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0417A - 마스크 - Google Patents
마스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20417A KR20220120417A KR1020210084485A KR20210084485A KR20220120417A KR 20220120417 A KR20220120417 A KR 20220120417A KR 1020210084485 A KR1020210084485 A KR 1020210084485A KR 20210084485 A KR20210084485 A KR 20210084485A KR 20220120417 A KR20220120417 A KR 2022012041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sk
- nose
- chin
- user
- centr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41D13/113—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with a vertical fold or weld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41D13/1138—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with a cup configuration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4—Hems; Seams
- A41D27/245—Hems; Seams made by welding or gluing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50—Seams
- A41D2300/52—Seams made by welding or gluing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30—Non-wove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02A50/2351—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e.g. carbon smoke microparticles, smog, aerosol particles, dus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코를 덮는 코부, 상기 코부와 연결되어, 다수개의 주름이 접지된 중앙부, 상기 중앙부와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의 턱을 감싸는 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부는 중앙을 중심으로 상호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주름 부분과 상기 주름 부분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융착점 부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마스크는 계절에 상관없이 발생하는 미세먼지로부터 유발될 수 있는 각종 호흡기 질환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개인의 위생을 위해 필수 생활용품으로 인식되고 있다.
또한, 마스크는 산업계 전반에 걸쳐 두루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유독 가스 배출이 심한 화학 공장이나, 금속 가루 및 용접 흄 등이 발생되는 금속 제련 또는 제지 관련이나 방직공장 등에서 작업자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많이 착용되며, 분진 발생이 극히 제한적이어야 할 반도체 연구실에서는 제품의 품질을 위한 청정한 작업 공간을 조성하고자 마스크가 사용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마스크 중에는 평판 형태의 주름 마스크인 수술용 마스크가 있다. 수술용 마스크는 인체에 해로운 공기가 흡입되는 것을 일부 차단하고, 침 또는 먼지 및 이물질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마스크 중앙에 주름이 형성되어,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호흡을 편하게 쉴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술용 마스크는 착용 시 마스크의 면적과 사용자의 안면이 서로 밀착되지 않아, 밀착되지 않은 부분으로 해로운 공기가 유입되며, 마스크 필터의 포집 효율이 낮아 공기중의 먼지, 분진 등이 깨끗이 걸러지지 않고 마스크 내로 유입되고, 식약처 의약품 안전처에서 요구하는 항목들을 만족하기 어려워 황사 마스크로 채택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종래의 수술용 마스크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공기중의 먼지, 분진 또는 바이러스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황사/ 황사 방역용 마스크(KF80, KF94)가 있다.
황사/ 황사 방역용 마스크는 평평한 전면 패널과 그 전면 패널의 상 하측에 각각 연결되는 상측 패널 및 하측 패널로 이루어진 마스크 또는 전체적으로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가려지는 얼굴 부분의 형태대로 굴곡되는 부리 형 마스크가 있다.
이러한, 황사/ 황사 방역용 마스크는 식품 의약품 안전처에서 마스크의 성능을 평가하고 식품 의약품 안전처에서 생산, 유통 및 판매의 허가가 허용되면 소비자가 구매할 수 있게 된다.
식품 의약품 안전처는 마스크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분진 포집 효율 시험, 안면부 흡기저항시험 및 누설률 시험 등을 측정하여 등급을 평가한다.
그러나 이러한 마스크들은 마스크를 착용한 후에 사용자가 말을 할 때 사용자의 안면의 움직임에 따라 마스크의 형태가 변형되어 누설이 발생되거나, 숨을 쉬거나 웃을 때 입에 달라 붙는 불편함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안면을 움직일때에도 턱과 코에 잘 밀착되어 누설이 발생되지 않고, 호흡하기 편하며, 식약처에서 요구하는 황사용 마스크의 성능을 만족시킬 수 있는 마스크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안면을 움직일때에도 턱과 코에 잘 밀착되어 누설이 발생되지 않고, 호흡하기 편하며, 식약처에서 요구하는 황사용 마스크의 성능을 만족시킬 수 있는 마스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코를 덮는 코부, 코부와 연결되어, 다수개의 주름이 접지된 중앙부, 및 중앙부와 연결되며, 사용자의 턱을 감싸는 턱부를 포함하고, 중앙부는 중앙을 중심으로 상호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주름 부분과 주름 부분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융착점 부분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마스크의 설계 면적은 290cm2 이상 600cm2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스크는 중앙부의 면적은 코부 및 턱부보다 2 배 이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중앙부의 주름 부분은 사용자의 얼굴 돌출 부위를 따라 주름 부분이 접혔다 펴질 수 있는 다층 구조의 주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중앙부의 융착점 부분은 중앙부의 주름 부분을 서로 융착시켜 주름 부분을 고정하고, 중앙부의 주름 부분에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스크의 코부에는 사용자의 코를 눌러지며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되기 위한 굽힘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는 사용자의 귀에 걸리도록 귀걸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귀걸이부의 일부가 융착되는 제 1 귀걸이 고정 부분, 및 귀걸이부가 내통하는 제 2 귀걸이 고정 부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른 마스크는 코부, 중앙부 및 턱부는 동종의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이종의 성질 또는 이종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스크는 천연섬유 또는 합성 섬유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따른 마스크는 사용자의 코를 덮는 코부 및 사용자의 턱을 감싸는 턱부를 포함하고, 코부의 양 끝단에는 절곡 부분이 형성되며, 턱부의 양 끝단에는 요철 부분이 형성되고, 코부의 절곡 부분과 턱부의 요철 부분이 상호 포개지며 연결되고, 절곡 부분과 요철 부분이 연결된 중앙에는 에어 포켓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따른 마스크는 사용자의 코를 덮는 코부, 코부와 연결되어, 다수개의 주름이 접지된 중앙부, 및 중앙부와 연결되며, 사용자의 턱을 감싸는 턱부를 포함하고, 마스크는 설계 면적 : 겉보기 면적의 면적비가 1 : 1.05 내지 1 : 3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는 사용자가 안면을 움직일때에도 턱과 코에 잘 밀착되어 누설이 발생되지 않고, 호흡하기 편하며, 식약처에서 요구하는 황사용 마스크의 성능을 만족시킬 수 있는 마스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는 설계 면적 : 겉보기 면적을 특정 비율로 조절하여 마스크의 고유 기능은 유지하면서 사용자의 호흡 공간을 확보하여, 호흡이 용이한 마스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의 펼쳐진 상태에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의 펼쳐진 상태에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의 펼쳐진 상태에서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마스크의 3단으로 접힌 상태에서 중앙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를 분해한 도면이다.
도 6의 (a)는 설계 면적의 예시이며, (b)는 겉보기 면적을 판단하는 예시이다.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일례의 마스크를 마네킹의 안면에 씌운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마스크의 설계 면적에 따른 흡기 저항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대형 마스크의 면적을 연장하였을 때, 면적에 따른 마스크의 흡기 저항이 달라지는 결과값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표이다.
도 10은 소형 마스크의 면적을 점차 연장한 길이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표이다.
도 11은 도 9의 #7 및 #1의 마스크를 착용한 후에 설문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의 펼쳐진 상태에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의 펼쳐진 상태에서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마스크의 3단으로 접힌 상태에서 중앙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를 분해한 도면이다.
도 6의 (a)는 설계 면적의 예시이며, (b)는 겉보기 면적을 판단하는 예시이다.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일례의 마스크를 마네킹의 안면에 씌운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마스크의 설계 면적에 따른 흡기 저항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대형 마스크의 면적을 연장하였을 때, 면적에 따른 마스크의 흡기 저항이 달라지는 결과값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표이다.
도 10은 소형 마스크의 면적을 점차 연장한 길이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표이다.
도 11은 도 9의 #7 및 #1의 마스크를 착용한 후에 설문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 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있어서, 설계 면적이라 함은, 도 6의 (a)와 같이 마스크(100)에 사용된 코부(110), 중앙부(120) 및 턱부(130)의 기재를 주름이나 접힘이 없는 상태에서 측정한 기재 면적의 합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겉보기 면적이라 함은, 도 6의 (b)와 같이 주름 부분(121)이 형성된 중앙부(120), 코부(110), 및 턱부(130) 기재 면적의 합을 의미한다.
또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명세서의 마스크(100)는 외부에 노출되는 면을 전면, 얼굴에 접촉하는 면을 내면이라 하고, 마스크(100) 위쪽 방향을 상측, 아래쪽 방향을 하측, 사용자의 귀 부근과 인접한 부분을 좌우측 양 끝단 또는 양측 끝단이라 칭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100)는 코부(110), 중앙부(120), 턱부(130) 및 귀걸이부(140)를 포함하며, 코부(110), 중앙부(120) 및 턱부(130)는 접착, 열 융착 및 재봉 등 공지의 방법으로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100)는 접합선 또는 접힘선 등으로 코부, 중앙부 및 턱부가 연결되고, 접히며 구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100)는 상하 일렬로 마련될 수 있고, 동일한 재질 또는 이종의 재질이 서로 중첩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코부(110), 중앙부(120) 및 턱부(130)는 공기를 통과시키면서도 먼지 또는 분진 등을 걸러낼 수 있도록 극세사,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의 안면에 위치되어 호흡 시 외부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낸 후 공기를 통과시킴으로써, 마스크(100)를 착용한 사용자는 먼지 또는 분진 등의 이물질이 흡입되는 불편없이 숨을 쉴 수 있다.
마스크(100)는 사용자의 안면 모양과 대응하여, 중앙부가 소정 튀어나온 형태로 제작되며, 상하 폭 방향은 양측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마스크(100)는 코부(110) 및 턱부(130)가 접힌 상태로 보관되었다가, 사용자가 사용할 때엔 코부(110) 및 턱부(130)를 펼쳐 사용한다.
또한, 마스크(100)는 설계 면적이 290cm2 이상 600cm2로 제작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80cm2 이상 600cm2로 제작될 수 있다. 코부(110)의 수직 길이는 40mm이상 60mm길이로 제작되고, 턱부(130)의 수직 길이는 43mm이상 63mm길이로 제작되며, 중앙부(120)는 106mm이상 186mm길이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코부(110) 또는 턱부(130) 대비 중앙부(120)의 면적이 2배 이상으로 제작될 수 있고, 수직 길이가 2 배 이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마스크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따라 크기를 확장 또는 축소하는 것도 가능하나, 코부(110) 또는 턱부(130) 대비 중앙부(120)의 면적이 2 배 이상으로 제작되고, 코부(110) 또는 턱부(130) 대비 중앙부(120)의 수직 길이가 2 배 이상으로 제작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성인 대비 어린이용 마스크의 면적은 전체적인 면적이 축소될 수 있으나, 중앙부(120)의 수직 길이 또는 중앙부(120)의 면적이 2 배 이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본 발명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코부(110)는 사용자의 코에 안착되는 굽힘 부재(111)를 포함하고, 후술할 턱부(130)와 겹쳐지는 절곡 부분(1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굽힘부재(111)는 코부(110)의 상단부를 수평 방향으로 가로질러 위치하며, 반 강성의 소재로 이루어지며, 마스크(100)의 밀폐 효과를 증진 시키고, 이물질 등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얼굴에 접촉하는 면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마스크(100)를 펼쳐 코부(110)의 굽힘 부재(111)를 콧날에 댄 후에 콧날과 콧날 주변에 위치한 굽힘 부재(111)를 눌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코 모양과 대응되도록 변형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굽힘 부재(111)는 금속 등의 경질의 재질 또는 와이어 등의 절곡이 잘되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본 발명의 굽힘 부재(111)는 위와 같은 재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사용자의 얼굴에 안착되어, 이물질 등의 유입을 차단시키고, 밀폐 효과를 향상시키며, 사용자의 얼굴에 안정적으로 고정 및 안착되는 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재질이라면, 어떠한 재질이라도 채택될 수 있다.
한편, 코부(110)의 절곡 부분(112)은 턱부(130) 방향인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코부(110)의 절곡 부분(112)은 코부(110)의 일면 중 어느 한면이 옴폭하게 홈이 형성 되었다가 굴곡이 있는 절곡된 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코부(110)의 절곡 부분(112)은 날개 모양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턱부(130)의 요철 부분(131)과 상호 겹쳐지기 위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마스크(100)의 코부(110)와 턱부(130)가 절곡 부분(112) 및 요철 부분(131)만 일부 겹쳐지는 구조를 통해, 사용자가 마스크(100)를 착용하였을 때, 사용자의 하관 모양과 대응하여 오목한 형태로 밀착되어 마스크(100)로 유입되는 공기를 완전히 차단시킬 수 있는 효과가 구현된다.
중앙부(120)는 코부(110)와 연결되고 중앙을 중심으로 상호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다수 개의 주름이 접지된 주름 부분(121)을 포함하며, 주름 부분(121)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융착점 부분(112) 포함하고, 후술할 귀걸이부(140)를 고정 및 내통하기 위한 제 1 귀걸이 부분(123) 및 제 2 귀걸이 부분(12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중앙부(120)의 주름 부분(121)은 사용자의 얼굴 돌출 부위를 따라 주름 부분(121)이 접혔다 펴질 수 있는 다층 구조의 주름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중앙부(120)는 다수 개의 주름이 접지된 형태를 통해, 평평한 초기 상태에서 상측 및 하측을 잡아 당김으로써, 접지된 주름 부분(121)이 펼쳐지는 형태가 구현될 수 있다. 중앙부(120)는 코부(110) 또는 턱부(130) 대비, 중앙부(120)의 면적이 약 1.6배 내지 2배 이상으로 확장될 수 있고, 코부(110) 또는 턱부(130) 대비 중앙부(120)의 수직 길이가 1.6배 내지 2배 이상으로 확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른 마스크는 사용자의 코를 덮는 코부, 코부와 연결되어, 다수개의 주름이 접지된 중앙부, 및 중앙부와 연결되며, 사용자의 턱을 감싸는 턱부를 포함하고, 마스크는 설계 면적 : 겉보기 면적의 면적비가 1 : 1.05 내지 1 : 3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면적비가 1 : 1.1 내지 1 : 2 일 수 있으며,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면적비가 1 : 1.25 내지 1 : 1.65 일 수 있다. 마스크가 상기 면적비를 벗어나게 되면 흡기저항이 높아 호흡이 불편하거나, 누설이 발생하여 외부 공기를 필터가 제대로 걸러주지 못할 수 있다. 또한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중앙부(120)의 주름 부분(121)은 사용자의 얼굴과 접촉하는 내면의 수평 방향으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복수 개의 접지된 주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중앙부(120)의 융착점 부분(112)은 중앙부(120)의 주름 부분(121)을 서로 고정하기 위해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중앙부(120)의 융착점 부분(112)은 접지된 마스크(100)에 주름 부분(121)의 일부를 접착, 열 응착, 재봉 등 공지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실시하기에 따라 롤러를 이용하여 열로 응착되어 형성될 수 있고, 오버로크 형식으로 재봉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융착점 부분(112)을 통해 다수 개로 접지된 주름 부분(121)은 일면이 고정되는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융착점 부분(112)은 최소한의 면적만 형성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융착점 부분(112)은 사용자의 움직임이 많은 입 부분에 위치하고, 입 부분을 중심으로 좌 우측에 한 개씩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말을 할 때나 웃을 때 또는 기침 등의 안면을 움직이는 경우에도, 융착점 부분(112)이 주름 부분(121)을 일부 고정하고 내부 공간이 확보되어, 코와 입이 닫지 않게 되며 사용자가 숨을 쉬기 편하고 입을 유연하게 움직여도 되는 마스크(100)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중앙부(120)의 제 1 귀걸이 부분(123) 및 제 2 귀걸이 부분(124)은 귀걸이부(140)를 결합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제 1 귀걸이 부분(123)은 중앙부(120)에 귀걸이부(140)의 일부를 접착, 열 응착, 재봉 등의 방법으로 귀걸이부(140)가 고정되고, 제 2 귀걸이부(123)는 중앙부(120)의 일면이 연장 형성되어 귀걸이부(140)를 내통하기 위한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턱부(130)는 사용자의 턱을 감싸며, 중앙부(120)와 연결되고, 요철 부분(13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턱부(130)는 사용자의 오목한 턱을 감싸고 밀폐시키기 위해, 코부(130)의 요철 부분(131)과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턱부(130)의 요철 부분(131)은 코부(110)를 향해 요철된 형상으로 마련되어 코부(110)의 절곡 부분(112)과 일부분 연결된다.
이와 같이, 코부(110)의 절곡 부분(112)과 턱부(130)의 요철 부분(131)은 양 끝단만 상호 연결됨에 따라, 마스크(100)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움직임이 자유로우며, 호흡이 용이한 마스크(100)가 형성될 수 있다.
에어 포켓(P)은 코부(110)의 절곡 부분(112)과 턱부(130)의 요철 부분(131)이 결합되지 않은 면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부(110)의 절곡 부분(112)과 턱부(130)의 요철 부분(131)이 상호 포개지며 연결되고, 절곡 부분(112)과 요철 부분(131)이 연결된 중앙에는 에어 포켓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코부(110)와 턱부(130)가 상호 연결되어 컵과 같이 오목한 입체적인 구조를 구현하여 사용자가 숨쉬는 공간이 확장될 수 있으며, 에어 포켓(P)의 구조를 통해 호흡 공간의 면적을 더 확장되는 구조가 구현되며, 사용자의 입에 달라붙지 않는 입체적인 구조가 마련될 수 있고, 사용자는 충분히 호흡 공간을 확보 할 수 있게 된다.
귀걸이부(140)는 사용자의 귀에 거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끈 또는 스판덱스와 같은 신축사나 탄성 고무 등과 같은 탄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 되는 것은 아니며 직물이나 부직포 재질의 비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귀걸이부(140)는 중앙부(120)에 위치한 제 1 귀걸이 부분(123) 및 제 2 귀걸이 부분(124)을 통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제1 귀걸이 부분(123) 및 제2 귀걸이 부분(124)에 위치한 귀걸이부(140)를 좌측 및 우측으로 잡아 당기게 되면, 마스크가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귀걸이부(140)를 통해 사용자의 안면에 마스크(100)가 밀착되어 누설되는 공간을 차단 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의 귀걸이부는 귀걸이 끈 조절 기능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얼굴 형태의 알맞도록 사이즈를 조저할 수 있게 되며, 감염원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는 효과가 구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100)는 코부(110), 중앙부(120) 및 턱부(130)는 동종의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이종의 성질 또는 이종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천연섬유 또는 합성 섬유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100)는 실시하기에 따라 천연섬유 부직포 또는 합성섬유 부직포 중에 한 개의 섬유로 제작될 수 있고, 천연섬유 부직포 및 합성섬유 부직포 두개의 섬유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며, 코부(110), 중앙부(120) 및 턱부(130)의 섬유 재질을 다르게 채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의 안면과 밀착되는 내면과 외부에 노출되는 전면이 다른 섬유의 재질로 제작되는 것도 가능하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를 착용하였을 때 발휘되는 효과들을 시험 데이터를 활용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의 마스크를 마네킹의 안면에 씌운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마스크의 설계 면적에 따른 흡기 저항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9는 대형 마스크의 면적을 연장하였을 때, 면적에 따른 마스크의 흡기 저항이 달라지는 결과값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표이며, 도 10은 소형 마스크의 면적을 점차 연장한 길이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표이다.
또한, 도 11은 도 9의 #1과 #7 면적으로 제작된 마스크에 대하여 몇가지 항목을 설문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먼저, 도 7은 마네킹의 안면에 본 발명의 마스크를 마네킹에게 씌운 상태를 찍은 사진으로, 마네킹의 안면에 마스크가 밀착되어 있고, 사용자의 입이 위치한 내부공간에는 어느 정도 공간이 형성된 것을 알 수 있으며, 사용자가 숨 쉬기에 편할 것을 예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특유의 구조를 통해 마스크(100)가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되어 위치하면서도, 마스크(100)의 내부공간이 넓게 형성되어, 흡기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구현되고 사용자는 답답하지 않은 마스크(100)를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입에 닿지 않고 숨쉬기 편안하고 쾌적한 마스크(100)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는 제작 면적이 큼에도 불구하고, 특유의 주름 구조를 통해 외관상으로는 일반 마스크 면적과 동일한 크기로 보여지게 되어,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8 내지 도 9에는 본 발명의 마스크(100)의 겉보기 면적은 동일하게 유지하되, 설계 면적을 점차 넓어지는 면적에 따른 흡기 저항 시험을 시행한 데이터이다.
한편, 실시하기에 따라 흡기 저항 시험은 시험용 검체의 안면부에다가 시험인두에 마스크가 변형되지 않게 공기가 새지 않도록 밀착되게 착용 시킨 다음, 공기를 연속 유량으로 통과시켰을 때의 차압(Pa)을 측정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8의 가로축 방향은 마스크(100) 설계 면적을 순차적으로 확장한 크기이며, 세로축은 흡기 저항(Pa)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마스크(100)의 실제 면적은 마스크(100)를 펼친 후 측정한 길이이며, 겉보기 면적은 중앙부(120)의 주름 부분(121)이 접지된 상태의 마스크(100)를 측정한 길이이다.
도 9의 표를 참고하면, #1 내지 #8은 겉보기 면적을 324(cm2)로 유지하고, 코부(110)50(mm), 턱부(130)50(mm)는 동일한 면적으로 유지하며, 중앙부(120)의 면적은 점차 확장하면서 흡기 저항 변화를 살펴보았다. #1에서 #8로 갈수록 흡기 저항이 점차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8 내지 도 9의 나타난 바와 같이, 중앙부(120)의 면적이 확장되면 확장될수록, 흡기 저항이 점차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중앙부(120)의 크기가 확장될수록, 사용자는 충분히 호흡 공간을 확보 할 수 있게 되어, 호흡의 불편함을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주름 부분(121)이 접혔다 펴질 수 있는 다층 구조의 주름 형태를 통해, 입을 움직여 말을 할 때 입에 달라붙지 않는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8에서는 설계 면적이 겉보기 면적보다 1.6배 이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흡기 저항이 최대 감소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10은 소형 마스크(예를 들어, 어린이용 마스크)에 관한 설계 면적을 점차 연장할 경우 바람직한 제작 면적은 설계 면적을 #4에서 #5의 중간 사이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9의 일반적인 마스크 기준으로 얻은 결과값을 소형 마스크에 적용하였을 때 설계 면적이 #4에서 #5의 중간인 290cm2 이상부터 흡기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유추할 수 있다.
또한, 성인 대비 어린이용 마스크의 면적은 전체적인 면적이 축소될 수 있으나, 중앙부(120)의 수직 길이 또는 중앙부(120)의 면적이 2 배 이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본 발명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를 도 9의 #1과 #7의 면적으로 제작된 마스크를 15명의 사용자가 15일 동안 1시간 이상씩 사용한 후에 몇가지 항목을 설문한 결과이며(hut(Home Use Test)방법 이용), 5점 만점을 기준으로 설문하였다.
본 발명의 마스크(100)를 사용한 사용자들은 기존 마스크보다 도 9의 #7로 제작된 본 발명의 마스크(100)가 월등히 숨쉬기가 편안하고, 답답하지 않으며 열기가 느껴지지 않는다고 평가 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마스크 구조를 통해 종래의 마스크가 가지고 있던 문제점(마스크가 답답하여 숨쉬기 불편한 구조, 안면의 움직임에 따라 마스크의 형태가 변형되어 누설이 빈번히 발생되던 문제점 및 누설이 발생된 부분으로 황사, 미세먼지, 분진 또는 바이러스 등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개선 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 외에도,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실시예와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는 공지기술의 조합이나, 적어도 둘 이상의 실시예들의 조합을 추가적인 실시예로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마스크 110: 코부
111: 굽힘부재 112: 절곡 부분
120: 중앙부 121: 주름 부분
122: 융착 부분 123: 제1 귀걸이 고정 부분
124: 제2 귀걸이 고정 부분 130: 턱부
131: 요철 부분 140: 귀걸이부
P: 에어 포켓
111: 굽힘부재 112: 절곡 부분
120: 중앙부 121: 주름 부분
122: 융착 부분 123: 제1 귀걸이 고정 부분
124: 제2 귀걸이 고정 부분 130: 턱부
131: 요철 부분 140: 귀걸이부
P: 에어 포켓
Claims (12)
- 사용자의 코를 덮는 코부,
상기 코부와 연결되어, 다수개의 주름이 접지된 중앙부, 및
상기 중앙부와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의 턱을 감싸는 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부는 중앙을 중심으로 상호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주름 부분과 상기 주름 부분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융착점 부분을 포함하는 마스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의 설계 면적은 290cm2 이상 600cm2로 제작되는, 마스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의 면적은 상기 코부 및 상기 턱부보다 2 배 이상으로 제작되는, 마스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의 주름 부분은 상기 사용자의 얼굴 돌출 부위를 따라 상기 주름 부분이 접혔다 펴질 수 있는 다층 구조의 주름 형태로 이루어지는, 마스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의 융착점 부분은 상기 중앙부의 주름 부분을 서로 융착시켜 주름 부분을 고정하고, 상기 중앙부의 주름 부분에 복수 개로 형성되는, 마스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부에는 상기 사용자의 코를 눌러지며 상기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되기 위한 굽힘 부재가 형성된, 마스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귀에 걸리도록 귀걸이부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귀걸이부의 일부가 융착되는 제 1 귀걸이 고정 부분, 및
상기 귀걸이부가 내통하는 제 2 귀걸이 고정 부분를 포함하는, 마스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부, 상기 중앙부 및 상기 턱부는 동종의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이종의 성질 또는 이종의 형태로 이루어는, 마스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천연섬유 또는 합성 섬유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마스크. - 사용자의 코를 덮는 코부 및 상기 사용자의 턱을 감싸는 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부의 양 끝단에는 절곡 부분이 형성되며,
상기 턱부의 양 끝단에는 요철 부분이 형성되고,
상기 코부의 절곡 부분과 상기 턱부의 요철 부분이 상호 포개지며 연결되고, 상기 절곡 부분과 상기 요철 부분이 연결된 중앙에는 에어 포켓이 형성되는, 마스크. - 사용자의 코를 덮는 코부,
상기 코부와 연결되어, 다수개의 주름이 접지된 중앙부, 및
상기 중앙부와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의 턱을 감싸는 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크는 설계 면적 : 겉보기 면적의 면적비가 1 : 1.05 내지 1 : 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23823 | 2021-02-23 | ||
KR20210023823 | 2021-02-23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20417A true KR20220120417A (ko) | 2022-08-30 |
Family
ID=83114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84485A KR20220120417A (ko) | 2021-02-23 | 2021-06-29 | 마스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120417A (ko) |
-
2021
- 2021-06-29 KR KR1020210084485A patent/KR20220120417A/ko unkno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555579B (en) | Flat-folded personal respiratory protection devices and processes for preparing same | |
CN106998834B (zh) | 平折式呼吸器 | |
KR101918084B1 (ko) | 공기챔버 확보형 주름 마스크 | |
KR101720674B1 (ko) | 마스크 | |
JP2020193426A (ja) | 長さ調節部付き機能性マスク | |
BRPI0809787B1 (pt) | Respirador isento de manutenção | |
JP2016528011A (ja) | 個人用呼吸保護装置 | |
JP7251473B2 (ja) | 防護用フード | |
KR20190078254A (ko) | 오리가미식 주름을 구비한 닥섬유 부직포의 마스크 | |
US20210307422A1 (en) | Protective respirators and a method of making a protective respirator | |
KR102023730B1 (ko) | 호흡통로구분마스크 | |
KR20110045320A (ko) | 기능성 위생 마스크 | |
JP3227832U (ja) | マスク | |
KR20170093560A (ko) | 마스크 | |
KR101582353B1 (ko) | 자유변형에 의한 형상유지 마스크 | |
KR20040027268A (ko) | 상하 융출부를 갖는 일회용 방진마스크 | |
KR200335486Y1 (ko) | 이중 절곡선에 의한 유동식 밀착날개를 갖는 일회용방진마스크 | |
KR20220120417A (ko) | 마스크 | |
KR20200139588A (ko) | 형상 유지 및 밀폐 강화형 주름 마스크 | |
KR102624660B1 (ko) | 마스크 | |
KR102209970B1 (ko) | 마스크 | |
CN111248545A (zh) | 创意装饰防护口罩 | |
TW201521825A (zh) | 具有呼出氣體導向薄片之口罩 | |
CN105054397A (zh) | 呼吸道延伸式鼻形罩及具有该鼻形罩的呼吸过滤装置 | |
TW202019519A (zh) | 氣密防護口罩及其製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