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6067A - 냉동덕트를 구비한 탑 차량 - Google Patents

냉동덕트를 구비한 탑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6067A
KR20220126067A KR1020210030207A KR20210030207A KR20220126067A KR 20220126067 A KR20220126067 A KR 20220126067A KR 1020210030207 A KR1020210030207 A KR 1020210030207A KR 20210030207 A KR20210030207 A KR 20210030207A KR 20220126067 A KR20220126067 A KR 20220126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loading
refrigerator
cold air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0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1731B1 (ko
Inventor
강성희
김창수
안영길
김범중
김건영
Original Assignee
오텍캐리어냉장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텍캐리어냉장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오텍캐리어냉장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0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1731B1/ko
Publication of KR20220126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6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1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1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0Refrigerated goods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14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for load cargos on load transporting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3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with air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 F25D2317/0665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from the 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탑(van)을 장착하고 냉동/냉장기를 설치하여 탑 내부의 적재물을 냉동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송중 적재물이 변질되지 않고 목적지까지 배송할 수 있는 탑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탑 내부의 저온 상태를 균일하게 유지하여 적재물의 신선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덕트를 구비한 탑 차량은 운전실과, 운전실의 후방에 위치하며 적재물을 적재하는 적재실과, 적재실의 내부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동/냉장기와, 적재실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며 냉동/냉장기와 연통되어 냉동/냉장기에서 토출되는 냉기가 적재실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유동하며 복수의 관통공을 통해 냉기가 외부로 배기되는 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동덕트를 구비한 탑 차량{Van vehicle equipped with a frozen duct}
본 발명은 차량에 탑(van)을 장착하고 냉동/냉장기를 설치하여 탑 내부의 적재물을 설정온도에 따라 냉동/냉장 보관하여 적재물이 변질되지 않게 목적지까지 배송할 수 있는 탑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탑 내부의 저온 상태를 균일하게 유지하여 적재물의 신선도를 균일하게 유지하고, 특히 냉장보관제품의 경우 냉동기에서 토출되는 영하의 기류가 적재물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하여 적재물의 냉해 방지를 위해 구성한 것이다.
탑 차량이란, 적재물을 외부 환경과 차단하고 적재물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저온 상태로 목적지까지 신속하게 배송할 수 있도록 차량에 단열 처리된 냉동 탑을 설치한 차량을 일컫는다.
도면에서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탑 차량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탑 차량의 적재실 내부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탑 차량의 적재실 내부의 온도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의 전방에는 운전실(10)이 구비되며, 운전실(10)의 후방에는 냉동 탑인 적재실(20)이 장착된다. 적재실(20)에 적재물을 적재하고 적재실(20)의 선단 상부에 장착된 냉동기(30)를 작동시켜 적재실(20)의 온도를 저온 상태로 유지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동기(30)의 증발기(31)만 적재실(20)의 내부에 위치하고 냉동기(30)의 다른 구성은 적재실(20)의 외부에 장착하여 냉장/냉동기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여기에서 저온 상태란 배송되는 적재물이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 적정한 온도로서, 냉동이 필요할 경우에는 영하 범위에 해당하고, 냉장을 유지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약 1~4℃의 저온 상태를 말한다. 따라서 적재물에 따라 저온의 온도 범위를 조절 가능하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실(20)에는 냉동기(30)가 장착된다. 통상적으로 적재실(20)의 선단 상부에 장착된 냉동기(30)는 적재실(20)의 공간 확보를 위해 운전실(10)의 상부에 위치한다. 이는 차량의 차고 제한 및 주행 시에 공기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적재실(20)의 선단 상부에 장착된 냉동기(30)를 통해 냉기가 적재실(20)의 내부로 유입되면, 저온의 밀도가 높은 냉기가 선단 하부로 유동하고, 냉동기의 송풍 압력이 클 경우에는 냉기가 후방 하향으로 유동하게 된다.
냉동기에서 토출된 냉기가 적재실(20) 내부 전체에 균일하게 유동하지 않고 일부에만 국한되어 유동하게 됨에 따라 적재실(20)의 적재된 적재물 중에서 냉기의 유동경로에 위치한 적재물은 저온 상태를 유지하게 되지만, 냉기의 유동경로 밖에 위치한 적재물은 저온 유지가 어려워 신선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특0171962 (1999.03.30.; 공개일) JP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0-103817(1998.04.24.; 공개일)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탑 차량의 적재실 내부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적재실의 일측에 장착된 냉동기로부터 토출되는 냉기를 적재실 전체에 균일하게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냉동덕트를 구비한 탑 차량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냉동덕트를 구비한 탑 차량은 운전실과, 운전실의 후방에 위치하며 적재물을 적재하는 적재실과, 적재실의 내부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동/냉장기와, 적재실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며 냉동/냉장기와 연통되어 냉동/냉장기에서 토출되는 냉기가 적재실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유동하며 복수의 관통공을 통해 냉기가 외부로 배기되는 냉동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재실의 선단 상부에는 냉동/냉장기가 장착되며, 냉동덕트는 적재실의 천장에 장착되고 냉동덕트의 선단은 냉동/냉장기와 연통되고 냉동덕트는 적재실의 후단으로 연장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냉동덕트는, 냉동/냉장기의 토출구에서 적재실의 후단으로 연장된 바닥면과, 바닥면의 폭 양측에 안착 고정되며 적재실의 천장에 고정되는 양 측면과, 바닥면의 후단이 절곡되어 양 측면에 연결 고정되는 후단면을 포함하며, 양 측면에는 복수의 관통공들이 형성되어 냉동덕트 안쪽 냉기가 복수의 관통공을 통해 적재실 내부로 배기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양 측면은 그 선단의 높이가 높고 후단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며, 적재실의 바닥에서 바닥면의 선단까지의 높이(L1)가 바닥면의 후단까지의 높이(L2)에 비해 낮도록 바닥면은 경사진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바닥면의 폭 양측은 내각이 둔각으로 상향 절곡된 경사부가 형성되며, 경사부가 형성되는 절곡된 지점의 안쪽에 양 측면이 각각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측면의 상단은 바깥방향으로 절곡된 제1절곡부가 형성되고, 측면의 하단은 안쪽방향으로 절곡된 제2절곡부가 형성되며, 제1절곡부는 적재실의 천장에 고정되고, 제2절곡부는 바닥면에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바닥면의 폭 방향으로 고정되는 보강대는 예각으로 절곡된 V자형 형강으로서, 절곡된 외측부위가 냉동/냉장기를 향하도록 보강대가 바닥면에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보강대는 간격을 두고 바닥면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바닥면의 저면에는 단열재가 부착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동덕트를 구비한 탑 차량은 적재실의 선단 상부에서 토출된 냉기가 적재실의 천장을 따라 적재실의 후단까지 유동한 후 적재실 내부로 배기됨에 따라 적재실 내부 전체를 균일하게 냉각할 수 있다. 따라서 적재실의 선단이든 후단이든 무관하게 적재실 전체를 저온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적재물의 신선도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2~8℃로 보관되어야 할 백신의 경우, 종래에는 냉동기에서 토출되는 영하의 냉기에 의해 냉해를 입을 수 있지만, 본 발명의 냉동덕트를 구비한 탑 차량의 경우 영하의 냉기를 냉동덕트를 따라 넓게 분산시킨 후 냉동덕트에서 토출시키므로 적재실의 내부 온도를 백신의 보관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냉동덕트의 측면을 따라 흘러내린 결로수가 아래의 적재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측면 하부에 배수로를 형성함에 있어 배수로를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바닥면과 측면의 결합구조로 배수로를 형성하여 물량의 감소, 원가의 절감 및 제작의 편리성을 제공한다.
또한, 냉동덕트의 저면에 단열재를 부착하여 냉동덕트의 바닥면 저면에 결로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결로수에 의해 적재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냉동덕트의 보강대는 바닥면을 보강함과 더불어 냉동/냉장기에서 토출된 냉기가 냉동덕트의 후단까지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다. 따라서 냉기의 송풍압력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탑 차량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탑 차량의 적재실 내부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탑 차량의 적재실 내부의 온도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탑 차량의 적재실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냉동덕트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냉동덕트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냉동덕트에서 분사되는 냉기의 유동관계를 나타낸 적재실의 횡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탑 차량의 냉동기에서 토출되는 냉기의 온도 대비 적재실 내부의 온도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냉동덕트를 구비한 탑 차량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탑 차량의 적재실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냉동덕트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냉동덕트의 종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냉동덕트에서 분사되는 냉기의 유동관계를 나타낸 적재실의 횡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탑 차량의 냉동기에서 토출되는 냉기의 온도 대비 적재실 내부의 온도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 차량(100)은 그 전방에 운전실(110)이 위치하고, 운전실(110)의 후방에 냉동 탑 즉 적재실(120)이 위치한다.
그리고 적재실(120)의 선단 상부에는 냉동기(123)가 설치되되, 냉동기(123)는 운전실(110)의 상부에 위치한다.
냉동기(123)의 작동에 의해 발생한 냉기는 적재실(120)의 안쪽으로 토출된다.
적재실(120)의 천장에는 냉동덕트(130)가 설치되며, 냉동기(123)에서 토출된 냉기는 적재실(120)의 선단에서 후단으로 냉동덕트(130)의 길이를 따라 유동한다.
아래에서는 냉동덕트(13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냉동덕트(130)는 바닥면(131F)과, 바닥면(131F)의 양측에 수직 고정된 양 측면(131S)과, 바닥면(131F)의 후단이 상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양 측면(131S)에 고정되는 후단면(131B)을 포함한다.
한편, 양 측면(131S)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절곡된 제1절곡부(135a)가 형성되고, 제1절곡부(135a)는 적재실(120)의 천장에 접한 상태로 제1절곡부(135a)를 관통한 볼트 또는 리벳 등의 체결부재로 천장에 고정된다. 양 측면(131S)의 하단에는 안쪽으로 절곡된 제2절곡부(135b)가 형성되며, 바닥면(131F)은 양측에 위치하는 측면(131S)의 제2절곡부(135b)에 안착된 상태에서 바닥면(131F)과 제2절곡부(135b)가 체결부재로 체결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이 바닥면(131F)과 양 측면(131S)이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됨에 따라 냉동덕트(130)의 상부와 선단이 개방되는데, 개방된 상부는 냉동덕트(130)가 적재실(120)의 천장(120C)에 체결 고정됨에 따라 폐쇄되고, 개방된 선단은 냉동기(123)의 토출구와 대응하여 고정되며, 냉동덕트(130)는 냉동기(123)가 장착된 적재실(120)의 선단에서 적재실(120)의 후단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냉동기(123)의 토출구를 통해 토출된 냉기는 개방된 선단을 통해 냉동덕트(130)의 내부로 유입되고, 냉동덕트(130)를 따라 적재실(120)의 후단으로 유동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냉동덕트(130)에 있어서, 양 측면(131S)에는 다수 개의 관통공(137)이 형성되며, 양 측면(131S)의 선단의 높이가 후단의 높이에 비해 높게 구성된다.
따라서 양 측면(131S)의 제1절곡부(135a)를 적재실(120)의 천장(120C)에 고정하였을 경우 바닥면(131F)과 천장(120C) 사이의 간격은 냉동덕트(130)의 선단이 넓고 후단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게 된다. 상대적으로 적재실(120)의 바닥에서 바닥면(131F)의 선단까지의 높이(L1)는 낮고, 바닥면(131F)의 후단까지의 높이(L2)는 높게 위치하여 자연스럽게 바닥면(131F)의 선단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면을 이룬다.
그리고 바닥면(131F)의 폭 양측에는 상향으로 비스듬히 경사지게 절곡된 경사부(132)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절곡된 경사부(132)의 내각은 둔각을 이룬다.
한편, 양 측면(131S)은 절곡된 경사부(132)가 양 측면(131S)의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양 측면은 절곡된 경사부(132)의 안쪽에 위치한다. 따라서 양 측면(131S) 각각에 형성된 결로수가 절곡된 경사부(132) 안쪽으로 흘러내리면서 바닥면(131F)의 경사를 따라 냉동덕트(130)의 선단쪽으로 흘러 내려갈 수 있게 구성된다.
절곡된 경사부(132) 및 바닥면(131F)의 경사를 따라 냉동덕트(130)의 선단으로 흘러 냉동기(123) 안쪽으로 유입된 결로수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냉동기(123)의 구성 중 하나인 드레인관으로 유도된 후 냉동기(123)의 외부로 배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냉동덕트(130)에 있어서, 폭이 넓은 바닥면(131F)을 보강하기 위해 보강대(139)가 바닥면(131F)의 상면에 고정된다.
보강대(139)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각이 예각으로 절곡된 V자형 형강으로서, 보강대(139)의 외측이 바닥면(131F)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로 고정되되, 냉동기(123)에서 토출된 냉기가 냉동덕트(130)의 선단에서 후단으로 원활하게 보강대(139)를 넘어갈 수 있도록 보강대(139)의 절곡된 외측부위가 냉동덕트(130)의 선단을 향하도록 고정된다.
복수의 보강대(139)는 냉동덕트(130)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바닥면(131F)의 폭방향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바닥면(131F)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냉동덕트(130)의 선단으로 냉동기(123)의 냉기가 유입되면 냉기는 냉동덕트(130)를 따라 적재실(120)의 선단에서 후단으로 유동하면서 양 측면(131S)에 형성된 관통공(137)을 통해 냉동덕트(130)의 외부로 배기된다.
냉동덕트(130)의 양 측면(131S)에 형성된 관통공(137)을 통해 냉동덕트(130)의 외부로 배기된 냉기는 적재실(120) 내부의 공기보다 밀도가 높아 적재물이 쌓여 있는 하부방향으로 내려가고, 적재실(120) 내에 대류현상이 발생하면서 전체적으로 냉기의 분포가 균일하게 이루어진다.
종래에는 냉동기에서 적재실 내부로 냉기를 직접 토출함에 따라 냉동기가 위치한 적재실 선단의 온도가 후단의 온도보다 낮아 적재실 후단에 적재된 물품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어려웠으나, 본 발명에서는 냉동기(123)에서 토출된 냉기가 냉동덕트(130)를 따라 적재실(120) 선단에서 후단으로 이동하면서 측면(131S)의 관통공(137)을 통해 냉기가 적재실(120)로 배기됨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실(120)의 온도분포가 종래에 비해 상대적으로 균일하게 유지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냉기가 냉동덕트(130)를 따라 선단에서 후단으로 이동함에 있어서, V자 형강의 보강대(139)가 냉동덕트(130)의 바닥면(131F)을 보강함과 더불어 선단에서 후단으로 유동하는 냉기가 보강대(139)의 경사면을 따라 원만하게 넘어 후단으로 유동할 수 있게 구성됨에 따라 냉기의 유동에 필요한 압력 손실을 감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냉기의 압력 손실을 감소시킴에 따라 냉기가 냉동덕트(130)의 선단에서 후단까지 원활하게 유동하여 적재실(120) 후단으로 냉기를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적재실(120)의 후단에 적재된 적재물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다.
냉동덕트(130)의 측면(131S)에 형성된 관통공(137)을 통해 냉기가 외부로 배기됨에 있어, 냉기의 측면(131S)의 온도와 적재실(120) 내부의 온도차에 의해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의 측면(131S)의 바깥면에 결로가 형성되는데, 측면(131S)의 바깥면에 형성된 결로는 아래로 흘러내릴 경우 바닥면(131F)의 경사부(132) 안쪽으로 집수되고 바닥면(131F)의 기울기를 따라 냉동기의 내부로 흘러 배수되며, 냉동기(123)의 드레인관을 통해 외부로 배수된다.
한편, 바닥면(131F)의 저면에는 PE폼 재질의 단열재(133)가 부착된다. 단열재(133)가 바닥면(131F)의 저면에 부착됨에 따라 바닥면(131F)의 저면에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차단한다. 바닥면(131F)의 저면에 결로가 발생할 경우 낙수에 의해 냉동덕트(130)의 아래에 적재된 적재물을 오염시킬 수 있기 때문에 냉동덕트(130)의 바닥면(131F) 저면에 단열재(133)를 부착하여 결로를 방지하며, 측면(131S)에 형성된 결로는 바닥면(131F)의 경사에 의해 냉동기(123)로 집수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특히, 바닥면(131F)의 폭 양단에 경사부(132)가 형성되도록 절곡하고, 양측 경사부(132)의 안쪽에 측면(131S)을 장착함에 따라 냉동덕트(130)의 측면(131S) 아래에 별도의 배수로를 형성하기 위한 부재를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물량의 감소, 원가의 절감 및 제작의 편리성을 제공한다.
100 : 차량
110 : 운전실
120 : 적재실
120C : 천장
123 : 냉동기
130 : 냉동덕트
130F : 바닥면
131S : 측면
131B : 후단면
132 : 경사부
133 : 단열재
135a : 제1절곡부
135b : 제2절곡부
137 : 관통공
139 : 보강대

Claims (9)

  1. 운전실(110)과,
    운전실(110)의 후방에 위치하며 적재물을 적재하는 적재실(120)과,
    적재실(120)의 내부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동/냉장기(123)와,
    적재실(12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며 냉동/냉장기(123)와 연통되어 냉동/냉장기(123)에서 토출되는 냉기가 적재실(12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유동하며 복수의 관통공(137)을 통해 냉기가 외부로 배기되는 덕트(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적재실(120)의 선단 상부에는 냉동/냉장기(123)가 장착되며,
    덕트(130)는 적재실(120)의 천장(120C)에 장착되고 덕트(130)의 선단은 냉동/냉장기(123)와 연통되며 덕트(130)는 적재실(120)의 후단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 차량.
  3. 제2항에 있어서,
    덕트(130)는,
    냉동/냉장기(123)의 토출구에서 적재실(120)의 후단으로 연장된 바닥면(131F)과,
    바닥면(131F)의 폭 양측에 안착 고정되며 적재실(120)의 천장(120C)에 고정되는 양 측면(131S)과,
    바닥면(131F)의 후단이 절곡되어 양 측면(131S)에 연결 고정되는 후단면(131B)을 포함하며,
    양 측면(131S)에는 복수의 관통공(137)들이 형성되어 덕트(130) 안쪽의 냉기가 복수의 관통공(137)을 통해 적재실(120) 내부로 배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 차량.
  4. 제3항에 있어서,
    양 측면(131S)은 그 선단의 높이가 높고 후단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며, 적재실(120)의 바닥에서 바닥면(131F)의 선단까지의 높이(L1)가 바닥면(131F)의 후단까지의 높이(L2)에 비해 낮도록 바닥면(131F)은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 차량.
  5. 제3항에 있어서,
    바닥면(131F)의 폭 양측은 내각이 둔각으로 상향 절곡된 경사부(132)가 형성되며, 경사부(132)가 형성되는 절곡된 지점의 안쪽에 양 측면(131S)이 각각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 차량.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측면(131S)의 상단은 바깥방향으로 절곡된 제1절곡부(135a)가 형성되고, 측면(131S)의 하단은 안쪽방향으로 절곡된 제2절곡부(135b)가 형성되며, 제1절곡부(135a)는 적재실(120)의 천장(120C)에 고정되고, 제2절곡부(135b)는 바닥면(131F)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 차량.
  7.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닥면(131F)의 폭 방향으로 고정되는 보강대(139)는 예각으로 절곡된 V자형 형강으로서, 절곡된 외측부위가 냉동/냉장기(123)를 향하도록 보강대(139)가 바닥면(131F)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 차량.
  8. 제7항에 있어서,
    복수의 보강대(139)는 간격을 두고 바닥면(131F)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 차량.
  9.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닥면(131F)의 저면에는 단열재(133)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 차량.
KR1020210030207A 2021-03-08 2021-03-08 냉동덕트를 구비한 탑 차량 KR102501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0207A KR102501731B1 (ko) 2021-03-08 2021-03-08 냉동덕트를 구비한 탑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0207A KR102501731B1 (ko) 2021-03-08 2021-03-08 냉동덕트를 구비한 탑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6067A true KR20220126067A (ko) 2022-09-15
KR102501731B1 KR102501731B1 (ko) 2023-02-21

Family

ID=83281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0207A KR102501731B1 (ko) 2021-03-08 2021-03-08 냉동덕트를 구비한 탑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173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3817A (ja) 1996-09-30 1998-04-24 Hideaki Tanaka 防霜方法と防霜剤
KR0171962B1 (ko) 1994-12-12 1999-03-30 미쓰오 다까스기 저온보존품 수송 보관방법 및 기기
JP2002098466A (ja) * 2000-09-27 2002-04-05 Sanyo Electric Co Ltd 冷蔵庫
JP2002195744A (ja) * 2000-12-25 2002-07-10 Isuzu Motors Ltd 冷凍・冷蔵車
JP2011156944A (ja) * 2010-01-29 2011-08-18 Toyota Motor Corp 車両用空調ダクト構造
JP2015190747A (ja) * 2014-03-31 2015-11-02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1962B1 (ko) 1994-12-12 1999-03-30 미쓰오 다까스기 저온보존품 수송 보관방법 및 기기
JPH10103817A (ja) 1996-09-30 1998-04-24 Hideaki Tanaka 防霜方法と防霜剤
JP2002098466A (ja) * 2000-09-27 2002-04-05 Sanyo Electric Co Ltd 冷蔵庫
JP2002195744A (ja) * 2000-12-25 2002-07-10 Isuzu Motors Ltd 冷凍・冷蔵車
JP2011156944A (ja) * 2010-01-29 2011-08-18 Toyota Motor Corp 車両用空調ダクト構造
JP2015190747A (ja) * 2014-03-31 2015-11-02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1731B1 (ko) 2023-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3131B2 (en) Refrigerator
JP4848332B2 (ja) 冷蔵庫
KR101660925B1 (ko) 냉장고
CN107850368A (zh) 冷藏库
JP5718693B2 (ja) 冷蔵庫
KR100986920B1 (ko) 냉동탑차의 냉장장치
KR102501731B1 (ko) 냉동덕트를 구비한 탑 차량
CN105247303A (zh) 集装箱中增加的载货空间
JP2009236474A (ja) 冷蔵庫
US8495891B2 (en) Refrigerator related technology
JP6866995B2 (ja) 冷蔵庫
CN112074699A (zh) 冰箱
JP2004026174A (ja) 保冷コンテナ
JP4750223B1 (ja) 輸送用コンテナ
JP2007085694A (ja) 冷蔵庫
KR20150116981A (ko) 냉동 컨테이너 운반선의 환기 시스템
JP2005221144A (ja) 冷蔵庫
JP4203662B2 (ja) 冷蔵庫
JP7106205B2 (ja) 冷却貯蔵庫
KR100289599B1 (ko) 냉장고
KR200148582Y1 (ko) 냉장고의 선반 지지 장치
KR102100747B1 (ko) Co₂ 냉매모듈, 이를 이용한 냉동 및 냉장용 컨테이너 및 탑차
JP2011127811A (ja) 冷却貯蔵庫
WO2005077713A1 (en) A reefer with integrated evaporator
JP6726836B2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