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5453A - Workpiece support device of machine tool - Google Patents

Workpiece support device of machine to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5453A
KR20220125453A KR1020210029281A KR20210029281A KR20220125453A KR 20220125453 A KR20220125453 A KR 20220125453A KR 1020210029281 A KR1020210029281 A KR 1020210029281A KR 20210029281 A KR20210029281 A KR 20210029281A KR 20220125453 A KR20220125453 A KR 20220125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support
spindle
unit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92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소금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엔솔루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엔솔루션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엔솔루션즈
Priority to KR1020210029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5453A/en
Publication of KR20220125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545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13/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veying or chucking or guiding stock
    • B23B13/12Accessories, e.g. stops, grippers
    • B23B13/126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13/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veying or chucking or guiding stock
    • B23B13/02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veying or chucking or guiding stock for turning-machines with a single working-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23Q3/062Work-clamping means adapted for holding workpieces having a special form or being made from a special material
    • B23Q3/064Work-clamping means adapted for holding workpieces having a special form or being made from a special material for holding elongated workpieces, e.g. pipes, bars or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3/00Work clamping
    • B23Q2703/02Work clamp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urning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piece support device of a machine tool, comprising: a main spindle for clamping a workpiece to process the workpiece; a sub-spindle clamping the workpiece that is clamped to and processed by the main spindle; and a support uni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ub-spindle to move in conjunction with movement of the sub-spindle. The support unit moves forward and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sub-spindle according to the shape and type of the workpiece that is clamped to and processed by the main spindle, and selectively supports the workpiece clamped to the main spindle.

Description

공작기계의 공작물 지지장치{Workpiece support device of machine tool}Workpiece support device of machine tool

본 발명은 공작기계의 공작물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스핀들에 클램핑되어 가공되는 공작물의 형상과 종류에 따라 서포트유닛이 서브스핀들에 대해 전후진 이동함에 따라 메인스핀들에 클램핑된 공작물을 선택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공작기계의 공작물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piece support device for a machine tool, and more particularly, to a workpiece clamped on the main spindle as the support unit moves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sub-spindle according to the shape and type of the workpiece clamped to the main spindle. It relates to a workpiece support device of a machine tool that can be selectively supported.

일반적으로 공작기계라 함은 각종 절삭 가공방법 또는 비절삭 가공방법으로 금속/비금속의 공작물을 적당한 공구를 이용하여 원하는 형상 및 치수로 가공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기계를 말한다.In general, a machine tool refers to a machine used for the purpose of machining a metal/non-metal workpiece into a desired shape and size using an appropriate tool by various cutting or non-cutting methods.

터닝센터, 수직/수평 머시닝센터, 문형머시닝센터, 스위스 턴, 방전 가공기, 수평형 NC 보링머신, CNC 선반 등을 비롯한 다양한 종류의 공작기계는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해당 작업의 용도에 맞게 널리 사용되고 있다.Various types of machine tools, including turning centers, vertical/horizontal machining centers, door machining centers, Swiss turns, electric discharge machines, horizontal NC boring machines, CNC lathes, etc., are widely used in various industrial sites for their respective purposes.

일반적으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종류의 공작기계는 수치제어(numerical control, NC) 또는 CNC(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 기술이 적용되는 조작반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조작반은 다양한 기능스위치 또는 버튼과 모니터를 구비한다.In general, various types of machine tools currently used have an operation panel to which a numerical control (NC) or 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 (CNC) technology is applied. Such an operation panel is provided with various function switches or buttons and a monitor.

또한, 공작기계는 공작물인 소재가 안착되고 공작물 가공을 위해 이송하는 테이블, 가공전 공작물을 준비하는 팔렛트, 공구 또는 공작물이 결합되어 회전하는 주축, 공작물 등을 가공중에 지지하기 위한 심압대, 방진구 등을 구비한다. In addition, the machine tool is a table on which a workpiece material is seated and transferred for processing the workpiece, a pallet for preparing the workpiece before processing, a spindle that rotates with a tool or workpiece combined, a tailstock for supporting the workpiece, etc. during processing, a vibration isolator etc. are provided.

일반적으로 공작기계에서 테이블, 공구대, 주축, 심압대, 방진구 등은 다양한 가공을 수행하기 위해 이송축을 따라 이송하는 이송유닛을 구비한다.In general, in a machine tool, a table, a tool rest, a main shaft, a tailstock, a vibration isolator, etc. are provided with a conveying unit conveying along a conveying axis in order to perform various machining.

일반적으로 선삭이란 소재인 공작물 회전시키고, 절삭공구를 공작물에 접촉하여 공작물을 절삭가공하는 것으로 이러한 선삭가공은 회전체 형상의 제품을 가공할 때 많이 이용된다. 또한, 오늘날에는 선삭가공을 통해 가공되는 제품은 그 형상이 다양하고 고정밀 가공이 요구되며, 가공시간을 단축시킬 것이 요구되고 있다.In general, turning refers to rotating a workpiece, which is a material, and cutting a workpiece by contacting a cutting tool with the workpiece. In addition, today, products processed through turning have a variety of shapes and require high-precision processing, and a reduction in processing time is required.

또한, 하나의 공작물을 연속으로 공급하고 가공하며 절단하고, 절단된 부분이 제품이 되고 다음 절단된 다음의 부분이 가공영역으로 공급되어 선삭 가공을 수행하고, 이러한 선삭방식을 스위스턴(Swiss Turn)방식으로 지칭한다.In addition, one workpiece is continuously supplied, processed and cut, the cut part becomes a product, and the next cut part is supplied to the machining area to perform turning, and this turning method is called Swiss Turn. referred to in a way

오늘날에는 스위스턴(Swiss Turn)을 포함하는 선반이나 터닝센터가 선삭가공을 위해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생산성을 높이고 가공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복잡한 형상의 제품을 가공하기 위해 2개의 스핀들을 구비하고, 1개의 스핀들에 클램핑된 상태로 가공된 표면과 다른 표면을 가공하는 용도로도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다Today, lathes or turning centers including Swiss Turn are typically used for turning, and have two spindles to process products with complex shapes to increase productivity and reduce machining time, and one It is also manufactured and used for the purpose of machining the surface other than the machined surface in the state of being clamped to the spindle.

그러나 종래 서브스턴 서브스핀들에서 척에 의한 지지방식은 다음의 세가지의 경우 공작물의 지지가 불가능하거나 매우 비효율적이어서 공작물의 가공품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substern sub-spindle, the support method by the chuck is impossible or very inefficient to support the workpiece in the following three cases, resulting in a problem in that the machining quality of the workpiece is deteriorated.

첫번째로 공작물의 형상에 따라 메인스핀들에 클램핑되어 지지되는 지지영역을 벗어난 상태에서 밀링가공이 있는 경우로서 이 경우에는 공작물의 끝단 지지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First,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workpiece, there is a case where milling is performed outside the support area clamped and supported by the main spindle.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nd support of the workpiece is impossible.

두번째로 일반적인 척에 의한 척킹이 불가능한 가공 형상을 갖는 공작물의 경우로서 이 경우에는 특수척을 만들어 가공을 할 수 있으나 특수척은 제작 비용이 많이 들고 공작물과 1:1로 맞춰야 하는 전용품으로 다양한 가공을 위해 다수의 특수척이 구바되어야 하므로 생산성이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Second, in the case of a workpiece having a machining shape that cannot be chucked by a general chuck, in this case, a special chuck can be made and process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productivity is inefficient because a number of special chucks must be provided for this purpose.

세번째로 플라스틱과 같은 연질의 소재나 서브스핀들에 척킹하게되면 공작물의 외경부에 찍힘이나 흔적이 발생될 수 있는 무른 소재를 가공하는 경우로서 이 경우에는 특수한 무른 소재의 척을 사용할 수 있기는 하지만. 무른 소재의 척을 사용하게 되면 가공과정에서 발생되는 칩 등이 끼어 공작물의 외경에 흔적이나 찍힘이 발생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발생되었다.Third, it is a case of machining soft materials such as plastics or soft materials that can cause dents or traces on the outer diameter of the workpiece when chucked on a sub spindle. In this case, a chuck made of a special soft material can be used. When a chuck made of a soft material is used, another problem arises in that the chips generated during the machining process are caught and traces or dents are generated on the outer diameter of the workpiece.

또한, 상술한 경우에 대비하기 위해 심압대(Tailstock)를 적용하여 지지할 수 있으나. 스위스턴(Swiss Turn)장비가 일반적으로 공작물의 전면과 후면을 완전가공하게 되므로 스위스턴 가공영역에서 정면 및/또는 배면 공구와 간섭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In addition, in order to prepare for the above-mentioned case, it can be supported by applying a tailstock. Since Swiss Turn equipment generally completes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workpiec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front and/or rear tools interfere with the Swiss turn machining area.

그리고 서브스핀들와 심압대를 동시에 적용하게 하면 공작기계의 이송축을 부가하게 되고, 주변 유니트의 수정이 과다하게 필요하여 공작기계의 제작비용을 높이고 공작기계의 소형화를 저해하는 또 다른 문제점이 발생되었다.In addition, if the sub-spindle and the tailstock are applied at the same time, the feed axis of the machine tool is added, and the modification of the peripheral unit is excessively required, which increases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machine tool and hinders the miniaturization of the machine tool.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27229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52722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는 서포트유닛이 서브스핀들의 이동과 연동하여 이동하도록 서브스핀들의 일측에 설치되어 메인스핀들에 클램핑되어 가공되는 공작물의 형상과 종류에 따라 서포트유닛이 서브스핀들에 대해 전후진 이동함에 따라 메인스핀들에 클램핑된 공작물을 선택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공작기계의 공작물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support unit on one side of the sub-spindle so that it moves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sub-spindle, and is clamped to the main spindle, and the shape and type of the workpiece to be processed It is to provide a workpiece support device of a machine tool that can selectively support the workpiece clamped to the main spindle as the support unit moves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sub spindle.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공작물 지지장치는 공작물을 가공하기 위해 공작물을 클램핑하는 메인스핀들; 상기 메인스핀들에 클램핑되어 가공된 공작물을 클램핑하는 서브스핀들; 및상기 서브스핀들의 이동과 연동하여 이동하도록 상기 서브스핀들의 일측에 설치되는 서포트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유닛은 상기 메인스핀들에 클램핑되어 가공되는 상기 공작물의 형상과 종류에 따라 상기 서브스핀들에 대해 전후진 이동하여 상기 메인스핀들에 클램핑된 공작물을 선택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orkpiece support device for a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a main spindle clamping the workpiece to process the workpiece; a sub-spindle that is clamped to the main spindle and clamps the processed workpiece; and a support uni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ub-spindle so as to move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sub-spindle, wherein the support unit is clamped to the main spindle and mounted on the sub-spindle according to the shape and type of the workpiece to be processed.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support the workpiece clamped to the main spindle by moving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main spindl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공작물 지지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포트유닛은, 액츄에이터부; 상기 액츄에이터부의 일측에 결합 설치되는 연결부; 상기 액츄에이터부로부터 상기 연결부를 관통하여 연장 배치되어 상기 액츄에이터부의 구동에 따라 직선 왕복이동하는 로드부; 상기 로드부와 연동하여 상기 연결부의 내부로 인입 또는 상기 연결부의 외부로 인출되도록 상기 연결부의 내부에 직선 왕복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전달부; 및 상기 전달부의 일측에 결합 설치되어 상기 메인스핀들에 클램핑된 공작물을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device for supporting the work piece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unit comprises: an actuator unit; a connection part coupled and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actuator part; a rod part extending from the actuator part through the connection part and linearly reciprocating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actuator part; a transmission unit disposed in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inside the connection unit so as to be drawn into or out of the connection unit in conjunction with the rod unit; and a support part coupled to one side of the transfer part to selectively support the workpiece clamped to the main spindl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공작물 지지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스핀들에 클램핑된 공작물을 지지할 때에 상기 서브스핀들의 이송에 의한 부하량 변화에 따라 실시간으로 상기 서브스핀들의 이송량을 조절하여 상기 공작물의 지지력을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device for supporting a workpiece for a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orkpiece clamped to the main spindle is supported, the feed amount of the sub spindle is adjusted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load amount due to the feed of the sub spindle. Thus,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supporting force of the work piec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공작물 지지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포트유닛은 상기 메인스핀들에 클램핑된 공작물을 지지할 때에 상기 지지부의 부하량 변화에 따라 상기 로드부의 직선 이동과 별도로 상기 지지부를 추가적으로 직선 이동시켜 실시간으로 상기 공작물의 지지력을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device for supporting the work piece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unit supports the work clamped to the main spindle. In response to a change in the load amount of the support unit, the support unit separates from the linear movement of the rod unit. can be additionally linearly moved to adjust the bearing force of the workpiece in real tim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공작물 지지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전달부의 일측에 결합 설치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로 인입 또는 상기 하우징부의 외부로 인출되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직선 왕복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 설치되어 상기 메인스핀들에 클램핑된 공작물을 접촉 지지하는 팁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device for supporting the work piece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unit includes: a housing unit coupled to one side of the transmission unit; a base portion disposed to be linearly reciprocally movable inside the housing portion so as to be drawn into the housing portion or drawn out of the housing portion; and a tip part which is detachably coupled and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ase part to contact and support the workpiece clamped to the main spindl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공작물 지지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직선 왕복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피스톤부; 상기 피스톤부의 일부에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부; 및 상기 피스톤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피스톤부에 삽입 설치되는 샤프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workpiece support device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portion, the piston portion is arranged to be reciprocating linearly inside the housing portion; a flange portion protruding from a portion of the piston portion; and a shaft part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piston part so as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piston part.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공작물 지지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피스톤부의 직선 왕복이동시에 상기 플랜지부와 접촉되어 상기 피스톤부의 직선 왕복이동거리를 제한하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 단차지게 형성되는 단턱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workpiece support device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flange portion during linear reciprocation of the piston portion to limit the linear reciprocation distance of the piston portion. It may include; a stepped portion formed to be stepped.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공작물 지지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피스톤부를 직선 왕복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부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부로 유체를 유입 또는 유출시키는 유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workpiece support device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ortion is formed through the housing portion in order to linearly reciprocate the piston portion, the flow passage for introducing or outflowing the fluid into the housing portion; may includ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공작물 지지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포트유닛은, 상기 피스톤부와 상기 샤프트부 사이에 배치되는 베어링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 설치되는 캡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device for supporting the work piece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unit may include a bearing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piston portion and the shaft portion; and a cap unit detachably coupled and install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unit.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공작물 지지장치는 서포트유닛이 서브스핀들의 일측에 설치되어 서브스핀들의 이동과 연동하여 이동하며 서브스핀들에 대해 전후진 이동하므로 메인스핀들에 클램핑되어 가공되는 공작물이 공작물의 형상에 따라 메인스핀들에 의해 클램핑되어 지지되는 영역을 벗어난 경우, 일반적인 서브스핀들에 의한 척킹이 불가능한 가공형상을 갖는 공작물인 경우, 플라스틱과 같은 연질의 소재나 서브스핀들에 척킹하게되면 공작물의 외경부에 찍힘이나 흔적이 발생될 수 있는 무른 소재를 가공하는 경우 등 종래의 스위스턴에서 공작물의 끝단 지지가 불가능한 경우에도 서포트유닛을 통해 공작물의 중심에 맞추어 견고하게 지지가 가능하여 가공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workpiece support device of a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uni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ub-spindle, moves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sub-spindle, and moves forward and backward relative to the sub-spindle. In case of outside the area clamped and supported by the main spindle according to Even when it is impossible to support the end of the workpiece in the conventional Swiss turn, such as when machining soft materials that may cause dents or traces, the support unit enables strong support in the center of the workpiece, thereby improving processing precision. there is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공작물 지지장치는 서포트유닛이 독립적으로 이동되는 것이 아니고, 서브스핀들의 이동과 연동되어 이동하므로 스위스턴 가공영역에서 정면 및/또는 배면 공구와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가공품위를 향상키면서 스위스턴(Swiss Turn)장비의 일반적인 특성인 공작물의 전면과 후면을 완제품 가공을 유지할 수 있고, 공작기계의 주변 유니트의 과다한 수정이나 추가적인 이송축을 부가할 필요없이 서브스핀들의 이송에 따라 연동되므로 공작기계의 제작비용을 낮추고 공작기계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workpiece support device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unit does not move independently, but moves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sub-spindle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front and/or rear tool in the Swiss turn machining area.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finished product processing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workpiece, which is a general characteristic of Swiss turn equipment, while improving the machining qualit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machine tool and promote the miniaturization of the machine tool.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공작물 지지장치는 메인스핀들에 클램핑된 공작물을 지지할 때에 서브스핀들의 이송에 의한 부하량 변화에 따라 실시간으로 서브스핀들의 이송량을 조절하여 1차적으로 서포트유닛이 공작물을 지지하는 지지력을 조절하고, 지지부의 부하량 변화에 따라 로드부의 직선 이동과 별도로 지지부를 추가적으로 미세하게 직선 이동시켜 실시간으로 공작물의 지지력을 2차적으로 조절하여 공작물의 형상과 종류의 특성에 맞춰 정밀하게 지지력의 조절이 가능하여, 가공된 공작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more, the workpiece support device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feed amount of the sub spindle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load amount due to the feed of the sub spindle when supporting the workpiece clamped to the main spindle, so that the support unit primarily supports the workpiece. By adjusting the supporting force to support and,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load amount of the supporting unit, the supporting unit is moved in a fine straight line separately from the linear movement of the rod unit to secondarily adjust the supporting power of the work piece in real time to precisely match the shape and type of the work piece.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processed workpiece because it can be adjusted.

게다가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공작물 지지장치는 서포트유닛의 사용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서브스핀들에 대해 전후진 이동하므로 일반적인 공작물을 가공하는 경우에는 서포트유닛를 제거하지 않아도 장비간의 간섭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workpiece support device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ves forward and backward relative to the sub-spindle when the use of the support unit is not required. there is an effect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공작물 지지장치는 서브스핀들에 의해 가공물 지지가 불가능한 형상 및 소재의 공작물을 가공하기 위해 특수한 척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 특수척이 공작물과 1:1로 맞춰야 하는 전용품으로 다양한 가공을 위해 다수의 특수척이 구비됨에 따라 발생되는 생산성의 비효율성 및 제작비용이 많이 드는 특수척 적용에 따른 원가 상승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workpiece support device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the use of a special chuck to process the workpiece of a shape and material that cannot be supported by the sub-spindle, so that the special chuck must match 1:1 with the workpiece As a resul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olve the problems of productivity inefficiency caused by the provision of a large number of special chucks for various processing and the cost increase caused by the application of special chucks that cost a lot of manufacturing cost.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공작물 지지장치는 메인스핀들에 클램핑된 공작물을 서브스핀들이 척킹하지 않아도 서포트유닛이 지지할 수 있으므로 메인스핀들에 클램핑된 공작물을 서포트유닛이 지지하며 정밀하게 1차공작물을 가공하면서 동시에 서브스핀들을 통해 2차공작물 가공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workpiece support device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unit can support the workpiece clamped on the main spindle even if the sub spindle does not chuck, so the support unit supports the workpiece clamped on the main spindle and precisely the primary workpiece It has the effect of maximizing productivity because it is possible to process secondary workpieces through the sub-spindle at the same time while machining.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공작물 지지장치는 스위스턴 장비의 옵션 중 쓰레드 윌링 유니트 가공을 하는 경우에도 유니트 내부로 간섭없이 서포트유닛이 진입하여 공작물을 지지할 수 있으므로 초정밀의 나사가공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workpiece support device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ort the workpiece by allowing the support unit to enter the unit without interference even when machining the thread willing unit among the options of the Swiss turn equipment, so it can perform ultra-precision threading. can have an effect.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공작물 지지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메인스핀들이 제거된 상태에서 도 1의 A-A부분을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공작물 지지장치의 서포트유닛을 상세하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공작물 지지장치의 서포트유닛이 후진한 상태의 도면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공작물 지지장치의 서포트유닛이 전진한 상태의 도면을 나타낸다.
도 6은 도 4의 B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C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공작물 지지장치가 쓰레드 윌링(나사가공) 유니트 가공시에 쓰레드 윌링 유니트 내부로 진입하여 지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메인스핀들이 제거된 상태에서 도 8의 D-D부분을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1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workpiece support device of a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part AA of FIG. 1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spindle is removed.
Figure 3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support unit of the workpiece support device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a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unit of the workpiece support device of the machine tool is retrac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unit of the support unit of the workpiece support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ced.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part B of FIG. 4 .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part C of FIG. 5 .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orkpiece support device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ters and supports the thread willing unit during processing of the thread willing (thread processing) unit.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DD portion of FIG. 8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spindle is remov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작기계의 공작물 지지장치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of the workpiece support device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embodiments introduced below are provided as examples so tha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And, in the drawings,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device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Like reference number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ossesso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izes and relative sizes of layers and region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of descrip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therefore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 and/or “comprising” refers to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mentioned. or addition is not exclude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공작물 지지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는 메인스핀들이 제거된 상태에서 도 1의 A-A부분을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낸다.Figure 1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workpiece support device of a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section A-A of Figure 1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spindle is removed.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공작물 지지장치의 서포트유닛을 상세하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공작물 지지장치의 서포트유닛이 후진한 상태의 도면을 나타낸다.Figure 3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support unit of the workpiece support device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unit of the support unit of the workpiece support device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tracted.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공작물 지지장치의 서포트유닛이 전진한 상태의 도면을 나타내고, 도 6은 도 4의 B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unit of the work support device of the machine tool is advanc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nlarged view of the portion B of FIG.

도 7은 도 5의 C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공작물 지지장치가 쓰레드 윌링(나사가공) 유니트 가공시에 쓰레드 윌링 유니트 내부로 진입하여 지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7 is an enlarged view of part C of FIG. 5, and FIG. 8 is a state in which the workpiece support device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ters and supports the thread willing unit during processing of the thread willing (screw processing) unit. It is a drawing.

도 9는 메인스핀들이 제거된 상태에서 도 8의 D-D부분을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낸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 portion D-D of FIG. 8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spindle is removed.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공작물 지지장치(1)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공작물 지지장치(1)는 메인스핀들(100), 서브스핀들(200) 및 서포트유닛(300)을 포함한다.A work support device 1 of a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 . As shown in FIGS. 1 to 9 , the workpiece support device 1 of a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spindle 100 , a sub spindle 200 , and a support unit 300 .

메인스핀들(100)은 공작물(2)을 가공하기 위해 공작물(2)을 클램핑한다. The main spindle 100 clamps the workpiece 2 to machine the workpiece 2 .

서브스핀들(200)은 메인스핀들(100)에 클램핑되어 가공된 공작물(2)을 클램핑한다. The sub spindle 200 is clamped to the main spindle 100 to clamp the machined workpiece 2 .

서브스핀들(200)은 메인스핀들(100)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메인스핀들(100)에 클램핑되어 먼저 가공된 공작물(2)을 가공하기 위해 클램핑한다. 즉, 서브스핀들(200)은 필요에 따라 메인스핀들에 클램핑되어 선가공된 공작물을 단순히 새롭게 가공할 수도 있고, 메인스핀들에 클램핑되어 선가공된 공작물의 다른 표면이나 동일한 표면이라도 이를 클램핑하여 다른 종류의 가공을 수행할 수 있다.The sub-spindle 200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main spindle 100 and clamped to the main spindle 100 to process the workpiece 2 that has been machined first. That is, the sub-spindle 200 may be clamped to the main spindle and simply process a pre-machined workpiece as needed. Alternatively, the sub-spindle 200 may be clamped to the main spindle and clamped to a different surface or the same surface of the pre-machined workpiece by clamping it to obtain a different type of workpiece. processing can be performed.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공작물 지지장치(1)의 서포트유닛(300)은 서브스핀들(200)의 이동과 연동하여 이동하도록 서브스핀들(200)의 일측에 설치된다. The support unit 300 of the workpiece support device 1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ub spindle 200 so as to move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sub spindle 200 .

즉,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공작물 지지장치(1)의 서포트유닛(300)은 서브스핀들(200)과 별도의 구동에 따라 별개로 이동하는 것이 아니고 서브스핀들의 이동에 의해 서포트유닛의 위치도 변동된다.That is, the support unit 300 of the workpiece support device 1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ove separately according to a separate drive from the sub spindle 200, but the position of the support unit by the movement of the sub spindle is also fluctuates

이치럼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공작물 지지장치는 서포트유닛이 상술한 심압대등과 같이 서포트유닛이 서브스핀들과 독립적으로 이동되는 것이 아니고, 서브스핀들의 이동과 연동되어 이동하므로 스위스턴 가공영역에서 정면 및/또는 배면 공구와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가공품위를 향상키면서 스위스턴(Swiss Turn)장비의 일반적인 특성인 공작물의 전면과 후면을 완제품 가공을 유지할 수 있고, 공작기계의 주변 유니트의 과다한 수정이나 추가적인 이송축을 부가할 필요없이 서브스핀들의 이송에 따라 연동되므로 공작기계의 제작비용을 낮추고 공작기계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machine tool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unit does not move independently of the sub-spindle like the tailstock, but moves in conjunction with the sub-spindle. And/or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finished product processing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workpiece, which is a general characteristic of Swiss Turn equipment, while improving the machining quality 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interference with the rear tool, and excessive use of peripheral units of the machine tool. Since it is linked according to the feed of the sub-spindle without the need to modify or add an additional feed axi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machine tool and to reduce the size of the machine tool.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공작물 지지장치(1)의 서포트유닛(200)은 메인스핀들(100)에 클램핑되어 가공되는 공작물(2)의 형상과 종류에 따라 서브스핀들(200)에 대해 전후진 이동하여 메인스핀들(100)에 클램핑된 공작물을 선택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unit 200 of the workpiece support device 1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lamped to the main spindle 100 and front and rear for the sub spindle 200 according to the shape and type of the workpiece 2 to be processed.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support the workpiece clamped to the main spindle 100 by moving it.

공작물(2)의 형상과 종류란 메인스핀들에 클램핑되어 가공되는 공작물이 공작물의 형상에 따라 메인스핀들에 의해 클램핑되어 지지되는 영역을 벗어난 경우, 일반적인 서브스핀들에 의한 척킹이 불가능한 가공형상을 갖는 공작물인 경우, 플라스틱과 같은 연질의 소재나 서브스핀들에 척킹하게되면 공작물의 외경부에 찍힘이나 흔적이 발생될 수 있는 무른 소재를 가공하는 경우 등 종래의 스위스턴에서 공작물의 끝단 지지가 불가능한 경우와 상술한 경우가 아닌 일반적인 공작물인 경우등을 의미할 수 있다.The shape and type of the workpiece 2 refers to a workpiece having a machining shape that cannot be chucked by a general sub-spindle when the workpiece clamped to the main spindle and processed is out of the area clamped and supported by the main spindl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workpiece. In this case, in the case where it is impossible to support the end of the workpiece in the conventional Swiss turn, such as in the case of machining a soft material that can cause dents or traces on the outer diameter of the workpiece when chucked on a soft material such as plastic or a sub spindle, It may mean a case of a general work piece, not a case.

또한. 전진이란 메인스핀들(100)에 인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라고, 후진이란 메인스핀들(10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Forward means moving in a direction adjacent to the main spindle 100 , and backward means mov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main spindle 100 .

구체적으로 서포트유닛(300)은 액츄에어터부(310), 연결부(320), 로드부(330), 전달부(340) 및 지지부(350)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support unit 300 includes an actuator unit 310 , a connection unit 320 , a rod unit 330 , a transmission unit 340 , and a support unit 350 .

액츄에어터부(310)는 서포트유닛의 후방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로드부(330)를 직선 왕복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고, 연결부(320)는 액츄에이터부(310)의 일측(즉, 도 3 내지 도 5에서 왼쪽)에 결합 설치된다.The actuator part 310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support unit and serves to linearly reciprocate the rod part 330 by inflowing pneumatic or hydraulic pressure, and the connection part 320 is one side of the actuator part 310 (that is, 3 to 5 are coupled to the left side).

로드부(330)는 액츄에이터부(310)로부터 연결부(320)를 관통하여 연장 배치되어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부(310)로 유입되는 공압 또는 유압을 통한 액츄에이터부(310)의 구동에 따라 로드부(330)가 직선 왕복이동하게 된다.The rod part 330 is disposed extending from the actuator part 310 through the connection part 320, and as described above, the actuator part 310 is driven by pneumatic or hydraulic pressure flowing into the actuator part 310. The rod part 330 is linearly reciprocated.

전달부(340)는 직선 왕복이동하는 로드부(330)와 연동하여 직선 왕복이동함에 따라 연결부(320)의 내부로 인입하거나 또는 연결부(320)의 외부로 인출되도록 연결부(320)의 내부에 직선 왕복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The transfer unit 340 is linearly reciprocated in conjunction with the linearly reciprocating rod 330 so as to be drawn into the inside of the connecting unit 320 or drawn out of the connecting unit 320 as it linearly reciprocates. It is arranged to be reciprocally movable.

지지부(350)는 전달부(340)의 일측에 결합 설치되어 메인스핀들(100)에 클램핑된 공작물을 선택적으로 지지한다.The support part 35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delivery part 340 to selectively support the workpiece clamped to the main spindle 100 .

즉, 도 5와 같이 로드부(330)가 액츄에이터부의 구동에 의해 액츄에이터부의 외부로 인출되면 이에 연동하는 전달부도 연결부의 외부로 인출되고, 연결부의 일측에 결합된 지지부도 메인스핀들에 인접하는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메인스핀들에 클램핑되어 가공되는 상기 공작물의 형상과 종류에 따라 지지가 필요한 경우 메인스핀들에 클램핑된 공작물을 지지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rod part 330 is drawn out of the actuator part by the driving of the actuator part as shown in FIG. 5, the transmission part interlocking therewith is also drawn out of the connection part, and the support part coupled to one side of the connection part is also in the direction adjacent to the main spindle. As it moves, the workpiece clamped to the main spindle is supported when support is required according to the shape and type of the workpiece to be processed by being clamped to the main spindle.

반대로, 도 4와 같이 액츄에이터부의 구동에 의해 액츄에이터부의 내부로 인입되면 이에 연동하는 전달부도 연결부의 내부로 인입되고, 연결부의 일측에 결합된 지지부도 메인스핀들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메인스핀들에 클램핑되어 가공되는 공작물의 형상과 종류에 따라 지지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메인스핀들에 클램핑된 공작물을 지지하지 않게 된다.Conversely, as shown in FIG. 4 , when the actuator unit is driven into the actuator unit, the transmission unit interlocking therewith is also drawn into the connection unit, and the support unit coupled to one side of the connection unit is also moved away from the main spindle as it moves away from the main spindle. If support is not required depending on the shape and type of the workpiece being processed, the workpiece clamped to the main spindle is not supported.

이처럼 ,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공작물 지지장치는 서포트유닛이 서브스핀들의 일측에 설치되어 서브스핀들의 이동과 연동하여 이동하며 서브스핀들에 대해 전후진 이동하므로 메인스핀들에 클램핑되어 가공되는 공작물이 공작물의 형상에 따라 메인스핀들에 의해 클램핑되어 지지되는 영역을 벗어난 경우, 일반적인 서브스핀들에 의한 척킹이 불가능한 가공형상을 갖는 공작물인 경우, 플라스틱과 같은 연질의 소재나 서브스핀들에 척킹하게되면 공작물의 외경부에 찍힘이나 흔적이 발생될 수 있는 무른 소재를 가공하는 경우 등 종래의 스위스턴에서 공작물의 끝단 지지가 불가능한 경우에도 서포트유닛을 통해 공작물의 중심에 맞추어 견고하게 지지가 가능하여 가공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As such, in the workpiece support device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uni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ub-spindle, moves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sub-spindle, and moves forward and backward relative to the sub-spindle. If it is outside the area clamped and supported by the main spindle depending on the shape of Even when it is impossible to support the end of the workpiece in the conventional Swiss turn, such as when machining soft materials that may have dents or traces, the support unit can support it firmly in line with the center of the workpiece, improving processing precision. hav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공작물 지지장치는 서포트유닛이 서브스핀들에 대해 전후진 이동하므로 메인스핀들에 클램핑되는 공작물의 형상과 종류에 따라 지지가 필요한 경우에는 서포트유닛을 전진하여 지지하고, 서포트유닛의 사용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서브스핀들에 서포트유닛을 후진 이동하여 일반적인 공작물을 가공하는 경우에는 서포트유닛를 제거하지 않아도 장비간의 간섭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workpiece support device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upport unit moves forward and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sub-spindle, if support is required according to the shape and type of the workpiece clamped on the main spindle, the support unit advances and supports, When the use of the unit is not required, the support unit is moved backwards on the sub spindle to prevent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equipment in advance without removing the support unit when processing general workpieces.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공작물 지지장치(1)의 지지부(350)는 하우징부(351), 팁부(357), 베이스부(353), 및 유로부(358)를 포함한다. 3 to 7 , the support part 350 of the workpiece support device 1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part 351 , a tip part 357 , a base part 353 , and a flow path part 358 . ) is included.

하우징부(351)는 전달부(340)의 일측에 결합 설치되어 전달부(340)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며, 내부에 베이스부(353), 팁부(357), 베어링부(360)등이 배치되어 이들 부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The housing part 351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delivery part 340 and move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delivery part 340 , and a base part 353 , a tip part 357 , a bearing part 360 , etc. are disposed therein. It serves to protect these parts.

또한, 하우징부(351)는 후술하는 피스톤부(354)의 직선 왕복이동시에 플랜지부(355)와 접촉되어 피스톤부(354)의 직선 왕복이동거리를 제한하기 위해 하우징부(351)의 내측에 단차지게 형성되는 단턱부(352)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housing part 351 is in contact with the flange part 355 during linear reciprocation of the piston part 354 to be described later to limit the linear reciprocation distance of the piston part 354. Inside the housing part 351 It includes a stepped portion 352 formed to be stepped.

팁부(357)는 베이스부(353)의 일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 설치되어 메인스핀들(100)에 클램핑된 공작물과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메인스핀들(100)에 클램핑된 공작물을 지지한다. The tip portion 357 is detach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base portion 353 to directly contact the workpiece clamped to the main spindle 100 to support the workpiece clamped to the main spindle 100 .

구체적으로 팁부(357)는 베이스부(353) 중에서도 특히, 샤프트부(356)에 결합 설치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샤프트부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tip portion 357 may be coupled to the shaft portion 356 among the base portion 353 and rotated together with the shaft portion as will be described later.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베이스부(353)는 하우징부(351)의 내부로 인입 또는 하우징부(351)의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우징부(351)의 내부에 직선 왕복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6 and 7 , the base part 353 is linearly reciprocally disposed inside the housing part 351 so as to be drawn into the housing part 351 or drawn out of the housing part 351 . .

베이스부(353)는 도 6과 같이 하우징부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고, 도 5와 같이 하우징부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직선 왕복이동이 가능하며, 이러한 베이스부의 직선 왕복이동은 로드부(330)의 직선 이동과 별도로 이루어 질 수 있다.The base part 353 can be drawn out of the housing part as shown in FIG. 6 and can be linearly reciprocated so that it can be drawn into the housing part as shown in FIG. It can be done separately from the linear movement of

구체적으로 베이스부(353)는 피스톤부(354), 플랜지부(355) 및 샤프트부(356)를 포함한다. Specifically, the base part 353 includes a piston part 354 , a flange part 355 , and a shaft part 356 .

피스톤부(354)는 하우징부(351)의 내부에 직선 왕복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베이스부(353)를 직선 왕복이동시키는 구동원의 역할을 한다.The piston part 354 is disposed so as to be linearly reciprocally movable inside the housing part 351 , and serves as a driving source for linearly reciprocating the base part 353 .

플랜지부(355)는 피스톤부(354)의 일부에 돌출 형성되며, 플랜지부(355)는 상술한 하우징부(351)의 단턱부(352)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피스톤부(354)의 직선 왕복이동시에 플랜지부(355)가 단턱부(352)에 접촉되어 피스톤부(354)의 직선 왕복이동거리를 제한하게 된다.The flange part 355 is formed to protrude from a part of the piston part 354 , and the flange part 355 is disposed adjacent to the stepped part 352 of the above-described housing part 351 to reciprocate linearly of the piston part 354 . During movement, the flange portion 355 is in contact with the stepped portion 352 to limit the linear reciprocating distance of the piston portion 354 .

샤프트부(356)는 피스톤부(354)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피스톤부(354)에 삽입 설치되어 샤프트부(356)에 설치되는 팁부(357)를 회전시킴에 따라 팁부(357)가 메인스핀들에 클램핑된 공작물을 지지하는 경우에 공작물(2)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shaft part 356 is inserted into the piston part 354 so as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piston part 354 and rotates the tip part 357 installed on the shaft part 356 so that the tip part 357 is attached to the main spindle. It serves to allow the workpiece 2 to rotate smoothly when supporting the clamped workpiece.

도 3을 참조하면, 유로부(358)는 피스톤부(354)를 직선 왕복이동시키기 위해 하우징부(351)에 관통 형성되어 하우징부(351)로 유체를 유입 또는 유출시키는 통로가 된다.Referring to FIG. 3 , the flow passage 358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housing 351 to linearly reciprocate the piston 354 , and serves as a passage through which a fluid flows into or out of the housing 351 .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유로부(358)는 피스톤부(354)를 직선 왕복이동시키기 위해 유로부(358)에 공압 또는 유압을 공급하는 공압 또는 유압펌프나 공압 또는 유압탱크와 같은 공압 또는 유압공급원과 호스 등과 같은 배관을 통해 연결 설치되고, 배관 상에는 각종 밸브가 설치된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flow path part 358 is a pneumatic or hydraulic pump or pneumatic or hydraulic tank that supplies pneumatic or hydraulic pressure to the flow path part 358 in order to linearly reciprocate the piston part 354 . It is connected and installed through a pipe such as a hydraulic pressure supply source and a hose, and various valves are installed on the pipe.

수치제어장치나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등을 통해 공압 또는 유압공급원은 공작물 가공 프로그램 등에 따라 공압 또는 유압을 공급 또는 회수하게 된다.The pneumatic or hydraulic power source supplies or recovers the pneumatic or hydraulic pressure according to the workpiece processing program, etc. through a numerical control device or PLC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공작물 지지장치(1)의 서포트유닛(300)은 베어링부(360)와 캡부(370)를 포함한다.The support unit 300 of the workpiece support device 1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earing part 360 and a cap part 370 .

베어링부(360)는 피스톤부(354)와 샤프트부(356) 사이에 배치되어 샤프트부(350)의 회전시 발생되는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캡부(370)는 하우징부(351)의 일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 설치되어 외부에서 발생되는 칩이나 먼지등의 이물질이 서포트유닛의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bearing part 360 is disposed between the piston part 354 and the shaft part 356 and serves to support a load generated when the shaft part 350 rotates, and the cap part 370 is the housing part 351 . It is installed detachably on one side and serves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such as chips or dust generated from the outside from penetrating into the inside of the support unit.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공작물 지지장치(1)는 메인스핀들(100)에 클램핑된 공작물(2)을 지지할 때에 서브스핀들(200)의 이송에 의한 부하량 변화에 따라 실시간으로 서브스핀들(200)의 이송량을 조절하여 공작물(2)의 지지력을 조절할 수 있다.The workpiece support device 1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the workpiece 2 clamped to the main spindle 100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amount of load caused by the transfer of the sub spindle 200.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support force of the work piece 2 by adjusting the feed amount.

상술한 바와 같이 서포트유닛(300)은 서브스핀들(200)의 이동과 연동하여 이동하도록 서브스핀들(200)의 일측에 설치된다. 즉, 서포트유닛(300)은 서브스핀들(200)과 독립적으로 이동되는 것이 아니라 서브스핀들과 함께 이동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unit 30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ub-spindle 200 to move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sub-spindle 200 . That is, the support unit 300 does not move independently of the sub-spindle 200, but moves together with the sub-spindle.

즉,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공작물 지지장치는 서포트유닛이 서브스핀들와 함께 이동하므로 메인스핀들에 클램핑된 공작물을 지지할 때에 서브스핀들의 이송에 의한 부하량을 1차적으로 피드백 받아 실시간으로 서브스핀들의 이송량을 조절하여 1차적으로 서포트유닛이 공작물을 지지하는 지지력을 조절할 수 있다.That is, in the workpiece support device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upport unit moves together with the sub spindle, when supporting the workpiece clamped to the main spindle, the load amount by the feed of the sub spindle is primarily fed back, and the feed amount of the sub spindle in real time can be adjusted to adjust the supporting force that the support unit primarily supports the workpiec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공작물 지지장치(1)의 서포트유닛(300)은 메인스핀들(100)에 클램핑된 공작물(2)을 지지할 때에 지지부(350)의 부하량 변화에 따라 로드부(330)의 직선 이동과 별도로 지지부(350)를 추가적으로 직선 이동시켜 실시간으로 상기 공작물의 지지력을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unit 300 of the workpiece support device 1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the workpiece 2 clamped to the main spindle 100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load amount of the support part 350 when the rod part ( Separately from the linear movement of the 330), the support unit 350 may be additionally linearly moved to adjust the bearing force of the work piece in real time.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350)의 베이스부(353)가 하우징부(351)의 내부에 직선 왕복이동 가능하게 배치됨에 따라 베이스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팁부를 직선 왕복이동시키게 되고, 이는 종국적으로 메인스핀들에 클램핑된 공작물을 지지하는 팁부(357)의 위치를 변경하게 되어 팁부가 메인스핀들에 클램핑된 공작물을 지지하는 지지력을 미세하게 정밀조절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s the base part 353 of the support part 350 is linearly and reciprocally disposed inside the housing part 351, the tip part detachably installed in the base part is linearly and reciprocally moved, which ultimately The position of the tip part 357 supporting the workpiece clamped to the main spindle is changed, so that the support force of the tip part supporting the workpiece clamped to the main spindle is finely and precisely controlled.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공작물 지지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스핀들에 클램핑된 공작물을 지지할 때에 서브스핀들의 이송에 의한 부하량 변화에 따라 실시간으로 서브스핀들의 이송량을 조절하여 1차적으로 서포트유닛이 공작물을 지지하는 지지력을 조절할 뿐만 아니라. 지지부의 부하량 변화에 따라 로드부의 직선 이동과 별도로 베이스부가 하우징부의 내부에 직선 왕복이동 가능하게 배치됨에 따라 종국적으로 지지부를 추가적으로 미세하게 직선 이동시켜 실시간으로 공작물의 지지력을 2차적으로 조절하여 공작물의 형상과 종류의 특성에 맞춰 정밀하게 지지력의 조절이 가능하여, 가공된 공작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workpiece support device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the workpiece clamped to the main spindle, it is primarily supported by adjusting the feed amount of the sub spindle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load amount due to the feed of the sub spindle. As well as adjusting the support force the unit supports the workpiece.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load amount of the support part, the base part is arranged to be reciprocally movable in a straight line inside the housing part separately from the linear movement of the rod part. It is possible to precisely control the bearing forc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ruit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processed workpiece.

또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공작물 지지장치는 서포트유닛(300)이 서브스핀들(200)의 일측에 설치되고, 서브스핀들(200)과 비교하여 소형으로 슬림하게 형성되며, 서브스핀들에 대해 독립적으로 전후진이동이 가능하므로 쓰레드 윌링 유니트를 적용하여 가공을 적용하는 경우에도, 서포트유닛만을 전진시켜 쓰레드 윌링 유니트의 내부로 간섭없이 인입할 수 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8 and 9 , in the workpiece support device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unit 30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ub spindle 200 , and compared to the sub spindle 200 , it is compact and slim. Since the subspindle can move forward and backward independently of the spindle, even when machining is applied by applying the thread willing unit, only the support unit can be advanced so that it can be drawn into the interior of the thread willing unit without interference.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공작물 지지장치는 스위스턴 장비의 옵션 중 쓰레드 윌링 유니트 가공을 하는 경우에도 유니트 내부로 간섭없이 서포트유닛이 진입하여 공작물을 지지할 수 있으므로 초정밀의 나사가공을 수행할 수 있다. As such, the workpiece support device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ort the workpiece by allowing the support unit to enter the unit without interference even when machining the thread willing unit among the options of the Swiss turn equipment, so that super-precision threading can be performed. hav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or those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1 : 공작기계의 공작물 지지장치, 2 : 공작물
3 : 공구, 4 : 쓰레드 윌링 유니트
100 : 메인스핀들, 200 : 서브스핀들,
300 : 서포트유닛, 310 : 액츄에이터부,
320 : 연결부, 330 : 로드부,
340 : 전달부, 350 : 지지부,
360 : 베어링부, 370 : 캡부,
1: Workpiece support device of a machine tool, 2: Workpiece
3: Tool, 4: Thread Willing Unit
100: main spindle, 200: sub spindle,
300: support unit, 310: actuator unit,
320: connection part, 330: rod part,
340: transfer part, 350: support part,
360: bearing part, 370: cap part,

Claims (9)

공작물을 가공하기 위해 공작물을 클램핑하는 메인스핀들;
상기 메인스핀들에 클램핑되어 가공된 공작물을 클램핑하는 서브스핀들; 및
상기 서브스핀들의 이동과 연동하여 이동하도록 상기 서브스핀들의 일측에 설치되는 서포트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유닛은 상기 메인스핀들에 클램핑되어 가공되는 상기 공작물의 형상과 종류에 따라 상기 서브스핀들에 대해 전후진 이동하여 상기 메인스핀들에 클램핑된 공작물을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공작물 지지장치.
a main spindle clamping the workpiece to machine the workpiece;
a sub-spindle that is clamped to the main spindle and clamps the processed workpiece; and
Including; a support uni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ub-spindle to move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sub-spindle;
The support unit is clamped to the main spindle and moves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sub-spindle according to the shape and type of the workpiece to be processed to selectively support the workpiece clamped to the main spindl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유닛은,
액츄에이터부;
상기 액츄에이터부의 일측에 결합 설치되는 연결부;
상기 액츄에이터부로부터 상기 연결부를 관통하여 연장 배치되어 상기 액츄에이터부의 구동에 따라 직선 왕복이동하는 로드부;
상기 로드부와 연동하여 상기 연결부의 내부로 인입 또는 상기 연결부의 외부로 인출되도록 상기 연결부의 내부에 직선 왕복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전달부; 및
상기 전달부의 일측에 결합 설치되어 상기 메인스핀들에 클램핑된 공작물을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공작물 지지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unit is
actuator unit;
a connection part coupled and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actuator part;
a rod part extending from the actuator part through the connection part and linearly reciprocating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actuator part;
a transfer unit disposed in a linear reciprocating manner inside the connecting unit so as to be drawn into the connecting unit or drawn out of the connecting unit in conjunction with the rod unit; and
and a support part coupled to one side of the transfer part to selectively support the workpiece clamped to the main spind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스핀들에 클램핑된 공작물을 지지할 때에 상기 서브스핀들의 이송에 의한 부하량 변화에 따라 실시간으로 상기 서브스핀들의 이송량을 조절하여 상기 공작물의 지지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공작물 지지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 workpiece support device for a machine tool, characterized in that when supporting the workpiece clamped to the main spindle, the support force of the work piece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feed amount of the sub spindle in real time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load amount caused by the feed of the sub spind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유닛은 상기 메인스핀들에 클램핑된 공작물을 지지할 때에 상기 지지부의 부하량 변화에 따라 상기 로드부의 직선 이동과 별도로 상기 지지부를 추가적으로 직선 이동시켜 실시간으로 상기 공작물의 지지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공작물 지지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n the support unit supports the workpiece clamped on the main spindle,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load amount of the support part, the support part is additionally linearly moved separately from the linear movement of the rod part to adjust the bearing force of the workpiece in real time. The workpiece support of the machine.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전달부의 일측에 결합 설치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로 인입 또는 상기 하우징부의 외부로 인출되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직선 왕복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 설치되어 상기 메인스핀들에 클램핑된 공작물을 접촉 지지하는 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공작물 지지장치.
5. The method of claim 3 or 4,
The support part,
a housing unit coupled to one side of the transmission unit;
a base portion disposed to be linearly reciprocally movable inside the housing portion so as to be drawn into the housing portion or drawn out of the housing portion; and
and a tip part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base part to contact and support the workpiece clamped to the main spindl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직선 왕복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피스톤부;
상기 피스톤부의 일부에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부; 및
상기 피스톤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피스톤부에 삽입 설치되는 샤프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공작물 지지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base part,
a piston unit disposed to be linearly reciprocating within the housing unit;
a flange portion protruding from a portion of the piston portion; and
A workpiece support device for a machine tool comprising a; shaft portion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piston portion so as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piston por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피스톤부의 직선 왕복이동시에 상기 플랜지부와 접촉되어 상기 피스톤부의 직선 왕복이동거리를 제한하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 단차지게 형성되는 단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공작물 지지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housing part,
A step portion formed to be stepped on the inside of the housing portion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flange portion during the linear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piston portion to limit the linear reciprocating distance of the piston por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피스톤부를 직선 왕복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부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부로 유체를 유입 또는 유출시키는 유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공작물 지지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support part,
and a flow path part formed through the housing part to linearly reciprocate the piston part to introduce or outflow fluid into the housing par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유닛은,
상기 피스톤부와 상기 샤프트부 사이에 배치되는 베어링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 설치되는 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공작물 지지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support unit is
a bearing part disposed between the piston part and the shaft part; and
and a cap part detachably coupled and install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part.



KR1020210029281A 2021-03-05 2021-03-05 Workpiece support device of machine tool KR2022012545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281A KR20220125453A (en) 2021-03-05 2021-03-05 Workpiece support device of machine to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281A KR20220125453A (en) 2021-03-05 2021-03-05 Workpiece support device of machine too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5453A true KR20220125453A (en) 2022-09-14

Family

ID=83279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9281A KR20220125453A (en) 2021-03-05 2021-03-05 Workpiece support device of machine too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25453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229B1 (en) 2009-10-09 2015-06-08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Guide Bushing for lathe cutt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229B1 (en) 2009-10-09 2015-06-08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Guide Bushing for lathe cutt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62232B1 (en) Machine tool
US11897041B2 (en) Turret tool post of machine tool
JP2013202693A (en) Gear cutting machine
KR102449379B1 (en) Clamping device of spindle for machine tool
KR100928288B1 (en) Combined machines with individually movable cutting machines
KR20220125453A (en) Workpiece support device of machine tool
CN214868619U (en) Waterwheel type multi-station combined processing machine tool
CN214979165U (en) Tilting double-spindle turning and milling equipment
WO1998012009A1 (en) Machining apparatus for works having non-circular curves
KR102461865B1 (en) Turret tool device of machine tool
JP2003211335A (en) Work support device for machine tool
KR102630395B1 (en) Machine tool
JPH0265907A (en) Deep hole drilling and device therefor
CN113059240B (en) Internal thread precision grinding method
KR20210133809A (en) Chucking apparatus of machine tools
KR102112365B1 (en) Workpiece clamping device of spindle for machine tool
CN112620756B (en) Special-shaped deep groove machining tool device and machining method
KR102532214B1 (en) Cover apparatus of machine tool
KR102595165B1 (en) Cross slide of turning center
KR20230134806A (en) Indexing device for machine tools
KR101837902B1 (en) Cnc lathe
KR20220109045A (en) Tail Stock
KR20230064805A (en) Tool holder for gang-type shelves
KR20210126444A (en) Workpiece ejector device for machine tools
JP6124637B2 (en) Machining method for machine too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