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1443A -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한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 - Google Patents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한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1443A
KR20220121443A KR1020210025508A KR20210025508A KR20220121443A KR 20220121443 A KR20220121443 A KR 20220121443A KR 1020210025508 A KR1020210025508 A KR 1020210025508A KR 20210025508 A KR20210025508 A KR 20210025508A KR 20220121443 A KR20220121443 A KR 20220121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fire
unit
speake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5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6514B1 (ko
Inventor
최규출
Original Assignee
최규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규출 filed Critical 최규출
Priority to KR1020210025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6514B1/ko
Publication of KR20220121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1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6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6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 Alarms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수신기를 통하지 않고 단독으로 화재의 발생을 감지하여 시각 또는 청각 장애인뿐만 아니라 비장애인에게 화재의 발생을 알리는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한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한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는 천정에 고정설치되는 감지본체, 상기 감지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열, 연기, 또는 가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함께 감지하여 화재신호를 발생하는 감지센서, 상기 감지센서에서 화재신호가 발생되면 소리를 통해 청각적으로 화재의 발생을 알리는 경고음출력부, 및 상기 감지센서에서 화재신호가 발생되면 빛을 통해 시각적으로 화재의 발생을 알리는 섬광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고음출력부는 상기 감지본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소리를 출력하는 제1 스피커, 및 상기 감지본체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스피커와 일직선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소리를 출력하는 제2 스피커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소리와 제2 소리를 순차적으로 출력함에 따라 청각 장애인의 탈출방향을 유도한다. 따라서, 장애인, 비장애인, 노약자들이 화재발생을 용이하게 알 수 있어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한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Separate fire detection device for the disabled}
본 발명은 화재수신기를 통하지 않고 단독으로 화재의 발생을 감지하여 시각 또는 청각 장애인 뿐만 아니라 비장애인에게 화재의 발생을 알리는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한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감지기는 천정에 설치되어 화재 시 발생하는 열을 감지하고, 열이 감지되면 화재를 통합관리하는 화재수신기로 전달되어 화재수신기를 통해 알림벨(경종) 또는 사이렌을 울리는 형태로 화재의 발생을 알린다.
그러나, 화재수신기는 설비의 설치비용이 높을 뿐만 아니라, 설치가 쉽지 않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건축물에는 단독으로 화재를 감지하여 알릴 수 있는 단독형 화재감지기가 설치된다.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는 종래에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11371호(2018.10.25.공고)의 "부가기능 확장형 화재감지기"로 개시된 바가 있다.
상기한 종래의 부가기능 확장형 화재감지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화재를 직접 감지하고 외부로 광신호를 출력하는 비접촉식 출력회로부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며 비접촉식 출력회로부의 광신호를 감지하여 화재를 알리는 독립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부가기능 확장형 화재감지기는 반도체식 화재감지기에서 별도의 모듈결합을 통해 화재경보를 조기에 알려줄 수 있도록 한 부가기능을 추가하고, 기존의 화재감지 시스템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노후화된 화재감지기만 1:1로 교체 사용이 가능하였다.
하지만, 종래의 부가기능 확장형 화재감지기는 화재의 발생 시에 경고음, 음성, 사이렌을 통해서만 경고하기 때문에 소리를 들을 수 없는 청각 장애인의 경우에는 화재의 발생을 알리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화재의 발생 시 탈출방향을 알려주지 못해 탈출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노약자 또는 장애인과 같이 탈출이 쉽지 않은 사람이 도움을 요청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화재의 발생 시 경고음출력부와 섬광출력부를 통해 소리와 빛으로 화재의 발생을 알려 청각 장애인과 시각 장애인 뿐만 아니라, 비장애인도 화재의 발생을 용이하게 알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는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한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제1 스피커와 제2 스피커, 및 방향투사부를 통해 탈출방향을 알려 시각 장애인 뿐만 아니라, 시각 장애인도 탈출방향을 용이하게 파악하여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는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한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제1 스피커와 제2 스피커 및 방향투사부가 감지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방향설정부에 설치되어 탈출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필요한 경우 구조요청부를 통해 요청할 수 있어 신속한 구조활동과 대피할 수 있는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한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한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는 천정에 고정설치되는 감지본체, 상기 감지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열, 연기, 또는 가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함께 감지하여 화재신호를 발생하는 감지센서, 상기 감지센서에서 화재신호가 발생되면 소리를 통해 청각적으로 화재의 발생을 알리는 경고음출력부, 및 상기 감지센서에서 화재신호가 발생되면 빛을 통해 시각적으로 화재의 발생을 알리는 섬광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고음출력부는 상기 감지본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소리를 출력하는 제1 스피커, 및 상기 감지본체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스피커와 일직선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소리를 출력하는 제2 스피커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소리와 제2 소리를 순차적으로 출력함에 따라 청각 장애인의 탈출방향을 유도한다.
상기 제1 스피커와 상기 제2 스피커가 위치하는 일직선과 비상 시 탈출방향을 일치시키도록 상기 감지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스피커와 상기 제2 스피커가 설치되는 방향설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섬광출력부는 섬광을 발생하여 시각적으로 경고하는 섬광램프, 및 상기 섬광램프에서 발생하는 빛을 통해 탈출방향을 바닥에 투사하는 방향투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고음출력부를 통해 장애인이 요청하는 구조신호에 따른 구조소리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구조요청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조요청부는 장애인으로부터 구조신호를 입력받는 신호입력기, 상기 신호입력기에서 입력되는 구조신호를 천정에 위치한 상기 감지본체로 전달하기 위한 입력기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신호입력기에서 입력되는 구조신호는 구조를 요청하는 장애인 또는 비장애인의 목소리이거나, 작동버튼에 작동에 의해 발생하는 구조신호일 수 있다.
상기 감지본체는 상기 신호입력기를 수용하며 하부가 개방된 형태의 입력기수용부, 상기 입력기수용부의 개방된 하부를 개폐하는 수용부도어, 및 상기 감지센서에서 화재를 감지 시에 상기 신호입력기가 바닥을 향해 떨어지도록 상기 수용부도어를 개방하는 도어개방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의 발생 시 경고음출력부를 통해 소리를 출력하여 시각 장애인에게 화재의 발생을 알릴 수 있으며, 섬광출력부를 통해 빛을 발광하여 청각 장애인에게 화재의 발생을 알릴 뿐만 아니라, 비장애인도 소리와 빛을 통해 신속히 대피할 수 있다.
또한, 제1 스피커와 제2 스피커의 서로 다른 소리 출력에 따른 방향성 및 방향투사부에서 탈출방향을 바닥에 표시하기 때문에 화재 시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다.
또한, 화재 시 신호발생기가 감지본체에서 내려와 외부에 도움을 요청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한 구조활동 및 대피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한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를 천정에 설치하여 화재를 감지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한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한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한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의 저면도로서, 탈출방향을 설정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한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의 측단면도로서, 화재의 발생 시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한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100)는 화재수신기와 연결되지 않고 자체적으로 화재를 감지하여 화재발생을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경고함으로써, 화재발생에 대처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한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100)는 감지본체(110)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본체(11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감지본체(110)는 천정에 볼트 또는 앵커에 의해 고정설치될 수 있다.
감지본체(110)의 하부에는 하기에 설명할 방향설정부(15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감지본체(110)의 일측에는 하부로 개방되어 하기에 설명할 신호입력기(161)를 수용하는 입력기수용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감지본체(110)에는 하기에 설명할 구성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으며, 배터리는 충전이 불가능한 1차 전지 또는 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로 구현될 수 있다.
감지본체(110)에 설치되는 배터리는 필요에 따라 교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한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100)는 감지센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센서(120)는 화재의 발생을 감지할 수 있으며, 감지센서(120)는 연기, 열 또는 가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함께 감지하는 경우, 화재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여 화재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감지센서(120)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열감지, 가스감지, 연기감지 센서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센서를 함께 구성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가스감지 센서는 특정 가스 예컨대, 휘발성 가스가 감지할 수 있다.
감지본체(110)에는 화재의 발생시 발생하는 열, 연기, 가스 등이 감지센서(120)로 유입되는 유입구(111)가 감지본체(110)의 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한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100)는 경고음출력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경고음출력부(130)는 감지센서(120)에서 화재의 발생을 감지한 감지신호를 발생하면 소리를 출력하여 청각 장애인뿐만 아니라, 비장애인에게 소리로서 화재의 발생을 외부에 알릴 수 있다.
경고음출력부(130)는 소리저장부(131), 소리재생부(133), 증폭부(135), 및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소리저장부(131)는 경고를 하기 위한 소리가 저장도리 수 있으며, 소리저장부(131)는 예컨대 "화재가 발생하였습니다. 대피하세요"와 같은 소리 또는 "삑~" 또는 사이렌과 같은 경고음과 같은 소리가 저장될 수 있으며, 소리저장부(131)는 컴퓨터 파일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소리저장부(131)는 컴퓨터 파일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또는 메모리카드와 같은 저장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소리재생부(133)는 소리저장부(131)에 저장된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소리재생부(133)는 소리저장부(131)에 저장된 파일을 선택하여 재생할 수 있으며, 소리재생부(133)는 MP3플레이와 같은 재생장치로 구현되거나, 전기회로 또는 전자회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증폭부(135)는 소리재생부(133)에서 재생되는 소리를 증폭할 수 있다. 증폭부(135)는 소리재생부(133)에서 재생되는 소리를 원거리에서도 청취할 수 있도록 소리재생부(133)에서 재생되는 소리를 높은 진폭으로 변환시킬 수도 있다.
증폭부(135)는 공지된 소리를 증폭하는 AMP 또는 AMP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스피커는 증폭부(135)에서 증폭된 소리를 출력할 수 있으며, 스피커는 제1 스피커(137)와 제2 스피커(139)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피커(137)와 제2 스피커(139)는 감지본체(110)의 중앙을 중심으로 양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1 스피커(137)와 제2 스피커(139)는 감지본체(110)의 중앙을 중심으로 일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소리재생부(133)는 제1 스피커(137)에서 출력되는 제1 소리와 제2 스피커(139)에서 출력되는 제2 소리를 출력하도록 소리를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소리가 "삑"하는 짧은 단음절의 경고음이라면, 제2 소리는 "삐이익~"하는 긴 장음절의 경고음이거나, 제1 소리가 제2 소리보다 볼륨이 서로 차이가 나는 소리 또는 서로 전혀 다른 소리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제1 소리보다 제2 소리가 더 큰 볼륨을 갖는 소리로 두 소리의 차이를 두었다.
제1 스피커(137)와 제2 스피커(139)는 서로 다른 소리 예컨대, 볼륨의 차이 또는 진폭의 차이 또는 전혀 다른 소리 등의 소리의 차이를 순차적으로 발생함으로써, 소리의 방향성을 부여하여 소리에 민감한 시각 장애인으로 하여금, 소리차(예컨대, 소리의 출력간격, 볼륨, 진폭 등)로 인한 탈출방향을 유도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스피커(137)와 제2 스피커(139)에서 순차적으로 소리를 출력하되, 제1 스피커(137)에서 출력되는 소리의 볼륨보다 제2 스피커(139)에서 출력되는 소리의 볼륨이 더 크게 출력되면, 제1 스피커(137)와 제2 스피커(139)의 거리 차이 및 소리 차이로 인해 방향성이 설정되고, 이 방향성에 따라 시각 장애인이 듣고 탈출방향을 가늠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한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100)는 섬광출력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섬광출력부(140)는 감지센서(120)에서 화재의 발생을 감지한 감지신호를 발생하면 섬광을 출력하여 청각 장애인뿐만 아니라, 비장애인에게 빛으로서 화재의 발생을 외부에 알릴 수 있다.
섬광출력부(140)는 섬광램프(141) 및 방향투사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섬광램프(141)는 감지센서(120)에서 화재신호가 발생하면, 화재신호에 따라 점등할 수 있으며, 섬광램프(141)는 복수 개의 LED램프에 의해 반복적으로 점등하는 형태로 섬광의 효과를 발생할 수 있다.
섬광출력부(140)는 섬광램프(141)에서 반복적으로 점등하는 섬광과 방향투사부(143)에서 탈출방향을 함께 투사할 수 있다.
섬광램프(141)는 제1 스피커(137)와 제2 스피커(139)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방향투사부(143)는 바닥에 탈출방향을 투사하여 청각 장애인 또는 비장애인의 탈출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방향투사부(143)는 섬광램프(141)에서 발생하는 빛을 바닥으로 투사할 수 있으며, 방향투사부(143)는 방향표시필터(145)(145)와 확대렌즈(144)를 포함하여 방향표시필터(145)를 거친 섬광램프(141)의 빛이 확대렌즈(144)를 거치면서, 확대되어 바닥에 투사될 수 있다.
이때, 확대렌즈(144)는 복수 개로 구성되어 방향표시필터(145)를 거친 명확히 확대시켜 바닥으로 투사할 수 있으며, 확대렌즈(144)는 오목렌즈, 볼록렌즈, 또는 어느 한 면에 볼록 또는 오목한 형태의 렌즈일 수 있으며, 확대렌즈(144)는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섬광램프(141) 중 방향표시필터(145)와 마주하는 위치에 위치하는 섬광램프(141)는 반복하여 점등하는 것이 아니라, 연속적으로 점등된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방향표시필터(145)는 섬광램프(141)에서 빛을 발광하는 전방에 위치할 수 있으며, 방향표시필터(145)에는 화살표와 같은 탈출방향이 표시될 수 있다.
방향표시필터(145)는 섬광램프(141)에서 발광하는 빛이 방향표시필터(145)를 지나면서 표시된 화살표에 가려지거나, 화살표의 형태로 투과되면서 투사되어 바닥에 탈출방향을 표시하도록 화살표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방향표시필터(145)에 표시되는 화살표는 화살표의 형태로 음영이 발생하도록 화살표의 형태로 광차폐층이 형성되거나, 화살표의 형태로 빛이 투사되도록 화살표의 형태를 제외한 둘레 도는 화살표의 둘레 형태 대로 광차폐층을 형성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광차폐층은 빛이 투과되지 않는 도료 또는 시트지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화살표의 형태를 제외한 둘레에 광차폐층을 형성하여 탈출방향을 투사하도록 구성하였다.
물론, 방향표시필터(145)는 바닥에 투사되는 탈출방향이 색상을 가지도록 색상을 갖는 투명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한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100)는 방향설정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방향설정부(150)는 제1 스피커(137)와 제2 스피커(139) 및 방향투사부(143)가 설치되어 제1 스피커(137)와 제2 스피커(139)에 의해 유도되는 탈출방향 및 방향투사부(143)에서 투사되는 탈출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방향설정부(150)는 제1 스피커(137)와 제2 스피커(139) 및 방향투사부(143)에 의해 유도되는 탈출방향과 실제의 탈출방향이 일치되도록 감지본체(110)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스피커(137)와 제2 스피커(139)는 방향설정부(15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소리만 방향유도설중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소리가 출력되는 소리출력공이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방향설정부(150)에는 섬광출력부(140) 및 경고음출력부(130) 전체가 설치될 수 있으며, 방향설정부(150)는 광을 투과할 수 있는 투명체로 형성된 밀폐캡(153)에 의해 밀폐될 수 있으며, 밀폐캡(153)을 중심으로 방향설정부(150)의 양측에 제1 스피커(137)와 제2 스피커(139)가 위치하고, 밀폐캡(153)의 중앙에는 방향투사부(143)가 설치되는 투사설치부(155)가 형성될 수 있다.
방향설정부(150)의 테두리에는 플랜지부(151)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감지본체(110)에는 방향설정부(15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설정부공(113)이 관통형성되고, 방향설정부(150)의 플랜지부(151)가 설정부공(113)에 걸쳐지는 형태로 방향설정부(150)가 감지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방향설정부(150)는 제1 스피커(137)와 제2 스피커(139)가 위치하는 일직선상과 탈출방향이 일치시킬 수 있도록 감지본체(110)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 스피커(137)와 제2 스피커(139)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때, 방향투사부(143)에서 표시하는 탈출방향은 제1 스피커(137)와 제2 스피커(139)가 위치하는 일직선과 동일한 방향을 가리키도록 방향표시필터(145)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한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100)는 구조요청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조요청부(160)는 구조를 필요한 장애인 또는 비장애인이 경고음출력부(130)를 통해 구조소리를 출력하여 구조를 요청할 수 있다.
한편, 구조요청부(160)는 구조신호를 발생하는 신호입력기(161), 및 입력기케이블(164)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입력기(161)는 구조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신호입력기(161)는 작동버튼(163)을 포함할 수 있다.
작동버튼(163)은 신호입력기(161)에 설치되어 작동버튼(163)의 작동에 따라 구조신호를 발생하여 경고음출력부(130)로 제공할 수 있다.
경고음출력부(130)는 신호입력기(161)로부터 구조신호가 발신되면, 경고음출력부(130)에서 수신하여 소리저장부(131)에 저장된 소리 파일 중 구조신호에 대응하는 구조소리 파일을 선택하여 소리재생부(133)로 제공하고, 소리재생부(133)에서는 구조신호에 따른 구조소리를 재생하여 증폭부(135)를 통해 제1 스피커(137)와 제2 스피커(139)에서 출력한다.
여기서, 구조소리는 "도움이 필요합니다"와 같은 음성이거나, 사이렌, 또는 SOS와 같은 모르스부호의 기계음일 수도 있다.
신호입력기(161)는 소리를 입력하는 마이크(162)를 더 포함하여 작동버튼(163)을 작동시키면, 마이크(162)를 통해 장애인 또는 비장애인이 소리를 입력하면, 마이크(162)에서 소리를 소리재생부(133)를 거치지 않고 바로 증폭부(135)로 보내 증폭부(135)에서 증폭된 소리를 제1 스피커(137) 또는 제2 스피커(139)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여기서, 신호입력기(161)가 마이크(162)를 포함하는 경우, 구조신호는 마이크(162)에서 입력되는 목소리를 증폭부(135)로 제공하기 위해 변환된 전기신호일 수 있다.
그리고, 신호입력기(161)의 작동버튼(163)을 작동시키는 경우, 경고음출력부(130)에서는 소리재생부(133)에서 재생하던 경고소리의 재생은 정지하고, 구조신호에 따라 구조소리만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신호입력기(161)에 마이크(162)가 설치된 경우, 작동버튼(163)은 목소리를 입력받기 위한 작동버튼(163)과 경고음출력부(130)에서 저장된 구조소리를 출력하기 위해 작동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작동버튼(163)이 각각 설치되어 마이크(162)가 설치되었더라도 언어 장애인이 경고음출력부(130)에 저장된 구조소리를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신호입력기(161)는 입력기케이블(164)에 의해 작동버튼(163)에 의한 구조신호를 경고음출력부(130)로 제공하거나, 마이크(162)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경고음출력부(13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입력기케이블(164)에 의해 신호입력기(161)가 감지본체(110)에서 이격되어 있더라도 구조신호를 감지본체(110)에 설치된 경고음출력부(130)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입력기케이블(164)은 천정에 설치된 감지본체(110)와 장애인 또는 비장애인이 쉽게 신호입력기(161)르 취급할 수 있는 위치까지 위치한 상태에서 경고신호를 전달하도록 천정에 위치하는 감지본체(110)에서 바닥을 향해 이격된 신호입력기(161)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한편, 감지본체(110)는 수용부도어(167)와 도어개방기구(169)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도어(167)는 감지본체(110)에서 바닥과 마주하는 개방된 하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입력기수용부(115)를 개폐할 수 있다.
수용부도어(167)는 입력기수용부(115)에 수용된 신호입력기(161)가 감지본체(1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입력기수용부(115)의 개방된 부분을 밀폐하거나, 입력기수용부(115)를 개방하여 입력기수용부(115)에서 신호입력기(161)가 자중에 의해 하부로 떨어뜨릴 수 있다.
수용부도어(167)는 끝단이 도어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입력기수용부(115)에 설치될 수 있으며, 수용부도어(167)를 고정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수용부도어(167)는 자중에 의해 하부로 회전하여 입력기수용부(115)를 개방할 수 있다.
도어개방기구(169)는 입력기수용부(115)를 수용부도어(167)가 밀폐한 상태에서 입력기수용부(115)를 개방하지 못하도록 수용부도어(167)를 밀폐된 상태로 고정하거나, 입력기수용부(115)를 개방하도록 수용부도어(167)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도어개방기구(169)는 입력기수용부(115)를 수용부도어(167)가 밀폐한 상태에서 수용부도어(167)를 고정할 수 있으며, 수용부도어(167)가 입력기수용부(115)를 개방하도록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수용부도어(167)에는 수용부도어(167)가 회전하는 도어축을 중심으로 수용부도어(167)와 직교되는 상부 또는 하부로 돌출되는 지지플랜지(168)가 형성될 수 있으며, 도어개방기구(169)는 전기의 공급에 따라 플런저가 출몰하는 솔레노이드로 구현되어 입력기수용부(115)를 수용부도어(167)가 밀폐한 상태에서 플런저가 수용부도어(167)의 지지플랜지(168)를 가압한 상태로 고정하고, 전기의 공급에 따라 플런저가 지지플랜지(168)에서 이격되면 고정을 해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어개방기구(169)는 감지센서(120)에서 화재를 감지한 화재신호가 발생하면, 수용부도어(167)의 고정을 해제하여 수용부도어(167)의 자중에 의해 입력기수용부(115)를 개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한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100)는 온오프스위치(미도시) 및 점검스위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온오프스위치는 단독경보형화재감지기(100)에 전원을 공급하여 작동시키거나,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여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한편, 점검스위치는 감지센서(120)에서 화재의 발생에 따른 감지신호가 발생하지 않더라도 점검스위치의 자체에서 감지신호를 발생하여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100)의 작동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또한, 감지본체(110)에는 배터리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교환램프가 설치될 수 있으며, 교환램프는 배터리의 잔량이 미리 설정된 잔량의 이하인 경우, 교환램프가 점등하면서, 배터리의 교환이 필요함을 외부에 알릴 수 있다.
이하,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한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100)는 감지본체(110)에 감지센서(120)가 설치되며, 감지센서(120)가 설치된 감지본체(110)의 둘레에는 화재시 발생하는 열, 연기, 가스 등이 유입되는 유입구(111)가 형성된다.
그리고, 감지본체(110)에 형성되는 설정부공(113)에는 방향설정부(15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방향설정부(150)에는 경고음출력부(130), 및 섬광출력부(140)가 설치된다.
경고음출력부(130)는 소리저장부(131)에 저장된 소리를 소리재생부(133)에서 재생하고, 증폭부(135)에서 재생되는 소리를 증폭시켜 제1 스피커(137)와 제2 스피커(139)를 통해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1 스피커(137)와 제2 스피커(139)는 방향설정부(150)가 회전하는 중심으로 양측에 제1 스피커(137)와 제2 스피커(139)가 각각 설치되며, 제1 스피커(137)와 제2 스피커(139)는 일직선상에 나란하게 설치된다.
방향설정부(150)는 밀폐캡(153)에 의해 중앙부분이 밀폐될 수 있으며, 밀폐캡(153)에는 섬광출력부(140)의 복수 개의 섬광램프(141)가 설치될 수 있으며, 밀폐캡(153)의 중앙에 형성되는 투사설치부(155)에는 방향투사부(143)가 위치할 수 있다.
방향투사부(143)는 투사설치부(155)의 상단에 화살표가 형성되는 방향표시필터(145)가 설치되며, 방향표시필터(145)의 하부에는 섬광램프(141)에서 발광하는 빛이 방향표시필터(145)를 투과하여 바닥에 확대되어 투사될 수 있도록 확대렌즈(144)가 설치된다.
이때, 방향표시필터(145)에 형성되는 화살표의 방향과 제1 스피커(137)와 제2 스피커(139)의 위치는 서로 동일한 일직선상에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감지본체(110)의 입력기수용부(115)에는 구조신호를 발생하는 신호입력기(161)가 수용되며, 신호입력기(161)는 입력기케이블(164)에 의해 감지본체(110)에 연결됨과 동시에 경고음출력부(130)에는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신호입력기(161)는 입력기케이블(164)과 함께 감지본체(110)의 입력기수용부(115)에 수용된 상태에서 입력기수용부(115)는 수용부도어(167)에 의해 밀폐되고, 도어개방기구(169)에 의해 입력기수용부(115)를 밀폐한 상태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한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100)는 화재가 발생하기 쉬운 장소에 감지본체(110)를 천정에 설치하고, 탈출방향을 향해 제1 스피커(137)와 제2 스피커(139), 및 방향투사부(143)의 화살표가 가리키도록 감지본체(110)에서 방향설정부(150)를 회전시켜 위치시킨다.
이렇게 천정에 설치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화재의 발생에 따른 연기, 열, 또는 가스가 감지본체(110)의 유입구(111)로 유입되는 경우, 감지센서(120)가 연기 또는 열 또는 가스의 감지됨을 기초로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화재의 발생을 판단하고, 화재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화재신호를 발생한다.
여기서, 감지센서(120)가 화재의 발생이라고 판단하는 미리 설정된 조건은 미리 설정된 온도, 가스량 또는 가스의 유입량 중 어느 하나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일 수 있다.
화재신호가 발생하면, 경고음출력부(130), 섬광출력부(140), 및 도어개방기구(169)가 작동한다.
경고음출력부(130)는 소리저장부(131)에 미리 저장된 소리를 선택하여 소리재생부(133)로 전달하고, 소리재생부(133)에서는 소리를 재생하여 증폭부(135)로 보내 출력을 증대시킨 상태에서 제1 스피커(137)와 제2 스피커(139)를 통해 증폭된 소리를 출력한다.
이때, 제1 스피커(137)와 제2 스피커(139)는 서로 다른 제1 소리와 제2 소리를 출력함으로써, 시각 장애인으로부터 소리가 출력되는 방향을 판단하여 탈출방향을 예측할 수 있다.
섬광출력부(140)는 섬광램프(141)를 작동시켜 섬광램프(141)를 점멸하는 형태로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외부에 알리는데, 특히 경고음출력부(130)를 통해 출력되는 소리를 듣지 못하는 청각 장애인은 섬광출력부(140)에서 출력되는 섬광을 통해 화재의 발생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섬광출력부(140)에서 발생하는 섬광의 일부는 방향투사부(143)로 입사되면서, 방향투사부(143)의 방향표시필터(145)를 투과하고, 방향표시필터(145)를 투과한 섬광은 확대렌즈(144)를 통해 확대되면서, 바닥으로 투사된다.
이때, 바닥에 투사되는 섬광은 방향표시필터(145)에 의해 화살표와 같은 형태로 투사되어 탈출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도어개방기구(169)는 수용부도어(167)의 고정을 해제하고, 수용부도어(167)의 고정이 해제되면 수용부도어(167)가 입력기수용부(115)를 개방하여 입력기수용부(115)에 수용된 신호입력기(161)가 장애인 또는 비장애인이 쉽게 파지할 수 있는 위치까지 떨어진다.
신호입력기(161)는 입력기케이블(164)에 의해 감지본체(110)에 메달린 상태일 수 있으며, 신호입력기(161)의 작동버튼(163)을 작동시키면, 구조신호가 발생하고, 구조신호는 경고음출력부(130)로 제공된다.
경고음출력부(130)로 구조신호가 전달되면, 경고음출력부(130)는 현재 재생되는 탈출을 유도하기 위한 소리의 재생을 정지하고 소리저장부(131)에 저장된 구조 소리를 선택하여 소리재생부(133)와 증폭부(135)를 거쳐 제1 스피커(137)와 제2 스피커(139)에서 출력하면서 외부에 구조 또는 도움을 요청할 수 있다.
한편, 신호입력기(161)에 마이크(162)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작동버튼(163)을 작동시키면 경고음출력부(130)에서 현재 재생되는 소리의 재생을 정지하고, 마이크(162)를 통해 입력되는 구조신호 예컨대, 구조를 요청하는 목소리를 증폭부(135)로 전달하며, 증폭부(135)에서는 이를 증폭시켜 제1 스피커(137)와 제2 스피커(139)를 통해 출력하는 형태로도 외부에 구조 또는 도움을 요청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한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100)는 화재의 발생시 경고음출력부(130)에서 소리를 출력하고, 섬광출력부(140)에서 섬광을 출력하여 시각 장애인, 청각 장애인뿐만 아니라, 비장애인도 화재의 발생을 용이하게 파악하여 대피할 수 있다.
또한, 제1 스피커(137)와 제2 스피커(139)에서 서로 다른 소리를 출력하여 특히 앞을 보지 못하는 시각 장애인이 소리차에 따라 탈출방향을 예측하여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향투사부(143)에서 화살표형태로 섬광을 바닥에 투사하여 특히 소리를 듣지 못하는 청각 장애인이 바닥에 투사되는 화살표를 보고 탈출방향을 예측하여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다.
또한, 탈출방향을 제공하는 제1 스피커(137)와 제2 스피커(139) 및 방향투사부(143)가 감지본체(110)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방향설정부(150)에 설치되어 원하는 탈출방향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화재의 발생 시 입력기수용부(115)에 수용된 신호입력기(161)가 감지본체(110)에서 하부로 이탈되면서 신호입력기(161)로 구조신호를 발생하여 도움을 필요로 하는 노약자 또는 장애인이 구조가 필요함을 외부에 알려 신속한 구조활동 또는 대피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한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 110: 감지본체
111: 유입구 113: 설정부공
115: 입력기수용부 120: 감지센서
130: 경고음출력부 131: 소리저장부
133: 소리재생부 135: 증폭부
137: 제1 스피커 139: 제2 스피커
140: 섬광출력부 141: 섬광램프
143: 방향투사부 144: 확대렌즈
145: 방향표시필터 150: 방향설정부
151: 플랜지부 153: 밀폐캡
155: 투사설치부 160: 구조요청부
161: 신호입력기 162: 마이크
163: 작동버튼 164: 입력기케이블
167: 수용부도어 168: 지지플랜지
169: 도어개방기구

Claims (6)

  1. 천정에 고정설치되는 감지본체,
    상기 감지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열, 연기, 또는 가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함께 감지하여 화재신호를 발생하는 감지센서,
    상기 감지센서에서 화재신호가 발생되면 소리를 통해 청각적으로 화재의 발생을 알리는 경고음출력부, 및
    상기 감지센서에서 화재신호가 발생되면 빛을 통해 시각적으로 화재의 발생을 알리는 섬광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고음출력부는
    상기 감지본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소리를 출력하는 제1 스피커, 및
    상기 감지본체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스피커와 일직선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소리를 출력하는 제2 스피커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소리와 제2 소리를 순차적으로 출력함에 따라 청각 장애인의 탈출방향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한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피커와 상기 제2 스피커가 위치하는 일직선과 비상 시 탈출방향을 일치시키도록 상기 감지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스피커와 상기 제2 스피커가 설치되는 방향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한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섬광출력부는
    섬광을 발생하여 시각적으로 경고하는 섬광램프, 및
    상기 섬광램프에서 발생하는 빛을 통해 탈출방향을 바닥에 투사하는 방향투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한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음출력부를 통해 장애인이 요청하는 구조신호에 따른 구조소리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구조요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한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요청부는
    장애인으로부터 구조신호를 입력받는 신호입력기,
    상기 신호입력기에서 입력되는 구조신호를 천정에 위치한 상기 감지본체로 전달하기 위한 입력기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신호입력기에서 입력되는 구조신호는 구조를 요청하는 장애인 또는 비장애인의 목소리이거나, 작동버튼에 작동에 의해 발생하는 구조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한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본체는
    상기 신호입력기를 수용하며 하부가 개방된 형태의 입력기수용부,
    상기 입력기수용부의 개방된 하부를 개폐하는 수용부도어, 및
    상기 감지센서에서 화재를 감지 시에 상기 신호입력기가 바닥을 향해 떨어지도록 상기 수용부도어를 개방하는 도어개방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한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
KR1020210025508A 2021-02-25 2021-02-25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한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 KR102486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508A KR102486514B1 (ko) 2021-02-25 2021-02-25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한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508A KR102486514B1 (ko) 2021-02-25 2021-02-25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한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1443A true KR20220121443A (ko) 2022-09-01
KR102486514B1 KR102486514B1 (ko) 2023-01-09

Family

ID=83282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5508A KR102486514B1 (ko) 2021-02-25 2021-02-25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한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65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9809B1 (ko) * 2023-06-16 2024-01-02 한종수 화재를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된 화재경보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8010B1 (ko) * 2017-11-03 2018-05-16 주식회사 자람앤수엔지니어링 신속 대피를 위한 소방피난유도기구
KR20200100329A (ko) * 2019-02-18 2020-08-26 주식회사 윈미디텍 비상 유도 안내 시스템
KR102150228B1 (ko) * 2020-03-16 2020-09-01 김민규 화재 안내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8010B1 (ko) * 2017-11-03 2018-05-16 주식회사 자람앤수엔지니어링 신속 대피를 위한 소방피난유도기구
KR20200100329A (ko) * 2019-02-18 2020-08-26 주식회사 윈미디텍 비상 유도 안내 시스템
KR102150228B1 (ko) * 2020-03-16 2020-09-01 김민규 화재 안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9809B1 (ko) * 2023-06-16 2024-01-02 한종수 화재를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된 화재경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6514B1 (ko) 2023-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18878B1 (en) Warning system
KR101565727B1 (ko) 시각 및 청각 장애인을 위한 화재 감지 및 경보 시스템
JP2013529329A (ja) 投射式方向表示を備える非常用照明システム
US20090009353A1 (en) Utility outlets having dynamically changing emergency evacuation routing
KR101153371B1 (ko) 장애인 안내를 위한 전관방송 시스템과 그 방법 그리고 스피커
JP6360673B2 (ja) 火災感知器
JP2008234250A (ja) 避難誘導システム
KR102486514B1 (ko)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한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
KR101775770B1 (ko) 소방용 비상 경보장치
KR101735264B1 (ko) 비상 유도 및 통화 시스템
KR200330752Y1 (ko) 피난구 유도 장치
TW201303804A (zh) 消防逃生警示及引導系統
JP2000048275A (ja) タバコ感知器
KR101886816B1 (ko) 다기능 유도등 시스템
KR101986489B1 (ko) 스마트 비상등
TWI566212B (zh) 公共急救設備
TWM607121U (zh) 消防警示系統
KR102384475B1 (ko) 시청각 경보기
KR101174397B1 (ko) 청각장애인을 위한 안내 방송용 실내 스피커
KR20200097182A (ko) 화재 발생 시 탈출을 용이하게 돕는 탈출용 마이크
KR200266079Y1 (ko) 비상구 표시등
KR100267257B1 (ko) 음성 발신 및 백라이트 기능을 갖는 소화전 시스템
FI13185Y1 (fi) Äänihälytinlaite
TWI712996B (zh) 音響裝置
KR101006946B1 (ko) 독립형 화재경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