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6206A - Control device - Google Patents

Control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6206A
KR20220126206A KR1020220007757A KR20220007757A KR20220126206A KR 20220126206 A KR20220126206 A KR 20220126206A KR 1020220007757 A KR1020220007757 A KR 1020220007757A KR 20220007757 A KR20220007757 A KR 20220007757A KR 20220126206 A KR20220126206 A KR 20220126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idle
rotation speed
detection unit
idle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77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마나부 타카하시
슈헤이 카와카미
히카루 오사노
미츠오 콘다
히토시 노무라
나오키 홋타
슈헤이 토비타
토시히코 미즈모토
야스유키 히가시
Original Assignee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26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620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9/00Steering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on a desired track
    • A01B69/007Steering or guiding of agricultural vehicles, e.g. steering of the tractor to keep the plough in the furrow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9/00Steering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on a desired track
    • A01B69/007Steering or guiding of agricultural vehicles, e.g. steering of the tractor to keep the plough in the furrow
    • A01B69/008Steering or guiding of agricultural vehicles, e.g. steering of the tractor to keep the plough in the furrow automatic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1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 G05D2201/0201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AREA)
  • Arrangement And Mounting Of Devices That Control Transmission Of Motive Force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 device capable of detecting an idle state of a work vehicle at low cost. A control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 detecting unit (101) and an idle detecting unit (102). The detecting unit (101) detects the number of rotations of each wheel, the wheels which are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a work vehicle (1) working on pavement and are allowed for differential control for rotating the wheels at different numbers of rotations during turning. The idle detecting unit (102) detects the idle state of the wheels based on th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rotations between the left and right wheels.

Description

제어 장치{CONTROL DEVICE}CONTROL DEVICE

본 발명은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device.

종래, 포장에서의 작업 차량의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조작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작업 차량을 자율적으로 주행시키는 제어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DESCRIPTION OF RELATED ART Conventionally, the control apparatus which drives a work vehicle autonomously by controlling an operation device based on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a work vehicle in a pavement is known (for example, refer patent document 1).

일본 특허 공개 2016-24541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6-24541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비용이 들지 않고 작업 차량에 있어서의 차륜의 공전 상태를 검출하는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However, in the prior art, there is room for improvement in terms of detecting the idle state of the wheels in the work vehicle without cost.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저비용으로 작업 차량의 공전 상태를 검출할 수 있는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 device capable of detecting an idle state of a work vehicle at low cost.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실시형태의 일 형태에 의한 제어 장치(100)는 검출부(101)와, 공전 검출부(102)를 구비한다. 상기 검출부(101)는 포장에서 작업하는 작업 차량(1)의 좌우 방향에 설치되는 차륜으로서, 선회 시에 좌우 각각을 다른 회전수로 회전시키는 디퍼렌셜 제어가 가능한 차륜 각각의 회전수를 검출한다. 상기 공전 검출부(102)는 좌우의 상기 차륜에 있어서의 상기 회전수의 좌우 차에 의거하여 상기 차륜의 공전 상태를 검출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subject and achieve the objective, the control apparatus 100 by one aspect of embodiment is equipped with the detection part 101 and the idle speed detection part 102. As shown in FIG. The detection unit 101 is a wheel install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work vehicle 1 working on the pavement, and detects the rotation speed of each wheel capable of differential control that rotates the left and right sides at a different rotation speed when turning. The idling detection unit 102 detects the idling state of the wheel based on the left-right difference in the rotation speed of the left and right wheels.

실시형태의 일 형태에 의하면, 저비용으로 작업 차량의 공전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embodiment, the idle state of the work vehicle can be detected at low cost.

도 1은 작업 차량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작업 차량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모종 이식기의 제어 장치를 중심으로 한 제어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컨트롤러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모종 이식기의 포장에 있어서의 자율 주행의 설명도이다.
도 6은 주행 제어부의 처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공전 시에 실시되는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모드 전이에 의한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9는 모드 전이에 의한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1 is a side view showing a work vehicle;
2 is a plan view showing a work vehicl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system centering on a control device for a seedling transplanter.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controller.
It is explanatory drawing of the autonomous driving in the packaging of a seedling transplanter.
6 is a diagram showing processing of the travel control unit.
7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process performed during idle.
8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processing by mode transition.
9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processing by mode transition.

(작업 차량의 개요)(Overview of the work vehicle)

우선, 도 1 및 도 2를 참조해서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작업 차량(1)의 개요 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작업 차량(1)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작업 차량(1)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First, an outline of the work vehicle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 1 is a side view showing a work vehicle 1 .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work vehicle 1 .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전후 방향이란, 작업 차량(1)의 직진 시에 있어서의 진행 방향이며, 진행 방향의 전방측을 「전방」, 후방측을 「후방」이라고 규정한다. 작업 차량(1)의 진행 방향이란, 직진 시에 있어서 조종석(41)으로부터 핸들(35)(스티어링 장치)을 향하는 방향이다(도 1 및 도 2 참조).Note tha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front-rear direction refers to the traveling direction when the work vehicle 1 moves straight forward, and the front side of the traveling direction is defined as "front" and the rear side as "rear".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work vehicle 1 is a direction from the cockpit 41 toward the steering wheel 35 (steering device) when going straight (refer to FIGS. 1 and 2 ).

좌우 방향이란, 전후 방향에 대하여 수평으로 직교하는 방향이고, 「전방」측을 향해서 좌우를 규정한다. 즉, 조종자(작업자라고도 함)가 조종석(41)에 착석해서 전방을 향한 상태에서, 왼쪽측이 「좌측」, 오른쪽측이 「우측」이다.A left-right direction is a direction orthogonal to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ront-back direction, and prescribe|regulates left-right toward the "front" side. That is, in the state where the operator (also referred to as an operator) sits in the cockpit 41 and faces forward, the left side is "left" and the right side is "right".

상하 방향이란, 연직 방향이다. 전후 방향,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은 서로 직교한다. 각 방향은 설명의 편의상 정의한 것이며, 이들 방향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vertical direction is a vertical direction. The front-back directio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the up-down direction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Each direction is defin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directions.

실시예에서는 작업 차량(1)을 포장 작업 장치로서 모종 식부부(4)를 구비하고, 포장에 모종을 받아들이는 승용형의 모종 이식기(1)로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종 이식기(1)는 주행 차체(2)의 후방측에 승강 링크 기구(3)를 통해서 포장에 모종을 식부하는 승강가능한 모종 식부부(4)를 구비한다.In the embodiment, the work vehicle 1 is described as a seedling transplanter 1 of a riding type that includes a seedling planting unit 4 as a pavement work device and receives a seedling into the pavement.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seedling transplanter 1 is provided with a liftable seedling planting unit 4 on the rear side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2 via a lifting link mechanism 3 to plant seedlings on the pavement. .

주행 차체(2)의 후방부 상측에는 시비 장치(5)의 본체 부분이 배치된다. 또한, 작업 차량(1)이 모종 이식기(1)가 아닌 경우, 종자를 공급하는 파종 장치 등을 작업 장치로서 구비하는 경우가 있다.The body part of the fertilization apparatus 5 is arrange|positioned above the rear part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2 . In addition, when the work vehicle 1 is not the seedling transplanter 1, a seeding device for supplying seeds or the like may be provided as the working device.

주행 차체(2)는 차륜이며 구동륜인 좌우의 전륜(10) 및 후륜(11)을 구비하는 사륜 구동 차량이다. 주행 차체(2)의 차체 골격을 구성하는 메인 프레임(15)의 전방측에는 모종 식부부(4) 등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미션 케이스(13)와, 엔진(30)으로부터 공급되는 구동력, 즉 엔진(30)에서 발생된 회전을 미션 케이스(13)에 출력하는 유압식의 무단 변속 장치(14)가 설치된다.The traveling vehicle body 2 is a four-wheel drive vehicle which is a wheel and is provided with the left and right front wheels 10 and the rear wheel 11 which are drive wheels.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frame 15 constituting the vehicle body frame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2 , the transmission case 13 that transmits the driving force to the seedling planting part 4 and the like, and the driving force supplied from the engine 30 , that is, the engine 30 ), a hydraulic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device 14 that outputs the rotation generated in the transmission case 13 is installed.

무단 변속 장치(14)는, 소위 HST(Hydraulic Static Transmission)라고 불리는 정유압식의 무단 변속기이다. 이하에서는, 무단 변속 장치가 HST(14)인 경우를 설명한다.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device 14 is a hydrostatic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alled so-called HST (Hydraulic Static Transmission). Hereinafter, a case in which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device is the HST 14 will be described.

미션 케이스(13) 내에는 고속 모드에서의 노상 주행 시나, 저속 모드에서의 모종의 식부 시 등에 있어서의 주행 차체(2)의 주행 모드를 전환하는 부변속 기구(16)가 설치된다. 미션 케이스(13)의 좌우 측방에는 전륜 파이널 케이스(10a)가 설치되고, 좌우의 전륜 파이널 케이스(10a)의 조향 방향을 변경가능한 전륜 지지부로부터 각각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좌우 전차축(10b)에 전륜(10)이 장착된다.In the transmission case 13, an auxiliary transmission mechanism 16 for switching the traveling mode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2 at the time of road running in the high-speed mode or the planting of a seedling in the low-speed mode is provided. Front wheel final cases 10a are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ransmission case 13, and front wheels ( 10) is installed.

또한, 메인 프레임(15)의 후방부측에는 횡 방향으로 설치된 후방부 프레임(22)(도 2 참조)의 좌우 양측에 후륜 기어 케이스(11a)가 장착되고, 후륜 기어 케이스(11a)로부터 각각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좌우의 후차축(1lb)에 후륜(11)이 각각 부착된다.In addition,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frame 15, rear wheel gear cases 11a are mount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ar frame 22 (refer to FIG. 2) install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respectively, outward from the rear wheel gear case 11a. Rear wheels 11 are respectively attached to the protruding left and right rear axles 11b.

또한, 후방부 프레임(22)의 상부에는 승강 링크 기구(3)를 지지하는 좌우의 링크 지지 프레임(23)이 상방을 향해서 돌출된다. 좌우의 링크 지지 프레임(23)의 하부측이며, 또한 좌우의 사이에는 좌우 한쌍의 로워 링크 암(24)이 설치된다. 좌우의 로워 링크 암(24)의 좌우 사이에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승강 실린더(25)가 설치된다.Further,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ear frame 22 , the left and right link support frames 23 supporting the lifting link mechanism 3 protrude upward. It is the lower side of the link support frame 23 on the left and right,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lower link arms 24 are provid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A lifting cylinder 25 operated by hydraulic pressure is provid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of the lower link arms 24 on the left and right.

승강 실린더(25)의 상방에는 어퍼 링크 암(26)이 설치되고, 평행 링크 기구인 승강 링크 기구(3)가 구성된다. 또한, 각각 일단이 주행 차체(2)측에 연결된 좌우의 로워 링크 암(24)과, 승강 실린더(25)와, 어퍼 링크 암(26)의 타단측은 모종 식부부(4)의 전방부에 장착된다.An upper link arm 26 is provided above the elevating cylinder 25, and the elevating link mechanism 3 which is a parallel link mechanism is comprised. In addition, the lower link arms 24 on the left and right each connected to the traveling body 2 side at one end, the lifting cylinder 25 and the other end side of the upper link arm 26 are attached to the front part of the seedling planting part 4 . do.

또한, 메인 프레임(15) 상에는 엔진(30)이 탑재된다. 엔진(30)의 회전 동력이 벨트 전동 장치(21) 및 HST(14)를 통해서 미션 케이스(13)에 전달된다. 미션 케이스(13)에 전달된 회전 동력은 미션 케이스(13) 내의 부변속 기구(16)에 의해 변속된 후, 주행 동력과 외부 인출 동력으로 나뉘어진다.In addition, the engine 30 is mounted on the main frame 15 . The rotational power of the engine 30 is transmitted to the transmission case 13 through the belt transmission 21 and the HST 14 . After the rotational power transmitted to the transmission case 13 is shifted by the auxiliary transmission mechanism 16 in the transmission case 13, it is divided into running power and external extraction power.

또한, 엔진(30)의 회전 동력은 도시하지 않은 유압 펌프에 전달된다. 유압 펌프에서 발생된 유압은 HST(14)나, 핸들(35)의 파워 스티어링 기구(88)(도 3 참조)나, 승강 실린더(25) 등에 공급된다.In addition, the rotational power of the engine 30 is transmitted to a hydraulic pump (not shown). The hydraulic pressure generated by the hydraulic pump is supplied to the HST 14, the power steering mechanism 88 of the handle 35 (refer to FIG. 3), the lifting cylinder 25, and the like.

미션 케이스(13)에 전달된 회전 동력으로부터 인출되는 외부 인출 동력은 주행 차체(2)의 후방부에 설치된 식부 클러치 케이스(27)에 전달되고, 식부 클러치 케이스(27)로부터 식부 전동축(67)에 의해 모종 식부부(4)에 전달된다.The external extraction power extracted from the rotation power transmitted to the transmission case 13 is transmitted to the planting clutch case 27 provided in the rear part of the traveling body 2, and the planting transmission shaft 67 from the planting clutch case 27. It is transmitted to the seedling planting part 4 by .

한편, 미션 케이스(13)의 후방부에는 좌우의 드라이브 샤프트(42)가 설치된다. 엔진(30)으로부터의 회전 동력은 미션 케이스(13) 및 드라이브 샤프트(42)를 통해서 좌우의 후륜 기어 케이스(11a)에 전동된다.On the other hand, the left and right drive shafts 42 are installed in the rear portion of the transmission case 13 . The rotational power from the engine 30 is transmitted to the left and right rear wheel gear cases 11a via the transmission case 13 and the drive shaft 42 .

또한, 좌우의 드라이브 샤프트(42)보다 전동 방향 위쪽측에는 좌우의 드라이브 샤프트(42)에 대한 동력 전달을 온오프하는 사이드 클러치(44)(도 3 참조)가 배치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종석(41)의 전방측 하부이며, 또한 좌우 일측에는 좌우의 사이드 클러치(44)를 온오프 조작하는 사이드 클러치 페달(43a)이 설치된다.In addition, the side clutch 44 (refer to FIG. 3) for turning on/off power transmission to the right and left drive shafts 42 is disposed above the left and right drive shafts 42 in the transmission direction. As shown in FIG. 1 , a side clutch pedal 43a for turning the left and right side clutches 44 on/off is provided at the lower front side of the cockpit 41 and on one left and right sides.

좌우의 사이드 클러치 페달(43a) 중, 선회 내측의 사이드 클러치 페달(43a)을 스테핑하여 사이드 클러치(44)를 오프 상태로 하고 나서 핸들(35)을 조작하여 선회 주행하면, 선회 내측의 후륜(11)의 구동 회전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Among the left and right side clutch pedals 43a, when the side clutch pedal 43a inside the turning is turned off to turn off the side clutch 44, and then the steering wheel 35 is operated for turning driving, the rear wheel 11 inside the turning ) can completely block the drive rotation.

주행 차체(2)의 앞측 상부에는 각 부의 조작을 행하는 조종 패널(38)을 상부에 배치한 보닛(39)이 설치된다. 조종 패널(38)에는 모니터(86)(도 3 참조) 등이 설치된다.A bonnet 39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side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2 , in which a control panel 38 for operating each part is disposed thereon. The control panel 38 is provided with a monitor 86 (refer to Fig. 3) and the like.

또한, 보닛(39)에는 주행 차체(2)를 조타하는 핸들(35), HST(14)나 모종 식부부(4)를 조작하는 변속 조작 레버(36), 부변속 기구(16)를 조작하는 부변속 조작 레버(37) 등이 설치된다.Moreover, in the bonnet 39, the steering wheel 35 which steers the traveling body 2, the shift operation lever 36 which operates the HST 14 and the seedling planting part 4, and the auxiliary transmission mechanism 16 are operated A sub-shift operation lever 37 and the like are provided.

또한, 보닛(39)의 전방측에는 개폐가능한 프론트 커버(40)가 설치된다. 프론트 커버(40)의 내부에는 연료 탱크나 배터리, 핸들(35)의 조타에 좌우의 전륜(10)및 좌우의 전륜 파이널 케이스(10a)의 하부측을 회동시키는 연동 기구가 설치된다. 전륜(10)은, 예를 들면 핸들(35)의 조타에 따라 전타하는 조타륜이다.In addition, an openable and openable front cover 40 is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bonnet 39 . In the inside of the front cover 40, a fuel tank, a battery, and an interlocking mechanism for rotating the lower side of the left and right front wheels 10 and the left and right front wheel final cases 10a by steering of the handle 35 are provided. The front wheel 10 is a steering wheel which turns according to the steering of the steering wheel 35, for example.

보닛(39)보다 후방측이며 또한 엔진(30)의 상방 위치에는 엔진(30)의 상부 및 측부를 덮는 엔진 커버(30a)가 설치되고, 엔진 커버(30a)의 상부에는 조종자가 착석하는 조종석(41)이 설치된다.An engine cover 30a covering the upper and side portions of the engine 30 is installed at the rear side of the bonnet 39 and at an upper position of the engine 30, an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engine cover 30a, a cockpit where the operator sits ( 41) is installed.

조종석(41)의 후방측이며, 메인 프레임(15)의 후단측에는 시비 장치(5)가 설치된다. 시비 장치(5)의 구동력은 좌우의 후륜 기어 케이스(11a)의 좌우 일측으로부터 시비 장치(5)에 임하도록 설치되는 시비 전동 기구에 의해 전달된다.It is the rear side of the cockpit 41, and the fertilization device 5 is provided in the rear end side of the main frame 15. The driving force of the fertilization apparatus 5 is transmitted by the fertilization transmission mechanism provided so that it may apply to the fertilization apparatus 5 from the left and right side of the rear wheel gear case 11a of either side.

엔진 커버(30a) 및 보닛(39)의 하부에 있어서의 좌우 양측은 대략 수평한 플로어 스텝(33)이 형성된다. 플로어 스텝(33)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부 격자 형상이며, 예를 들면 플로어 스텝(33)을 걷는 조종자의 신발 등에 묻은 진흙이 떨어지거나, 떨어진 진흙 등이 포장으로 낙하한다.A substantially horizontal floor step 33 is formed i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in the lower part of the engine cover 30a and the bonnet 39.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2, the floor step 33 has a partial lattice shape. For example, mud on the shoes of the operator who walks on the floor step 33 falls, or the fallen mud falls onto the pavement.

또한, 플로어 스텝(33)의 후방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어 스텝(330)이 연접된다. 리어 스텝(330)의 표면에는 작업 시에 발이 미끄러지기 어렵도록, 예를 들면 복수의 돌기 패턴이 형성된 미끄럼 방지 가공이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as shown in FIG. 2, the rear step 330 is connected behind the floor step 33. As shown in FIG. The surface of the rear step 330 is preferably subjected to an anti-slip process in which, for example, a plurality of protrusion patterns are formed so that the foot becomes less slippery during operation.

또한, 주행 차체(2)의 앞측이며, 또한 좌우 양측에는 모종 프레임 지주(51)에 복수의 예비 모종 적재대(52)를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배치하는 예비 모종 프레임(50)이 각각 설치되고, 모종 식부부(4)에 보충되는 모종이나 비료 포대 등의 작업 자재가 적재 가능하게 되어 있다.In addition, it is the front side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2, and a spare seedling frame 50 for arranging a plurality of spare seedling loading tables 52 at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seedling frame post 51 is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Working materials, such as a seedling supplemented to the seedling planting part 4, and a fertilizer bag, can be loaded.

또한, 승강 링크 기구(3)의 후단부에는 포장에 식부하는 모종을 적재하는 모종 탱크(53)가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딩 기구와 함께 장착되어 있다. 모종 탱크(53)에는 상하 방향으로 긴 모종 칸막이 펜스(54)를 좌우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서 각각 배치된다. 모종 탱크(53)의 하방에는 적재된 모종을 긁어내어 포장에 식부하는 모종 식부 장치(55)가 배치된다.Moreover, the seedling tank 53 which loads the seedlings to be planted in a pavement is attached to the rear end part of the raising/lowering link mechanism 3 together with the sliding mechanism which slides in the left-right direction. In the seedling tank 53, the seedling partition fence 54 long in the up-down direction is respectively arrange|position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left-right direction. Below the seedling tank 53, the seedling planting apparatus 55 which scrapes out the loaded seedling, and plants it in a field|vehicle is arrange|positioned.

모종 식부 장치(55)는 모종 칸막이 펜스(54)에 의해 구획된 식부 작업 조수와 같은 수, 즉 8조 동시에 식부하는 것이며, 식부 전동 케이스(56)가 모종 탱크(53)의 하방으로 간격을 두고서 4개 배치되고, 식부 전동 케이스(56)의 좌우 양측으로 회전하면서 식입간(58)에 의해 모종을 취하여 포장에 식부하는 식부 로터리(57)가 각각 장착된다.The seedling planting apparatus 55 is to plant the same number as the number of planting operation assistants partitioned by the seedling partition fence 54, ie, 8 sets simultaneously, and the planting transmission case 56 is spaced below the seedling tank 53, Four are arrange|positioned, and the planting rotary 57 which takes a seedling by the planting stem 58 and plants it in a pavement, rotating to the right and left both sides of the planting transmission case 56 is attached, respectively.

시비 장치(5)는 비료가 저장되는 시비 호퍼(70)가 모종 식부부(4)의 작업 조수와 같은 수(도 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8조분)로 칸막이되어 있다. 또한, 8조분의 시비 호퍼(70)는 좌우 방향으로 길기 때문에 비료의 투입이나 착탈의 편리성이 저하되므로, 4조씩 칸막이 된 것을 좌우로 각각 배열하는, 소위 사이드 시비 구조여도 좋다.As for the fertilization apparatus 5, the fertilization hopper 70 in which a fertilizer is stored is partitioned by the same number (in the example shown in FIG. 2, for 8 groups) as the number of work crews of the seedling planting part 4. In addition, since the fertilization hopper 70 for 8 sets is long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e convenience of putting in and putting on and taking off a fertilizer falls, so-called side fertilization structure may be sufficient as what was divided into 4 sets|pieces by arranging each left and right, respectively.

시비 호퍼(70)의 하부에는 비료를 설정량씩 공급하는 인출 장치(71)가 1조마다 설치된다. 인출 장치(71)의 하방에는 비료를 이동시키는 반송풍이 통과하는 통풍 덕트(72)가 좌우 방향으로 설치된다. 인출 장치(71)의 하방에는 모종 식부부(4)의 모종 식부 위치의 근방에 비료를 안내하는 시비 호스(73)가 설치된다. 또한, 통풍 덕트(72)의 1측 단부에는 블로어용 전동 모터(76)에 의해 작동해서 반송풍을 발생시키는 블로어(74)가 설치된다.At the lower part of the fertilization hopper 70, a take-out device 71 for supplying a set amount of fertilizer is installed for every set. Below the take-out device 71, the ventilation duct 72 through which the conveyance wind which moves a fertilizer passes is provid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e fertilization hose 73 which guides a fertilizer in the vicinity of the seedling planting position of the seedling planting part 4 is provided below the take-out apparatus 71. Moreover, the blower 74 which operates by the electric motor 76 for blowers to generate|occur|produce a conveyance wind is provided in the one side edge part of the ventilation duct 72. As shown in FIG.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종 식부부(4)의 하방에는 포장면에 접지해서 활주하는 센터 플로트(62C)와, 좌우 2개씩의 사이드 플로트(62L, 62R)가 축 주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센터 플로트(62C) 및 좌우의 사이드 플로트(62L, 62R)를 총칭해서 플로트(62)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As shown in FIG.1 and FIG.2, below the seedling planting part 4, the center float 62C which grounded on the pavement surface, and slides, and the side floats 62L, 62R of each of two right and left are rotatable around an axis. is installed In addition, the center float 62C and the side floats 62L and 62R on either side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the float 62 in some cases.

또한, 모종 식부부(4)의 하방에 있어서, 플로트(62)보다 전방측에는 포장면의 요철을 정지하는 정지 로터(63)가 설치된다. 또한, 정지 로터(63)에는 좌우 타측의 후륜 기어 케이스(11a)로부터 로터 전동 샤프트(63a)를 통해서 구동력이 전달된다.Moreover, below the seedling planting part 4 WHEREIN: The stop rotor 63 which stops the unevenness|corrugation of a pavement surface is provided in the front side rather than the float 62. As shown in FIG. Further, a driving force is transmitted to the stationary rotor 63 from the left and right rear wheel gear cases 11a through the rotor transmission shaft 63a.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종 식부부(4)의 좌우 양측에는 좌우 어느 한쪽이 포장면에 접지하고, 다음의 작업조(다음 공정)에 있어서의 주행의 기준으로 하는 홈을 형성하는 선긋기 마커(65)가 각각 설치된다. 좌우의 선긋기 마커(65)는 좌우 일측이 접지하면 타측이 상방으로 이간하고, 선회 시에 모종 식부부(4)를 상승시켰을 때에는 좌우 양측 모두 상방으로 이간하고, 선회 후에 모종 식부부(4)가 하강하면 좌우 일측이 상방으로 이간해서 타측이 접지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 either left or right is grounded on the pavement surface on the left and right both sides of the seedling planting part 4, and the line|wire which forms the groove|channel used as the reference|standard of running in the next work tank (next process). Markers 65 are respectively provided. When the left and right side drawing markers 65 are grounded on the left and right, the other side is spaced upward, and when the seedling planting part 4 is raised at the time of turning, both left and right both sides are spaced upward, and the seedling planting part 4 after turning. When descending,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separated upward and the other side is grounded.

또한,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 차체(2)의 좌우 중앙부이며,또한 보닛(39)의 전방에는 상하 방향으로 긴 센터 마스코트(66)가 설치된다. 센터 마스코트(66)를 좌우의 선긋기 마커(65)에 의해 포장에 형성된 홈에 맞춤으로써 직전의 작업 조의 작업 위치에 맞춘 주행이 가능해지고, 작업 정밀도의 향상이나 비작업의 발생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Further, as shown in Figs. 1 and 2, a center mascot 66, which is the left and right central portion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2, and is provided in front of the bonnet 39, is elong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aligning the center mascot 66 with the grooves formed in the pavement by the left and right scribing markers 65, it is possible to travel according to the working position of the immediately preceding work group, 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work precision and prevent non-work occurrence. .

또한, 포장의 토질에 따라서는 좌우의 선긋기 마커(65)에 의해 형성된 가이드선이 곧바로 묻혀버려 직진의 기준이 소실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좌우의 선긋기 마커(65)보다 전방측에 설치된 좌우의 사이드 마커(19)를 사용하면 좋다. 즉, 좌우의 사이드 마커(19)를 외측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식부된 모종의 상방에 사이드 마커(19)를 위치시킴으로써 전방의 작업 조의 모종의 식부에 맞춘 식부 작업이 가능해진다.In addition, depending on the soil quality of the pavement, the guide line formed by the left and right scribing markers 65 may be buried immediately, and the standard of going straight may be lost. In this case, it is good to use the left and right side markers 19 provided on the front side rather than the left and right scribing markers 65 . That is, the planting operation matched to the planting of the seedling of a front work tank becomes possible by moving the side marker 19 on either side outward and positioning the side marker 19 above the planted seedling.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종 이식기(1)는 위치 취득 장치(150)를 구비한다. 위치 취득 장치(150)는 모종 이식기(1)의 현재의 위치, 및 방위를 취득한다. 위치 취득 장치(150)는, 예를 들면 방위 센서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이나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등의 측위 수단을 포함한다. 위치 취득 장치(150)는 복수의 장치로 구성되어도 좋다. 위치 취득 장치(150)는 카메라나, 초음파 센서를 포함해도 좋고, 포장에 있어서의 선회 위치를 취득하고, 선회 위치까지의 거리를 검출해도 좋다.Moreover, as shown in FIG. 1, the seedling transplanter 1 is equipped with the position acquisition device 150. As shown in FIG. The position acquisition device 150 acquires the current position and orientation of the seedling transplanter 1 . The position acquisition device 150 includes, for example, a direction sensor and positioning means such as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or a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The position acquisition device 150 may be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devices. The position acquisition device 150 may include a camera and an ultrasonic sensor, acquire the turning position in a pavement, and may detect the distance to a turning position.

예를 들면, 위치 취득 장치(150)는 측위 수단으로부터 측위 정보를 접수하고, 접수한 측위 정보에 의거하여 주행 차체(2)의 현재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를 작성하고, 현재의 위치, 및 방위를 취득한다. 위치 취득 장치(150)는, 예를 들면 장착 스테이(59)에 장착되고, 주행 차체(2)의 상방에 배치된다.For example, the position acquisition device 150 receives positioning information from the positioning means, creates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and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2 based on the received positioning information, the current position, and acquire a defense The position acquisition device 150 is mounted on the mounting stay 59 , for example, and is disposed above the traveling vehicle body 2 .

위치 취득 장치(150)에 의한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작성되는 직진 제어용 프로그램과, 선회 제어용 프로그램은 서로 별도의 장소에 격납된다. 직진 제어용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위치 취득 장치(150) 내의 직진 제어용 ECU(Electronic Control Unit)(100a)에 격납되고, 선회 제어용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보닛(39)에 수용된 선회 제어용 ECU(100b)에 격납된다. 또한, 직진 제어용 ECU(100a) 및 선회 제어용 ECU(100b)는 후술하는 제어 장치(100)(도 3 참조)에 포함된다. 직진 제어용ECU(100a) 및 선회 제어용 ECU(100b)는 동일한 ECU에 격납되어도 좋다.The program for straight-ahead control and the program for turning control created based on the positional information by the position acquisition device 150 are stored in mutually separate places. The straight-ahead control program is stored, for example, in the straight-ahead control ECU (Electronic Control Unit) 100a in the position acquisition device 150, and the turning control program is, for example, housed in the bonnet 39 ECU 100b for turning control. is stored in In addition, ECU 100a for straight-ahead control and ECU 100b for turning control are included in the control apparatus 100 (refer FIG. 3) mentioned later. The ECU 100a for straight line control and the ECU 100b for turning control may be stored in the same ECU.

(모종 이식기의 제어계)(control system of seedling transplanter)

이어서, 도 3을 참조해서 모종 이식기(1)의 제어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모종 이식기(1)의 제어 장치(100)를 중심으로 한 제어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모종 이식기(1)는 전자 제어에 의해 각 부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며,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이하, 컨트롤러라고 함)(100)를 구비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3, the control system of the seedling transplanter 1 is demonstrated.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system centering on the control device 100 of the seedling transplanter 1 . The seedling transplanter 1 can control each part by electronic control, and is equipped with the control apparatus (henceforth a controller) 100 which controls each part.

컨트롤러(10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을 갖는 처리부나,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의 기억부, 또한 입출력부가 설치되고, 이것들은 서로 접속되어서 서로 신호의 주고받기가 가능하다. 기억부에는 모종 이식기(1)를 제어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등이 격납된다. 컨트롤러(100)는 기억부에 격납된 컴퓨터 프로그램 등을 판독함으로써 각 기능을 발휘시킨다.The controller 100 is provided with a processing unit having a CPU (Central Processing Unit) or the like, a storage unit such as a ROM (Read Only Memory), a RAM (Random Access Memory), and an input/output unit, which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give and receive signals. it is possible to receive A computer program and the like for controlling the seedling transplanter 1 are stored in the storage unit. The controller 100 exerts each function by reading a computer program or the like stored in the storage unit.

컨트롤러(100)에는, 예를 들면 액추에이터류로서, 스로틀 모터(80), 유압 제어 밸브(81,82), 식부 클러치 작동 솔레노이드(83), 사이드 클러치 작동 솔레노이드(84), HST(14) 모터(85), 선긋기 마커 승강 모터(87), 스티어링 모터(95)(모터), 디퍼렌셜 락 전환 모터(96) 등이 접속된다. In the controller 100, for example, as actuators, a throttle motor 80, hydraulic control valves 81 and 82, a planting clutch operation solenoid 83, a side clutch operation solenoid 84, an HST 14 motor ( 85), a scribing marker raising/lowering motor 87, a steering motor 95 (motor), a differential lock switching motor 96, and the like are connected.

스로틀 모터(80)는 엔진(30)의 흡기량을 조절하는 스로틀을 작동시킴으로써 엔진(30)의 출력축의 회전수를 증감시킨다. 유압 제어 밸브(81)는 승강 실린더(25)의 신축 동작을 제어한다. 유압 제어 밸브(82)는 파워 스티어링 기구(88)를 제어한다. 식부 클러치 작동 솔레노이드(83)는 식부 클러치(27a)를 작동시킨다.The throttle motor 80 increases or decreases the rotation speed of the output shaft of the engine 30 by operating a throttle that adjusts the intake air amount of the engine 30 . The hydraulic control valve 81 controls the expansion/contraction operation of the lifting cylinder 25 . The hydraulic control valve 82 controls the power steering mechanism 88 . The planting clutch operation solenoid 83 operates the planting clutch 27a.

사이드 클러치 작동 솔레노이드(84)는 후륜(11)(도 1 참조)에의 동력 전달 상태를 전환하는 사이드 클러치(44)를 작동시킨다. 또한, 사이드 클러치(44)는 좌우의 후륜(11)에 각각 설치되고, 사이드 클러치 작동 솔레노이드(84)는 각 사이드 클러치(44)에 대응해서 2개 설치된다.The side clutch operation solenoid 84 operates the side clutch 44 which switches the power transmission state to the rear wheel 11 (refer FIG. 1). In addition, the side clutch 44 is provided in each of the rear wheels 11 on the right and left, and two side clutch operation solenoids 84 are provided in correspondence with each side clutch 44 .

HST(14) 모터(85)는 HST(14)의 트루니온의 회동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HST(14)의 경사판의 경사각을 변경한다. 스티어링 모터(95)는 자동 선회 제어가 행해지는 경우에 전륜(10)(도 1 참조)의 조타량(타각)을 조정하는 스티어링 장치인 핸들(35)을 구동하는 모터이다. 스티어링 모터(95)는 핸들(35)을 회동시킨다. 선긋기 마커 승강 모터(87)는 선긋기 마커(65)를 승강시킨다.The HST 14 motor 85 changes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wash plate of the HST 14 by chang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trunnion of the HST 14 . The steering motor 95 is a motor which drives the steering wheel 35 which is a steering device which adjusts the steering amount (rudder angle) of the front wheel 10 (refer FIG. 1) when automatic turning control is performed. The steering motor 95 rotates the handle 35 . The scribing marker raising/lowering motor 87 raises and lowers the scribing marker 65 .

디퍼렌셜 락 전환 모터(96)는 디퍼렌셜 락 기구(97)(동속 회전 기구라고도 칭한다)의 작동, 및 작동 정지를 전환하는 모터이다. 디퍼렌셜 락 기구(97)는 선회 시에 좌우의 전륜(10)(또는 후륜(11)) 각각을 다른 회전수로 회전시키는 디퍼렌셜 제어를 락킹한다. 즉, 디퍼렌셜 락 기구(97) 온 상태가 됨으로써 디퍼렌셜 제어가 락킹되고, 좌우의 차륜이 같은 회전 속도로 회전한다.The differential lock switching motor 96 is a motor that switches the operation and stop of the operation of the differential lock mechanism 97 (also referred to as a co-rotating mechanism). The differential lock mechanism 97 locks the differential control which rotates each of the left and right front wheels 10 (or the rear wheels 11) at different rotation speeds at the time of turning. That is, when the differential lock mechanism 97 is turned on, the differential control is locked, and the left and right wheels rotate at the same rotational speed.

컨트롤러(100)에는 검출 장치인 회전수 센서(90), 조타량 센서(91)(타각 센서), 경사 센서(92) 등이 접속된다. 회전수 센서(90)는 좌우의 전륜(10) 및 후륜(11) 각각에 대응해서 4개 설치되고, 좌우의 전륜(10) 및 후륜(11)의 회전수를 각각 검출한다.The controller 100 is connected to a rotation speed sensor 90 , a steering amount sensor 91 (a steering angle sensor), an inclination sensor 92 , and the like, which are detection devices. Four rotation speed sensors 90 are provided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ront wheels 10 and the rear wheels 11 on the left and right, and detect the rotation speeds of the front wheels 10 and the rear wheels 11 on the left and right, respectively.

조타량 센서(91)는 스티어링 장치인 핸들(35)의 조작량, 즉 전륜(10)의 조타량(타각)을 검출한다. 조타량 센서(91)는, 예를 들면 피트먼 암에 연결하는 축 상에 설치된다. 또한, 조타량은 핸들(35)이 미리 설정된 직진 위치가 된 경우의 값을 기준값으로 해서 좌우 방향 각각으로 검출된다. 경사 센서(92)는 주행 차체(2)의 경사인 경사각을 검출한다.The steering amount sensor 91 detects an operation amount of the steering wheel 35 which is a steering device, that is, a steering amount (rudder angle) of the front wheel 10 . The steering amount sensor 91 is provided on a shaft connected to a Pitman arm, for example. In addition, the steering amount is detected in each left-right direction with the value when the steering wheel 35 becomes a preset straight-ahead position as a reference value. The inclination sensor 92 detects an inclination angle that is the inclination of the traveling body 2 .

또한, 컨트롤러(100)에는 조작 신호로서 변속 조작 레버(36), 부변속 조작 레버(37), 자율 주행 전환 스위치(46), 식부부 승강 스위치(47), 자동 선회 전환 스위치(48), 선긋기 마커 자동 승강 스위치(49) 등으로부터 신호가 입력된다.Moreover, to the controller 100, the shift operation lever 36, the auxiliary shift operation lever 37, the autonomous driving changeover switch 46, the planting part raising/lowering switch 47, the automatic turning changeover switch 48, and drawing as an operation signal are an operation signal. A signal is input from the marker automatic raising/lowering switch 49 or the like.

자율 주행 전환 스위치(46)는 자율 주행을 실행할지의 여부를 전환하는 스위치이다. 구체적으로는, 자율 주행 전환 스위치(46)는 주행 모드를 자율 주행 모드, 또는 수동 주행 모드로 전환하는 스위치이다.The autonomous driving changeover switch 46 is a switch for switching whether or not to execute autonomous driving. Specifically, the autonomous driving changeover switch 46 is a switch for switching the driving mode to the autonomous driving mode or the manual driving mode.

식부부 승강 스위치(47)는 모종 식부부(4)를 승강시키는지의 여부를 전환하는 스위치이다. 식부부 승강 스위치(47)는 「상승」, 및 「강하」 위치로 변경된다.The planting part raising/lowering switch 47 is a switch which switches whether the seedling planting part 4 is raised and lowered. The planting part raising/lowering switch 47 is changed to a "rising" and a "falling" position.

식부부 승강 스위치(47)가 「상승」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모종 식부부(4)는 소정의 비작업 위치까지 상승하고, 모종 식부 장치(55)가 정지하는 비작업 상태가 된다. 식부부 승강 스위치(47)가 「강하」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모종 식부부(4)는 소정의 작업 위치까지 강하하고, 모종 식부 장치(55)가 작동하는 작업 상태가 된다. 즉, 식부부 승강 스위치(47)는 모종 식부부(4)의 작업 상태를 검지하는 스위치이다. 또한, 모종 식부부(4)의 작업 상태를 검지하는 스위치가 별도 설치되어도 좋다.When the planting part raising/lowering switch 47 exists in a "rising" position, the seedling planting part 4 rises to a predetermined non-work position, and it will be in the non-work state which the seedling planting apparatus 55 stops. When the planting part raising/lowering switch 47 exists in a "falling" position, the seedling planting part 4 descends to a predetermined working position, and it will be in the working state in which the seedling planting apparatus 55 operates. That is, the planting part raising/lowering switch 47 is a switch which detects the working state of the seedling planting part 4. Moreover, the switch which detects the working state of the seedling planting part 4 may be provided separately.

선긋기 마커 자동 승강 스위치(49)는 핸들(35)의 조작량, 즉 전륜(10)의 조타량에 연동해서 선긋기 마커(65)를 자동적으로 승강시킬지의 여부를 전환하는 스위치이다. 선긋기 마커 자동 승강 스위치(49)가 「ON」인 경우에는 조타량에 연동해서 선긋기 마커(65)를 자동적으로 승강시키는 제어가 실행된다. 한편, 선긋기 마커 자동 승강 스위치(49)가 「OFF」인 경우에는 조타량에 연동해서 선긋기 마커(65)를 자동적으로 승강시키는 제어는 실행되지 않는다.The scribing marker automatic raising/lowering switch 49 is a switch for switching whether or not to automatically raise/lower the scribing marker 65 in association with the operation amount of the handle 35 , that is, the steering amount of the front wheel 10 . When the scribing marker automatic raising/lowering switch 49 is "ON", control for automatically raising/lowering the scribing marker 65 in association with the steering amount is execut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automatic scribing marker automatic raising/lowering switch 49 is "OFF", control for automatically raising/lowering the scribing marker 65 in association with the steering amount is not executed.

자동 선회 전환 스위치(48)는 자동 선회의 실행을 가능하게 할지의 여부를 전환하는 스위치이다. 자동 선회 전환 스위치(48)가 「ON」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자동 선회를 실행 가능해진다. 자동 선회 전환 스위치(48)가 「OFF」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자동 선회를 실행 불가능하게 된다. 자동 선회 전환 스위치(48)가 「OFF」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자동 선회를 실행하는 조건이 성립하고 있는 경우라도, 자동 선회는 실행되지 않는다.The automatic turning changeover switch 48 is a switch for switching whether or not to enable execution of automatic turning. When the automatic turning changeover switch 48 is "ON", automatic turning becomes executable. When the automatic turning changeover switch 48 is "OFF", automatic turning becomes impossible. When the automatic turning changeover switch 48 is "OFF", even if the condition for executing automatic turning is satisfied, automatic turning is not executed.

여기서, 도 4를 이용하여, 컨트롤러(100)의 기능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컨트롤러(100)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Here,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controller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controller 100 .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트롤러(100)는 검출부(101)와, 공전 검출부(102)와, 구동 제어부(103)와, 주행 제어부(104)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 4 , the controller 100 includes a detection unit 101 , an idle detection unit 102 , a drive control unit 103 , and a travel control unit 104 .

검출부(101)는 회전수 센서(90)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선회 시에 있어서의 전륜(10) 및 후륜(11)의 회전수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는, 검출부(101)는 전륜(10)의 타각이 소정 각도 이상이 된 경우에, 좌측의 전륜(10), 우측의 전륜(10), 좌측의 후륜(11) 및 우측의 후륜(11) 각각의 회전수를 검출한다. 환언하면, 검출부(101)는 디퍼렌셜 제어가 개시된 경우에 전륜(10) 및 후륜(10) 각각의 회전수를 검출한다.The detection unit 101 detects the rotation speed of the front wheel 10 and the rear wheel 11 at the time of turning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rotation speed sensor 90 . Specifically, the detection unit 101 detects when the steering angle of the front wheel 1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angle, the left front wheel 10 , the right front wheel 10 , the left rear wheel 11 , and the right rear wheel 11 . ) to detect each number of rotations. In other words, the detection unit 101 detects the rotation speed of each of the front wheels 10 and the rear wheels 10 when the differential control is started.

공전 검출부(102)는 좌우의 전륜(10)에 있어서의 회전수의 차인 좌우 차에 의거하여 전륜(10)의 공전 상태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는, 공전 검출부(102)는 좌우 차로서, 좌측의 전륜(10)의 회전수에 대한 우측의 전륜(10)의 회전수의 비율을 산출한다. 또는, 공전 검출부(102)는 좌우 차로서 우측의 전륜(10)의 회전수에 대한 좌측의 전륜(10)의 회전수의 비율을 산출한다. 또한, 공전 검출부(102)는 좌측의 전륜(10)의 회전수와 우측의 전륜(10)의 회전수의 차분을 좌우 차로서 산출해도 좋다.The idle detection part 102 detects the idle state of the front wheel 10 based on the left-right difference which is the difference of the rotation speed in the front wheel 10 on either side. Specifically, the idle detection unit 102 calculates the ratio of the rotation speed of the right front wheel 10 to the rotation speed of the left front wheel 10 as the left-right difference. Alternatively, the idle detection unit 102 calculates a ratio of the rotation speed of the left front wheel 10 to the rotation speed of the right front wheel 10 as a left-right difference. In addition, the idle detection part 102 may calculate the difference of the rotation speed of the left front wheel 10 and the rotation speed of the right front wheel 10 as a left-right difference.

그리고, 공전 검출부(102)는 좌우 차인 회전수의 비율이 기준값으로부터 소정 값 이상 괴리된 경우에 공전 상태를 검출한다. 기준값은 전륜(10)의 타각을 따른 값이 설정된다. 즉, 공전 검출부(102)는 회전수의 비율이 기준값으로부터 소정 값 미만인 경우에는 디퍼렌셜 제어에 의해 정상으로 선회하고 있는 것을 검출하고, 회전수의 비율이 기준값으로부터 소정 값 이상 괴리된 경우에는 좌우의 전륜(10) 어느 하나가 공전 상태인 것을 검출한다. 또한, 공전 검출부(102)는 후륜(11)이 디퍼렌셜 제어되는 경우에는 후륜(11)의 공전 상태를 검출한다.And, the idle detection unit 102 detects the idle state when the ratio of the rotation speed, which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deviates from the reference value by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The reference value is set according to the steering angle of the front wheel 10 . That is, the idle detection unit 102 detects that the vehicle is turning normally by the differential control when the ratio of the rotation speed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from the reference value, and when the rotation speed ratio deviates from the reference value by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the left and right front wheels (10) It is detected that any one is idle. In addition, when the rear wheel 11 is differentially controlled, the idle detection unit 102 detects the idle state of the rear wheel 11 .

이와 같이, 실시형태에 의한 컨트롤러(100)에 의하면, 좌우의 차륜(전륜(10) 또는 후륜(11))의 회전수에 따라 공전 상태를 검출함으로써 위치 취득 장치(150)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지 않고 공전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즉, 실시형태에 의한 컨트롤러(100)에 의하면 저비용으로 공전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In this way, according to the controlle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osition acquisition device 150 is not acquired by detecting the idle state according to the rotation speed of the left and right wheels (the front wheel 10 or the rear wheel 11).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idle state without That is, according to the controlle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idle state can be detected at low cost.

또한, 공전 검출부(102)는 좌우의 전륜(10) 모두 공전 상태로 있는 경우, 위치 검출 장치(150)에 의해 검출되는 위치가 변화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좌우의 전륜(10) 모두 공전 상태인 것을 검출한다.Further, when the left and right front wheels 10 are both in the idle state, the idle detection unit 102 detects that the left and right front wheels 10 are both in the idle state because the position detected by the position detection device 150 does not change. do.

구동 제어부(103)는 공전 검출부(102)에 의해 공전 상태가 검출된 경우에 디퍼렌셜 락 전환 모터(96)를 구동해서 디퍼렌셜 락 기구(97)를 작동해서 온 상태로 한다.When the idle state is detected by the idle detection unit 102 , the drive control unit 103 drives the differential lock changeover motor 96 to operate the differential lock mechanism 97 to turn it on.

그리고, 공전 검출부(102)는 구동 제어부(103)에 의해 전륜(10)의 디퍼렌셜 락 기구(97)가 작동한 경우에 선회 시에 종동륜(클러치가 드라이브 샤프트로부터 벗어난 상태)인 후륜(11)의 회전수에 의거하여 전륜(10)의 공전 상태가 해소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는, 공전 검출부(102)는 종동륜인 후륜(11)이 회전하고 있는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공전 상태가 해소된 것을 검출하고, 후륜(11)이 정지하고 있는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공전 상태가 계속되고 있는 것을 검출한다.And, when the differential lock mechanism 97 of the front wheel 10 is operated by the drive control unit 103, the idle detection unit 102 is a driven wheel (a state in which the clutch is deviating from the drive shaft) at the time of turning. It is detected whether or not the idle state of the front wheel 10 is resolved based on the rotation speed of . Specifically, the idle detection unit 102 detects that the idle state has been resolved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driven rear wheel 11 is rotating, and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rear wheel 11 is stationary, the idle state Detects continuing.

이와 같이, 전륜(10)이 공전 상태인 경우에 디퍼렌셜 락 기구(97)를 작동시킴으로써 좌우의 전륜(10)이 같은 회전수로 회전하기 때문에 공전 상태의 해소를 고정밀도로 행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front wheel 10 is in an idle state, by actuating the differential lock mechanism 97, since the left and right front wheels 10 rotate at the same rotation speed, the idle state can be canceled with high precision.

또한, 공전 검출부(102)는 구동 제어부(103)에 의해 전륜(10)의 디퍼렌셜 락 기구(97)가 작동한 후에 전륜(10)의 공전 상태가 해소되지 않은 경우에는 후륜(11)을 종동륜으로부터 구동륜으로 전환한다. 구체적으로는, 공전 검출부(102)는 후륜(11)의 드라이브 샤프트에 클러치를 연결함으로써 구동륜으로 전환한다. 즉, 디퍼렌셜 락 기구(97)가 작동했음에도 불구하고 전륜(10)의 공전 상태가 해소되지 않는 경우에는 강제적으로 4륜 구동함으로써 공전 상태의 해소를 고정밀도로 행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idle state of the front wheel 10 is not resolved after the differential lock mechanism 97 of the front wheel 10 is operated by the drive control unit 103, the idle detection unit 102 controls the rear wheel 11 as the driven wheel. to the drive wheels. Specifically, the idle detection unit 102 switches to the driving wheel by connecting the clutch to the drive shaft of the rear wheel 11 . That is, when the idle state of the front wheels 10 is not eliminated despite the operation of the differential lock mechanism 97, the idle state can be canceled with high precision by forcibly four-wheel drive.

또한, 상기한 검출부(101), 공전 검출부(102) 및 구동 제어부(103)의 기능의 온 및 오프를 미도시의 전환 스위치로 전환가능하게 구성되어도 좋다. 이러한 전환 스위치는, 예를 들면 주행 차체(2)의 조종석(41) 부근에 설치된다.Moreover, you may be comprised so that ON and OFF of the functions of the detection part 101, the idle detection part 102, and the drive control part 103 mentioned above can be switched by the changeover switch (not shown). Such a changeover switch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cockpit 41 of the traveling body 2 , for example.

또한, 전환 스위치는 모종 이식기(1)가 자동 주행 중에 모종 이식기(1)를 원격으로 조작(작업기의 각종 조절을 원격 조작)하는 리모트 컨트롤에 의해 전환가능하게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이러한 리모트 컨트롤은 식부부(4)에 있어서의 모취량이나, 식부 깊이, 모종 레일의 전환 제어를 행할 때에 사용된다.Further, the changeover switch may be configured to be switchable by a remote control that remotely operates the seedling transplanter 1 (remote operation of various adjustments of the working machine) while the seedling transplanter 1 is automatically running. In addition, such a remote control is used, when performing switching control of the hair bristle quantity in the planting part 4, planting depth, and a seedling rail.

또한, 이러한 리모트 컨트롤에 의해 공전 상태의 유무에 상관없이 항시 (4)륜 구동하는 제어가 행해져도 좋다. 또한, 공전 시 등에 강제적으로 4륜 구동이 된 경우에, 이러한 4륜 구동 제어를 해제(후륜(11)을 구동륜으로부터 종동륜으로 전환함)해도 좋다.In addition, the control in which the (4) wheel drive is always performed regardless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idle state by such a remote control may be performed. In addition, when four-wheel drive is forcibly performed at idle or the like, such four-wheel drive control may be canceled (the rear wheels 11 are switched from the driving wheels to the driven wheels).

또한, 컨트롤러(100)는 공전 상태인지의 여부를 포함하여, 모종 이식기(1)가 이동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위치 취득 장치(150)에서 검출되는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판정해도 좋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00 may determine based on the positional information detected by the position acquisition device 150 whether the seedling transplanter 1 is moving, including whether it is an idle state.

주행 제어부(104)는 위치 취득 장치(150)로부터 취득한 주행 차체(2)의 현재의 위치 정보 등에 의거하여 주행 차체(2)가 자동으로 주행(자율 주행)하면서 작업을 행하는 자율 주행 모드를 실행한다.The traveling control unit 104 executes an autonomous driving mode in which the traveling vehicle body 2 performs work while automatically driving (autonomous driving) based on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2 obtained from the position acquisition device 150, etc. .

(자율 주행 모드)(Autonomous driving mode)

여기서, 도 5를 참조하여, 모종 이식기(1)에 의한 포장에 있어서의 자동 선회를 포함하는 자율 주행(자동 주행)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모종 이식기(1)의 포장에 있어서의 자율 주행의 설명도이다. 주행 제어부(104)는 전륜(10)(도 1 참조)의 조타량을 피드백하면서 스티어링 모터(95)(도 3 참조)를 제어해서 핸들(35)(도 3 참조)을 조작하는 자율 주행 모드를 갖는다. 자율 주행 모드는 자동 직진 모드와, 자동 선회 모드를 포함한다.Here, with reference to FIG. 5, the autonomous running (automatic running) including the automatic turning in the field|packing by the seedling transplanter 1 is demonstrated. 5 : is explanatory drawing of the autonomous driving in the packaging of the seedling transplantation machine 1 . The driving control unit 104 controls the steering motor 95 (see FIG. 3 ) while feeding back the steering amount of the front wheels 10 (see FIG. 1 ) to operate the steering wheel 35 (see FIG. 3 ) in an autonomous driving mode. have The autonomous driving mode includes an automatic straight-forward mode and an automatic turning mode.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율 주행 모드에 있어서는 모종 이식기(1)는 포장에 있어서 예정 주행 경로를 따라 직진 및 선회를 반복하면서 모종의 식부 작업을 자동으로 행한다. 또한, 주행 제어부(104)는 상기한 바와 같이, 주행 차체(2)의 상방에 배치된 위치 취득 장치(150)에 의해 모종 이식기(1)의 현재의 위치 정보나, 선회 위치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As shown in FIG. 5, in the autonomous driving mode, the seedling transplanter 1 automatically performs the planting operation of a seedling, repeating going straight and turning along a planned travel route in a pavement.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traveling control unit 104 acquires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eedling transplanter 1 and information regarding the turning position by the position acquisition device 150 disposed above the traveling vehicle body 2 . do.

모종 이식기(1)는 포장에 있어서의 소정의 작업 에리어 내를 왕복하면서 모종의 식부를 행한다. 이 경우, 직진 주행에 대해서는 주행 제어부(104)가 자동 직진 모드를 실행함으로써 설정된 직진 주행 경로(L1)를 따라 자동 주행을 행한다. 또한, 선회 주행에 대해서는 주행 제어부(104)가 자동 선회 모드를 실행함으로써 선회 주행 경로(L2)를 따른 자동 선회가 실행된다.The seedling transplanter 1 plants a seedling, reciprocating in the inside of the predetermined|prescribed work area in a field|pavement. In this case, with respect to the straight travel, the travel control unit 104 automatically travels along the straight travel route L1 set by executing the automatic straight line mode. In addition, with respect to the turning travel, automatic turning along the turning travel path L2 is executed by the travel control unit 104 executing the automatic turning mode.

직진 주행 경로(L1)는 주행 기준이 되는 기준선(L0)에 대하여 평행하다. 기준선(L0)은 모종의 식부 방향에 맞춰서, 포장에 있어서 설정된다. 주행 제어부(104)는 직진 주행의 개시 위치 및 종료 위치를 각각 기준 시점(A점) 및 기준 종점(B점)으로서 취득하고, A점 및 B점을 연결하는 선분을 기준선(L0)으로서 기억한다.The straight travel path L1 is parallel to the reference line L0 serving as the travel reference. The reference line L0 is set in a field according to the planting direction of a seedling. The travel control unit 104 acquires the start position and the end position of the straight travel as a reference start point (point A) and a reference end point (point B), respectively, and stores the line segment connecting the points A and B as the reference line L0. .

주행 제어부(104)는 모종 이식기(1)의 선회 중에 있어서, 핸들(35)의 조타량이 소정의 조타량이 되도록 스티어링 모터(95)를 제어한다. 이 경우, 주행 제어부(104)는 위치 취득 장치(150)가 취득한 위치 정보에 상관없이 처리를 실행한다. 소정의 조타량은 미리 설정된 값이다. 소정의 조타량은 모종 이식기(1)의 종류 등에 의해 설정된다. 소정의 조타량은 자동 선회로부터 자동 직진으로의 전달이 스무스하게 행해지도록 설정된다.The traveling control unit 104 controls the steering motor 95 so that the steering amount of the handle 35 becomes a predetermined steering amount while the seedling transplanter 1 is turning. In this case, the travel control unit 104 executes the processing regardless of the position information acquired by the position acquisition device 150 . The predetermined steering amount is a preset value. The predetermined steering amount is set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seedling transplanter 1 or the like. The predetermined steering amount is set so that transmission from the automatic turning to the automatic straight line is performed smoothly.

자동 선회 후의 모종 이식기(1)의 위치가 다음 공정의 자동 직진의 직진 주행 경로(L1)로부터 벗어나 있는 경우에는 자동 선회 후에 다음 공정의 자동 직진의 직진 주행 경로(L1)에 맞도록 조정이 행해져서 주행 차체(2)의 흔들림이 커진다. 또한, 예를 들면 다음 공정의 자동 직진의 직진 주행 경로(L1)에 맞도록, 작업자가 핸들(35)을 조작하여 조맞춤을 행하지 않으면 안되어, 작업자의 부하가 커진다. 또한, 모종 이식기(1)의 주행 자세가 흐트러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소정의 조타량은 자동 선회로부터 자동 직진으로의 전달이 스무스하게 행해지도록 설정된다.If the position of the seedling transplanter 1 after automatic turning is out of the straight travel path L1 of the automatic straight line of the next step, adjustment is made to match the straight travel route L1 of the automatic straight line of the next step after the automatic turning. The vibration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2 becomes large. Moreover, for example, an operator must operate the handle 35 to adjust so that it may match the straight travel path|route L1 of the automatic straight advance of a next process, and an operator's load becomes large. Moreover,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the running posture of the seedling transplanter 1 may not become disturbed. In view of this point, the predetermined steering amount is set so that transmission from the automatic turning to the automatic straight line is smoothly performed.

또한, 주행 제어부(104)는 모종 이식기(1)의 선회 중에 있어서, 위치 취득 장치(150)가 취득한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설정된 선회 주행 경로(L2) 상의 어느소망의 위치에 모종 이식기(1)가 도달하도록 스티어링 모터(95)를 제어해도 좋다. 또한, 컨트롤러(100)는 상기한 2개의 자동 선회 모드를 조합시켜서 자동 선회를 행해도 좋다.In addition, the traveling control unit 104 is configured to move the seedling transplanter 1 to a desired position on the set turning travel path L2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acquired by the position acquisition device 150 while the seedling transplanter 1 is turning. The steering motor 95 may be controlled so that In addition, the controller 100 may perform automatic turning by combining the above-described two automatic turning modes.

주행 제어부(104)는 자동 선회에 의해 선회한 후에, 다음 공정의 자동 직진에 의한 식부 개시 위치에 모종 이식기(1)가 도달히도록 스티어링 모터(95)를 제어한다.After turning by automatic turning, the traveling control part 104 controls the steering motor 95 so that the seedling transplanter 1 may reach the planting start position by the automatic straight-forward of a next process.

주행 제어부(104)는 자율 주행을 실행하는 경우에 조타량 센서(91)에 의해 검출된 핸들(35)의 조타량에 의거하여 스티어링 모터(95)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주행 제어부(104)는 조타량 센서(91)에 의해 검출된 핸들(35)의 조타량에 의거한 진행 방향이 기준선(L0)의 방향인 기준 방향을 따르도록 자율 주행한다.The travel control unit 104 controls the steering motor 95 based on the steering amount of the steering wheel 35 detected by the steering amount sensor 91 in the case of executing autonomous driving. Specifically, the traveling control unit 104 autonomously travels so that the traveling direction based on the steering amount of the steering wheel 35 detected by the steering amount sensor 91 follows the reference direction that is the direction of the reference line L0 .

여기서, 모종 이식기(1)가 직진 주행 경로(L1)에 위치한 상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이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주행 제어부(104)는 직진 주행 경로(L1)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 모종 이식기(1)가 소정의 조건을 충족함으로써 자율 주행 모드(자동 직진 모드)로 전이한다.Here, the case of transitioning to the autonomous driving mode in the state where the seedling transplanter 1 is located on the straight traveling path L1 will be described. When the traveling control unit 104 is positioned on the straight traveling path L1, the seedling transplanter 1 transitions to the autonomous driving mode (automatic straight forward mode) by satisfying a predetermined condition.

구체적으로는, 주행 제어부(104)는 하기 (i)∼(ⅳ)의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에 수동 주행 모드로부터 자율 주행 모드로 전이한다.Specifically, the driving control unit 104 transitions from the manual driving mode to the autonomous driving mode when the following conditions (i) to (iv) are satisfied.

(i) 위치 취득 장치(150)에 의해 위치 정보가 정상으로 검출되어 있다(i) The position information is normally detected by the position acquisition device 150

(ⅱ) 기체 자세가 소정 각(예를 들면, 8℃) 미만이다(ii) the aircraft attitud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angle (eg, 8°C)

(ⅲ) 부변속이 고속 모드가 아니다(iii) Sub-shift is not in high-speed mode

(ⅳ) 진행 방향이 후행 방향이 아니다(iv) the forward direction is not the trailing direction

또한, 주행 제어부(104)는 기준 방향에 대하여 모종 이식기(1)의 진행 방향이 벗어난 상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이한 경우에는 소정의 제 1 시간이 경과한 후에 자율 주행 모드를 해제해서 수동 주행 모드로 전이시킨다. 이러한 점에 대해서, 도 6을 사용하여 설명한다.In addition, when the traveling control unit 104 transitions to the autonomous driving mode in a state in which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seedling transplanter 1 deviates from the reference direction, the autonomous driving mode is released after a predetermined first time elapses to release the manual driving mode. transfer to This poi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

도 6은 주행 제어부(104)의 처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서는 모종 이식기(1)의 진행 방향(실선 화살표)이 기준 방향(기준선(L0)의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괴리 각도(α)만큼 괴리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6 is a diagram showing the processing of the travel control unit 104 . 6 shows a case where the advancing direction (solid arrow) of the seedling transplanter 1 is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deviation angle α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direction (direction of the reference line L0).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 제어부(104)는 기준 방향으로 대한 모종 이식기(1)의 진행 방향의 괴리 각도(α)가 소정 각도 이상인 상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이한 경우, 소정의 제 1 시간이 경과한 후에 자율 주행 모드를 해제한다. 또한, 제 1 시간은 괴리 각도(α)에 대해 설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시간은 괴리 각도(α)가 클수록 짧게 설정되고, 괴리 각도(α)가 작을수록 길게 설정된다.As shown in FIG. 6 , the travel control unit 104 determines that when transitioning to the autonomous driving mode in a state where the deviation angle α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seedling transplanter 1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direction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angle, the predetermined first time After the elapsed time, the autonomous driving mode is canceled. Also, the first time is set for the deviation angle α. Specifically, the first time is set shorter as the deviation angle α is larger, and longer as the deviation angle α is smaller.

즉, 주행 제어부(104)는 모종 이식기(1)의 진행 방향이 기준 방향으로 복귀 도중인 것을 고려하여, 제 1 시간만큼 대기함으로써 괴리 각도(α)가 소정 각도 미만으로 복귀하는 것을 기다리는 것으로 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괴리 각도(α)가 작을수록 소정 각도 미만으로 복귀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제 1 시간을 길게 하고, 괴리 각도(α)가 클수록 소정 각도 미만으로 복귀할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제 1 시간을 짧게 한다.That is, the travel control unit 104 considers that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seedling transplanter 1 is in the middle of returning to the reference direction, and waits for only the first time to wait for the deviation angle α to return to less than a predetermined angle. More specifically, the smaller the deviation angle α,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returning to less than the predetermined angle, the longer the first time, and the larger the deviation angle α, the lower the probability of returning to less than the predetermined angle. make short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자동 선회 직후에 진행 방향이 기준 방향까지 돌아올 때에, 실수로 일찌감치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한 경우라도, 제 1 시간만큼 마진을 확보한 모드 전이가 가능해진다.In this way, for example, when the traveling direction returns to the reference direction immediately after the automatic turning, even if the autonomous driving mode is accidentally switched to the autonomous driving mode early, mode transition with a margin secured for the first time is possible.

또한, 도 6에서는 괴리 각도(α)의 예를 든 모드 전이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작업기인 식부부(4)에서도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주행 제어부(104)는 포장에 대한 식부부(4)의 높이 위치가 소정 높이 이상인 상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이한 경우, 소정의 제 2 시간이 경과한 후에 자율 주행 모드를 해제한다. 또한, 제 2 시간은 높이 위치에 따라 설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2 시간은 높이 위치가 높을수록(소정의 높이 위치로부터 멀수록) 짧게 설정되고, 높이 위치가 낮을수록(소정의 높이 위치에 가까울수록) 길게 설정된다. 또한, 소정의 높이 위치란 식부부(4)의 작업 위치의 높이에 상당한다.In addition, although the mode transition which gave the example of the deviation angle (alpha) was demonstrated in FIG. 6, the same process can be performed also in the planting part 4 which is a work machine. Specifically, the traveling control unit 104 releases the autonomous driving mode after a second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when the height position of the planting part 4 with respect to the pavement is transitioned to the autonomous driving mode in a state of a predetermined height or more. . Also, the second time is set according to the height position. Specifically, the second time period is set shorter as the height position is higher (the farther from the predetermined height position), and longer as the height position is lower (closer to the predetermined height position). In addition, a predetermined height position corresponds to the height of the operation position of the planting part 4 .

즉, 주행 제어부(104)는 식부부(4)의 높이 위치가 소정의 높이 미만으로 복귀 도중인 것을 고려하여, 제 2 시간만큼 대기함으로써 높이 위치가 소정의 높이 미만으로 복귀하는 것을 기다리는 것으로 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높이 위치가 낮을수록, 소정의 높이 미만으로 복귀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제 2 시간을 길게 하고, 높이 위치가 높을수록 소정의 높이 미만으로 복귀할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제 2 시간을 짧게 한다.That is, the travel control part 104 considered that the height position of the planting part 4 is returning to less than predetermined height, and it decided to wait for a height position to return to less than predetermined height by waiting only for 2nd time. More specifically, the lower the height position, the longer the second time because there is a higher probability of returning to below the predetermined height, and the shorter the second time because the higher the height position, the lower the probability of returning to below the predetermined height. do.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식부부(4)의 높이 위치가 소정의 높이 미만까지 돌아갈 때에, 실수로 일찌감치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한 경우라도, 제 2 시간만큼 마진을 확보한 모드 전이가 가능해진다.Thereby, for example, when the height position of the planting part 4 returns to less than predetermined height, even when it switches to an autonomous running mode early by mistake, the mode transition which ensured a margin only for 2nd time is attained.

이어서, 실시형태에 의한 컨트롤러(100)가 실행하는 처리에 대해서, 도 7∼도 9의 플로우차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7은 공전 시에 실시되는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8 및 도 9는 모드 전이에 의한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Next, the processing executed by the controlle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using the flowcharts of Figs. 7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process performed during idle. 8 and 9 are flowcharts for explaining processing by mode transition.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트롤러(100)는 좌우의 전륜(10) 각각의 회전수를 검출한다(스텝 S101).As shown in FIG. 7, the controller 100 detects the rotation speed of each of the left and right front wheels 10 (step S101).

계속해서, 컨트롤러(100)는 회전수의 좌우 차에 의거하여 전륜(10)이 공전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S102)).Then, the controller 10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front wheel 10 is in an idle state based on the left-right difference in rotation speed (step S102).

컨트롤러(100)는 공전 상태인 경우(스텝(S102): Yes), 전륜(10)의 디퍼렌셜 락 기구(97)를 작동시킨다(스텝(S103)). 또한, 컨트롤러(100)는 공전 상태가 아닌 경우(스텝(S102): No), 스텝(S101)으로 이행한다.When in the idle state (step S102: Yes), the controller 100 operates the differential lock mechanism 97 of the front wheel 10 (step S103). In addition, when the controller 100 is not in an idle state (step S102: No), the controller 100 shifts to step S101.

계속해서, 컨트롤러(100)는 종동륜인 후륜(11)의 회전을 검출한다(스텝(S104)).Then, the controller 100 detects the rotation of the rear wheel 11 which is a driven wheel (step S104).

컨트롤러(100)는 후륜(11)의 회전 검출의 결과에 의거하여 공전 상태가 해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S105)).The controller 10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idle state has been resolved based on the result of the rotation detection of the rear wheel 11 (step S105).

컨트롤러(100)는 공전 상태가 해소된 경우(스텝(S105): Yes), 처리를 종료하고, 공전 상태가 해소되어 있지 않은 경우(스텝(S105): No), 스텝(S104)으로 돌아간다.When the idle state is eliminated (step S105: Yes), the controller 100 ends the process, and when the idle state is not eliminated (step S105: No), the controller 100 returns to step S104.

이어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트롤러(100)는 모종 이식기(1)의 자동직진하는 기준 방향을 취득한다(스텝(S201)).Next, as shown in FIG. 8, the controller 100 acquires the reference direction to which the seedling transplanter 1 automatically goes straight (step S201).

계속해서, 컨트롤러(100)는 소정 조건을 충족하는 것을 자율 주행 모드로 전이한 것으로 한다(스텝(S202)).Then, it is assumed that the controller 100 has transitioned to the autonomous driving mode when a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step S202).

계속해서, 컨트롤러(100)는 기준 방향에 대한 진행 방향의 괴리 각도(α)를 산출한다(스텝(S203)).Then, the controller 100 calculates the deviation angle α of the advanc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direction (step S203).

계속해서, 컨트롤러(100)는 괴리 각도(α)가 소정 각도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S204)).Then, the controller 100 determines whether the deviation angle α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angle (step S204).

컨트롤러(100)는 괴리 각도(α)가 소정 각도 이상인 경우(스텝(S204): Yes), 제 1 시간 이내에 괴리가 해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S205)).When the deviation angle α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angle (step S204: Yes), the controller 100 determines whether the deviation is resolved within the first time (step S205).

컨트롤러(100)는 제 1 시간 이내에 괴리가 해소된 경우(스텝(S205): Yes), 자율 주행 모드를 계속하고(스텝(S206)), 처리를 종료한다.When the discrepancy is resolved within the first time period (step S205: Yes), the controller 100 continues the autonomous driving mode (step S206) and ends the process.

또한, 컨트롤러(100)는 괴리 각도(α)가 소정 각도 미만인 경우(스텝(S204): No), 처리를 종료한다.In addition, when the deviation angle α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angle (step S204: No), the controller 100 ends the process.

또한, 컨트롤러(100)는 제 1 시간 이내에 괴리가 해소되지 않았던 경우(스텝(S205): No), 자율 주행 모드를 해제하고(스텝(S207)), 처리를 종료한다.In addition, when the discrepancy is not resolved within the first time period (step S205: No), the controller 100 cancels the autonomous driving mode (step S207), and ends the process.

이어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트롤러(100)는 모종 이식기(1)의 자동직진하는 기준 방향을 취득한다(스텝(S301)).Next, as shown in FIG. 9, the controller 100 acquires the reference direction to which the seedling transplanter 1 automatically goes straight (step S301).

계속해서, 컨트롤러(100)는 소정 조건을 충족하면 자율 주행 모드로 전이한 것으로 한다(스텝(S302)).Subsequently, it is assumed that the controller 100 has transitioned to the autonomous driving mode when a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step S302).

계속해서, 컨트롤러(100)는 작업기인 식부부(4)의 높이 위치를 검출한다(스텝(S303)).Then, the controller 100 detects the height position of the planting part 4 which is a work machine (step S303).

계속해서, 컨트롤러(100)는 높이 위치가 소정의 높이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S304)).Subsequently, the controller 100 determines whether the height position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height (step S304).

컨트롤러(100)는 높이 위치가 소정의 높이 이상인 경우(스텝(S304): Yes), 제 2 시간 이내에 높이 위치가 소정의 높이 미만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S305)).When the height position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height (step S304: Yes), the controller 100 determines whether the height position has become less than the predetermined height within the second time period (step S305).

컨트롤러(100)는 제 2 시간 이내에 소정의 높이 미만이 된 경우(스텝(S305): Yes), 자율 주행 모드를 계속하고(스텝(S306)), 처리를 종료한다.When the controller 100 become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height within the second time period (step S305: Yes), the controller 100 continues the autonomous driving mode (step S306) and ends the process.

또한, 컨트롤러(100)는 높이 위치가 소정의 높이 미만인 경우(스텝(S304): No), 처리를 종료한다.In addition, when the height position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height (step S304: No), the controller 100 ends the process.

또한, 컨트롤러(100)는 제 2 시간 이내에 소정의 높이 미만이 되지 않았던 경우(스텝(S305): No), 자율 주행 모드를 해제하고(스텝(S307)), 처리를 종료한다.Further, when the controller 100 has not become less than the predetermined height within the second time period (step S305: No), the controller 100 cancels the autonomous driving mode (step S307), and ends the process.

상기한 바와 같이, 실시형태에 의한 컨트롤러(100)는 검출부(101)와, 공전 검출부(102)를 구비한다. 검출부(101)는 포장에서 작업하는 작업 차량의 좌우 방향에 설치되는 차륜이며, 선회 시에 좌우 각각을 다른 회전수로 회전시키는 디퍼렌셜 제어가 가능한 차륜 각각의 회전수를 검출한다. 공전 검출부(102)는 좌우의 차륜에 있어서의 회전수의 좌우 차에 의거하여 차륜의 공전 상태를 검출한다. 이것에 의해, 저비용으로 공전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the detection unit 101 and the idle detection unit 102 . The detection unit 101 is a wheel install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work vehicle working on the pavement, and detects the rotation speed of each wheel capable of differential control that rotates the left and right sides at different rotation speeds when turning. The idle detection part 102 detects the idle state of a wheel based on the left-right difference in rotation speed in the left and right wheels. Thereby, an idle state can be detected at low cost.

가일층의 효과나 변형예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보다 광범위한 형태는 이상과 같이 나타내고 또한 기술한 특정의 상세 및 대표적인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첨부의 특허청구의 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 정의되는 총괄적인 발명의 개념의 정신 또는 범위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Further effects or modifications can be easily deriv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or this reason, the more extensive form of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detail and typical embodiment shown and described as mentioned above. Accordingly,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overall inventive concept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 모종 이식기(작업 차량) 2: 주행 차체
4: 모종 식부부 10: 전륜
11: 후륜 35: 핸들(스티어링 장치)
38: 조종 패널 91: 조타량 센서(타각 센서)
95: 스티어링 모터(모터) 100: 컨트롤러(제어 장치)
101: 검출부 102: 공전 검출부
103: 구동 제어부 104: 주행 제어부
1: Seedling transplanter (working vehicle) 2: Driving body
4: seedling planting part 10: front wheel
11: Rear wheel 35: Steering wheel (steering device)
38: Control panel 91: Steering amount sensor (rudder angle sensor)
95: steering motor (motor) 100: controller (control unit)
101: detection unit 102: idle detection unit
103: driving control unit 104: driving control unit

Claims (6)

포장에서 작업하는 작업 차량(1)의 좌우 방향에 설치되는 차륜으로서, 선회 시에 좌우 각각을 다른 회전수로 회전시키는 디퍼렌셜 제어가 가능한 차륜 각각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검출부(101)와,
좌우의 상기 차륜에 있어서의 상기 회전수의 좌우 차에 의거하여 상기 차륜의 공전 상태를 검출하는 공전 검출부(10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A wheel install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work vehicle 1 working on the pavement, the detection unit 101 detecting the rotation speed of each wheel capable of differential control that rotates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at a different rotation speed when turning;
and an idle detection unit (102) for detecting an idle state of the wheel based on a left-right difference in the rotation speed of the left and right wheel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전 검출부(102)는,
상기 좌우 차로서, 상기 좌우의 상기 차륜에 있어서의 상기 회전수의 비율을 산출하고, 상기 비율이 기준값으로부터 소정 값 이상 괴리된 경우에 상기 공전 상태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idle detection unit 102,
A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by calculating a ratio of the rotation speed of the left and right wheels as the left and right difference, and detecting the idle state when the ratio deviates from a reference value by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전 검출부(102)에 의해 상기 공전 상태가 검출된 경우에 상기 디퍼렌셜 제어를 락킹하는 디퍼렌셜 락 기구를 작동시키는 구동 제어부(103)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control device further comprising: a drive control unit (103) for operating a differential lock mechanism for locking the differential control when the idle state is detected by the idle detection unit (10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공전 검출부(102)는,
전륜(10)인 상기 차륜의 상기 공전 상태를 검출함과 아울러, 상기 구동 제어부(103)에 의해 상기 전륜(10)의 상기 디퍼렌셜 락 기구가 작동한 경우에 선회 시에 종동륜인 후륜(11)의 회전수에 의거하여 상기 전륜(10)의 상기 공전 상태가 해소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idle detection unit 102,
When the differential lock mechanism of the front wheel 10 is operated by the drive control unit 103 while detecting the idling state of the wheel as the front wheel 10, the rear wheel 11 which is a driven wheel at the time of turning and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idle state of the front wheel (10) is resolved based on the rotation speed of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전 검출부(102)는,
상기 구동 제어부(103)에 의해 상기 전륜(10)의 상기 디퍼렌셜 락 기구가 작동한 후에, 상기 전륜(10)의 상기 공전 상태가 해소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후륜(11)을 종동륜으로부터 구동륜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idle detection unit 102,
After the differential lock mechanism of the front wheel 10 is operated by the drive control unit 103 , when the idle state of the front wheel 10 is not resolved, the rear wheel 11 is switched from the driven wheel to the driving wheel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에 있어서 상기 작업 차량(1)을 설정된 기준 방향을 따라 자율 주행시키는 자율 주행 모드를 갖는 주행 제어부(104)를 더 구비하고,
상기 주행 제어부(104)는,
상기 기준 방향에 대한 상기 작업 차량(1)의 진행 방향의 괴리 각도가 소정 각도 이상인 상태에서 상기 자율 주행 모드로 전이한 경우, 소정의 제 1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자율 주행 모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Further comprising a driving control unit 104 having an autonomous driving mode for autonomously driving the work vehicle 1 along a set reference direction in the pavement,
The driving control unit 104,
When the autonomous driving mode is transitioned to the autonomous driving mode in a state where the deviation angle of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work vehicle 1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direction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angle, the autonomous driving mode is canceled after a first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control device with
KR1020220007757A 2021-03-08 2022-01-19 Control device KR20220126206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36532A JP7088346B1 (en) 2021-03-08 2021-03-08 Control device
JPJP-P-2021-036532 2021-03-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6206A true KR20220126206A (en) 2022-09-15

Family

ID=82100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7757A KR20220126206A (en) 2021-03-08 2022-01-19 Control devic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2) JP7088346B1 (en)
KR (1) KR20220126206A (en)
CN (1) CN115039530A (en)
TW (1) TW202235318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24541A (en) 2014-07-17 2016-02-08 株式会社クボタ Traveling work machine and automatic steering system used therei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99224A (en) * 1982-05-14 1983-11-19 Kubota Ltd Automatic unlocking means of vehicle
JPS6167632A (en) * 1984-09-11 1986-04-07 Aisin Warner Ltd 4-wheel driving car
JPH10109562A (en) * 1996-10-08 1998-04-28 Iseki & Co Ltd Front differential-lock device for trac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24541A (en) 2014-07-17 2016-02-08 株式会社クボタ Traveling work machine and automatic steering system used there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235318A (en) 2022-09-16
CN115039530A (en) 2022-09-13
JP2022136761A (en) 2022-09-21
JP2022137009A (en) 2022-09-21
JP7088346B1 (en) 202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44025B2 (en) Work vehicle
JP7184123B2 (en) work vehicle
KR20220126206A (en) Control device
JP6835130B2 (en) Work vehicle
JP6904409B2 (en) Work vehicle
JP2020080686A (en) Work vehicle
JP2020080686A5 (en)
JP7342914B2 (en) work vehicle
JP2022157027A (en) Control device
JP2022170313A (en) Control device
KR20220136101A (en) Work vehicle
JP7447881B2 (en) work vehicle
JP7392689B2 (en) work vehicle
JP7151659B2 (en) traveling work machine
JP7287520B2 (en) work vehicle
JP2022118848A (en) Working vehicle
JP7160072B2 (en) work vehicle
JP2023155716A (en) seedling transplanter
JP2023100315A (en) work vehicle
JP2023176884A (en) work vehicle
JP2022041002A (en) Work vehicle
JP2022085468A (en) Work vehicle
JP2024068754A (en) Work vehicles
JP2022033560A (en) Work vehicle
JP2020162519A (en) Farm field work veh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