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0359A - 광신호변환기 정렬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광신호변환기 정렬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0359A
KR20220120359A KR1020210024370A KR20210024370A KR20220120359A KR 20220120359 A KR20220120359 A KR 20220120359A KR 1020210024370 A KR1020210024370 A KR 1020210024370A KR 20210024370 A KR20210024370 A KR 20210024370A KR 20220120359 A KR20220120359 A KR 20220120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signal
unit
permanent magnet
signal conversion
convers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4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대석
이동주
유정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럭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럭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럭셀
Priority to KR1020210024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0359A/ko
Publication of KR20220120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03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0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 G02B27/1073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characterized by manufacturing or alignment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0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 G02B27/1006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for splitting or combining different wavelength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2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 G02B27/283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used for beam splitting or combin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2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 G02B27/28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for controlling or changing the state of polarisation, e.g. transforming one polarisation state into anoth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신호변환기 정렬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력과 탄성력을 이용하여 광학기기의 자세를 제어하는 광신호변환기 정렬 제어 장치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광신호변환기 정렬 제어 장치 {OPTICAL SIGNAL CONVERTER ALIGNMENT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광신호변환기 정렬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력과 탄성력을 이용하여 광학기기의 자세를 제어하는 광신호변환기 정렬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리스페이스(Free Space) 환경에서 양자암호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프리스페이스(Free Space)의 입력 광원을 H, V, G, A(수평, 수직, 대각, 역대각)의 네 개의 광원으로 분리한 후, 각 광원을APD(Avalanche Photo Diode)에 인가 한 후 각 입력 광원의 단일광자(Single Photon)을 감지(Detect) 한 후 H, V, G, A 네 개의 신호에서 획득한 디지털(Digital) 값을 이용하여 통신을 하거나 해킹(Hacking)유무를 판단한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입력 광원을 네개의 신호 H, V, G, A로 분리 하기 위해서는 한 개의 빔스플리터(BS; Beam Splitter), 두 개의 비편광 빔스플리터(NPBS; Non Polarizing Beam Splitter) 그리고 하나의 반파장판(HWP; Half wave Plate)가 필요하고 입력 광 이 외에 다른 광원이 입력하지 못하도록 쉴드케이스(Shield Case)가 필요하다.
위에서 비편광 빔스플리터(NPBS; Non Polarizing Beam Splitter)를 사용하는 예를 들었으나 편광 빔스플리터(PBS; Polarizing Beam Splitter)를 사용할 수도 있다.
프리스페이스(Free Space) 환경에서 광원을 H, V, G, A로 최적화하여 분리하는 작업이 통신의 시작으로 통신의 에러(Error)율을 좌우한다.
즉, 가공된 빔스플리터(BS, NPBS, PBS 등) 그리고 반파장판(HWP)의 가공 오차와 광 정렬 그리고 쉴드케이스(Shield Case)에 각 소자들을 UV 본딩(Bonding)시 경화에 따른 오차에 따라 그 성능이 결정된다.
성능 개선 및 동일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가공된 빔스플리터(BS, NPBS, PBS 등) 그리고 반파장판(HWP)의 가공 오차는 세밀한 가공 공차 관리를 통하여 개선 가능하며 광 정렬의 경우도 공차 관리를 통해서 성능에 대한 관리가 가능하다.
그러나 쉴드케이스(Shield Case)에 각 소자를 고정 시 UV 본딩(Bonding) 등의 고정(경화 등) 과정에서 발생하는 뒤틀림으로 인해 입력 광원을 H, V, G, A의 네 개의 광원으로 분리하기 위한 최적의 광 정렬이 무너져 최적의 성능을 낼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10-0647945]에서는 광 픽업의 빔 스플리터 고정장치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 [10-0647945](등록일자: 2006년11월13일)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력과 탄성력을 이용하여 광신호변환부의 자세를 제어하는 광신호변환기 정렬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 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신호변환기 정렬 제어 장치는, 종축 방향으로 두 개의 면과 횡축 방향으로 두 개의 면을 구비하며, 지정된 장소에 고정되어 광신호를 변화시키는 광신호변환부(100); 상기 광신호변환부(100)의 종축 일 측면 방향으로, 상기 광신호변환부(100)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고정되며, 전기에 의해 자력이 발생되는 제1전자석부(200); 상기 제1전자석부(200)에 자력이 발생되면 척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광신호변환부(100)의 종축 일 측면에 밀착 고정되는 제1영구자석부(300); 상기 광신호변환부(100)의 종축 타 측면에 밀착 고정되며, 종축 타 측면 방향에서 종축 일 측면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되는 제1탄성부(400); 상기 광신호변환부(100)의 횡축 일 측면 방향으로, 상기 광신호변환부(100)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고정되며, 전기에 의해 자력이 발생되는 제2전자석부(600); 상기 제2전자석부(600)에 자력이 발생되면 척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광신호변환부(100)의 횡축 일 측면에 밀착 고정되는 제2영구자석부(700); 및 상기 광신호변환부(100)의 횡축 타 측면에 밀착 고정되며, 종횡 타 측면 방향에서 횡축 일 측면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되는 제2탄성부(8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전자석부(200) 및 제1영구자석부(300)는 각각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며, 제1전자석부(200)와 제1영구자석부(300)가 1:1로 대향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1영구자석부(300)는 고정되는 면의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영구자석부(300)는 고정되는 면 상에 다각형의 꼭지점에 해당되는 지점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2전자석부(600) 및 제2영구자석부(700)는 각각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며, 제2전자석부(600)와 제2영구자석부(700)가 1:1로 대향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영구자석부(700)는 고정되는 면의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2영구자석부(700)는 고정되는 면 상에 다각형의 꼭지점에 해당되는 지점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탄성부(400) 및 제2탄성부(800)는 판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1탄성부(400) 및 제2탄성부(800)는 각각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종축 방향으로 두 개의 면과 횡축 방향으로 두 개의 면을 구비하며, 지정된 장소에 고정되어 광신호를 변화시키는 광신호변환부(100); 상기 광신호변환부(100)의 종축 일 측면 방향으로, 상기 광신호변환부(100)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고정되는 제1영구자석부(300); 상기 제1전자석부(200)에 자력이 발생되면 척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광신호변환부(100)의 종축 일 측면에 밀착 고정되며, 전기에 의해 자력이 발생되는 제1전자석부(200); 상기 광신호변환부(100)의 종축 타 측면에 밀착 고정되며, 종축 타 측면 방향에서 종축 일 측면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되는 제1탄성부(400); 상기 광신호변환부(100)의 횡축 일 측면 방향으로, 상기 광신호변환부(100)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고정되는 제2영구자석부(700); 상기 제2전자석부(600)에 자력이 발생되면 척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광신호변환부(100)의 횡축 일 측면에 밀착 고정되며, 전기에 의해 자력이 발생되는 제2전자석부(600); 및
상기 광신호변환부(100)의 횡축 타 측면에 밀착 고정되며, 종횡 타 측면 방향에서 횡축 일 측면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되는 제2탄성부(8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신호변환기 정렬 제어 장치에 의하면, 자력과 탄성력을 이용하여 광신호변환부의 자세를 제어함으로써, 빔스플리터(BS; Beam Splitter), 비편광 빔스플리터(NPBS; Non Polarizing Beam Splitter), 편광 빔스플리터(PBS; Polarizing Beam Splitter), 파장판(WP; wave Plate), 반파장판(HWP; Half wave Plate), 한파장판(FWP; Full wave Plate) 등을 포함하는 광학기기를 고정 할 때 발생하는 오차를 줄이고, 광학기기의 고정 재작업 없이도 자력의 제어만으로 최적의 성능을 얻을 수 있어 생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 전자석부와 영구자석부를 다양하게 배치함으로써, 종축(y축)제어, 횡축(x축) 제어 뿐 아니라 기울기(Tilt) 제어까지 가능하여, 더욱 정밀한 제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신호변환기 정렬 제어 장치를 상측에서 바라본 개념도.
도 2는 도 1을 우측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전자석부 및 영구자석부가 각각 4 쌍이 구비된 예시도.
도 4는 도 1의 전자석부 및 영구자석부가 각각 3 쌍이 구비된 예시도.
도 5는 도 1의 전자석부 및 영구자석부의 위치를 바꾼 예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신호변환기 정렬 제어 장치를 상측에서 바라본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을 우측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전자석부 및 영구자석부가 각각 4 쌍이 구비된 예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전자석부 및 영구자석부가 각각 3 쌍이 구비된 예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전자석부 및 영구자석부의 위치를 바꾼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신호변환기 정렬 제어 장치는 광신호변환부(100), 제1전자석부(200), 제1영구자석부(300), 제1탄성부(400), 제2전자석부(600), 제2영구자석부(700) 및 제2탄성부(800)를 포함한다.
광신호변환부(100)는 종축 방향으로 두 개의 면과 횡축 방향으로 두 개의 면을 구비하며, 지정된 장소에 고정되어 광신호를 변화시킨다.
상기 광신호변환부(100)는 빔스플리터(BS; Beam Splitter), 비편광 빔스플리터(NPBS; Non Polarizing Beam Splitter), 편광 빔스플리터(PBS; Polarizing Beam Splitter), 파장판(WP; wave Plate), 반파장판(HWP; Half wave Plate), 한파장판(FWP; Full wave Plate) 등 광신호를 분할하거나 편광방향을 변화시키는 등 광신호를 변화시킨다.
상기에서 종축과 횡축은 광신호가 지나가는 평면 상에서의 방향이 될 수 있으며, 도 1에서 종방향을 세로방향으로 표시하였고, 횡방향을 가로 방향으로 표시하였다.
제1전자석부(200)는 상기 광신호변환부(100)의 종축 일 측면 방향으로, 상기 광신호변환부(100)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고정되며, 전기에 의해 자력이 발생된다.
상기 제1전자석부(200)는 전류가 흐르면 자기화되고, 전류를 끊으면 자기화되지 않은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는 것으로, 도선을 원통 형상으로 감아 만들 수 있다.
제1영구자석부(300)는 상기 제1전자석부(200)에 자력이 발생되면 척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광신호변환부(100)의 종축 일 측면에 밀착 고정된다.
상기 제1영구자석부(300)는 영구적으로 자력을 유지하는 것으로, 네오디뮴 자석을 사용할 수 있다.
제1전자석부(200)와 제1영구자석부(300)는 서로 대향되도록 설치된다.
제1탄성부(400)는 상기 광신호변환부(100)의 종축 타 측면에 밀착 고정되며, 종축 타 측면 방향에서 종축 일 측면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1탄성부(400)는 상기 제1영구자석부(300)가 부착된 반대측 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제1전자석부(200)에 전류가 흐르면 자기력이 발생되어 제1영구자석부(300)에 척력이 작용하고, 제1영구자석부(300)에 작용하는 척력에 의해 상기 광신호변환부(100)가 상기 제1탄성부(400)가 설치된 종축(x축) 방향으로 움직인다.
이후, 상기 제1전자석부(200)에 전류를 끊으면 상기 광신호변환부(100)가 상기 제1탄성부(400)에 의해 원복된다.
제2전자석부(600)는 상기 광신호변환부(100)의 횡축 일 측면 방향으로, 상기 광신호변환부(100)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고정되며, 전기에 의해 자력이 발생된다.
상기 제2전자석부(600)는 전류가 흐르면 자기화되고, 전류를 끊으면 자기화되지 않은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는 것으로, 도선을 원통 형상으로 감아 만들 수 있다.
제2영구자석부(700)는 상기 제2전자석부(600)에 자력이 발생되면 척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광신호변환부(100)의 횡축 일 측면에 밀착 고정된다.
상기 제2영구자석부(700)는 영구적으로 자력을 유지하는 것으로, 네오디뮴 자석을 사용할 수 있다.
제2전자석부(600)와 제2영구자석부(700)는 서로 대향되도록 설치된다.
제2탄성부(800)는 상기 광신호변환부(100)의 횡축 타 측면에 밀착 고정되며, 종횡 타 측면 방향에서 횡축 일 측면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2탄성부(800)는 상기 제2영구자석부(700)가 부착된 반대측 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제2전자석부(600)에 전류가 흐르면 자기력이 발생되어 제2영구자석부(700)에 척력이 작용하고, 제2영구자석부(700)에 작용하는 척력에 의해 상기 광신호변환부(100)가 상기 제2탄성부(800)가 설치된 횡축(y축) 방향으로 움직인다.
이후, 상기 제2전자석부(600)에 전류를 끊으면 상기 광신호변환부(100)가 상기 제2탄성부(800)에 의해 원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신호변환기 정렬 제어 장치는 전자석부(200, 600)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에 의해 상기 광신호변환부(100)를 종축(x축)과 횡축(y축)으로 이동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신호변환기 정렬 제어 장치는, 프리스페이스(Free Space) 환경에서 광입력 편광 변복조 모듈 제작 시에 사용할 경우, 상기 광신호변환부(100) 경화액이 응고되는 과정에서 변형이 발생하여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신호변환부(100)가 고정된 후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신호변환기 정렬 제어 장치의 제어를 통해 오차를 보정하여 최적의 성능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광신호변환부(100)의 바닥면에 본딩을 사용하지 않고 상기 영구자석부(300, 700)를 상기 광신호변환부(100)의 측면에 고정시고, 최적의 결과 값이 나올 수 있도록 상기 전자석부(200, 600)에 전류를 제어하여 최적의 성능을 얻는 것도 가능하다.
도면에서는 전자석부(200, 600)와 영구자석부(300, 700)가 서로 이격된 것으로 표현되었으나, 전자석부(200, 600)의 안쪽으로 영구자석부(300, 700)가 삽입되어 왕복운동을 하거나 영구자석부(300, 700)의 안쪽으로 전자석부(200, 600)가 삽입되어 왕복운동을 하는 등 자력에 의해 광신호변환부(100)의 자세를 제어할 수 있다면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전자석부(200, 600) 또는 영구자석부(300, 700)가 영구자석부(300, 700) 또는 전자석부(200, 600)에 삽입되어 왕복운동을 하도록 함으로써, 광신호변환부(100)를 바닥에 고정시키지 않고도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신호변환기 정렬 제어 장치는 빔스플리터(BS; Beam Splitter), 비편광 빔스플리터(NPBS; Non Polarizing Beam Splitter), 편광 빔스플리터(PBS; Polarizing Beam Splitter), 파장판(WP; wave Plate), 반파장판(HWP; Half wave Plate), 한파장판(FWP; Full wave Plate) 등의 광학장치를 고정 할 때 발생하는 에러(Error)를 최소화하여 편광 변복조 모듈을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신호변환기 정렬 제어 장치의 제1전자석부(200) 및 제1영구자석부(300)는 각각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며, 제1전자석부(200)와 제1영구자석부(300)가 1:1로 대향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도 2 내지 도 4 참조)
이는 종축(y축)으로 작용하는 힘을 다양하게 제어하기 위함이다.
동시에, 상기 제1전자석부(200) 및 제1영구자석부(300)는 광 경로를 피해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1전자석부(200) 및 제1영구자석부(300)를 광 경로를 피해 배치하되 고르게 힘이 전달될 수 있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신호변환기 정렬 제어 장치의 제1영구자석부(300)는 고정되는 면의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도 2 참조)
도 2를 참고로 설명하면 좌측방향 제1전자석부(200)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가 우측방향 제1전자석부(200)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 보다 크도록 하면, 상기 광신호변환부(100)가 상기 제1탄성부(400)가 설치된 종축(y축) 방향으로 움직임과 동시에 상기 광신호변환부(100)가 시계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기울기(Tilt)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신호변환기 정렬 제어 장치의 제1영구자석부(300)는 고정되는 면 상에 다각형의 꼭지점에 해당되는 지점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도 3 내지 도 4 참조)
도 3 내지 도 4를 참고로 설명하면 각각의 제1전자석부(200)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를 각각 조절하면, 상기 광신호변환부(100)가 상기 제1탄성부(400)가 설치된 종축(y축) 방향으로 움직임과 동시에 상기 광신호변환부(100)가 원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기울기(Tilt)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입체적인 정렬 제어가 가능하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신호변환기 정렬 제어 장치의 제2전자석부(600) 및 제2영구자석부(700)는 각각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며, 제2전자석부(600)와 제2영구자석부(700)가 1:1로 대향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는 횡축(x축)으로 작용하는 힘을 다양하게 제어하기 위함이다.
동시에, 상기 제2전자석부(600) 및 제2영구자석부(700)는 광 경로를 피해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2전자석부(600) 및 제2영구자석부(700)를 광 경로를 피해 배치하되 고르게 힘이 전달될 수 있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신호변환기 정렬 제어 장치의 제2영구자석부(700)는 고정되는 면의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로 설명하면 좌측방향 제2전자석부(600)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가 우측방향 제2전자석부(600)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 보다 크도록 하면, 상기 광신호변환부(100)가 상기 제2탄성부(800)가 설치된 횡축(x축) 방향으로 움직임과 동시에 상기 광신호변환부(100)가 시계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기울기(Tilt)를 조절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신호변환기 정렬 제어 장치의 제2영구자석부(700)는 고정되는 면 상에 다각형의 꼭지점에 해당되는 지점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를 참고로 설명하면 각각의 제2전자석부(600)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를 각각 조절하면, 상기 광신호변환부(100)가 상기 제2탄성부(800)가 설치된 횡축(x축) 방향으로 움직임과 동시에 상기 광신호변환부(100)가 원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기울기(Tilt)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입체적인 정렬 제어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신호변환기 정렬 제어 장치의 제1탄성부(400) 및 제2탄성부(800)는 판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코일 스프링은 상기 광신호변환부(100)의 기울기가 변하면, 코일 축이 휘어져 탄성력을 원활하게 전달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나, 판 스프링은 판형 소재의 복원력을 이용한 스프링으로, 상기 광신호변환부(100)의 기울기가 변하더라도 탄성력을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신호변환기 정렬 제어 장치의 제1탄성부(400) 및 제2탄성부(800)는 각각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탄성부(400) 및 제2탄성부(800)는 광 경로를 피해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1탄성부(400) 및 제2탄성부(800)를 광 경로를 피해 배치하되 고르게 힘이 전달될 수 있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서 탄성부(400, 800)가 고정되는 면의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탄성력을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의 배치라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신호변환기 정렬 제어 장치는 광신호변환부(100), 제1전자석부(200), 제1영구자석부(300), 제1탄성부(400), 제2전자석부(600), 제2영구자석부(700) 및 제2탄성부(800)를 포함한다.
광신호변환부(100)는 종축 방향으로 두 개의 면과 횡축 방향으로 두 개의 면을 구비하며, 지정된 장소에 고정되어 광신호를 변화시킨다.
제1영구자석부(300)는 상기 광신호변환부(100)의 종축 일 측면 방향으로, 상기 광신호변환부(100)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고정된다.
제1전자석부(200)는 상기 제1전자석부(200)에 자력이 발생되면 척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광신호변환부(100)의 종축 일 측면에 밀착 고정되며, 전기에 의해 자력이 발생된다.
제1탄성부(400)는 상기 광신호변환부(100)의 종축 타 측면에 밀착 고정되며, 종축 타 측면 방향에서 종축 일 측면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된다.
제2영구자석부(700)는 상기 광신호변환부(100)의 횡축 일 측면 방향으로, 상기 광신호변환부(100)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고정된다.
제2전자석부(600)는 상기 제2전자석부(600)에 자력이 발생되면 척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광신호변환부(100)의 횡축 일 측면에 밀착 고정되며, 전기에 의해 자력이 발생된다.
제2탄성부(800)는 상기 광신호변환부(100)의 횡축 타 측면에 밀착 고정되며, 종횡 타 측면 방향에서 횡축 일 측면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된다.
즉, 도 1의 실시예에서 제1전자석부(200)와 제1영구자석부(300)의 위치를 바꾸고, 제2전자석부(600)와 제2영구자석부(700)의 위치를 바꾸어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광신호변환부
200: 제1전자석부
300: 제1영구자석부
400: 제1탄성부
600: 제2전자석부
700: 제2영구자석부
800: 제2탄성부

Claims (10)

  1. 종축 방향으로 두 개의 면과 횡축 방향으로 두 개의 면을 구비하며, 지정된 장소에 고정되어 광신호를 변화시키는 광신호변환부(100);
    상기 광신호변환부(100)의 종축 일 측면 방향으로, 상기 광신호변환부(100)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고정되며, 전기에 의해 자력이 발생되는 제1전자석부(200);
    상기 제1전자석부(200)에 자력이 발생되면 척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광신호변환부(100)의 종축 일 측면에 밀착 고정되는 제1영구자석부(300);
    상기 광신호변환부(100)의 종축 타 측면에 밀착 고정되며, 종축 타 측면 방향에서 종축 일 측면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되는 제1탄성부(400);
    상기 광신호변환부(100)의 횡축 일 측면 방향으로, 상기 광신호변환부(100)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고정되며, 전기에 의해 자력이 발생되는 제2전자석부(600);
    상기 제2전자석부(600)에 자력이 발생되면 척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광신호변환부(100)의 횡축 일 측면에 밀착 고정되는 제2영구자석부(700); 및
    상기 광신호변환부(100)의 횡축 타 측면에 밀착 고정되며, 종횡 타 측면 방향에서 횡축 일 측면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되는 제2탄성부(800);
    를 포함하는 광신호변환기 정렬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자석부(200) 및 제1영구자석부(300)는 각각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며,
    제1전자석부(200)와 제1영구자석부(300)가 1:1로 대향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신호변환기 정렬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구자석부(300)는
    고정되는 면의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신호변환기 정렬 제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구자석부(300)는
    고정되는 면 상에 다각형의 꼭지점에 해당되는 지점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신호변환기 정렬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자석부(600) 및 제2영구자석부(700)는 각각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며,
    제2전자석부(600)와 제2영구자석부(700)가 1:1로 대향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신호변환기 정렬 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구자석부(700)는
    고정되는 면의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신호변환기 정렬 제어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구자석부(700)는
    고정되는 면 상에 다각형의 꼭지점에 해당되는 지점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신호변환기 정렬 제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400) 및 제2탄성부(800)는
    판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신호변환기 정렬 제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400) 및 제2탄성부(800)는
    각각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신호변환기 정렬 제어 장치.
  10. 종축 방향으로 두 개의 면과 횡축 방향으로 두 개의 면을 구비하며, 지정된 장소에 고정되어 광신호를 변화시키는 광신호변환부(100);
    상기 광신호변환부(100)의 종축 일 측면 방향으로, 상기 광신호변환부(100)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고정되는 제1영구자석부(300);
    상기 제1전자석부(200)에 자력이 발생되면 척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광신호변환부(100)의 종축 일 측면에 밀착 고정되며, 전기에 의해 자력이 발생되는 제1전자석부(200);
    상기 광신호변환부(100)의 종축 타 측면에 밀착 고정되며, 종축 타 측면 방향에서 종축 일 측면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되는 제1탄성부(400);
    상기 광신호변환부(100)의 횡축 일 측면 방향으로, 상기 광신호변환부(100)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고정되는 제2영구자석부(700);
    상기 제2전자석부(600)에 자력이 발생되면 척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광신호변환부(100)의 횡축 일 측면에 밀착 고정되며, 전기에 의해 자력이 발생되는 제2전자석부(600); 및
    상기 광신호변환부(100)의 횡축 타 측면에 밀착 고정되며, 종횡 타 측면 방향에서 횡축 일 측면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되는 제2탄성부(800);
    를 포함하는 광신호변환기 정렬 제어 장치.
KR1020210024370A 2021-02-23 2021-02-23 광신호변환기 정렬 제어 장치 KR202201203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370A KR20220120359A (ko) 2021-02-23 2021-02-23 광신호변환기 정렬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370A KR20220120359A (ko) 2021-02-23 2021-02-23 광신호변환기 정렬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0359A true KR20220120359A (ko) 2022-08-30

Family

ID=83114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4370A KR20220120359A (ko) 2021-02-23 2021-02-23 광신호변환기 정렬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2035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945B1 (ko) 2004-12-06 2006-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 픽업의 빔 스플리터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945B1 (ko) 2004-12-06 2006-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 픽업의 빔 스플리터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35837C2 (ru) Оптическое регулиров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1725442B1 (ko) 카메라 렌즈 모듈
KR102140582B1 (ko) 다축 구조의 반사계 구동장치
US7652712B2 (en) Lens shifting structure for image capturing apparatus
KR102433193B1 (ko) 모듈 결합형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JP4899712B2 (ja) レンズ鏡筒
KR20190128279A (ko) 줌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CN101944817B (zh) 致动器及具有该致动器的相机模组
US10564516B2 (en) Iris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CN106873121B (zh) 双镜头模块
JP2009128841A (ja) 像ぶれ補正装置
US10866394B2 (en) Optical system
JP6811026B2 (ja) レンズ駆動装置およびレンズユニット
KR102013190B1 (ko) 카메라 렌즈 모듈
KR102400642B1 (ko) 카메라 모듈
EP3742225B1 (en) Lens assembly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120117236A (ko) 자동초점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
JP2016224184A (ja) 手振れ補正機能付きレンズ駆動装置
JP2006215122A (ja) 画像振れ防止装置
KR20220141770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20120359A (ko) 광신호변환기 정렬 제어 장치
KR20150117237A (ko) 카메라 렌즈 모듈
KR20150117235A (ko) 카메라 렌즈 모듈
JP2006133281A (ja) 反射面揺動機構およびそれを用いたカメラモジュール
JP6297988B2 (ja) 光アイソレータモジュール及び光半導体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