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0163A - 이동형 전기차 충전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형 전기차 충전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0163A
KR20220120163A KR1020210023912A KR20210023912A KR20220120163A KR 20220120163 A KR20220120163 A KR 20220120163A KR 1020210023912 A KR1020210023912 A KR 1020210023912A KR 20210023912 A KR20210023912 A KR 20210023912A KR 20220120163 A KR20220120163 A KR 202201201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ort vehicle
charging
vehicle
battery
trans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3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7897B1 (ko
Inventor
정진철
최용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수
Priority to KR1020210023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7897B1/ko
Publication of KR20220120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0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7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7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06Q50/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6Arrangements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5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involving identification of vehicles or their battery ty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80Exchanging energy storage elements, e.g. removable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60Navigation input
    • B60L2240/64Road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60Navigation input
    • B60L2240/68Traffic dat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기차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은 충전용 배터리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충전용 수송 차량이 운행되어, 사용자의 전기차를 충전하는 이동형 전기차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하나의 수송 차량의 이동 경로를 예측하여 상기 사용자의 전기차를 충전하는 상기 하나의 수송 차량을 결정하는 충전용 수송 차량 결정 단계; 타 수송 차량의 이동 경로를 예측하여 상기 하나의 수송차량에 전원을 추가 공급하는 상기 타 수송 차량을 결정하는 추가 공급용 수송 차량 결정 단계; 상기 하나의 수송 차량의 이동 경로와 상기 타 수송 차량의 이동 경로의 교차 지점을 예측하는 교차 지점 예측 단계; 및 상기 하나의 수송 차량 및 상기 타 수송 차량에 상기 예측된 교차 지점을 전송하는 교차 지점 전송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형 전기차 충전 서비스 방법 { Method for the providing service of recharging the electric car }
본 발명은 이동형 전기차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차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전기차의 운전자는 전기차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항상 체크하여야 한다. 운행 중에 전기차가 중단된다면 운전자에게 큰 불편을 초래할 것이다. 운전 중에 배터리가 방전되는 경우 충전 용 배터리를 사용자에게 배송하여 사용자가 전기차를 충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그런데 배터리를 적재한 차량이 출차 되고 단순히 한 사용자의 전기차를 충전하고 돌아오는 방식은 배터리 배달에 있어서 비효율적이다. 배터리 충전소를 기점으로 수송 차량을 출입하도록 하는 것은 수송 비용 면에서 손실을 불러온다.
이에 배터리를 적재한 수송 차량의 이동 경로를 예측하여 여러 수송 차량이 무조건 배터리 충전소로 오지 않게 하여 이동 경로를 최적화하는 기술이 연구 중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를 적재한 수송 차량의 이동 경로를 최적화하여 수송 비용을 절감하는 이동형 전기차 충전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전기차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은, 충전용 배터리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충전용 수송 차량이 운행되어, 사용자의 전기차를 충전하는 이동형 전기차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하나의 수송 차량의 이동 경로를 예측하여 상기 사용자의 전기차를 충전하는 상기 하나의 수송 차량을 결정하는 충전용 수송 차량 결정 단계; 타 수송 차량의 이동 경로를 예측하여 상기 하나의 수송차량에 전원을 추가 공급하는 상기 타 수송 차량을 결정하는 추가 공급용 수송 차량 결정 단계; 상기 하나의 수송 차량의 이동 경로와 상기 타 수송 차량의 이동 경로의 교차 지점을 예측하는 교차 지점 예측 단계; 및 상기 하나의 수송 차량 및 상기 타 수송 차량에 상기 예측된 교차 지점을 전송하는 교차 지점 전송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타 수송 차량은 기 충전된 배터리를 상기 하나의 수송 차량에 제공하고, 상기 하나의 수송 차량에 방전된 배터리를 교체하여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수송 차량 결정 단계에서, 상기 이동 경로 예측은, 상기 사용자의 전기차의 충전완료 예상 시간을 고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충전 완료 예상 시간은, 상기 사용자의 충전 신청 정보, 충전 완료 정보 및 교통 상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충전 신청 정보는 충전 위치 및 예약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충전 완료 정보는 충전 강제 종료, 충전 완료 예상 시간, 충전 위치 및 상기 사용자의 서비스 이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수송 차량 결정 단계에서, 상기 이동 경로 예측은, 상기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 이력을 학습하는 단계; 및 상기 학습된 서비스 이용 이력에 의하여 상기 전기차 사용자의 수요를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예측된 수요를 기반으로 상기 이동 경로를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수송 차량 결정 단계에서, 상기 이동 경로의 예측 시, 상기 하나의 수송 차량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고려하고, 상기 배터리가 상기 사용자 전기차에 적어도 한번의 충전을 제공할 수 없을 때, 충전이 필요한 배터리인 것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수송차량들의 상기 교차 지점 근접 시, 상기 수송 차량들의 번호와 상기 수송 차량들에 적재된 상기 배터리의 식별 번호를 인증하여 상기 배터리에 설치된 잠금장치가 자동으로 해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송 차량들에 적재된 상기 배터리들의 충전량을 조사하여, 상기 수송 차량들 간에 충전된 배터리와 방전된 배터리가 자동으로 서로 교환되어 적재되는 단계;
상기 하나의 수송 차량은 상기 방전된 배터리를 적재하여 충전소로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타 수송 차량은 상기 충전된 배터리를 적재하여 새로운 상기 사용자 전기차의 배터리 충전에 이용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송 차량 결정 단계에서, 상기 이동 경로의 예측은 상기 수송 차량의 이동 거리 및 이동 비용을 고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예측 정확도를 높일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 차량의 충전 완료 후 상기 수송 차량의 상기 이동 경로를 다시 예측하는 이동 경로 갱신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송 차량 결정 단계에서, 상기 이동 경로 예측은, 상기 수송 차량을 구동하는 주행용 배터리의 충전량을 고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수송 차량의 이동 경로를 예측하여 수송 차량들의 교차점에서 완충된 배터리와 방전된 배터리를 교환 적재함으로써 모든 수송 차량이 배터리 충전소로 가지 않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둘째, 첫째 장점에 의하여 수송 차량의 이동 경로가 최적화되어 수송 비용을 절감하는 장점도 있다.
셋째, 충전 완료 후라면 다시 이동 경로를 업데이트하여 예측함으로써 수송 차량의 이동 경로의 최적화가 가능한 장점도 있다.
넷째, 이동 경로 예측 시 사용자 정보 및 교통 상황 등의 실시간적 요소를 포함시킴으로써 수송 차량의 이동 경로를 더 정확하게 예측하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전기차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의 개념을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 2는 수송 차량의 교차 지점을 예측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예측된 교차 지점에서 배터리를 교환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수송 차량의 이동 경로 예측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전기차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하나의 이동 경로를 예측하여 사용자의 전기차를 충전하는 배터리를 탑재한 수송 차량(10, 20)을 결정한다(S100). 단계 S100을 수송 차량 결정 단계라 한다.
수송 차량(10, 20)의 이동 경로 예측은 중앙 관리 서버(100)가 제공되어 중앙 관리 서버(100)의 이동 경로 예측부에서 수행될 수 있다. 수송 차량은 자율 주행에 의하여 주행하는 차량일 수 있다. 중앙 관리 서버(100)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송 차량들(10, 20)과 통신할 수 있다.
중앙 관리 서버(100)의 정보 저장부는 배터리 수송 차량들(10, 20)의 차량 번호, 수송 차량에 탑재된 배터리들의 식별 번호를 저장한다. 그리고 어느 특정 배터리가 어느 특정 수송 차량에 탑재되어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갖고 있다.
중앙 관리 서버(100)는 수송 차량과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대한 정보, 수송 차량(10, 20)의 지리상 위치 등을 일정 시간마다 동기화한다. 그리고 이에 대한 정보는 정보 저장부에 기록된다.
하나의 수송 차량(10)을 결정 이후 또는 동시에, 타 수송 차량의 이동 경로를 예측하여 타 사용자의 전기차를 충전하는 배터리를 탑재한 추가 공급용 수송 차량(20)을 결정한다(S200). 단계 S200을 추가 공급용 수송 차량 결정 단계라고 한다. S100 단계와 S200 단계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추가 공급용 수송 차량(20)의 이동 경로는 출차 시 중앙 관리 서버(100)에 의해 예측될 수 있다.
중앙 관리 서버(100)가 수송 차량들을 결정할 때, 사용자 전기차의 충전완료 예상 시간을 고려하여 수송 차량들의 이동 경로를 예측한다. 중앙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 전기차의 충전 완료 후 수송 차량의 이동 경로 예측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교통 상황이나 사용자의 이용 이력에 따른 여러 가지 변수가 있을 수 있는데, 이동 경로를 업데이트하여 예측함으로써 추후 수송 차량들(10, 20)의 교차지점(A)을 더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
수송 차량들(10, 20)을 결정하기 위하여, 중앙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 이력을 학습한다.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 이력 학습 결과는 중앙 관리 서버(100) 내에 이용자정보 관리부에 저장된다. 서비스 이용 이력의 학습은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고, 반복 횟수가 많을수록 수송 차량들(10, 20)의 이동 경로 예측은 정확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학습된 서비스 이용 이력에 의하여 전기차 사용자의 수요를 예측할 수 있다. 중앙 관리 서버(100)는 이용자 정보 관리부 내에 저장된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 이력을 분석하여 어떤 지리적 위치에서 주로 충전 서비스 요구가 발생하는지 분석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의 성향에 따른 충전 중 포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중앙 관리 서버(100)는 충전 포기와 같은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 이력을 분석함으로써, 이동 경로 예측을 더 정확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예측된 수요를 기반으로 수송 차량을 결정할 수 있다. 충전용 수송 차량 및 추가 공급용 수송 차량의 이동 경로의 예측 시, 수송 차량들의 이동 거리 및 이동 비용을 고려한다.
차량의 이동 거리가 고려되는 것은 반드시 충전소(200)에 대기하는 수송 차량만 이용되는 것이 아니라, 충전 후 이동하는 수송 차량도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탑재하고 있다면 이동 중인 수송 차량도 사용자의 전기차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서비스 이용 이력은 이용 위치 정보, 연령, 성별, 직업 등의 사용자 정보 및 기상 정보 등이 있다. 서비스 이용 이력이 중앙 관리 서버(100)에 의하여 기계 학습되어 서비스 수요를 예측하고 수송 차량의 결정에 이용된다.
충전용 수송 차량 결정 단계 및 추가 공급용 수송 차량 결정 단계에서, 사용자 전기차의 충전완료 예상 시간을 고려하여 이동 경로를 예측한다. 수송 차량들의 결정은, 먼저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 이력을 학습한다. 그리고 학습된 서비스 이용 이력에 의하여 전기차 사용자의 수요를 예측한다. 예측된 수요를 기반으로 수송 차량을 결정할 수 있다. 이동 경로의 예측 시, 수송 차량의 이동 거리 및 이동 비용을 고려한다.
수송 차량의 교차 지점 예측
계속하여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S200 이후에 수송 차량들(10, 20)의 결정 후 하나의 수송 차량(10) 및 타 수송 차량(20)의 이동 경로의 교차지점(A)을 예측한다(S300). 교차지점(A)의 예측은 1) 출차 시 2) 사용자 전기차 충전 완료 시에 수행될 수 있다. 교차지점(A)을 예측하기 직전에 수송 차량들(10, 20)의 이동 경로를 먼저 예측한다. 그리고 예측된 이동 경로의 교차지점(A)을 전자적 지도 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S300단계 다음으로 중앙 관리 서버(100)는 예측된 교차지점(A)을 하나의 수송 차량(10) 및 타 수송 차량(20)에 전송한다(S400).
또한 수송 차량들(10, 20)의 이동 경로 예측 시,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고려한다. 배터리가 사용자 전기차에 적어도 한번의 충전을 제공할 수 없을 때, 충전이 필요한 배터리인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수송 차량들(10, 20)이 전기차임을 가정할 때, 수송 차량들(10, 20)의 이동 경로 예측 시, 수송 차량들을 구동하는 주행용 배터리 충전량을 더 고려할 수도 있다.
충전 완료 예상 시간은, 사용자의 충전 신청 정보, 충전 완료 정보 및 교통 상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고려하여 결정된다. 충전 신청 정보는 충전 위치 및 예약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다. 충전 완료 정보는 충전 강제 종료, 충전 완료 예상 시간, 충전 위치 및 사용자의 서비스 이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예측 정확도를 높일 수 있도록 사용자 차량의 충전 완료 후 수송 차량의 이동 경로를 다시 예측할 수 있다. 그리고 다시 예측된 수송 차량의 이동 경로에 의하여 교차지점(A)도 업데이트 될 수 있다.
기 설명한 대로 수송 차량의 출차 시 수송 차량의 이동 경로 예측이 수행되는데, 사용자의 전기차 충전 완료 후에 교통 상황이나 타 수송 차량의 변하는 위치를 재반영함으로써 더 정확하게 수송차량의 교차지점(A)을 예측할 수 있다.
배터리 및 이동용 충전기의 보안 유지 및 사고 방지
(a) 배터리 보안 유지
배터리는 고가의 제품이기 때문에 분실의 위험이 있다.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터리 및 이동 충전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위치 센서, 자이로 센서 및 카메라 등이 결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충전 장치의 위치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로 장치의 분리가 감지되면 부착된 카메라로 주변 영상과 위치를 중앙 관리 서버(100)로 전송하여 기록한다.
그리고 배터리의 도난 방지를 위하여 수송 차량 및 타 수송 차량(20)이 근접할 때, 상기 수송 차량들(10, 20)의 번호와 수송 차량들(10, 20)에 적재된 상기 배터리의 식별 번호를 인증하여 상기 배터리에 설치된 잠금장치가 해제된다(S500).
수송 차량에는 자신이 적재하나 배터리의 식별 번호를 저장하고 있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중앙 관리 서버(100)의 정보 저장부에 수송 차량들(10, 20)의 정보, 수송 차량들(10, 20)에 적재된 배터리의 적재 정보 및 그 충전 상태에 관하여 저장하고 있으므로, 저장된 정보를 토대로 충전된 배터리와 방전된 배터리의 교환하도록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서버(100)는 교환이 결정된 배터리에 대한 정보를 수송 차량들에 전송하여, 배터리 자동 교환 장치가 각 차량에 적재된 배터리를 교환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수송 차량의 관리자의 확인에 의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물론 수송 차량의 관리자가 직접 교환하여 적재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수송 차량들(10, 20)이 근접하면, 수송 차량에 설치된 근거리 통신 장치를 통하여 배터리 식별 번호와 배터리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교환할 수도 있다. 그리고
또는 중앙 관리 서버(100)가 수송 차량 사이의 정보 교환에 대한 로그와 그 내용이 송출되어 교환이 최종 승인되었음을 수송 차량들(10, 20)에 알려 배터리의 잠금장치가 해제되도록 할 수도 있다.
(b) 사고 방지
배터리는 폭발 및 화재의 위험이 있는 장치이므로 과열 등의 이상이 감지되면 충전을 강제로 종료하고 안전하게 조치할 수 있도록 사용자와 서비스 제공자에게 이상이 발생했음을 고지해야 한다.
이상 감지를 위해 이동형 충전기와 배터리에 온도 센서, 화재 감지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결합될 수 있다.
자이로 센서에 의해서 충격이 감지되거나, 온도 센서 및 화재 감지 센서에 의하여 배터리의 상태 이상이 감지되면, 충전장치에서 배터리를 분리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한다.
배터리 분실과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허가된 사람과 시스템만 배터리를 분리할 수 있는 잠금장치가 설치된다.
예측된 수송 경로 교차점에서의 배터리 교환
중앙 관리 서버(100)는 수송 차량 및 타 수송 차량(20)에 적재된 배터리들의 충전량을 조사한다(S600).
그리고 수송 차량 및 타 수송 차량(20)에 충전된 배터리와 방전된 배터리가 자동으로 교환되어 적재된다(S700). 수송 차량은 방전된 배터리를 적재하여 충전소(200)로 이동하고, 타 수송 차량(20)은 충전된 배터리를 적재하여 새로운 전기차 충전에 이용된다.
가용한 배터리와 최소 1회 충전이 불가능한 방전된 배터리에 대한 정보는 중앙 관리 서버(100)와 수송 차량에 기록된다.
수송 차량(10, 20)은 자동 배터리 교환 장치를 포함한다. 배터리 교환 장치는 배터리 정보에 의하여 가용한 배터리를 어느 하나의 수송 차량(10)으로 교환하고, 방전된 즉 적어도 1회의 충전을 제공하지 못하는 배터리는 다른 수송 차량으로 교환한다. 자동 배터리 교환 장치는 수송 차량이 자율 주행에 의하여 소정의 위치로 정렬되었을 때, 중앙 관리 서버(100)에 의하여 충전된 배터리로 인식된 배터리를 자동 배터리 교환 장치에 의하여 어느 하나의 수송 차량(10)으로 이동시킨다. 방전된 배터리도 자동 배터리 교환 장치에 의하여 타 수송 차량(20)에 교환 적재된다. 배터리의 교환은 수송 차량의 관리자의 최종 확인에 의하여 교환 적재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수송 차량의 관리자에 의하여 교환 적재될 수도 있다.
또는 하나의 수송 차량 즉 충전용 수송 차량에 타 수송 차량이 전원을 공급하여 줄 수도 있다(S700). 이 때 타 수송 차량으로의 전원 공급은 추가 공급용 수송 차량과 충전용 수송 차량에 자동 충전 수단이 구비됨으로써 가능하다. 예를 들면 자율주행에 의하여 차량이 소정의 위치로 정렬하고, 타 차량에 설치된 충전 수단이 다른 하나의 차량에 충전 수단이 기계 자동화되어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충전할 수 있다..
중앙 관리 서버(100)는 가용한 배터리를 적재한 수송 차량을 다시 전기차를 충전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다. 방전된 배터리를 적재한 수송 차량은 배터리 충전소(200)로 이동한다.
배터리 충전을 제공한 수송 차량을 무조건 배터리 충전소(200)로 이동시키는 것은 비효율적인데, 가용한 배터리와 방전된 배터리를 구분하여 적재하고 각각의 목적지로 이동하게 함으로써 이동 경로를 최적화하는 장점이 있고, 최적화된 이동 경로에 의하여 수송 차량들(10, 20)의 이동 비용을 절감할 수도 있다.
위치탐색
실내 주차장 등에서는 위치 센서로 정확한 위치를 확인할 수 없고 장치가 임의로 다른 위치로 이동되면 배송 기사가 충전장치를 찾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밖에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장치의 위치를 인지할 수 있는 장치를 설치한다.
배송 기사가 지닌 모바일 기기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별도의 장치를 동작시키면 충전 장치에 부착된 스피커와 LED 램프를 사용하여 위치를 식별한다.
충전 장치에서 전파를 발생시켜 배송 기사가 소유한 탐색장치로 위치와 거리를 측정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중앙 관리 서버
10, 20 : 배터리 수송 차량
200 : 배터리 충전소

Claims (13)

  1. 충전용 배터리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충전용 수송 차량이 운행되어, 사용자의 전기차를 충전하는 이동형 전기차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하나의 수송 차량의 이동 경로를 예측하여 상기 사용자의 전기차를 충전하는 상기 하나의 수송 차량을 결정하는 충전용 수송 차량 결정 단계;
    타 수송 차량의 이동 경로를 예측하여 상기 하나의 수송차량에 전원을 추가 공급하는 상기 타 수송 차량을 결정하는 추가 공급용 수송 차량 결정 단계;
    상기 하나의 수송 차량의 이동 경로와 상기 타 수송 차량의 이동 경로의 교차 지점을 예측하는 교차 지점 예측 단계; 및
    상기 하나의 수송 차량 및 상기 타 수송 차량에 상기 예측된 교차 지점을 전송하는 교차 지점 전송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형 전기차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 수송 차량은 기 충전된 배터리를 상기 하나의 수송 차량에 제공하고, 상기 하나의 수송 차량에 방전된 배터리를 교체하여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전기차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송 차량 결정 단계에서,
    상기 이동 경로 예측은,
    상기 사용자의 전기차의 충전완료 예상 시간을 고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전기차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완료 예상 시간은,
    상기 사용자의 충전 신청 정보, 충전 완료 정보 및 교통 상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전기차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신청 정보는 충전 위치 및 예약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전기차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완료 정보는 충전 강제 종료, 충전 완료 예상 시간, 충전 위치 및 상기 사용자의 서비스 이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전기차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송 차량 결정 단계에서,
    상기 이동 경로 예측은,
    상기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 이력을 학습하는 단계; 및
    상기 학습 된 서비스 이용 이력에 의하여 상기 전기차 사용자의 수요를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예측된 수요를 기반으로 상기 이동 경로를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전기차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송 차량 결정 단계에서,
    상기 이동 경로의 예측 시,
    상기 하나의 수송 차량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고려하고,
    상기 배터리가 상기 사용자 전기차에 적어도 한 번의 충전을 제공할 수 없을 때, 충전이 필요한 배터리인 것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전기차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송차량들의 상기 교차 지점 근접 시, 상기 수송 차량들의 번호와 상기 수송 차량들에 적재된 상기 배터리의 식별 번호를 인증하여 상기 배터리에 설치된 잠금장치가 자동으로 해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형 전기차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송 차량들에 적재된 상기 배터리들의 충전량을 조사하여, 상기 수송 차량들 간에 충전된 배터리와 방전된 배터리가 자동으로 서로 교환되어 적재되는 단계;
    상기 하나의 수송 차량은 상기 방전된 배터리를 적재하여 충전소로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타 수송 차량은 상기 충전된 배터리를 적재하여 새로운 상기 사용자 전기차의 배터리 충전에 이용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형 전기차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송 차량 결정 단계에서,
    상기 이동 경로의 예측은 상기 수송 차량의 이동 거리 및 이동 비용을 고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전기차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예측 정확도를 높일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 차량의 충전 완료 후 상기 수송 차량의 상기 이동 경로를 다시 예측하는 이동 경로 갱신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송 차량 결정 단계에서,
    상기 이동 경로 예측은,
    상기 수송 차량을 구동하는 주행용 배터리의 충전량을 고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전기차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210023912A 2021-02-23 2021-02-23 이동형 전기차 충전 서비스 방법 KR102577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912A KR102577897B1 (ko) 2021-02-23 2021-02-23 이동형 전기차 충전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912A KR102577897B1 (ko) 2021-02-23 2021-02-23 이동형 전기차 충전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0163A true KR20220120163A (ko) 2022-08-30
KR102577897B1 KR102577897B1 (ko) 2023-09-13

Family

ID=83114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3912A KR102577897B1 (ko) 2021-02-23 2021-02-23 이동형 전기차 충전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78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8182A (ko) 2022-10-06 2024-04-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너지 충전용 무인 카트 및 이를 이용한 에너지 충전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0468A (ko) * 2011-08-19 2013-02-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자동차의 내비게이션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123167A (ko) * 2015-04-15 2016-10-25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운행 일정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018948B1 (ko) * 2017-07-11 2019-09-05 이순환 이동식 전기자동차 배터리 교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동식 전기자동차 배터리 교체 방법
KR20200047830A (ko) * 2018-10-24 2020-05-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 차량의 충전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200053734A (ko) * 2018-11-08 2020-05-19 양희범 배터리 교환 방식의 전기차의 운용 시스템
KR102120958B1 (ko) * 2019-05-15 2020-06-09 표성환 이동식 에너지 공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138640B1 (ko) * 2019-12-04 2020-07-28 김용균 배달형 전기차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0468A (ko) * 2011-08-19 2013-02-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자동차의 내비게이션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123167A (ko) * 2015-04-15 2016-10-25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운행 일정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018948B1 (ko) * 2017-07-11 2019-09-05 이순환 이동식 전기자동차 배터리 교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동식 전기자동차 배터리 교체 방법
KR20200047830A (ko) * 2018-10-24 2020-05-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 차량의 충전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200053734A (ko) * 2018-11-08 2020-05-19 양희범 배터리 교환 방식의 전기차의 운용 시스템
KR102120958B1 (ko) * 2019-05-15 2020-06-09 표성환 이동식 에너지 공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138640B1 (ko) * 2019-12-04 2020-07-28 김용균 배달형 전기차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8182A (ko) 2022-10-06 2024-04-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너지 충전용 무인 카트 및 이를 이용한 에너지 충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7897B1 (ko) 2023-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04625B (zh) 共用车辆管理装置以及记录介质
JP6897495B2 (ja) 配車システム及び配車方法
US10612262B2 (en) Contactless charging system for charging at parking spaces and charging station for charging at parking spaces
US20170004712A1 (en) Regional electric vehicle sharing an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101245572B1 (ko) 전기자동차, 배터리 충전스테이션, 이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교환 예약시스템 및 그 예약방법
JP2007116799A (ja) バッテリー管理システム
JP2001060293A (ja) 充電状態の1番高い或いは2番目に高い車両を割当てる車両共用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KR20140104018A (ko) 바이모달 차량들의 자율 모드의 제어
US11139674B2 (en) Method for operating a motor vehicle and managing the charging state of a battery
CN105575174A (zh) 一种智能停车通信系统及预约停车方法
JP2001076288A (ja) トリップ情報に基づいた割当て機能を備えた車両共用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20120102464A (ko) 전기자동차 충전 예약 시스템
CN110667431B (zh) 电动车辆的支援系统
US2020025731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US20210287540A1 (en) Management device, shared vehicle, vehicle shar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20190073956A (ko) 전기 자전거 쉐어링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2074578A (ja) 車両共用システムにおいて車両を効率的に再配置する方法
US20200339161A1 (en) Autonomous driving delivery system
KR20220120163A (ko) 이동형 전기차 충전 서비스 방법
KR102110977B1 (ko)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교체방법 및 전기자동차
KR101339183B1 (ko) 카트 시스템을 이용한 지능형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7248603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2143327A (ja) 給電管理システム及び車載装置
JP7359310B2 (ja) 充電施設の運用管理装置
KR20200062474A (ko) 자전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