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1189A - 스마트팜용 자동 농약 공급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팜용 자동 농약 공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1189A
KR20220121189A KR1020220020568A KR20220020568A KR20220121189A KR 20220121189 A KR20220121189 A KR 20220121189A KR 1020220020568 A KR1020220020568 A KR 1020220020568A KR 20220020568 A KR20220020568 A KR 20220020568A KR 20220121189 A KR20220121189 A KR 202201211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sticide
spraying device
tank
supply station
pesticide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0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환홍
김우조
신승렬
김영준
김현인
Original Assignee
정환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환홍 filed Critical 정환홍
Publication of KR20220121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11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25Mechanical sprayers
    • A01M7/0032Pressure sprayers
    • A01M7/0042Field sprayers, e.g. self-propelled, drawn or tractor-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A01M7/006Mounting of the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9Regulating or control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0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comprising sensors for monitoring the delivery, e.g. by displaying the sensed value or generating an al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05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mounted on vehicles or designed to apply a liquid on a very large surface, e.g. on the road, on the surface of lar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연결되는 서버를 포함한 제어부(미도시)와 연동되며 농약 살포 장치(100)에 농약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탱크(110) 및 농약분무기(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기 농약 살포 장치(100);
상기 탱크(110)에 농약을 공급하는 농약공급스테이션(200);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농약 살포 장치(100) 및 상기 농약공급스테이션(200) 각각에는 송수신 모듈(미도시)이 설치되어 상기 송수신 모듈(미도시)이 상기 제어부(미도시)와 실시간으로 무선으로 연동되어 동작 및 기능이 제어되고,
상기 탱크(110) 내부에 미리 설정된 농약량에 미달시 상기 농약 살포 장치(100)가 가장 근접한 상기 농약공급스테이션(200)으로 이동하여 자동으로 농약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팜용 자동 농약 공급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스마트팜용 자동 농약 공급 시스템{the automatic pesticide supplying system in smart farm}
본 발명은 자동화된 시스템으로 농약 살포 장치에 농약이 고갈되었을 때 농약공급스테이션에서 농약 살포 장치로 자동으로 농약을 보충하는 스마트팜용 자동 농약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농산물의 재배에 있어서 인력을 최소화하고 자동화하기 위한 스마트팜 시스템의 도입이 화두로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개발된 스마트팜 시스템은 온도 및 습도와 같은 생육조건의 자동제어 등 농산물의 생산성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 정작 시간과 비용에 있어서 중요한 농약 공급 방법 등의 자동화에 대해서는 등한시되어 온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동화된 시스템으로 농약 살포 장치에 농약이 고갈되었을 때 농약공급스테이션에서 농약 살포 장치로 자동으로 농약을 보충하는 스마트팜용 자동 농약 공급 시스템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57831호 '스마트팜 제어 시스템', 2020년 05월 27일 [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55823호 '스마트팜 제어 시스템', 2020년 05월 22일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시되는 것이다. 그 목적은 자동화된 시스템으로 농약 살포 장치에 농약이 고갈되었을 때 농약공급스테이션에서 농약 살포 장치로 자동으로 농약을 보충하는 스마트팜용 자동 농약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연결되는 서버를 포함한 제어부(미도시)와 연동되며 농약 살포 장치(100)에 농약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탱크(110) 및 농약분무기(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기 농약 살포 장치(100);
상기 탱크(110)에 농약을 공급하는 농약공급스테이션(200);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농약 살포 장치(100) 및 상기 농약공급스테이션(200) 각각에는 송수신 모듈(미도시)이 설치되어 상기 송수신 모듈(미도시)이 상기 제어부(미도시)와 실시간으로 무선으로 연동되어 동작 및 기능이 제어되고,
상기 탱크(110) 내부에 미리 설정된 농약량에 미달시 상기 농약 살포 장치(100)가 가장 근접한 상기 농약공급스테이션(200)으로 이동하여 자동으로 농약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팜용 자동 농약 공급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화된 시스템으로 농약 살포 장치에 농약이 고갈되었을 때 농약공급스테이션에서 농약 살포 장치로 자동으로 농약을 보충하는 스마트팜용 자동 농약 공급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 내지 3은 본 발명의 스마트팜용 자동 농약 공급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노즐을 통해 농약이 공급되는 장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암의 작동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병충해 예찰 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6에서 병충해 예찰 장치의 상세도이다.
도 8은 병충해 예찰 장치가 설치된 본 발명의 작동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개념이 바람직하게 구현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3은 본 발명의 스마트팜용 자동 농약 공급 시스템의 개념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서 노즐을 통해 농약이 공급되는 장면을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암의 작동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스마트팜용 자동 농약 공급 시스템은,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연결되는 서버를 포함한 제어부(미도시)와 연동되며 농약 살포 장치(100)에 농약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탱크(110) 및 농약분무기(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기 농약 살포 장치(100);
상기 탱크(110)에 농약을 공급하는 농약공급스테이션(200);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농약 살포 장치(100) 및 상기 농약공급스테이션(200) 각각에는 송수신 모듈(미도시)이 설치되어 상기 송수신 모듈(미도시)이 상기 제어부(미도시)와 실시간으로 무선으로 연동되어 동작 및 기능이 제어되고,
상기 탱크(110) 내부에 미리 설정된 농약량에 미달시 상기 농약 살포 장치(100)가 가장 근접한 상기 농약공급스테이션(200)으로 이동하여 자동으로 농약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농약 살포 장치(100)는,
하부에 다수개의 바퀴가 설치된 본체(150);
상기 본체(150) 전면에 설치되는 라이다(153);
상기 본체(150) 측면에 위치감지센서(155)가 설치되어,
상기 위치감지센서(150)가 상기 농약공급스테이션(200)의 폴(210)을 감지하여 정위치에 정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농약공급스테이션(200)은,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폴(210);
상기 폴(210)에 설치되어 회전운동이 가능한 암(231)과 상기 암(231)의 단부에 설치되는 노즐(23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농약공급부(230);
상기 폴(210)에 설치되어 내부에 상기 송수신 모듈이 장착된 컨트롤박스(25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탱크(110) 상부의 탱크입구(113)에 수직으로 위치하던 상기 암(231)이 회전하여 수평으로 위치하며 상기 노즐(233)을 통하여 상기 탱크(110)에 농약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탱크입구(113)는 평상시 캡(115)으로 밀폐되어 있다가 상기 암(231)의 작동전 상기 캡(115)이 자동으로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좌우 농산물 사이의 통로에는 레일(300)을 설치하고,
상기 본체(150) 하부에는 상기 레일(300)을 감지하고 인식하여 경로 이탈을 방지하는 레일감지센서(157)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본체(150)의 전면에는 라이다(153)가 설치될 수 있다.
보통 농장에는 좌우 농산물 사이의 통로에는 농장 내부의 온도 조절을 위한 온수파이프가 설치되게 되는데, 상기 온수파이프를 상기 레일(300)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농약 살포 장치(100)의 경우 상기 농약분무기(130)의 좌우 살포각도 조절을 통하여 좌우 농산물에 선택적으로 혹은 동시에 농약 살포가 가능하며,
상기 레일(300) 위를 오고 가면서 좌우 농산물에 순차적으로 농약 살포가 가능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탱크입구(113)는 평상시 캡(115)으로 밀폐되어 있다가 상기 암(231)의 작동전 상기 캡(115)이 자동으로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암(231)은 모터로 구동되는 것으로, 상기 모터는 상기 농약 살포 장치(100)에 설치된 송수신 모듈(미도시)이 상기 제어부(미도시)와 실시간으로 무선으로 연동되어 동작 및 기능이 제어된다.
상기 탱크(110) 내부의 농약량은 초음파 수위 레벨 센서(117)를 이용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농약공급스테이션(200)은,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폴(210);
상기 폴(210)에 설치되어 회전운동이 가능한 암(231)과 상기 암(231)의 단부에 설치되는 노즐(23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농약공급부(230);
상기 폴(210)에 설치되어 내부에 상기 송수신 모듈이 장착된 컨트롤박스(25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탱크(110) 상부의 탱크입구(113)에 수직으로 위치하던 상기 암(231)이 회전하여 수평으로 위치하며 상기 노즐(233)을 통하여 상기 탱크(110)에 농약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즐(233)에 연결된 호스는 도면에서 편의상 생략되어 있으며, 상기 호스는 솔레노이드밸브 등과 같은 통상적인 개폐밸브와 연결된다.
상기 암(231)의 구동은 모터 등을 이용한 통상적인 방식을 사용한다.
상기 초음파 수위 레벨 센서(117)에서 상기 탱크(110) 내부에 일정량의 농약이 충전된 것으로 감지되면 자동으로 상기 개폐밸브가 작동하여 상기 노즐(233)을 통한 농약 공급은 차단된다.
농장 내에는 상기 농약공급스테이션(200)이 다수개 곳곳에 설치되게 되며,
상기 농약 살포 장치(100)에 농약이 고갈되면 자동으로 가장 근접한 농약공급스테이션(200)으로 상기 농약 살포 장치(100)가 자동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농약 살포 장치(100)에 농약이 충전된 후에는 상기 농약 살포 장치(100)는 농약살포가 중지된 곳으로 자동으로 이동하여 농약살포 작업을 이어서 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병충해 예찰 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6에서 병충해 예찰 장치의 상세도이다.
도 8은 병충해 예찰 장치가 설치된 본 발명의 작동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농약분무기(130)는 상기 농약 살포 장치(100)에 설치된 수직바(400)에 설치되며,
상기 수직바(400)에는 상기 농약분무기(130)의 받대쪽으로 병충해 예찰 장치(500)가 설치된다.
상기 병충해 예찰 장치(500)는,
상기 수직바(400)를 상하이동할 수 있는 상하스테이지(510);
상기 상하스테이지(510)에 설치되는 회전스테이지(520);
상기 회전스테이지(520) 상부에 설치되는 본체(5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본체(530)는,
적외선카메라(610), 스테레오카메라(620), 조명(630), 센서(640), 레이저스캐너(650), 컬러카메라(66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농약 살포 장치(100) 후면에 상기 병충해 예찰 장치(500)를 장착한 상태로 온수파이프인 상기 레일(300) 위를 활주 하며, 농약분사를 하지 않는 상태에서 농작물이 있는 곳으로 진입하면서 왼쪽 농작물의 병충해 유무을 검사하고 나갈때는 오른쪽 농작물의 병충해 유무를 검사한다.
적외선카메라(610), 스테레오카메라(620), 조명(630), 센서(640), 레이저스캐너(650), 컬러카메라(660) 등을 통해 농작물의 상태를 검사한 데이터는 메인 서버로 보내지고,
이 데이터를 분석한 AI는 운영자에게 병충해 정도에 따른 적절한 조치를 알려줘 운영자가 신속히 대응하도록 함으로서 병충해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100: 농약 살포 장치
110: 탱크
113: 탱크입구
115: 캡
117: 초음파 수위 레벨 센서
130: 농약분무기
150: 본체
153: 라이다
155: 위치감지센서
157: 레일감지센서
200: 농약공급스테이션
210: 폴
230: 농약공급부
231: 암
233: 노즐
250: 컨트롤박스
300: 레일
400: 수직바
500: 병충해 예찰 장치
510: 상하스테이지
520: 회전스테이지
530: 본체
610: 적외선카메라
620: 스테레오카메라
630: 조명
640: 센서
650: 레이저스캐너
660: 컬러카메라

Claims (5)

  1.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연결되는 서버를 포함한 제어부(미도시)와 연동되며 농약 살포 장치(100)에 농약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탱크(110) 및 농약분무기(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기 농약 살포 장치(100);
    상기 탱크(110)에 농약을 공급하는 농약공급스테이션(200);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농약 살포 장치(100) 및 상기 농약공급스테이션(200) 각각에는 송수신 모듈(미도시)이 설치되어 상기 송수신 모듈(미도시)이 상기 제어부(미도시)와 실시간으로 무선으로 연동되어 동작 및 기능이 제어되고,
    상기 탱크(110) 내부에 미리 설정된 농약량에 미달시 상기 농약 살포 장치(100)가 가장 근접한 상기 농약공급스테이션(200)으로 이동하여 자동으로 농약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팜용 자동 농약 공급 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농약 살포 장치(100)는,
    하부에 다수개의 바퀴가 설치된 본체(150);
    상기 본체(150) 전면에 설치되는 라이다(153);
    상기 본체(150) 측면에 위치감지센서(155)가 설치되어,
    상기 위치감지센서(150)가 상기 농약공급스테이션(200)의 폴(210)을 감지하여 정위치에 정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팜용 자동 농약 공급 시스템.
  3. 제2항에서,
    상기 농약공급스테이션(200)은,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폴(210);
    상기 폴(210)에 설치되어 회전운동이 가능한 암(231)과 상기 암(231)의 단부에 설치되는 노즐(23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농약공급부(230);
    상기 폴(210)에 설치되어 내부에 상기 송수신 모듈이 장착된 컨트롤박스(25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탱크(110) 상부의 탱크입구(113)에 수직으로 위치하던 상기 암(231)이 회전하여 수평으로 위치하며 상기 노즐(233)을 통하여 상기 탱크(110)에 농약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팜용 자동 농약 공급 시스템.
  4. 제3항에서,
    상기 탱크입구(113)는 평상시 캡(115)으로 밀폐되어 있다가 상기 암(231)의 작동전 상기 캡(115)이 자동으로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팜용 자동 농약 공급 시스템.
  5. 제1항에서,
    상기 농약분무기(130)는 상기 농약 살포 장치(100)에 설치된 수직바(400)에 설치되며,
    상기 수직바(400)에는 상기 농약분무기(130)의 받대쪽으로 병충해 예찰 장치(500)가 설치되되,
    상기 병충해 예찰 장치(500)는,
    상기 수직바(400)를 상하이동할 수 있는 상하스테이지(510);
    상기 상하스테이지(510)에 설치되는 회전스테이지(520);
    상기 회전스테이지(520) 상부에 설치되는 본체(5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본체(530)는,
    적외선카메라(610), 스테레오카메라(620), 조명(630), 센서(640), 레이저스캐너(650), 컬러카메라(6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팜용 자동 농약 공급 시스템.
KR1020220020568A 2021-02-24 2022-02-17 스마트팜용 자동 농약 공급 시스템 KR202201211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024 2021-02-24
KR20210025024 2021-02-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1189A true KR20220121189A (ko) 2022-08-31

Family

ID=83061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0568A KR20220121189A (ko) 2021-02-24 2022-02-17 스마트팜용 자동 농약 공급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2118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5823A (ko) 2018-11-09 2020-05-22 (주)큐디 스마트팜 제어 시스템
KR20200057831A (ko) 2018-11-14 2020-05-27 신성민 스마트팜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5823A (ko) 2018-11-09 2020-05-22 (주)큐디 스마트팜 제어 시스템
KR20200057831A (ko) 2018-11-14 2020-05-27 신성민 스마트팜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09585B2 (en) Agricultural spraying control system
US11778940B2 (en) Liquid dispensing system
KR101692486B1 (ko) Led 식물공장 자동화시스템
US11147257B2 (en) Software process for tending crops using a UAV
KR101869032B1 (ko) 빅데이터 창출 지능형 agv 기반 무인 식물공장 로봇 시스템
KR20180011933A (ko) 무인 자동화 분무장치
CN110140704A (zh) 一种用于植保无人机的智能农药喷洒方法及系统
US6698668B2 (en) Shielded plot sprayer
EP332977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weeds
US11589525B2 (en) Plant cultivation device
US20240000059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ariable rate application of applicants to discrete field locations
CN111556708A (zh) 输送蒸汽到田地表面上下方的装置和方法
KR102433832B1 (ko) 자외선 조사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팜용 농약 살포 장치를 이용한 스마트팜용 자동 농약 공급 시스템
KR102590320B1 (ko) 온실 방제 로봇
KR20220121189A (ko) 스마트팜용 자동 농약 공급 시스템
EP3991557A1 (en) Atomizer
KR200264576Y1 (ko) 비닐하우스용 농약 살포장치
KR100497064B1 (ko) 각도 조절이 용이한 무전원 무인 방제방법및 그 장치
KR20170081545A (ko) 양방향으로 살포되는 더블형 방제기
US20240023470A1 (en) Autosteered implement
JP2012085566A (ja) 茶園への肥料散布方法、肥料散布装置と茶園管理機
KR102275386B1 (ko) 스팀을 이용한 제초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무인 방제 시스템
Calveras et al. Precision application of pesticides in orchards–adjusting liquid flow
KR20220040545A (ko) 농업용 액체 살포장치
KR20220018255A (ko) 다기능 스마트 무인 방제 분적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