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6926A - 스티머 및 이를 포함하는 스팀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스티머 및 이를 포함하는 스팀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6926A
KR20220126926A KR1020210031269A KR20210031269A KR20220126926A KR 20220126926 A KR20220126926 A KR 20220126926A KR 1020210031269 A KR1020210031269 A KR 1020210031269A KR 20210031269 A KR20210031269 A KR 20210031269A KR 20220126926 A KR20220126926 A KR 202201269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eam
supply
steam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1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홍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to KR1020210031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6926A/ko
Publication of KR20220126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69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61L2/07Steam
    • D06F39/008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40Steam genera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2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 F22B1/284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with water in reservoi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DPREHEATING, OR ACCUMULATING PREHEATED, FEED-WATER FOR STEAM GENERATION; FEED-WATER SUPPLY FOR STEAM GENERATION; CONTROLLING WATER LEVEL FOR STEAM GENERATION; AUXILIARY DEVICES FOR PROMOTING WATER CIRCULATION WITHIN STEAM BOILERS
    • F22D5/00Controlling water feed or water level; Automatic water feeding or water-level regulators
    • F22D5/26Automatic feed-contro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6Textiles, e.g. towels, beds, cloth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티머(steamer) 및 이를 포함하는 스팀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공급수를 제공하는 급수 공급부, 상기 급수 공급부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공급수가 유동하는 연결부재, 상기 급수 공급부로부터 일정량의 공급수가 공급되는 급수탱크, 상기 급수탱크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공급수가 가열되어 배출되는 증기수 배출부 및 상기 증기수 배출부로부터 유동하는 상기 증기수가 상기 급수탱크로 재유입 되도록 형성되는 바이패스관을 포함하는 스티머 및 이를 포함하는 스팀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티머 및 이를 포함하는 스팀 공급장치{STEAMER AND APPARATUS FOR SUPPLYING STEAM THEREOF}
본 발명은 스티머 및 이를 포함하는 스팀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 또는 침구류와 같은 직물로 이루어진 물품을 세척하기 위한 장치로서 세탁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세탁기는 수조에 수용된 세탁수와 세탁물과의 마찰을 통해 세탁물을 세척함에 따라 별도의 탈수, 건조 과정 등이 추가로 필요하다.
최근에는 종래의 세탁기보다 의복을 간편하게 처리 또는 관리하기 위하여 별도의 세탁 과정없이 의복의 주름, 살균 및 탈취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들이 소개되어 있다.
이 중, 스팀을 인가하기 위한 스티머들은 주름을 제거하고, 걸려 있는 의복(hanging garment), 천(drapery), 덮개, 및 패브릭으로 만들어진 다른 물품들의 외형을 개선하는 데 특히 유용하다. 이러한 스티머들은 의류에 고온의 스팀을 분사함으로써 의류에 잔류하는 냄새, 구김 또는 습기 등을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스티머는 고온의 스팀이 분사되는 과정에서 배출구 부위에 형성된 수분이 외부로 스티머 외부로 튀어 흘러내리는 현상에 의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25568호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고온의 스팀을 분사하는 배출구 부위의 수분이 회수되어 저장탱크로 재 유입되는 구조로 개선함으로써, 공급수가 역류되거나 배출구 부위에서 수분이 튀거나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스티머 및 이를 포함하는 스팀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순간 발열 직 스팀 방식으로 저장탱크의 수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물 공급을 위한 펌프가 생략될 수 있는 스티머 및 이를 포함하는 스팀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티머의 일 실시예는,
외부로부터 공급수를 제공하는 급수 공급부;
상기 급수 공급부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공급수가 유동하는 연결부재;
상기 급수 공급부로부터 일정량의 공급수가 공급되는 급수탱크;
상기 급수탱크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공급수가 가열되어 배출되는 증기수 배출부; 및
상기 증기수 배출부로부터 유동하는 상기 증기수가 상기 급수탱크로 재유입 되도록 형성되는 바이패스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바이패스관의 일측은 상기 증기수 배출부를 형성하는 외주면에 연통되고, 상기 바이패스관의 타측은 상기 증기수 배출부와 연통되는 부위로부터 상기 급수탱크로 연통되는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바이패스관의 타측은 상기 급수탱크에 저장된 상기 공급수가 저장된 공급수 최상단 높이보다 낮은 부위로 연통되는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급수탱크의 공급수는 상기 급수 공급부로부터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급수는 증발하여 상기 증기수 배출구로 배출되는 가습식 방식으로 공급되는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식 방식은 가열식, 초음파 방식 또는 복합식 가습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스티머를 포함하는 스팀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티머는 상기 스팀 공급 장치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티머 및 이를 포함하는 스팀 공급장치는, 고온의 스팀을 분사하는 배출구 부위의 수분이 회수되어 저장탱크로 재유입되는 구조로 개선함으로써, 공급수가 역류되거나 배출구 부위에서 수분이 튀거나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티머 및 이를 포함하는 스팀 공급장치는, 순간 발열 직스팀 방식으로 메인 저장탱크의 수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가습 방식으로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초기 및 중간 물 공급을 위한 펌프를 생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머(steamer)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머의 개락적인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머를 포함하는 스팀 공급 장치의 사용 상태도들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머가 적용된 스팀 공급 장치의 작동원리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티머 및 이를 포함하는 스팀 공급장치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머(steamer)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머(steamer)의 개락적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티머(100)는 외부로부터 공급수를 제공하는 급수 공급부(110), 급수 공급부(110)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공급수가 유동하는 연결부재(120), 급수 공급부(110)로부터 일정량의 상기 공급수가 공급되는 급수탱크(130), 급수탱크(130)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공급수가 가열되어 배출되는 증기수 배출부(131) 및 증기수 배출부(131)로부터 유동하는 증기수가 급수탱크(130)로 재유입 되도록 형성되는 바이패스관(300)을 포함할 수 있다.
급수 공급부(110)는 소정의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급수 공급부(110)에는 상기 물이 외부로부터 연속적으로 공급되며 항상 일정량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급수 공급부(110)의 수위가 항상 일정량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물이 공급되어 가열되면서 증발되는 가습식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급수 공급부(110)에는 상기 물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유입구(미도시) 및 연결부재(102)로 배출되는 배출구(미도시)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 연결부재(120)는, 급수 공급부(110)의 상기 배출구 부위에 연결 형성되되, 급수 공급부(110)의 하단부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재(120)는 급수 공급부(110)로 공급되는 공급수가 유동하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급수탱크(130)에는 연결부재(120)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급수가 유입된 후에 가열될 수 있다. 급수탱크(130)에는 상기 가열된 공급수가 배출되는 증기수 배출부(131)가 상향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급수 공급부(110)에 공급되는 상기 공급수의 수위는 급수탱크(130)에 공급되는 상기 공급수의 수위가 항상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는 연결부재(120)를 중심으로 급수 공급부(110)과 급수탱크(130)이 연통되어 있으므로 상기 공급수가 동일한 수위로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르면, 급수탱크(130)의 증기수 배출부(131)의 외측으로부터 와 급수탱크(130)의 저면 부위에는 바이패스관(300)이 연통되어 연결될 수 있다. 즉, 바이패스관(300)의 일측은 급수탱크(130)의 증기수 배출부(131)의 외주면에 연통되고, 바이패스관(300)의 타측은 급수탱크(130)의 하단부, 즉 급수탱크(130)에 채워진 상기 공급수의 최상단 수위(h)보다 낮은 부위로 연통되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티머(100)는 급수탱크(130)를 통하여 배출되는 스팀이 증기수 배출부(131) 부위에서 튀거나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급수탱크(130)의 증기수 배출부(131)의 외측에 바이패스관(300)을 형성시켜 상기 증기수를 회수한 후에 급수탱크(130)로 재유입시키는 구조를 제공한다.
따라서, 급수탱크(130)의 증기수 배출부(131)에서 증기수의 물튐 현상에 의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증기수가 배출되는 증기수 배출부(131)와 급수탱크(130)에 저장된 공급수가 바이패스관(300)을 통하여 연통되어 있으므로 증기수 배출부(131)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증기수의 토출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별도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탱크 및 이로부터 물을 공급하기 위한 펌프(pump)를 제거하고, 스티머에 직접 공급되는 상기 물이 급수 공급부(110)로부터 직접 가열되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인 스팀 공급장치의 크기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키고 순간 가열 방식에 따라 위생적이라는 점에 특징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급수 공급부(110) 및 급수탱크(130)의 수위가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경우에 따라, 스티머(100)에는 급수 공급부(110) 내에 채워진 공급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 센서(미도시) 및 급수 공급부(110)로 유입되는 물을 감지하는 공급수 감지 센서(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위 감지 센서는 급수 공급부(110) 내에서 공급수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고, 상기 공급수가 형성하는 수면 최상단 부위 또는 상기 공급수와 공기층 계면 부위에 형성되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공급수와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급수 공급부(110) 내의 공급수의 수위를 지속적으로 감지하여 항상 일정량의 공급수가 유지될 수 있도록 센싱(sensing)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메인 물탱크 내에서 공급수의 수량을 감지할 수 있는 수량 감지 센서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메인 물탱크에는 T/F 안전장치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스티머(100)의 이상 상태가 감지되면 전기적으로 연결된 컨트롤러(미도시)를 통하여 스티머(100)로 공급되는 전력 또는 신호를 즉시 차단하여 화재 발생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머(steamer)를 포함하는 스팀 공급 장치의 사용 상태도들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전술한 스티머(100)가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스팀 공급장치(50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팀 공급장치(500)는 케비넷(cabinet) 형상으로 일면이 개방되는 본체(미도시)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되, 스티머(100)로부터 공급되는 스팀이 직접 배출되는 한 쌍의 스팀노즐(51)이 형성되어 있는 스팀판(50)와 바지 등의 대상체가 거치될 수 수 있는 옷걸이(11)가 형성되고 일측이 고정된 상태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거치대(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팀 공급장치(5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지 등의 대상체를 거치대(10)의 옷걸이(11)에 거치한 후에 스팀판(50)으로 회동시켜 일면을 밀착시킬 수 있다. 그 다음, 본 발명에 따른 스티머(100)를 작동시켜 스팀을 발생시키게 되면, 이러한 스팀은 일측에 형성되는 연결관(미도시)을 통하여 스팀판(50)의 스팀노즐(51)로 유동 및 배출되면서 상기 바지 등의 대상체에 공급되어 구김 또는 냄새 등의 제거가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머(steamer)가 적용된 스팀 공급 장치의 작동원리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팀 공급장치(500)는, 전술한 스티머(100)가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되, 스팀 공급장치(500) 내에 스팀의 순환을 유도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스팀 공급장치(500)를 제공할 수 있다. 스팀 공급장치(500)는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팬(550), 내부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530) 및 먼지필터(5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팀 공급장치(500)의 내부는 복수의 구획판(510)에 의하여 스티머(100) 및 순환팬(550)과 공간적으로 분리되고 하부측의 구획판(510)의 일측에는 스티머(100)로부터 배출되는 스팀이 공급되는 스팀분사 노즐(511)이 돌출될 수 있다. 스팀 공급장치(500)의 상부에는 상기 바지 등의 대상체가 거치되는 옷걸이(11)가 형성되고, 옷걸이(11)는 순환팬(550)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연통될 수 있다.
스티머(100)로부터 분사되는 스팀은 하나의 구획판(510)에 의하여 분리되는 순환팬(550)이 배치되는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고, 이러한 스팀이 유입되는 경로 상에는 먼지필터(520)과 히터(530)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스티머(100)로부터 분사되는 스팀은, 스팀 공급장치(500) 내부로 공급된 후, 순환팬(550)이 배치되는 공간으로 유입되면서 먼지필터(250)와 히터(530)를 지나며 정화 및 가열될 수 있다. 그 다음, 정화 및 가열된 스팀은 순환팬(550)으로 이동한 후에 옷걸이(11)의 상기 연통된 부위를 통하여 다시 스팀 공급장치(500)의 내부로 배출되면서 내부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스티머 및 이를 포함하는 스팀 공급장치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일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10: 거치대
11: 옷걸이
50: 스팀판
100: 스티머
110: 급수 공급부
120: 연결부재
130: 급수탱크
131: 증기수 배출부
300: 바이패스관
500: 스팀 공급장치
510: 구획판
511: 스팀 분사노즐
520: 먼지필터
530: 히터
550: 순환팬

Claims (8)

  1. 외부로부터 공급수를 제공하는 급수 공급부;
    상기 급수 공급부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공급수가 유동하는 연결부재;
    상기 급수 공급부로부터 일정량의 공급수가 공급되는 급수탱크;
    상기 급수탱크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공급수가 가열되어 배출되는 증기수 배출부; 및
    상기 증기수 배출부로부터 유동하는 증기수가 상기 급수탱크로 재유입 되도록 형성되는 바이패스관;을 포함하는 스티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관의 일측은 상기 증기수 배출부를 형성하는 외주면에 연통되고,
    상기 바이패스관의 타측은 상기 증기수 배출부와 연통되는 부위로부터 상기 급수탱크로 연통되는 스티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관의 타측은 상기 급수탱크에 저장된 상기 공급수가 저장된 공급수 최상단 높이보다 낮은 부위로 연통되는 스티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탱크의 공급수는 상기 급수 공급부로부터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스티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수는 증발하여 상기 증기수 배출구로 배출되는 가습식 방식으로 공급되는 스티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식 방식은 가열식, 초음파 방식 또는 복합식 가습 방식을 포함하는 스티머.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스티머를 포함하는 스팀 공급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머는 상기 스팀 공급 장치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팀 공급 장치.
KR1020210031269A 2021-03-10 2021-03-10 스티머 및 이를 포함하는 스팀 공급장치 KR202201269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269A KR20220126926A (ko) 2021-03-10 2021-03-10 스티머 및 이를 포함하는 스팀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269A KR20220126926A (ko) 2021-03-10 2021-03-10 스티머 및 이를 포함하는 스팀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6926A true KR20220126926A (ko) 2022-09-19

Family

ID=83460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1269A KR20220126926A (ko) 2021-03-10 2021-03-10 스티머 및 이를 포함하는 스팀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2692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568B1 (ko) 2008-12-09 2015-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568B1 (ko) 2008-12-09 2015-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00581B1 (en) Dryer
KR101328920B1 (ko) 건조기
KR101414625B1 (ko) 건조기
EP2039824B1 (en) Laundry machine
KR101351045B1 (ko) 의류처리장치
KR20090030901A (ko) 세탁장치
KR20060038796A (ko) 의류건조기 일체형 세탁 장치
KR20090045517A (ko) 건조기의 제어방법
KR101455995B1 (ko) 보조 의류처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의류처리장치
ITBS20110038A1 (it) Sistema per il lavaggio di indumenti in installazioni idrauliche come docce, vasca-doccia combinate e simili
EP2389474B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with liquid supply unit
KR20220126926A (ko) 스티머 및 이를 포함하는 스팀 공급장치
KR101521917B1 (ko)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125088A (ko) 스티머 및 이를 포함하는 스팀 공급장치
KR20220125087A (ko) 스티머 및 이를 포함하는 스팀 공급장치
KR20220169171A (ko) 스티머 및 이를 포함하는 스팀 공급장치
KR20220079312A (ko) 스티머 및 이를 포함하는 스팀 공급장치
KR20230165593A (ko) 스팀 공급장치
KR20220079317A (ko) 스티머 및 이를 포함하는 스팀 공급장치
KR20230165591A (ko) 스티머 및 이를 포함하는 스팀 공급장치
KR20230144747A (ko) 스티머 및 이를 포함하는 스팀 공급장치
KR20220079314A (ko) 스티머 및 이를 포함하는 스팀 공급장치
KR101291275B1 (ko) 의류 처리 장치
KR100934659B1 (ko) 건조기
KR20230144746A (ko) 스티머 및 이를 포함하는 스팀 공급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