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9964A - Automatic toilet seat standing device - Google Patents

Automatic toilet seat stand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9964A
KR20220119964A KR1020210023479A KR20210023479A KR20220119964A KR 20220119964 A KR20220119964 A KR 20220119964A KR 1020210023479 A KR1020210023479 A KR 1020210023479A KR 20210023479 A KR20210023479 A KR 20210023479A KR 20220119964 A KR20220119964 A KR 20220119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seat
rotation
user
toilet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34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50545B1 (en
Inventor
박인호
박신영
김수경
김승열
임병대
강왕희
Original Assignee
박인호
박신영
김수경
김승열
임병대
강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호, 박신영, 김수경, 김승열, 임병대, 강왕희 filed Critical 박인호
Priority to KR1020210023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0545B1/en
Publication of KR20220119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99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0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05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0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e.g. tilting or lifting mechanisms; Collapsible or rotating seat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6Mounting devices for seat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8Adjustably-mounted seats or cov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toilet seat standing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utomatic toilet seat standing device, which is configured so that a toilet seat is automatically positioned vertically after a user uses the toilet seat, thereby providing a hygienic and comfortable environment to the next user, and is configured so that the toilet seat is positioned vertically after a certain time elapses after the user uses the toilet seat, so that the user can secure spare time to perform a job after standing up from the toilet seat. The automatic toilet seat standing device comprises: a toilet seat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a toilet body, having a rear end connected to the toilet body through a hinge shaft to rotate together with the hinge shaft, and capable of being rotatable up and down; a rising spring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toilet sea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toilet seat is positioned vertically; a seating detection sensor unit capable of detecting whether a user is sitting on or leaves the toilet seat in a state where the toilet seat is seated on the toilet body by the external force of the user; and a rotation delay unit for restraining rotation of the toilet seat during delay time so that the toilet seat is positioned vertically by the rising spring after a predetermined delay time elapses when the seating detection sensor unit detects that the user has left the toilet seat. The rotation delay unit convert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hinge shaft due to the rotation of the toilet seat into the elastic energy of the spring when the toilet seat is seated on the toilet body by the external force of the user, stores the elastic energy, and uses the elastic energy, stored in the spring, to restrain rotation of the toilet seat during the delay time when the seating detection sensor unit detects that the user has left the toilet seat.

Description

변기시트 자동 기립 장치{Automatic toilet seat standing device}Automatic toilet seat standing device

본 발명은 변기시트 자동 기립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좌변기의 사용 후 변기시트가 자동으로 세워지도록 구성되어 다음 사용자에게 위생적이고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좌변기의 사용 후 일정 시간 경과 후에 변기시트가 세워지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변기시트에서 일어선 후 일을 처리할 수 있는 여유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변기시트 자동 기립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toilet seat stand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it is configured so that the toilet seat automatically stands up after the user uses the toilet, so that not only a hygienic and comfortable environment can be provided to the next user, but also the user can use the toilet sea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toilet seat standing device that is configured to stand up after a certain time has elapsed after use, so that a user can secure spare time to handle work after standing up from the toilet seat.

일반적으로 남성과 여성이 좌변기에서 소변이나 대변의 용무를 수행함에 따라 변기 시트를 수시로 올리고 내리면서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보통 손으로 직접 축축하고 불결한 변기시트 밑부분을 잡고 움직이기 때문에 비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매우 불쾌감을 초래하는 단점이 있었다.In general, men and women use the toilet seat by raising and lowering it frequently as they urinate or defecate in the toilet seat. There was a disadvantage that caused a very unpleasant feeling.

더욱이, 남성의 경우에는 변기시트를 올리지 않고 종종 소변 용무를 수행하는데, 이때 소변 용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소변이 종종 변기시트로 튀어서 다음에 좌변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매우 불결하고 비위생적인 변기시트를 사용해야하는 곤란함을 초래하였다.Moreover, in the case of men, they often urinate without raising the toilet seat. At this time, urine often splashes onto the toilet seat in the process of urinating, so the next user using the toilet must use a very dirty and unsanitary toilet seat. caused difficulties.

이러한 불결하고 비위생적인 문제가 일상 생활 중에 늘 발생함에 불구하고 이에 대한 관심 부족 및 대안 부재로 대부분의 사람이 상기와 같은 비위생적인 방식을 당연한 것으로 생각하며 불편을 감수하고 생활하고 실정이다.Despite the fact that these filthy and unsanitary problems always occur in daily life, most people take such unsanitary methods for granted due to lack of interest in them and the absence of alternatives, and live with inconveniences.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인지하여 종래기술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77722호(2013.07.09. 공개)에는 "위생성이 확보된 양번기 시트의 자동 승강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In recognition of the above problems, as a prior art, "Automatic lifting and lowering device for a double-headed machine seat with sanitary hygiene" has been proposed i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77722 (published on Jul. 9, 2013) as a prior art.

하지만, 상기의 종래기술은 변기시트의 구동에 구동모터를 이용함으로써 좌변기에 전기가 공급되는 장소에 설치할 수밖에 없는 한계점과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above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it has to be installed in a place where electricity is supplied to the toilet seat by using a driving motor to drive the toilet seat, and the cost is increased.

또한, 사용자가 변기시트에서 일어서는 것을 감지하여 변기시트를 곧바로 일으켜 세우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변기시트에서 일어선 후 일을 처리할 수 있는 여유시간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detects that he or she stands up from the toilet seat and raises the toilet seat straight up,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secure a spare time for the user to get up from the toilet seat and process work.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좌변기의 사용 후 변기시트가 자동으로 세워지도록 구성되어 다음 사용자에게 위생적이고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변기시트 자동 기립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ygienic and comfortable environment to the next user by being configured so that the toilet seat automatically stands up after the user uses the toilet seat. It is to provide an automatic standing devi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변기시트의 구동 및 기립 시간지연에 스프링 및 태엽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별도의 전기공급 없이도 구동이 가능함은 물론, 사용자가 좌변기의 사용 후 일정 시간 경과 후에 변기시트가 세워지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변기시트에서 일어선 후 일을 처리할 수 있는 여유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변기시트 자동 기립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toilet seat to be driven without separate electricity supply by using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and the mainspring to delay the driving and standing time of the toilet seat, as well as to allow the toilet seat to stand up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after the user has used the toilet sea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toilet seat standing device that can secure spare time for a user to do work after standing up from the toilet sea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변기시트 자동 기립 장치는 변기본체의 상부에 안착되고 후단부가 상기 변기본체에 힌지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힌지축과 일체로 회전되며 상하 회동 가능한 변기시트와; 상기 변기시트가 세워지는 방향으로 상기 변기시트를 탄성 지지하는 기립스프링과;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변기시트가 상기 변기본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변기시트에 사용자의 착석 또는 이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착석감지센서부와; 상기 착석감지센서부에 사용자의 이석이 감지되는 경우 정해진 지연시간 경과 후에 상기 기립스프링에 의해 상기 변기시트가 세워지도록 상기 지연시간 동안 상기 변기시트의 회동을 구속하는 회동지연부를; 포함하되, 상기 회동지연부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변기시트가 상기 변기본체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변기시트의 회동에 따른 상기 힌지축의 회전력을 태엽스프링의 탄성에너지로 변환하여 저장하였다가 상기 착석감지센서부에 사용자의 이석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태엽스프링에 저장된 탄성에너지를 상기 지연시간 동안 상기 변기시트의 회동을 구속하는데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tanding up a toilet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ilet seat that is seated on an upper portion of a toilet body, a rear end is connected to the toilet body by a hinge shaft, is rotated integrally with the hinge shaft, and is rotatable up and down; a standing spring elastically supporting the toilet sea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toilet seat is erected; a seating detection sensor unit capable of detecting whether a user is seated or not on the toilet seat in a state in which the toilet seat is seated on the toilet body by an external force of the user; a rotation delay unit configured to constrain rotation of the toilet seat during the delay time so that the toilet seat is erected by the standing spring after a predetermined delay time has elapsed when the seat sensor unit detects a user's otolith; However, the rotation delay unit convert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hinge shaft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toilet seat into the elastic energy of the spring spring when the toilet seat is seated on the toilet body by an external force of the user, and stores the converted and stored the seated sensor. When the user's otolith is detected in the part, the elastic energy stored in the spring is used to restrain the rotation of the toilet seat during the delay time.

여기서, 상기 회동지연부는 상기 힌지축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일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회전스크류와, 상기 변기시트가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하강되는 경우 그에 따른 상기 힌지축의 일방향으로의 회전을 상기 회전스크류의 일방향으로의 회전으로 전달하되 상기 회전스크류의 타방향으로의 회전은 공전되도록 상기 힌지축과 상기 회전스크류를 연결하는 회전력전달수단과, 상기 회전스크류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스크류의 일방향의 회전에 의해 감기고 탄성력에 의해 풀리는 경우 상기 회전스크류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태엽스프링과, 일정 길이를 갖는 바 타입으로 일단부가 상기 힌지축에 고정되어 상기 힌지축과 일체로 회동되되 상기 변기시트가 상기 변기본체에 안착된 위치에서 타단부가 상기 회전스크류의 일단부에 위치되도록 배치되고 타단부에 상기 회전스크류의 회전축과 동일선상으로 파여진 블록삽입홈이 형성된 회동바와, 상기 회전스크류의 일단부 나사산에 체결되어 상기 회전스크류의 회전 방향에 따라 진퇴되되 상기 회전스크류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전진되며 상기 블록삽입홈에 일정 깊이 삽입되어 상기 변기시트가 상기 변기본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회동바를 구속하고 상기 회전스크류가 타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후퇴되며 상기 블록삽입홈에의 삽입 깊이에 따라 상기 지연시간 동안 상기 회동바의 구속을 유지하되 선단부가 상기 블록삽입홈에서 이탈되는 경우 상기 회동바의 구속을 해제할 수 있는 전후 일정 길이를 갖는 시간지연블록과, 상기 회전스크류가 일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스크류에 연결되되 상기 착석감지센서부에 사용자의 이석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회전스크류가 타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스크류에 연결이 해제되는 래칫 브레이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rotation delay part includes a rotation screw disposed parallel to the hinge shaft and having a thread at one end, and when the toilet seat is lowered by an external force of a user, the rotation of the hinge shaft in one direc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screw A rotational force transmitting means connecting the hinge shaft and the rotational screw so that rotation in one direction is transmitted, but rotation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rotational screw is revolved, is connected to the rotational screw and wound by rotation of the rotational screw in one direction A spring spring capable of rotating the rotating screw in another direction when released by an elastic force, and a bar ty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hinge shaft and rotates integrally with the hinge shaft, and the toilet seat is the toilet body A rotation bar having a block insertion groove at the other end disposed at one end of the rotating screw at the seated position and having a block insertion groove dug in the same line with the rotating shaft of the rotating screw at the other end, and one end of the rotating screw is fastened to the thread. and moves forward and backward according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crew, when the rotating screw is rotated in one direction, it advances and is inserted to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block insertion groove to restrain the rotating bar while the toilet seat is seated on the toilet body and rotate When the screw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it retracts and maintains the constraint of the rotating bar for the delay time according to the insertion depth into the block insertion groove, but when the tip part is separated from the block insertion groove, the constraint of the rotating bar is released. A time delay block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before and after, and connected to the rotating screw so that the rotating screw can be rotated in only one direction, the rotating screw can be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when a user's otolith is detected by the seated sensor un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ratchet brake that is disconnected from the rotary screw to do so.

여기서, 상기 래칫 브레이크는 상기 회전스크류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스크류와 일체로 회전되되 외주면에 톱니가 형성된 래칫 휠과, 상기 래칫 휠의 일방향으로의 회전은 허용하되 상기 래칫 휠의 타방향으로 회전은 구속하도록 상기 래칫 휠의 톱니에 치합되는 폴과, 상기 폴에 연결되고 상기 폴이 상기 래칫 휠에 치합 또는 이탈되도록 상기 래칫 휠을 향해 진퇴 가능한 브레이크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착석감지센서부는 상기 변기시트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변기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변기시트에 착석하는 경우 사용자의 무게에 의해 눌리며 상기 브레이크바를 밀어 전진시키고 사용자가 상기 변기시트에서 이석하는 경우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며 상기 브레이크바를 당겨 후퇴시킬 수 있는 푸쉬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ratchet brake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rotating screw and rotated integrally with the rotating screw, and a ratchet wheel having teeth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rotation of the ratchet wheel in one direction is allowed but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ratchet wheel. The rota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pawl meshed with the teeth of the ratchet wheel, and a brake bar connected to the pawl and capable of advancing and retreating toward the ratchet wheel so that the pawl is meshed with or separated from the ratchet wheel, and the seating sensor unit It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oilet body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oilet seat and is pressed by the weight of the user when the user is seated on the toilet seat and pushes the break bar forward. It is restored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ush switch capable of pulling and retracting the break bar.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변기시트 자동 기립 장치는 변기시트를 세우는 구동원으로 기립스프링을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전기 공급 없이도 구동이 가능한 장점이 있고, 사용자가 좌변기의 사용 후 변기시트가 자동으로 세워지도록 구성됨으로써 다음 사용자에게 위생적이고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automatic toilet seat stan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driven without a separate electricity supply by using a standing spring as a driving source for erecting the toilet seat, and the toilet seat automatically moves after the user uses the toilet seat. By being configured to stand up,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rovide a hygienic and comfortable environment to the next us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변기시트 자동 기립 장치는 변기시트의 힌지축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작동되는 태엽스프링이 구비된 회동지연부의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가 좌변기의 사용 후 일정 시간 경과 후에 변기시트가 세워지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변기시트에서 일어선 후 일을 처리할 수 있는 여유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automatic toilet seat stan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toilet seat is erecte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after the user has used the toilet seat by the configuration of the rotation delay part provided with the spring which is operated us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hinge shaft of the toilet seat. This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user can secure spare time to do work after getting up from the toilet sea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기시트 자동 기립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기시트가 변기본체에 안착된 상태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기시트가 세워진 상태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동바 및 시간지연블록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래칫 브레이크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toilet seat stan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toilet seat seated on the toilet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toilet seat in an erected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rotation bar and the time delay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ratchet brak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변기시트 자동 기립 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automatic toilet seat stan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기시트 자동 기립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기시트가 변기본체에 안착된 상태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기시트가 세워진 상태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동바 및 시간지연블록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래칫 브레이크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toilet seat stan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toilet seat seated on the toilet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toilet seat in an erected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rotating bar and the time delay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ratchet brak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기시트 자동 기립 장치는 변기시트(10)와, 기립스프링(20)과, 착석감지센서부(30)와, 회동지연부(40)를 포함한다.1 to 5 , an automatic toilet seat stan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ilet seat 10 , a standing spring 20 , a seated sensor unit 30 , and a rotation delay unit 40 . ) is included.

상기 변기시트(10)는 변기본체(1)의 상부에 안착되고 후단부가 상기 변기본체(1)에 힌지축(11)으로 연결되어 상기 힌지축(11)과 일체로 회전되며 상하 회동 가능한 구성이다.The toilet seat 10 is se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toilet body 1, and the rear end is connected to the toilet body 1 by a hinge shaft 11 to rotate integrally with the hinge shaft 11 and to rotate up and down. .

상기 변기시트(10)는 좌변기의 일반적인 구성이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변기시트(10)의 힌지축(11)이 상기 변기시트(10)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외력을 이용하여 상기 변기시트(10)를 내리는 경우 상기 힌지축(11)이 상기 변기시트(10)와 일체로 회전됨으로써 그 회전력을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toilet seat 10 is a general configuration of a toilet seat,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inge shaft 11 of the toilet seat 10 is configured to rotate integrally with the toilet seat 10 so that the user can use an external force to the toilet seat. When the (10) is lowered, the hinge shaft (11) is rotated integrally with the toilet seat (10) so that the rotational force can be used.

상기 기립스프링(20)은 상기 변기시트(10)가 세워지는 방향으로 상기 변기시트(10)를 탄성 지지하는 구성이다.The standing spring 20 is configured to elastically support the toilet seat 10 in a direction in which the toilet seat 10 is erected.

상기 기립스프링(20)은 상기 힌지축(11)을 감싸며 체결되는 텐션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할 것이다.The standing spring 20 may be composed of a tension spring that is fastened to surround the hinge shaft 11 .

상기 기립스프링(20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변기시트(10)는 외력이 없는 경우 항상 세워지게 된다.Due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tanding spring 20, the toilet seat 10 is always erected when there is no external force.

상기 착석감지센서부(30)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변기시트(10)가 상기 변기본체(1)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변기시트(10)에 사용자의 착석 또는 이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구성이다.The seated sensor unit 30 may detect whether the user is seated on the toilet seat 10 in a state in which the toilet seat 10 is seated on the toilet body 1 by the user's external force. is the composi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서 상기 착석감지센서부(30)는 푸쉬스위치(31)로 구성하였는데, 상기 푸쉬스위치(31)는 상기 변기시트(10)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변기본체(1)의 상부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변기시트(10)에 착석하는 경우 사용자의 무게에 의해 눌리며 후술할 브레이크바(463)를 밀어 전진시키고 사용자가 상기 변기시트(10)에서 이석하는 경우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며 상기 브레이크바(463)를 당겨 후퇴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ted sensor unit 30 is configured as a push switch 31 , which is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oilet seat 10 and is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toilet body 1 . When the user is seated on the toilet seat 10, it is pressed by the weight of the user and pushes the brake bar 46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forward. It is configured to be retracted by pulling the break bar 463 .

상기 회동지연부(40)는 본 발명의 핵심 구성으로 상기 착석감지센서부(30)에 사용자의 이석이 감지되는 경우 정해진 지연시간 경과 후에 상기 기립스프링(20)에 의해 상기 변기시트(10)가 세워지도록 상기 지연시간 동안 상기 변기시트(10)의 회동을 구속하는 구성이다.The rotation delay unit 40 is a cor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when the seated sensor unit 30 detects a user's otolith, the toilet seat 10 is moved by the standing spring 20 after a predetermined delay time has elapsed. It is configured to restrict the rotation of the toilet seat 10 during the delay time to stand up.

상기 회동지연부(40)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변기시트(10)가 상기 변기본체(1)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변기시트(10)의 회동에 따른 상기 힌지축(11)의 회전력을 태엽스프링(43)의 탄성에너지로 변환하여 저장하였다가 상기 착석감지센서부(30)에 사용자의 이석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태엽스프링(43)에 저장된 탄성에너지를 상기 지연시간 동안 상기 변기시트(10)의 회동을 구속하는데 이용하는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회동지연부(40)는 회전스크류(41)와, 회전력전달수단(42)과, 태엽스프링(43)과, 회동바(44)와, 시간지연블록(45)과, 래칫 브레이크(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When the toilet seat 10 is seated on the toilet body 1 by the user's external force, the rotation delay unit 40 spring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hinge shaft 11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toilet seat 10. The elastic energy of the spring 43 is converted and stored, and when the user's otolith is detected by the seated sensor unit 30, the elastic energy stored in the spring 43 is stored in the toilet seat 10 for the delay time. For this purpose, the rotation delay unit 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tating screw 41, a rotating force transmitting means 42, a spring spring 43, and a rotating bar. (44), and a time delay block (45),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ratchet brake (46).

상기 회전스크류(41)는 상기 힌지축(11)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일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구성이다.The rotating screw 41 is arranged parallel to the hinge shaft 11 and has a screw thread formed at one end.

상기 회전력전달수단(42)는 상기 변기시트(10)가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하강되는 경우 그에 따른 상기 힌지축(11)의 일방향으로의 회전을 상기 회전스크류(41)의 일방향으로의 회전으로 전달하되 상기 회전스크류(41)의 타방향으로의 회전은 공전되도록 상기 힌지축(11)과 상기 회전스크류(41)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1 기어(421)와, 제2 기어(422)와, 래칫(4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When the toilet seat 10 is lowered by the user's external force,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ing means 42 transmits the rotation of the hinge shaft 11 in one direction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crew 41 in one direction. However,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crew 41 in the other direction is configured to connect the hinge shaft 11 and the rotating screw 41 so as to revolve, an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gear 421 an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gear 422 and a ratchet 423 .

상기 제1 기어(421)는 상기 힌지축(11)과 일체로 회전되는 구성이고, 상기 제2 기어(422)는 상기 제1 기어(421)에 치합된 상태로 상기 회전스크류(41)와 일체로 회전되는 구성이다.The first gear 421 is configured to rotate integrally with the hinge shaft 11 , and the second gear 422 is integrated with the rotating screw 41 while meshing with the first gear 421 . is a rotating configuration.

상기 힌지축(11)의 상대적으로 적은 회전량을 이용하여 상기 태엽스프링(43)을 감기 위해서는 상기 제1 기어(421)와 상기 제2 기어(422)의 가속비는 1:20 정도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wind the spring spring 43 using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rotation of the hinge shaft 11, the acceleration ratio of the first gear 421 and the second gear 422 is about 1:20. desirable.

한편, 상기 래칫(423)은 상기 제2 기어(422)와 상기 회전스크류(41) 연결부위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스크류(41)가 일방향으로만 회전되고 타방향으로는 공전되도록 하는 구성이다.On the other hand, the ratchet 423 is mounted on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second gear 422 and the rotating screw 41 so that the rotating screw 41 rotates only in one direction and revolves in the other direction.

즉, 상기 래칫(423)은 사용자의 외력에 의한 상기 힌지축(11)의 회전력은 상기 회전스크류(41)로 전달되되, 상기 태엽스프링(43)에 의한 상기 회전스크류(41)의 회전력은 상기 힌지축(11)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That is, in the ratchet 423, the rotational force of the hinge shaft 11 by the user's external force is transmitted to the rotational screw 41, and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tional screw 41 by the spring 43 is the This is to prevent transmission to the hinge shaft 11 .

상기 태엽스프링(43)은 상기 회전스크류(41)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스크류(41)의 일방향의 회전에 의해 감기고 탄성력에 의해 풀리는 경우 상기 회전스크류(41)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The spring spring 43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screw 41, is wound by rotation of the rotating screw 41 in one direction, and when released by an elastic force, the rotating screw 41 can be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

상기 태엽스프링(43)은 상기 변기시트(10)의 회동에 따른 상기 힌지축(11)의 회전력을 탄성에너지로 변환하여 저장하였다가 상기 태엽스프링(43)에 저장된 탄성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스크류(41)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성이다.The spring (43) converts and store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hinge shaft (11)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toilet seat (10) into elastic energy, and uses the elastic energy stored in the spring (43) to store the rotational screw. (41) is configured to rotate in the other direction.

상기 회동바(44)는 일정 길이를 갖는 바 타입으로 일단부가 상기 힌지축(11)에 고정되어 상기 힌지축(11)과 일체로 회동되되, 상기 변기시트(10)가 상기 변기본체(1)에 안착된 위치에서 타단부가 상기 회전스크류(41)의 일단부에 위치되도록 배치되고 타단부에 상기 회전스크류(41)의 회전축과 동일선상으로 파여진 블록삽입홈(441)이 형성된 구성이다.The rotation bar 44 is a bar type having a certain length, and one end is fixed to the hinge shaft 11 and rotates integrally with the hinge shaft 11, and the toilet seat 10 is the toilet body 1 The other end is disposed so as to be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rotating screw 41 in the position seated on the other end, and a block insertion groove 441 dug in the same line with the rotating shaft of the rotating screw 41 is formed at the other end.

즉, 상기 회동바(44)는 상기 힌지축(11) 및 상기 변기시트(10)와 일체로 회동되는 구성으로 상기 변기시트(10)가 상기 변기본체(1)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회동바(44)가 구속되는 경우 상기 변기시트(10)는 상기 기립스프링(20)의 탄성력을 받더라도 세워지지 않게 된다.That is, the pivot bar 44 is configured to rotate integrally with the hinge shaft 11 and the toilet seat 10, and the pivot bar 44 is seated on the toilet body 1 while the toilet seat 10 is seated on the toilet body 1 . When 44 is restrained, the toilet seat 10 is not erected even if it receives the elastic force of the standing spring 20 .

상기 시간지연블록(45)은 전후 일정 길이를 갖고 상기 회전스크류(41)의 일단부 나사산(411)에 체결되어 상기 회전스크류(41)의 회전 방향에 따라 진퇴되는 구성이다.The time delay block 45 has a predetermined length before and after and is fastened to the thread 411 of one end of the rotating screw 41 to advance and retreat according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crew 41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시간지연블록(45)은 LM가이드(451)에 의해 전후 이동이 가이드되어 상기 회전스크류(41)가 회전되는 경우 상기 회전스크류(41)의 회전 방향에 따라 진퇴되도록 구성되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ime delay block 45 is guided forward and backward by the LM guide 451 so that when the rotating screw 41 is rotated, forward and backward according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crew 41 . was compos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스크류(41)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전진되며 상기 블록삽입홈(441)에 일정 깊이 삽입되어 상기 변기시트(10)가 상기 변기본체(1)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회동바(44)를 구속하게 된다.As shown in FIG. 2 , when the rotating screw 41 is rotated in one direction, it advances and is inserted to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block insertion groove 441 so that the toilet seat 10 is seated on the toilet body 1 . The rotation bar 44 is constrained in the .

또한, 상기 회전스크류(41)가 타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후퇴되며 상기 블록삽입홈(441)에의 삽입 깊이에 따라 상기 지연시간 동안 상기 회동바(44)의 구속을 유지하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부가 상기 블록삽입홈(441)에서 이탈되는 경우 상기 회동바(44)의 구속을 해제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rotating screw 41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it is retracted and maintains the constraint of the rotating bar 44 for the delay time according to the insertion depth into the block insertion groove 441, but shown in FIG. As shown, when the front end is separated from the block insertion groove 441, the restraint of the rotation bar 44 is released.

여기서, 상기 변기시트(10)가 상기 변기본체(1)에 안착되는 방향으로 회동되는 과정에서 회동되는 상기 회동바(44)와 전진되는 상기 시간지연블록(45)이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바(44)는 상기 시간지연블록(45)이 간섭되는 측면에 상기 시간지연블록(45)이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는 슬라이딩 개구부(442)가 상기 블록삽입홈(441)과 연통되게 형성된다.Here, in FIG. 4 so that the rotating bar 44 rotating while the toilet seat 10 is rotated in the direction to be seated on the toilet body 1 and the advancing time delay block 45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As shown, the rotation bar 44 has a sliding opening 442 into which the time delay block 45 can be slidably inserted into the side where the time delay block 45 interferes with the block insertion groove 441. formed in communication.

또한, 상기 슬라이딩 개구부(442)에는 상기 시간지연블록(45)의 슬라이딩 삽입은 가능하되 삽입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시간지연블록(45)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시간지연블록(45)이 접촉되는 면에 슬라이딩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시간지연블록의 삽입 외력에 의해 함몰 가능하고 탄성에 의해 돌출되는 탄성핀(443)이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time delay block 45 is in contact with the sliding opening 442 so that the time delay block 45 can be slidably inserted into the sliding opening 442 so as to prevent the departure of the time delay block 45 in the inserted state. A sliding inclined surface is formed on the surface, and an elastic pin 443 that can be depressed by an external force inserted by the time delay block and protrude by elasticity is provided.

상기 래칫 브레이크(46)는 상기 회전스크류(41)가 일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스크류(41)에 연결되되, 상기 착석감지센서부(30)에 사용자의 이석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회전스크류(41)가 타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스크류(41)에 연결이 해제되는 구성이다.The ratchet brake 46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screw 41 so that the rotating screw 41 can rotate in only one direction. 41) is configured to be disconnected from the rotation screw 41 so that it can be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즉, 상기 래칫 브레이크(46)는 상기 태엽스프링(43)이 감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착석감지센서부(30)에 사용자의 이석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태엽스프링(43)이 풀릴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That is, the ratchet brake 46 maintains the winding state of the spring spring 43, and when a user's otolith is detected by the seated sensor unit 30, the mainspring spring 43 can be released. is a configuration tha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래칫 브레이크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칫 휠(461)과, 폴(462)과, 브레이크바(46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tchet brake is configured to include a ratchet wheel 461, a pawl 462, and a brake bar 463 as shown in FIG.

상기 래칫 휠(461)은 상기 회전스크류(41)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스크류(41)와 일체로 회전되되, 외주면에 톱니가 형성된 구성이다.The ratchet wheel 461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rotating screw 41 to rotate integrally with the rotating screw 41, and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eeth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상기 폴(462)은 상기 래칫 휠(461)의 일방향으로의 회전은 허용하되, 상기 래칫 휠(461)의 타방향으로 회전은 구속하도록 상기 래칫 휠(461)의 톱니에 치합되는 구성이다.The pawl 462 is configured to mesh with the teeth of the ratchet wheel 461 to allow rotation of the ratchet wheel 461 in one direction, but restrict the rotation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ratchet wheel 461 .

상기 브레이크바(463)는 상기 폴(462)에 연결되고 상기 폴(462)이 상기 래칫 휠(461)에 치합 또는 이탈되도록 상기 래칫 휠(461)을 향해 진퇴 가능한 구성이다.The brake bar 463 is connected to the pawl 462 and is configured to advance and retreat toward the ratchet wheel 461 so that the pawl 462 is engaged with or separated from the ratchet wheel 461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브레이크바(46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착석감지센서부(30)로서의 푸쉬스위치(31)와 연동되어 진퇴 구동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eak bar 463 is driven forward and backward in conjunction with the push switch 31 as the seated seat sensor unit 30 as described above.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서 도시된 변기시트 자동 기립 장치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 automatic toilet seat standing apparatus described above and illustrated in the drawings is only one embodiment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and improved and chang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will be said that it falls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변기본체
10 변기시트
11 힌지축
20 기립스프링
30 착석감지센서부
40 회동지연부
41 회전스크류
42 회전력전달수단
43 태엽스프링
44 회동바
45 시간지연블록
46 래칫 브레이크
1 toilet bowl
10 toilet seat
11 hinge shaft
20 Standing spring
30 Seating detection sensor unit
40 rotation delay part
41 rotary screw
42 torque transmission means
43 winding spring
44 turn bar
45 time delay block
46 ratchet brake

Claims (3)

변기본체의 상부에 안착되고 후단부가 상기 변기본체에 힌지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힌지축과 일체로 회전되며 상하 회동 가능한 변기시트와;
상기 변기시트가 세워지는 방향으로 상기 변기시트를 탄성 지지하는 기립스프링과;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변기시트가 상기 변기본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변기시트에 사용자의 착석 또는 이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착석감지센서부와;
상기 착석감지센서부에 사용자의 이석이 감지되는 경우 정해진 지연시간 경과 후에 상기 기립스프링에 의해 상기 변기시트가 세워지도록 상기 지연시간 동안 상기 변기시트의 회동을 구속하는 회동지연부를; 포함하되,
상기 회동지연부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변기시트가 상기 변기본체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변기시트의 회동에 따른 상기 힌지축의 회전력을 태엽스프링의 탄성에너지로 변환하여 저장하였다가 상기 착석감지센서부에 사용자의 이석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태엽스프링에 저장된 탄성에너지를 상기 지연시간 동안 상기 변기시트의 회동을 구속하는데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시트 자동 기립 장치.
a toilet seat sea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toilet body and having a rear end connected to the toilet body by a hinge shaft to rotate integrally with the hinge shaft and to be rotatable up and down;
a standing spring elastically supporting the toilet sea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toilet seat is erected;
a seating detection sensor unit capable of detecting whether a user is seated or not on the toilet seat in a state in which the toilet seat is seated on the toilet body by an external force of the user;
a rotation delay unit configured to constrain rotation of the toilet seat during the delay time so that the toilet seat is erected by the standing spring after a predetermined delay time has elapsed when the seat sensor unit detects a user's otolith; including,
The rotation delay unit converts and store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hinge shaft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toilet seat into elastic energy of the spring spring when the toilet seat is seated on the toilet body by an external force of a user, and stores it in the seat detection sensor unit The automatic toilet seat stand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a user's otolith is detected, the elastic energy stored in the mainspring is used to restrict rotation of the toilet seat during the delay ti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지연부는, 상기 힌지축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일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회전스크류와, 상기 변기시트가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하강되는 경우 그에 따른 상기 힌지축의 일방향으로의 회전을 상기 회전스크류의 일방향으로의 회전으로 전달하되 상기 회전스크류의 타방향으로의 회전은 공전되도록 상기 힌지축과 상기 회전스크류를 연결하는 회전력전달수단과, 상기 회전스크류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스크류의 일방향의 회전에 의해 감기고 탄성력에 의해 풀리는 경우 상기 회전스크류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태엽스프링과, 일정 길이를 갖는 바 타입으로 일단부가 상기 힌지축에 고정되어 상기 힌지축과 일체로 회동되되 상기 변기시트가 상기 변기본체에 안착된 위치에서 타단부가 상기 회전스크류의 일단부에 위치되도록 배치되고 타단부에 상기 회전스크류의 회전축과 동일선상으로 파여진 블록삽입홈이 형성된 회동바와, 상기 회전스크류의 일단부 나사산에 체결되어 상기 회전스크류의 회전 방향에 따라 진퇴되되 상기 회전스크류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전진되며 상기 블록삽입홈에 일정 깊이 삽입되어 상기 변기시트가 상기 변기본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회동바를 구속하고 상기 회전스크류가 타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후퇴되며 상기 블록삽입홈에의 삽입 깊이에 따라 상기 지연시간 동안 상기 회동바의 구속을 유지하되 선단부가 상기 블록삽입홈에서 이탈되는 경우 상기 회동바의 구속을 해제할 수 있는 전후 일정 길이를 갖는 시간지연블록과, 상기 회전스크류가 일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스크류에 연결되되 상기 착석감지센서부에 사용자의 이석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회전스크류가 타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스크류에 연결이 해제되는 래칫 브레이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시트 자동 기립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rotation delay part includes a rotation screw disposed parallel to the hinge shaft and having a thread at one end, and when the toilet seat is lowered by an external force of a user, the rotation of the hinge shaft in one direction is performed in one direction of the rotation screw. a rotational force transmitting means connecting the hinge shaft and the rotational screw so that rotation of the rotational screw in the other direction is revolved, and is connected to the rotational screw and wound by rotation of the rotational screw in one direction and elastic force When loosened by a spring, a spring spring capable of rotating the rotating screw in another direction, and a bar ty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one end is fixed to the hinge shaft and rotated integrally with the hinge shaft, and the toilet seat is attached to the toilet body In the seated position, the other end is disposed so as to be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rotating screw and the other end is fastened to the screw thread of one end of the rotating bar and the other end is formed with a block insertion groove dug in the same line as the rotating shaft of the rotating screw. It advances and retreats according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crew, and advances when the rotating screw is rotated in one direction and is inserted to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block insertion groove to constrain the rotating bar while the toilet seat is seated on the toilet body, and the rotating screw When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it retracts and maintains the constraint of the rotation bar for the delay time according to the insertion depth into the block insertion groove, but when the tip part is separated from the block insertion groove, the restriction of the rotation bar can be released A time delay block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before and after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screw so that the rotating screw can be rotated only in one direction. and a ratchet brake disconnected from the rotating screw.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 브레이크는 상기 회전스크류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스크류와 일체로 회전되되 외주면에 톱니가 형성된 래칫 휠과, 상기 래칫 휠의 일방향으로의 회전은 허용하되 상기 래칫 휠의 타방향으로 회전은 구속하도록 상기 래칫 휠의 톱니에 치합되는 폴과, 상기 폴에 연결되고 상기 폴이 상기 래칫 휠에 치합 또는 이탈되도록 상기 래칫 휠을 향해 진퇴 가능한 브레이크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착석감지센서부는, 상기 변기시트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변기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변기시트에 착석하는 경우 사용자의 무게에 의해 눌리며 상기 브레이크바를 밀어 전진시키고 사용자가 상기 변기시트에서 이석하는 경우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며 상기 브레이크바를 당겨 후퇴시킬 수 있는 푸쉬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시트 자동 기립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The ratchet brake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rotating screw and rotates integrally with the rotating screw, and a ratchet wheel with teeth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rotation of the ratchet wheel in one direction is allowed but rotation of the ratchet wheel in the other direction is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awl meshed with the teeth of the ratchet wheel to constrain it, and a brake bar connected to the pawl and capable of advancing and retreating toward the ratchet wheel so that the pawl is meshed with or separated from the ratchet wheel,
The seating sensor unit is provided on the toilet body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oilet seat, and when the user is seated on the toilet seat, it is pressed by the weight of the user and pushes the break bar forward, and the user moves from the toilet seat to the toilet seat. An automatic toilet seat standing device comprising a push switch that is restored by an elastic force when the seat is moved and that can pull the break bar to retract.
KR1020210023479A 2021-02-22 2021-02-22 Automatic toilet seat standing device KR1025505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479A KR102550545B1 (en) 2021-02-22 2021-02-22 Automatic toilet seat stand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479A KR102550545B1 (en) 2021-02-22 2021-02-22 Automatic toilet seat stand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9964A true KR20220119964A (en) 2022-08-30
KR102550545B1 KR102550545B1 (en) 2023-07-03

Family

ID=83114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3479A KR102550545B1 (en) 2021-02-22 2021-02-22 Automatic toilet seat stand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0545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5137Y1 (en) * 2002-08-24 2002-11-18 양희권 A low bench opening device of a chamber-port
KR20080001743U (en) * 2008-05-23 2008-06-11 김필곤 Device for automatically lifting seat of lavatory
KR20080059840A (en) * 2006-12-26 2008-07-01 최규호 An open device for toilet sea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5137Y1 (en) * 2002-08-24 2002-11-18 양희권 A low bench opening device of a chamber-port
KR20080059840A (en) * 2006-12-26 2008-07-01 최규호 An open device for toilet seat
KR20080001743U (en) * 2008-05-23 2008-06-11 김필곤 Device for automatically lifting seat of lavato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0545B1 (en) 2023-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97160B2 (en) Hybrid towel dispenser
JP5863081B1 (en) Buttocks wiping device
US20070176041A1 (en) Automated toilet paper dispenser
US4573750A (en) Dispensing apparatus
KR950002384B1 (en) Toilet seat structure capable of automatically feeding a seat covering paper on a toilet-seat
US20090293183A1 (en) Automatic sanitary film dispensing system for toilet
KR20220119964A (en) Automatic toilet seat standing device
US10993592B2 (en) Device for automatically providing a disposable seating-surface cover for a toilet seat
CN204655316U (en) There is the electric wheelchair of toilet with automatic flushing
CN109864893B (en) Multi freedom patient vomiting auxiliary device
KR200481634Y1 (en) Toilet bowl having seat back and electrical cover
JP5995902B2 (en) Buttocks wiping device
CN116549009A (en) Support for heart ultrasonic examination
JP2011144623A (en) Buttocks wiping device
KR102418351B1 (en) Automatic Toilet Paper Ejection Apparatus
JP3152430U (en) Toilet seat with toilet lid that automatically changes direction
EP2135539A1 (en) Automatic sanitary film dispensing system for toilet
US6615411B2 (en) Toilet seat sanitary protector changer
CN218484439U (en) Intelligent closestool uses urine detection device
CN107119771B (en) Automatic flushing toilet
WO1999038427A1 (en) Toilet seat sanitary protector changer
CN220001616U (en) Paper hand protector for public toilet
CA2550357C (en) Hybrid towel dispenser
KR800001294B1 (en) Flushing device for water closet
KR200192349Y1 (en) The apparatus for winding hygiene sheet of a toilet s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