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9548A - 차량용 목 및 허리 보호용 등받이 - Google Patents

차량용 목 및 허리 보호용 등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9548A
KR20220119548A KR1020210023002A KR20210023002A KR20220119548A KR 20220119548 A KR20220119548 A KR 20220119548A KR 1020210023002 A KR1020210023002 A KR 1020210023002A KR 20210023002 A KR20210023002 A KR 20210023002A KR 20220119548 A KR20220119548 A KR 202201195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
mesh
backrest
cover
elastic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3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기동
Original Assignee
엄기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기동 filed Critical 엄기동
Priority to KR1020210023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9548A/ko
Publication of KR20220119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95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6Use of three-dimensional fabric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3Head-rests fix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목 및 허리 보호용 등받이에 관한 것으로,
플라스틱 목받침판을 좌우측에 비해 중앙이 오목하게 하여 머리가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목받침판에 통기성과 탄성력이 좋은 망사형 에어 매쉬로 원형 모양의 커버를 씌운 목받침부를 헤드레스트에 결합하여 목의 중심에는 목의 어느 형태든 움직이는 데로 받쳐 주어 안전하고 편안함을 줄 수 있도록 하고,
"ㄱ"자형 받침대를 좌석 등받이의 양쪽에 나란히 배열면서 1∼5cm의 두께를 갖도록 부착하고,
하면서 통기성과 탄성력이 좋은 망사형 에어 매쉬로 커버를 씌워 등의 위뽁과 아래 쪽의 간격이 다르게 형성한 등받이부를 설치하여 장시간 운전시에도 허리 통증의 완화 및 허리 보호를 하는 동시에 올바른 자세의 유지가 가능함은 물론 등받이의 온도나 땀으로 인한 불편도 해소할 수 있도록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목 및 허리 보호용 등받이{back of a chair}
본 발명은 차량용 목 및 허리 보호용 등받이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플라스틱 목받침판을 좌우측에 비해 중앙이 오목하게 하여 머리가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통기성과 탄성력이 좋은 망사형 에어 매쉬로 원형 모양의 커버를 씌운 목받침부를 헤드레스트에 결합하여 목의 중심에는 목의 어느 형태든 움직이는 데로 받쳐 주어 안전하고 편안함을 줄 수 있도록 하고, "ㄱ"자형 받침대를 좌석 등받이의 양쪽에 나란히 배열하면서 통기성과 탄성력이 좋은 망사형 에어 매쉬로 커버를 씌워 등의 위뽁과 아래 쪽의 간격이 다르게 형성한 등받이부를 설치하여 장시간 운전시에도 허리 통증의 완화 및 허리 보호를 하는 동시에 올바른 자세의 유지가 가능함은 물론 온도나 땀으로 인한 불편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목 및 허리 보호용 받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는 한정된 공간과 중량의 범위 내에서 안전하고 쾌적하게 승객을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시트는 배치에 따라 운전석, 조수석, 뒷좌석으로 되어 있다. 또한, 시트는 모양에 따라 긴 의자 형태의 벤치 시트와 각각 분리할 수 있는 세퍼레이트 시트(SEPARATE SEAT)로 분류된다.
이런 자동차의 시트는 앉은 사람의 엉덩이를 받쳐 주는 시트 쿠션과 등을 받쳐 주는 등받이의 백 시트로 구성된다.
이런 자동차의 시트에 운전자가 몸을 의탁하고 운전은 하게 되면 보통은 운전자의 척추 부의 하측인 요추 부분은 등받이 측에 붙여 운전하게 되지만 그 윗부분인 흉추나 경추부분으로 올라갈수록 등받이부와 떨어져 운전하게 된다. 특히 초보자의 운전자일 경우는 그 경우가 심하였다.
이렇게 잘못된 운전자세는 그로 인해 쉽게 운전자의 피로를 유발시키게 되고, 피로감에 시달리는 운전자는 순간 판단이 둔화되거나 흐려져 대형사고의 유발 가능성이 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2018년 12월 27일자 특허등록 제10-1935205호(차량 시트 등받이에 설치되는 위치 조절이 가능한 경추 지지장치)가 제안되었으며,
이는,
착좌부(10), 등받이(20), 헤드레스트(30)가 구비된 차량 시트 등받이에 경추 지지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20)의 상단부 및 전단부 측으로 개방된 설치공간부(92)에 위치되어 운전자의 경추를 지지해주는 경추지지부재(50);
상기 경추지지부재(50)의 후방에 설치판(68)이 밀착고정되고, 상기 설치판(68)의 후방에 이격되는 왼나사스크류(61) 및 오른나사스크류(62)가 위치되고, 상기 왼나사스크류(61) 및 오른나사스크류(62) 상에 각각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너트(63,64)가 구비되며, 상기 이동너트(63,64)에 각각 거리조절대(74)를 연결하고 상기 설치판(68)에 후방에 구비되는 양측 힌지부(76)에 교차되게 연결하여 중심핀(72)을 기준으로 회전되게 하고, 상기 왼나사스크류(61) 및 오른나사스크류(62)는 모터(67)에 의해 회전되게 하여, 상기 모터(67)에 의한 왼나사스크류(61) 및 오른나사스크류(62)의 회전으로 거리조절대(74)가 교차회전되면서 경추지지부재(50)를 전후방 이동되게 하는 전후방거리조절부(60);
상기 모터(67)의 측부를 지지하도록 수직설치판(81)이 구비되고, 상기 수직설치판(81)의 하부 측을 지지하도록 바닥설치대(83)가 구비되며, 상기 바닥설치대(83)를 승 하강시키도록 바닥설치대(83)의 하부에 실린더(87)에 연결된 로드(85)가 연결 구비되게 하여, 상기 실린더(87)의 작동으로 경추지지부재(50)를 상하 이동되게 하는 상하거리조절부(80)를 포함하되;
상기 전후방거리조절부(60)에 의해 등받이(20) 상에서 전후방으로 거리조절되는 경추지지부재(50)의 하단부 전방 측에 판 형태의 수직전방커버(52)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전방커버(52)의 후방 측으로 이격되게 판 형태의 수직후방커버(54)가 형성되며, 상기 등받이(20)의 전방 상부 측으로 수직 연장된 전방지지판(21)이 수직전방커버(52) 및 수직후방커버(54)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수직전방커버(52) 및 수직후방커버(54)의 전후방 이동으로 인해 전방지지판(21)이 수직전방커버(52) 및 수직후방커버(54)의 양 내측 면에 밀착되면서 경추지지부재(50)의 전후방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상하거리조절부(80)에 의해 등받이(20) 상에서 상하로 거리조절되는 경추지지부재(50)의 상단부 후방 측은, 상기 등받이(20)의 후방 상부 측으로 수직 연장된 후방지지판(23)의 내측에 수평형성 되는 하부이동제한판(25) 상에 안착 되어 경추지지부재(50)의 하향 이동을 제한하도록 하고,
상기 경추지지부재(50)의 상단부 후방 측은, 상기 등받이(20)의 후방 상부 측으로 수직 연장된 후방지지판(23)의 상부 측에 요입 형성된 안착홈부(24)에 안착지지 되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차량 시트 등받이에 설치되는 위치 조절이 가능한 경추 지지장치에 의하여서는 차량 시트 등받이에 설치되어 얼마간의 살치 위치를 조절하면서 경추를 지지하도록 하였으나, 장시간 운전에도 운전자가 안정된 자세를 유지시켜 주면서 허리와 목의 위치를 자연스럽게 지지할 수 없어 피로감이 쌓이게 됨은 물론, 동절기에 처음 시트에 앉을 때의 등에서 느끼는 차가움을 해소할 수 없으며 하절기에는 운전 중에 땀이 배거나 할 때의 불쾌감을 저감시킬 수 없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플라스틱 목받침판을 좌우측에 비해 중앙이 오목하게 하여 머리가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통기성과 탄성력이 좋은 망사형 에어 매쉬로 원형 모양의 커버를 씌운 목받침부를 헤드레스트에 결합하여 목의 중심에는 목의 어느 형태든 움직이는 데로 받쳐 주어 안전하고 편안함을 줄 수 있도록 하고, "ㄱ"자형 받침대를 좌석 등받이의 양쪽에 나란히 배열하면서 통기성과 탄성력이 좋은 망사형 에어 매쉬로 커버를 씌워 등의 위뽁과 아래 쪽의 간격이 다르게 형성한 등받이부를 설치하여 장시간 운전시에도 허리 통증의 완화 및 허리 보호를 하는 동시에 올바른 자세의 유지가 가능함은 물론 온도나 땀으로 인한 불편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목 및 허리 보호용 등받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목 및 허리 보호용 등받이는
플라스틱 목받침판을 좌우측에 비해 중앙이 오목하게 하여 머리가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통기성과 탄성력이 좋은 망사형 에어 매쉬로 원형 모양의 커버를 씌운 목받침부를 헤드레스트에 결합하여 목의 중심에는 목의 어느 형태든 움직이는 데로 받쳐 주어 장시간 운전 시에도 운전자의 목의 불편함이나 통증을 없애주면서 피로를 완화하도록 하되,
통기성이 우수한 망사형 에어 매쉬로 커버를 형성하여 통풍이 원활하여 답답함과 땀 고임을 예방할 수 있으며,
통기가 잘되며 탄성력이 좋은 망사형 에어 매쉬의 커버로 인하여 쿠션 역할을 할 수 있어 목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고,
상기의 목받침부를 헤드레스트에 결합할 때 결합띠의 양끝에 벨크로를 부착하여 용이하게 결합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ㄱ"자형 받침대를 좌석 등받이의 양쪽에 나란히 배열하면서 통기성과 탄성력이 좋은 망사형 에어 매쉬로 커버를 씌워 등의 위뽁과 아래 쪽의 간격이 다르게 형성한 등받이부를 설치하여 장시간 운전시에도 허리 통증의 완화 및 허리 보호를 하는 동시에 올바른 자세의 유지가 가능함은 물론 온도나 땀으로 인한 불편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되,
좌석 등받이 좌우 끝 부위에 플라스틱 및 고무 재질의 용도에 맞게끔 "ㄱ"자형 받침대를 1∼5cm의 두께를 갖도록 하여 부착하도록 하고,
좌석 등받이에 부착하였을 시 위쪽의 간격은 2∼3cm 정도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면서 아래쪽의 간격은 7∼8cm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고,
좌석 등받이의 통기성과 탄성력이 좋은 망사형 에어 매쉬로 커버는 장시간 운전시 허리 통증을 없애주면서 허리를 보호하거나 불편함을 완화하도록 하는 동시에 올바른 자세도 유지가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망사형 에어 매쉬의 커버는 통풍이 잘 되므로 좌석 등받이에서 냉 온풍을 유입하여 땀 고임을 예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목 및 허리 보호용 등받이에 의하여서는 플라스틱 목받침판을 좌우측에 비해 중앙이 오목하게 하여 머리가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목받침판에 통기성과 탄성력이 좋은 망사형 에어 매쉬로 원형 모양의 커버를 씌운 목받침부를 헤드레스트에 결합하여 목의 중심에는 목의 어느 형태든 움직이는 데로 받쳐 주어 안전하고 편안함을 줄 수 있도록 하고,
"ㄱ"자형 받침대를 좌석 등받이의 양쪽에 나란히 배열면서 1∼5cm의 두께를 갖도록 부착하고,
하면서 통기성과 탄성력이 좋은 망사형 에어 매쉬로 커버를 씌워 등의 위뽁과 아래 쪽의 간격이 다르게 형성한 등받이부를 설치하여 장시간 운전시에도 허리 통증의 완화 및 허리 보호를 하는 동시에 올바른 자세의 유지가 가능함은 물론 등받이의 온도나 땀으로 인한 불편도 해소할 수 있도록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경추 지지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목 및 허리 보호용 등받이는,
플라스틱 목받침판(102)을 좌우측에 비해 중앙이 오목하게 하여 머리가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통기성과 탄성력이 좋은 망사형 에어 매쉬로 원형 모양의 커버(103)를 씌운 목받침부(101)를 헤드레스트(100)에 결합하여 목의 중심에는 목의 어느 형태든 움직이는 데로 받쳐 주어 장시간 운전 시에도 운전자의 목의 불편함이나 통증을 없애주면서 피로를 완화하도록 하되,
통기성이 우수한 망사형 에어 매쉬로 커버(103)를 형성하여 통풍이 원활하여 답답함과 땀 고임을 예방할 수 있으며,
통기가 잘되며 탄성력이 좋은 망사형 에어 매쉬의 커버(103)로 인하여 쿠션 역할을 할 수 있어 목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고,
상기의 목받침부(101)를 헤드레스트(100)에 결합할 때 결합띠(104)의 양끝에 벨크로(105)를 부착하여 용이하게 결합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ㄱ"자형 받침대(112)를 좌석 등받이(110)의 양쪽에 나란히 배열하면서 통기성과 탄성력이 좋은 망사형 에어 매쉬로 커버(113)를 씌워 등의 위뽁과 아래 쪽의 간격이 다르게 형성한 등받이부(111)를 설치하여 장시간 운전시에도 허리 통증의 완화 및 허리 보호를 하는 동시에 올바른 자세의 유지가 가능함은 물론 온도나 땀으로 인한 불편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되,
좌석 등받이(110) 좌우 끝 부위에 플라스틱 및 고무 재질의 용도에 맞게끔 "ㄱ"자형 받침대(112)를 1∼5cm의 두께를 갖도록 하여 부착하도록 하고,
좌석 등받이(110)에 부착하였을 시 위쪽의 간격은 2∼3cm 정도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면서 아래쪽의 간격은 7∼8cm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고,
좌석 등받이(110)의 통기성과 탄성력이 좋은 망사형 에어 매쉬로 커버(113)는 장시간 운전시 허리 통증을 없애주면서 허리를 보호하거나 불편함을 완화하도록 하는 동시에 올바른 자세도 유지가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망사형 에어 매쉬의 커버(113)는 통풍이 잘 되므로 좌석 등받이(110)에서 냉 온풍을 유입하여 땀 고임을 예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차량용 목 및 허리 보호용 등받이는
플라스틱 목받침판(102)을 좌우측에 비해 중앙이 오목하게 하여 머리가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통기성과 탄성력이 좋은 망사형 에어 매쉬로 원형 모양의 커버(103)를 씌운 목받침부(101)를 헤드레스트(100)에 결합하여 목의 중심에는 목의 어느 형태든 움직이는 데로 받쳐 주어 장시간 운전 시에도 운전자의 목의 불편함이나 통증을 없애주면서 피로를 완화하도록 한다.
상기 통기성이 우수한 망사형 에어 매쉬로 커버(103)를 형성하여 통풍이 원활하여 답답함과 땀 고임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 통기가 잘되며 탄성력이 좋은 망사형 에어 매쉬의 커버(103)로 인하여 쿠션 역할을 할 수 있어 목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상기의 목받침부(101)를 헤드레스트(100)에 결합할 때 결합띠(104)의 양끝에 벨크로(105)를 부착하여 용이하게 결합하거나 분리시키도록 한다.
한편, "ㄱ"자형 받침대(112)를 좌석 등받이(110)의 양쪽에 나란히 배열하면서 통기성과 탄성력이 좋은 망사형 에어 매쉬로 커버(113)를 씌워 등의 위뽁과 아래 쪽의 간격이 다르게 형성한 등받이부(111)를 설치하여 장시간 운전시에도 허리 통증의 완화 및 허리 보호를 하는 동시에 올바른 자세의 유지가 가능함은 물론 온도나 땀으로 인한 불편도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좌석 등받이(110) 좌우 끝 부위에 플라스틱 및 고무 재질의 용도에 맞게끔 "ㄱ"자형 받침대(112)를 1∼5cm의 두께를 갖도록 하여 부착하도록 한다.
상기 좌석 등받이(110)에 부착하였을 시 위쪽의 간격은 2∼3cm 정도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면서 아래쪽의 간격은 7∼8cm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좌석 등받이(110)의 통기성과 탄성력이 좋은 망사형 에어 매쉬로 커버(113)는 장시간 운전시 허리 통증을 없애주면서 허리를 보호하거나 불편함을 완화하도록 하는 동시에 올바른 자세도 유지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망사형 에어 매쉬의 커버(113)는 통풍이 잘 되므로 좌석 등받이(110)에서 냉 온풍을 유입하여 땀 고임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헤드레스트 101 : 목받침부
102 : 플라스틱 목받침판 103, 113 : 커버
104 : 결합띠 110 : 좌석 등받이
111 : 등받이부 112 : "ㄱ"자형 받침대

Claims (3)

  1. 플라스틱 목받침판(102)을 좌우측에 비해 중앙이 오목하게 하여 머리가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통기성과 탄성력이 좋은 망사형 에어 매쉬로 원형 모양의 커버(103)를 씌운 목받침부(101)를 헤드레스트(100)에 결합하고,
    "ㄱ"자형 받침대(112)를 좌석 등받이(110)의 양쪽에 나란히 1∼5cm의 두께를 갖도록 배열하면서 통기성과 탄성력이 좋은 망사형 에어 매쉬로 커버(113)를 씌워 등의 위뽁과 아래 쪽의 간격이 다르게 형성한 등받이부(111)를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차량용 목 및 허리 보호용 등받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의 목받침부(101)를 헤드레스트(100)에 결합할 때 결합띠(104)의 양끝에 벨크로(105)를 부착하여 용이하게 결합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목 및 허리 보호용 등받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좌석 등받이(110)에 부착하였을 시 위쪽의 간격은 2∼3cm 정도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면서 아래쪽의 간격은 7∼8cm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목 및 허리 보호용 등받이.
KR1020210023002A 2021-02-21 2021-02-21 차량용 목 및 허리 보호용 등받이 KR202201195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002A KR20220119548A (ko) 2021-02-21 2021-02-21 차량용 목 및 허리 보호용 등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002A KR20220119548A (ko) 2021-02-21 2021-02-21 차량용 목 및 허리 보호용 등받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9548A true KR20220119548A (ko) 2022-08-30

Family

ID=83113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3002A KR20220119548A (ko) 2021-02-21 2021-02-21 차량용 목 및 허리 보호용 등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1954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83945B1 (en) Headrest structure, headrest cushion and passenger seat
US20180178696A1 (en) Headrest for a vehicle seat
EP2802241B1 (en) A comfortable orthopedic chair for prevention of spinal diseases
CN110654286B (zh) 设置于车辆座椅椅背的可调节位置的颈椎支撑装置
US10604046B2 (en) Occupant support device for a seat
GB2472836A (en) Headrest
GB2512136A (en) Seat apparatus for a vehicle
WO2007029970A1 (en) Chair having bifurcate seat and fan device therefor
GB2141622A (en) Vehicle seats
KR20220119548A (ko) 차량용 목 및 허리 보호용 등받이
US5411317A (en) Vehicle seat
CN106114297A (zh) 一种汽车座椅
KR200326836Y1 (ko) 자동차용 의자의 목-머리 받침대
JP7300223B1 (ja) カスタムクッション式シートバック
JP2023000747A (ja) 調整式シートバック
CN205930348U (zh) 一种汽车座椅
KR200257001Y1 (ko) 높낮이 조절기능을 가지는 의자등받이
CN215944355U (zh) 一种基于人体功能学的公交座椅
KR20240000708U (ko) 높이 조절 및 탈부착이 가능한 자동차용 쿠션 구조체
EP4059380B1 (en) Chair for reducing load on buttocks and waist
US9132757B2 (en) Vehicle seat comprising a head restraint
JP7352802B1 (ja) 自動車の座席用クッションシート
CN211765546U (zh) 列车座椅套
JP2024077199A (ja) カスタムクッション式シートバック
KR200377785Y1 (ko) 자동차용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