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0651A - Systems, devices and methods - Google Patents

Systems, devices and method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0651A
KR20220120651A KR1020227025802A KR20227025802A KR20220120651A KR 20220120651 A KR20220120651 A KR 20220120651A KR 1020227025802 A KR1020227025802 A KR 1020227025802A KR 20227025802 A KR20227025802 A KR 20227025802A KR 20220120651 A KR20220120651 A KR 20220120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area
plant
abnormality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58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타케미 와타나베
히로타다 후지이
나나미 아오키
유타카 아케도
마사노리 카도와키
타카시 미즈노
리에 야마네
Original Assignee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923805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1105940A/en
Priority claimed from JP2019237966A external-priority patent/JP7418894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19237979A external-priority patent/JP7423138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19238521A external-priority patent/JP7413012B2/en
Application filed by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20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065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플랜트(1)의 상태를 표시하는 시스템(30)으로서, 플랜트(1)의 정지 가능성을 갖는 이상의 발생을 나타내는 이상표시를 표시하고, 조작자에게 확인을 촉구하는 제1 표시기능(42)과, 제1 표시기능(42)에서 이상표시가 조작자에 의하여 선택되면, 플랜트 전체에 있어서의 관의 위치와, 관에 마련된 센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화상정보 R21을 표시함과 함께, 센서로 검출한 관의 이상상태를 소정의 양태로 나타내는 제2 표시기능(44)과, 소정의 양태로 나타난 이상상태의 근거가 되는 센서의 데이터를 표시하는 제3 표시기능(46)을 구비한다.A system (30) for displaying the status of a plant (1), comprising: a first display function (42) for displaying an abnormality display indicating occurrence of an abnormality having a possibility of stopping the plant (1) and prompting an operator to confirm; 1 When an abnormality display is selected by the operator in the display function 42, image information R21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pipe in the whole plant and the position of the sensor provided in the pipe is displayed, and the abnormality of the pipe detected by the sensor is displayed. A second display function (44) for indicating the state in a predetermined mode and a third display function (46) for displaying data of a sensor serving as a basis for the abnormal state indicated in the predetermined mode are provided.

Figure P1020227025802
Figure P1020227025802

Description

시스템, 장치 및 방법Systems, devices and methods

본 발명은, 플랜트의 상태를 표시하는 시스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indicating the status of a plant.

종래, 플랜트에 센서를 설치하고, 센서의 측정값을 통하여 플랜트의 가동상황을 감시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조작자가 센서의 검출대상이나 검출결과를 직감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표시화면 상의 오브젝트(객체)가 선택되면, 그 오브젝트에 관련되는 센서로부터의 정보가 표시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에는, 경보감시화면 내에 복수의 경보메시지가 표시되고, 조작자가 표시화면 상의 그래프표시를 압하(押下)함으로써, 대응하는 경보메시지의 그래프의 정보가 표시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Conventionally, a sensor is installed in a plant, and the operation status of the plant is monitored through the measured value of the sensor.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discloses that when an object (object) on the display screen is selected, information from the sensor related to the object is displayed so that the operator can intuitively grasp the detection target of the sensor and the detection result. has been In addition, Patent Document 2 discloses that a plurality of alarm messages are displayed on the alarm monitoring screen, and when the operator presses down the graph display on the display screen, information on the graph of the corresponding alarm message is displayed.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4-308895호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Hei 4-308895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6-115195호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6-115195

이들의 종래의 구성에 있어서는, 플랜트에 설치된 센서의 데이터를 감시할 수는 있지만, 플랜트의 이상(異常)의 발생사상(事象)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센서로부터 취득된 프로세스데이터를 감시하는 것에 더하여, 연역(演繹)적으로 관련이 있는 프로세스데이터를 확인하는 것 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종래의 구성에서는 플랜트의 이상의 원인 및 그 대책을 파악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In these conventional configurations,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data of the sensors installed in the plant, but in order to solve the occurrence of abnormalities in the plant, in addition to monitoring the process data obtained from the sensors, Since it is necessary, for example, to confirm process data related a priori, it may be difficult to grasp the cause of a plant abnormality and its countermeasures in the conventional configuration.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예시적인 목적 중 하나는, 플랜트의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 플랜트의 상태를 알기 쉽게 조작자에게 나타낼 수 있는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One of the exemplary objects of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an apparatus, and a method that can easily indicate to an operator the state of the plant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plant.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시스템은, 플랜트의 상태를 표시하는 시스템으로서, 플랜트의 정지 가능성을 갖는 이상의 발생을 나타내는 이상표시를 표시하고, 조작자에게 확인을 촉구하는 제1 표시기능과, 제1 표시기능에서 이상표시가 조작자에 의하여 선택되면, 플랜트 전체에 있어서의 관의 위치와, 관에 마련된 센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화상정보를 표시함과 함께, 센서로 검출한 관의 이상상태를 소정의 양태로 나타내는 제2 표시기능과, 소정의 양태로 나타난 이상상태의 근거가 되는 센서의 데이터를 표시하는 제3 표시기능을 구비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system of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for displaying the state of a plant, displaying an abnormality display indicating occurrence of an abnormality having the possibility of stopping the plant, and prompting the operator to confirm the first When abnormal display is selected by the operator in the display function and the first display function, image information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pipe in the whole plant and the position of the sensor provided in the pipe is displayed, and the information of the pipe detected by the sensor is displayed. It has a second display function for indicating the abnormal state in a predetermined mode, and a third display function for displaying sensor data as a basis for the abnormal state indicated in the predetermined mode.

상기 양태에 의하면, 플랜트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 조작자가 파악해야 하는 플랜트의 상태를 단계적이고 또한 순서대로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플랜트의 상태를 알기 쉽게 조작자에게 나타낼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aspect,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plant, the state of the plant to be grasped by the operator can be displayed step by step and in order, so that the state of the plant can be displayed to the operator in an easy-to-understand manner.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방법은, 플랜트의 상태를 표시하는 방법으로서, 플랜트의 정지 가능성을 갖는 이상의 발생을 나타내는 이상표시를 표시하고, 조작자에게 확인을 촉구하는 것, 이상표시의 선택을 조작자로부터 접수하는 것, 이상표시가 조작자에 의하여 선택되면, 플랜트 전체에 있어서의 관의 위치와, 관에 마련된 센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화상정보를 표시함과 함께, 센서로 검출한 관의 이상상태를 소정의 양태로 표시하는 것, 소정의 양태의 표시의 선택을 조작자로부터 접수하는 것, 관의 이상상태의 표시가 조작자에 의하여 선택되면, 소정의 양태로 나타난 이상상태의 근거가 되는 센서의 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The method of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displaying the state of a plant, by displaying an abnormality indication indicating occurrence of an abnormality having a possibility of stopping the plant, prompting the operator to confirm, and selecting the abnormality display from the operator When acceptance or abnormality display is selected by the operator, image information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pipe in the entire plant and the position of the sensor provided in the pipe is displayed, and the abnormal state of the pipe detected by the sensor is displayed in a predetermined manner. Displaying the mode, receiving from the operator the selection of the indication of the predetermined mode, and when the indication of the abnormal state of the tube is selected by the operator, displaying the sensor data that is the basis of the abnormal state displayed in the predetermined mode include that

상기 양태에 의하면, 플랜트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 조작자가 파악해야 하는 플랜트의 상태를 단계적이고 또한 순서대로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플랜트의 상태를 알기 쉽게 조작자에게 나타낼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aspect,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plant, the state of the plant to be grasped by the operator can be displayed step by step and in order, so that the state of the plant can be displayed to the operator in an easy-to-understand manner.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관한 장치는, 플랜트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화면을 구비한다. 그리고, 표시화면의 제1 영역에, 플랜트의 정지 가능성을 갖는 이상의 발생을 표시 가능하게 구성하고, 표시화면의 제2 영역에, 플랜트의 운전효율에 영향을 주는 이상의 발생이력을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display screen for displaying the state of the plant. And, in the first area of the display screen, the occurrence of an abnormality having a possibility of stopping the plant is configured to be displayable, and in the second region of the display screen, the occurrence history of the abnormality affecting the operation efficiency of the plant is displayed so as to be able to be displayed. have.

이 양태에 의하면, 분파(噴破)와 같은 중대한 이상과 운전효율의 저하에 관련되는 이상의 쌍방을 용이하게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is aspect, it is possible to easily recognize both a serious abnormality such as branching and an abnormality related to a decrease in operating efficiency.

다만, "이상의 발생"을 표시 가능하게 구성한다는 것은, 이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된 것 외에, 장래에 이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 것을 표시 가능하게 구성하는 경우를 포함한다.However, configuring "occurrence of abnormality" to be displayable includes a case where it is determined that abnormality is likely to occur in the future, in addition to being judged that abnormality has occurred, so that display is possible.

또, "이상의 발생이력"을 표시 가능하게 구성한다는 것은, 이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된 것의 이력 외에, 장래에 이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 것의 이력을 표시 가능하게 구성하는 경우를 포함한다.In addition, configuring the "abnormal occurrence history" to be displayable includes a case in which, in addition to the history of the occurrence of abnormality, the history of the occurrence of abnormality is displayed so that it can be displayed in the future.

또, 제2 영역에 표시되는 이상의 발생이력은, 이 이상의 발생 시를 나타내는 시간정보와 이 이상의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를 발생 시의 순서로 배열된 양태로 표시되어도 된다. 이상의 발생 시란, 이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된 시간 외에, 장래에 이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 시간을 포함한다.Incidentally, the abnormal occurrence history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may be displayed in such a manner that time information indicating the occurrence of the abnormality and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ntents of the abnormality are arranged in the order of occurrence. The time of occurrence of an abnormality includes, in addition to the time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a time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abnormality is likely to occur in the future.

이 양태에 의하면, 플랜트의 운전효율과 안정조업에 영향을 주는 이상의 발생 시를 나타내는 시간정보와 이 이상의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를 발생 시의 순서로 배열된 상태로 표시되기 때문에, 운전효율의 저하에 영향을 주는 복수의 이상의 발생시간을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is aspect, since time information indicating the occurrence of an abnormality affecting the operation efficiency and stable operation of the plant and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ntent of the abnormality are displayed in the order of occurrence, the decrease in operation efficiency is affected It becomes possible to recognize the occurrence time of a plurality of anomalies giving

또, 플랜트는, 복수의 센서를 구비하고, 제2 영역에 표시되는 이상의 발생이력은, 이들 센서에 의하여 취득된 데이터가 이상값을 나타낸 횟수를 센서마다 배열된 양태로 표시되어도 된다.In addition, the plan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nsors, and the abnormal occurrence history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may be displayed in such a manner that the number of times that data acquired by these sensors showed abnormal values is arranged for each sensor.

이 양태에 의하면, 센서가 이상값을 나타낸 횟수를, 센서마다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기 때문에, 문제가 되는 센서를 용이하게 특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is aspect, since it is comprised so that the number of times a sensor showed an abnormal value can be displayed for every sensor, it becomes possible to specify the sensor in question easily.

또, 제2 영역에 표시되는 이상의 발생이력은, 적어도 2개의 센서로부터 취득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발생했다고 판단된 이상의 발생이력과, 단일의 센서로부터 취득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발생했다고 판단된 이상의 발생이력을 포함해도 된다.Incidentally, the abnormal occurrence history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includes a history of occurrence of an abnormality judged to have occurred based on data acquired from at least two sensors, and a history of occurrence of an abnormality judged to have occurred based on data acquired from a single sensor. may include

이 양태에 의하면, 적어도 2개의 센서로부터 취득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발생했다고 판단된 이상의 발생이력을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기 때문에, 이상의 검출정밀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is aspect, since the occurrence history of an abnormality judged to have occurred based on data acquired from at least two sensors can be displayed, it becomes possible to increase the detection accuracy of the abnormality.

또, 플랜트는, 복수의 컴포넌트로 구성되어 있고, 장치는, 표시화면의 제4 영역에, 운전효율과 안정조업에 영향을 주는 이상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를, 다른 컴포넌트와 상이한 양태로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In addition, the plan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and the device selects, in the fourth area of the display screen, at least one component that may have an abnormality affecting operation efficiency and stable operation, different from the other components. You may be comprised so that display in an aspect is possible.

이 양태에 의하면, 운전효율에 영향을 주는 이상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를, 다른 컴포넌트와 상이한 양태로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기 때문에, 용이하게 문제가 되는 컴포넌트를 특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is aspect, since at least one component in which an abnormality affecting operation efficiency may have occurred can be displayed in an aspect different from other components, it becomes possible to easily specify a problematic component.

또, 장치는, 표시화면의 제5 영역에, 플랜트의 운전효율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Further, th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information indicating the operating efficiency of the plant in the fifth area of the display screen.

이 양태에 의하면, 플랜트의 운전효율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기 때문에, 이상에 따른 운전효율의 저하를 용이하게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is aspect, since information indicating the operating efficiency of the plant can be displayed, it is possible to easily recognize the decrease in the operating efficiency due to the above.

또,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관한 시스템은, 플랜트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화면을 구비한 장치로서, 표시화면의 제1 영역에, 플랜트의 정지 가능성을 갖는 이상의 발생을 표시 가능하게 구성하고, 표시화면의 제2 영역에, 플랜트의 운전효율에 영향을 주는 이상의 발생이력을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장치와,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한다.In addition, the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provided with a display screen for displaying the state of a plant, wherein the occurrence of an abnormality having a possibility of plant shutdown can be displayed in a first area of the display screen, , a device configured to display a history of occurrences of abnormalities affecting operation efficiency of the plant in a second area of the display screen; and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device.

이 양태에 의하면, 플랜트의 운용에 있어서 중요한 2개의 정보를 동시에 표시화면에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분파와 같은 중대한 이상과 운전효율의 저하에 관련되는 이상의 쌍방을 용이하게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is aspect, since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display two pieces of information important for plant operation on the display screen, it is possible to easily recognize both a serious abnormality such as branching and an abnormality related to a decrease in operating efficiency.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관한 장치는, 플랜트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을 구비하는 장치로서, 플랜트 전체에 있어서의 관의 위치와, 관에 마련된 센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화상정보를 화면의 제1 영역에 표시함과 함께, 센서로 검출한 관의 상태를 소정의 양태로 제1 영역에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관의 상태를 플랜트의 운전데이터에 근거하여 판정했을 때에 사용된 판정정보를 당해 화면의 제2 영역에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A device 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having a screen for displaying the state of a plant, wherein image information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pipe in the whole plant and the position of the sensor provided in the pipe is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It is configured to display in the area and display the condition of the tube detected by the sensor in the first area in a predetermined manner, and the determination information used when the condition of the tube is determined based on the operation data of the plant is displayed. It is configured to be displayed on the second area of the screen.

또,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관한 시스템은, 플랜트의 상태를 표시하는 화면을 갖는 표시장치와, 표시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시스템으로서, 표시장치는, 플랜트 전체에 있어서의 관의 위치와, 관에 마련된 센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화상정보를 화면의 제1 영역에 표시함과 함께, 센서로 검출한 관의 상태를 소정의 양태로 제1 영역에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관의 상태를 플랜트의 운전데이터에 근거하여 판정했을 때에 사용된 판정정보를 당해 화면의 제2 영역에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Further, a system 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comprising a display device having a screen for displaying a plant state, and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wherein the display device is a control device for the entire plant. It is configured to display the position and image information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sensor provided in the tube on the first area of the screen, and display the state of the tube detected by the sensor in the first area in a predetermined manner, and further, It is configured to display the judgment information used when the state is judged based on the operation data of the plant on the second area of the screen.

이러한 구성을 채용하면, 플랜트 전체에 있어서의 관의 위치와, 관에 마련된 센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화상정보를 화면의 제1 영역에 표시함과 함께, 센서로 검출한 관의 상태를 소정의 양태로 표시할 수 있다. 또, 관의 상태를 플랜트의 운전데이터에 근거하여 판정했을 때에 사용된 판정정보를 화면의 제2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장치(본 시스템)의 화면을 시인한 운전원은, 관 및 센서의 플랜트 전체에 있어서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것에 더하여, 상이한 방식(센서와, 플랜트의 운전데이터의 쌍방)으로 판정 또는 검출한 관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즉, 운전원은, 관을 감시하는 데 있어서 필요해지는 중요정보를, 단일의 화면을 시인하는 것만으로 양호한 효율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종합적인 판단을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장치(본 시스템)는, 플랜트의 안정조업에 공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만, "관의 상태"란, 관에 분파나 막힘 등의 이상이 발생한 상태(이상상태)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이상이 발생하고 있지 않은 상태(통상상태)도 포함한다. 즉, 본 장치(본 시스템)는, 관의 이상상태를 표시할 뿐만 아니라, 관의 통상상태도 표시할 수 있다.If this configuration is adopted, image information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pipe in the entire plant and the position of the sensor provided in the pipe is displayed on the first area of the screen, and the state of the pipe detected by the sensor is displayed in a predetermined manner. can be displayed In addition, the judgment information used when the state of the pipe is judged based on the operation data of the plant can be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of the screen. Therefore, in addition to being able to grasp the positions of pipes and sensors in the entire plant, an operator who visually recognizes the screen of the present device (this system) determines or detects in a different manner (both the sensor and operation data of the plant) You can check the condition of a tube. That is, since the operator can grasp the important information required for monitoring the tube with good efficiency only by visually recognizing a single screen, it is possible to make a comprehensive judgment. As a result, this apparatus (this system) becomes possible to contribute to the stable operation of a plant. However, "the state of the pipe" includes not only a state in which an abnormality such as branching or blockage occurs in the pipe (abnormal state), but also a state in which such abnormality does not occur (normal state). That is, this apparatus (this system) can display not only the abnormal state of a pipe|tube, but also the normal state of a pipe|tube.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관한 장치 또는 시스템은, 판정정보를 제2 영역에 시계열적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판정정보의 예로서는, 운전데이터로부터 관의 이상도를 산출한 값, 운전데이터로부터 관의 상태(이상도 등)의 신뢰도를 산출한 값, 관의 상태판정(이상도나 신뢰도의 판정)에 영향이 있는 특징량데이터 등을 들 수 있다.The apparatus or system according to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the determination information in the second area in time series. Examples of the determination information include a value obtained by calculating the degree of abnormality of a pipe from operation data, a value obtained by calculating the reliability of the condition of the pipe (such as abnormality level) from operating data, and characteristics affecting the determination of condition of a pipe (determination of abnormality or reliability). quantity data and the like.

이러한 구성을 채용하면, 플랜트의 운전데이터에 근거하여 판정된 관의 상태에 관한 판정정보를, 시계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By adopting such a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time-series judgment information regarding the state of the pipe determined based on the operation data of the plant.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관한 장치 또는 시스템은, 센서에 의한 관의 상태의 검출결과와, 플랜트의 운전데이터에 근거하는 관의 상태의 판정결과의 쌍방을, 당해 화면의 제3 영역에 동일한 형식으로 시계열적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본 장치 또는 시스템은, 제2 영역에 있어서의 시간축과, 제3 영역에 있어서의 시간축을 연동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apparatus or system according to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both the pipe condition detection result by the sensor and the pipe condition determination result based on plant operation data in the same format in the third area of the screen. may be configured to be displayed in time series. Further, the apparatus or system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the time axis in the second area and the time axis in the third area in association with each other.

이러한 구성을 채용하면, 센서에 의한 관의 상태의 검출결과와, 플랜트의 운전데이터에 근거하는 관의 상태의 판정결과의 쌍방을, 당해 화면의 제3 영역에 동일한 형식(예를 들면 바차트 형식)으로 시계열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원은, 상이한 방법에 의한 관상태판정(검출)결과를 동일한 형식으로 시인하여 파악할 수 있어, 종합적인 판단을 행할 수 있다.If such a configuration is adopted, both the result of the detection of the condition of the pipe by the sensor and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condition of the pipe based on the operation data of the plant are displayed in the same format (for example, in a bar chart format) in the third area of the screen. ) can be expressed as time series. Therefore, the operator can visually recognize and grasp the tube state determination (detection) results by different methods in the same format, and can make a comprehensive judgment.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관한 장치 또는 시스템은, 제1 영역에 표시된 센서 중 특정 센서가 선택된 경우에, 특정 센서로 검출된 검출정보를 제4 영역에 시계열적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apparatus or system according to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when a specific sensor is selected from among the sensors displayed in the first area, time-series display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pecific sensor in the fourth area.

이러한 구성을 채용하면, 화면의 제1 영역에 표시된 센서 중 선택된 센서(특정 센서)로 검출된 검출정보를, 시계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By adopting such a configuration, detection information detected by a selected sensor (a specific sensor) among the sensors displayed in the first area of the screen can be grasped in time series.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관한 장치 또는 시스템은, 당해 화면과는 별도의 화면의 제4 영역에 검출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apparatus or system according to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the detection information in a fourth area of a screen separate from the screen.

이러한 구성을 채용하면, 화면의 제1 영역에 표시된 센서 중 선택된 센서(특정 센서)로 검출된 검출정보를, 제1 영역 등을 갖는 화면과는 별도의 화면의 제4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영역 등을 갖는 화면과는 별도의 화면(제4 영역)에서 검출정보를 확대표시할 수 있고, 검출정보의 시간이력 등을 상세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By adopting such a configuration, detection information detected by a selected sensor (specific sensor) among the sensors displayed in the first area of the screen may be displayed in a fourth area of a screen separate from the screen having the first area or the like.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detection information can be enlarged and displayed on a screen (a fourth area) separate from the screen having the first area and the like, and the time history of the detection information can be grasped in detail.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관한 장치는, 플랜트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화면을 구비한 장치로서, 표시화면의 제1 영역에, 플랜트에 관한 제1 프로세스데이터의 그래프를 표시 가능하게 구성하고, 제1 영역에 인접하는 표시화면의 제2 영역에, 제1 프로세스데이터에 관한 설명문을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An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aratus provided with a display screen for displaying a state of a plant, wherein a graph of first process data relating to the plant can be displayed in a first area of the display screen, An explanatory text relating to the first process data can be displayed in a second area of the display screen adjacent to the first area.

이 양태에 의하면, 표시화면의 제1 영역에 제1 프로세스데이터의 그래프를 표시하고, 인접하는 제2 영역에 제1 프로세스데이터에 관한 설명문을 표시함으로써, 어떠한 사상이 발생하고 있는지 이해하기 쉬워지며, 어떠한 대응이 필요한지 알기 쉬워진다.According to this aspect, by displaying the graph of the first process data in the first area of the display screen and displaying the explanatory text regarding the first process data in the adjacent second area, it is easy to understand what kind of event is occurring, It becomes easier to know what kind of response is needed.

상기 양태에 있어서, 제1 영역에, 제1 프로세스데이터에 관련되는 제2 프로세스데이터의 그래프를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In the above aspect, the graph of the second process data related to the first process data may be configured to be displayable in the first area.

이 양태에 의하면, 제1 프로세스데이터뿐만 아니라, 관련되는 제2 프로세스데이터의 그래프를 표시함으로써, 플랜트의 상태를 다각적으로 감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spect, by displaying the graph of not only 1st process data but 2nd process data concerned,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state of the plant from various angles.

상기 양태에 있어서, 제1 영역에, 제1 프로세스데이터의 그래프와는 상이한 제1 프로세스데이터의 다른 그래프를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Said aspect WHEREIN: In a 1st area|region, you may be comprised so that display of the other graph of 1st process data different from the graph of 1st process data is possible.

이 양태에 의하면, 제1 프로세스데이터에 대하여, 복수 종류의 그래프를 표시함으로써, 플랜트의 상태를 다각적으로 감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spect, by displaying a plurality of types of graphs for the first process data, the state of the plant can be monitored from various angles.

상기 양태에 있어서, 표시화면에, 복수의 프로세스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이상상태가 된 경우에 경고를 나타내는 제1 화면을 표시 가능하게 구성하고, 경고의 선택에 응답하여 제1 화면으로부터 천이(遷移)하여 표시화면에 제2 화면을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제2 화면은,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해도 된다.In the above aspect, a first screen indicating a warning is configured to be displayable on the display screen when at least any one of the plurality of process data is in an abnormal state, and in response to selection of the warning, the display screen transitions from the first screen. ) to display a second screen on the display screen, and the second screen may include a first area and a second area.

이 양태에 의하면, 제1 화면에 있어서 복수의 프로세스데이터를 통하여 플랜트의 상태의 개요를 확인하고, 제2 화면에 있어서 특정 프로세스데이터를 통하여 플랜트의 상태를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spect, in the first screen, the outline of the plant state can be confirmed through a plurality of process data, and in the second screen, the plant state can be confirmed in detail through the specific process data.

상기 양태에 있어서, 제1 화면의 제3 영역에, 경고를 표시 가능하게 구성하고, 제3 영역에 인접하는 제4 영역에, 플랜트에 관한 대표적인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스데이터의 그래프를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In the above aspect, a warning is configured to be displayable in a third area of the first screen, and a graph of one or a plurality of process data representative of the plant can be displayed in a fourth area adjacent to the third area it may be

이 양태에 의하면, 제1 화면의 제3 영역에 경고를 표시함으로써, 이상의 우려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고, 제1 화면의 제4 영역에 대표적인 프로세스데이터의 그래프를 표시함으로써, 플랜트의 상태의 개요를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spect, by displaying a warning in the third area of the first screen, it is possible to quickly grasp the concern of the abnormality, and by displaying a graph of representative process data in the fourth area of the first screen, an overview of the state of the plant can be obtained. can be checked

상기 양태에 있어서, 설명문은, 그래프로부터 사상을 파악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문장을 포함해도 된다.The above aspect WHEREIN: The explanatory sentence may also contain the sentence explaining the method of grasping|ascertaining an event from a graph.

이 양태에 의하면, 그래프로부터 사상을 파악하는 방법을 확인할 수 있어, 어떠한 사상이 발생하고 있는지 이해하기 쉬워진다.According to this aspect, the method of grasping|ascertaining an event from a graph can be confirmed, and it becomes easy to understand what kind of event is generate|occur|produced.

상기 양태에 있어서, 설명문은, 제1 프로세스데이터의 상태를 적정화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문장을 포함해도 된다.In the above aspect, the explanatory sentence may include a sentence explaining a method for optimizing the state of the first process data.

이 양태에 의하면, 제1 프로세스데이터의 상태를 적정화하기 위한 방법을 확인할 수 있어, 어떠한 대응이 필요한지 알기 쉬워진다.According to this aspect, the method for optimizing the state of the first process data can be confirmed, and it becomes easy to know what kind of response is required.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관한 시스템은, 플랜트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화면을 구비한 장치와,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장치는, 표시화면의 제1 영역에, 플랜트에 관한 제1 프로세스데이터의 그래프를 표시 가능하게 구성하며, 제1 영역에 인접하는 표시화면의 제2 영역에, 제1 프로세스데이터에 관한 설명문을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A system according to a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vice having a display screen for displaying a state of a plant, and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device, wherein the device includes, in a first area of the display screen, a plant related device. The graph of the first process data is configured to be displayable, and an explanatory text relating to the first process data is configured to be displayable in a second area of the display screen adjacent to the first area.

이 양태에 의하면, 표시화면의 제1 영역에 제1 프로세스데이터의 그래프를 표시하고, 인접하는 제2 영역에 제1 프로세스데이터에 관한 설명문을 표시함으로써, 어떠한 사상이 발생하고 있는지 이해하기 쉽고, 어떠한 대응이 필요한지 알기 쉬워진다.According to this aspect, by displaying the graph of the first process data in the first area of the display screen and displaying the explanatory text related to the first process data in the adjacent second area, it is easy to understand what kind of event is occurring, It becomes easier to know if a response is necessary.

다만, 이상의 구성요소의 임의의 조합이나 본 발명의 구성요소나 표현을, 방법, 장치, 시스템, 컴퓨터프로그램, 데이터구조, 기록매체 등의 사이에서 서로 치환한 것도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유효하다.However, it is also effective as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ubstitute any combination of the above components or components or express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between methods, apparatuses, systems, computer programs, data structures, recording media, etc. .

본 발명에 의하면, 플랜트의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 플랜트의 상태를 알기 쉽게 조작자에게 나타낼 수 있다.ADVANTAGE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this invention, when an abnormality of a plant occurs, the state of a plant can be easily shown to an operato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플랜트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시스템의 기능블록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스템의 물리적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스템의 기능블록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스템의 표시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스템의 표시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스템의 표시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9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스템의 표시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스템의 표시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스템의 표시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2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스템의 표시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3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스템의 표시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4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스템의 표시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whole structure of the plant which concerns on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showing functional blocks of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showing the physical configuration of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4 is a diagram showing details of functional blocks of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display function of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display function of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display function of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display function of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display function of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1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display function of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1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display function of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1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display function of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1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display function of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발명의 실시형태를 통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이하의 실시형태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관한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또, 실시형태 중에서 설명되어 있는 특징의 조합의 전부가 발명의 해결수단에 필수적이라고는 한정되지 않는다. 각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 또는 동등한 구성요소, 부재, 처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하고, 적절하게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although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through embodiment of an invention, referring drawings, the following embodiment does not limit the invention which concerns on a claim, Moreover, all of the combination of features demonstrated in embodiment It is not limited to essential to the solution of the invention. The same code|symbol shall be attached|subjected to the same or equivalent component, member, and process which appear in each figure, and an appropriate overlapping description is abbreviate|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플랜트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먼저, 도 1을 이용하여, 본 실시형태가 대상으로 하는 플랜트(1)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플랜트(1)는, 예를 들면, 순환유동층보일러(Circulating Fluidized Bed형)를 포함하는 발전플랜트(소각플랜트)로서, 고온에서 유동되는 규사 등의 순환재를 순환시키면서 연료를 연소하고, 증기를 발생시키는 보일러를 구비하는 것이다. 플랜트(1)의 연료로서는, 석탄과 같은 화석연료 외에, 예를 들면 비화석연료(목질 바이오매스, 폐타이어, 폐플라스틱, 슬러지 등)를 사용할 수 있다. 플랜트(1)에서 발생한 증기는, 터빈(100)의 구동에 이용된다. 다만,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플랜트는, 보일러를 포함하는 발전플랜트나 소각플랜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화학플랜트, 배수처리플랜트 등, 프로세스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는 플랜트이면 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whole structure of the plant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First, the structure of the plant 1 made into the object of this embodiment is demonstrated using FIG. The plant 1 is, for example, a power generation plant (incineration plant) including a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 (Circulating Fluidized Bed type), and while circulating a circulating material such as silica sand flowing at high temperature, burns fuel and generates steam It is to have a boiler that makes As the fuel of the plant 1, other than fossil fuels such as coal, for example, non-fossil fuels (woody biomass, waste tires, waste plastics, sludge, etc.) can be used. The steam generated in the plant 1 is used to drive the turbine 100 . However, the plant target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power plant including a boiler or an incineration plant, and any plant capable of acquiring process data, such as a chemical plant or a wastewater treatment plant, may be used.

플랜트(1)는, 화로(2) 내에서 연료를 연소시키고, 고기분리(固氣分離)장치로서 기능하는 사이클론(3)에 의하여 배기가스로부터 순환재를 분리하며, 분리된 순환재를 화로(2) 내로 되돌려 순환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분리된 순환재는, 사이클론(3)의 하방에 접속된 순환재회수관(4)을 경유하여 화로(2)의 하부로 반송된다. 다만, 순환재회수관(4)의 하부와 화로(2)의 하부는, 유로가 집속된(좁혀진) 루프시일부(4a)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이로써, 순환재회수관(4)의 하부에는 소정량의 순환재가 모인 상태가 된다. 사이클론(3)에 의하여 순환재가 제거된 배기가스는, 배기가스유로(3a)를 경유하여 후측부 연도(煙道)(5)로 공급된다.The plant 1 burns fuel in the furnace 2, separates the circulating material from the exhaust gas by a cyclone 3 functioning as a meat separation device, and converts the separated circulating material into the furnace 2) It is configured to circulate back into the interior. The separated recycling material is conveyed to the lower part of the furnace 2 via a recycling material recovery pipe 4 connected below the cyclone 3 . However, the lower part of the circulation material recovery pipe 4 and the lower part of the furnace 2 are connected via the loop seal part 4a in which the flow path was focused (narrowed). Thereby, a predetermined amount of circulating material is collected in the lower part of the circulating material recovery pipe 4 . The exhaust gas from which the circulation material has been removed by the cyclone 3 is supplied to the rear side flue 5 via the exhaust gas flow path 3a.

보일러는, 연료를 연소시키기 위한 화로(2)와, 연소에 의하여 얻어진 열을 이용하여 수증기 등을 발생시키기 위한 열교환기를 구비한다. 화로(2)의 중간부에는,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구(2a)가 마련되어 있고, 화로(2)의 상부에는, 연소가스를 배출하는 가스출구(2b)가 마련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지 않은 연료공급장치로부터 화로(2)로 공급되는 연료는, 연료공급구(2a)를 통하여 화로(2)의 내부로 공급된다. 또, 화로(2)의 노벽(爐壁)에는, 보일러급수를 가열하기 위한 노벽관(6)이 마련되어 있다. 노벽관(6)을 흐르는 보일러급수는, 화로(2)에서의 연소에 의하여 가열된다.A boiler is equipped with the furnace 2 for burning fuel, and the heat exchanger for generating steam etc. using the heat obtained by combustion. A fuel supply port 2a for supplying fuel is provid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furnace 2 , and a gas outlet 2b for discharging combustion gas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urnace 2 . The fuel supplied to the furnace 2 from a fuel supply device (not shown) is supplied into the furnace 2 through a fuel supply port 2a. Further, a furnace wall tube 6 for heating boiler feedwater is provided on the furnace wall of the furnace 2 . Boiler feed water flowing through the furnace wall pipe (6) is heated by combustion in the furnace (2).

화로(2) 내에서는, 하부의 급기라인(2c)으로부터 도입되는 연소·유동용의 공기에 의하여, 연료공급구(2a)로부터 공급된 연료를 포함하는 고형물이 유동되고, 연료는 유동되면서 예를 들면 약 800~900℃에서 연소한다. 사이클론(3)에는, 화로(2)에서 발생한 연소가스가 순환재를 동반하면서 도입된다. 사이클론(3)은, 원심분리작용에 의하여 순환재와 기체를 분리하고, 순환재회수관(4)을 통하여 분리된 순환재를 화로(2)로 되돌림과 함께, 순환재가 제거된 연소가스를 배기가스유로(3a)로부터 후측부 연도(5)로 송출한다.In the furnace 2, the solid material including the fuel supplied from the fuel supply port 2a flows by the combustion/flow air introduced from the lower air supply line 2c, and while the fuel flows, for example, It burns at about 800~900℃. The combustion gas generated in the furnace 2 is introduced into the cyclone 3 while accompanying the circulating material. The cyclone 3 separates the circulating material and the gas by centrifugal separation action, returns the circulating material separated through the circulation ash recovery pipe 4 to the furnace 2, and exhausts the combustion gas from which the circulating material has been removed. It is sent out from the flow path 3a to the back side flue 5.

화로(2)에서는, 바닥부에 노내 베드재라고 불리는 순환재의 일부가 체류한다. 이 베드재에는, 순환유동에 부적합한 거친 입경을 갖는 베드재나 배연협잡물(挾雜物)이 포함되는 경우가 있고, 이들 순환재로서 부적합한 베드재에 의하여 유동불량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유동불량을 억제하기 위하여, 화로(2)에서는, 바닥부의 배출구(2d)로부터 노내 베드재가 연속적으로 또는 단속적으로 외부로 배출되고 있다. 배출된 베드재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순환라인 상에서 금속이나 조대(粗大)입경 등의 부적합물을 제거한 후, 다시 화로(2)로 공급되거나, 혹은 그대로 폐기된다. 화로(2)의 순환재는, 화로(2), 사이클론(3) 및 순환재회수관(4)으로 구성되는 순환계 내를 순환한다.In the furnace 2, a part of the recycling material called in-furnace bed material stays in the bottom part. This bed material may contain bed material and flue gas contaminants having a coarse particle size unsuitable for circulating flow, and a bed material unsuitable as these recirculating materials may cause flow failure. Therefore, in the furnace 2, the in-furnace bed material is continuously or intermittently discharged to the outside from the outlet 2d of the bottom in order to suppress the flow failure. The discharged bed material is supplied to the furnace 2 again, or discarded as it is, after removing inappropriate materials such as metal or coarse particle size on a circulation line (not shown). The circulating material of the furnace 2 circulates in the circulation system comprised by the furnace 2, the cyclone 3, and the recirculating material recovery pipe|tube 4. As shown in FIG.

후측부 연도(5)는, 사이클론(3)으로부터 배출된 가스를 후단으로 흐르게 하는 유로를 갖고 있다. 후측부 연도(5)는, 배기가스의 열을 회수하는 배열회수부로서, 과열증기를 발생시키는 과열기(10)와, 보일러급수를 예열하는 절탄기(節炭器)(12)를 갖고 있다. 후측부 연도(5)를 흐르는 배기가스는, 과열기(10) 및 절탄기(12)를 유통하는 증기나 보일러급수와 열교환되어 냉각된다. 또, 절탄기(12)를 통과한 보일러급수가 저류되는 증기드럼(8)을 갖고, 증기드럼(8)은 화로벽(6)에도 접속되어 있다.The rear side flue 5 has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gas discharged from the cyclone 3 flows to the rear end. The rear flue 5 has a superheater 10 for generating superheated steam and an economizer 12 for preheating boiler feed water as a heat recovery unit for recovering heat of exhaust gas. The exhaust gas flowing through the rear flue 5 is cooled by heat exchange with steam or boiler feedwater flowing through the superheater 10 and the economizer 12 . Further, it has a steam drum 8 in which boiler feed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economizer 12 is stored, and the steam drum 8 is also connected to the furnace wall 6 .

절탄기(12)는, 배기가스의 열을 보일러급수에 전열하여, 보일러급수를 예열하는 것이다. 절탄기(12)는, 관(21)에 의하여 펌프(7)와 접속되는 한편, 관(22)에 의하여 증기드럼(8)과 접속되어 있다. 펌프(7)로부터 관(21)을 경유하여 절탄기(12)로 공급되고, 절탄기(12)에 의하여 예열된 보일러급수는, 관(22)을 경유하여 증기드럼(8)으로 공급된다.The economizer 12 transfers heat of exhaust gas to boiler feed water to preheat the boiler feed water. The economizer 12 is connected to the pump 7 by a tube 21 , while it is connected to the steam drum 8 by a tube 22 . Boiler feed water supplied from the pump 7 to the economizer 12 via the pipe 21 and preheated by the economizer 12 is supplied to the steam drum 8 via the pipe 22 .

증기드럼(8)에는, 강수관(8a) 및 노벽관(6)이 접속되어 있다. 증기드럼(8) 내의 보일러급수는, 강수관(8a)을 하강하고, 화로(2)의 하부측에서 노벽관(6)에 도입되어 증기드럼(8)을 향하여 유통된다. 노벽관(6) 내의 보일러급수는, 화로(2) 내에서 발생하는 연소열에 의하여 가열되고, 증기드럼(8) 내에서 증발하여 증기가 된다.To the steam drum 8, a downcomer pipe 8a and a furnace wall pipe 6 are connected. Boiler feedwater in the steam drum (8) descends the downcomer pipe (8a), is introduced into the furnace wall pipe (6) from the lower side of the furnace (2), and flows toward the steam drum (8). Boiler feed water in the furnace wall tube 6 is heated by combustion heat generated in the furnace 2 , and evaporates in the steam drum 8 to become steam.

증기드럼(8)에는, 내부의 증기를 배출하는 포화증기관(8b)이 접속되어 있다. 포화증기관(8b)은, 증기드럼(8)과 과열기(10)를 접속하고 있다. 증기드럼(8) 내의 증기는, 포화증기관(8b)을 경유하여 과열기(10)로 공급된다. 과열기(10)는, 배기가스의 열을 이용하여 증기를 과열하여 과열증기를 생성하는 것이다. 과열증기는, 관(10a)을 통과하여, 플랜트(1) 외부의 터빈(100)으로 공급되어 발전에 이용된다.A saturated steam pipe 8b for discharging internal steam is connected to the steam drum 8 . The saturated steam engine (8b) connects the steam drum (8) and the superheater (10). The steam in the steam drum 8 is supplied to the superheater 10 via a saturated steam engine 8b. The superheater 10 generates superheated steam by overheating steam using heat of exhaust gas. The superheated steam passes through the pipe 10a, is supplied to the turbine 100 outside the plant 1, and is used for power generation.

터빈(100)으로부터 배출된 증기의 압력과 온도는, 과열기(10)로부터 배출되는 증기의 압력과 온도보다 낮다.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터빈(100)으로 공급되는 증기의 압력은, 약 10~17MPa 정도이고, 온도는 약 530~570℃ 정도가 된다. 터빈(100)으로부터 배출되는 증기의 압력은, 약 3~5MPa 정도이며, 온도는 약 350~400℃ 정도가 된다.The pressure and temperature of the steam discharged from the turbine 100 are lower than the pressure and temperature of the steam discharged from the superheater 10 . Although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pressure of the steam supplied to the turbine 100 is about 10 to 17 MPa, and the temperature is about 530 to 570°C. The pressure of the steam discharged|emitted from the turbine 100 will be about 3-5 MPa, and the temperature will be about 350-400 degreeC.

터빈(100)의 하류에는 복수기(102)가 마련되어 있다. 터빈(100)으로부터 배출된 증기는 복수기(102)로 공급되고, 복수기(102)에 있어서 응축되어 포화수로 되돌려진 다음 펌프(7)로 공급된다. 터빈(100)에는, 터빈(100)의 회전에 의하여 얻어지는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제너레이터가 접속된다.A condenser 102 is provided downstream of the turbine 100 . The steam discharged from the turbine 100 is supplied to the condenser 102 , condensed in the condenser 102 , returned to saturated water, and then supplied to the pump 7 . A generator that converts kinetic energy obtained by rotation of the turbine 100 into electrical energy is connected to the turbine 100 .

펌프(7a)는, 복수기(102)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보급수를 공급한다. 도 1에서는, 펌프(7a)에 의하여 보급되는 보급수 유량(u1)을 나타내고 있다.The pump 7a supplies make-up water so as to keep the water level of the condenser 102 constant. In FIG. 1, the make-up water flow volume u1 replenished by the pump 7a is shown.

본 실시형태에서 취급하는 프로세스데이터(플랜트(1)의 운전데이터)는, 플랜트(1)에 관한 임의의 데이터여도 되지만, 예를 들면, 플랜트(1)의 상태를 센서로 측정한 데이터여도 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플랜트(1)의 온도, 압력 및 유량 등의 측정값을 포함해도 된다. 도 1에서는, 펌프(7)로부터 절탄기(12)로 공급되는 보일러급수 유량(u2)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과열기(10)로부터 터빈(100)로 공급되는 보일러출구증기 유량(u3)을 나타내고, 증기드럼(8)으로부터 과열기(10)로 공급되는 포화증기 유량(u4)을 나타내고 있다. 다만, 보급수 유량(u1)은, 포화증기 유량(u4)에 추종하도록 제어되어도 된다. 또, 보일러출구증기 유량(u3)(또는 과열증기 유량)과, 증기드럼(8)의 액면레벨의 쌍방을 감시하면서, 보일러급수 유량(u2)을 조정에 추종하도록 제어되어도 된다.The process data (operating data of the plant 1) handled in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any data relating to the plant 1, for example, data obtained by measuring the state of the plant 1 with a sensor, More specifically, you may include the measured values of the temperature, pressure, flow rate, etc. of the plant 1 . In FIG. 1 , the boiler feed water flow rate u2 supplied from the pump 7 to the economizer 12 is shown. 1, the boiler outlet steam flow rate u3 supplied from the superheater 10 to the turbine 100 is shown, and the saturated steam flow rate u4 supplied from the steam drum 8 to the superheater 10 is shown. . However, the make-up water flow rate u1 may be controlled so as to follow the saturated steam flow rate u4. Further, while monitoring both the boiler outlet steam flow rate u3 (or the superheated steam flow rate) and the liquid level of the steam drum 8, the control may be performed so that the boiler feed water flow rate u2 follows the adjustment.

플랜트(1)에 파공(破孔)이 발생한 경우, 보급수 유량(u1)이 상승하거나, 보일러급수 유량(u2)과 보일러출구증기 유량(u3)의 유량차가 증대하거나 한다. DCS(Distributed Control System)(20)는, 보급수 유량(u1), 보일러급수 유량(u2), 보일러출구증기 유량(u3) 및 포화증기 유량(u4) 등의 플랜트(1)의 프로세스데이터에 대하여 이상이 발생하고 있지 않은지 감시한다.When a breakage occurs in the plant 1, the make-up water flow rate u1 rises, or the flow difference between the boiler feed water flow rate u2 and the boiler outlet steam flow rate u3 increases. DCS (Distributed Control System) 20 with respect to process data of the plant 1, such as make-up water flow rate (u1), boiler feed water flow rate (u2), boiler outlet steam flow rate (u3) and saturated steam flow rate (u4) Observe that there is no abnormality.

다만, 프로세스데이터로서 보급수 유량(u1), 보일러급수 유량(u2), 보일러출구증기 유량(u3) 및 포화증기 유량(u4)을 예시했지만, 플랜트(1)에 관한 프로세스데이터는, 다른 데이터여도 된다. 플랜트(1)에 관한 프로세스데이터는, 온도, 압력 등의 다른 데이터여도 된다.However, although make-up water flow rate (u1), boiler feed water flow rate (u2), boiler outlet steam flow rate (u3), and saturated steam flow rate (u4) are exemplified as process data, the process data relating to the plant 1 may be other data. do. The process data related to the plant 1 may be other data such as temperature and pressure.

다음으로, 도 2~도 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시스템(30)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system 30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using FIG.2-4.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스템(30)의 기능블록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스템(30)의 물리적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도 2의 시스템(30)의 기능블록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이다.Fig. 2 is a diagram showing functional blocks of the system 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3 is a diagram showing the physical configuration of the system 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4 is a diagram showing details of functional blocks of the system 30 of FIG. 2 .

DCS(20)는, 플랜트(1)를 제어하기 위한 분산제어시스템이며,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플랜트(1)에 마련되는 센서 등으로부터 프로세스데이터를 취득하고, 이에 근거하여 플랜트(1)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플랜트(1)로 공급한다.The DCS 20 is a distributed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the plant 1 , and as shown in FIG. 2 , process data is acquired from a sensor provided in the plant 1 , and based on this, the plant 1 is controlled.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is supplied to the plant 1 .

시스템(30)은, 제어부(31) 및 장치(32)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31)는, DCS(20)로부터 프로세스데이터를 취득하고, 프로세스데이터에 근거하여 장치(32)가 갖는 표시화면에 플랜트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장치(32)로 공급한다.The system 30 includes a control unit 31 and a device 32 . The control unit 31 obtains process data from the DCS 20 ,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displaying the plant status on a display screen of the device 32 based on the process data, and supplies the control signal to the device 32 . do.

장치(32)는, 플랜트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화면을 구비하고 있다. 장치(32)는, 제어부(31)로부터 취득한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표시화면에 플랜트의 상태를 표시한다. 장치(32)의 표시화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The device 32 is provided with a display screen for displaying the state of the plant. The device 32 displays the state of the plant on the display screen based on the control signal acquired from the control unit 31 . The display screen of the device 32 will be described later.

시스템(30)은, 물리적으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산부에 상당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30a)와, 기억부에 상당하는 RAM(Random Access Memory)(30b)과, 기억부에 상당하는 ROM(Read only Memory)(30c)과, 통신부(30d)와, 입력부(30e)와, 표시부(30f)를 갖고 있고, 이들 각 구성은, 버스를 통하여 서로 데이터 송수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다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스템(30)이 한 대의 컴퓨터로 구성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시스템(30)은, 복수의 컴퓨터가 조합되어 실현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표시부(30f) 외에, 다른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상이한 표시부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가 마련되어도 된다. 또, 표시시스템(30)은, 태블릿단말로 구성되어도 된다. 태블릿단말로 표시시스템(30)을 구성함으로써, 표시시스템(30)을 들고 다닐 수 있고, 예를 들면 플랜트(1)를 순회하면서 표시시스템(30)을 이용할 수 있다. 또, 도 3에서 나타내는 구성은 일례이며, 시스템(30)은 이들 이외의 구성을 가져도 되고, 이들 구성 중 일부를 갖지 않아도 된다. 또, 구성의 일부가 원격지(遠隔地)에 마련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CPU(30a) 등을 갖는 제어부(31)를 원격지에 마련해도 된다. 이 경우, 표시부(30f) 등을 갖는 장치(32)는, 원격지에 마련된 제어부(31)에 있어서 생성된 제어신호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취득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The system 30 is physically, as shown in Fig. 3, a CPU (Central Processing Unit) 30a corresponding to an arithmetic unit, a RAM (Random Access Memory) 30b corresponding to a storage unit, and a storage unit. It has a corresponding ROM (Read Only Memory) 30c, a communication unit 30d, an input unit 30e, and a display unit 30f, and each of these components is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bus so that data transmission/reception is possible.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a case in which the system 30 is constituted by one computer is described. However, the system 30 may be realiz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computers. For example, in addition to the display unit 30f, a display constituting a different display unit for displaying other information may be provided. In addition, the display system 30 may be comprised by the tablet terminal. By configuring the display system 30 with a tablet terminal, the display system 30 can be carried around, for example, the display system 30 can be used while circulating the plant 1 . In addition, the structure shown in FIG. 3 is an example, and the system 30 may have structures other than these, and does not need to have some of these structures. Moreover, a part of a structure may be provided in a remote place. For example, you may provide the control part 31 which has CPU30a etc. in a remote place. In this case, the device 32 having the display unit 30f or the like may be configured to acquire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31 provided at a remote location via the network.

CPU(30a)는, RAM(30b) 또는 ROM(30c)에 기억된 프로그램의 실행에 관한 제어나 데이터의 연산, 가공을 행하는 연산부이다. CPU(30a)는, 플랜트(1)의 프로세스데이터의 그래프와 설명문을 표시하는 프로그램(감시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연산부이다. CPU(30a)는, 입력부(30e)나 통신부(30d)로부터 다양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데이터의 연산결과를 표시부(30f)에 표시하거나, RAM(30b)에 저장하거나 한다.The CPU 30a is an arithmetic unit that performs control related to the execution of a program stored in the RAM 30b or ROM 30c, and arithmetic and processing of data. The CPU 30a is an arithmetic unit that executes a program (monitoring program) for displaying graphs and explanatory texts of process data of the plant 1 . The CPU 30a receives various data from the input unit 30e and the communication unit 30d, and displays the calculation result of the data on the display unit 30f or stores it in the RAM 30b.

RAM(30b)은, 기억부 중 데이터의 개서(改書)가 가능한 것이며, 예를 들면 DRAM 또는 SRAM 등의 반도체기억소자로 구성되어도 된다. RAM(30b)은, CPU(30a)가 실행하는 프로그램, 플랜트(1)의 프로세스데이터와 같은 데이터를 기억해도 된다. 다만, 이들은 예시이며, RAM(30b)에는, 이들 이외의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어도 되고, 이들의 일부가 기억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The RAM 30b is one in which data can be rewritten in the storage unit, and may be constituted of, for example, a semiconductor memory element such as DRAM or SRAM. The RAM 30b may store data such as a program executed by the CPU 30a and process data of the plant 1 . However, these are examples, and data other than these may be stored in the RAM 30b, and a part of these may not be stored.

ROM(30c)은, 기억부 중 데이터의 판독이 가능한 것이며, 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 등의 반도체기억소자 또는 HDD로 구성되어도 된다. ROM(30c)은,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 나타나는 각종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프로그램 및 개서가 행해지지 않은 데이터를 기억해도 된다. 개서가 행해지지 않은 데이터란, 예를 들면, 플랜트(1), 플랜트(1)의 컴포넌트의 사양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The ROM 30c is capable of reading data from the storage unit, and may be constituted by, for example,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such as a flash memory or a HDD. The ROM 30c may store, for example, 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various processes shown in the present embodiment and data that has not been rewritten. The data that has not been rewritten includes, for example, information about the plant 1 and the specifications of the components of the plant 1 .

통신부(30d)는, 시스템(30)을 다른 기기에 접속하는 인터페이스이다. 통신부(30d)는, 인터넷 등의 통신네트워크에 접속되어도 된다.The communication unit 30d is an interface for connecting the system 30 to other devices. The communication unit 30d may be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입력부(30e)는, 유저로부터 데이터의 입력을 접수하는 것이며, 예를 들면, 키보드 및 터치 패널을 포함해도 된다.The input unit 30e receives input of data from a user,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keyboard and a touch panel.

표시부(30f)는, CPU(30a)에 의한 연산결과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화면을 갖는 것이며, 예를 들면, LCD(Liquid Crystal Display)에 의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표시부(30f)는, 프로세스데이터의 그래프나 설명문을 표시해도 된다. 또,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연결함으로써, 일 화면을 구성하도록, 표시부(30f)를 마련해도 된다.The display part 30f has a display screen which visually displays the calculation result by the CPU 30a, and may be comprised by LCD (Liquid Crystal Display),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30f may display a graph of process data or an explanatory text. Moreover, you may provide the display part 30f so that one screen may be compris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displays.

본 실시형태에 나타나는 각종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프로그램은, ROM(30c) 등의 컴퓨터에 의하여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에 기억되어 제공되어도 되고, 통신부(30d)에 의하여 접속되는 통신네트워크를 통하여 제공되어도 된다. 시스템(30)에서는, CPU(30a)가 감시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본 실시형태에 포함되는 다양한 동작이 실현된다. 다만, 이들의 물리적인 구성은 예시이며, 반드시 독립적인 구성이 아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시스템(30)은, CPU(30a)와 RAM(30b) 또는 ROM(30c)이 일체화된 LSI(Large-Scale Integration)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The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various processes shown in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uch as a ROM 30c and provided, or may be provid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ed by the communication unit 30d. do. In the system 30, various operations included in the present embodiment are realized by the CPU 30a executing the monitoring program. However, these physical configurations are examples, and may not necessarily be independent configurations. For example, the system 30 may include LSI (Large-Scale Integration) in which the CPU 30a and the RAM 30b or the ROM 30c are integrated.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스템(30)은, 로그인표시기능(40), 이상표시기능(42), 이상상세표시기능(44), 센서데이터상세표시기능(46), 이상이력표시기능(48), 가이드표시기능(50), 및, 평가항목표시기능(52)을 구비한다.As shown in FIG. 4 , the system 30 includes a login display function 40 , an abnormality display function 42 , an abnormality detailed display function 44 , a sensor data detailed display function 46 , and an abnormality history display function 48 . ), a guide display function 50 , and an evaluation item display function 52 .

로그인표시기능(40)은, 조작자가 시스템(30)에 로그인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표시한다. 로그인에 필요한 정보는, 예를 들면 조작자의 유저ID 및 패스워드 등이다. 로그인표시기능(40)은, 조작자로부터 유저ID 및 패스워드의 입력을 접수하고, 이로써, 이상표시기능(42)이 실행된다.The login display function 40 displays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operator to log into the system 30 . Information necessary for login is, for example, an operator's user ID and password. The login display function 40 receives input of the user ID and password from the operator, and thereby the abnormality display function 42 is executed.

이상표시기능(42)은, 플랜트(1)의 정지 가능성을 갖는 이상의 발생을 나타내는 이상표시와, 플랜트에 관한 프로세스데이터가 소정의 상태가 된 경우의 경고의 발생을 나타내는 경고표시를 표시한다. 여기에서, 이상표시는, 이상의 발생이 있었던 경우 외에, 이상의 가능성이 높은 경우도 포함한다. 또, 경고표시도 동일하게, 경고의 발생이 있었던 경우 외에, 경고의 가능성이 높은 경우도 포함한다. 경고표시는, 프로세스데이터가 소정의 임계값의 범위 외가 된 경우를 가리키는 것이며, 플랜트(1)의 운전효율의 저하 등의 플랜트(1)의 운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상태의 발생을 표시하는 것이다.The abnormality display function 42 displays an abnormality display indicating occurrence of an abnormality with the possibility of stopping the plant 1, and a warning display indicating occurrence of a warning when the process data relating to the plant is in a predetermined state. Here, the abnormality indication includes cases where abnormality is highly probable, in addition to cases where abnormality has occurred. In addition, the warning display also includes cases where the possibility of warning is high, in addition to the case where a warning has occurred. The warning display indicates a case where the process data falls outside the range of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and indicates occurrence of a condition affecting the operation of the plant 1 , such as a decrease in the operation efficiency of the plant 1 .

이상상세표시기능(44)은, 플랜트(1)의 전체에 있어서의 관의 위치와, 관에 마련된 센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화상정보를 표시함과 함께, 센서로 검출한 관의 이상상태를 소정의 양태로 나타낸다. 이상상세표시기능(44)은, 예를 들면, 이상표시기능(42)에 의한 이상표시의 원인 및 대책을 특정 가능한 상세정보를 표시한다.The abnormality detail display function 44 displays image information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pipe in the entire plant 1 and the position of the sensor provided in the pipe, and displays the abnormal state of the pipe detected by the sensor in a predetermined manner. shown in the form. The abnormality detailed display function 44 displays detailed information capable of specifying the cause and countermeasures of the abnormality display by the abnormality display function 42, for example.

센서데이터상세표시기능(46)은, 이상상세표시기능(44)에 있어서, 소정의 양태로 나타난 이상상태의 근거가 되는 센서의 데이터를 표시한다. 센서의 데이터는, 플랜트(1)의 프로세스데이터이기도 하다. 센서데이터상세표시기능(46)은, 예를 들면, 이상상세표시기능(44)에 의한 이상상세표시의 원인 및 대책을 특정 가능한 상세정보를 표시한다.The sensor data detailed display function 46 displays the sensor data that is the basis of the abnormal state displayed in a predetermined aspect in the abnormal detailed abnormal display function 44 . The sensor data is also process data of the plant 1 . The sensor data detailed display function 46 displays detailed information capable of specifying, for example, the cause and countermeasures of the abnormal detailed display by the abnormal detailed display function 44 .

이상이력표시기능(48)은, 이상표시기능(42)에 의한 이상표시의 이력을 표시한다. 또, 가이드표시기능(50)은, 이상표시기능(42)에 의한 경고표시에 대응하는 프로세스데이터의 그래프와, 당해 경고표시에 대응하는 프로세스데이터의 설명문을 서로 인접하여 표시한다. 또, 평가항목표시기능(52)은, 플랜트(1)의 상태를 평가하는 평가항목을 표시한다.The abnormality history display function (48) displays the history of abnormality display by the abnormality display function (42). In addition, the guide display function 50 displays a graph of the process data corresponding to the warning display by the abnormality display function 42 and the explanatory text of the process data corresponding to the warning display adjacent to each other. Further, the evaluation item display function 52 displays evaluation items for evaluating the state of the plant 1 .

도 4에 나타나는 각 기능블록의 화살표는, 조작자로부터의 지시에 근거하여 각 기능이 천이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즉, 시스템(30)에 있어서는, 조작자로부터의 지시에 근거하여, 이상표시기능(42)으로부터, 이상상세표시기능(44), 가이드표시기능(50) 및 평가항목표시기능(52) 중 어느 하나로 천이한다. 또 동일하게, 시스템(30)에 있어서, 조작자로부터의 지시에 근거하여, 이상상세표시기능(44)으로부터 센서데이터상세표시기능(46) 및 이상이력표시기능(48) 중 어느 하나로 천이한다. 또, 시스템(30)에 있어서, 조작자로부터의 지시에 근거하여, 평가항목표시기능(52)으로부터 가이드표시기능(50)으로 천이한다. 다만, 시스템(30)에 있어서 각 기능이 천이하는 경우, 이전의 기능의 표시가 다음의 기능의 표시로 바뀌어도 되고, 혹은, 이전의 기능의 표시가 남은 상태에서 다음의 기능의 표시가 함께 표시되어도 된다.An arrow of each function block shown in Fig. 4 indicates that each function is transitioned based on an instruction from an operator. That is, in the system 30, on the basis of an instruction from the operator, one of the abnormality display function 42, the abnormality detailed display function 44, the guide display function 50, and the evaluation item display function 52 is selected. transition Similarly, in the system 30, on the basis of an instruction from an operator, the transition is made from the detailed abnormality display function 44 to either the sensor data detailed display function 46 or the abnormality history display function 48. Further, in the system 30, the transition is made from the evaluation item display function 52 to the guide display function 50 based on an instruction from the operator. However, when each function transitions in the system 30, the display of the previous function may be changed to the display of the next function, or the display of the next function may be displayed together with the display of the previous function remaining. do.

다만, 상술한 시스템(30)의 각종 기능블록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방법 및 표시화면을 이용한 설명에 있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owever, the detailed operation of the various functional blocks of the above-described system 3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description using the method and the display screen to be described later.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방법으로서, 시스템(30)을 이용한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방법의 플로차트이다. 또, 도 6~도 14는, 시스템(30)의 각 기능블록에 의하여 표시된 표시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플랜트(1)의 정지 가능성을 갖는 이상의 일 양태로서, 플랜트(1)의 분파가 발생한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Hereinafter, as a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of a method using the system 30 will be described. 5 is a flowchart of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6 to 14 show an example of a display screen displayed by each functional block of the system 30 . Hereinafter, the case where the branching of the plant 1 occurs is described as an example as one aspect of the above having the possibility of stopping the plant 1 .

도 5에 있어서, 시스템(30)의 이상표시기능(42)이, 플랜트(1)의 정지 가능성을 갖는 이상의 발생을 나타내는 이상표시를 표시하고, 조작자에게 확인을 촉구한다(S10). 구체적으로는, DCS(20)에 의하여 플랜트(1)로부터 취득된 복수의 프로세스데이터에 근거하여, 시스템(30)의 제어부(31)가 이상의 발생을 나타내는 이상표시를 표시한다.In Fig. 5, the abnormality display function 42 of the system 30 displays an abnormality display indicating occurrence of an abnormality with the possibility of stopping the plant 1, and prompts the operator to confirm (S10). Specifically, based on the plurality of process data acquired from the plant 1 by the DCS 20, the control unit 31 of the system 30 displays an abnormality display indicating occurrence of an abnormality.

여기에서, 도 6을 이용하여, 이상표시기능(42)에 의한 표시화면(DP1)의 일례를 설명한다. 표시화면(DP1)은, 영역 R10~R15와, 평가항목표시(60)를 포함한다.Here, an example of the display screen DP1 by the abnormality display function 42 is demonstrated using FIG. The display screen DP1 includes areas R10 to R15 and an evaluation item display 60 .

영역 R10에는, 시스템(30)의 명칭으로서, "플랜트운용지원시스템"이라고 표시되고, 현재의 화면의 스테이터스로서, "대시보드"라고 표시되어 있다. 영역 R10의 표시에 의하여, 현재의 화면이, 어느 시스템에 있어서의 어느 스테이터스인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In the area R10, "plant operation support system" is displayed as the name of the system 30, and "dashboard" is displayed as the status of the current screen. By displaying the area R10, it is possible to easily grasp the status of the current screen in which system.

표시화면(DP1)의 좌측 상단의 영역 R11에는, 플랜트(1)의 정지 가능성을 갖는 이상의 발생을 나타내는 정보와, 그 이상이 발생한 시간정보가 표시된다. 도 6에서는, 플랜트(1)의 정지 가능성을 갖는 이상의 발생을 나타내는 정보의 일례로서 "분파"라는 정보가 큰 사이즈의 문자로 표시된다. 그 아래에는, 현재의 시간정보로서, "2019/08/07 14:00"이라는 문자정보가 표시된다. 이 현재의 시간정보는, 예를 들면 소정 시간마다(예를 들면 1분마다) 자동갱신된다. 혹은 조작자의 조작에 의하여 수동갱신이 가능해도 된다. 이 영역 R11에 표시되는 정보에 의하여, 플랜트(1)의 조작자는, 분파라는, 플랜트(1)의 정지 가능성을 갖는 중대한 이상이, 2019년 8월 7일 오후 2시 현재에 발생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다만, 변형예로서, "분파"라는 정보의 바로 아래의 시간정보는, 이상이 발생한 시각으로 해도 된다.In the area R11 at the upper left of the display screen DP1, information indicating occurrence of an abnormality having the possibility of stopping the plant 1 and time information at which the abnormality occurred are displayed. In FIG. 6 , as an example of information indicating the occurrence of an abnormality having the possibility of stopping the plant 1 , information “offset” is displayed with large-sized characters. Below that, text information "2019/08/07 14:00" is displayed as current time information. This current time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updated, for example, every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every minute). Alternatively, manual update may be possible by operation of an operator. Based on the information displayed in this area R11, the operator of the plant 1 can recognize that a serious abnormality with the possibility of stopping the plant 1, that is, branching, has occurred as of 2:00 pm on August 7, 2019. have. However, as a modification, the time information immediately below the information "offset" may be the time at which the abnormality occurred.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분파"라는 정보는, 분파가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된 경우(장래, 예를 들면, 소정 시간 이내에, 분파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고, 분파의 징조가 나타났다고 판단된 경우를 포함한다. 이하 동일)에 표시된다. 분파의 유무는, 단일의 센서로부터 취득되는 프로세스데이터를 소정의 임계값과 비교하여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분파의 유무는, 소정의 알고리즘에 따라, 복수의 센서로부터 취득된 프로세스데이터에 근거하여 판단할 수 있다. 센서란, 예를 들면, 발생하는 탄성파의 특징을 손상시키지 않고 전반(傳搬)할 수 있는 금속구조물(노벽관 또는 관에 접속되어 있는 금속면 등)에 마련된 복수의 AE(Acoustic Emission)센서 외에, 플랜트(1)의 각처에 마련되고, 온도, 압력, 유량, 밸브개방도, 댐퍼개방도, 액면레벨, 진동, 음향, 그 외의 플랜트(1)의 상태량을 검출하기 위한 각종 센서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분파"라는 정보가 표시되는 것은, 예를 들면, 단일의 AE센서로부터 취득된 프로세스데이터가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는 이상값(異常値)을 나타낸 경우만은 아니다. 단일의 AE센서로부터 취득된 프로세스데이터가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이더라도, 복수의 AE센서, 또는, AE센서와 다른 종류의 센서 등, 복수 종류의 센서로부터 취득된 프로세스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에 따라 처리하여 소정의 조건식에 따라 분파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 경우를 포함한다. 따라서, 각 센서로부터 얻어진 프로세스데이터를 운전원의 지식과 경험에 의거하여 판단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분파의 조기검출을 안정적으로 양호한 정밀도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formation "offset" includes a case where it is determined that a branch is occurring (in the future, for example, within a predetermined time,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branch is highly likely to occur, and a sign of branch is determined) It is indicated in the same hereinafter). The presence or absence of branching can be determined by comparing process data acquired from a single sensor with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In additi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branching can be determined based on process data acquired from a plurality of sensor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algorithm. A sensor is, for example, in addition to a plurality of AE (Acoustic Emission) sensors provided in a metal structure (such as a furnace wall tube or a metal surface connected to a tube) that can propagate without impai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nerated acoustic wave. , provided in various places of the plant 1, and includes various sensors for detecting temperature, pressure, flow rate, valve opening degree, damper opening degree, liquid level, vibration, sound, and other state quantities of the plant 1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formation "offset" is displayed, for example, not only when process data acquired from a single AE sensor shows an abnormal value exceeding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Even when the process data acquired from a single AE sensor does not exceed a predetermined threshold, the process data acquired from a plurality of types of sensors, such as a plurality of AE sensors or a sensor of a different type from the AE sensor, are used in a predetermined algorithm. and a case where it is determined that branching is highly likely to occur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ditional expression. Therefore,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process data obtained from each sensor is judged based on the knowledge and experience of the operator, it becomes possible to realize the early detection of branching stably and with high accuracy.

소정의 알고리즘은, 소정의 이상에 영향을 주는 복수의 센서를 노하우, 경험칙 등에 근거하여 선택하고, 소정의 이상이 발생했을 때의 복수의 센서의 프로세스데이터(이상발생 전의 프로세스데이터를 포함해도 된다)를 다변량해석 등을 함으로써 유도되는 수식 또는 수리모델에 근거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 소정의 알고리즘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계학습에 의하여 소정의 학습모델에 따라 동적으로 생성되는 알고리즘이어도 된다.A predetermined algorithm selects a plurality of sensors that affect a predetermined abnormality based on know-how, empirical rules, etc., and process data of the plurality of sensors when a predetermined abnormality occurs (process data before abnormal occurrence may be included) It may be based on an equation or a mathematical model derived by performing multivariate analysis or the like. In addition, as described later, the predetermined algorithm may be an algorithm dynamically genera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learning model by machine learning.

분파가 발생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장래, 예를 들면, 24시간 이내에, 분파가 발생할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되고, 분파의 징조가 나타나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를 포함한다. 이하 동일) 또는 과거에 분파가 발생했다고 판단되었지만, 그 후 소정의 처치를 취하는 것 등에 의하여 분파가 발생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되는 상태에 이른 경우, 예를 들면, "분파"의 문자가 표시된 상태에서 배경색이 변경되어도 되고(예를 들면 배경색이 적색에서 녹색으로 변경되어도 된다), 혹은, "분파"의 문자가 비표시로 변경되어도 된다. 따라서, 플랜트(1)의 조작자는, 영역 R11에 "분파"라는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경우 또는 그 배경색이 예를 들면 적색인 상태가 되어 있는 경우, 그 바로 아래에 표시된 현재시간에 이를 때까지 플랜트(1)에 분파가 계속되고 있거나, 또는, 분파가 가까운 장래에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상태가 계속되고 있는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When it is judged that no branch is occurring (including cases in which it is judged that there is no possibility of branching occurring in the future, for example, within 24 hours, and that no sign of branching has been shown; the same applies hereinafter) or in the past is determined to have occurred, but after that, if a state is reached in which it is judged that no branching has occurred by taking a predetermined treatment or the like, for example, the background color may be changed while the character of “offset” is displayed (e.g. For example, the background color may be changed from red to green), or the character of "offset" may be changed to non-display. Therefore, the operator of the plant 1, when the information "offset" is displayed in the area R11 or when the background color thereof is in a state of red, for example, until the current time displayed immediately below the plant 1 is reached. In (1), it can be easily recognized that the branching is continuing or the state in which branching is highly likely to occur in the near future continues.

분파가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 그 표시를 점멸시키는 등의 수단에 의하여 강조하고, 분파가 발생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에 그 표시를 억제하도록 해도 된다. 또, 분파가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 경고음 등의 효과음 또는 음성을 출력하도록 해도 된다. 또, 영역 R11에, 플랜트(1)의 정지 가능성을 갖는 이상이 발생하고 있을 확률을 나타내는 정보를 동시에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확률이 높은 경우는, 적색을 영역 R11의 배경색으로 사용하고, 확률이 낮은 경우는, 녹색을 영역 R11의 배경색으로 사용해도 된다. 이렇게 하여, 색의 정도에 따라 확률의 높이를 직감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또, 복수 종류의 이상을 식별 가능하게 표시하기 위하여, 발생한 이상명을 나타내는 문자정보를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또, 이상이 발생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에, "없음" 등, 이상이 발생하고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문자정보를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branching is occurring, the display may be emphasized by means such as blinking,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branching is not occurring, the display may be suppressed. Moreover, when it is judged that branching is occurring, you may make it output sound effect, such as a warning sound, or an audio|voice. Moreover, you may make it display simultaneously in the area|region R11 information which shows the probability that the abnormality which has the possibility of stopping the plant 1 has occurred. For example, when the probability is high, red may be used as the background color of the region R11, and when the probability is low, green may be used as the background color of the region R11. In this way, the height of the probability may be intuitively grasp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lor. Moreover, in order to display plural types of abnormalities identifiable, you may make it display the character information which shows the name of the abnormality which occurred. Furth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no abnormality has occurred, character information indicating that no abnormality has occurred, such as "None", may be displayed.

조작자는, 영역 R11을 봄으로써, 분파 등, 플랜트(1)의 정지 가능성을 갖는 이상의 발생(가까운 장래에 분파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상태를 포함한다)을 용이하게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만, 플랜트(1)의 정지 가능성을 갖는 이상은, 분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과열기의 관 등의 내부에서 퇴적이 진행된 스케일(급수 등에 의하여 관내로 반입되는 무기물)에 의하여 관 내부가 폐색되는 이상관을, 플랜트(1)의 정지 가능성을 갖는 이상으로서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By looking at the area R11, the operator can easily recognize the occurrence of an abnormality such as branching having a possibility of stopping the plant 1 (including a state in which branching is highly likely to occur in the near future). However, as long as it has the possibility of stopping the plant 1, it is not limited to branching. For example, an abnormal pipe in which the inside of the pipe is blocked by the scale (inorganic substances brought into the pipe by water supply, etc.) that has accumulated inside the pipe of the superheater, etc., can be detected as an abnormal having the possibility of stopping the plant 1. It can be configured so that

영역 R11은, "분파"에 관련된 설명문(62)을 포함한다. 설명문(62)은, 분파의 발생을 검지한 센서나 그 검지의 수법, 프로세스데이터의 종별, 분파의 원인이나 그 대책, 또는, 조작자가 다음으로 해야 하는 액션 등을 포함한다. 설명문(62)에는, 예를 들면, 조작자에 대하여 영역 R11의 "분파" 표시를 선택하도록 촉구하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상표시와 관련된 설명문(62)이, 당해 이상표시에 인접하여 표시됨으로써, 조작자는 플랜트(1)의 현상 및 다음으로 취해야 하는 액션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The area R11 includes an explanatory text 62 related to "offset". The explanatory text 62 includes a sensor that detects the occurrence of branching, a detection method thereof, a type of process data, a cause of branching and its countermeasures, and an action to be taken by the operator next. The explanatory text 62 may include, for example, a content prompting the operator to select the "offset" display of the area R11. Since the explanatory text 62 related to such an abnormality indication is displayed adjacent to the said abnormality indication, the operator can easily grasp the status quo of the plant 1 and an action to be taken next.

표시화면(DP1)의 좌측 하단의 영역 R12에는, "최신알람정보"로서, 플랜트에 관한 프로세스데이터가 소정의 상태가 된 경우의 경고의 발생을 나타내는 경고표시가 표시된다. 경고표시는, 플랜트(1)의 운전효율에 영향을 주는 프로세스데이터의 소정상태를 표시하는 것이며, 예를 들면, 분파와 같은 플랜트(1)의 정지 가능성을 갖는 것은 아니지만, 플랜트(1)의 운전효율을 저하시키는 것이다. 영역 R12에 있어서, 경고표시의 발생이력은, 그 발생 시를 나타내는 시간정보와, 그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를 발생 시의 순서로 배열된 상태로 표시된다. 예를 들면, 영역 R12의 선두에는, "2019/08/07 13:15:00"이라는 시간정보와, "보일러효율(손실법)"이라는 경고의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가 대응지어져 표시되어 있다. 이 영역 R12에 표시되는 정보에 의하여, 플랜트(1)의 조작자는, 열손실법하, 보일러효율의 저하라는, 플랜트(1)에 대한 경고가, 2019년 8월 7일 오후 1시 15분 0초에 발생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동일하게 플랜트(1)의 조작자는, 플랜트(1)의 운전효율에 영향을 주는 다른 프로세스데이터의 소정상태의 발생 시를 나타내는 시간정보와 그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의 이력을 인식할 수 있다.In the area R12 at the lower left of the display screen DP1, a warning display indicating occurrence of a warning when the process data relating to the plant is in a predetermined state is displayed as "latest alarm information". The warning display indicates a predetermined state of process data that affects the operation efficiency of the plant 1, for example, although it does not have the possibility of stopping the plant 1 such as branching, the operation of the plant 1 to reduce the efficiency. In the area R12, the history of occurrence of warning display is displayed in a state in which time information indicating the occurrence time and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ntent are arranged in the order of occurrence. For example, at the head of the area R12, time information "2019/08/07 13:15:00" and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ntents of a warning "boiler efficiency (loss method)" are displayed in association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displayed in this area R12, the operator of the plant 1 gives a warning to the plant 1 that the boiler efficiency is lowered under the heat loss method, on August 7, 2019 at 1:15:00 PM can recognize what has happened. Similarly, the operator of the plant 1 can recognize the history of time information indicating the occurrence of a predetermined state of other process data affecting the operating efficiency of the plant 1 and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ntents thereof.

영역 R12의 알람은, 경고가 발생했다고 판단된 경우(장래, 예를 들면, 소정 시간 이내에, 운전효율에 영향을 주는 프로세스데이터의 소정상태가 발생한다고 판단된 경우를 포함해도 된다.)에 표시된다. 프로세스데이터의 경고는, 분파 등의 플랜트(1)의 이상과 동일하게, 단일의 센서로부터 취득되는 프로세스데이터에 근거하여 판단되는 경우와, 소정의 알고리즘(기계학습에 의하여 소정의 모델에 따라 동적으로 생성되는 알고리즘을 포함한다.)에 따라 복수의 센서로부터 취득되는 프로세스데이터에 근거하여 판단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다만, 현 시각에 있어서, 경고가 계속되고 있는 알람을, 예를 들면, 적색 글자로 표시하고, 경고의 확인이 종료된 알람을, 예를 들면, 흑색 글자로 표시해도 된다.The alarm in the area R12 is display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warning has occurred (this may include a case where it is determined that a predetermined state of process data affecting operation efficiency occurs in the future, for example, within a predetermined time). . The warning of the process data is similar to the abnormality of the plant 1 such as branching, when it is judged based on process data acquired from a single sensor, and by a predetermined algorithm (dynamically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model by machine learning). It includes a case where it is determined based on process data acquired from a plurality of sensors according to the generated algorithm. However, at the present time, an alarm for which a warning is continued may be displayed, for example, in red characters, and an alarm for which confirmation of the warning has been completed may be displayed, for example, in black characters.

다만, 영역 R12에 있어서의 일람표시된 어느 하나의 항목이 조작자에 의하여 선택되면, 가이드표시기능(50)에 의하여 표시화면(DP5a~DP5d)이 표시된다. 이 표시기능 및 표시화면의 상세는 후술한다(도 10~도 13 참조).However, when any one of the items displayed in the list in the area R12 is selected by the operator, the display screens DP5a to DP5d are displayed by the guide display function 50 . Details of this display function and display screen will be described later (refer to FIGS. 10 to 13).

이와 같은 표시화면(DP1)에 있어서의 영역 R11 및 R12에 의하면, 시스템(30)은, 플랜트(1)의 정지 가능성을 갖는 중대한 이상과, 플랜트(1)의 운전효율에 영향을 주는 경고를, 상이한 영역에 상이한 양태로 동시에 표시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따라서, 조작자는, 플랜트(1)의 정지 가능성을 갖는 중대한 이상과, 운전효율에 영향을 주는 경고의 쌍방을 용이하게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플랜트(1)의 정지 가능성을 갖는 중대한 이상에 대해서는, 현재, 그와 같은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표시하는 한편, 운전효율에 영향을 주는 경고에 대해서는, 경고의 발생이력을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자는, 영역 R11을 봄으로써, 현재, 중대한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 영역 R12를 봄으로써, 운전효율에 영향을 주는 경고가 복수 회에 걸쳐 발생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운전효율에 영향을 주는 경고에 대해서는, 경고의 발생 시를 나타내는 시간정보와 이 경고의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가 발생 시의 순서로 배열된 상태로 표시되기 때문에, 운전효율에 영향을 주는 경고의 발생빈도와, 운전효율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경고(보일러 이외의 컴포넌트에 있어서 발생하는 이상을 포함한다)의 내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다만, 영역 R11에는, 플랜트(1)의 운전효율에 영향을 주는 경고의 이력 및 플랜트(1)의 정지 가능성을 갖는 중대한 이상의 이력을 표시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일반적으로 조작자는, 플랜트(1)를 포함하는 플랜트를 적정하게 가동시키기 위하여, 매우 다수의 사상 및 파라미터를 감시해야 한다. 이 때문에, 효율적이고 또한 신속하게, 조작자에게 있어 중요성이 높은 정보를 전달하고, 중요성이 낮은 정보를 전달하지 않도록,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요성이 낮은 정보를 굳이 표시시키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운전원은, 영역 R11을 봄으로써, 현재, 중대한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용이하게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e areas R11 and R12 on the display screen DP1 as described above, the system 30 issues a serious abnormality having the possibility of stopping the plant 1 and a warning affecting the operating efficiency of the plant 1 , It has a function of simultaneously displaying different aspects in different areas. Therefore, it becomes possible for the operator to easily recognize both the serious abnormality which has the possibility of stopping the plant 1, and the warning which affects operation efficiency. In addition, with respect to a serious abnormality having the possibility of stopping the plant 1, whether such an abnormality is currently occurring or not is displayed, while for a warning affecting the operation efficiency, the history of occurrence of the warning is displayed. has been Therefore, by looking at the area R11, the operator can easily recognize whether or not a serious abnormality is currently occurring. In addition, by looking at the area R12, it is possible to easily recognize whether or not a warning affecting the operating efficiency has been generated multiple times. As for warnings that affect operating efficiency, time information indicating when the warning occurred and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ntents of this warning are displayed in the order of occurrence, so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warnings affecting operating efficiency And, the contents of various warnings (including abnormalities occurring in components other than the boiler) that affect operation efficiency can be easily grasped. However, in the area R11, the history of warnings affecting the operating efficiency of the plant 1 and the history of serious abnormalities having the possibility of stopping the plant 1 may not be displayed. In general, the operator has to monitor a very large number of events and parameters in order to properly operate the plant including the plant 1 . For this reason, it is desirable to display information efficiently and quickly so that information of high importance is transmitted to the operator and information of low importance is not conveyed. By configuring so as not to dare display information of low importance, the operator can easily recognize whether or not a serious abnormality is currently occurring by looking at the area R11.

표시화면(DP1)의 좌측 중앙에 있어서의 영역 R11과 영역 R12의 사이의 스페이스에는, 영역 R13이 마련된다. 영역 R13에는, "기기·컴포넌트별" 정보로서, 플랜트(1)를 구성하는 복수의 컴포넌트가 표시된다. 또, 운전효율에 영향을 주는 경고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는 컴포넌트는, 다른 컴포넌트와 상이한 양태로 표시된다.A region R13 is provided in the space between the regions R11 and R12 in the left center of the display screen DP1. In the area R13, a plurality of components constituting the plant 1 are displayed as information "for each device/component". In addition, the component which may generate|occur|produce the warning which affects operation efficiency is displayed in a different aspect from other components.

구체적으로는, 플랜트(1)의 컴포넌트로서, "플랜트", "보일러", "터빈", "제너레이터" 및 "보기(補機)"가 표시된다. "보일러"는, 화로(2) 등, 보일러를 구성하는 부품에 상당한다. "터빈"은, 터빈(100) 등, 터빈을 구성하는 부품에 상당한다. "보기"는, 펌프(7) 및 펌프(7a) 등, 보일러 등의 주요 부품에는 해당하지 않는 부품에 상당한다. 또, "제너레이터" 등, 플랜트(1)를 구성하고 경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부품을 적절히 컴포넌트로서 설정해도 된다. 또, 운전효율에 영향을 주는 경고의 원인이 되는 프로세스데이터를 특정하고, 이에 근거하여, 현 시점에 있어서, 경고가 발생하고 있는 컴포넌트(예를 들면 "보일러" 및 "제너레이터")를, 예를 들면, 적색의 배경색으로 표시하며, 경고가 발생하고 있지 않은 컴포넌트(예를 들면 "플랜트" 및 "터빈")를, 예를 들면, 녹색의 배경색으로 표시하고, 평가항목이 미설정의 컴포넌트(예를 들면 "보기")를 회색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영역 R12에 경고가 계속되고 있는 알람을 적색 글자로 표시하고, 영역 R13에 그 알람에 대응하는 컴포넌트를 적색의 배경색으로 표시하도록 하여, 운전효율에 영향을 주는 경고의 원인이 되는 컴포넌트를 용이하게 특정 가능하게 구성해도 된다.Specifically, as components of the plant 1, "plant", "boiler", "turbine", "generator" and "bogie" are displayed. "Boiler" corresponds to parts constituting the boiler, such as the furnace 2 . "Turbine" corresponds to components constituting the turbine, such as the turbine 100 . "Example" corresponds to parts not corresponding to main parts, such as a boiler, such as the pump 7 and the pump 7a. Moreover, you may set up as a component suitably components, such as a "generator", which comprise the plant 1 and are highly likely to generate|occur|produce a warning. In addition, the process data causing the warning that affects the operation efficiency is specified, and based on this, the component (for example, "boiler" and "generator") that is generating the warning at the present time is selected, for example. For example, it is displayed with a red background color, and components for which no warning is generated (eg, “plant” and “turbine”) are displayed with, for example, a green background color, and a component whose evaluation item is not set (eg, For example, "View") is configured to be grayed out. In addition, by displaying the alarm for which the warning continues in the area R12 in red letters, and in the area R13 the component corresponding to the alarm is displayed in a red background color, the component causing the warning affecting the operation efficiency can be easily It may be configured in such a way that it can be specified.

조작자는, 영역 R13을 봄으로써, 플랜트(1)를 구성하는 어느 컴포넌트에 있어서, 운전효율에 영향을 주는 경고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는 컴포넌트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 영역 R12와 영역 R13을 봄으로써, 영역 R12에 근거하여 복수 회의 경고가 발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 시점에 있어서, 경고가 계속되고 있는 컴포넌트를 특정할 수 있다. 또, 영역 R12만으로는, 운전효율에 영향을 주는 경고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는 컴포넌트를 추측할 수 없는 조작자이더라도, 영역 R13을 봄으로써, 그와 같은 컴포넌트를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By looking at the area R13, the operator can easily recognize a component that may have generated a warning affecting the operating efficiency in any component constituting the plant 1 . Moreover, by looking at the areas R12 and R13, it is possible to specify the component in which the warning continues at the present time despite the occurrence of a plurality of warnings based on the area R12. In addition, even if an operator cannot guess a component that may have generated a warning affecting the operation efficiency only from the area R12, it is possible to recognize such a component by looking at the area R13.

표시화면(DP1)의 우측 하단의 영역 R15에는, 센서에 의하여 취득된 데이터가 이상값을 나타낸 횟수를, 센서마다 배열된 양태로, 이상의 발생이력이 표시된다. 구체적으로는, "DCS알람집계" 정보로서, 소정 시간 내, 예를 들면, 과거 24시간 이내에, DCS(20)에 의하여 판단된 이상의 횟수를, 센서마다 집계하고, 내림차순으로 나열한 파레토도가 나타나 있다. 다만, 도 6에 있어서의 "알람 1", "알람 2" 등은, 구체적인 센서의 식별정보가 표시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예를 들면, 알람 1로서, 특정 위치에 마련된 AE센서의 식별정보가 표시되어도 된다. 또, 알람 1로서, 특정 센서에 의하여 검출되는 항목명이 표시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알람 1로서, 보급수 유량(u1)을 식별하는 정보가 표시되어도 된다.In the area R15 at the lower right of the display screen DP1, the number of times the data acquired by the sensor indicated an abnormal value is displayed in a manner arranged for each sensor, and the abnormal occurrence history is displayed. Specifically, as "DCS alarm aggregate" information, within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within the past 24 hours, the number of abnormalities determined by the DCS 20 is aggregated for each sensor, and a Pareto diagram is shown in descending order. . However, "alarm 1", "alarm 2", etc. in FIG. 6 may be configured such that specific sens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For example, as alarm 1,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n AE sensor provided at a specific position may be displayed. Further, as alarm 1, an item name detected by a specific sensor may be displayed. For example, as alarm 1, information identifying the make-up water flow rate u1 may be displayed.

DCS(20)는, 단일의 센서로부터 취득되는 프로세스데이터를 소정의 임계값과 비교하여, 프로세스데이터가 임계값을 초과하는 이상값을 나타냈을 때에,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만, DCS(20)는, 소정의 알고리즘에 따라, 복수의 센서로부터 취득된 프로세스데이터에 근거하여 이상의 유무를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지 않다.The DCS 20 is configured to compare process data acquired from a single sensor with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and to determine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when the process data shows an abnormal value exceeding the threshold value. However, the DCS 20 is not configured to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abnormality based on process data acquired from a plurality of sensor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algorithm.

조작자는, 영역 R15를 봄으로써, 이상의 빈도가 높기 때문에, 트러블로 발전할 리스크가 큰 항목을 인식할 수 있다.By looking at the area R15, the operator can recognize the item with a large risk of developing into a trouble because the frequency of abnormality is high.

다만, 조작자는, 영역 R12에 표시되는 "최신알람정보" 또는 영역 R11에 표시되는 정보와, 영역 R15에 표시되는 "DCS알람집계"를 비교함으로써, 운전효율의 이상의 원인에 관한 정보를 추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영역 R1에 "분파"라고 표시되어 있을 때, 영역 R15에, 보일러에 설치되어 분파에 영향을 주는 소정의 센서가 다수 회의 이상을 나타내고 있으면, 그 센서 부근에서 분파의 원인이 되는 이상이 발생했다고 추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영역 R12에 복수 회에 걸쳐 "SH 수열량(收熱量)"의 경고가 발생하고 있을 때에, 영역 R15에, 화로에 설치되어 운전효율에 영향을 주는 소정의 센서가 다수 회의 이상을 나타내고 있으면, 그 센서 부근에서 운전효율의 저하원인이 되는 이상이 발생했다고 추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However, by comparing the "latest alarm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area R12 or the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area R11 with the "DCS alarm aggregate" displayed in the area R15, the operator may infer information on the cause of the abnormal operation efficiency. becomes possible For example, when "offset" is displayed in area R1, if a predetermined sensor installed in a boiler and affecting branching in area R15 shows abnormality multiple times, an abnormality that causes branching in the vicinity of the sensor It is possible to speculate that this has occurred. In addition, when the warning of "SH heat amount" is generated multiple times in the area R12, if a predetermined sensor installed in the furnace and affecting the operation efficiency in the area R15 shows more than a plurality of times , it becomes possible to infer that an abnormality that causes a decrease in operating efficiency has occurred in the vicinity of the sensor.

표시화면(DP1)의 우측 상단의 영역 R14에는, 플랜트(1)의 운전실적을 나타내는 정보가 표시된다. 예를 들면, 영역 R14에는, 안정조업을 위하여 중요한 지표를 세로축으로 하고, 가로축을 시간으로 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트랜드그래프가 표시된다. 도 6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보일러효율(손실법)[%-LHV]", "발전단(發電端)효율[%]"("운전효율을 나타내는 정보"의 일례), "발전기전력[MW]" 및 "송전전력[MW]"의 4개의 트랜드그래프가 나타나 있다. 다만, 영역 R14에 표시하는 지표는, 조작자에 의하여, 임의로 선택될 수 있다.In the area R14 at the upper right of the display screen DP1, information indicating the operating performance of the plant 1 is displayed. For example, in the region R14, one or a plurality of trend graphs are displayed in which an important index for stable operation is the vertical axis and the horizontal axis is time. In Fig. 6, for example, "Boiler efficiency (loss method) [%-LHV]", "Generation stage efficiency [%]" (an example of "information indicating operating efficiency"), "Generator power Four trend graphs of “[MW]” and “transmission power [MW]” are shown. However, the indicator displayed in the area R14 may be arbitrarily selected by the operator.

이에 의하면, 표시화면(DP1)이라는 한정된 영역에, 플랜트(1)를 조업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할 때, 플랜트(1)에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이상 중, 플랜트(1)의 정지 가능성을 갖는 이상에 대해서는, 다른 이상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과는 독립적인 영역인 영역 R11에 표시하고, 플랜트(1)의 운전효율에 영향을 주는 경고에 대해서는, 영역 R11과는 상이한 영역 R12에 표시되어 있다. 또, 운전효율에 대해서는, 발생이력을 표시하기 때문에, 운전효율의 전체 경향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조작자는, 정지 가능성을 갖는 이상의 발생의 유무와, 운전효율에 영향을 주는 경고의 유무를, 용이하게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영역 R15에는, 각 센서에 의하여 취득된 데이터가 이상값을 나타낸 횟수를 각 센서마다 표시하기 때문에, 정지 가능성을 갖는 이상 및 운전효율에 영향을 주는 경고의 원인을 추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영역 R14에 표시되는 정보에 의하여, 운전효율에 영향을 주는 경고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는 컴포넌트를 용이하게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is, when information for operating the plant 1 is displayed on the limited area of the display screen DP1, among various abnormalities that may occur in the plant 1, the abnormality with the possibility of stopping the plant 1 is is displayed in an area R11 that is independent of the area for displaying other abnormalities, and warnings affecting the operating efficiency of the plant 1 are displayed in an area R12 different from the area R11. In addition, with respect to the operating efficiency, since the occurrence history is displayed, it becomes possible to grasp the overall trend of the operating efficiency. It becomes possible for the operator to easily recognize the presence or absence of occurrence of an abnormality having the possibility of stopping,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warning which affects operation efficiency. In addition, in the area R15, since the number of times the data acquired by each sensor showed an abnormal value is displayed for each sensor, it becomes possible to guess the cause of an abnormality having a stop possibility and a warning affecting the operation efficiency. Moreover, it becomes possible to easily recognize the component which may generate|occur|produce the warning which affects operation efficiency by the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area|region R14.

평가항목표시(60)는, 예를 들면, 영역 R12의 아래에 표시되고, 복수의 평가항목일람의 확인을 촉구하는 것으로서, "평가항목일람"이라고 표시되어 있다. 평가항목표시(60)는, 플랜트의 상태를 평가하는 평가항목의 확인을 촉구하는 것이며, 표시화면(DP1)에 있어서, 조작자에 의하여 평가항목표시(60)가 선택되면, 평가항목표시기능(52)에 의하여 플랜트의 상태를 평가하는 평가항목의 표시화면(DP6)이 표시된다. 이 표시기능 및 표시화면의 상세는 후술한다(도 14 참조).The evaluation item display 60 is, for example, displayed below the area R12, prompts confirmation of a plurality of evaluation item lists, and displays "List of evaluation items". The evaluation item display 60 prompts confirmation of the evaluation item for evaluating the state of the plant, and when the evaluation item display 60 is selected by the operator on the display screen DP1, the evaluation item display function 52 ), the display screen DP6 of the evaluation items for evaluating the state of the plant is displayed. Details of this display function and display screen will be described later (refer to Fig. 14).

도 5의 플로차트로 되돌아가면, 이상표시기능(42)이, 이상표시에 대한 조작자로부터의 선택을 접수한다(S11).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나는 표시화면(DP1)에 있어서의 영역 R11에 표시되는 "분파"라는 이상표시가 조작자에 의하여 선택되면, 이상상세표시기능(44)에 의하여 그 이상의 상세가 표시된다(S12).Returning to the flowchart of Fig. 5, the abnormality display function 42 accepts the operator's selection for abnormality display (S11). For example, when an abnormality display of "offset" displayed in the area R11 in the display screen DP1 shown in Fig. 6 is selected by the operator, further details are displayed by the abnormality detail display function 44 ( S12).

여기에서, 도 7을 이용하여, 이상상세표시기능(44)에 의한 표시화면(DP2)의 일례를 설명한다. 표시화면(DP2)은, 영역 R20~R24와, 화면갱신표시(72)와, 이상확인표시(74)와, 이상이력표시(76)를 포함한다.Here, an example of the display screen DP2 by the abnormality detail display function 44 is demonstrated using FIG. The display screen DP2 includes regions R20 to R24 , a screen update display 72 , an abnormality confirmation display 74 , and an abnormality history display 76 .

영역 R20에는, 시스템(30)의 명칭으로서, "플랜트운용지원시스템"이라고 표시되고, 현재의 화면의 스테이터스로서, "분파상세"라고 표시되어 있다. 영역 R20의 표시에 의하여, 현재의 화면이, 어느 시스템에 있어서의 어느 스테이터스인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In the area R20, as the name of the system 30, "Plant Operation Support System" is displayed, and as the status of the current screen, "Segmentation Details" is displayed. By displaying the area R20, it is possible to easily grasp the status of the current screen in which system.

표시화면(DP2)의 우측의 영역 R21에는, 플랜트(1) 전체에 있어서의 관의 위치와, 이들 관에 마련된 센서의 위치(도 7에서는 "원으로 둘러싼 숫자 1~7"로 표기하고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1)~(7)"이라고 표기한다.)를 나타내는 화상정보가 표시되어 있다. 영역 R21에 있어서의 플랜트(1) 전체에 있어서의 관의 위치는, 도 1에 나타나는 플랜트(1)에 대응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플랜트(1)의 과열기(10)를 구성하는 3개의 관 및 이들 3개의 관에 각각 마련된 3개의 AE센서((1), (2), (3))의 플랜트(1) 전체에 있어서의 위치와, 절탄기(12)를 구성하는 2개의 관 및 이들 2개의 관에 각각 마련된 2개의 AE센서((4), (5))의 플랜트(1) 전체에 있어서의 위치가 표시화면(DP2)의 영역 R21에 표시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플랜트(1)의 화로(2)에 인접하는 노벽관(6) 및 노벽관(6)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마련된 AE센서((6), (7))의 플랜트(1) 전체에 있어서의 위치도 또한, 표시화면(DP2)의 영역 R21에 표시되어 있다. 다만, 이들 관(과열기(10)의 관, 절탄기(12)의 관, 노벽관(6)) 및 그에 대응하는 AE센서 (1)~(7)은 일례이며, 그 외의 관 및 AE센서도 또한 영역 R21에 표시할 수 있다. 또, AE센서는, 노벽관 또는 관에 접속되어 있는 금속면이며, 발생하는 탄성파의 특징을 손상시키지 않고 전파(傳播)할 수 있는 금속구조물에 마련되어 있다.In the area R21 on the right side of the display screen DP2, the positions of pipes in the entire plant 1 and the positions of sensors provided in these pipes (in Fig. 7, "circled numbers 1 to 7" are indicated, In this specification, image information indicating "(1) to (7)") is displayed. The position of the pipe in the entire plant 1 in the region R21 corresponds to the plant 1 shown in FIG. 1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lant 1 of the three tubes constituting the superheater 10 of the plant 1 and the three AE sensors ((1), (2), (3)) respectively provided in these three tubes ) position in the whole, the two tubes constituting the economizer 12, and the two AE sensors (4) and (5) provided in these two tubes, respectively, in the plant 1 as a whole is displayed in the area R21 of the display screen DP2.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urnace wall tube 6 adjacent to the furnace 2 of the plant 1 and the AE sensors (6) and (7) provid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urnace wall tube 6, respectively. The position in the whole plant 1 is also displayed in the area R21 of the display screen DP2. However, these tubes (the tube of the superheater 10, the tube of the economizer 12, the furnace wall tube 6) and the corresponding AE sensors (1) to (7) are examples, and other tubes and AE sensors are also It can also be displayed in the area R21. Moreover, the AE sensor is a furnace wall tube or a metal surface connected to the tube, and is provided in a metal structure that can propagate without impai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nerated acoustic wave.

또, 영역 R21에는, AE센서로 검출한 관의 상태를 소정의 양태로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영역 R21에 표시된 AE센서 (1)~(7) 중, 특정 AE센서(예를 들면 (1))로부터 취득된 프로세스데이터(AE신호(파형)를 신호처리하여 추출한 AE파라미터)가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는 이상값을 나타냄으로써, 대응하는 관(과열기(10)의 관)에 분파가 발생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이상상세표시기능(44)은, 특정 AE센서((1))의 표시를 점멸시키거나, 특정 AE센서((1))의 표시의 색을 다른 AE센서((2)~(7))의 표시의 색과 상이하게 한다.Moreover, in the area|region R21, it is comprised so that the state of the pipe|tube detected by the AE sensor may be displayed in a predetermined|prescribed mode. For example, among the AE sensors (1) to (7) displayed in area R21, process data (AE parameters extracted by signal processing the AE signal (waveform)) acquired from a specific AE sensor (eg (1)) 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branching is occurring in the corresponding tube (pipe of the superheater 10) by indicating an abnormal value exceeding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the abnormality detail display function 44 activates the specific AE sensor ((1) )) blinks, or the color of the display of the specific AE sensor (1)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other AE sensors ((2) to (7)).

또, 이상상세표시기능(44)은, 관의 상태를 플랜트(1)에 관한 프로세스데이터(플랜트(1)의 운전데이터)에 근거하여 소정의 알고리즘으로 판정했을 때에 사용된 판정정보를, 표시화면(DP2)의 영역 R22에 시계열적으로 표시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AE센서((1)~(7))로부터 취득된 프로세스데이터(AE신호(파형)를 신호처리하여 추출한 AE파라미터)와는 상이한 프로세스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에 따라 처리함으로써, 분파발생 가능성(이상도)을 산출함과 함께, 그 산출에 이용된 프로세스데이터 및 알고리즘의 신뢰성의 높이(신뢰도)를 산출한다. 이상도 및 신뢰도는, 판정정보의 일례이다. 그리고, 이상상세표시기능(44)은, 이들 이상도 및 신뢰도의 쌍방을 세로축으로 하고, 최근 24시간을 가로축으로 한 타임차트를, 표시화면(DP2)의 영역 R22의 상방에 표시한다. 도 7에 나타내는 영역 R22의 상방에 있어서, 파선이 이상도의 타임차트이며, 실선이 신뢰도의 타임차트이다. 조작자는, 이들 이상도 및 신뢰도 쌍방의 타임차트를 시인함으로써, 분파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는 시간대를 특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작자는, 도 7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이상도와 신뢰도의 쌍방이 높은 값을 나타내는 시각 11:00 후에 있어서 분파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normality detail display function 44 displays the determination information used when the state of the pipe is determined by a predetermined algorithm based on the process data related to the plant 1 (operation data of the plant 1) on the display screen. It is displayed time-sequentially in the area R22 of (DP2). In the present embodiment, process data different from the process data (AE parameters extracted by signal processing the AE signal (waveform)) acquired from the AE sensors (1) to (7) are process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algorithm, thereby demultiplexing In addition to calculating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abnormality), the reliability height (reliability) of the process data and algorithm used for the calculation is calculated. The degree of ideality and reliability are examples of determination information. Then, the abnormality detail display function 44 displays a time chart with both of these abnormalities and reliability as the vertical axis, and the last 24 hours as the horizontal axis, above the area R22 of the display screen DP2. Above the region R22 shown in Fig. 7, the broken line is the time chart of the ideal degree, and the solid line is the time chart of the reliability. The operator can specify the time period in which the branching may have occurred by visually recognizing the time charts of both the degree of abnormality and the reliability. For example, in the example shown in FIG. 7, an operator can judge that branching may have occurred after 11:00 at which both the ideal degree and reliability show high values.

또, 이상상세표시기능(44)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상도 및 신뢰도와 각각 상관관계를 갖는 2종류의 파라미터 α, β(이상도나 신뢰도의 판정에 영향이 있는 특징량데이터)의 타임차트를 영역 R22의 하방에 표시한다. 파라미터 α, β도 또한, 판정정보의 일례이다. 도 7에 있어서, 1점쇄선이 이상도와 상관관계를 갖는 파라미터 α의 타임차트이며, 2점쇄선이 신뢰도와 상관관계를 갖는 파라미터 β의 타임차트이다. 조작자는, 영역 R22의 상방에 표시된 이상도 및 신뢰도의 타임차트와 함께, 영역 R22의 하방에 배치된 2종류의 파라미터 α, β의 타임차트를 시인함으로써, 분파발생에 관한 종합적인 판단을 행할 수 있다. 파라미터 α, β는, 예를 들면, 이상도 및 신뢰도를 산출하기에 이르는 과정의 계산식으로부터 도출되는 것이며, 이로써 이상도 및 신뢰도의 정확도를의 확인에 이용해도 된다. 도 7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판정정보와 상관하는 그래프는 1개이지만, 복수의 그래프를 표시해도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the abnormality detail display function 44 is a function of two types of parameters α and β (characteristic data affecting the determination of abnormality and reliability) each having a correlation with the abnormality and reliability. A time chart is displayed below the area R22. The parameters α and β are also examples of determination information. In Fig. 7, the dashed-dotted line is a time chart of the parameter α having a correlation with the degree of ideality, and the dashed-dotted line is a time chart of the parameter β having a correlation with reliability. The operator can make a comprehensive judgment regarding branching by visually viewing the time chart of two types of parameters α and β arranged below the region R22 along with the time chart of the degree of ideality and reliability displayed above the region R22. have. The parameters α and β are derived from, for example, calculation formulas in the process leading to calculating the ideality and reliability, and may be used to confirm the accuracy of the ideality and reliability. In the example shown in FIG. 7, although there is only one graph correlated with determination information, you may display several graphs.

또, 이상상세표시기능(44)은, AE센서에 의한 관의 상태의 검출결과와, AE센서로부터 취득된 프로세스데이터(AE신호(파형)를 신호처리하여 추출한 AE파라미터)와는 상이한 프로세스데이터에 근거하는 관의 상태의 판정결과의 쌍방을, 표시화면(DP2)의 영역 R23에 동일한 형식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이상상세표시기능(44)은, 관에 분파가 발생하고 있는지 아닌지에 대한 최근 24시간에 있어서의 AE센서에 의한 검출결과를, 영역 R23의 상방에 가로로 긴 바차트로 시계열적으로 표시하고 있다("AE법"이라고 표시). 또, 이상상세표시기능(44)은, 관에 분파가 발생하고 있는지 아닌지에 대한 최근 24시간에 있어서의 프로세스데이터 및 알고리즘에 근거한 판정결과를, 영역 R23의 하방에 가로로 긴 바차트로 시계열적으로 표시하고 있다("로직"이라고 표시).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AE법에 의한 검출결과와, 로직에 의한 판정결과의 쌍방을 동일한 형식의 바차트로 시계열적으로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영역 R22에 표시한 각 타임차트에 있어서의 시간축과, 영역 R23에 표시한 각 바차트에 있어서의 시간축을 연동시켜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In addition, the abnormality detail display function 44 is based on the process data different from the detection result of the pipe state by the AE sensor and the process data acquired from the AE sensor (AE parameters extracted by signal processing the AE signal (waveform)). It is comprised so that both of the determination results of the state of the pipe|tube to be made may be displayed in the area R23 of the display screen DP2 in the same format. The abnormality detail display function 44 in this embodiment displays the detection result by the AE sensor in the last 24 hours as to whether or not branching has occurred in the tube in a horizontally long bar chart above the area R23. It is displayed in time series (indicated as "AE method"). In addition, the abnormality detail display function 44 displays the determination result based on the process data and algorithm in the last 24 hours as to whether or not branching is occurring in the tube in a time-series manner in a horizontally long bar chart below the area R23. (marked as "logic").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both the detection result by the AE method and the judgment result by the logic are displayed in time-series in the same format bar chart. Moreover, in this embodiment, the time axis in each time chart displayed in the area R22 is displayed in association with the time axis in each bar chart displayed in the area R23.

각 바차트에 있어서, "수평선"의 해칭으로 나타낸 영역은, 분파가 발생하고 있는 것이라고 판정(검출)되고 또한 조작자가 그 사실을 이미 확인하고 있는 시간대를 나타내며, "흰색"으로 느낌표가 표시되어 있는 영역은, 분파가 발생하고 있는 것이라고 판정(검출)되고 또한 조작자가 그 사실을 아직 확인하고 있지 않은 시간대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우상향 사선"의 해칭으로 나타낸 영역은, 분파가 발생하고 있지 않은 것이라고 판정(검출)되고 또한 조작자가 그 사실을 아직 확인하고 있지 않은 시간대를 나타내며, "검은색"의 영역은, 분파가 발생하지 않은 것이라고 판정(검출)되고 또한 조작자가 그 사실을 이미 확인하고 있는 시간대를 나타낸다. 조작자는, 쌍방의 바차트를 시인하고, 주로 "흰색"으로 느낌표가 표시되어 있는 영역이 중복되고 있는 시간대(예를 들면, 시각 14:00 전후, 시각 8:00 전후, 등)에 분파가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In each bar chart, the area indicated by the "horizontal line" hatched indicates the time period in which it is determined (detected) that branching is occurring and the operator has already confirmed the fact, and is marked with an exclamation mark in "white". The area indicates a time period in which it is determined (detected) that branching is occurring and the operator has not yet confirmed the fact. On the other hand, the area indicated by the hatching of "upward-sloping line" indicates a time period in which it is determined (detected) that no branching has occurred and the operator has not yet confirmed the fact, and the area in "black" indicates that branching is not occurring. It indicates a time period in which it is determined (detected) that it has not occurred and the operator has already confirmed that fact. The operator recognizes both bar charts, and division occurs in time zones (eg, around 14:00 time, around 8:00 time, etc.) in which areas marked with exclamation marks in "white" mainly overlap. It can be concluded that it is highly probable that

다만, 조작자는, 표시화면(DP2)의 영역 R21의 표시에 의하여, 현 시점에서 분파가 발생하고 있는 관에 대응하는 특정 AE센서(예를 들면 (1))를 파악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표시화면(DP2)의 영역 R23의 표시에 의하여, 분파발생의 시간이력을 파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자는, 영역 R21과 영역 23의 쌍방을 시인함으로써, 특정 AE센서(예를 들면 (1))에 대응하는 관에 분파가 발생하고 나서 어느 정도의 시간이 경과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However, by displaying the area R21 of the display screen DP2, the operator can grasp the specific AE sensor (for example, (1)) corresponding to the pipe in which the branching is occurring at the present time, and the display screen By displaying the area R23 in (DP2), the time history of branching generation can be grasped. Accordingly, by visually viewing both the regions R21 and 23, the operator can grasp how much time has elapsed since branching occurred in the tub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E sensor (for example, (1)).

본 실시형태에서 나타내는 예에서는, AE법 및 로직법의 각 판정결과 중 모두가 현 시점인 "14:00"에 있어서 분파의 발생을 나타내고 있고, 이로써 이상표시기능(42)이, 앞의 표시화면(DP1)의 영역 R11에 있어서, 분파의 발생을 나타내는 이상표시를 표시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 표시화면(DP1)의 영역 R11의 설명문(62)에 있어서, AE법 및 로직법의 각 판정결과가 모두 분파의 발생을 나타낸 취지를 표시해도 된다. 다만, 이상표시기능(42)에 의한 이상표시는, AE법 및 로직법의 양방이 분파의 발생을 나타낸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어느 일방이 분파의 발생을 나타낸 경우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표시화면(DP1)의 영역 R11의 설명문(62)에 있어서, 분파의 발생을 판정한 수법이 AE법 또는 로직법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해도 된다.In the example shown in the present embodiment, all of the determination results of the AE method and the logic method indicate the occurrence of branching at "14:00" In the area R11 of (DP1), an abnormality display indicating the occurrence of branching is displayed. In this case, in the explanatory text 62 of the area R11 of the display screen DP1, it may be displayed that both the determination results of the AE method and the logic method indicate the occurrence of branching. However, the abnormality display by the abnormality display function 42 is not limited to the case where both the AE method and the logic method indicate the occurrence of branching, and may be displayed when either one shows the occurrence of branching. In this case, in the explanatory text 62 of the area R11 of the display screen DP1, either the AE method or the logic method may be displayed as the method for determining the occurrence of branching.

표시화면(DP2)의 영역 R24에는, "분파"에 관련된 설명문(70)이 표시된다. 표시화면(DP2)에 있어서의 설명문(70)은, 앞의 표시화면(DP1)에 있어서의 설명문(62)보다 이상의 내용을 상세하게 나타낸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AE법에 의한 분파의 발생의 경우, 설명문(70)은, 분파의 발생을 나타내는 이상표시의 근거가 된 특정 AE센서를 나타냄과 함께, 조작자에게 이 특정 AE센서의 데이터를 확인하도록 촉구하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상표시에 관련된 설명문(70)이, 이상표시의 상세를 나타낸 표시화면(DP2)에 있어서 표시됨으로써, 조작자는, 플랜트(1)의 상태에 대하여 표시화면(DP1)보다 더 상세한 시점에서, 현상 및 다음으로 취해야 하는 액션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In the area R24 of the display screen DP2, an explanatory text 70 related to "offset" is displayed. The explanatory text 70 in the display screen DP2 may show more details than the explanatory text 62 in the previous display screen DP1.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occurrence of branching by the AE method, the explanatory text 70 indicates the specific AE sensor that was the basis for the abnormal display indicating the occurrence of branching, and asks the operator to confirm the data of this specific AE sensor. It may contain urging. In this way, the explanatory text 70 related to the abnormality display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DP2 showing the details of the abnormality display, so that the operator can view the state of the plant 1 at a more detailed point of view than the display screen DP1. , the status quo, and the next action to be taken, etc. can be easily identified.

표시화면(DP2)에 있어서, 조작자에 의하여 화면갱신표시(72)가 선택되면, 표시화면(DP2)의 표시 내용이 갱신된다. 이렇게 하여, 예를 들면 표시화면(DP1) 등이 상이한 표시로 천이하지 않아도, 최신의 표시화면(DP2)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In the display screen DP2, when the screen update display 72 is selected by the operator, the displayed contents of the display screen DP2 are updated. In this way, for example, the content of the latest display screen DP2 can be grasped even if the display screen DP1 or the like does not transition to a different display.

표시화면(DP2)에 있어서, 조작자에 의하여 분파확인표시(74)가 선택되면, 시스템(30)이, 조작자에 의하여 분파의 발생이 확인된 것을 판정하고, 도 6에 나타나는 표시화면(DP1)로 되돌아갔을 때에, 플랜트(1)의 정지 가능성을 갖는 분파의 발생이 있었던 것을 나타내는 이상표시와는 상이한 양태로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표시화면(DP1)에 있어서, "분파"의 문자가 표시되지 않도록 해도 되고, "분파"의 강조 표시를 억제해도 된다. 또, 경고음 등의 효과음 또는 음성을 함께 정지해도 된다.On the display screen DP2, when the branching confirmation display 74 is selected by the operator, the system 30 determines that the occurrence of branching has been confirmed by the operator, and returns to the display screen DP1 shown in FIG. When it returns, it can display in a different aspect from the abnormal display which shows that generation|occurrence|production of the branch with the possibility of stopping of the plant 1 has occurred. In this case, for example, on the display screen DP1, the character of "offset" may not be displayed, or the highlight display of "offset" may be suppressed. Moreover, you may stop together with the sound effect, such as a warning sound, or an audio|voice.

다만, 표시화면(DP2)에 있어서, 조작자에 의하여 분파이력표시(76)가 선택되면, 이상이력표시기능(48)에 의하여 표시화면(DP4)이 표시된다. 이 표시기능 및 표시화면의 상세는 후술한다(도 9 참조).However, on the display screen DP2, when the division history display 76 is selected by the operator, the display screen DP4 is displayed by the abnormal history display function 48. As shown in FIG. Details of this display function and display screen will be described later (refer to Fig. 9).

도 5의 플로차트로 되돌아가면, 이상상세표시기능(44)이, 표시화면(DP2)의 영역 R21에 있어서, 이상값을 나타낸 특정 AE센서((1))에 대응하는, 관의 이상상태의 표시에 대한 조작자로부터의 선택을 접수한다(S13). 예를 들면, 표시화면(DP2)에 있어서의 영역 R21에 표시된 AE센서((1)~(7)) 중 특정 AE센서(예를 들면 (1))의 표시가 조작자에 의하여 선택되면, 센서데이터상세표시기능(46)에 의하여, 분파의 발생을 나타내는 이상상태의 근거가 되는 특정 AE센서(예를 들면 (1))의 데이터가 표시된다(S14).Returning to the flowchart of Fig. 5, the abnormality detail display function 44, in the area R21 of the display screen DP2, corresponds to the specific AE sensor (1) showing the abnormal value, display of the abnormal state of the tube A selection from the operator is received (S13). For example, when the operator selects the display of a specific AE sensor (for example, (1)) among the AE sensors (1) to (7)) displayed in the area R21 on the display screen DP2, the sensor data The detailed display function 46 displays data of a specific AE sensor (eg (1)) that is the basis for the abnormal state indicating the occurrence of branching (S14).

여기에서, 도 8을 이용하여, 센서데이터상세표시기능(46)에 의한 표시화면(DP3)의 일례를 설명한다. 표시화면(DP3)은, 영역 R30~R34를 포함한다.Here, an example of the display screen DP3 by the sensor data detailed display function 46 is demonstrated using FIG. The display screen DP3 includes areas R30 to R34.

영역 R30에는, 현재의 화면의 스테이터스로서, "분파상세"라고 표시되어 있다. 영역 R30의 표시에 의하여, 현재의 화면이, 어느 스테이터스인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In the area R30, "offset detail" is displayed as the status of the current screen. By displaying the area R30, it is possible to easily grasp the status of the current screen.

표시화면(DP3)의 상방의 영역 R31은, 일시, 센서번호 및 Y축 조정의 입력을 접수한다. 또, 표시화면(DP3)의 하방의 영역 R32에는, 센서데이터상세표시기능(46)에 의하여, 분파의 발생을 나타내는 이상상태의 근거가 되는 특정 AE센서(예를 들면 (1))의 데이터가, 시계열적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특정 AE센서((1))로 검출된 프로세스데이터(AE신호(파형)를 신호처리하여 추출한 AE파라미터)를 세로축으로 하고, 최근 24시간을 가로축으로 한 타임차트를, 표시화면(DP3)의 영역 R32에 표시한다. 분파가 발생하면, 통상운전과 비교하여 큰 에너지(탄성파)가 방출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조작자는, 표시화면(DP3)의 영역 R32에 표시된 시계열그래프를 시인하고, AE파라미터의 최댓값이 발생한 시간대에 분파가 발생한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다만, 조작자가, 영역 R31의 일시, 센서번호 및 Y축 조정을 입력함으로써, 영역 R32에 있어서, 대상이 되는 그래프의 일시나 센서번호를 표시 또는 변경하거나, 특정 센서데이터의 Y축의 스케일링을 조정하거나 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조작자는 각 센서데이터의 분석을 용이하고 또한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The area R31 above the display screen DP3 accepts input of date and time, sensor number, and Y-axis adjustment. In addition, in the area R32 below the display screen DP3, by the sensor data detailed display function 46, data of a specific AE sensor (for example, (1)) that is the basis of the abnormal state indicating the occurrence of branching is stored. , are shown in time serie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8, the process data (AE parameters extracted by signal processing the AE signal (waveform)) detected by the specific AE sensor (1) is the vertical axis, and the last 24 hours are the horizontal axis. It is displayed in the area R32 of the display screen DP3. When branching occurs, a large amount of energy (acoustic wave) is emitted compared to normal operation, so, for example, the operator visually recognizes the time series graph displayed in the area R32 of the display screen DP3, and at the time when the maximum value of the AE parameter occurs It can be concluded that a split has occurred. However, when the operator inputs the date and time, sensor number and Y-axis adjustment of area R31, in area R32, the date and time or sensor number of the target graph is displayed or changed, or the Y-axis scaling of specific sensor data is adjusted or can do. In this way, the operator can analyze each sensor data easily and quickly.

또, 표시화면(DP3)의 영역 R30과 영역 R31의 사이의 스페이스에는, "분파"에 관련된 설명문(80)이 표시된다. 표시화면(DP3)에 있어서의 설명문(80)은, 앞의 표시화면(DP2)에 있어서의 설명문(70)보다 이상의 내용을 더 상세하게 나타낸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설명문(80)은, 분파의 발생을 나타내는 이상표시의 근거가 된 특정 AE센서의 데이터의 경향이나 분석 및 대처방법 등의 내용을 표시해도 된다. 이와 같이, 이상표시에 관련된 설명문(80)이, 이상상태의 근거가 되는 센서의 데이터를 표시한 표시화면(DP3)에 있어서 표시됨으로써, 조작자는, 플랜트(1)의 상태에 대하여, 표시화면(DP2)보다 더 상세한 시점에서, 현상 및 다음으로 취해야 하는 액션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pace between the area R30 and the area R31 of the display screen DP3, an explanatory text 80 related to "separation" is displayed. The explanatory text 80 in the display screen DP3 may show the above content in more detail than the explanatory text 70 in the previous display screen DP2. For example, the explanatory text 80 may display the content of the data of the specific AE sensor that is the basis for the abnormal display indicating the occurrence of branching, the analysis, and the countermeasure method. In this way, the explanatory text 80 related to the abnormality display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DP3 on which the sensor data that is the basis of the abnormal state is displayed, so that the operator can view the state of the plant 1 on the display screen ( From a more detailed point of view than DP2), it is easy to grasp the status quo and the next action to be taken.

다만, 표시화면(DP3)은, 표시화면(DP2)과 동시에 표시부(30f)에 의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이로써 조작자는 분파상세와 그 근거가 되는 센서데이터를 동시에 파악할 수 있다.However, the display screen DP3 may be displayed by the display unit 30f simultaneously with the display screen DP2. In this way, the operator can grasp the branching details and the sensor data that is the basis thereof at the same time.

이와 같은 표시화면(DP2) 및 (DP3)에 의하면, 플랜트(1) 전체에 있어서의 관의 위치와, 관에 마련된 AE센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화상정보를 표시화면(DP2)의 영역 R21에 표시함과 함께, 분파가 발생한 관에 대응하는 AE센서(예를 들면 (1))를 소정의 양태(예를 들면 점멸이나 착색)로 표시할 수 있다. 또, 관의 상태를 소정의 알고리즘으로 판정했을 때에 사용된 판정정보를 표시화면(DP2)의 영역 R22에 시계열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시스템(30)의 표시화면(DP2)을 시인한 조작자는, 관 및 AE센서의 플랜트(1) 전체에 있어서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것에 더하여, 상이한 방식(AE센서와 알고리즘의 쌍방)으로 판정 또는 검출한 관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즉, 조작자는, 관을 감시하는 데 있어서 필요한 중요정보를, 예를 들면, 단일의 화면(표시화면(DP2))을 시인하는 것만으로 양호한 효율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종합적인 판단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i) AE센서(영역 R21)와 알고리즘(영역 R22)의 쌍방에 있어서 분파의 발생이 검출·판정된 경우에는, 조작자는, 플랜트(1) 내에 있어서의 특정 관에 분파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은 것이라고 판단하고, 분파발생을 검출한 AE센서를 영역 R21에서 선택함으로써 제3 화면(DP3)(도 8)의 영역 R32에서 그 AE센서의 음압레벨의 시간이력을 확인하여, 어느 시간대에서 분파가 발생했는지를 특정할 수 있다. 또, (ii) AE센서(영역 R21)에서는 분파의 발생을 검출하는 한편, 알고리즘(영역 R22)에서는 분파의 발생이 판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조작자는, 플랜트(1) 내의 어느 하나의 관에서 분파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는 것이라고 판단하고, 분파발생을 검출한 AE센서를 영역 R21에서 선택함으로써 제3 화면(DP3)(도 8)의 영역 R32에서 그 AE센서의 음압레벨의 시간이력을 확인함과 함께, 영역 R22에 있어서의 판정정보(이상도 및 신뢰도)를 확인함으로써, 분파의 확실성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iii) AE센서(영역 R21)에서는 분파의 발생이 검출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알고리즘(영역 R22)에서는 분파의 발생이 판정된 경우에는, 조작자는, 플랜트(1) 내의 어느 하나의 관에서 분파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는 것이라고 판단하고, 영역 R22에 있어서의 판정정보(이상도 및 신뢰도에 더하여, 이상도 및 신뢰도와 각각 상관관계를 갖는 2종류의 파라미터 α, β)에 근거하여 분파의 확실성을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시스템(30)은, 플랜트(1)의 안정조업에 공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ese display screens DP2 and DP3, image information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pipe in the entire plant 1 and the position of the AE sensor provided in the pipe is displayed in the area R21 of the display screen DP2. In addition, the AE sensor (for example, (1)) corresponding to the tube in which the branching occurred can be displayed in a predetermined mode (for example, blinking or coloring). Further, the determination information used when the state of the tube is determined by a predetermined algorithm can be displayed in time series in the area R22 of the display screen DP2. Therefore, the operator who visually recognized the display screen DP2 of this system 30 can grasp the position of the pipe and the AE sensor in the whole plant 1, and in addition to the different method (both the AE sensor and the algorithm) can determine the state of the determined or detected tube. That is, since the operator can grasp the important information necessary for monitoring the tube with good efficiency only by, for example, visualizing a single screen (display screen DP2), comprehensive judgment can be made. . For example, (i) when the occurrence of branching is detected and determined in both the AE sensor (region R21) and the algorithm (region R22), the operator determines that branching occurs in a specific pipe in the plant 1 It is judged tha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AE sensor that detected branching is selected in the area R21, and the time history of the sound pressure level of the AE sensor is checked in the area R32 of the third screen DP3 (FIG. 8),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a branching occurred in In addition, (ii) the AE sensor (region R21) detects the occurrence of branching, while the algorithm (region R22) does not determine the occurrence of branching. judging tha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 and selecting the AE sensor that detected branching in the area R21, confirming the time history of the sound pressure level of the AE sensor in area R32 of the third screen DP3 (Fig. 8) Also, by confirming the determination information (ideality and reliability) in the area R22, the certainty of branching can be determined. Further, (iii) even though the occurrence of branching is not detected in the AE sensor (region R21), when the occurrence of branching is determined in the algorithm (region R22), the operator can select any one of the pipes in the plant 1 It is judg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branching has occurred in certainty can be judged. Accordingly, the present system 30 can contribute to the stable operation of the plant 1 .

또, 시스템(30)에 있어서는, AE센서에 의한 관의 상태의 검출결과와, 소정의 알고리즘에 근거하는 관의 상태의 판정결과의 쌍방을, 표시화면(DP2)의 영역 R23에 동일한 형식(바차트형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자는, 상이한 방법에 의한 관상태판정(검출)결과를 동일한 형식으로 시인하여 파악할 수 있어, 종합적인 판단을 행할 수 있다.Further, in the system 30, both the tube condition detection result by the AE sensor and the tube condition determination result based on a predetermined algorithm are displayed in the same format (bar) in the area R23 of the display screen DP2. chart format). Therefore, the operator can visually recognize and grasp the tube state determination (detection) results by different methods in the same format, and can make a comprehensive judgment.

또, 시스템(30)에 있어서는, 표시화면(DP2)의 영역 R21에 표시된 AE센서 중 선택된 특정 센서(예를 들면 (1))로 검출된 검출정보를, 영역 R21 등을 갖는 표시화면(DP2)으로부터 천이한 표시화면(DP3)의 영역 R32에 시계열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영역 R21 등을 갖는 표시화면(DP2)과는 별도의 표시화면(DP3)의 영역 R32에서 검출정보를 확대표시할 수 있고, 검출정보의 시간이력 등을 상세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Further, in the system 30, the detection information detected by a specific sensor (for example, (1)) selected from among the AE sensors displayed in the area R21 of the display screen DP2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DP2 having the area R21 or the like. In the area R32 of the display screen DP3 transitioned from , time series can be displayed.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detection information can be enlarged and displayed in the area R32 of the display screen DP3 separate from the display screen DP2 having the area R21 or the like, and the time history of the detection information can be grasped in detail.

이상과 같이, 도 5의 플로차트를 이용하여, 도 4에 있어서의 각 기능블록의 천이로서, 로그인표시기능(40)으로부터 이상표시기능(42)으로의 천이, 이상표시기능(42)으로부터 이상상세표시기능(44)으로의 천이, 및, 이상상세표시기능(44)으로부터 센서데이터상세표시기능(46)으로의 천이를 설명했지만, 각 기능블록의 천이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도 9~도 14를 이용하면서, 도 4에 나타나는 다른 기능블록으로의 천이를 설명한다.As described above, using the flowchart of FIG. 5 , as the transition of each function block in FIG. 4 , the transition from the login display function 40 to the abnormality display function 42 and the abnormality detail from the abnormality display function 42 Although the transition to the display function 44 and the transition from the abnormal detailed display function 44 to the sensor data detailed display function 46 have been described, the transition of each functional block is not limited thereto. Hereinafter, transition to another functional block shown in FIG. 4 will be described using FIGS. 9 to 14 .

도 9는, 이상이력표시기능(48)에 의한 표시화면(DP4)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이 표시화면(DP4)은, 표시화면(DP2)에 있어서, 조작자에 의하여 분파이력표시(76)가 선택됨으로써 표시되는 화면이다. 표시화면(DP4)은, 영역 R40~R43을 포함한다.9 shows an example of the display screen DP4 by the abnormality history display function 48. As shown in FIG. This display screen DP4 is a screen displayed by selecting the split history display 76 by the operator on the display screen DP2. The display screen DP4 includes areas R40 to R43.

영역 R40에는, 현재의 화면의 스테이터스 및 지금까지의 화면의 천이를 나타내는 정보가 표시되어 있다. 도 9에서는, "대시보드>분파상세>"라고 표시되어 있고, 현재의 표시화면(DP4)이, 표시화면(DP1)(대시보드) 및 표시화면(DP2)(분파상세)의 순서로 천이한 것을 파악할 수 있다.In the area R40, information indicating the status of the current screen and the transition of the previous screens is displayed. In FIG. 9 , "dashboard > branch detail>" is displayed, and the current display screen DP4 transitions in the order of the display screen DP1 (dashboard) and the display screen DP2 (offset detail). can figure out what

영역 R41은,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단된 발생일시, 판정(AE법 또는 로직법)의 종별, 정오(正誤)판정완료의 여부, 및, 최대표시건수의 입력을 접수한다. 조작자가 영역 R41의 각 항목을 입력한 후, 검색표시를 선택하면, 영역 R43에 검색결과가 표시된다.The area R41 receives input of the occurrence date and time when it is judged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the type of judgment (AE method or logic method), whether or not the noon judgment has been completed, and the maximum number of displayed cases. When the operator selects the search display after inputting each item in the area R41, the search results are displayed in the area R43.

영역 R42는, 이상의 실적으로서, 정오판정(확보/오보/실보(失報)) 및 코멘트의 입력을 접수한다. 또, 영역 R42에서는, 시스템(30)에 의하여 검출할 수 없었던 분파 등의 이상의 발생은, 실보로서 그 발생일시나 해제일시를 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area R42 accepts noon judgment (secured/misreported/false report) and input of comments as the above-mentioned achievements. In the area R42, occurrence of an abnormality such as branching, which could not be detected by the system 30, can be inputted as an actual error and the date and time of occurrence and release date and time.

영역 R43에는, 영역 R41에 의한 검출결과가 표시된다. 구체적으로는, 영역 R43에는, 이상의 발생일시나 해제일시, 이상의 종류, 이상을 검출한 센서의 번호, 정오판정완료의 여부 등에 따른 원하는 검색결과가 표시된다. 이로써, 조작자가 이상의 발생의 이력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the area R43, the detection result by the area R41 is displayed. Specifically, in the area R43, a desired search result according to the occurrence date and time of the occurrence of the abnormality, the cancellation date and time, the type of the abnormality, the number of the sensor that detected the abnormality, whether or not the noon determination has been completed, and the like are displayed. Thereby, the operator can grasp|ascertain the history of the occurrence of an abnormality easily.

도 10~도 13은, 가이드표시기능(50)에 의한 표시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이 표시화면(DP5a~DP5d)은, 표시화면(DP1)에 있어서, 영역 R12에 있어서 일람표시된 어느 하나의 항목이 조작자에 의하여 선택됨으로써 표시되는 화면이다.10 to 13 show an example of a display screen by the guide display function 50 . The display screens DP5a to DP5d are screens displayed by selecting any one of the items listed in the area R12 on the display screen DP1 by the operator.

도 10은, 가이드표시기능(50)에 의한 표시화면의 제1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표시화면(DP5a)은, 표시화면(DP1)의 영역 R12의 경고표시의 선택에 응답하여 표시화면(DP1)으로부터 천이하여 표시되는 것이다. 표시화면(DP5a)은, 영역 R51a 및 영역 R52a를 포함한다. 시스템(30)에 의하여, 표시화면(DP1)에 있어서 복수의 프로세스데이터를 통하여 플랜트(1)의 상태의 개요를 확인하고, 표시화면(DP2)에 있어서 특정 프로세스데이터를 통하여 플랜트(1)의 상태를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다만, 표시화면(DP2)의 표시 내용을 확인하고, 표시화면(DP1)으로 천이하면, "최신알람정보" 중 대응하는 알람에 대하여 확인완료된 것이 나타난다. 확인완료된 것은, 예를 들면, 당초 적색으로 표시되고 있던 문자가, 흑색으로 변경되는 것에 의하여 나타난다. 또, 표시화면(DP5a)의 하부에 "1/10"이라고 나타난 천이버튼을 압하하면, 선택된 알람에 관계되는 다른 그래프가 표시된다.FIG. 10 shows a first example of a display screen by the guide display function 50 . This display screen DP5a is displayed in transition from the display screen DP1 in response to selection of a warning display in the area R12 of the display screen DP1. The display screen DP5a includes an area R51a and an area R52a. The system 30 confirms the outline of the state of the plant 1 through a plurality of process data on the display screen DP1 and the state of the plant 1 through the specific process data on the display screen DP2 can be checked in detail. However, when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DP2 is checked and the screen transitions to the display screen DP1, it appears that the confirmation of the corresponding alarm has been completed among the "latest alarm information". Confirmation is completed, for example, when the character originally displayed in red is changed to black. In addition, if the transition button indicated by "1/10" is pressed down on the lower portion of the display screen DP5a, another graph related to the selected alarm is displayed.

본 예의 경우, 영역 R51a는, "보일러효율(손실법)(%)" 및 "보일러부하(%)"의 제1 그래프(산포도)와, "보일러효율(손실법)(%)"의 시간변화를 나타내는 제2 그래프를 포함한다. 영역 R51a에, 제1 프로세스데이터(본 예에서는 보일러효율(손실법))에 관련되는 제2 프로세스데이터(본 예에서는 보일러부하)의 그래프를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프로세스데이터뿐만 아니라, 관련되는 제2 프로세스데이터의 그래프를 표시함으로써, 플랜트의 상태를 다각적으로 감시할 수 있다. 다만, 제1 그래프에는, 알람을 발하는지 아닌지를 결정하기 위한 임계값을 함께 표시해도 된다. 또, 제2 그래프에는, 알람을 발하는지 아닌지를 결정하기 위한 임계값을 함께 표시해도 되고, 알람의 원인이 발생한 시간을 함께 표시해도 된다. 또, 제1 프로세스데이터에 관련되는 제2 프로세스데이터의 그래프는, 1개에 한정되지 않고, 2개 이상 표시해도 된다. 본 예의 경우, 표시화면(DP5a)의 하부에 "1/10"이라고 나타난 천이버튼을 압하함으로써, 제2 프로세스데이터의 다른 그래프가 표시된다. 이 점은 후술하는 도 11~도 13에 나타내는 다른 표시화면에 대해서도 동일한 것이 적용된다.In this example, the region R51a is the first graph (scatter diagram) of "boiler efficiency (loss method) (%)" and "boiler load (%)", and time change of "boiler efficiency (loss method) (%)" and a second graph representing In the region R51a, a graph of second process data (boiler load in this example) related to the first process data (boiler efficiency (loss method) in this example) can be displayed. In this way, by displaying the graph of not only the first process data but also the related second process data, the state of the plant can be monitored from various angles. However, in the first graph, a threshold value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generate an alarm may be displayed together. Moreover, in the second graph, a threshold value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generate an alarm may be displayed together, or a time at which the cause of the alarm occurred may be displayed together. Moreover, the graph of the 2nd process data related to the 1st process data is not limited to one, You may display two or more. In this example, another graph of the second process data is displayed by pressing down the transition button indicated by "1/10" at the bottom of the display screen DP5a. The same applies to other display screens shown in Figs. 11 to 1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또, 가이드표시기능(50)은, 영역 R51a에, 제1 그래프와는 상이한 제1 프로세스데이터의 제2 그래프를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1 프로세스데이터인 "보일러효율(손실법)(%)"의 제1 그래프(산포도)와, "보일러효율(손실법)(%)"의 시간변화를 나타내는 제2 그래프를 나타내고, 제1 프로세스데이터에 대하여, 복수 종류의 그래프를 표시함으로써, 플랜트(1)의 상태를 다각적으로 감시할 수 있다. 다만, 가이드표시기능(50)은, 제1 프로세스데이터에 관한 3개 이상의 그래프를 표시해도 된다.Moreover, the guide display function 50 is comprised so that the 2nd graph of 1st process data different from the 1st graph can be displayed in the area|region R51a. A first graph (scatter diagram) of “boiler efficiency (loss method) (%)” as the first process data and a second graph showing time change of “boiler efficiency (loss method) (%)” are shown, and the first process By displaying a plurality of types of graphs for data, the state of the plant 1 can be monitored from various angles. However, the guide display function 50 may display three or more graphs related to the first process data.

가이드표시기능(50)은, 영역 R51a에 인접하는 표시화면의 영역 R52a에, 제1 프로세스데이터에 관한 설명문을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 예의 경우, 가이드명이 "보일러효율"이며, 내용이 "보일러효율(입출열법)"이고, 발생일시가 "2019/08/07 10:35:24"이며, 대응방법의 란에는 "1. 감시포인트(그래프를 보는 방법)"라고 표제된 그래프로부터 사상을 파악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문장과, "2. 대응방법"이라고 표제된 제1 프로세스데이터의 상태를 적정화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문장이 기재되어 있다. 다만, 제1 프로세스데이터의 상태를 적정화하기 위한 방법이란, 주목하고 있는 프로세스데이터가 임계값을 초과하고 있는 상태를 적정화하여, 임계값 이내로 하기 위한 방법이다.The guide display function 50 is configured such that an explanatory text relating to the first process data can be displayed in an area R52a of the display screen adjacent to the area R51a. In this example, the guide name is "Boiler Efficiency", the content is "Boiler Efficiency (Input/Output Method)", the date of occurrence is "2019/08/07 10:35:24", and "1. Monitoring A sentence describing how to grasp an event from the graph entitled “Point (how to view the graph)” and a sentence explaining a method for optimizing the state of the first process data titled “2. Countermeasures” are written. has been However, the method for optimizing the state of the first process data is a method for optimizing the state in which the process data of interest exceeds the threshold value and bringing it within the threshold value.

"1. 감시포인트(그래프를 보는 방법)"에는, 보일러효율(손실법)의 정의와, 산출식이 기재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설명문에 의하여, 그래프로부터 사상을 파악하는 방법을 확인할 수 있어, 어떠한 사상이 발생하고 있는지 이해하기 쉬워진다.In "1. Monitoring point (how to view graph)", the definition and calculation formula of boiler efficiency (loss method) are described. With such an explanatory text, it is possible to confirm a method of grasping an event from a graph, and it becomes easy to understand what kind of event is occurring.

"2. 대응방법"에는, 보일러효율(손실법)이 통상과는 상이한 상태인 경우, 확인해야 하는 항목이 열거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설명문에 의하여, 제1 프로세스데이터의 상태를 적정화하기 위한 방법을 확인할 수 있어, 어떠한 대응이 필요한지 알기 쉬워진다.In "2. Countermeasures", items to be checked are listed when the boiler efficiency (loss method) is in a state different from normal. With such an explanatory text, a method for optimizing the state of the first process data can be confirmed, and it is easy to understand what kind of response is required.

도 11은, 가이드표시기능(50)에 의한 표시화면의 제2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표시화면(DP5b)은, 표시화면(DP1)의 영역 R12의 경고표시의 선택에 응답하여 표시화면(DP1)으로부터 천이하여 표시되는 것이다. 표시화면(DP5b)은, 영역 R51b 및 영역 R52b를 포함한다.11 shows a second example of a display screen by the guide display function 50. As shown in FIG. This display screen DP5b is displayed in transition from the display screen DP1 in response to selection of a warning display in the area R12 of the display screen DP1. The display screen DP5b includes an area R51b and an area R52b.

본 예의 경우, 영역 R51b는, "증발배수(-)" 및 "보일러부하(%)"의 제1 그래프(산포도)와, "보일러효율(손실법)[%-LHV]"의 시간변화를 나타내는 제2 그래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영역 R51b에, 제1 프로세스데이터(본 예에서는 증발배수)에 관련되는 제2 프로세스데이터(본 예에서는 보일러효율(손실법))의 그래프를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프로세스데이터뿐만 아니라, 관련되는 제2 프로세스데이터의 그래프를 표시함으로써, 플랜트의 상태를 다각적으로 감시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is example, the region R51b represents the first graph (scatter diagram) of "evaporation multiple (-)" and "boiler load (%)", and the time change of "boiler efficiency (loss method) [%-LHV]" and a second graph. In this way, in the region R51b, a graph of the second process data (in this example, boiler efficiency (loss method)) related to the first process data (evaporation drainage in this example) can be displayed. In this way, by displaying the graph of not only the first process data but also the related second process data, the state of the plant can be monitored from various angles.

가이드표시기능(50)은, 영역 R51b에 인접하는 표시화면의 영역 R52b에, 제1 프로세스데이터에 관한 설명문을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 예의 경우, 가이드명이 "보일러효율"이며, 내용이 "보일러효율(입출열법)"이고, 발생일시가 "2019/08/07 10:35:24"이며, 대응방법의 란에는 "1. 감시포인트(그래프를 보는 방법)"라고 표제된 그래프로부터 사상을 파악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문장과, "2. 대응방법"이라고 표제된 제1 프로세스데이터의 상태를 적정화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문장이 기재되어 있다.The guide display function 50 is configured such that an explanatory text relating to the first process data can be displayed in an area R52b of the display screen adjacent to the area R51b. In this example, the guide name is "Boiler Efficiency", the content is "Boiler Efficiency (Input/Output Method)", the date of occurrence is "2019/08/07 10:35:24", and "1. Monitoring A sentence describing how to grasp an event from the graph entitled “Point (how to view the graph)” and a sentence explaining a method for optimizing the state of the first process data titled “2. Countermeasures” are written. has been

"1. 감시포인트(그래프를 보는 방법)"에는, 증발배수의 정의와, 산출식이 기재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설명문에 의하여, 그래프로부터 사상을 파악하는 방법을 확인할 수 있어, 어떠한 사상이 발생하고 있는지 이해하기 쉬워진다.In "1. Monitoring point (how to view graph)", the definition and calculation formula of the evaporation rate are described. With such an explanatory text, it is possible to confirm a method of grasping an event from a graph, and it becomes easy to understand what kind of event is occurring.

"2. 대응방법"에는, 증발배수가 통상과는 상이한 상태인 경우, 확인해야 하는 항목이 열거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설명문에 의하여, 제1 프로세스데이터의 상태를 적정화하기 위한 방법을 확인할 수 있어, 어떠한 대응이 필요한지 알기 쉬워진다.In "2. Countermeasures", items to be checked are listed when the evaporative drainage is in a different state than usual. With such an explanatory text, a method for optimizing the state of the first process data can be confirmed, and it is easy to understand what kind of response is required.

도 12는, 가이드표시기능(50)에 의한 표시화면의 제3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표시화면(DP5c)은, 표시화면(DP1)의 영역 R12의 경고표시의 선택에 응답하여 표시화면(DP1)으로부터 천이하여 표시되는 것이다. 표시화면(DP5c)은, 영역 R51c 및 영역 R52c를 포함한다.12 shows a third example of a display screen by the guide display function 50 . This display screen DP5c is displayed in transition from the display screen DP1 in response to selection of a warning display in the area R12 of the display screen DP1. The display screen DP5c includes an area R51c and an area R52c.

본 예의 경우, 영역 R51c는, "터빈증기소비율(kg/kWh)" 및 "발전량(MW)"의 제1 그래프(산포도)와, "터빈증기소비율(kg/kWh)"의 시간변화를 나타내는 제2 그래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영역 R51c에, 제1 프로세스데이터(본 예에서는 터빈증기소비율)에 관련되는 제2 프로세스데이터(본 예에서는 발전량)의 그래프를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프로세스데이터뿐만 아니라, 관련되는 제2 프로세스데이터의 그래프를 표시함으로써, 플랜트의 상태를 다각적으로 감시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is example, the region R51c is a first graph (scatter diagram) of “turbine steam consumption rate (kg/kWh)” and “generation amount (MW)”, and the first graph (scatter diagram) showing time changes of “turbine steam consumption rate (kg/kWh)” Includes 2 graphs. In this way, in the region R51c, a graph of the second process data (the amount of power generation in this example) related to the first process data (the turbine steam consumption rate in this example) is configured to be displayable. In this way, by displaying the graph of not only the first process data but also the related second process data, the state of the plant can be monitored from various angles.

또, 가이드표시기능(50)은, 영역 R51c에, 제1 그래프와는 상이한 제1 프로세스데이터의 제2 그래프를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1 프로세스데이터인 "터빈증기소비율(kg/kWh)"의 제1 그래프(산포도)와, "터빈증기소비율(kg/kWh)"의 시간변화를 나타내는 제2 그래프를 나타내고, 제1 프로세스데이터에 대하여, 복수 종류의 그래프를 표시함으로써, 플랜트(1)의 상태를 다각적으로 감시할 수 있다.Moreover, the guide display function 50 is comprised so that the 2nd graph of 1st process data different from the 1st graph can be displayed in the area|region R51c. A first graph (scatter diagram) of “turbine steam consumption rate (kg/kWh)”, which is the first process data, and a second graph showing time changes of “turbine steam consumption rate (kg/kWh)” are shown, and the first process data In contrast, by displaying a plurality of types of graphs, the state of the plant 1 can be monitored from various angles.

가이드표시기능(50)은, 영역 R51c에 인접하는 표시화면의 영역 R52c에, 제1 프로세스데이터에 관한 설명문을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 예의 경우, 가이드명이 "보일러효율"이며, 내용이 "보일러효율(입출열법)"이고, 발생일시가 "2019/08/07 10:35:24"이며, 대응방법의 란에는 "1. 감시포인트(그래프를 보는 방법)"라고 표제된 그래프로부터 사상을 파악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문장과, "2. 대응방법"이라고 표제된 제1 프로세스데이터의 상태를 적정화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문장이 기재되어 있다.The guide display function 50 is configured to display an explanatory text relating to the first process data in an area R52c of the display screen adjacent to the area R51c. In this example, the guide name is "Boiler Efficiency", the content is "Boiler Efficiency (Input/Output Method)", the date of occurrence is "2019/08/07 10:35:24", and "1. Monitoring A sentence describing how to grasp an event from the graph entitled “Point (how to view the graph)” and a sentence explaining a method for optimizing the state of the first process data titled “2. Countermeasures” are written. has been

"1. 감시포인트(그래프를 보는 방법)"에는, 증기소비율의 정의와, 산출식이 기재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설명문에 의하여, 그래프로부터 사상을 파악하는 방법을 확인할 수 있어, 어떠한 사상이 발생하고 있는지 이해하기 쉬워진다.In "1. Monitoring point (how to view the graph)", the definition of the steam consumption rate and the calculation formula are described. With such an explanatory text, it is possible to confirm a method of grasping an event from a graph, and it becomes easy to understand what kind of event is occurring.

"2. 대응방법"에는, 증기소비율이 통상과는 상이한 상태인 경우, 확인해야 하는 항목이 열거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설명문에 의하여, 제1 프로세스데이터의 상태를 적정화하기 위한 방법을 확인할 수 있어, 어떠한 대응이 필요한지 알기 쉬워진다.In "2. Countermeasures", items to be checked are listed when the steam consumption rate is different from normal. With such an explanatory text, a method for optimizing the state of the first process data can be confirmed, and it is easy to understand what kind of response is required.

도 13은, 가이드표시기능(50)에 의한 표시화면의 제4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표시화면(DP5d)은, 표시화면(DP1)의 영역 R12의 경고표시의 선택에 응답하여 표시화면(DP1)으로부터 천이하여 표시되는 것이다. 표시화면(DP5d)은, 영역 R51d 및 영역 R52d를 포함한다.13 shows a fourth example of a display screen by the guide display function 50. As shown in FIG. This display screen DP5d is displayed in transition from the display screen DP1 in response to selection of a warning display in the area R12 of the display screen DP1. The display screen DP5d includes an area R51d and an area R52d.

본 예의 경우, 영역 R51d는, "증기소비율(연료급료베이스)(kg/kWh)" 및 "발전량(MW)"의 제1 그래프(산포도)와, "증기소비율(연료급료베이스)(kg/kWh)"의 시간변화를 나타내는 제2 그래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영역 R51d에, 제1 프로세스데이터(본 예에서는 증기소비율(연료급료베이스))에 관련되는 제2 프로세스데이터(본 예에서는 발전량)의 그래프를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프로세스데이터뿐만 아니라, 관련되는 제2 프로세스데이터의 그래프를 표시함으로써, 플랜트의 상태를 다각적으로 감시할 수 있다.In this example, the region R51d is the first graph (scatter diagram) of "Steam consumption rate (fuel grade base) (kg/kWh)" and "Generation amount (MW)", and "Steam consumption rate (fuel grade base) (kg/kWh)" )" includes a second graph showing the time change. In this way, in the region R51d, a graph of second process data (generation amount in this example) related to the first process data (steam consumption rate (fuel grade base) in this example) is configured to be displayable. In this way, by displaying the graph of not only the first process data but also the related second process data, the state of the plant can be monitored from various angles.

또, 가이드표시기능(50)은, 영역 R51d에, 제1 그래프와는 상이한 제1 프로세스데이터의 제2 그래프를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1 프로세스데이터인 "증기소비율(연료급료베이스)(kg/kWh)"의 제1 그래프(산포도)와, "증기소비율(연료급료베이스)(kg/kWh)"의 시간변화를 나타내는 제2 그래프를 나타내고, 제1 프로세스데이터에 대하여, 복수 종류의 그래프를 표시함으로써, 플랜트(1)의 상태를 다각적으로 감시할 수 있다.Moreover, the guide display function 50 is comprised so that the 2nd graph of the 1st process data different from the 1st graph can be displayed in the area|region R51d. The first graph (scatter diagram) of "Steam consumption rate (fuel feed base) (kg/kWh)" which is the first process data, and the second graph showing the time change of "Steam consumption rate (fuel feed base) (kg/kWh)" , and by displaying a plurality of types of graphs for the first process data, the state of the plant 1 can be monitored from various angles.

가이드표시기능(50)은, 영역 R51d에 인접하는 표시화면의 영역 R52d에, 제1 프로세스데이터에 관한 설명문을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 예의 경우, 가이드명이 "보일러효율"이며, 내용이 "보일러효율(입출열법)"이고, 발생일시가 "2019/08/07 10:35:24"이며, 대응방법의 란에는 "1. 감시포인트(그래프를 보는 방법)"라고 표제된 그래프로부터 사상을 파악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문장과, "2. 대응방법"이라고 표제된 제1 프로세스데이터의 상태를 적정화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문장이 기재되어 있다.The guide display function 50 is configured such that an explanatory text relating to the first process data can be displayed in an area R52d of the display screen adjacent to the area R51d. In this example, the guide name is "Boiler Efficiency", the content is "Boiler Efficiency (Input/Output Method)", the date of occurrence is "2019/08/07 10:35:24", and "1. Monitoring A sentence describing how to grasp an event from the graph entitled “Point (how to view the graph)” and a sentence explaining a method for optimizing the state of the first process data titled “2. Countermeasures” are written. has been

"1. 감시포인트(그래프를 보는 방법)"에는, 열소비율의 정의와, 산출식이 기재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설명문에 의하여, 그래프로부터 사상을 파악하는 방법을 확인할 수 있어, 어떠한 사상이 발생하고 있는지 이해하기 쉬워진다.In "1. Monitoring point (how to view the graph)", the definition of the heat consumption rate and the calculation formula are described. With such an explanatory text, it is possible to confirm a method of grasping an event from a graph, and it becomes easy to understand what kind of event is occurring.

"2. 대응방법"에는, 열소비율이 통상과는 상이한 상태인 경우, 확인해야 하는 항목이 열거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설명문에 의하여, 제1 프로세스데이터의 상태를 적정화하기 위한 방법을 확인할 수 있어, 어떠한 대응이 필요한지 알기 쉬워진다.In "2. Countermeasures", items to be checked are listed when the heat consumption rate is in a state different from normal. With such an explanatory text, a method for optimizing the state of the first process data can be confirmed, and it is easy to understand what kind of response is required.

다만, 도 9~도 13에서 나타나는 영역 R50a~R50d에는, 현재의 화면의 스테이터스 및 지금까지의 화면의 천이를 나타내는 정보가 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영역 R50a~R50d에는, "대시보드>가이드표시"라고 표시되어 있고, 현재의 표시화면이, 표시화면(DP1)(대시보드)으로부터 천이한 것을 파악할 수 있다.However, in the areas R50a to R50d shown in FIGS. 9 to 13, information indicating the status of the current screen and the transition of the previous screens are displayed. Specifically, in the areas R50a to R50d, "dashboard>guide display" is displayed, and it can be grasped that the current display screen has transitioned from the display screen DP1 (dashboard).

이들 도 9~도 13에서 설명한 가이드표시기능(50)에 의하여, 표시화면의 제1 영역에 제1 프로세스데이터의 그래프를 표시하고, 인접하는 제2 영역에 제1 프로세스데이터에 관한 설명문을 표시함으로써, 조작자에 대하여, 어떠한 사상이 발생하고 있는지 이해하기 쉽고, 어떠한 대응이 필요한지 알기 쉬워진다.By displaying the graph of the first process data in the first area of the display screen by the guide display function 5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3 and displaying the explanatory text about the first process data in the adjacent second area, , it is easy to understand what kind of event is occurring with respect to the operator, and it is easy to know what kind of response is required.

또, 가이드표시기능(50)에 의한 설명문은, 문자정보나 수식 등 외에 화상이나 범례그래프 등을 포함해도 된다. 또한, 가이드표시기능(50)에 의한 설명문은, 동일 프로세스의 경고로 과거에 발생한 시각을 표시하는 기능을 구비해도 된다. 이들 정보가 추가됨으로써 조작자에 대한 이해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explanatory text by the guide display function 50 may include an image, a legend graph, etc. in addition to character information, numerical formulas,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explanatory text by the guide display function 50 may be equipped with the function which displays the time which occurred in the past as a warning of the same process. By adding these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operator.

또, 표시화면의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제1 프로세스데이터의 그래프는, 경고의 발생시각을 중심으로 한 전후 12시간을 시계열로 나타낼 수 있다. 이로써, 발생시각의 전후의 프로세스데이터의 변화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raph of the first process data displayed in the first area of the display screen can represent 12 hours before and after the warning occurrence time as a time series. Thereby, it is possible to easily grasp the change of the process data before and after the occurrence time.

특히, 플랜트는, 감시해야 하는 사상이나 파라미터가 매우 많으며, 플랜트의 상태에 변화가 발생한 경우에는, 그것을 효율적이고 또한 신속하게 조작자에게 전달할 필요가 있다. 그 점,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스템(30)의 가이드표시기능(50)에 의하면, 제1 프로세스데이터뿐만 아니라, 관련되는 제2 프로세스데이터의 그래프를 표시함으로써, 플랜트의 상태의 변화를 효율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설명문을 표시함으로써, 플랜트의 상태를 적정화하기 위한 방법을 확인할 수 있으며, 어떠한 대응이 필요한지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the plant has a very large number of events and parameters to be monitored, and when a change occurs in the state of the plant, it is necessary to efficiently and promptly communicate it to the operator. In that respect, according to the guide display function 50 of the system 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by displaying a graph of not only the first process data but also the related second process data, changes in the state of the plant can be efficiently grasped. and by displaying the explanatory text, it is possible to check a method for optimizing the condition of the plant, and to quickly grasp what kind of response is required.

도 14는, 평가항목표시기능(52)에 의한 표시화면(DP6)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이 표시화면(DP6)은, 표시화면(DP1)에 있어서, 조작자에 의하여 평가항목표시(60)가 선택됨으로써 표시되는 화면이다. 표시화면(DP6)은, 영역 R60 및 R61을 포함한다.14 shows an example of the display screen DP6 by the evaluation item display function 52. As shown in FIG. This display screen DP6 is a screen displayed when the evaluation item display 60 is selected by the operator on the display screen DP1. The display screen DP6 includes areas R60 and R61.

영역 R60에는, 현재의 화면의 스테이터스 및 지금까지의 화면의 천이를 나타내는 정보가 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영역 R60에는, "대시보드>평가항목일람"이라고 표시되어 있고, 현재의 표시화면이, 표시화면(DP1)(대시보드)으로부터 천이한 것을 파악할 수 있다.In the area R60, information indicating the status of the current screen and the transition of the previous screens is displayed. Specifically, "Dashboard>List of evaluation items" is displayed in the area R60, and it can be grasped that the current display screen has transitioned from the display screen DP1 (dashboard).

영역 R61에는, 플랜트(1)의 상태를 평가하는 평가항목이 표시된다. 구체적으로는, 영역 R61에는, 평가항목의 ID,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및 평가항목명이 표시된다. 이로써, 이상표시 또는 경보표시되지 않는 상황에 있어서도, 시스템(30)에 의한 플랜트(1)의 상태를 평가하는 평가항목을 파악할 수 있다. 또, 영역 R61에 표시되는 어느 하나의 평가항목이 조작자에 의하여 선택되면, 도 9~도 1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은 가이드표시기능(50)에 의한 표시화면(DP5a~DP5d)으로 천이해도 된다. 이 경우, 가이드표시기능(50)에 의하여 표시되는 프로세스데이터의 그래프는, 예를 들면 현재시간으로부터 최근의 24시간의 그래프를 표시해도 된다.In the area R61, evaluation items for evaluating the state of the plant 1 are displayed. Specifically, in the area R61, the ID of the evaluation item, the large category, the medium category, the small category, and the evaluation item name are displayed. Thereby, even in a situation in which an abnormality display or an alarm display is not displayed, the evaluation items for evaluating the state of the plant 1 by the system 30 can be grasped. In addition, when any one of the evaluation items displayed in the area R61 is selected by the operator, the display screens DP5a to DP5d by the guide display function 50 as shown in FIGS. 9 to 13 may be transitioned to. In this case, the graph of the process data displayed by the guide display function 50 may display, for example, a graph of the last 24 hours from the current time.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플랜트(1)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 조작자가 파악해야 하는 플랜트(1)의 상태를 단계적이고 또한 순서대로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플랜트의 상태를 알기 쉽게 조작자에게 나타낼 수 있다. 특히, 플랜트는, 감시해야 하는 사상이나 파라미터가 매우 많으며, 플랜트의 상태에 변화가 발생한 경우에는, 그것을 효율적이고 또한 신속하게 조작자에게 전달할 필요가 있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여 플랜트의 상태를 적정화하기 위한 방법을 확인할 수 있으며, 어떠한 대응이 필요한지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plant 1, the state of the plant 1 that the operator should grasp can be displayed step by step and in order, so that the state of the plant can be known. It can be easily displayed to the operator. In particular, the plant has a very large number of events and parameters to be monitored, and when a change occurs in the state of the plant, it is necessary to efficiently and promptly communicate it to the operator. You will be able to see how to optimize the condition, and you will be able to quickly determine what kind of response is needed.

상기 발명의 실시형태를 통하여 설명된 실시의 양태는,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조합하거나, 또는 변경 혹은 개량을 더하여 이용할 수 있고,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의 기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와 같은 조합 또는 변경 혹은 개량을 더한 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될 수 있는 것이, 특허청구의 범위의 기재로부터 명확하다.The embodiments described through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can be used in combination as appropriate, or by adding changes or improvements depending on the us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t is clear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that such a combination or a form in which a change or improvement is added can also be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플랜트
30…시스템
42…이상표시기능
44…이상상세표시기능
46…센서데이터상세표시기능
48…이상이력표시기능
50…가이드표시기능
52…평가항목표시기능
One… plant
30… system
42… Abnormality display function
44… Anomaly detailed display function
46… Sensor data detailed display function
48… Abnormality history display function
50… Guide display function
52… Evaluation item display function

Claims (36)

플랜트의 상태를 표시하는 시스템으로서,
플랜트의 정지 가능성을 갖는 이상의 발생을 나타내는 이상표시를 표시하고, 조작자에게 확인을 촉구하는 제1 표시기능과,
상기 제1 표시기능에서 상기 이상표시가 조작자에 의하여 선택되면, 상기 플랜트 전체에 있어서의 관의 위치와, 상기 관에 마련된 센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화상정보를 표시함과 함께, 상기 센서로 검출한 상기 관의 이상상태를 소정의 양태로 나타내는 제2 표시기능과,
상기 소정의 양태로 나타난 이상상태의 근거가 되는 상기 센서의 데이터를 표시하는 제3 표시기능을 구비하는 시스템.
A system for displaying the status of a plant, comprising:
a first display function for displaying an abnormality display indicating occurrence of an abnormality having a possibility of stopping the plant and prompting the operator to confirm;
When the abnormal display is selected by the operator in the first display function, image information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pipe in the entire plant and the position of the sensor provided in the pipe is displayed, and the sensor detected by the sensor is displayed. A second display function for indicating the abnormal state of the tube in a predetermined mode;
and a third display function for displaying data of the sensor as a basis for the abnormal state indicated in the predetermined aspec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기능, 상기 제2 표시기능 및 상기 제3 표시기능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이상에 관련된 설명문을 더 표시하는,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of the first display function, the second display function, and the third display function further displays an explanatory text related to the abnormality.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기능은, 조작자에 의하여 상기 이상이 확인된 것을 판정하기 위한 이상확인표시를 더 표시하고,
상기 제2 표시기능에서 상기 이상확인표시가 조작자에 의하여 선택되면, 상기 제1 표시기능은, 상기 이상표시를 상이한 양태로 표시하는,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The second display function further displays an abnormality confirmation display for judging that the abnormality has been confirmed by the operator,
and when the abnormality confirmation display is selected by an operator in the second display function, the first display function displays the abnormality display in a different manner.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기능은, 상기 관의 상태를 플랜트에 관한 프로세스데이터에 근거하여 판정했을 때에 사용된 판정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표시기능은, 상기 제2 표시기능에 있어서의 상기 센서로 검출한 상기 관의 이상상태와 상기 판정정보의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이상표시를 표시하는, 시스템.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second display function further includes displaying judgment information used when the state of the pipe is judged based on process data relating to the plant,
The first display function is configured to display the abnormality display based on the abnormal state of the tube detected by the sensor in the second display function and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formation.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기능은, 조작자에게 상기 이상표시의 이력의 확인을 촉구하는 이상이력표시를 표시하고,
상기 제2 표시기능에서 상기 이상이력표시가 조작자에 의하여 선택되면, 상기 이상표시의 이력을 표시하는 제4 표시기능을 더 구비하는, 시스템.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second display function displays an abnormality history display prompting the operator to confirm the history of the abnormality display;
and a fourth display function for displaying a history of the abnormality display when the abnormality history display is selected by an operator in the second display func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4 표시기능은, 조작자에게 상기 이상표시의 정오판정의 입력을 접수하는 영역을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fourth display function further includes displaying an area for accepting an input of the noon determination of the abnormal display to the operator.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기능은, 플랜트에 관한 프로세스데이터가 소정의 상태로 된 경우의 경고의 발생을 나타내는 경고표시를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표시기능에서 상기 경고표시가 조작자에 의하여 선택되면, 상기 경고표시에 대응하는 프로세스데이터의 그래프와, 상기 경고표시에 대응하는 프로세스데이터의 설명문을 서로 인접하여 표시하는 제5 표시기능을 더 구비하는, 시스템.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The first display function further includes displaying a warning display indicating occurrence of a warning when the process data relating to the plant is in a predetermined state;
When the warning display is selected by the operator in the first display function, a fifth display function for displaying a graph of process data corresponding to the warning display and an explanatory text of the process data corresponding to the warning display adjacent to each other is further provided. equipped system.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기능은,
상기 플랜트의 표시화면의 제1 영역에, 상기 플랜트의 정지 가능성을 갖는 이상의 발생을 표시하는 것, 및,
상기 표시화면의 제2 영역에, 상기 플랜트의 운전효율에 영향을 주는 이상의 발생이력을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시스템.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The first display function is
displaying, in a first area of the display screen of the plant, occurrence of an abnormality having a possibility of stopping the plant; and
In a second area of the display screen, the system comprising displaying a history of occurrence of an abnormality affecting the operating efficiency of the plant.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기능은,
상기 플랜트 전체에 있어서의 관의 위치와, 상기 관에 마련된 센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화상정보를 상기 플랜트의 표시화면의 제1 영역에 표시함과 함께, 상기 센서로 검출한 상기 관의 이상상태를 소정의 양태로 상기 제1 영역에 표시하는 것, 및,
상기 관의 상태를 상기 플랜트의 운전데이터에 근거하여 판정했을 때에 사용된 판정정보를 상기 표시화면의 제2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시스템.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The second display function is
Image information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pipe in the whole plant and the position of the sensor provided in the pipe is displayed in the first area of the display screen of the plant, and the abnormal state of the pipe detected by the sensor is predetermined Displaying in the first area in the aspect of, and,
and displaying, in a second area of the display screen, determination information used when the condition of the pipe is determined based on the operation data of the plan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5 표시기능은,
상기 플랜트의 표시화면의 제1 영역에, 상기 경고표시에 대응하는 제1 프로세스데이터의 그래프와, 상기 제1 프로세스데이터에 관련되는 제2 프로세스데이터의 그래프를 표시하는 것, 및,
상기 제1 영역에 인접하는 상기 표시화면의 제2 영역에, 상기 경고표시에 대응하는 프로세스데이터의 설명문을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fifth display function is
displaying a graph of first process data corresponding to the warning display and a graph of second process data related to the first process data in a first area of the display screen of the plant; and
and displaying an explanatory text of process data corresponding to the warning display in a second area of the display screen adjacent to the first area.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기능은, 플랜트의 상태를 평가하는 평가항목의 확인을 촉구하는 평가항목표시를 표시하고,
상기 제1 표시기능에서 상기 평가항목표시가 조작자에 의하여 선택되면, 상기 평가항목을 표시하는 제6 표시기능을 더 구비하는, 시스템.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The first display function displays an evaluation item display prompting confirmation of an evaluation item for evaluating the state of the plant;
and a sixth display function for displaying the evaluation item when the evaluation item display is selected by an operator in the first display function.
플랜트의 상태를 표시하는 방법으로서,
플랜트의 정지 가능성을 갖는 이상의 발생을 나타내는 이상표시를 표시하고, 조작자에게 확인을 촉구하는 것,
상기 이상표시의 선택을 조작자로부터 접수하는 것,
상기 이상표시가 조작자에 의하여 선택되면, 상기 플랜트 전체에 있어서의 관의 위치와, 상기 관에 마련된 센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화상정보를 표시함과 함께, 상기 센서로 검출한 상기 관의 이상상태를 소정의 양태로 표시하는 것,
상기 소정의 양태의 표시의 선택을 조작자로부터 접수하는 것,
상기 관의 이상상태의 표시가 조작자로부터 선택되면, 상기 소정의 양태로 나타난 이상상태의 근거가 되는 상기 센서의 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A method of indicating the status of a plant, comprising:
displaying an abnormality indication indicating the occurrence of an abnormality having the possibility of stopping the plant and prompting the operator to confirm;
accepting the selection of the above abnormal indication from the operator;
When the abnormality display is selected by the operator, image information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pipe in the entire plant and the position of the sensor provided in the pipe is displayed, and the abnormal state of the pipe detected by the sensor is predetermined. to be expressed in the form of
receiving, from an operator, selection of a display of the predetermined aspect;
and if the indication of the abnormal condition of the tube is selected by the operator, displaying data of the sensor as a basis for the abnormal condition exhibited in the predetermined aspect.
플랜트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화면을 구비한 장치로서,
상기 표시화면의 제1 영역에, 상기 플랜트의 정지 가능성을 갖는 이상의 발생을 표시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표시화면의 제2 영역에, 상기 플랜트의 운전효율에 영향을 주는 이상의 발생이력을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장치.
A device having a display screen for displaying the status of a plant, comprising:
In the first area of the display screen, the occurrence of an abnormality having a possibility of stopping the plant is configured to be displayable,
and a history of occurrences of abnormalities affecting operation efficiency of the plant can be displayed in a second area of the display screen.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에 표시되는 상기 이상의 발생이력은, 이 이상의 발생 시를 나타내는 시간정보와 이 이상의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발생 시의 순서로 배열된 양태로 표시되는,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apparatus, wherein the abnormal occurrence history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is displayed in such a manner that time information indicating the occurrence of the abnormality and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ntents of the abnormality are arranged in the order of the occurrenc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트는, 복수의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영역에 표시되는 상기 이상의 발생이력은, 상기 센서에 의하여 취득된 데이터가 이상값을 나타낸 횟수를 상기 센서마다 배열된 양태로 표시되는,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plan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nsors,
The apparatus, wherein the abnormal occurrence history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is displayed in a manner that the number of times the data acquired by the sensor indicates an abnormal value is arranged for each senso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트는, 복수의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영역에 표시되는 상기 이상의 발생이력은, 적어도 2개의 상기 센서로부터 취득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발생했다고 판단된 이상의 발생이력과, 단일의 상기 센서로부터 취득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발생했다고 판단된 이상의 발생이력을 포함하는,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plan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nsors,
The occurrence history of the abnormality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includes an abnormality occurrence history determined to have occurred based on data acquired from at least two of the sensors, and an abnormality occurrence history determined to have occurred based on data acquired from a single sensor. A device, including a history of occurrence.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트는, 복수의 컴포넌트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장치는,
상기 표시화면의 제4 영역에, 상기 운전효율에 영향을 주는 이상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컴포넌트를, 다른 상기 컴포넌트와 상이한 양태로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장치.
1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3 to 16,
The plan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device is
The apparatus is configured to display, in a fourth area of the display screen, at least one of the components in which an abnormality affecting the operating efficiency may have occurred in a different manner from that of the other components.
제13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표시화면의 제5 영역에, 상기 플랜트의 운전효율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장치.
1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3 to 17,
The device is
and display is possible in a fifth area of the display screen, information indicating the operating efficiency of the plant.
플랜트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화면을 구비한 장치와,
상기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장치는,
상기 표시화면의 제1 영역에, 상기 플랜트의 정지 가능성을 갖는 이상의 발생을 표시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표시화면의 제2 영역에, 상기 플랜트의 운전효율에 영향을 주는 이상의 발생이력을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시스템.
A device having a display screen for displaying the state of the plant;
A system comprising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device, the system comprising:
The device is
In the first area of the display screen, the occurrence of an abnormality having a possibility of stopping the plant is configured to be displayable,
and a history of occurrences of abnormalities affecting operation efficiency of the plant can be displayed in a second area of the display screen.
플랜트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을 구비하는 장치로서,
상기 플랜트 전체에 있어서의 관의 위치와, 상기 관에 마련된 센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화상정보를 상기 화면의 제1 영역에 표시함과 함께, 상기 센서로 검출한 상기 관의 상태를 소정의 양태로 상기 제1 영역에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관의 상태를 상기 플랜트의 운전데이터에 근거하여 판정했을 때에 사용된 판정정보를 상기 화면의 제2 영역에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A device having a screen for displaying the status of a plant, comprising:
Image information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pipe in the entire plant and the position of the sensor provided in the pipe is displayed on the first area of the screen, and the state of the pipe detected by the sensor is displayed in a predetermined manner. The apparatus is configured to display in a first area, and is further configured to display, in a second area of the screen, determination information used when the state of the pipe is determined based on operation data of the plant.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정보를 상기 제2 영역에 시계열적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21. The method of claim 20,
and display the determination information in the second area in time series.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정보는, 상기 운전데이터로부터 상기 관의 이상도를 산출한 값과, 상기 운전데이터로부터 상기 관의 상태의 신뢰도를 산출한 값을 포함하는, 장치.
22. The method of claim 21,
The determination information includes a value obtained by calculating the degree of abnormality of the tube from the operation data, and a value obtained by calculating the reliability of the condition of the tube from the operation data.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정보는, 상기 관의 상태판정에 영향이 있는 특징량데이터를 포함하는, 장치.
23. The method of claim 21 or 22,
The determination information includes feature data having an influence on the determination of the state of the tube.
제20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에 의한 상기 관의 상태의 검출결과와, 상기 플랜트의 운전데이터에 근거하는 상기 관의 상태의 판정결과의 쌍방을, 상기 화면의 제3 영역에 동일한 형식으로 시계열적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2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0 to 23,
configured to display both a result of detecting the condition of the pipe by the sensor and a determination result of the condition of the pipe based on the operation data of the plant in the same format in the third area of the screen in time series, Device.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에 있어서의 시간축과, 상기 제3 영역에 있어서의 시간축을 연동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25. The method of claim 24,
and a time axis in the second area and a time axis in the third area are displayed in association with each other.
제20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에 표시된 상기 센서 중 특정 센서가 선택된 경우에, 상기 특정 센서로 검출된 검출정보를 제4 영역에 시계열적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2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0 to 25,
and when a specific sensor is selected from among the sensors displayed in the first area, the detec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pecific sensor is time-series displayed on the fourth area.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과는 별도의 화면의 상기 제4 영역에 상기 검출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27. The method of claim 26,
and display the detection information in the fourth area of a screen separate from the screen.
플랜트의 상태를 표시하는 화면을 갖는 표시장치와, 상기 표시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플랜트 전체에 있어서의 관의 위치와, 상기 관에 마련된 센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화상정보를 상기 화면의 제1 영역에 표시함과 함께, 상기 센서로 검출한 상기 관의 상태를 소정의 양태로 상기 제1 영역에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관의 상태를 상기 플랜트의 운전데이터에 근거하여 판정했을 때에 사용된 판정정보를 상기 화면의 제2 영역에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A system comprising: a display device having a screen for displaying a state of a plant; and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the system comprising:
The display device displays image information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pipe in the entire plant and the position of the sensor provided in the pipe on the first area of the screen, and displays the status of the pipe detected by the sensor. a system configured to be displayed in the first area in a predetermined aspect, and further configured to display, in a second area of the screen, determination information used when the state of the pipe is determined based on operation data of the plant. .
플랜트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화면을 구비한 장치로서,
상기 표시화면의 제1 영역에, 상기 플랜트에 관한 제1 프로세스데이터의 그래프를 표시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제1 영역에 인접하는 상기 표시화면의 제2 영역에, 상기 제1 프로세스데이터에 관한 설명문을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장치.
A device having a display screen for displaying the status of a plant, comprising:
A graph of first process data relating to the plant is configured to be displayable in a first area of the display screen,
and an explanatory text relating to the first process data can be displayed in a second area of the display screen adjacent to the first area.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제1 프로세스데이터에 관련되는 제2 프로세스데이터의 그래프를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장치.
30. The method of claim 29,
The apparatus is configured to display a graph of second process data related to the first process data in the first area.
제29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제1 프로세스데이터의 상기 그래프와는 상이한 상기 제1 프로세스데이터의 다른 그래프를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장치.
31. The method of claim 29 or 30,
The apparatus is configured to display, in the first area, another graph of the first process data different from the graph of the first process data.
제29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화면에, 복수의 프로세스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이상상태가 된 경우에 경고를 나타내는 제1 화면을 표시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경고의 선택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화면으로부터 천이하여 상기 표시화면에 제2 화면을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화면은,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장치.
32.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9 to 31,
a first screen indicating a warning when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process data is in an abnormal state is configured to be displayable on the display screen;
and a second screen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by transitioning from the first screen in response to the selection of the warning,
The second screen includes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면의 제3 영역에, 상기 경고를 표시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제3 영역에 인접하는 제4 영역에, 상기 플랜트에 관한 대표적인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스데이터의 그래프를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장치.
33. The method of claim 32,
configured to display the warning in a third area of the first screen,
The apparatus is configured to display a graph of one or a plurality of process data representative of the plant in a fourth area adjacent to the third area.
제29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명문은, 상기 그래프로부터 사상을 파악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문장을 포함하는, 장치.
3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9 to 33,
The explanatory text includes a sentence describing a method of recognizing an event from the graph.
제29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명문은, 상기 제1 프로세스데이터의 상태를 적정화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문장을 포함하는, 장치.
3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9 to 34,
The description includes a text describing a method for optimizing the state of the first process data.
플랜트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화면을 구비한 장치와,
상기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장치는,
상기 표시화면의 제1 영역에, 상기 플랜트에 관한 제1 프로세스데이터의 그래프를 표시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제1 영역에 인접하는 상기 표시화면의 제2 영역에, 상기 제1 프로세스데이터에 관한 설명문을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시스템.
A device having a display screen for displaying the state of the plant;
and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device;
The device is
A graph of first process data relating to the plant is configured to be displayable in a first area of the display screen,
an explanatory text relating to the first process data is configured to be displayed in a second area of the display screen adjacent to the first area;
system.
KR1020227025802A 2019-12-27 2020-12-08 Systems, devices and methods KR20220120651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237966 2019-12-27
JPJP-P-2019-238521 2019-12-27
JP2019238051A JP2021105940A (en) 2019-12-27 2019-12-27 Apparatus and system
JP2019237966A JP7418894B2 (en) 2019-12-27 2019-12-27 equipment and systems
JP2019237979A JP7423138B2 (en) 2019-12-27 2019-12-27 equipment and systems
JPJP-P-2019-238051 2019-12-27
JPJP-P-2019-237979 2019-12-27
JP2019238521A JP7413012B2 (en) 2019-12-27 2019-12-27 System and method
PCT/JP2020/045629 WO2021131666A1 (en) 2019-12-27 2020-12-08 System, device, and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0651A true KR20220120651A (en) 2022-08-30

Family

ID=76575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5802A KR20220120651A (en) 2019-12-27 2020-12-08 Systems, devices and methods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20120651A (en)
TW (1) TWI777331B (en)
WO (1) WO2021131666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62364A1 (en) * 2022-02-28 2023-08-3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Abnormality diagnosis device and method
WO2024080088A1 (en) * 2022-10-13 2024-04-18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Assistance device, assistance method, and progra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08895A (en) 1991-04-08 1992-10-30 Hitachi Ltd Method for video operation, video search, video process definition, remote operation monitoring, and device or system
JP2016115195A (en) 2014-12-16 2016-06-23 株式会社東芝 Plant monitor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7010A (en) * 1995-12-18 1997-06-24 Toshiba Corp Process monitor device
JPH1139030A (en) * 1997-07-15 1999-02-12 Tlv Co Ltd Equipment management de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equipment management program
JP3559708B2 (en) * 1998-03-31 2004-09-02 株式会社東芝 Remote control system
KR100510068B1 (en) * 1999-06-22 2005-08-2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System for monitoring automization system to produce semiconductor and method using the same
JP2002117107A (en) * 1999-09-02 2002-04-19 Ricoh Co Ltd Production managing system, client for the same, production managing method for the same, data retrieving method for the sam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ed with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method
JP4345390B2 (en) * 2003-08-28 2009-10-14 株式会社明電舎 Fault display method for supervisory control system
JP2005284405A (en) * 2004-03-26 2005-10-1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Abnormality diagnosis apparatus
JP4055800B2 (en) * 2005-12-29 2008-03-0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Specific equipment management device
US8108790B2 (en) * 2007-03-26 2012-01-3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visualization of control techniques in a process control system
JP4776590B2 (en) * 2007-06-19 2011-09-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Maintenance management support apparatus, display method thereof, and maintenance management support system
JP5550822B2 (en) * 2008-09-09 2014-07-16 津田駒工業株式会社 How to display the weft insertion status of the loom
JP2016099196A (en) * 2014-11-20 2016-05-3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Monitoring device for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apparatus
WO2017159501A1 (en) * 2016-03-15 2017-09-21 日本精機株式会社 Display device and plant equipment state collection system
US10528898B2 (en) * 2016-08-18 2020-01-07 i Smart Technologies Corporation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produc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production management method for manufacturing line
US10571899B2 (en) * 2016-08-18 2020-02-25 i Smart Technologies Corporation Operating state acquisition apparatus,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and production management method for manufacturing line
TWI697852B (en) * 2017-11-03 2020-07-0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Monitoring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08895A (en) 1991-04-08 1992-10-30 Hitachi Ltd Method for video operation, video search, video process definition, remote operation monitoring, and device or system
JP2016115195A (en) 2014-12-16 2016-06-23 株式会社東芝 Plant moni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31666A1 (en) 2021-07-01
TWI777331B (en) 2022-09-11
TW202127169A (en) 2021-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20651A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JP7031743B2 (en) Anomaly detection device
JP5461136B2 (en) Plant diagnostic method and diagnostic apparatus
TWI802887B (en) Display device, evaluation method and evaluation system
TWI805039B (en) Display device,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7413012B2 (en) System and method
JP7418894B2 (en) equipment and systems
WO2022080104A1 (en) Display device, display method, control device, and computer program
JP7423138B2 (en) equipment and systems
TWI826835B (en) Display device,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WO2022102349A1 (en) Display device,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TWI837524B (en) Operation support system, operation support method and computer program
TW202238301A (en) Display device,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WO2022102348A1 (en) Display device, display method,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WO2022080106A1 (en) Display device, display method, control device, and computer program
WO2011148431A1 (en) Plant diagnostic device and diagnostic method using same
JP2021105940A (en) Apparatus and system
WO2022191164A1 (en) Display device, display method, control device, and computer pro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