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4144A - 세포 요법의 전달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세포 요법의 전달을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4144A
KR20220124144A KR1020227010552A KR20227010552A KR20220124144A KR 20220124144 A KR20220124144 A KR 20220124144A KR 1020227010552 A KR1020227010552 A KR 1020227010552A KR 20227010552 A KR20227010552 A KR 20227010552A KR 20220124144 A KR20220124144 A KR 20220124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delivery device
suspension delivery
suspension
ballo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0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디스 티. 카펜터
제프리 피. 카펜터
스펜서 브라운
잭 비. 새텔
데이비드 에이. 레작
데빈 에이치. 마르
캠런 개럿
Original Assignee
스템플랜트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템플랜트 엘엘씨 filed Critical 스템플랜트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20124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41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02Balloon catheters characterised by balloon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5Excision instruments
    • A61B17/3207Atherectomy devices working by cutting or abrading; Simila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non-vascular obstructions
    • A61B17/320725Atherectomy devices working by cutting or abrading; Simila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non-vascular obstructions with radially expandable cutting or abrad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9/00Materials for catheters, medical tubing, cannulae, or endoscopes or for coating catheters
    • A61L29/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lubricating compositions
    • A61L29/16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e.g. therapeu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11Multiple balloon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18Balloon inflating or inflation-control devices
    • A61M25/10181Means for forcing inflation fluid into the balloon
    • A61M25/10182Injector syri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893Material properties pharmaceutically effect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22051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an inflatable part, e.g. balloon, for positioning, blocking, or immobilisation
    • A61B2017/22054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an inflatable part, e.g. balloon, for positioning, blocking, or immobilisation with two ballo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22051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an inflatable part, e.g. balloon, for positioning, blocking, or immobilisation
    • A61B2017/22065Functions of ballo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6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al physical form
    • A61L2300/64Animal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02Balloon catheters characterised by balloon shape
    • A61M2025/1004Balloons with folds, e.g. folded or multifold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025/1043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 A61M2025/105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having a balloon suitable for drug delivery, e.g. by using holes for delivery, drug coating or membr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025/1043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 A61M2025/1056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having guide wire lumens outside the main shaft, i.e. the guide wire lumen is within or on the surface of the ballo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025/1043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 A61M2025/1086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having a special balloon surface topography, e.g. pores, protuberances, spikes or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9Body tissu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경피적 접근을 통해 순환계에 도입되고, 혈관 손상 또는 중재 부위에 전달되는, 세포 요법의 전달을 위한 방법 및 장치.

Description

세포 요법의 전달을 위한 방법 및 장치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9년 9월 2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가출원 제62/894862호에 대해 35 U.S.C. §119(e)에 따른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 기초 출원의 개시내용은 그 전체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원용되며 본 명세서의 일부가 된다. 본 출원과 함께 제출되는 출원 데이터 시트에서 확인되는 해외 또는 국내 우선권 주장에 대한 임의의 및 모든 출원은 37 CFR § 1.57에 따라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원용된다.
심혈관계 질환은 전세계적으로 사망의 주요 원인이다. 죽상동맥경화증은 주요 관상 동맥의 폐색 증상을 유도하여 협심증 또는 심근 경색을 초래할 수 있다. 가장 일반적인 치료법에는 우회 수술, 죽종절제술 및 스텐트 삽입과 결합한 풍선 혈관성형이 포함된다. 내막 과증식은 죽종절제술, 혈관성형 및 스텐팅의 가장 일반적인 실패 유형이다. 이 주된 문제는 모든 경피적 관상 동맥 중재술 이후에 발생하여 첫 해 안에 15 내지 30%의 높은 비율로 관련 관상 동맥의 재협착을 초래한다. 내막 과증식은 내막 공간으로 이동하는 혈관 평활근 세포의 축적과 세포외 기질 물질의 침착으로 이루어진다. 결과적으로 말단 기관의 허혈과 함께 영향을 받는 혈관의 내강 직경이 감소한다. 유병률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수많은 장치와 치료법에서 재협착을 예방하기 위해 내막 과증식의 원인을 치료하는 것의 중요함은 분명하다.
초기의 치료에는 스텐트의 발달로 혈관성형 후 내막 과증식으로 인한 재협착을 예방하려는 시도가 포함되었다. 이 치료는 스텐트 구멍을 통해 성장하는 내막 과증식으로 인해 실패하였다. 이후 이를 예방하기 위해 커버드 스텐트가 개발되었지만, 커버드 스텐트의 말단에서 내막 과증식이 발생하여 재협착을 유발하였다. 보다 최근에는 내막 과증식 과정의 특정 단계 또는 요인을 해결하기 위한 치료법이 시도되었다. 이 치료법이 충분히 성공하지 못한 것은 일반적으로 내막 과증식의 발생과 관련된 복잡한 기작과 효과적인 치료 전달의 어려움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내막 과증식의 원인에는 전단 응력 및 벽 인장 응력과 같은 혈류역학적 요인, 내피 박리 및 내측 찢김을 포함한 손상, 염증 및 유전적 요인이 포함된다. 이러한 원인 각각은 복잡한 경로와 다양한 세포 및 화학적 매개체를 포함한다. 특정 경로에서 특정 단계 또는 세포를 표적으로 하거나 초기 원인을 최소화하여 내막 과증식의 발생을 감소시키는 것을 시도하기 위한 수많은 약물 요법이 개발되었다.
내막 과증식을 줄이기 위한 현재의 치료법은 약물 용출 스텐트 및 약물 용출 혈관성형 풍선의 사용을 포함한다. 이들 스텐트 및 풍선 중 일부는 혈관성형 또는 중재술 부위와의 직접 접촉에 의해 스텐트 또는 풍선으로부터 전달되는 다양한 약물로 코팅된다. 다른 것들은 혈관벽 근처에서 약물의 방출을 허용한다. 이때 약물은 혈관 조직과 접촉하고 치료 부위의 폐색 재발 가능성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비대성 흉터 반응(내막 과증식)에 대한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
혈관에 약물을 전달하기 위한 장치의 몇 가지 예시가 있다. 이들 중에는 Wolinsky 등의 미국 특허 제5,087,244호; Hanson 등의 미국 특허 제5,985,307호; 및 Lary 등의 미국 특허 제7,985,200호가 있으며, 이들 각각은 그 전체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원용된다.
다른 중요한 혈관 질환 상태는 파열 동맥류이며, 이는 전세계적으로 사망의 주요 원인이다. 현재, 치료법은 외과적 절제 또는 제거이며, 이 질환의 예방 또는 방지를 위한 의료 요법은 없다. 동맥류 질환의 병태생리학은 상당한 염증 성분을 갖는 동맥 변성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염증 과정은 동맥벽 및 혈관외막주위 지방 및 조직의 주위에서 발생한다.
지방-유래 줄기 세포의 제조 및 사용에 관한 일부 양상이 Fraser 등의 미국 특허 제8,691,216호 및 Fraser 등의 미국 특허 제9,198,937호에 기술되어 있으며, 여기서 줄기 세포는 풍선이 장착된 카테터를 통해 전달되어 상처 및 간 손상의 치유를 촉진하기 위해 사용된다.
최근에 혈관 외부로부터 혈관성형-유발 동맥 손상 부위에 줄기 세포를 도입하여 내막 과증식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줄기 세포 요법은 동맥류에 대한 후보 의료 요법이 될 수 있다고 믿어진다. 현재 동맥류 질환의 치료에 이용가능하거나 적합한 세포 요법을 위한 전달 시스템은 없다. 영향을 받는 동맥벽의 취약성은 치료 시 동맥류 조직의 조작 위험이 있는 요법 전달을 위한 특별한 어려움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세포 현탁액이 치료가 필요한 조직의 매우 가까이에 직접 전달될 수 있고, 경피적 접근법을 사용하여 순환계를 통해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법이라면, 줄기 세포 요법은 다른 질환 상태에 대한 의료적 치료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고 믿어진다.
이러한 유형의 적용을 위해 혈관의 내강에 세포 요법을 전달하기 위한 장치는 개발되거나 상업화되지 않았다. 현재의 약물-코팅 중재적 장치 및 세포 요법 사이의 차이점은 줄기 세포가 생존하기 위해 신선하게 준비되어야 하고 현탁액 상태로 유지되어야 한다는 것이다(중재적 기기상에 코팅되고 보관을 위해 건조 상태로 유지되는 것과 반대). 추가적인 차이점은 줄기 세포(및 다른 세포 현탁물)가 약물 분자와 비교하여 크기가 크며, 절차가 완료된 후 혈관을 통한 혈액의 흐름에 의해 중재 부위로부터 씻겨나간다는 것이다. 따라서, 적절하게 준비된 신선한 줄기 세포 또는 비-줄기 세포의 현탁액을 중재 부위에 전달하고 유지시키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경피적 접근법을 통해 순환계에 도입되고, 혈관 손상 또는 중재 부위 또는 조직 주위에 전달되는, 세포 및 비-세포 기반 요법, 약물, 성장 인자 등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 치료제의 전달을 위한 방법 및 기기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다. 세포 현탁물은 혈관의 내강 안으로부터 내막, 내막하 공간, 매체, 외막 또는 외막주위 공간으로 또는 인접한 혈관의 내강 안으로부터 동맥주위 조직 및 지방으로 전달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시스템 및 방법은, 혈관성형 이후 내막 과증식을 줄이기 위한 혈관 내피 아래의 중간엽 줄기 세포(MSC) 요법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 줄기 세포 요법을 전달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중간엽 줄기 세포(MSC) 및/또는 간세포 또는 전구세포는, 골수, 골격근, 치수, 뼈, 탯줄, 양수 및 지방 조직과 같은 다양한 조직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MSC 요법은 기질 혈관 분획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MSC는 임의의 수의 줄기 세포, 중간엽 줄기 세포, 골수 기질 세포, 다분화능 기질 세포 및/또는 다분화능 줄기 세포를 포함할 수 있고, 다양한 성체 조직으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MSC는 와튼 젤리(Wharton's jelly)로부터 분리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MSC는 iPS 세포로부터 유래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MSC는 자가유래의, 동종의, 조작되지 않은 성체 MSC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시스템 및 방법은, 프로토콜 당일 동결보존 및 해동될 수 있는 동종 계대 2 BM-MSC를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 골수 중간엽 줄기 세포(BM-MSC)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요법은 임의의 수의 자가유래 골수 흡입물; 골수 유래 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 브라이트 세포(aldehyde dehydrogenase bright cell: ALDHbr); 골수 MSC CD34+ 및 골수 유래 내피 전구 세포의 조합; 인간 태반 세포(예를 들어, Pluristem의 PLX-PAD 및 Celularity Inc.의 PDA-002) 및/또는 자궁내막 재생 세포(ERC)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동종 골수 MSC의 한 가지 장점은 동결보존된 세포가 임의의 프로토콜 전에 준비될 수 있고 신선한 자가유래 지방 기질 혈관 분획을 수득하고 준비하기 위해 2차 수술 절차를 수행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풍선과 같은 팽창 부재를 포함하는 카테터 상의 배치 여부에 상관없이, 요법을 전달하기 위해 겔폼(gel foam)이 이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시스템 및 방법은 세포-기반 요법을 포함하지만, 약물은 포함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시스템 또는 방법은 항-종양제, 예를 들어 파클리탁셀과 같은 임의의 약물을 포함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풍선과 같은 팽창 부재는 항-종양제, 예를 들어 파클리탁셀과 같은 임의의 약물로 코팅되지 않거나 달리 이를 포함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방법은 표적 혈관에 접근하는 단계; 혈관성형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및 혈관 손상 부위에 치료제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세포 전달부가 응력 집중 요소와 함께 위치하는 경우, 요법은 치료가 더 많이 필요한 부위에 우선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시스템 및 방법은 종래의 스코어링(scoring) 풍선 또는 다른 풍선의 구조적 특징 및/또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풍선 카테터는 내막하 조직에서 긍정적인 리모델링을 촉진하기 위해 표적 병소에 직접적으로 세포-기반 요법(예를 들어, 자가유래 지방 기질 혈관 분획 또는 자가유래/2 계대 배양된 동종 골수 중간엽 줄기 세포를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음)을 전달하기 위해 신체 내강, 예를 들어 말초 동맥 혈관 구조에 사용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내막 과증식은 동맥벽 내부의 손상에 대한 반응이다. 다양한 약물(파클리탁셀)의 사용은 염증 반응 및 평활근 세포의 증식을 감소시킴을 보였다. 방출되는 약물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고 상처 치유 과정에서 짧은 시간 내에서만 효과적일 수 있다.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일부 실시형태에서, 성체 중간엽 세포-기반 접근법은 내막 과증식 반응 조절에 대해 약학적 접근법보다 우수할 수 있다. 생존가능한 면역조절 줄기 세포를 동맥벽으로 직접 전달하는 것은 일부의 경우 약물보다 더 길게 지속되는 항-염증 및 재생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중간엽 줄기 세포는 항-염증성 인자, 성장 인자 및 세포 신호전달 인자를 분비한다. 손상된 동맥벽이 치유됨에 따라, 면역조절 및 재생에 대한 요구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하고 보유된 줄기 세포가 유리하게 반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전달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a는 하나 이상의 구조로 감싸질 수 있는 팽창가능한 의료용 풍선과 같은 팽창 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 넓은 관이 사용될 수 있는 경우, 개구부 또한 흐름의 개선을 위해 더 넓어질 수 있다.
도 2c에 나타난 바와 같이, 관은 개구부 주위의 융기된 테두리 및/또는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되는 작은 바늘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a는, 요법적 주사를 위한 더 많은 시간을 허용하기 위해, 치료되는 혈관을 통한 지속적인 혈류를 유리하게 허용할 수 있는 관통형 비-폐색성 풍선의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3b는 팽창된 풍선의 엽(lobe)이 내강벽과 접촉하는 구멍 또는 관통 부재(예를 들어, 스파이크 또는 바늘)를 갖는 다중-엽 풍선의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4a는 표적 내강 부위에 예를 들어 줄기 세포 요법과 같은 치료제를 전달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b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 장치는 치료제(예를 들어, 줄기 세포 혼합물)가 표적 치료 영역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줄기 세포가 혈관벽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예를 들어 장치의 근위(proximal) 및/또는 원위(distal) 말단에 장벽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a는 외부 풍선 및 내부 풍선을 포함하는 전달 장치의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b는, 구멍, 조임 구멍(비어 있고 닫힌 이완된 상태에서 압력 하에 열려 있고 꽉찬 상태로 변형될 수 있음) 및/또는 직선 또는 곡선(나선형 포함)의 기하학적 구조를 가질 수 있는 스파이크 주사 바늘을 포함하는, 외부 풍선의 전달 특징부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팽창 부재 및 팽창 부재에 부착되고 주입관을 고정하도록 구성된 패드를 포함하는 전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a 내지 도 7b는 외부 풍선 및 내부 풍선을 포함하는 풍선-내-풍선 장치의 도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a 내지 8c는 팽창 부재 주위를 나선형으로 감쌀 수 있는 전달관의 도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는 예를 들어 주입 과정 중에 세포 주입관이 고정되어 있는 임의의 구성에 이용될 수 있는 전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주입관이 풍선에 대해 고정되지 않지만 사용자에 의해 원하는 방향, 예를 들어 근위 방향 또는 원위 방향으로 당겨질 수 있는 전달 장치의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1은 주입관이 예를 들어 스텐트-유사 자가-팽창 케이지와 같은 통합 구조에 의해 고정되고 조직화되는 전달 장치의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포팅된 주입관의 집합체가 먼저 가이드와이어를 통해 전달되는 전달 장치의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3a 내지 도 13b는 하이포튜브(hypotube)가 양쪽 말단에서 완전한 관으로 결합되는 여러 부분으로 나뉘어져 주입 내강이 생성되는 전달 장치의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4a 내지 도 14b는 세포 주입관이 유연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는 전달 장치의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5는 풍선이, 각각이 유연관에 싸여진, 아테로톰(atherotome)과 같은 커팅(cutting) 또는 스코어링(scoring) 요소를 가질 수 있는 전달 장치의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6은 내부 풍선이 혈관성형을 위한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되고 외부 풍선이 MSC 주입을 위한 내강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풍선-내-풍선을 포함하는 전달 장치의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7a 내지 도 17b는 혈관벽을 마주 대할 때 열린 통로를 형성하는 곡선 단면을 갖도록 구성된 스코어링 요소를 포함하는 풍선을 포함하는 전달 장치의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8a 내지 도 18b는 치료제(예를 들어, MSC 현탁물)가 완전한 직경의 팽창된 풍선의 근위 말단에서 또는 근위 말단의 가까운 곳에서 전달될 수 있고 스코어링 요소에 의해 생성되는 통로에 의해 전체 병소 길이를 따라 분배될 수 있는, 위에 기술된 도 17a 내지 도 17b의 것과 유사해질 수 있는 전달 장치의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9a 내지 도 19b는 주입관이 풍선에 결합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중심을 통과하는 와이어와 같은 기다란 구조에 의해 방사상으로 배향되고 구속되는 전달 장치의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0은 치료제, 예를 들어 MSC가 풍선 주름 아래 공간에 사전 적재될 수 있는 전달 장치의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1은 레이저 컷(laser cut) 하이포튜브로 만든 단일 팽창 내강을 포함하는 전달 장치의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2는 이중 팽창 부재를 포함하는 전달 장치의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3a 내지 도 23b는 전달 장치의 실시형태 및 주사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구멍 또는 연속적인 홈을 갖는 하나 이상의 관을 표면 상에 갖는, 풍선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 팽창 부재가 본 명세서에 기술된다. 팽창되어 플라크 층을 파괴하면, 세포 현탁물이 관을 통해 구멍(또는 홈)에서 혈관벽으로 흘러서 유입된다. 일부 실시형태는 팽창 중에 혈류를 허용하는 중앙 통로가 장착될 수 있다. 세포가 현탁되는 매체는 생물학적으로 중성이거나 활성인 용액일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약물, 생물학적 제제 및 기타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개시된 비-제한적인 일 실시형태는 외부 표면(20) 상에 중공형 강성 스파이크(30)를 갖는 원환형 풍선(10)을 포함한다. 이 풍선은 치료 하에서 혈관에 경피적으로 접근하기 위해 종래의 카테터(도시하지 않음)에 부착되고 팽창되지 않거나 최소한으로 팽창된 상태로 혈관 내에 배치된다. 원환형 풍선의 내벽(25)은 풍선의 삽입 및 배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비교적 단단한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배치되면, 풍선은 압력 하에서 세포 현탁물의 도입에 의해 팽창될 수 있으며, 이는 풍선(10)을 팽창시키고, 중공형 강성 스파이크(30)를 플라크 층으로 그리고 플라크 층을 통해 움직이도록 하고, 현탁물을 스파이크(30)를 통해 플라크 및/또는 원하는 혈관벽의 구조로 전달한다. 이후 풍선(10)은 수축 및 철수되어 줄기 세포를 뒤에 남겨두지만, 줄기 세포는 혈류에 휩쓸려나가는 것으로부터 보호된다. 풍선(10)은 원환형이므로, 치료 중 혈관을 통한 혈류가 결코 중단되도록 하지 않는다.
대안적인 실시형태(도시하지 않음)에서, 풍선(10)은 구형 또는 길쭉한 형태이지만, 원환형이 아니어서, 팽창한 동안, 치료 중 혈관을 통한 혈류를 방해할 수 있다. 풍선(10)은 선택적으로 근위 및 원위 말단의 환형 플랜지(flange)(도시하지 않음)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이 플랜지는 혈관벽과 맞물려 혈관벽과 외부 표면(20) 사이의 혈류를 방지하는 대신 원환체를 통해 혈류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도 2a는 하나 이상의 구조(42)로 감싸질 수 있는 팽창가능한 의료용 풍선과 같은 팽창 부재(4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감싸진 풍선은 와이어 대신 구멍이 있는 중공형 관(42)이 있을 수 있다는 점에서 스코어링 풍선과 다를 수 있다. 관(42)은 금속 또는 다른 원하는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관(42)은 원형, 반원형(예를 들어, 반달형) 또는 평평한 기하학적 구조를 포함하는 다양한 단면의 내강을 포함할 수 있다. 중공형 관은 풍선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다양한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사선/나선으로 감싸거나, 도시한 바와 같이 풍선의 길이방향 축으로 정렬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중공형 관은 풍선의 길이방향 축을 가로질러 배치될 수 있다. 팽창 부재(40)는 풍선 내강을 갖는 풍선일 수 있다. 관(42)을 위한 별도의 주사 포트가 있을 수 있다. 팽창 부재(40)와 하나 이상의 구조(42) 사이의 비율은 달라질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 넓은 관(42)이 사용되는 경우, 혈류 개선을 위해 구멍 또한 더 넓어질 수 있다. 도 2의 비교는 개선된 흐름을 위한 더 넓은 구멍을 갖는 우측의 더 넓은 관(42)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구멍은 길어질 수 있고 다른 치수(예를 들어, 길이)의 것보다 큰 치수(예를 들어, 너비), 예를 들어 제1치수에 비해 제2치수에서 약 또는 적어도 약 10%, 25%, 50%, 75%, 100% 이상 더 큰 치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42)은 구멍 주위의 융기된 테두리 및/또는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되는 작은 바늘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a는 요법적 주사를 위한 더 많은 시간을 허용하기 위해, 치료되는 혈관을 통한 지속적인 혈류를 유리하게 허용할 수 있는 관통형 비-폐색성 풍선의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3a는 혈관벽(V)을 도시한다. 혈관벽 안에는 열린 중앙관(44), 내부 풍선(46) 및 스파이크형 또는 다공성 외부 풍선(48)이 배치된다. 전달 장치는 내부 카테터/관(44) 및 외부 팽창 부재, 예를 들어 다층 풍선(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은 이중 내강 풍선(46, 48))를 포함할 수 있다.
풍선(46, 48)은 개방 상태 및 신체 내강과의 유체 소통을 유지하여 흐름(예를 들어, 혈류)을 허용하는 내부관(44)에 장착될 수 있다. 외부 풍선(48)은 구멍(예를 들어, 조임 구멍) 및/또는 관통 부재(예를 들어, 스파이크 또는 바늘)와 같은 전달 도관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 부재는 관통하는 도관을 포함할 수 있다. 전달 장치는 치료제(예를 들어, 줄기 세포 혼합물 및/또는 약물 단독)의 전달을 달성할 수 있거나, 별도의 혈관성형 풍선을 필요로 하지 않도록 혈관성형 절차 및 치료제의 전달 모두를 달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3b는 팽창된 풍선의 엽(lobe)이 내강벽(V)과 접촉하는 구멍 또는 관통 부재(예를 들어, 스파이크 또는 바늘)를 갖는 다중-엽 풍선(50)의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다중-엽 풍선(50)은 임의의 수(예를 들어, 2, 3, 4, 5, 6 또는 전술한 수치의 임의의 범위)의 엽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엽은 임의의 수의 구멍 또는 관통 부재(예를 들어, 0개의 구멍, 1개의 구멍, 2개의 구멍, 3개의 구멍, 0개의 관통 부재, 1개의 관통 부재, 2개의 관통 부재, 3개의 관통 부재 또는 전술한 수치의 임의의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a는 표적 내강 부위에 예를 들어 줄기 세포 요법과 같은 치료제를 전달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전달 장치(60)는 혈관성형 후 혈관성형 부위에 배치될 수 있다(또는 대안적으로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전달 장치(60)는 혈관성형 및 치료제 전달을 모두 수행할 수 있음). 이후 치료제(62)가 내강으로 주사될 수 있고 그 다음 전달 장치가 제거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치료제(62)는 줄기 세포 혼합물 또는 약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도 4b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터(60)는, 치료제의 전달을 위해 외측으로, 예를 들어 방사상 외측으로, 혈관벽으로 움직이고, 치료제의 전달 후 제거를 위해 내측으로, 예를 들어 방사상 내측으로 움직이는 바늘(64)을 포함할 수 있다. 바늘(64)은 나사 메커니즘, 예를 들어 나사의 홈을 따라 회전하는 메커니즘을 통해 외측 및 내측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전달 장치는 내강벽에 접촉하여 치료제(예를 들어, 줄기 세포 혼합물)를 전달하기 위해 융기된 모서리 또는 플랜지가 있거나 없는, 그렇지 않으면 크랭크를 돌리거나 작동시켜 개방하는 구멍을 갖는 카테터를 포함한다.
도 4b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 장치(60)는 치료제(62)(예를 들어, 줄기 세포 혼합물)가 표적 치료 영역 밖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줄기 세포가 혈관벽으로 움직이는 것을 허용하도록, 예를 들어 장치의 근위 및/또는 원위 말단에, 장벽(66)을 포함할 수 있다. 장벽(64)은 예를 들어 팽창가능한 고리와 같은 팽창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a는 외부 풍선(72) 및 내부 풍선(74)을 포함하는 전달 장치(70)의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외부 풍선(72)은 내강벽과 접촉하는 측면 영역에 집중된 작은 구멍, 조임 구멍 및/또는 스파이크형 바늘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풍선(74)은 혈관성형을 완료하기에 충분한 압력을 제공하기 위해 예를 들어 생리식염수와 같은 매체로 채워지고, 이후 부분적으로 이완될 수 있다. 줄기 세포 혼합물(예를 들어, 기질 혈관 분획)이 외부 풍선으로 주입되고 이후 줄기 세포 혼합물을 배출하기 위해 내부 풍선이 가압될 수 있다. 약물과 같은 다른 치료제 또한 같거나 유사한 방식으로 전달될 수 있다. 도 5a는 서로 다른 외부 풍선(72)을 갖는 전달 장치(70)의 두 가지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5b는, 구멍, 조임 구멍(비어 있고 닫힌 이완된 상태에서 압력 하에 열려 있고 꽉찬 상태로 변형될 수 있음) 및/또는 직선 또는 곡선(나선형 포함)의 기하학적 구조를 가질 수 있는 스파이크형 주사 바늘을 포함하는, 외부 풍선(72)의 전달 특징부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조임 구멍에 대해 좌측에는 비어 있는 상태, 우측에는 압력 하에서 채워진 상태를 더 구체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팽창 부재(82) 및 팽창 부재(82)에 부착되고 주입관(86)을 고정하도록 구성된 패드(84)를 포함하는 전달 장치(8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주입관은 하이포튜브(hypotube)일 수 있다. 패드(84)는 유연할 수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 부재(82)의 외부 표면과 맞추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접착제를 통해 풍선에 부착될 수 있다. 패드(84)는 관통하는 주입관(86)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일련의 아일렛(eyelet)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주입관이 풍선(82)에 직접 부착되지 않고서도 풍선(82) 상에 구속 및 배향되는 이점을 허용할 수 있다. 패드(84)는 풍선(82)에 강하게 부착되도록 비교적 넓은 표면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스프링클러 또는 주입관(86)은 결합되지 않는다.
도 7a 내지 도 7b는 외부 풍선(92) 및 내부 풍선(94)을 포함하는 풍선-내-풍선 장치(90)의 도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내부 풍선(94)은 혈관성형을 위한 충분한 압력을 제공할 수 있고 내부 풍선(94)과 외부 풍선(92) 사이의 공간(96)은 세포를 전달하기 위한 고리형 내강으로서 사용된다. 외부 풍선(92)에 부착된 구멍 뚫린 응력 집중부(예를 들어, 구멍 또는 바늘)는 세포가 풍선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혈관벽으로 이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풍선-내-풍선 장치(90)는 가이드와이어 내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a 내지 8c는 팽창 부재(102) 주위를 나선형으로 감쌀 수 있는 전달관(100)의 도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관(100)은 실질적으로 직선형일 수 있거나, 시스템의 전체 직경을 줄이기 위해 전달 중에 더 조밀한 나선형으로 감길 수 있고, 표적 병소에 도달한 후 확장된 코일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형상 기억 물질, 예를 들어 니티놀과 같은 고탄성의 사전 설정된 물질로, 또는 중앙 토크-저항성 샤프트에 대해 전달관의 한쪽 말단을 회전시켜 달성할 수 있다. 전달관(100)의 코일을 개방하기 위해 전달관(100)에 부착된 손잡이(104)가 회전될 수 있다. 토크 저항성 샤프트(106)가 존재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토크 저항성 샤프트(106)는 팽창 부재(102)의 회전을 방지한다. 전달관(100)은 라이닝된(lined) 레이저 컷 니티놀 형상 세트일 수 있다. 전달관(100)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으로 전달될 수 있다.
도 9는 예를 들어 주입 과정 중에 세포 주입관이 고정되어 있는 임의의 구성에 이용될 수 있는 전달 시스템(11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치료 부위의 길이에 따라 일정한 부피의 세포를 전달하기 위해, 세포 전달관은 점진적인 크기의 구멍(112)(예를 들어, 각각의 연속적인 구멍의 크기/직경이 증가하는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각 구멍 형성 이후 관 내부 압력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압력이 더 높은 근위에 더 작은 구멍을 갖고 압력이 더 낮은 원위에 더 큰 구멍을 가지면 세포의 더 고른 분포를 초래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주입관(122)이 풍선(124)에 대해 고정되지 않지만 사용자에 의해 원하는 방향, 예를 들어 근위 방향 또는 원위 방향으로 당겨질 수 있는 전달 장치(120)의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치료 순서는 표적 치료 부위(예를 들어, 풍선의 채워진 직경 부분)의 원위 말단에 정렬된 주입관의 원위 말단에서 시작할 수 있다. 풍선이 팽창된 후, 주입관(122)은 원위 말단에서 세포를 배출하면서 근위로 당겨질 수 있다. 주입관(122)의 방향은 풍선(124)에 부착된 아일렛 또는 풍선(124)의 원위 말단에 부착된 주입관(122)을 관통하는 와이어(126)로 유지될 수 있다. 관(122)은 혈관벽으로 직접 세포를 흐르게 하는 개방된 원위 말단 또는 측면 포트를 갖는 막힌 원위 말단을 가질 수 있다. 플런저(128)를 전진시키는 동작은, 예를 들어 랙(rack)과 피니언(pinion)과 같은, 기계적 수단을 통해 주입관(122)을 근위로 당기는 동작과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주입관(122)은 세포를 퍼트리기 위해 뒤로 당겨질 수 있다. 주입관(122)의 확대도는 흐름 방향이 말단 유출 또는 측면 유출을 포함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와이어(126)는 방향을 잡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아일렛은 주입관을 가이드하기 위해 이용된다. 플런저(128)의 전진은 주입관의 후퇴를 유도할 수 있다.
도 11은 주입관(132)이 예를 들어 스텐트-유사 자가-팽창 케이지(134)와 같은 통합 구조에 의해 고정되고 조직화된 전달 장치(130)의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전달 중 프로파일을 줄이기 위해, 풍선(136)은 주입 케이지(134)에 대해 동축이지만 원위일 수 있다. 표적 병소에 도달한 후, 풍선(136)은 주입 케이지(134)로 들어가서 이 안에서 팽창될 수 있다. 케이지(134)는 스텐트-유사 팽창 버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지(134)는 외부 직경 상의 크기를 최소화하기 위해 풍선(136)의 뒤를 따른다. 풍선(136)은 화살표 방향으로 스텐트 연결 스프링클러 케이지(134)로 들어간다. 케이지(134)는 하나 이상의 구멍 또는 관통부를 통해 주입 물질을 퍼뜨릴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포팅된 주입관(142)의 집합체가 먼저 가이드와이어를 통해 전달되는 전달 장치(140)의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집합체는 예를 들어 2개, 3개, 4개, 5개 또는 이를 초과하는 주입관(142)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풍선(144)은 치료 중 풍선과 함께 집합체를 일치시키기 위해 도킹 메커니즘을 위한 가능성을 갖고 집합체의 내부로(예를 들어, 방사상 내측으로) 전달될 것이다. 다단계 전개의 개념은 일부 실시형태에서 임의의 특정 절차 단계 중 주어진 외피 또는 병소 부분 단면을 통해 전달되어야 하는 물질의 양을 줄여 전체적 추적성 및 장치의 프로파일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2c는 포팅된 집합체(142)가 가이드와이어(146)을 통해 사전-전개되고 이어서 포팅된 집합체(142) 내부의 가이드와이어(146)를 따라 풍선 카테터(144)가 전달될 수 있는 별도의 전개 단계를 보여준다. 포팅된 집합체(142)는 포트를 포함하고 이 포트를 통해 주입관(142)이 연장될 수 있다. 포팅된 집합체는 주입관(142)의 연결을 허용하는 임의의 구조일 수 있다.
도 13a 내지 도 13b는 하이포튜브(152)가 양쪽 말단에서 완전한 관으로 결합되는 여러 부분(154)으로 나뉘어져 주입 내강이 생성되는 전달 장치(150)의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예를 들어, 관(152)은 120도로 나뉘어 배열된 3개의 반월형 분절 또는, 2, 4, 5, 6, 7, 8, 9, 10 또는 이를 초과하는 것과 같은, 다른 수의 분절을 포함할 수 있다. 풍선(156)은 분절들(154)의 내부에 배치 및 안착될 수 있고 하이포튜브 분절(154)의 모서리를 밀봉하는 유연 패드(compliant pad)(158)를 가질 수 있다. 유연 패드(158)는 치료제, 예를 들어 MSC가 특정 위치에 스며 나오는 것을 허용하는 절개부를 가질 수 있다. 하이포튜브 분절(154)은 추가적인 MSC 전달을 위한 구멍을 가질 수 있다. 패드(158)는 유연 밀봉층을 가질 수 있다. 장치는 표적 삼출을 허용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분절(154)은 풍선(156)에 대한 길이를 연장할 수 있다. 분절(154)는 양쪽 말단에서 완전한 원형 하이포튜브(152)가 되도록 재결합할 수 있다. 완전한 관(152)은 근위 말단으로 이동한다. 완전한 관(152)은 원위 말단으로 이동한다.
도 14a 내지 도 14b는 전달을 위해 평평하게 눕혀지지만 이후 풍선 팽창 전에 치료제, 예를 들어 MSC로 팽창될 수 있도록 세포 주입관(162)이 유연 물질(예를 들어, 얇은 벽 PET, 열 수축 물질, ePTEE 등)로 만들어질 수 있는 전달 장치(160)의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주입관은 MSC의 방출을 허용하도록 치료제의 전달을 허용(예를 들어, 특정 압력에서 파열)하는 특징(예를 들어, 포팅되거나 스코어링된 특징)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주입관(162)은 풍선 팽창으로 인한 배압에 의해 MSC 현탁물이 근위쪽으로 힘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플런저, 밸브 또는 다른 요소로 근위부가 채워질 수도 있다. 주입관은 전달 중 풍선 표면에 맞추어질 수 있고, 이후 풍선이 팽창하기 전에 MSC를 사용하여 파선 프로파일로 팽창할 수 있다. 내강은 표적 압력에서 파열되도록 포팅되거나 스코어링될 수 있다. 플런저(164)는 배압에 대해 MSC 현탁물을 채우고 지지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MSC 현탁물은 전달 내강 내부에 존재한다.
도 15는 풍선(172)이, 각각이 유연관(176)에 싸여진, 아테로톰(atherotome)과 같은 커팅(cutting) 또는 스코어링(scoring) 요소(174)를 가질 수 있는 전달 장치(170)의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관(176)은 전달을 위해 평평하게 놓일 수 있지만, 풍선 팽창 후 치료제, 예를 들어 MSC가 주입될 수 있다. 관(176)은 내장된 천공을 갖거나, 풍선 팽창의 힘에 의해 스코어링 요소(174)가 관을 뚫어 주입 포트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스코어링 요소(174)는 단일 직선형 모서리를 갖거나 팽창관의 예측가능한 천공을 야기할 수 있는 일련의 첨단 또는 높은 부분을 가질 수 있다. 도 15는 다중-모서리 형식의 스코어링 요소(174)(상단 부근)를 보여준다. 아테로톰은 삭(sock) 또는 유연관(176)을 뚫어 전달 영역을 생성한다. 삭 또는 유연관(176)은 다중-모서리 형식 부근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가압화될 수 있다. 도 15는 스코어링 요소(174)의 단일 모서리 형식을 보여준다(하단 부근). 삭 또는 유연관(176)은 하단 좌측 스코어링 요소(174) 부근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화될 수 있다. 혈관벽(V)이 도시된다. 줄기 세포와 같은 물질은 삭 또는 유연관(176)으로부터 흐를 수 있다.
도 16은 내부 풍선(182)이 혈관성형을 위한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되고 외부 풍선(184)이 MSC 주입을 위한 내강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풍선-내-풍선을 포함하는 전달 장치(180)의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외부 풍선(184)은 내부 풍선에 꼭 맞는 탄성 슬리브 또는 반유연성 풍선일 수 있다. 유연성을 위해 레이저 커팅(예를 들어 나선형 커팅)된 하이포튜브와 같은, 두 개의 풍선 사이의 환형부 안의 추가 요소는 플라크를 부수고 MSC를 포함하는 치료제가 풍선의 길이를 따라 흐르도록 틈을 생성하는 응력 집중부를 제공할 수 있다. 외부 풍선(184)은 하이포튜브 지지부를 가질 수 있고 나선형 커팅부를 가질 수 있다.
도 17a 내지 도 17b는 혈관벽을 마주 대할 때 열린 통로를 형성하는 곡선 단면을 갖도록 구성된 스코어링 요소(194)를 포함하는 풍선(192)을 포함하는 전달 장치(190)의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곡선 단면은 일부의 경우에 일반적으로 풍선의 일반적인 곡선과 반대일 수 있다. 치료제, 예를 들어 MSC 현탁물은 이후 팽창된 풍선에 대한 근위부로 전달될 수 있다. 전달 장치(190)는 MSC 전달 내강 출구부(196)를 포함할 수 있다. 혈관벽(V)이 도시된다. MSC 현탁물은 팽창된 풍선(192)에 대한 근위부로 전달될 수 있고, 이후 혈류에 의해 스코어링 요소(194)의 통로를 통해 조직으로 운반될 수 있다.
도 18a 내지 도 18b는 치료제(예를 들어, MSC 현탁물)가 완전한 직경의 팽창된 풍선(202)의 근위 말단에서 또는 근위 말단의 가까운 곳에서(예를 들어, 팽창 포트를 통해) 전달될 수 있고 스코어링 요소(204)에 의해 생성되는 통로에 의해 전체 병소 길이를 따라 분배될 수 있는, 위에 기술된 도 17a 내지 도 17b의 것과 유사해질 수 있는 전달 장치(200)의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스코어링 요소(204)는 레이저 용접될 수 있다. 스코어링 요소(204)는 전달 포트의 길이를 따라 스캘럽화될 수 있다. 혈관벽(V)이 도시된다.
도 19a 내지 도 19b는 주입관(212)이 풍선(214)에 결합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중심을 통과하는 와이어(216)와 같은 기다란 구조에 의해 방사상으로 배향되고 구속되는 전달 장치(210)의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와이어(216)는 원위 카테터 끝부분(218)에 모아지고 통합될 수 있다. 중앙 와이어 대신, 주입관(212)은 와이어와 유사하게 원위 카테터 끝부분(218)에서 조직화 및 모아질 수 있는 원위 말단 상의 롱 테일 커팅부(long tail cut)를 가질 수도 있다. 주입관(212)은 PET 열 수축과 같은 적절한 물질로 덮거나 다중-내강 압출을 통해 통과시켜 근위 샤프트를 따라 조직화될 수 있다. 전달 프로파일은 예를 들어 주입관을 풍선의 주름 안에 감싸서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는 또한 전달 중 주입관의 포트를 막는 혈전증의 발생 가능성을 낮추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원위 말단에서 와이어가 모이면 풍선 원뿔과 카테터 끝부분에 통합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주입관(212)의 여러 포트 집합체는 별개의 전달 내강을 가질 수 있다. 포팅은 점진적이고/점진적이거나 흐름 균형화될 있다. 감싸는 것을 통해 내강을 근위로 모으고 조직화할 수 있다. 도 19b는 풍선 덮개 또는 주름과 주름진 풍선(214)으로 겹쳐져 최소화된 포트 프로파일을 보여준다. 풍선 원뿔(218)에서 모이는 원위 확장부를 갖는 단일 포트 또는 주입관(212)의 컷 프로파일 또한 도시된다.
도 20은 치료제, 예를 들어 MSC가 풍선 주름 아래 공간에 사전 적재될 수 있는 전달 장치(220)의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풍선은 팽창될 때까지 세포를 제자리에 고정하는데 도움이 되는 텍스처(texture), 웰(well), 저장부 또는 다른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풍선이 팽창될 때까지 세포를 제자리에 고정하기 위해 풍선 주위에 얇은 필름이 있을 수 있으며, 이 필름은 풍선이 팽창되는 시점에 MSC 매체를 노출시키기 위해 우선적으로 파열될 수 있다. 전달 장치(220)는 팽창 직전 또는 팽창 중에 터지는 필름을 가질 수 있다. 풍선 상에 텍스처 또는 유지 구조가 있을 수 있다. MSC는 주름 안의 무용 용적 내에 사전-조제될 수 있다.
도 21은 레이저 컷 하이포튜브(232)로 만든 단일 팽창 내강을 포함하는 전달 장치(230)의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하이포튜브(232)는 꼬임 및 압쇄에 대한 저항성을 제공하면서 유연성을 개선하기 위한 점진적인 중단 나선 컷(progressive interrupted spiral cut) 패턴을 가질 수 있다. 하이포튜브(232)의 절단부는 열수축 PET와 같은 유연성 덮개(234)에 의해 근위적으로 밀봉될 수 있으며 세포 주입을 위한 포팅은 제한되지 않은 상태로 남을 수 있다. 레이저 컷 하이포튜브(232)는 허브까지의 길이 대부분에 대해 다른 관 또는 내강에 연결되는 짧은 원위 부분일 수도 있다. 하이포튜브(232)는 포팅 또는 구멍을 가질 수 있다. 하이포튜브(232)는 지지를 위한 테두리 강도를 제공하면서 유연성 및 추적성을 개선하는 관절연결형 컷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덮개부(234)는 하이포튜브(232)의 관절연결된 부분을 밀봉할 수 있다.
도 22는 이중 팽창 부재, 예를 들어 표적 치료 영역에 원위 및 근위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배치될 수 있는 풍선(242)을 포함하는 전달 장치(240)의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는 치료 기간 동안 치료제, 예를 들어 MSC를 함유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중 풍선 구조물은 격리된 영역에 줄기 세포를 전달하기 전에 밀봉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도 23a 내지 도 23b는 전달 장치의 실시형태 및 주사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치료제, 예를 들어 MSC 현탁물은 복수의 주입 내강(254)으로 분지되는 단일 주사기(252) 안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세포 용액은 저항이 가장 적은 주입 내강으로 우선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MSC 현탁물은 각각 단일 주입 내강(258)에 연결된 별도의 주사기들(256) 안에 고정될 수도 있다. 이는 같은 부피의 세포 현탁물이 각 주입 내강을 통해 주사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세 개의 주사기의 핸들은 세 개 모두가 같은 동작으로 작동되거나 힘이 너무 큰 경우 한 번에 하나씩 작동되도록 연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주사기의 통은 선형 또는 방사형 패턴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함께 작동되는 세 개의 플런저로 각 주입 내강에 동일한 부피가 주입되도록 할 수 있다. 세 개의 플런저는 선형 또는 방사형일 수 있다. 함께 작동시키기 위한 세 개의 방사형 플런저의 실시형태가 도시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팽창 부재는 세포 현탁물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 치료제를 혈관 및 혈관이 아닌 신체 내강(기관(trachea) 및 기관지와 같은 호흡기 내강, 식도, 위, 소장, 대장, 직장, 담도와 같은 위장관 내강, 요관, 방광 및 요도와 같은 요로 내강, 나팔관, 자궁 및 질과 같은 부인과 관(gynecological tract) 내강 및 기타)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원하는 해부학적 위치에 전달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혈관 신체 내강은 예를 들어 뇌 혈관계, 심장 혈관계 및 말초 혈관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내막 과증식의 치료 방법은 치료할 혈관 내 플라크층을 파괴하거나 뚫고, 줄기 또는 비-줄기 세포의 현탁물을 플라크 아래 내막, 내막하 공간, 중막, 외막 및/또는 외막 주위 공간에 전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시스템 및 방법은 감소된 신생내막 과증식 반응을 유도하기 위해 SVF를 직접 동맥벽으로 전달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플라크의 파괴는 혈관성형에서 일반적인 것과 같이 풍선의 팽창에 의한 것이거나, 혈관에 배치된 후 직경을 증가시키기 위한 스텐트-유사 장치의 압축과 같은 다른 기계적인 수단에 의한 것일 수 있다. 플라크의 파괴는 줄기 세포의 도입 이전 및 이와 별도로 풍선의 팽창과 같은 통상적인 수단에 의한 것이거나, 플라크를 파괴하고 이후 세포 현탁물을 도입하는 단일 장치에서 조합될 수 있다. 플라크의 관통은 혈관 안에 전달 장치가 배치된 이후 스파이크 또는 유사한 구조물에 의한 것일 수 있다. 다른 경우에, 파괴 또는 관통 후, 플라크층 및/또는 치료되는 혈관의 선택된 구조층 중 하나 이상으로 세포를 이동시키기 위한 적절한 압력 하에서 줄기 세포의 현탁물이 전달되며, 이들은 전달 장치가 제거된 후 그 곳에 남는다.
전달 장치의 다른 대안적인 실시형태(도시하지 않음)는 길이를 따라 간격을 두고 작은 구멍이 형성된 얇은 관이 나선형 또는 이중-나선형으로 배열된 것이다. 통상적인 스텐트와 유사하게, 장치는 카테터를 통해 혈관으로 삽입되고 원하는 대로 배치된다. 이후 직경을 늘리기 위해 함께 당겨져(원뿔 요소의 이동에 의해 이루어짐, 도시하지 않음), 플라크층을 파괴하고 플라크에 깊숙히 박히는데 사용된다. 대안적으로, 장치는 구속하는 외피로부터 자유로워질 때 또는 체온으로 가열될 때 팽창되는 기억 합금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후 카테터는 관으로 세포-기반 현탁물을 도입하기 위해 사용되고 이 현탁물은 작은 구멍을 통해 관을 벗어난다. 줄기 세포의 도입 이후, 장치는 길어져서 직경이 줄어들고, 혈관벽으로부터 분리되고, 카테터를 따라 철수된다.
또 다른 실시형태는, 혈관벽과 접촉하는 각 엽의 첨단부에 작은 구멍 또는 비어있는 스파이크를 갖는, 다엽 풍선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는, 플라크층과 현탁물 사이에 증가된 접촉 영역을 제공하기 위한, 세포 현탁물로 채워질 수 있는 통로로 획정되는 공간인, 엽 사이의 공간 안에 하나 이상의 구멍을 갖는, 다엽 풍선이다. 이 실시형태에서, 세포 현탁물을 담아 두고, 풍선의 중앙 비어있는 내강을 통해 또는 풍선의 외부 표면 상의 대체 통로를 통해 혈류를 유도하기 위해,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은, 환형 플랜지가 사용되며, 이 경우 환형 플랜지는 이러한 통로 또는 중앙 내강과 소통하는 구멍 또는 노치(notch)를 갖는다.
위에 기술된 각각의 풍선은 혈관벽에 전달되는 세포 현탁물과 분리 및 구별되는 유체를 사용하여 팽창되도록 설계된 다중-내강, 예를 들어 이중-내강일 수 있다.
동맥류 요법에 대한 중재의 경우,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세포 현탁물 전달 시스템은 정맥벽을 완전히 관통할 수 있으며 동맥류성 동맥벽에 직접적으로 보다는 주변 동맥 주위 조직 및 지방에 세포 요법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대부분의 동맥은 짝을 이루는 정맥에 인접해 있다. 세포 현탁물 전달 장치는 인접한 정맥을 통해 삽입되고 정맥에 전개된다. 전개 시, 장치 상의 빈 스파이크는 정맥벽을 통해 동맥류성 동맥 주변 조직으로 뚫고 들어간다. 세포 조제물이 스파이크를 통해 전달된 다음 장치가 회수 및 제거된다. 대안적으로, 세포 조제물은 정맥벽과 접촉하고 지지를 제공하도록 지시된 카테터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벽과 접촉하면, 하나 이상의 바늘 또는 스파이크가 전개될 수 있고 주사제가 동맥 주위 조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재료는 원하는 임상적 결과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이용할 수 있는 재료의 일부 비-제한적 실시예는 스테인리스 스틸 하이포튜브 및 와이어; 니티놀 하이포튜브 및 와이어; 열 수축 - PET, PTFE, FEP, Pebax; PTFE 라이너 - 구리 코어에 자유 압출 또는 증착; 나일론 또는 PET 풍선; 열가소성 압출물 - 단일 또는 다중-내강; 폴리이미드 튜빙; 및/또는 시아노아크릴레이트 및 UV 경화 접착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제한없이, 다음의 제조 기술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수의 특징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레이저 관 커팅; 기계적 구멍 드릴링; 니티놀 모양 설정; 압출; 리플로/열가소성 플라스틱 가열 설정; 열 결합/가열 스테이킹(staking); 풍선 성형; 주입 성형; 접착제 결합-시아노아크릴레이트, UV 경화 및 에폭시.
일부 실시형태에서, 풍선에서 분리된 세포 주입관이 있는 모듈식 시스템은 임상의가 선호하는 혈관성형 풍선을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주사기 펌프는 안정적인 주입 속도를 제공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실시형태에서는 주사기 펌프가 필요하지 않거나 사용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시스템은 팽창 중 위치적인 가압 효과를 증가시키고 내강을 따라 분포된 포팅을 통해 내막하로 표적화된 MSC 용액의 직접적인 전달을 보장하는 혈관성형 풍선 카테터의 외부를 따라 배열된 일련의 별개의 주입 내강을 포함하는 풍선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풍선 카테터는 임의의 수의 다음의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높은 압력(예를 들어, 최대 약 또는 약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atm 또는 이를 초과하는 압력, 또는 전술한 수치 중 임의의 두 개의 수치를 포함하는 범위) 하에서 기계적으로 안정한 주입 내강 및 포팅; 높은 비율의 세포 생존율을 유지하기 위한 치료제 주사와 호환되는 유체 통로 및 포팅 구조; 약 6F, 또는 약 또는 적어도 약 4F, 5F, 6F, 7F, 8F, 9F, 10F, 또는 약 상기 수치 이내, 또는 전술한 수치 중 임의의 두 개의 수치를 포함하는 범위의 크기의 피복을 통해 도입가능한 전체 구조 및 전달 프로파일; 경쟁적 추적 가능성/표적 병소 접근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시스템; 표준 0.018" 가이드와이어를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 가이드와이어와 호환되는 카테터 설계; 약 14, 15, 16, 17, 18, 19 또는 20atm 보다 크거나 같은 정격 파열 압력(RBP)을 유지하는 풍선; 방사선불투과성(radiopaque: RO) 마커 배치 및 가시성, 풍선 팽창/수축 시간 및, 일부의 경우, 통상의 풍선 카테터와 일치할 수 있는 카테터 작동 길이.
일부 실시형태에서, 치료되는 특정 질환에 따라, 그리고 약물의 생리적 특성을 고려하여, 방법 및 장치에 사용하기에 적합할 수 있는 약물의 예시는 항-재협착증, 프로- 또는 항-증식, 항-염증, 항-종양, 항유사분열, 항-혈소판, 항응고, 항피브린, 항트롬빈, 세포증식억제, 항생물, 항-효소, 항-대사, 혈관형성, 세포보호,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ACE) 억제,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길항 및/또는 심장보호 약물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항증식 약물의 예시는 액티노마이신, 탁솔, 도세탁셀, 파클리탁셀, 시롤리무스(라파마이신), 바이오리무스 A9(Biosensors International, 싱가포르 소재), 데포롤리무스, AP23572(Ariad Pharmaceuticals), 타크롤리무스, 템시롤리무스, 피메크롤리무스, 조타롤리무스(ABT-578), 40-O-(2-하이드록시)에틸-라파마이신(에베롤리무스), 40-O-(3-하이드록시프로필)라파마이신(라파마이신의 구조적 유도체), 40-O-[2-(2-하이드록시)에톡시]에틸-라파마이신(라파마이신의 구조적 유도체), 40-O-테트라졸-라파마이신(라파마이신의 구조적 유도체), 40-O-테트라졸릴라파마이신, 40-에피-(N-1-테트라졸)-라파마이신 및 피르페니돈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항-염증 약물의 예시는 클로베타솔, 알클로페낙, 알클로메타손, 다이프로피오네이트, 알제스톤 아세토나이드, 알파 아밀라제, 암시나팔, 암시나파이드, 암페낙 소듐, 아미프릴로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아나킨라, 아닐로락, 아니트라자펜, 아파존, 발살라자이드 다이소듐, 벤다작, 베녹사프로펜, 벤지다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브로멜라인스, 브로페라몰, 부데소나이드, 카프로펜, 시클로프로펜, 신타존, 클리프로펜, 클로베타솔 프로피오네이트, 클로베타손 부티레이트, 클로피락, 클로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코르메타손 아세테이트, 코르토독손, 데플라자코트, 데소나이드, 데속시메타손, 덱사메타손, 덱사메타손 다이프로피오네이트, 덱사메타손 아세테이트, 덱사메타손 포스페이트, 모멘타손, 코르티손, 코르티손 아세테이트, 하이드로코르티손, 프레드니손, 프레드니손 아세테이트, 베타메타손, 베타메타손 아세테이트, 다이클로페낙 포타슘, 다이클로페낙 소듐, 다이플로라손 다이아세테이트, 다이플루미돈 소듐, 다이플루니살, 다이플루프레드네이트, 다이프탈론, 다이메틸 술폭사이드, 드로시노나이드, 엔드라이손, 엔리모맙, 에놀리캄 소듐, 에피리졸, 에토도락, 에토페나메이트, 펠비낙, 페나몰, 펜부펜, 펜클로페낙, 펜클로락, 펜도살, 펜피팔론, 펜티아작, 플라잘론, 플루아자코트, 플루페남산, 플루미졸, 플루니솔리드 아세테이트, 플루닉신, 플루닉신 메글루민, 플루오코르틴 부틸, 플루오로메톨론 아세테이트, 플루쿠아존, 플루르비프로펜, 플루레토펜,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푸라프로펜, 푸로부펜, 할시노나이드, 할로베타솔 프로피오네이트, 할로프레돈 아세테이트, 이부페낙, 이부프로펜, 이부프로펜 알루미늄, 이부프로펜 피코놀, 일로니답, 인도메타신, 인도메타신 소듐, 인도프로펜, 인독솔, 인트라졸, 이소플루프레돈 아세테이트, 이속세팍, 이속시캄, 케토프로펜, 로페미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로목시캄, 로테프레드놀 에타보네이트, 메클로페나메이트 소듐, 메클로페남산, 메클로리손 다이부티레이트, 메페남산, 메살라민, 메세클라존, 메틸프레드니솔론 술레프타네이트, 모미플루메이트, 나부메톤, 나프록센, 나프록센 소듐, 나프록솔, 니마존, 올살라진 소듐, 오르고테인, 오르파녹신, 옥사프로진, 옥시펜부타존, 파라닐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펜토산 폴리술페이트 소듐, 펜부타존 소듐 글리세레이트, 피르페니돈, 피록시캄, 피록시캄 신나메이트, 피록시캄 올라민, 피르프로펜, 프레드나자이트, 프리펠론, 프로돌산, 프로쿠아존, 프록사졸, 프록사졸 시트레이트, 리멕솔론, 로마자릿, 살콜렉스, 살나세딘, 살살레이트, 생귀나리움 클로라이드, 세클라존, 세르메타신, 수독시캄, 술린닥, 수프로펜, 탈메타신, 탈니플루메이트, 탈로살레이트, 테부펠론, 테니답, 테니답 소듐, 테녹시캄, 테시캄, 테시마이드, 테트리다민, 티오피낙, 틱소코르톨 피발레이트, 톨메틴, 톨메틴 소듐, 트리클로나이드, 트리플루미데이트, 지도메타신, 조메피락 소듐, 아스피린(아세틸살리실산), 살리실산, 코르티코스테로이드, 글루코코르티코이드, 타크롤리무스 및 피메크롤리무스와 같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 스테로이드 및 비-스테로이드(NSAID) 항-염증제를 모두 포함한다.
항종양제 및 항유사분열제의 예시는 파클리탁셀, 도세탁셀, 메토트렉세이트, 아자티오프린, 빈크리스틴, 빈블라스틴, 플루오로우라실, 독소루비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및 미토마이신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항-혈소판, 항응고, 항피브린 및 항트롬빈 약물의 예시는 헤파린, 소듐 헤파린, 저분자량 헤파린, 헤파리노이드, 히루딘, 알가트로반, 폴스콜린, 바피프로스트, 프로스타사이클린, 프로스타사이클린 덱스트란, D-phe-pro-arg-클로로메틸케톤, 다이피리다몰, 당단백질 IIb/IIIa 혈소판 막 수용체 길항 항체, 재조합 히둘린 및 트롬빈, ANGIOMAX®(비발리루딘, Biogen)와 같은 트롬빈 억제제, 니페디핀과 같은 칼슘 채널 차단제, 콜키신, 어유(오메가 3-지방산), 히스타민 길항제, 로바스타틴, 혈소판-유래 성장 인자(PDGF) 수용체에 특이적인 것과 같은 단클론 항체, 니트로프루시드, 포스포다이에스테라제 억제제, 프로스타글란딘 억제제, 수라민, 세로토닌 차단제, 스테로이드, 티오프로테아제 억제제, 트리아졸로피리미딘, 산화 질소 또는 산화 질소 공여체, 슈퍼 옥사이드 디스뮤타제, 슈퍼 옥사이드 디스뮤타제 유사체 및 4-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1-옥실(4-아미노-TEMPO)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세포증식억제 또는 항증식 약물의 예시는 안지오펩틴, 캅토프릴, 실라자프릴 또는 리시노프릴과 같은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 억제제, 니페디핀과 같은 칼슘 채널 차단제, 콜키신,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FGF) 길항제, 어유(오메가-3-지방산), 히스타민 길항제, 로바스타틴, 혈소판-유래 성장 인자(PDGF) 수용체에 특이적인 것과 같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 단클론 항체, 니트로프루시드, 포스포다이에스테라제 억제제, 프로스타글란딘 억제제, 수라민, 세로토닌 차단제, 스테로이드, 티오프로테아제 억제제, 트리아졸로피리미딘(PDGF 길항제) 및 산화 질소를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ACE 억제제의 예시는 퀴나프릴, 페린도프릴, 라미프릴, 캅토프릴, 베나제프릴, 트란돌라프릴, 포시노프릴, 리시노프릴, 모엑시프릴 및 에날라프릴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길항제의 예시는 이르베사르탄 및 로사르탄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유익한 용도를 찾을 수 있는 다른 치료제는 알파-인터페론, 유전자 조작 내피 세포, 덱사메타손, 전사 및 리보자임을 억제하기 위해 상보적 DNA에 결합하는 안티센스 분자, 항체, 핵 수용체 리간드 에스트라디올 및 레티노이드와 같은 수용체 리간드, 티아졸리디네디온(글리타존), 효소, 접착 펩타이드, 혈액 응고 인자, 스트렙토키나제 및 조직 플라스미노겐 활성 인자와 같은 억제제 또는 응고 용해 약물, 면역화를 위한 항원, 호르몬 및 성장 인자,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및 리보자임과 같은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및 유전자 요법에 사용하기 위한 레트로바이러스 벡터, 항바이러스 약물 및 이뇨제를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원하는 임상적 결과에 따라 임의의 2종, 3종 또는 다른 수의 전술한 약물 또는 다른 치료제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교시에 비추어 다양한 다른 변경, 개작 및 대안적인 설계가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기술된 것과 다르게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위에 개시된 실시형태의 특정 특징 및 양상의 다양한 조합 또는 하위 조합이 만들어질 수 있고 여전히 하나 이상의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또한, 실시형태와 관련된 임의의 특정 특징, 양상, 방법, 속성, 특성, 품질, 성질, 요소 또는 기타의 본 명세서의 개시 내용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른 모든 실시형태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개시된 발명의 다양한 방식을 형성하기 위해 개시된 실시형태의 다양한 특징 및 양상이 서로 결합되거나 대체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본 발명의 범위가 위에 기술된 특정 개시된 실시형태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안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더욱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 및 대안적인 형태가 허용되지만, 이의 특정 예시가 도면에 도시되어 있고 본 명세서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이 개시된 특정 형태 또는 방법으로 제한되지 않지만, 반대로 본 발명이 기술된 다양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청구항의 사상 및 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변경, 균등 및 대안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방법은 나열된 순서대로 수행될 필요는 없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은 기술자에 의해 취해지는 특정 조치를 포함하지만, 명시적이든 또는 암시적이든, 그 조치에 대한 임의의 제3자의 지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혈관 내강에 접근하는 단계"와 같은 행위는 "혈관 내강의 접근을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범위는 임의의 및 모든 중복, 하위-범위 및 이들의 조합도 포함한다. "최대", "적어도", "보다 큰", "미만", "사이" 등과 같은 언어는 인용된 숫자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대략", "약" 및 "실질적으로"와 같은 용어가 앞에 오는 숫자는 인용된 숫자를 포함하고(예를 들어, 약 10% = 10%), 또한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거나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는 명시된 양에 가까운 양 또한 나타낸다. 예를 들어, 용어 "대략", "약" 및 "실질적으로"는 명시된 양의 10% 미만 내, 5% 미만 내, 1% 미만 내, 0.1% 미만 내 및 0.01% 미만 내의 양을 의미할 수 있다.

Claims (40)

  1. 세포-현탁물 전달 장치로서,
    신체 내강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신체 내강의 하나 이상의 층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외부 표면 및 내부 공동을 획정하는 내부 표면을 포함하는 외부 변형가능 부재를 포함하되, 각각의 돌출부는 상기 내부 공동과 유체 소통하는 구멍을 가지며 상기 내부 공동으로부터 상기 구멍을 통해 상기 신체 내강의 벽 안으로 액체 매체에 현탁된 세포가 통과하도록 크기를 가지고 구성된, 세포-현탁물 전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에 연결된 카테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카테터는 상기 내부 공동과 유체 소통하는 내강을 갖는, 세포-현탁물 전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변형가능 부재는 팽창 부재를 포함하는, 세포-현탁물 전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부재는 팽창가능 풍선을 포함하는, 세포-현탁물 전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가능 풍선은 외부 풍선 및 내부 풍선을 포함하는, 세포-현탁물 전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 현탁물을 전달하도록 구성된 출구 포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달관을 포함하는, 세포-현탁물 전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달관은 원형, 편평형 또는 반달형 단면을 포함하는, 세포-현탁물 전달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달관은 상기 외부 변형가능 부재의 상기 외부 표면을 둘러 싸는, 세포-현탁물 전달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달관은 상기 외부 변형가능 부재의 상기 외부 표면을 나선형으로 둘러 싸는, 세포-현탁물 전달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달관은 상기 외부 변형가능 부재의 상기 외부 표면에 결합되지 않은, 세포-현탁물 전달 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복수의 출구 포트를 포함하되, 상기 출구 포트는 상기 외부 변형가능 부재의 근위 말단으로부터 원위 말단으로 크기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세포-현탁물 전달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 내강 내에 상기 전달 장치를 통한 연속적인 흐름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유동관을 더 포함하는, 세포-현탁물 전달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 현탁물이 표적 영역의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근위 및 원위 특징을 더 포함하는, 세포-현탁물 전달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임의의 약물을 포함하지 않는, 세포-현탁물 전달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부재는 엽상 풍선인, 세포-현탁물 전달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근위 및 원위 장벽을 더 포함하는, 세포-현탁물 전달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는 직선형 주사 바늘을 포함하는, 세포-현탁물 전달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는 곡선형 주사 바늘을 포함하는, 세포-현탁물 전달 장치.
  19. 세포-현탁물 전달 장치로서,
    신체 내강 내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포트형 주입관 및 내부 공동을 획정하는 내부 표면을 포함하는 팽창 부재를 포함하되, 각각의 포트형 주입관은 상기 내부 공동과 유체 소통하는 구멍을 가지며 상기 내부 공동으로부터 상기 구멍을 통해 상기 신체 내강의 벽 안으로 액체 매체에 현탁된 세포가 통과하도록 크기를 가지고 구성된, 세포-현탁물 전달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트형 주입관은 나선형인, 세포-현탁물 전달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트형 주입관은 반원형 단면을 갖는, 세포-현탁물 전달 장치.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트형 주입관은 구멍 주위에 융기형 테두리를 포함하는, 세포-현탁물 전달 장치.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트형 주입관은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되는 작은 바늘을 포함하는, 세포-현탁물 전달 장치.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트형 주입관은 상기 풍선에 결합되지 않은, 세포-현탁물 전달 장치.
  2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트형 주입관은 직선으로 전달된 이후 회전되는, 세포-현탁물 전달 장치.
  26.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트형 주입관은 점진적인 구멍 크기를 갖는, 세포-현탁물 전달 장치.
  27.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트형 주입관의 내강을 통해 연장되는 가이드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세포-현탁물 전달 장치.
  28.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트형 주입관은 상기 액체 매체에 현탁된 세포를 전달하기 위해 수축되는, 세포-현탁물 전달 장치.
  29.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트형 주입관은 케이지를 포함하는, 세포-현탁물 전달 장치.
  3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트형 주입관은 가이드 와이어를 통해 전달되도록 구성된 포트형 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팽창 부재는 이후에 삽입되는, 세포-현탁물 전달 장치.
  3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트형 주입관은 상기 팽창 부재의 주름 내에 자리잡도록 구성되는, 세포-현탁물 전달 장치.
  3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트형 주입관은 관절연결형 절단부를 포함하는, 세포-현탁물 전달 장치.
  33. 세포-현탁물 전달 장치로서,
    액체 매체에 현탁된 세포가 신체 내강의 벽 안으로 전달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커팅(cutting) 또는 스코어링(scoring) 요소를 포함하는 팽창 부재를 포함하는, 세포-현탁물 전달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 또는 스코어링 요소는 유연층을 뚫도록 구성된, 세포-현탁물 전달 장치.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 또는 스코어링 요소는 가압층을 뚫도록 구성된, 세포-현탁물 전달 장치.
  36.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 또는 스코어링 요소는 비가압층을 뚫도록 구성된, 세포-현탁물 전달 장치.
  37.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 또는 스코어링 요소는 혈관벽에 흠집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세포-현탁물 전달 장치.
  38.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 또는 스코어링 요소는 액체 매체에 현탁된 세포를 조직 안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된, 세포-현탁물 전달 장치.
  39. 제33항에 있어서, 원위 및 근위 풍선 사이의 전달을 분리하는 이중 풍선 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세포-현탁물 전달 장치.
  40.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특징으로 포함하는 세포-현탁물 전달 장치.
KR1020227010552A 2019-09-02 2020-08-31 세포 요법의 전달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201241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94862P 2019-09-02 2019-09-02
US62/894,862 2019-09-02
PCT/US2020/048832 WO2021046001A1 (en) 2019-09-02 2020-08-31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y of cell therapi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4144A true KR20220124144A (ko) 2022-09-13

Family

ID=74852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0552A KR20220124144A (ko) 2019-09-02 2020-08-31 세포 요법의 전달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20265292A1 (ko)
EP (1) EP4025289A4 (ko)
JP (1) JP2022547024A (ko)
KR (1) KR20220124144A (ko)
CN (1) CN115038488A (ko)
AU (1) AU2020342393A1 (ko)
CA (1) CA3153022A1 (ko)
IL (1) IL290870A (ko)
WO (1) WO20210460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82598A1 (en) * 2021-02-23 2022-09-01 Encompass Vascular, Inc. Medical devices for fluid delivery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EP4329855A1 (en) 2021-04-30 2024-03-06 Encompass Vascular, Inc. Medical devices for fluid delivery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WO2024015736A2 (en) * 2022-07-12 2024-01-18 Encompass Vascular, Inc. Medical devices for fluid delivery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7244A (en) 1989-01-31 1992-02-11 C. R. Bard, Inc. Catheter and method for locally applying medication to the wall of a blood vessel or other body lumen
US5985307A (en) 1993-04-14 1999-11-16 Emory University Device and method for non-occlusive localized drug delivery
US5713863A (en) * 1996-01-11 1998-02-03 Interventional Technologies Inc. Catheter with fluid medication injectors
US7004923B2 (en) * 1999-07-19 2006-02-28 I-Flow Corporation Catheter for uniform delivery of medication
US7077836B2 (en) 2000-07-21 2006-07-18 Vein Rx,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sclerosing the wall of a varicose vein
US9242069B2 (en) * 2001-09-30 2016-01-26 Scicotec Gmbh Method for control of stem cell injection into the body
EP2308963A3 (en) 2001-12-07 2011-09-21 Cytori Therapeutics, Inc. System for processing lipoaspirate cells
US8105580B2 (en) 2001-12-07 2012-01-31 Cytori Therapeutics, Inc. Methods of using adipose derived stem cells to promote wound healing
US6656155B2 (en) * 2001-12-17 2003-12-02 Scimed Life Systems, Inc. Catheter for endoluminal delivery of therapeutic agents that minimizes loss of therapeutic
US6991617B2 (en) * 2002-08-21 2006-01-31 Hektner Thomas R Vascular treatment method and device
US8460357B2 (en) * 2005-05-31 2013-06-11 J.W. Medical Systems Ltd. In situ stent formation
US20070250035A1 (en) * 2006-04-19 2007-10-25 El-Nounou Fozan O Devices and methods for intravascular drug delivery
JP5073747B2 (ja) * 2006-08-29 2012-11-14 ティシュー・ジェネシ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細胞の投与のためのカテーテル
US8357118B2 (en) * 2008-08-26 2013-01-22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Balloon catheters having a plurality of needles for the injection of one or more therapeutic agents
CA2998162A1 (en) * 2015-09-17 2017-03-23 Cagent Vascular, Llc Wedge dissectors for a medical balloon
JP2020500669A (ja) * 2016-11-02 2020-01-16 ザ クーパー ヘルス システム 血管の管腔内から、または隣接する血管の管腔から内膜、内膜下空間、中膜、外膜、外膜周囲空間、または血管周囲組織への細胞療法の送達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EP3473197A1 (de) * 2017-10-18 2019-04-24 Biotronik AG Ballonkathe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290870A (en) 2022-04-01
EP4025289A4 (en) 2023-11-01
AU2020342393A1 (en) 2022-03-24
CN115038488A (zh) 2022-09-09
EP4025289A1 (en) 2022-07-13
CA3153022A1 (en) 2021-03-11
WO2021046001A1 (en) 2021-03-11
US20220265292A1 (en) 2022-08-25
JP2022547024A (ja) 2022-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2204890B2 (en) Controlled porosity devices for tissue treatments, methods of use, and methods of manufacture
KR20220124144A (ko) 세포 요법의 전달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6692466B1 (en) Drug delivery catheter with retractable needle
US8808236B2 (en) Balloon catheters having a plurality of needles for the injection of one or more therapeutic agents
US9119944B2 (en) Device for treating hardened lesions and method of use thereof
CN102762168B (zh) 对生物管道局部应用治疗物质的治疗剂输送系统
US20100261662A1 (en) Utilization of mural thrombus for local drug delivery into vascular tissue
JP5480272B2 (ja) 薬剤送達用医療器具
EP3248645B1 (en) Device useful for localized therapeutic delivery without flow obstruction
US20090155337A1 (en) Method and agent for in-situ stabilization of vascular tissue
WO2012039291A1 (ja) 生体接着シートおよびシート接着用デバイス
US9155648B2 (en) Stent delivery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JP2018000633A (ja) バルーンカテーテル
US11969567B2 (en) Balloon angioplasty catheter coating to encourage vessel repair and further reduce restenosis
CN108703826A (zh) 一种即刻成型血管内支架系统
US11752311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restoring tissue
EP2682153B1 (en) Device for treatment of a blood vessel
EP3860700A1 (en) Balloon catheter system for infusion of micelles at high pressure
JP2013022232A (ja) 治療デバイ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