vehicle, a battery of an electric vehicle configured to prevent flames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from a battery module or battery pack It relates to an anti-inflammatory exhaust system.

최근 상용화되기 시작한 전기차의 구동원으로 사용되는 배터리는 외력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내부 온도의 급격한 상승 및 화염 발생의 우려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정확한 원인이 알려지지는 않고 있지만, 최근 배터리를 적어도 구동원의 일부로 사용하는 자동차에서, 이와 같은 배터리의 화재 등의 사고가 빈빈하게 일어나고 있다. 그리고 자동차의 배터리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에 대하여, 인접한 배터리모듈로 화염이 전파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야 하고, 배터리팩의 외부로 화염이 배출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A battery used as a driving source for an electric vehicle, which has recently started to be commercialized, may cause a rapid increase in internal temperature and a risk of flame generation due to various causes including external force. And although the exact cause is not known, recently, accidents such as a fire of the battery frequently occur in automobiles using at least a battery as a driving source. In addition, with respect to a fire that may occur in the battery of a vehicle, it should be possible to suppress the propagation of the flame to the adjacent battery module, and to prevent the flame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battery pack.

선행 특허문헌의 일례인 한국 특허 공개 제10-2017-14309호는 이와 같은 자동차용 배터리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에 대한 안전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선행 특허문헌에 의하면, 이차전지의 내부 또는 외부에 화염방지망을 설치하는 것만을 주제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화염이 예를 들면 모듈의 외부로 나가는 것만을 방지하는 화염방지망을 설치하는 것만으로는 화재의 억제 등에 대하여 한정된 효과를 가질 뿐이다.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14309, which is an example of a prior patent document, proposes a safety device against fire that may occur in such an automobile battery. According to these prior patent documents, it can be seen that the topic is only to install a flame arrester inside or outside the secondary battery. However, only by installing a flame arrester that prevents only the flame from going out of the module in this way, for example, has only a limited effect on suppression of fire.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용 배터리의 배터리모듈에서 발생한 고온 또는 화재 등에 대하여 인접한 모듈로 전파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전기 자동차용 소염배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ti-inflammatory exhaust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capable of maximally suppressing the propagation of high temperature or fire generated in a battery module of a vehicle battery to an adjacent modul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차용 배터리팩의 내부에서 발생한 화재에 기인하여, 화염의 외부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소염배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aid to provide an anti-inflammation exhaust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the outflow of flames due to a fire occurring inside a battery pack for a vehicl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동차용 배터리의 일부 또는 전체를 패키지화하고 있는 배터리모듈의 케이싱 또는 배터리팩의 케이싱 내부의 고압을 해소할 수 있음과 같이 화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소염배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nti-inflammatory exhaust device that prevents flames from leaking to the outside, such as being able to relieve the high pressure inside the casing of the battery module or the casing of the battery pack that packages part or all of the battery for a vehicle can be said to provide

본 발명에 의한 전기차의 배터리 소염배기장치에 의하면, 모듈케이싱은 내부에서 생성된 화염 및 가스가 나오는 연통공이 일측에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모듈케이싱의 일측에 장착되는 소염배기바디는, 모듈케이싱의 연통공을 통하여 나오는 화염 및 가스가 내부를 통과하면서 소염되고 냉각되는 다수의 소염채널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연결수단은, 연통공을 나오는 화염 및 가스를 외부 유출 없이 소염채널로 안내한다. According to the battery anti-inflammation and exhaust device of th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dule casing has a communication hole through which the flame and gas generated inside are formed on one side. And the anti-inflammatory exhaust body mounted on one side of the module casing, the flame and gas coming out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of the module casing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nti-inflammatory channels that are quenched and cooled while passing through the interior. And the connection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guides the flame and gas exiting the communication hole to the anti-inflammatory channel without external leakage.

본 발명의 실시례에 의하면, 소염채널은 소염배기바디의 내면과 외면 사이에서 성형되는 다수개로 구성되고, 연결수단은 연통공에 대응하도록 소염배기바디의 내면에 성형되는 연결공으로 구성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i-inflammatory channel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molded between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anti-inflammatory exhaust body, the connecting means is composed of a connection hol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anti-inflammatory exhaust body to correspond to the communication hole.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의하면, 소염채널은 소앰배기바디의 내면과 외면 사이에서 성형되는 다수개로 구성되고, 연결수단은 소염배기바디의 외면을 연장하여 연통공을 감싸면서 모듈케이싱에 밀착되도록 설치된다.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i-inflammatory channel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molded betwee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small air exhaust body, and the connecting means extends the outer surface of the anti-inflammatory exhaust body to surround the communication hole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module casing. is install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에 의하면, 연결수단은 모듈케이싱의 전면을 감싸면서 전면공간을 형성하는 전면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소염채널의 입구는 전면커버 내부의 전면공간에 위치하게 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means is configured to include a front cover that forms a front space while surrounding the front of the module casing, and the inlet of the anti-inflammatory channel is located in the front space inside the front cov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에 의하면 릴리프밸브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릴리프밸브체는, 전면커버에 성형된 밸브공에 밀착되어 배출통로를 막거나 밸브공에서 이격되어 배출통로를 형성하는 원뿔형상의 밸브바디와, 상기 밸브바디를 밸브공에 밀착시키는 탄성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면공간의 압력에 의하여 밸브바디가 탄성력의 힘을 이기고 배출공과의 사이에서 배출통로를 형성하거나 탄성부재의 힘에 의하여 배출공에 밀착되어 배출통로를 막게 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elief valve body. Here, the relief valve body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valve hole formed on the front cover to block the discharge passage or to be spaced apart from the valve hole to form a discharge passage, and a conical valve body, and an elastic member for attaching the valve body to the valve hole. can be Here, the valve body overcomes the force of the elastic force by the pressure of the front space and forms a discharge passage between the discharge hole and the discharge hole by the force of the elastic member to close the discharge passage.

이러한 실시례에서, 밸브바디는 부분적인 원뿔형상을 가지고, 밸브공은 밸브바디에 의하여 막히거나 열리는 대응하는 원뿔형상을 가지며, 밸브바디와 밸브공 사이에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배출통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embodiment, the valve body has a partial conical shape, the valve ball has a corresponding conical shape blocked or opened by the valve body, and a discharge passage having a certain length is formed between the valve body and the valve ball. desirable.

이러한 실시례에서, 밸브바디는 축중심에서 전면커버에 의하여 지지되는 지지축에 의하여 안내되어, 밸브바디와 밸브공 사이의 배출통로를 밸브바디의 전체 외측면에서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embodiment, the valve body is guided by the support shaft supported by the front cover at the center of the shaft, so that the discharge passage between the valve body and the valve hole is preferably spaced at a constant distance from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valve body. .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에 의하면, 모듈케이싱의 일면에 설치되고, 내부에서 발생한 고압의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공을 구비하는 지지통과; 스프링에 의하여 밸브공을 막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모듈케이싱의 내부에서 생성되는 고압이 작용하면 스프링에 대항하여 밸브공을 열게 되는 밸브바디로 구성되는 릴리프밸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밸브바디는 부분적인 원뿔형상을 가지고, 밸브공은 밸브바디에 의하여 막히거나 열리는 대응하는 원뿔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stalled on one surface of the module casing, the support passage having a discharge hole for discharging the high-pressure gas generated therein; 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relief valve that is elastically supported in a direction to block the valve ball by a spring, and is composed of a valve body that opens the valve ball against the spring when a high pressure generated inside the module casing acts.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valve body has a partial conical shape, and the valve hole has a corresponding conical shape which is blocked or opened by the valve body.

이상과 같은 발명에 의하면, 전기차의 배터리 내부에서 발생한 화염 및 가스는, 자동차용 배터리를 구성하는 다수의 모듈케이싱의 외측면에 부착된 소염배기장치를 통과하게 된다. 여기서 소염배기장치의 소염채널을 통과하는 동안, 화염은 산소 부족에 의하여 제거되고, 고온 가스는 저온화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배터리모듈의 내부에서 발생한 화염이 외부로 유출되면서 인접하는 모듈로 화염이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flames and gases generated inside the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pass through the anti-inflammatory exhaust device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a plurality of module casings constituting the battery for the vehicle. Here, while passing through the anti-inflammatory channel of the anti-inflammatory and exhaust device, the flame is removed due to lack of oxygen, and the high temperature gas is inevitably lowered. Therefore, the advantage of preventing the flame from spreading to adjacent modules as the flame generated inside the battery module is leaked to the outside can be expected.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릴리프밸브체는, 실질적으로 배터리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가 허용 압력 이상으로 고압으로 되면, 순각적으로 가스를 외부로 배기시켜서 내부 압력을 저압화하게 된다. 따라서 불의에 발생할 수 있는 폭발이나 고압에 의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고, 상술한 소염채널을 통한 소염 및 저온화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And, the relief valve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bstantially lowers the internal pressure by evacuating the gas to the outside when the gas generated inside the battery becomes higher than the allowable pressur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olve problems caused by explosion or high pressure that may occur unexpectedly, an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anti-inflammatory and low temperature through the above-described anti-inflammatory channel.

도 1은 본 발명 장치가 설치된 배터리모듈 케이싱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배기장치가 설치된 배터리모듈 케이싱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배기장치가 설치된 배터리모듈 케이싱의 일부 단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장치의 중간 부분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릴리프밸브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릴리프밸브의 동작을 설명하는 예시 단면도.
도 7은 다른 실시례의 릴리프밸브의 사시도.
도 8은 다른 실시례의 릴리프밸브의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module casing in which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attery module casing in which the exhaus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3 is a partial 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battery module casing in which the exhaus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 4 is a longitudinal section in the middle of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elief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emplary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relief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lief valve of another embodiment.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lief valve of another embodiment;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Nex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소염배기바디(10)는, 배터리모듈의 외관을 형성하는 모듈케이싱(30) 내부에서 발생한 화재로 인하여, 모듈케이싱(30)의 내부에서 나오는 화염을 제거(소염)함과 동시에 가스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실시례에 의하면, 모듈케이싱(30)의 양측면에 소염배기바디(10)가 각각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anti-inflammatory exhaust body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omes out of the module casing 30 due to a fire occurring inside the module casing 30 forming the exterior of the battery module. It is installed to remove (extinguish) the flame and cool the gas at the same time. An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s 1 and 2, it can be seen that the anti-inflammatory exhaust body 10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module casing 30, respectively.

다수의 배터리셀이 내장되어 있는 모듈케이싱(30)의 양측(소염배기바디가 설치되는 면)에는, 모듈케이싱(1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공(32)이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모듈케이싱(30)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소염배기바디(10)는, 모듈케이싱(30)의 길이 방향(도면을 중심으로 보면 좌우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소염채널(14)을 구비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소염채널(14)는 길이가 긴 것이 소염에 유리하기 때문에, 소염배기바디(10)는 모듈케이싱(30)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communication hole 32 for communicating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module casing 1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odule casing 30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embedded (the surface on which the anti-inflammatory exhaust body is installed). And the anti-inflammatory exhaust body 10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module casing 30, respectively,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nti-inflammatory channels 14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dule casing 30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when looking at the center of the drawing) have. As can be seen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anti-inflammation channel 14 is advantageous in anti-inflammation if the length is long, so the anti-inflammatory exhaust body 10 is preferably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dule casing 30 .

여기서 소염배기바디(10)는 배터리의 용량 등에 기초하여 설계 위치가 달라질 수 있어서, 궁극적으로는 모듈케이싱(30)의 외측에 설치되는 것으로도 충분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바람직한 실시례라고 할 수 있는 모듈케이싱(30)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소염배기바디(10)를 예로 들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Here, the anti-inflammatory exhaust body 10 may have a different design position based on the capacity of the battery, and ultimately, it can be said that it is sufficient to be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module casing 30 . And, below, the anti-inflammatory exhaust body 10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module casing 30, which can be said to be a preferr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수의 소염채널(14)은 실질적으로 소염배기바디(10)에서 길이가 긴 방향으로 성형되어, 모듈케이싱(30) 내부에서 나온 화염이 그 내부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산소 부족으로 자체적으로 소염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소염채널(14)은 실질적으로 연통공(32)과 인접한 부분(모듈케이싱 및 소염배기바디의 선단부)에 입구를 가지고 있으며, 모듈케이싱(30)의 후단부까지 연장된 후 열린 상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소염채널(14)의 입구는 모듈케이싱(30)의 내부와 연통되어 있고, 소염채널(14)의 출구는 외부와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As can be seen from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anti-inflammatory channels 14 are substantially formed in the long direction in the anti-inflammatory exhaust body 10, so that the flame from the inside of the module casing 30 is discharged therein. It is configured to self-extinguish due to lack of oxygen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it. This anti-inflammation channel 14 has an inlet at a portion (the front end of the module casing and anti-inflammatory exhaust body) adjacent to the communication hole 32, and has an open state after extending to the rear end of the module casing 30. .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inlet of the anti-inflammatory channel 14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inside of the module casing 30, and the outlet of the anti-inflammatory channel 14 is connected to the outside.

이러한 소염채널(14)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2에서 도 4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외면(12)과 내면(11) 사이에서 다수의 칸막이에 의하여 형성되는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다수의 채널로 구성하는 것이 전체적으로 가스의 충분한 배기량을 확보할 수 있어서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도시한 실시례에서, 이와 같은 다수의 소염채널(14)은 실질적으로 모듈케이싱(30)에 성형된 연통공(32)과 기밀 상태 연결되어야 한다. The anti-inflammatory channel 14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shapes, an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2 to 4 , a plurality of square cross sections formed by a plurality of partitions between the outer surface 12 and the inner surface 11 . It is considered that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channel as it is possible to secure a sufficient amount of exhaust gas as a whol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such a plurality of anti-inflammatory channels 14 are substantially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hole 32 formed in the module casing 30 in an airtight state.

즉, 모듈케이싱(30)의 연통공(32)으로 나오는 가스 및 화염은 다른 부분으로 유출되지 않고, 전부가 다수의 소염채널(14) 속으로 분배되어 배출되어야 한다. 이러한 화염 및 가스의 연결 통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한 실시례에서는, 소염채널(14)의 내면(11)에 연통공(32)과 동일한 형태의 연결공(16)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소염배기바디(10)가 모듈케이싱(30)의 측면에 결합되면, 상술한 연결공(16)은 연통공(32)과 긴밀하게 결합된다. That is, the gas and flame coming out of the communication hole 32 of the module casing 30 do not flow out to other parts, and all should be distributed and discharged into the plurality of anti-inflammatory channels 14 . In order to form a connection path between the flame and the ga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 a connection hole 16 of the same shape as the communication hole 32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11 of the anti-inflammatory channel 14 . . Therefore, when the anti-inflammatory exhaust body 10 is coupl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module casing 30 , the above-described connection hole 16 is closely coupled to the communication hole 32 .

그리고 모듈케이싱(30)에 성형된 연통공(32)을 소염채널(14)로 긴밀하게 연결하기 위한 구성은 상술한 실시례에 의하여 한정될 수 있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소염배기바디(10)의 외면(12) 중에서 선단부(12a)를 이용하여 상술한 연통공(32)을 완전히 덮을 수 있도록 하면서 측면에 밀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연통공(32)을 나오는 고온 가스가 전부 소염채널(14)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And it is obvious that the configuration for closely connecting the communication hole 32 formed in the module casing 30 to the anti-inflammatory channel 14 may not be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For example, by using the tip portion 12a of the outer surface 12 of the anti-inflammatory exhaust body 10 to completely cover the communication hole 32 described above an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the communication hole 32 exits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allow all of the high-temperature gas to enter the anti-inflammatory channel 14 .

본 발명에서는 모듈케이싱(30) 내부의 가스가 소염채널(14)의 내부로 안내함으로써 소염 및 냉각을 달성하고 있다. 여기서 모듈케이싱(30) 내부의 가스를 소염채널(14)로 안내하는 구성에 대하여, 위에서는 연결공(16)과 연통공(32)을 이용한 연결, 그리고 소염배기바디의 외면(12) 선단부(12a)를 이용한 연통 연결을 들고 있으나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한정될 수 없다. 예를 들면 모듈케이싱(30)의 연통공(32)과 소염패널(14)의 입구를 외부에 대하여 기밀상태로 덮을 수 있는 것이면, 형상 및 구조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고, 모듈케이싱(30)과 소염패널(14) 사이를 외부에 대한 유출없이 연결하는 연결수단으로 충분할 것으로 생각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as inside the module casing 30 is guided to the inside of the anti-inflammatory channel 14 to achieve anti-inflammatory and cooling. Here, with respect to the configuration for guiding the gas inside the module casing 30 to the anti-inflammatory channel 14, the connection using the connection hole 16 and the communication hole 32 from the top, and the outer surface 12 of the anti-inflammatory exhaust body ( Although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sing 12a) is presented, it cannot be limited by this embodiment. For example, if the communication hole 32 of the module casing 30 and the inlet of the anti-inflammatory panel 14 can be covered in an airtight state with respect to the outside, it is not limited by the shape and structure, and the module casing 30 and the anti-inflammatory It is thought that the connection means for connecting the panels 14 without leaking to the outside will be sufficient.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모듈케이싱(30)의 연통공(32)을 통하여 외부로 나오는 화염 및 가스는 모두 다수의 소염채널(14) 속으로 들어갈 수 있을 것이다. 모듈케이싱(30) 내부의 화재 등에 기인하여 발생한 고온의 가스 및 화염이 소염배기바디(10)의 소염채널(14) 속으로 들어가게 되면, 화염은 긴 소염채널(14)을 통과하면서 내부의 산소를 전부 소진시키게 된다. 따라서 소염채널(14) 내부로 들어간 화염은 일정 간격 이동하다가 전부 소염될 수밖에 없게 된다. 이렇게 되면, 실질적으로 소염채널(14)을 통과하는 화염은 전부 제거되어 출구를 통하여 나오는 화염은 없어질 수밖에 없다. With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ll flames and gases coming out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32 of the module casing 30 will be able to enter into the plurality of anti-inflammatory channels 14 . When the high-temperature gas and flame generated due to a fire, etc. inside the module casing 30 enter the anti-inflammatory channel 14 of the anti-inflammatory and exhaust body 10, the flame passes through the long anti-inflammatory channel 14 to release oxygen inside. it will all be exhausted. Therefore, the flame entering the anti-inflammation channel 14 is inevitably extinguished while moving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is case, substantially all of the flame passing through the anti-inflammatory channel 14 is removed, and the flame coming out through the outlet is inevitably eliminated.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모듈케이싱(30)의 연통공(32)을 통하여 나오는 화염은 소염채널(14)을 통과하면서 전부 제거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소염채널(14)의 내부에서 화염이 제거되는 것과 같이, 소염채널(14)의 출구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소염채널(14)의 입구에서 출구로 갈수록 온도가 점점 떨어지는 것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즉, 모듈케이싱(30)의 내부에서 발생한 고온의 가스는 소염채널(14)을 통과하면서 점점 온도가 떨어지게 되어 출구를 통하여 나오는 가스는 훨씬 저온화된 상태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the flame coming out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32 of the module casing 30 can be completely removed while passing through the anti-inflammatory channel 14 . As such, as the flame is removed from the inside of the anti-inflammatory channel 14, since the outlet of the anti-inflammatory channel 14 is open, it is natural that the temperature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of the anti-inflammatory channel 14. . That is, the high-temperature gas generated inside the module casing 30 is gradually lowered in temperature while passing through the anti-inflammatory channel 14, so that the gas coming out through the outlet is in a much lower temperature state.

도 5는 소염채널(14A)를 구비하고 있는 소염배기바디(10A)가 모듈케이싱(30)의 상부에 설치되는 실시례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례에서도 소염채널(14A)은, 외면(12)의 선단부(12a)와 전면커버(20)을 통하여 외부와 격리된 상태에서, 연통공(도시 생략)을 통하여 모듈케이싱(30)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구성된다. 즉, 본 실시례에서 전면커버(20)는, 모듈케이싱(30)의 전면을 전체적으로 기밀상태로 커버하고 있다. Figure 5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anti-inflammatory exhaust body (10A) having an anti-inflammatory channel (14A)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dule casing (30). Also in this embodiment, the anti-inflammatory channel (14A), in a state isolat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front end (12a) and the front cover (20) of the outer surface (12),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not shown) through the module casing (30) insid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front cover 20 covers the entire front of the module casing 30 in an airtight state.

그리고 소염배기바디(10A)에 길이 방향으로 성형되는 다수의 소염채널(14A)은, 개구된 선단부가 전면커버(20)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례에서도, 모듈케이싱(30) 내부의 폭발 등으로 인하여 발생한 화염 및 가스는 소염채널(14A)의 내부로 모두 유입될 수밖에 없다. 본 실시례에서는, 소염배기바디(10A)에서, 모듈케이싱(30)의 내부와 소염채널(14A)를 기밀상태로 연결시키는 연결수단은, 모듈케이싱(30)의 전면을 커버하고 있는 전면커버(20)라고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And a plurality of anti-inflammatory channels (14A)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anti-inflammatory exhaust body (10A), the opened front end is located inside the front cover (20). Therefore, even in this embodiment, flames and gases generated due to an explosion inside the module casing 30 are all inevitably introduced into the anti-inflammatory channel 14A. In this embodiment, in the anti-inflammatory exhaust body 10A, the connection means for connecting the inside of the module casing 30 and the anti-inflammatory channel 14A in an airtight state is a front cover ( 20) can be seen.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모듈케이싱(30)의 내부에서 발생한 모든 화염 및 가스는 소염배기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성형된 소염채널을 따라 안내되면서, 소염 및 저온화가 진행된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소염채널과 모듈케이싱의 내부를 연결하기 위하여, 모듈케이싱(30)의 연통공에 대응하는 연결공을 소염배기바디 내면에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고, 별도의 부재(전면커버 등)를 통하여 모듈케이싱(30)에 성형된 연통공을 소염채널과 서로 연결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all flames and gases generated inside the module casing 30 are guided along the anti-inflammatory channel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nti-inflammatory exhaust body, and anti-inflammation and lowering of the temperature can be said to proceed. Here, in order to connect the anti-inflammatory channel and the inside of the module casing,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connection hole corresponding to the communication hole of the module casing 30 on the inner surface of the anti-inflammatory exhaust body, and the module casing through a separate member (front cover, etc.)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 communication hole formed in (30)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 the anti-inflammatory channel.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듈케이싱(30) 내부에서 생성된 화염 및 가스는 본 발명의 소염채널을 통하여 배출되면서 화염이 제거되고 온도가 떨어진다. 그런데 모듈케이싱(30)의 내부에서 폭발 등에 의하여 압력이 급격하게 상승하는 경우에는 위에서 설명한 소염패널에 의한 배기만으로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다음에는 모듈케이싱(30) 내부의 압력이 급격하게 상승하였을 경우, 압력을 저하시키기 위한 장치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flame and gas generated inside the module casing 30 are discharged through the anti-inflammatory channel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flame is removed and the temperature is lowered. However, when the pressure is rapidly increased due to an explosion or the like inside the module casing 30, there is no choice but to limit the exhaust by the anti-inflammatory panel described above. Next, when the pressure inside the module casing 30 rises sharply, a device for lowering the pressure will be described.

이러한 경우에는 급격히 높아진 압력을 순간적으로 외부로 배기시킬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모듈케이싱(30)의 내부에서 발생한 폭발 등의 경우를 대비하여, 내부의 가스 및 화염을 외부로 순간적으로 방출시킬 수 있는 장치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이러한 경우에도 가스가 순간적으로 외부로 방출되더라도, 화염은 같이 외부로 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함은 당연하다.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instantaneously exhaust the rapidly increased pressure to the outside. As such, in preparation for an explosion occurring inside the module casing 30, a device capable of instantaneously emitting gas and flames inside will be described. Even in this case, even if the gas is momentarily released to the outside, it is of course desirable to prevent the flame from going out together.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듈케이싱(30)의 전면에 설치되는 전면커버(20)는 실질적으로 모듈케이싱(30)의 전면을 기밀 상태로 커버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전면커버(20)와 모듈케이싱(30)의 전면 사이에는 일정한 크기의 전면공간(FR)이 형성되고, 이러한 전면공간(FR)은 소염채널(14A)과 연통하고 있음과 동시에, 도시하지 않은 구멍(연통공)을 통하여 모듈케이싱(30)의 내부와도 연통하고 있다. As shown in FIG. 6 , the front cover 20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odule casing 30 is installed to substantially cover the front surface of the module casing 30 in an airtight state. Therefore, a front space (FR) of a certain size is formed between the front cover 20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module casing 30, and this front space (FR)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anti-inflammatory channel 14A and at the same time, not shown. It is also in communication with the inside of the module casing 30 through a hole (communication hole).

따라서 모듈케이싱(30)의 내부에서 화염 및 가스가 발생하게 되면, 이들은 소염채널(14A)을 통하여 외부로 배기되면서 소염 및 냉각이 진행된다. 본 실시례에 의하면, 상술한 소염배기바디(10A) 이외에, 모듈케이싱(30) 내부에서 고압이 발생한 경우, 이러한 고압을 외부로 순간적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릴리프밸브체(Va)가 전면커버(20)에 설치되어 있다.Therefore, when flames and gases are generated inside the module casing 30, they are exhaus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nti-inflammatory channel 14A, and anti-inflammation and cooling procee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anti-inflammatory exhaust body (10A), when a high pressure is generated inside the module casing (30), a relief valve body (Va) for momentarily discharging this high pressure to the outside is provided in the front cover (20) is installed on

전면커버(20) 이면의 전면공간(FR)의 고압 가스을 순간적으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릴리프밸브체(Va)는, 도시한 바와 같은 부분적인 원뿔형상을 가지는 밸브바디(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밸브바디(22)는 전면커버(20)에 성형된 대응하는 원뿔형상의 밸브공(24)을 개폐할 수 있도록 성형된다. 이러한 밸브바디(22) 및 밸브공(24)은 서로 밀착되면, 전면 공간이 기밀 상태로 되고, 밸브바디(22)가 밸브공(24)에서 전방으로 이격되면 그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내부의 가스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게 된다. The relief valve body Va for momentarily discharging the high-pressure gas in the front space FR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cover 20 to the outside is configured to include a valve body 22 having a partial conical shape as shown. . This valve body 22 is molded to open and close the corresponding conical valve hole 24 molded on the front cover 20 . When the valve body 22 and the valve hole 24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front space becomes an airtight state, and when the valve body 22 is spaced forward from the valve hole 24, the gas inside is passed through the gap therebetween. can leak out.

밸브바디(22)와 밸브공(24)은, 모두 원뿔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그 두께에 대응하는 면접촉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자가 이격되면 두께에 대응하는 거리에 상당하는 길이를 가지는 배출통로(N)가 형성되고, 내부의 고압 가스는 이러한 배출통로(N)를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오게 된다. 그리고 전면 공간의 내부에 고압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밸브바디(22)는 스프링(28)에 의하여 항상 밸브공(24)에 밀착되도록 힘을 받고 있다. The valve body 22 and the valve hole 24 both have a conical shape, and form a surface contact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thereof. Therefore, as shown in FIG. 6, when the two are spaced apart, a discharge passage (N)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is formed, and the high-pressure gas insid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is discharge passage (N). do. And in the state where the high pressure is not formed in the interior of the front space, the valve body 22 receives a force so as to always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valve hole 24 by the spring 28 .

도 6에 도시한 실시례에서, 스프링(28)은 지지축(26)에 설치되어 있고, 지지축 선단의 헤드(26a)와 밸브바디(22)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따라서 스프링(28)은 밸브바디(22)를 후방으로, 즉 닫히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고 있다. 그리고 지지축(26)은 전면커버(20)의 이면에 고정되어 있는 지지대(29)에 의하여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지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지지축(26)은 지지대(29)에 나사 결합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대(29)은 지지축(26)을 지지할 수 있도록, 밸브바디(22)의 후면 일부만 커버하고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6 , the spring 28 is provided on the support shaft 26 , and is interposed between the head 26a at the tip of the support shaft and the valve body 22 . Accordingly, the spring 28 applies an elastic force to the valve body 22 in the rearward, ie, closing direction. And the support shaft 26 is supported so as to protrude forward by the support 29 fix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front cover 20 . For example, the support shaft 26 may be supported by screw coupling to the support 29 . Here, it will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support 29 covers only a part of the rear surface of the valve body 22 so as to support the support shaft 26 .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 장치에서, 모듈케이싱(30) 내부에서 이상이 발생한 화염 및 가스는 연통공(도시 생략)을 통하여 모듈케이싱(30)과 전면커버(20) 사이의 전면공간(FR)으로 나오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소염채널(14A)을 통하여 외부로 배기되면서 화염이 제거되고 냉각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여기서 모듈케이싱(30)의 내부에 발생한 이상이 예를 들면 폭발이라고 가정하면, 상술한 전면공간(FR)의 내부에는 상당한 고압이 생성된다. In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flame and gas generated abnormal inside the module casing 30 is the front space (FR) between the module casing 30 and the front cover 20 through a communication hole (not shown). ) comes out. And as described above, the flame is removed and cooled while being exhaus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nti-inflammatory channel 14A as described above. Here, if it is assumed that the abnormality generated inside the module casing 30 is, for example, an explosion, a considerable high pressure is generated inside the above-described front space FR.

이와 같이 고압이 생성되면 상술한 소염채널(14A)을 통해서 가스를 배출시키는 것은 불가능하게 되고, 일시적으로 충분한 양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면커버(20)에 설치되어 있는 하나 또는 다수의 릴리프밸브체(Va)가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전면커버(20) 후방의 전면공간(FR)에 높은 압력이 걸리게 되면, 밸브바디(22)는 이러한 압력의 힘에 의하여 스프링(28)을 압축하면서 전방으로 움직이게 된다. When the high pressure is generated in this way, it becomes impossible to discharge the gas through the above-described anti-inflammatory channel 14A, and it is preferable to temporarily discharge a sufficient amount of gas to the outside. One or a plurality of relief valve bodies Va installed on the front cover 20 perform such a function. When a high pressure is applied to the front space FR behind the front cover 20, the valve body 22 moves forward while compressing the spring 28 by the force of this pressure.

이러한 밸브바디(22)의 움직임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바디(22)와 밸브공(24) 사이에 배출통로(N)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전면공간(FR) 내부의 고압의 가스는 이러한 배출통로(N)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지지축(26)은 밸브바디(22)의 축중심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방으로 이동하는 밸브바디(22)는 지지축(26)에 의하여 안내되면서 실질적으로 전체 외주면에서 동일한 간격을 가지는 배출통로(N)를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고압의 가스가 일단 배출되고 나면, 전면커버(20) 후방의 전면공간(FR)에 잔류하는 가스는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되어 전체적인 폭발 등은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This movement of the valve body 22, as shown in FIG. 6, forms a discharge passage (N) between the valve body 22 and the valve hole (24). Therefore, the high-pressure gas inside the front space (F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is discharge passage (N). Here, since the support shaft 26 is disposed at the axial center of the valve body 22 , the valve body 22 moving forward is guided by the support shaft 26 while discharging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spacing on the entir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 passage (N) is formed. In this way, once the high-pressure gas is discharged, the gas remaining in the front space FR behind the front cover 20 is relatively low, so that an overall explosion will not occur.

여기서 배출통로(N)를 통하여 외부로 배기되는 가스의 속도가 상당히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예를 들어 상술한 전면공간(FR)에 걸려 있는 고압의 가스 성분 중에 화염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이러한 화염이 배출통로(N)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면 문제가 되는 것은 당연하다. 따라서 전면커버(20) 이면의 전면공간(FR)에 존재하는 화염이 배출통로(N)를 통하여 나가는 가스와 같이 배출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Here, the velocity of the gas exhaus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N) has a very important meaning. For example, if a flame is included in the high-pressure gas component hung in the above-described front space (FR), it is natural that such a flame leaks out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N) to the outside. Therefore, it is not preferable that the flame existing in the front space (FR) of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cover 20 is discharged like the gas exiting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N).

일반적으로 정해진 가스에 대한 화염전파속도가 알려져 있다. 상술한 배출통로(N)를 통과하는 가스의 속도가 이러한 화염전파속도보다 빠르게 형성되면 화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된다. 여기서 배출통로(N)를 통과하는 가스의 속도는. 통로의 단면적과 반비례하는데 배출통로(N)의 단면적이 좁을 수록 가스의 배출 속도는 빨라진다. 그리고 배출통로(N)의 단면적은 밸브바디(20)가 통과공(24)에서 이격되는 거리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In general, the flame propagation rate for a given gas is known. If the speed of the gas passing through the above-described discharge passage (N) is formed faster than this flame propagation speed, the flame does not flow out to the outside. Here, the velocity of the gas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N) is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assage, the narrower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discharge passage (N), the faster the gas discharge rate.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discharge passage (N)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distance the valve body 20 is spaced apart from the through hole (24).

여기서 밸브바디(20)의 이동 거리는 스프링의 힘, 즉 스프링상수와 관련이 있다. 전면커버(20) 내측의 전면공간(FR)의 압력이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배출통로(N)의 단면적은 스프링상수에 의하여 결정됨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배출통로(N)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고압 가스의 속도는 해당하는 가스의 화염전파속도보다 빠른 속도가 되도록 설정되어야 하기 때문에, 스프링(28)은 이러한 범위의 스프링상수를 가지도록 선택되어야 하는 것이다. Here, the moving distance of the valve body 20 is related to the force of the spring, that is, the spring constant. Assuming that the pressure of the front space (FR) inside the front cover 20 is the same, it can be seen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discharge passage (N) is determined by the spring constant. As described above, the speed of the high-pressure ga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N should be set to be faster than the flame propagation speed of the corresponding gas, so that the spring 28 has a spring constant in this range. it should be chosen

예를 들어 전면공간(FR)의 압력은 실질적으로 모듈케이싱의 압력과 동일한데, 정해진 이상의 압력이 걸리면 폭발 등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밸브바디는 이러한 고압에 의하여 이동하면서 배출통로(N)를 형성하여야 한다. 이때 배출통로(N)의 단면적은, 배출통로를 흐르는 가스의 속도가 해당하는 가스의 화염전파속도보다 빠르게 설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밸브바디(22)를 닫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는 스프링(28)의 스프링상수는, 밸브바디(22)에 의하여 형성되는 배출통로(N)의 단면적이 그 내부를 흐르는 가스의 속도가 화염전파속도보다 빠르게 흐를 수 있도록 설정되어야 하는 것이다. For example, the pressure of the front space (FR)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pressure of the module casing, and since there is a risk of explosion, etc. when a pressure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pressure is applied, the valve body must form a discharge passage (N) while moving by this high pressure. do. At this tim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discharge passage (N), the speed of the gas flowing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should be set faster than the flame propagation speed of the corresponding gas.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pring constant of the spring 28 pressing the valve body 22 in the closing direction is determined by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discharge passage N formed by the valve body 22 and the velocity of the gas flowing therein. It should be set to flow faster than the flame propagation speed.

그리고 밸브바디(22)가 열린 순간 동안, 모듈케이싱(30) 내부 및 전면공간(FR)에 있던 고압의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고 나면 스프링(28)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밸브바디(22)는 밸브공(24)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전면커버(20)를 다시 밀폐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순간적으로 내부의 고압가스를 외부로 분출시킴으로써 배터리 모듈의 폭발 등과 같은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배출통로(N)의 단면적을, 그 사이를 통과하는 가스의 속도가 화염전파속도보다 빠르게 유지될 수 있도록 스프링상수를 설정함으로써 화염의 유출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And during the moment when the valve body 22 is opened, after the high-pressure gas in the module casing 30 and the front space F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valve body 22 is close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28.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ball 24 to close the front cover 20 again. In this way, accidents such as explosion of the battery module can be prevented in advance by momentarily ejecting the high-pressure gas inside. Furthermore, by setting the spring constant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discharge passage (N), the speed of the gas passing therebetween can be maintained faster than the flame propagation spe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utflow of the flame.

다음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릴리프밸브체(20A)의 다른 실시례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이하 본 실시례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것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화하기로 한다. 상술한 실시례가 밸브바디(22)와 전면커버(30)의 밸브공(24) 사이에서 통로(N)가 형성되는 것임에 비하여, 본 실시례의 릴리프밸브체(20A)는 자체적으로 가스가 외부로 분출되는 배출통로를 구비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Next, another embodiment of the relief valve body 20A shown in FIGS. 7 and 8 will be described. Hereinafter,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descriptions of parts overlapping with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 omitted or simplified. In contrast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which the passage N is formed between the valve body 22 and the valve hole 24 of the front cover 30, the relief valve body 20A of this embodiment has its own gas. It can be said that it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passage that is ejected to the outside.

본 실시례의 릴리프밸브체(20A)는, 스프링(28A)에 의하여 배출통로를 막는 밸브바디(22A)와 전면커버(30)(도 3 참조)에 직접 장착되는 지지통(23A)을 포함하고 있다. 밸브바디(22)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상술한 것과 동등하다고 할 수 있고, 지지통(23A)의 밸브공(24A)의 구성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지지통(23A)과 밸브바디(22A)와의 사이에서 배출통로(N)(도 3 참조)를 형성한다. 지지통(23A)은 후단부에 형성된 나사부(23Aa)를 통하여 전면커버(30)의 나사공(도시 생략)에 결합된다. 여기서 본 실시례의 밸브바디(22A)(밸브바디의 외측면)와 밸브공(24A)도 부분적인 원통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상술한 실시례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The relief valve body 20A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valve body 22A blocking the discharge passage by a spring 28A and a support tube 23A directly mounted on the front cover 30 (see FIG. 3), and have. The configuration of the valve body 22 can be said to be substantially equivalent to that described above,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valve hole 24A of the support cylinder 23A is also the same. And a discharge passage (N) (refer to FIG. 3) is formed between the support cylinder (23A) and the valve body (22A). The support cylinder 23A is coupled to a screw hole (not shown) of the front cover 30 through a screw portion 23Aa formed at the rear end. Here, the valve body 22A (outer surface of the valve body) and the valve hole 24A of this embodiment also have a partial cylindrical shape, and have the same shap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따라서 지지통(23A)[지지통(23A)의 내측에 형성되는 배출공(24A)]과 밸브바디(23A) 사이에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배출통로(N)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모듈케이싱(40)의 내부는 외부에 대하여 밀폐상태로 된다. 즉, 본 실시례의 릴리프밸브체(20A)는 자체적으로 배출통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고, 모듈케이싱(40)의 일면(예를 들면 전면커버)에 장착되는 것이다.Therefore, in the state in which the discharge passage N as shown in FIG. 3 is not formed between the support tube 23A (the discharge hole 24A formed inside the support tube 23A) and the valve body 23A, The inside of the module casing 40 is sealed with respect to the outside. That is, the relief valve body 20A of this embodiment can be said to have a discharge passage by itself, and is mounted on one surface (for example, a front cover) of the module casing 40 .

여기서 밸브바디(22A)가 밸브공(24A)에 서로 밀착되면 모듈케이싱(40)은 기밀 상태로 되고, 밸브바디(22A)가 밸브공(24A)에서 전방으로 이격되면 밸브바디(22A) 및 밸브공(24A) 사이에 형성되는 배출통로(도 3 참조)을 통하여 내부의 가스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음도 상술한 실시례와 동일하다. 본 실시례에서도 스프링(28A)은 지지축(26A)에 의하여 지지되고, 지지축 선단의 헤드(26Aa)와 밸브바디(22A)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따라서 스프링(28A)은 밸브바디(22A)를 후방으로(닫히는 방향으로) 밀고 있다. Here, when the valve body 22A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valve hole 24A, the module casing 40 is in an airtight state, and when the valve body 22A is spaced forward from the valve hole 24A, the valve body 22A and the valve It is also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at the gas inside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refer to FIG. 3) formed between the balls (24A). Also in this embodiment, the spring 28A is supported by the support shaft 26A, and is interposed between the head 26Aa at the tip of the support shaft and the valve body 22A. Accordingly, the spring 28A is pushing the valve body 22A backward (in the closing direction).

그리고 지지축(26A)은 전면커버(30)의 이면에 고정되어 있는 지지대(29A)에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지지되어 있음도 상술한 바와 같고, 지지대 및 지지축의 구성도 상술한 실시례와 동일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례의 동작도 상술한 실시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다. 즉, 모듈케이싱(30)의 내부 압력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지면, 이러한 압력은 밸브체(22A)를 외부로 밀게 되면서, 밸브바디(22A)와 밸브공(24A) 사이에서 배출통로가 형성되는 것이다. Also, the support shaft 26A is supported so as to protrude forward by the support 29A fix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front cover 30 as described above,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shaft and the support shaft is also the same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also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at is,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module casing 30 is abnormally high, this pressure pushes the valve body 22A to the outside, and a discharge passage is formed between the valve body 22A and the valve hole 24A.

상술한 본 발명에서 소염채널을 구비하고 있는 소염배기바디는 모듈케이싱의 외측면이면 어디어 설치하는 것도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릴리프밸브체(Va)는 모듈케이싱(30)의 전면에 설치되는 전면커버(20)에 설치되는 예를 통하여 설명하였으녀, 릴리프밸브체(Va)는 모듈케이싱(30)의 외면이면 어디에 설치하더라도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소염배기바디에 형성되는 소염패널은 그 단면 형상이나 경로 등에 의하여 한정될 수 없음은 당연하고, 화염이 그 내부에서 산소 부족으로 소화될 수 있고, 그 내부를 통과하면서 고온 가스가 냉각될 수 있는 것이면 충분할 것으로 생각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anti-inflammatory exhaust body having the anti-inflammatory channel is thought to be possible to install anywher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odule casing. And the relief valve body (Va) has been described through an example of being installed on the front cover 20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module casing 30, the relief valve body (Va)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odule casing (30) Even so, I think it is quite possible. In addi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anti-inflammatory panel formed on the anti-inflammatory exhaust body cannot be limited by its cross-sectional shape or path, and the flame can be extinguished due to lack of oxygen in it, and the high-temperature gas can be cooled while passing through it. I think that would be enough.

릴리프밸브체에 대한 실시례의 변형에 대하여 생각해 본다. 위에서 언급한 실시례에서 원뿔형상의 밸브바디 및 밸브공은 실질적으로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구멍과 이러한 구멍을 막기 위한 것을 각각 의미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례의 하나로써 원뿔형상의 밸브바디 및 밸브공을 들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스를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한 밸브공과,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밸브공을 막고 있는 밸브바디라는 기술적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Consider a modification of the embodiment for the relief valve body. In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the conical valve body and the valve hole should be interpreted to mean a hole for discharging gas and a hole for closing the hole, respectively. And as one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for this configuration, it is holding a conical valve body and a valve ball.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changes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valve ball for discharging the gas to the outside, and the valve body blocking the valve ball with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소염채널을 통하여 가스를 배출시키는 것에 의하여 배출가스의 소염 및 냉각을 달성하는 것과 같이, 릴리프밸브를 통하여 순간적인 고압을 해소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임도 특허법의 규정 취지상 당연한 것으로 생각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asic technical idea to solve the instantaneous high pressure through a relief valve, such as to achieve anti-inflammatory and cooling of the exhaust gas by discharging the gas through the above-described anti-inflammatory channel. can be fou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lso considered natural for the purpose of the provisions of the Patent Act that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what is described in the claims.

10 ..... 소염배기바디
11 ..... 내면
12 ..... 외면
12a .,.... 선단부
16 ..... 연결공
20 ..... 전면커버
22 ..... 밸브바디
24 ..... 밸브공
26 ..... 지지축
26a ..... 헤드
29 ..... 지지대
30 ..... 모듈케이싱
32 ..... 연통공
FR ..... 전면공간
N ..... 배출통로
10 ..... Anti-inflammatory exhaust body
11 ..... inside
12 ..... outward
12a ..... the tip
16 ..... connector
20 ..... Front cover
22 ..... valve body
24 ..... valve ball
26 ..... support shaft
26a ..... head
29 ..... support
30 ..... module casing
32 ..... pipe hole
FR ..... front space
N ..... exhaust passage

Claims (11)

내부에서 생성된 화염 및 가스가 나오는 연통공이 성형된 모듈케이싱;
상기 모듈케이싱의 일면에 장착되고, 연통공을 통하여 나오는 화염 및 가스가 내부를 통과하면서, 소염되고 냉각되는 다수의 소염채널을 구비하는 소염배기바디; 그리고
상기 연통공을 나오는 화염 및 가스를 외부 유출 없이 소염채널로 안내하는 연결수단으로 구성되는 전기차의 배터리 소염배기장치.
a module casing in which a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through which flames and gases generated from the inside come out;
an anti-inflammatory exhaust body mounted on one surface of the module casing, and having a plurality of anti-inflammatory channels that are extinguished and cooled while the flame and gas coming out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pass through the inside; and
A battery anti-inflammatory exhaust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comprising a connection means for guiding the flame and gas exiting the communication hole to the anti-inflammatory channel without external leakage.
제 1 항에 있어서, 소염채널은 소염배기바디의 내면과 외면 사이에서 성형되는 다수개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수단은 연통공에 대응하도록 소염배기바디의 내면에 성형되는 연결공으로 구성되는 전기차의 배터리 소염배기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nti-inflammatory channel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molded between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anti-inflammatory exhaust body, the connection means is composed of a connection hol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anti-inflammatory exhaust body to correspond to the communication hole battery anti-inflamm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exhaust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소염채널은 소앰배기바디의 내면과 외면 사이에서 성형되는 다수개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수단은 소염배기바디의 외면을 연장하여 연통공을 감싸면서 모듈케이싱에 밀착되도록 구성하는 전기차의 배터리 소염배기장치.
Th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nti-inflammation channel is formed in plurality betwee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small air exhaust body, and the connecting means extends the outer surface of the anti-inflammatory and exhaust body to surround the communication hole and closely adhere to the module casing. of the battery anti-inflammatory and exhaust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모듈케이싱의 전면을 감싸면서 전면공간을 형성하는 전면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소염채널의 입구는 전면커버 내부의 전면공간에 위치하는 전기차의 배터리 소염배기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ng means is configured to include a front cover that forms a front space while enclosing the front of the module casing, the entrance of the anti-inflammatory channel is located in the front space inside the front cover battery anti-inflammatory exhaust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듈케이싱의 일부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모듈케이싱과의 사이에서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고 고압가스의 배출을 위한 밸브공을 구비하는 커버와, 스프링에 의하여 밸브공을 막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커버 내부에서 생성되는 고압이 작용하면 스프링에 대항하여 밸브공을 열게 되는 밸브바디로 구성되는 릴리프밸브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기차의 배터리 소염배기장치.
[4] The spring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cover is installed to surround a part of the module casing to form a certain space between the module casing and a valve hole for discharging high-pressure gas; Battery anti-inflammation and exhaust device for electric vehicle comprising a relief valve body that is elastically supported in a direction to block the valve ball by .
제 4 항에 있어서, 전면커버에 성형된 밸브공에 밀착되어 배출통로를 막거나 밸브공에서 이격되어 배출통로를 형성하는 원뿔형상의 밸브바디와, 상기 밸브바디를 밸브공에 밀착시키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릴리프밸브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전면공간의 압력에 의하여 밸브바디가 탄성력의 힘을 이기고 배출공과의 사이에서 배출통로를 형성하거나 탄성부재의 힘에 의하여 배출공에 밀착되어 배출통로를 막는 전기차의 배터리 소염배기장치
[Claim 5] The valve body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conical valve body is closely attached to the valve hole formed on the front cover to block the discharge passage or is spaced apart from the valve hole to form the discharge passage, and an elastic member for attaching the valve body to the valve hole. 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relief valve body that Battery anti-inflammatory and exhaust system for electric vehicle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바디는 부분적인 원뿔형상을 가지고, 밸브공은 밸브바디에 의하여 막히거나 열리는 대응하는 원뿔형상을 가지며, 밸브바디와 밸브공 사이에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배출통로가 형성되는 전기차의 배터리 소염배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valve body has a partial conical shape, the valve hole has a corresponding conical shape that is closed or opened by the valve body, and a discharge passage having a certain length is formed between the valve body and the valve hole. Battery anti-inflammatory and exhaust system for electric vehicles.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바디는 부분적인 원뿔형상을 가지고, 밸브공은 밸브바디에 의하여 막히거나 열리는 대응하는 원뿔형상을 가지며, 밸브바디와 밸브공 사이에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배출통로가 형성되는 전기차의 배터리 소염배기장치.
7.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valve body has a partial conical shape, the valve hole has a corresponding conical shape that is closed or opened by the valve body, and a discharge passag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formed between the valve body and the valve hole. Battery anti-inflammatory and exhaust system for electric vehicle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바디는 축중심에서 전면커버에 의하여 지지되는 지지축에 의하여 안내되어, 밸브바디와 밸브공 사이의 배출통로를 밸브바디의 전체 외측면에서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전기차의 배터리 소염배기장치.
The battery of claim 5, wherein the valve body is guided by a support shaft supported by the front cover at the center of the shaft, so that the discharge passage between the valve body and the valve hole is spaced at a constant distance from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valve body. anti-inflammatory devic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바디는 축중심에서 전면커버에 의하여 지지되는 지지축에 의하여 안내되어, 밸브바디와 밸브공 사이의 배출통로를 밸브바디의 전체 외측면에서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전기차의 배터리 소염배기장치.
The battery of claim 6, wherein the valve body is guided by a support shaft supported by the front cover at the center of the shaft, so that the discharge passage between the valve body and the valve hole is spaced at a constant distance from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valve body. anti-inflammatory device.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듈케이싱의 일면에 설치되고, 내부에서 발생한 고압의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공을 구비하는 지지통과;
스프링에 의하여 밸브공을 막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모듈케이싱의 내부에서 생성되는 고압이 작용하면 스프링에 대항하여 밸브공을 열게 되는 밸브바디로 구성되는 릴리프밸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밸브바디는 부분적인 원뿔형상을 가지고, 밸브공은 밸브바디에 의하여 막히거나 열리는 대응하는 원뿔형상을 가지는 전기차 배터리 소염배기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 support passage installed on one surface of the module casing and having a discharge hole for discharging the high-pressure gas generated therein;
It is elastically supported in a direction to block the valve ball by a spring, and further comprises a relief valve comprising a valve body that opens the valve ball against the spring when a high pressure generated inside the module casing acts;
The valve body has a partial cone shape, and the valve hole has a corresponding cone shape blocked or opened by the valve body.
KR1020210031633A 2021-03-10 2021-03-10 Flameless venting device for a battery of a electric car KR2022012707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633A KR20220127073A (en) 2021-03-10 2021-03-10 Flameless venting device for a battery of a electric c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633A KR20220127073A (en) 2021-03-10 2021-03-10 Flameless venting device for a battery of a electric ca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7073A true KR20220127073A (en) 2022-09-19

Family

ID=83460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1633A KR20220127073A (en) 2021-03-10 2021-03-10 Flameless venting device for a battery of a electric c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2707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913072B (en) Battery housing with spark arrestor
CN111668408B (en) Battery tray, power battery package and vehicle
KR102220902B1 (en) Battery pack comprising extinguishing system
RU2493892C2 (en) High-integrity fluid discharge device
US7390019B2 (en) Inflator for airbag
CN102227563B (en) Accumulator
US20210113871A1 (en) Spraying system of battery pack, and battery pack
KR101180996B1 (en) Fire safety apparatus of high-pressure gas fuel tank
US11236838B2 (en) Temperature pressure relief device
US20220052413A1 (en) Battery housing for a motor vehicle
WO2015163123A1 (en) Gas generator
US9512927B2 (en) Pneumatic gate valve with integrated pressurized gas reservoir
CN101883700A (en) Gas generator and method for influencing a gas flow in a gas generator
CN110711329B (en) Piston type fire extinguishing device and pressure relief method thereof
CN114552055A (en) Method and cooling system for cooling and extinguishing a hot battery module of a high-voltage battery of a motor vehicle
KR20220127073A (en) Flameless venting device for a battery of a electric car
JP6224012B2 (en) Rapid cooling system for automobiles with parts with diffuser
CN112615094A (en) Battery module for vehicle and vehicle
KR102560890B1 (en) A device for exhausting high presure gas in a battery of a electric car
KR102365641B1 (en) Flameless venting device for a battery pack of a electric car
CN114069169B (en) Water injection valve for power battery, power battery and electric automobile
WO2012114358A1 (en) Relief device, in particular for gas systems
US11590373B2 (en) Fire extinguishing system for vehicle
KR20220139240A (en) Gas spring
IT202000011227A1 (en) BATTERY PACK EQUIPPED WITH A SAFETY SYSTEM FOR THERMAL RUNAWAY AND VEHICLE EQUIPPED WITH SUCH A BATTERY P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