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2246A - SaaS환경 홈페이지 제작 시스템 - Google Patents

SaaS환경 홈페이지 제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2246A
KR20220122246A KR1020210026619A KR20210026619A KR20220122246A KR 20220122246 A KR20220122246 A KR 20220122246A KR 1020210026619 A KR1020210026619 A KR 1020210026619A KR 20210026619 A KR20210026619 A KR 20210026619A KR 20220122246 A KR20220122246 A KR 20220122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site
user
version
production
homep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6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성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쓰리웨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쓰리웨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쓰리웨이
Priority to KR1020210026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2246A/ko
Publication of KR20220122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22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70Software maintenance or management
    • G06F8/71Version control; Configuration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aaS 환경에서의 홈페이지 제작 시스템 및 방법, 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네트워크망을 통해 홈페이지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홈페이지 제작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홈페이지 제작에 필요한 툴이나 각종 파일 및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제작한 적어도 1개 이상의 웹사이트를 버전(version)별로 관리하며, 사용자 선택에 따라 해당 버전의 웹사이트를 홈페이지 적용하여 운영하는 홈페이지 제작 서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홈페이지 제작 및 버전 변경시 웹브라우저 내에서 위즈위그(WYSISYG) 형식의 편집이 가능하도록 위젯 방식의 편집과 디자인 변경을 수행함으로써 홈페이지 제작과 관련한 전문 지식이 없는 사용자가 디자이너나 프로그래머의 지원 없이 독립적으로 자신이 원하는 홈페이지를 매우 간단하고 쉽게 제작할 수 있고, 사이트에 속하는 모든 리소스와 데이터를 버전별로 관리함으로써 여러 버전의 웹사이트를 미리 만들어 배포해 놓고, 사용자가 원할 때에는 실시간 바로 버전을 변경할 수 있어, 실시간 홈페이지 구축 및 버전의 변경 시간이 단축이 되고 홈페이지 개발 인력이 줄어들게 되어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Description

SaaS환경 홈페이지 제작 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homepage in SaaS ENVIRONMENT}
최근 컴퓨터 산업과 통신산업의 발전과 인터넷 전용회선의 보급으로 인하여 기업이나 개인의 홈페이지 숫자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되고 있다. 홈페이지 또는 웹페이지란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제작된 파일로서 서버에 저장되어 있다가 웹을 통해 접근한 브라우저를 통해 표시되는 화상 미디어를 총칭하는 것이다.
통상의 홈페이지는 크게 페이지 이름, 메뉴, 그래픽이나 플래시 등으로 이루어진 디자인 파트와 회원 로그인,게시판, 상품검색, 장바구니 등의 각종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파트로 이루어지며, 홈페이지에 프로그램을 붙이기 위해서는 디자이너가 디자인 코딩을 해서 프로그래머에게 전달하면 프로그래머가 해당 디자인 코딩에 프로그램 작업을 해서 홈페이지를 제작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홈페이지 제작과 관련된 웹 디자이너나 웹 프로그래머 등과 같은 전문 인력에게 지급되는 비용(급여)이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웹 디자이너나 웹 프로그래머 등과 같은 전문 인력들의 잦은 이동으로 인해 대행업체의 영업과 이윤창출에 큰 차질을 빚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대행업체에 홈페이지 제작을 의뢰
한 이용자에게도 큰 부담이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사용자 스스로 간단하게 홈페이지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Hihome, Freechal, Me2u2,Daum, Naver 등과 같은 포탈 서비스업체에서 홈페이지 제작/관리를 위한 홈페이지 제작/관리 마법사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홈페이지 제작 및 관리를 위한 각종 콘텐츠나 이미지, 콘텐츠 등을 직접 준비하고,사용자가 직접 혹은 웹호스팅업체를 통해 관리해야 하므로 홈페이지 제작에 긴 시간이 소요되고 제작비용도 높아질 뿐만 아니라 웹호스팅업체의 계정에 많은 정보를 저장 관리해야 하므로 추가적인 비용도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홈페이지는 홈페이지 제작에 대한 전문 지식이나 경험이 없는 통상의 인터넷 사용자들이 제작하기는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홈페이지 제작을 전문으로 하는 업체에 의뢰하여 제작하고 있다.
이때, 홈페이지의 제작비용은 홈페이지의 구성요소에 따라 결정되는데, 기본적인 구축작업에 필요한 인력,시간, 콘텐츠 사용료 등으로 소요되는 비용이 적지 않으며, 간단한 IR사이트라도 업체 선정, 진행 단계별 소통,검토, 테스팅에 절차적인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
이러한 많은 비용과 시간을 소요하므로 개인 사업체 또는 영세한 사업장에서는 홈페이지를 개설하고 싶어도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하여 부담이 되는 경우가 있으며, 홈페이지를 개설한 후에도 인터넷 사용자들이 홈페이지에 방문했을 때, 제공하는 컨텐츠의 등록과 지속적인 업데이트를 진행하기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위젯 방식의 사이트 페이지 편집과 디자인 변경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사이트에 속하는 리소스 및 데이터를 버전별로 관리함으로써 운영 사이트의 다양한 버전으로 실시간 전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SaaS 환경에서의 홈페이지 제작 시스템 및 방법, 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SaaS 환경에서의 홈페이지 제작 시스템 및 방법, 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따르면, 홈페이지 제작 및 버전 변경시 웹브라우저 내에서 위즈위그(WYSISYG) 형식의 편집이 가능하도록 위젯 방식의 편집과 디자인 변경을 수행함으로써 홈페이지 제작과 관련한 전문 지식이 없는 사용자가 디자이너나 프로그래머의 지원 없이 독립적으로 자신이 원하는 홈페이지를 매우 간단하고 쉽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이트에 속하는 모든 리소스와 데이터를 프로젝트 복사본 생성을 통해 버전별로 관리함으로써 여러 버전의 웹사이트를 미리 만들어 배포해 놓고, 사용자가 원할 때에는 실시간 바로 버전을 변경할 수 있어,실시간 홈페이지 구축 및 버전의 변경 시간이 단축이 되고 홈페이지 개발 인력이 줄어들게 되어 비용이 절감될 수 있으며, 어떤 사이트 버전을 선택하더라도 실제 홈페이지 운영 화면과 동일한 프리뷰(Preview)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결국, 본 발명은 홈페이지 제작과 관련된 웹 디자이너나 웹 프로그래머 등과 같은 전문 인력의 도움없이 사용자가 쉽게 홈페이지를 제작 및 디자인 변경할 수 있고, 운영 사이트의 다양한 버전으로 실시간 전환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접근성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방문자 유도를 통하여 홈페이지를 활성화시키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aaS 환경에서의 홈페이지 제작 시스템은, 네트워크망을 통해 통신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100)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홈페이지 제작에 필요한 툴이나 각종 파일 및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100)에 제공하고, 사용자가 제작한 적어도 1개 이상의 웹사이트를 버전
(version)별로 관리하며, 사용자 선택에 따라 해당 버전의 웹사이트를 홈페이지 적용하여 운영하는 홈페이지 제작 서버(20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단말 장치(100)는 홈페이지를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하여 상기 홈페이지 제작 서버(200)에 회원으로 가입한 개인이나 기업의 단말기를 의미하며, 통상적으로 PC가 사용되지만 이외에도 인터넷을 포함한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단말기라면 어떠한 장치라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단말 장치(100)는 테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PC, 스마트폰, 태블릿 PC, 그 외에도 휴대 및 이동이 가능한 휴대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한편, 상기 홈페이지 제작 서버(200)는, 상기 홈페이지 제작시 사용자에 의해 생성, 수정, 삭제, 선택, 검색되는 관계형 데이터들을 관리하는 데이터 저장 계층(Persistence Layer)(210)과, 상기 데이터 저장 계층(210)과 상호 연동되어 데이터들을 교환하며, 상기 홈페이지 제작과 관련된 업무 로직을 처리하는 서비스계층(Service
Layer)(220)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도메인들이 표시되고, 사용자 요청에 필요한 부가적인 정보 전달을 입력하는 표현 계층(Presentation Layer)(23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데이터 저장 계층(210)은, 홈페이지 제작에 필요한 위젯의 HTML 및 스타일 시트(CSS, cascading style sheets), 디자인 테마의 CSS, 사이트 페이지의 HTML을 유지 및 관리하는 파일 시스템(211)과, 홈페이지의 디자인 관련 정보와 사이트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212)으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DBMS(212)는 디자인 관련 정보 DB(212a)와, 사이트 관련 정보 DB(212b), 위젯 관련 정보 DB(212c)외에도 홈페이지 제작과 관련된 DB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 계층(220)은 상기 홈페이지 기획, 디자인, 배포를 담당하는 홈페이지 구축 서버(221)와,상기 홈페이지 구축 서버(221)에서 제작된 홈페이지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버전별 변경하여 운영하는 홈페이지 운영 서버(222)와, 상기 홈페이지 제작 및 운영에 필요한 각종 어플리케이션 처리에 사용되는 명령 및 데이
터를 처리하는 코어 엔진(Core Engine)(223)과, 오픈 소스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를 제공하는 오픈소스 프레임워크(Open-source framework)(224)와, 트랜잭션 처리 및 관리, 다른 기종 시스템 간의 애플리케이션 연동을 담당하는 J2EE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서버(225)로 구성된다.
자바(Java)는 프로그램 언어의 한 종류로써 JVM 이라는 가상 머신을 통하여 실행되는 객체지향 프로그램인데,용도에 따라 J2SE, J2EE, J2ME 로 나뉘어 사용된다.
특히, 상기 홈페이지 구축 서버(221)는, 상기 웹사이트를 생성하는 작업 단위인 프로젝트 생성, 페이지 추가,마스터레이아웃 설정, 페이지 편집, 프로젝트 복사본 생성을 담당하는 홈페이지 기획 모듈(221a)과, 디자인 테마 적용, 테마 스타일 편집, 위젯 스타일 편집을 담당하는 홈페이지 디자인 모듈(221b)과, 상기 프로젝트 배포
및 프로젝트 변경을 담당하는 홈페이지 배포 모듈(221c)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홈페이지 기획 모듈(221a)은 페이지 추가 기능 실행시, 사이트맵을 생성하고, 사이트맵에 속하는 페이지를 생성 및 삭제한다. 그리고, 마스터 레이아웃 설정 기능 실행시, 사이트 페이지에 적용되는 마스터 레이아웃을 선택하고, 디폴트는 모든 사이트 페이지에 적용되며, 필요시 특정 페이지의 레이아웃을 달리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페이지 기획 모듈(221a)은 페이지 편집시, 사이트 페이지를 구성하는 위젯의 추가, 삭제, 리사이즈, 정렬이 가능하고, 위젯의 이벤트 처리를 위한 인터액션을 정의한다.
여기서, 상기 위젯은 사이트 페이지를 구성하는 최소 단위로서, 표 1에 나타나 있듯이 미리 정의된 확장 규칙에 맞게 개발되어야 한다.

Claims (1)

  1. 네트워크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장치와 연동하여 홈페이지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홈페이지 제작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홈페이지 제작에 필요한 툴이나 각종 파일 및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제작한 적어도 1개 이상의 웹사이트를 버전(version)별로 관리하며, 사용자 선택에 따라 해당 버전의 웹사이트를 홈페이지 적용하여 운영하는 홈페이지 제작 서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SaaS 환경에서의 홈페이지 제작 시스템.
KR1020210026619A 2021-02-26 2021-02-26 SaaS환경 홈페이지 제작 시스템 KR202201222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619A KR20220122246A (ko) 2021-02-26 2021-02-26 SaaS환경 홈페이지 제작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619A KR20220122246A (ko) 2021-02-26 2021-02-26 SaaS환경 홈페이지 제작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2246A true KR20220122246A (ko) 2022-09-02

Family

ID=83281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6619A KR20220122246A (ko) 2021-02-26 2021-02-26 SaaS환경 홈페이지 제작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2224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1923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ing software products through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running on host computer
JP6487282B2 (ja) ワークフロー管理システムにおいて実行するためのアプリケーションを開発する方法、及びワークフロー管理システムにおいて実行するためのアプリケーションの生成を支援する装置
US878893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or updating an application using website content
KR101275871B1 (ko) SaaS 환경에서의 홈페이지 제작 시스템 및 방법, 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U2014202725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lating forms to native mobile applications
US8239226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mbining properties and methods from a plurality of different data sources
KR102170306B1 (ko) 레이아웃 템플릿 기반 통합 사이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110271184A1 (en) Client application and web page integration
US10417317B2 (en) Web page profiler
US20150278190A1 (en) Web server system, dictionary system, dictionary call method, screen control display method, and demonstration application generation method
CN103646023A (zh) 一种基于web的增加页面/控件的方法
JP6002302B2 (ja) Webアプリケーション生成システム、Webアプリケーション生成システムの制御方法、Webアプリケーション生成システムのプログラム、Webアプリケーション生成装置、Webアプリケーション生成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Webアプリケーション生成装置のプログラム
KR101730070B1 (ko) SaaS 환경에서의 웹페이지 서비스 방법,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그 기록매체
JP7014960B2 (ja) 情報処理装置、サーバ、その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70143711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 setup sequence
JP2004252951A (ja) 統合業務ソフトウェアの導入運用支援システム
JP6231260B2 (ja) 画面制御システム、画面制御プログラム、画面作成支援プログラム及び画面制御方法
KR20220122246A (ko) SaaS환경 홈페이지 제작 시스템
Ragupathi Learning ASP. NET Core MVC Programming
KR20130040167A (ko) SaaS 환경에서의 홈페이지 제작 시스템, 그 시스템의 기능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Neupane Developing a static website and deploying it to Heroku
Nowowiejski et al. Generic Reporting Tool Using Modern User Interface Design Technologies
Reinefeld et al. GuiGen: A toolset for creating customized interfaces for grid user communities
Paz Pro Telerik ASP. NET and Silverlight Controls: Master Telerik Controls for Advanced ASP. NET and Silverlight Projects
Marani et al. Using External Libraries in Our Proj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