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1068A - 게임 캐릭터와 연동되는 코스튬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에 표현하는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 Google Patents

게임 캐릭터와 연동되는 코스튬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에 표현하는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1068A
KR20220121068A KR1020210025027A KR20210025027A KR20220121068A KR 20220121068 A KR20220121068 A KR 20220121068A KR 1020210025027 A KR1020210025027 A KR 1020210025027A KR 20210025027 A KR20210025027 A KR 20210025027A KR 20220121068 A KR20220121068 A KR 20220121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tretchable display
costume
clothing
game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5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0225B1 (ko
Inventor
류한영
정승은
Original Assignee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25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0225B1/ko
Publication of KR20220121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1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0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0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5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6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on the game controller or outside a game booth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8Trimmings; Ornaments
    • A41D27/085Luminous orn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5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7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a large display in a public venue, e.g. in a movie theatre, stadium or game aren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0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3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isplay Devices Of Pinball Game Machines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게임 캐릭터와 연동되는 코스튬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에 표현하는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가 수행하는 게임 콘텐츠의 서버와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stretchable display) 의류의 제어 장치를 연동하는 단계; 사용자가 선택한 게임 콘텐츠의 코스튬 아이템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에 동기화하여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가 원하는 디자인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에 추가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는 단계; 주위 환경과 사용자의 행동을 반영하여 코스튬 아이템 또는 추가된 디자인을 변경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게임 콘텐츠에서 제공한 미션을 달성하는 경우 제공받는 보상 코스튬 아이템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 및 연동된 게임 콘텐츠에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게임 콘텐츠와 연결된 코스튬 아이템이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서로 연동 확장되는 경험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리워드를 통한 게이미피케이션이 사용자의 흥미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게임 캐릭터와 연동되는 코스튬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에 표현하는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METHOD OF EXPRESSING COSTUME LINKED TO GAME CHARACTERS ON STRETCHABLE DISPLAY CLOTHING, RECORDING MEDIUM AND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본 발명은 게임 캐릭터와 연동되는 코스튬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에 표현하는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게임 콘텐츠와 연결된 코스튬 아이템을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서로 연동 확장되는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현재 디스플레이 관련 기술의 발달과 함께, 접거나 롤(Roll) 형상으로 말 수 있는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를 적용한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종이처럼 얇고 유연한 기판을 통해 만든 구부리거나 접어도 똑같은 화질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이다.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는 스스로 빛을 내기 때문에 백라이트가 필요 없어 얇다. 또한, 유기물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유연성을 가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적합하다.
플렉서블 OLED와 일반 OLED의 가장 큰 차이점은 기판(Substrate)에 사용하는 소재로 유리가 아닌 PI(Polyimide), 폴리이미드 등의 고분자를 사용한다. 그 이유는 굴곡성이 좋고, 높은 열을 견디며, 충격에 강하기 때문에 구부리거나 휘어도 깨지지 않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중에서도 화면이 탄력적으로 늘어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stretchable display)가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화면을 구부리거나(Bendable), 접는(Foldable) 것은 한 방향으로만 변형이 가능한 것이지만,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는 두 방향 이상으로 변형이 가능하고, 힘을 가해 늘려도 되돌아오는 신축성을 갖는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주어진 변형 범위 안에서 반복적인 변형과 원상태로의 복원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최소 입자인 픽셀(화소) 사이에 PDMS(Polydimethylsiloxane), PU(Polyurethane) 등과 같은 탄성체를 사용한다.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의 신축성은 화면을 위에서 누르면 화면이 움푹 들어갔다가 원래의 평평한 화면으로 돌아온다. 마찬가지로, 아래에서 위로 화면을 눌러도 다시 원상태로 돌아간다.
예를 들어, 화면을 누르면 최대 12㎜까지 화면이 안으로 들어갔다가 손을 떼면 다시 원래 모습으로 돌아오며, 그 동안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은 정상적으로 표시된다.
이러한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각광받고 있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에 대한 활용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KR 10-1734054 B1 KR 10-2017-0143474 A KR 10-2018-0073795 A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게임 캐릭터와 연동되는 코스튬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에 표현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게임 캐릭터와 연동되는 코스튬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에 표현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게임 캐릭터와 연동되는 코스튬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에 표현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캐릭터와 연동되는 코스튬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에 표현하는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가 수행하는 게임 콘텐츠의 서버와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stretchable display) 의류의 제어 장치를 연동하는 단계; 사용자가 선택한 게임 콘텐츠의 코스튬 아이템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에 동기화하여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가 원하는 디자인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에 추가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는 단계; 주위 환경과 사용자의 행동을 반영하여 코스튬 아이템 또는 추가된 디자인을 변경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게임 콘텐츠에서 제공한 미션을 달성하는 경우 제공받는 보상 코스튬 아이템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 및 연동된 게임 콘텐츠에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주위 환경과 사용자의 행동을 반영하여 코스튬 아이템 또는 추가된 디자인을 변경하는 단계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를 착용한 사용자의 움직임 또는 주변의 소리를 감지하는 단계; 및 감지된 사용자의 움직임 또는 주변의 소리의 변화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에 디스플레이되는 코스튬 아이템 및 추가된 디자인의 개수, 움직임, 반짝임 및 컬러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에 디스플레이되는 코스튬 아이템 및 추가된 디자인의 개수, 움직임, 반짝임 및 컬러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단계는, 감지된 사용자의 움직임 또는 주변의 소리가 커질수록 상기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에 디스플레이되는 코스튬 아이템 및 추가된 디자인의 개수, 움직임 및 반짝임은 더욱 커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가 수행하는 게임 콘텐츠의 서버와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의 제어 장치를 연동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수행하는 게임 콘텐츠가 여러 개인 경우, 게임 콘텐츠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최우선 순위의 게임 콘텐츠와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의 제어 장치를 연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게임 콘텐츠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게임 콘텐츠에 접속한 시간의 최신성, 일정 기간 동안 사용자가 게임 콘텐츠에 접속한 시간의 지속성, 사용자가 게임 콘텐츠에서 사용한 코스튬 아이템 대한 애정도 및 사용자가 지정한 게임 콘텐츠의 흥미도에 대해 가중치를 적용하여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의 활성화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설정된 활성화 영역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그림 또는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그림판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는, 상기 게임 캐릭터와 연동되는 코스튬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에 표현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캐릭터와 연동되는 코스튬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에 표현하는 장치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가 수행하는 게임 콘텐츠의 서버와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stretchable display) 의류의 제어 장치를 연동하는 콘텐츠 연동부; 사용자가 선택한 게임 콘텐츠의 코스튬 아이템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에 동기화하여 표시하는 코스튬 표시부; 사용자가 원하는 디자인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에 추가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는 인터페이스 활성화부; 주위 환경과 사용자의 행동을 반영하여 코스튬 아이템 또는 추가된 디자인을 변경하는 환경 반영부; 및 사용자가 게임 콘텐츠에서 제공한 미션을 달성하는 경우 제공받는 보상 코스튬 아이템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 및 연동된 게임 콘텐츠에 추가하는 리워드 반영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환경 반영부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를 착용한 사용자의 움직임 또는 주변의 소리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감지된 사용자의 움직임 또는 주변의 소리의 변화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에 디스플레이되는 코스튬 아이템 및 추가된 디자인의 개수, 움직임, 반짝임 및 컬러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디자인 변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디자인 변경부는, 감지된 사용자의 움직임 또는 주변의 소리가 커질수록 상기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에 디스플레이되는 코스튬 아이템 및 추가된 디자인의 개수, 움직임 및 반짝임이 더욱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콘텐츠 연동부는, 상기 사용자가 수행하는 게임 콘텐츠가 여러 개인 경우, 게임 콘텐츠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우선 순위 결정부; 및 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최우선 순위의 게임 콘텐츠와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의 제어 장치를 연동하는 콘텐츠 선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우선 순위 결정부는, 사용자가 게임 콘텐츠에 접속한 시간의 최신성, 일정 기간 동안 사용자가 게임 콘텐츠에 접속한 시간의 지속성, 사용자가 게임 콘텐츠에서 사용한 코스튬 아이템 대한 애정도 및 사용자가 지정한 게임 콘텐츠의 흥미도에 대해 가중치를 적용하여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인터페이스 활성화부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의 활성화 영역을 설정하는 활성화 영역 설정부; 및 설정된 활성화 영역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그림 또는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그림판을 활성화하는 그림판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게임 캐릭터와 연동되는 코스튬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에 표현하는 방법에 따르면, 게임, 드라마, 웹툰 등 다양한 콘텐츠와의 연동이 가능하고, 사용자가 직접 커스터마이징한 디자인의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메시지나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고, 사용자의 외부 환경을 감지하고 이에 대한 상호작용을 제공한다. 따라서, 의류를 통해 개성을 표현할 수 있으며 경제적 효용성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캐릭터와 연동되는 코스튬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에 표현하는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장치에서 게임 콘텐츠의 코스튬 아이템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에 동기화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장치에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에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장치에서 주위 환경과 사용자의 행동을 반영하여 코스튬 아이템 또는 추가된 디자인을 변경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장치에서 보상 코스튬 아이템이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장치에서 보상 코스튬 아이템이 연동된 게임 콘텐츠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캐릭터와 연동되는 코스튬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에 표현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캐릭터와 연동되는 코스튬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에 표현하는 장치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캐릭터와 연동되는 코스튬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stretchable display, 이하 SD) 의류에 표현하는 장치(10, 이하 장치)는 SD 의류의 디자인을 서버의 게임 캐릭터와 연동시켜 변화시키고, SD 의류의 캐릭터가 외부 음향에 따라 크기 및 모양이 변화하는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는 콘텐츠 연동부(110), 코스튬 표시부(130), 인터페이스 활성화부(150), 환경 반영부(170) 및 리워드 반영부(190)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10)는 SD 의류와 게임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와 무선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및 SD 의류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10)는 SD 의류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해 SD 의류의 일부에 형성되거나 FPCB 형태로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장치(10)는 게임 캐릭터와 연동되는 코스튬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에 표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애플리케이션)가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으며, 상기 콘텐츠 연동부(110), 상기 코스튬 표시부(130), 상기 인터페이스 활성화부(150), 상기 환경 반영부(170) 및 상기 리워드 반영부(190)의 구성은 상기 장치(10)에서 실행되는 상기 게임 캐릭터와 연동되는 코스튬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에 표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장치(10)는 별도의 단말이거나 또는 단말의 일부 모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 연동부(110), 상기 코스튬 표시부(130), 상기 인터페이스 활성화부(150), 상기 환경 반영부(170) 및 상기 리워드 반영부(190)의 구성은 통합 모듈로 형성되거나, 하나 이상의 모듈로 이루어 질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반대로 각 구성은 별도의 모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장치(10)는 이동성을 갖거나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장치(10)는, 서버(server) 또는 엔진(engine) 형태일 수 있으며, 디바이스(device), 기구(apparatus), 단말(terminal),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휴대기기(handheld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상기 장치(10)는 운영체제(Operation System; OS), 즉 시스템을 기반으로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거나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운영체제는 소프트웨어가 장치의 하드웨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스템 프로그램으로서, 안드로이드 OS, iOS, 윈도우 모바일 OS, 바다 OS, 심비안 OS, 블랙베리 OS 등 모바일 컴퓨터 운영체제 및 윈도우 계열, 리눅스 계열, 유닉스 계열, MAC, AIX, HP-UX 등 컴퓨터 운영체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연동부(110)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가 수행하는 게임 콘텐츠의 서버와 SD 의류의 제어 장치를 연동한다. 상기 콘텐츠 연동부(110)는 게임 콘텐츠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우선 순위 결정부 및 최우선 순위의 게임 콘텐츠와 SD 의류의 제어 장치를 연동하는 콘텐츠 선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하는 게임 콘텐츠와 연결된 코스튬 아이템을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서로 연동되어 확장되는 경험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스스로 창작하는 상호작용 자체의 유희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수행하는 게임 콘텐츠가 여러 가지인 경우, 사용자가 지정한 게임 콘텐츠와 연동하거나 가장 최근에 접속한 게임 콘텐츠를 SD 의류와 자동으로 연동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근래에 가장 즐겨했던 게임 콘텐츠와 연동하거나 코스튬 아이템이 있는 게임 콘텐츠를 SD 의류와 자동으로 연동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수행하는 게임 콘텐츠가 여러 가지인 경우, 게임 콘텐츠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최우선 순위의 게임 콘텐츠를 SD 의류와 연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임 콘텐츠의 우선순위는 사용자가 게임 콘텐츠에 접속한 시간의 최신성, 일정 기간 동안 사용자가 게임 콘텐츠에 접속한 시간의 지속성, 사용자가 게임 콘텐츠에서 사용한 코스튬 아이템 대한 애정도 및 사용자가 지정한 게임 콘텐츠의 흥미도를 반영하여 결정할 수 있고, 상기 요소들에 대해 각 가중치를 적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한 시나리오의 예를 들어 설명하면, 할로윈을 맞아 친구들과 클럽에서 모이기로 한 사용자가 SD 원피스를 착용한다. SD 원피스를 착용하고 어떤 코스튬을 할까 고민하던 중, 얼마 전 R 게임에서 SD 의류로 캐릭터를 입고 다니면 3시간 당 새로운 코스튬 아이템 보상이 있다고 홍보한 것을 떠올리고는 자신의 R 게임 캐릭터로 환복하기로 한다.
상기 코스튬 표시부(130)는 사용자가 선택한 게임 콘텐츠의 코스튬 아이템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에 동기화하여 표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게임 캐릭터 설정에 들어가 SD 의류와 연동을 클릭하자, SD 원피스가 본인의 게임 캐릭터 코스튬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는 개성 있는 착장으로 만족스럽게 외출해 친구들과 할로윈 분위기를 즐긴다. 이를 본 주변인들은 독보적이라며 코스튬 겹칠 일은 절대 없겠다며 부러워한다.
상기 인터페이스 활성화부(150)는 사용자가 원하는 디자인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에 추가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한다. 상기 인터페이스 활성화부(150)는 SD 의류의 활성화 영역을 설정하는 활성화 영역 설정부 및 사용자의 원하는 패턴을 입력할 수 있는 그림판을 활성화하는 그림판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SD 의류의 일부를 미리 설정된 패턴으로 터치하면 SD 의류의 활성화 영역이 설정되고, 설정된 활성화 영역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그림 또는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그림판이 활성화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이후 주변에 하나 둘씩 늘어나는 인원에 사용자는 좀 더 자신의 코스튬을 꾸미고자, SD 원피스에 본인이 원하는 글씨를 쓰고 그림을 그리려 한다. 이를 위해 디자인을 추가하고자 하는 SD 원피스 부분을 검지로 꾸욱 누르자 그림판이 활성화된다. 사용자가 귀여운 유령 하나를 그리자 SD 원피스에 유령이 표시된다.
상기 환경 반영부(170)는 주위 환경과 사용자의 행동을 반영하여 코스튬 아이템 또는 추가된 디자인을 변경한다. 이를 위해 상기 환경 반영부(170)는 감지부 및 디자인 변경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감지부는 모션 센서 및 음성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경 반영부(170)는 SD 의류를 착용한 사용자의 움직임 또는 주변의 소리를 감지하고, 감지된 사용자의 움직임 또는 주변의 소리의 변화를 반영하여 코스튬 아이템 또는 추가된 디자인을 변경한다. 사용자의 움직임 또는 주변의 소리에 따라 사용자의 환경과 감정을 인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움직임 또는 주변의 소리의 변화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에 디스플레이되는 코스튬 아이템 및 추가된 디자인의 개수, 움직임, 반짝임 및 컬러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움직임이 커지면 사용자의 기분이 코스튬 아이템 및 추가된 디자인의 개수가 늘어난다든지, 움직임이나 반짝임이 더욱 활발해지거나 컬러가 화려한 색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그린 유령은 클럽의 음악 소리가 커짐에 따라 크기가 커지고, 움직임이 커질 때마다 많은 개수로 나타나며 움직인다. 또한, 사용자의 기분에 따라 그림의 색이 변화할 수 있다.
상기 리워드 반영부(190)는 사용자가 게임 콘텐츠에서 제공한 미션을 달성하는 경우 제공받는 보상 코스튬 아이템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 및 연동된 게임 콘텐츠에 추가한다.
도 5를 참조하면, R 게임 캐릭터로 코스튬한 SD 원피스를 입은 지 3시간이 지나자, 사용자는 새로운 등 장식 보상을 받는다. 이에 SD 원피스 등쪽에 새로운 아이템이 디스플레이된다.
도 6을 참조하면, SD 원피스의 착용을 6시간을 채운 사용자는 총 2개의 보상을 받았다. 집에 들어와 R 게임에 들어가 보니 받은 두 보상이 모두 자신의 창고에 쌓인 것을 확인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하는 게임 콘텐츠와 연결된 코스튬 아이템이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서로 연동 확장되는 경험을 하게 되고, 리워드를 통한 게이미피케이션이 사용자의 흥미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캐릭터와 연동되는 코스튬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에 표현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게임 캐릭터와 연동되는 코스튬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에 표현하는 방법은, 도 1의 장치(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서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의 장치(10)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게임 캐릭터와 연동되는 코스튬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에 표현하는 방법은 게임 캐릭터와 연동되는 코스튬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에 표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SD 의류의 디자인을 서버의 게임 캐릭터와 연동시켜 변화시키고, SD 의류의 캐릭터가 외부 음향에 따라 크기 및 모양이 변화하는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게임 캐릭터와 연동되는 코스튬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에 표현하는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가 수행하는 게임 콘텐츠의 서버와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stretchable display) 의류의 제어 장치를 연동한다(단계 S10).
게임 콘텐츠의 서버와 스트레처블 SD 제어 장치의 연동은 상기 사용자가 수행하는 게임 콘텐츠가 여러 개인 경우, 게임 콘텐츠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최우선 순위의 게임 콘텐츠와 SD 의류의 제어 장치를 연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게임 콘텐츠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게임 콘텐츠에 접속한 시간의 최신성, 일정 기간 동안 사용자가 게임 콘텐츠에 접속한 시간의 지속성, 사용자가 게임 콘텐츠에서 사용한 코스튬 아이템 대한 애정도 및 사용자가 지정한 게임 콘텐츠의 흥미도에 대해 가중치를 적용하여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한 게임 콘텐츠의 코스튬 아이템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에 동기화하여 표시한다(단계 S20).
예를 들어, 사용자가 게임 캐릭터 설정에 들어가 SD 의류와 연동을 클릭하자, SD 원피스가 본인의 게임 캐릭터 코스튬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가 원하는 디자인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에 추가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한다(단계 S30).
상기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의 활성화 영역을 설정하고, 설정된 활성화 영역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그림 또는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그림판을 활성화한다.
주위 환경과 사용자의 행동을 반영하여 코스튬 아이템 또는 추가된 디자인을 변경한다(단계 S40).
일 실시예에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를 착용한 사용자의 움직임 또는 주변의 소리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환경 및 감정을 인식한다.
이후, 감지된 사용자의 움직임 또는 주변의 소리의 변화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에 디스플레이되는 코스튬 아이템 및 추가된 디자인의 개수, 움직임, 반짝임 및 컬러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사용자의 환경 및 감정을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된 사용자의 움직임 또는 주변의 소리가 커질수록 상기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에 디스플레이되는 코스튬 아이템 및 추가된 디자인의 개수, 움직임 및 반짝임은 더욱 커지도록 표현할 수 있다.
사용자가 게임 콘텐츠에서 제공한 미션을 달성하는 경우 제공받는 보상 코스튬 아이템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 및 연동된 게임 콘텐츠에 추가한다(단계 S50).
예를 들어, R 게임 캐릭터로 코스튬한 SD 원피스를 외부에서 3시간 입는 것이 미션인 경우, 사용자가 SD 원피스를 착용 후 3시간이 지나자 새로운 등 장식 보상을 받는다. 이에 SD 원피스 등쪽에 새로운 아이템이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R 게임에 게임 창고에도 받은 보상이 적립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하는 게임 콘텐츠와 연결된 코스튬 아이템이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서로 연동 확장되는 경험을 하게 되고, 리워드를 통한 게이미피케이션이 사용자의 흥미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하는 게임 콘텐츠와 연결된 코스튬 아이템을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서로 연동되어 확장되는 경험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스스로 창작하는 상호작용 자체의 유희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게임 캐릭터와 연동되는 코스튬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에 표현하는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SD 의류를 통해 게임, 드라마, 웹툰 등 다양한 콘텐츠와의 연동이 가능하고, 사용자가 직접 커스터마이징한 디자인의 적용이 가능하다. 의류를 통해 개성을 표현할 수 있으며 경제적 효용성이 있다.
10: 게임 캐릭터와 연동되는 코스튬을 SD 의류에 표현하는 장치
110: 콘텐츠 연동부
130: 코스튬 표시부
150: 인터페이스 활성화부
170: 환경 반영부
190: 리워드 반영부

Claims (13)

  1.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가 수행하는 게임 콘텐츠의 서버와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stretchable display) 의류의 제어 장치를 연동하는 단계;
    사용자가 선택한 게임 콘텐츠의 코스튬 아이템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에 동기화하여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가 원하는 디자인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에 추가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는 단계;
    주위 환경과 사용자의 행동을 반영하여 코스튬 아이템 또는 추가된 디자인을 변경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게임 콘텐츠에서 제공한 미션을 달성하는 경우 제공받는 보상 코스튬 아이템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 및 연동된 게임 콘텐츠에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게임 캐릭터와 연동되는 코스튬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에 표현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위 환경과 사용자의 행동을 반영하여 코스튬 아이템 또는 추가된 디자인을 변경하는 단계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를 착용한 사용자의 움직임 또는 주변의 소리를 감지하는 단계; 및
    감지된 사용자의 움직임 또는 주변의 소리의 변화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에 디스플레이되는 코스튬 아이템 및 추가된 디자인의 개수, 움직임, 반짝임 및 컬러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게임 캐릭터와 연동되는 코스튬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에 표현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에 디스플레이되는 코스튬 아이템 및 추가된 디자인의 개수, 움직임, 반짝임 및 컬러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단계는,
    감지된 사용자의 움직임 또는 주변의 소리가 커질수록 상기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에 디스플레이되는 코스튬 아이템 및 추가된 디자인의 개수, 움직임 및 반짝임은 더욱 커지는, 게임 캐릭터와 연동되는 코스튬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에 표현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수행하는 게임 콘텐츠의 서버와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의 제어 장치를 연동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수행하는 게임 콘텐츠가 여러 개인 경우, 게임 콘텐츠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최우선 순위의 게임 콘텐츠와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의 제어 장치를 연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게임 캐릭터와 연동되는 코스튬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에 표현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콘텐츠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게임 콘텐츠에 접속한 시간의 최신성, 일정 기간 동안 사용자가 게임 콘텐츠에 접속한 시간의 지속성, 사용자가 게임 콘텐츠에서 사용한 코스튬 아이템 대한 애정도 및 사용자가 지정한 게임 콘텐츠의 흥미도에 대해 가중치를 적용하여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게임 캐릭터와 연동되는 코스튬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에 표현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의 활성화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설정된 활성화 영역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그림 또는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그림판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게임 캐릭터와 연동되는 코스튬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에 표현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상기 게임 캐릭터와 연동되는 코스튬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에 표현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8.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가 수행하는 게임 콘텐츠의 서버와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stretchable display) 의류의 제어 장치를 연동하는 콘텐츠 연동부;
    사용자가 선택한 게임 콘텐츠의 코스튬 아이템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에 동기화하여 표시하는 코스튬 표시부;
    사용자가 원하는 디자인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에 추가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는 인터페이스 활성화부;
    주위 환경과 사용자의 행동을 반영하여 코스튬 아이템 또는 추가된 디자인을 변경하는 환경 반영부; 및
    사용자가 게임 콘텐츠에서 제공한 미션을 달성하는 경우 제공받는 보상 코스튬 아이템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 및 연동된 게임 콘텐츠에 추가하는 리워드 반영부;를 포함하는, 게임 캐릭터와 연동되는 코스튬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에 표현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반영부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를 착용한 사용자의 움직임 또는 주변의 소리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감지된 사용자의 움직임 또는 주변의 소리의 변화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에 디스플레이되는 코스튬 아이템 및 추가된 디자인의 개수, 움직임, 반짝임 및 컬러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디자인 변경부;를 포함하는, 게임 캐릭터와 연동되는 코스튬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에 표현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 변경부는,
    감지된 사용자의 움직임 또는 주변의 소리가 커질수록 상기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에 디스플레이되는 코스튬 아이템 및 추가된 디자인의 개수, 움직임 및 반짝임이 더욱 커지도록 제어하는, 게임 캐릭터와 연동되는 코스튬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에 표현하는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연동부는,
    상기 사용자가 수행하는 게임 콘텐츠가 여러 개인 경우, 게임 콘텐츠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우선 순위 결정부; 및
    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최우선 순위의 게임 콘텐츠와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의 제어 장치를 연동하는 콘텐츠 선택부;를 포함하는, 게임 캐릭터와 연동되는 코스튬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에 표현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 결정부는,
    사용자가 게임 콘텐츠에 접속한 시간의 최신성, 일정 기간 동안 사용자가 게임 콘텐츠에 접속한 시간의 지속성, 사용자가 게임 콘텐츠에서 사용한 코스튬 아이템 대한 애정도 및 사용자가 지정한 게임 콘텐츠의 흥미도에 대해 가중치를 적용하여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게임 캐릭터와 연동되는 코스튬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에 표현하는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활성화부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의 활성화 영역을 설정하는 활성화 영역 설정부; 및
    설정된 활성화 영역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그림 또는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그림판을 활성화하는 그림판 제공부;를 포함하는, 게임 캐릭터와 연동되는 코스튬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에 표현하는 장치.
KR1020210025027A 2021-02-24 2021-02-24 게임 캐릭터와 연동되는 코스튬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에 표현하는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KR102490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027A KR102490225B1 (ko) 2021-02-24 2021-02-24 게임 캐릭터와 연동되는 코스튬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에 표현하는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027A KR102490225B1 (ko) 2021-02-24 2021-02-24 게임 캐릭터와 연동되는 코스튬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에 표현하는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1068A true KR20220121068A (ko) 2022-08-31
KR102490225B1 KR102490225B1 (ko) 2023-01-19

Family

ID=83061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5027A KR102490225B1 (ko) 2021-02-24 2021-02-24 게임 캐릭터와 연동되는 코스튬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에 표현하는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022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192B1 (ko) * 2010-11-05 2012-05-14 주식회사 엘티전자 광섬유 직물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스마트 의류 제어시스템 및 그의 스마트 폰을 연동한 제어방법
KR101734054B1 (ko) 2015-04-27 2017-05-11 주식회사 바우드 디스플레이 기능을 제공하는 의복
KR20170143474A (ko) 2017-12-01 2017-12-29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웨어러블 직접묘화 입력장치
KR20180073795A (ko) 2016-12-22 2018-07-03 주식회사 큐비앤맘 스마트 의복과 연동하는 전자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시스템
WO2020247175A1 (en) * 2019-06-07 2020-12-10 Snap Inc. Entertaining mobile application for animating a single image of a human body and applying effect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192B1 (ko) * 2010-11-05 2012-05-14 주식회사 엘티전자 광섬유 직물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스마트 의류 제어시스템 및 그의 스마트 폰을 연동한 제어방법
KR101734054B1 (ko) 2015-04-27 2017-05-11 주식회사 바우드 디스플레이 기능을 제공하는 의복
KR20180073795A (ko) 2016-12-22 2018-07-03 주식회사 큐비앤맘 스마트 의복과 연동하는 전자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시스템
KR20170143474A (ko) 2017-12-01 2017-12-29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웨어러블 직접묘화 입력장치
WO2020247175A1 (en) * 2019-06-07 2020-12-10 Snap Inc. Entertaining mobile application for animating a single image of a human body and applying effe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0225B1 (ko) 2023-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66210B1 (en) System and method for augmented reality control
US9381438B2 (en) Dynamically displaying personalized content in an immersive environment
KR101855535B1 (ko) 햅틱 효과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EP3588250A1 (en) Real-world haptic interactions for a virtual reality user
JP2020520000A (ja) 混合現実環境でのコンテキストアプリケーション
Parisi A counterrevolution in the hands: The console controller as an ergonomic branding mechanism
KR20160150565A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를 위한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CN110930487A (zh) 一种动画实现方法及装置
CN103752010B (zh) 用于控制设备的增强现实覆盖
CN106257394B (zh) 用于头戴显示器的三维用户界面
CN114404972A (zh) 视野画面的显示方法、装置及设备
KR102490225B1 (ko) 게임 캐릭터와 연동되는 코스튬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의류에 표현하는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JP2021184272A (ja) 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
US10758816B2 (en)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at modify a display position of a plurality of characters on an interface
US20220383601A1 (en) Virtual avatars and physical object interaction in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s
CN110609615A (zh) 用于在增强现实中集成触觉覆盖的系统和方法
Tang et al. Emerging human-toy interaction techniques with augmented and mixed reality
US9886865B2 (en) Providing enhanced experience based on device location
EP2960889A1 (en) Enhanced experience for reading, playing, learning, by combining digital media such as audio, video, with physical form such as books, magazine, board games
US20240153220A1 (en)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 and method
US11948237B2 (en) System and method for mimicking user handwriting or other user input using an avatar
KR10134519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490227B1 (ko)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가방에 신상 패턴을 업데이트하는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Seligmann Creating a mobile VR interactive tour guide
Bräne User Experience Design for Children: Developing and Testing a UX Frame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