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6917A -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을 이용한 댐 수문 방류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을 이용한 댐 수문 방류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6917A
KR20220126917A KR1020210031244A KR20210031244A KR20220126917A KR 20220126917 A KR20220126917 A KR 20220126917A KR 1020210031244 A KR1020210031244 A KR 1020210031244A KR 20210031244 A KR20210031244 A KR 20210031244A KR 20220126917 A KR20220126917 A KR 202201269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
modeling
sluice gate
digital twin
mod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1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6774B1 (ko
Inventor
윤상병
윤기병
전수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엔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엔아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엔아이티
Priority to KR1020210031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6774B1/ko
Publication of KR20220126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6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6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6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1/00Details relating to CAD techniques
    • G06F2111/18Details relating to CAD techniques using virtual or augment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3/00Details relating to the application field
    • G06F2113/08Flu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9/00Details relating to the type or aim of the analysis or the optimisation
    • G06F2119/14Force analysis or force optimisation, e.g. static or dynamic fo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Barrages (AREA)
  • Aerodynamic Tests, Hydrodynamic Tests, Wind Tunnels, And Water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차원 공간 인식 기반의 3D 모델링으로 댐의 구조를 표출하여 시각화하고, 댐의 수위 센서를 통해 검출된 댐의 수위가 일정 기준 이상이 될 때, 댐에 저장된 저수를 여러 조건에 따라 방류하는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댐의 저수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을 이용한 댐 수문 방류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을 이용한 댐 수문 방류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상기 댐체의 각 구역에 설치되어 각종 정보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측기; 상기 댐체의 구조를 3차원 공간인식 기반으로 3D 모델링하여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로 생성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계측기로부터 수신된 계측 정보를 상기 디지털 트윈 댐 모델에 반영하며, 계측된 저수량의 수위에 따라 방류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댐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문에 대응되는 3D 모델링 댐 수문을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3D 모델링 댐 수문을 각각 개방하여 3D 모델링 댐에 저장된 저수를 방류하도록 시뮬레이션하는 시뮬레이션 서버; 및 상기 댐체의 관리를 위한 축조 정보, 물성 정보, 점검 및 진단 이력 정보, 보수보강 정보, 저수의 수위에 따른 저수량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을 이용한 댐 수문 방류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Dam sluice discharge simul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3D digital twin dam model}
본 발명은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을 이용한 댐 수문 방류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3차원 공간 인식 기반의 3D 모델링으로 댐의 구조를 표출하여 시각화하고, 댐의 수위 센서를 통해 검출된 댐의 수위가 일정 기준 이상이 될 때, 댐에 저장된 저수를 여러 조건에 따라 방류하는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댐의 저수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을 이용한 댐 수문 방류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댐은 하천의 흐름을 막아 용수를 확보하거나, 홍수로 인한 하류 유량의 급속한 증가를 방지하기 위하여 건설된다.
그러나 댐 인프라의 건설 당시 가치있는 정보 보존의 미흡으로 안전 관리의 기초 자료가 부족하고, 2000년 이전 준공 인프라의 도면, 축조, 물성, 계측 정보 등 필수 정보의 전산화가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정보의 개별화, 분산화로 신속한 의사결정 지원이 어려웠고, 댐의 점검 및 진단 자료를 종이 보고서 형태로 개별로 보존하고 있어 사용자 접근성에 제한이 있으며, 정보 검색에 상당한 시간과 경험을 수반하거나 경험자의 노하우가 중요하게 되었다.
또한, 기존 엔지니어의 숙련도와 경험, 노하우가 중요하고, 신입전입 직원의 업무 숙련화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댐 시설 관리자의 육안 조사 위주로 댐 점검이 국한되었으며,접근 제약 지역의 조사점검이 난해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댐 현장의 안전 위해 요소의 발생 시 빠른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실시간 협업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한편, 정부에서는 그린뉴딜의 일환으로 2020년 하반기부터 댐 안전점검에 무인기(드론)를 본격적으로 도입하고, 2025년까지 3차원 가상공간(디지털 트윈)과 인공지능(AI) 기반의 '댐 스마트 안전관리체계'를 단계적으로 구축한다고 밝혔다.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은 현실 세계의 기계, 장비 등을 컴퓨터 속 가상 세계에 구현해 현실에서 발생 가능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하기 위해 활용하는 가상 공간을 말한다.
'무인기를 활용한 댐 안전검검'은 무인기로 댐의 상태를 영상 촬영한 후 3차원 그래픽으로 구현, 벽체 등 댐체의 손상 여부를 살펴보는 기능형 안전점검 방법이다.
기존에 직접 사람이 댐 현장에 가서 결함 여부를 점검할 때 접근이 어려웠던 곳도 무인기를 활용하면 더욱 꼼꼼하게 댐을 점검할 수 있다.
2021년부터 구축 예정인 3차원 댐 가상 공간(디지털 트윈)에는 무인기로 점검한 사진, 영상 자료 등을 누적해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거대자료(빅데이터)가 축적되면 인공지능(AI)을 활용, 댐의 이상 유무를 점검할 수 있다.
따라서, 정부는 첨단기술을 도입해 선제적으로 댐을 보수보강하면 위기대응 능력이 높아지고 노후화 된 댐의 성능이 개선되어 댐을 오랫동안 안전하게 운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관련 선행 특허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7-0002726호(1997.01.28. 공개)가 있으며, 상기 문헌에는 의사결정지원 시스템을 이용한 다목적 댐의 종합관리 시스템 및 그 구현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3차원 공간 인식 기반의 3D 모델링으로 댐의 구조를 표출하여 시각화하고, 댐의 수위 센서를 통해 검출된 댐의 수위가 일정 기준 이상이 될 때, 댐에 저장된 저수를 여러 조건에 따라 방류하는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댐의 저수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을 이용한 댐 수문 방류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을 이용한 댐 수문 방류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하천을 가두도록 설치된 댐체의 저수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문을 통하여 관리하기 위한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을 이용한 댐 수문 방류 시뮬레이션 시스템으로서, 상기 댐체의 각 구역에 설치되어 각종 정보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측기; 상기 댐체의 구조를 3차원 공간인식 기반으로 3D 모델링하여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로 생성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계측기로부터 수신된 계측 정보를 상기 디지털 트윈 댐 모델에 반영하며, 계측된 저수량의 수위에 따라 방류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댐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문에 대응되는 3D 모델링 댐 수문을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3D 모델링 댐 수문을 각각 개방하여 3D 모델링 댐에 저장된 저수를 방류하도록 시뮬레이션하는 시뮬레이션 서버; 및 상기 댐체의 관리를 위한 축조 정보, 물성 정보, 점검 및 진단 이력 정보, 보수보강 정보, 저수의 수위에 따른 저수량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은, 상기 댐체의 중앙 부분에 해당하는 위치에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과, 상기 댐체의 좌측 가장자리 부분에 해당하는 위치에 좌측 3D 모델링 댐 수문, 및 상기 댐체의 우측 가장자리 부분에 해당하는 위치에 우측 3D 모델링 댐 수문을 구비하고, 상기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과 상기 좌측 3D 모델링 댐 수문 사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3D 모델링 댐 수문이 배치되고, 상기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과 상기 우측 3D 모델링 댐 수문 사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3D 모델링 댐 수문이 배치되며, 상기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 상기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과 상기 좌측 3D 모델링 댐 수문 사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3D 모델링 댐 수문, 및 상기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과 상기 우측 3D 모델링 댐 수문 사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3D 모델링 댐 수문에는, 각 수문의 개방 시 방출되어 나오는 저수를 이동시키는 배수로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은, 상기 댐체에 저수된 수량 중 상기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에 인가되는 수량의 수압이 가장 높고, 상기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을 기준으로 양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상기 좌측 3D 모델링 댐 수문 및 상기 우측 3D 모델링 댐 수문 측으로 갈수록 수압이 낮아져, 상기 좌측 3D 모델링 댐 수문에 인가되는 수량의 수압과 상기 우측 3D 모델링 댐 수문에 인가되는 수량의 수압이 상기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에 인가되는 수량의 수압 보다 더 낮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계측기 중 수위 센서를 통해 검출된 수위에 따라 기준 저수량 대비 전체 방류량을 계산하고, 계산된 전체 방류량을 상기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 상기 좌측 3D 모델링 댐 수문, 상기 우측 3D 모델링 댐 수문 및 그 사이에 배치된 다수의 3D 모델링 댐 수문을 통한 각 방출량을 계산하고, 이에 근거해 각 3D 모델링 댐 수문별 개방 시간을 계산하며, 상기 계산된 전체 방류량, 상기 계산된 각 3D 모델링 댐 수문별 방출량 및 상기 계산된 각 3D 모델링 댐 수문별 개방 시간에 따라, 상기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 상기 좌측 3D 모델링 댐 수문, 상기 우측 3D 모델링 댐 수문 및 그 사이에 배치된 다수의 3D 모델링 댐 수문을 각각 개방시킬 수 있다.
상기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은, 상기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 상기 좌측 3D 모델링 댐 수문, 상기 우측 3D 모델링 댐 수문 및 그 사이에 배치된 다수의 3D 모델링 댐 수문에 대한 개방 높이를 각각 조절하되, 상기 댐체에 저수된 저수량과 수위에 따라 각 댐 수문에 인가되는 수압의 크기를 계산하고, 계산된 각 댐 수문에 인가되는 수압에 따라 상기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 상기 좌측 3D 모델링 댐 수문, 상기 우측 3D 모델링 댐 수문 및 그 사이에 배치된 다수의 3D 모델링 댐 수문에 대한 개방 높이를 각각 조절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은, 상기 댐체의 구조를 3차원 공간인식 기반으로 3D 모델링하고, 3D 모델링 된 댐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역으로 분할하여 각 댐체로 세분화하여 분할 모델 및 통합 모델로 관리하며, 각 댐체 구역에 대한 개별 부재의 도면을 확인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측기의 위치 및 정보를 3D 모델링 댐체 위에 붉은 색으로 점멸하여 시각화하고, 상기 댐체에 저수된 수량에 대해 침투 수량계 및 외부 변위계의 데이터 변화를 그래프 형태로 시각화할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 서버는, 상기 댐체의 내부 기초 지반이나 구조물을 3D 모델링으로 변환하여 그라우팅을 통한 기초 지질을 표현하며, 상기 댐체의 주변 경관에 대해 등고선의 색 및 간격을 조절하고, 상기 댐체의 물성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가져와 주변 지형 및 실제 물성 공간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댐체의 주요 영역에 대한 토목 도면을 표출하며, 필요한 도면의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댐체의 현장에 있는 상기 점검 단말기로부터 사진이 포함된 보고 내용이 입력되면 댐 점검 보고서를 자동으로 생성하며, 상기 댐체의 자산 관리 기능과 연동하여 자산 정보를 표출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을 이용한 댐 수문 방류 시뮬레이션 방법은, 하천을 가두도록 설치된 댐체의 저수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문을 통하여 관리하기 위한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을 이용한 댐 수문 방류 시뮬레이션 방법으로서, (a) 시뮬레이션 서버에서 상기 댐체를 구조물 정보에 따라 3차원 공간인식 기반으로 3D 모델링하여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시뮬레이션 서버가 상기 댐체의 각 구역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측기로부터 각종 계측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시뮬레이션 서버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측기로부터 수신된 계측 정보를 상기 디지털 트윈 댐 모델에 반영하는 단계; (d) 상기 시뮬레이션 서버가 상기 계측 정보 중 저수량의 수위에 따라 방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e) 상기 시뮬레이션 서버가 상기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3D 모델링 댐 수문을 각각 개방하여 3D 모델링 댐에 저장된 저수를 방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은, 상기 댐체의 중앙 부분에 해당하는 위치에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과, 상기 댐체의 좌측 가장자리 부분에 해당하는 위치에 좌측 3D 모델링 댐 수문, 및 상기 댐체의 우측 가장자리 부분에 해당하는 위치에 우측 3D 모델링 댐 수문을 구비하고, 상기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과 상기 좌측 3D 모델링 댐 수문 사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3D 모델링 댐 수문이 배치되고, 상기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과 상기 우측 3D 모델링 댐 수문 사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3D 모델링 댐 수문이 배치되며, 상기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 상기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과 상기 좌측 3D 모델링 댐 수문 사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3D 모델링 댐 수문, 및 상기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과 상기 우측 3D 모델링 댐 수문 사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3D 모델링 댐 수문에는, 각 수문의 개방 시 방출되어 나오는 저수를 이동시키는 배수로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은, 상기 댐체에 저수된 수량 중 상기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에 인가되는 수량의 수압이 가장 높고, 상기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을 기준으로 양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상기 좌측 3D 모델링 댐 수문 및 상기 우측 3D 모델링 댐 수문 측으로 갈수록 수압이 낮아져, 상기 좌측 3D 모델링 댐 수문에 인가되는 수량의 수압과 상기 우측 3D 모델링 댐 수문에 인가되는 수량의 수압이 상기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에 인가되는 수량의 수압 보다 더 낮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계측기 중 수위 센서를 통해 검출된 수위에 따라 기준 저수량 대비 전체 방류량을 계산하고, 계산된 전체 방류량을 상기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 상기 좌측 3D 모델링 댐 수문, 상기 우측 3D 모델링 댐 수문 및 그 사이에 배치된 다수의 3D 모델링 댐 수문을 통한 각 방출량을 계산하고, 이에 근거해 각 3D 모델링 댐 수문별 개방 시간을 계산하며, 상기 계산된 전체 방류량, 상기 계산된 각 3D 모델링 댐 수문별 방출량 및 상기 계산된 각 3D 모델링 댐 수문별 개방 시간에 따라, 상기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 상기 좌측 3D 모델링 댐 수문, 상기 우측 3D 모델링 댐 수문 및 그 사이에 배치된 다수의 3D 모델링 댐 수문을 각각 개방시킬 수 있다.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은, 상기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 상기 좌측 3D 모델링 댐 수문, 상기 우측 3D 모델링 댐 수문 및 그 사이에 배치된 다수의 3D 모델링 댐 수문에 대한 개방 높이를 각각 조절하되, 상기 댐체에 저수된 저수량과 수위에 따라 각 댐 수문에 인가되는 수압의 크기를 계산하고, 계산된 각 댐 수문에 인가되는 수압에 따라 상기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 상기 좌측 3D 모델링 댐 수문, 상기 우측 3D 모델링 댐 수문 및 그 사이에 배치된 다수의 3D 모델링 댐 수문에 대한 개방 높이를 각각 조절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댐 현장에서 측정된 센서 데이터를 3D 모델링 댐에 반영하여 시각화 할 수 있으며, 실제 측정된 댐의 수위에 따라 3D 모델링 댐에서 수문을 개방하여 저수를 방류하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방류에 따른 주변 환경 영향을 미리 점검 및 예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댐 스마트 안전관리체계(디지털 트윈) 사업의 목표에 따른 데이터 시각화, 직관화, 지속 가능한 활용성, 동기화 및 정보의 가치화를 달성할 수 있다. 즉, 데이터 시각화로서 데이터 분석 결과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시각적 및 입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고, 직관화로서 주어진 정보를 VR/AR 기술을 이용하여 복잡한 추론 과정이 없이 정보 또는 지식의 습득이 가능하며, 지속 가능한 활용성으로서 공학적인 가치를 지닌 정보를 제공하고 신속한 의사 결정에 기여하며, 동기화로서 관련된 데이터 정보를 동기화하여 각기 다른 툴에서 연관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하며, 정보의 가치화로서 실무자가 댐 안전관리 업무에 지속적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활용성 기반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댐 현장의 센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인공지능(AI) 영상 분석을 통하여 침입, 배회, 유기, 이상 동작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댐 현장에서 점검 사항을 입력하여 자동으로 보고서 및 정밀 안전진단 보고서를 시각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아날로그 형태의 댐 정보를 디지털화 함으로써 댐 토목 시설, 지형 정보, 보수 정보, 물성 정보 등 주요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댐의 주요 시설 및 관리영역 기반 3D 모델 세그멘테이션 적용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동기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화 된 주요 시설 도면, 계측 센서 매뉴얼, 다종 실시간 데이터의 저장, 사용, 관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3D 디지털 트윈 댐 안전 플랫폼을 통하여 복합 데이터 관리 및 댐 안전 운영 시뮬레이션을 위한 디지털 트윈 댐을 구축함으로써, 사실 기반 3D 모델이 적용된 가상 디지털 트윈 환경을 구축하고, 저장된 디지털 도면 및 매뉴얼 등 주요 디지털 데이터 활용 시스템을 구축하며, 계측 센서, ERP 데이터 등 다종 통합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디지털 트윈 모델에 동기화하고 데이터를 시각화 할 수 있으며, 수집 데이터 접근을 통한 통제센터의 현장 파악 및 현장 관리자와의 원격 협업 솔루션을 제공하며, 영상 분석 기술을 통한 실시간 외관 감시관리 솔루션 적용으로 디지털 트윈 모델을 동기화하며, 지능형 영상 분석 엔진 기반으로 위험 요소의 객체 분류 및 행위 분석을 통해 비정기적으로 시설을 관리하며, 현장 관리자의 위치 데이터 동기화를 통한 관련 설비 안전 점검 프로세스 및 보고서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장 관리자의 업무 효율 향상을 위한 증강현실(AR) 기반 솔루션을 통해 실시간 계측 데이터를 AR 형태로 표출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관제실 및 현장 관리자 간 원격 협업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며, 원격 협업 시 주요 데이터 및 매뉴얼 송수신 기능을 제공하며, 현장 관리자의 위치데이터 기반 관련 안전 점검 콘텐츠를 제공하며, 위험 구간 및 금지 행동 시 안전사고 위험 알람 기능을 제공하며, 업무 체크 리스트 및 디지털 매뉴얼을 표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을 이용한 댐 수문 방류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서버에서 댐 현장을 디지털 가상 공간에 구현한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서버의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에서 수문 방류 시뮬레이션을 실행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에서 댐체를 하나 이상으로 분할하여 관리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에서 계측 센서 위치 및 안전 정보 시각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에서 데이터 경시 변화 표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검 단말기에서 댐 현장 모습을 촬영하여 디스플레이 할 때 토목 시설물 정보를 AR로 표출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검 단말기에서 일상 점검 체크 리스트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검 단말기에서 현장에 있는 QR 코드를 스캔하여 현재 위치를 화면에 표시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을 이용한 댐 수문 방류 시뮬레이션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서버와 댐 현장 카메라의 연결 후 분석 주기를 설정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에서 댐의 ROI 영역 번호를 지정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에서 댐의 ROI 영역 번호를 저장하거나 삭제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에서 댐의 ROI 영역 상태를 저장 및 초기화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의 화상 연결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서버에서 제공하는 보고서 정보 검색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의 외관조사 UI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의 수문현황 UI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의 내구성 조사 UI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의 수중 조사 UI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의 계측기 UI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의 메인화면 작업자, 수문 개방, 자산 관리 알림 UI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서버에서 자동으로 생성한 정밀 안전 진단 보고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서버에서 댐 관련 도면 정보를 제공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서버에서 댐 점검 AR 증강 화면을 제공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검 단말기의 보고서 작성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서버에서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을 통하여 댐의 기초 지질을 표현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을 통하여 주변 지형 및 실제 물성 공간 정보를 구현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9 내지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댐체 구조물을 3D 모델링하여 설비 분해 교육을 실행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소자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그에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제 3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제 1 구성 요소가 제 2 또는 제 3 구성 요소 등으로 명명될 수 있으며, 유사하게 제 2 또는 제 3 구성 요소도 교호적으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3D 디지털 트윈 댐 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을 이용한 댐 수문 방류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댐 수문 방류 시뮬레이션 시스템(100)은, 하천을 가두도록 설치된 댐체(110), 이 댐체(110)의 각 구역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측기(120), 시뮬레이션 서버(130), 데이터베이스(DB, 140) 및 점검 단말기(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시뮬레이션 서버(130)는 댐체(110)에 저수된 물을 관리하기 위한 관제 서버가 될 수 있으며, 이러한 관제 서버와 별도로 시뮬레이션만 담당하는 별도의 독립된 장치로도 구현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계측기(120)는 댐체(110)의 각 구역에 설치되어 각종 정보를 측정한다. 여기서, 하나 이상의 계측기(120)는 댐에 저수된 수량을 측정하는 수량 센서, 댐에 저수된 물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 센서, 댐의 수문을 열고 닫음을 검출하는 수문 센서, 댐의 각 구역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멀티(Multi) CCTV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계측기(120)는 댐체(110)의 각 구역에서 측정된 측정 데이터(Measurement Data)를 시뮬레이션 서버(150)로 전송하거나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 서버(130)는 댐체(110)의 구조를 3차원 공간인식 기반으로 3D 모델링하여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로 생성하여 시각화하고, 하나 이상의 계측기(120)로부터 수신된 계측 정보를 디지털 트윈 댐 모델에 반영하며, 계측된 저수량의 수위에 따라 방류 여부를 결정하며, 댐체(11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문에 대응되는 3D 모델링 댐 수문을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3D 모델링 댐 수문을 각각 개방하여 3D 모델링 댐에 저장된 저수를 방류하도록 시뮬레이션한다.
데이터베이스(140)는 댐체(110)의 관리를 위한 축조 주요 정보, 물성 정보, 점검 및 진단 이력 정보, 주요 보수보강 정보, 저수의 수위에 따른 저수량 정보 등을 저장하고 있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140)는 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댐 DB와 댐을 관리하기 위한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Contents) DB를 포함할 수 있다.
점검 단말기(150)는 댐체(110)의 주변을 이동하면서 댐체(110)의 각 구역에 대한 점검 사항을 입력하여 시뮬레이션 서버(130)로 전송한다. 여기서, 점검 단말기(150)는 시뮬레이션 서버(130)로부터 댐에 대한 실시간 저수량, 유입량, 수위, 방류량, 구조물 및 실제 물성 공간 정보를 증강현실(AR) 컨텐츠로 수신하여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점검 단말기(150)는 사용자에 의해 댐의 각 구역에 대한 점검 사항이 입력된 보고 데이터(Report Data)를 시뮬레이션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점검 단말기(150)는 현장 관리자 또는 점검자가 휴대하기 용이한 태블릿(Tablet)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서버에서 댐 현장을 디지털 가상 공간에 구현한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서버(130)는 댐체(110)의 내부 기초 지반이나 구조물을 3D 모델링으로 변환하여 그라우팅을 통한 기초 지질을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시뮬레이션 서버(130)는 댐체(110)의 주변 경관에 대해 등고선의 색 및 간격을 조절하고, 댐체(110)의 물성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가져와 주변 지형 및 실제 물성 공간 정보를 생성하여 표출할 수 있다.
또한, 시뮬레이션 서버(130)는 댐체(110)의 주요 영역에 대한 토목 도면을 표출하며, 필요한 도면의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시뮬레이션 서버(130)는 댐체(110)의 현장에 있는 점검 단말기(150)로부터 사진이 포함된 보고 내용이 입력되면 댐 점검 보고서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시뮬레이션 서버(130)는 댐체(110)의 자산 관리 기능과 연동하여 자산 정보를 표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서버의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에서 수문 방류 시뮬레이션을 실행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서버(130)는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에서 MENU>댐운영정보>수문 방류 시뮬레이션 메뉴를 통하여 평시, 우천시(3단계) 등 선택하는 옵션에 따라 가상의 환경을 조성한 상태에서 수문을 개방하여 댐체(110)에 저장된 저수를 방류할 수 있다.
즉,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은 예를 들면, 비오는 양, 물의 유속, 수문 개방수, 밝기 등에 따라 각 수문을 개방하여 저수된 물을 방류하는 것이다.
이때,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은, 댐체의 중앙 부분에 해당하는 위치에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과, 댐체의 좌측 가장자리 부분에 해당하는 위치에 좌측 3D 모델링 댐 수문, 및 댐체의 우측 가장자리 부분에 해당하는 위치에 우측 3D 모델링 댐 수문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과 좌측 3D 모델링 댐 수문 사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3D 모델링 댐 수문이 배치되고,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과 우측 3D 모델링 댐 수문 사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3D 모델링 댐 수문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과 좌측 3D 모델링 댐 수문 사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3D 모델링 댐 수문, 및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과 우측 3D 모델링 댐 수문 사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3D 모델링 댐 수문에는, 각 수문의 개방 시 방출되어 나오는 저수를 이동시키는 배수로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구조에 따라, 댐체에 저수된 수량 중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에 인가되는 수량의 수압이 가장 높고,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을 기준으로 양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좌측 3D 모델링 댐 수문 및 우측 3D 모델링 댐 수문 측으로 갈수록 수압이 낮아져, 좌측 3D 모델링 댐 수문에 인가되는 수량의 수압과 우측 3D 모델링 댐 수문에 인가되는 수량의 수압이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에 인가되는 수량의 수압보다 더 낮을 수 있다.
전술한 구조의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은, 하나 이상의 계측기 중 수위 센서를 통해 검출된 수위에 따라 기준 저수량 대비 전체 방류량을 계산하고, 계산된 전체 방류량을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 좌측 3D 모델링 댐 수문, 우측 3D 모델링 댐 수문 및 그 사이에 배치된 다수의 3D 모델링 댐 수문을 통한 각 방출량을 계산하고, 이에 근거해 각 3D 모델링 댐 수문별 개방 시간을 계산한다.
따라서,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은, 계산된 전체 방류량, 상기 계산된 각 3D 모델링 댐 수문별 방출량 및 상기 계산된 각 3D 모델링 댐 수문별 개방 시간에 따라, 상기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 상기 좌측 3D 모델링 댐 수문, 상기 우측 3D 모델링 댐 수문 및 그 사이에 배치된 다수의 3D 모델링 댐 수문을 각각 개방시키어 댐체에 저장된 저수를 방류하는 것이다.
여기서,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은,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 좌측 3D 모델링 댐 수문, 우측 3D 모델링 댐 수문 및 그 사이에 배치된 다수의 3D 모델링 댐 수문에 대한 개방 높이를 각각 조절하되, 댐체에 저수된 저수량과 수위에 따라 각 댐 수문에 인가되는 수압의 크기를 계산하고, 계산된 각 댐 수문에 인가되는 수압에 따라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 좌측 3D 모델링 댐 수문, 우측 3D 모델링 댐 수문 및 그 사이에 배치된 다수의 3D 모델링 댐 수문에 대한 개방 높이를 각각 조절 제어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에서 댐체를 하나 이상으로 분할하여 관리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서버(130)에서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은, 댐체(110)의 구조를 3차원 공간인식 기반으로 3D 모델링하고, 3D 모델링 된 댐체(110)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역으로 분할하여 각 댐체로 세분화하여 분할 모델 및 통합 모델로 관리할 수 있다.
댐체(110)의 각 구역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측기(120)는 댐의 각 구역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멀티(Multi) CCTV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측기는 댐체의 현장에서 각 구역을 촬영하여 각 구역 상태 영상을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드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드론 장치로부터 각 구역 상태 영상을 수신하여 각 구역의 댐체 3D 모델링에 반영할 수 있다.
또한,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은 댐체의 정상적인 각 구역 상태 영상을 인공지능(AI) 기반으로 딥러닝 학습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드론 장치로부터 수신한 각 구역 상태 영상을 분석하여 댐체의 각 구역에 이상이 있는지를 인식하여, 이상이 있는 구역의 댐체 3D 모델링에 알람 영상 및 음성으로 표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에서 계측 센서 위치 및 안전 정보 시각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측기(120)는 댐체(110)의 현장에서 각 구역을 촬영하여 각 구역 상태 영상을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하고,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부터 각 구역 상태 영상을 수신하여 각 구역의 댐체 3D 모델링에 반영할 수 있다.
또한,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은, 각 댐체 구역에 대한 개별 부재의 도면을 확인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측기(120)의 위치 및 정보를 3D 모델링 댐체 위에 붉은 색으로 점멸하여 시각화 할 수 있다.
따라서,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은 각 구역 상태 영상을 분석하여 이상이 있는 경우에 이상이 발생한 구역의 댐체 3D 모델링에 알람 영상으로 표출함과 더불어 알람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에서 데이터 경시 변화 표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은, 댐체(110)에 저수된 수량에 대해 침투 수량계 및 외부 변위계의 데이터 변화를 그래프 형태로 시각화 할 수 있다.
또한, 댐체(110)의 각 구역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계측기(120)는 댐에 저수된 수량을 측정하는 수량 센서, 댐에 저수된 물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 센서, 댐의 수문을 열고 닫음을 검출하는 수문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시뮬레이션 서버(130)는 각 센서를 통해 검출된 데이터에 근거해 실시간 저수량, 유입량, 수위, 방류량 등을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에 실시간으로 표출하고, 실제 댐체(110)의 각 센서를 통해 데이터 변화가 발생할 때마다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에 반영하여 데이터 변화를 그래프 형태로 시각화하여 표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검 단말기에서 댐 현장 모습을 촬영하여 디스플레이 할 때 토목 시설물 정보를 AR로 표출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검 단말기(150)는, 댐체(110)의 특정 구역 현장에서 카메라를 통해 현장을 촬영하여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할 때, 시뮬레이션 서버(130)로부터 특정 구역의 댐체에 대한 토목 시설물의 디지털 정보를 수신하여 증강현실(AR)로 표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검 단말기(150)는, 댐체(110)에 대한 일상 점검 체크 리스트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각화하여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검 단말기에서 일상 점검 체크 리스트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점검 단말기(15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 입력된 일상 점검 체크 답변을 점검 결과 정보로 시뮬레이션 서버(130)로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검 단말기(150)는, 댐체의 주요 관리 지점에 위치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장에 표시된 QR 코드를 스캔하면 현재 위치의 댐 정보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검 단말기에서 현장에 있는 QR 코드를 스캔하여 현재 위치를 화면에 표시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점검 단말기(150)는 댐의 현장에 있는 QR 코드를 스캔하면, 스캔된 정보에 포함된 현재 위치 정보를 시뮬레이션 서버(130)로 전송하고, 시뮬레이션 서버(130)는 현장 관리자의 위치 정보가 디지털 트윈 댐 모델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을 이용한 댐 수문 방류 시뮬레이션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을 이용한 댐 수문 방류 시뮬레이션 시스템(100)은, 시뮬레이션 서버(130)에서 댐체(110)를 구조물 정보에 따라 3차원 공간인식 기반으로 3D 모델링하여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을 생성한다(S1010).
즉, 시뮬레이션 서버(130)는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되어 있는 축조 주요 정보, 물성 정보, 점검 및 진단 이력 정보, 주요 보수보강 정보, 저수의 수위에 따른 저수량 정보에 근거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을 생성하여 실제 댐체와 동일한 형상과 동일한 동작을 표출한다.
예를 들어,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은, 댐체(110)의 실제 수문이 닫혀있다가 열리면 댐체(110)의 3D 모델링에도 수문이 열리며 물이 쏟아지는 상태를 표출하고, 수문의 교체주기를 알려주는 알람을 우측에 나타내며, 위치보기의 클릭 시 해당 수문의 위치를 표시해 준다.
이어, 시뮬레이션 서버(130)는 댐체(110)의 각 구역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측기로부터 각종 계측 정보를 수신한다(S1020).
즉, 시뮬레이션 서버(130)는 댐체(110)의 각 구역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측기(120)로부터 저수량, 유입량, 수위, 방류량, 발전기 방류량 등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저수량, 유입량, 수위, 방류량, 발전기 방류량을 댐체에 대한 3D 모델링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여기서, 하나 이상의 계측기(120)는 외부 변위계, 지진계, 간극수압계, 양압력계, 누수량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뮬레이션 서버(130)는, 계측 정보에 근거하여 수자원 안정 정보(계측), HDAPS 등의 ERP 시설관리 시스템과 연계하고, 직관적 이해를 위한 주요 데이터 분석, 시각화 및 보고서를 작성하여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하거나, 주요 계측 항목의 자동 요약 보고서를 작성, 저장 및 출력할 수 있다.
이어, 시뮬레이션 서버(1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측기(120)로부터 수신된 계측 정보를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에 반영한다(S1030).
이때, 시뮬레이션 서버(130)는 하나 이상의 계측기(120)로부터 수신된 계측 정보에 근거해 댐에 저수된 수량의 수위에 따라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에서 물의 모델링 높낮이가 실시간으로 표출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은, 댐체의 중앙 부분에 해당하는 위치에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과, 댐체의 좌측 가장자리 부분에 해당하는 위치에 좌측 3D 모델링 댐 수문, 및 댐체의 우측 가장자리 부분에 해당하는 위치에 우측 3D 모델링 댐 수문을 구비하고,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과 좌측 3D 모델링 댐 수문 사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3D 모델링 댐 수문이 배치되고,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과 상기 우측 3D 모델링 댐 수문 사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3D 모델링 댐 수문이 배치될 수 있다.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과 좌측 3D 모델링 댐 수문 사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3D 모델링 댐 수문, 및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과 우측 3D 모델링 댐 수문 사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3D 모델링 댐 수문에는, 각 수문의 개방 시 방출되어 나오는 저수를 이동시키는 배수로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은, 댐체에 저수된 수량 중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에 인가되는 수량의 수압이 가장 높고,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을 기준으로 양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좌측 3D 모델링 댐 수문 및 우측 3D 모델링 댐 수문 측으로 갈수록 수압이 낮아져, 좌측 3D 모델링 댐 수문에 인가되는 수량의 수압과 우측 3D 모델링 댐 수문에 인가되는 수량의 수압이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에 인가되는 수량의 수압 보다 더 낮을 수 있다.
또한, 시뮬레이션 서버(130)는, 댐체(110)의 외관 조사시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에서 댐체에 대한 3D 모델링을 마우스로 클릭하거나 네비게이션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댐체의 구역 및 부재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시뮬레이션 서버(130)는, 댐체에 대한 내구성 조사 시, 댐체의 3D 모델링에 내구성 조사 위치들이 표시되도록 하고, 내구성 조사 UI(User Interface)의 하위 옵션 중 원하는 옵션이 선택되면, 해당되는 조사 위치들이 특정 색으로 점멸 표시함으로써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시뮬레이션 서버(130)는, 정밀 안전 진단에 따른 수중 조사 시, 옵션 중 원하는 옵션이 선택되면, 해당 면으로 화면이 이동되도록 하고, 이동된 화면의 특정색 구분면을 마우스로 클릭하면 해당 면에 대한 정보를 화면 상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시뮬레이션 서버(1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측기 중 보고자 하는 계측기 옵션을 체크하면, 해당 계측기들의 이름이 특정색으로 표시되면서 계측기들이 특정색으로 점멸되도록 표시하고, 우측 마우스를 클릭하여 반투명보기가 입력되면 3D 모델링을 통해 계측기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이어, 시뮬레이션 서버(130)는 계측 정보 중 저수량의 수위에 따라 방류 여부를 결정한다(S1040).
예를 들면, 시뮬레이션 서버(130)는 하나 이상의 계측기 중 수위 센서를 통해 검출된 수위에 따라 기준 저수량 대비 전체 방류량을 계산하고, 계산된 전체 방류량을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 좌측 3D 모델링 댐 수문, 우측 3D 모델링 댐 수문 및 그 사이에 배치된 다수의 3D 모델링 댐 수문을 통한 각 방출량을 계산하고, 이에 근거해 각 3D 모델링 댐 수문별 개방 시간을 계산하는 것이다.
이어, 시뮬레이션 서버(130)는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3D 모델링 댐 수문을 각각 개방하여 3D 모델링 댐에 저장된 저수를 방류한다(S1050).
즉, 시뮬레이션 서버(130)는 상기 계산된 전체 방류량, 상기 계산된 각 3D 모델링 댐 수문별 방출량 및 상기 계산된 각 3D 모델링 댐 수문별 개방 시간에 따라, 상기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 상기 좌측 3D 모델링 댐 수문, 상기 우측 3D 모델링 댐 수문 및 그 사이에 배치된 다수의 3D 모델링 댐 수문을 각각 개방시켜서 3D 모델링 댐에 저장된 저수를 방류하는 것이다.
또한, 시뮬레이션 서버(130)는 기반 시설 관리법 성능 평가와 연계하여, 안정성 평가 시뮬레이션을 실행할 수 있으며, 2D3D 침투해석, 수위별 계측치와 비교, 수치해석 계측 안전 상관모델에 적용하며, 침투류 해석, 지진응답 해석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시뮬레이션 서버(130)는 안전점검 혁신 기술과 접목하여 주요 내방객 대상 시설관리 업무 상황실 브리핑 시 VR/AR 기술을 활용하여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을 통하여 실제 댐체(110)의 현황과 동작 등을 보여줄 수 있으며, 물홍보관 대국민 실감형 시설관리 VR/AR 디스플레이 체험 설비로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시뮬레이션 서버(130)는 아날로그 형태의 댐의 물성 정보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고, 데이터 필드 정의, 분류, 계층화 등을 통하여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하고, 댐, 부대시설물, 기초지질, 점검진단, 보수보강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시뮬레이션 서버(130)는 드론 매핑, 3D 레이저 스캐닝, 종이도면 CAD 도면화 등을 통해 댐체의 준공 도면을 전자 도면화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디지털 트윈 기반 3D 시각화 지능형 댐 안전관리 플랫폼(iDSP)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시뮬레이션 서버(130)는 점검 단말기(150)로부터 일상 점검에 대하여 일간, 주간, 월간, 분기 별로 점검 보고서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 외에 긴급/특별 점검과, 1회 반기마다 정기안전점검, 1회 2년마다 정밀안전점검, 1회 5년마다 정밀안전진단에 대한 점검 보고서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시뮬레이션 서버(130)는 지속가능한 활용을 위해 일상 점검(일간, 주간, 월간, 분기) 체크리스트 유형별 점검 항목 팝업 및 계측 안정성 요약 정보 등을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시뮬레이션 서버(130)는 드론과 매핑하여, 접근제약 지역 변형 감시 드론 매핑 기술 접목, 3D 모델 생성, Photogrammetry 영상 분석, 정기 안전관리 지상 기준점, 광학영상 카메라, 열화상 카메라, 3D 모델링, 영상분석, 변형 모니터링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시뮬레이션 서버(130)는 GNSS 측량, 3D laser scanner, 360 카메라 활용, 시설물 내외부 정밀 디지털 모델링 체계를 도입하고,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을 자동 검출하는 딥러닝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서버(130)는 AI 분석 엔진에 적용하여 인공지능 시설물 크랙(균열)을 검출하고 분석할 수 있으며, GPS 기반 점검 위치를 동기화하고 시각화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서버와 댐 현장 카메라의 연결 후 분석 주기를 설정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은 '서버 주소'란에 올바른 분석 서버의 주소가 입력되고 '연결' 버튼이 입력되면 시뮬레이션 서버(130)와 댐 현장 카메라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또한,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은 '카메라 주소'란에 올바른 스트리밍 url을 입력하고, '분석결과 전송'란에 분석 서버에서 분석 결과를 전송할 rest 서버의 주소를 입력(카메라와 연결)한 후 연결을 누르면 실시간 스트리밍 영상을 받아오게 된다.
또한,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은 분석 서버에서 분석을 진행할 주기(단위: 초)를 설정(초기값은 60초로 설정)하고, 분석 서버는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시간마다 분석 결과를 전송하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에서 댐의 ROI 영역 번호를 지정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은 3D 모델링 된 댐체(110)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역으로 분할하여 각 댐체로 세분화하고, 우측 상단의 콤보박스를 통해 관심(ROI) 영역의 번호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ROI 영역의 초기값은 1번 구역으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은 현재 선택된 번호에 해당하는 ROI 영역이 존재할 경우 화면 상에 파란색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3D 모델링의 댐체에서 해당 구역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에서 댐의 ROI 영역 번호를 저장하거나 삭제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은, 3D 모델링의 댐체에서 ROI 저장 버튼을 통해 현재 선택된 ROI 영역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은, ROI 영역을 저장할 경우 자동으로 다음 번호가 선택되며, 변경된 ROI 정보를 시뮬레이션 서버(130)로 전송한다.
또한,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은, ROI 삭제 버튼을 통해 현재 선택된 ROI 영역을 삭제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에서 댐의 ROI 영역 상태를 저장 및 초기화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은, 저장 버튼을 통해 ROI 영역 정보 및 현재 상태를 저장할 수 있다.
즉,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은 ROI 영역 정보 및 현재 상태에 대해 실행 파일과 동일한 경로에 'state.ini'라는 파일로 외부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은 시뮬레이션 서버(130)와 카메라의 연결 상태를 유지하고, 초기화 버튼을 통해 ROI 영역 정보 및 현재 상태를 초기화 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의 화상 연결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은, 메시지 입력창(①), 관리자 영상(②), 현장 영상(③), 현장과 관리자 사이의 메시지 출력 창(④)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은 관리자와 현장과의 채팅 기능만을 지원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관리자와 현장과의 화상 통화 기능을 지원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서버에서 제공하는 보고서 정보 검색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서버(130)는, 검색 화면에서 보고서 작업 일자를 입력 후 검색 버튼을 눌러 검색된 보고서 정보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이벤트 검색은 사용자가 설정한 날짜에 해당하는 이벤트를 검색하고, 이벤트 종류는 수문 상태를 의미하여, 수문 open, close 이벤트를 표시한다.
로그 검색 창은 사용자가 설정한 날짜 안에서 로그인 성공 실패에 따른 id 와 발생 시간을 검색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분류 문서명에 검색어를 입력한 후 검색 버튼을 클릭하여 해당 문서를 검색하며, 정밀 안전진단 보고서와 토목 도면을 검색할 수 있다.
공사 지역을 검색어로 입력한 후 검색 버튼을 눌러 검색된 보수보강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댐 내 보수보강이 이루어진 지역을 검색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의 외관조사 UI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은, 콘크리트 댐, 필댐 등의 댐체를 마우스로 더블클릭하거나, 메인 화면 메뉴에서 MENU>안전점검진단>정밀안전진단>외관조사를 통해 외관조사를 실행할 수 있다.
이때,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은 외관 조사 시 하위 부재로 가능 방법을 두 가지로 제공한다. 즉, 3D 모델링을 마우스로 더블 클릭하는 방법과 좌측 상단의 네비게이션을 이용하는 것이다.
좌측 상단의 네비게이션을 통해 원하는 댐체 및 부재로 쉽게 이동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의 수문현황 UI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은, 메인 화면 메뉴에서 MENU> 댐운영정보>수문현황을 통해 수문 현황 UI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은 화면에 실시간 저수량, 유입량, 수위, 방류량, 발전기 방류량의 값을 디스플레이 해 준다.
또한,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은 실제 댐의 각 구역에 설치된 계측기로부터 검출된 계측 데이터에 근거해 물의 모델링 높낮이가 수위 데이터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하는 것을 디스플레이 해 줄 수 있다.
여기서,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을 이용한 댐 수문 방류 시뮬레이션 시스템(100)은, 수문 방류를 위한 수문 개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댐체(110)는 계곡 사이를 가로지른 댐 또는 뚝의 형태로 시설되되, 양측 계곡에 접하는 댐어깨 사이에 댐어깨의 높이보다 낮은 월류부를 형성하여서, 상류에서 유입되는 계곡수가 많을 경우에 댐어깨 사이의 월류부를 통해 월류하여 하류로 방류되게 한다. 그리고, 댐체의 하부에는 상류에서 하류를 향해 관통 형성되는 방류구를 복수개 형성하여서, 적은 양의 계곡수가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상황에서도 방류구를 통해 하류로 방류시킨다. 따라서 수문 개폐 장치는, 어류의 서식공간 제공, 주변 용수공급, 또는 산불 방화용 용수 대비 등의 목적으로 계곡수를 소정의 수위로 댐에 저수할 필요가 있으므로, 방류구에 밸브를 설치하여 수위를 조절한다. 이러한 밸브는 물로부터 안전한 곳(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댐어깨)에 전기 모터를 설치하고, 이 전기 모터의 회전 동력을 밸브에 전달하게 구성하여 원격 제어는 물론이고 수동으로도 제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문 개폐 장치는, 댐체(110)의 방류구에 설치되는 밸브로부터 이격 설치되어 물에 의한 누전 사고의 우려가 없는 위치에 설치한 회전수단으로 개폐동작 시키며, 이를 위해서, 밸브에 연결되는 감속기, 회전수단과 감속기 사이에 파이프를 배관하고 파이프에 삽입하는 플렉시블 회전축, 플렉시블 회전축의 일단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 및 회전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플렉시블 회전축은, 기다란 와이어 형태로 제작되고 휘어짐이 가능하되 뒤틀림에 의한 변형, 즉, 일단을 잡고 회전시킴에 따라 타단도 같이 회전할 때에 일단의 회전각과 타단의 회전각 차이가 거의 없게 한 재질로 형성된다. 이러한 플렉시블 회전축의 예는 와이어 로프처럼 다수의 강선을 꼬아 만들 수 있다. 플렉시블 회전축은, 회전수단에서 시작하여 밸브까지 이르도록 설치되되, 회전수단과 밸브 사이에 파이프를 배관한 후에 파이프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이때, 파이프는, 플렉시블 회전축을 여유있게 삽입할 수 있는 굵기인 것을 사용하여 내부에서 플렉시블 회전축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게 하고, 댐체에서 방류구를 복수개로 설치함에 따라 방류구의 개수 및 위치에 맞게 밸브를 설치하고, 일반적으로 회전수단의 설치 위치로부터 각각의 밸브까지 직선으로 배관할 수 없으므로, 가요성 관을 사용하게 된다. 파이프를 가요성 관으로 하더라도, 상술한 바와 같이 플렉시블 회전축도 가요성을 갖추므로 내부에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 플렉시블 회전축은 길이 방향으로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외삽되는 복수의 베어링을 구비한다. 이때, 외주면에 베어링을 끼운 플렉시블 회전축을 파이프에 삽입하여야 하므로, 베어링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파이프를 사용하여서, 플렉시블 회전축의 삽입도 용이하고 회전도 원활하게 한다. 파이프의 내부에 삽입하여 설치되는 플렉시블 회전축은 일단을 회전수단의 내부에 축설하고, 타단을 감속기의 내부에 축설하여서, 일단을 회전시키면 타단도 회전되게 한다. 회전수단은, 플렉시블 회전축의 일단을 회전가능하게 축설하여 동력원의 회전력으로 비틀림 회전시키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동력원은 정역운전가능한 모터와 사람의 손으로 회전시키는 수동노브로 구성되어서, 모터 및 수동노브 중에 선택하여 플렉시블 회전축의 일단을 비틀림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수단은 정역운전이 가능한 모터; 사람이 손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수직으로 축설되는 수동노브; 회전 가능하게 수직으로 축설되는 샤프트; 샤프트의 하단에 고정되는 주동기어; 주동기어에 치합되어 주동기어에 의해 회전하고 회전축에 플렉시블 회전축의 일단을 고정한 종동기어; 모터의 회전력을 샤프트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제1 클러치; 샤프트의 상단에 설치되어 수동노브의 회전력을 샤프트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제2 클러치; 및 샤프트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회전센서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모터의 회전축을 수평으로 하고 모터의 회전축 단부에 제1 클러치를 설치하여서, 제1 클러치에 단속되는 회전축도 수평으로 놓이게 되므로, 제1 클러치에 단속되는 모터의 회전력은 베벨기어에 의해 샤프트에 전달되게 한다. 만약, 모터의 회전축을 수직으로 한다면 평기어를 이용하여 샤프트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모터와 제1 클러치 사이에는 감속기를 설치하여 모터의 회전속도보다 낮은 회전속도로 제1 클러치를 통해 동력이 전달이 되게 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의 내구성 조사 UI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은, 메인 화면 메뉴에서 MENU>안전점검진단>정밀안전진단>콘크리트내구성조사를 통해 내구성 조사 UI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은 댐체 3D 모델링에 내구성 조사 위치들을 표시한다.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은 내구성 조사 UI의 하위 옵션 중 원하는 옵션을 체크하면, 해당되는 조사 위치들을 오렌지색으로 점멸 표시함으로써 조사 위치들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의 수중 조사 UI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은, 메인 화면 메뉴에서 MENU>안전점검진단>정밀안전진단>수중조사를 통하여 수중 조사 UI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은 다수의 옵션 중 원하는 옵션을 체크하면 해당 면으로 화면을 이동한다.
그리고,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은 이동된 화면의 빨간색 구분면을 마우스로 클릭하면 해당 면에 대한 정보를 웹페이지를 통해 제공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의 계측기 UI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은, 메인 화면 메뉴에서 MENU>계측안전관리>계측기를 통하여 계측기 UI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은 계측기 옵션 중 보고자 하는 계측기 옵션을 체크하면, 해당 계측기들의 이름을 빨간색으로 표시함으로써, 각 계측기들은 빨간색으로 점멸하며 표시된다.
또한,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은 우측 마우스를 클릭하여 반투명보기를 눌러 모델링을 반투명보기로 보면 계측기의 위치를 더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의 메인화면 작업자, 수문 개방, 자산 관리 알림 UI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은, 현장의 작업자가 현장에 있는 QR 코드를 점검 단말기(150)의 APP을 통해 스캔하면, 관제 3D DashBoard 내에 해당 작업자가 QR 코드를 스캔한 곳의 위치에 사람 모양이 표시되도록 한다.
또한,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은 실제 댐의 수문이 열리고 닫히면 3D DashBoard 에도 수문이 열리며 물이 쏟아지는 애니메이션이 표출한다.
또한,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은 수문의 교체주기를 알려주는 알람이 우측에 나타내며, 위치보기를 클릭할 시에 해당 수문의 위치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서버에서 자동으로 생성한 정밀 안전 진단 보고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서버(130)는, 댐체(110)의 현장에 있는 점검 단말기(150)로부터 수신한 현장 점검 사항에 근거하여 정밀 안전 진단 보고서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즉, 댐 현장에 있는 점검 단말기(150)는, 댐체(110)에 대한 일상 점검 체크 리스트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각화하여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 입력된 일상 점검 체크 답변을 점검 결과 정보로 시뮬레이션 서버(130)로 전송한다.
이에, 시뮬레이션 서버(130)는 댐 현장에 있던 점검 단말기(150)로부터 수신한 점검 결과 정보에 근거하여 정밀 안전 진단 보고서를 자동으로 생성하게 되는 것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서버에서 댐 관련 도면 정보를 제공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서버(130)는 도면 정보 메뉴를 화면에 제공하고, 사용자에 의해 도면 정보가 선택되면 댐체(110)를 기준으로 주변 시설 정보 및 지도 정보를 화면 상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시뮬레이션 서버(130)는 토목 도면 항목이 선택되거나, 종합계획 항목이 선택되면, 댐체 관련 토목 공사 지도나 종합 계획 도면 등을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해 줄 수 있다.
그리고, 시뮬레이션 서버(130)는 도면 정보의 선택 시, 댐체(110) 관련 각종 도면을 화면에 출력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서버에서 댐 점검 AR 증강 화면을 제공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서버(130)는 실제 댐체(110)의 상태와 상황을 반영한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을 통하여 다수의 구역 현황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특정 구역이 선택되면,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은 위치 정보를 시뮬레이션 서버(130)로 전송하고, 댐 확인 버튼이 입력되면 3D 댐체 모델링을 AR 증강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시뮬레이션 서버(130)는 토글 형식의 버튼으로 각 계측기의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시뮬레이션 서버(130)는 댐체(110)의 특정 구역 현장에서 카메라를 통해 현장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할 때, 특정 구역의 댐체에 대한 토목 시설물의 디지털 정보를 증강현실(AR)로 표출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검 단말기의 보고서 작성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검 단말기(150)는, 보고서 작성 페이지로 텍스트로 작성이 가능하고, 사진 촬영 버튼을 눌러 사진을 찍을 수 있다.
점검 단말기(150)는 촬영버튼을 누르면 점검 현장을 촬영하고, 촬영된 사진을 보고서에 포함시켜 시뮬레이션 서버(130)로 전송한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서버에서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을 통하여 댐의 기초 지질을 표현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을 통하여 주변 지형 및 실제 물성 공간 정보를 구현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 및 도 2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은, 댐의 내부 기초 지반이나 구조물을 그라우팅에 따라 3D 모델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은 댐 주변 경관을 3D 모델링으로 표현함으로써 주변 지형 및 실제 물성 공간 정보를 구현할 수 있다.
즉,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은 댐의 3D 모델링을 통하여 등고선의 색 및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필댐부의 물성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가져와 화면 상에 표출할 수 있다.
도 29 내지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댐체 구조물을 3D 모델링하여 설비 분해 교육을 실행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9 내지 도 3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은, 실제 댐체(110)의 구조물을 실사 기반으로 3D 모델링하여 고해상도 3D 컨텐츠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은 3D 모델링 설비 분해 교육 시, 점검 단말기(150)를 통하여 실제 현장에 있는 설비를 촬영하여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할 때 각 부품의 명칭을 표시하고, 해당 부품의 클릭 시 부품, 장비 모델링을 불러와 태블릿에서 해당 부품, 장비를 분해할 수 있다.
또한,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은 해당 항목에 맞는 문서를 Xlsx, jpg, hwp, pdf 등 다양한 파일 형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은 특정 기계를 선택할 시 분해가 가능하도록 화면을 제공하고, 터치를 했을 때 해당 부품의 색이 바뀌면서 어떤 부품을 선택했는지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은 자세히 보고 싶은 부품을 길게 누르고 돋보기 모양에 가져가면 해당 부품만 자세히 볼 수 있도록 확대 및 축소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은 부품이 분해되는 영상을 촬영하여, 3D 정비 가이드로 제공함으로써 전문 지식이 미흡한 직원 교육 및 초보 기술자의 안전성 확보에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을 이용한 댐 수문 방류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댐체(110)의 현장에 있는 계측기(120)를 활용한 데이터 수집 결과를 원격으로 시뮬레이션 서버(130)에 연계하는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또한, 현장 수집 데이터를 원격 시뮬레이션 서버(130)와 연계하여 시뮬레이션 서버(130)의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에 시각화하고, 대시보드를 통해 데이터 수치를 표출할 수 있다.
또한, 현장에 설치된 CCTV의 영상 데이터를 원격지의 시뮬레이션 서버(130)에 연동하는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실영상 데이터를 통해 영상분석 알고리즘을 구동하고, 구동 결과를 원격지에 있는 시뮬레이션 서버(130)에 표출하며, 영상 분석 결과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시뮬레이션 서버(130)와 현장 관리자의 점검 단말기(150)를 연동하여 관제 결과 및 현장 점검 결과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시뮬레이션 서버(130) 내 영상분석 결과 특정 이벤트 데이터를 현장 관리자의 점검 단말기(150)에 표출할 수 있다.
또한, 현장에 있는 점검 단말기(150)에서 실시간 안전 점검 진행 상황 및 결과를 시뮬레이션 서버(130)로 전달하고, 태블릿을 통해 수집된 현장 관리자의 위치 데이터를 시뮬레이션 서버(130)로 전달하여 실시간으로 현장 관리자의 위치를 시각화 할 수 있다.
또한, 현장 관리자 및 시뮬레이션 서버 간 데이터베이스 연동을 통해 업무 시 필요한 디지털 자료의 즉시 검색 및 사용이 가능하고, 업무별 진행 현황 및 업무 결과를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시뮬레이션 서버(130) 내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은 구역/시설별 3D 모델 세분화를 통해 해당 구역 선택 시 확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은 3D 모델 상 계측 설비 위치 시각화 및 해당 아이콘 클릭 시 해당 계측 설비의 수집 데이터를 표출하고, 자유 시점으로 3D 모델 및 설비 위치 확인 가능한 시각화 기능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시뮬레이션 서버(130)는 다채널 실시간 영상 동시 확인을 위한 바둑판형 인터페이스를 구성하고, 대시보드 형태로 주요 설비 데이터 및 이벤트 데이터를 표출할 수 있다.
또한, 시뮬레이션 서버(130)는 통계 정보 표출 기능 적용 및 통계 커스터마이징 기능을 적용하고, 관제 우선 순위 설정 기능과 이벤트 발생 시 팝업 및 아이콘 Flickering 기능, 관제 결과 히스토리 검색 및 로그 검색 인터페이스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전점검 설비 위치에 따른 AR 데이터 표출 위치를 지정할 수 있고, 안전점검 진행에 따른 타임라인 및 상태바를 적용하며, 도면, 매뉴얼 등 디지털 데이터 표시/숨김/반투명 기능을 적용하며, 사용자 인터렉션을 위한 시각/청각 피드백 인터페이스를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3차원 공간 인식 기반의 3D 모델링으로 댐의 구조를 표출하여 시각화하고, 댐의 각 센서를 통해 검출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데이터 분석 결과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시각적, 입체적으로 표현하며, 복잡한 추론 과정 없이 VR/AR을 이용하여 정보 또는 지식을 제공하며, 관련 데이터 정보를 동기화하여 각기 다른 툴(Tool)에서 연관 정보로 실시간으로 제공하며, 실무자가 댐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각 부분을 점검하여 즉시로 보고할 수 있도록 하는,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을 이용한 댐 수문 방류 시뮬레이션 시스템(100)은, 댐체(110)에 저수된 물을 수문을 열어 방류할 때, 방류되는 물을 일부 유입하여 필터링한 후 수돗물로 공급하는 필터타입 정수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필터타입 정수장치는 유입구와 배출구를 포함한 반응조, 마이크로 필터 및 지지판을 포함할 수 있다. 유입구는 수돗물이 유입되는 것으로서, 감압 장치와 연결되어 있고, 이 유입구를 통해서 수돗물이 유입된다. 마이크로 필터는 1차 필터로서, 수돗물에 함유된 부유 및 현탁물질, 찌꺼기를 포함한 오염물질을 1차로 여과하여 제거한다. 배출구는 1차 여과된 수돗물을 배출한다. 지지판은 마이크로 필터를 지지한다. 감압 장치와 연결된 필터타입 정수장치는 상부에 바이패스 배관이 설치되어 마이크로 필터를 교체 또는 수리하는 경우에 사용하고 배출구 라인에 바이패스 배관이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마이크로 필터는 Cotton, Polypropylene, Acrylic, Grass 또는 PP 등의 재질로 만든 메디아(media)를 사용한 마이크로 여과 필터로 필터의 크기에 따라 수돗물 중에 함유된 부유 및 현탁물질, 각종 찌꺼기 등과 같은 오염물질을 미크론 단위까지 제거하고 배출구를 통해 배출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타입 정수장치는, 유입구와 배출구를 포함한 반응조와, 2차 필터, 지지판, 제어판넬을 구비한다. 반응조의 유입구는 공동주택 저수조와 연결되어 있고, 그 유입구를 통해서 수돗물 또는 1차 처리된 수돗물이 공급되며, 공급된 수돗물 또는 1차 처리된 수돗물은 활성탄 여과기와 살균기를 통과하면서 2차 처리하여 정화되어 반응조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공동주택 저수조와 연결된 필터타입 정수장치는 상부에 바이패스 배관이 설치되어 카본필터 및 자외선 램프를 교체 또는 수리하는 경우에 사용하고 배출구 라인에 바이패스 배관이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2차 필터는 활성탄 여과기와 살균기를 구비할 수 있다. 활성탄 여과기는 카본필터로 활성탄과 원통형 다공 망목 구조의 여과망으로 구성되고, 살균기는 자외선 램프, 석영관, 안정기로 구성된다. 2차 필터는 활성탄 여과기의 카본필터의 내부 정수관통 중앙에 살균기의 자외선 램프가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2차 필터의 반응 공간부에 형성되어 마련된다. 2차 필터는 반응 공간부의 수평 하부 지지판에 수직으로 고정되게 구성하고,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게 설치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UV) 살균 정수장치는, 필터 하우징, 제1 압력센서, 필터, 필터 가이드 유닛, UV 유닛 하우징, UV 살균 유닛, 제2 압력센서를 포함한다. 필터 하우징은 필터를 수용하고, 필터는 수돗물을 필터링한다. 필터 가이드 유닛은 필터를 필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할 때 가이드 역할을 한다. 제1 압력센서는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수돗물의 압력을 감지한다. UV 유닛 하우징은 UV 살균 유닛을 수용하고, UV 살균 유닛은 유입된 수돗물에 UV광을 조사하여 살균 및 정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2 압력센서는 살균 및 정수된 수돗물의 압력을 감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정수장치에 의해 여과ㆍ흡착ㆍ살균 처리된 수돗물은 급수관에 설치된 급수 펌프에 의해 상향 공급방식으로 각 세대에 공급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3차원 공간 인식 기반의 3D 모델링으로 댐의 구조를 표출하여 시각화하고, 댐의 수위 센서를 통해 검출된 댐의 수위가 일정 기준 이상이 될 때, 댐에 저장된 저수를 여러 조건에 따라 방류하는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댐의 저수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을 이용한 댐 수문 방류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기술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00 :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을 이용한 댐 수문 방류 시뮬레이션 시스템
110 : 댐체
120 : 계측기
130 : 시뮬레이션 서버
140 : 데이터베이스
150 : 점검 단말기

Claims (10)

  1. 하천을 가두도록 설치된 댐체의 저수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문을 통하여 관리하기 위한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을 이용한 댐 수문 방류 시뮬레이션 시스템으로서,
    상기 댐체의 각 구역에 설치되어 각종 정보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측기;
    상기 댐체의 구조를 3차원 공간인식 기반으로 3D 모델링하여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로 생성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계측기로부터 수신된 계측 정보를 상기 디지털 트윈 댐 모델에 반영하며, 계측된 저수량의 수위에 따라 방류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댐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문에 대응되는 3D 모델링 댐 수문을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3D 모델링 댐 수문을 각각 개방하여 3D 모델링 댐에 저장된 저수를 방류하도록 시뮬레이션하는 시뮬레이션 서버; 및
    상기 댐체의 관리를 위한 축조 정보, 물성 정보, 점검 및 진단 이력 정보, 보수보강 정보, 저수의 수위에 따른 저수량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를 포함하는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을 이용한 댐 수문 방류 시뮬레이션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은,
    상기 댐체의 중앙 부분에 해당하는 위치에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과, 상기 댐체의 좌측 가장자리 부분에 해당하는 위치에 좌측 3D 모델링 댐 수문, 및 상기 댐체의 우측 가장자리 부분에 해당하는 위치에 우측 3D 모델링 댐 수문을 구비하고,
    상기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과 상기 좌측 3D 모델링 댐 수문 사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3D 모델링 댐 수문이 배치되고, 상기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과 상기 우측 3D 모델링 댐 수문 사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3D 모델링 댐 수문이 배치되며,
    상기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 상기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과 상기 좌측 3D 모델링 댐 수문 사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3D 모델링 댐 수문, 및 상기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과 상기 우측 3D 모델링 댐 수문 사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3D 모델링 댐 수문에는, 각 수문의 개방 시 방출되어 나오는 저수를 이동시키는 배수로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을 이용한 댐 수문 방류 시뮬레이션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은,
    상기 댐체에 저수된 수량 중 상기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에 인가되는 수량의 수압이 가장 높고, 상기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을 기준으로 양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상기 좌측 3D 모델링 댐 수문 및 상기 우측 3D 모델링 댐 수문 측으로 갈수록 수압이 낮아져, 상기 좌측 3D 모델링 댐 수문에 인가되는 수량의 수압과 상기 우측 3D 모델링 댐 수문에 인가되는 수량의 수압이 상기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에 인가되는 수량의 수압 보다 더 낮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계측기 중 수위 센서를 통해 검출된 수위에 따라 기준 저수량 대비 전체 방류량을 계산하고, 계산된 전체 방류량을 상기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 상기 좌측 3D 모델링 댐 수문, 상기 우측 3D 모델링 댐 수문 및 그 사이에 배치된 다수의 3D 모델링 댐 수문을 통한 각 방출량을 계산하고, 이에 근거해 각 3D 모델링 댐 수문별 개방 시간을 계산하며,
    상기 계산된 전체 방류량, 상기 계산된 각 3D 모델링 댐 수문별 방출량 및 상기 계산된 각 3D 모델링 댐 수문별 개방 시간에 따라, 상기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 상기 좌측 3D 모델링 댐 수문, 상기 우측 3D 모델링 댐 수문 및 그 사이에 배치된 다수의 3D 모델링 댐 수문을 각각 개방시키는,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을 이용한 댐 수문 방류 시뮬레이션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은,
    상기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 상기 좌측 3D 모델링 댐 수문, 상기 우측 3D 모델링 댐 수문 및 그 사이에 배치된 다수의 3D 모델링 댐 수문에 대한 개방 높이를 각각 조절하되,
    상기 댐체에 저수된 저수량과 수위에 따라 각 댐 수문에 인가되는 수압의 크기를 계산하고, 계산된 각 댐 수문에 인가되는 수압에 따라 상기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 상기 좌측 3D 모델링 댐 수문, 상기 우측 3D 모델링 댐 수문 및 그 사이에 배치된 다수의 3D 모델링 댐 수문에 대한 개방 높이를 각각 조절 제어하는,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을 이용한 댐 수문 방류 시뮬레이션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은,
    상기 댐체의 구조를 3차원 공간인식 기반으로 3D 모델링하고, 3D 모델링 된 댐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역으로 분할하여 각 댐체로 세분화하여 분할 모델 및 통합 모델로 관리하며, 각 댐체 구역에 대한 개별 부재의 도면을 확인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측기의 위치 및 정보를 3D 모델링 댐체 위에 붉은 색으로 점멸하여 시각화하고,
    상기 댐체에 저수된 수량에 대해 침투 수량계 및 외부 변위계의 데이터 변화를 그래프 형태로 시각화하는,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을 이용한 댐 수문 방류 시뮬레이션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션 서버는,
    상기 댐체의 내부 기초 지반이나 구조물을 3D 모델링으로 변환하여 그라우팅을 통한 기초 지질을 표현하며,
    상기 댐체의 주변 경관에 대해 등고선의 색 및 간격을 조절하고, 상기 댐체의 물성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가져와 주변 지형 및 실제 물성 공간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댐체의 주요 영역에 대한 토목 도면을 표출하며, 필요한 도면의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댐체의 현장에 있는 상기 점검 단말기로부터 사진이 포함된 보고 내용이 입력되면 댐 점검 보고서를 자동으로 생성하며,
    상기 댐체의 자산 관리 기능과 연동하여 자산 정보를 표출하는,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을 이용한 댐 수문 방류 시뮬레이션 시스템.
  7. 하천을 가두도록 설치된 댐체의 저수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문을 통하여 관리하기 위한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을 이용한 댐 수문 방류 시뮬레이션 방법으로서,
    (a) 시뮬레이션 서버에서 상기 댐체를 구조물 정보에 따라 3차원 공간인식 기반으로 3D 모델링하여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시뮬레이션 서버가 상기 댐체의 각 구역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측기로부터 각종 계측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시뮬레이션 서버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측기로부터 수신된 계측 정보를 상기 디지털 트윈 댐 모델에 반영하는 단계;
    (d) 상기 시뮬레이션 서버가 상기 계측 정보 중 저수량의 수위에 따라 방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e) 상기 시뮬레이션 서버가 상기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3D 모델링 댐 수문을 각각 개방하여 3D 모델링 댐에 저장된 저수를 방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을 이용한 댐 수문 방류 시뮬레이션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은,
    상기 댐체의 중앙 부분에 해당하는 위치에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과, 상기 댐체의 좌측 가장자리 부분에 해당하는 위치에 좌측 3D 모델링 댐 수문, 및 상기 댐체의 우측 가장자리 부분에 해당하는 위치에 우측 3D 모델링 댐 수문을 구비하고,
    상기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과 상기 좌측 3D 모델링 댐 수문 사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3D 모델링 댐 수문이 배치되고, 상기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과 상기 우측 3D 모델링 댐 수문 사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3D 모델링 댐 수문이 배치되며,
    상기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 상기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과 상기 좌측 3D 모델링 댐 수문 사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3D 모델링 댐 수문, 및 상기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과 상기 우측 3D 모델링 댐 수문 사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3D 모델링 댐 수문에는, 각 수문의 개방 시 방출되어 나오는 저수를 이동시키는 배수로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을 이용한 댐 수문 방류 시뮬레이션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은,
    상기 댐체에 저수된 수량 중 상기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에 인가되는 수량의 수압이 가장 높고, 상기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을 기준으로 양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상기 좌측 3D 모델링 댐 수문 및 상기 우측 3D 모델링 댐 수문 측으로 갈수록 수압이 낮아져, 상기 좌측 3D 모델링 댐 수문에 인가되는 수량의 수압과 상기 우측 3D 모델링 댐 수문에 인가되는 수량의 수압이 상기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에 인가되는 수량의 수압 보다 더 낮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계측기 중 수위 센서를 통해 검출된 수위에 따라 기준 저수량 대비 전체 방류량을 계산하고, 계산된 전체 방류량을 상기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 상기 좌측 3D 모델링 댐 수문, 상기 우측 3D 모델링 댐 수문 및 그 사이에 배치된 다수의 3D 모델링 댐 수문을 통한 각 방출량을 계산하고, 이에 근거해 각 3D 모델링 댐 수문별 개방 시간을 계산하며,
    상기 계산된 전체 방류량, 상기 계산된 각 3D 모델링 댐 수문별 방출량 및 상기 계산된 각 3D 모델링 댐 수문별 개방 시간에 따라, 상기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 상기 좌측 3D 모델링 댐 수문, 상기 우측 3D 모델링 댐 수문 및 그 사이에 배치된 다수의 3D 모델링 댐 수문을 각각 개방시키는,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을 이용한 댐 수문 방류 시뮬레이션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은,
    상기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 상기 좌측 3D 모델링 댐 수문, 상기 우측 3D 모델링 댐 수문 및 그 사이에 배치된 다수의 3D 모델링 댐 수문에 대한 개방 높이를 각각 조절하되,
    상기 댐체에 저수된 저수량과 수위에 따라 각 댐 수문에 인가되는 수압의 크기를 계산하고, 계산된 각 댐 수문에 인가되는 수압에 따라 상기 중앙 3D 모델링 댐 수문, 상기 좌측 3D 모델링 댐 수문, 상기 우측 3D 모델링 댐 수문 및 그 사이에 배치된 다수의 3D 모델링 댐 수문에 대한 개방 높이를 각각 조절 제어하는,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을 이용한 댐 수문 방류 시뮬레이션 방법.
KR1020210031244A 2021-03-10 2021-03-10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을 이용한 댐 수문 방류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KR102536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244A KR102536774B1 (ko) 2021-03-10 2021-03-10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을 이용한 댐 수문 방류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244A KR102536774B1 (ko) 2021-03-10 2021-03-10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을 이용한 댐 수문 방류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6917A true KR20220126917A (ko) 2022-09-19
KR102536774B1 KR102536774B1 (ko) 2023-05-26

Family

ID=83460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1244A KR102536774B1 (ko) 2021-03-10 2021-03-10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을 이용한 댐 수문 방류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67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05087A (zh) * 2023-05-05 2023-06-02 安徽中科大国祯信息科技有限责任公司 基于边缘计算网关的雨污排水管网异常分析方法及装置
CN116776636A (zh) * 2023-07-13 2023-09-19 汇杰设计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数字孪生的水旱灾害应急仿真方法和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2726A (ko) 1995-06-07 1997-01-28 의사결정지원 시스템을 이용한 다목적 댐의 종합관리 시스템 및 그 구현 방법
KR20020026491A (ko) * 2002-01-14 2002-04-10 주식회사 엔엠시스템즈 컴퓨터를 이용한 가동보 수문의 원격 감시 제어방법과이를 위한 제어장치
KR20030097562A (ko) * 2002-06-22 2003-12-31 주식회사 진명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생태복원형 수문식 자동보 시스템
KR20190000667A (ko) * 2017-06-23 2019-01-03 주식회사 에이피씨테크 분산형 수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2726A (ko) 1995-06-07 1997-01-28 의사결정지원 시스템을 이용한 다목적 댐의 종합관리 시스템 및 그 구현 방법
KR20020026491A (ko) * 2002-01-14 2002-04-10 주식회사 엔엠시스템즈 컴퓨터를 이용한 가동보 수문의 원격 감시 제어방법과이를 위한 제어장치
KR20030097562A (ko) * 2002-06-22 2003-12-31 주식회사 진명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생태복원형 수문식 자동보 시스템
KR20190000667A (ko) * 2017-06-23 2019-01-03 주식회사 에이피씨테크 분산형 수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박동순. 댐 안전과 디지털 전환. 대한토목학회지 제68권 제9호, 16~30 페이지, 2020.09.*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05087A (zh) * 2023-05-05 2023-06-02 安徽中科大国祯信息科技有限责任公司 基于边缘计算网关的雨污排水管网异常分析方法及装置
CN116776636A (zh) * 2023-07-13 2023-09-19 汇杰设计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数字孪生的水旱灾害应急仿真方法和系统
CN116776636B (zh) * 2023-07-13 2023-12-22 汇杰设计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数字孪生的水旱灾害应急仿真方法和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6774B1 (ko) 2023-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6822B1 (ko) 3d 디지털 트윈 댐 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E102006014634B4 (de) Mensch-Maschine-Schnittstelle für ein Kontroll- bzw. Steuerungs-System
KR100866830B1 (ko) 영상기반 3차원 하천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536774B1 (ko)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을 이용한 댐 수문 방류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CN102497568B (zh) 交互式三维虚拟场景及可视化信息集成系统
CN112149212B (zh) 一种工程项目可视化施工管理平台
KR102423561B1 (ko) 디지털 트윈 기반 지능형 댐 안전 관리 시스템
CN109242291A (zh) 河湖流域水环境智慧管理方法
CN101939765A (zh) 用于远程检查工业过程的由计算机实施的方法和系统
CN111784140A (zh) 一种基于物联网技术的智慧水务管控调度平台
CN110858334A (zh) 道路安全评估方法、装置及道路安全预警系统
CN115374508A (zh) 一种基于虚拟现实技术的大中型水库安全巡检系统
JP7463315B2 (ja) 設備管理方法、設備管理装置、設備管理プログラム、記録媒体
KR102423579B1 (ko) 3d 모델링 기반 댐 안전 관리를 위한 통합 유지보수 관제 방법 및 시스템
CN111077864A (zh) 一种智慧排水调度和分析方法及系统
Bruno et al. The role of 4D historic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and management in the analysis of constructive evolution and decay condition within the refurbishment process
KR102191382B1 (ko) 통합 물환경 관리 지원을 위한 스마트 조사 서비스 시스템
CN111062150A (zh) 一种三维可视化工厂管理系统
CN114238543A (zh) 一种排水管网地理信息系统
CN116415776B (zh) 一种基于数字孪生技术的污水处理监测运营管理系统及方法
CN104166697A (zh) 一种三维交互式船闸监控系统
CN116720242A (zh) 一种高压电缆隧道数字孪生全景监测系统
CN113992891A (zh) 一种基于视频监控多信息融合的可视化应用系统
KR200497897Y1 (ko) 댐 점검 단말용 크래들
Madryas et al. Inspection of pipes as an element of operating municipal sewerage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