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0975A - 사용자 주도형 여행 설계 서버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주도형 여행 설계 서버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0975A
KR20220120975A KR1020210024840A KR20210024840A KR20220120975A KR 20220120975 A KR20220120975 A KR 20220120975A KR 1020210024840 A KR1020210024840 A KR 1020210024840A KR 20210024840 A KR20210024840 A KR 20210024840A KR 20220120975 A KR20220120975 A KR 202201209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vel
information
user
destination
travel dest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4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재
Original Assignee
이승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재 filed Critical 이승재
Priority to KR1020210024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0975A/ko
Priority to PCT/KR2021/019467 priority patent/WO2022181953A1/ko
Priority to JP2023575332A priority patent/JP2024507302A/ja
Priority to US18/547,707 priority patent/US20240133703A1/en
Priority to CN202180097368.2A priority patent/CN117242477A/zh
Publication of KR20220120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09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84Personalized, e.g. from learned user behaviour or user-defined profi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C21/343Calculating itineraries, i.e. routes leading from a starting point to a series of categorical destinations using a global route restraint, round trips, touristic tr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6Clustering; Class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909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geographical or spatial information, e.g.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1Indexing; Web crawling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사용자 주도형 여행 설계 서버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주도형 여행 설계 서버는, 여행지에 대한 인지도가 설정된 여행지에 대한 1차 정보를 업로드받는업로드부, 업로드된 여행지에 대한 2차 정보를 탐색하는 탐색부, 업로드받은 1차 정보 및 탐색된 2차 정보에 기초하여 여행지가 속할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카테고리 결정부, 1차 정보 및 2차 정보를 비교하여 여행지에 대한 여행정보를 생성하는 여행정보 생성부, 및 생성된 여행정보를 결정된 카테고리에 따라 관리하는 데이터 관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주도형 여행 설계 서버 및 방법 {Server and method for planning user-driven travel}
본 발명은 사용자 주도형 여행 설계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획일적인 여행 스케쥴에서 벗어나 다양한 여행 스케쥴을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주도형 여행 설계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인의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다양한 이유로 많은 사람들이 여행을 한다. 세계 경제가 급성장하고 전자통신 분야가 발달하였음에 따라, 여행자들의 여행지는 국내 여행에 그치지 않고 세계 각국으로 퍼지고 있다.
언어 소통에 지장이 없는 국내 여행의 경우에는 개인적인 여행에 별다른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누구든 손쉽게 접근할 수 있다. 하지만, 언어 소통이 원활하지 않은 외국 여행의 경우에는 대부분이 여행사에서 추천하는 여행 일정에 가이드를 동반하는 여행의 형태를 취하게 된다.
여행사를 통한 외국 여행은, 가장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외국 여행의 형태이다. 일반적으로, 여행사에서는 정해진 인원만큼 여행자를 모집하여 해당 여행을 진행하게 되므로, 여행자 입장에서는 저렴한 비용으로 손쉽게 외국 여행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단체 관광의 경우, 다른 일행들과 함께 움직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개별적인 일정 관리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에서 각국의 언어로 통역을 해주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여, 각국의 교통정보, 숙박정보, 및 음식점 정보 등의 여행에 필요한 여러 정보들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되어 원하는 정보를 쉽게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모바일 기기를 소지한 여행자라면, 여행사를 통한 획일적인 외국 여행에서 벗어나 여행자가 스스로 개인의 취향에 따라 여행 일정 및 방문장소를 결정하고자 하는 욕구가 커지고 있다.
여행 예정자들은 여행 일정을 스스로 결정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정보를 취득해야 한다. 이를 위해 여행 예정자들은 대부분 인터넷을 통해 여행지에 대한 정보를 검색한다. 인터넷에는 여행에 관련된 방대한 정보가 존재하지만, 여행 업체 혹은 대형 포털에서 일방적으로 게시한 정보들이 대부분인 실정이다.
또한, 대부분의 여행 정보들은 정보 게시를 위한 목적으로 수집 및 작성된 것이므로, 정보 수집자의 일방적인 시선에 의해 작성된 것이어서 과장되거나 잘못된 정보를 반영할 수 있으며,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19-0093811호(2019. 08. 12. 공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수의 사용자로부터 여행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빅데이터를 구성하고, 이를 활용하여 여행자에 의한 여행 일정 설계가 가능하도록 한 사용자 주도형 여행 설계 서버 및 방법을 제시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주도형 여행 설계 서버는, 여행지에 대한 인지도가 설정된 여행지에 대한 1차 정보를 업로드받는업로드부, 업로드된 여행지에 대한 2차 정보를 탐색하는 탐색부, 업로드받은 1차 정보 및 탐색된 2차 정보에 기초하여 여행지가 속할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카테고리 결정부, 1차 정보 및 2차 정보를 비교하여 여행지에 대한 여행정보를 생성하는 여행정보 생성부, 및 생성된 여행정보를 결정된 카테고리에 따라 관리하는 데이터 관리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여행지는, 여행 목적지, 및 여행 목적지로 향하는 과정에서 거치는 복수의 장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탐색부는, 웹 크롤링(Web crawling)에 의해 2차 정보를 탐색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카테고리 결정부는, 설정된 인지도가 제1 레벨인 경우, 2차 정보의 데이터수가 기준값 이하이면 인지도를 상기 제1 레벨로 유지하고, 2차 정보의 데이터수가 기준값을 초과하면 인지도를 제2 레벨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1차 정보의 업로드시마다, 1차 정보를 업로드하는 사용자 단말장치의 위치정보를 추적하여, 사용자의 업로드 패턴을 분석하는 사용자 분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여행지 검색요청을 입력받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및 입력된 여행지 검색요청에 대응하는 여행지에 대한 여행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입력된 여행지 검색요청에 포함되어 있는 각각의 일정에 대하여 관련정보를 매칭하여 여행 스케쥴을 설계하는 스케쥴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스케쥴러는, 설계된 여행 스케쥴을 공유하고, 공유된 여행 스케쥴에 대한 참여자를 모집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주도형 여행 설계 방법은, 여행지에 대한 인지도가 설정된 상기 여행지에 대한 1차 정보를 업로드받는 단계, 업로드된 여행지에 대한 2차 정보를 탐색하는 단계, 업로드받은 1차 정보 및 탐색된 2차 정보에 기초하여 여행지가 속할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단계, 1차 정보 및 2차 정보를 비교하여 여행지에 대한 여행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여행정보를 결정된 카테고리에 따라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여행지는, 여행 목적지, 및 여행 목적지로 향하는 과정에서 거치는 복수의 장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탐색하는 단계는, 웹 크롤링(Web crawling)에 의해 2차 정보를 탐색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결정하는 단계는, 설정된 인지도가 제1 레벨인 경우, 2차 정보의 데이터수가 기준값 이하이면 인지도를 제1 레벨로 유지하고, 2차 정보의 데이터수가 기준값을 초과하면 인지도를 제2 레벨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1차 정보의 업로드시마다, 1차 정보를 업로드하는 사용자 단말장치의 위치정보를 추적하여, 사용자의 업로드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여행지 검색요청을 입력받는 단계, 및 입력된 여행지 검색요청에 대응하는 여행지에 대한 여행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입력된 여행지 검색요청에 포함되어 있는 각각의 일정에 대하여 관련정보를 매칭하여 여행 스케쥴을 설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설계된 여행 스케쥴을 공유하는 단계, 및 공유된 여행 스케쥴에 대한 참여자를 모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경험자 및 현지인에 의해 검증된 여행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신뢰성을 갖춘 여행정보에 의한 여행 설계가 가능한 사용자 주도형 여행 설계 서버 및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여행 일정을 계획하고, 여행에 참여할 참여자를 모집하는 과정을 통해 사용자가 직접 주도하는 여행을 설계하고, 모든 과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주도형 여행 설계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주도형 여행 설계 서버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주도형 여행 설계의 예시를 보인 도면,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주도형 여행 설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된 경우,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또한, 제1 엘리먼트 (또는 구성요소)가 제2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 상(ON)에서 동작 또는 실행된다고 언급될 때, 제1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는 제2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가 동작 또는 실행되는 환경에서 동작 또는 실행되거나 또는 제2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상호 작용을 통해서 동작 또는 실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엘리먼트, 구성요소, 장치, 또는 시스템이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로 이루어진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언급되는 경우, 명시적인 언급이 없더라도, 그 엘리먼트, 구성요소, 장치, 또는 시스템은 그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가 실행 또는 동작하는데 필요한 하드웨어(예를 들면, 메모리, CPU 등)나 다른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예를 들면 운영체제나 하드웨어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드라이버 등)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가 구현됨에 있어서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그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어떤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주도형 여행 설계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주도형 여행 설계 시스템은, 사용자 주도형 여행 설계 서버(이하, '여행설계서버'라 한다)(100), 다수의 사용자 단말장치(2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여행설계서버(100)와 다수의 사용자 단말장치(200)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이 가능하다.
여행설계서버(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장치(200)에게 여행에 관련된 서비스를 지원하는 서버로,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혹은 앱)을 제공할 수 있다.
여행설계서버(100)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장치(200)로부터 1차 정보를 업로드받을 수 있으며, 이 업로드된 1차 정보를 토대로 2차 정보를 탐색한다. 이후, 여행설계서버(100)는 1차 정보와 2차 정보를 비교하여 여행정보를 생성하고, 여행지에 따라 카테고리를 결정하여 카테고리별로 여행정보를 관리한다.
본 실시예에서, 1차 정보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장치(200)에서 각각의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여행정보에 해당하고, 2차 정보는 여행설계서버(100)가 인터넷을 통해 탐색한 여행정보에 해당한다.
또한, 여행지라 함은, 여행 목적지, 및 여행 목적지로 향하는 과정에서 거치는 복수의 장소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A 지역에서 B 박물관을 찾아간다고 가정한다. 이때, 사용자는 1차 정보 업로드시, 여행지로 B 박물관과, A 지역에서 B 박물관까지 가는 경로상에서 방문한 음식적, 카페, 서점, 기념품점 등을 포함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1차 정보가 여행설계서버(100)로 업로드될 수 있다. 여행설계서버(100)에 관하여는 후술하는 도 2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수의 사용자 단말장치(200)는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하여 여행설계서버(100)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장치로,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와 같은 모바일 기기와 데스크톱과 같은 유선통신기기도 해당할 수 있다. 여행자에 의해 여행정보를 제공받음을 목적으로 하는 본 여행설계서버(100)의 특성상 사용자 단말장치(200)가 모바일 기기일 가능성이 크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여행을 다녀온 이후 혹은 여행지에서 유선통신을 통해 업로드를 하는 사용자도 있다.
여행설계서버(100)에 접속하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장치(200)들을 소지한 사용자가 거주하는 장소는 매우 다양하다. 즉, 사용자는 자신의 거주지에 관계없이 세계 어느곳에서든 여행설계서버(100)를 통해 여행정보를 업로드할 수 있고, 혹은 여행설계서버(100)로부터 원하는 여행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여행을 계획하는 단계에서 여행설계서버(100)를 통해 여행 스케쥴을 설계할 수 있다. 또한, 자신이 직접 설계한 자신의 여행 스케쥴을 여행설계서버(100)를 통해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할 수 있으며, 이 공유 과정에서 여행에 함께 참여할 동행자를 모집할 수 도 있다. 동행자가 모집된 이후에는 동행자와 함께 여행 스케쥴을 조정할 수 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여행을 하는 중에 여행지에 관한 정보를 여행설계서버(100)에 업로드할 수 있으며, 각 여행지마다 자신이 생각하는 인지도를 설정한다. 이때의 정보가 1차 정보에 해당한다. 현재의 여행에 동행자가 있을 경우, 동행자는 동일한 장소를 함께 방문하게 되며, 각 사용자는 동일한 장소에 대하여 각각의 인지도를 설정하여 1차 정보를 업로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동일한 장소에 대하여도 여러 사용자가 느끼게 되는 방문느낌은 서로 상이할 수 있으므로, 한 장소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수집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주도형 여행 설계 서버의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여행설계서버(1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0), 업로드부(120), 탐색부(130), 카테고리 결정부(140), 여행정보 생성부(150), 데이터 관리부(160), 스케쥴러(170), 사용자 분석부(18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0)는 여행설계서버(100)가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하도록 네트워크와의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것으로, 사용자 단말장치(200)를 포함하여 여러 기기들과의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한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0)는 사용자 단말장치(200)로부터 여행지 검색요청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장치(200)는 도 1의 다수의 사용자 단말장치(200)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
업로드부(12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0)와의 연동을 통해 사용자 단말장치(200)에서 업로드하는 1차 정보를 업로드받는다. 이때, 업로드되는 1차 정보에는 여행지에 대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인지도가 포함된다. 여기서, 1차 정보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장치(200)를 통해 업로드하는 정보로, 여행 중 혹은 여행 후 여행지에 대하여 얻은 정보이다. 1차 정보에는 객관적인 정보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주관적인 후기도 포함된다.
탐색부(130)는 업로드부(120)를 통해 사용자 단말장치(200)로부터 업로드된 1차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여행지에 대한 2차 정보를 탐색한다. 본 실시예에서, 탐색부(130)는 웹 크롤링(Web crawling)에 의해 인터넷에 게시되어 있는 수많은 정보들 중 해당 여행지에 대한 정보를 탐색하는데 이를 2차 정보라 한다.
카테고리 결정부(140)는 1차 정보와 2차 정보에 기초하여 여행지가 속할 카테고리를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여행지가 속할 카테고리에는 "잘 알려진 장소" 카테고리 및 "알려지지 않은 장소" 카테고리가 있을 수 있다. 두 카테고리는 각 여행지에 대하여 인터넷에 게시된 정보의 양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카테고리 결정부(140)는 특정 여행지에 대하여 검색된 2차 정보의 데이터수가 기준값 이하이면, "알려지지 않은 장소" 카테고리에 속하도록 하고, 2차 정보의 데이터수가 기준값을 초과하면, "잘 알려진 장소" 카테고리에 속하도록 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장치(200)를 통해 특정 여행지에 대한 1차 정보를 업로드하는데, 해당 여행지에 대한 인지도를 제1 레벨 혹은 제2 레벨로 설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해당 여행지가 잘 알려지지 않은 장소인 경우에는 제1 레벨로 설정하고, 해당 여행지가 잘 알려진 유명한 장소인 경우에는 제2 레벨로 설정한다.
이후, 카테고리 결정부(140)는 사용자에 의해 인지도가 제1 레벨로 설정된 여행지에 대한 검증 과정을 거친다. 즉, 인지도가 제1 레벨로 설정된 여행지에 대하여 2차 정보의 데이터수가 기준값 이하이면 인지도를 그대로 제1 레벨로 유지하고, 2차 정보의 데이터수가 기준값을 초과하면 인지도를 제2 레벨로 변경한다. 이러한 검증 과정을 거치는 이유는, 사용자는 자신이 알지못했던 장소에 대하여는 잘 알려지지 않은 장소인 것으로 판단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여행정보 생성부(150)는 1차 정보 및 2차 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여행지에 대한 여행정보를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여행정보 생성부(150)는 1차 정보 및 2차 정보에서 서로 중복되는 내용은 겹쳐지지 않도록 하고, 객관적으로 검증되지 않은 정보는 삭제하는 등의 과정을 거쳐 정보의 신뢰성을 확보하도록 한다.
데이터 관리부(160)는 여행정보 생성부(150)에 의해 생성된 여행정보를 카테고리 결정부(140)에 의해 결정된 카테고리에 따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한다. 데이터 관리부(160)에 의해 관리되는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여행정보의 빅데이터화가 가능하다.
또한, 데이터 관리부(160)는 사용자 단말장치(200)로부터 여행지 검색요청이 입력되면, 이에 대응하는 여행지에 대한 여행정보를 제공한다. 데이터 관리부(160)에서 관리하는 여행정보는 1차 정보 및 2차 정보의 비교 과정에 의해 보다 검증된 정보이므로,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얻는 여행정보보다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이다.
스케쥴러(170)는 데이터 관리부(160)와 연동하여 사용자에 의한 여행지 검색요청에 포함되어 있는 각각의 일정에 대하여 관련정보를 매칭하여 여행 스케쥴을 설계한다. 스케쥴러(170)의 동작은 사용자의 선택을 도와주기 위한 수단일 뿐, 여행 일정에 대한 결정은 모두 사용자에 의해 직접 이루어진다.
또한, 스케쥴러(170)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설계된 여행 스케쥴을 웹사이트 등을 통해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공유된 여행 스케쥴에 대한 참여자를 모집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이 설계한 여행 스케쥴에 다른 사용자들이 참여할 경우, 참여 인원에 따라 여행 경비를 조율 혹은 협의가 가능할 수 있으며, 혼자 여행의 경우보다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사용자 분석부(180)는 사용자가 1차 정보를 업로드할 때마다, 1차 정보를 업로드하는 사용자 단말장치(200)의 위치정보를 추적하여, 사용자의 업로드 패턴을 분석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장기간동안 특정 장소에 대한 1차 정보를 지속적으로 올릴 경우, 해당 지역의 지역주민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지역주민 즉, 현지인에 의해 추천된 장소임을 명시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본 여행설계서버(1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한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0), 업로드부(120), 탐색부(130), 카테고리 결정부(140), 여행정보 생성부(150), 데이터 관리부(160), 스케쥴러(170), 및 사용자 분석부(180)들 간의 신호 입출력을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주도형 여행 설계의 예시를 보인 도면이다.
사용자는 자신이 소유한 사용자 단말장치(200)를 통해 여행설계서버(100)에 접속하여 자신의 목적지를 입력하여 여행 스케쥴을 설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미국 LA에 거주하는 사용자가 한국의 정읍시장을 목적지로 하여 설계한 여행 스케쥴을 예시하였다.
(a)는 출발지에 대한 정보를 보여준다.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인지하기 용이하도록 지도상에 사용자의 현 위치와 비행기를 탑승할 공항을 표시하여 보여준다. 또한, 지도의 하단에는 설계된 여행 스케쥴을 텍스트 정보로 제공한다.
즉, 최종 목적지는 한국의 정읍시장이고, 거리는 13,000km이고, 교통비를 포함하여 예상비용은 3,000달러가 소요된다는 정보를 표시한다. 부가적으로, 항공편의 경유지에 대한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b)는 도착지에 대한 정보를 보여준다. 사용자의 목적지인 한국의 정읍의 지도정보가 표시되고, 주변의 주요 관광지에 대한 정보도 함께 표시된다. 특히, 사용자가 한국의 공항으로부터 정읍까지 갈때의 경로는 별도로 표시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주도형 여행 설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여기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주도형 여행 설계 방법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장치(200)를 이용하여 여행설계서버(100)에 접속하여 여행지에 대한 1차 정보를 등록하고, 여행설계서버(100)에서는 업로드부(120)를 통해 1차 정보를 업로드받는다(S300). 이때, 1차 정보를 업로드하기 이전에 여행설계서버(100)로부터 여행 설계를 진행한 상태일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한 1차 정보가 업로드되면, 탐색부(130)에서는 1차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여행지를 추출하여 해당 여행지에 대한 2차 정보를 웹 크롤링한다(S310).
카테고리 결정부(140)는 1차 정보 및 2차 정보에 기초하여 여행지가 속할 카테고리를 결정한다. 여기서, 여행지에 대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인지도가 제1 레벨인 경우에만, 2차 정보의 데이터수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인지도를 그대로 유지할 것인지 혹은 변경할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S320).
여행정보 생성부(150)는 1차 정보 및 2차 정보를 비교하여 여행지에 대한 여행정보를 생성하고, 데이터 관리부(160)에서는 여행정보 생성부(150)에 의해 생성된 여행정보를 저장한다(S330).
사용자 단말장치(200)로부터 여행지 검색요청이 입력되면(S340-Y), 데이터 관리부(160)에서는 기저장된 여행정보들을 이용하여 해당 여행지에 대한 여행정보를 제공한다(S350).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장치(200)를 통해 여행설계서버(100)에서 제공한 여행정보를 확인한다. 이에 의해, 스케쥴러(170)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정해진 여행 일정에 따는 스케쥴을 설계한다(S360).
스케쥴러(170)에 의해 설계된 여행 스케쥴은 여행설계서버(100)에서 운영하는 웹사이트 등에 게시되어 타사용자들에게 공유될 수 있으며, 공유를 통해 여행의 참석자를 모집할 수도 있다(S370).
이러한 과정에 의해, 사용자는 인터넷에 무분별하게 올려져 있는 정보 대신 경험자 혹은 현지인 등에 의해 검증된 여행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자신의 의사에 따라 여행일정을 계획할 수 있다. 또한, 자신이 경험한 여행지에 대하여도 여행정보를 업로드하여 다른 사용자들에게 유익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여행설계서버 110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120 : 업로드부 130 : 탐색부
140 : 카테고리 결정부 150 : 여행정보 생성부
160 : 데이터 관리부 170 : 스케쥴러
180 : 사용자 분석부 190 : 제어부

Claims (16)

  1. 여행지에 대한 인지도가 설정된 상기 여행지에 대한 1차 정보를 업로드받는업로드부;
    상기 업로드된 여행지에 대한 2차 정보를 탐색하는 탐색부;
    상기 업로드받은 1차 정보 및 상기 탐색된 2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여행지가 속할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카테고리 결정부;
    상기 1차 정보 및 상기 2차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여행지에 대한 여행정보를 생성하는 여행정보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여행정보를 상기 결정된 카테고리에 따라 관리하는 데이터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주도형 여행 설계 서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행지는, 여행 목적지, 및 상기 여행 목적지로 향하는 과정에서 거치는 복수의 장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사용자 주도형 여행 설계 서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부는, 웹 크롤링(Web crawling)에 의해 상기 2차 정보를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주도형 여행 설계 서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 결정부는, 상기 설정된 인지도가 제1 레벨인 경우, 상기 2차 정보의 데이터수가 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인지도를 상기 제1 레벨로 유지하고, 상기 2차 정보의 데이터수가 상기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인지도를 제2 레벨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주도형 여행 설계 서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정보의 업로드시마다, 상기 1차 정보를 업로드하는 사용자 단말장치의 위치정보를 추적하여, 사용자의 업로드 패턴을 분석하는 사용자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주도형 여행 설계 서버.
  6. 제 1 항에 있어서,
    여행지 검색요청을 입력받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입력된 여행지 검색요청에 대응하는 여행지에 대한 여행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주도형 여행 설계 서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여행지 검색요청에 포함되어 있는 각각의 일정에 대하여 관련정보를 매칭하여 여행 스케쥴을 설계하는 스케쥴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주도형 여행 설계 서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쥴러는, 상기 설계된 여행 스케쥴을 공유하고, 상기 공유된 여행 스케쥴에 대한 참여자를 모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주도형 여행 설계 서버.
  9. 여행지에 대한 인지도가 설정된 상기 여행지에 대한 1차 정보를 업로드받는단계;
    상기 업로드된 여행지에 대한 2차 정보를 탐색하는 단계;
    상기 업로드받은 1차 정보 및 상기 탐색된 2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여행지가 속할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1차 정보 및 상기 2차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여행지에 대한 여행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여행정보를 상기 결정된 카테고리에 따라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주도형 여행 설계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여행지는, 여행 목적지, 및 상기 여행 목적지로 향하는 과정에서 거치는 복수의 장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사용자 주도형 여행 설계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하는 단계는, 웹 크롤링(Web crawling)에 의해 상기 2차 정보를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주도형 여행 설계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된 인지도가 제1 레벨인 경우, 상기 2차 정보의 데이터수가 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인지도를 상기 제1 레벨로 유지하고, 상기 2차 정보의 데이터수가 상기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인지도를 제2 레벨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주도형 여행 설계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정보의 업로드시마다, 상기 1차 정보를 업로드하는 사용자 단말장치의 위치정보를 추적하여, 사용자의 업로드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주도형 여행 설계 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여행지 검색요청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여행지 검색요청에 대응하는 여행지에 대한 여행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주도형 여행 설계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여행지 검색요청에 포함되어 있는 각각의 일정에 대하여 관련정보를 매칭하여 여행 스케쥴을 설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주도형 여행 설계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설계된 여행 스케쥴을 공유하는 단계; 및
    상기 공유된 여행 스케쥴에 대한 참여자를 모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주도형 여행 설계 방법.
KR1020210024840A 2021-02-24 2021-02-24 사용자 주도형 여행 설계 서버 및 방법 KR20220120975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840A KR20220120975A (ko) 2021-02-24 2021-02-24 사용자 주도형 여행 설계 서버 및 방법
PCT/KR2021/019467 WO2022181953A1 (ko) 2021-02-24 2021-12-21 사용자 주도형 여행 설계 서버 및 방법
JP2023575332A JP2024507302A (ja) 2021-02-24 2021-12-21 ユーザー主導型旅行設計サーバー及び方法
US18/547,707 US20240133703A1 (en) 2021-02-24 2021-12-21 User-driven trip planning server and method
CN202180097368.2A CN117242477A (zh) 2021-02-24 2021-12-21 用户驱动型旅行计划服务器及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840A KR20220120975A (ko) 2021-02-24 2021-02-24 사용자 주도형 여행 설계 서버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0975A true KR20220120975A (ko) 2022-08-31

Family

ID=83048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4840A KR20220120975A (ko) 2021-02-24 2021-02-24 사용자 주도형 여행 설계 서버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40133703A1 (ko)
JP (1) JP2024507302A (ko)
KR (1) KR20220120975A (ko)
CN (1) CN117242477A (ko)
WO (1) WO202218195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3811A (ko) 2018-01-19 2019-08-12 류재성 여행자 생성 콘텐츠를 추천 여행정보로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9605A (ko) * 2015-08-12 2017-02-22 신채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동되는 여행가이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06933789B (zh) * 2015-12-30 2023-06-20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旅游攻略生成方法和生成系统
KR20170075677A (ko) * 2017-05-04 2017-07-03 신태건 일정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 간 일정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98707B1 (ko) * 2018-07-27 2021-09-14 김경준 여행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70464A (ko) * 2018-12-07 2020-06-18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참여형 여행정보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3811A (ko) 2018-01-19 2019-08-12 류재성 여행자 생성 콘텐츠를 추천 여행정보로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81953A1 (ko) 2022-09-01
US20240133703A1 (en) 2024-04-25
CN117242477A (zh) 2023-12-15
JP2024507302A (ja) 2024-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mid et al. How smart is e-tourism? A systematic review of smart tourism recommendation system applying data management
Wörndl et al. Recommending a sequence of interesting places for tourist trips
Umanets et al. GuideMe–A tourist guide with a recommender system and social interaction
US10114534B2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displaying personalized home screens respective of user queries
JP2022091890A (ja) 対話型デジタルマップ上の位置にリンクされるユーザ管理オンラインページ(MAPpage)を作成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9710873B1 (en) Point of interest mapping
US9282161B1 (en) Points of interest recommendations
US20170031576A1 (en) Automatic creation and maintenance of a taskline
Smirnov et al. Intelligent mobile tourist guide: Context-based approach and implementation
JP2016081509A (ja) 施設特性を更新する方法、施設をプロファイリングする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Arteaga et al. Design of information system architecture for the recommendation of tourist sites in the city of Manta, Ecuador through a Chatbot
US20140330770A1 (en) Context-aware implicit and explicit search
US10614426B2 (en) Smarter event planning using cognitive learning
KR20200048148A (ko) 스터디 공유 플랫폼 및 이와 연동하는 스터디 공유 플랫폼 시스템
C. Brodeala Online recommender system for accessible tourism destinations
US10928212B2 (en) Providing online mapping with user selected preferences
Cao et al. Semantic approach to travel information search and itinerary recommendation
Leal et al. Context-aware tourism technologies
Ceccaroni et al. PaTac: Urban, ubiquitous, personalized services for citizens and tourists
Salis et al. Anatomy of a fog-to-cloud distributed recommendation system in airports
KR20220120975A (ko) 사용자 주도형 여행 설계 서버 및 방법
KR102275596B1 (ko) 버스 정류소 기반 여행 정보 제공을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hairkar et al. Travelling Chatbot Using Android Application
Angskun et al. Time-related factors influencing on an itinerary planning system
Florendo et al. Isabela travel app: an android based tour guide application for the province of Isabel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