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4659B1 - 건조기 - Google Patents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4659B1
KR100934659B1 KR1020070114754A KR20070114754A KR100934659B1 KR 100934659 B1 KR100934659 B1 KR 100934659B1 KR 1020070114754 A KR1020070114754 A KR 1020070114754A KR 20070114754 A KR20070114754 A KR 20070114754A KR 100934659 B1 KR100934659 B1 KR 100934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itive
steam
water
drum
suppl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4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8741A (ko
Inventor
손구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4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4659B1/ko
Priority to EP08017674.6A priority patent/EP2055824B1/en
Priority to US12/289,022 priority patent/US8695232B2/en
Priority to CN2008101710356A priority patent/CN101424037B/zh
Publication of KR20090048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8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4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4659B1/ko
Priority to US13/157,696 priority patent/US20110239480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3Laundry condition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06F58/12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having conveying means for moving clothes, e.g. along an endless track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8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6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uxiliary conditioning or finishing agents, e.g. filling level of perfume tanks
    • D06F2103/62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uxiliary conditioning or finishing agents, e.g. filling level of perfume tanks related to systems for water or steam used for conditioning or finish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8Electric hea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드럼 타입 의류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건조물이 수용되는 드럼; 상기 드럼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장치; 외부의 급수전과 연결되어 상기 스팀공급장치로 스팀 발생을 위한 물을 공급하는 급수장치; 상기 스팀공급장치에 구비되어 상기 스팀공급장치로부터 오버플로우된 물이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장치; 첨가제를 수용하는 첨가제수용부; 상기 첨가제수용부에 수용된 첨가제를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급하는 첨가제공급장치; 그리고 상기 스팀공급장치, 급수장치, 차단장치 그리고 첨가제공급장치를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조기가 제공된다.
세탁장치, 스팀발생기, 건조기, 첨가제공급장치, 향

Description

건조기{Dryer}
본 발명은 세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드럼 타입 의류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세탁장치라 함은 일반적으로 세탁물을 세탁하기 위한 세탁기와 피건조물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기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최근에는 세탁기, 특히 드럼 세탁기에 스팀발생기를 부가하여 세탁물에 스팀을 공급함으로써 세척력 향상 및 에너지를 절감시킨 제품이 각광받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삶의 질 향상과 더불어 세탁된 세탁물을 자연 건조가 아닌 인공적으로 건조하기 위한 건조기가 많이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건조기는 단순히 피건조물을 건조하기 위한 장치이므로 이러한 건조기가 의류의 건조뿐만 아니라 부가 기능을 수행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왜냐하면, 건조가 종료된 후 피건조물에 주름이 발생되어 별도로 다림질을 해야하는 문제점들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건조 종료 후 사용자가 바로 의류를 착용할 수 있고, 이때 사용자에게 쾌적함과 상쾌함을 제공하도록 의류에 향을 부가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건조기에 의류의 냄새를 제거하고 향을 부가하는 기능을 갖게 하여 사용 편의를 증진시킨 건조기를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의류를 건조하는 것과 아울러 건조기에 구김 제거와 정전기 제거 기능을 갖게 하여 사용 편의를 증진시킨 건조기를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안전하게 건조기로 물이 공급되도록 하여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건조기를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건조물이 수용되는 드럼; 상기 드럼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장치; 외부의 급수전과 연결되어 상기 스팀공급장치로 스팀 발생을 위한 물을 공급하는 급수장치; 상기 스팀공급장치에 구비되어 상기 스팀공급장치로부터 오버플로우된 물이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장치; 첨가제를 수용하는 첨가제수용부; 상기 첨가제수용부에 수용된 첨가제를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급하는 첨가제공급장치; 그리고 상기 스팀공급장치, 급수장치, 차단장치 그리고 첨가제공급장치를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조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스팀공급장치는,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기; 상기 스팀발생 기에서 발생된 스팀을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급하는 스팀유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단장치는 상기 스팀유로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차단장치는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차단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단장치는 상기 스팀발생기의 온도에 따라 제어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팀발생기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일 때 열리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첨가제공급장치는, 상기 첨가제수용부에 수용된 첨가제를 펌핑하여 수압을 발생시키는 펌프; 상기 펌프에서 펌핑된 첨가제를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급하는 첨가제유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팀공급장치는 상기 드럼 내부로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 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첨가제공급장치는 상기 드럼 내부로 첨가제를 분사하는 첨가제 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팀 노즐과 첨가제 노즐은 서로 별도로 구비되거나, 상기 스팀 노즐과 첨가제 노즐은 단일 노즐로 구성될 수 있다.
단일 노즐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단일 노즐 내부에는 각각 스팀이 분사되는 스팀 분사공과 첨가제가 분사되는 첨가제 분사공이 형성되거나, 스팀과 첨가제가 함께 분사되는 분사공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건조기 전면에 인입과 인출이 가능한 드로워가 형성되며, 상기 드로워 내부에 상기 첨가제수용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드로워를 인출시켜 첨가제를 공급하고, 이 후 상기 드로워를 인입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또한, 피건조물이 수용되는 드럼; 상기 드럼 내부로 열풍 또는 냉풍을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 상기 드럼 내부로 미세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장치; 외부의 급수전과 연통되고, 선택적으로 개폐되어 상기 수분공급장치로 선택적으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밸브; 상기 수분공급장치에 구비되어 상기 수분공급장치를 통해 과도한 양의 물이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장치; 첨가제를 수용하는 첨가제수용부; 상기 첨가제수용부에 수용된 첨가제를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급하는 첨가제공급장치; 그리고 상기 공기공급장치, 급수밸브, 차단장치 그리고 첨가제공급장치를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조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차단장치는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차단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차단밸브는 상기 콘트롤러가 상기 급수밸브의 열림 신호를 발생시킨 후 기 설정된 시간이 도달되면 닫히도록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단밸브는 상기 급수밸브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열리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밸브는 상기 수분공급장치를 통해 기 설정된 양 이상의 물이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급될 때 닫히도록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차단장치를 통하여 과도한 양의 물이 드럼 내부로 공급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급수밸브의 고장 시에도 드럼 내부로 과도한 양의 물이 드럼 내부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럼 내부로 미세 수분이 공급될 때, 상기 공기공급장치가 제어 되어 상기 드럼 내부로 열풍이 공급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첨가제공급장치는, 상기 첨가제수용부에 수용된 첨가제를 펌핑하여 수압을 발생시키는 펌프; 상기 펌프에서 펌핑된 첨가제를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급하는 노즐; 그리고 상기 펌프와 노즐 사이에 구비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파이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첨가제공급장치는, 상기 첨가제수용부와 상기 수분공급장치와 연통시키는 첨가제유로; 그리고 상기 첨가제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첨가제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첨가제공급장치는 상기 첨가제유로에 구비되어 상기 첨가제유로를 통해 물이 역류되지 못하도록 하는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는 드럼 내부로 미세 수분이나 스팀 그리고 첨가제를 공급한다. 이 경우 미세 수분이나 스팀 그리고 첨가제가 피건조물에 골고루 제공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이들은 분사됨으로써 드럼 내부로 공급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분사 시에는 드럼이 구동됨이 바람직하며, 특히 드럼 내부에서 피건조물이 들어 올려졌다 떨어짐을 반복하도록 텀블링됨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 세탁장치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건조 완료된 피건조물에 구김 또는 주름이 생기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 또는 제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건조된 상태의 의류에 있는 구김 또는 주름도 별도 의 다림질 없이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건조기에 의류의 냄새를 제거하고 향을 부가하는 기능을 갖게 하여 사용 편의를 증진시킨 건조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의류를 건조하는 것과 아울러 건조기에 구김 제거와 정전기 제거 기능을 갖게 하여 사용 편의를 증진시킨 건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건조기에서 의류를 바로 꺼내어 입을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르면, 과도한 양의 물이 드럼 내부로 공급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므로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건조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편의상 탑 로딩 방식, 전기식, 배기식 건조기를 실시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건조기의 외관을 구성하는 캐비닛(10)의 내부에는 회전 가능한 드럼(20), 상기 드럼(20)을 구동시키는 모터(70) 및 벨트(68)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드럼 내부로 열풍 또는 냉풍을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드럼(20) 내부에는 피건조물이 수용된다.
상기 공기공급장치는, 캐비닛(10)의 소정 위치에 구비되어 공기를 가열하여 고온의 공기(이하 "열풍"이라 함)을 만드는 히터(90)(이하 편의상 "열풍 히터"라 함), 상기 열풍 히터(90)에서 생성된 열풍을 드럼(20)에 공급하기 위한 열풍공급덕트(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드럼(20)에서 피건조물과 열교환된 다습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 덕트(80), 상기 다습한 공기를 빨아 들이는 블로워 유닛(60) 등도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물론, 응축식 건조기에서는 피건조물과 열교환된 다습한 공기에서 수분을 응축하는 응축 덕트와 응축기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캐비닛(10)의 소정 위치에는 스팀공급장치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스팀공급장치는 스팀을 생성하여 스팀을 드럼 내부로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스팀공급장치는 물을 가열하여 고온의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기(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모터(70)와 벨트(68)를 이용하여 드럼(20)을 회전시키는 간접구동방식을 도시 및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드럼(20)의 후면에 모터가 직결되어 드럼(20)을 직접 회전시키는 직접구동방식(Direct Drive Type)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각각의 구성요소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캐비닛(10)은 건조기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12)와, 상기 베이스(12)에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측면 커버(14)와, 상기 측면 커버(14)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설치되는 프런트 커버(16) 및 리어 커버(18), 상기 측면 커버(14)의 상부에 위치하는 탑 커버(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각종 조작 스위치 등을 가지는 컨트롤 패널(19)은 통상 탑 커버(17) 또는 프런트 커버(16)에 위치하게 되며, 도어(164)는 프런트 커버(16)에 설치된다. 리어 커 버(18)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흡입부(182)와, 드럼(20)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최종 통로인 배기홀(184)이 구비된다.
드럼(20)의 내부 공간은 건조가 진행되는 건조 챔버 기능을 하며, 내부에 리프트(22)를 가지고 있다.
한편, 드럼(20)과 캐비닛(10)(프런트 커버(16) 및 리어 커버(18))의 사이에는 프런트 서포터(30)와 리어 서포터(40)가 설치된다. 프런트 서포터(30)와 리어 서포터(40)의 사이에 드럼(2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프런트 서포터(30) 및 리어 서포터(40)와 드럼(20) 사이에는 각각 누설을 방지하는 실링부재(미도시)가 설치된다. 즉, 프런트 서포터(30)와 리어 서포터(40)는 상기 드럼(20)의 전면과 후면을 막아 건조 챔버를 형성하며 상기 드럼(20)의 전단과 후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프런트 서포터(30)에는 드럼(20)을 건조기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는 도어(164)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또한, 프런트 서포터(30)에는 드럼(20)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인 린트 덕트(50)가 연결되며, 상기 린트 덕트(50)에는 린트 필터(52)가 설치된다. 상기 린트 덕트(50)에는 블로워 유닛(60)의 일측이 연결되며, 상기 블로워 유닛(60)의 타측은 배기 덕트(80)와 연결되며, 상기 배기 덕트(80)는 리어 커버(18)에 구비되는 배기홀(184)과 연통된다. 따라서, 블로워 유닛(60)이 작동하면, 드럼(20) 내부의 공기는 린트 덕트(50), 배기 덕트(80), 배기홀(184)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 때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은 린트 필터(52)에서 여과되게 된다. 통상 상기 블로워 유닛(60)은 블 로워(62)와 블로워 하우징(64)으로 구성되며, 상기 블로워(64)는 드럼(20)을 구동시키는 모터(70)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리어 서포터(40)에는 통상 다수의 통공으로 구성되는 개구부(42)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42)에 열풍공급덕트(44)가 연결된다. 상기 열풍공급덕트(44)는 드럼(20)과 연통하여 상기 드럼(20)에 열풍을 공급하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열풍공급덕트(44)의 소정 위치에는 열풍 히터(90)가 설치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스팀발생기(2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팀발생기(200)는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워터 탱크(210)와, 상기 워터 탱크(210)의 내부에 장착되는 히터(240)와, 상기 워터 탱크(210)내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260)와, 상기 워터 탱크(210)내에 수용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2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위센서(260)는 통상 공통전극(262), 저수위 전극(264) 및 고수위 전극(264)으로 구성되어 공통전극(262)과 고수위 전극(264)의 통전 또는 공통전극(262)과 저수위 전극(266)의 통전 여부에 의하여 고수위 및 저수위를 감지한다.
스팀발생기(200)의 일측에는 외부의 수도꼭지와 같은 급수시설과 연결되어 상기 스팀발생기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유로(220)가 연결되며, 스팀발생기(200)의 타측에는 스팀을 배출하는 스팀유로(230)가 연결된다. 스팀유로(230)의 선단에는 스팀의 분사 효율을 높이기 위해 노즐(250)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팀발생기(200)와 상기 급수유로(220)와 스팀유로(230)의 연결 부위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 게 변형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스팀유로(230)의 선단부 또는 노즐(25), 즉 스팀 토출구는 드럼(20)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드럼(20)의 내부로 스팀을 분사하게 된다. 상기 노즐(25)은 드럼의 전방에 설치될 수도 있고, 리어서포터(4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급수유로(220)에는 급수밸브(281)가 설치되어 있다. 즉, 콘트롤러는 필요에 따라 상기 급수밸브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킨다. 상기 건조기 내부로 물이 필요할 때에는 상기 급수밸브(281)를 열고, 물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급수밸브를 닫는다. 여기서, 상기 급수밸브의 개폐는 전술한 수위센서(260)에서 센싱된 수위와 연계될 수 있다. 즉, 저수위인 경우에는 급수밸브(281)가 열리고, 고수위인 경우에는 급수밸브가 닫히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팀유로(230)에는 차단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차단장치는 상기 스팀발생기(200)에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스팀발생기와 상기 스팀유로(230)를 포함하여 스팀공급장치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노즐(250)도 스팀공급장치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차단장치는 상기 스팀공급장치에 구비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차단장치는 상기 스팀공급장치로부터 오버플로우된 물이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여기서 오버플로우된 물이라 함은 소량의 물이 상기 스팀발생기로부터 상기 드럼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바람직하지는 않지만, 스팀이 응축되어 스팀유로(230) 상에 응축수가 드럼 내부로 배출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오버플로우된 물이라 함은 상기 스 팀공급장치로부터 상기 드럼 내부로 지속적으로 물이 공급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콘트롤할 수 없는 상황에서 지속적으로 물이 공급되는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상기 차단장치는 상기 스팀유로(230)에 구비되는 차단밸브(28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오버플로우된 물은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급수밸브(281)가 고장났을 때 상기 급수밸브(281)와 스팀발생기(200)를 통해서 지속적으로 물이 드럼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위센서(260)가 고장났을 때 상기 스팀발생기(200) 내의 수위가 고수위임을 감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결국 상기 급수밸브(281)와 스팀발생기(200)를 통해 지속적으로 물이 드럼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장치는 드럼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는 데, 이는 소량의 수분과 고온을 피건조물에 공급하기 위함이다. 즉, 건조를 위한 건조기에서 필요에 따라 스팀을 이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건조기는 세탁기와는 달리 물을 저장하는 터브, 터브 내의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장치, 그리고 배수호스 등이 구비되지 않는다. 이러한 건조기에 대량의 물이 드럼 내부로 공급된다면 건조기 내부의 전장부에 물이 유입되어 누전 등이 발생될 수 있다. 아울러 드럼에서 넘친 물이 건조기 외부로 유입되어 주위 환경을 오염시킬 수도 있다. 물론, 피건조물의 건조를 위한 건조기가 오히려 피건조물을 더욱 적시게 되는 문제도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차단장치, 특히 차단밸브(282)를 통해 이러한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단밸브(282)는 스팀발생기(200)의 온도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즉, 물이 가열되어 스팀이 발생되면 매우 고온이 된다. 그러나 스팀발생기로 계속 물이 공급된다면 아무리 물이 가열된다고 해도 그 온도는 그리 높아지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차단밸브(282)가 상기 스팀발생기의 온도가 특정 온도 이상이 될 때, 예를 들어 섭씨 100도 일 때 열리도록 제어된다면 드럼 내부로 대량의 물이 공급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차단밸브(282)는 상기 급수밸브(281)와 연동되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단밸브(282)는 상기 콘트롤러가 상기 급수밸브(281)의 열림 신호를 발생시킨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닫히도록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시간은, 상기 급수밸브(281)를 통해 물이 상기 스팀발생기(200)로 공급되어 가열되는 시간, 그리고 스팀이 충분하게 드럼 내부로 공급될 수 있는 시간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급수밸브(281)의 고장인 경우에도 상기 기 설정된 시간 이후로 드럼 내부로 물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차단밸브(282)는 상기 급수밸브(281)와 실질적으로 동일 시점에 열리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급수밸브(281)을 통하여 급수될 때, 상기 차단밸브(282)가 닫혀 있다면, 급수유로(220)에서부터 차단밸브(282)까지 밀폐되어 스팀발생기(200)로 물이 원활히 유입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차단밸브(282)는 상기 스팀공급장치를 통해 기 설정된 양 이상의 물이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급될 때 닫히도록 제어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조건 이외에는 항상 열린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 설정된 물의 양은 유량센서(283)를 통해서 감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량센서는 급수유로(22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량센서는 일반적으로 종래에 알려진 임펠러식 유량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즉 임펠러의 회전수를 이용하여 급수유로를 통해 급수된 수량을 감지한다. 상기 유량센서에서 과도한 양의 유량이 스팀발생기(200)으로 공급되었다고 감지하면 상기 차단밸브(282)가 닫히도록 제어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스팀발생기(200)는 다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워터 탱크(210) 내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하지 않고, 파이프 형태의 하우징(미도시) 내부로 흐르는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편의상 전자를 통 타입 스팀발생기라 하고 관 타입 스팀발생기라 한다.
관 타입 스팀발생기는 물을 급속으로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통 타입에 비해 스팀이 발생되는 시간을 매우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스팀이 아닌 고온의 물이 드럼 내부로 공급될 우려가 있다. 이에 비해서 통 타입 스팀발생기는 안정적으로 스팀을 드럼 내부로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건조기에서 스팀을 이용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건조기는 통상 열풍을 통하여 피건조물을 건조시키는데, 건조가 진행됨에 따라 피건조물에 주름이나 구김이 발생되어 건조 완료 후 별도의 다림질이 필요하다. 그러나, 건조가 진행됨에 따라 피건조물에 스팀을 공급함으로써 이러한 주름이나 구김의 발생을 완화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이는 피건조물의 구김 부분이나 주름 부분에 스팀이 공급되고, 열풍에 의해 수분이 건조됨으로써 구김이 제거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스팀의 공급 시점은 건조가 어느 정도 진행된 후임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스팀은 매우 미세한 입자로서 수 마이크론 정도의 고온의 물 입자이다. 따라서 이러한 스팀은 피건조물에 수분과 고온을 공급하여 냄새 입자를 제거하게 된다. 그러므로 스팀을 이용한 건조기를 통하여 냄새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건조가 종료되기 전 스팀을 통하여 의류에 소정의 수분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건조가 종료된 후에 스팀을 통하여 의류에 소정의 수분을 공급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스팀을 통해서 의류에 골고루 수분을 공급함으로써 사용자가 의류를 드럼 내에서 꺼냈을 때 의류의 정전기로 인한 불쾌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스팀은 수분과 고온을 피건조물에 공급하기 위한 매개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팀은 매우 미세한 입자를 갖고 고온이므로 피건조물에 잘 침투하게 된다. 따라서 피건조물 전체에 골고루 수분을 흡수시킬 수 있으며, 특정 부분에만 과도하게 수분이 흡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4와 도 5을 참조하여 드럼 내부로 첨가제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첨가제는 섬유 유연제 성분이나 향 성분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는 피건조물에 공급되어 드럼 내부와 피건조물 사이, 그리고 피 건조물들 사이에서 윤활 기능을 하여 피건조물의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아울러, 피건조물에 향을 공급하여 건조 완료 시 사용자에게 상쾌하고 쾌적한 의류를 제공하게 한다. 또한, 이러한 첨가 성분들은 피건조물에 공급되어 섬유의 올을 살려 뽀송뽀송한 느낌을 살려주는 기능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먼저 스팀을 이용하여 피건조물의 냄새를 제거한다. 아울러 스팀과 열풍의 작용을 통하여 피건조물의 냄새를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한다. 따라서, 냄새 제거와 아울러 향을 피건조물에 공급하거나 냄새 제거 후 향을 피건조물에 제공하므로 향 공급 효과는 더욱 증진될 수 있다.
도 4에는 스팀발생기(200)가 외부의 급수원이 급수유로(220)를 통해 연결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드럼 내부로 첨가제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소정 위치에서 인입 또는 인출이 가능한 서랍형 컨테이너(이하, "드로워"라 함)(500)가 설치되고, 상기 드로워(500)에 탱크(400)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탱크는 첨가제를 수용하는 첨가제수용부이며, 상기 첨가제수용부에 수용된 첨가제가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급된다.
상기 탱크(400)는 직접 첨가제유로(221)에 연결하는 것보다 상기 탱크(400)를 드로워(500)에 장착하고 상기 드로워(500)를 인입 또는 인출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상기 드로워(500)를 상기 첨가제유로(220)에 결합 또는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첨가제를 투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드로워(500)는 건조기의 전면 즉 건조기 캐비닛의 전면에 구비 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드로워(500)는, 예를 들어, 컨트롤 패널(19)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컨트롤 패널(19)의 후측으로 서포터(520)가 설치된다. 즉, 상기 서포터(520)는 탑 프레임(530)과 대략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기 서포터(520) 및 상기 탑 프레임(530)에 드로워(500)를 안내 및 지지하는 드로워 가이드(51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드로워 가이드(510)의 상부 일부에는 탑 가이드(550)가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드로워 가이드(510)의 상부 및 일측면(건조기의 전면 방향)은 개방되며, 상기 개방부를 통하여 드로워(500)가 인입 및 인출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탱크(400)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탱크(400)는 교환 가능한 카트리지 형태로 구성될 수 있어서 사용자가 번번히 첨가제를 투입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즉 내부에 첨가제가 수용된 탱크 자체를 교환 가능한 카트리지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사용자는 이러한 카트리지를 구입하여 건조기에 장착시키면 매우 편리하게 건조기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카트리지는 향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어서 기호에 따라 카트리지만 바꿈으로써 사용자의 다양한 수요에 부응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그리고, 상기 첨가제유로(221)에는 펌프(6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펌프를 통해서 수압이 발생되고, 첨가제는 노즐(251)을 통하여 드럼 내부로 분사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에는 탱크(4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탱크(400)는 정전기방지제, 향료 등의 각종 첨가제가 저장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탱크(400)는 첨가제가 수용되는 첨가제수용부(410)와, 상기 수용부(410)를 덮는 덮개부(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용부(410)에는 첨가제유로(221)와 연결되어 물이 빠져나가는 통로인 배수구(411)가 형성되며, 상기 덮개부(420)에는 덮개부(420)를 수용부(410)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물과 첨가제를 각각 투입할 수 있도록 첨가제투입구(421)와 첨가제 투입구(422)가 각각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탱크(400)에 투입되는 첨가제는 펌프(600)와 노즐(251)을 통하여 드럼 내부로 공급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노즐(251)은 스팀이 분사되는 노즐(250)과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첨가제공급장치는, 첨가제가수용부(410)에 수용된 첨가제를 펌핑하여 수압을 발생시키는 펌프(600) 그리고 상기 펌프에서 펌핑된 첨가제를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급하는 노즐(25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펌프(600)와 노즐(251) 사이의 유로(221) 또한 포함하여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스팀과 첨가제가 드럼 내로 공급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스팀이 드럼 내로 공급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스팀 발생을 위한 물은 급수밸브(281)와 급수유로(220)를 통하여 스팀발생기(200)로 공급된다. 스팀발생기 내의 물은 가열되어 스팀으로 변환되고, 스팀은 스팀유로(230)와 스팀노즐(250)을 통하여 드럼 내부로 분사된다. 여기서, 상기 차단밸브(282)를 통하여 상기 드럼 내부로 과도한 양의 물이 공급되는 것이 방지된다.
다음으로, 첨가제가 드럼 내로 공급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첨가제수용부(400)에 저장된 첨가제는 상기 급수유로(220)와 별도로 구비된 첨가제유로(221), 그리고 상기 스팀노즐(250)과 별도로 구성된 첨가제노즐(251)을 통하여 드럼 내부로 분사된다. 따라서 상기 첨가제는 스팀 발생을 위한 물, 그리고 스팀과는 별도로 드럼 내부로 분사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의 수압에 의해 물이 스팀발생기로 공급되고, 첨가제는 펌프에 의해 발생된 수압에 의해 드럼 내부로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스팀노즐(250)과 첨가제노즐(251)은 각각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의 단일 노즐(미도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단일 노즐의 경우, 상기 단일 노즐 내부에는 각각 스팀이 분사되는 분사공과 첨가제가 분사되는 분사공이 별도로 형성된다. 즉, 이들 분사공들은 각각 스팀유로와 첨가제유로와 연통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노즐만을 사용하여 스팀과 첨가제를 동시 또는 각각 분사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리어 서포터(40)에 하나의 노즐을 위한 개구부(미도시)를 설치하면 되므로 제조가 용이해진다. 아울러 최적의 위치에서 스팀과 첨가제가 분사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그러나,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필요에 따라 상기 첨가제 공급을 위한 펌프(600)와 노즐(251)은 생략될 수 있다. 즉, 첨가제를 공급하는 유로(221)가 스팀유로(230)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첨가제는 스팀이 공급되는 압력을 이용하여 드럼 내로 공급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팀유로(230)를 통하여 스팀이 공급될 때, 음압이 발생되어 첨가제를 공급하는 유로(221)를 통하여 첨가제가 흡입된다. 따라서 첨가제가 스팀유로(221)로 유입되고, 스팀과 첨가제는 하나의 노즐(250)을 통하여 드럼 내로 분사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서, 스팀이 첨가제 유로(221)를 통하여 첨가제수용부(450)로 공급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상기 첨가제 유로에는 스팀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미도시)가 구비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아울러, 상기 첨가제 유로에는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첨가제밸브(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왜냐하면 선택적으로 첨가제를 공급할 필요도 있기 때문이다. 상기 첨가제밸브가 폐쇄되면 스팀만 드럼 내부로 분사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첨가제 공급을 위한 별도의 노즐과 펌프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 첨가제는 스팀과 독립적으로 드럼 내부로 공급될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는 첨가제와 스팀이 독립적으로 드럼 내부로 공급될 수도 있도록 구성되거나, 스팀이 공급될 때 첨가제도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첨가제수용부(410)가 드로워(500)에 구비된 형태를 설명하였으나, 상기 첨가제수용부는 건조기 캐비닛의 상면이나 전면 하부 등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스팀과 첨가제가 별도로 드럼 내부에 구비되는 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에서 스팀 발생을 위한 스팀발생기(200)의 구성을 생략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팀 대신에 드럼 내부로 미세 수분이 공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수압을 갖는 물이 노즐(250)을 통과하면서 미세 수분으로 변환되어 드럼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미세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노즐(250)은 전술한 스팀 노즐과는 그 형태가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미세 수분은 외부의 급수시설로부터 공급되는 상온의 물을 분사하여 생성되므로 온도는 높지 않을 것이다. 그리고 입자 크기는 수십 마이크론에 해당 될 것이다. 따라서 스팀에 비해서는 피건조물에 골고루 공급되지 않고 특정 부분에만 공급될 우려가 있다. 아울러 피건조물 깊숙히 침투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이러한 우려를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미세 수분을 고온으로 가열할 필요가 있다. 즉, 이러한 미세 수분을 전술한 스팀과 최대한 유사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건조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드럼 내부로 열풍 또는 냉풍을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미세 수분이 드럼 내로 공급될 때 상기 공기공급장치가 구동되어 드럼 내로 열풍을 공급하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미세 수분이 가열되어 부분적으로 수증기가 형성되어 그 입자 크기가 작아지고, 아울러 고온이 됨으로써 수분이 피건조물에 골고루 그리고 깊숙히 흡수될 수 있다. 또한, 미세 수분과 열풍과의 보다 효과적인 상승 작용을 위하여 미세 수분이 분사 되는 노즐의 위치는 열풍이 드럼 내부로 유입되는 개구부(42)의 위치는 근접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드럼 내부로 미세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분사 노즐(250)은 리어 서포터(40)에 구비되되, 상기 개구부(42)에 근접하게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상기 노즐의 위치는 열풍공급덕트(44) 내일 수 있고, 따라서 미세 수분은 열풍공급덕트 내에서 가열되어 열풍과 함께 상기 개구부(42)를 통하여 드럼 내부로 공급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스팀 또는 미세 수분과 별도로 첨가제가 드럼 내로 공급되거나, 동시에 드럼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물과 첨가제는 미세 수분 형태로 드럼 내부의 피건조물에 공급되어 구김 제거, 정전기 제거, 윤활 작용, 그리고 향 부가의 기능을 수행할 것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세탁장치의 전면에 형성된 컨트롤 패널(19)을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에는 상기 스팀공급장치 또는 수분공급장치, 첨가제공급장치, 차단장치 그리고 공기공급장치의 작동을 포함한 건조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10) 및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컨트롤 패널(19)이 설치된다.
상기 컨트롤 패널(19)에는 사용자에 의해 각종 건조코스가 선택되는 선택부(111)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선택부는 다이얼 놉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건조 옵션 등을 선택할 수 있는 버튼들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건조코스 는 사용자의 선택 시에 스팀이 드럼(130)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스팀행정을 갖는 스팀코스를 포함한다. 물론, 이러한 스팀행정은 건조코스 중의 옵션일 수도 있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이 미세 수분과 열풍을 동시에 드럼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스팀행정과 유사한 행정이 선택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선택부(111)에는 사용자가 드럼 내부로 첨가제를 분사하도록 할 것인가를 선택할 수 있도록 첨가제 선택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첨가제를 드럼 내부로 공급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라서 이러한 첨가제 선택부(112)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스팀이나 미세 수분이 드럼 내부로 공급될 때 자동적으로 첨가제가 드럼 내부로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건조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첨가제 선택부(112)가 구비된 형태에서 이를 설명한다.
사용자가 선택부(111)를 통해 스팀코스를 선택하면 상기 컨트롤러(110)는 급수밸브(283) 및 스팀발생기(200)를 제어하여 스팀이 발생하도록 한다. 특히, 사용자가 스팀과 함께 첨가제를 드럼 내부로 분사하고 싶다면 첨가제 선택부(112)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첨가제 선택부(112)를 선택하게 되면, 컨트롤러(110)는 펌프(600)를 제어하여 첨가제가 드럼 내부로 분사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스팀과 함께 첨가제가 분사되므로 첨가제는 드럼(130) 내부에 수용되는 세탁물에 골고루 분사되어 첨가제의 기능이 효율적으로 발휘된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 에서는 구체적으로 드럼 내부로 과도한 양의 물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 전술한 실시예와 다르다. 따라서 첨가제 공급을 위한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넷 내에는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292)가 구비된다. 상기 물탱크는 급수밸브(282)를 통하여 수도꼭지와 같은 외부의 급수전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물탱크 내에는 물탱크 내의 수위를 센싱하기 위한 수위센서(296)가 있다. 상기 수위센서는 공통전극(293), 고수위전극(295), 그리고 저수위전극(294)을 포함한다. 이의 형태는 전술한 스팀발생기에서의 수위센서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탱크는 상부에 배수구를 가진다. 상기 배수구는 배수유로(297)와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배수구는 상기 고수위전극으로 센싱할 수 있는 수위보다 위에 위치하고 있다.
물탱크로 급수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콘트롤러는 급수밸브(282)를 열어 상기 물탱크로 물이 공급되도록 한다. 수위센서 신호를 통해 물탱크 내의 수위가 고수위에 도달하였음이 확인되면 급수밸브를 닫는다. 이때, 급수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하여 급수가 고수위를 넘어서 계속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렇게 과급수된 물은 상기 배수구 및 배수유로를 통해 건조기 외부로 배수되어 건조기 내로 누수되거나 하는 문제는 없다. 급수과정에서의 에러는 예컨대, 급수밸브의 오동작 또는 수위센서의 오동작 등등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수유로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외부 배수관과 연결될 수 있 다. 또는, 상기 배수유로는 세탁기의 배수유로와 연결될 수 있다. 세탁기의 배수유로는 일반적으로 배수펌프 및 배수호스를 포함한다. 또는, 상기 배수유로는 세탁기의 터브로 연결되어 배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물탱크(292)와 배수유로(297)을 통해서 드럼 내부로 과도한 양의 물이 급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의 차단장치는 상기 물탱크(292)와 배수유로(29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은 펌프(291)의 작동에 의해 스팀발생기(200)로 공급된다. 콘트롤러는 스팀을 사용하기 위해 상기 펌프를 작동시켜 물탱크 내의 물을 스팀발생기로 공급한다. 따라서, 상기 펌프(291)이 동작하지 않으면 상기 스팀발생기(200)로 물이 공급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설령 급수밸브(282)나 수위센서(296)의 고장인 경우에도 스팀발생기를 통해 드럼 내부로 과도한 양의 물이 공급되지 않는다.
아울러, 스팀발생기 내의 수위가 설정수위에 도달하였음이 수위센서를 통해 확인되면 펌프를 정지시킨다. 그리고, 스팀발생기의 히터를 온시켜 물을 가열하고 스팀을 발생시킨다. 이렇게 발생된 스팀은 드럼으로 공급된다.
상기 물탱크 내의 물이 사용됨에 따라 수위가 점점 내려가면 저수위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의 통전이 끊어지게 된다. 이 경우 물탱크로 물을 급수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콘트롤러는 급수밸브(282)를 열어 물이 물탱크(292)로 급수되도록 한다.
한편, 물탱크와 수도를 연결하는 급수호스에는 유량센서(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그래서, 물탱크로 급수된 물의 양을 감지한다. 상기 유량센서는 일반적으로 종래에 알려진 임펠러식 유량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임펠러의 회전수를 이용하여 급수호스를 통해 급수된 수량을 감지한다. 콘트롤러는 상기 유량센서의 신호를 받고 설정된 수량에 도달하면 상기 급수밸브를 닫는다. 이와 같이 유량센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물탱크는 수위센서를 가지지 않을 수도 있다. 유량센서를 이용하여 급수된 양을 감지하고, 상기 펌프의 작동에 의해 스팀발생기로 공급된 물의 양을 감지하면 물탱크 내에 잔존하고 있는 물의 양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물탱크의 잔존 수량은 메모리에 저장되어 콘트롤러가 급수밸브를 제어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팀발생기(200)의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펌프를 통해 발생된 수압을 이용하여 노즐(250)을 통해 미세 수분이 드럼 내부로 분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노즐 형태는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의 수분공급장치는 미세수분을 드럼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구성과 스팀을 드럼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구성을 모두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다양한 제어방법에 대해 도 8 내지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8을 참조하여 제어방법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한다.
건조기는 열풍을 피건조물에 공급하여 피건조물을 건조시키는 건조행정을 포 함한다. 여기서, 상기 건조행정은 기설정시간 동안 진행되어 상기 기설정시간이 경과되면 건조행정이 종료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건조행정은 기설정된 플로우에 따라 진행되도록 제어될 수 있으며, 상기 기설정시간은 특정한 값으로 기설정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기설정시간은 건조행정 초기에 설정될 수 있으며, 포량에 따라 편차가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건조행정 초기에 피건조물의 윤활을 위한 첨가제를 드럼 내부로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건조행정 말기에 피건조물에 향을 부가하기 위한 첨가제를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윤활을 위한 첨가제와 향 부가를 위한 첨가제는 별도로 구비되어 드럼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의 편리 및 건조기의 제조의 편의 상 양자는 함께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첨가제는 윤활을 위한 성분과 향 부가를 위한 성분을 모두 포함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첨가제는 피건조물에서 냄새를 제거하는 냄새 제거 성분이나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한 정전기 제거 성분을 포함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적절한 시기에 이러한 첨가제를 드럼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원하는 기능을 달성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첨가제를 건조행정 초기에 드럼 내부로 공급함이 바람직하다. 즉, 피건조물의 윤활을 위해서 건조행정 초기에 드럼 내부로 첨가제를 공급함이 바람직하다. 건조가 진행되면 열풍이 드럼 내부로 공급된다. 이러한 열풍은 매우 고온이므로 옷감을 상하게 할 우려가 있다. 아울러 피건조물이 드럼 내부 에서 텀블링되거나 유동되면서 피건조물 사이에 마찰이 발생되거나, 피건조물과 드럼 사이에 마찰이 발생될 우려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마찰로 인하여 피건조물이 상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우려를 해소하기 위하여 피건조물의 윤활을 위하여 첨가제를 공급함이 바람직하며, 특히 건조행정 초기에 공급함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첨가제를 건조행정 말기에 드럼 내부로 공급함이 바람직하다. 즉, 피건조물에 향을 부가하기 위해서 건조행정 말기에 드럼 내부로 첨가제를 공급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건조행정 종료 후에 피건조물에 향 성분이 남게 되어 냄새 제거와 아울러 보다 쾌적하고 상쾌한 느낌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함이다.
물론, 상기 건조행정 초기에 공급되는 첨가제로 인하여 피건조물에 향이 부가될 수 있다. 그러나, 건조가 진행됨에 따라 이러한 첨가제 효과는 미미해지기 때문에 건조행정 말기에 향 부가를 위한 첨가제 공급이 바람직한 것이다.
여기서, 건조행정 말기라 함은 건조행정 종료 전, 즉 설정시간 종료 전 10분 내지 5분 사이의 시간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상기 시간 사이에 피건조물에 향 부가를 위하여 첨가제가 공급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건조행정 종료 전 10분 이상인 경우에는 향 성분이 피건조물에 거의 남지 않기 때문이다. 반대로 5분 이내인 경우에는 향 성분이 너무 많이 남아 있거나, 피건조물이 향 성분을 인해 제대로 건조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건조행정은 드럼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단계와 냉풍을 공급하는 냉풍공급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첨가제 공급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상기 열풍공급단계 및 냉풍공급단계와 연관되어 첨가제 공급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피건조물의 윤활을 위한 첨가제의 공급은 상기 열풍공급단계 초기에 이루어짐이 바람직하고, 이 후 상기 냉풍공급단계에서 피건조물에 향을 부가하기 위한 첨가제의 공급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물론, 먼저 첨가제의 공급이 이루어진 후 열풍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냉풍공급 시작 전 또는 시작 후 첨가제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첨가제 공급과 열풍 또는 냉풍의 공급은 동시에 수행되는 구간을 갖도록 설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열풍공급단계는 큰 가열용량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강 열풍공급단계와 적은 가열용량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약 열풍공급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열풍 공급을 위한 히터의 용량이 가변될 수 있음을 전제로 한다.
따라서, 건조행정 초기에는 강 열풍을 통하여 건조를 시키고, 건조행정이 말기에는 약 열풍을 통하여 건조를 시키게 된다. 물론, 상기 약 열풍을 통한 건조 후에 냉풍을 통한 건조 및 냉각이 수행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열풍의 용량 가변은 피건조물의 보호를 위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건조가 거의 종료되어 피건조물의 함습량이 낮을 때 강한 열풍을 공급하게 되면 피건조물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되어 열 손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첨가제 공급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상기 강 열풍공급단 계 및 약 열풍공급단계와 연관되어 첨가제 공급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피건조물의 윤활을 위한 첨가제의 공급은 상기 강 열풍공급단계 초기에 이루어짐이 바람직하고, 이 후 상기 약 열풍공급단계에서 피건조물에 향을 부가하기 위한 첨가제의 공급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물론, 먼저 첨가제의 공급이 이루어진 후 강 열풍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약 열풍공급 시작 전 또는 시작 후 첨가제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첨가제 공급과 강 열풍 또는 약 열풍의 공급은 동시에 수행되는 구간을 갖도록 설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마찬가지로 건조행정이 강 열풍공급단계, 약 열풍공급단계 그리고 냉풍공급단계로 진행된다면, 먼저 피건조물의 윤활을 위한 첨가제의 공급은 상기 강 열풍공급단계 초기에 이루어지고, 상기 냉풍공급단계에서 피건조물에 향을 부가하기 위한 첨가제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러나, 어느 경우나 상기 향 부가를 위한 첨가제의 공급은 건조행정의 말기, 보다 구체적으로는 건조행정 종료 전 10분 내지 5분 사이에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이러한 시간은 피건조물의 포량에 따라 가변될 수 있으며, 포량이 증가됨에 따라 공급되는 첨가제의 양 또한 가변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아울러 공급되는 첨가제의 양은 첨가제를 공급하는 시간을 가변시킴으로써 제어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포량이 많은 경우 첨가제를 공급하는 시간이 길어지도록 제어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첨가제에 냄새 제거 성분이 포함된 경우 첨가제를 공급함으로 써 피건조물의 냄새를 제거할 수 있고, 정전기 제거 성분이 포함된 경우 향 부가뿐만 아니라 정전기를 제거하여 건조행정 종료 후 정전기로 인한 사용자의 불쾌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제어방법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전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의 건조행정에서 건조행정이 진행되는 시간은 피건조물의 건조 정도에 따라 가변됨을 특징으로 한다. 즉, 피건조물의 건조도를 감지하여 건조가 충분한 경우 건조 시간을 줄이고, 건조가 불충분한 경우 건조 시간을 늘인다. 따라서 과도한 건조 및 불충분한 건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건조행정은 제 1 건조 및 제 2 건조로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즉, 제 1 건조를 통해서 건조를 수행하되 피건조물의 건조도를 감지하여 제 1 건조 시간을 가변시키고, 이 후 잔여 시간 동안 제 2 건조를 수행하게 된다. 도 10에 도시된 6분은 예로 든 것이며, 잔여 시간이 6분임을 가정한 것이다. 예를 들어 초기 건조행정 시간이 50분으로 설정된 경우, 44분 동안은 제 1 건조가 수행되나 이 44분은 가변될 수 있으나, 제 2 건조가 수행되는 6분은 가변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여기서, 제 1 건조는 열풍공급단계를 포함하고 제 2 건조는 냉풍공급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 1 건조는 강 열풍공급단계와 약 열풍공급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1 건조는 강 열풍공급단계를 포함하고 제 2 건조는 약 열풍공급단계와 냉풍공급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어느 경우나 첨가제가 공급되는 시점은 전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할 수 있을 것이 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제어방법의 제 3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 또한 기본적으로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하다. 그러나 스팀 또는 미세 수분을 건조행정 중 피건조물에 공급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스팀 또는 미세 수분은 전술한 바와 같이 피건조물의 주름 제거, 정전기 제거, 냄새 제거 등을 위하여 공급될 수 있다. 아울러, 피건조물을 완전히 건조시키지 않고 피건조물이 소정의 함습량을 갖도록 하여 건조행정 종료 후 용이하게 다림질 등을 할 수 있도록 건조행정 말기에 공급될 수도 있다. 즉, 피건조물에 열풍을 공급하여 피건조물을 건조시킨 후 스팀 또는 미세 수분을 피건조물에 공급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첨가제는 상기 스팀이 공급되기 전 또는 후에 공급될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스팀과 동시에 공급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일정시간 동안 스팀가 첨가제가 동시에 공급되는 구간을 갖도록 제어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스팀과 첨가제 공급이 완료된 후 열풍이나 냉풍이 드럼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이는 스팀과 첨가제로 인하여 건조 종료 후 피건조물의 함습량이 과도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의 건조행정 말기라 함은 전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건조 종료 전 8분 내지 3분 이내임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술한 제 1 실시예와 제 2 실시예에서 첨가제 공급 후 반드시 열풍이나 냉풍이 드럼 내부로 공급될 필요는 없음을 알 수 있다. 즉, 이때 드럼만 회전하여 피건조물에 첨가제가 골고루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왜냐하면 이 경우 건 조행정 말기에 첨가제만 공급되므로 과도한 함습량의 우려가 적고, 열풍이나 냉풍 공급으로 인해 향 성분이 증발되거나 드럼 외부로 배출되어 버릴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도 건조행정 초기에 피건조물의 윤활을 위하여 드럼 내부에 첨가제가 공급되도록 제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실시예들에서 건조행정이나 스팀건조행정은 하나의 건조 코스로서 사용자가 선택함에 따라 자동적으로 시작부터 종료까지 진행될 수 있으며, 각종 코스에포함되는 행정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코스가 선택되면, 상기 건조행정이나 스팀건조행정이 모두 종료된 후에도 건조기의 작동이 끝나지 않고 소정 시간 동안 계속해서 드럼만 회전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건조행정이나 스팀건조행정 시작 전, 또는 진행 중에 필요에 따라 부가적인 행정이 포함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부가적인 행정은 열풍, 냉풍, 스팀, 미세 수분 등이 드럼 내부로 공급되지 않고 드럼만 회전하는 경우도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이제까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살펴 보았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 내에서 변형된 형태의 또 다른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조기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 설치되는 스팀발생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스팀발생기와 첨가제공급장치의 장착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첨가제수용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컨트롤 패널을 간략하게 도시한 간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 제어방법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 제어방법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 제어방법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스팀발생기 220: 급수유로
221: 첨가제유로 230: 스팀유로
400: 탱크

Claims (27)

  1. 피건조물이 수용되는 드럼;
    상기 드럼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장치;
    외부의 급수전과 연결되어 상기 스팀공급장치로 스팀 발생을 위한 물을 공급하는 급수장치;
    상기 스팀공급장치에 구비되어 상기 스팀공급장치로부터 오버플로우된 물이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장치;
    첨가제를 수용하는 첨가제수용부;
    상기 첨가제수용부에 수용된 첨가제를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급하는 첨가제공급장치; 그리고
    상기 스팀공급장치, 급수장치, 차단장치 그리고 첨가제공급장치를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공급장치는,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기;
    상기 스팀발생기에서 발생된 스팀을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급하는 스팀유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장치는 상기 스팀유로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장치는 상기 스팀발생기의 온도에 따라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장치는 상기 스팀발생기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일 때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6. 제 1 항 또는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공급장치는,
    상기 첨가제수용부에 수용된 첨가제를 펌핑하여 수압을 발생시키는 펌프;
    상기 펌프에서 펌핑된 첨가제를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급하는 첨가제유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공급장치는 상기 드럼 내부로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 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첨가제공급장치는 상기 드럼 내부로 첨가제를 분사하는 첨가 제 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노즐과 첨가제 노즐은 서로 별도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노즐과 첨가제 노즐은 단일 노즐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노즐 내부에는 각각 스팀이 분사되는 스팀 분사공과 첨가제가 분사되는 첨가제 분사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노즐 내부에는 스팀과 첨가제가 함께 분사되는 분사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 전면에 인입과 인출이 가능한 드로워가 형성되며, 상기 드로워 내부에 상기 첨가제수용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3. 피건조물이 수용되는 드럼;
    상기 드럼 내부로 열풍 또는 냉풍을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
    상기 드럼 내부로 미세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장치;
    외부의 급수전과 연통되고, 선택적으로 개폐되어 상기 수분공급장치로 선택적으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밸브;
    상기 수분공급장치에 구비되어 상기 수분공급장치를 통해 과도한 양의 물이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장치;
    첨가제를 수용하는 첨가제수용부;
    상기 첨가제수용부에 수용된 첨가제를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급하는 첨가제공급장치; 그리고
    상기 공기공급장치, 급수밸브, 차단장치 그리고 첨가제공급장치를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조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장치는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차단밸브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밸브는 상기 콘트롤러가 상기 급수밸브의 열림 신호를 발생시킨 후 기 설정된 시간이 도달되면 닫히도록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밸브는 상기 급수밸브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열리도록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밸브는 상기 수분공급장치를 통해 기 설정된 양 이상의 물이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급될 때 닫히도록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내부로 미세 수분이 공급될 때, 상기 공기공급장치가 제어되어 상기 드럼 내부로 열풍이 공급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공급장치는,
    상기 첨가제수용부에 수용된 첨가제를 펌핑하여 수압을 발생시키는 펌프;
    상기 펌프에서 펌핑된 첨가제를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급하는 노즐; 그리고
    상기 펌프와 노즐 사이에 구비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파이프를 포함하여 이루 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공급장치는,
    상기 첨가제수용부와 상기 수분공급장치와 연통시키는 첨가제유로; 그리고
    상기 첨가제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첨가제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공급장치는 상기 첨가제유로에 구비되어 상기 첨가제유로를 통해 물이 역류되지 못하도록 하는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22.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장치는,
    상기 급수밸브를 통해 급수되는 물을 저장하되, 일정 높이에 배수구를 가지는 물탱크(reservior);
    상기 배수구에 연결된 배수유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유로는 적어도 다른 세탁기의 터브 또는 배수유로로 연결되거나 외부의 배수관에 연결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 내의 수위를 센싱하는 수위센서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급수밸브는 상기 물탱크 내의 수위가 설정수위가 되면 닫히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2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공급장치는 상기 드럼 내부로 미세 수분을 분사하는 분사 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공급장치는 상기 물탱크 내에 구비된 물을 펌핑하여 수압을 발생시키는 펌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공급장치는 상기 펌프를 통해 급수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KR1020070114754A 2007-11-02 2007-11-12 건조기 KR100934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754A KR100934659B1 (ko) 2007-11-12 2007-11-12 건조기
EP08017674.6A EP2055824B1 (en) 2007-11-02 2008-10-08 Dryer
US12/289,022 US8695232B2 (en) 2007-11-02 2008-10-17 Dryer
CN2008101710356A CN101424037B (zh) 2007-11-02 2008-10-31 干衣机
US13/157,696 US20110239480A1 (en) 2007-11-02 2011-06-10 Dr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754A KR100934659B1 (ko) 2007-11-12 2007-11-12 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8741A KR20090048741A (ko) 2009-05-15
KR100934659B1 true KR100934659B1 (ko) 2009-12-31

Family

ID=40857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4754A KR100934659B1 (ko) 2007-11-02 2007-11-12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46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400B1 (ko) 2012-09-04 2014-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분사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WO2014038847A1 (en) * 2012-09-04 2014-03-13 Lg Electronics Inc. Steam spraying apparatus and clothing drying machine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4388B1 (ko) * 2005-01-17 200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의 향기부여방법
KR20060085537A (ko) * 2005-01-24 2006-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의 구김제거방법
KR100808174B1 (ko) * 2005-03-25 2008-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용 스팀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4388B1 (ko) * 2005-01-17 200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의 향기부여방법
KR20060085537A (ko) * 2005-01-24 2006-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의 구김제거방법
KR100808174B1 (ko) * 2005-03-25 2008-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용 스팀발생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400B1 (ko) 2012-09-04 2014-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분사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WO2014038847A1 (en) * 2012-09-04 2014-03-13 Lg Electronics Inc. Steam spraying apparatus and clothing drying machine including the same
US9752772B2 (en) 2012-09-04 2017-09-05 Lg Electronics Inc. Steam spraying apparatus and clothing drying machin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8741A (ko) 200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1461B1 (ko) 건조기의 제어방법
US8695232B2 (en) Dryer
KR101319874B1 (ko) 건조기의 제어방법
KR100964695B1 (ko) 건조기
KR101328920B1 (ko) 건조기
KR101414625B1 (ko) 건조기
EP1895039B1 (en) Auxiliary dryer and complex laundry machine including the same
EP2000581B1 (en) Dryer
EP2054545B1 (en) Laundry dryer
KR101020417B1 (ko) 건조기의 향 분사 제어방법
RU2415981C2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сушильной машиной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комплектом машин для белья
KR100808199B1 (ko) 복합 의류 처리 장치
KR101028275B1 (ko) 향 공급모듈이 구비된 의류 건조기
KR100921460B1 (ko) 건조기
KR20090033593A (ko) 가전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0774208B1 (ko) 복합 의류 처리 장치
KR100774206B1 (ko) 복합 의류 처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0934659B1 (ko) 건조기
KR100640811B1 (ko) 건조기용 급수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934660B1 (ko) 건조기
KR101208531B1 (ko) 건조기
KR101265618B1 (ko) 건조기
KR101265617B1 (ko) 건조기
KR20230144746A (ko) 스티머 및 이를 포함하는 스팀 공급장치
KR101208533B1 (ko)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