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6496A - 침전조의 슬러지 양 측정방법, 이를 이용한 측정장치 및 침전조 - Google Patents

침전조의 슬러지 양 측정방법, 이를 이용한 측정장치 및 침전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6496A
KR20220126496A KR1020210030843A KR20210030843A KR20220126496A KR 20220126496 A KR20220126496 A KR 20220126496A KR 1020210030843 A KR1020210030843 A KR 1020210030843A KR 20210030843 A KR20210030843 A KR 20210030843A KR 20220126496 A KR20220126496 A KR 20220126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weight
sensor
tank
upp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0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9117B1 (ko
Inventor
하용간
Original Assignee
하용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용간 filed Critical 하용간
Priority to KR1020210030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9117B1/ko
Publication of KR20220126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6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9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9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7/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weighing material of special form or property
    • G01G17/04Apparatus for or methods of weighing material of special form or property for weighing fluids, e.g. gases, pas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22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apportioning materials by weighing prior to mixing them
    • G01G19/24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apportioning materials by weighing prior to mixing them using a single weighing 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3/00Auxiliary devices for weighing apparatus
    • G01G23/14Devices for determining tare weight or for cancelling out the tare by zeroising, e.g. mechanically operat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3/00Auxiliary devices for weighing apparatus
    • G01G23/18Indicating devices, e.g. for remote indication; Recording devices; Scales, e.g. graduat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전조의 슬러지 양 측정방법과 측정장치, 및 이를 적용한 침전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침전조는, 지면에 의해 지지되는 베이스(10);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10)에 의해 지지되고 상방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서포트 기둥(31); 하중이 상기 복수 개의 서포트 기둥(31) 또는 지지벽에 의해 지지되고, 탁수 공급부(70)로부터 슬러지와 물의 혼합물인 탁수(SW)를 공급받는 상부탱크(40);를 포함한다. 상기 측정장치는, 상기 상부탱크(40)가 상기 서포트 기둥(31)에 가하는 하중에 비례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60); 및 상기 센서(60)에서 발생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상부탱크(40)에 가득 채워져 있는 탁수(SW)에서 상기 탁수(SW)에 포함된 슬러지(S)의 무게를 산출하는 계산부(80);를 포함한다. 상기 측정방법은, 침전조의 운용 중 센서(60)의 신호로부터 산출된 서포트 기둥(31)의 길이 변화량과, 침전조 내에 포함된 슬러지의 단위 무게당 서포트 기둥(31)의 길이 변화량으로부터, 현재 침전조 내에 있는 슬러지(S)의 무게를 도출한다. 상기 측정방법은, 탁수가 가득 들어 있는 침전조의 무게(W2)로부터, 청수가 가득 들어 있는 침전조의 무게(W1)를 뺀 후, 슬러지의 비중(Bs)을 곱하고, 슬러지의 비중(Bs)과 물의 비중(Bw)의 차이 값을 나누어, 침전조에 들어 있는 슬러지(S)의 무게를 산출한다.

Description

침전조의 슬러지 양 측정방법, 이를 이용한 측정장치 및 침전조{Sludge Weight Measuring Method, Measurer and a Settling Tank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침전조의 슬러지 양 측정방법과 측정장치, 및 이를 적용한 침전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제조에는 모래가 사용된다. 이와 같이 건설 산업에 필요한 모래는 주로 강바닥에서 채취하였다. 그리고 강에서 채취할 수 있는 모래가 고갈되어 감에 따라, 바다에서 모래를 채취하고 염분을 제거한 후 사용하는 양이 증가하게 되었다. 그러나 해저면은 풍부한 영양분이 혼재되어 있고 어초들이 형성되어 있는 어족 자원의 기초가 되기에, 해저면에서 모래를 채취하게 되면 이러한 어족 자원이 훼손되고 고갈될 수 있다는 어민들의 염려가 커지게 되었다. 결국 바다에서 이루어지는 모래 채취량이 많아짐에 따라 급기야 어민들의 반대가 극심해졌고, 정부와 지방 자치 단체는 바다에서 모래를 채취하지 못하도록 금지하기에 이르렀다.
이에, 현재는 풍암이나 강암을 파쇄하여 모래를 만드는 방식으로 모래를 조달하기에 이르렀다. 모래 제조를 위한 원료 암석이 깨끗하고 습기가 없다면, 암석을 파쇄하고 모래 입자들을 선별한 뒤, 모래입자에 포함되어 있는 흙이나 미분을 바람과 백필터 등을 사용한 집진 설비로 제거하는 건식 제사(모래 제조) 설비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자연 상태에서 습기가 없는 암석을 구하기는 대단히 어렵기 때문에, 자연 상태에서 채취한 암석은 상당한 습기를 머금을 수밖에 없었고, 이러한 암석을 모래로 만듦에 있어 건식 제사 설비를 사용하면, 토분이 과다 함유되어 품질이 떨어질 수밖에 없었다.
이에 풍암이나 강암을 모래 크기까지 파쇄하고, 이를 물로 세척하여 흙 성분을 제거하는 습식 모래 제조 설비가 모래의 주요 공급원으로 자리잡고 있다. 습식 제사 설비는 암석을 모래 크기까지 파쇄하고 이를 물로 세척하는데, 모래 세척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량의 탁수는 폐수 처리를 하여 재사용된다.
이러한 폐수 처리 설비는, 탁수를 장시간 방치하여 침전시키거나 응집제를 사용하여 침전시키는 침전조와, 제사 공정에 사용될 청수를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청수조를 포함한다. 침전조에서 침전된 슬러지는 펌프로 흡입되고 필터프레스에서 탈수되어 케이크 상태로 배출된다.
상기 침전조에 침전된 슬러지의 양을 가늠하는 것은 설비의 효율적 인 운용을 위해 대단히 중요하다. 가령 장비 운용자가 슬러지의 양을 가늠하지 못한다면, 침전조에 침전된 슬러지의 흡입과 배출 작업을 원활히 진행할 수 없다. 또한 슬러지가 침전조에 침전된 상태를 장시간 방치하면, 슬러지가 딱딱하게 굳어 고형화된다. 슬러지가 고형화되면, 설비를 멈추고 고형화된 슬러지를 연화시켜 뚫어야 하는 번거로운 유지 보수 작업을 해야 한다.
그러나 침전조의 용량은 최소 수백 톤에 달하고, 침전조의 측벽이 금속 판재로 되어 있으며, 설비를 운용하는 중에는 침전조에 항상 물이 가득 차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침전된 슬러지의 양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침전조의 설비를 변경하지 않고, 간단한 측정장치를 설치하고 탁수가 가득 차 있는 대형 침전조 내부의 슬러지의 양을 간단한 원리로 산출할 수 있는 침전조의 슬러지 양 측정방법 및 이를 적용한 침전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슬러지 양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은, 지면에 의해 지지되는 베이스(10);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10)에 의해 지지되고 상방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서포트 기둥(31) 또는 지지벽; 하중이 상기 복수 개의 서포트 기둥(31)이나 지지벽에 의해 지지되고, 탁수 공급부(70)로부터 슬러지와 물의 혼합물인 탁수(SW)를 공급받는 상부탱크(40);를 포함하는 침전조에 적용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상기 서포트 기둥(31)의 상단부에는 복수 개의 상기 서포트 기둥(31)을 연결하는 링 형상의 서포트 링(32)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탱크(40)는 상기 서포트 링(32) 상에 거치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상부탱크(40)의 하단부에는 상기 상부탱크(40)에서 침전된 슬러지(S)를 배출하는 하단 배출구(45)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상부탱크(40)의 상단부 둘레는, 상기 상부탱크(40)의 상단 수위를 넘는 청수(W)를 배출하는 도랑(42)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상부탱크(40)는 상기 탁수 공급부(70)로부터 지속적으로 탁수(SW)를 공급받아, 탁수(SW)가 가득 차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상기 하단 배출구(45)에는 흡입노즐(50)이 설치되고, 상기 흡입노즐(50)은 흡입배관(51)을 통해 펌프(5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펌프(52)는 상기 흡입노즐(50)로부터 흡입한 슬러지(S)를 필터프레스(53)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필터프레스(53)는, 슬러지(S)를 탈수하여 블록 형태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도랑(42)에는 상기 상부탱크(40)의 상단 수위를 넘어 상기 도랑(42)에 넘어온 청수(W)를 배출하는 청수 배관(43)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청수 배관(43)은 상기 청수(W)를 하부탱크(20)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하부탱크(20)는 상기 베이스(10) 상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탱크(40)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측정장치는, 상기 서포트 기둥(31) 또는 지지벽에 마련되어, 상기 상부탱크(40)가 상기 서포트 기둥(31) 또는 지지벽에 가하는 하중에 비례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60); 및 상기 센서(60)에서 발생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상부탱크(40)에 가득 채워져 있는 탁수(SW)에서 상기 탁수(SW)에 포함된 슬러지(S)의 무게를 산출하는 계산부(80);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60)는, 상기 서포트 기둥(31) 또는 지지벽의 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서포트 기둥(31) 또는 지지벽의 길이의 변화량을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센서(60)는 박막형 변형센서일 수 있다.
상기 센서(60)는, 상기 복수 개의 서포트 기둥(31) 또는 지지벽에, 2개 이상의 개소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계산부(80)는 상기 복수 개의 센서(60)에서 발생시킨 신호들을 평균 낸 값에 기초하여 슬러지(S)의 무게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측정장치는, 상기 계산부(80)에서 산출된 슬러지(S)의 양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양 측정방법은, 상기 상부탱크(40)에 청수(W)가 가득 차 있는 상태에서 상기 센서(60)가 발생시키는 신호를 영점신호로 설정하는 영점 설정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점 설정 단계에서, 상기 영점신호는 상기 복수 개의 센서(60)에서 발생시킨 신호들의 평균 값에 기초하여 상기 영점신호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슬러지 양 측정방법은, 청수(W)가 가득 차 있는 상기 상부탱크(40)에, 소정 무게(Ws)의 슬러지(S)를 투입하고, 상기 센서(60)가 발생시키는 측정신호와 상기 소정 무게(Ws)를 연관시키는 스케일링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케일링 단계에서 투입되는 슬러지(S)는 상기 상부탱크(40)에서 배출된 슬러지(S)를 탈수한 필터프레스(53)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스케일링 단계에서, 상기 복수 개의 센서(60)에서 발생시킨 신호들의 평균 값에 기초하여 상기 측정신호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슬러지 양 측정방법은, 상기 설비를 운용하며 발생하는 센서(60)의 측정신호와 상기 스케일링 단계에서 스케일링한 값에 기초하여 상기 상부탱크(40) 내에 있는 슬러지(S)의 양을 산출하는 무게 산출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러지 양 측정방법은, 현재 센서(60)에서 발생시키는 측정신호로부터 산출되는 무게(W2)와 상기 영점신호로부터 산출되는 무게(W1)의 차이 값에, 슬러지의 비중(Bs)을 곱하고, 슬러지의 비중(Bs)과 물의 비중(Bw)의 차이 값을 나누어, 상기 상부탱크(40)에 들어 있는 슬러지(S)의 무게를 산출하는 무게 산출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게 산출 단계에서, 상기 복수 개의 센서(60)에서 발생시킨 신호들의 평균 값에 기초하여 상기 측정신호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계산부(80)는, 상기 상부탱크(40)에 청수(W)가 가득 차 있는 상태에서 상기 센서(60)가 발생시키는 신호를 영점신호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계산부(80)는, 청수(W)가 가득 차 있는 상태에서 상기 센서(60)가 발생시키는 신호를 영점신호로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받고, 청수(W)가 가득 차 있는 상부탱크(40)에 투입된 슬러지(S)의 소정 무게(Ws) 값을 입력 받는 입력부(8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산부(80)는, 청수(W)가 가득 차 있는 상부탱크(40)에 상기 소정 무게(Ws)의 슬러지(S)를 투입한 상태에서 상기 센서(60)가 발생시키는 측정신호와, 상기 슬러지(S)의 소정 무게(Ws)를 대응시켜, 상기 센서(60)에서 발생시키는 신호와 상기 슬러지(S)의 무게를 연관시킬 수 있다.
상기 계산부(80)는, 현재 센서(60)에서 발생시키는 측정신호로부터 산출되는 무게(W2)와 상기 영점신호로부터 산출되는 무게(W1)의 차이 값에, 슬러지의 비중(Bs)을 곱하고, 슬러지의 비중(Bs)과 물의 비중(Bw)의 차이 값을 나누어, 상기 상부탱크(40)에 들어 있는 슬러지(S)의 무게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침전조의 상부 수위가 앞서 설명한 침전조의 최고 수위(즉 청수가 도랑으로 넘쳐 나가는 정도의 수위)보다 낮은 경우에는, 수위의 감소에 따라 감소된 청수 무게를 영점신호로 변경 입력하여, 침전조 내의 슬러지 무게를 산출할 수도 있다.
가령 파쇄 작업이 중단되어 탁수 공급부(70)로부터 탁수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도, 침전조에서 흡입노즐(50)을 통해 슬러지(S)를 필터프레스(53)로 공급하는 작업은 지속될 수 있다. 이러한 작업 상황에서는 침전조의 수위가 점차 낮아진다. 이 경우, 낮아진 수위까지 청수가 가득 차 있을 때의 무게를 영점신호로 변경 입력하면, 앞서 설명한 원리와 동일한 원리로 슬러지(S)의 무게를 산출할 수 있다.
낮아진 수위까지 청수가 가득 차 있을 때의 청수의 무게는, 침전조의 내부 부피와 형태를 알고 있기 때문에, 낮아진 수위를 측정하면 쉽게 계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침전조에는 수위 센서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낮아진 수위는, 상기 흡입노즐(50)로부터 배출된 슬러지(S)의 유량을 유량 센서 등을 이용하여 측정함으로써 도출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침전조 상부에 수위를 표시하는 눈금을 표시하여 목측으로 수위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처럼 목측으로 확인된 수위는 입력부(81)를 통해 수동으로 입력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침전조의 슬러지 양 측정방법은, 기존에 운용되던 침전조 설비를 전혀 변경하지 않고, 단지 측정장치를 부가 설치하여 적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침전조의 슬러지 양 측정방법은, 기존에 운용되던 서로 다른 스펙의 침전조 설비에 대해서도, 단지 측정장치를 부가 설치하고 간단한 원리를 사용하여 적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침전조의 슬러지 양 측정방법은, 고가의 복잡한 측정장치를 구비할 필요 없이, 간단한 센서와 상기 센서의 신호를 간단한 알고리즘으로 처리하는 것만으로도 구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침전조의 슬러지 양 측정방법은, 탁수가 가득 차 있는 대형 침전조 내부의 슬러지의 무게를 간단한 측정장치와 측정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어, 침전조 내의 슬러지의 고착화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침전조의 운용에 매우 유용하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실시예의 침전조의 베이스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서포트 기둥을 부가한 도면, 도 3은 도 2에 서포트 링을 부가한 도면, 도 4는 도 3에 하부탱크를 부가한 도면, 도 5는 도 4에 상부탱크를 부가한 도면, 그리고 도 6은 도 5에 청수 배관, 흡입 노즐, 흡입배관, 및 센서를 부가한 도면이다.
도 7은 실시예의 측정장치가 적용된 침전조의 운용 상태를, 도 6의 정면 단면을 활용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침전조]
습식으로 암석을 파쇄하여 모래를 얻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량의 탁수(SW)에는, 탈수 스크린을 통과할 정도로 미세한 입자들을 포함하는 슬러지(S)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탁수(SW)는 침전조에 지속적으로 공급되고, 침전조에 공급된 탁수(SW)는 잔잔한 분위기가 유지되도록 하여 슬러지(S)의 침전이 유도된다. 공급되는 탁수(SW)의 양과 대비하여 침전조의 용량에 매우 크면, 탁수(SW)는 잔잔한 분위기를 유지할 수 있다.
자중에 의해 가라앉는 슬러지(S)는 침전조의 하단에 마련된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고, 슬러지(S)가 침전된 청수는 침전조를 넘어 청수조로 배출된다.
실시예의 슬러지 양(무게) 측정방법과 이를 적용하기 위한 측정장치는 상기 침전조에 설치된다.
침전조의 탁수 수용 용량은 수백 톤에 달하므로, 침전조는 소정의 베이스(10) 상에 설치된다. 베이스(10)는 지면에 의해 지지되는 평평한 기초일 수 있다. 상기 침전조는 베이스(10) 표면에 직접 놓이는 것이 아니라, 베이스(10)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상방으로 이격 설치될 수 있다. 즉 침전조 자체는 공중에 떠 있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침전조를 이와 같이 설치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10) 상에는 서포트 구조물(30)이 설치된다. 상기 서포트 구조물(30)은,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10)에 의해 지지되고 상방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서포트 기둥(31)을 포함한다. 상기 서포트 기둥(31)은 침전조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 복수 개 설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서포트 기둥(31)이 30도 간격으로 12개 배치된 구조가 예시되나, 그 간격과 개수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서포트 기둥(31)은 가령, 형강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H 형강이 세워져 있는 형태로 서포트 기둥(31)이 설치된 구조가 예시된다. 그러나 서포트 기둥(31)이 반드시 H 형강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서포트 기둥(31)의 상단부에는, 복수 개의 상기 서포트 기둥(31)을 연결하는 링 형태의 서포트 링(32)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침전조를 구성하는 상부탱크(40)는 상기 서포트 링(32) 상에 안착된다. 상기 상부탱크(40)와 접하는 서포트 링(32) 부분은 상기 침전조의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구비하여, 하중이 상부탱크(40)의 일부에 집중되는 현상을 최소화한다. 또한 상기 서포트 링(32)은 상기 상부탱크(40)의 하중이 상기 복수 개의 서포트 기둥(31)에 균등하게 분배되도록 한다.
침전조의 운용 중, 상기 상부탱크(40)는 탁수 공급부(70)로부터 탁수(SW)를 지속적으로 공급받는다. 상기 상부탱크(40)는 평면 단면적을 확보하기 위한 상부측벽(41)과, 상기 상부측벽(41)의 하부에 연결되어 슬러지의 하방 침전을 유도하는 경사측벽(44)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측벽(41)은 원기둥 형태일 수 있고, 상기 경사측벽(44)은 깔때기 형태일 수 있다. 슬러지(S)의 하방 이동을 촉진하기 위해, 상기 경사측벽(44)은, 제1경사각을 구비하는 제1경사측벽(441)과, 상기 제1경사측벽(441)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경사각보다 더 급한 경사각을 구비하는 제2경사측벽(4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측벽(44)의 하단부에는, 상기 경사측벽(44)을 타고 침전 하강되는 슬러지(S)를 배출하기 위한 하단 배출구(45)가 마련된다.
상기 하단 배출구(45)에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펌프(52)와 연결되는 흡입노즐(50)이 설치되고, 상기 흡입노즐(50)은 흡입배관(51)을 통해 펌프(52)와 연결된다. 상기 펌프(52)는, 상기 흡입노즐(50)을 통해 상기 상부탱크(40)로부터 슬러지(S)를 흡입하여, 필터프레스(53)에 공급한다.
필터프레스(53)는 슬러지(S)를 탈수하고 압축하여, 블록 형태로 배출한다. 필터프레스(53)에서 배출된 슬러지 블록은 폐기될 수 있다.
상기 상부탱크(40)의 상부측벽(41)의 상단부 둘레는, 상기 상부탱크(40)의 상단 수위를 넘는 청수(W)를 배출하는 도랑(42)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도랑(42)은 폐루프 형태로 마련되어, 상부탱크(40)의 둘레를 따라 임의의 위치에서 넘치는 청수(W)를 모아 청수 배관(43)으로 배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도랑(42)의 둘레를 따라 45도 간격으로 8개의 청수 배관(43)이 배치된 구조가 예시되나, 그 간격과 개수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랑(42)에서 청수 배관(43)을 따라 자중에 의해 이동하는 청수는 청수조에 공급된다. 청수조는 상기 도랑(42)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청수조는 상기 베이스(10)의 상부에 마련된 하부탱크(20)로 구성될 수 있다. 깔때기 형태의 상부탱크(40)보다 하부에 마련된 공간은 빈 공간일 수 있다. 침전조의 크기가 통상 직경 10미터를 넘는 점을 감안하면, 침전조의 하부 공간은 상당한 체적을 차지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탱크(20)를 이러한 공간에 배치하여, 침전조와 청수조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청수조 역시 청수가 가득 차 있는 형태로 운용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탱크(20)를 상부탱크(40) 아래에 두면, 하부탱크(20)에 채워진 청수에 잠긴 상부탱크(40)의 체적만큼 상부탱크(40)에 부력이 작용하므로, 상부탱크(40)가 서포트 구조물(30)에 가하는 하중을 어느 정도 완화시킬 수 있다.
후술할 슬러지의 양을 계산할 때, 이러한 부력을 계산식에 편입시켜 계산할 수도 있다. 가령, 청수조 역시 설비의 운용 형태에 따라 청수의 수위가 줄어들 수 있다. 청수의 수위가 줄어들면, 상부탱크(40)에 작용하는 부력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청수조 역시 수위 센서 또는 수위 눈금 등을 이용해 수위를 측정하여, 이에 따라 증감하는 부력을 후술할 슬러지 양 산출 과정에 반영할 수 있다.
침전조의 운용에 대해 설명하면, 탁수 공급부(70)로부터 공급되는 탁수(SW)는 상기 상부탱크(40)에 지속적으로 투입된다. 공급되는 탁수(SW)의 양에 비해 상부탱크(40)의 체적은 현저히 크다. 따라서 탁수(SW)가 투입되더라도 침전조는 잔잔한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면 탁수(SW)에 혼합되어 있던 무거운 슬러지(S)(암석 파쇄의 결과로 나오는 슬러지의 비중은 대략 2.4 내지 2.8일 수 있음)는 상부탱크(40)의 바닥으로 가라앉고, 상대적으로 가벼운 청수(W)가 수면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부탱크(40)는 이미 탁수(SW)로 가득 차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탁수 공급부(70)로부터 탁수(SW)가 공급됨에 따라, 수면에 있는 청수(W)는 상부탱크(40)의 최고 수위를 넘어 도랑(42)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도랑(42)으로 유입된 청수(W)는, 청수 배관(43)을 타고 이동하여 청수조에 공급된다.
바닥으로 가라앉은 슬러지(S)는 경사측벽(44)을 타고 더욱 하강하여, 경사측벽(44)의 하단부에 마련된 하단 배출구(45)로 이동하게 된다. 경사측벽(44)에 침전된 슬러지(S)는 장시간 방치되면 뻘처럼 굳어버리는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슬러지(S)는 굳기 전에 주기적으로 배출되어야 한다.
일 실시예의 현장에서, 탁수(SW)에서 물의 양과 슬러지의 양은 대략 9 : 1 정도일 수 있다.
상기 침전조의 바닥에 가라앉은 슬러지(S)는, 대략 30분 단위로 상기 펌프(52)에 의해 흡입되며 상기 침전조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필터프레스(53)가 슬러지 블록을 생성하고 배출하는 주기는 대략 30분 정도일 수 있으며, 상기 침전조의 슬러지(S) 배출 주기는 이에 맞춰질 수 있다.
[슬러지 양 측정장치]
탁수(SW)가 가득 차 있는 침전조, 즉 상부탱크(40)에 들어 있는 슬러지(S)의 양은 상기 침전조에 설치되는 측정장치로부터 간단한 방법으로 도출할 수 있다.
상기 측정장치는, 상기 서포트 기둥(31)에 설치되는 센서(60)와, 상기 센서(60)에서 발생하는 신호로부터 상부탱크(40)에 담긴 탁수(SW)에 포함된 슬러지(S)의 무게를 산출하는 계산부(80)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60)는 상기 서포트 기둥(31)의 측면에 부착되는 방식으로 설치되는 박막형 변형센서일 수도 있고, 기둥을 잘라서 잘라진 기둥 윗면과 아래면 사이에 설치되는 전통적인 압전소자센서 일 수도 있다. 박막형 변형센서는 미세한 변형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이다. 상부탱크(40)의 하중이 증가하여 서포트 기둥(31)에 가해지는 하중이 증가하면, 서포트 기둥(31)은 길이방향으로 압축되어 길이가 약간 줄어들 수 있다. 박막형 변형센서는 이러한 서포트 기둥(31)의 미세한 길이 변화에 대응하여 변형하며 변형량과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센서(60)는 하나 또는 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60)는 복수 개의 서포트 기둥(31)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거나, 2 이상의 서포트 기둥(31)에 각각 하나씩 설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12개의 서포트 기둥(31) 중 120도 간격으로 배치된 3개의 서포트 기둥(31)에 센서(60)가 각각 하나씩 설치된 구조가 예시된다. 그러나 센서(60)의 설치 개소가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상기 센서(60)는 청수조의 최고 수위보다 더 높은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60)는 신호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상기 계산부(80)와 연결될 수 있다.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상기 계산부(80)는 상기 복수 개의 센서(60)에서 발생시킨 신호들을 평균 낸 값에 기초하여 슬러지(S)의 무게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정장치는, 슬러지(S)의 양을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계산부(80)에서 산출된 슬러지(S)의 양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실시예의 측정장치는, 기 설치되어 운용중인 침전조에도 별도의 구조 변경 없이 간단히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의 양 측정방법은, 기 설치되어 운용중인 서로 다른 구조와 사양의 침전조에 적용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슬러지 양 측정방법]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양 측정방법은, 상기 상부탱크(40)에 청수(W)가 가득 차 있는 상태에서 상기 센서(60)가 발생시키는 신호를 영점신호로 설정하는 영점 설정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가령 상부탱크(40)에 청수(W)가 가득 차 있는 상태에서 상기 서포트 기둥(31)의 길이를 L0이라 하면, 상기 서포트 기둥(31)의 길이가 L0일 때 상기 센서(60)가 발생시키는 신호를 영점신호(I0)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영점 설정 단계에서, 상기 영점신호는 상기 복수 개의 센서(60)에서 발생시킨 신호들의 평균 값에 기초하여 상기 영점신호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슬러지 양 측정방법은, 청수(W)가 가득 차 있는 상기 상부탱크(40)에, 소정 무게(Ws)의 슬러지(S)를 투입하고, 상기 센서(60)가 발생시키는 측정신호와 상기 소정 무게(Ws)를 연관시키는 스케일링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케일링 단계에서 투입되는 슬러지(S)는 상기 상부탱크(40)에서 배출된 슬러지(S)를 탈수한 필터프레스(53)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다. 가령, 필터프레스(53)에서 공급되는 케이크 형태의 슬러지의 무게를 측정한 뒤, 이를 적정량의 청수에 용해시켜서 침전조에 펌프로 공급할 수 있다.
케이크 형태이기는 하나 필터프레스(53)에서 배출되는 케이크 역시 상당한 량의 수분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크 속의 흙 입자들의 무게를 정확히 측정하려면, 먼저 케이크 샘플의 무게를 측정하고, 해당 케이크를 오븐에서 완전 건조시켜 수분을 없앤 후 무게를 측정해서, 케이크 속의 흙 무게 비율을 산정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대량의 케이크를 덤프차 등에 실어서, 케이크를 싣기 전의 빈 덤프차의 무게를 측정하고, 이어서 케이크를 실은 후의 덤프차의 무게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트럭 스케일에서 무게를 측정하여 케이크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일단 케이크의 무게를 측정한 뒤에는, 이것을 적정양의 청수에 용해시킨 후 펌프로 침전조 상부에 공급한다. 이 때, 어차피 청수조에 투입된 용해된 케이크 내의 청수는 침전조를 넘쳐 배출되므로, 케이크를 용해시키기 위해 투입했던 청수의 양은 고려할 필요가 없다.
이렇게 케이크 투입 과정을 반복하여 측정값을 여러 개 얻은 다음, 이를 그래프 등의 형식으로 데이터화 해 두면, 해당 그래프와 데이터는 해당 침전조의 고유한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가 되며 정밀측정 자료가 된다. 한편, 박막 센서나 기타 다른 무게 측정 센서들은 무게에 비례한 측정값을 제공하므로, 측정의 반복을 많이 할 필요가 없다.
상기 스케일링 단계에서, 상기 복수 개의 센서(60)에서 발생시킨 신호들의 평균 값에 기초하여 상기 측정신호를 결정할 수 있다.
청수(W)가 가득 차 있던 상부탱크(40)에 슬러지(S)를 투입하면, 슬러지(S)의 부피만큼 청수(W)는 넘쳐 흘러 나가고, 상부탱크(40)의 무게는, 투입된 슬러지의 무게(Ws)에서 넘쳐 흐른 물의 무게를 뺀 무게만큼 증가한다. 이 상태에서 서포트 기둥(31)의 길이는 L0보다 조금 더 줄어든 L1일 수 있다. 서포트 기둥(31)의 길이는 서포트 기둥(31)에 가해지는 하중에 선형적으로 비례한다. 따라서 (L0-L1)/Ws의 계산식으로부터, 침전조 내에 포함된 슬러지의 단위 무게당 서포트 기둥(31)의 길이 변화량(dL/dWs)을 도출할 수 있다.
상기 슬러지 양 측정방법은, 상기 설비를 운용하며 발생하는 센서(60)의 측정신호와 상기 스케일링 단계에서 스케일링한 값에 기초하여 상기 상부탱크(40) 내에 있는 슬러지(S)의 양을 산출하는 무게 산출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게 산출 단계에서, 상기 복수 개의 센서(60)에서 발생시킨 신호들의 평균 값에 기초하여 상기 측정신호를 결정할 수 있다.
침전조의 운용 중 센서(60)의 신호로부터 산출된 서포트 기둥(31)의 길이가 L2라면, 침전조에 들어 있는 슬러지(S)에 의해 발생한 서포트 기둥(31)의 길이 축소량은 L2-L0가 되는데, 이 값을 상술한, 침전조 내에 포함된 슬러지의 단위 무게당 서포트 기둥(31)의 길이 변화량(dL/dWs)으로 나눈 값 (L2-L0)/(dL/dWs)이, 현재 침전조 내에 있는 슬러지(S)의 양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측정방법에 따르면, 서로 다른 사양과 구조의 침전조라 하더라도, 위 센서(60)를 설치하고, 위와 같은 방법으로 스케일링을 한 후에는, 침전조 내부의 슬러지의 양을 비교적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계산부(80)는, 청수(W)가 가득 차 있는 상태에서 상기 센서(60)가 발생시키는 신호를 영점신호로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받고, 청수(W)가 가득 차 있는 상부탱크(40)에 투입된 슬러지(S)의 소정 무게(Ws) 값을 입력 받는 입력부(8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산부(80)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상기 상부탱크(40)에 청수(W)가 가득 차 있는 상태에서 상기 센서(60)가 발생시키는 신호를 영점신호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계산부(80)는, 사용자가 입력한, 상부탱크(40)에 청수(W)가 가득 차 있는 상태에서 투입된 슬러지(S)의 무게(Ws)와, 청수(W)가 가득 차 있는 상부탱크(40)에 상기 소정 무게(Ws)의 슬러지(S)를 투입한 상태에서 상기 센서(60)가 발생시키는 측정신호를 대응시킬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계산부(8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센서(60)에서 발생시키는 신호와 상기 슬러지(S)의 무게(Ws)를 연관시킬 수 있다.
한편, 센서(60)가 무게 값을 직접 측정하거나, 이미 센서(60)에서 측정되는 값이 무게 값으로 환산되는 알고리즘이 미리 적용된 무게 측정 시스템이 적용된다면, 슬러지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상부탱크(40)에 청수가 가득 차 있는 상태에서의 무게(W1)를 측정한다. 그리고 해당 침전조에서 배출되어 필터프레스(53)에서 탈수된 슬러지의 부피와 무게를 측정하여 슬러지의 비중(Bs)을 구한다.
그러면, 탁수가 담겨 있는 침전조 설비의 운용 중 센서(60)에서 발생시키는 측정신호로부터 산출되는 무게(W2)에서, 상기 무게(W1)를 뺀 뒤, 상기 슬러지의 비중(Bs)을 곱하고, 슬러지의 비중(Bs)과 물의 비중(Bw)의 차이 값을 나눈 값 {(W2-W1)*Bs}/(Bs-Bw)가, 상기 상부탱크(40)에 들어 있는 슬러지(S)의 무게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계산부(80)는, 입력부(81)를 통해 슬러지의 비중(Bs)을 입력 받을 수 있다. 그러면 계산부(80)는, 현재 센서(60)에서 발생시키는 측정신호로부터 산출되는 무게(W2)와 상기 영점신호로부터 산출되는 무게(W1)의 차이 값에, 슬러지의 비중(Bs)을 곱하고, 슬러지의 비중(Bs)과 물의 비중(Bw)의 차이 값을 나누어, 상기 상부탱크(40)에 들어 있는 슬러지(S)의 무게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미도시된 수위 센서나 유량 센서 등을 통해 침전조(상부탱크)의 수위가 낮아진 사항과 낮아진 수위를 측정한 경우, 상기 계산부(80)는 상기 영점신호 내지 그로부터 산출되는 무게(W1)를 낮아지는 형태로 보정할 수 있다. 따라서 침전조의 수위가 낮아지더라도, 슬러지(S)의 무게는 정확하게 산출된다.
또한, 수위 센서나 유량 센서 등을 통해, 청수조(하부탱크)의 수위가 낮아진 사항과 낮아진 수위를 측정한 경우, 상기 계산부(80)는 상기 영점신호 내지 그로부터 산출되는 무게(W1)를 낮아지는 형태로 보정할 수 있다. 따라서 청수조의 수위가 낮아지더라도, 슬러지(S)의 무게는 정확하게 산출된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측정장치를 간단히 설치하고, 간단한 측정방법을 통해, 침전조에 들어 있는 슬러지의 양을 비교적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베이스
20: 하부탱크
30: 서포트 구조물
31: 서포트 기둥
32: 서포트 링
40: 상부탱크
41: 상부측벽
42: 도랑
43: 청수 배관
44: 경사측벽
441: 제1경사측벽
442: 제2경사측벽
45: 하단 배출구
50: 흡입노즐
51: 흡입배관
52: 펌프
53: 필터프레스
60: 센서 (박막형 변형센서)
70: 탁수 공급부
S: 슬러지 (비중 Bs, 샘플 무게 Ws)
W: 청수 (비중 Bw, 무게 W1)
SW: 탁수 (무게 W2)
80: 계산부
81: 입력부
90: 디스플레이

Claims (11)

  1. 탁수(SW)가 가득 차 있는 상부탱크(40) 내에 포함된 슬러지(S)의 무게를 산출하는 슬러지 무게 산출 방법으로서,
    지면에 의해 지지되는 베이스(10) 상에 복수 개의 서포트 기둥(31) 또는 지지벽을 설치하고, 상기 서포트 기둥(31) 상에 상부탱크(40)를 설치하여 상기 상부탱크(40)에 의해 발생하는 하중이 상기 서포트 기둥(31) 또는 지지벽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고, 상기 서포트 기둥(31) 또는 지지벽에 센서(60)를 설치하는 설비 준비단계;
    상기 상부탱크(40)에 청수(W)가 가득 차 있는 상태에서 상기 센서(60)가 발생시키는 신호를 영점신호로 설정하는 영점 설정 단계;
    청수(W)가 가득 차 있는 상기 상부탱크(40)에, 소정 무게(Ws)의 슬러지(S)를 투입하고, 상기 센서(60)가 발생시키는 측정신호와 상기 소정 무게(Ws)를 연관시키는 스케일링 단계;
    상기 설비를 운용하며 발생하는 센서(60)의 측정신호와 상기 스케일링 단계에서 스케일링한 값에 기초하여 상기 상부탱크(40) 내에 있는 슬러지(S)의 양을 산출하는 무게 산출 단계;를 포함하는, 침전조의 슬러지 무게 산출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60)는, 상기 복수 개의 서포트 기둥(31) 또는 지지벽에, 적어도 2개 이상의 개소에 설치되고,
    상기 영점 설정 단계에서, 상기 복수 개의 센서(60)에서 발생시킨 신호들의 평균 값으로 상기 영점신호를 결정하고,
    상기 스케일링 단계와 무게 산출 단계에서, 상기 복수 개의 센서(60)에서 발생시킨 신호들의 평균 값으로 상기 측정신호를 결정하는, 침전조의 슬러지 무게 산출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케일링 단계에서 투입되는 슬러지(S)는 상기 상부탱크(40)에서 배출된 슬러지(S)를 탈수한 필터프레스(53)로부터 공급받는, 침전조의 슬러지 무게 산출 방법.
  4. 탁수(SW)가 가득 차 있는 상부탱크(40) 내에 포함된 슬러지(S)의 무게를 산출하는 슬러지 무게 산출 방법으로서,
    지면에 의해 지지되는 베이스(10) 상에 복수 개의 서포트 기둥(31) 또는 지지벽을 설치하고, 그 상부에 상부탱크(40)를 설치하여 상기 상부탱크(40)에 의해 발생하는 하중이 상기 서포트 기둥(31) 또는 지지벽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고, 상기 서포트 기둥(31) 또는 지지벽에 센서(60)를 설치하는 설비 준비단계;
    상기 상부탱크(40)에 청수(W)가 가득 차 있는 상태에서 상기 센서(60)가 발생시키는 신호를 영점신호로 설정하는 영점 설정 단계; 및
    현재 센서(60)에서 발생시키는 측정신호로부터 산출되는 무게(W2)와 상기 영점신호로부터 산출되는 무게(W1)의 차이 값에, 슬러지의 비중(Bs)을 곱하고, 슬러지의 비중(Bs)과 물의 비중(Bw)의 차이 값을 나누어, 상기 상부탱크(40)에 들어 있는 슬러지(S)의 무게를 산출하는 무게 산출 단계;를 포함하는, 침전조의 슬러지 무게 산출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센서(60)는, 상기 복수 개의 서포트 기둥(31) 또는 지지벽에, 적어도 2개 이상의개소에 설치되고,
    상기 영점 설정 단계에서, 상기 복수 개의 센서(60)에서 발생시킨 신호들의 평균 값으로 상기 영점신호를 결정하고,
    상기 무게 산출 단계에서, 상기 복수 개의 센서(60)에서 발생시킨 신호들의 평균 값으로 상기 측정신호를 결정하는, 침전조의 슬러지 무게 산출 방법.
  6. 지면에 의해 지지되는 베이스(10);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10)에 의해 지지되고 상방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서포트 기둥(31) 또는 지지벽;
    하중이 상기 복수 개의 서포트 기둥(31) 또는 지지벽에 의해 지지되고, 탁수 공급부(70)로부터 슬러지와 물의 혼합물인 탁수(SW)를 공급받는 상부탱크(40);
    상기 상부탱크(40)의 하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상부탱크(40)에서 침전된 슬러지(S)를 배출하는 하단 배출구(45);
    상기 상부탱크(40)의 상단부 둘레에 마련되어, 상기 상부탱크(40)의 상단 수위를 넘는 청수(W)를 배출하는 도랑(42);
    상기 서포트 기둥(31) 또는 지지벽에 마련되어, 상기 상부탱크(40)가 상기 서포트 기둥(31)에 가하는 하중에 비례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60); 및
    상기 센서(60)에서 발생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상부탱크(40)에 가득 채워져 있는 탁수(SW)에서 상기 탁수(SW)에 포함된 슬러지(S)의 무게를 산출하는 계산부(80);를 포함하는, 침전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센서(60)는, 상기 서포트 기둥(31) 또는 지지벽의 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서포트 기둥(31) 또는 지지벽의 길이의 변화량을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침전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센서(60)는, 상기 복수 개의 서포트 기둥(31) 또는 지지벽에, 적어도 2개 이상의 개소에 설치되고,
    상기 계산부(80)는 상기 복수 개의 센서(60)에서 발생시킨 신호들을 평균 내어 슬러지(S)의 무게를 산출하는, 침전조.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계산부(80)에서 산출된 슬러지(S)의 양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90);를 더 포함하는, 침전조.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계산부(80)는, 청수(W)가 가득 차 있는 상태에서 상기 센서(60)가 발생시키는 신호를 영점신호로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받고, 청수(W)가 가득 차 있는 상부탱크(40)에 투입된 슬러지(S)의 소정 무게(Ws) 값을 입력 받는 입력부(81)를 포함하고,
    상기 계산부(80)는, 청수(W)가 가득 차 있는 상부탱크(40)에 상기 소정 무게(Ws)의 슬러지(S)를 투입한 상태에서 상기 센서(60)가 발생시키는 측정신호와, 상기 슬러지(S)의 소정 무게(Ws)를 대응시켜, 상기 센서(60)에서 발생시키는 신호와 상기 슬러지(S)의 무게를 연관시키는, 침전조.
  11.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계산부(80)는,
    상기 상부탱크(40)에 청수(W)가 가득 차 있는 상태에서 상기 센서(60)가 발생시키는 신호를 영점신호로 설정하고,
    현재 센서(60)에서 발생시키는 측정신호로부터 산출되는 무게(W2)와 상기 영점신호로부터 산출되는 무게(W1)의 차이 값에, 슬러지의 비중(Bs)을 곱하고, 슬러지의 비중(Bs)과 물의 비중(Bw)의 차이 값을 나누어, 상기 상부탱크(40)에 들어 있는 슬러지(S)의 무게를 산출하는, 침전조.
KR1020210030843A 2021-03-09 2021-03-09 침전조의 슬러지 양 측정방법, 이를 이용한 측정장치 및 침전조 KR102479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0843A KR102479117B1 (ko) 2021-03-09 2021-03-09 침전조의 슬러지 양 측정방법, 이를 이용한 측정장치 및 침전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0843A KR102479117B1 (ko) 2021-03-09 2021-03-09 침전조의 슬러지 양 측정방법, 이를 이용한 측정장치 및 침전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6496A true KR20220126496A (ko) 2022-09-16
KR102479117B1 KR102479117B1 (ko) 2022-12-19

Family

ID=83445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0843A KR102479117B1 (ko) 2021-03-09 2021-03-09 침전조의 슬러지 양 측정방법, 이를 이용한 측정장치 및 침전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911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5233A (ko) * 2013-07-05 2015-01-14 유초롱 석분 함유 폐수 처리용 폐수처리장치
KR101553566B1 (ko) * 2014-03-18 2015-09-17 주식회사 가온플랜트 폐수의 슬러지 자동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5233A (ko) * 2013-07-05 2015-01-14 유초롱 석분 함유 폐수 처리용 폐수처리장치
KR101553566B1 (ko) * 2014-03-18 2015-09-17 주식회사 가온플랜트 폐수의 슬러지 자동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9117B1 (ko) 2022-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79102A (zh) 一种混凝土搅拌站废料回收利用方法及其系统
CN102854300A (zh) 研究坡面径流和地下孔裂隙流产流产沙规律的测量方法
CN108918384A (zh) 一种雨水入渗下土柱渗流侵蚀实验装置以及土—水分离实验方法
CN208043608U (zh) 一种新型透水混凝土透水系数测试装置
CN113003627B (zh) 一种混凝土污水回收处理系统及方法
CN104276638A (zh) 一种隧道施工排水处理方法及其处理装置
CN103175710B (zh) 一种沉砂池连续取样器
WO2013171652A1 (en) Method of controlling a gravity sedimentation device
KR102479117B1 (ko) 침전조의 슬러지 양 측정방법, 이를 이용한 측정장치 및 침전조
CN102175584A (zh) 砂砾石料渗透稳定测试仪
JP2012220229A (ja) 発生土の細粒分含有率の測定方法と土工材料用の原料土製造方法
CN102927941A (zh) 一种露天煤矿地下水库的库容确定方法
CN203185500U (zh) 一种移动式湿混凝土回收设备
CN103570213A (zh) 污泥处理方法
CN217954217U (zh) 一种水流作用下土体表面侵蚀测量仪
CN216081602U (zh) 一种径流小区径流泥沙测定装置
CN116481994A (zh) 一种模拟和监测地下水机械潜蚀下土洞发育过程的装置及方法
CN205228873U (zh) 浮动式径流泥沙取样全深剖面进水器
EP2657668B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the hydrostatic pressure in a liquid mass
CN206975022U (zh) 一种用于坡面土壤侵蚀量测量的测量槽
CN109425550A (zh) 一种水土流失监测系统
KR101553566B1 (ko) 폐수의 슬러지 자동처리장치
Montgomery et al. Dredged material sedimentation basin design
CN208414017U (zh) 一种多功能水质监测多级过滤装置
Nasiadka Geotextile Design and Performance for Dewatering of Rare Earth Element Sludge Produced from Acid Mine Drain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