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0123A - 무산소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무산소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0123A
KR20220120123A KR1020210023832A KR20210023832A KR20220120123A KR 20220120123 A KR20220120123 A KR 20220120123A KR 1020210023832 A KR1020210023832 A KR 1020210023832A KR 20210023832 A KR20210023832 A KR 20210023832A KR 20220120123 A KR20220120123 A KR 20220120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unit
information
user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3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보영
김민웅
Original Assignee
(주)개선스포츠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개선스포츠,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개선스포츠
Priority to KR1020210023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0123A/ko
Publication of KR20220120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01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8Devices for bench press exercises, e.g. supports,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2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0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20Distances or displac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산소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지지프레임부; 상기 지지프레임부에 장착되어 지지를 받으며,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받는 힘에 따라 움직이는 운동부; 상기 지지프레임부에 장착되어 지지를 받으며, 상기 운동부의 움직임에 저항이 되는 부하를 상기 운동부로 전달하는 부하제공부; 및 상기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상기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정보부; 를 포함하므로 사용자 별로 각기 자신의 운동상태에 대한 운동정보를 파악할 수 있고, 이러한 운동정보를 토대로 하여 무산소운동을 관리함으로써 무산소운동의 효율을 증대시켜줄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무산소운동기구{Anaerobic Exercise Apparatus}
본 발명은 체스트프레스 또는 로우와 같은 무산소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자신의 무산소 운동상태를 파악하고 그에 따라 무산소 운동을 조절할 수 있도록 운동정보를 제공하여 줄 수 있는 무산소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건강관리를 위하여 운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대다수의 현대인들은 비교적 공간적, 시간적 제약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운동하기 위하여 다양한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운동을 함으로써 건강을 관리하고 있다.
이러한 운동기구들은 크게 유산소운동기구와 무산소운동기구로 분류할 수 있다. 유산소운동기구의 대표적인 예로서 사이클머신이나 러닝머신을 들을 수 있다. 웨이트 트레이닝으로 대표되는 무산소운동은 중량물을 들어올려 근육에 자극을 주어 근력을 강화시키는 운동이다. 체스트프레스나 로우와 같은 운동기구가 대표적이며 건강과 몸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이러한 무산소 운동의 인기도 높아지고 있다.
이에 웨이트트레이닝 등의 근력운동을 보조하거나 시행시켜주는 헬스기구에 대하여 많은 기술이 제안되고 있는데 자신의 운동상태에 대한 운동정보를 파악하고, 이러한 운동정보를 토대로 하여 무산소운동을 관리함으로써 무산소 운동의 효율을 증대시켜줄 수 있는 무산소 운동기구가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46881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무산소 운동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줄 수 있는 무산소 운동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산소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지지프레임부; 상기 지지프레임부에 장착되어 지지를 받으며,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받는 힘에 따라 움직이는 운동부; 상기 지지프레임부에 장착되어 지지를 받으며, 상기 운동부의 움직임에 저항이 되는 부하를 상기 운동부로 전달하는 부하제공부; 및 상기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상기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운동정보를처리하는 정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운동부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분으로부터 힘을 받아서 움직이되 상기 부하제공부와 연동하여 움직일 수 있는 무빙암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정보부는, 상기 지지프레임부에 장착되어 상기 사용자의 운동상태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획득되는 상기 정보를 전달받아서 상기 사용자가 파악할 수 있도록 정보처리를 수행하는 정보처리부; 상기 정보처리부로부터 전달되는 운동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운동정보를 외부의 정보저장매체로 송신하거나 상기 사용자에 대한 운동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부하제공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중블록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하중블록의 하중을 감지하는 하중감지센서 또는 상기 하중블록이 이동되는 위치 또는 이동거리를 감지하는 이동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프레임부에는,상기 사용자가 착좌하여 상기 운동부에 힘을 가하는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의자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산소 운동기구는, 사용자 별로 각기 자신의 운동상태에 대한 운동정보를 파악할 수 있고, 이러한 운동정보를 토대로 하여 무산소운동을 관리함으로써 무산소운동의 효율을 증대시켜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산소 운동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산소 운동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후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산소 운동기구에서 부하제공부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산소 운동기구에서 정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산소 운동기구의 정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실시 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여 설명하고 이해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산소 운동기구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산소 운동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산소 운동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후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산소 운동기구에서 부하제공부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산소 운동기구에서 정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지운동기구는 지지프레임부(110), 운동부 및 부하제공부(160)를 포함한다.
지지프레임부(110)는 사용자가 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체이다. 이러한 지지프레임부(110)는 특정형태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은 형태도 충분히 가능하다. 지지프레임부(110)에는 운동부와 부하제공부(160)가 장착되어 지지프레임부(110)의 지지를 받는다.
이러한 지지프레임부(110)는 사용자가 안전하게 운동할 수 있도록 외력에 대하여 변형없이 버틸 수 있는 강성이 있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이동과 설치의 편의를 위하여 가벼운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운동하면서 사용자가 흘리는 땀으로 인한 부식에 강하면서 가벼우며, 내구성이 있는 알루미늄합금과 같은 금속합금이 주 재질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운동부는 지지프레임부(110)에 장착되어 지지프레임부(110)의 지지를 받는다. 그리고 운동부는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받는 힘에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운동부에는 사용자로부터 받는 힘에 의해 움직이는 무빙암(140)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무빙암(140)은, 사용자의 신체 일부분으로부터 힘을 받아서 움직이되 상기 부하제공부(160)와 연동하여 움직일 수 있다. 운동부의 무빙암(140)은 부하제공부(160)와 역학적으로 연동되어 사용자의 무산소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부하제공부(160)로부터 부하를 전달받는다.
무빙암(140)은 지지프레임부(110)에 다양한 형태로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무빙암(140)의 일측단이 지지프레임부(110)에 힌지결합되어 사용자로부터 힘을 받아서 힌지결합축을 중심으로 왕복적으로 스윙되는 형태의 움직임이 가능하다. 힌지결합은 무빙암(140)이 움직이게 될 방향을 고려하여 블록과 무빙암(140) 사이에 마련된다.
무빙암(140)의 타측단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데 편의를 제공하기 위하여 손잡이가 마련될 수 있다. 손잡이는 무빙암(140)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손잡이의 외측면에 스폰지와 같이 쿠션감이 있는 소재가 마련되면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을 때 좀 더 안정적인 그립이 가능해지고 그립감이 향상되므로 바람직하다.
부하제공부(160)는 블록에 장착되어 지지를 받는다. 부하제공부(160)는 운동부의 움직임에 저항이 되는 부하를 운동부로 전달한다. 이러한 부하제공부(160)에는 운동부의 무빙암(140)과 연동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중블록(162)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하중블록(162)의 하중이 무빙암(140)의 움직임에 저항이 되는 부하로서, 하중블록(162)과 연동되는 무빙암(140)으로 부하가 전달된다.
이러한 예로서,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부하제공부(160)의 하중블록(162)을 이동시켜주기 위한 스트링 및 도르래를 통해 하중블록(162)이 무빙암(140)에 연동되어 움직일 수 있는 형태가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의해 무빙암(140)이 움직이는데 부하가 걸리므로 사용자의 무산소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부하제공부(16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하중블록(162)을 포함하며, 하중블록(162)과 무빙암(140)을 연결시켜주는 스트링과 도르래도 포함된다.
그리고 운동에 필요한 하중블록(162)의 개수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설정할 수 있도록 블록핀(226)이 마련되어 있다. 이 블록핀(226)을 어느 하중블록(162)에 끼우느냐에 따라 사용자가 운동을 위해 들어올릴 하중블록(162)의 개수를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블록핀(226)을 이용하여 운동에 필요한 하중블록(162)의 개수를 적절하게 설정하여 운동을 할 수 있다.
블록핀(226)에는 후술할 정보부(200)의 센서부(220)에 포함되는 하중감지센서가 있다. 따라서 운동하면서 들어올려지는 하중블록(162)의 무게를 블록핀에 있는 하중감지센서가 감지하여 정보부(200)의 정보처리부(210)로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하중블록(162)이 이동되는 거리 즉, 들어올려지는 높이를 감지할 수 있는 이동감지센서가 하중블록(162)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동감지센서 또한 후술할 정보부(200)의 센서부(220)에 포함된다.
이동감지센서는 하중블록(162)이 일정 높이 이상 들어올려지는 것을 감지함으로써 하중블록(162)이 이동된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이동감지센서에서 측정된 정보는 전기적 신호로서 정보부(200)의 정보처리부(210)로 전달된다.
정보부(200)는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상기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운동정보를 처리한다. 여기서 도 5를 더 참조하여 정보부(200)에 대한 설명을 이어가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산소 운동기구의 정보부(2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를 더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산소 운동기구의 정보부(200)에는 센서부(220), 정보처리부(210), 출력부(240) 및 통신부(230)가 포함된다.
센서부(220)는 지지프레임부(110)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운동상태에 관한 정보를 획득한다. 이러한 센서부(220)는 상기 하중블록(162)의 하중을 감지하는 하중감지센서(226) 또는 상기 하중블록(162)이 이동되는 위치 또는 이동거리를 감지하는 이동감지센서(22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중감지센서(226)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들어올려지게 되는 하중블록(162)의 하중을 감지한다. 감지된 하중은 정보처리부(210)로 전달되며, 정보처리부(210)에서 정보처리되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부(240)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하중감지센서(226)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블록핀(226)의 형태를 갖추고 있는 것도 가능하다.
이동감지센서(221)는, 사용자에 의해 들어올려지게 되는 하중블록(162)의 이동거리를 감지한다. 이러한 이동감지센서(221)는 사용자에 의해 하중블록(162)이 어느 정도의 거리만큼 이동되었는지를 감지하여 정보처리부(210)로 전달한다.
정보처리부(210)는 상기 센서부(220)로부터 획득되는 상기 정보를 전달받아서 상기 사용자가 파악할 수 있도록 정보처리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정보처리부(210)는 전기적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센서부(220)의 각 센서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아울러, 출력부(240), 통신부(230)와도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출력부(240)는 정보처리부(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정보처리부(210)의 제어에 따라 정보처리부(210)로부터 전달되는 운동정보를 출력한다.
이러한 출력부의 예로서 LCD 또는 OLED와 같은 스크린을 들을 수 있으며, 좀 더 바람직하게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도 받을 수 있는 터치스크린(242)을 들을 수 있다.
사용자는 운동 중에 터치스크린(242)을 통해 운동관리를 위한 다양한 설정값을 입력할 수 있다. 아울러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청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여 줄 수 있도록 운동정보를 소리로 출력하는 스피커(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하다.
통신부(230)는 상기 운동정보를 외부의 정보저장매체로 송신하거나 상기 사용자에 대한 운동정보를 수신한다. 이를 위해 통신부(230)는 정보처리부(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정보처리부(210)의 제어에 따라 외부의 정보저장매체와 통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230)와 통신하는 정보저장매체의 예로서 RFID(231)를 들을 수 있으며, 이러한 RFID 카드와 RF(radio frequency) 무선통신을 할 수 있는 RF리더기 또는 RFID 카드슬롯이 통신부(230)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230)는 외부의 운동관리서버와 통신을 하여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운동이력과 같은 내용의 운동정보를 운동관리서버로 송신하여 저장되도록 할 수 있으며, 반대로 운동관리서버로부터 과거의 운동이력에 관한 운동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터치스크린(242)과 같은 출력부(240)를 통해 운동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
그리고 터치스크린(242)을 통해 표시되는 각종 컨텐츠를 이용하여 개인트레이닝을 실시할 수 있으며, 운동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RFID(231)에 저장하여 지속적이면서 체계적으로 자신의 운동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를 통한 정보송수신이 가능하므로 비대면 트레이닝도 충분히 가능하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정보부(200)를 통해 자신의 운동정보를 파악하여 무산소운동을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지지프레임부(110)에는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착석을 한 상태에서 상지운동을 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의자(120)가 마련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별로 각기 자신의 운동상태에 대한 운동정보를 파악하고, 이러한 운동정보를 토대로 하여 무산소운동을 관리함으로써 무산소 운동의 효율을 증대시켜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 : 무산소운동기구
110 : 지지프레임부 120 : 의자
140 : 무빙암 160 : 부하제공부
162 : 하중블록 200 : 정보부
210 : 정보처리부 220 : 센서부
221 : 이동감지센서 226 : 하중감지센서
230 : 통신부 231 : RFID
240 : 출력부 242 : 터치스크린

Claims (5)

  1. 사용자가 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지지프레임부;
    상기 지지프레임부에 장착되어 지지를 받으며,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받는 힘에 따라 움직이는 운동부;
    상기 지지프레임부에 장착되어 지지를 받으며, 상기 운동부의 움직임에 저항이 되는 부하를 상기 운동부로 전달하는 부하제공부; 및
    상기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상기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운동정보를처리하는 정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산소 운동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부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분으로부터 힘을 받아서 움직이되 상기 부하제공부와 연동하여 움직일 수 있는 무빙암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산소 운동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부는,
    상기 지지프레임부에 장착되어 상기 사용자의 운동상태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획득되는 상기 정보를 전달받아서 상기 사용자가 파악할 수 있도록 정보처리를 수행하는 정보처리부;
    상기 정보처리부로부터 전달되는 운동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운동정보를 외부의 정보저장매체로 송신하거나 상기 사용자에 대한 운동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산소 운동기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제공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중블록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하중블록의 하중을 감지하는 하중감지센서 또는 상기 하중블록이 이동되는 위치 또는 이동거리를 감지하는 이동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산소 운동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부에는,
    상기 사용자가 착좌하여 상기 운동부에 힘을 가하는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의자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산소 운동기구.
KR1020210023832A 2021-02-23 2021-02-23 무산소운동기구 KR202201201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832A KR20220120123A (ko) 2021-02-23 2021-02-23 무산소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832A KR20220120123A (ko) 2021-02-23 2021-02-23 무산소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0123A true KR20220120123A (ko) 2022-08-30

Family

ID=83113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3832A KR20220120123A (ko) 2021-02-23 2021-02-23 무산소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2012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6881B1 (ko) 2014-01-06 2015-08-25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팔 거치대형 상지재활 훈련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6881B1 (ko) 2014-01-06 2015-08-25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팔 거치대형 상지재활 훈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9053B1 (en) Exercise data collection system
US2011015204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unter-resistance exercise
KR101174999B1 (ko) 디지털 물리 치료기 및 이를 이용한 물리 치료 방법
US7682294B2 (en) Medical analysis and recording system
US20180236308A1 (en) Personal therapy and exercise monitoring and oversight devices, systems, and related methods
US2010000981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ing Between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a Server and An Article of Fitness Equipment
CN105107134B (zh) 运动记录方法及装置
US20220133198A1 (en) System and Method for Quantification of Exercise and Physical Therapy
KR20160039532A (ko) 피트니스 구조물
CN110139694A (zh) 可以判断辅助力量的运动辅助装置以及具备运动辅助装置的体育健身装备
KR101819346B1 (ko) 무산소운동 센싱 시스템
KR102172585B1 (ko) 스마트 미러를 구비한 다기능 운동장치
KR20220120123A (ko) 무산소운동기구
KR20220070123A (ko) 다기능 케틀벨과 이를 이용한 홈 트레이닝 시스템 및 방법
US20100210420A1 (en) Exercise System and Physiological Information Sensing Device Thereof
KR20180088960A (ko) 스마트 장갑을 이용하는 운동 교정 시스템
KR102040412B1 (ko) 운동 관리 시스템
US11266878B2 (en) Analyzing sensor data associated with athletic equipment
CN209916024U (zh) 一种健身数据测试仪
KR100717728B1 (ko) 최대 근력 측정 유닛, 장치 및 방법
KR102019724B1 (ko) 운동장치 및 운동관리시스템
KR20160029244A (ko) 스마트 장갑을 이용한 운동 교정 시스템
KR20160136954A (ko) 사용자 맞춤형 트레이닝 장치 및 방법
KR102145672B1 (ko) 스마트 바벨 시스템 제어방법
KR20210120162A (ko) 운동량 데이터 자동 기록용 스마트 핀 및 이를 이용한 운동량 데이터 자동 기록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