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9557A - Method of providing physical condition monitoring service - Google Patents

Method of providing physical condition monitoring ser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9557A
KR20220119557A KR1020220056146A KR20220056146A KR20220119557A KR 20220119557 A KR20220119557 A KR 20220119557A KR 1020220056146 A KR1020220056146 A KR 1020220056146A KR 20220056146 A KR20220056146 A KR 20220056146A KR 20220119557 A KR20220119557 A KR 20220119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erver
photo
information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61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94793B1 (en
Inventor
박미라
Original Assignee
뉴턴1665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뉴턴1665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뉴턴1665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56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4793B1/en
Publication of KR20220119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95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4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47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6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using a particular sensing technique
    • A61B5/1128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using a particular sensing technique using image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handling medical images, e.g. DICOM, HL7 or PAC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Phys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Rheumat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In a method for providing a physical condition monitoring service using a terminal and a server communicating with the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method for providing the physical condition monitoring service comprising: a photographing guide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of transmitting, by the photographing guide information, from the server to the terminal; and a photograph transmission step of transmitting a photograph file photographed through the terminal to the server.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having an effect of providing a correction result as a numerical value.

Description

신체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방법 {Method of providing physical condition monitoring service}Method of providing physical condition monitoring service

본 발명은 신체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a physical condition monitoring service.

신체에 골격 불균형이 있는 경우, 인장력과 압축력 및 비틀림 응력이 특정부위에 집중되게 되어 만성적인 통증이 생기거나 치아의 부정교합, 코골이, 수면무호흡, 비염, 안면 비대칭, 일자목 거북목 증후군, 척추 디스크, 사시 등 다양한 질환들이 발생할 수 있다.When there is a skeletal imbalance in the body, the tensile, compressive, and torsional stresses are concentrated in a specific area, resulting in chronic pain or tooth malocclusion, snoring, sleep apnea, rhinitis, facial asymmetry, straight neck turtle neck syndrome, spine Various diseases such as disc and strabismus can occur.

이를 위해, 골격과 관련된 의료기관인 치과나 정형외과 등에서 다양한 치료를 수행하고 있으며, 비의료기관에서도 마사지나 신체 교정 서비스를 다양하게 제공하고 있으며, 미디어의 발달에 따라 교정을 위한 개인 홈트레이닝도 갈수록 활성화되고 있다.To this end, various treatments are being performed in dentistry and orthopedic surgery, which are medical institutions related to the skeleton, and massage and body correction services are also provided in various non-medical institutions. have.

그러나, 신체 불균형이 해소되도록 완전히 교정하는데 상당한 시간(약 6개월에서 3년)이 걸리기 때문에 교정 효과를 사용자가 즉각적으로 인지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However, since it takes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about 6 months to 3 years) to completely correct the body imbalance so that the body imbalance is resolved,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immediately recognize the correction effect.

이를 위해, 기존에는 서비스 제공기관에서 주기적으로 신체를 카메라로 촬영하고 이를 컴퓨터에 저장해두고 필요할 때마다 이용자(환자, 서비스 수혜자)와 다른 의료기관에 사진을 제공하는 방식이 이용되어 왔다.To this end, conventionally, a method has been used in which a service provider periodically photographs a body with a camera, stores it in a computer, and provides the picture to users (patients, service beneficiaries) and other medical institutions whenever necessary.

이러한 방식은 서비스 제공자 입장에서 데이터 관리가 번거로우며, 이용자 입장에서는 본인의 신체 상태가 변화는 과정을 필요할 때마다 즉각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어려운 문제를 안고있다.In this method, data management is cumbersome from the service provider's point of view, and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it is difficult to immediately monitor the process of changing one's physical condition whenever necessary.

이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해 간단하게 이용자의 신체 상태를 촬영하고, 촬영된 사진을 통해 신체 상태를 분석하여 정보화하며, 분석된 정보 및 사진을 실시간으로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가 필요한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service that allows a user to simply photograph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using a mobile device, analyze the physical condition through the photographed picture, and convert it into information, and inquire about the analyzed information and photos in real time.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해 이용자의 신체 상태를 정확하게 촬영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n the prior art, and has an object of accurately photographing a user's body state using a mobile device.

또한, 본 발명은 촬영된 사진을 분석하여 교정 결과를 수치로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rrection result as a numerical value by analyzing a photographed photograph.

또한, 본 발명은 신체 불균형이 교정되는 누적적인 과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real-time monitoring of the cumulative process of correcting body imbalance.

또한, 본 발명은 개인의 신체 사진 및 분석결과를 누적적으로 저장하여 빅데이터화 함으로써, 이용자가 신체의 불편한 증상 또는 개선된 증상이 나타날 때 자신의 신체 변화 상태를 간헐적으로 관찰하는 것뿐만 아니라, 시간의 흐름에 따른 정기적인 신체 자료 수집으로 질병의 발현 시점과 원인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는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intermittently observes his or her body change state when the user's body uncomfortable symptoms or improved symptoms appear, but also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ore accurately identify the onset time and cause of disease by collecting physical data on a regular basis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disease.

또한, 발명은 성장기의 이용자에 적용하여, 성장 방향과 성장시 사건 사고들을 자료로 취합하여 질병 발생시 원인 발생시점을 유추할 수 있게 하여 치료 방법을 고안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invention aims to devise a treatment method by inferring the time of occurrence of a cause when a disease occurs by collecting the growth direction and events and accidents during growth by applying the invention to a growing us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와 통신하는 서버를 이용한 신체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촬영 가이드 정보가 상기 서버에서 상기 단말기로 송신되는 촬영 가이드 정보 전송 단계; 및 상기 단말기를 통해 촬영된 사진 파일이 상기 서버로 전송되는 사진 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방법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providing a physical condition monitoring service using a terminal and a server communicating with the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transmitting photographing guide information in which photographing guide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server to the terminal; and a photo transmission step of transmitting a photo file taken through the terminal to the server.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촬영 가이드 정보는 신체의 특정 부위와 매칭되는 가상의 가이드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photographing guide information may include a virtual guide line matching a specific part of the body.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신체 특정 부위는 구강, 치아, 안면 중 일부, 머리, 목, 팔, 다리, 엉덩이, 손 및 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specific body part may be at least one of an oral cavity, teeth, a part of the face, a head, a neck, an arm, a leg, a hip, a hand, and a foot.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상기 사진 파일이 분석되어 신체상태 정보로 가공되는 골격 상태 분석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server may further include a skeletal state analysis step in which the photo file is analyzed and processed into physical state information.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골격 상태 분석 단계에서는 상기 전송된 파일의 좌우 또는 상하 균형을 분석하거나, 기설정된 기준선으로부터 신체 일부분의 이격 정도를 분석하여 상기 신체상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in the skeletal state analysis step, the body state information may be extracted by analyzing left and right or vertical balance of the transmitted file or by analyzing the degree of separation of a body part from a preset reference line.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상기 사진 파일의 왜곡을 보정하는 왜곡 보정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distortion correction step of correcting distortion of the photo file in the server.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왜곡 보정 단계에서는 신체의 특징점 위치를 기준으로 왜곡을 보정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in the distortion correction step, the distortion may be corrected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feature point of the body.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특징점은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기계학습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feature point may be set by machine learning using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촬영 가이드 정보에 따라 누적적으로 촬영된 사진 파일이 상기 서버에서 상기 단말기로 전송되는 히스토리 전송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transmitting a history of transmitting a photo file that is accumulated according to the shooting guide information from the server to the terminal.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로 개인정보보호 동의 정보가 전송되는 개인정보보호 동의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consent step in which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consent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to the server.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해 이용자의 신체 상태를 정확하게 촬영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has an effect of accurately photographing a user's physical condition using a mobile device.

또한, 본 발명은 촬영된 사진을 분석하여 교정 결과를 수치로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oviding a correction result as a numerical value by analyzing a photographed photograph.

또한, 본 발명은 신체 불균형이 교정되는 누적적인 과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monitoring the cumulative process of correcting body imbalance in real time.

또한, 본 발명은 개인의 신체 사진 및 분석결과를 누적적으로 저장하여 빅데이터화 함으로써, 이용자가 신체의 불편한 증상 또는 개선된 증상이 나타날 때 자신의 신체 변화 상태를 간헐적으로 관찰하는 것뿐만 아니라, 시간의 흐름에 따른 정기적인 신체 자료 수집으로 질병의 발현 시점과 원인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intermittently observes his or her body change state when the user's body uncomfortable symptoms or improved symptoms appear, but also time Periodic collection of body data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disease has the effect of more accurately identifying the time of onset and the cause of the disease.

또한, 발명은 성장기의 이용자에 적용하여, 성장 방향과 성장시 사건 사고들을 자료로 취합하여 질병 발생시 원인 발생시점을 유추할 수 있게 하여 치료 방법을 고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invention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devise a treatment method by inferring the time of occurrence of a cause when a disease occurs by collecting the growth direction and events and accidents during growth as data by applying the invention to a user in the growth period.

도 1은 신체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방법을 구현하는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신체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방법을 구현하는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방법에 의해 신체 사진이 처리되는 플로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왜곡 보정 단계로, 머신러닝에 의해 신체 사진의 왜곡을 보정하는 플로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방법에 의해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것으로, 메인 페이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내지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방법에 의해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것으로, 사진 촬영을 가이드하는 페이지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13내지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방법에 의해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것으로, 신체 상태 정보를 누적적으로 제공하는 페이지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20은 이용자 개인 정보 보호 동의 절차에 관한 플로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1은 상기 이용자 개인 정보 보호 동의 절차가 디바이스를 통해 구현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ystem for implementing a method for providing a physical condition monitoring servic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implementing a method for providing a physical condition monitoring service.
3 illustrates a flow of processing a body photo by the method for providing a body condition monitor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stortion correction step, showing a flow of correcting the distortion of the body picture by machine learning.
5 is a view of a main page provided to a device by a method for providing a physical condition monitor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12 are provided to a device by the method for providing a physical condition monitor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 pages for guiding photo taking.
13 to 19 are diagrams of pages that are provided to a device by a method for providing a body condition monitor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pages that provide body condition information cumulatively.
2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use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consent procedure.
21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use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consent procedure is implemented through a devic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도 1은 상기 신체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신체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략도이다.First,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body condition monitoring syste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for providing the body condition monitoring ser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접속이 가능하며 정보를 저장하는 하는 서버(S),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서버(S)에 접속 가능한 단말기(A, B, C, D) 및, 상기 서버(S)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하는 건강보험공단 서버(E)를 포함할 수 있다.The body condi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rver (S) that can be accessed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stores information, and a terminal (A)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server (S)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 B, C, D) and, the server (S) may include a server (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또한 상기 단말기(A, B, C, D)는 이용자 단말기(A), 병원 단말기(B), 비의료기관 단말기(C) 및, 관리자 단말기(D)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inals (A, B, C, D) may include a user terminal (A), a hospital terminal (B), a non-medical institution terminal (C), and an administrator terminal (D).

이때, 이용자란 환자 또는 서비스 수혜자인 개인이 될 수 있으며, 병원은 상기 이용자에게 치료를 제공하는 기관이며, 비의료기관이란 상기 이용자에게 의료 외적으로 마사지 또는 신체 교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자를 의미하며, 관리자란 상기 서버(S)를 관리 통제하는 이를 의미한다.In this case, a user may be a patient or an individual who is a service beneficiary, a hospital is an institution that provides treatment to the user, and a non-medical institution means a health care service provider that provides massage or body correction services to the user outside of medical care And, the manager means a person who manages and controls the server (S).

또한, 상기 서버(S)에는 상기 이용자 단말기(A)와 상기 병원 단말기(B)와 상기 비의료기관 단말기(C) 및 관리자 단말기(D)가 필요에 따라 각각 다수 개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S) may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the user terminal (A), the hospital terminal (B), the non-medical institution terminal (C), and the manager terminal (D), respectively, as needed.

여기서, 상기 단말기(A, B, C, D)는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포함하며 유, 무선 인터넷 망을 통해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기기를 포함하는 일체의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terminals A, B, C, and D may mean including an integral unit including a device that includes a digital camera function and enables transmission through a wired or wireless Internet network.

즉, 인터넷에 통해 접속하기 위한 기기에 해당하며, 넓게는 각종 데이터를 입력하는 키보드와 마우스 등과 같은 입력장치, 모니터 및 프린터 등과 같은 출력장치, 모뎀이나 LAN 등과 같은 송수신장치, 마이크로프로세서나 그래픽 카드와 같은 처리장치 및 이들을 운용하거나 제어하는 각종 프로그램을 탑재한 저장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That is, it corresponds to a device for accessing through the Internet, and broadly, input devices such as a keyboard and mouse for inputting various data, output devices such as monitors and printers, transceivers such as modems or LANs, microprocessors or graphic cards, and the like. It may be composed of the same processing device and a storage device loaded with various programs for operating or controlling them.

이러한 일 예로, 개인 통신 단말기(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단말기, 개인 디지털 셀룰러 단말기(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스마트폰(Smart Phone), 텔레매틱스(Telematics), 무선 데이터 통신 단말기 및/또는 휴대 인터넷 단말, 개인 컴퓨터(Personal Computer) 및 노트북(Notebook) 등이 있다.For example, a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a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terminal, a personal digital cellular terminal (PDC), a personal handyphone system (PHS) terminal, a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smart phone (Smart Phone), telematics (Telematics), wireless data communication terminal and / or portable Internet terminal, personal computer (Personal Computer), notebook (Notebook) and the like.

한편, 상기 서버(S)의 개별 구성들을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Meanwhile, the individual configurations of the server 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below.

상기 서버(S)는 단말기(A, B, C, D)를 인식하는 단말기 인식부(91), 상기 단말기(A, B, C, D)로부터 사진 파일을 포함하는 파일을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92), 수신된 파일을 처리하여 신체상태 정보를 도출하는 연산부(93), 사진 파일과 신체상태 정보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저장부(94) 및, 사진 파일과 신체상태 정보를 단말기(A, B, C, D) 및 건강보험공단 서버(S)로 전송하는 정보 송신부(95)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rver S includes a terminal recognition unit 91 for recognizing terminals A, B, C, and D, and a dat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file including a photo file from the terminals A, B, C, and D ( 92), an operation unit 93 that processes the received file to derive body condition information, a storage unit 94 that accumulates and stores the photo file and body condition information, and stores the photo file and body condition information in the terminals A and B , C, D) and may include an information transmitter 95 for transmitting to the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server (S).

상기 서버(S)는 신체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방법 구현하기 위한 전용 시스템 및 유무선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 가상 파일 기반의 웹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The server S may be composed of a dedicated system and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or implementing the method for providing a body condition monitoring service, as well as being implemented through a virtual file-based web cloud service.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providing a physical condition monitor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방법은 촬영 가이드 정보가 상기 서버(S)에서 상기 단말기(A, B, C, D)로 송신되는 촬영 가이드 정보 전송 단계(S1) 및, 상기 단말기(A, B, C, D)를 통해 촬영된 사진 파일이 상기 서버(S)로 전송되는 사진 전송 단계(S2)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for providing a physical condition monitor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hotographing guide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1 in which photographing guide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server S to the terminals A, B, C, and D; It may include a photo transmission step (S2) of transmitting a photo file taken through the terminals (A, B, C, D) to the server (S).

상기 촬영 가이드 정보는 신체의 특정 부위와 매칭되는 가상의 가이드 라인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신체 특정 부위는 구강, 치아, 안면 중 일부(눈, 코, 입, 귀), 머리, 팔, 다리, 가슴, 목, 엉덩이, 손 및 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photographing guide information may include a virtual guide line that matches a specific part of the body, and the specific body part includes an oral cavity, teeth, a part of the face (eyes, nose, mouth, ears), head, arms, legs,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chest, neck, buttocks, hands, and feet.

따라서, 상기 단말기(A, B, C, D)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화면에 상기 가상의 가이드 라인이 제공되고, 이용자의 특정 신체 부위가 상기 가이드 라인과 정합성을 유지하도록 구도를 맞춰 촬영될 수 있다.Therefore, the virtual guide line is provided on the screen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of the terminals (A, B, C, D), and the user's specific body part can be photographed by composing it to maintain consistency with the guide line. have.

이는 별도의 전문 촬영장비 없이도 휴대폰 카메라만으로 신체 특정부위 사진을 분석 가능한 상태로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This has an excellent effect of allowing you to take pictures of specific parts of the body in a state that can be analyzed with only a mobile phone camera without a separate professional shooting equipment.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는 추후 도 6 내지 11에서 후술한다.A more specific embodiment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6 to 11 .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서버에서 상기 사진 파일의 왜곡을 보정하는 왜곡 보정 단계(S3)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method for providing a physical condition monitor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istortion correction step (S3) of correcting distortion of the photo file in the server.

상기 왜곡 보정 단계(S3)는 카메라에 의해 신체가 촬영될 때, 카메라와 신체부위가 가까운 경우 렌즈에 의해 사진 외측에 발생하는 왜곡을 정상적으로 보정하는 단계에 해당한다.The distortion correction step (S3) corresponds to a step of normally correcting distortion occurring on the outside of the picture by the lens when the camera and the body part are close when the body is photographed by the camera.

즉, 사진의 중앙부는 정확하게 촬영된 상태일 수 있으나, 상기 단말기가 전문 신체 사진 촬영장비가 아닌 만큼 사진의 외측은 렌즈의 굴곡에 의해 뒤틀리거나 비정상적인 비율로 확장될 수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상기 왜곡 보정 단계(S3)가 해결할 수 있다.That is, the central part of the picture may be accurately captured, but the outside of the picture may be distorted by the curvature of the lens or expanded at an abnormal ratio as the terminal is not a professional body picture recording device, and this problem is corrected for the distortion Step S3 can solve it.

특히, 구강내 촬영 같은 경우는 카메라 렌즈와 촬영부위가 근접한 상태를 유지할 수 밖에 없어 사진의 왜곡이 더 심화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보다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intraoral photography, the camera lens and the photographing site have no choice but to maintain a close state, so the distortion of the picture may be further aggravated. In this case, it can be applied more effectively.

상기 왜곡 보정 단계(S3)는 추후 도 4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distortion correction step ( S3 )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 4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서버(S)에서 상기 사진 파일이 분석되어 신체상태 정보로 가공되는 골격 상태 분석 단계(S4) 및, 왜곡이 보정된 사진 파일과 가공된 신체 상태 정보가 상기 저장부(94)에 누적적으로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 단계(S5)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for providing a physical condition monitor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keletal state analysis step (S4) in which the photo file is analyzed and processed into body state information in the server (S), and a distortion-corrected photo file and processing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data storage step (S5) of accumulatively storing the obtained body state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94 .

상기 골격 상태 분석 단계에서는 상기 연산부(93)가 왜곡이 보정된 사진 파일의 좌우 또는 상하 균형을 분석하여 신체의 골격 균형 상태를 수치화할 수 있다.In the skeletal state analysis step, the calculator 93 may quantify the skeletal balance state of the body by analyzing the left-right or vertical balance of the distortion-corrected photo file.

또한, 상기 골격 상태 분석 단계에서는 기설정된 기준선으로부터 신체 일부분의 이격 정도를 분석하여 상기 신체상태 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skeletal state analysis step, the body state information may be extracted by analyzing the degree of separation of the body part from a preset reference line.

예를 들어 거북목 환자의 경우 기설정된 기준선이 목과 발을 잇는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안면이 이격된 정도를 분석하여 돌출 정도를 수치화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turtle neck patient, the degree of protrusion can be quantified by analyzing the degree of facial separation based on the virtual line connecting the neck and the foot with the preset reference line.

이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서버(S)에서 상기 건강보험공단 서버(E)로 왜곡이 보정된 사진 파일과 가공된 신체 상태 정보가 전달되는 데이터 업로드 단계(S6) 및, 상기 서버(S)에서 상기 단말기(A, B, C, D)로 왜곡이 보정된 사진 파일과 가공된 신체 상태 정보가 전달되는 히스토리 전송 단계(S7)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reafter, the method for providing a physical condition monitor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 upload step in which a distortion-corrected photo file and processed body condition information are transmitted from the server (S) to the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server (E). (S6) and, a history transmission step (S7) of transmitting the distortion-corrected photo file and processed body state information from the server (S) to the terminals (A, B, C, D) may be further included. .

상기 왜곡이 보정된 사진 파일과 가공된 신체 상태 정보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누적적으로 저장될 수 있으며, 저장된 정보는 상기 히스토리 전송 단계(S7)를 통해 이용자와 병원과 비의료기관과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조회할 수 있다.The distortion-corrected photo file and the processed body state information can be stored cumulatively over time, and the stored information can be stored in real time by users, hospitals, non-medical institutions, and managers through the history transmission step (S7). can be viewed.

또한, 상기 데이터 업로드 단계(S6)를 통해 이용자의 정보가 상기 건강보험공단 서버(E)로 전송됨으로써, 의료관련 기록을 상기 건강보험공단에서 조회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user's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server (E) through the data upload step (S6), so that the medical records can be inquired from the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도 4는 상기 왜곡 보정 단계(S3)의 세부 플로우로, 상기 왜곡 보정 단계(S3)에서는 신체의 특징점 위치를 기준으로 왜곡을 보정할 수 있다.4 is a detailed flow of the distortion correction step ( S3 ). In the distortion correction step ( S3 ), the distortion may be corrected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characteristic point of the body.

상기 신체의 특징점은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기계학습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서버(S)를 운용하는 컴퓨터에서는 훈련 사진을 인공신경망에 입력할 수 있다.The characteristic points of the body may be set by machine learning using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a computer operating the server S may input a training picture to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이때 훈련 사진은 체스보드를 포함하지 않는 사진일 수도 있다. 즉, 신체 사진과 유사한 훈련 사진을 이용하여 영상 자체에서 특징점을 찾는 것이다. (P1)In this case, the training picture may be a picture that does not include the chess board. That is, it is to find feature points in the image itself using training photos similar to body photos. (P1)

상기 서버(S)를 운용하는 컴퓨터는 입력 사진에서 특징점을 출력하도록 인공신경망을 학습하거나, 인공신경망은 복수의 사진에서 서로 매칭되는 특징 벡터를 출력하도록 학습할 수도 있다.The computer operating the server S may learn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to output feature points from the input photo, or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may learn to output matching feature vectors from a plurality of photos.

이후, 전달된 인공신경망(P3)은 입력된 사진에 대한 특징 벡터(특징점)를 출력할 수 있다(P3). 특징점의 경우 신체 일부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구강의 경우 앞니나 어금니 또는 혀의 외주부 중 일부가 될 수 있다.Thereafter, the delivered artificial neural network P3 may output a feature vector (feature point) for the input photo (P3). In the case of the feature point, it may be a part of the body,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oral cavity, it may be a part of the incisors, molars, or the outer periphery of the tongue.

이후, 인공신경망은 사진에 대한 특징 벡터를 기준으로 입력 사진에서 매칭되는 특징점을 찾고, 서로 매칭되는 특징점을 기준으로 영상의 왜곡을 보정할 수 있다. (P4)Thereafter,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may find matching feature points in the input photo based on the feature vector for the photo, and correct image distortion based on the matching feature points. (P4)

이에 따라, 어안렌즈로 촬영된 사진의 왜곡이 효과적으로 보정될 수 있으며, 사진 파일이 누적됨에 따라 기계학습에 의해 왜곡 보정 수준이 기하급수적으로 높아질 수 있다.Accordingly, the distortion of the photo taken with the fisheye lens can be effectively corrected, and as the photo files are accumulated, the distortion correction level can be increased exponentially by machine learning.

도 5는 전술한 신체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방법 플로우가 상기 단말기(A, B, C, D)의 웹/어플리케이션 통해 구현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5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above-described method for providing a physical condition monitoring service is implemented through the web/application of the terminals A, B, C, and D. Referring to FIG.

상기 단말기(A, B, C, D)의 디스플레이에는 제공 서비스가 나열된 메인 페이지(1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페이지(11)에는 사진촬영 선택 영역(111), 촬영된 사진 및 신체상태 정보를 조회하는 히스토리 선택 영역(112)이 서로 구획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display of the terminals A, B, C, and D may include a main page 11 listing provided services, and the main page 11 includes a photo shooting selection area 111, a photographed picture and a physical condition. The history selection areas 112 for inquiring information may b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상기 사진촬영 선택 영역(111)이 선택되면,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는 도 6에 도시된 촬영 부위 선택 페이지(21)로 전환될 수 있다.When the photographing selection area 111 is selected, the display of the terminal may be switched to the photographing portion selection page 21 shown in FIG. 6 .

상기 촬영 부위 선택 페이지(21)에는 구강선택 영역(211), 치아선택 영역(212), 안면선택 영역(213), 전신선택 영역(214), 운동성선택 영역(215) 및, 성장선택 영역(216)이 서로 구획되어 배치될 있다.The photographing site selection page 21 includes an oral selection area 211 , a tooth selection area 212 , a face selection area 213 , a whole body selection area 214 , a movement selection area 215 , and a growth selection area 216 . ) may b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여기서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특정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촬영 가이드 정보 전송 단계(S1)가 진행될 수 있다.Here, when a specific area is selected by the terminal user, the photographing guide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1 may proceed.

먼저, 상기 구강선택 영역(211)이 선택된 경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는 도 7에 도시된 구강 사진 업로드 페이지(22)로 전환될 수 있다.First, when the oral selection area 211 is selected, the display of the terminal may be switched to the oral photo upload page 22 shown in FIG.

상기 구강 사진 업로드 페이지(22)에는 구강 사진 촬영 가이드 영역(222) 및 구강 사진 업로드 영역(221)이 서로 구획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구강 사진 촬영 가이드 영역(222)에는 구강 구조에 맞는 가상의 가이드 라인이 제공될 수 있다.In the oral photograph upload page 22, an oral photographing guide area 222 and an oral photographing uploading area 221 may b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and disposed, and the oral photographing guide area 222 has a virtual virtual image suitable for the oral structure. Guidelines may be provided.

이에 따라, 단말기 사용자는 상기 가상의 가이드 라인을 따라 구강 내부 사진을 촬영하고, 상기 구강 사진 업로드 영역(221)을 통해 사진 전송 단계(S2)가 진행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terminal user may take a picture of the inside of the oral cavity along the virtual guideline, and the picture transmission step S2 may proceed through the oral picture upload area 221 .

다음으로, 상기 치아선택 영역(212)이 선택된 경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는 도 8에 도시된 치아 사진 업로드 페이지(23)로 전환될 수 있다.Next, when the tooth selection area 212 is selected, the display of the terminal may be switched to the tooth photo upload page 23 shown in FIG. 8 .

상기 치아 사진 업로드 페이지(23)에는 치아 사진 촬영 가이드 영역(232) 및 치아 사진 업로드 영역(231)이 서로 구획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치아 사진 촬영 가이드 영역(232)에는 치아 구조에 맞는 가상의 가이드 라인이 제공될 수 있다.A tooth photographing guide area 232 and a tooth photographing uploading area 231 may b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on the tooth photograph upload page 23, and the tooth photographing guide area 232 includes a virtual virtual image suitable for the tooth structure. Guidelines may be provided.

이에 따라, 단말기 사용자는 상기 가상의 가이드 라인을 따라 치아 전면 사진을 촬영하고, 상기 치아 사진 업로드 영역(232)을 통해 사진 전송 단계(S2)가 진행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terminal user may take a picture of the front of the tooth along the virtual guide line, and transmit the picture through the tooth picture upload area 232 ( S2 ).

그 다음, 상기 안면선택 영역(213)이 선택된 경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는 도 9에 도시된 안면 사진 업로드 페이지(24)로 전환될 수 있다.Then, when the face selection area 213 is selected, the display of the terminal may be switched to the face photo upload page 24 shown in FIG. 9 .

상기 안면 사진 업로드 페이지(24)에는 안면 사진 촬영 가이드 영역(242) 및 안면 사진 업로드 영역(241)이 서로 구획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안면 사진 촬영 가이드 영역(242)에는 안면 구조에 맞는 가상의 가이드 라인이 제공될 수 있다.In the face photo upload page 24, a face photo taking guide area 242 and a face photo upload area 241 may b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and arranged, and the face photo taking guide area 242 includes a virtual virtual image that fits the structure of the face. Guidelines may be provided.

이에 따라, 단말기 사용자는 상기 가상의 가이드 라인을 따라 안면 사진을 촬영하고, 상기 안면 사진 업로드 영역(242)을 통해 사진 전송 단계(S2)가 진행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terminal user may take a face picture along the virtual guide line and transmit the picture through the face picture upload area 242 ( S2 ).

또한, 상기 전신선택 영역(214)이 선택된 경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는 도 10에 도시된 전신 사진 업로드 페이지(25)로 전환될 수 있다.Also, when the whole body selection area 214 is selected, the display of the terminal may be switched to the full body photo upload page 25 shown in FIG. 10 .

상기 전신 사진 업로드 페이지(25)에는 전신 사진 촬영 가이드 영역(252) 및 전신 사진 업로드 영역(251)이 서로 구획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전신 사진 촬영 가이드 영역(252)에는 전신 구조에 맞는 가상의 가이드 라인이 제공될 수 있다.On the whole-body photo upload page 25, a whole-body photo taking guide area 252 and a whole-body photo upload area 251 may b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and disposed, and the whole-body photo taking guide area 252 contains a virtual virtual image suitable for the whole body structure. Guidelines may be provided.

이에 따라, 단말기 사용자는 상기 가상의 가이드 라인을 따라 전신 사진을 촬영하고, 상기 전신 사진 업로드 영역(252)을 통해 사진 전송 단계(S2)가 진행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terminal user may take a full-body picture along the virtual guideline, and transmit the picture through the whole-body picture upload area 252 ( S2 ).

다음으로, 상기 운동성선택 영역(215)이 선택된 경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는 도 11에 도시된 운동성 사진 업로드 페이지(26)로 전환될 수 있다.Next, when the exercise selection area 215 is selected, the display of the terminal may be switched to the exercise photo upload page 26 shown in FIG. 11 .

운동성 측정의 경우, 이용자가 걷거나 기립하거나 착석하는 등 신체를 움직이는 과정에서 무게중심이 형성되는 부분을 파악하고, 신체 균형 정도를 측정하는 것에 해당한다.In the case of mobility measurement, it corresponds to determining the part where the center of gravity is formed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body, such as walking, standing, or sitting, and measuring the degree of body balance.

즉, 골격에 불균형이 발생한 경우 움직이는 과정에서 무게중심이 비정상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현상을 시각화 및 수치화하기 위함이다.That is, when an imbalance occurs in the skeleton, the center of gravity may be abnormally formed in the course of movement, in order to visualize and quantify this phenomenon.

이를 위해, 상기 운동성 사진 업로드 페이지(26)에는 운동성 사진 촬영 가이드 영역(262) 및 운동성 사진 업로드 영역(261)이 서로 구획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운동성 사진 촬영 가이드 영역(262)에는 걷거나 기립/착석 중인 신체 상태 맞는 가상의 가이드 라인이 제공될 수 있다.To this end, in the exercise photo upload page 26, an exercise photo taking guide area 262 and an exercise photo upload area 261 may b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and the exercise photo taking guide area 262 includes walking or standing / A virtual guideline suitable for the state of the body being seated may be provided.

이에 따라, 단말기 사용자는 상기 가상의 가이드 라인을 따라 운동성 사진을 촬영하고, 상기 운동성 사진 업로드 영역(262)을 통해 사진 전송 단계(S2)가 진행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terminal user may take an exercise picture along the virtual guideline and transmit the picture through the exercise picture upload area 262 ( S2 ).

다음으로, 상기 성장선택 영역(216)이 선택된 경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는 도 12에 도시된 성장 사진 업로드 페이지(27)로 전환될 수 있다.Next, when the growth selection area 216 is selected, the display of the terminal may be switched to the growth photo upload page 27 shown in FIG. 12 .

이를 위해, 상기 성장 사진 업로드 페이지(27)에는 성장 사진 촬영 가이드 영역(272) 및 성장 사진 업로드 영역(271)이 서로 구획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성장 사진 촬영 가이드 영역(272)에는 상기 구강/치아/안면/전신/운동성 촬영을 가이드하는 가상의 가이드 라인들이 배치될 수 있고, 도 12에는 경우 전신 촬영에 관한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To this end, the growth photo upload page 27 may have a growth photo taking guide area 272 and a growth photo uploading area 271 partitioned from each other, and the growth photo taking guide area 272 includes the oral / Virtual guide lines for guiding dental/facial/full body/motor imaging may be disposed, and FIG. 12 shows an example of a case of whole body imaging.

이에 따라, 단말기 사용자는 상기 가상의 가이드 라인을 따라 성장 사진을 촬영하고, 상기 성장 사진 업로드 영역(272)을 통해 사진 전송 단계(S2)가 진행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terminal user may take a growth picture along the virtual guideline, and the picture transmission step S2 may proceed through the growth picture upload area 272 .

한편, 상기 메인 페이지(11)에서 상기 히스토리 선택 영역(112)이 선택되면,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는 도 13에 도시된 히스토리 선택 페이지(31)로 전환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history selection area 112 is selected on the main page 11 , the display of the terminal may be switched to the history selection page 31 shown in FIG. 13 .

상기 히스토리 선택 페이지(31)에는 구강 상태 조회 영역(311), 치아 상태 조회 영역(312), 안면 상태 조회 영역(313), 전신 상태 조회 영역(314), 운동성 상태 조회 영역(315) 및, 성장 상태 조회 영역(316)이 서로 구획되어 배치될 있다.In the history selection page 31, an oral condition inquiry area 311, a dental condition inquiry area 312, a facial condition inquiry area 313, a whole body condition inquiry area 314, a motility state inquiry area 315, and growth The status inquiry areas 316 may b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여기서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특정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히스토리 전송 단계(S7)가 진행될 수 있다.Here, when a specific area is selected by the terminal user, the history transmission step (S7) may proceed.

먼저, 상기 히스토리 선택 페이지(31)에서 상기 구강 상태 조회 영역(311)이 선택된 경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는 도 14에 도시된 구강 히스토리 페이지(32)로 전환될 수 있다.First, when the oral condition inquiry area 311 is selected on the history selection page 31 , the display of the terminal may be switched to the oral history page 32 shown in FIG. 14 .

상기 구강 히스토리 페이지(32)에는 시간의 순서에 의해 나열된 구강 사진을 제공하는 구강 사진 영역(321) 및, 구강 상태 분석 영역(322)이 서로 구획되어 배치될 수 있다.In the oral history page 32, an oral photo area 321 and an oral condition analysis area 322 providing oral photos listed in the order of time may b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and disposed.

상기 구강 상태 분석 영역(322)에는 구강 내부의 좌우 균형 정도 및, 치열 고르기에 관한 정보가 수치화되어 제공될 수 있다.In the oral condition analysis area 322 , information on the degree of left-right balance in the oral cavity and even teeth may be numerically provided.

다음으로, 상기 히스토리 선택 페이지(31)에서 상기 치아 상태 조회 영역(312)이 선택된 경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는 도 15에 도시된 치아 히스토리 페이지(33)로 전환될 수 있다.Next, when the tooth condition inquiry area 312 is selected on the history selection page 31 , the display of the terminal may be switched to the tooth history page 33 shown in FIG. 15 .

상기 치아 히스토리 페이지(33)에는 시간의 순서에 의해 나열된 치아 사진을 제공하는 치아 사진 영역(331) 및, 치아 상태 분석 영역(332)이 서로 구획되어 배치될 수 있다.In the tooth history page 33 , a tooth photo area 331 providing dental photos arranged in chronological order and a tooth condition analysis area 332 may b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and disposed.

상기 치아 상태 분석 영역(332)에는 치아 좌우 균형 정도 및, 배치상태에 관한 정보가 수치화되어 제공될 수 있다.In the tooth condition analysis area 332 , information regarding the degree of left-right balance and the arrangement state of teeth may be numerically provided.

또한, 상기 히스토리 선택 페이지(31)에서 상기 안면 상태 조회 영역(313)이 선택된 경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는 도 16에 도시된 안면 히스토리 페이지(34)로 전환될 수 있다.Also, when the facial state inquiry area 313 is selected on the history selection page 31 , the display of the terminal may be switched to the facial history page 34 shown in FIG. 16 .

상기 안면 히스토리 페이지(34)에는 시간의 순서에 의해 나열된 안면 사진을 제공하는 안면 사진 영역(341) 및, 안면 상태 분석 영역(342)이 서로 구획되어 배치될 수 있다.On the face history page 34 , a face photo area 341 providing face pictures listed in chronological order and a facial condition analysis area 342 may b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and disposed.

상기 안면 상태 분석 영역(342)에는 안면 좌우 균형 정도 및, 하악의 돌출 정도에 관한 정보가 수치화되어 제공될 수 있다.In the facial condition analysis area 342 , information regarding the degree of left-right balance of the face and the degree of protrusion of the mandible may be numerically provided.

다음으로, 상기 히스토리 선택 페이지(31)에서 상기 전신 상태 조회 영역(314)이 선택된 경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는 도 17에 도시된 전신 히스토리 페이지(35)로 전환될 수 있다.Next, when the whole body state inquiry area 314 is selected on the history selection page 31, the display of the terminal may be switched to the whole body history page 35 shown in FIG.

상기 전신 히스토리 페이지(35)에는 시간의 순서에 의해 나열된 전신 사진을 제공하는 전신 사진 영역(351) 및, 전신 상태 분석 영역(352)이 서로 구획되어 배치될 수 있다.In the whole body history page 35 , a whole body photo area 351 providing full body pictures listed in chronological order and a whole body state analysis area 352 may b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and disposed.

상기 전신 상태 분석 영역(352)에는 전신 좌우 균형 정도 및, 머리의 전방 돌출 정도 및, 몸의 기울기 등에 관한 정보가 수치화되어 제공될 수 있다.In the whole body state analysis area 352 , information on the degree of left-right balance of the whole body, the degree of forward protrusion of the head, and the inclination of the body may be numerically provided.

다음으로, 상기 히스토리 선택 페이지(31)에서 상기 운동성 상태 조회 영역(315)이 선택된 경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는 도 18에 도시된 운동성 히스토리 페이지(36)로 전환될 수 있다.Next, when the exercise state inquiry area 315 is selected on the history selection page 31 , the display of the terminal may be switched to the exercise history page 36 shown in FIG. 18 .

상기 운동성 히스토리 페이지(36)에는 시간의 순서에 의해 나열된 운동성 사진을 제공하는 운동성 사진 영역(361) 및, 운동성 상태 분석 영역(362)이 서로 구획되어 배치될 수 있다.In the exercise history page 36 , a kinetic photo area 361 providing kinetic photos listed in chronological order and a motility state analysis area 362 may b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and disposed.

상기 운동성 상태 분석 영역(362)에는 운동상태에서의 무게중심, 무게중심으무부터 특정부위의 이격 정도, 몸의 기울기 등에 관한 정보가 수치화되어 제공될 수 있다.In the movement state analysis area 362, information on the center of gravity in the movement state, the degree of separation of a specific part from the center of gravity, the inclination of the body, etc. may be numerically provided.

다음으로, 상기 히스토리 선택 페이지(31)에서 상기 성장 상태 조회 영역(316이 선택된 경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는 도 19 도시된 성장 히스토리 페이지(36)로 전환될 수 있다.Next, when the growth status inquiry area 316 is selected on the history selection page 31 , the display of the terminal may be switched to the growth history page 36 shown in FIG. 19 .

상기 성장 히스토리 페이지(36)에는 시간의 순서에 의해 나열된 성장 사진을 제공하는 성장 사진 영역(361) 및, 성장 상태 분석 영역(362)이 서로 구획되어 배치될 수 있다.In the growth history page 36 , a growth photo area 361 providing growth photos arranged in chronological order and a growth state analysis area 362 may b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and disposed.

따라서, 상기 성장 히스토리 페이지(36)를 통해 성장 정도와 성장 방향과 성장시 불균형 등 다수의 신체 상태에 대한 자료가 취합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질병 발생시 원인 발생시점을 유추할 수 있도록 하여 생애주기 전반 걸친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Therefore, through the growth history page 36, data on a number of physical conditions such as the growth degree, growth direction, and imbalance during growth can be collected and provided, which in turn makes it possible to infer the time of occurrence of a cause when a disease occurs. It enables management throughout the life cycle.

상술한 구성에 따라. 이용자와 병원 및 비의료기관은 이용자의 수치화된 교정 경과를 즉각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보다 효율적으로 신체 교정을 가이드할 수 있고, 신체에 관한 빅데이터를 쉽게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Users, hospitals and non-medical institutions can immediately monitor the progress of numerical correction of users, guide body correction more efficiently, and have the advantage of easily securing big data about the body.

한편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방법은 이용자 개인정보보호 동의 단계(T1, T2)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19 , the method for providing a physical condition monitor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steps of consenting to user privacy protection (T1, T2).

상기 개인정보보호 동의 단계(T1, T2)는 상기 병원 단말기(B)와 상기 서버(S) 그리고, 상기 비의료기관 단말기(C)와 상기 서버(S) 사이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히스토리 전송 단계(S7) 또는 상기 사진 전송 단계(S2)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consent step (T1, T2) may be performed between the hospital terminal (B) and the server (S), and between the non-medical institution terminal (C) and the server (S), and the history transmission step ( S7) or before the photo transmission step (S2).

이는, 이용자의 신체 사진을 업로드하거나 조회하기 전 이용자의 정보를 외부에 유출하지 않도록 동의를 받는 플로우로 민감한 의료 정보를 보호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protect sensitive medical information by obtaining consent before uploading or inquiring a user's body photo so that the user's information is not leaked to the outside.

도 20을 참조하면,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개인 정보 보호 동의 페이지(41)가 도시된 것을 볼 수 있다.Referring to FIG. 20 , it can be seen that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greement page 41 is shown on the display of the terminal.

상기 개인 정보 보호 동의 페이지(41)에는 개인정보 유출 금지 안내문이 담긴 안내 영역(411)과, 동의 영역(412) 및 미동의 영역(413)이 서로 구획되어 배치될 수 있다.A guide area 411 containing a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prohibition notice, a consent area 412 and a non-consent area 413 may b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on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consent page 41 .

이에 따라, 상기 동의 영역(412)이 선택되면 상기 상기 개인정보보호 동의 단계(T1, T2)가 진행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consent area 412 is selected,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consent steps T1 and T2 may proceed.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효과라도, 본 발명은 상술한 각각의 구성들이 다른 효과를 추가적으로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상술한 각각의 구성들간 유기적인 결합관계에 따라 종래기술에서 볼 수 없는 새로운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Even if the effect is not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itionally have different effects of each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and derive a new effect that cannot be seen in the prior art according to the organic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above-described respective components. can do.

아울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이 다른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청구된 구성을 포함하여 실시되거나 균등범위 내에서 실시되는 경우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n other forms, and when implemented including the configura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implemented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it should be considered to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omething to do.

서버 S 이용자 단말기 A 병원 단말기 B 비의료기관 단말기 C
관리자 단말기 D 건강보험공단 서버 E
Server S User terminal A Hospital terminal B Non-medical institution terminal C
Manager Terminal D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Server E

Claims (3)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와 통신하는 서버를 이용한 신체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촬영 가이드 정보가 상기 서버에서 상기 단말기로 송신되는 촬영 가이드 정보 전송 단계;
상기 단말기를 통해 촬영된 사진 파일이 상기 서버로 전송되는 사진 전송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사진 파일이 분석되어 신체상태 정보로 가공되는 골격 상태 분석 단계;
가공된 신체상태 정보가 상기 서버에 누적적으로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 단계; 및
상기 촬영 가이드 정보에 따라 누적적으로 촬영된 사진 파일과, 상기 골격 상태 분석 단계에서 가공된 신체 상태 정보가 상기 서버에서 상기 단말기로 전송되는 히스토리 전송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골격 상태 분석 단계에서 가공되어 상기 단말기에 제공되는 상기 신체 상태 정보는 상기 촬영된 사진 파일에 나타난 신체의 좌우 대칭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가 포함된 신체 균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를 통해 촬영된 사진 파일과 그에 대응되는 상기 좌우 대칭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를 포함하는 신체 균형 정보는 신체의 좌우 균형상태의 변화를 하나의 페이지에서 확인가능하도록 사진 촬영된 시간의 순서에 따라 순차 나열되어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제공되고,
상기 신체 특정 부위는
구강, 치아, 안면 및 몸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방법.
A method for providing a body condition monitoring service using a terminal and a server communicating with the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a shooting guide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in which shooting guide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server to the terminal;
a photo transmission step of transmitting a photo file taken through the terminal to the server;
a skeletal state analysis step of analyzing the photo file in the server and processing it into body state information;
a data storage step of accumulatively storing processed body state information in the server; and
A history transmission step in which the photo files accumulated according to the shooting guide information and the body state information processed in the skeletal state analysis step are transmitted from the server to the terminal;
The body state information processed in the skeletal state analysis step and provided to the terminal includes body balance information including a numerical value indicating the degree of left-right symmetry of the body shown in the photographed photo file,
The body balance information including the photo file taken through the terminal and the numerical value indicating the degree of left-right symmetry corresponding thereto is sequential in the order of the time the photos were taken so that the change in the left-right balance state of the body can be checked on one page are listed and provided on the display of the terminal,
The specific part of the body is
A method for providing a physical condition monitoring service, comprising the oral cavity, teeth, face and trun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가이드 정보는
신체의 특정 부위와 매칭되는 가상의 가이드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골격 상태 분석 단계에서는
상기 전송된 파일의 상하 균형을 분석하거나, 기설정된 기준선으로부터 신체 일부분의 이격 정도를 분석하여 상기 신체상태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hooting guide information is
Includes a virtual guideline that matches a specific part of the body,
In the skeletal state analysis step,
A method for providing a body condition monitoring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body condition information is extracted by analyzing the vertical balance of the transmitted file or by analyzing the degree of separation of a body part from a preset reference l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상기 사진 파일의 왜곡을 보정하는 왜곡 보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방법.
According to claim 1,
Distortion correction step of correcting the distortion of the photo file in the server; Physical condition monitoring service provid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a.
KR1020220056146A 2019-11-25 2022-05-06 Method of providing physical condition monitoring service KR1025947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6146A KR102594793B1 (en) 2019-11-25 2022-05-06 Method of providing physical condition monitoring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784A KR20210063999A (en) 2019-11-25 2019-11-25 Method of providing physical condition monitoring service
KR1020220056146A KR102594793B1 (en) 2019-11-25 2022-05-06 Method of providing physical condition monitoring servi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2784A Division KR20210063999A (en) 2019-11-25 2019-11-25 Method of providing physical condition monitoring ser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9557A true KR20220119557A (en) 2022-08-30
KR102594793B1 KR102594793B1 (en) 2023-11-10

Family

ID=7637288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2784A KR20210063999A (en) 2019-11-25 2019-11-25 Method of providing physical condition monitoring service
KR1020220056146A KR102594793B1 (en) 2019-11-25 2022-05-06 Method of providing physical condition monitoring servic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2784A KR20210063999A (en) 2019-11-25 2019-11-25 Method of providing physical condition monitoring ser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10063999A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7005A (en) * 2015-11-16 2017-05-24 김종호 Method for rating static or dynamic posture and application executable device performing the same
KR20180015858A (en) * 2016-08-04 2018-02-14 주식회사 케이티 Server and method for analyzing body type and user device
KR20190048614A (en) * 2017-10-31 2019-05-0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pose
KR20190063130A (en) * 2017-11-29 2019-06-07 박창혁 Smart mirr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7005A (en) * 2015-11-16 2017-05-24 김종호 Method for rating static or dynamic posture and application executable device performing the same
KR20180015858A (en) * 2016-08-04 2018-02-14 주식회사 케이티 Server and method for analyzing body type and user device
KR20190048614A (en) * 2017-10-31 2019-05-0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pose
KR20190063130A (en) * 2017-11-29 2019-06-07 박창혁 Smart mirr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4793B1 (en) 2023-11-10
KR20210063999A (en) 2021-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20174A1 (en) Body-Sensing Tank Top with Biofeedback System for Patients with Scoliosis
KR10178916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jaundice diagnosis based on an image, Assisting Apparatus for jaundice diagnosis based on an image
CN111772577A (en) Knee joint rehabilitation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cloud platform
US11776687B2 (en) Medical examination of human body using haptics
US20190066833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physical therapy
KR102388337B1 (en) Service provision method of the application for temporomandibular joint disease improvement service
JP4765531B2 (en) Data detection apparatus and data detection method
KR20150114194A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tooth information service
KR102311855B1 (en) Physical condition measurement tape and Method of providing physical condition monitoring service using the same
EP3808268B1 (en) System and method for shoulder proprioceptive analysis
KR20140082449A (en) Health and rehabilitation apparatus based on natural interaction
KR20220119557A (en) Method of providing physical condition monitoring service
US20170337341A1 (en) System and method for mitigating a medical risk
KR101402781B1 (en) Exercise prescription service system based on body analysis and method therefor
US20240000649A1 (en) Interconnected brace and crutch system
US20230144621A1 (en) Capturing diagnosable video content using a client device
WO2021149629A1 (en) Posture diagnosis system, posture diagnosis method, and data set for posture diagnosis
Nerino et al. An improved solution for knee rehabilitation at home
KR101801020B1 (en) Personalized spinal assist device manufacturing system utilizing 3D scanning and X-ray diagnostic data.
KR102311856B1 (en) A system for providing a dental care service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dental care service using the system
JP2019005252A (en) Breathing state determination system and breathing state determination program
EP4198995A1 (en) Privacy-aware data transformations
KR101733727B1 (en) Smart device providing function of bow legs diagnosis and diagnostic method of smart device
KR102663182B1 (en) Device for detecting landmark and mehtod thereof
KR2023010953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commended exercise based on posture analy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